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6030B1 - 수목굴취기 - Google Patents

수목굴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6030B1
KR102356030B1 KR1020200042417A KR20200042417A KR102356030B1 KR 102356030 B1 KR102356030 B1 KR 102356030B1 KR 1020200042417 A KR1020200042417 A KR 1020200042417A KR 20200042417 A KR20200042417 A KR 20200042417A KR 102356030 B1 KR102356030 B1 KR 102356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blade
excavator
shaf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2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4847A (ko
Inventor
유오성
Original Assignee
유오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오성 filed Critical 유오성
Priority to KR10202000424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6030B1/ko
Publication of KR20210124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48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6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6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굴취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자세하게는 굴삭기의 암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굴삭기 커넥터가 일측에 형성되며, 반경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메인링크가 형성되는 호(arc)형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일정간격을 형성하도록 복수로 마련되되, 상기 본체부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측으로 마련되되, 제1실린더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축으로 상하로 운동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블레이드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가변프레임; 및 상기 블레이드 작동 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진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목굴취기{Apparatus for transplant for tree}
본 발명은 수목굴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목을 굴취하기 위해 구비되는 수목굴취기에 진동모터가 탈부착식으로 구비되어 수목의 굴취작업이 더욱 용이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블레이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별도의 장비 교체없이 다양한 크기의 수목을 대상으로 굴취 작업이 가능하고, 본체부의 내부에 수목을 지지하며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프레임을 형성하여 굴취작업에서 수목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고, 안전하게 굴취가 가능하도록 하는 수목굴취기에 관한 것이다.
가정의 정원 또는 도로나 도심 등에 조경하기 위한 수목은 환경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수목이 조성되는 환경의 심미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일정 장소에서 수목을 성장시킨 후 일정한 크기로 성장하게 되면 이식하여 조성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수목을 이식하는 공정은 수목의 선정, 굴취 및 분매기, 전지 및 전정, 운반, 식재, 지주목의 설치 순서대로 이루어지며, 각 공정의 순서에서 상당한 기술이 필요하다.
종래의 수목 굴취 작업은 굴삭기를 이용하여 이식하고자 하는 수목의 주위를 굴삭하여 분 작업을 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나, 대부분의 이식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으며, 작업자의 역량에 따라서 수목의 뿌리가 상처나기 쉽고, 높은 하자율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목이 단근되는 현상을 줄이고, 쉽게 케어가 가능하도록 수목의 굴취공정에서 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945226호 '수목굴취기'에서는 수목의 뿌리를 흙과 함께 커팅하고, 커팅된 뿌리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1블레이드 및 제2블레이드, 및 상기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2블레이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수목굴취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목굴취기는 흙과 함께 수목의 뿌리를 커팅하고 지지하는 수단에 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을 뿐, 다양한 크기의 수목을 대상으로 굴취하는 다른 어떠한 수단도 구비되지 않았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1483244호 '수목 굴취 장치 및 수목 굴취 방법'에서는 수목의 뿌리분 주변의 토양에 삽입되는 복수의 커팅날 및 상기 커팅날이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복수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커팅날을 포함하는 커팅부가 토양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압 또는 타격이 가해지는 헤드부를 포함하는 수목 굴취 장치 및 수목 굴취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10-1483244호의 수목 굴취 장치도 수작업으로 수목의 뿌리분을 커팅하기 위한 커팅날을 개별적으로 구성하여 수목을 굴취하는 수단만 개시되어 있을 뿐, 다양한 크기의 수목의 굴취 작업이 가능한 수단 또는 수작업을 최소화하는 수목 굴취 작업에 대한 다른 어떠한 수단도 구비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개선하는 것이 시급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굴삭기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수목굴취기에 진동모터가 탈부착식으로 구비되어 수목의 굴취 작업이 간결하도록 하며,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블레이드의 각도를 조절하여 장비의 교체 없이 다양한 크기의 수목에 대하여 굴취 작업이 가능하고, 수목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프레임이 형성되어 수목의 굴취 작업 시 수목이 고정되도록 하는 수목굴취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목굴취기는, 굴삭기의 암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굴삭기 커넥터가 일측에 형성되며, 반경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메인링크가 형성되는 호(arc)형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일정간격을 형성하도록 복수로 마련되되, 