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440Y1 - Chairs available for both adults and infants - Google Patents

Chairs available for both adults and inf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440Y1
KR200492440Y1 KR2020190002037U KR20190002037U KR200492440Y1 KR 200492440 Y1 KR200492440 Y1 KR 200492440Y1 KR 2020190002037 U KR2020190002037 U KR 2020190002037U KR 20190002037 U KR20190002037 U KR 20190002037U KR 200492440 Y1 KR200492440 Y1 KR 2004924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support
seating plate
coupling portio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03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대
Original Assignee
김성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대 filed Critical 김성대
Priority to KR20201900020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440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4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440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2Children's chairs adjustable
    • A47D1/004Children's chairs adjustable in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1Detachable or loose seat cush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6Children's chairs dismount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08Children's chairs with trays
    • A47D1/0081Children's chairs with trays adjustable

Abstract

성인과 소아 의자의 전환이 매우 간편한 동시에 그 조작성이 단순하고 견고하도록 하여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간단한 구조를 통해 디자인의 제약을 크게 감소시켜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를 제공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는, 제1 면에 성인이 앉을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에 소아가 앉을 수 있는 소아용 의자를 갖는 안착 플레이트; 및 안착 플레이트를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안착 플레이트가 지지부와 전부 또는 일부 탈착 가능한 동시에 제1 면 및 제2 면 중 어느 한 면이 지지부와 고정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지지부의 내부에는 소아용 의자를 포함하는 의자 수용부가 형성됨으로써, 소아가 앉는 경우 제2 면을 상면에 위치시키고 제1 면에 형성된 제1 결합부와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3 결합부를 결합하여 안착 플레이트와 지지부를 고정하고, 성인이 앉는 경우 제1 면을 상면에 위치시키고 제2 면에 형성된 제2 결합부와 제3 결합부를 결합하여 안착 플레이트와 지지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very easy to switch between adult and pediatric chairs, and at the same time, its operability is simple and robust to greatly improve safety, and through a simple structure, design constraints are greatly reduced so that it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designs, so that it can be sufficiently used as indoor interior accessories. In order to provide a chair for both adults and children that can be used, in the chair for both adults and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ating portion for an adult to sit is formed on a first surface, and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is formed. A seating plate having a pediatric chair on which children can sit on the surface; And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ating plate at a predetermined height, wherein the seating plate is completely or partially detachable from the support, and at the same time,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is configured to be fixedly installed with the support, A chair receiving part including a pediatric chair is formed in the interior, so that when a child sits, the second surface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first coupling part formed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third coupling par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art are combined to form the seating plat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ix the support part and place the first surface on the upper surface when an adult sits, and to fix the seating plate and the support part by combining the second coupling part and the third coupling part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Description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CHAIRS AVAILABLE FOR BOTH ADULTS AND INFANTS}Chair for adults and children {CHAIRS AVAILABLE FOR BOTH ADULTS AND INFANTS}

본 고안은 성인과 소아가 모두 사용 가능한 의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성인이 이용 도중 간단한 조작에 의하여 소아가 이용 가능한 의자로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실내 인테리어 및 매장 인테리어에 있어서 공간 활용성을 높이는 동시에, 심미성을 높일 수 있는 의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design relates to a chair that can be used by both adults and children.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convert a chair into a chair that can be used by children by a simple operation by an adult during use, thereby enhancing space utilization in indoor and store interiors. At the same time, it relates to a chair that can enhance aesthetics.

가정내 및 식당 등 다양한 장소에서 의자는 실용성 및 심미성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사용자는 특정 위치에 의자를 비치하고, 앉아서 생활을 영위하거나, 해당 의자는 실내외에서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In various places such as homes and restaurants, chairs are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practicality and aesthetics. That is, the user may have a chair at a specific location and sit and live, or the chair may be used indoors or outdoors as an interior accessory.

의자는 용도 및 이용 대상에 따라서 다양한 타입으로 구성된다. 이 중, 유아 등 소아를 위한 의자는 이용 대상의 특수성에 의하여 일반적인 성인용 의자와 다르게 구성되는 것이 보통이다.The chair is composed of various types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object of use. Among them, chairs for children, such as infants, are usually configured differently from ordinary adult chairs depending on the specificity of the object to be used.

