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329B1 - 리바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리바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329B1
KR102356329B1 KR1020210085093A KR20210085093A KR102356329B1 KR 102356329 B1 KR102356329 B1 KR 102356329B1 KR 1020210085093 A KR1020210085093 A KR 1020210085093A KR 20210085093 A KR20210085093 A KR 20210085093A KR 102356329 B1 KR102356329 B1 KR 102356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meter
glass fiber
wound
reference hole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훈
Original Assignee
(주)케이지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지알 filed Critical (주)케이지알
Priority to KR1020210085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3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5/00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 B29B15/08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not covered by groups B29B7/00 - B29B13/00 of reinforcements or fillers
    • B29B15/10Coating or impregnating independently of the moulding or shaping st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00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B29C53/8016Storing, feeding or applying winding materials, e.g. reels, thread guides, tensio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00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B29C53/8041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2Cores or mandrels
    • B29C53/821Mandrels e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B29C53/825Mandrels e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for continuous w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30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 B29C70/32Shaping by lay-up, i.e. applying fibres, tape or broadsheet on a mould, former or core; Shaping by spray-up, i.e. spraying of fibres on a mould, former or core on a rotating mould, former or c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oulding By Coating Moulds (AREA)

Abstract

리바 제조 장치가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리바 제조 장치는 유리섬유를 와인딩 할 때 와인딩되는 힘을 차단할 수 있어서 공정의 안전성이 도모될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리바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바 제조 장치{MANUFACTURING DEVICE FOR REBAR}
본 발명은 리바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리바를 제조할 때 유리섬유가 와인딩되는 힘을 제어하여 빠르게 리바를 제조할 수 있는 리바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재로서 콘크리트 내에 철근을 삽입한 철근 콘크리트가 널 리 사용되고 있다. 철근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압축력과 철근의 인장력을 결합시켜 콘크리트의 결함을 철근이 보완하고 있으므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철근 콘크리트는 오랜 세월이 지나면 콘크리트 내의 철근이 부식되게 되어 강도가 떨어지게 된다. 특히 해안용 보 등 해수 인접 지역에서는 염분에 의해 철근의 산화가 훨씬 빠르게 진행되어 철근 콘크리트는 빠르게 망가지고는 한다.
따라서 최근에는 철근의 단점을 보완하여 유리섬유로 만든 리바를 콘크리트 보강재로 활용하고 있다. 리바는 유리섬유를 가공하여 만든 철근과 같은 형상으로 만든 철근의 대체제품이다.
리바는 유리섬유가 이동됨에 따라 정렬공정, 함침공정, 와인딩공정, 히팅공정, 쿨링공정이 수행되어 제조될 수 있다.
리바는 복수개의 유리섬유가 정렬되어 배치되고, 유리섬유가 수지재로 적셔지고, 유리섬유가 와인딩되고, 그 후 히팅하여 유리섬유가 결합되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와인딩된 유리섬유를 쿨링하여 제조된다. 이처럼 리바는 유리섬유에 분리된 영역에서 수행되는 상이한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제조된다.
그러나 리바 제조 시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데 첫 번째는 문제는 유리섬유의 꼬임 현상이다.
리바가 제조되기 위하여는 유리섬유들이 일정하게 와인딩되어야 한다. 그래야 경화되어 제조되는 리바는 균일한 크기를 가지게 된다. 그러나 현재에는 유리섬유들이 와인딩될 때, 일정하게 와인딩되지 않으며, 또한 지속적으로 유리섬유를 와인딩하는 힘이 이미 와인딩된 유리섬유에 전달되어 유리섬유들이 과하게 와인딩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두 번째 문제는 타 공정 상 배치된 유리섬유가 꼬이는 것이다.
유리섬유는 수지재가 도포된 후 와인딩되어야 한다. 유리섬유는 하나의 긴 끈인 바, 어느 한 부분이 와인딩되는 힘을 받으면 인접한 다른 부분도 그 힘을 받게 된다.
