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1515B1 -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 - Google Patents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1515B1
KR101971515B1 KR1020170145817A KR20170145817A KR101971515B1 KR 101971515 B1 KR101971515 B1 KR 101971515B1 KR 1020170145817 A KR1020170145817 A KR 1020170145817A KR 20170145817 A KR20170145817 A KR 20170145817A KR 101971515 B1 KR101971515 B1 KR 101971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e
slider
holding
spad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5438A (ko
Inventor
송희문
Original Assignee
송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희문 filed Critical 송희문
Priority to KR1020170145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1515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1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1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6Uprooting or pulling up trees; Extracting or eliminating stum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01G23/046Transplanting devices using elements to be driven into the ground for making a container around the root ba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E02F3/4135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with grabs mounted directly on a boo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02F3/413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 E02F3/4136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with grabbing device with grabs mounted on a slidable or telescopic boom or 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페이드는 외부슬라이더와; 상기 외부슬라이더의 내측에 설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슬라이더와; 상기 내부슬라이더 내측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내부슬라이더에 장착되어 상기 외부슬라이더와 함께 체결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외부슬라이더에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스페이드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상호간의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수목과의 접촉을 통해 수목을 홀딩하는 하는 수목 홀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목 홀딩부는, 일 측이 상기 외부슬라이더에 고정되는 댐퍼 및 상기 댐퍼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완충기와; 상기 완충기의 타 측에 연결되어 자유회전 가능한 홀딩롤러; 및 상기 완충기의 타 측에 배치 결합되어 양측면이 상기 홀딩롤러의 양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상부 또는 하부면이 상기 홀딩롤러에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확장 형성되어 회전하는 상기 홀딩롤러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긁어 제거하는 연결브라켓;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Spades of Tree-planting and grafting equipment}
본 발명은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에 관한 것으로, 굴취된 수목의 크기에 상관없이 굴취된 수목을 지지하여 쓰러짐이 방지될 수 있는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원수, 가로수 등의 수목은 조경, 환경개발, 도시계획 등의 목적 하에 일정한 크기로 성장한 후 이식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수목 이식 작업의 대부분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수목 이식 작업은 통상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된다. 먼저, 굴삭기의 버켓이나 삽을 이용하여 이식 장소에 구덩이를 파고, 이식할 수목 주위를 동일한 방법으로 굴삭한 다음 분 작업 및 분 보호작업을 한다. 이후, 굴삭기나 크레인을 이용하여 수목을 이식 장소로 이송하고, 이송된 수목으로부터 분 작업에 사용된 새끼줄과 마대포를 제거한 다음 이식 장소의 구덩이에 식재한다. 마지막으로, 굴삭기나 삽을 이용하여 구덩이와 분 사이의 공간을 흙으로 채워주면 수목의 이식 작업이 마무리된다.
이처럼 종래의 수목 이식 작업은 공정이 전체적으로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부분적으로 굴삭기를 이용하기는 하나 굴삭 작업, 분 작업, 마무리 작업 등에 일정량의 수작업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하기 때문에 인건비가 발생할 수 밖에 없으며, 이에 따라 소규모 조경업체 및 나무농원의 경영난을 야기하는 요소로 작용하였다.
이에,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수목 굴취 장치가 개발되기에 이르렀다. 공지된 형태의 수목 굴취 장치는 일반적으로 굴삭기, 트랙터 등에 장착되는 어댑터와, 상기 어댑터에 장착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페이드로 구성되며, 상기 스페이드가 유압에 의해 상하로 운동함으로써 수목을 굴취하게 된다.