소아용 의자의 경우, 안전 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하며, 안착부의 크기가 일반 성인용 의자보다 매우 작게 구성된다. 이러한 특징에 따라서, 보통 소아용 의자는 성인용 의자와 별도로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의자를 구비하는 장소에는, 성인용 의자와 소아용 의자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는 것이 보통이다.In the case of a pediatric chair, a safety device must be provided, and the sea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be much smaller than that of a general adult chair. According to these features, a pediatric chair is usually manufactured and used separately from an adult chair. Accordingly, in a place where a chair is provided, an adult chair and a child chair are usually provided separately.

그러나 소아용 의자를 별도로 구비하는 경우, 소아용 의자가 실내의 인테리어와 관계없이 별도로 제작되기 때문에, 미관을 해치는 경우가 많으며, 별도 구비에 따라 구매 비용 및 설치 장소의 소비가 문제되고 있다.However, when a pediatric chair is separately provided, since the pediatric chair is separately manufactured regardless of the interior of the room, the aesthetics are often impaired, and the purchase cost and consumption of the installation place are problematic according to the separate provision.

이에 따라서, 한국 등록특허 제10-1882766호 등에서는 유아용 의자를 성인용 의자의 상부 및 하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성인과 유아 겸용 의자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Accordingly,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882766, etc., a technology for providing a chair for both an adult and an infant is published by providing a chair for an infant so as to be elevated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adult chair.

그러나, 해당 기술에 대응되는 제품은 그 조작이 매우 어려우며, 잠금 장치 등이 파손될 시 갑자기 유아용 의자가 상부로 돌출될 수 있어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승강 수단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디자인 상의 제약이 많아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However, the product corresponding to the technology is very difficult to manipulate, and when the locking device or the like is damaged, the infant chair may suddenly protrude upward, resulting in a safety problem. In addition, since an elevating means is indispensable, it is difficult to use it as an indoor interior accessory due to many design restrictions.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서, 성인과 소아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되, 성인과 소아 의자의 전환이 매우 간편한 동시에 그 조작성이 단순하고 견고하도록 하여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간단한 구조를 통해 디자인의 제약을 크게 감소시켜 다양한 디자인으로 제작이 가능하도록 하여 실내 인테리어 소품으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의자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chair that can be used by both adults and children, but it is very easy to switch between adult and pediatric chairs, and the operation is simple and robust, thereby greatly improving safety.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hair that can be sufficiently used as an indoor interior accessory by allowing it to be manufactured in a variety of designs by greatly reducing design restrictions through a simple struc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는, 제1 면에 성인이 앉을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에 소아가 앉을 수 있는 소아용 의자를 갖는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착 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부와 전부 또는 일부 탈착 가능한 동시에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이 상기 지지부와 고정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는 상기 소아용 의자를 포함하는 의자 수용부가 형성됨으로써, 소아가 앉는 경우 상기 제2 면을 상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제1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3 결합부를 결합하여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부를 고정하고, 성인이 앉는 경우 상기 제1 면을 상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제2 결합부와 상기 제3 결합부를 결합하여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chair for both adults and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ating portion for an adult to sit on a first surface is formed, and a seat for a child on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is formed. Seating plate having a pediatric chair that can be; And a support portion supporting the seating plate at a predetermined height, wherein the seating plate is completely or partially detachable from the support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is fixedly installed with the support portion. It is configured to be possible, and by forming a chair receiving part including the pediatric chair inside the support part, when a child sits, the second surface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first coupling part formed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art By combining the third coupling portion formed in the mounting plate and the support portion, when an adult is seated, the first surface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are combine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fix the seating plate and the support.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부는 서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인 돌출 리브 및 가이드 홈으로 각각 구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to third coupling portions are formed of protruding ribs and guide grooves that are continuous or discontinuous with each other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 리브이며,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3 결합부의 내면의 폭과 동일한 외면의 폭 또는 상기 제3 결합부의 외면의 폭과 동일한 내면의 폭을 갖는 돌출 리브로 구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3 결합부 또는 상기 제2 결합부와 상기 제3 결합부끼리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도 가능하다.The third coupling portion is a protruding rib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r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coupling portion or the widt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coupling portion. It is composed of a protruding rib having an inner width,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o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are fitted to each other.

