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857B1 -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857B1
KR102356857B1 KR1020190158657A KR20190158657A KR102356857B1 KR 102356857 B1 KR102356857 B1 KR 102356857B1 KR 1020190158657 A KR1020190158657 A KR 1020190158657A KR 20190158657 A KR20190158657 A KR 20190158657A KR 102356857 B1 KR102356857 B1 KR 102356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ludge
complex
strain
de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86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9742A (ko
Inventor
고성철
김홍기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바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주)바요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586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857B1/ko
Publication of KR20210069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9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02F3/341Consortia of bacter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02F3/34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characterised by the enzyme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3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textile indust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슬러지 발효분해조 내에서 생물증강시스템(생물증강법)이 적용된 복합균주(CES-1)를 난분해성의 염색폐수의 2차 오염이 발생하지 않고, 염색폐수 내의 COD, T-N, T-P, 색도, 복합악취 발생도 등을 감소시키며, 우수한 슬러지 제거율을 갖는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A sludge-reduced dye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complex microbial agent}
본 발명은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슬러지 발효분해조 내에서 생물증강시스템(생물증강법)이 적용된 복합균주인 CES-1을 이용함으로써 난분해성의 염색폐수의 2차 오염이 발생하지 않고, 염색폐수 내의 COD, T-N, T-P, 색도, 복합악취 발생도 등을 감소시키며, 우수한 슬러지 제거율을 갖는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세계적인 섬유산업의 성장으로 현재 100,000 종 이상의 염료가 있으며, 약 700,000-1,000,000 톤(ton)이 생산되고 있고, 연간 280,000M/T의 염료가 오염폐수로 방출이 되고 있다. 이러한, 섬유산업은 많은 공업용수와 염료의 사용으로 처리가 어려운 독성물질이 포함된 다량의 폐수를 발생하며 총 산업폐수의 17 내지 20%를 차지하고 있다. 게다가, 총 사용염료의 70%가 합성물질인 Acid Red 337, Direct Blue 71, Reactive Red 198, Acid Orange 2 등의 Azo계 염료로 알려져 있다.
Azo 염료는 [-N=N-] 화학적 구조로 인해 쉽게 가시광선을 흡수하며 염소, 메틸, 니트로, 아미노기 등의 다양한 치환기를 가지므로 매우 안정하며, 쉽게 합성이 가능하여 섬유, 제지, 식품, 피혁, 화장품 및 제약 산업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며 난분해성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염료는 난분해성이며, amines과 같은 분해산물은 독성을 갖는 물질이고, 돌연변이원이며 환경에 가장 많이 유출되고 있는 실정이고, 생태계에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아조염료와 그 대사산물이 적절히 처리되지 않고 생태계에 방출이 되면 태양빛의 투과를 감소하며 따라서 광합성억제, DO 및 수질을 감소시키고, 동·식물생물에 독성을 유발하며 심각한 환경문제를 초래한다.