이러한 힘은 연쇄적 전달되는 바, 와인딩공정에서 유리섬유에 가해지는 힘은 정렬공정, 도포공정이 수행되는 위치에 있는 유리섬유에게도 전달되고, 그로 인하여 유리섬유가 꼬이게 된다. 따라서 유리섬유가 정렬되어 위치되지 못하게 되어 각각의 공정에서 제대로된 공정이 수행되지 못하며, 심한 경우 유리섬유가 전체가 엉키게 되어 공정 전체를 중단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0001) 국내 특허 출원번호 10-2016-0138699 (2017.06.20 공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유리섬유가 일정하게 와인딩될 수 있는 힘을 인가하여 일정하게 유리섬유가 와인딩될 수 있는 리바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유리섬유가 상호 연결되도록 와인딩하는 힘을 유리섬유에 인가하되, 이 힘이 다른 공정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리바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바 제조 장치는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의 회전동력에 따라 회전되며 유리섬유가 와인딩되며 이동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을 연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베이스부 및 와인딩된 유리섬유의 직경을 기준으로 설정된 직경을 가지는 기준홀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홀의 직경은 상기 기준홀의 지름이 상기 와인딩된 유리섬유의 지름보다 0.5mm 이상 내지 2mm 이하로 크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준홀의 지름은 상기 와인딩된 유리섬유의 지름보다 1mm 이상 크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재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면에 상기 플레이트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입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홀은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입구부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재의 기준홀은 일측의 직경이 상기 설정된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설정된 직경을 갖도록 직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모터와 일측이 상기 모터의 샤프트를 둘러싸며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부를 감싸며 배치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는 일측면과 타측면을 연결하되 상기 일측면의 직경과 상기 타측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는 상기 연결부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제어부재로 인하여 유리섬유가 와인딩될 때 과하게 와인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유리섬유의 직경에 따라 설정된 직경을 가지는 기준홀이 형성된 제어부재로 인하여 유리섬유가 와인딩된다 하더라도 와인딩하는 힘이 다른 공정이 수행되는 유리섬유로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균일한 퀄리티의 리바를 제조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유리섬유의 꼬임으로 인한 공정 중단이 발생되지 않아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바 제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바 제조 장치에서 함침공정을 수행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바 제조 장치에서 와인딩공정을 수행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바 제조 장치에서 제어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바 제조 장치에서 제어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바 제조 장치에서 와인딩된 유리섬유와 기준홀의 크기 차이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바 제조 장치의 측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바 제조 장치는 정렬단계(S100), 함침단계(S200), 와인딩단계(S300), 히팅단계(S400)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유리섬유는 본 발명인 리바 제조 장치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이동하며 각 공정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리바가 될 수 있다.
정렬단계(S100)는 가공의 대상이 되는 유리섬유를 정렬하는 단계이다. 즉, 정렬단계(S100)는 리바의 사이즈를 감안하여 복수개의 유리섬유를 적재하고, 유리섬유가 상호 엉키지 않도록 상호 이격하여 배치하는 단계이다.
함침단계(S200)는 유리섬유의 둘레에 수지재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함침단계(S200)는 후술한 도 2에서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지만, 수지재가 가득 찬 수조부(210)에 유리섬유가 침투하도록 함으로써 수조부(210)를 통과한 유리섬유가 수지재로 젖도록 하는 단계이다.
와인딩단계(S300)는 수지재로 도포된 유리섬유를 한 위치로 모은 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와인딩하여 유리섬유가 상호 엮이며 결합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와인딩된 유리섬유의 둘레에 사선형으로 유리섬유를 감싸는 단계도 수행된다. 즉, 와인딩단계(S300)에서는 와인딩되어 상호 엮이며 결합된 유리섬유의 둘레에 유리섬유를 사선형으로 감싸 리바의 형태를 만든다.
