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7216B1 -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7216B1
KR102357216B1 KR1020150016215A KR20150016215A KR102357216B1 KR 102357216 B1 KR102357216 B1 KR 102357216B1 KR 1020150016215 A KR1020150016215 A KR 1020150016215A KR 20150016215 A KR20150016215 A KR 20150016215A KR 102357216 B1 KR102357216 B1 KR 102357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advertisement
advertisement unit
termi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4779A (ko
Inventor
한민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십일번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십일번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16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7216B1/ko
Priority to PCT/KR2015/013414 priority patent/WO2016126001A1/ko
Priority to CN201580040735.XA priority patent/CN106575410B/zh
Priority to US15/321,534 priority patent/US10692110B2/en
Publication of KR20160094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4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7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7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개시한다. 즉, 단말장치에 발급된 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선별된 광고를 제공함에 있어서, 단말장치에 대해 광고매체마다 상이하게 발급되는 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킴으로써, 광고매체 별로 단말장치에 대한 광고 선별을 위해 독립적으로 수집 관리되는 광고선별정보를 광고매체 간에 공유할 수 있다.

Description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단말장치에 발급된 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선별된 광고를 제공함에 있어서, 단말장치에 대해 광고매체마다 상이하게 발급되는 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키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패드 등의 모바일 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시장이 급격히 확대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광고 시장도 빠른 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모바일 장치(이하, '단말장치'라 칭함)에서는 광고매체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서비스 페이지(예: 웹 페이지) 접속 시 광고플랫폼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광고를 수신하여 표시하게 된다.
이때, 광고플랫폼장치에서는 단말장치에서 이루어진 다양한 이력 정보(예: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페이지 내 광고 선택 이력, 애플리케이션 실행 로그, 서비스 페이지 접속 로그, 서비스이용내역정보 등)를 수집하여, 이를 단말장치에 타게팅 된 광고 선별을 위한 광고선별정보로서 활용하게 된다.
헌데, 단말장치에서 광고를 수신할 수 있게 하는 광고매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 자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과, 단말장치가 브라우저를 호출하여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 페이지 등으로 구분되며, 이에 광고선별정보의 경우 각 광고매체 별로 독립적으로 수집 관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국, 기존 기술에 따르면 광고매체 간에는 광고선별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곧 양질의 타게팅 광고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저해 요소로서 작용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단말장치에 발급된 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선별된 광고를 제공함에 있어서, 단말장치에 대해 광고매체마다 상이하게 발급되는 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킴으로써, 광고매체 별로 단말장치에 대한 광고 선별을 위해 독립적으로 수집 관리되는 광고선별정보를 광고매체 간에 공유하게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는, 제1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는 제1광고부; 상기 제1광고부와는 독립적으로 제2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는 제2광고부; 상기 제1광고부 및 상기 제2광고부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광고부 또는 상기 제2광고부가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식별정보관리장치로 전달하도록 하여, 상기 식별정보관리장치가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광고부가 상기 단말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2광고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자체에서 제공되는 브라우저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브라우저 간에 상기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브라우저 간에 상기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브라우저로부터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상기 식별정보관리장치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광고부가 상기 단말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2광고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무관하게 상기 단말장치에서 제공되는 브라우저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브라우저 간에 상기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브라우저 간에 상기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를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되는 서비스장치의 접속주소정보에 삽입하여 상기 브라우저에 전달하도록 하며, 상기 브라우저는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삽입된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와,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상기 식별정보관리장치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광고부 및 상기 제2광고부는, 상기 식별정보관리장치에 전달된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가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 또는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로 일치되는 경우, 일치된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 또는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광고플랫폼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광고플랫폼장치로부터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 또는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선별된 광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은, 제1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는 제1광고부와 상기 제1광고부와는 독립적으로 제2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는 제2광고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광고부 및 상기 제2광고부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광고부 또는 상기 제2광고부가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식별정보관리장치로 전달하도록 하여, 상기 식별정보관리장치가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키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제1광고부가 상기 단말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2광고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자체에서 제공되는 브라우저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브라우저 간에 상기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브라우저 간에 상기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브라우저로부터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상기 식별정보관리장치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판단단계는, 상기 제1광고부가 상기 단말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2광고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무관하게 상기 단말장치에서 제공되는 브라우저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브라우저 간에 상기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단계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브라우저 간에 상기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를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되는 서비스장치의 접속주소정보에 삽입하여 상기 브라우저에 전달하도록 하며, 상기 브라우저는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삽입된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와,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상기 식별정보관리장치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광고부 및 상기 제2광고부는, 상기 식별정보관리장치에 전달된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가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 또는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로 일치되는 경우, 일치된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 또는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광고플랫폼장치에 전달하여, 상기 광고플랫폼장치로부터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 또는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선별된 광고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의하면, 단말장치에 발급된 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선별된 광고를 제공함에 있어서, 단말장치에 대해 광고매체마다 상이하게 발급되는 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킴으로써, 광고매체 별로 단말장치에 대한 광고 선별을 위해 독립적으로 수집 관리되는 광고선별정보를 광고매체 간에 공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 환경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 내 제1광고부 및 제2광고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관리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식별정보 변경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관리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관리장치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관리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 환경은 광고를 수신하는 단말장치(100), 및 단말장치(100)에 대해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플랫폼장치(4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 환경에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단말장치(100)가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 페이지(예: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비스장치(200) 및,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페이지 접속과 관련하여 단말식별정보를 발급하는 식별정보관리장치(300)를 더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단말장치(100)는 광고매체를 통해서 광고를 수신하며, 광고와 관련된 서비스 페이지 접속 등의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장치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위 단말장치(100)로는 예컨대, 스마트 폰, 테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광고매체를 통해서 광고 수신이 가능하며, 서비스 페이지 접속을 위한 브라우저 구동이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장치(100)에서 광고 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광고매체로는 예컨대, 단말장치(100) 자체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단말장치(100)에서 브라우저를 호출하여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 페이지가 해당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광고매체에는, 그 개발 과정에서 광고 수신과 관련된 SDK(Software Development Kit)가 포함되게 되는데, 결국 단말장치(100)에서는 광고매체에 포함된 위 SDK를 통해서 광고를 요청 및 수신 그리고 표시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광고매체는 광고 요청 및 수신 그리고 표시로 이어지는 전술한 일련의 과정뿐만 아니라, 광고플랫폼장치(400)에서 이루어지는 정보 수집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단말장치(100)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페이지 내 광고 선택 이력, 애플리케이션 실행 로그, 서비스 페이지 접속 로그, 서비스이용내역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광고플랫폼장치(400)에 전달하게 되며, 이를 수신한 광고플랫폼장치(400)는 전달된 이력 정보를 단말장치(100)에 대한 광고선별정보로서 활용하게 된다.