상기 본체부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측으로 마련되되, 제1실린더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축으로 상하로 운동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블레이드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가변프레임; 및 상기 블레이드 작동 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목굴취기는, 상기 진동모터의 진동이 상기 본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충격완화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격완화장치는, 상기 진동모터와 상기 가변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변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완화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샤프트는, 상기 본체부와 형성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각도조절장치; 및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회동하는 축의 역할을 하도록 구비되는 체결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상기 체결링크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와 수직방향으로 운동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각도조절장치가 연장되면, 상기 샤프트가 상기 체결링크를 축으로 외측으로 회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목굴취기의 본체부는, 수목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구비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본체부의 호(arc)의 중심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형성되는 각각의 보조프레임에 대해 일측에 형성되는 제3실린더에 의해 중심방향으로 전진하여 수목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보조프레임은, 수목과 접촉하는 일면에 소정의 돌기가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수목을 지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수목과 접촉 시 접촉강도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압력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가 수목과 접촉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3실린더의 전진되는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목굴취기는,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회동이 가능한 축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이용한 수목의 굴취 작업 시 지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유압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압지지부는, 상기 블레이드가 지면으로 삽입되는 지점의 외측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굴취 작업 과정에서 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수목을 견인하는 과정에서 지면을 밀어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는, 일정 온도 조건에서 형상이 변하도록 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마련되며, 전기의 공급에 따라서 온도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전기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장치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각도가 조절되면, 상기 전기가열부에 의해 온도가 조절되어 형상기억합금으로 마련되는 상기 블레이드의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각 면이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목굴취기는, 굴삭기와 연결되어 사용되는 수목굴취기에 진동모터가 탈부착식으로 구비되어 수목의 굴취 작업이 간결하도록 하며, 각도조절장치에 의해 블레이드의 각도를 조절하여 장비의 교체 없이 다양한 크기의 수목에 대하여 굴취 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굴취 대상인 수목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프레임이 형성되어 수목의 굴취 작업 시 수목이 고정되어 굴취 시 수목의 하단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여 정확히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목굴취기가 구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수목굴취기의 샤프트에 제1실린더가 구비되는 모습을 모여주는 투영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목굴취기에 진동모터가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목굴취기에 충격완화장치가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목굴취기에 각도조절장치가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의 (a)와 (b)는 도 5의 각도조절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의 수목굴취기에 구비되는 보조프레임이 구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의 수목굴취기에 구비되는 유압지지부가 구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수목굴취기에 전기가열부가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수목굴취기의 블레이드가 변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목굴취기를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a)와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목굴취기가 구비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수목굴취기의 샤프트에 제1실린더가 구비되는 모습을 모여주는 투영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수목굴취기에 진동모터가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목굴취기(1)는 본체부(100), 샤프트(200), 가변프레임(300), 진동모터(5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수목굴취기(1)는 본체부(100)에 외측으로 샤프트(200)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400)가 구비되는 가변프레임(300)이 샤프트(200)를 축으로 상하로 이동하여 가변프레임(300)의 외측으로 구비되는 블레이드(400)가 지면을 굴삭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호(arc)의 형태로 형성되며, 굴삭기 커넥터(110)와 메인링크(120)가 본체부(10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으며, 굴삭기 커넥터(110)는 굴삭기 암과 연결되어, 굴삭기에 의해 수목굴취기(1)가 제어되도록 연동될 수 있다.
