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035B1 -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035B1
KR102358035B1 KR1020200048025A KR20200048025A KR102358035B1 KR 102358035 B1 KR102358035 B1 KR 102358035B1 KR 1020200048025 A KR1020200048025 A KR 1020200048025A KR 20200048025 A KR20200048025 A KR 20200048025A KR 102358035 B1 KR102358035 B1 KR 1023580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ke
piggyback
controller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8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9917A (ko
Inventor
이윤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가린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48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035B1/ko
Priority to US17/231,010 priority patent/US11643049B2/en
Publication of KR20210129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9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0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0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9Remote starting of eng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04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e.g. current 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12/40052High-speed IEEE 1394 serial bus
    • H04L12/40097Interconnection with othe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3Network services using third party service provi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6Interne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50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50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G07C2009/00515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opening and locking of all locks at the same tim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50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G07C2009/0053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anti-thef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50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G07C2009/0054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starting igni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0Bus networks
    • H04L2012/40267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 H04L2012/40273Bus for use in transportation systems the transportation system being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방법)은, 차량 내부 네트워크와 차량 외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라우터; 및 상기 라우터에 연결되어 통신하는 차량 전장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전장요소는 RKE(Remote Keyless Entry) 모듈을 포함하며, 차량에 새롭게 장착되어 상기 차량 전장요소를 제어하는 써드파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써드파티 모듈은 상기 차량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기에 의해 상기 RKE 모듈로 입력되는 신호에 피기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더넷 기반에서 써드파티 모듈의 자유로운 장착 및 교체가 가능하게 되어, 차량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based ethernet}
본 발명은 차량 제어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더넷을 기반으로 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Bosch사에서는 효율적인 차량 내부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개발한 바 있다. CAN은 하나의 인터페이스로 다수의 모듈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고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또한, CAN뿐만 아니라 ID를 추가하여 데이터 전송량을 확장시킨 확장 CAN도 제안된 바 있다. CAN 통신은, 캔버스(CAN-BUS)에 차량 전장요소가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브로드캐스트된 정보를 해당 차량 전장요소에서 처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 리모콘 키의 도어 열림 버튼이 눌려지는 것에 대응하여 해당 ECU가 도어 열림 신호를 캔버스에 브로드캐스트하면, 도어 열림 신호와 관련된 도어락 모듈이 도어 열림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도어 열림 신호와 관련되지 않은 나머지 차량 전장요소들은 해당 도어 열림 신호를 바이패스(bypass)한다. 한편, CAN은 차량에 적용되는 특수성으로 인해 매우 폐쇄적인 환경으로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최근 CAN을 차량 외부 네트워크와 접목시키는 기술들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차량의 기능이 첨단화되면서 다양한 전자제어장치(ECU : Electronic Control Unit)가 계속 탑재되고 있으며, 이에 차량의 네트워크 복잡도가 증가하고 있다. 즉, 차량이 기계식에서 전자식으로 변화되면서 탑재되는 전자제어장치, 컨트롤러, 센서 등이 많아지고 있다. 이에 CAN의 통신속도와 대역폭으로는 신속하고 안정적인 처리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브레이크 시스템과 크루즈 컨트롤에 주로 이용되는 플렉스레이(FlexRay)가 제안된 바 있으나, 연결선의 숫자가 늘어나는 문제, 개발비용이 증가하는 문제 등이 있다.
이에, 플렉스레이의 대안으로 차량용 이더넷(Ethernet)이 주목받고 있다. 차량용 이더넷은 커넥티드 카의 무한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대용량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할뿐만 아니라, 차량 인포테이먼트 환경을 비약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용 이더넷은 커넥티드 카, 자율주행차 등의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을 운용하기 위한 필수 조건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의 관리를 위해 순정의 전자제어장치, 컨트롤러, 센서 등이 교체되거나, 또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별도의 써드파티 모듈(여기서, 써드파티 모듈은 공식적으로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업체 이외에 개발자들이 주어진 규격에 맞추어 생산되는 장비를 의미함)이 추가될 수 있다. CAN 기반에서 써드파티 모듈이 장착될 경우에는 ECU를 우회하는 등의 방식으로 차량을 제어(예를 들어, 원격시동)할 수 있다. 