상기 소아용 의자는, 가장 작은 형태의 기본 의자가 상기 안착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의자 수용부에는, 상기 기본 의자의 상면에 씌울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기본 의자보다 큰 사이즈의 서브 의자가 수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ediatric chair, the smallest basic chair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eating plate, and the chair receiving part is provided so as to be cove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ic chair, and a sub-chair of a larger size than the basic chair is accommodated. It is desirable to have.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제1 면 또는 제2 면이 상면을 향한 상태에서 회동이 제한되도록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ating plate may be fixedly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and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so that rotation is restricted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or second surfaces face the upper surface by the first to third coupling parts. .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하되, 서로 양 면에 성인용 안착부 및 소아용 의자가 구성된 안착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안착 플레이트의 양 면 중 어느 한 면을 지지부에 지지하도록 구성하여 성인 및 소아가 함께 사용 가능한 의자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is detachable, but by using a seating plate consisting of an adult seating portion and a child's chair on both sides of each other, an adult and a child are configured to support either side of the seating plate to the support portion. A chair that can be used together can be provided.

이에 따라서 매우 간단한 구조 및 조작만으로 안착 플레이트와 지지부를 이용하여 성인과 소아가 함께 사용 가능한 의자를 제공할 수 있어, 그 조작이 매우 간편해지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hair that can be used by both adults and children by using the seating plate and the support with only a very simple structure and operation, thereby making the operation very simple.

또한, 돌출 리브와 가이드 홈 또는 회동 구조를 통해서 간단한 구조로 안착 플레이트와 지지부를 고정할 수 있어, 탄성 부재 등 별도의 부재가 사용되지 않아, 매우 간단한 구조로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해져, 의자 이용에 있어서의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ix the seating plate and the support with a simple structure through the protruding rib and the guide groove or the rotating structure, so that no separate members such as elastic members are used, so that a very simple structure enables stable fixation. There is an effect of greatly improving the stability of.

또한, 상기와 같이 매우 간단한 구조로 의자가 구성되기 때문에, 지지부의 구조 및 형상, 안착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한 디자인의 제약이 거의 없어져, 매우 다양한 디자인으로 의자를 제작할 수 있어, 실내 인테리어 컨셉에 맞는 다양한 디자인의 의자를 제작함에 따른 심미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hair is composed of a very simpl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almost no restrictions on the design of the structure and shape of the support and the shape of the seating plate, so that a chair can be manufactured in a wide variety of design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give an aesthetic feeling by making a design chair.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 및 3은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라 소아용 의자의 사이즈를 다양하기 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의 디자인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combined chair for adults and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side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combined chair for adults and children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additional configuration for varying the size of the chair for children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design modification of the chair for adults and children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mbined chair for adults and childr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 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In the following, various embodiments and/or aspects are now disclos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for purposes of explanation, a number of specific details are disclosed to aid in an overall understanding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this aspect(s) may be implemented without these specific details.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nnexed drawings set forth in detail certain illustrative aspects of one or more aspects. However, these aspects are exemplary and some of the various methods in the principles of the various aspects may be used, and the descriptions described are intended to include all such aspects and their equivalent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 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As used herein, "an embodiment", "example", "aspect", "example", etc. may not be construed as having any aspect or design described as being better or advantageous than other aspects or designs. .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terms "comprising" and/or "comprising" mean that the corresponding feature and/or element is present, but excludes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elements, and/or group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as not.

또한,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s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element, and similarly, a second element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elem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addition,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are thos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has the same meaning. Terms a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Is not interpreted as.

한편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도면에 기재된 사항은 본 고안의 각 구성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하여 일부의 구성이 생략되거나, 과하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으나, 해당 도시 사항이 본 고안의 기술적 특징 및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이해됨이 당연할 것이다.Meanwhile,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some of the components are omitted or excessively enlarged or reduced in order to describe the functions of each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corresponding illustrated matters are technical features and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하나의 기술적 특징 또는 고안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를 설명하기 위하여 다수의 도면이 동시에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다.In addi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plurality of drawings will be simultaneously referred to and described to describe a component constituting one technical feature or desig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 및 3은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라 소아용 의자의 사이즈를 다양하기 하기 위한 추가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각 실시예에 따른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의 디자인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를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 adult and pediatric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 and 3 are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combined adult and child chair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n additional configuration for varying the size of a pediatric chair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for explaining a design modification example of an adult and pediatric chair according to eac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Figure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a combined chair for adults and childre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도면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는, 안착 플레이트(10) 및 지지부(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hair for both adults and childr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ating plate 10 and a support 20.

