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8000B1 -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 - Google Patents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8000B1
KR102358000B1 KR1020150138131A KR20150138131A KR102358000B1 KR 102358000 B1 KR102358000 B1 KR 102358000B1 KR 1020150138131 A KR1020150138131 A KR 1020150138131A KR 20150138131 A KR20150138131 A KR 20150138131A KR 102358000 B1 KR102358000 B1 KR 102358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ion
rollers
guide
fixed shaft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031A (ko
Inventor
임영인
최상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8000B1/ko
Priority to CN201610204883.7A priority patent/CN106555797B/zh
Publication of KR20170039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8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8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32B37/0053Constructional details of laminating machines comprising rollers;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rol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1/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 F16B11/006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by glu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션 장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양단들에 각각 결합된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 각각이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복수 개의 롤러들, 상기 복수 개의 롤러들을 감싸며, 상기 고정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라미네이션 벨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LAM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THE LAMINATION}
본 발명은 라미네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윈도우 및 전자패널을 부착시키는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패널을 윈도우에 부착하는 경우, 패드를 이용하여 전자패널을 윈도우에 부착하는 라미네이션 방식 또는 롤러를 이용하여 전자패널을 윈도우에 부착하는 라미네이션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 들어, 표시장치의 디자인이 다양하게 요구됨에 따라 새로운 디자인에 기반한 표시장치의 개발이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그 중, 곡률을 가진 윈도우에 전자패널을 부착하는 라미네이션(lamination)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롤러를 이용하여 전자패널을 윈도우에 부착하는 방식은 윈도우의 곡률 부분에 전자패널을 정확히 밀착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반해, 패드를 이용한 라미네이션 방식은 롤러 방식에 비해 설비 비용이 비싼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롤링 방식을 통해 윈도우에 전자패널을 부착할 수 있는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션 장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양단들에 각각 결합된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 각각이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복수 개의 롤러들, 상기 복수 개의 롤러들을 감싸며, 상기 고정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라미네이션 벨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축은 몸체부분과 상기 몸체부분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1 측면부분 및 제2 측면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분은 상기 제1 측면부분보다 두껍고, 상기 몸체부분의 두께는 일정하고, 상기 제1 측면부분의 두께는 상기 몸체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주면은, 상기 몸체부분을 정의하는 제1 면과 제2 면, 상기 제1 측면부분을 정의하며,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연장된 제3 면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연장된 제4 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주면은,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을 연결하는 제5 면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주면은, 상기 제1 측면부분과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대칭된 상기 제2 측면부분을 정의하며,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연장된 제6 면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연장된 제7 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주면은, 상기 제6 면과 상기 제7 면을 연결하는 제8 면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롤러들은 적어도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롤러들은,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배치된 제1 그룹의 롤러들,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에 배치된 제2 그룹의 롤러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주면은, 상기 몸체부분을 정의하는 제1 면과 제2 면, 상기 제1 측면부분을 정의하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제1 곡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주면은, 상기 제1 측면부분과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대칭된 상기 제2 측면부분을 정의하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제2 곡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축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타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롤러들은 상기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 개의 롤러들 각각은, 상기 라미네이션 벨트와 접촉하는 롤러부, 상기 롤러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가이드에 결합되는 제1 회전축, 상기 롤러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가이드에 결합되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제1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1 결합 홈이 정의된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축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1 고정 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축은 상기 제1 고정 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 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라미네이션 