그러나, 커넥티드 카, 자율주행차 등이 이더넷 기반으로 이행될 경우, 게이트웨이(Gateway)를 통해 차량 외부 네트워크로부터의 해킹 등을 차단하는 보안 기능이 강화될 것이므로, 써드파티 모듈의 동작이 차단되거나 심지어 동작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41760호, “이더넷 연동 차량 통신 게이트웨이 장치와, 그 장치에서의 메시지 전달 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더넷 기반에서 써드파티 모듈의 추가에 대응하여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의 클론(clone) 등을 통해 써드파티 모듈의 구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라우터에 연결된 RKE 모듈을 이용하여 경보, 원격 시동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써드파티 모듈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은, 바람직하게는 차량 내부 네트워크와 차량 외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라우터; 및 상기 라우터에 연결되어 통신하는 차량 전장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전장요소는 RKE(Remote Keyless Entry) 모듈을 포함하며, 차량에 새롭게 장착되어 상기 차량 전장요소를 제어하는 써드파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써드파티 모듈은 상기 차량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기에 의해 상기 RKE 모듈로 입력되는 신호에 피기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차량 전장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전장요소는 상기 RKE 신호에 응답하여 RKE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RKE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RKE 컨트롤러에 의해 생성된 미리 설정된 RKE 신호들에 기초하여 요청된 피기백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피기백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전장요소는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차량 보안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RKE 컨트롤러에 의해 생성된 미리 설정된 RKE 신호들에 기초하여 무장 모드와 무장 해제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 상기 무장 모드에서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보안 센서에 기초하여 경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량은 엔진 시동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전장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RKE 컨트롤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센서에 의해 생성된 미리 결정된 RKE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 시동 회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피기백 원격 시동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차량 내부 네트워크와 차량 외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라우터; 및 상기 라우터에 연결되어 통신하는 차량 전장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전장요소는 RKE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RKE 수신기와, 상기 RKE 수신기로부터 전달된 신호로부터 RKE 신호를 생성하는 RKE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RKE(Remote Keyless Entry)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RKE 신호에 응답하는 RKE 기능에 응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RKE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차량에 새롭게 장착되어 상기 차량 전장요소를 제어하는 써드파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써드파티 모듈은 상기 차량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기에 의해 상기 RKE 모듈로 입력되는 신호에 피기백하기 위해 상기 라우터에 접속되는 단계; 및 상기 RKE 컨트롤러에 의해 생성된 미리 결정된 RKE 신호에 기초하여 피기백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요청된 피기백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차량 보안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기백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보안 센서에 연결된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요청된 피기백 제어 기능은 적어도 하나의 차량 보안 센서에 기초하여 경보를 생성할 수 있는 무장 모드와 무장 해제 모드 사이에서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를 스위칭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차량은 엔진 시동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피기백 컨트롤러는 엔진 시동 회로에 연결된 피기백 원격 시동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요청된 피기백 제어 기능은 엔진 시동 회로를 활성화시키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이더넷 기반에서 써드파티 모듈의 자유로운 장착 및 교체가 가능하게 되어, 차량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과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가 실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적용 예로서, RKE 시스템 및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회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적용 예로서, RKE 시스템 및 피기백 원격 시동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회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원격 시동 제어 장치의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부분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된 원격 시동 제어 장치의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부분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된 원격 시동 제어 장치의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부분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된 원격 시동 제어 장치의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부분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된 원격 시동 제어 장치의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부분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수단”, “~부”, “~모듈”, “~블록”으로 명명된 구성요소들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들 각각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이 구현된 일 예를 특정한 실시 예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이더넷 기반으로 차량 내부 네트워크와 차량 외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라우터(1)와, 라우터(1)에 연결되어 통신하는 차량 전장요소(2)를 포함하며, 여기에 본 발명에서는 차량에 새롭게 장착되어 차량 전장요소(2)를 제어하는 써드파티 모듈(3)을 포함한다.
한편, 라우터(1)는 차량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기(4)와 통신하는 통신모듈(5)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모듈(5)로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근거리 RF 등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모듈과, GSM/GPRS, UMTS/WEDGE/HSDPA 및 CDMA 등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모듈이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차량 전장요소(2)는 차량이 제조될 때 트림 레벨별로 순정상태로 세팅되는 전자장비부품들로서, 차량을 기본적으로 구성하는 미션, 도어락 등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제어장치(ECU), 컨트롤러, 센서 등을 포함한다.
일례로서, 차량 전장요소(2)로는 RKE(Remote Keyless Entry)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써드파티 모듈(3)로는 피기백(Piggyback) 컨트롤러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즉, RKE 모듈이 기본 장착된 차량에서 RKE 모듈을 활용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별도의 피기백 컨트롤러 모듈을 추가할 수 있다.
