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905B1 - Folding chair - Google Patents

Folding 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905B1
KR102356905B1 KR1020200019392A KR20200019392A KR102356905B1 KR 102356905 B1 KR102356905 B1 KR 102356905B1 KR 1020200019392 A KR1020200019392 A KR 1020200019392A KR 20200019392 A KR20200019392 A KR 20200019392A KR 102356905 B1 KR102356905 B1 KR 1023569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leg part
folding chair
fixing part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93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04968A (en
Inventor
이정은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193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905B1/en
Publication of KR20210104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96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9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47C4/045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foldable side to side on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4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 A47C3/045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with tipping-up seat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의 다리부를 펼쳐서 흔들림 없이 사용하기 위해 등변 사다리꼴 형태로 펼쳐지며, 다리부의 펼침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자석 고정부 및 띠 고정부를 사용하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또한, 의자를 사용 시 사용자의 동작을 간소화하기 위해 발을 사용하여 펼침이 가능하며, 의자 사용 후 정리 시 부피를 최소화하고 이동성이 용이한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lding chair using a magnet fixing part and a band fixing part that is spread out in an isosceles trapezoid shape for use without shaking the leg part of the chair, and for maintaining the spread shape of the leg part.
In addition, to simplify the user's motion when using the chair, it is possible to unfold it using the feet, and it provides a folding chair that minimizes the volume and is easy to move when cleaning up after using the chair.

Description

접이식 의자{Folding chair}Folding chair{Folding chair}

본 발명은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 사용시에는 접어진 상태로 보관 및 이동이 편리하도록 하는 접이식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chair,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ing chair for convenient storage and movement in a folded state when not in use.

최근 홈퍼니싱 시장 및 인테리어 시장의 활성화로 인하여 다양한 형태의 가구가 디자인되고 있으며, 사용자의 환경 및 동선 등을 고려하여 사용이 용이하면서 간단한 형태와 디자인적인 요소가 가미된 접이식 의자가 고안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types of furniture are being designed due to the activation of the home furnishing market and the interior market, and a folding chair with a simple shape and design elements is devised while being easy to use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environment and movement.

특히, 1인 가구와 소가족 형태의 가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대상 세대들로 하여금 작은 평수의 소형 주택이 증가함에 따라 가구의 공간활용도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In particular, single-person households and small-family-type households are increasing, and as the number of small-sized houses with a small sqm for the target generation increases, the need for space utilization of households is required.

또한, 소형 주택뿐만 아니라 대량의 의자를 사용하면서 정리 후 부피를 많이 차지하지 않도록 하거나, 의자를 필요에 따라 이동이 용이하도록 사용하고 있는 체육관, 강당, 공연장, 행사장 등의 시설에서도 공간 내 의자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수납하기 위한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not only in small houses, but also in facilities such as gyms, auditoriums, performance halls, and event halls that use a large number of chairs so that they do not occupy a lot of space after organizing, or where chairs are used to move easily as needed There is a need for use and storage as

상술한 바와 같이 가구 내 사용 및 보관이 용이한 접이식 의자는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2791호(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에 공개되어 있다. 선행기술은 쿠션부, 등받이부가 연결되어 접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하단의 다리부가 내부로 접히도록 구성되어 있다.As described above, a folding chair that is easy to use and store in furniture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7-0032791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which is a prior art document. The prior art has a structure in which a cushion part and a backrest part are connected and folded, and the lower leg part is configured to be folded inward.