또한, 단말장치(100)에서는 자신에게 발급된 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광고플랫폼장치(400)에 광고를 요청, 수신하는 방식인 풀(Pull) 방식을 통해서 광고를 수신하게 되는데, 위 방식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광고플랫폼장치(400)에 대한 별도의 광고 요청 없이 광고플랫폼장치(400)에서 제공되는 광고를 수신하는 푸시(Push) 방식으로도 광고를 수신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서비스장치(200)는 단말장치(100)가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서비스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예: 오픈 마켓, 쇼핑 몰)를 일컫는다.
이러한, 서비스장치(200)에서는 예컨대, 애플리케이션 내 광고 선택을 통해 단말장치(100)가 접속되면, 접속된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서비스 페이지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예: 상품 구매, 판매, 안내 등)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서비스장치(200)는 서비스 페이지에서 이루어진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이용이 완료되면, 단말장치(100)의 서비스이용내역정보(예: 구매한 상품, 장바구니에 저장된 상품, 검색한 상품, 동일한 물건을 장바구니에 넣었던 사용자가 구매한 상품 등)를 광고플랫폼장치(400)에 직접 제공하거나, 단말장치(100)를 통해 광고플랫폼장치(400)에 제공하여 광고선별정보로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식별정보관리장치(300)는 단말장치(100)가 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 서비스 페이지 내 광고 수신을 위한 단말식별정보를 발급하는 발급 서버를 일컫는다.
이러한, 식별정보관리장치(300)는 단말장치(100)의 서비스 페이지 접속 과정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단말식별정보를 발급하여, 단말장치(100)에서 발급된 단말식별정보를 이용중인 브라우저 내에 기록정보파일(예: 쿠키 파일)로 기록하게 한다.
광고플랫폼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광고 요청에 따라 광고주로부터 등록된 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하는 광고 서버를 일컫는다.
이러한 광고플랫폼장치(400)는 단말장치(100)에서 이루어진 애플리케이션 또는 서비스 페이지 내 광고 선택 이력, 애플리케이션 실행 로그, 서비스 페이지 접속 로그, 서비스이용내역정보 등과 같은 다양한 이력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단말장치(100)에 대한 광고선별정보로서 저장하게 된다.
결국, 광고플랫폼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광고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에 위 광고선별정보를 활용하여 단말장치(100)에 타게팅된 광고를 선별하고, 선별된 광고를 단말장치(100)에 제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장치(100)에서는 광고매체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또는 서비스 페이지(예: 웹 페이지)에 따른 다양한 로그 정보를 수집하여 광고플랫폼장치(400)에 전달하게 되며, 광고플랫폼장치(4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로그 정보를 광고선별정보로서 활용하여 단말장치(100)에 대한 광고를 선별하게 된다.
이때, 단말장치(100)에서는 로그 정보를 전달하거나, 광고를 요청함에 있어서, 광고플랫폼장치(400)에서 자신을 식별하게 하기 위한 정보인 단말식별정보와 함께 로그 정보를 전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단말식별정보의 경우 동일한 단말장치(100)라 할지라도 단말장치(100)에서 실행 또는 접속한 광고매체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발급되게 된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에서 광고매체로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경우, 애플리케이션 자체적으로 단말장치(100)의 장치식별정보(예: MDN, IMEI)를 이용하여 단말식별정보를 발급하고, 발급된 단말식별정보를 단말장치(100) 내 저장소(예: SD 카드)에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이와 달리, 단말장치(100)에서 브라우저를 통해 또 다른 광고매체인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에는, 식별정보관리장치(300)에 단말식별정보의 발급을 요청하고, 식별정보관리장치(300)에서 발급된 단말식별정보를 브라우저 내에 기록정보파일(예: 쿠키 파일)로서 기록 관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헌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발급되는 단말식별정보와, 서비스 페이지 접속에 따라 발급되는 단말식별정보의 경우, 동일한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발급되었지만, 실질적으로 단말장치(100)에서 이용하고 있는 광고매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식별자를 이용하여 발급되게 된다.
특히, 단말장치(100)가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여 발급되는 단말식별정보의 경우, 단말장치(100)에서 서비스 페이지 접속에 이용한 브라우저의 종류에 따라서도 서로 상이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발급될 수 있다.
이로써, 단말장치(100)에서 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광고플랫폼장치(400)에 광고를 요청하거나 로그정보를 전달이 이루어지는 경우, 광고플랫폼장치(400)에서는 동일한 단말장치(100)임에도 불구하고, 광고매체마다 상이하게 발급된 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하게 되어 수신된 단말식별정보가 동일한 단말장치(100)를 대상으로 발급되었는지 여부조차 확인할 수 없게 되는 것이다.
결국, 광고플랫폼장치(400)에서 이루어지는 단말장치(100)에 대해 이루어지는 광고선별정보의 수집 및 관리는 단말장치(100)에서 이용하고 있는 광고매체의 종류마다 독립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해 광고매체 간에는 수집 관리되고 있는 광고선별정보를 서로 공유할 수 없게 된다.
예를 들어, 단말장치(100)에서 광고매체로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애플리케이션 내 광고 선택을 통해 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한 경우를 가정하면, 단말장치(100)에서는 서비스 페이지에서의 서비스이용내역정보를 광고플랫폼장치(400)에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광고플랫폼장치(400)에서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전달되는 서비스이용내역정보를 단말장치(100)에 대해 애플리케이션 내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선별정보로서 활용하는 경우, 단말장치(100)에 대해 양질의 타게팅 광고를 제공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장치(100)에 탑재된 애플리케이션과, 브라우저를 통해 단말장치(100)가 접속되는 서비스 페이지의 경우 서로 상이한 종류의 광고매체인 관계로, 광고플랫폼장치(400)에서는 위 서비스이용내역정보를 애플리케이션과는 다른 단말식별정보를 기준으로 관리하게 된다.
이로 인해 광고플랫폼장치(400)에서는 위 서비스이용내역정보가 단말장치(100)에 대해 제공된 애플리케이션 내 광고와 관련되어 있는지 내지는 단말장치(100)에 대해 생성된 정보인지 조차 확인할 수 없는 것이 실정이다.