물론, 써드파티 모듈(3)로는 RKE 모듈 및 피기백 컨트롤러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즉, RKE 모듈이 기본 장착되지 않은 차량에서 RKE 기능 및 RKE 기능을 활용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RKE 모듈 및 피기백 컨트롤러 모듈을 함께 추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 설명에 있어 동일 구성 및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의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에 대비하여, 차량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기(4)와 통신하는 써드파티 모듈용 통신모듈(6)이 써드파티 모듈(3)에 연결되는 것이 차이점이다. 즉, 상기한 제 1 실시 예에 대비하여, 본 실시 예에서 제시한 라우터(1)에는 통신모듈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차량 전장요소(2)가 RKE 모듈을 포함하거나, 써드파티 모듈(3)이 RKE 모듈 및 피기백 컨트롤러 모듈을 모두 포함할 경우에, 써드파티 모듈용 통신모듈(6)은 RKE 모듈에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에 대비하여, 차량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기(4)와 통신하는 써드파티 모듈용 통신모듈(6)이 써드파티 모듈(3)에 추가적으로 더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실시 예에서 제시한 라우터(1)에 포함된 통신모듈(5)은 차량 운행 중에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고, 써드파티 모듈용 통신모듈(6)은 주차 중에 근거리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라우터(1)에 포함된 통신모듈(5)과 써드파티 모듈용 통신모듈(6)의 이용 방식은 사용자에 의해 임의로 선택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차량 전장요소(2)가 RKE 모듈을 포함하거나, 써드파티 모듈(3)이 RKE 모듈 및 피기백 컨트롤러 모듈을 모두 포함할 경우에, 써드파티 모듈용 통신모듈(6)은 RKE 모듈에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제 1 실시 예 내지 제 3 실시 예에서 제시한 차량 전장요소(2) 및 써드파티 모듈(3)이 라우터(1)에 각각 연결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나, 써드파티 모듈(3)은 차량 전장요소(2)와 라우터(1)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써드파티 모듈(3)에서는 다음의 4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제 1 실시 예 내지 제 3 실시 예에서 제시한 써드파티 모듈(3)은 다음의 4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첫 번째, 써드파티 모듈(3)은 차량 외부 네트워크에서 전송된 패킷에 대응하여 차량 전장요소(2)가 필요로 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차량 전장요소(2)로 전달하고, 이에 차량 전장요소(2)가 해당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두 번째, 써드파티 모듈(3)은 차량 외부 네트워크에서 전송된 패킷에 대응하여 직접 해당 차량 전장요소(2)를 제어할 수 있다.
세 번째, 써드파티 모듈(3)은 입출력되는 패킷을 차량 전장요소(2), 차량 외부 네트워크로 그대로 바이패스할 수 있다.
네 번째, 써드파티 모듈(3)은 차량 전장요소(2)로부터 출력되는 패킷을 무시하고, 해당 패킷을 변조해서 차량 전장요소(2), 차량 외부 네트워크로 전송하거나, 반대로 차량 전장요소(2)로 입력되는 패킷을 삭제하고, 해당 패킷을 변조해서 차량 전장요소(2)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량 전장요소(2)와 라우터(1)간 송수신되는 모든 데이터가 써드파티 모듈(3)을 경유하게 함으로써, 이에 써드파티 모듈(3)에서는 입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써드파티 모듈(3)은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차량에 매칭시켜 변환하거나, 요청신호에 대응하여 차량 전장요소(2)의 맥 어드레스(MAC Adress)를 클론(clone)하여 해당 차량 전장요소(2)를 직접 제어하거나, 입출력되는 신호를 바이패스시키거나, 입출력되는 신호를 오버라이드시킬 수 있다.
한편 일례로서, 상기한 제 1 실시 예 내지 제 3 실시 예에서 차량 전장요소(2)로서 RKE 모듈이 이미 설치되어 있고, 써드파티 모듈(3)로서 피기백 컨트롤러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차량의 트림 레벨에 특정 기능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해당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피기백 컨트롤러를 장착할 수 있다. 피기백 컨트롤러의 장착에 대응하여 피기백 컨트롤러에서는 탐색메시지를 라우터(1)로 브로드캐스트한다. 이 때, 탐색메시지에는 MAC 어드레스 및 특정 기능과 관련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에 라우터(1)에서는 수신된 탐색메시지에 대응하여 IP 주소를 할당하고, IP 제공메시지를 피기백 컨트롤러로 브로드캐스트한다. IP 제공메시지에는 MAC 어드레스, 할당 IP 주소, 라우터 IP 주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라우터(1)에서 MAC 어드레스를 등록하는 과정이 진행되며, 이에 라우터(1)에서는 이미 등록된 MAC 어드레스와의 관계를 설정한 MAC 어드레스 테이블을 기반으로 하여 입출력되는 신호들에 대응한 라우팅을 수행할 것이다.