상기 선행기술은 사용자가 의자를 사용시 평행한 형태의 다리부가 내부로 접힐 수 있는 문제가 있으며, 좌우 하중에 따른 의자의 흔들림이 발생 가능성이 커 의자 사용 시 안전상의 문제가 있다.In the prior art, when a user uses a chai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egs of the parallel shape can be folded inside, and there is a safety problem when using the chair becaus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chair shakes depending on the left and right loads.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의자를 펼치거나 접기 위해 다단계의 구분 동작으로 움직임이 발생하여 사용자가 한 번의 동작으로 의자를 설치가 어려우며, 의자를 사용 후 정리하거나 이동시 편의성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problems in that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install a chair in one operation because movement occurs in multi-step division operations to unfold or fold the chair, and the convenience is insufficient when organizing or moving the chair after using it.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32791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7-003279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의자의 다리부를 펼쳐서 흔들림 없이 사용하기 위해 등변 사다리꼴 형태로 펼쳐지며, 다리부의 펼침 형태를 유지하기 위한 자석 고정부 및 띠 고정부를 사용하는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lding chair using a magnet fixing part and a band fixing part to spread the leg part of the chair in an isosceles trapezoid shape to use it without shaking, and to maintain the unfolded shape of the leg part. .

또한, 의자를 사용 시 사용자의 동작을 간소화하기 위해 발을 사용하여 펼침이 가능하며, 의자 사용 후 정리 시 부피를 최소화하고 이동성이 용이한 접이식 의자를 제공한다.In addition, to simplify the user's motion when using the chair, it is possible to unfold it using the feet, and it provides a folding chair that minimizes the volume and is easy to move when cleaning up after using the chair.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는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 및 보관 시 부피를 감소시키는 접이식 의자로서,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후면에 결합된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하단 좌측에 결합된 제1 다리부, 상기 등받이부의 하단 우측에 결합된 제2 다리부, 상기 쿠션부 전면 양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자석 고정부, 상기 제1다리부 및 제2 다리부를 연결하는 띠 고정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folding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olding chair that reduces the user's ease of use and volume during storage. part, a second leg part coupled to the lower right side of the backrest part, a magnet fixing part formed at both corners of the front side of the cushion part, and a band fixing part connecting the first leg part and the second leg part. .

여기서, 상기 쿠션부는 상기 등받이 부와 양측 모서리가 결합한 형태로, 전면으로 올 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등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며, 전면 양쪽 빗면에 상기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를 고정하기위한 상기 자석 고정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cushion part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backrest part and both corners are combined, and is formed in an isosceles trapezoid shape that gradually becomes narrower as it approaches the front, and for fixing the first leg part and the second leg part to both sides of the front inclined surfac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gnetic holding part.

여기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부 중심에 이동형 손잡이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좌측 및 우측 하단에 상기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가 결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backrest par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ovable handle in the upper center, and the first leg part and the second leg part may be coupled to the left and right lower parts.

여기서, 상기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는 상기 등받이부와 결합 되어 있는 부분을 축으로 부채꼴 형태로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자석 고정부와 결합이 가능한 금속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first leg portion and the second leg portion may be movable in a sectoral shape with respect to a portion coupled to the backrest portion as an axis, and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etal portion capable of being coupled to the magnet fixing portion.

여기서, 상기 자석 고정부는 상기 쿠션부의 등변 사다리꼴 전면의 빗면 부분에 형성되며, 양쪽이 대칭된 형태로 상기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가 부채꼴 형태로 이동하여 펼쳐짐에 따라 금속부와 맞닿아 결합 되도록 하단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magnet fixing part is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equilateral trapezoid of the cushion part, and the first leg part and the second leg part move in a sectoral shape so that both sides are symmetrical, so that the first leg part and the second leg part come into contact with the metal part as they are spread out. It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to the lower end.

여기서, 상기 띠 고정부는 웨빙, 나일론, 천, 접철식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의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부채꼴 형태로 회전하여 형성된 상기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의 전면의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양측 다리부의 간격을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band fixing part may be made of a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ebbing, nylon, cloth, and foldable metal, and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on the front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legs formed by rotating in a sectoral shap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legs on both sid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는, 의자의 다리부를 펼쳐서 흔들림 없이 안정감 있는 사용환경을 제공하며, 다리부의 펼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자석 고정부, 띠 고정부를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고정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folding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able use environment without shaking by spreading the leg part of the chair, and it is stably fixed using a magnet fixing part and a band fixing part for maintaining the open state of the leg part There is a possible effect.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는, 사용자의 동작을 간소화하기 위해 발을 활용하여 펼침이 가능하며, 의자 사용 후 정리 시 부피를 최소화하고 이동성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folding chai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nfolded by using the feet to simplify the operation of the user, and has the effect of minimizing the volume and facilitating mobility when organizing the chair after use.

