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388B1 -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 - Google Patents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57388B1 KR102357388B1 KR1020200034527A KR20200034527A KR102357388B1 KR 102357388 B1 KR102357388 B1 KR 102357388B1 KR 1020200034527 A KR1020200034527 A KR 1020200034527A KR 20200034527 A KR20200034527 A KR 20200034527A KR 102357388 B1 KR102357388 B1 KR 1023573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jewelry
- fragrance
- wood
- body part
- lo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2—Jewellery dispersing perfume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A44C25/001—Pendants
-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7/00—Making jewellery or other personal adornments
- A44C27/001—Materials for manufacturing jeweller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34—Organic impregnating ag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8—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specially shaped wood laths or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쥬얼리의 부피나 무게를 증가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쥬얼리 디자인의 제약 없이 원하는 형태로 쥬얼리를 제작하면서도 원하는 향기를 발산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선택한 다양한 향의 향기 오일을 최소한의 양으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흡수시켜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은은한 향이 나도록 배출시킬 수 있으며, 향기 오일이나 향수에 피부 트러블이 있는 사용자도 피부 트러블 걱정 없이 쥬얼리를 착용하는 것만으로 향기 오일이나 향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원목이 가지고 있는 나이테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적용되는 쥬얼리 각 제품마다 하나 밖에 없는 유니크한 디자인을 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가 개시된다. 상기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는 절단면에 나이테와 물관이 노출되도록 판 형태로 절단한 후 쥬얼리에 적용할 형상으로 가공되는 원목 본체부 및, 상기 원목 본체부의 절단면에 뿌려져 상기 절단면에 노출된 물관을 통해 상기 원목 본체부에 흡수됨으로써 상기 원목 본체부로부터 소정시간 동안 향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향기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귀걸이, 목걸이, 팔찌 등과 같은 쥬얼리 제작 시 사용할 수 있는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인과의 대화나 접촉 시 불쾌함을 줄여주거나 좋은 향을 풍겨 매력을 발산시키기 위하여 향수를 사용하며, 상기 향수의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귀 뒤쪽 피부나 손목 안쪽 피부에 뿌려 사용하나, 상기와 같이 피부에 뿌린 향수는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향기가 모두 발산되어 효력이 발생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여성들의 경우에는 장시간 지속적으로 향기의 발산 효과를 갖는 향수를 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한편, 여성들의 경우 아름다움을 표출하거나 개성을 표출하기 위하여 귀걸이, 목걸이, 반지, 팔찌 등과 같은 쥬얼리를 착용하며, 최근 들어서는 단순치장이나 표출용만이 아닌 기능적인 요소까지 구비할 수 있도록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장시간 지속적으로 향기를 발산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향수 흡수제나 인체에 무해한 실리콘으로 제작된 향수 팩이 내장된 귀걸이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일반적인 향기를 발산하는 귀걸이의 경우에는 귀걸이에 많은 양의 향수가 흡수되어 있거나 향수가 담겨져 있는 향수 흡수제나 향수 팩이 실장되어야 함으로써 귀걸이의 디자인이 투박할 뿐만 아니라 상기 향수 흡수제나 향수 팩이 실장되어야 하는 실장공간이 구비되어야 함으로써 귀걸이를 디자인 하는데 한계가 있어 다양한 형태의 귀걸이 제작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귀걸이에 향수가 포함된 향수 흡수제나 향수 팩을 실장시킨 상태로 사용자가 귓불에 귀걸이를 착용해야 함으로써 귀걸이의 과도한 중량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통증을 유발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판매자로부터 공급되는 향수 흡수제나 향수 팩 이외에 사용자가 기존에 가지고 있는 향수는 전혀 사용할 수 없어 사용자의 향기 선택 폭이 매우 좁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향수 흡수제나 향수 팩을 실장시키는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쥬얼리의 부피나 무게를 증가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쥬얼리 디자인의 제약 없이 원하는 형태로 쥬얼리를 제작하면서도 원하는 향기를 발산시킬 수 있는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선택한 다양한 향의 향기 오일을 최소한의 양으로 전체적으로 고르게 흡수시켜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은은한 향이 나도록 배출시킬 수 있는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향기 오일이나 향수에 피부 트러블이 있는 사용자도 피부 트러블 걱정 없이 쥬얼리를 착용하는 것만으로 향기 오일이나 향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목이 가지고 있는 나이테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적용되는 쥬얼리 각 제품마다 하나 밖에 없는 유니크한 디자인을 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 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단면에 나이테와 물관이 노출되도록 판 형태로 절단한 후 쥬얼리에 적용할 형상으로 가공되는 원목 본체부와, 상기 원목 본체부의 절단면에 뿌려져 상기 절단면에 노출된 물관을 통해 상기 원목 본체부에 흡수됨으로써 상기 원목 본체부로부터 소정시간 동안 향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향기 오일과, 상기 원목 본체부의 양측 절단면 중 어느 하나의 절단면에 부착되는 장식물과, 상기 원목 본체부의 양측 절단면 중 상기 장식물이 부착된 어느 하나의 절단면에 코팅되어 물관의 어느 한 측을 밀폐시켜 상기 원목 본체부의 절단면에 뿌려져 물관 내로 유입된 향기 오일이 원목 본체부에 흡수되기 전에 원목 