여기서 일례로서, 피기백 컨트롤러의 특정 기능으로서 원격 시동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차량의 트림 레벨에 따라 다를 수 있으나, 통상 차량은 차량 리모콘 키가 차량 내부에 존재할 경우에만 시동이 가능하다. 이에 피기백 컨트롤러를 장착하게 되면, 차량 리모콘 키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지 않아도 원격 시동이 가능하게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차량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차량 시동 신호가 전송되면, 차량 리모콘 키가 차량 내부에 존재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피기백 컨트롤러는 차량 리모콘 키가 차량 내부에서 인식되었다는 가상신호와, 차량 리모콘 키에 의해 시동버튼이 눌려졌다는 가상신호와, 트랜스미션이 특정 위치(예컨대 Park)에 있다는 가상신호를 임의로 생성하여 차량 전장요소(2)로 알린다. 이에 차량 전장요소(2)에 의한 시동 제어가 이루어질 것이다. 즉, 원격 차량 시동 신호에 대응하여 차량 리모콘 키가 차량 내부에서 인식되었고, 차량 리모콘 키에 의해 시동버튼이 눌려졌다는 신호를 피기백 모듈이 임의로 생성하여 시동과 관련된 차량 전장요소(2)에 알리는 것이다.
이 때, 본 발명에서는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피기백 모듈이 이더넷 상에 패킷(명령 신호)을 송신하면, 차량 내부 네트워크의 다른 차량 전장요소(2)들은 그 패킷을 발송한 것이 등록된 차량 전장요소(2)인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MAC 어드레스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피기백 모듈은 MAC 어드레스를 클론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다른 방식으로 보안을 강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며, 본 실시 예에서는 RKE 모듈이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써드파티 모듈로서 피기백 컨트롤러가 설치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물론, 상기한 바와 같이, RKE 모듈이 새롭게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해 RKE 모듈에서 원격 신호의 수신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적용례로서, 원격 제어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예시된 원격 제어 장치는 이더넷 기반으로 운용되며, 이에 차량 내부 네트워크와 차량 외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라우터(11)가 차량에 기본적으로 설치된다.
이에 라우터(11)에는, 근거리 통신 또는 이동 통신을 통해 RKE 송신기(1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신호에 대응한 제어를 수행하는 RKE 모듈(13)과, 차량 전장요소의 제어를 수행하는 액추에이터군(14)과, 차량 상태를 감지하는 차량 센서(15)과, RKE 송신기(1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피기백 컨트롤러(16)와, 알람 기능을 수행하는 알람 표시기(17)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RKE 송신기(12)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며, RKE 모듈(13)은 RKE 송신기(12)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RKE 수신기(131)와, RKE 수신기(131)로부터 전달된 신호로부터 RKE 신호를 생성하는 RKE 컨트롤러(13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액추에이터군(14)은, 운전자 도어록 모터(141), 동승객 도어록 모터(142), 기타 액추에이터(트렁크, 혼, 라이트 등)(14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RKE 송신기(12)는 차량 점화 키(121)뿐만 아니라 다수의 사용자 누름 버튼 또는 스위치를 형성시킨 하우징(12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우징(122)에는 도어 잠금 버튼(123), 도어 잠금해제 버튼(124) 및 트렁크 해제 버튼(125) 등이 형성되어 있다. 반대측에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차량에서 경적을 울릴 수 있도록 패닉 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RKE 송신기(12)는 차량에서 무선 신호를 RKE 수신기(131)로 전송하기 위한 대체 가능한 배터리 및 관련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어 잠금해제 버튼(124)을 한 번 누르면 운전자 도어 잠금 장치만 열리고, 미리 정해진 시간 내에 도어 잠금해제 버튼(124)을 두 번 누르면 운전자 도어 잠금 장치가 먼저 잠금해제되고 이어서 동승객의 측면 및/또는 후면 도어 잠금 장치가 잠금해제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RKE 수신기(131)는 변경 코드 타입일 수 있다. 변경 코드는 RKE 송신기(12)가 예를 들어 무선 주파수 캐리어상에서 변조된 일련의 비트를 포함하는 신호를 전송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비트는 일반적으로 고정 코드 부분과 변경 코드 부분을 포함한다. 변경 코드 부분은 원격 제어 장치에 추가적인 보안을 제공하여, 임의의 RKE 송신기(12)(무단 송신기)가 RKE 컨트롤러(132)를 활성화시키지 못하도록 한다. 특히, 변경 코드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롤링 코드(rolling code)와 같이 상당히 짧은 반복 코드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롤링 코드는 예를 들어 8개의 전송때마다 반복될 수 있다. 또한, 변경 코드는 수천 또는 수백만 번의 동작 후에만 반복될 수 있는 의사 난수 코드(Pseudo-random code)를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RKE 송신기(12) 및 RKE 수신기(131)은 각각 변경 코드 패턴이 내부적으로 생성되거나 저장되어 있는 각각이 함께 동기화된다.