이때, 굴삭기 커넥터(110)에는 수목굴취기(1)에 형성되는 유압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13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각 유압장치의 가동여부 및 작동현황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의 외측으로 디스플레이(131)가 마련되어 수목굴취기(1)의 가동상황을 화면으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부(100)는 메인링크(120)에 의해 본체부(100)의 일부분이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여, 굴취대상인 수목의 주위에 수목굴취기(1)를 안착하는 과정에서 수목과 본체부(100)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부(100)의 일부분이 메인링크(120)에 의해 바깥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굴취대상인 수목에 위치하도록 하며, 가동 전에 다시 내측으로 회동하여 호(arc)의 형상으로 구비하여 작업을 준비할 수 있다.
샤프트(200)는 본체부(100)에 하나 이상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며, 블레이드(400)를 포함하는 가변프레임(300)을 지지하는 축의 역할을 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후술하겠지만, 샤프트(200)는 본체부(100)에 형성되는 안착대(222)를 축으로 샤프트(200)의 체결구(221)가 안착되어 본체부(100)와 수직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이 가능하며, 제어부(130)에 의해 샤프트(200)의 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가변프레임(300)은 중앙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샤프트(200)가 수직으로 삽입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샤프트(200)의 내측으로 구비되는 제1실린더(310)에 의해 가변프레임(300)이 샤프트(200)를 축으로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샤프트(200)는 가변프레임(30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제1실린더(310)가 마련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실린더(310)는 일측이 가변프레임(300)에 결합되고, 타측이 샤프트(200)의 내측 하단으로 형성되어, 가변프레임(300)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블레이드(400)는 가변프레임(300)의 외측에 체결되어, 가변프레임(300)의 움직임에 따라서 상하로 운동하여 수목의 굴취작업 시 지면으로 삽입되어 굴취대상인 수목의 일정 반경에서 굴취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400)는 지면으로 쉽게 굴삭이 가능하도록 측면과 하단면이 날카롭게 가공될 수 있으며, 수목의 굴취 작업 시 지하에 존재하는 단단한 물체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강철,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합금 등 단단한 합금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블레이드(400)를 형성하는 소재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굴취 작업 시 지면을 굴삭할 수 있는 다양한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블레이드(400)는 가변프레임(300)이 샤프트(200)의 상단에 위치하였을 때, 지면에 닿지 않는 크기 범위 내에서 형성될 수 있으며, 가변프레임(300)이 샤프트(300)를 축으로 하강하게 되면, 블레이드(400)의 끝단이 지면을 굴삭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블레이드(400)는 가변프레임(300)이 샤프트(200)를 축으로 이동이 가능한 범위 내에서 가동이 가능하며, 이때, 블레이드(400)는, 가변프레임(300)이 샤프트(200)의 최하단에 하강하게 되면, 각 가변프레임(300)에 체결되어 있는 블레이드(400)의 측면과 끝단이 서로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블레이드(400)가 굴취대상인 수목의 주면에서 굴삭하며 하강하게 되면, 수목의 뿌리분을 감싸는 형태로 블레이드(400)가 위치하게 되며, 블레이드(400)의 측면과 끝단이 서로 접하도록 하여 굴삭기를 이용하여 수목굴취기(1)를 견인 시 뿌리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뿌리분을 감싸거나 뒤엉켜있는 토양이 뿌리분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목굴취기(1)는 진동모터(500)를 탈부착식으로 구비하여 블레이드(400)의 가동 시 지면의 굴삭 작업이 더욱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진동을 가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진동모터(500)는 블레이드(400)의 외측으로 형성되어 블레이드(400)에 진동을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나, 진동모터(500)가 형성되는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가변프레임(300)에 구비될 수도 있으며, 블레이드(400)에 진동을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다양한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진동모터(500)는, 로터리식, 마그네틱 방식 또는 컨베이어식의 진동모터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으나, 진동모터(500)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블레이드(400)이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의 기기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목굴취기에 충격완화장치가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목굴취기(1)는 충격완화장치(600)가 구비되어 진동모터(500)의 진동이 수목굴취기(1)의 샤프트(200)를 포함하는 본체부(100)에 전달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충격완화장치(600)는 가변프레임(300)의 외측에 블레이드(400)가 체결되는 체결면에 형성되어 블레이드(400)와 가변프레임(300)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하며, 블레이드(400)의 진동을 흡수하도록 스프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충격완화장치는 충격에 강한 금형소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접시스프링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충격완화장치(600)는 