본체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적은 양의 향기 오일을 사용하고도 원목 본체부 내부로 충분한 양의 향기 오일이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향기 오일의 사용은 줄이면서 향기의 배출시간은 늘릴 수 있도록 하는 코팅층 및, 상기 원목 본체부의 테두리부에 부착되어 상기 원목 본체부의 강도를 보강시키는 보강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악세서리를 제시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는 절단면에 노출된 물관을 통해 향기 오일이 흡수된 원목 본체부 자체를 쥬얼리 제작 시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쥬얼리의 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작되는 쥬얼리에 향수나 향기 오일을 실장하는 별도의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쥬얼리의 부피나 무게를 증가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쥬얼리 디자인의 제약 없이 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쥬얼리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는 원목 본체부의 절단면에 노출된 물관을 통해 원목 본체부에 향기 오일을 흡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적은 양의 향기 오일을 사용하고도 원목 본체부 전체에 걸쳐 고르게 충분한 양의 향기 오일을 보다 짧은 시간에 흡수시켜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은은한 향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원목 본체부 양측 절단면 중 어느 하나에 코팅층이 형성되어 물관의 어느 한 측을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물관을 통해 원목 본체부 내부로 유입된 향기 오일이 원목 본체부로 흡수되기 이전에 물관을 통해 원목 본체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버려지는 향기 오일 없이 신속하게 원목 본체부 전체에 고르게 향기 오일을 흡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는 원목 본체부에 향기 오일을 흡수시킬 시 버려지는 향기 오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원목 본체부의 물관을 통해 원목 본체부 내부로 향기 오일이 신속하게 흡수되어 보다 적은 양의 향기 오일을 사용하고도 원목 본체부 전체에 고르게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소모품인 향기 오일의 구입에 대한 부담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물관을 통해 원목 본체부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향기 오일이 흡수됨으로써 보다 오랜 시간 동안 원목 본체부 전체에 걸쳐 고르게 향기를 은은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진한 향기 배출로 인한 사용상의 부담감을 최소화시켜 사용자에게 부담 없는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를 귀걸이나 팔찌 등과 같은 쥬얼리에 적용하게 되면 향기 오일이나 향수를 피부에 직접 분사하지 않고 원목 본체부에 분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향기 오일이나 향수에 대한 피부 트러블 때문에 향기 오일이나 향수를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들도 피부 트러블에 대한 고민 없이 향기 오일이나 향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향수 중 원하는 향수를 골라 원목 본체부에 분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다양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는 원목 본체부의 절단면 중 어느 하나의 절단면에는 자개 등과 같은 화려한 장식물을 부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하나의 절단면에는 목재 마다 서로 다른 패턴과 간격으로 형성되는 자연 그대로의 나이테가 노출됨으로써 적용되는 쥬얼리 각 제품 마다 유니크한 디자인을 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는 일반적으로 쥬얼리에 사용되는 재료인 금속, 세라믹 등과 같은 소재에 비하여 매우 가벼운 원목 본체부를 사용함으로써 쥬얼리 사용자에게 무게로 인한 착용상의 부담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궁극적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는 향기를 발산할 수 있는 쥬얼리를 제작하면서도 쥬얼리 디자인의 제약 없이 원하는 형태로 쥬얼리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향기 나는 쥬얼리 제작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켜 보다 다양한 크기와 디자인의 향기 나는 쥬얼리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향기 오일의 구입 주기를 대폭 연장시켜 소모품인 향기 오일의 구입 부담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향의 향수나 향기 오일을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상의 편의성과 다양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향수나 향기 오일에 대한 피부 트러블이 있는 사용자들도 피부 트러블에 대한 고민 없이 향기 오일이나 향수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적용되는 쥬얼리 각 제품마다 하나 밖에 없는 유니크한 디자인을 연출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대고객 만족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목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
도 4는 보강 테두리가 부착된 원목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C-C'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
도 4는 보강 테두리가 부착된 원목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C-C'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원목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의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B-B' 단면도이며, 도 4는 보강 테두리가 부착된 원목 액세서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C-C'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100)는 원목 본체부(110) 및, 향기 오일(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목 본체부(110)는 절단면에 나이테(111)와 물관(112)이 노출되도록 판 형태로 절단된 후, 쥬얼리에 적용할 소정 형상으로 가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원목 본체부(110)는 먼저, 소정시간 건조된 목재를 소정 규격으로 절단한 후, 상기 소정 규격으로 절단된 목재를 물관(112)과 나이테(111)가 절단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도록 얇은 판 형태로 절단한 다음, 상기 얇은 판 형태로 절단된 목재를 쥬얼리에 적용할 형상으로 CNC(Computer Numerical Control) 가공을 통해 가공한다.