이와 관련한 특허문헌으로 한국등록특허 제10-1264977호(이하 '종래'로 지칭함)가 공지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수목 굴취 및 이식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종래에는 굴취 작업시에는 굴취 도중 수목이 기울거나 넘어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 메인프레임(11)에 고정된 반원형태의 조정간(40), 홀더(51) 및 구동실린더(52)로 구성되는 쓰러짐 방지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쓰러짐 방지장치는 메인프레임(11)에 고정된 반원형태의 조정간(40)과 함께 반원형태의 홀더(51)가 함께 수목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됨으로써 수목을 지지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때, 구동실린더(52)는 상기 홀더(51)와 상기 메인프레임(10) 사이에 힌지 결합되어 압축 또는 팽창에 의해 상기 홀더(51)를 회동시켜 조정간(40)의 반대측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킨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쓰러짐 방지장치는 몇 가지 문제점을 보유하고 있다. 첫째로 반원형태의 조정간(40)은 메인프레임(11)과 연결로드의 길이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 홀더(51)와 메인프레임(11)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음에 따라 수목의 크기가 다를 경우 수목을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일예로 도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작은 수목(Ts)의 경우 줄기의 두께가 얇기 때문에 조정간(40)과 홀더(51)에 줄기가 접촉되지 못하여 수목(Ts)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없다. 반대로 줄기 두께가 두꺼운 수목(Tl)의 경우 굴취 장치의 중심을 수목(Tl)과 일치시키기 위해 이동시키면 조정간(40)의 정해진 길이에 의해 수목(Tl)의 중심과 굴취 장치의 중심이 일시될 수 없어 홀더(51)의 이동이 불가함으로써 수목(Tl)을 감싸는 형태로 지지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둘째로는 홀더(50)의 이동을 위해 구동실린더(52)가 적용되는 점이다. 종래의 굴취 장치는 굴삭기와 같은 장비에 유압라인을 연결하여 사용되는데, 보통은 굴삭기에 연결되는 유압라인은 두 개가 사용되며 각각의 유압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유압에 의해 굴취 장치의 메인프레임(11) 및 지지프레임(20)의 구동에 사용된다. 그러나 구동실린더(52)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유압구동라인 및 제어(조작)부 등이 요구됨에 따라 쓰러짐 방지장치를 위한 추가적인 구동 및 제어를 위한 설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다양한 크기의 수목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고, 별도의 구동부가 요구되지 않는 수목의 쓰러짐 방지 구조가 요구되고 있다.
(0001) 한국등록특허 제10-1264977호 (공개일: 2012.11.28)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별도의 구동장치가 적용되지 않고 수목의 크기게 관계없이 수목의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여 스페이드를 통한 수목의 굴취 작업 중 수목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개의 지지프레임에 각각 설치되어 유압에 의해 상하로 운동하는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드는 외부슬라이더와; 상기 외부슬라이더의 내측에 설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슬라이더와; 상기 내부슬라이더 내측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내부슬라이더에 장착되어 상기 외부슬라이더와 함께 체결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외부슬라이더에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스페이드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상호간의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수목과의 접촉을 통해 수목을 홀딩하는 하는 수목 홀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목 홀딩부는, 일 측이 상기 외부슬라이더에 고정되는 댐퍼 및 상기 댐퍼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완충기와; 상기 완충기의 타 측에 연결되어 자유회전 가능한 홀딩롤러; 및 상기 완충기의 타 측에 배치 결합되어 양측면이 상기 홀딩롤러의 양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상부 또는 하부면이 상기 홀딩롤러에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확장 형성되어 회전하는 상기 홀딩롤러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긁어 제거하는 연결브라켓;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페이드에 형성되는 수목 홀딩부에 의해 크기가 다양한 수목의 줄기를 밀착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별도의 구동장치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수목 홀딩부에 따른 별도의 구동 및 제어 설계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또한, 수목 홀딩부가 수목에 밀착되어 수목의 줄기를 받쳐줌으로써 사토질과 같이 토질이 약한 지역에서도 굴취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에 따른 수목 굴취 및 이식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에 구성되는 슬라이드 조립체가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의 슬라이드 조립체가 하강되기 전 수목 홀딩부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슬라이드 조립체의 하강에 따른 수목 홀딩부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에 구성되는 수목 홀딩부에 의해 수목의 크기별로 수목을 홀딩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를 굴삭기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종래기술과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발명의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고 그 구조 또한 간략화 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에 구성되는 슬라이드 조립체가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먼저 도 2 및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이하 '굴취 장비'로 약칭함)는 크게 프레임(10)과, 스페이드(20), 수목 홀딩부(30)와 어댑터(40) 및 컨트롤 밸브(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메인프레임(11)과 지지프레임(12)(13)(14)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프레임(11)은 수목 굴취를 위한 공간 및 다양한 구성을 설치할 수 있는 틀로서 적용되며, 어댑터(40)를 이용하여 굴삭기, 트랙터, 로더 등의 장비에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12)(13)(14)은 수목을 감쌀 수 있도록 상기 메인프레임(11)에 힌지 결합되며, 외측에 설치된 게이트 실린더(15)에 의해 회동하게 된다.