결국, 광고플랫폼장치(400)에서는 서비스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단말장치(100)에 대한 서비스이용내역정보를 단말장치(100)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내 광고를 선별하는데 활용가치가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광고매체 상이하게 발급되는 단말식별정보를 기준으로 이를 관리함에 따라 이를 애플리케이션 내 광고를 선별하기 위한 광고선별정보로서 활용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단말장치(100)에 대해 광고매체마다 상이하게 발급되는 단말식별정보를 서로 일치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단말장치(100) 및 식별정보관리장치(3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제1광고부(110), 제2광고부(120),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130), 및 판단부(130)에서 이루어진 판단 결과에 따라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위 제1광고부(110)는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고매체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과 관련하여 광고와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을 일컫는 것으로서, 위 애플리케이션에 내장된 SDK(Software Development Kit)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광고부(120)는 또 다른 광고매체로서, 도 3 (b) 및 도 3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장치(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하는 경우 광고와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을 일컫는 것으로서, 브라우저가 이에 해당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광고부(120)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브라우저의 경우 서비스 페이지에 접속 시, 서비스 페이지에 삽입되어 있는 SDK의 소스 코드(Source Code)를 읽어와 광고와 관련된 일련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제2광고부(120)의 역할을 수행하는 브라우저의 경우, 도 3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0)의 운영체계(OS)에서 제공하는 OS 기반 브라우저이거나, 또는 도 3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0)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반 브라우저일 수 있다.
참고로, 자체적으로 브라우저를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은 통상적으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예: 모바일 전용 쇼핑몰 애플리케이션)이라 명명될 수 있다.
위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자신이 제공하는 브라우저와 인터페이스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통해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과, 애플리케이션 기반 브라우저 간에는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이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고자 하는 서비스 페이지의 접속주소정보를 브라우저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 교환이 가능해지게 된다.
반면, 통상적인 애플리케이션과, 단말장치(100)의 운영체계(OS)에서 제공하는 OS 기반 브라우저의 경우,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의 경우와는 달리 서로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으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과 OS 기반 브라우저 간에는 애플리케이션이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고자 하는 서비스 페이지의 접속주소정보를 브라우저로 전달하는 것 이외에는 추가적인 정보 교환이 불가하다.
이상 언급한 제1광고부(110), 제2광고부(120), 판단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는 단말장치(1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도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는 위 구성들을 통해 광고매체마다 상이한 식별자로 발급되는 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킬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위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설명에 앞서, 제1광고부(110)는 광고매체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단말장치(100)의 장치식별정보(예: MDN, IMEI)를 이용하여 제1단말식별정보를 자체적으로 발급한 이후 발급된 단말식별정보를 단말장치(100) 내 저장소(예: SD 카드)에 저장한 상태이며, 제2광고부(120)는 서비스 페이지 접속에 따라 식별정보관리장치(300)에 단말식별정보의 발급을 요청하고, 식별정보관리장치(300)에서 발급된 제2단말식별정보를 기록정보파일(예: 쿠키 파일)로서 기록 관리하고 있는 상태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판단부(130)는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30)는 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키기 위한 초기 단계로서,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앞서, 제1광고부(110)는 광고매체인 애플리케이션에 해당될 수 있으며, 제2광고부(120)의 경우 또 다른 광고매체인 서비스 페이지 접속을 위해 호출되는 브라우저임을 언급한 바 있다.
이에, 판단부(130)는 제2광고부(120)의 역할을 수행하는 브라우저가 제1광고부(110)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브라우저인지, 단말장치(100)의 운영체계에서 제공하는 OS 기반 브라우저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판단부(130)는 제2광고부(120)의 역할을 수행하는 브라우저가 제1광고부(110)의 역할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브라우저인 경우,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제2광고부(120)의 역할을 수행하는 브라우저가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브라우저라는 것은, 제1광고부(110)의 역할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앞서 언급한 하이브리드 애플리케이션임을 의미할 수 있다.
반면, 판단부(130)는 제2광고부(120)의 역할을 수행하는 브라우저가 제1광고부(110)의 역할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과 무관한, 단말장치(100)의 운영체계가 제공하는 OS 기반의 브라우저인 경우,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제어부(140)는 판단부(130)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완료되면, 위 판단 결과를 기초로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에 대한 제어 방식을 결정하여, 제1광고부(110)에 대해 발급된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광고부(120)에 대해 발급된 제2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어 방식은,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제1 제어 방식과, 반대로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제2 제어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 제1 제어 방식과 제2 제어 방식 각각에 따라 동작하는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에 대해 순차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제어 방식에 따르면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 간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제1광고부(110)가 서비스 페이지의 접속주소정보를 제2광고부(120)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다.
이에, 제2광고부(120)는 식별정보관리장치(300)로부터 발급되어 기록정보파일로 기록되어 있는 제2단말식별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광고부(110)로 전달할 수 있다.
결국, 제1광고부(110)는 제2광고부(120)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단말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제2단말식별정보를 저장소(예: SD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제1단말식별정보와 함께 식별정보관리장치(300)에 전달함으로써, 식별정보관리장치(300)로 하여금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서로 일치시키도록 한다.
이와 관련하여, 식별정보관리장치(300)에서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가 수신되기에 앞서, 제2광고부(120)에 대해 앞서 발급한 제2단말식별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식별정보관리장치(3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발급한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2광고부(120)의 제2단말식별정보를 제1단말식별정보로 변경하여 관리하게 된다.
아울러, 식별정보관리장치(300)는 제2광고부(120)에 발급되어 있던 제2단말식별정보를 제1단말식별정보로 변경한 이후,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의 재접속이 확인되면, 제2광고부(120)로 하여금 변경된 제1단말식별정보를 기록정보파일에 새롭게 기록하도록 한다.
결국, 위 과정을 통해 단말장치(100) 내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는 기존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와 같이 서로 상이한 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모두가 서로 동일한 단말식별정보인 제1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광고플랫폼장치(400)와 연동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광고플랫폼장치(400)는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가 서로 동일한 단말식별정보인 제1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함에 따라,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를 동일한 단말장치(100) 내 구성으로 인지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관리되는 광고선별정보를 공유 사용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다음, 제2 제어 방식에 따르면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 간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1광고부(110)가 서비스 페이지의 접속주소정보를 제2광고부(120)로 전달하는 것 이외에는 여타 정보 교환이 불가하게 된다.
이에, 제1광고부(110)는 서비스 페이지의 접속주소정보를 활용하여 제1단말식별정보를 제2광고부(120)로 전달하게 된다.