자세한 설명에 앞서, 본 고안에서 성인은,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의자에 앉을 수 있는 신체 사이즈의 사용자를, 소아는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의자가 아닌 유아용 의자로 지칭되는 소형의 의자에 앉을 수 있는 신체 사이즈의 사용자를 의마하는 것을 이해될 것이다.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dult is a user of a body size that can sit on a generally provided chair, and a child is a body size that can sit on a small chair referred to as an infant chair, not a chair that is generally provided. It will be understood to mean the user.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안착 플레이트(10)는 제1 면에는 성인이 앉을 수 있는 안착부(11)가 형성되어 있다. 안착부(11)는 가죽, 패브릭(Fabric), 고무, 플라스틱 등 일반적으로 의자의 구성 요소들 중 사용자의 둔부가 접촉되는 영역에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안착부(11)는 후술하는 소아용 의자(12)와 유사하게 높이가 있는 등받이부가 일부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의 등받이부는 후술하는 소아용 의자(12)가 수용되는 지지부(20)의 의자 수용부(21)에 수용될 수 있는 높이 및 크기로 그 사이즈가 설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ating plate 10 has a seating portion 11 on which an adult can sit on the first surface. The seating part 11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that can be applied to a region where the user's buttocks are in contact among the components of a chair, such as leather, fabric, rubber, and plastic.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seating portion 11 may be partially formed with a backrest having a height similar to the pediatric chair 12 to be described later. Of course, the size of the backrest part may be set to a height and size that can be accommodated in the chair receiving part 21 of the support part 20 in which the pediatric chair 12 to be described later is accommodated.

또한,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안착 시의 둔부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안착부(11)는 사용자의 둔부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오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전체적인 의자의 형상이 육면체 등 다각형의 기둥으로 형성되는 경우, 성인용 팔걸이가 지지부(20) 또는 안착 플레이트(10)에 형성될 수 있다. 성인용 팔걸이가 안착 플레이트(10)에 형성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의자 수용부(21)에 수용될 수 있도록 형태 및 사이즈가 설정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1, in order to increase the stability of the buttocks during seating, the seating portion 11 may be configured to form a user's buttocks shape or a similar concave portion.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 for example, when the overall shape of the chair is formed as a polygonal column such as a hexahedron, an adult armrest may be formed on the support part 20 or the seat plate 10. When the adult armrest is formed on the seating plate 10, the shape and size may be set to be accommodated in the chair accommodating portion 21 as described above.

안착 플레이트(10)의 제2 면은 제1 면과 플레이트 측면에서 분석할 시 반대면으로 이해될 수 있으며, 제2 면에는 소아가 앉을 수 있는 사이즈의 소아용 의자(12)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소아용 의자(12)는 상술한 성인용 안착부(11)와 유사한 형태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소아의 특성을 고려할 때, 상술한 사용자의 둔부 형상 또는 이와 유사한 오목부와 함께, 등받이부 및 소아용 팔걸이가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side of the seating plate 10 may be understood as the opposite side when analyzed from the first side and the side of the plate, and a pediatric chair 12 having a size for a child to sit on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second side. . At this time, the pediatric chair 12 may have a shape similar to the adult seating portion 11 described above, but preferably, wh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child, along with the user's buttocks shape or a similar concave portion, the backrest portion and the pediatric The armrest can be formed as shown in the figures.

한편, 소아의 특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소아용 의자(12)에는 소아를 고정할 수 있는 벨트 부재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이는 일반적인 소아용 의자의 구성임을 고려하여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Meanwhile, whe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 belt member capable of fixing the child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in the pediatric chair 12, bu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figuration of a general pediatric chair.

본 고안에서 지지부(20)는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플레이트(10)를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일반적인 의자의 의자 다리의 기능을 수행하는 동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면 또는 제2 면의 사용 형태에 따라서 안착부(11) 또는 소아용 의자(12)는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part 20 is a configuration that perform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seating plate 10 at a certain height a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ile performing the function of a chair leg of a general chair, the above-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seating portion 11 or the pediatric chair 12 is configured to be accommodated therein according to the usage type of the first side or the second side.