상기와 같이 목재의 물관(112)과 나이테(111)가 절단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목재를 절단한 후 쥬얼리에 적용할 형상으로 가공되어 형성되는 원목 본체부(110)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원목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이테(111)가 절단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원목 본체부(110)를 쥬얼리에 적용하게 되면 원목 그대로의 자연스러운 심미감을 부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원목 본체부(110) 제작에 사용되는 목재로는 건조가 힘들고, 뒤틀림이 많을 뿐만 아니라, 가지가 많아 가공이 힘듦으로써 그 기능성을 발휘하지 못하고 버려지는 국내산 소나무과의 목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4계절이 뚜렷한 대한민국의 특성 상 국내산 목재의 경우에는 수입 목재에 비하여 나이테(111)가 선명하게 형성됨으로써 국내산 소나무과의 목재를 시용하여 절단면에 나이테(111)가 노출되도록 가공되어 형성된 상기 원목 본체부(110)는 쥬얼리에 적용할 경우 심미적으로 보다 자연스런 원목의 아름다움을 표현할 수 있으며, 나이테(111)의 경우 목재마다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원목 본체부(110)를 사용하여 제작되는 쥬얼리를 제작하게 되면, 제작되는 쥬얼리 마다 서로 다른 원목 패턴을 가지게 되어 유니크한 디자인을 가지는 쥬얼리를 제작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원목 본체부(110)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쥬얼리에 사용되는 재료인 금속, 세라믹 등과 같은 소재에 비하여 매우 가벼움으로써 신체에 부담감 없이 착용할 수 있는 쥬얼리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향기 오일(120)은 상기 원목 본체부(110)의 양측 절단면 중 어느 하나의 절단면에 뿌려져 상기 절단면을 통해 노출된 물관(112)을 통해 상기 원목 본체부(110)에 흡수되어 상기 원목 본체부(110)로부터 소정시간 동안 향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100)는 절단면에 나이테(111)와 물관(112)이 노출되도록 원목 본체부(110)를 형성하여 상기 절단면에 노출된 물관(112)을 통해 원목 본체부(110) 내부로 향기 오일(120)이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원목 본체부(110) 내부에 더 많은 양의 향기 오일(120)이 더 빠르고 더 깊숙하게 흡수됨으로써 보다 오랜 시간 동안 향기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향기 오일(120)은 상기 원목 본체부(110)에 소정간격을 두고 주기적으로 뿌려짐으로써 상기 원목 본체부(110)로부터 지속적으로 향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원목 본체부(110)에 향기 오일(120)이 뿌려져 물관(112)을 통해 원목 본체부(110) 내부로 향기 오일(120)이 흡수될 때마다 상기 향기 오일(120)에 의해 상기 원목 본체부(110)의 색상이 점점 더 진하게 변하게 됨으로써 향기 오일(120)이 원목 본체부(110)에 뿌려질 때 마다 새로운 심미감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향기 오일(120)이 상기 원목 본체부(110) 전체에 흡수되면 상기 원목 본체부(110)가 습기나 물기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100)를 적용한 쥬얼리를 비나 눈이 오는 날에도 무리 없이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100)는 코팅층(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113)은 상기 원목 본체부(110)의 절단면에 뿌려져 물관(112) 내로 유입된 향기 오일(120)이 상기 원목 본체부(110)에 흡수되기 전에 향기 물관(112)을 통해 원목 본체부(110)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상기 원목 본체부(110)의 양측 절단면 중 어느 하나의 절단면에 코팅되어 물관(112)의 어느 한 측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원목 본체부(110)의 양측 절단면 중 일측 절단면에 코팅층(113)을 형성하여 상기 원목 본체부(110)를 관통하는 물관(112)의 일측을 밀폐시키게 되면, 상기 원목 본체부(110)의 타측 절단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상기 원목 본체부(110)를 평평한 면에 눕혀 놓은 상태에서 상기 원목 본체부(110)의 타측 절단면에 향기 오일(120)을 뿌려 물관(112)으로 향기 오일(120)이 유입된다 하더라도, 상기 물관(112)으로 유입된 향기 오일(120)이 원목 본체부(110)의 일측 절단면 측으로 배출되지 않고 전량 원목 본체부(110) 내부로 흡수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100)는 