KR102358335B1 -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335B1
KR102358335B1 KR1020210125094A KR20210125094A KR102358335B1 KR 102358335 B1 KR102358335 B1 KR 102358335B1 KR 1020210125094 A KR1020210125094 A KR 1020210125094A KR 20210125094 A KR20210125094 A KR 20210125094A KR 102358335 B1 KR102358335 B1 KR 102358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vehicle
filter
separation space
ai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5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박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현 filed Critical 박상현
Priority to KR1020210125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3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98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display or indicating devices, e.g. voice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2003/065Details for holding filter elements i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2003/0683Filtering the quality of the filter or the air being chec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2Weather protecting means, e.g. against wind, rain or sn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팬(40)이 구동될 경우 최하단이격공간(22)을 통해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중하단이격공간(21)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필터(30)로서 미세분진을 필터링하면서 중앙센터홀 및 상단이격공간(23)으로 정화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공기정화기(AC)를 실내는 물론이거니와 실외에 설치하더라도 우천시 상단수평판(16)에 의해 빗물을 차단함과 동시에 필터(30)의 젖음현상 없이 중하단이격공간(21)을 통해 오염공기를 원활하게 흡입하면서 필터링토록 하며, 더 나아가 중하단착탈구(21a)를 통해 필터(30)의 편리한 착탈을 가능케 하여, 실내외를 막론하고 미세분진의 필터링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30)의 교체 및 A/S 역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차량용 공기정화장치{AIR CLEAN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심팬이 구동될 경우 최하단이격공간을 통해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중하단이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필터로서 미세분진을 필터링하면서 중앙센터홀 및 상단이격공간으로 정화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공기정화기를 실내는 물론이거니와 실외에 설치하더라도 우천시 상단수평판에 의해 빗물을 차단함과 동시에 필터의 젖음현상 없이 중하단이격공간을 통해 오염공기를 원활하게 흡입하면서 필터링토록 하며, 더 나아가 중하단착탈구를 통해 필터의 편리한 착탈을 가능케 하여, 실내외를 막론하고 미세분진의 필터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필터의 교체 및 A/S 역시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정화기는 미세먼지를 필터링하여 대기환경을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44601호로서 공지되어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44601호)에 따른 금속산화물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용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금속산화물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용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금속산화물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용 유닛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용 또는 산업용 제품에서 발생되는 열을 이용하여 실내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제품의 방열판 또는 고온가스 배출부에 설치되며 흡기구(52)가 형성된 케이스(51)와, 흡기구(52)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서로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54)와, 