운전자 도어록(잠금 및 잠금해제) 모터(141)는 차량 후면 도어를 작동시키는 동승객 도어록(잠금 및 잠금해제) 모터(142)와 함께 라우터(11)에 연결된다. 운전자 및 동승객의 도어록 모터(141, 142)는 라우터(11)에 연결될 수 있고, 그들 자신 각각의 트랜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운전자 및 동승객의 도어락 모터(141, 142)는 도시되지 않은 공통 또는 공유 인터페이스 모듈을 게재하여 라우터(11)에 연결될 수 있다. 운전자 및 동승객의 도어록 모터(141, 142)는 RKE 액추에이터를 제공한다. RKE 컨트롤러(132)는 또한 도어록(잠금 또는 잠금해제) 신호가 발생해야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다른 신호에 대해 라우터(11)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KE 컨트롤러(132)는 점화 키(121)가 점화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점검할 수 있다. 게다가, RKE 컨트롤러(132)는 직접 또는 트렁크 분리, 차량 혼 작동을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 및/또는 다양한 내부 또는 외부 차량 조명을 통해 기타 액추에이터(143)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RKE 컨트롤러(132)에 의해 라우터(11)에서 생성된 소정의 RKE 신호에 기초하여 요청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피기백 컨트롤러(16)를 차량에 추가한다. 이에 따라, 피기백 컨트롤러(16)는 RKE 시스템 및 라우터(11)를 포함하는 차량에 하나 이상의 새로운 원격 제어 기능을 간단하게 추가할 수 있게 한다.
일례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는 또한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16)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차량 보안 센서(15)를 포함한다. 이 연결은 하드와이어 입/출력(I/O) 인터페이스(162)를 통하거나, 또는 라우터(11)를 통한 유선 연결일 수 있다. 물론, 전형적인 실시 예에서, 도어, 후드 및 트렁크 스위치와 같은 다수의 센서 입력뿐만 아니라 충격 또는 근접 센서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16)는 라우터(11)를 통하거나, 하드와이어 연결을 통하거나, 또는 이 둘의 조합을 통해 이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경보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알람 표시기(17)는 라우터(11)를 통하거나, 하드와이어 I/O 인터페이스(162)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알람 표시기(17)는 다른 실시 예에서 차량 경적일 수도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들에서, 알람 표시기(17)은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거나 중앙 스테이션에서 모니터링되는 수신기로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무선 송신기일 수 있다.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16)는 라우터 인터페이스(161) 및 하드와이어 I/O 인터페이스(162)에 연결된 중앙 처리 장치(CPU)(163)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수단(164)는 CPU(163)에 연결된다.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수단(164)은 아래에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CPU(163)는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논리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도시된 원격 제어 장치에서, 피기백 컨트롤러(16)는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16)이다. 따라서,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16)에 의해 수행되는 요청된 기능은 적어도 하나의 차량 보안 센서(15)에 기초하여 경보를 생성할 수 있는 무장 모드와 무장 해제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것이다.
물론, 미리 설정된 RKE 신호는 도어 잠금 및 도어 잠금해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운전자의 도어 잠금해제 신호는 무장 해제 모드로 전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16)는 RKE 컨트롤러(132)가 도어 잠금해제 신호를 라우터(11)에 출력할 때마다 무장 해제 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운전자 도어만이 잠금해제 되도록 하는 신호이다. 선택적으로,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16)는 점화 스위치가 꺼지는 것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무장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16)는 라우터(11)에서 점화 스위치 오프 및 도어 잠금 명령을 모두 확인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16)는 수동 무장 기능을 해제하기 위한 수동 무장 특징 및 발레(Valet) 모드를 가질 수 있다. 패시브 암은 예를 들어, 점화 키(121)가 제거되고 마지막 차량 도어가 닫힌 후 미리 설정된 시간에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16)를 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주차 대행 모드에서는 다른 사람이 차량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이 기능을 오프(off)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시간 내에 그리고 점화 스위치가 온(on)된 상태에서 미리 설정된 횟수만큼 발생하는 RKE 도어 잠금 명령의 활성화는 발레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당업자는 소정의 RKE 신호가 도어 잠금 신호, 도어 잠금해제 신호, 트렁크 해제 신호, 광 제어 신호 및 혼 제어 신호 중 적어도 하나 또는 패턴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신호는 트리거 모드에서 해제하거나 활성화 모드로 전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미리 설정된 신호는 차량에서 수행되는 다른 기능과 충돌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원격 제어 장치는, 예를 들어 피기백 원격 시동 컨트롤러(16 ')로 사용되어, 기존 RKE 시스템에 피기백될 수 있는 원격 시동 기능을 포함한다. 원격 제어 장치는 피기백 원격 시동 컨트롤러(16 ')에 연결된 개략적으로 도시된 엔진 시동 회로(18)를 포함하며, 요청된 기능은 엔진 시동 회로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또한 이 실시 예에서는 적절한 차량을 보장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차량 센서(15)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엔진 시동 회로(18)는 단순화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엔진 시동에는 일반적으로 하나 이상의 이모빌라이저 회로(Immobilization circuit)를 바이패스하고 엔진 스타터를 크랭크하고 다양한 차량 매개 변수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포함된다. 모니터링된 차량 파라미터는 브레이크 페달 프리 세어, 엔진 RPM, 기어 셀렉터 위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 센서(15) 및 엔진 시동 회로(18)로의 연결은 라우터(11) 또는 하드와이어(hardwire) 연결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드와이어 및 라우터(11) 연결의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시간 윈도우 내에서 발생하는 RKE 송신기(12)의 도어 잠금해제 버튼(124)을 여러 번 누르면 시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엔진구동을 종료시키는 것은 도어 잠금 버튼(123)을 반복해서 누르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예로서, 차량이 상이한 RKE 신호를 사용하는 경우에,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16) 또는 피기백 원격 시동 컨트롤러(16 ')가 특정 차량과 함께 작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피기백 컨트롤러(16, 16 ')는 상이한 차량에 대한 복수의 RKE 신호 세트로부터 대응하는 요청된 차량에 대한 소정의 RKE 신호에 기초하여 요청된 기능의 수행을 허용하는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수단(164)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수단(164)의 제 1 실시 예가 설명된다. 