도 1은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의 펼쳐진 외형을 나타낸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의 접힘 형상을 나타낸 상태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의 접어놓은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의 접어놓은 상태의 배면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state in which an unfolded appearance of a folding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Figure 2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folded shape of the folding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folded state of the folding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ar view of the folding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olded state.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 예들을 당해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더욱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addition, various embodiments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e shapes and sizes of element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의 펼쳐진 외형을 나타낸 상태의 정면도이다.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unfolded external appearance of the folding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의 접힘 형상을 나타낸 상태의 좌측면도이다.Figure 2 is a left side view of a state showing the folding shape of the folding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의 접어놓은 상태의 정면도이다.Figure 3 is a front view of the folded state of the folding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의 접어놓은 상태의 배면도이다.4 is a rear view of the folding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folded stat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의자는 쿠션부(100), 상기 쿠션부(100) 후면에 결합된 등받이부(200), 상기 등받이부 하단 좌측에 결합된 제1 다리부(300), 상기 등받이부 하단 우측에 결합된 제2 다리부(310), 상기 쿠션부(100) 전면부 양측 모서리에 형성되는 자석 고정부(400), 상기 제1 다리부(300) 및 제2 다리부(310)를 연결하는 띠 고정부(50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 the folding chai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ushion unit 100 , a backrest unit 200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ushion unit 100 , and a first leg coupled to the lower left side of the backrest unit. The part 300, the second leg part 310 coupled to the lower right side of the backrest part, the magnet fixing part 400 formed at both corners of the front part of the cushion part 100, the first leg part 300, and and a band fixing part 500 connecting the second leg part 310 .

도 1, 도2를 참조하면, 쿠션부(100)는 상기 등받이부(200)와 양측 모서리가 결합한 형태로, 전면으로 올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등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다리부(300) 및 제2 다리부(310)가 펼쳐짐에 따라 상기 쿠션부(100)의 전면부가 들어올려 진다.1 and 2, the cushion part 100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backrest part 200 and both corners are combined, and is formed in an isosceles trapezoidal shape that gradually narrows as it approaches the front, and the first leg part ( 300) and as the second leg part 310 is unfolded, the front part of the cushion part 100 is lifted.

