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555B1 -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 및 서버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 및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555B1
KR101370555B1 KR1020110124473A KR20110124473A KR101370555B1 KR 101370555 B1 KR101370555 B1 KR 101370555B1 KR 1020110124473 A KR1020110124473 A KR 1020110124473A KR 20110124473 A KR20110124473 A KR 20110124473A KR 101370555 B1 KR101370555 B1 KR 101370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tallation
application
terminal
confirmation data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8459A (ko
Inventor
나호열
조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위즈인터넷
Priority to KR102011012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555B1/ko
Publication of KR20130058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8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60Software deployment
    • G06F8/61Insta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5/161Computing infrastructure, e.g. computer clusters, blade chassis or hardware partitio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완료를 확인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플랫폼의 종류에 관계없이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설치 데이터가 단말에 제공되기 전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확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 및 서버{THE METHOD AND SERVER FOR CONFIRMING INSTALLATION OF APPLICATION}
본 발명은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완료를 확인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바일 기기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모바일 기기에 설치되어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여 수신할 수 있는데,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는 단말에 구축된 iOS 또는 안드로이드와 같은 모바일 플랫폼의 종류에 따라 개별적으로 구축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동일한 개발사에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이라 하더라도 iOS를 기반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과 안드로이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각각 구분되며, 각 애플리케이션은 해당 모바일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저장되어 단말에 제공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은, 모바일 플랫폼에 관계없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 및 서버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설치관리 서버가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상기 설치관리 서버에 접속하면, 접속된 상기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설치확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제1 단계;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제공된 후, 상기 단말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제공된 설치확인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설치확인 데이터와 상기 설치관리 서버에서 생성된 설치확인 데이터를 비교하고, 일치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에 설치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말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여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상기 설치 데이터를 실행시켜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설치 완료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처음으로 실행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설치관리 서버에 자동으로 접속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데이터를 수신하기 전 상기 설치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설치확인 데이터를 상기 설치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를 상기 설치관리 서버로 전송한 후,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설치관리 서버가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통계를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상기 설치관리 서버에 접속하면, 접속된 상기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설치확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제1 단계;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제공된 후, 상기 단말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제공된 설치확인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현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설치 현황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통계를 산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통계를 산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말이 설치관리 서버에 접속하면, 접속된 상기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설치확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설치확인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단말로부터 설치확인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설치확인 데이터와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설치확인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에 설치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설치확인 판단부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서버를 제공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단말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단말에 설치 완료된 후, 최초로 실행 명령이 입력된 경우 설치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기능; 및 기저장되어 있는 설치확인 데이터를 접속된 상기 설치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모바일 플랫폼의 종류에 관계없이 단말에 제공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서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이 도시된 흐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접속 주소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설치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로의 접근 방법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서버에 있어서, 주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에 따라 산출된 통계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플랫폼의 종류에 관계없이 단말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설치 데이터가 단말에 제공되기 전에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확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후 최초 실행시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제공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확인 데이터가 수신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에 설치 완료되었음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컴퓨팅 단말에 설치되어 이용되는 응용프로그램을 나타내며,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설명하는 데 있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줄임말인 '어플' 또는 '앱'과 혼용하여 기재함을 명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이 도시된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시스템은, 단말(10), 네트워크(N)를 통해 상기 단말(10)과 연결되어 상기 단말(10)에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데이터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30) 및 상기 단말(10)과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30)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30)에서 제공되어 상기 단말(10)에 설치된 앱에 대한 설치 현황을 관리하는 설치관리 서버(20)를 포함한다.
상기 설치관리 서버(2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30)에 저장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데이터가 단말(10)에 제공되기 전, 상기 단말(10)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30)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해당 앱에 대한 설치확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10)에 제공한다.
상기 설치관리 서버(20)는 상기 단말(10)로부터 이전에 제공된 상기 설치 확인 데이터가 수신되면, 해당 앱이 상기 단말에 설치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이를 통계 자료로 갱신한다.
상기 설치관리 서버(2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30)로의 접속 주소에 대응하는 단축 주소를 생성하여 미리 단말(10)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단말(10)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30)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상기 설치관리 서버(20)를 중간 경로로 하여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30)는 단말(10)에 설치되어 수행 가능한 여러 애플리케이션 관련정보가 미리 등록되어 상기 단말(10)에 제공하며, 상기 단말(10)로부터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단말(10)에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데이터를 전송한다.