즉,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0)는 원기둥 또는 다각형의 내부에 의자 수용부(21)가 형성된 형태로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술한 형태 이외에, 상부에 안착 플레이트(10)가 지지될 수 있는 프레임만이 존재하고, 그 하부에는 일반적인 의자의 다리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의자 수용부(21)는 측면에서 폐쇄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의자 수용부(21)로 지칭될 수 있는 영역만 존재한다면 어느 형태나 지지부(20)의 형태가 될 수 있을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s. 1 to 6, the support part 20 is preferably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the chair receiving part 21 is formed inside a cylinder or polygon. However,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orm, there is only a frame on which the seating plate 10 can be supported, and the lower part may be configured in the same form as the leg of a general chair. That is, since the chair accommodating portion 21 does not need to be closed from the side, any shape of the support portion 20 may be formed if there is only an area that can be referred to as the chair accommodating portion 21.

구체적으로, 지지부(20)와 안착 플레이트(10)는 서로 전부 또는 일부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전부 탈착 가능함은 도 1 내지 5와 같이 안착 플레이트(10)가 뚜껑 형태로 탈착되는 예로, 일부 탈착 가능함은 도 6과 같이 안착 플레이트(10)가 회동하는 쓰레기통의 뚜껑 형태로 탈착되는 예로 설명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upport part 20 and the seating plate 10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in whole or in part from each other. At this time, it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seating plate 10 is detached in the form of a lid as shown in Figs. 1 to 5, and partially detachabl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which the seating plate 10 is detached in the form of a lid of a rotating trash can I can.

이때 의자 수용부(21)에 의해서, 지지부(20)의 내부에는 소아용 의자(12)가 충분히 수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소아가 앉는 경우 제2 면을 상면에 위치시키고 제1 면에 형성된 제1 결합부(13)와 지지부(20)의 상부에 형성된 제3 결합부(22)를 결합하여 안착 플레이트(10)와 지지부(20)를 고정하고, 성인이 앉는 경우 제1 면을 상면에 위치시키고 제2 면에 형성된 제2 결합부(14)와 제3 결합부(22)를 결합하여 안착 플레이트(10)와 지지부(20)를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ediatric chair 12 may be sufficiently accommodated in the support part 20 by the chair receiving part 21. Accordingly, when a child sits, the second surface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 formed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22 formed on the support portion 2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the seating plate 10 ) And the support part 20, and when an adult sits, the first side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4 and the third coupling part 22 formed on the second side are combined to each other to the seating plate 10 And it may be configured to fix the support 20.

이때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결합부(13, 14, 22)는 서로 끼움 결착 가능한 돌출 리드 및 가이드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제1 결합부(13)와 제2 결합부(14)는 가이드 홈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3 결합부(22)는 돌출 리브 형태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리브와 홈의 끼움 결합에 의해서 매우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안착 플레이트(10)와 지지부(20) 사이를 고정하게 된다. At this time, as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to third coupling portions 13, 14, and 22 may be formed of a protruding lead and a guide groove that can be inserted into each other. That is, referring to FIGS. 2 and 3, for examp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 are concave in the shape of a guide groove,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22 is formed in a protruding rib shape. It is formed to be convex, and it is very simply and stably fixed between the seating plate 10 and the support 20 by the fitting coupling of the rib and the groove.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부(13-1) 및 제2 결합부(14-1)가 돌출 리브 형태로, 제3 결합부(22-1)가 가이드 홈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는 돌출 리브 및 가이드 홈이 연속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때 소아 또는 성인이 앉은 형태에서 돌출 리브 및 가이드 홈에 허벅지 등이 접촉될 시의 불편함을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안착 상태에서 측면 및/또는 후면에만 불연속적으로 돌출 리브 및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안착 플레이트(10)와 지지부(20)의 고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는, 상기의 결합부(13-1, 14-1, 22-1)의 기능이 안착 플레이트(10)와 지지부(20) 사이의 고정을 가이드하고 안정적인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주로 있음에 기인한다.At this time, as shown in FIG. 3,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1 are formed in a protruding rib shape,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22-1 is formed in a guide groove shape. I can. In addition, in the drawings, a protruding rib and a guide groove are continuously configured, but in order to eliminate discomfort when the thighs, etc. come into contact with the protruding rib and guide groove in the form of a child or adult sitting, The protruding ribs and guide grooves are formed discontinuously only on the side and/or the rear side, so that the mounting plate 10 and the support part 20 may be fixed. This is due to the fact that the function of the coupling portions 13-1, 14-1, and 22-1 is mainly to guide the fixation between the seating plate 10 and the support part 20 and to enable a stable fixation. .

