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865B1 -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 - Google Patents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865B1
KR102356865B1 KR1020210107097A KR20210107097A KR102356865B1 KR 102356865 B1 KR102356865 B1 KR 102356865B1 KR 1020210107097 A KR1020210107097 A KR 1020210107097A KR 20210107097 A KR20210107097 A KR 20210107097A KR 102356865 B1 KR102356865 B1 KR 102356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lane
opposing
stop
o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상진
김주환
조황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Priority to KR1020210107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8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23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 G08G1/127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the position of vehicles, e.g. scheduled vehicles; Managing passenger vehicles circulating according to a fixed timetable, e.g. buses, trains, trams to a central station ; Indicators in a central 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선으로 왕복 시내버스 전용차로를 운영함에 있어 대향하는 버스가 단선 구간에서 마주침이 없도록 지원하는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은 버스의 교행이 불가능한 단선 차로 구간 및 승하차 영역과 이를 가운데 두고 양측으로 버스가 정차하는 정차 영역이 형성되어 있어서 버스의 교행이 가능한 정류장 구간을 포함하는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버스에 설치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GPS 지리좌표로 이루어진 버스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버스 OBE 및 버스 OBE로부터 전달받은 버스 위치 정보를 단선 버스전용차로에 투영하고, 정류장 구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버스가 존재하는 경우에 각 대향 버스 운전자가 대향 버스의 존재를 알 수 있도록 대향 버스 OBE에 대향 버스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중앙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system for operating single exclusive bus lane}
본 발명은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선으로 왕복 시내버스 전용차로를 운영함에 있어 대향하는 버스가 단선 구간에서 마주침이 없도록 지원하는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버스전용차로제란 대중교통의 하나인 버스에 통행우선권을 부여하는 제도로서, 도로 일부를 버스만 다닐 수 있는 전용차로로 사용해 버스의 통행을 원활하게 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늘리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버스전용차로는 위치에 따라 '가로변 버스전용차로'와 '중앙 버스전용차로'로 구분한다. 가로변 버스전용차로는 도로 중에서 가로변에 있는 차선을 버스전용차로로 사용하고, 중앙 버스전용차로는 도로의 중앙차선을 버스전용차로로 사용한다. 중앙 버스전용차로는 버스 정류장을 가운데 설치하는 등 가로변 버스전용차로보다 비용 소모가 많지만, 일반 차량과의 마찰이 적고 버스 전용 통행의 효과가 확실한 것이 특징이다.
한편, 버스의 통행을 원활하게 하고 대중교통 이용을 늘리기 위해 왕복 4차선 이하로 폭이 좁은 구시가지의 도심 도로에 단선으로 왕복 시내버스 전용차로를 운영해야 하거나 현재 시내버스 첨두 시간대 평균 배차간격이 7~8분으로 형성되어 그 시간내 도로 효율성을 제고해야 하는 경우에 단선 버스전용차로제를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재에는 단선 버스전용차로에서 교행(대피)이 가능한 구간인 정류장 구간을 중심으로 하여 마주 오는 버스에 이를 안내하는 방송 시스템이 전무한 실정이어서 교행이 불가능한 구간인 단선 차로 구간에서 대향하는 버스가 마주쳐서 오도가도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등으로 그 운영 효율이 현저히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선행기술 1: 공개특허공보 10-2020-0025433호(발명의 명칭: 버스전용차선 신호 제어시스템)
선행기술 2: 등록특허공보 10-0941171호(발명의 명칭: 버스정보시스템의 버스 도착 시간 표출 장치 및 방법)
선행기술 3: 등록특허공보 10-09447971호(발명의 명칭: 버스정보시스템의 통합 버스탑재 단말장치 )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단선으로 왕복 시내버스 전용차로를 운영함에 있어 대향하는 버스가 단선 구간에서 마주침이 없도록 지원하는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은 버스의 교행이 불가능한 단선 차로 구간 및 승하차 영역과 이를 가운데 두고 양측으로 버스가 정차하는 정차 영역이 형성되어 있어서 버스의 교행이 가능한 정류장 구간을 포함하는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버스에 설치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GPS 지리좌표로 이루어진 버스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버스 OBE 및 버스 OBE로부터 전달받은 버스 위치 정보를 단선 버스전용차로에 투영하고, 정류장 구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버스가 존재하는 경우에 각 대향 버스 운전자가 대향 버스의 존재를 알 수 있도록 대향 버스 OBE에 대향 버스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중앙 관리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버스에 설치되고 버스 정보를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하는 버스 IoT 단말 및 단선 차로 구간에 1개 이상 설치되고, 정류장 구간의 상행 정차 영역 및 하행 정차 영역에 각각 1개씩 설치되어 버스 IoT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버스 정보를 수신하는 차로 IoT 단말을 더 구비하고, 중앙 관리 서버는 버스 IoT 단말로부터 수신한 버스 정보에 의해 해당 버스의 위치 정보를 버스 IoT 단말의 GPS 지리좌표 정보로 보정한다.