전통적으로 사용되는 흡착, 응집, 침전 및 이온쌍 추출법 등과 같은 물리·화학적 처리는 탈색에 유효하나 처리비용이 높고 많은 슬러지를 발생시켜 새로운 오염원을 야기하며 이를 추가로 처분할 기술개발과 비용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해양투기, 매립, 소각 등이 활용되었으나 이들은 많은 에너지 및 시설비용이 요구되며 대기 및 수질오염을 유발하여 매우 비환경 친화적이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복합미생물학적 처리법을 이용한 슬러지 저감 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하다 인식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081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32611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생물증강시스템(생물증강법)이 적용된 복합균주(CES-1)를 이용하여 난분해성의 염색폐수의 2차 오염이 발생하지 않고, 염색폐수 내의 COD, T-N, T-P, SS, 색도, 복합악취 발생도 등을 감소시키며, 우수한 슬러지 제거율을 갖는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물학적 처리방법을 이용하여 우수한 비용 효용성을 가지며, 세균, 곰팡이, 효모 등과 같은 다양한 종의 미생물이 혐기성 및 호기성 조건에서 아조염료의 발색 부분 환원 및 아조염료의 분해산물(방향족 그룹을 갖는 화합물)의 분해가 가능한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기질 특이성을 지닌 효소를 분비하는 복합균주(CES-1)를 이용하여 종래의 이용된 화학약품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사업에 적용이 용이한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고농도의 아조염료 물질이 함유된 염색폐수 및 슬러지를 포함하는 유입폐수를 저장하는 집수조; 상기 집수조로부터 유입된 유입폐수를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한 균등조; 상기 균등조로부터 유입된 유입폐수를 분해하고 침전 처리하기 위한 포기침전조; 상기 포기침전조에서 유입된 슬러지를 농축하여 탈수 케익 형태로 처리하는 농축조; 상기 농축조에서 유입된 슬러지에 복합균주(CES-1)를 첨가하여 슬러지를 발효 및 분해하여 처리하는 발효분해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합균주(CES-1)는 기탁번호 KCTC 12579BP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기침전조는 상기 균등조로부터 유입된 유입폐수를 호기성 조건에서 1차 분해하기 위한 제1 포기조; 상기 제1 포기조에서 유입된 유입폐수를 침강 처리하기 위한 제1 침전조; 상기 제1 침전조로부터 유입된 유입폐수를 호기성 조건에서 2차 분해하기 위한 제2 포기조; 및 상기 제2 포기조에서 유입된 유입폐수를 침강 처리하기 위한 제2 침전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기침전조는 상기 제2 침전조에서 유입된 유입폐수를 최종 침강 처리하기 위한 제3 침전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효분해조는 상기 복합균주(CES-1)의 원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균주저장조; 상기 균주저장조에 저장된 원액의 복합균주(CES-1)를 희석하고 활성화시켜 상기 농축조에서 유입된 슬러지를 분해시켜 세포분해산물을 형성하기 위한 균주활성조; 상기 균주활성조에서 유입된 슬러지에 존재하는 협잡물을 필터하여 제거하기 위한 시브스크린(sieve screen); 및 상기 시브스크린을 통해 협잡물이 제거된 슬러지에 공기를 투입하여 잔량의 염색폐수 및 슬러지를 분해처리하기 위한 브로워(blowe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균주활성조에서 형성된 세포분해산물은 상기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에 존재하는 분해미생물의 탄소원, 질소원 또는 무기염류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은 생물증강시스템(생물증강법)이 적용된 복합균주(CES-1)를 이용하여 난분해성의 염색폐수의 2차 오염이 발생하지 않고, 25 내지 50%의 우수한 슬러지 제거율 및 88 내지 94% 염색폐수 탈색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은 염색폐수에서 94 내지 98%의 COD 제거율, 75 내지 80%의 T-N 제거율, 85 내지 92%의 T-P 제거율 및 83 내지 88%의 SS 제거율을 갖는 효과를 갖는다.
게다가, 본 발명의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은 생물학적 처리방법을 이용하여 우수한 비용 효용성을 가지며, 세균, 효모 등과 같은 다양한 종의 미생물이 혐기성 및 호기성 조건에서 아조염료의 발색 부분인 아조기(-N=N-) 환원 및 아조염료의 분해산물(방향족 그룹을 갖는 화합물)의 친환경적인 효율적 분해가 가능하다.
더구나, 본 발명의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은 다양한 기질 특이성을 지닌 효소를 분비하는 복합균주(CES-1)를 이용하므로 슬러지의 침강성이 향상되어 기존 이용되고 있는 화학약품(응집제 등)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 사업에 적용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에서 발효분해조를 대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처리 전/후에 따른 미생물 군집구조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처리 전/후에 따른 아조염색물질의 아조기(-N=N-)의 분해효소(azoreductase)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처리 전/후에 따른 아조염색물질 등의 분해산물인 방향족 화합물 분해효소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전/후에 따른 아조염색물질 등의 분해산물인 암모니움(NH4 +)의 질산화 관련 분해효소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처리 전/후에 따른 아조염색물질의 분해산물인 암모니움(NH4 +)이 질산화 되어 생성된 아질산염 및 질산염의 탈질 관련 분해효소 분포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본 발명은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1)을 제공한다.