벨트는 우레탄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션 방법은,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라운드 엣지부와 평면부를 갖는 윈도우 상에 전자패널을 배치하는 단계, 라미네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패널을 상기 윈도우 상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미네이션 장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양단들에 각각 결합된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 각각이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복수 개의 롤러들, 상기 복수 개의 롤러들을 감싸며, 상기 고정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라미네이션 벨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축은 몸체부분과 상기 몸체부분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1 측면부분 및 제2 측면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분은 상기 제1 측면부분보다 두껍고, 상기 몸체부분의 두께는 일정하고, 상기 제1 측면부분의 두께는 상기 몸체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외주면은, 상기 몸체부분을 정의하는 제1 면과 제2 면, 상기 제1 측면부분을 정의하며,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연장된 제3 면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연장된 제4 면,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을 연결하는 제5 면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패널은 터치패널 및 표시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롤링 방식에 따라 윈도우에 전자패널이 부착됨에 따라, 라미네이션 동작 시에 필요한 전반적인 설비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윈도우 및 전자패널 간의 라미네이션 동작을 보여주는 일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션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롤러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10에 도시된 II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션 장치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 개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 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적용된 예로,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하였다. 예시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태블릿 PC,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게임기, 손목 시계형 전자 기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텔레비전 또는 외부 광고판과 같은 대형 전자 장비를 비롯하여,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이게이션 유닛, 카메라와 같은 중소형 전자 장비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것들은 단지 실시 예로 제시된 것들로, 본 발명의 개념에서 벗어나지 않은 이상 다른 전자 기기에도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장치(DD)는 표시면 상에서 구분되는 복수 개의 영역들을 포함한다. 표시장치(DD)는 영상(IM)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 표시 영역(DA)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일 예로, 표시 영역(DA)은 사각 형상일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싼다.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장치(DD)는 부분적으로 굴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표시장치(DD)는 평탄부(FA)와 평탄부(FA)에 연결되어 굴곡된 굴곡부(BA1, BA2)를 포함할 수 있다.
평탄부(FA)는 제1 방향(DR1)과 제2 방향(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하고, 평탄부(FA)의 법선 방향은 제3 방향(DR3)이 지시한다. 제3 방향(DR3)은 각 부재들의 전면과 배면을 구분하는 기준 방향이다. 그러나, 상기 방향들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굴곡부(BA1, BA2)는 제1 굴곡부(BA1) 및 제2 굴곡부(B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굴곡부(BA1) 및 제2 굴곡부(BA2)는 제1 방향(DR1)으로 평탄부(FA)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굴곡부(BA1) 및 제2 굴곡부(BA2)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도 1에서 제1 굴곡부(BA1) 및 제2 굴곡부(BA2)는 제2 방향(DR2)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한편, 도 1에서, 제1 및 제2 굴곡부들(BA1, BA2)은 2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표시장치(DD)는 제1 굴곡부(BA1) 및 제2 굴곡부(BA2) 중 어느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DD)는 윈도우(100), 터치패널(200), 표시패널(300), 및 후면 케이스(400)를 포함한다.
윈도우(100) 및 전자패널 각각은 부분적으로 굴곡된 형상을 갖는 플렉서블(Flexible)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전자패널은 터치패널(200) 및 표시패널(3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즉, 윈도우(100) 및 전자패널 각각은 평탄부와 굴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100) 및 전자패널 각각의 평탄부는 표시장치(DD)의 평탄부(FA)에 대응되고, 윈도우(100) 및 전자패널 각각의 굴곡부는 표시장치(DD)의 굴곡부(BA1, BA2)에 대응될 수 있다.
윈도우(100)는 전자패널이 제공하는 영상(IM)을 투과시키는 표시 영역(100-DA)과 표시 영역(100-DA)에 인접한 비표시 영역(100-NDA)을 포함한다. 윈도우(100)는 전자패널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윈도우는 유리, 사파이어,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된 커버 윈도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패널은 표시 영역(300-DA) 및 비표시 영역(300-ND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300-DA)은 영상(IM)을 표시하는 영역이고, 윈도우(100)의 표시 영역(100-DA)에 대응한다. 비표시 영역(300-NDA)은 표시 영역(300-DA)에 인접하고, 윈도우(100)의 비표시 영역(100-NDA)에 대응한다.
자세하게, 전자패널은 외부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패널(200) 및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패널(300)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패널(200)은 윈도우(100)와 표시패널(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패널(200)은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또는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지점의 좌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 예에 따라 터치패널(200)은 표시패널(30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패널(300)은 터치패널(20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표시패널(300)은 유기 발광 표시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panel)일 수 있다.