설명의 간략화를 위해,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수단(164)은 피기백 알람 컨트롤러(16)와 함께 사용되는 것과 관련하여 설명되지만, 피기백 원격 시동 컨트롤러(16 ')에도 적용됨은 당연하다.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수단(164)은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16)가 상이한 차량에 대한 복수의 가능한 신호 세트 중에서 요청된 차량에 대한 요청신호 세트를 사용하여 동작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이한 차량이라는 용어는 상이한 제조사로부터 생산된 차량, 상이한 모델, 또는 심지어 동일한 제조사 및 모델의 상이한 트림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수단(164)은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16), 즉 라우터(11)를 통해 차량 보안 센서(15) 및 알람 표시기(17)와 통신할 수 있도록 하여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16)가 차량 보안 센서(15)에 대응하여 알람 표시기(17)를 작동할 수 있게 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수단(164)은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차량에 대한 복수의 세트(1641a, 1641b 및 1641n)의 신호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641) 및 상이한 차량을 위한 복수의 상이한 세트의 신호로부터 요청신호 세트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세트를 저장한다는 것은 라우터(11)에서 요청신호를 생성하는데 필요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의미한다. 메모리(1641)는 상이한 차량에 대한 상이한 장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복수의 상이한 신호 세트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 어드레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이에 추가하여, 메모리는 상이한 차량에 대한 복수의 상이한 프로토콜을 저장하기 위한 프로토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 수단은 사용자가 요청신호 세트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선택기(1642)를 포함할 수 있다. 키패드 또는 다른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차량에 대한 요청신호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레 스위치는 사용자가 요청신호 세트를 선택하도록 조작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가전 범용 원격 제어를 위한 신호 선택과 유사한 고유 디지털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요청신호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복수의 저장된 세트들로부터 요청신호 세트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다른 기술들도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수단(164 ')의 다른 실시 예가 본 발명에 따라 설명된다. 이 실시 예에서, 선택 수단은 라우터(11)에서의 신호에 기초하여 요청신호 세트를 설정하기 위한 라우터 설정 선택기(164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우터 설정 선택기(1643)는 감지된 전압 레벨 또는 라우터(11)의 신호 펄스의 타이밍에 기초하여 요청신호 세트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수단(164 ')의 다른 구성 요소는 도 6을 참조하여 상기한 것과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이 필요하지 않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수단(164 ")의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수단(164 ")은 도시된 라우터 학습 회로 또는 수단(1644)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요청신호 세트 메모리(1645)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라우터 학습 회로 또는 수단(1644)은 사용자가 다양한 차량 장치를 동작시키고, 그에 기초하여 요청신호 세트를 저장하도록 허용할 수 있다.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수단(164 ")의 다른 구성 요소는 도 6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며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수단(164 '")의 또 다른 실시 예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수단(164 '")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다운로드 학습 수단(1646)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신호 세트 메모리(1645)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원격 또는 중앙 모니터링 및 제어 스테이션(21)으로부터 요청신호 세트의 학습 또는 다운로드를 허용하기 위해 도시된 차량 셀룰러 폰(22)에 연결된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요청신호 세트는 또한 위성(31) 및 차량 장착 위성 수신기(32) 및 관련 안테나에 의해 제공된 위성 링크를 통해 원격 또는 중앙 모니터링 및 제어 스테이션(21)으로부터 교대로 학습될 수 있다. 다운로드 학습 수단(1646) 및 다른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수단은 피기백 원격 시동 컨트롤러(16 ')의 CPU 또는 별도의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회로에서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다운로드 학습 수단(1646)의 프로그래밍, 학습 또는 다운로드의 다른 변형이 설명된다. 이 변형에서, 다운로드 학습 수단(1646)은 도시된 휴대용 랩탑 컴퓨터(41)와 같은 컴퓨터에 일시적으로 연결된다. 연결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한 것일 수 있다. 물론, 이 실시 예에서 요청신호 인에이블링 수단(164 "")은 차량에 또는 차량에 설치하기 전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휴대용 랩탑 컴퓨터(41)는 예를 들어 인터넷 웹 사이트로부터 요청신호 세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도 4 내지 5로 돌아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라우터(11)를 포함하는 유형의 차량에서 RKE 시스템에 요청된 기능을 피기백하기 위한 것이다. RKE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RKE 송신기(12), RKE 수신기(131) 및 RKE 수신기(131)에 연결되어 RKE 신호에 응답하여 라우터(11)에서 RKE 신호를 생성하는 RKE 컨트롤러(132)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피기백 컨트롤러(16, 16 ')를 라우터(11)에 연결하는 단계; 및 피기백 컨트롤러(16, 16 ')를 사용하여 RKE 컨트롤러(132)에 의해 라우터(11)에서 생성된 미리 설정된 RKE 신호에 기초하여 요청된 기능을 수행하여, 요청된 기능이 RKE 시스템에서 피기백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차량 보안 센서(1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피기백 컨트롤러(16)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보안 센서(15)에 연결된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16)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 실시 예에서, 요청된 기능은 적어도 하나의 차량 보안 센서에 기초하여 알람 표시기(17)를 통해 알람을 생성할 수 있는 무장 모드와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16)를 무장 해제 모드로 전환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차량은 엔진 시동 회로(18)를 포함한다. 피기백 컨트롤러(16)는 엔진 시동 회로에 연결된 피기백 원격 시동 컨트롤러(16 ')를 포함한다. 요청된 기능은 엔진 시동 회로(18)를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이상 몇 가지의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 : 라우터