전술한 단말(10)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 등의 모바일 단말을 포함한다. 전술한 단말은(10), 경우에 따라서는 데스크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서버와 통신 가능한 컴퓨팅 기기로 폭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설치관리 서버(20) 및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3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Web Server) 또는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eb Application Server) 또는 왑 서버(WAP Server)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PHP, .Net, Python, Ruby 등 여하한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설치관리 서버(20) 및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30)는, 네트워크(N)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단말(10)을 포함)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설치관리 서버(20) 및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30)는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또는 이러한 컴퓨터 시스템을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설치관리 서버(20) 및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30)는, 전술한 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설치관리 서버(20) 및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30)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 또는 외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설치관리 서버(20) 및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30)는 콘텐츠,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시키고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베이스는 설치관리 서버(20) 및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3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설치관리 서버(20) 및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3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 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Apache, Nginx, Light HTTP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N)는 상기 설치관리 서버(20) 및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30)와 단말(10)을 연결해주는 망(Network)으로서, 이동 통신망이나 와이파이(WiFi) 망 등의 무선 액세스 망을 지원하는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등의 폐쇄형 네트워크 또는 인터넷(Internet)과 같은 개방형 네트워크일 수도 있다.
여기서, 인터넷은 TCP/IP 프로토콜 및 그 상위계층에 존재하는 여러 서비스, 즉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Telnet, FTP(File Transfer Protocol), DNS(Domain Name System),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SNMP(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NFS(Network File Service), NIS(Network Inform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전 세계적인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 구조를 의미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서버의 구성이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통계를 산출하는 설치관리 서버(20)는 설치확인 데이터 생성부(220), 설치완료 판단부(230) 및 서버 제어부(25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설치관리 서버(20)에는 단축주소 생성부(210), 통계 처리부(240), 주소 데이터베이스(2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설치확인 데이터 생성부(220)는 단말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해당 단말에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수단으로 설치확인 데이터를 생성한다.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는 단말이 상기 설치관리 서버(20)에 중간 접속을 하게 되면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단말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단말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접속에 대한 인증 정보와 설치될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생성된다.
이때,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로는 쿠키(cookie)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쿠키는 단말에서 특정 웹페이지를 접속할 때 생성되는 정보를 담은 임시 파일을 나타내며 인터넷 사용자들의 홈페이지 접속을 돕기 위해 만들어지는 파일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쿠키 데이터에는 설치될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 및 단말의 식별정보 또는 단말 사용자의 인증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로서 생성된 쿠키는 서버 제어부(250)에 의해 접속된 단말로 전송된다.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는 상술한 쿠키뿐만 아니라 토큰 형식의 데이터로도 생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데이터 형식은 상술한 쿠키나 토큰에 한정되지 않는다.
설치완료 판단부(230)는 설치관리 서버(20)에 접속된 단말로부터 설치확인 데이터가 수신된 경우,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를 판독하여 이전에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 생성부(220)에서 생성되어 서버 제어부(250)에 의해 상기 단말로 전송된 설치확인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이전에 상기 단말로 전송된 설치확인 데이터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에 정상적으로 설치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를 위해 상기 설치관리 서버(20)는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 생성부(220)에서 생성되어 단말에 제공된 설치확인 데이터가 저장되는 설치확인 데이터 저장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계 처리부(240)는 단말에 설치 완료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데이터를 토대로 설치 완료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통계 분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예를 들어, 일정 기간동안 특정 애플리케이션이 단말에 설치된 횟수 등을 통계로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값을 도식화하여 관리자에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현예는 첨부된 도8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플랫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버전으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각 플랫폼의 종류에 따라 단말에 설치된 횟수나 플랫폼의 종류에 관계없이 단말에 설치된 횟수를 통계로 산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애플리케이션 서버로 접속한 횟수 대비 실제로 단말에 설치가 완료된 횟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단말에 제공된 광고 매체 별로 설치완료 횟수를 산출할 수도 있다.