버스 IoT 단말의 전송 주기는 버스 OBE의 전송 주기보다 짧다.
중앙 관리 서버는 정류장 구간의 상행 정차 영역 및 하행 정차 영역에 설치된 차로 IoT 모듈로부터 수신한 버스 정보에 의해 버스가 정류장 구간에 정차한 것을 확인한다.
중앙 관리 서버는 차로 구간에 설치된 차로 IoT 모듈로부터 대향 버스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자기 버스 OBE에 대향 버스의 위치 정보를 전송한다.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 따르면, 무선통신 기술 및 IoT 기술을 접목하여 복잡한 도심 도로에 단선 버스전용차로를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교통 혼잡을 줄이고, 대중교통 이용율을 증진시키며, 이를 통해 토지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서 단선 버스전용차로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서 IoT 모듈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서 버스에 탑재되는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서 OBE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서 버스전용차로 운영 상황을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서 정류장 구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버스 OBE에 표시되는 정보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
이하에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서 단선 버스전용차로의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 적용되는 단선 버스전용차로는 크게 마주 오는 버스가 정차하여 대피(교행)가 가능한 정류장 구간 및 단선으로 이루어져서 버스가 운행하는 구간인 차로 구간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정류장 구간은 차로 구간에 비해 폭이 3배 이상 넓게 형성되어 있는바, 승객이 승차 또는 하차하는 승하차 영역을 가운데 두고 양측(도면에서는 상하)으로 버스가 정차하는 정차 영역이 형성되어 있어서 단선으로 이루어진 차로 구간에서는 교행이 불가능하더라도 정류장 구간에서는 교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정류장 구간을 향해 마주보고 진입하는 버스에 대해 상대방 버스의 존재 여부 및 존재하는 경우 그 위치(정류장과의 거리) 또는 정류장 진입 예상 시간 등의 정보를 후술하는 버스 탑재 단말기(OBE; On Board Equipment)를 통해 운전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대향하는 두 버스가 차로 구간에서 마주하는 상황을 미연에 방지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서 IoT 모듈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서는 단선 버스전용차로를 운행 중인 버스의 위치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단선 버스전용차로의 정해진 영역, 예를 들어 정류장 구간의 2개의 정차 영역 및 정류장 구간에서 소정 거리, 예를 들어 500m 떨어진 위치에 차로 IoT 모듈이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차로 IoT 모듈은 무선 통신, 바람직하게는 산업용 주파수를 통해 버스에 탑재된 버스 IoT 모듈(후술)과 무선 통신하여 버스 정보, 예를 들어 노선번호 및 차량번호(또는 차량 고유 ID)를 전달받은 후에 이를 자기 정보, 예를 들어 자기의 고유 ID(또는 이에 더하여 현재시간)에 실어서 중앙 관리 서버(후술)로 전송한다.