즉, 제1광고부(110)는 애플리케이션 내 광고 선택에 따라 서비스 페이지 접속이 요구되는 경우, 서비스 페이지의 접속주소정보에, 제1단말식별정보를 파라미터로서 삽입하여 제2광고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
결국, 제2광고부(120)는 서비스 페이지의 접속주소정보에 제1단말식별정보가 파리미터로서 삽입 전달되는 경우, 수신된 제1단말식별정보를 기록정보파일로 기록되어 있는 제2단말식별정보와 함께 식별정보관리장치(300)에 전달함으로써, 식별정보관리장치(300)로 하여금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서로 일치시키도록 한다.
제1 제어 방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식별정보관리장치(300)에서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가 수신되기에 앞서, 제2광고부(120)에 대해 앞서 발급한 제2단말식별정보를 저장 관리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에, 식별정보관리장치(3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발급한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2광고부(120)의 제2단말식별정보를 제1단말식별정보로 변경하여 관리하게 된다.
아울러, 식별정보관리장치(300)는 제2광고부(120)에 발급되어 있던 제2단말식별정보를 제1단말식별정보로 변경한 이후,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의 재접속이 확인되면, 제2광고부(120)로 하여금 변경된 제1단말식별정보를 기록정보파일에 새롭게 기록하도록 한다.
결국, 위 과정을 통해 단말장치(100) 내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는 기존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와 같이 서로 상이한 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모두가 서로 동일한 단말식별정보인 제1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광고플랫폼장치(400)와 연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광고플랫폼장치(400)는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가 서로 동일한 단말식별정보인 제1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함에 따라,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를 동일한 단말장치(100) 내 구성으로 인지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관리되는 광고선별정보를 공유 사용할 수 있음을 역시 예상할 수 있다.
한편, 이상 설명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서술된 내용은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앞서 설명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을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드웨어 시스템(1000)은, 프로세서(1100),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1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1200)를 통해 메모리(1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1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1210)에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인 제1광고부(110), 제2광고부(120), 판단부(130), 및 제어부(140)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
위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1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는 프로세서(1100)와 주변장치 간에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주변장치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장치(1310), 입출력장치(132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장치(1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장치(1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등), 블루투스, Wi-MAX,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프로토콜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입출력장치(1320)는 기타 하드웨어 시스템과 연동되는 I/O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역할 수행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애플리케이션 실행화면 표시, 애플리케이션 내 광고 선택 확인, 서비스 접속화면 표시 등을 지원하는 디스플레이(1321)의 제어를 담당할 수 있다.
결국,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메모리 인터페이스(11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300)를 매개로 통신장치(1310)와 입출력장치(1320)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서로 일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단말장치(100)와 관련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판단부(130)는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단부(130)는 제2광고부(120)의 역할을 수행하는 브라우저가 제1광고부(110)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브라우저인지, 단말장치(100)의 운영체계에서 제공하는 OS 기반 브라우저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때, 판단부(130)는 제2광고부(120)의 역할을 수행하는 브라우저가 제1광고부(110)의 역할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브라우저인 경우,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반면, 판단부(130)는 제2광고부(120)의 역할을 수행하는 브라우저가 제1광고부(110)의 역할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과 무관한, 단말장치(100)의 운영체계가 제공하는 OS 기반의 브라우저인 경우,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제어부(140)는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판단부(130)에서의 판단 결과가 수신되면, 위 판단 결과를 기초로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에 대한 제어 방식을 결정하여, 제1광고부(110)에 대해 발급된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광고부(120)에 대해 발급된 제2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어 방식은,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제1 제어 방식과, 반대로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제2 제어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 제1 제어 방식과 제2 제어 방식 각각에 따라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에서 동작하는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에 대해 순차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1 제어 방식에 따르면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 간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제1광고부(110)가 서비스 페이지의 접속주소정보를 제2광고부(120)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다.
이에, 제2광고부(120)는 식별정보관리장치(300)로부터 발급되어 기록정보파일로 기록되어 있는 제2단말식별정보를 제1광고부(100)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광고부(110)로 전달하게 된다.
결국, 제1광고부(110)는 제2광고부(120)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단말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통신장치(1310)를 구동하여 수신된 제2단말식별정보를 저장소(예: SD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제1단말식별정보와 함께 식별정보관리장치(300)에 전달함으로써, 식별정보관리장치(300)로 하여금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서로 일치시키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제2 제어 방식에 따르면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 간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1광고부(110)가 서비스 페이지의 접속주소정보를 제2광고부(120)로 전달하는 것 이외에는 여타 정보 교환이 불가하게 된다.
이에, 제1광고부(110)는 하드웨어 시스템 내 입출력장치(132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내 광고 선택과, 서비스 페이지 접속이 요구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서비스 페이지의 접속주소정보에, 제1단말식별정보를 파라미터로서 삽입하여 제2광고부(120)로 전달하게 된다.
결국, 제2광고부(120)는 서비스 페이지의 접속주소정보에 제1단말식별정보가 파리미터로서 삽입 전달되는 경우,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통신장치(1310)를 구동하여 수신된 제2단말식별정보를 저장소(예: SD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제1단말식별정보와 함께 식별정보관리장치(300)에 전달함으로써, 식별정보관리장치(300)로 하여금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서로 일치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 따르면, 단말장치(100)에 발급된 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선별된 광고를 수신함에 있어서, 광고매체마다 상이하게 발급되는 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킴으로써, 광고플랫폼장치(400)에서 광고매체 별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광고 선별을 위해 독립적으로 수집 관리되는 광고선별정보를 광고매체 간에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관리장치(3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관리장치(300)는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 브라우저)에 대해 제2단말식별정보를 발급하는 발급부(310), 단말장치(100) 내 제1광고부(110,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발급된 제1단말식별정보와, 위 제2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320), 및 제2단말식별정보를 변경하는 변경부(3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상 언급한 발급부(310), 수신부(320), 및 변경부(330)를 포함하는 식별정보관리장치(3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관리장치(300)는 위 구성들을 통해 단말장치(100)에 대해 발급된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키는 효과를 성취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구현하기 위한 식별정보관리장치(3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설명에 앞서, 단말장치(100) 내 제1광고부(110)에서는 광고매체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단말장치(100)의 장치식별정보(예: MDN, IMEI)를 이용하여 제1단말식별정보를 자체적으로 발급한 이후 발급된 단말식별정보를 단말장치(100) 내 저장소(예: SD 카드)에 저장한 상태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발급부(310)는 제2단말식별정보를 발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급부(310)는 단말장치(100)에서의 서비스 페이지 접속에 따라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10)로부터 식별정보 발급이 요청되는 경우,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10)에 대해 제2단말식별정보를 발급하여,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10)로 하여금 기록정보파일로 기록하도록 한다.
여기서,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에 대해 발급된 제2단말식별정보는 식별정보관리장치(300) 내 저장소에 저장 관리되게 된다.