표시패널(300)은 기판(310), 유기 발광 소자(미도시), 및 봉지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소자는 기판(310) 상에 배치된다. 봉지층(320)은 기판(310) 상에 배치되고, 유기 발광 소자를 외부로부터 밀봉한다.
유기 발광 소자는 제1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1 전극은 애노드 전극 또는 양극일 수 있다. 제2 전극은 음극 또는 캐소드 전극일 수 있다. 제1 전극은 정공을 생성하고, 제2 전극은 전자를 생성한다. 제1 전극 및 제2 전극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가 유기 발광층 내부로 주입된다. 유기 발광층 내부에서는 정공과 전자가 결합된 엑시톤(exiton)이 형성되며 엑시톤이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지면서 광을 방출한다.
표시패널(300)은 영상(IM)을 표시하는 표시면과 표시면에 대향하는 배면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 표시면은 봉지층(320)의 상면이고, 배면은 기판(310)의 하면으로 정의된다.
후면 케이스(400)는 터치패널(200) 및 표시패널(300)을 수납하도록 윈도우(100)와 결합된다. 후면 케이스(400)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후면 케이스(400)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윈도우 및 전자패널 간의 라미네이션 동작을 보여주는 일 예이다.
도 3 내지 도 5를 통해서는, 터치패널(200)이 접착층(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이하: OCA)을 통해 윈도우(100)에 부착되는 방식이 도시된다. 마찬가지로, 표시패널(300)이 윈도우(100)에 부착되는 방식은 터치패널(200)이 윈도우(100)에 부착되는 동작과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300)이 윈도우(100)에 부착되는 방식은 설명은 생략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후면 케이스(400)의 설명은 생략된다.
실시 예에 따르면, 터치패널(200)은 접착층(OCA)을 통해 윈도우(100)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층(OCA)은 접착 필름으로 터치패널(200)에 상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접착층(OCA)은 터치패널(200)이 윈도우(100)에 부착되기 위한 수단으로, 터치패널(200) 및 윈도우(100)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접착층(OCA)은 터치패널(200) 상면에 배치되어, 윈도우(100) 상에 접착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윈도우(100) 및 터치패널(200)은 제1 굴곡부(BA1), 제2 굴곡부(BA2), 및 평탄부(FA)에 기반한 플렉서블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윈도우(100) 및 터치패널(200)은 제1 굴곡부(BA1) 및 제2 굴곡부(BA2)에서 일정 곡률을 갖는 라운드 엣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윈도우(100) 및 터치패널(200)은 평탄부(FA)에서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윈도우(100) 상에 터치패널(200)이 부착되는 롤링 동작이 도시된다. 이하에서, 롤링 동작은 라미네이션 장치(500, 도6 참조)가 윈도우(100) 상에 터치패널(200)을 부착시키는 동작으로 정의된다.
윈도우(100)는 제1 굴곡부(BA1), 제2 굴곡부(BA2), 및 평탄부(FA)를 갖도록 제공된다. 이 경우, 윈도우(100)는 윈도우 지그(Window JIG)에 의해 라운드 엣지 형상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다. 여기서, 윈도우 지그는 윈도우(100)의 형상을 성형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터치패널(200)은 윈도우(100) 하부에 배치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한편, 터치패널(200)이 윈도우(100)에 부착되기 전에, 터치패널(200)은 일차적으로 클램프(Clamp) 등에 의해 휘어질 수 있다. 이 후, 터치패널(200)은 제3 방향(DR3)을 따라 윈도우(1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터치패널(200)이 클램프에 의해 일차적으로 휘어지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터치패널(200)이 휘어지는 동작은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 5에 따르면, 예시적으로, 터치패널(200)이 접착층(OCA)을 통해 윈도우(100) 상에 부착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패널(200)의 전면이 윈도우(100) 상에 부착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
일 예로서, 제1 굴곡부(BA1)에서, 터치패널(200)이 제1 접촉 영역(Q1)을 통해 윈도우(100) 상에 접촉된 반면, 터치패널(200)이 제1 비접촉 영역(Q1’)을 통해 윈도우(100) 상에 비접촉될 수 있다.