상기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1)은 농도의 아조염료 물질이 함유된 염색폐수 및 슬러지를 포함하는 유입폐수를 저장하는 집수조(10); 상기 집수조(10)로부터 유입된 유입폐수를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한 균등조(20); 상기 균등조(20)로부터 유입된 유입폐수를 분해하고 침전 처리하기 위한 포기침전조(30); 상기 포기침전조(30)에서 유입된 슬러지를 농축하여 탈수 케익 형태로 처리하는 농축조(40); 상기 농축조(40)에서 유입된 슬러지에 복합균주(CES-1)를 첨가하여 슬러지를 발효 및 분해하여 처리하는 발효분해조(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균주(CES-1)는 상기 발효분해조(50)에서 첨가되고, 상기 발효분해조(50)와 연결된 상기 균등조(20)로 유입되며, 상기 균등조에서 상기 포기침전조(30) 및 농축조(40)로 유입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합균주(CES-1)는 상기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1)에서 집수조(10)를 제외한 모든 구성에 포함되어 질 수 있다.
상기 복합균주(CES-1)는 기탁번호 KCTC 12579BP이다.
상기 복합균주(CES-1)은 혐기성균, 조건적 혐기성균 및 호기성균이 혼합된 복합균주로서, 상기 고농도의 아조염료 물질이 함유된 염색폐수 및 슬러지를 포함하는 유입폐수의 분해산물인 방향족 물질을 분해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아조염료의 효율적인 색도제거와 벤젠기의 분해제거를 위해서는 아조염료의 환원을 수행할 수 있는 혐기성 또는 호기성 미생물과 환원 후 발생하는 방향족물질의 분해능을 가진 호기성미생물의 조합이 필요하여, 다양한 유전적 및 효소적 기능을 가진 혐기성 및 호기성의 미생물 군을 포함하는 혼합미생물의 확보 및 이를 최대로 활용할 수 있는 혐기성 및 호기성 융합공정기술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복합균주(CES-1)는 호기성, 혐기성 및 조건적 혐기성의 다양한 기능을 가진 68속 및 331종의 미생물군으로 구성된 것으로, 혐기성균인 다양한 속 Clostridium (58%); 조건적 혐기성인 Lactococcus (13%), Enterbacter (1.9%) 및 Lactobacillus(1.2%); 및 호기성균인 Burkholderia sp.(0.41%)가 포함되어 아조염료의 분해산물인 방향족물질의 분해시킬 수 있게 된다.
집수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10)는 고농도의 아조염료 물질이 함유된 염색폐수 및 슬러지를 포함하는 유입폐수를 저장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수조(10)는 고농도의 아조염료 물질이 함유된 염색폐수 및 슬러지를 포함하는 유입폐수를 저장하기 위한 제1 집수조(11); 및 상기 제1 집수조(11)에 저장된 유입폐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탑(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집수조(10)에 상기 유입폐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함으로써 상기 유입폐수 내에 존재하는 큰 입자의 슬러지들을 침전시켜 후술할 구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
균등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균등조(20)는 상기 집수조(10)로부터 유입된 유입폐수를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집수조(10)로부터 유입된 유입폐수에 함유된 상기 염색폐수 및 슬러지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상기 유입폐수 내 난분해성 물질을 빠른 시간 내에 제거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상기 균등조(20)는 상기 포기침전조(30)와 연결되는 하단부에 상기 유입폐수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부(21);를 포함하고, 상기 유량조절부(21)는 상기 유입폐수의 유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포기침전조(30)의 부하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균등조(20)에는 상기 발효분해조(50)와 연결되어 상기 발효분해조(50) 내에 투입된 복합균주(CES-1)와 상기 복합균주에 의한 슬러지 세포의 분해산물이 유입되고, 상기 복합균주(CES-1) 및 분해산물로 인해 상기 유입폐수내의 오염물질의 실질적인 분해가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상기 유입폐수 내의 COD, T-N, T-P 등의 수질 지표를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복합균주에 의한 슬러지 세포의 분해산물은 세포벽과 세포막이 분해될 시 1단계로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및 핵산 등이 유출되고, 이후 단계에서 이들의 각각 분해산물인 당, 아미노산, 지방산, 뉴클레오타이드가 해당되며 또한 동시에 유출되는 무기염류(Ca, Fe, 무기인산, Mg, K, Na 등)가 해당한다 할 수 있으며, 상기 분해산물은 하기의 반응식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분해산물 생성 반응식]
- 탄수화물(전분, 셀룰로스, 펙틴 등) + H2O + 가수분해효소 -> 포도당, 과당, xylose 등
- 단백질 + H2O + 단백질분해효소 -> 아미노산
- 지질 + H2O + 지질분해효소 -> 지방산, 글리세롤
- 핵산 + H2O + DNA 또는 RNA 분해효소 -> 뉴클레오타이드
상기 슬러지 세포의 분해산물은 균등조 내의 복합균주(CES-1) 및 토착 분해균에 탄소원, 질소원 및 무기염류를 제공하여 염색폐수의 처리를 보다 촉진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상기 “토착 분해균”이란 상기 첨가된 복합균주(CES-1) 외에 처리현장에 본래 존재하여 살아가는 미생물을 의미한다.