수신부(3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부(3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단말식별정보의 일치를 목적으로 전달되는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수신부(320)는 단말장치(100) 내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광고부(110)를 통해서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하게 되며, 반면, 단말장치(100) 내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2광고부(120)를 통해서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변경부(330)는 단말장치(100)에 대해 발급된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변경부(33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에 대해 발급된 제2단말식별정보를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1단말식별정보로 변경함으로써,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제1단말식별정보로 일치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에 대해 제2단말식별정보로서, 'W1'과 'W2'가 발급 관리되고 있는 상태에서, 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식별정보인 'A'과, 제2단말식별정보인 'W1'이 수신되는 경우를 가정하면 제2단말식별정보인 'W1'을 제1단말식별정보인 'A'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다.
아울러, 변경부(330)는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에 발급되어 있던 제2단말식별정보를 제1단말식별정보로 변경한 이후,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의 재접속이 확인되면,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로 하여금 변경된 제1단말식별정보를 기록정보파일에 새롭게 기록하도록 한다.
결국, 위 과정을 통해 단말장치(100) 내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는 기존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와 같이 서로 상이한 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모두가 서로 동일한 단말식별정보인 제1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광고플랫폼장치(400)와 연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광고플랫폼장치(400)는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가 서로 동일한 단말식별정보인 제1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함에 따라,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를 동일한 단말장치(100) 내 구성으로 인지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관리되는 광고선별정보를 공유 사용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한편, 이상 설명한 식별정보관리장치(300) 내 각 구성의 경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음을 언급한 바 있다.
이처럼,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하드웨어 모듈, 내지는 소프트웨어 모듈과 하드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는 하드웨어 시스템(예: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관리장치(3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서술된 내용은 컴퓨터 시스템 내에서 앞서 설명한 식별정보관리장치(300) 내 각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일 예인 것으로, 각 구성과 그에 따른 동작이 실제 시스템과 상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관리장치(3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관리장치(3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3000)은, 프로세서(3100),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 및 주변장치 인터페이스(33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 각 구성은, 개별 부품이거나 하나 이상의 집적 회로에 집적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각 구성들은 버스 시스템(도시안됨)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버스 시스템의 경우, 적절한 브리지들, 어댑터들, 및/또는 제어기들에 의해 연결된 임의의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물리 버스들, 통신 라인들/인터페이스들, 및/또는 멀티 드롭(multi-drop) 또는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연결들을 나타내는 추상화(abstraction)이다.
프로세서(3100)는 하드웨어 시스템에서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메모리 인터페이스(3200)를 통해 메모리(3210)와 통신함으로써, 메모리(3210)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모듈들을 실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메모리(3210)에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식별정보관리장치(300) 내 각 구성인 발급부(310), 수신부(320), 및 변경부(330)가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그 외 운영 체계가 추가 저장될 수 있다.
위 운영 체계(예: I-OS, Android, Darwin, RTXC, LINUX, UNIX, OS X, WINDOWS, 또는 VxWorks와 같은 임베디드 운영 체계)의 경우, 일반적인 시스템 작업들(예를 들어, 메모리 관리, 저장 장치 제어, 전력 관리 등)을 제어 및 관리하는 다양한 절차, 명령어 세트, 소프트웨어 컴포넌트 및/또는 드라이버를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 간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참고로, 메모리(3210)는 캐쉬, 메인 메모리 및 보조 기억장치(secondary memory)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메모리 계층구조가 포함할 수 있는데, 위 메모리 계층구조의 경우 예컨대 RAM(예: SRAM, DRAM, DDRAM), ROM, FLASH, 자기 및/또는 광 저장 장치[예: 디스크 드라이브, 자기 테이프, CD(compact disk) 및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임의의 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3300)는 프로세서(3100)와 주변장치 간에 사이에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위 주변장치의 경우, 컴퓨터 시스템에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통신장치(3310)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장치(3310)는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수행하게 되며, 이를 위해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장치(3310)가 지원하는 통신 프로토콜로는,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IEEE 802.11a, IEEE 802.11b, IEEE 802.11g 및/또는 IEEE 802.11n 등), 블루투스, Wi-MAX,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이메일, 인스턴트 메시징 및 SMS(short message service)를 위한 프로토콜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다른 장치와의 통신 환경을 제공하는 프로토콜은 모두 포함될 수 있다.
결국, 메모리(3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광고플랫폼장치(4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310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에 메모리 인터페이스(2100)와 주변장치 인터페이스(3300)를 매개로 통신장치(1310)와 입출력장치(1320)와의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광고매체 간 광고선별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식별정보관리장치(3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3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광고플랫폼장치(4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3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발급부(310)는 통신장치(3310)을 통해 제2단말식별정보를 발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발급부(310)는 단말장치(100)에서의 서비스 페이지 접속에 따라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10)로부터 통신장치(3310)를 통해 식별정보 발급이 요청되는 경우,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10)에 대해 제2단말식별정보를 발급하고, 통신장치(3310)의 구동을 통해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10)로 하여금 발급된 제2단말식별정보를 기록정보파일로 기록하도록 한다.
수신부(320)는 통신장치(33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신부(320)는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 통신장치(33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단말식별정보의 일치를 목적으로 전달되는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수신부(320)는 단말장치(100) 내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광고부(110)를 통해서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하게 되며, 반면, 단말장치(100) 내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2광고부(120)를 통해서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변경부(330)는 단말장치(100)에 대해 발급된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변경부(33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가 수신부(320)로부터 전달되면,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에 대해 발급된 제2단말식별정보를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1단말식별정보로 변경함으로써,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제1단말식별정보로 일치시키게 된다.
아울러, 변경부(330)는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에 발급되어 있던 제2단말식별정보를 제1단말식별정보로 변경한 이후, 통신장치(3310)를 통해서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의 재접속이 확인되면,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로 하여금 변경된 제1단말식별정보를 기록정보파일에 새롭게 기록하도록 한다.