상기 쿠션부(100)는 의자에 앉을 때 쾌적감을 주기 위한 방석으로, 사용자가 편안하고 안락함을 느끼기 위한 소재로 겉감과 속감을 형성한다. 상기 쿠션부(100)의 섬유로는 기모가공, 웨빙, 나일론, 라이렉스, 라이크라, 망사, 면, 매쉬, 스판덱스, 실켓가공, 아크릴, 울, X-휠, 쭈리, 카드사, 코마사, 특양면, 티씨, 패딩, 폴라프리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피케, 개버린, 거즈, 골무늬 니트, 노다림, 노케미컬 클로버, 니커 피에스, 더블니트, 듀스포, 라메, 라셀 니트, 마, 마틀라세, 매키나크, 맬틴, 면 16수 싱글, 면 30수 미니쥬리, 면 30수 싱글 스판, 면 20수 피케이, 면 20수 싱글, 면 20수 싱글 실켓가공, 면 30수 싱글실켓, 면 30수 쥬리, 면 30수 특양면, 면 30수 피케이 실켓, 면 30수 후라이스, 면 40수 양면, 무아레, 미모사, 밀렉스, 밀키직물, 바이엑스, 벌랩, 벨루어, 벨베틴, 벨벳, 변화이랑직, 브로케이드, 브로드 크로스, 사이로스폰, 사이로필, 샤크스킨, 샹브레이, 서라, 서지, 셀티마, 소티나, 소니유사, 스트레치, 시레, 시어서커, 아이텍스, 아쿠아셀, 양면스웨드 및 엘라스틱터치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섬유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의 무게 및 표면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플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ushion unit 100 is a cushion for giving a feeling of comfort when sitting in a chair, and forms an outer and an inner material with a material for a user to feel comfortable and comfortable. As the fibers of the cushion part 100, raised processing, webbing, nylon, ryrex, lycra, mesh, cotton, mesh, spandex, silk processing, acrylic, wool, X-wheel, zuli, card yarn, coma, special cotton, TCC, padding, polar fleece, polyester, polyurethane, pique, gabarn, gauze, ribbed knit, nodarim, no chemical clover, kneecaps, double knit, dupo, lamé, racell knit, hemp, matelass, Mackinac, Maltin, 16 counts single, 30 counts mini juri, 30 counts single span, 20 counts PK, 20 counts singles, 20 counts single yarn processing, 30 counts cotton single silk, 30 counts juri, 30 counts of cotton special cotton, 30 counts of cotton PK silket, 30 counts of cotton fried rice, 40 counts of double sided, moire, mimosa, milex, milky fabric, BYX, burlap, velor, velvetine, velvet, velvet, brocade fabric, brocade , Broadcross, Pyrospawn, Pyrophil, Sharkskin, Chambray, Seora, Serge, Celtima, Sotina, Sony Usa, Stretch, Syre, Seersucker, Itex, Aquacell, Double-sided suede, Elastic touch, etc. It may be any one fiber selected from.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use polyester in order to prevent the weight and surface contamination of the folding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등받이부(200)는 상부 중심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손잡이(210)를 포함하고 있으며 좌측 및 우측 하단으로 상기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와 결합 되어 있다.The backrest 200 includes a handle 210 in the upper center for easy movement, and is coupled to the first leg and the second leg at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상기 등받이부(200)는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의 이동성 및 중량을 가볍게 하기 위한 소재로 구성되거나, 이물이 묻어도 오염이 되지 않으며, 이물을 닦아냄만으로 세척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등받이부(200) 소재는 폴리스타이렌, 폴리염화비닐, 플리메틸아크릴레이트, 스타이렌-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폴리페닐에터, 폴리에스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액정고분자, 폴리에터에터케톤, 폴리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설폰, 폴리아릴레이트, 페놀수지, 폴리우레탄, 에폭시수지, 멜라민수지, 실리콘수지, 불포화폴리에스터, 비닐에스터, 포름알데이드 축합수지, 폴리올레핀, 폴리케톤 및 불소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의 등받이부(200)의 중량이 가벼우며, 변형이 적은 소재를 고려할 경우 가장 많은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소재로 용기나 가구에 많이 사용되는 폴리프로필렌이 바람직하다. The backrest 200 may be made of a material for lightening the mobility and weight of the folding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made of a material that is not contaminated even if it is smeared with a foreign material, and can be washed only by wiping the foreign material. The material of the backrest 200 is polystyrene, polyvinyl chloride, polymethyl acrylate, styrene-acrylat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amide, polycarbonate, polyacetal, Polyphenyl ether, polyester, polyphenylene sulfide, liquid crystal polymer, polyether ether ketone, polyimide, aromatic polyamide, polyethyleneimine, polysulfone, polyarylate, phenolic resin, polyurethane, epoxy resin, melamine It may be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resins, silicone resins, unsaturated polyesters, vinyl esters, formaldehyde condensation resins, polyolefins, polyketones, and fluoropolymers. Considering that the weight of the backrest 200 of the folding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ght and the deformation is small, it is preferable to use polypropylene as a plastic material that is used for most purposes and is widely used in containers and furniture.