2 : 차량 전장요소
3 : 써드파티 모듈
4 : 원격 제어기
5, 6 : 통신모듈

Claims (10)

  1. 차량 내부 네트워크와 차량 외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라우터; 및
    상기 라우터에 연결되어 통신하는 차량 전장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전장요소는 RKE(Remote Keyless Entry) 모듈을 포함하며,
    차량에 새롭게 장착되어 상기 차량 전장요소를 제어하는 써드파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써드파티 모듈은 상기 라우터에 직접 접속되며,
    상기 써드파티 모듈은 상기 차량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기에 의해 상기 RKE 모듈로 입력되는 신호에 피기백하며,
    원격 제어를 위해 입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써드파티 모듈을 경유하게 하여 상기 써드파티 모듈이 입출력되는 신호 자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써드파티 모듈은,
    상기 입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차량에 매칭시켜 변환하거나,
    상기 차량 전장요소의 맥 어드레스(MAC Adress)를 클론(clone)하여 상기 입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차량 전장요소를 직접 제어하거나,
    상기 입출력되는 신호를 바이패스하거나,
    상기 입출력되는 신호를 오버라이드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KE 모듈은,
    RKE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RKE 수신기; 및
    상기 RKE 수신기로부터 전달된 신호로부터 RKE 신호를 생성하는 RKE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장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전장요소는 상기 RKE 신호에 응답하여 RKE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RKE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며,
    상기 RKE 컨트롤러에 의해 생성된 미리 설정된 RKE 신호들에 기초하여 요청된 피기백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피기백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백 컨트롤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차량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피기백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센서에 기초하여 요청된 피기백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피기백 컨트롤러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차량 센서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보안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피기백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보안 센서에 연결된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요청된 피기백 제어 기능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보안 센서에 기초하여 경보를 생성할 수 있는 무장 모드와 무장 해제 모드 사이에서 상기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를 스위칭하는 것인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전장요소는 차량의 적어도 하나의 차량 보안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RKE 컨트롤러에 의해 생성된 미리 설정된 RKE 신호들에 기초하여 무장 모드와 무장 해제 모드 사이를 전환하는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 상기 무장 모드에서 있을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보안 센서에 기초하여 경보를 생성하는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은 엔진 시동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전장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RKE 컨트롤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센서에 의해 생성된 미리 결정된 RKE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엔진 시동 회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피기백 원격 시동 제어기;를 포함하는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8. 차량 내부 네트워크와 차량 외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라우터; 및
    상기 라우터에 연결되어 통신하는 차량 전장요소;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전장요소는 RKE 송신기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하는 RKE 수신기와, 상기 RKE 수신기로부터 전달된 신호로부터 RKE 신호를 생성하는 RKE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RKE(Remote Keyless Entry)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RKE 신호에 응답하는 RKE 기능에 응답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RKE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며,
    차량에 새롭게 장착되어 상기 차량 전장요소를 제어하는 써드파티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써드파티 모듈은 상기 차량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 제어기에 의해 상기 RKE 모듈로 입력되는 신호에 피기백하기 위해 상기 라우터에 직접 접속되는 단계; 및
    상기 RKE 컨트롤러에 의해 생성된 미리 결정된 RKE 신호에 기초하여 피기백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요청된 피기백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피기백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에서 원격 제어를 위해 입출력되는 신호가 상기 써드파티 모듈을 경유하게 하여 상기 써드파티 모듈이 입출력되는 신호 자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써드파티 모듈은,
    상기 입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차량에 매칭시켜 변환하거나,
    상기 차량 전장요소의 맥 어드레스(MAC Adress)를 클론(clone)하여 상기 입출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해당 차량 전장요소를 직접 제어하거나,
    상기 입출력되는 신호를 바이패스하거나,
    상기 입출력되는 신호를 오버라이드하는 것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하는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차량은 적어도 하나의 차량 보안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피기백 컨트롤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차량 보안 센서에 연결된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요청된 피기백 제어 기능은 적어도 하나의 차량 보안 센서에 기초하여 경보를 생성할 수 있는 무장 모드와 무장 해제 모드 사이에서 피기백 경보 컨트롤러를 스위칭하는 것인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차량은 엔진 시동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피기백 컨트롤러는 엔진 시동 회로에 연결된 피기백 원격 시동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요청된 피기백 제어 기능은 엔진 시동 회로를 활성화시키는 것인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방법.