포기침전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포기침전조(30)는 상기 균등조(20)로부터 유입된 유입폐수를 분해하고 침전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포기침전조(30)는 상기 균등조(20)로부터 유입된 유입폐수를 호기성 조건에서 1차 분해하기 위한 제1 포기조(31); 상기 제1 포기조(31)에서 유입된 유입폐수를 침강 처리하기 위한 제1 침전조(32); 상기 제1 침전조(32)로부터 유입된 유입폐수를 호기성 조건에서 2차 분해하기 위한 제2 포기조(33); 및 상기 제2 포기조(33)에서 유입된 유입폐수를 침강 처리하기 위한 제2 침전조(3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포기조(31)는 상기 균등조(20)로부터 유입된 유입폐수의 1차 처리가 수행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균등조로부터 유입된 유입폐수에 존재하는 다양한 오염물질을 호기성 조건에서 상기 복합균주(CES-1)의 우점작용으로 인해 1차 분해가 수행되고, 상기 오염물질의 무독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1차 처리는 상기 균등조로부터 유입된 유입폐수 내에 있는 오염물질이 분해미생물의 작용으로 분해가 되어 무독한 유기 및 무기 물질로 변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우점작용의 사전적 의미는 부피당 어느 생물의 밀도가 다른 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우점작용을 본 발명에 적용할 경우, 상기 복합균주(CES-1)가 폐수처리시스템 본래 존재하는 토착 미생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상태를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복합균주(CES-1)가 항상 다른 종들에 높다고는 할 수가 없으나 이런 상태에서도 상기 복합균주(CES-1)의 작용은 유지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 포기조(31)에서 상기 유입폐수의 1차 분해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포기조(31) 내의 슬러지침강지수(sludge volume index: SVI)가 30 내지 35 ml/g인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슬러지침장지수가 30 내지 35ml/g로 유지될 경우, 후술할 제1 침전조(32)에 수행되는 슬러지의 침강성을 현저히 향상시켜 복합균주(CES-1), 토착 미생물 등의 농도를 높게 유지 할 수 있어, 상기 염색폐수 및 슬러지 내에 존재하는 오염물질의 처리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고, 더불어 COD, T-N, T-P, SS, 색도, 복합악취 발생도 등의 감소시켜 폐수처리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침전조(32)는 상기 제1 포기조(31)에서 유입된 유입폐수를 침강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침전조(32)는 상기 복합균주(CES-1)의 상승작용으로 인해 상기 유입폐수 내에 존재하는 슬러지의 침강성을 강화시켜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 침전조(32)에서는 상기 집수조(20)에 저장된 유입폐수와 비교하여 80 내지 90%의 COD 제거율을 갖게 된다.
상기 제2 포기조(33)는 상기 제1 침전조(32)로부터 유입된 유입폐수를 호기성 조건에서 2차 분해하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포기조(33)는 상기 제1 침전조(32)로부터 미처리되어 유입된 유입폐수에 존재하는 다양한 오염물질을 호기성 조건에서 상기 복합균주(CES-1)의 우점작용으로 인해 2차 분해가 수행되고, 상기 오염물질의 무독화를 더욱 촉진하게 된다.