통계 처리부(240)는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에 포함되는 식별정보(단말 사용자의 인증정보, 단말의 식별정보, 애플리케이션 식별정보)에 따라 상술한 예를 포함한 다양한 통계 분석을 처리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250)는 설치관리 서버(2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단말이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접속된 것으로 판단한 경우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 생성부(220)에서 설치확인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제어명령을 전달하고, 생성된 설치확인 데이터가 상기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설치관리 서버(20)는 단말이 애플리케이션의 관련정보를 확인하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하여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는 과정에서, 상기 설치관리 서버(20)를 중간 경로로 하기 위한 단축 주소를 생성하여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설치관리 서버(20)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접속 주소에 대응하는 단축 주소가 저장된 주소 데이터베이스(2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 제어부(250)는 단말이 접속된 경로를 파악하여 해당 단축 주소에 대응하는 접속 주소를 따라 상기 단말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동작을 제어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서버에 있어서, 주소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단축주소 생성부(210)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로의 접속 주소에 대응하여 상술한 단축 주소를 생성하는 수단이다.
첨부된 도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로 접속하는 접속 주소는 도6의 앱스토어 서버 주소 항목에 게시된 바와 같이 20자 이상의 글자, 숫자, 특수문자 등을 포함하는 문자열로 이루어진다.
단축 주소는 상기의 문자열을 압축하여 도메인 이하의 쿼리가 5-6자를 갖도록 생성되는데, 도6을 예로 하면, 'Android'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Bugs'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의 접속 주소는 "https://market.android.com/details?id=com.neowiz.android.bugs" 가 될 수 있다. 상기 단축 주소 생성부는 상술한 'Bugs' 애플리케이션의 접속 주소를 단축시켜 'ppl.cm'을 도메인 주소로 하는 "http://ppl.cm/bugsa"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축주소 생성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최상위 도메인 주소 이하의 긴 문자열을 5자의 문자열로 줄임으로써 단말의 사용자들이 여러 웹페이지나 SNS와 같은 게시물에 게시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단축 주소 생성부(210)는 해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상위 도메인 주소 이하의 일정 수의 문자열을 생성하고 생성된 문자열을 포함한 단축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해쉬 알고리즘은 다양한 길이의 입력 열을 고정된 길이의 출력값인 해쉬 코드로 압축시키는 알고리즘으로, 입력 열과 해쉬 코드가 일대일로 매칭되므로 서로 다른 입력 열로부터 동일한 해쉬 코드가 생성되지 않는다. 상기 해쉬 알고리즘은 크게 DES와 같은 블록암호알고리즘에 기초한 해쉬알고리즘과 전용 해쉬알고리즘으로 나뉠 수 있으며, 블록암호 알고리즘에 비해 전용 해쉬암고리즘의 연산 속도가 빠르다.
상술한 해쉬 알고리즘은 상기 단축 주소 생성부(210)에서 단축 주소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인 예를 제시한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단축 주소 생성부의 동작을 개발하는 개발자에 의해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이 도시된 흐름도이다.
단말의 경우,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도록 특정 웹페이지나 다른 앱에 제공된 인터넷 주소를 따라 설치관리 서버에 접속한다.(S10)
상기 특정 웹페이지나 다른 앱에 제공된 인터넷 주소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앱의 접속 주소에 대하여 상기 설치관리 서버를 중간경로로 하여 생성된 단축 주소로서, 단말에서 상기 인터넷 주소를 선택하면 상기 설치관리 서버를 거쳐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로 접속된다.
단말은 상기 설치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확인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설치관리 서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된다.(S20, S30)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는 경로는 후술하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관련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웹페이지의 주소 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도록 제공된 페이지의 주소를 상기 접속 주소로 하여 상기 접속 주소를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된다.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서 단말에 제공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페이지에서, 단말은 설치 데이터 전송 요청 명령을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단말로부터 전송된 설치 데이터 전송 요청 명령에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로부터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데이터가 수신되며, 상기 설치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면 자동으로 상기 설치 데이터가 실행되면서 해당 어플의 설치가 실행된다.(S40)
설치가 완료된 후 설치된 어플에 대해 실행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은 상기 설치된 어플 내 포함되어 있던 주소를 따라 상기 설치관리 서버에 접속한다. 또한, 상기 설치관리 서버에 접속되면 단계 S20에서 상기 설치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설치확인 데이터를 다시 설치관리 서버로 전송한다.(S50)
상기 설치관리 서버로부터 제공받은 설치확인 데이터를 다시 상기 설치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난 후, 상기 단말은 실행 명령이 입력된 해당 어플이 실행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어플은 단계 S40에서 실행 명령이 입력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실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어플은 단말을 통해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가 설치관리 서버로 전송된 후 그대로 실행되지 않고 종료되거나 아직 수행되지 않은 상기 실행 명령에 따라 실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플이 그대로 종료된 경우에는 상기 어플에 대한 실행 명령의 재 입력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화면에 출력시킬 수 있으며, 상기 메시지의 출력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해당 어플에 대한 실행 명령이 다시 입력되면 상기 어플의 실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설치관리 서버의 측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작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단말에서 설치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어플 A'이라 가정하여 설명한다.