이 과정에서, 중앙 관리 서버는 각 차로 IoT 모듈의 고유 ID를 그 위치 정보인 GPS 지리좌표 정보와 매칭시켜서 관리하고 있는데, 차로 IoT 모듈로부터 버스 정보를 전달받는 경우에 이를 바탕으로 버스전용차로를 운행 중인 각 버스의 현재 위치를 차로 IoT 모듈의 설치 지점에서 정확하게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로 IoT 모듈은 그 설치 위치에서 버스의 정확한 위치를 보정하기 위한 위치 보정 수단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각 차로의 길이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 가변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각 차로 구간에 적어도 1개가 설치되고 차로 구간이 긴 경우에는 2개까지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정류장에 설치된 2개의 차로 IoT 모듈은 각각 전술한 바와 같은 위치 보정 용도 이외에 중앙 관리 서버가 이를 통해 상행 및 하행 버스가 정류장 구간에 진입 및 진출한 것을 확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차로 IoT 모듈의 통신 범위는 다른 차로 IoT 모듈과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 반경, 예를 들어 5m~20m 이내로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중앙 관리 서버는 버스 OBE 및 차로 IoT 모듈로부터 제공받은 버스 정보를 시계열적으로 처리하여 당해 버스가 상행 버스인지 하행 버스인지를 구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서 버스에 탑재되는 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 적용되는 버스에는 운전석 부근에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버스전용차로를 운행하는 차량에 대한 각종 정보를 제공하는 OBE 및 버스 IoT 모듈이 구비될 수 있다. 버스 IoT 모듈은 미리 정해진 주기, 예를 들어 0.1~1초 간격으로 노선번호 및 차량번호 등의 버스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서 OBE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 적용되는 OBE(100)는 크게 이동통신, 예를 들어 5G 이동통신을 통해 중앙 관리 서버에 실시간으로 버스 정보, 예를 들어 노선번호 및 차량번호와 GPS 지리좌표로 이루어진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중앙 관리 서버로부터 현재 진행하는 정류장을 기준으로 한 자기 버스의 위치 정보와 대향 버스의 위치 정보 등을 주기적으로 전달받는 이동통신 모뎀(120), 자기 버스의 현재 위치를 GPS 지리좌표의 형태로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GPS 수신기(140), 자기 버스의 위치 정보와 대향 버스의 위치 정보 등을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표시하고 음성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130)와 스피커(150) 및 OBE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은 크게 각 버스에 탑재된 OBE(100) 및 차로 IoT 모듈(300)과 통신하여 각 버스의 노선번호와 차량번호 등의 버스 정보 및 GPS 지리좌표로 이루어진 현재 위치 정보 등을 수집하고, 이렇게 수집된 정보에 의해 단선 버스전용차로를 운행중인 각 버스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여 버스전용차로에 투영(배치)하며, 차로 IoT 모듈(300)로부터 수집한 버스 정보에 의해 해당 지점에서 버스 위치를 정확하게 보정하고, 버스 OBE(100)와 통신하여 정류장 구간을 중심으로 자기 버스 및 대향 버스의 위치 정보 등을 전달하는 중앙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중앙 관리 서버(400)가 버스 OBE(100)로부터 주기적, 예를 들어 1초 간격으로 전달받는 버스 위치 정보, 즉 GPS 수신기(140)가 파악한 GPS 지리좌표 정보는 많게는 수십m까지 오차를 가질 수 있고, 중앙 관리 서버(400)에 이를 전달하는 이동통신 모뎀(120)도 지연이나 통신 오류 또는 통신 두절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이를 바로잡기 위해 중앙 관리 서버(400)가 각 차로 IoT 모듈(300)의 고유 ID와 GPS 지리좌표로 이루어진 설치 위치 정보를 사전에 저장한 상태에서 버스가 각 차로 IoT 모듈(300)을 통과할 때마다 차로 IoT 모듈(300)이 버스 IoT 모듈(200)로부터 수신한 버스 정보를 통해 버스의 현재 위치 정보를 차로 IoT 모듈(300)의 설치 위치 정보로 보정하고 있다.
물론, 버스 OBE(100)와 정상적인 통신이 이루어지거나 버스 OBE(100)에서 제공하는 버스 위치 정보에 허용치 이상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중앙 관리 서버(400)는 버스 OBE(100)에서 주기적으로 제공하는 GPS 지리좌표 정보에 의해 버스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한 후 버스전용차로에 투영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서버(400)는 이외에도 하나의 동일 차로 구간에 위치한 두 버스의 간격을 산출한 후 버스 OBE(100)에 전달할 수 있고, 각 버스의 주행 속도를 기반으로 각 정류장 구간에의 버스 도착 예정 시간을 추정할 수 있다.
중앙 관리 서버(400)는 또한 관리자가 버스전용차로의 운영 상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각 버스의 위치와 속도를 기준으로 단선 버스전용차로를 운행중인 전체 버스의 궤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서 버스전용차로 운영 상황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의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각 정류장 구간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이에 따르면 세로축 눈금의 간격은 정류장 간의 거리를 나타낸다. 도 6의 그래프에서 가로축은 버스의 배차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도 6의 그래프의 사선 구간 및 그 기울기는 버스가 운행중인 차로 구간 및 그 운행 속도를 나타내고, 그래프의 수평 구간은 버스의 정류장 구간의 정차 시간을 나타낸다.
도 6의 예에 따르면 1대의 하행 버스는 2대의 상행 버스와 각각 "D" 정류장 및 "E" 정류장에서 교행하고, 나머지 1대의 하행 버스는 2대의 상행 버스와 "E" 및 "F" 정류장에서 교행할 뿐 차로 구간에서는 마주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관리 서버(400)는 버스 OBE(100)로부터 주기적, 예를 들어 1초 간격으로 버스 위치 정보를 수신, 즉 버스의 노선번호와 차량번호 및 GPS 지리좌표로 이루어진 위치 정보를 수신(단계 S100)한 후에 각 버스의 현재 위치를 버스전용차로에 투영(배치)(단계 S110)한다.