결국, 위 과정을 통해 단말장치(100) 내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는 기존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와 같이 서로 상이한 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모두가 서로 동일한 단말식별정보인 제1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광고플랫폼장치(400)와 연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관리장치(3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3000)에 따르면, 단말장치(100)에서 이용하는 광고매체마다 상이하게 발급되는 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킴으로써, 광고플랫폼장치(400)에서 광고매체 별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광고 선별을 위해 독립적으로 수집 관리되는 광고선별정보를 광고매체 간에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와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설명에 앞서, 제1광고부(110)는 광고매체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단말장치(100)의 장치식별정보(예: MDN, IMEI)를 이용하여 제1단말식별정보를 자체적으로 발급한 이후 발급된 단말식별정보를 단말장치(100) 내 저장소(예: SD 카드)에 저장한 상태이며, 제2광고부(120)는 서비스 페이지 접속에 따라 식별정보관리장치(300)에 단말식별정보의 발급을 요청하고, 식별정보관리장치(300)에서 발급된 제2단말식별정보를 기록정보파일(예: 쿠키 파일)로서 기록 관리하고 있는 상태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먼저, 판단부(130)는 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키기 위한 초기 단계로서,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이때, 판단부(130)는 제2광고부(120)의 역할을 수행하는 브라우저가 제1광고부(110)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브라우저인지, 단말장치(100)의 운영체계에서 제공하는 OS 기반 브라우저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판단부(130)는 제2광고부(120)의 역할을 수행하는 브라우저가 제1광고부(110)의 역할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브라우저인 경우,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반면, 판단부(130)는 제2광고부(120)의 역할을 수행하는 브라우저가 제1광고부(110)의 역할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과 무관한, 단말장치(100)의 운영체계가 제공하는 OS 기반의 브라우저인 경우,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140)는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이 완료되면, 위 판단 결과를 기초로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에 대한 제어 방식을 결정하여, 제1광고부(110)에 대해 발급된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광고부(120)에 대해 발급된 제2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키게 된다.
여기서, 제어 방식은, 단계 'S120' 내지 'S140'을 통한 제1 제어 방식과, 반대로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단계 'S120'과 단계 'S150' 및 'S160'을 통한 제2 제어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제1 제어 방식에 따르면,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 간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제1광고부(110)가 서비스 페이지의 접속주소정보를 제2광고부(120)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다.
이에, 제2광고부(120)는 식별정보관리장치(300)로부터 발급되어 기록정보파일로 기록되어 있는 제2단말식별정보를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광고부(110)로 전달한다(S120-S130).
그리고 나서 제1광고부(110)는 제2광고부(120)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단말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제2단말식별정보를 저장소(예: SD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제1단말식별정보와 함께 식별정보관리장치(300)에 전달함으로써, 식별정보관리장치(300)로 하여금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서로 일치시키도록 한다(S140).
이와 관련하여, 이에, 식별정보관리장치(300)에서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발급한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2광고부(120)의 제2단말식별정보를 제1단말식별정보로 변경하여 관리하게 된다.
아울러, 식별정보관리장치(300)는 제2광고부(120)에 발급되어 있던 제2단말식별정보를 제1단말식별정보로 변경한 이후,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의 재접속이 확인되면, 제2광고부(120)로 하여금 변경된 제1단말식별정보를 기록정보파일에 새롭게 기록하도록 한다.
한편, 제2 제어 방식에 따르면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 간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1광고부(110)가 서비스 페이지의 접속주소정보를 제2광고부(120)로 전달하는 것 이외에는 여타 정보 교환이 불가하게 된다.
이에, 제1광고부(110)는 애플리케이션 내 광고 선택에 따라 서비스 페이지 접속이 요구되는 경우, 서비스 페이지의 접속주소정보에, 제1단말식별정보를 파라미터로서 삽입하여 제2광고부(120)로 전달한다(S120, S150).
결국, 제2광고부(120)는 서비스 페이지의 접속주소정보에 제1단말식별정보가 파리미터로서 삽입 전달되는 경우, 수신된 제1단말식별정보를 기록정보파일로 기록되어 있는 제2단말식별정보와 함께 식별정보관리장치(300)에 전달함으로써, 식별정보관리장치(300)로 하여금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서로 일치시키도록 한다(S160).
이와 관련하여, 식별정보관리장치(3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발급한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2광고부(120)의 제2단말식별정보를 제1단말식별정보로 변경하여 관리하게 된다.
아울러, 식별정보관리장치(300)는 제2광고부(120)에 발급되어 있던 제2단말식별정보를 제1단말식별정보로 변경한 이후,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의 재접속이 확인되면, 제2광고부(120)로 하여금 변경된 제1단말식별정보를 기록정보파일에 새롭게 기록하도록 한다.
결국, 위 과정을 통해 단말장치(100) 내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는 기존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와 같이 서로 상이한 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모두가 서로 동일한 단말식별정보인 제1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광고플랫폼장치(400)와 연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각 구성의 동작 흐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1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단말장치(1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먼저, 판단부(130)는 제2광고부(120)의 역할을 수행하는 브라우저가 제1광고부(110)에서 자체적으로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브라우저인지, 단말장치(100)의 운영체계에서 제공하는 OS 기반 브라우저인지를 확인함으로써,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110).
이때, 판단부(130)는 제2광고부(120)의 역할을 수행하는 브라우저가 제1광고부(110)의 역할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기반의 브라우저인 경우,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 판단부(130)는 제2광고부(120)의 역할을 수행하는 브라우저가 제1광고부(110)의 역할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과 무관한, 단말장치(100)의 운영체계가 제공하는 OS 기반의 브라우저인 경우,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판단부(130)에서의 판단 결과가 수신되면, 위 판단 결과를 기초로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에 대한 제어 방식을 결정하여, 제1광고부(110)에 대해 발급된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광고부(120)에 대해 발급된 제2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키게 된다(S1120-S1130).
여기서, 제어 방식은, 단계 'S1130' 내지 'S1150'을 통한 제1 제어 방식과, 반대로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이루어지는 단계 'S1160' 내지 'S1190' 을 통한 제2 제어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제1 제어 방식에 따르면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 간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기 때문에, 제1광고부(110)가 서비스 페이지의 접속주소정보를 제2광고부(120)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한 다양한 정보의 교환이 가능하다.
이에, 제2광고부(120)는 식별정보관리장치(300)로부터 발급되어 기록정보파일로 기록되어 있는 제2단말식별정보를 제1광고부(100)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1광고부(110)로 전달한다(S1140).
이어서, 제1광고부(110)는 제2광고부(120)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단말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통신장치(1310)를 구동하여 수신된 제2단말식별정보를 저장소(예: SD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제1단말식별정보와 함께 식별정보관리장치(300)에 전달함으로써, 식별정보관리장치(300)로 하여금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서로 일치시키도록 할 수 있다(S1150).
다음, 제2 제어 방식에 따르면 제1광고부(110) 및 제2광고부(120) 간에는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제1광고부(110)가 서비스 페이지의 접속주소정보를 제2광고부(120)로 전달하는 것 이외에는 여타 정보 교환이 불가하게 된다.