어플 A에 대한 단축 주소로 제공된 인터넷 주소를 따라 단말이 접속하면(S10), 설치관리 서버는 접속된 상기 단말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설치확인 데이터로 생성한다.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에 상기 어플 A가 설치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생성되는 데이터이며 상기 단말의 시리얼 넘버와 같은 고유한 식별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단말을 통해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인증 정보를 토대로도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말의 식별정보 또는 상기 단말 사용자의 인증 정보와 함께 어플 A의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관리 서버에는 상기 단축 주소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의 접속 주소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어플 A의 식별정보는 상기 단축 주소에 대응하는 접속 주소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며, 첨부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축 주소에 대응하는 접속 주소 및 앱 식별정보가 미리 상기 설치관리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경우, 상기 단축 주소에 대응하는 앱 식별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설치관리 서버는 생성된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를 상기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단축 주소에 대응하는 접속 주소를 따라 상기 단말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도록 제어한다.(S20)
단말로부터 단계 S20에서 제공한 설치확인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단말에 어플 A가 정상적으로 설치 완료된 것으로 판단한다.(S50, S60) 설치관리 서버는 상기 어플 A가 정상적으로 설치 완료된 것을 판단하기 전,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된 설치확인 데이터가 어플 A에 대해 이전에 생성하여 단말에 제공된 설치확인 데이터가 맞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어플 A가 정상적으로 설치 완료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설치관리 서버는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를 토대로 어플 A에 대한 설치현황 데이터를 생성 또는 갱신할 수 있으며, 상기 설치현황 데이터를 토대로 단말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에 대한 설치 통계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설치관리 서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계 S10 전,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저장된 어플 A에 대하여, 단말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의 어플 A에 접근할 수 있는 접속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접속 주소를 토대로 상기 설치관리 서버를 중간 경로로 하는 단축 주소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단축 주소는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제공되어 어플 A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링크 정보로서 연동하여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어플을 통해 상기 어플 A를 광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어플 A에 대한 링크 정보로서 상기 단축 주소를 제공하여 링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접속 주소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4에 도시된 웹 페이지에 포함된 애플리케이션을 어플 B라고 가정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통계를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저장된 어플 B의 접속 주소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종의 인터넷 주소, 즉 웹페이지 접속 주소(L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말이 어플 B에 대한 웹페이지 접속 주소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는 어플 B에 대한 관련정보가 게시된 웹 페이지를 상기 단말에 제공한다. 상기 웹 페이지를 통해 어플 B에 대한 설치 요청 명령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수신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는 어플 B의 설치 데이터를 상기 단말에 제공한다.
따라서, 어플 B에 대한 접속 주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어플 B에 대한 관련정보가 게시된 웹페이지 접속 주소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어플 B의 설치 데이터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저장된 위치정보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생성된 단축 주소의 경우 상기 웹페이지 접속 주소 또는 어플 B의 설치 데이터가 저장된 위치정보를 토대로 생성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접속 주소의 경우, 단말 사용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거나 용이하게 상기 접속 주소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매체에 게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축 주소 역시 상기 접속 주소와 유사하게 타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되거나 게시글에 포함되는 등 상기 접속 주소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다양한 매체를 통해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위한 접근 방법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단축주소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되어 단말에 제공될 수 있다.
즉,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단축 주소는 광고 배너(L2)의 형태로 단말에서 실행되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될 수 있다. 광고 배너(L2)의 형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포함된 경우 단말 사용자가 상기 광고 배너(L2)를 선택하면 상기 광고 배너(L2) 내에 포함되어 있던 단축 주소를 따라 상기 설치관리 서버에 접속하게 되고, 설치확인 데이터를 수신한 후, 상기 설치관리 서버의 제어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의 해당 페이지에 접속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축 주소는 인터넷 상의 웹 페이지나 SNS 서비스를 통한 게시글 내에 문자열(L3)의 형태로 표시되어 단말 사용자가 해당 문자열(L3)을 선택하면 상기 문자열(L3)에 연결되어 있는 단축 주소를 따라 상기 설치관리 서버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축 주소는 2차원 코드의 형태, 예를 들어 QR 코드(L4)의 형태로도 구현되어 단말 사용자가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상기 QR코드(L4)를 스캔하면 상기 QR코드(L4)에 포함되어 있던 단축 주소를 따라 상기 단말이 설치관리 서버에 접속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로서, 단말에서 설치관리 서버로 설치 완료를 통지하는 방법의 흐름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로부터 단말로 선택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데이터가 전송 완료되면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상기 단말에 설치된다.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애플리케이션이 단말에 설치되고 난 후, 단말 사용자가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실행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단말은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실행 명령이 입력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전 자동으로 상기 설치관리 서버에 접속된다.