보다 적은 양의 향기 오일(120)을 사용하고도 원목 본체부(110) 내부로 충분한 양의 향기 오일(120)이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향기 오일(120)의 사용은 줄이면서 향기의 배출시간을 더욱 늘릴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코팅층(113)은 상기 원목 본체부(110)의 양측 절단면 중 어느 하나의 절단면에 레진이 코팅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100)는 장식물(1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식물(114)은 상기 원목 본체부(110)의 양측 절단면 중 어느 하나의 절단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식물(114)이 상기 원목 본체부(110)에 부착될 경우 상기 코팅층(113)은 상기 원목 본체부의 양측 절단면 중 상기 장식물(114)이 부착된 어느 하나의 절단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장식물(114)이 원목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부착되면 상기 코팅층(113)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관(112)의 일측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장식물(114)이 부착된 원목 본체부(110)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원목 본체부(110)에 부착되는 장식물(114)로는 자개 등과 같은 장식물(114)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자개 등과 같은 장식물(114)은 레이저 가공을 통해 조각으로 절단되어 각 조각별로 상기 원목 본체부(110)의 양측 절단면 중 어느 하나의 절단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100)는 보강 테두리(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테두리(115)는 상기 원목 본체부(110)의 테두리부에 부착되어 상기 원목 본체부(110)의 강도를 보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상기 보강 테두리(110)는 상기 원목 본체부(100)의 테두리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금, 은, 황동, 니켈, 서지컬 금속 등과 같은 금속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 중에서도 박 형식으로 부착과 가공성이 용이하며 미관 상 금과 비슷하지만 저렴한 황동으로 제작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100)는 귀걸이, 팔찌, 목걸이, 발찌 등과 같은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모든 쥬얼리의 하나의 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향수를 분사하는 귀나 손목에 착용하는 귀걸이와 팔찌 등과 같은 쥬얼리의 부품 중 하나로 사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를 제작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100)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정시간 동안 건조된 목재를 소정 크기의 규격으로 절단한다(S110).
상기 건조된 목재를 소정 크기의 규격으로 절단한 다음에는, 상기 소정 크기의 규격으로 절단된 목재를 물관(112)과 나이테(111)가 절단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도록 판 형상으로 얇게 절단한다(S120).
상기와 같이 물관(112)과 나이테(111)가 절단면을 통해 노출되도록 판 형상으로 얇게 목재를 절단한 다음에는, 상기 판 형상의 얇은 목재는 CNC 가공을 통해 쥬얼리에 적용될 형상으로 가공하여 원목 본체부(110)를 형성한다(S130).
예를 들면, 상기 원목 본체부(110)는 CNC 가공을 통해 원판, 링, 다각형, 별 모양, 하트 모양 등 쥬얼리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가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원목 본체부(110)에는 테두리부에 보강 테두리(115)를 부착하여 상기 원목 본체부의 강도를 보강시킨다(S140).
상기 원목 본체부(110)의 테두리부에 보강 테두리(115)를 부착하여 원목 본체부의 강도를 보강한 다음에는, 자개 등과 같은 장식물(114)을 레이저 가공하여 원하는 형태로 조각내어 상기 원목 본체부(110)의 양측 절단면 중 어느 하나의 절단면에 원하는 형태로 부착한다(S150).
상기 원목 본체부(110)의 양측 절단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장식물(114)을 부착한 다음에는, 상기 장식물(114)이 부착된 원목 본체부(110)의 절단면에 코팅층(113)을 형성하여 상기 원목 본체부(110) 물관(112)의 어느 한 측을 밀폐시킨다(S160).