접시스프링의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무형 댐퍼, 진동 마운트 또는 전자식 마그네틱 댐퍼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진동모터(500)의 진동을 완화하여 샤프트(200) 또는 본체부(100)로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장치들이 복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수목굴취기에 각도조절장치가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의 (a)와 (b)는 도 5의 각도조절장치가 작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7의 (a)와 (b)는 본 발명의 수목굴취기에 구비되는 보조프레임이 구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목굴취기(1)의 샤프트(200)는 각도조절장치(210), 체결링크(220)를 포함하여 본체부(100)와 샤프트(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본체부의 내측으로는 보조프레임(140)을 더 포함하여 굴취대상인 수목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각도조절장치(210)는 유압식 실린더의 형태로 구비되며, 일측이 샤프트(200)의 외측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본체부(100)의 상단에 결합되도록 하여, 실린더의 작동에 따라서 샤프트(200)가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절장치(210)는 샤프트(200)에 운동력을 부과하기 위하여 유압식 실린더를 사용하지만, 체인 또는 벨트의 결착 방식 등 샤프트(200)를 밀어내거나 당길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적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체결링크(220)는 샤프트(200)의 외측 하단에 복수 개로 구비되는 체결구(221)와 본체부(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안착대(22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안착대(222)의 양측면으로 체결구(221)가 삽입되도록 형성되어 샤프트(200)를 본체부(100)에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샤프트(200)는 각도조절장치(210)에 의해 본체부(100)의 외측으로 밀리게 되면, 체결링크(220)를 축으로 본체부(100)의 바깥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할 수 있으며, 각 샤프트(200)는 동일한 각도로 제어할 수 있거나, 개별적으로 각도가 조절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도조절장치(210)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며, 사용자가 제어부(130)의 디스플레이(131)를 통해 직접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고, 굴삭기와 연동하여 굴삭기 내에서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140)은 본체부(100)의 내측에 형성되며, 제2실린더(141)에 의해 운동성이 부과되어 본체부(100)의 호(arc) 형상의 내측으로 길이가 연장되는 형태로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140)의 일측면에는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탄성부재(142)가 형성되며, 탄성부재(142)는 표면에 소정의 돌기가 형성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수목굴취기(1)의 굴취 작업 시 수목은 본체부(100)의 중심부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보조프레임(140)은 수목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탄성부재(142)가 수목과 접촉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보조프레임(140)은 탄성부재(142)가 수목에 접촉 시 접촉강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압력감지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압력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수목과의 접촉 강도가 센싱되어 수목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목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보조프레임(140)은 수목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탄성부재(142)가 수목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압력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탄성부재(142)가 수목을 지지하는 압력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감지되면, 제2실린더(141)가 정지하여 보조프레임(140)이 수목에 접촉되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의 수목굴취기에 구비되는 유압지지부가 구동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목굴취기(1)의 샤프트(200)는 유압지지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굴취 작업 시 유압지지부(230)가 지면을 지지하도록 하여 수목굴취기(1)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굴착 작업 시 수목굴취기(1)가 흔들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유압지지부(230)는 샤프트(20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샤프트(200)의 상단을 축으로 수목굴취기(1)의 외측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블레이드(400)가 굴취 작업 시 블레이드(400)의 외측으로 회동하여 지면을 지지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유압지지부(230)는 샤프트(200)와 연결되며 제3실린더(232)가 내측에 삽입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3실린더(232)의 일측에 지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암(231)이 구비될 수 있다.
유압지지부(230)는 수목굴취기(1)가 가동되지 않는 경우, 제3실린더(232)의 길이가 축소되며, 샤프트(200)의 상단방향으로 회동하여 지면 또는 블레이드(400)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보관될 수 있다.