다음으로, 중앙 관리 서버(400)는 차로 IoT 모듈(300)로부터 수신한 버스 정보에 의해 각 버스의 현재 위치를 해당 차로 IoT 모듈(300)의 설치 위치로 보정(단계 S120)한다.
다음으로, 중앙 관리 서버(400)는 정류장 구간을 중심으로 각 버스 간 거리를 산출(단계 S130)하고, 버스의 주행 속도를 기반으로 각 버스의 정류장 도착 예정 시간을 추정(단계 S140)한다.
마지막으로, 중앙 관리 서버(400)는 단계 S130에서 산출된 거리 또는 단계 S140에서 산출된 도착 예정 시간에 의거하여 버스 OBE(100)에 자기 버스 및 대향 버스의 위치 정보 또는 이에 더하여 도착 예정 시간을 전달(단계 S150)하고, 버스 OBE(100)에서는 이러한 정보를 운전자가 알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서 정류장 구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버스 OBE에 표시되는 정보를 예시적으로 보인 도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외 같이,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 따르면, 중앙 관리 서버(400)는 정류장 구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버스가 존재하는 경우에 각 버스 OBE(100)에, 예를 들어 "정류장 500m 전방에 버스가 진입 중입니다". "내 차는 현재 정류장 500m 후방에 있습니다." 등의 메시지를 주기적, 예를들어 10초 간격으로 전달하여 출력할 수가 있고, 이를 통해 대향 버스의 각 운전자는 대향 버스가 정류장 구간에 정차할 때까지 정류장 구간에 머물렀다가 출발할 수 있다.
나아가, 중앙 관리 서버(400)는 자기 버스의 후방에 존재하는 차량의 위치 정보를 버스 OBE(100)를 통해 운전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더 정확한 정보 전달을 위해 중앙 관리 서버(400)는 대향 버스의 위치 알림 시점을 버스가 해당 차로 구간에 설치된 차로 IoT 모듈(300)을 통과하는 시점, 예를 들어 도 2에서 정류정 구간의 500m 전방에 버스가 위치했을 때 대향 버스의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대향 버스가 정류장에 진입한 경우에는 그 사실을 버스 OBE(100)를 통해 운전자에게 전달함으로써 운전자가 버스를 출발시킬 수 있도록 지원한다.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 따르면, 배차 간격(시간)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버스가 단선 차로 구간에서 대향 버스와 마주치지 않기 위해 정류장 구간에 정차하여 대기하는 시간을 최소화하면서도 효율적으로 단선 버스전용차로를 운영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중교통의 이용율 및 토지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가 있다.
이상,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중앙 관리 서버가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을 진행하였으나, 부하 경감과 관리의 효율을 위해 중앙 관리 서버의 기능을 복수의 서버, 예를 들어 통신 서버, 위치 보정 서버, 데이터 관리 서버 및 정보 제공 서버 등으로 분산시킬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등은 기술된 임의의 양상(aspect) 또는 설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또는' 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논리합(exclusive or)이기보다는 포함적인 논리합 (inclusive or)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에서 사용되는 단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반적으로 "하나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100: 중앙 제어부, 110: 이동통신 모뎀,
120: 디스플레이, 130: GPS 수신기,
140: 스피커, 200: 버스 IoT 모듈,
300: 차로 IoT 모듈, 400: 중앙 관리 서버

Claims (5)

  1. 버스의 교행이 불가능한 단선 차로 구간 및 승하차 영역과 이를 가운데 두고 양측으로 버스가 정차하는 정차 영역이 형성되어 있어서 버스의 교행이 가능한 정류장 구간을 포함하는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에 있어서,
    버스에 설치되고 이동통신망을 통해 GPS 지리좌표로 이루어진 버스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는 버스 OBE 및
    버스 OBE로부터 전달받은 버스 위치 정보를 단선 버스전용차로에 투영하고, 정류장 구간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버스가 존재하는 경우에 각 대향 버스 운전자가 대향 버스의 존재를 알 수 있도록 대향 버스 OBE에 대향 버스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중앙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버스에 설치되고 버스 정보를 주기적으로 무선 전송하는 버스 IoT 단말 및
    단선 차로 구간에 1개 이상 설치되고, 정류장 구간의 상행 정차 영역 및 하행 정차 영역에 각각 1개씩 설치되어 버스 IoT 단말로부터 전달받은 버스 정보를 수신하는 차로 IoT 단말을 더 구비하고,
    중앙 관리 서버는 버스 IoT 단말로부터 수신한 버스 정보에 의해 해당 버스의 위치 정보를 버스 IoT 단말의 GPS 지리좌표 정보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버스 IoT 단말의 전송 주기는 버스 OBE의 전송 주기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중앙 관리 서버는 정류장 구간의 상행 정차 영역 및 하행 정차 영역에 설치된 차로 IoT 모듈로부터 수신한 버스 정보에 의해 버스가 정류장 구간에 정차한 것을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