이때, 상기 단말은 상기 실행 명령이 입력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저장되어 있던 설치확인 데이터를 접속한 설치관리 서버로 전송한다.
설치확인 데이터를 상기 설치관리 서버로 전송하고 나면, 상기 단말은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을 자동으로 수행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고자 하는 콘텐츠가 화면에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단말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이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완료 후 최초로 입력된 경우, 자동으로 상기 설치관리 서버에 접속하며,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명령은 이루어지지 않은 채 그대로 종료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고 그대로 종료된 경우에는 다시 실행 명령을 입력하라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단말 화면에 출력할 수 있으며, 단말 사용자로부터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실행 명령이 다시 입력되면 정상적인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이 이루어지게 된다.
설치관리 서버는 상기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로부터 설치확인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설치확인 데이터를 판독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완료를 확인하며, 수신된 설치확인 데이터를 토대로 설치현황 데이터를 생성하여 통계로 산출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에 따라 산출된 통계의 예가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관리 서버는 단축주소가 생성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상기 설치현황 데이터를 이용하여 일별 또는 월별 단말에의 설치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즉, 단말로부터 설치확인 데이터가 수신되고 설치 완료된 것을 확인할 때마다 상기 설치현황 데이터는 플랫폼에 관계없이 해당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단말 수를 증가시켜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에 포함된 단말 정보, 사용자 인증정보 등을 이용하여 국가별, 플랫폼 별, 일정 기간별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횟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도식화된 통계자료가 도출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 통계를 산출하는 방법의 경우, 단말로부터 수신되는 설치확인 데이터를 토대로 통계자료가 갱신되며,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가 완료되고 난 후 단말 사용자에 의해 실행 명령이 입력된 경우 상기 설치관리 서버로 회신되므로 실질적으로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의도하는 사용자 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말에 제공된 설치확인 데이터와 단말로부터 수신된 설치확인 데이터를 비교하여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여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명령을 전송하고, 수신된 설치 데이터를 통해 설치 완료된 후 실행되기까지 실질적인 해당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완료 비율을 산출할 수 있으므로 애플리케이션의 광고 효과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은,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에 포함되거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되거나 호환되는 프로그램일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또한,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단말의 운영체제와 호환 가능하고 단말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단말의 운영체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의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되는 iOS, 안드로이드(Android) 등의 모바일 전용 플랫폼이거나 데스크 탑 등의 일반 PC에 설치되는 윈도우(Window), 매킨토시(Macintosh) 등일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은 단말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구현한 프로그램은, 설치 완료 후 최초로 실행 명령이 입력된 경우 설치관리 서버에 접속하는 기능과, 접속된 상기 설치관리 서버로 기저장되어 있는 설치확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 등을 실행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의해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되고 컴퓨터에 의해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통계를 산출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예: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커넥션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 경우, 다수의 분산된 컴퓨터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컴퓨터는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고, 그 결과를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 중 하나 이상에 그 실행 결과를 전송할 수 있으며, 그 결과를 전송받은 컴퓨터 역시 상기에 제시된 기능들 중 일부를 실행하여, 그 결과를 역시 다른 분산된 컴퓨터들에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힐 수 있는 기록매체는, 일 예로,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미디어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Application Store Server),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Web Server)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Application Provider Server)에 포함된 저장매체(예: 하드디스크 등)이거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 그 자체일 수도 있으며, 프로그램을 기록한 다른 컴퓨터 또는 그 저장매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데스크 탑이나 노트북 등의 일반 PC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인 애플리케이션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읽을 수 있는 컴퓨터가 스마트 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및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모바일 단말기인 경우, 모바일 단말기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웹 서버 등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로부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에서 일반 PC로 다운로드 된 이후, 동기화 프로그램을 통해 모바일 단말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각각 하나의 독립적인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들의 그 일부 또는 전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하드웨어에서 조합된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갖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어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저장매체로서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설치관리 서버가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상기 설치관리 서버에 접속하면, 접속된 상기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설치확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제1 단계;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제공된 후, 상기 단말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제공된 설치확인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설치확인 데이터와 상기 설치관리 서버에서 생성된 설치확인 데이터를 비교하고, 일치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에 설치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단말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여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접속 주소에 대응하는 단축 주소를 따라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축 주소는 상기 접속 주소에 대응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광고 대상으로 하는 타 애플리케이션, 웹페이지 또는 SNS서비스를 통한 게시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
  4.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는 쿠키(cookie) 형식의 데이터로 생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
  5.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 후,
    수신된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현황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4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
  6. 삭제
  7. 삭제
  8. 단말이 설치관리 서버에 접속하면, 접속된 상기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설치확인 데이터를 생성하는 설치확인 데이터 생성부; 및
    상기 단말로부터 설치확인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설치확인 데이터와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 생성부에서 생성된 설치확인 데이터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에 설치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는 설치확인 판단부
    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서버.