히팅단계(S400)에서는 와인딩단계(S300)를 통하여 특정한 형상으로 형성된 유리섬유에 열을 인가하여 유리섬유가 견고하게 굳으며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유리섬유는 리바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와인딩단계(S300)에서 유리섬유를 모아서 와인딩 하는 경우, 유리섬유가 과하게 와인딩되거나 정렬단계(S100), 함침단계(S200)에서 정렬된 유리섬유도 와인딩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후술하여 설명할 제어부재를 통하여 해결하였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바 제조 장치에서 함침공정을 수행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함침공정을 수행하는 본 발명인 리바 제조 장치는 수조부(210), 제어바(220), 지지프레임(230), 가이드부(240)를 포함한다.
수조부(210)는 설정된 크기의 공간을 가진다. 액상의 수지재는 수조부(210)의 설정된 크기의 공간을 채울 수 있다. 유리섬유는 일방향으로 직선으로 이동하지 않고, 수지재를 향하도록 대각 아래 방향으로 가이드 되며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유리섬유는 수지재를 흡수할 수 있다.
여기서 미도시되어 있으나, 수조부(210)의 상부에는 유리섬유의 하측 이동을 보조하는 가압체가 배치될 수 있다. 가압체는 유리섬유의 상부와 맞닿아 하측으로 힘을 인가하여 유리섬유가 수조부(210)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이동 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수조부(210)의 우측에는 제어바(220)와 지지프레임(230)이 배치될 수 있다.
제어바(220)와 지지프레임(230)은 상호 결합되어 배치되며, 수조부(210)를 기준으로 수조부(21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바(220)는 제1가압부(221), 제2가압부(222)를 포함한다. 제1가압부(221)와 제2가압부(222)는 각각 평평한 형태로, 하측을 향하여 연장된 형태의 플레이트일 수 있다. 제1가압부(221)와 제2가압부(222)는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바(220)는 지지프레임(23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230)은 가이드돌출부(231) 및 가이드플레이트부(232)를 포함한다.
가이드돌출부(231)는 상측을 향하여 돌출된 플레이트이다. 제어바(220)가 정렬되어 배치되면, 가이드돌출부(231)는 제1가압부(221)와 제2가압부(222) 사이에 배치된다.
가이드플레이트부(232)는 일측이 가이드돌출부(231)의 하측과 연결되며, 타측은 수조부(210)를 향하여 경사져서 형성된다. 가이드플레이트부(232)의 이러한 형상으로 인하여 수지재가 가이드플레이트부(232)에 있는 경우 수지재는 흘러서 수조부(210)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들로 형성되며 상호 결합되어 배치되는 제어바(220)와 지지프레임(230)으로 인하여 유리섬유가 절곡되어 이동되며, 과흡수한 수지재가 유리섬유에서 배출되어 수조부(210)로 다시 흘러가도록 하며, 와인딩공정에서 인가되는 유리섬유를 와인딩하는 힘을 차단할 수 있다.
수지재를 흡수한 유리섬유의 이동 경로를 살펴보면 유리섬유는 제1가압부(221)의 하측을 지나, 제1가압부(221)와 가이드돌출부(231) 사이에서 상측을 향하며 이동되고, 가이드돌출부(231)와 제2가압부(222) 사이에서는 다시 절곡되어 하측으로 이동되어 최종적으로 제2가압부(222)의 하측을 지나 이동된다.
이와 같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유리섬유는 절곡되고, 상측과 하측에서 각각 제1가압부(221), 제2가압부(222), 가이드돌출부(231)를 맞닿게 되어 와인딩되는 힘인 회전방향으로 힘이 인가되는 경우에 맞닿는 부분의 반발로 인하여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동에 따라 유리섬유에 흡수된 수지재는 가압되는 힘들에 의하여 유리섬유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가이드부(240)는 수조부(210)에 배치된다. 가이드부(240)는 격벽이 이격되어 배치된 형태이다. 가이드부(240)의 각각의 격벽 사이에는 하나의 유리섬유가 통과될 수 있다. 즉, 하나의 격벽과 다른 하나의 격벽 사이에는 하나의 유리섬유가 배치되고, 다른 하나의 격벽과 또 다른 하나의 격벽 사이에는 다른 하나의 유리섬유가 배치되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유리섬유는 외부에 힘이 인가되더라도 위치가 유지된 채 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바 제조 장치에서 와인딩공정을 수행하는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바 제조 장치에서 제어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바 제조 장치에서 제어부재의 단면도이다.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은 구동부(310), 베이스부(320), 제어부재(330)를 통하여 유리섬유를 와인딩할 때 유리섬유가 과하게 와인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와인딩하는 힘이 전술한 공정에 전달되지 않고 차단될 수 있다.