일 예로서, 평탄부(FA)에서, 터치패널(200)이 제2 접촉 영역(Q2)을 통해 윈도우(100) 상에 접촉된 반면, 터치패널(200)이 제2 비접촉 영역(Q2’)을 통해 윈도우(100) 상에 비접촉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굴곡부(BA2)에서, 터치패널(200)이 제3 접촉 영역(Q3)을 통해 윈도우(100) 상에 접촉된 반면, 터치패널(200)이 제3 비접촉 영역(Q3’)을 통해 윈도우(100) 상에 비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터치패널(200)의 전면이 윈도우(100) 상에 부착되기 위한 별도의 롤링 동작이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기존 롤링 방식의 경우, 윈도우(100)가 제1 굴곡부(BA1) 및 제2 굴곡부(BA2)에서 일정 곡률을 가지며 휘어짐에 따라, 롤러가 윈도우(100)의 제1 굴곡부(BA1) 및 제2 굴곡부(BA2)에서 완전히 접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 결과, 터치패널(200)이 윈도우(100)의 제1 굴곡부(BA1) 및 제2 굴곡부(BA2)에서 완전히 부착되지 못한 부분이 발생된다. 여기서, 롤러는 터치패널(200)을 가압하는 수단으로 정의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굴곡부(BA1), 제2 굴곡부(BA2), 및 평면부(FA) 각각에서, 터치패널(200)이 윈도우(100) 상에 완전히 부착되기 위한 롤링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이하에서, 롤링 동작은 라미네이션 장치(500, 도6 참조)가 터치패널(200)을 가압함에 따라, 터치패널(200)이 접착층(OCA)을 통해 윈도우(100) 상에 부착되는 동작으로 정의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션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롤러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라미네이션 장치(500)는 외부 작용에 의해, 제1 방향(DR1)을 따라 롤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라미네이션 장치(500)는 제1 방향(DR1) 따라 터치패널(200)을 가압함으로써, 터치패널(200) 상단에 배치된 접착층(OCA, 도5 참조)이 윈도우(100) 상에 접촉될 수 있다. 그 결과, 터치패널(200)이 윈도우(10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7a를 참조하면, 라미네이션 장치(500)는 고정축(510), 복수 개의 롤러들(R), 라미네이션 벨트(520), 및 제1 및 제2 가이드들(530, 54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축(510)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2 방향(DR2)에 따른 고정축(510)의 양단들 중 일단은 제1 가이드(530)와 결합되기 위한 제1 결합 홈(C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에 따른 고정축(510)의 양단들 중 타단은 제2 가이드(540)와 결합되기 위한 제2 결합 홈(C2, 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축(510)은 강성 재질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알루미늄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롤러들(R)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며, 고정축(510)의 외주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롤러들(R)은 제1 및 제2 가이드들(530, 540)과 결합되기 위해, 제2 방향(DR2)에서 고정축(510)보다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복수 개의 롤러들(R) 각각은 고정축(510)의 외주면에 접촉된 롤러부(Ra) 및 롤러부(Ra) 양단들 각각에 연결된 회전축(R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회전축(Rb)은 롤러부(Ra)의 일단에 연결된 제1 회전축 및 타단에 연결된 제2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축의 일단은 롤러부(Ra)의 일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제1 가이드(53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회전축의 일단은 롤러부(Ra)의 타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제2 가이드(540)에 결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회전축(Rb)의 크기는 롤러부(Ra)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축(510)은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 개의 롤러들(R) 수에 대응하는 레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롤러들(R)은 레일들 상에 배치되어, 고정축(510)의 이동 여부에 따라 레일 상에서 자전/회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고정축(510)에 포함된 레일들은 복수 개의 롤러들(R)이 자전하기 위한 요철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 결과, 레일들의 요철들에 기반하여, 복수 개의 롤러들(R)이 자전될 수 있다. 이외에도, 복수 개의 롤러들(R)이 고정축(510)에 결합되는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라미네이션 벨트(520)는 복수 개의 롤러들(R)을 감싸며, 고정축(510)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롤러들(R)이 자전됨에 따라, 라미네이션 벨트(520)는 제1 방향(DR1)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그 결과, 라미네이션 벨트(520)는 터치패널(200) 상부를 제1 방향(DR1)을 따라 가압할 수 있다.