도 1, 도 2,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다리부(300) 및 제2 다리부(310)는 상기 등받이부(200)와 결합 되어 있는 부분을 축으로 전면 방향으로 부채꼴 형태로 이동하며, 상세하게는 등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상기 쿠션부(100)의 전면 방향 양쪽 빗면에 형성된 상기 자석 고정부(400)까지 회전하여 이동한다. 상기 제1 다리부(300) 및 제2 다리부(310)는 상기 자석 고정부(400)에 고정하기 위해 전면 상부 모서리에 바깥 방향으로 금속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1, 2, and 4, the first leg part 300 and the second leg part 310 move in a sectoral shape in the fro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rt coupled to the backrest part 200 as an axis. In detail, it rotates and moves up to the magnet fixing part 400 formed on both inclined surfaces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cushion part 100 formed in an isosceles trapezoidal shape. The first leg part 300 and the second leg part 310 may include a metal part 320 in an outward direction at an upper front corner to be fixed to the magnet fixing part 400 .

상기 제1 다리부(300) 및 제2 다리부(310)는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 사용자의 하중을 지탱해야 하는 부분으로 내구성이나, 강성, 변형이 적은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다리부(300) 및 제2 다리부(310)의 소재는 폴리스타이렌, 폴리염화비닐, 플리메틸아크릴레이트, 스타이렌-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뷰타다이엔-스타이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세탈, 폴리페닐에터, 폴리에스터, 폴리페닐렌설파이드, 액정고분자, 폴리에터에터케톤, 폴리이미드, 방향족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이민, 폴리설폰, 폴리아릴레이트, 페놀수지, 폴리우레탄, 에폭시수지, 멜라민수지, 실리콘수지, 불포화폴리에스터, 비닐에스터, 포름알데이드 축합수지, 폴리올레핀, 폴리케톤 및 불소중합체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의 상기 제1 다리부(300) 및 제2 다리부(310)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한 변형이 작으며 성형성이 좋은 폴리프로필렌, 방향족 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하다.The first leg part 300 and the second leg part 310 are parts that have to support the load of the user of the folding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aterial having low durability, rigidity, and deformation may be used. The material of the first leg part 300 and the second leg part 310 is polystyrene, polyvinyl chloride, polymethyl acrylate, styrene-acrylat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ethylene, poly Propylene, polyamide, polycarbonate, polyacetal, polyphenyl ether, polyester, polyphenylene sulfide, liquid crystal polymer, polyether ether ketone, polyimide, aromatic polyamide, polyethyleneimine, polysulfone, polyarylate , phenol resin, polyurethane, epoxy resin, melamine resin, silicone resin, unsaturated polyester, vinyl ester, formaldehyde condensation resin, polyolefin, polyketone, and may be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luoropolymers. The first leg part 300 and the second leg part 310 of the folding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ferably made of polypropylene or aromatic polyamide having good moldability and small deformation due to a user's load.

상기 금속부(320)는 상기 제1 다리부(300) 및 제2 다리부(310)의 바깥면 방향으로 형성되며 맞닿은 상기 자석 고정부(400)에 부착되기 위해 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etal part 320 is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s of the first leg part 300 and the second leg part 310 and it is preferable to use iron to be attached to the magnet fixing part 400 in contact.

상기 자석 고정부(400)는 상기 제1 다리부(300) 및 제2 다리부(310)의 금속부(320)에 맞닿은 부분에 형성되며, 등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상기 쿠션부(100)의 전면의 하단 방향으로 빗면에 평행하게 돌출되어 양쪽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내측면으로 자석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자석 고정부(400)는 상기 제1 다리부(300) 및 제2 다리부(310)가 펼쳐진 후 금속부(320)와 부착되어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접이식 의자를 들어올렸을 때 상기 제1 다리부(300) 및 제2 다리부(310)가 고정되어 있도록 형성 한다.The magnet fixing part 400 is formed in a portion in contact with the metal part 320 of the first leg part 300 and the second leg part 31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cushion part 100 formed in an isosceles trapezoidal shape. It is formed to protrude parallel to the inclined plane toward the bottom of the pole and to be symmetrical on both sides, and includes a magnet as the inner surface. Since the magnet fixing part 400 is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metal part 320 after the first leg part 300 and the second leg part 310 are unfolded, when the folding chair is lifted, the first The leg part 300 and the second leg part 310 are formed to be fixed.