구동부(310)는 회전동력을 발생한다. 구동부(310)는 모터(311)와 전달부(312)를 포함한다.
모터(311)는 전원공급에 따라 샤프트를 회동하는 회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달부(312)의 일측은 모터(311)의 샤프트를 감싸며 배치되어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같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베이스부(320)는 구동부(310)의 동작에 따라 회전되며, 유리섬유를 와인딩하며 와인딩된 유리섬유의 둘레에 리브를 형성할 수 있다.
베이스부(320)는 확경부(321), 관통홀(322), 연결부(323)를 포함한다.
확경부(321)는 직경이 다른 부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확경부(321)의 일면에는 리브형성부(321a), 텐션인가부(321b)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형성부(321a)는 확정부의 중심에서 방사방향을 따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리브형성부(321a)에는 감겨진 형태의 유리섬유가 배치될 수 있다.
리브형성부(321a)와 확경부(321)의 중심 사이에는 텐션인가부(321b)가 배치될 수 있다. 텐션인가부(321b)는 리브형성부(321a)에 배치된 유리섬유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텐션인가부(321b)는 유리섬유에 텐션을 인가할 수 있다.
즉, 텐션인가부(321b)는 유리섬유가 이동되는 거리를 다소 길게 형성하여 유리섬유에 텐션을 인가할 수 있다. 리브형성부(321a)와 텐션인가부(321b)는 전달부(312)가 전달하는 회전 동력에 따라 회전을 하며, 와인딩된 유리섬유 둘레에 사선 방향으로 유리섬유를 감아서 리바의 리브를 형성할 수 있다.
관통홀(322)은 베이스부(320)를 관통하며 형성된다. 관통홀(322)은 유리섬유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통로의 역할이 될 수 있다. 관통홀(322)은 이동되는 유리섬유가 와인딩되며 이동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여 유리섬유가 와인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3을 기준으로 좌측에 위치되어 수지재로 적셔진 유리섬유들이 관통홀(322)로 모이며 위치되고, 관통홀(322)에서 베이스부(32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므로, 우측으로 이동될수록 유리섬유는 와인딩되며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관통홀(322)을 통과한 유리섬유의 둘레에는 사선 방향으로 유리섬유가 다시 감기어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23)는 전달부(312)가 감기는 부분이다. 연결부(323)는 양측의 직경보다 적어도 작게 형성된다. 즉,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23)의 직경은 연결부(323)를 기준으로 좌측, 우측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따라서 연결부(323)는 목과 같은 형태일 수 있다.
연결부(323)에는 전달부(312)가 감싸며 연결된다. 따라서 연결부(323)와 연결부(323)의 좌측, 우측의 직경 차이로 인하여 전달부(312)가 연결부(323)를 감싸며 배치되는 경우 전달부(312)는 연결부(323)에서 이탈 불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재(330)는 유리섬유를 일정하게 와인딩하며 와인딩되는 힘이 다른 공정(정렬단계(S100), 함침단계(S200))이 수행되는 유리섬유에 전달되지 않도록 힘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제어부재(330)는 도 3을 기준으로 베이스부(320)의 좌측(입구측)에 배치된다. 제어부재(330)는 기준홀(331)을 포함한다. 기준홀(331)은 와인딩된 유리섬유의 직경을 기준으로 설정된다. 기준홀(331)의 직경은 와인딩된 유리섬유의 직경보다 조금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수지재로 적셔진 유리섬유들은 기준홀(331)로 인입되고, 기준홀(331)을 통과하여 관통홀(322)로 인입된다.