열교환기(54)의 상부에 적층되며 열교환기(54)를 통과한 공기와 접촉되는 금속산화물촉매가 충전된 촉매충전층(55)과, 흡기구(52) 및 촉매충전층(55)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필터(53, 56)와, 필터(56)의 상부에 설치되는 송풍팬(57)으로 이루어지되; 열교환기(54), 촉매충전층(55), 필터(53, 56) 및 송풍팬(57)은 케이스(51)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금속산화물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용 유닛은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열교환기(54), 촉매충전층(55), 필터(53, 56) 및 송풍팬(57)가 단순히 케이스(51)의 내부에 수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필터(53, 56)의 교환시 전체를 분해한 후 다시 조립하는 과정을 거쳐야만 하여 A/S 등이 극히 어려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14460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원심팬이 구동될 경우 최하단이격공간을 통해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중하단이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필터로서 미세분진을 필터링하면서 중앙센터홀 및 상단이격공간으로 정화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공기정화기를 실내는 물론이거니와 실외에 설치하더라도 우천시 상단수평판에 의해 빗물을 차단함과 동시에 필터의 젖음현상 없이 중하단이격공간을 통해 오염공기를 원활하게 흡입하면서 필터링토록 하며, 더 나아가 중하단착탈구를 통해 필터의 편리한 착탈을 가능케 하여, 실내외를 막론하고 미세분진의 필터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의 교체 및 A/S 역시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하단이격공간으로의 필터의 탈착을 더욱 수월하게 할 수 있고, 원심팬의 고장시 상단수평판으로부터 상단원판을 간단하게 분리하여 원심팬의 용이한 수리까지 가능케 한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지붕에 설치하여 화석연료에 의한 대기오염의 주범인 배기가스를 더욱 적극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정화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이동 중 공기정화기에 가해질 수 있는 공기저항을 최소화시키면서 대기오염을 실시간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하우징의 양측을 사이드하우징으로 커버링하여 차량이동 중 공기저항을 입체적으로 방어할 수 있도록 하면서 구획판을 통해 상부정화공기영역 및 하부오염공기영역으로 구획하여 미세분진의 필터링효과를 극대화시키면서 특히 사이드하우징의 사이드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염공기를 공기정화기의 최하단이격공간을 통해 전량 흡입하여 중하단이격공간에 수납된 필터로서 필터링하면서 중앙센터홀 및 상단이격공간을 경유하여 정화공기를 상부정화공기영역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철저힌 필터링을 가능케 한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는,
코너수직빔들의 중단에 지지되면서 중단센터홀을 지닌 중단수평판과,
상기 코너수직빔의 중하단에 지지되면서 상기 중단수평판으로부터 차례로 이격되는 중하단이격공간 및 최하단이격공간을 마련하는 중하단수평메쉬와,
상기 중하단이격공간의 측방향 중 어느 한 측방향을 중하단착탈구로 남겨두고 나머지 측방향을 쉴드시키는 중하단쉴드측판과,
상기 중하단착탈구를 통해 상기 중하단이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필터와,
상기 중하단착탈구를 커버링하는 덮개수단과,
상기 코너수직빔들의 상단에 지지되면서 상기 중단수평판으로부터 이격되는 상단이격공간을 마련하는 상단수평판과,
상기 상단수평판에 고정되면서 상기 중단센터홀에 센터링되어 상기 최하단이격공간을 통해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필터 및 중단센터홀을 경유하여 빨아들이면서 상기 상단이격공간으로 정화공기를 배출시키는 원심팬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는,
차량의 지붕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정화기를 받쳐주는 베이스와,