제1 가이드(530)는 복수 개의 제1 홀들(H1)을 포함하는 제1 플레이트(G1a) 및 제1 고정 돌기(G1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G1a)는 복수 개의 제1 홀들(H1)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롤러들(R)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플레이트(G1a)으로부터 연장된 제1 고정 돌기(G1b)는 고정축(510)의 제1 결합 홈(C1)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고정 돌기(G1b)가 제1 결합 홈(C1)에 삽입됨에 따라, 제1 가이드(530)가 고정축(510)과 결합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G2a)는 복수 개의 제2 홀들(H2)을 포함하며, 복수 개의 롤러들(R)의 일단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G2a)으로부터 연장된 제2 고정 돌기(G2b)는 고정축(510)의 제2 결합 홈(C2)과 결합될 수 있다. 즉, 제2 고정 돌기(G2b)가 제2 결합 홈(C2)에 삽입됨에 따라, 제2 가이드(540)가 고정축(510)과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고정축(510)은 몸체부분(BB), 제1 측면부분(BB1), 및 제2 측면부분(BB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부분(BB1) 및 제2 측면부분(BB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몸체부분(BB)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롤러들(R)은 고정축(5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몸체부분(BB)은 제1 측면부분(BB1) 및 제2 측면부분(BB2) 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이 경우, 몸체부분(BB)의 두께는 일정할 수 있으며, 제1 측면부분(BB1) 및 제2 측면부분(BB2)의 두께는 몸체부분(BB)을 기준으로 제1 방향(DR1)을 따라 멀어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여기서, 두께는 제3 방향(DR3)에서 정의되는 몸체부분(BB)의 두 면들 사이의 길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몸체부분(BB)의 두께는 제3 방향(DR3)에 따른 제1 길이(L1)로 정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측면부분들(BB1, BB2)의 두께는 제3 방향(DR3)에 따른 제2 길이(L2)로 정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축(510)은 팔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정축(510)은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8을 통해서는 고정축(510)이 팔육면체 형상을 갖는 것으로 설명된다.
자세하게, 몸체부분(BB)에서, 고정축(510)의 외주면은 제1 면(510a) 및 제2 면(510b)을 포함한다. 제1 면(510a) 및 제2 면(510b)은 제3 방향(DR3)에 따라, 제1 길이(L1)를 두고 서로 이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측면부분(BB1)에서, 고정축(510)의 외주면은 제1 면(510a)으로부터 연장된 제3 면(510c) 및 제2 면(510b)으로부터 연장된 제4 면(510d)을 포함한다. 또한, 고정축(510)의 외주면은 제3 면(510c) 및 제4 면(510d)을 연결하는 제5 면(510e)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5 면(510e)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5 면(510e)은 제1 측면부분(BB1)의 가장 적은 두께 지점에서 제3 면(510c) 및 제4 면(510d)을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2 측면부분(BB2)은 몸체부분(BB)을 중심으로 제1 방향(DR1)을 따라 제1 측면부분(BB1)과 대칭될 수 있다.