제어부재(330)는 베이스부(32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기준홀(331)로 인입된 유리섬유들은 제어부재(330)의 회전에 따라 와인딩되며 기준홀(331)을 통과하고, 관통홀(322)을 통과하며 감길 수 있다. 여기서 기준홀(331)은 관통홀(322)보다 직경이 작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기준홀(331)은 와인딩될 유리섬유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재(330)는 플레이트부(332)와 입구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준홀(331)은 당연하게도 입구부(333)와 베이스부(320)를 관통하며 형성된다.
플레이트부(332)와 입구부(333)는 상이한 직경을 가져서 단차지는 형태로 관찰될 수 있다.
플레이트부(332)는 전술한 확경부(321)와 유사하게 다른 구성(입구부(333))에 비하여 큰 지름을 가지므로, 둘레를 활용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플레이트부(332)의 둘레에는 나사홀(332a)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홀(332a)에는 나사가 인입되어 플레이트부(332)와 베이스부(320)가 안전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부(320)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어부재(33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입구부(333)는 플레이트부(332)의 일면에 형성된다. 입구부(333)는 직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되는 바, 플레이트부(332)에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입구부(333)의 중심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연속되며 작아지도록 테이퍼지며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4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입구부(333)의 최상측의 직경은 기준홀(331)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이와 같은 입구부(333)에 형성된 기준홀(331)의 형상으로 인하여 유리섬유가 기준홀(331)로 모이게 되는 경우 유리섬유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리바 제조 장치에서 와인딩된 유리섬유와 기준홀(331)의 크기 차이를 도시한 것이다.
기준홀(331)의 지름은 와인딩된 유리섬유의 지름보다 0.5mm 이상 크도록 형성된다. 또는 기준홀(331)의 지름은 와인딩된 유리섬유의 지름을 기준으로 2mm 크도록 형성된다. 즉, 기준홀(331)의 지름은 와인딩된 유리섬유의 지름보다 0.5mm 이상 내지 2mm 이하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기준홀(331)의 지름은 와인딩된 유리섬유의 지름보다 1mm 크게 또는 그 이상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어부재(330)의 기준홀(331)에 모여서 기준홀(331)로 인입되는 유리섬유는 기준홀(33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되, 와인딩되어 직경이 커지도록 되는 경우 기준홀(331)은 유리섬유를 가압하여 유리섬유가 이동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유리섬유에 가해지는 회전힘이 제어부재(330)를 기준으로 단절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재(330)의 기준홀(331)은 정확하게 정해진 것은 아니며, 와인딩된 유리섬유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바, 다양한 기준홀(331)의 직경을 가지는 제어부재(330)가 준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4a, 도 4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어부재(330)는 베이스부(320)에 설치 또는 탈착될 수 있음)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실시 형태를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210 : 수조부
220 : 회전제어바
221 : 제1가압부
222 : 제2가압부
230 : 지지프레임
231 : 가이드돌출부
232 : 가이드플레이트부
240 : 가이드부
310 : 구동부
311 : 모터
312 : 전달부
320 : 베이스부
321 : 확경부
321a : 리브형성부
321b : 텐션인가부
322 : 관통홀
323 : 연결부
330 : 제어부재
331 : 기준홀
332 : 플레이트부
332a : 나사홀
333 : 입구부

Claims (7)

  1.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모터와 일측이 상기 모터의 샤프트를 둘러싸며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부를 포함하는 구동부;
    일측면과 타측면을 연결하되 상기 일측면의 직경이 상기 타측면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전달부가 감싸지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전달부의 타측에 감싸져서, 상기 구동부의 회전동력에 따라 회전되며 유리섬유가 와인딩되며 이동될 수 있도록 일측과 타측을 연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된 베이스부; 및
    와인딩된 유리섬유의 지름보다 0.5mm 이상 내지 2mm 이하의 지름을 가지는 기준홀이 형성되며, 상기 기준홀이 상기 관통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제어부재
    를 포함하는 리바 제조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홀의 지름은 상기 와인딩된 유리섬유의 지름보다 1mm 이상 크도록 설정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리바 제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는
    플레이트부와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면에 상기 플레이트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입구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준홀은 상기 플레이트부와 상기 입구부를 관통하며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리바 제조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재의 기준홀은