상기 차량의 전진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의 전방에서부터 상기 공기정화기의 상방과 더불어 후방을 커버링함과 동시에 후방오픈구를 형성하는 메인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다음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심팬이 구동될 경우 최하단이격공간을 통해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중하단이격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필터로서 미세분진을 필터링하면서 중앙센터홀 및 상단이격공간으로 정화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공기정화기를 실내는 물론이거니와 실외에 설치하더라도 우천시 상단수평판에 의해 빗물을 차단함과 동시에 필터의 젖음현상 없이 중하단이격공간을 통해 오염공기를 원활하게 흡입하면서 필터링토록 하며, 더 나아가 중하단착탈구를 통해 필터의 편리한 착탈을 가능케 하여, 실내외를 막론하고 미세분진의 필터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의 교체 및 A/S 역시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중하단이격공간으로의 필터의 탈착을 더욱 수월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심팬의 고장시 상단수평판으로부터 상단원판을 간단하게 분리하여 원심팬의 용이한 수리까지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지붕에 설치하여 화석연료에 의한 대기오염의 주범인 배기가스를 더욱 적극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정화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이동 중 공기정화기에 가해질 수 있는 공기저항을 최소화시키면서 대기오염을 실시간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메인하우징의 양측을 사이드하우징으로 커버링하여 차량이동 중 공기저항을 입체적으로 방어할 수 있도록 하면서 구획판을 통해 상부정화공기영역 및 하부오염공기영역으로 구획하여 미세분진의 필터링효과를 극대화시키면서 특히 사이드하우징의 사이드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염공기를 공기정화기의 최하단이격공간을 통해 전량 흡입하여 중하단이격공간에 수납된 필터로서 필터링하면서 중앙센터홀 및 상단이격공간을 경유하여 정화공기를 상부정화공기영역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철저힌 필터링을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각종 곤충이나 조류 등의 유입을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하부후방오픈구에 장착되는 하부후방측판을 더 포함하여 외부의 곤충 및 조류의 침입을 더욱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며, 우천시 공기정화기로의 빗물의 유입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전지역을 누리는 차량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오염공기와 정화공기의 차이를 실시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대기오염의 심각성과 공기정화의 필요성을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금속산화물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용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b는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금속산화물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용 유닛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측면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산업발전으로 인하여 대기오염 및 실내공기 오염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고, 특히 각종 공장, 건설현장 및 자동차 등으로부터 배출되는 미세분진은 대기환경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공기의 오염상태를 해소하기 위하여 공기정화기(AC)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를 를 본 발명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AC)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AC)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AC)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수직빔(11)들의 중단에 지지되면서 중단센터홀(12a)을 지닌 중단수평판(12)과, 코너수직빔(11)의 중하단에 지지되면서 중단수평판(12)으로부터 차례로 이격되는 중하단이격공간(21) 및 최하단이격공간(22)을 마련하는 중하단수평메쉬(13)와, 중하단이격공간(21)의 측방향 중 어느 한 측방향을 중하단착탈구(21a)로 남겨두고 나머지 측방향을 쉴드시키는 중하단쉴드측판(14)과, 중하단착탈구(21a)를 통해 중하단이격공간(21)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필터(30)와, 중하단착탈구(21a)를 커버링하는 덮개수단(15)과, 코너수직빔(11)들의 상단에 지지되면서 중단수평판(12)으로부터 이격되는 상단이격공간(23)을 마련하는 상단수평판(16)과, 상단수평판(16)에 고정되면서 중단센터홀(12a)에 센터링되어 최하단이격공간(22)을 통해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필터(30) 및 중단센터홀(12a)을 경유하여 빨아들이면서 상단이격공간(23)으로 정화공기를 배출시키는 