상기 자석 고정부(400)의 형성된 자석 소재는 사마륨자석, 스칸듐자석, 이트륨자석, 네오디뮴자석, 페라이트자석 및 고무자석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의 자석 고정부(400)는 의자가 펼쳐진 후 근거리 이동이나, 펼치는 과정에서 다시 접힘을 방지하기 위해 네오디뮴자석이 바람직하다.The magnet material formed of the magnet fixing part 400 may be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amarium magnet, a scandium magnet, a yttrium magnet, a neodymium magnet, a ferrite magnet, and a rubber magnet. The magnet fixing part 400 of the folding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 neodymium magnet in order to prevent short-distance movement after the chair is unfolded, or folding again in the unfolding process.

도 1,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띠 고정부(500)는 상기 제1 다리부(300) 및 제2 다리부(310)의 움직임에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다리부(300) 및 제2 다리부(310)의 폭을 유지하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양측 다리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1 and 4, the band fixing part 500 is formed to be folded or unfolde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leg part 300 and the second leg part 310, and the first leg part ( 300) and the second leg portion 310 is formed to be fixed to both leg portions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to maintain the width.

상기 띠 고정부(500)는 펼쳐진 상기 제1 다리부(300) 및 제2 다리부(310)의 벌어지려는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이 없는 소재여야 하며, 상기 제1 다리부(300) 및 제2 다리부(310)의 접힘 시 끊어짐 없이 중첩 부위에 존재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띠 고정부(500)의 섬유로는 기모가공, 웨빙, 나일론, 라이렉스, 라이크라, 망사, 면, 매쉬, 스판덱스, 실켓가공, 아크릴, 울, X-휠, 쭈리, 카드사, 코마사, 특양면, 티씨, 패딩, 폴라프리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피케, 개버린, 거즈, 골무늬 니트, 노다림, 노케미컬 클로버, 니커 피에스, 더블니트, 듀스포, 라메, 라셀 니트, 마, 마틀라세, 매키나크, 맬틴, 면 16수 싱글, 면 30수 미니쥬리, 면 30수 싱글 스판, 면 20수 피케이, 면 20수 싱글, 면 20수 싱글 실켓가공, 면 30수 싱글실켓, 면 30수 쥬리, 면 30수 특양면, 면 30수 피케이 실켓, 면 30수 후라이스, 면 40수 양면, 무아레, 미모사, 밀렉스, 밀키직물, 바이엑스, 벌랩, 벨루어, 벨베틴, 벨벳, 변화이랑직, 브로케이드, 브로드 크로스, 사이로스폰, 사이로필, 샤크스킨, 샹브레이, 서라, 서지, 셀티마, 소티나, 소니유사, 스트레치, 시레, 시어서커, 아이텍스, 아쿠아셀, 양면스웨드 및 엘라스틱터치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섬유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의 사용 환경에 따라 끊김이 없이 접힘이 가능한 웨빙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and fixing part 500 should be made of an inelastic material to prevent the unfolded movement of the first leg part 300 and the second leg part 310 from spreading, and the first leg part 300 and The second leg part 310 is formed so as to be present at the overlapping portion without being broken when the second leg part 310 is folded. The fibers of the band fixing part 500 include raised processing, webbing, nylon, ryrex, lycra, mesh, cotton, mesh, spandex, silk processing, acrylic, wool, X-wheel, zuli, card thread, coma, special cotton , TCC, Padding, Polar fleece, Polyester, Polyurethane, Pique, Gavery, Gauze, Corrugated knit, No Darim, No chemical clover, Knicker Pies, Double knit, Duspo, Lame, Lassel knit, Hemp, Matlasse , McKinark, Maltin, 16 counts single, 30 counts mini juri, 30 counts single span, 20 counts PK, 20 counts singles, 20 counts single silk processing, 30 counts single silkette, 30 counts juri , 30 counts of cotton special cotton, 30 counts of cotton PK silket, 30 counts of cotton fried rice, 40 counts of both sides, moire, mimosa, millex, milky fabrics, BYX, burlap, velour, velvetin, velvet, change yarn fabric, Brocade, Broad Cross, Pyrospawn, Pyrofil, Sharkskin, Chambray, Sura, Serge, Celtima, Sotina, Sony Usa, Stretch, Syre, Seersucker, Itex, Aquacell, double-sided suede and elastic touch. It may be any one fiber selected from the group.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use a webbing that can be folded without interruption according to the usage environment of the folding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자가 양손을 사용하는 동작을 하지 않고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10)를 잡고 의자의 후면에 서서 발을 사용하여 절첩 되어 있는 상기 제1 다리부(300) 및 제2 다리부를 전면 방향으로 밀어 설치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접이식 의자는 사용이 끝난 후 상기 제1 다리부(300) 및 제2 다리부(310)를 발을 사용하여 펼침의 반대 방향으로 접거나, 후면에 서서 상기 제1 다리부(300) 및 제2 다리부(310) 사이에 발을 사용하여 상기 끈 고정부(500)를 후면 방향으로 당겨 의자를 접을 수 있다. 상기 제1 다리부(300) 및 제2 다리부(310)의 절첩 되는 순서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접을 수 있다. 1 and 2 , in order to use the folding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holds the handle 210 without the user using both hands in order to use the folding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r stands at the back of the chair and folds using the feet. Installation is possible by pushing the first leg part 300 and the second leg part in the front direction. After use of the folding 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eg part 300 and the second leg part 310 are fol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unfolding direction using the feet, or the first leg part 300 is standing at the rear side. And the chair can be folded by pulling the string fixing part 500 in the rear direction using a foot between the second leg parts 310 . The folding order of the first leg part 300 and the second leg part 310 may be folded according to the user's convenience.