    일측의 직경이 설정된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타측으로 갈수록 상기 설정된 직경을 갖도록 직경이 작아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리바 제조 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210085093A 2021-06-29 2021-06-29 리바 제조 장치 KR102356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093A KR102356329B1 (ko) 2021-06-29 2021-06-29 리바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093A KR102356329B1 (ko) 2021-06-29 2021-06-29 리바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6329B1 true KR102356329B1 (ko) 2022-02-08

Family

ID=80252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093A KR102356329B1 (ko) 2021-06-29 2021-06-29 리바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3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699A (ko) 2015-05-26 2016-12-0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적 기반의 형광 편광 면역분석을 이용한 단백질의 검출 및 정량 방법
KR20180111035A (ko) * 2017-03-31 2018-10-11 (주)대성씨엠피 나선형 리브를 가진 복합소재 리바의 제조방법
KR102060285B1 (ko) * 2019-10-01 2019-12-27 주식회사 위드림 콘크리트 보강용 frp메쉬의 제조방법
KR102156158B1 (ko) * 2019-07-10 2020-09-15 김정대 콘크리트용 섬유강화 복합체 보강근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198226B1 (ko) * 2020-09-23 2021-01-05 (주)나우이엔에스 콘크리트용 섬유강화 복합체 보강근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섬유강화 복합체 보강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699A (ko) 2015-05-26 2016-12-06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액적 기반의 형광 편광 면역분석을 이용한 단백질의 검출 및 정량 방법
KR20180111035A (ko) * 2017-03-31 2018-10-11 (주)대성씨엠피 나선형 리브를 가진 복합소재 리바의 제조방법
KR102156158B1 (ko) * 2019-07-10 2020-09-15 김정대 콘크리트용 섬유강화 복합체 보강근 제조 장치 및 방법
KR102060285B1 (ko) * 2019-10-01 2019-12-27 주식회사 위드림 콘크리트 보강용 frp메쉬의 제조방법
KR102198226B1 (ko) * 2020-09-23 2021-01-05 (주)나우이엔에스 콘크리트용 섬유강화 복합체 보강근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섬유강화 복합체 보강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7194B2 (en) Round fiber-reinforced plastic str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fiber-reinforced sheet
EP0814950B1 (en) Pultrusion apparatus and process
US5876553A (en) Apparatus for forming reinforcing structural rebar
KR101602160B1 (ko) Frp 리바 성형장치 및 frp 리바 제조방법
JP2008222846A5 (ko)
JP2010513751A (ja) 曲げることのできる繊維強化複合材の鉄筋
KR102356329B1 (ko) 리바 제조 장치
WO2003056195A1 (fr) Rouleau de resine renforce de fibres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rouleau
KR101764693B1 (ko) 가이드섬유를 이용한 돌기사 위치 고정 구성의 섬유보강폴리머 보강근 제작방법과 제작장치
KR102385913B1 (ko) 복합재 frp 지지대 제조 장치
EP3069859B1 (en) Process for making a so-called "staple" connector
CN110012664B (zh) 带有成型部分的纤维增强条
RU2620804C1 (ru) Технологическая лин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зитной арматуры
KR101997162B1 (ko) 콘크리트용 복합재 리바 제조 장치
KR102157506B1 (ko) 관형상 복합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5862109B2 (ja) 天然繊維強化樹脂ストランド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102385912B1 (ko) 다양한 형태와 디자인 및 절곡 가능한 섬유복합재 지지대
JPH02112926A (ja) フープ筋の製造方法
US5597431A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series production of fiber reinforced resin parts
RU2620803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мпозитной арматуры
KR950009064B1 (ko) 무단구동벨트 제조방법 및 장치
KR102152566B1 (ko) 절연성 섬유 제조장치
KR102735443B1 (ko) 섬유강화 복합체 벤트 보강근 제조장치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섬유강화 복합체 벤트 보강근
JP2653702B2 (ja) コンクリート補強筋とその製造方法
JP2602706B2 (ja) フープ筋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7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1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