  5. 청구항 3에 있어서,
    중앙 관리 서버는 차로 구간에 설치된 차로 IoT 모듈로부터 대향 버스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 자기 버스 OBE에 대향 버스의 위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
KR1020210107097A 2021-08-13 2021-08-13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 KR102356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097A KR102356865B1 (ko) 2021-08-13 2021-08-13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097A KR102356865B1 (ko) 2021-08-13 2021-08-13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865B1 true KR102356865B1 (ko) 2022-02-09

Family

ID=80266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097A KR102356865B1 (ko) 2021-08-13 2021-08-13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86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8863A (ja) * 2000-12-14 2002-06-26 Toshiba Corp 後続車両への対向車接近警告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3030782A (ja) * 2001-07-12 2003-01-31 Toshiba Corp 車両の専用道路運行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941171B1 (ko) 2009-04-06 2010-02-10 (주)경봉 버스정보시스템의 버스 도착 시간 표출 장치 및 방법
JP2016189074A (ja) * 2015-03-30 2016-11-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通知装置、通知方法および通知プログラム
JP2019194782A (ja) * 2018-05-02 2019-11-07 株式会社デンソー 交通管理装置
KR20200025433A (ko) 2018-08-30 2020-03-10 (주)동림티엔에스 버스전용차선 신호 제어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78863A (ja) * 2000-12-14 2002-06-26 Toshiba Corp 後続車両への対向車接近警告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03030782A (ja) * 2001-07-12 2003-01-31 Toshiba Corp 車両の専用道路運行方法およびシステム
KR100941171B1 (ko) 2009-04-06 2010-02-10 (주)경봉 버스정보시스템의 버스 도착 시간 표출 장치 및 방법
JP2016189074A (ja) * 2015-03-30 2016-11-0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通知装置、通知方法および通知プログラム
JP2019194782A (ja) * 2018-05-02 2019-11-07 株式会社デンソー 交通管理装置
KR20200025433A (ko) 2018-08-30 2020-03-10 (주)동림티엔에스 버스전용차선 신호 제어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5970B1 (ko) 도로교통 전용통신-기반 노변장치 및 차량단말기를 이용한 도로공사구간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4537852B (zh) 一种基于车路协同的道路突发事故提示方法
CN101727757B (zh) 基于ⅶ支持下的车辆主动避撞系统
CN106960583B (zh) 一种有轨电车路口信号优先控制系统
EP2505452B1 (en) Communications based crossing control for locomotive-centric systems
US10279818B2 (en) Method for directing passengers of public means of transport
CN102157071A (zh) 一种基于车际网络的智能交通管理系统及控制方法
KR101243862B1 (ko) 유티아이에스를 이용한 버스우선신호 시스템
CN106781547A (zh) 一种交通信号灯智能控制方法、路侧设备及系统
CN108615384A (zh) 基于云平台的车道分配方法及用于车道分配的云平台
CN111376950A (zh) 一种基于仿生雁群的列车群控制方法和列车控制系统
CN202003509U (zh) 一种基于车际网络的智能交通管理系统
CN101673471A (zh) 用于车辆和基础设施之间的数据通信的系统和方法
JP2004118848A (ja) 短距離無線通信網を利用したバス内の乗客のための停留所到着所用時間の案内方法
WO2018023870A1 (zh) 一种智能低空交通管理控制中心
CN105390025A (zh) 一种基于位置信息的交通安全智能管理系统
KR101243863B1 (ko) 유티아이에스를 이용한 긴급차량 우선신호 제어시스템
JP3184873B2 (ja) 車両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06646B1 (ko) 도로교통시스템과 연계하여 동작하는 트램우선신호제어시스템
CN102024328B (zh) 基于车头时距均衡的公交信号优先方法
CN105809952A (zh) 避免公交车辆路段拥簇的控制方法、控制系统
CN111771224A (zh) 使用移动设备的紧急交通控制系统
KR102356865B1 (ko) 단선 버스전용차로 운영 시스템
CN203260200U (zh) 行车安全辅助广播系统
CN117315962A (zh) 紧急车辆的优先通行方法、智慧交通系统及云平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