100: 쿠션부 200: 등받이부
210: 손잡이 300: 제1 다리부
310: 제2 다리부 320: 금속부
400: 자석 고정부 500: 띠 고정부
100: cushion part 200: backrest part
210: handle 300: first leg portion
310: second leg part 320: metal part
400: magnetic fixing part 500: band fixing part

Claims (7)

접이식 의자로서,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후면에 결합된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의 하단 좌측에 결합된 제1 다리부;
상기 등받이부의 하단 우측에 결합된 제2 다리부;
상기 쿠션부 전면부 상단 양측에 형성되는 자석 고정부; 및
상기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를 연결하는 띠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띠 고정부는 웨빙, 나일론, 천, 접철식금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회전에 의해 상기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의 움직임에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띠 고정부는 상기 자석 고정부에 부착된 상기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의 폭을 유지하도록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양측 다리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띠 고정부를 후면방향으로 당겨 의자를 접고,
상기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는 상기 등받이부와 결합 되어 있는 부분을 축으로 전면 방향으로 부채꼴 형태로 이동하며, 등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상기 쿠션부의 전면 방향 양쪽 빗면에 형성된 상기 자석고정부까지 회전하여 상기 자석 고정부에 부착하기 위한 금속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자석 고정부는 등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상기 쿠션부의 전면에 하단 방향으로 돌출되어 양쪽 빗면에 상기 제1 다리부 및 제2 다리부의 금속부와 결합하기 위해, 내측으로 자석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As a folding chair,
cushion unit;
a backrest unit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ushion unit;
a first leg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left side of the backrest portion;
a second leg portion coupled to the lower right side of the backrest portion;
Magnet fixing part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end of the cushion part; and
and a band fixing part connecting the first leg part and the second leg part,
The band fix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ny one material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webbing, nylon, cloth, and foldable metal, and is formed to be folded or unfolded by the movement of the first leg part and the second leg part by rotation,
The band fixing part is formed so as to be fixed to both leg parts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ground to maintain the width of the first leg part and the second leg part attached to the magnet fixing part, and pulls the band fixing part in the rear direction. fold the chair,
The first leg part and the second leg part move in a sectoral shape in the fro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art coupled to the backrest part, and rotate to the magnet fixing part formed on both oblique surfaces of the front direction of the cushion part formed in an isosceles trapezoidal shape. It is formed to include a metal part for attaching to the magnet fixing part,
The magnet fixing part protrudes in the downward direction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cushion part formed in an isosceles trapezoid shape, and a magnet is attached to the inside to engage the metal parts of the first leg part and the second leg part on both inclined surfaces. folding ch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후면에 상기 등받이부와 양측 모서리가 결합한 형태로, 전면으로 올수록 폭이 점차 좁아지는 등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According to claim 1,
Folding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cushion portion is formed in a form in which the backrest portion and both edges are combined on the rear surface, and is formed in an isosceles trapezoidal shape whose width gradually narrows toward the front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는 상부 중심에 이동형 손잡이를 포함하고 있으며, 좌측 및 우측 하단에 상기 제1 다리부와 제2 다리부가 결합 되어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의자.
According to claim 1,
The folding chair, characterized in that the backrest includes a movable handle at the center of the upper portion, and is formed such that the first leg portion and the second leg portion are coupled to the lower left and right sid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19392A 2020-02-18 2020-02-18 Folding chair KR1023569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392A KR102356905B1 (en) 2020-02-18 2020-02-18 Folding 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9392A KR102356905B1 (en) 2020-02-18 2020-02-18 Folding 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968A KR20210104968A (en) 2021-08-26
KR102356905B1 true KR102356905B1 (en) 2022-01-28