원심팬(4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AC)의 동작을 설명하면, 원심팬(40)이 구동될 경우 최하단이격공간(22)을 통해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중하단이격공간(21)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필터(30)로서 미세분진을 필터링하면서 중앙센터홀 및 상단이격공간(23)으로 정화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공기정화기(AC)를 실내는 물론이거니와 실외에 설치하더라도 우천시 상단수평판(16)에 의해 빗물을 차단함과 동시에 필터(30)의 젖음현상 없이 중하단이격공간(21)을 통해 오염공기를 원활하게 흡입하면서 필터링토록 하며, 더 나아가 중하단착탈구(21a)를 통해 필터(30)의 편리한 착탈을 가능케 하여, 실내외를 막론하고 미세분진의 필터링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30)의 교체 및 A/S 역시 용이하게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이때, 덮개수단(15)은 필터(30)를 받쳐주면서 중하단착탈구(21a)를 통해 중하단이격공간(21) 속으로 출입되는 중공프레임(15a)과, 중공프레임(15a)의 일측에 고정되어 중하단착탈구(21a)를 커버링하는 덮개(15b)를 포함하여, 중하단이격공간(21)으로의 필터(30)의 탈착을 더욱 수월하게 할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상단수평판(16)은 상단센터홀(16a)을 구비하고, 원심팬(40)은 상단원판(41)에 고정되어 상단센터홀(16a)을 경유한 후 중단센터홀(12a)에 센터링되면서 상단원판(41)으로 하여금 상단센터홀(16a)을 커버링토록 조립되어, 원심팬(40)의 고장시 상단수평판(16)으로부터 상단원판(41)을 간단하게 분리하여 원심팬(40)의 용이한 수리까지 가능케 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를 나타내는 분해 측면도이며, 도면 중 부호 S는 공기정화기(AC)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솔러패널을 지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는 차량(V)의 지붕에 마련되어 공기정화기(AC)를 받쳐주는 베이스(61)와, 차량(V)의 전진방향에 대응하는 베이스(61)의 전방에서부터 공기정화기(AC)의 상방과 더불어 후방을 커버링함과 동시에 후방오픈구(72)를 형성하는 메인하우징(7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AC)를 실외, 즉 차량(V)의 지붕에 설치하여 화석연료에 의한 대기오염의 주범인 배기가스를 더욱 적극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기정화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이를 위하여 차량(V)의 전진방향에 대응하도록 차량(V)의 지붕에 마련된 베이스(61) 위에 공기정화기(AC)를 설치하면서 메인하우징(71)으로서 베이스(61)의 전방에서부터 공기정화기(AC)의 상방과 더불어 후방을 커버링함과 동시에 후방오픈구(72)를 형성하여, 차량(V)의 이동 중 공기정화기(AC)에 가해질 수 있는 공기저항을 최소화시키면서 대기오염을 실시간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는 메인하우징(71)의 양측을 커버링하는 사이드하우징(73)과, 중단수평판(12)을 기준으로 메인하우징(71) 및 사이드하우징(73)의 내부를 상부정화공기영역(74a) 및 하부오염공기영역(74b)으로 구획하는 구획판(74)과, 사이드하우징(73)의 하부에 뚫려져 하부오염공기영역(74b)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사이드입구(73a)를 포함한다.
메인하우징(71)의 양측을 사이드하우징(73)으로 커버링하여 차량이동 중 공기저항을 입체적으로 방어할 수 있도록 하면서 구획판(74)을 통해 상부정화공기영역(74a) 및 하부오염공기영역(74b)으로 구획하여 미세분진의 필터링 효과를 극대화시키면서 특히 사이드하우징(73)의 사이드입구(73a)를 통해 유입된 오염공기를 공기정화기(AC)의 최하단이격공간(22)을 통해 전량 흡입하여 중하단이격공간(21)에 수납된 필터(30)로서 필터링하면서 중앙센터홀 및 상단이격공간(23)을 경유하여 정화공기를 상부정화공기영역(74a)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철저힌 필터링을 가능케 한 것이다.
이때, 구획판(74)에 의해 후방오픈구(72)를 상부후방오픈구(72) 및 하부후방오픈구(72)로 구획하고, 상부후방오픈구(72)에 장착되면서 상부후방출구(75a)를 지닌 상부후방측판(75)을 더 포함하여, 각종 곤충이나 조류 등의 유입을 적극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하부후방오픈구(72)에 장착되는 하부후방측판(76)을 더 포함하여 외부의 곤충 및 조류의 침입을 더욱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하부후방오픈구(72)는 하부후방측판(76)의 하부에 배수로(76a)를 확보시켜 우천시 공기정화기(AC)로의 빗물의 유입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AC)를 이용한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는 하부오염공기영역(74b)의 공기상태를 감지하는 오염공기감지센서(81)와, 상부정화공기영역(74a)의 공기상태를 감지하는 정화공기감지센서(82)와, 