KR1020200048025A 2020-04-21 2020-04-21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580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025A KR102358035B1 (ko) 2020-04-21 2020-04-21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17/231,010 US11643049B2 (en) 2020-04-21 2021-04-15 Ethernet-based vehicle control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025A KR102358035B1 (ko) 2020-04-21 2020-04-21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9917A KR20210129917A (ko) 2021-10-29
KR102358035B1 true KR102358035B1 (ko) 2022-02-03

Family

ID=78081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025A KR102358035B1 (ko) 2020-04-21 2020-04-21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643049B2 (ko)
KR (1) KR1023580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9087A (en) 1976-11-17 1977-08-02 Sandvick Robert M Sen Pipe laying apparatus
US4098096A (en) 1977-05-25 1978-07-04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High strength, non-metallic coupling
US5612578A (en) 1995-10-31 1997-03-18 Kenneth E. Flick Vehicle engine start control apparatus including interface device facilitating installation and related method
US6297731B1 (en) * 1996-08-22 2001-10-02 Kenneth E. Flick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having keyless entry and piggyback control features and associated methods
US6011460A (en) 1996-08-22 2000-01-04 Flick; Kenneth E. Vehicle security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US6346876B1 (en) 1996-08-22 2002-02-12 Kenneth E. Flick Multi-vehicle compatible control system generating command signals on a data bus and associated methods
US5719551A (en) 1996-08-22 1998-02-17 Flick; Kenneth E. Vehicle security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US6756885B1 (en) 1996-08-22 2004-06-29 Omega Patents, L.L.C. Multi-vehicle compatible control system for reading from a data bus and associated methods
SG184374A1 (en) 2010-04-01 2012-11-29 Tokuyama Corp Photochromic curable composition
KR20140124255A (ko) 2013-04-16 2014-1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더넷 연동 차량 통신 게이트웨이 장치와, 그 장치에서의 메시지 전달 방법
KR102057578B1 (ko) * 2013-07-05 2019-12-1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과 휴대용 단말 간의 연동 기능을 갖는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955396B1 (en) * 2017-01-26 2018-04-24 Cox Communications, Inc. Seamless service transitions in a mobile enviro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43049B2 (en) 2023-05-09
KR20210129917A (ko) 2021-10-29
US20210323504A1 (en)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97731B1 (en) Vehicle remote control system having keyless entry and piggyback control features and associated methods
US6392534B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US9981616B2 (en) Remote function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US5719551A (en) Vehicle security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US6275147B1 (en) Vehicle security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US6249216B1 (en) Vehicle security system including adaptor for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CA2414991C (en) Multi-vehicle compatible control system generating command signals on a data bus and associated methods
US8749346B2 (en) Vehicle security system including pre-warning features for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US6696927B2 (en) Vehicle security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US9527478B2 (en) Remote function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US9919682B2 (en) Remote function device and associated wireless security sensor for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US9656631B1 (en) Remote function control system with wireless databus device and associated wireless security sensor for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CA2951679C (en) Remote function control system with remote function device and associated wireless security sensor for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US6243004B1 (en) Vehicle security system with inductive coupling to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KR20220064600A (ko)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58035B1 (ko)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28320B1 (ko) 이더넷 기반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A2415023C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CA2925135C (en) Remote function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CA2415041C (en) Vehicle alert system for vehicle having a data bus and associated methods
WO2024048328A1 (ja) 車載装置、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CA2320248C (en) Vehicle security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data communications bus and relate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