상기 제2 침전조(34)는 상기 제2 포기조(33)에서 유입된 유입폐수를 침강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침전조(34)는 상기 복합균주(CES-1)의 상승작용으로 인해 상기 유입폐수 내에 존재하는 슬러지의 침강성을 강화시켜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2 침전조(34)에서는 상기 집수조에 저장된 유입폐수와 비교하여 55 내지 75%의 SS 제거율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포기침전조(30)는 상기 제2 침전조(34)에서 유입된 유입폐수를 최종 침강 처리하기 위한 제3 침전조(35);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침전조(35)는 상기 제2 침전조(34)와 연결되어 상기 제2 침전조(34)에서 미처리된 여분의 슬러지를 제거하게 된다.
상기 제3 침전조(35)에서 처리된 폐수는 방류조를 거쳐 방류되며, 소량의 슬러지가 후술할 농축조로 유입될 수 있다.
농축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농축조(40)는 상기 포기침전조(30)에서 유입된 슬러지를 농축하여 탈수 케익 형태로 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포기침전조(30)에서 유입된 유입폐수에 존재하는 슬러지를 농축하여 수분함량이 60%인 탈수 케익(50 내지 60톤/일)을 제조하여 상기 슬러지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농축조(40)는 상기 포기침전조(30)와 연결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농축조(40)는 상기 제1 침전조(32), 제2 침전조(34) 및 제3 침전조(35)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농축조(40)는 슬러지 이송펌프(41)가 포함되어 있어, 상기 농축조(40)에 잔류하는 염색폐수 및 슬러지를 포함하는 유입폐수를 후술할 발효분해조(50)로 이송시킬 수 있다.
발효분해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발해분해조(50)는 상기 농축조(40)에서 유입된 슬러지에 복합균주(CES-1)를 첨가하여 상기 슬러지를 발효 및 분해하여 처리하는 구성이다.
상기 발효분해조(50)는 1 L 매스실린더에 슬러지를 2시간 동안 침강시킬 경우 슬러지의 침강지수(sludge volume index: SVI)가 30 내지 40 ml/g를 유지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고, 처리효율의 상향 안정화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발효분해조(50)는 상기 복합균주(CES-1)의 원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균주저장조(51); 상기 균주저장조(51)에 저장된 원액의 복합균주(CES-1)를 희석하고 활성화시켜 상기 농축조(40)에서 유입된 슬러지를 분해시켜 세포분해산물을 형성하기 위한 균주활성조(52); 상기 균주활성조(52)에서 유입된 슬러지에 존재하는 협잡물을 필터하여 제거하기 위한 시브스크린(sieve screen)(53); 및 상기 시브스크린(53)을 통해 협잡물이 제거된 슬러지에 공기를 투입하여 잔량의 염색폐수 및 슬러지를 분해처리하기 위한 브로워(blower)(54);로 구성된다.
상기 균주저장조(51)는 상기 복합균주(CES-1)의 원액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균주저장조(51)에는 균주 원액 0.5 내지 3톤/일로 일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균주활성조(51)는 상기 균주저장조(51)에 저장된 원액의 복합균주(CES-1)를 희석하고 활성화시켜 상기 농축조(40)에서 유입된 슬러지를 분해시켜 세포 분해산물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균주저장조(51)에 저장된 상기 복합균주(CES-1)의 원액이 15 내지 90톤/일로 희석되어 활성화시킬 수 있다.
상기 균주활성조(52)는 상기 농축조(40)에서 유입된 슬러지를 상기 희석된 복합균주가 분해하여 세포분해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균주활성조(52)에서 형성된 세포분해산물은 상기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1)에 존재하는 분해미생물의 탄소원, 질소원 또는 무기염류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시브스크린(sieve screen)(53)은 상기 농축조(40)에 존재하는 협잡물을 필터하여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협잡물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복합균주의 활성을 최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시브스크린(53)은 상기 슬러지 내에 존재하는 염(struvite 등)을 제거하여 상기 복합균주의 활성을 방해하는 요소를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시브스크린(53)의 필터 효과가 약해지면 상기 유입폐수 내의 협잡물 또는 염이 존재하게 되어 상기 복합균주의 활성이 억제되어 상기 슬러지 처리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브로워(54)는 상기 시브스크린(53)을 통해 협잡물이 제거된 슬러지에 공기를 투입하여 잔량의 염색폐수 및 슬러지를 분해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브로워(54)는 35 내지 45 N m3/min의 공기를 투입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복합균주의 활성을 향상시켜 상기 유입폐수 내의 잔량의 염색폐수 및 슬러지를 효과적으로 분해시킬 수 있다.