오염공기감지센서(81)에서 감지된 오염공기의 상태 및 정화공기감지센서(82)에서 감지된 정화공기의 상태를 비교 연산하는 컨트롤러(91)와, 차량(V)의 측면에 마련되어 컨트롤러(91)에서 비교 연산한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92)를 포함하여, 전 지역을 누리는 차량(V)의 디스플레이부(92)를 통해 오염공기와 정화공기의 차이를 실시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대기오염의 심각성과 공기정화의 필요성을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베이스(61)는 차량(V)의 지붕에 나란히 고정된 베이스빔(61b)과, 베이스빔(61b)에 고정되어 공기정화기(AC)를 받쳐주는 베이스판(61a)을 포함하여, 차량(V) 지붕의 곡면을 베이스빔(61b)으로 만회하면서 베이스판(61a)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부오염공기영역(74b)의 양측에 마련되어 사이드입구(73a)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를 차단하는 사이드우수차단판(77)을 더 포함하여, 우천시 빗물에 의한 공기정화기(AC)의 훼손을 더욱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실내외 공기의 오염을 정화시킬 수 있는 산업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AC : 공기정화기 11 : 코너수직빔
12 : 중단수평판 12a : 중단센터홀
13 : 중하단수평메쉬 14 : 중하단쉴드측판
15 : 덮개수단 15a : 중공프레임
15b : 덮개 16 : 상단수평판
16a : 상단센터홀 21 : 중하단이격공간
21a : 중하단착탈구 22 : 최하단이격공간
23 : 상단이격공간 30 : 필터
40 : 원심팬 41 : 상단원판
V : 차량 61 : 베이스
61a : 베이스판 61b : 베이스빔
71 : 메인하우징 72 : 후방오픈구
72a : 상부후방오픈구 72b : 하부후방오픈구
73 : 사이드하우징 73a : 사이드입구
74 : 구획판 74a : 상부정화공기영역
74b : 하부오염공기영역 75 : 상부후방측판
75a : 상부후방출구 76 : 하부후방측판
76a : 배수로 77 : 사이드우수차단판
81 : 오염공기감지센서 82 : 정화공기감지센서
91 : 컨트롤러 92 : 디스플레이부

Claims (11)

  1. 코너수직빔(11)들의 중단에 지지되면서 중단센터홀(12a)을 지닌 중단수평판(12)과, 상기 코너수직빔(11)의 중하단에 지지되면서 상기 중단수평판(12)으로부터 차례로 이격되는 중하단이격공간(21) 및 최하단이격공간(22)을 마련하는 중하단수평메쉬(13)와, 상기 중하단이격공간(21)의 측방향 중 어느 한 측방향을 중하단착탈구(21a)로 남겨두고 나머지 측방향을 쉴드시키는 중하단쉴드측판(14)과, 상기 중하단착탈구(21a)를 통해 상기 중하단이격공간(21)에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필터(30)와, 상기 중하단착탈구(21a)를 커버링하는 덮개수단(15)과, 상기 코너수직빔(11)들의 상단에 지지되면서 상기 중단수평판(12)으로부터 이격되는 상단이격공간(23)을 마련하는 상단수평판(16)과, 상기 상단수평판(16)에 고정되면서 상기 중단센터홀(12a)에 센터링되어 상기 최하단이격공간(22)을 통해 오염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필터(30) 및 중단센터홀(12a)을 경유하여 빨아들이면서 상기 상단이격공간(23)으로 정화공기를 배출시키는 원심팬(40)을 포함하는 공기정화기(AC)와,
    차량(V)의 지붕에 마련되어 상기 공기정화기(AC)를 받쳐주는 베이스(61)와,
    상기 차량(V)의 전진방향에 대응하는 상기 베이스(61)의 전방에서부터 상기 공기정화기(AC)의 상방과 더불어 후방을 커버링함과 동시에 후방오픈구(72)를 형성하는 메인하우징(71)과,
    상기 메인하우징(71)의 양측을 커버링하는 사이드하우징(73)과,
    상기 중단수평판(12)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하우징(71) 및 사이드하우징(73)의 내부를 상부정화공기영역(74a) 및 하부오염공기영역(74b)으로 구획하는 구획판(74)과,
    상기 사이드하우징(73)의 하부에 뚫려져 상기 하부오염공기영역(74b)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사이드입구(7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수단(15)은
    상기 필터(30)를 받쳐주면서 상기 중하단착탈구(21a)를 통해 상기 중하단이격공간(21) 속으로 출입되는 중공프레임(15a)과,
    상기 중공프레임(15a)의 일측에 고정되어 상기 중하단착탈구(21a)를 커버링하는 덮개(15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수평판(16)은 상단센터홀(16a)을 구비하고,
    상기 원심팬(40)은 상단원판(41)에 고정되어 상기 상단센터홀(16a)을 경유한 후 상기 중단센터홀(12a)에 센터링되면서 상기 상단원판(41)으로 하여금 상기 상단센터홀(16a)을 커버링토록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74)에 의해 상기 후방오픈구(72)를 상부후방오픈구(72) 및 하부후방오픈구(72)로 구획하고,