이후, 상기 코팅층(113)과 장식물(114)이 하부로 가도록 상기 원목 본체부(110)를 평평한 면에 눕혀 놓은 상태에서 상부로 향한 원목 본체부(110) 절단면에 향기 오일(120)을 뿌려 물관(112)을 통해 원목 본체부(110) 내부로 향기 오일(120)이 흡수되도록 한다(S17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100)는 절단면에 노출된 물관(112)을 통해 향기 오일(120)이 흡수된 원목 본체부(110) 자체를 쥬얼리 제작 시 원하는 형태로 가공하여 쥬얼리의 부품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작되는 쥬얼리에 향수나 향기 오일(120)을 실장하는 별도의 공간을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쥬얼리의 부피나 무게를 증가시키지 않음과 동시에 쥬얼리 디자인의 제약 없이 원하는 다양한 형태로 쥬얼리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향기를 발산할 수 있는 쥬얼리를 제작하면서도 쥬얼리 디자인의 제약 없이 원하는 형태로 쥬얼리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향기 나는 쥬얼리 제작의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켜 보다 다양한 크기와 디자인의 향기 나는 쥬얼리를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100)는 목재의 나이테(111)와 물관(112)이 절단면을 통해 노출될 수 있도록 목재를 가공하여 원목 본체부(110)를 제작함으로써 절단면에 노출된 물관(112)을 통해 원목 본체부(110)에 향기 오일(120)을 흡수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100)는 절단면에 노출된 물관(112)을 통해 원목 본체부(110)에 향기 오일(120)을 흡수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적은 양의 향기 오일(120)을 사용하고도 원목 본체부(110) 전체에 걸쳐 고르게 충분한 양의 향기 오일(120)을 보다 짧은 시간에 흡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원목 본체부(110) 양측 절단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코팅층(113)은 상기 물관(112)의 어느 한 측을 밀폐시킴으로써 상기 물관(112)을 통해 원목 본체부(110) 내부로 유입된 향기 오일(120)이 원목 본체부(110)로 흡수되기 이전에 물관(112)을 통해 원목 본체부(110)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버려지는 향기 오일(120) 없이 신속하게 원목 본체부(110) 전체에 고르게 향기 오일(120)을 흡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100)는 원목 본체부(110)에 향기 오일(120)을 흡수시킬 시 버려지는 향기 오일(120)이 없을 뿐만 아니라, 원목 본체부(110)의 물관(112)을 통해 원목 본체부(110) 내부로 향기 오일(120)이 신속하게 흡수되어 보다 적은 양의 향기 오일(120)을 사용하고도 원목 본체부(110) 전체에 고르게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소모품인 향기 오일(120)의 구입에 대한 부담을 대폭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물관(112)을 통해 원목 본체부(110)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향기 오일(120)이 흡수됨으로써 보다 오랜 시간 동안 원목 본체부(110) 전체에 걸쳐 고르게 향기를 은은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진한 향기 배출로 인한 사용상의 부담감을 최소화시켜 사용자에게 부담 없는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향수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귀 뒤쪽 피부나 손목 안쪽 피부에 분사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100)를 귀걸이나 팔찌 등과 같은 쥬얼리에 적용할 경우에는 향수를 직접 사용자의 귀 뒤쪽 피부나 손목 안쪽 피부에 직접 분사하지 않고도 향수를 사용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100)를 귀걸이나 팔찌 등과 같은 쥬얼리에 적용하게 되면 향기 오일이나 향수를 피부에 직접 분사하지 않고 원목 본체부(110)에 분사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향기 오일이나 향수에 대한 피부 트러블 때문에 향기 오일이나 향수를 사용할 수 없는 사용자들도 피부 트러블에 대한 고민 없이 향기 오일이나 향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100)는 사용자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향수 중 원하는 향수를 골라 원목 본체부(110)에 분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과 다양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100)는 원목 본체부(110)의 절단면 중 어느 하나의 절단면에는 자개 등과 같은 화려한 장식물(114)을 부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른 하나의 절단면에는 목재 마다 서로 다른 패턴과 간격으로 형성되는 자연 그대로의 나이테(111)가 노출됨으로써 쥬얼리 각 제품마다 유니크한 디자인을 가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쥬얼리의 가치를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100)는 일반적으로 쥬얼리에 사용되는 재료인 금속, 세라믹 등과 같은 소재에 비하여 매우 가벼운 원목 본체부(110)를 사용함으로써 쥬얼리 사용자에게 무게로 인한 착용상의 부담감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원목 본체부 (111) : 나이테