한편 도 3의 제1 및 제2 결합부(13-1, 14-1)와 도 4의 제3 결합부(22)의 도시된 형태를 결합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3 결합부(13-1, 14-1, 22)가 모두 돌출 리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내지 제3 결합부(13-1, 14-1, 22)가 서로 접촉하여 고정되는 영역에 있어서 제1 결합부(13-1), 제2 결합부(14-1) 사이의 외면의 폭(d1)이 제3 결합부(22)의 내면의 폭(d3)과 동일하게 구성되거나, 제1 결합부(13-1), 제2 결합부(14-1) 사이의 내면의 폭(d2)이 제3 결합부(22)의 외면의 폭(d4)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각 리브가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by combining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13-1 and 14-1 of FIG. 3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22 of FIG. 4, the first to third coupling portions (13-1, 14-1, 22) may all be composed of protruding ribs. At this time, in the region where the first to third coupling portions 13-1, 14-1, and 22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fixe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3-1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14-1 are The outer surface width d1 is the same as the inner surface width d3 of the third coupling part 22, or the inner surface between the first coupling part 13-1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14-1. The width (d2) is configured to be the same as the width (d4)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coupling portion 22, each rib may be configured to fit each other.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아용 의자(22)는 모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가장 작은 사이즈의 기본 의자가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 플레이트(10)의 소아용 의자(12)로 고정 설치되고, 의자 수용부(21)에는, 기본 의자의 상면에 씌울 수 있도록 구비되는 동시에 기본 의자보다 큰 사이트의 서브 의자(12-1, 12-2, 12-3)이 복수개 수용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4, the pediatric chair 22 may be configured in a module form. That is, the smallest basic chair is fixedly installed with the pediatric chair 12 of the seating plate 10 as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chair receiving part 21 is provided so as to be cove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ic chair.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sub-chairs 12-1, 12-2, 12-3 of a site larger than the basic chair may be accommodated.

이를 위해서, 각 서브 의자(12-1, 12-2, 12-3)의 하면에는 직전 사이즈의 의자의 상면과 동일한 형태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서브 의자(12-1, 12-2, 12-3)를 결합 시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기본 의자와 서브 의자(12-1, 12-2, 12-3)의 상면의 안착부, 즉 소아가 앉을 수 있는 영역의 크기는 기본 의자부터 서브 의자(12-1, 12-2, 12-3)순으로 더 작아지거나, 더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To this end, a recess having the same shap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chair of the previous siz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sub-chair 12-1, 12-2, 12-3, and the sub-chair 12-1, 12-2, 12- It can be configured to ensure stability when combining 3).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seating por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ic chair and the sub chairs 12-1, 12-2, 12-3, that is, the area in which children can sit, is from the basic chair to the sub chairs 12-1, 12-2, It may be configured to be smaller or larger in the order of 12-3).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자의 디자인은, 기본적으로 안착 플레이트(110)와 지지부(210)의 기능 수행이 가능하면 될 정도로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도 1 내지 4의 원통형 구조와 달리 다각형의 기둥 구조로도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안착부(111)와 제1 결합부(113)의 형태 역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 5, the design of the chair is so simple that it is basically possible to perform the functions of the seating plate 110 and the support part 210, so unlike the cylindrical structure of FIGS. 1 to 4, a polygonal column structure It can also be composed of.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seating portion 111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113 may also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이를 통해서, 본 고안의 기능 수행을 위한 디자인의 제한이 거의 없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부(20)의 형태 구현 및 도 1 내지 4와 도 5의 비교 예와 같은 그 형태의 다양한 구현이 가능해져, 인테리어 컨셉별로 매우 다양한 형태로 의자를 제작할 수 있어, 디자인 소품으로도 다양하게 의자를 구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rough this, it can be configured to virtually eliminate the limitation of the design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mplement the shape of the support part 20 as described above, and a variety of forms such as the comparative example of FIGS. 1 to 4 and 5 Since it can be implemented,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chairs in a wide variety of shapes for each interior concept, so there is an effect of having various chairs as design props.

한편, 도 6은 상술한 바와 같이 안착 플레이트(10)와 지지부(20)의 탈착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안착부(11), 안착 플레이트(10), 소아용 의자(12), 지지부(20) 및 의자 수용부(21)가 도 1 내지 5의 설명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Figure 6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detachment of the mounting plate 10 and the support 20 as described above. 6, the seating portion 11, the seating plate 10, the pediatric chair 12, the support portion 20, and the chair receiving portion 21 are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in FIGS. 1 to 5.