  9. 청구항 9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8항에 있어서,
    단말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여 선택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접속 주소에 대응하는 단축 주소를 생성하는 단축 주소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서버.
  10. 삭제
  11. 설치관리 서버가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통계를 산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이 상기 설치관리 서버에 접속하면, 접속된 상기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단말이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고자 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정보를 토대로 설치확인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단말에 제공하는 제1 단계;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가 상기 단말에 제공된 후, 상기 단말이 상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에 접속하여 애플리케이션 관련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제어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단말로부터 상기 단말에 제공된 설치확인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설치확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현황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설치 현황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설치 통계를 산출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통계를 산출하는 방법.
KR1020110124473A 2011-11-25 2011-11-25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 및 서버 KR1013705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473A KR101370555B1 (ko) 2011-11-25 2011-11-25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 및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4473A KR101370555B1 (ko) 2011-11-25 2011-11-25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 및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459A KR20130058459A (ko) 2013-06-04
KR101370555B1 true KR101370555B1 (ko) 2014-03-07

Family

ID=4885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473A KR101370555B1 (ko) 2011-11-25 2011-11-25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 및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79559A1 (en) * 2014-06-30 2015-12-31 Google Inc. Application installation conversion and identification
KR102357216B1 (ko) 2015-02-02 2022-02-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단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678A (ko) * 2009-08-20 2011-02-28 브이피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20110067357A (ko) * 2009-12-14 2011-06-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멤버쉽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9678A (ko) * 2009-08-20 2011-02-28 브이피 주식회사 이동단말기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KR20110067357A (ko) * 2009-12-14 2011-06-2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멤버쉽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시스템, 장치 및 이동통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8459A (ko) 2013-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0487B2 (en) System and method to share content utilizing universal link format
US9264435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access solutions to wireless and wired networks
US9563613B1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 portable document file generation
US201603642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de virtualization and remote process call generation
US201403729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ed software development kit (sdk) generation
CN104584480A (zh) 用于应用安全验证的云协助方法及服务
JP2018530090A (ja) 可変ブラウザ識別子のセッションベースのマッチング
CN109983751B (zh) 管理设备的管理服务迁移
EP2860684A1 (en) Server device, server program, and game program
US11004054B2 (en) Updating account data for multiple account providers
CN113572752A (zh) 异常流量的检测方法和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
KR101370555B1 (ko)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확인하는 방법 및 서버
CN108848077A (zh) 应用程序的登录方法和装置
KR101437943B1 (ko) 스마트 플랫폼 장치,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101328118B1 (ko) 비밀 데이터 기반 로그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369459B1 (ko) 게임 기록을 관리하는 방법, 서버, 단말기 및 기록매체
US9424552B2 (en) Managing website registrations
CN110572417B (zh) 用于提供登录票据的方法、装置、服务器以及存储介质
KR101623005B1 (ko) 애플리케이션 구동 방법, 단말 장치, 서비스 시스템 및 기록매체
CN111275563A (zh) 基于微信动作的人脉关系的生成方法、系统及存储介质
KR101591794B1 (ko) 통합 채널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기록매체
KR101443825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 및 시스템
KR101360095B1 (ko) 스마트 폰을 이용한 사용자 자동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1390348B1 (ko)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방법, 단말기, 서버 및 기록매체
KR101395074B1 (ko) 사용자 단말기 및 이에 설치된 플랫폼 기반 애플리케이션 간 정보 공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