이때, 유압지지부(230)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수목굴취기(1)가 가동 시, 블레이드(400)의 굴삭 작업이 시작되면, 제어부(130)에 의해 유압지지부(230)가 블레이드(400)의 외측으로 회동하여 지지암(231)이 지면을 지지하도록 제3실린더(232)가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암(231)은 수목굴취 작업 시 지면에 고정되어 수목굴취기(1)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으며, 수목의 굴취 작업이 완료된 후에 수목을 견인하는 과정에서 지면을 밀어내어 견인력을 보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제3실린더(232)는 수목굴취기(1)가 지면에서 안정하게 위치하도록 지면을 지지할 수 있으며, 굴취 작업 후 수목굴취기(1)를 견인할 시 제3실린더(232)가 지면을 밀어내도록 하여 견인력을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수목굴취기에 전기가열부가 구비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수목굴취기의 블레이드가 변형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다른 수목굴취기(1)는 전기가열부(41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400)에 전기를 공급하여 블레이드(400)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기가열부(410)는 블레이드(400)의 상단에 설치되거나, 가변프레임(300)의 측면으로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블레이드(400)에 전기를 공급하는 것이 가능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400)는 전기가열부에 의해 공급되는 전기에 의해 온도가 상승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블레이드(400)는 온도에 따라 형상이 가변될 수 있는 형상기억합금의 소재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기가열부(410)에 의해 블레이드(400)가 가열되면 외형이 변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각도조절장치(210)에 의해 샤프트(200)의 상단이 본체부(100)의 방향으로 회동되면, 블레이드(400)간의 간격이 벌어지게 되어 굴삭 작업 시 각 블레이드(400) 간의 측면이 접하지 않게 될 수 있으며, 이때, 전기가열부(410)에 의해 블레이드(400)를 가열하게 되면, 블레이드(400)의 측면 또는 하단의 형상이 내측으로 휘어지도록 하여 굴삭 시 블레이드(400)의 측면이 접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각도조절장치(210)와 전기가열부(410)는 제어부(130)에 의해 제어되며, 각도조절장치(210)가 작동되면, 전기가열부(410)가 블레이드(400)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연동되어 별도의 조작 없이 작업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수목굴취기
100: 본체부
110: 굴삭기 커넥터
120: 메인링크
130: 제어부
131: 디스플레이
140: 보조프레임
141: 제2실린더 
142: 탄성부재
200: 샤프트
210: 각도조절장치
220: 체결링크
221: 체결구
222: 안착대
230: 유압지지부
231: 지지암
232: 제3실린더
300: 가변프레임
310: 제1실린더
400: 블레이드
410: 전기가열부
500: 진동모터
600: 충격완화장치

Claims (7)

  1. 굴삭기의 암과 연결하도록 마련되는 굴삭기 커넥터가 일측에 형성되며, 반경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메인링크가 형성되는 호(arc)형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에 일정간격을 형성하도록 복수로 마련되되, 상기 본체부와 소정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의 외측으로 마련되되, 제1실린더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축으로 상하로 운동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블레이드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가변프레임; 및
    상기 블레이드 작동 시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되는 진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본체부와 형성되는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각도조절장치; 및
    상기 본체부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의 외측으로 회동하는 축의 역할을 하도록 구비되는 체결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장치는,
    상기 체결링크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와 수직방향으로 운동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각도조절장치가 연장되면, 상기 샤프트가 상기 체결링크를 축으로 외측으로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블레이드는,
    일정 온도 조건에서 형상이 변하도록 하는 형상기억합금으로 마련되며, 전기의 공급에 따라서 온도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전기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장치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의 각도가 조절되면, 상기 전기가열부에 의해 온도가 조절되어 형상기억합금으로 마련되는 상기 블레이드의 형상이 변형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각 면이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굴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의 진동이 상기 본체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충격완화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격완화장치는,
    상기 진동모터와 상기 가변프레임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변프레임으로 전달되는 진동이 완화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굴취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수목을 지지하도록 상기 본체부의 내측에 일정간격으로 복수로 구비되는 보조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프레임은,