상기 발효분해조(50)는 미세기포 발생기(CES-Bio System)(55);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기포 발생기(55)는 바이오에어제트(56)에 의한 OH 라디칼을 형성하여 미생물 분해 작용을 활성화 시키는 것은 물론 발생된 물리적 힘(유압)에 의해 분해된 슬러지의 균등조로의 반송을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세 알려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실시예.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오염물질 분해 효과 확인
1. 미생물 군집구조 변화 확인
본 발명의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적용 70일 전(2017-03-02) 시료;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처리 50일 후(2017-06-29) 시료; 및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처리 10개월 후(2018-03-10) 시료;에 대한 미생물 군집구조를 분석하여 미생물 군집구조 변화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참조하면,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적용 70일 전(2017-03-02) 시료에는 Alicycliphilus sp., Burkholderia sp., Thiomonas sp., 및 Leucobacter sp.가 우점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처리 10개월 후(2018-03-10) 시료에는 복합균주(CES-1)에 함유되어 있는 Gluconacetobacter sp.가 우점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에서 복합미생물의 처리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2. 아조염색물질의 아조기(-N=N-) 분해효소 분포 확인
도 4을 참조하면, 복합균주 처리 약 10개월 후의 Azoreductase의 분포를 관찰한 결과 처리초에 비해 보다 다양한 FMN-dependent NADH azoreductases 가 발견되어 아조염색물질의 아조기(-N=N-)의 분해를 통하여 탈색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A1B9N5 FMN-dependent NADH azoreductase가 균등조 및 제2포기조에서 우점하여 작용함을 알수 있다.
3. 아조염색물질 분해산물(방향족 화합물) 분해효소 분포 확인
본 발명의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적용 70일 전(2017-03-02) 시료; 및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처리 10개월 후(2018-03-10) 시료;에 대한 아조염색물질의 분해산물인 방향족 화합물의 분해효소의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를 참조하면,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적용 70일 전 시료와 비교하여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처리 10개월 후 시료의 경우, 균등조, 제1포기조 및 제2포기조에서 protocatechuate 4,5-diooxygenase, 3-phenylpropionate diooxygenase, ferredoxin reductase, vanilate O-demethylase oxygenase 및 catechol 2,3-diooxygenase 등의 미생물 출현빈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이 염색물질의 분해에 기인하는 방향족물질의 분해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4. 아조염색물질 분해산물(암모니움; NH 4 + )의 질산화 분해효소 분포 확인
본 발명의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적용 70일 전(2017-03-02) 시료; 및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처리 10개월 후(2018-03-10) 시료;에 대한 질산화 분해효소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를 참조하면,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적용 70일 전 시료와 비교하여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처리 10개월 후 시료의 경우, 균등조 및 발효분해조에서 ammonia monoxygenase, nitrite oxidoreductase 및 hydroxylamine oxidoreductase 등이 출현빈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본 발명의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이 아조염색물질 등의 분해 시 발생하는 질소물질(암모니움; NH 4 + )의 산화를 통해 아질산염 및 질산염의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5. 탈질 관련 분해효소 분포 확인