(112) : 물관 (113) : 코팅층
(114) : 장식물 (115) : 보강 테두리
(120) : 향기 오일
(112) : 물관 (113) : 코팅층
(114) : 장식물 (115) : 보강 테두리
(120) : 향기 오일
Claims (4)
- 절단면에 나이테와 물관이 노출되도록 판 형태로 절단한 후 쥬얼리에 적용할 형상으로 가공되는 원목 본체부;
상기 원목 본체부의 절단면에 뿌려져 상기 절단면에 노출된 물관을 통해 상기 원목 본체부에 흡수됨으로써 상기 원목 본체부로부터 소정시간 동안 향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향기 오일;
상기 원목 본체부의 양측 절단면 중 어느 하나의 절단면에 부착되는 장식물;
상기 원목 본체부의 양측 절단면 중 상기 장식물이 부착된 어느 하나의 절단면에 코팅되어 물관의 어느 한 측을 밀폐시켜 상기 원목 본체부의 절단면에 뿌려져 물관 내로 유입된 향기 오일이 원목 본체부에 흡수되기 전에 원목 본체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하여 적은 양의 향기 오일을 사용하고도 원목 본체부 내부로 충분한 양의 향기 오일이 흡수되도록 함으로써 향기 오일의 사용은 줄이면서 향기의 배출시간은 늘릴 수 있도록 하는 코팅층; 및
상기 원목 본체부의 테두리부에 부착되어 상기 원목 본체부의 강도를 보강시키는 보강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악세서리.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4527A KR102357388B1 (ko) | 2020-03-20 | 2020-03-20 |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34527A KR102357388B1 (ko) | 2020-03-20 | 2020-03-20 |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7793A KR20210117793A (ko) | 2021-09-29 |
KR102357388B1 true KR102357388B1 (ko) | 2022-01-28 |
Family
ID=77924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34527A KR102357388B1 (ko) | 2020-03-20 | 2020-03-20 |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57388B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78395A (ko) * | 2001-05-04 | 2001-08-20 | 김만석 | 자연물의 질감과 향을 갖는 방향성 목제장식물 및 그제조방법 |
KR20030060667A (ko) * | 2002-01-10 | 2003-07-16 | 최승팔 | 장식용 목판 |
KR20080000116U (ko) * | 2006-07-26 | 2008-01-30 | 박유미 | 자연적 장식미를 가지는 장신구 |
KR101840418B1 (ko) | 2016-11-07 | 2018-03-20 | 송낙문 | 귀걸이용 향수팩 |
-
2020
- 2020-03-20 KR KR1020200034527A patent/KR102357388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17793A (ko) | 2021-09-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091383B1 (en) | Two finger ring and two toe ring | |
KR102357388B1 (ko) | 향기 품은 쥬얼리용 원목 액세서리 | |
KR102349274B1 (ko) | 모발을 이용하여 제조된 수국 꽃잎이 부착된 귀고리의 제조방법 | |
US20130283857A1 (en) | Fragrant ceramic ornament and accessory with surface sandblasted and carved and its producing method | |
KR20090104306A (ko) | 생화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 |
KR200294266Y1 (ko) | 향기 액세서리 | |
KR200338250Y1 (ko) | 향기나는 팔찌 | |
KR200393782Y1 (ko) | 세라믹 소재를 이용한 장식용구 | |
KR20050032632A (ko) | 향기나는 팔찌 | |
CN202038093U (zh) | 香味陶瓷首饰和饰品 | |
KR20190002079U (ko) | 보존화를 이용한 장신구 | |
KR101485406B1 (ko) | 청각적 효과를 나타내는 장신구 | |
KR200323056Y1 (ko) | 향기를 내는 비즈 목걸이 | |
KR101540955B1 (ko) | 손톱 장신구 및 그 제조방법 | |
JP2001008720A (ja) | 身廻り装飾具 | |
KR20120002193U (ko) | 팔찌 | |
KR200301573Y1 (ko) | 원적외선 및 음이온이 발생하는 장신구 | |
KR200462620Y1 (ko) | 자연석을 이용한 장신구 | |
CN210539335U (zh) | 一种散香饰品 | |
KR200254947Y1 (ko) | 목걸이 | |
KR200289605Y1 (ko) | 조개껍질을 이용한 펜던트 | |
KR20100018790A (ko) | 휴대폰용 귀 금속과 보석향집걸이 | |
KR20230163223A (ko) | 향기캡슐의 선택적인 스마트 제어가 가능한 휴대용품 | |
KR200205468Y1 (ko) | 방향제를 갖는 장신구 | |
KR20110009495U (ko) | 클립형 방향제팩 장신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