제2 측면부분(BB2)에서, 고정축(510)의 외주면은 제1 면(510a)으로부터 연장된 제6 면(510f) 및 제2 면(510b)으로부터 연장된 제7 면(510g)을 포함한다. 또한, 고정축(510)의 외주면은 제6 면(510f) 및 제7 면(510g)을 연결하는 제8 면(510h)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제8 면(510h)은 제3 방향(DR3)과 평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8 면(510h)은 제2 측면부분(BB2)의 가장 적은 두께 지점에서 제6 면(510f) 및 제7 면(510g)을 연결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롤러들(R)은 고정축(5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복수 개의 롤러들은(R)은 제1 그룹 롤러들(R1), 제2 그룹 롤러들(R2), 및 제3 그룹 롤러들(R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그룹 롤러들(R1)은 적어도 제1 면(510a) 및 제2 면(510b)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그룹 롤러들(R1)은 제1 면(510a)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면(510b)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8에서는 제1 면(510a) 및 제2 면(510b) 각각에 3 개의 롤러들이 배치된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 그룹 롤러들(R2)은 적어도 제3 면(510c) 및 제2 면(510b)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그룹 롤러들(R2)은 제3 면(510c)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제4 면(510d)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제3 면(510c) 및 제4 면(510d) 각각에 2 개의 롤러들이 배치된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5 면(510e)에는 제2 그룹 롤러들(R2)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제3 그룹 롤러들(R3)은 적어도 제6 면(510f) 및 제7 면(510g)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그룹 롤러들(R3)은 제6 면(510f)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제7 면(510g)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서는 제6 면(510f) 및 제7 면(510g) 각각에 2 개의 롤러들이 배치된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8 면(510h)에는 제3 그룹 롤러들(R3)이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라미네이션 벨트(520)는 복수 개의 롤러들(R)을 감싸는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션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라미네이션 장치(500)는 터치패널(200)을 가압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패널(200)이 라미네이션 장치(500)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접착층(OCA)을 사이에 두고 터치패널(200)과 윈도우(100)가 서로 부착될 수 있다.
자세하게, 평탄부(FA)에서, 라미네이션 장치(500)는 터치패널(200)이 윈도우(100)에 부착되도록 제1 방향(DR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라미네이션 장치(500)는 외부 전동기 등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롤러들(R)이 자전됨에 따라, 라미네이션 벨트(520)가 제1 방향(DR1)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그 결과, 터치패널(200)은 라미네이션 벨트(520)에 의해 제3 방향(DR3)으로 가압됨에 따라, 터치패널(200)에 부착된 접착층(OCA)이 윈도우(100) 상에 접착될 수 있다.
특히, 제1 굴곡부(BA1)에서, 라미네이션 장치(500)는 제1 방향(DR1)에서 제3 방향(DR3)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이동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미네이션 장치(500)는 평탄부(FA)에서 제1 방향(DR1)을 따라 이동되며, 제1 굴곡부(BA1)에서 제1 방향(DR1)에서 제3 방향(DR3)으로 소정 각도를 가지며 터치패널(200)을 가압할 수 있다.
특히, 제1 굴곡부(BA1)에서 라미네이션 장치(500)는 제1 측면부분(BB1)에 감싸진 라미네이션 벨트(520)에 기반하여 터치패널(200)을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일정 곡률을 갖는 제1 굴곡부(BA1)에서, 터치패널(200)이 접착층(OCA)에 의해 윈도우(100)에 완전히 부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라미네이션 장치(500)는 제2 굴곡부(BA2)에서도 제1 굴곡부(BA1)에서와 같이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9에 도시된 II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라미네이션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라미네이션 장치(500)와 비교하여, 복수 개의 롤러들(R) 및 고정축(510)의 구성이 다를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고정축(510)은 몸체부분(BB), 제1 측면부분(BB1), 및 제2 측면부분(BB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부분(BB1) 및 제2 측면부분(BB2)은 제1 방향(DR1)을 따라 몸체부분(BB)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롤러들(R)은 고정축(5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롤러들(R)은 고정축(510)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복수 개의 롤러들은(R)은 적어도 제1 면(510a) 및 제2 면(510b)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롤러들은(R)은 제1 면(510a)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면(510b)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8에서는 제1 면(510a) 및 제2 면(510b) 각각에 3 개의 롤러들이 배치된 것으로 설명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복수 개의 롤러들(R)은 고정축(510)의 몸체부분(BB), 제1 및 제2 측면부분들(BB1, BB2) 각각에 배치된다. 