본 발명의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적용 70일 전(2017-03-02) 시료; 및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처리 10개월 후(2018-03-10) 시료;에 대한 탈질 관련 분해효소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을 참조하면,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적용 70일 전 시료와 비교하여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처리 10개월 후 시료의 경우, 제1 포기조에서 nirK (nitrite reductase), nosZ (nitrous oxide reductase) 및 napA (nitrate reductase)늬 출현빈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발효분해조에서 nirS (nitrite reductase)의 출현빈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이 호발제 등의 유기물분해를 통한 얻어진 전자를 활용하여 아조염색물질 분해산물(암모니움; NH4 +)의 질산화를 거쳐 발생한 질소산화물질(아질산 및 질산염)의 탈질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 1
집수조 : 10
균등조 : 20
포기침전조 : 30
농축조 : 40
발효분해조 : 50

Claims (6)

  1. 고농도의 아조염료 물질이 함유된 염색폐수 및 슬러지를 포함하는 유입폐수를 저장하는 집수조;
    상기 집수조로부터 유입된 유입폐수를 균일하게 혼합하기 위한 균등조;
    상기 균등조로부터 유입된 유입폐수를 분해하고 침전 처리하기 위한 포기침전조;
    상기 포기침전조에서 유입된 슬러지를 농축하여 탈수 케익 형태로 처리하는 농축조; 및
    상기 농축조에서 유입된 슬러지에 복합균주인 CES-1을 첨가하여 슬러지를 발효 및 분해하여 처리하며, 1 L 매스실린더에 슬러지를 2시간 동안 침강시킬 경우 슬러지 침강지수(sludge volume index: SVI)가 30 내지 40 ml/g로 유지되는 발효분해조;를 포함하고,
    상기 포기침전조는,
    상기 균등조로부터 유입된 유입폐수를 호기성 조건에서 1차 분해하기 위한 제1 포기조;
    상기 제1 포기조에서 유입된 유입폐수를 침강 처리하기 위한 제1 침전조;
    상기 제1 침전조로부터 유입된 유입폐수를 호기성 조건에서 2차 분해하기 위한 제2 포기조; 및
    상기 제2 포기조에서 유입된 유입폐수를 침강 처리하기 위한 제2 침전조;로 구성되며,
    상기 제1 포기조에서 상기 유입폐수의 1차 분해가 수행됨과 동시에, 상기 제1 포기조 내의 슬러지 침강지수(sludge volume index: SVI)가 30 내지 35 ml/g 인 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복합균주인 CES-1은 상기 발효분해조 옆의 균주저장조에 원액 상태로 저장되며,
    상기 균주저장조에는 상기 복합균주인 CES-1의 원액이 0.5 내지 3톤/일로 저장되고,
    상기 발효분해조는,
    상기 복합균주인 CES-1의 원액을 15 내지 30톤/일로 희석하여 상기 복합균주인 CES-1을 활성화시키는 균주활성조를 포함하며,
    상기 발효분해조는,
    상기 복합균주인 CES-1에 의한 미생물 분해 작용 및 OH 라디칼에 의한 활성 작용을 통해 상기 포기침전조로부터 공급된 슬러지를 분해하여 슬러지 세포의 분해산물을 형성하며,
    상기 분해산물은,
    Ca, Fe, 무기인산, Mg, K 및 Na를 포함하는 무기염류와, 당과, 아미노산과, 지방산과, 뉴클레오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발효분해조는,
    상기 균등조로 상기 복합균주인 CES-1 및 상기 분해산물을 공급하며,
    상기 복합균주인 CES-1은,
    기탁번호 KCTC 12579BP로 기탁된 복합균주이며, Gluconacetobacter sp를 포함하고,
    상기 발효분해조는,
    상기 Gluconacetobacter sp가 우점하고 있는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기침전조는,
    상기 제2 침전조에서 유입된 유입폐수를 최종 침강 처리하기 위한 제3 침전조;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분해조는,
    상기 균주활성조에서 유입된 슬러지에 존재하는 협잡물을 필터하여 제거하기 위한 시브스크린(sieve screen); 및
    상기 시브스크린을 통해 협잡물이 제거된 슬러지에 공기를 투입하여 잔량의 염색폐수 및 슬러지를 분해처리하기 위한 브로워(blowe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6. 삭제
KR1020190158657A 2019-12-03 2019-12-03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KR102356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657A KR102356857B1 (ko) 2019-12-03 2019-12-03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8657A KR102356857B1 (ko) 2019-12-03 2019-12-03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742A KR20210069742A (ko) 2021-06-14
KR102356857B1 true KR102356857B1 (ko) 2022-02-04

Family

ID=76417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8657A KR102356857B1 (ko) 2019-12-03 2019-12-03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8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55901B (zh) * 2021-10-29 2023-08-29 杭州秀川科技有限公司 一种噻菌灵生产废水的生物预处理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6891A (ja) * 2001-05-17 2002-11-26 Kurabo Ind Ltd 難分解性物質の分解システム
KR101316051B1 (ko) * 2012-04-30 2013-10-10 주식회사 라이크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난분해성 슬러지의 처리장치