Family

ID=77465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9392A KR102356905B1 (en) 2020-02-18 2020-02-18 Folding 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90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897B1 (en) 2022-05-16 2023-05-12 주식회사 디자인칼라스 Collasible Chai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2582A (en) * 2001-09-28 2003-04-08 Haruo Yamatani Entrance bench
JP2016112100A (en) * 2014-12-12 2016-06-23 有限会社高橋木工製作所 Support base opening/closing structure and stool bas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4465B1 (en) * 2008-06-20 2010-11-18 유진곤 A Chair Set Which Is Easily Arranged
KR20170032791A (en) 2015-09-15 2017-03-23 김서연 Lawn chai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02582A (en) * 2001-09-28 2003-04-08 Haruo Yamatani Entrance bench
JP2016112100A (en) * 2014-12-12 2016-06-23 有限会社高橋木工製作所 Support base opening/closing structure and stool b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968A (en)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6905B1 (en) Folding chair
US20120283070A1 (en) Treadmill foldable into a chair
GB2425714A (en) Vacuum cleaner with power cord support
US11737556B1 (en) Freestanding folding table
US20130278037A1 (en) Chair with collapsible seat back
CN201403851Y (en) Portable folding chair
JP6806620B2 (en) Length adjustment mechanism
WO2011037808A1 (en) Convertible seating device
KR101371828B1 (en) A bumper bed
US20090038174A1 (en) Kitchen utensil dryer
EP1266062A1 (en) A steering or lifting mechanism
KR101705771B1 (en) Multifunction Household iron-board
EP2739185A1 (en) An offset pyramid hinge folding chair
KR200466113Y1 (en) Portable baby-sleeping bag with high serviceability
KR102289762B1 (en) Mouse-pad integral mouse
KR101927895B1 (en) Ironing board used both as a whole body mirror
KR101479430B1 (en) Laundry basket
KR101004398B1 (en) Folding Apparatus for simplicity desk
CN204909242U (en) Collapsible foot basin
EP2389092B1 (en) Dish-shaped object with a dishcloth for placement in a dishwasher
CA2913300C (en) A frame structure of simple chair
KR20130079727A (en) Chair embodied with locking apparatus of seat folding
KR102384886B1 (en) Rotatable articulation device and wheelchair containing the same
KR200492440Y1 (en) Chairs available for both adults and infants
KR200435610Y1 (en) Ch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