    상기 본체부의 호(arc)의 중심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형성되는 각각의 보조프레임에 대해 일측에 형성되는 제3실린더에 의해 중심방향으로 전진하여 수목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굴취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프레임은,
    수목과 접촉하는 일면에 소정의 돌기가 형성되도록 마련되어 수목을 지지하도록 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수목과 접촉 시 접촉강도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압력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력감지센서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가 수목과 접촉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제3실린더의 전진되는 압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굴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회동이 가능한 축을 형성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이용한 수목의 굴취 작업 시 지면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유압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압지지부는,
    상기 블레이드가 지면으로 삽입되는 지점의 외측 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굴취 작업 과정에서 지면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수목을 견인하는 과정에서 지면을 밀어내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굴취기
  7. 삭제
KR1020200042417A 2020-04-07 2020-04-07 수목굴취기 KR102356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417A KR102356030B1 (ko) 2020-04-07 2020-04-07 수목굴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2417A KR102356030B1 (ko) 2020-04-07 2020-04-07 수목굴취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847A KR20210124847A (ko) 2021-10-15
KR102356030B1 true KR102356030B1 (ko) 2022-01-26

Family

ID=78115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2417A KR102356030B1 (ko) 2020-04-07 2020-04-07 수목굴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60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143B1 (ko) 2023-01-06 2023-09-12 조연수 조경수 이식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40125085A1 (en) * 2021-02-22 2024-04-18 Lavalley Industries, Llc Attachment with ground support member
KR102550726B1 (ko) * 2022-11-21 2023-07-03 주식회사 센스정공 커브드 블레이드가 구비된 수목 굴취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3925B2 (ja) * 1992-02-14 2001-10-29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掘取機
KR101815469B1 (ko) * 2017-09-26 2018-01-30 성우조경 주식회사 수목 홀딩부를 구비하는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977B1 (ko) * 2011-05-20 2013-05-15 김영수 수목 굴취 및 이식 장치
KR101916409B1 (ko) * 2017-04-24 2019-01-30 강송헌 수목 이식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3925B2 (ja) * 1992-02-14 2001-10-29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掘取機
KR101815469B1 (ko) * 2017-09-26 2018-01-30 성우조경 주식회사 수목 홀딩부를 구비하는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143B1 (ko) 2023-01-06 2023-09-12 조연수 조경수 이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4847A (ko) 202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6030B1 (ko) 수목굴취기
KR101264977B1 (ko) 수목 굴취 및 이식 장치
US10188028B2 (en) Planting apparatus of nursery trees and planting vehicle of nursery trees
US393696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oted plant excavating and plant package produced thereby
KR101193401B1 (ko) 로터리용 배토기
KR101916409B1 (ko) 수목 이식 장치
CN110235738B (zh) 一种便于车载安装使用挖树装置
US1016573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a root ball
CN108077016A (zh) 一种道路景观树木自动栽种装置
CN104838783A (zh) 一种果园穴施肥作业装置
KR20160107542A (ko) 굴삭기용 나무 옮겨심기 장치
KR101162885B1 (ko) 수목 굴취 및 이식 장치
KR101971515B1 (ko)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
CN110268944A (zh) 一种园林绿化用苗木挖掘机
KR101815469B1 (ko) 수목 홀딩부를 구비하는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
KR101021019B1 (ko) 종삼 이식기
JPH1189321A (ja) ペーパーポット苗定植用穴掘り機
KR101540115B1 (ko) 수목 굴취 장치
KR101838996B1 (ko) 수목 이식 장비
KR200467042Y1 (ko) 피닐피복기용 커터 작동장치
CN209057704U (zh) 一种林业树木养护装置
JP4553791B2 (ja) 樹木移植工法
KR101617077B1 (ko) 모종 이식기
CN219088007U (zh) 植树装置
JPH053184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