이에 반해, 도 11에 도시된 복수 개의 롤러들(R)은 제1 면(510a) 및 제2 면(510b)에만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복수 개의 롤러들(R)은 제1 및 제2 측면부분들(BB1, BB2)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측면부분(BB1)에서, 고정축(510)의 외주면은 제1 면(510a)과 제2 면(510b)을 연결하는 제1 곡면(510_g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측면부분(BB2)에서, 고정축(510)의 외주면은 제1 면(510a)과 제2 면(510b)을 연결하는 제2 곡면(510_g2)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도 11에 도시된 라미네이션 장치(530)는 제1 측면부분(BB1) 및 제2 측면부분(BB2)에서의 외주면이 하나의 곡면 형상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라미네이션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라미네이션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라미네이션 장치와 비교하여 고정축(510) 및 복수 개의 롤러들(R)의 구성이 다를 뿐, 나머지 구성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나머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축(510)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타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고정축(510)은 도 6에 도시된 고정축(510)과 마찬가지로, 제2 방향(DR2)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롤러들(R)은 고정축(510)의 외주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미네이션 장치는 롤링 동작을 통해 터치패널 또는 표시패널을 윈도우 상에 부착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라미네이션 장치는 롤링 동작을 통해 필름(Film) 등의 다양한 구성을 윈도우 상에 부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윈도우
200: 터치패널
300: 표시패널
400: 후면 케이스
500: 라미네이션 장치
510: 고정축
520: 라미네이션 벨트
530: 제1 가이드
540: 제2 가이드

Claims (20)

  1.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양단들에 각각 결합된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
    각각이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복수 개의 롤러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롤러들을 감싸며, 상기 고정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라미네이션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은 몸체부분과 상기 몸체부분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1 측면부분 및 제2 측면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분은 상기 제1 측면부분보다 두껍고, 상기 몸체부분의 두께는 일정하고, 상기 제1 측면부분의 두께는 상기 몸체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은,
    상기 몸체부분을 정의하는 제1 면과 제2 면; 및
    상기 제1 측면부분을 정의하며,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연장된 제3 면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연장된 제4 면을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은,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을 연결하는 제5 면을 더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은, 상기 제1 측면부분과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대칭된 상기 제2 측면부분을 정의하며,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연장된 제6 면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연장된 제7 면을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은, 상기 제6 면과 상기 제7 면을 연결하는 제8 면을 더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롤러들은 적어도 상기 제1 면 및 제2 면에 배치되는 라미네이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롤러들은,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에 배치된 제1 그룹의 롤러들; 및
    상기 제3 면 및 상기 제4 면에 배치된 제2 그룹의 롤러들을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은,
    상기 몸체부분을 정의하는 제1 면과 제2 면; 및
    상기 제1 측면부분을 정의하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제1 곡면을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은,
    상기 제1 측면부분과 상기 고정축을 중심으로 대칭된 상기 제2 측면부분을 정의하며,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제2 곡면을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은 타원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롤러들은 상기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라미네이션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롤러들 각각은,
    상기 라미네이션 벨트와 접촉하는 롤러부; 및
    상기 롤러부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가이드에 결합되는 제1 회전축; 및
    상기 롤러부의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제2 가이드에 결합되는 제2 회전축을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는, 상기 제1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1 결합 홈이 정의된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고정축의 일단과 결합되는 제1 고정 돌기를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상기 제1 고정 돌기가 삽입되기 위한 결합 홈을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미네이션 벨트는 우레탄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션 장치.
  17. 접착층을 사이에 두고 라운드 엣지부와 평면부를 갖는 윈도우 상에 전자패널을 배치하는 단계; 및
    라미네이션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전자패널을 상기 윈도우 상에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라미네이션 장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양단들에 각각 결합된 제1 가이드 및 제2 가이드;
    각각이 상기 제1 가이드 및 상기 제2 가이드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접촉하는 복수 개의 롤러들; 및
    상기 복수 개의 롤러들을 감싸며, 상기 고정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라미네이션 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축은 몸체부분과 상기 몸체부분의 양측으로 각각 연장된 제1 측면부분 및 제2 측면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분은 상기 제1 측면부분보다 두껍고, 상기 몸체부분의 두께는 일정하고, 상기 제1 측면부분의 두께는 상기 몸체부분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션 방법.