KR101813136B1 (ko) * 2017-06-22 2018-01-31 (주)바요 Ces 바이오 시스템을 적용한 슬러지 분해 반응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0819B1 (ko) 2018-04-27 2018-12-19 주식회사 대성그린테크 하·폐수 내 미량유해물질 처리를 위한 유용미생물 활성화 시스템
KR101932611B1 (ko) 2018-04-30 2018-12-27 (주)이앤씨 수처리공정의 온도차에 따른 미생물 활성저하방지를 위한 열회수시스템을 이용한 고도 수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36891A (ja) * 2001-05-17 2002-11-26 Kurabo Ind Ltd 難分解性物質の分解システム
KR101316051B1 (ko) * 2012-04-30 2013-10-10 주식회사 라이크 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난분해성 슬러지의 처리장치
KR101813136B1 (ko) * 2017-06-22 2018-01-31 (주)바요 Ces 바이오 시스템을 적용한 슬러지 분해 반응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9742A (ko)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ang et al. Combination of Fenton processes and biotreatment for wastewater treatment and soil remediation
Herrero et al. Bioaugmentation and its application in wastewater treatment: a review
Hao et al. A mechanistic review on aerobic denitrification for nitrogen removal in water treatment
Ong et al. Decolorization of Orange II using an anaerobic sequencing batch reactor with and without co-substrates
Mugdha et al. Enzymatic treatment of wastewater containing dyestuffs using different delivery systems
Tian et al. Enhanced azo dye biodegradation at high salinity by a halophilic bacterial consortium
Zhuang et al. Effect of pure oxygen fine bubbles on the organic matter removal and bacterial community evolution treating coal gasification wastewater by membrane bioreactor
Ong et al. Granular activated carbon-biofilm configured sequencing batch reactor treatment of CI Acid Orange 7
CN101654314A (zh) 一种染料废水处理方法
Lawal et al. Sequential batch reactors for aerobic and anaerobic dye removal: a mini-review
CN108070543A (zh) 一种适用于低c/n比废水处理的脱氮菌制剂的制备和应用
Cheng et al. The role of beneficial microorganisms in an anoxic-oxic (AO) process for treatment of ammonium-rich landfill leachates: Nitrogen removal and excess sludge reduction
KR102356857B1 (ko) 복합미생물제제를 이용한 슬러지 저감형 염색폐수 처리시스템
Kumar et al. Harnessing the potential of white rot fungi and ligninolytic enzymes for efficient textile dye degradation: A comprehensive review
Bellucci et al. Assessment of anammox, microalgae and white-rot fungi-based 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textile wastewater
Rani et al. Biological treatment of distillery waste water–An overview
CN104829042A (zh) 一种兼氧膜生物反应器技术处理印染废水的方法
CN108163997A (zh) 一种印染污水的微生物除氮方法
Zhang et al. Enhanced organic matter degradation in shale gas wastewater treatment using Biofilm-Membrane bioreactors with varied filler Types, Pre-ozonation, and filler ratios
Raymond et al. Decolourization of textile dye using microalgae (Chlorella vulgaris and Sphaerocystis schroeteri)
Liu et al. Advanced nitrogen removal of landfill leachate treatment with anammox process: A critical review
Spina et al. Selection of strains and carriers to combine fungi and activated sludge in wastewater bioremediation.
CN106892539A (zh) 高浓度高含盐高色度污水的处理方法及处理装置
Tian et al. Stress response and signalling of a low-temperature bioaugmentation system in decentralized wastewater treatment: Degradation characteristics, community structure, and bioaugmented mechanisms
Malik et al. 8 Pretreatment a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