그러나, 도 6의 실시예에서는, 안착 플레이트(10)가 지지부(20)에 대해서 힌지(15)에 의하여 도 6의 (a)에서 도 6의 (b)와 같이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술한 제1 내지 제3 결합부와 달리, 제1 및 제2 결합부는 고정핀(16)으로 구현되며, 제3 결합부는 핀 삽입구(23)로 구현되는 등, 결합 상태에서 고정핀(16)을 핀 삽입구(23)에 삽입하여 안착 플레이트(10)의 지지부(20)에 대한 회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Figure 6, characterized in that the seating plate 10 is fixed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ortion 20 so as to be rotatable as shown in Figure 6 (a) to Figure 6 (b) by a hinge 15 do. In this case, unlike the first to third coupling portions described above,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ortions are implemented with a fixing pin 16,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is implemented with a pin insertion hole 23, and so on, in a coupled state, the fixing pin ( 16) may be inserted into the pin insertion hole 23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seating plate 10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art 20.

이때 고정핀(16)과 핀삽입구(23)의 구현예로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나, 후크 결합, 나사 결합, 플레이트 삽입 등 다양한 회동 제한을 위한 결합부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xing pin 16 and the pin insertion hole 23 are illustrated in FIG. 6 as an embodiment, but a configuration of a coupling part for limiting various rotations such as hook coupling, screw coupling, and plate insertion may be applied.

이러한 회동 구성은, 도 1 내지 5의 실시예와 달리 안착 플레이트(10)가 회전하여 성인용 의자와 소아용 의자가 전환되기 때문에, 소아용 의자(12)의 등받이부의 높이 및 형태가 다소 제한될 수 있으나, 안착 플레이트(10)가 완전히 분리되지 않아 그 이용 안정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Unlike the embodiments of FIGS. 1 to 5, since the seating plate 10 rotates to switch between an adult chair and a child chair, the height and shape of the backrest portion of the child chair 12 may be somewhat limited. Since the seating plate 10 is not completely separat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use stability thereof can be greatly improved.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y the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as described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 above description. The terms such as "include", "consist of"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components without a description to the contrary may be included, so other components are not excluded. It should be construed as more inclusive. In addi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5)

제1 면에 성인이 앉을 수 있는 안착부가 형성되어 있고, 제1 면의 반대 면인 제2 면에 소아가 앉을 수 있는 소아용 의자를 갖는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안착 플레이트를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착 플레이트가 상기 지지부와 전부 또는 일부 탈착 가능한 동시에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2 면 중 어느 한 면이 상기 지지부와 고정 설치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내부에는 상기 소아용 의자를 포함하는 의자 수용부가 형성됨으로써, 소아가 앉는 경우 상기 제2 면을 상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1 면에 형성된 제1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의 상부에 형성된 제3 결합부를 결합하여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부를 고정하고, 성인이 앉는 경우 상기 제1 면을 상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제2 면에 형성된 제2 결합부와 상기 제3 결합부를 결합하여 상기 안착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부를 고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소아용 의자는,
가장 작은 형태의 기본 의자가 상기 안착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의자 수용부에는, 상기 기본 의자의 상면에 씌울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기본 의자보다 큰 사이즈의 서브 의자가 수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
A seating plate having a seating portion on which an adult can sit on a first surface and having a pediatric chair on a second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And
Consisting to include;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seating plate at a predetermined height,
The seating plate is configured to be completely or partially detachable from the support unit, and at the same time,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is configured to be fixedly installed with the support unit, and the support unit accommodates a chair including the pediatric chair. By forming an additional, when the child sits, the second surface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first coupling part formed on the first surface and the third coupling part formed on the support part are combined to fix the seating plate and the support part When an adult is seated, the first surface is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formed on the second surface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are coupled to fix the seating plate and the support portion,
The pediatric chair,
The smallest basic chair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eating plate, and the chair receiving part is provided so as to be cove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ic chair, and a sub-chair of a larger size than the basic chair is accommodated. Chair for adults and childre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부는 서로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인 돌출 리브 및 가이드 홈으로 각각 구성되어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first to third coupling portions are composed of a protruding rib and a guide groove that are continuous or discontinuous with each other and ar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결합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 리브이며, 상기 제1 결합부 및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3 결합부의 내면의 폭과 동일한 외면의 폭 또는 상기 제3 결합부의 외면의 폭과 동일한 내면의 폭을 갖는 돌출 리브로 구성되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3 결합부 또는 상기 제2 결합부와 상기 제3 결합부끼리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third coupling portion is a protruding rib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and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re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hird coupling portion or the width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hird coupling portion. Composed of a protruding rib having an inner width, the chair for both adults and children,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or the second coupling portion and the third coupling portion are configured to be fitted to each oth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부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되고, 상기 제1 내지 제3 결합부에 의하여 상기 제1 면 또는 제2 면이 상면을 향한 상태에서 회동이 제한되도록 고정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인 및 소아 겸용 의자.
The method of claim 1,
The seating plate is fixedly installed so as to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and is configured to be fixed so as to limit rota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or second surfaces face the upper surface by the first to third coupling parts. Chair for adults and children.
KR2020190002037U 2019-05-20 2019-05-20 Chairs available for both adults and infants KR200492440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37U KR200492440Y1 (en) 2019-05-20 2019-05-20 Chairs available for both adults and inf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037U KR200492440Y1 (en) 2019-05-20 2019-05-20 Chairs available for both adults and infa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2440Y1 true KR200492440Y1 (en) 2020-10-14