  18. 삭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외주면은,
    상기 몸체부분을 정의하는 제1 면과 제2 면;
    상기 제1 측면부분을 정의하며,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연장된 제3 면 및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연장된 제4 면; 및
    상기 제3 면과 상기 제4 면을 연결하는 제5 면을 더 포함하는 라미네이션 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패널은 터치패널 및 표시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미네이션 방법.


KR1020150138131A 2015-09-30 2015-09-30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 KR102358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131A KR102358000B1 (ko) 2015-09-30 2015-09-30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
CN201610204883.7A CN106555797B (zh) 2015-09-30 2016-04-05 层压装置及层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131A KR102358000B1 (ko) 2015-09-30 2015-09-30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031A KR20170039031A (ko) 2017-04-10
KR102358000B1 true KR102358000B1 (ko) 2022-02-04

Family

ID=5841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131A KR102358000B1 (ko) 2015-09-30 2015-09-30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8000B1 (ko)
CN (1) CN106555797B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3027A (ja) * 1998-09-29 2000-04-11 Dainippon Printing Co Ltd ラミネート装置及びラミネート方法
US6874555B1 (en) * 2004-04-14 2005-04-05 Tex Year Industries Inc. Transmission device of laminating machine
CN1302920C (zh) * 2004-08-10 2007-03-07 富士普拉株式会社 层压机
CN201390009Y (zh) * 2009-04-08 2010-01-27 张华荣 一种贴合机滚轴
US8960415B2 (en) * 2010-06-15 2015-02-24 Xyron, Inc. Master processing apparatus with adjustably spaced pressure rollers
KR101184042B1 (ko) * 2010-12-28 2012-09-18 (주)범용테크놀러지 라미네이팅 히팅롤러
KR20130091384A (ko) * 2012-02-08 2013-08-19 주식회사 주안 가열과 냉각 기능을 갖는 라미네이터 가압 롤러
BE1020606A3 (nl) * 2012-04-11 2014-01-07 Cnh Belgium Nv Ronde balenpers met riemgeheel en werkwijze voor het fabriceren van een rol voor een riemgeheel.
WO2014132453A1 (ja) * 2013-03-01 2014-09-04 株式会社増田製作所 機能性ロールの製造方法
KR101594477B1 (ko) * 2014-02-25 2016-02-16 주식회사 아바코 필름 부착 장치 및 방법
US20150246514A1 (en) * 2014-02-28 2015-09-03 Idem, Llc Apparatus for the alignment and application of a protective film to a device, and related methods
KR102223675B1 (ko) * 2014-03-17 2021-03-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555797B (zh) 2020-03-13
KR20170039031A (ko) 2017-04-10
CN106555797A (zh) 2017-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7882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robust flexible displays
US10248165B2 (en) Foldable plate and foldable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KR102476296B1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9778772B2 (en) Bendable device with display in movable connection with body
US10168740B2 (en) Flexible window substrat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10983562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0923669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 bending area and a panel-sheet coupling layer
US9864409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494763B1 (ko) 합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합착 방법
KR102343289B1 (ko) 라미네이션 장치
KR20170026908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KR20150039292A (ko) 모바일 기기용 화면 보호판
US20170054105A1 (en) Bendable device with a window top layer
US20150173172A1 (en) Display device
CN111562853B (zh) 显示装置
CN114902317A (zh) 可折叠显示装置
US20150220120A1 (en) Display device having a touch panel
CN117153047A (zh) 用于显示器的基板
KR20190069662A (ko) 표시장치
CN111435674A (zh) 保护膜、制造保护膜的方法以及制造使用保护膜的显示设备的方法
KR102358000B1 (ko) 라미네이션 장치 및 라미네이션 방법
US11435520B1 (en) Electronic devices with damage-resistant display cover layers
CN114842747B (zh) 柔性盖板、柔性显示屏以及电子设备
US11968854B2 (en) Folding display device including detachable protective film
US20150338944A1 (en) Apparatus and method wherein the apparatus comprises a flexible display and a flexible touch sensitive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