이에, 제1광고부(110)는 하드웨어 시스템 내 입출력장치(1320)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내 광고 선택과, 서비스 페이지 접속이 요구되는 것이 확인되는 경우, 서비스 페이지의 접속주소정보에, 제1단말식별정보를 파라미터로서 삽입하여 제2광고부(120)로 전달한다(S1160-S1180).
이어서, 제2광고부(120)는 서비스 페이지의 접속주소정보에 제1단말식별정보가 파리미터로서 삽입 전달되는 경우, 하드웨어 시스템(1000) 내 통신장치(1310)를 구동하여 수신된 제2단말식별정보를 저장소(예: SD 카드)에 저장되어 있는 제1단말식별정보와 함께 식별정보관리장치(300)에 전달함으로써, 식별정보관리장치(300)로 하여금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서로 일치시키도록 할 수 있다(S1190).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장치(1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1000)에서의 동작 흐름에 따르면, 단말장치(100)에 발급된 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선별된 광고를 수신함에 있어서, 광고매체마다 상이하게 발급되는 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킴으로써, 광고플랫폼장치(400)에서 광고매체 별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광고 선별을 위해 독립적으로 수집 관리되는 광고선별정보를 광고매체 간에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관리장치(300)와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3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10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관리장치(300)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설명에 앞서, 단말장치(100) 내 제1광고부(110)에서는 광고매체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단말장치(100)의 장치식별정보(예: MDN, IMEI)를 이용하여 제1단말식별정보를 자체적으로 발급한 이후 발급된 단말식별정보를 단말장치(100) 내 저장소(예: SD 카드)에 저장한 상태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먼저, 발급부(310)는 단말장치(100)에서의 서비스 페이지 접속에 따라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10)로부터 식별정보 발급이 요청되는 경우,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10)에 대해 제2단말식별정보를 발급하여,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10)로 하여금 기록정보파일로 기록하도록 한다(S310).
그리고 나서, 수신부(32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단말식별정보의 일치를 목적으로 전달되는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한다(S320).
이때, 수신부(320)는 단말장치(100) 내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광고부(110)를 통해서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하게 되며, 반면, 단말장치(100) 내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2광고부(120)를 통해서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변경부(33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가 수신되는 경우,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에 대해 발급된 제2단말식별정보를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1단말식별정보로 변경함으로써,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제1단말식별정보로 일치시킨다(S330-S340).
나아가, 변경부(330)는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에 발급되어 있던 제2단말식별정보를 제1단말식별정보로 변경한 이후,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의 재접속이 확인되면,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로 하여금 변경된 제1단말식별정보를 기록정보파일에 새롭게 기록하도록 한다(S350).
결국, 위 과정을 통해 단말장치(100) 내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는 기존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와 같이 서로 상이한 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모두가 서로 동일한 단말식별정보인 제1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광고플랫폼장치(400)와 연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광고플랫폼장치(400)는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가 서로 동일한 단말식별정보인 제1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함에 따라,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를 동일한 단말장치(100) 내 구성으로 인지하여 서로 독립적으로 관리되는 광고선별정보를 공유 사용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관리장치(300)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 각 구성의 동작 흐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메모리(3210)에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관리장치(300) 내 각 구성은 프로세서(3100)에 의해 실행된 상태임을 전제로 하기로 한다.
먼저, 발급부(310)는 단말장치(100)에서의 서비스 페이지 접속에 따라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10)로부터 통신장치(3310)를 통해 식별정보 발급이 요청되는 경우,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10)에 대해 제2단말식별정보를 발급하고, 통신장치(3310)의 구동을 통해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10)로 하여금 발급된 제2단말식별정보를 기록정보파일로 기록하도록 한다(S3110-S3130).
그리고 나서, 수신부(320)는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 통신장치(3310)를 통해 단말장치(100)로부터 단말식별정보의 일치를 목적으로 전달되는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한다(S3140).
이때, 수신부(320)는 단말장치(100) 내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1광고부(110)를 통해서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하게 되며, 반면, 단말장치(100) 내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제2광고부(120)를 통해서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어서, 변경부(33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가 수신부(320)로부터 전달되면,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에 대해 발급된 제2단말식별정보를 단말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1단말식별정보로 변경함으로써,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를 제1단말식별정보로 일치시키게 된다(S3150-S3170).
이후, 변경부(330)는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에 발급되어 있던 제2단말식별정보를 제1단말식별정보로 변경한 이후, 통신장치(3310)를 통해서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의 재접속이 확인되면, 단말장치(100) 내 제2광고부(120)로 하여금 변경된 제1단말식별정보를 기록정보파일에 새롭게 기록하도록 한다(S3180).
결국, 위 과정을 통해 단말장치(100) 내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는 기존 제1단말식별정보와 제2단말식별정보와 같이 서로 상이한 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는 것이 아닌, 제1광고부(110)와 제2광고부(120) 모두가 서로 동일한 단말식별정보인 제1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여 광고플랫폼장치(400)와 연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관리장치(300)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하드웨어 시스템(3000) 내 동작 흐름에 따르면, 단말장치(100)에서 이용하는 광고매체마다 상이하게 발급되는 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킴으로써, 광고플랫폼장치(400)에서 광고매체 별로 단말장치(100)에 대한 광고 선별을 위해 독립적으로 수집 관리되는 광고선별정보를 광고매체 간에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단말장치(100), 식별정보관리장치(300), 및 광고플랫폼장치(400)는 메모리에 의하여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데,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단말장치(100), 식별정보관리장치(300), 및 광고플랫폼장치(400)는 또한 예컨대 이더넷 카드와 같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장치, 예컨대 RS-232 포트와 같은 직렬 통신 장치 및/또는 예컨대 802.11 카드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 장치를 외부 입출력 장치로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이러한 입출력 장치는 다른 입출력 장치로 출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드라이버 장치, 예컨대 키보드, 프린터 및 디스플레이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장치(100), 식별정보관리장치(300), 및 광고플랫폼장치(400)는 실행 시 하나 이상의 처리 장치로 하여금 전술한 기능과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명령으로는, 예컨대 JavaScript나 ECMAScript 명령 등의 스크립트 명령과 같은 해석되는 명령이나 실행 가능한 코드 혹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되는 기타의 명령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단말장치(100), 식별정보관리장치(300), 및 광고플랫폼장치(400)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단말장치에 발급된 단말식별정보를 기초로 선별된 광고를 제공함에 있어서, 단말장치에 대해 광고매체마다 상이하게 발급되는 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단말장치
110: 제1광고부 120: 제2광고부
130: 판단부 140: 제어부
200: 서비스장치
300: 식별정보관리장치
310: 발급부 320: 수신부
330: 변경부
400: 광고플랫폼장치

Claims (12)

  1. 제1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는 제1광고부;
    상기 제1광고부와는 독립적으로 제2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는 제2광고부;
    상기 제1광고부 및 상기 제2광고부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제1광고부가 단말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2광고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자체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기반 브라우저인 경우, 상기 제1광고부 및 상기 제2광고부 간에 상기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광고부 및 상기 제2광고부 간에 상기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인 상기 제1광고부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브라우저인 상기 제2광고부로부터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식별정보관리장치로 전달하도록 하여, 상기 식별정보관리장치가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키도록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는,