Family

ID=72802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037U KR200492440Y1 (en) 2019-05-20 2019-05-20 Chairs available for both adults and infa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440Y1 (en)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9413U (en) * 1978-02-28 1979-09-08
KR20030079770A (en) * 2003-03-29 2003-10-10 이창재 Dish
KR200437216Y1 (en) * 2006-12-06 2007-11-13 김상현 multistory type Chair
KR100998026B1 (en) * 2008-02-25 2010-12-06 문재화 Simple chair having acceptance space
CN203000073U (en) * 2012-12-14 2013-06-19 浙江工业大学 Overturning type stool capable of storing
CN204292652U (en) * 2014-12-15 2015-04-29 吴江市华信家俬有限公司 Sofa stool
KR101834290B1 (en) * 2016-06-27 2018-03-05 황창현 Shower chair with multi-purpose
KR101855999B1 (en) * 2016-01-08 2018-05-09 최종연 Chair for working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9413U (en) * 1978-02-28 1979-09-08
KR20030079770A (en) * 2003-03-29 2003-10-10 이창재 Dish
KR200437216Y1 (en) * 2006-12-06 2007-11-13 김상현 multistory type Chair
KR100998026B1 (en) * 2008-02-25 2010-12-06 문재화 Simple chair having acceptance space
CN203000073U (en) * 2012-12-14 2013-06-19 浙江工业大学 Overturning type stool capable of storing
CN204292652U (en) * 2014-12-15 2015-04-29 吴江市华信家俬有限公司 Sofa stool
KR101855999B1 (en) * 2016-01-08 2018-05-09 최종연 Chair for working
KR101834290B1 (en) * 2016-06-27 2018-03-05 황창현 Shower chair with multi-purpo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41064S1 (en) Reclining lounge chair
US7017991B1 (en) Folding lounge chair
KR200172215Y1 (en) Foldaway rocker
KR200492440Y1 (en) Chairs available for both adults and infants
KR200485063Y1 (en) Headrest for a folding type chair
KR101145803B1 (en) An armrest and an armchair having the same
KR100428434B1 (en) Chair back supporter of which width being adjustable
KR101106095B1 (en) An armrest and an armchair having the same
KR101616507B1 (en) Chair having headrest
KR200381596Y1 (en) A toilet stool for a baby
KR200427731Y1 (en) Armrest structure for a collapsible chair
KR200428121Y1 (en) High chair
KR200275534Y1 (en) Chair that feet-prop is included
KR200405813Y1 (en) Chair of sitting-down type
CN211298870U (en) Telescopic safe dual-purpose tea table for children
KR101834290B1 (en) Shower chair with multi-purpose
KR200429165Y1 (en) For both sofa and bed
KR200381388Y1 (en) Ventilation chair
KR200361362Y1 (en) Propping device for chair
KR200377422Y1 (en) Head supporter for chair
CN211862323U (en) Combined multifunctional chair
KR200260625Y1 (en) The cover of back of a chair
KR200381223Y1 (en) Chair for an infant combined use bath
KR101151700B1 (en) Separable sofa
KR200254711Y1 (en) Chair back supporter of which width being adjustab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