    상기 상부후방오픈구(72)에 장착되면서 상부후방출구(75a)를 지닌 상부후방측판(7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후방오픈구(72)에 장착되는 하부후방측판(7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후방오픈구(72)는 상기 하부후방측판(76)의 하부에 배수로(76a)를 확보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오염공기영역(74b)의 공기상태를 감지하는 오염공기감지센서(81)와,
    상기 상부정화공기영역(74a)의 공기상태를 감지하는 정화공기감지센서(82)와,
    상기 오염공기감지센서(81)에서 감지된 오염공기의 상태 및 상기 정화공기감지센서(82)에서 감지된 정화공기의 상태를 비교 연산하는 컨트롤러(91)와,
    상기 차량의 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컨트롤러(91)에서 비교 연산한 값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61)는
    상기 차량의 지붕에 나란히 고정된 베이스빔(61b)과,
    상기 베이스빔(61b)에 고정되어 상기 공기정화기(AC)를 받쳐주는 베이스판(61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오염공기영역(74b)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사이드입구(73a)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를 차단하는 사이드우수차단판(7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KR1020210125094A 2021-09-17 2021-09-17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KR102358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094A KR102358335B1 (ko) 2021-09-17 2021-09-17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5094A KR102358335B1 (ko) 2021-09-17 2021-09-17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8335B1 true KR102358335B1 (ko) 2022-02-08

Family

ID=80252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5094A KR102358335B1 (ko) 2021-09-17 2021-09-17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83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6137A (ko) * 2002-12-23 2004-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0807813B1 (ko) * 2007-02-07 2008-02-27 최대식 차량 장착용 대기정화장치
KR101144601B1 (ko) 2010-03-16 2012-05-14 (주) 리드제넥스 금속산화물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용 유닛
KR20120061353A (ko) * 2010-12-03 2012-06-13 주식회사 네패스 빌트인 공기 청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6137A (ko) * 2002-12-23 2004-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100807813B1 (ko) * 2007-02-07 2008-02-27 최대식 차량 장착용 대기정화장치
KR101144601B1 (ko) 2010-03-16 2012-05-14 (주) 리드제넥스 금속산화물촉매를 이용한 공기정화용 유닛
KR20120061353A (ko) * 2010-12-03 2012-06-13 주식회사 네패스 빌트인 공기 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36439B (zh) 空调设备
CN1240971C (zh) 空气净化器
CN106196325B (zh) 一种移动式室内环境洁净机器人
KR100592208B1 (ko) 클린 벤치
CN105579154A (zh) 用于配备诸如焊接区域的工业作业区域的空气抽吸壁
CN105987426A (zh) 室内空气质量控制系统
US20050051158A1 (en) Extraction hood and method for the suction extraction and/or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carrier substances
KR101878551B1 (ko) 창문 일체형 공기청정기
KR102000707B1 (ko) 교실용 공기정화장치
KR20040056151A (ko) 공기청정기
CN104482602A (zh) 智能空气净化器及其滤网寿命监测方法
KR101376553B1 (ko) 실내 환기 및 정화 배기용 모니터
KR101035010B1 (ko) 공기정화 및 조명 복합장치
KR20100038922A (ko) 아치형 터널의 환기장치
KR102358335B1 (ko) 차량용 공기정화장치
KR102151583B1 (ko) 다목적 공기청정기
KR20180026127A (ko) 창문용 털필터 공기정화기
CN102758463A (zh) 一种挖掘机除尘装置
KR20100009691U (ko) 사이크론 전기집진기
KR101543839B1 (ko) 지붕형 산업용 분진 여과시스템
KR101149615B1 (ko) 휴대용 집진장치
KR101972219B1 (ko) 환기용 공기청정장치
KR20180025348A (ko) 클리닝 기능을 갖는 롤 스크린 필터 장치
CN208288032U (zh) 气体处理生物安全柜
CN105423430A (zh) 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