    상기 제1광고부가 상기 단말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2광고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무관하게 상기 단말장치에서 제공되는 브라우저인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브라우저 간에 상기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및 상기 브라우저 간에 상기 인터페이스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를 상기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되는 서비스장치의 접속주소정보에 삽입하여 상기 브라우저에 전달하도록 하며, 상기 브라우저는 상기 접속주소정보에 삽입된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와,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상기 식별정보관리장치로 전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
  6. 삭제
  7. 제1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는 제1광고부와 상기 제1광고부와는 독립적으로 제2단말식별정보를 이용하는 제2광고부를 포함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광고부 및 상기 제2광고부 간에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되, 상기 제1광고부가 상기 단말장치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며, 상기 제2광고부가 상기 애플리케이션 자체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기반 브라우저인 경우, 상기 제1광고부 및 상기 제2광고부 간에 상기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판단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1광고부 및 상기 제2광고부 간에 상기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인 상기 제1광고부가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브라우저인 상기 제2광고부로부터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식별정보관리장치로 전달하도록 하여, 상기 식별정보관리장치가 상기 제1단말식별정보 및 상기 제2단말식별정보를 일치시키도록 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장치의 동작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016215A 2015-02-02 2015-02-02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57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215A KR102357216B1 (ko) 2015-02-02 2015-02-02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CT/KR2015/013414 WO2016126001A1 (ko) 2015-02-02 2015-12-09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201580040735.XA CN106575410B (zh) 2015-02-02 2015-12-09 终端设备及其操作方法
US15/321,534 US10692110B2 (en) 2015-02-02 2015-12-09 Terminal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215A KR102357216B1 (ko) 2015-02-02 2015-02-02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779A KR20160094779A (ko) 2016-08-10
KR102357216B1 true KR102357216B1 (ko) 2022-02-03

Family

ID=56564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215A KR102357216B1 (ko) 2015-02-02 2015-02-02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92110B2 (ko)
KR (1) KR102357216B1 (ko)
CN (1) CN106575410B (ko)
WO (1) WO201612600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928B1 (ko) * 2013-03-27 2014-09-12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웹 브라우저의 식별 정보의 매칭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9599B2 (en) * 2010-10-15 2015-04-14 Cellco Partnership Technique for handling URLs for different mobile devices that use different user interface platforms
KR101689757B1 (ko) * 2010-12-17 2016-12-26 네이버 주식회사 이종 미디어 간 타겟팅 광고를 제공하는 사용자 행태 정보 수집 시스템 및 방법
CA2769775A1 (en) * 2011-03-01 2012-09-01 Weever Apps Inc.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browser-executable software program to present web page as mobile application
US9239672B2 (en) * 2011-04-20 2016-01-19 Mellmo Inc. User interface for data comparison
GB201107275D0 (en) * 2011-04-28 2011-06-15 Communigate Ltd Method of tracking software application internet downloads
US9996813B2 (en) * 2011-09-16 2018-06-12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Systems and methods for creating and using a hybrid-digital mailbox
SG11201401496UA (en) * 2011-10-14 2014-06-27 Caiwd Llc Sanitization protocol monitoring/compliance systems, apparatuses, methods, and software
KR101370555B1 (ko) * 2011-11-25 2014-03-07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 및 서버
WO2013097030A1 (en) * 2011-12-29 2013-07-04 Infinite Technologic Corporation (Itc) Multimedia device configured to provide both client and server aspects of a network service
KR101483618B1 (ko) * 2012-08-20 2015-01-19 (주)한국콘텐츠네트워크 웹페이지의 쿠키정보 및 리퍼러 기록을 이용한 광고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20140130182A1 (en) * 2012-11-02 2014-05-08 Genesismedia Llc Controlled Grant Of Access To Media Content
CN103200262B (zh) * 2013-04-02 2016-05-25 亿赞普(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网络的广告调度方法、装置及系统
KR20150029184A (ko) * 2013-09-09 2015-03-18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을 테스트하는 기법
EP2849140A1 (en) * 2013-09-13 2015-03-18 Net Entertainment NE AB System and method for secure cross-domain communication in a browser
US10146597B2 (en) * 2013-11-14 2018-12-04 Salesforce.Com, Inc. Delegating handling of computing events of a mobile device application
US9065819B1 (en) * 2013-12-23 2015-06-23 Cellco Partnership Single sign on (SSO) authorization and authentication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CN103763342B (zh) * 2013-12-27 2015-09-30 北京集奥聚合网络技术有限公司 基于运营商数据实现ad_exchange用户映射的方法和系统
US9722984B2 (en) * 2014-01-30 2017-08-01 Netiq Corporation Proximity-based authentication
US10298623B2 (en) * 2014-06-20 2019-05-21 T-Mobile Usa, Inc. Seamless web real-time communication support on mobile applian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9928B1 (ko) * 2013-03-27 2014-09-12 주식회사 다음커뮤니케이션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와 웹 브라우저의 식별 정보의 매칭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서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4779A (ko) 2016-08-10
CN106575410A (zh) 2017-04-19
US20170161785A1 (en) 2017-06-08
US10692110B2 (en) 2020-06-23
CN106575410B (zh) 2021-01-15
WO2016126001A1 (ko) 2016-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94774A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37931A (ko) 가상현실 기반으로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583346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80049008A1 (en) Platform device and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KR102276585B1 (ko) 마일리지 적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26165A (ko) 광고매체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110330A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357216B1 (ko)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098816A (ko) 식별정보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05264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123015A (ko) 데이터관리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63595B1 (ko) 광고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61890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69729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230079324A (ko) 광고 입찰 처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448893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38890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70017397A (ko) 광고 연동 처리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459295B1 (ko)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627423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570770B1 (ko) 광고 제공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466452B1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483592B1 (ko) 광고 입찰 기반 신뢰 수신자 결정 방법 및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20160112140A (ko) 광고플랫폼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20160112141A (ko) 광고입찰장치 및 그 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