다음, 상기 스페이드(20)는 상기 지지프레임(12)(13)(14)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설치되며, 외부슬라이더(21)와, 가이드부재(22)와, 내부슬라이더(23)와, 유압실린더(24) 및 블레이드(25)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부재(22)의 하단부는 상기 지지프레임(12)(13)(14)에 힌지 결합되어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부재(22)의 외측에 상기 외부슬라이더(21)와 상기 내부슬라이더(23)가 볼트 등으로 체결되고 상기 내부슬라이더(23)에는 상기 블레이드(25)가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드 조립체를 구성한다. 이러한 슬라이드 조립체는 내부슬라이더(23)의 내측에 설치되는 상기 유압실린더(24)에 의해 내부슬라이더(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 및 스페이드(20)에 구성되는 게이트실린더(15) 및 유압실린더(24)의 유압동력의 공급과 조절은 상기 메인프레임(11)의 양측에 마련되는 컨트롤 밸브(50)와 전기식 컨트롤 장치(51)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컨트롤 밸브(50)로는 상기 굴취 장비(100)의 자중 및 굴취된 수목의 무게에 따른 신장 및 수축을 방지하기 위해 체크내장형 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목 홀딩부(30)는 스페이드(20)의 각 외부슬라이더(21)에 기립 설치되어 슬라이드 조립체의 하강 이동시에 수목(T)의 줄기에 밀착하여 수목(T)을 지지하고, 상승 이동시에는 수목(T) 줄기와의 접촉이 해제됨으로써 수목(T) 지지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수목 홀딩부(30)는 완충기(31:쇼크업소버, shock absorber)와, 연결브라켓(32) 및 홀딩롤러(33)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완충기(31)는 내통, 외통, 피스톤, 및 피스톤 리드로 구성되어 오일을 매체로 작동하는 복동식 댐퍼(31a)와, 상기 댐퍼(31a)에 형성되어 댐퍼(31a)로 전달되는 외력의 제어와 댐퍼의 복원력을 보조하기 위한 스프링(31b)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완충기(31)는 일단이 상기 외부슬라이더(21)에 지면과 수평한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며, 타단에는 연결브라켓(32)이 고정 형성된다.
상기 연결브라켓(32)은 완충기(31)에 홀딩롤러(33)의 형성이 용이하게 해주는 일종의 연결부재로 양단은 절곡되어 양측이 자유회전 가능하도록 홀딩롤러(33)와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브라켓(3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홀딩롤러(33)를 연결하는 기능도 하지만 한편으로는 이물질이 홀딩롤러(33)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일종의 이물질 차단(제거) 기능도 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연결브라켓(32)의 상부 또는 하부면이 확장되어 홀딩롤러(33)의 후방부분(완충기와 연결지점 부근측)을 커버하여 빈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으며, 연결브라켓(32)의 상부 또는 하부면이 확장됨과 동시에 홀딩롤러(33)에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하여 홀딩롤러(33) 회전시 홀딩롤러(33)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긁어 제거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홀딩롤러(33)는 수목(T)에 밀착되어 수목(T)을 지지 및 홀딩하는 것으로, 내부에는 금속 또는 강화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어 양단이 상기 연결브라켓(32)의 양단과 결합되는 몸체(33a)와, 상기 몸체(33a)의 외면에 형성되는 탄성시트(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몸체(33a)는 기본적으로 원통형의 구조를 취하되, 양단측에서 중앙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완만하게 작아지는 구조(ex: 모래시계 형태의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상기 탄성시트(미도시)는 몸체(33a) 외면에 형성됨으로써 수목(T) 줄기와 몸체(33a)와의 접촉에 따른 수목(T)의 손상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홀딩롤러(33)는 각 외부슬라이더(21)에 설치되어 슬라이드 조립체가 하강하는 경우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T)의 줄기의 형태(직경)와 대응되도록 작은 원형의 공간(홀딩을 위한 수목의 최소직경 범위)이 형성되고, 반대로 슬라이드 조립체가 상승하는 경우 큰 원형의 공간(홀딩을 위한 수목의 최대직경 범위)이 형성됨으로서 다양한 직경을 갖는 수목(T)의 줄기에 밀착될 수 있어 수목(T)의 안정적인 홀딩이 가능할 수 있다. 즉, 홀딩롤러(33)의 상하방향의 이동에 따른 원형 공간의 직경 범위 사이에 포함되는 모든 수목(T)의 줄기에 밀착 접촉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의 슬라이드 조립체가 하강되기 전 수목 홀딩부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슬라이드 조립체의 하강에 따른 수목 홀딩부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에 구성되는 수목 홀딩부에 의해 수목의 크기별로 수목을 홀딩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를 굴삭기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7을 참고하면, 먼저, 굴삭기(60)에 장착된 버켓(도면 미도시)을 탈거하고 상기 어댑터(40)를 이용하여 상기 굴삭기(60)의 암에 굴취 장비(100)를 장착한다. 다음, 상기 굴삭기(60)의 보조유압라인과 상기 컨트롤 밸브(50)를 연결하고, 상기 전기식 컨트롤 장치(51)의 커넥터를 연결한다. 계속하여, 상기 게이트실린더(15)를 작동시켜 상기 스페이드(20)를 개방한 상태에서 상기 굴삭기(60)를 이동시켜 수목(T)에 접근한다. 이 경우, 상기 굴삭기(60)의 작업자는 수목 홀딩부(30)의 홀딩롤러(33) 들의 중심이 상기 수목(T)의 중심과 일치되도록 상기 굴취 장비(100)의 중심을 정확하게 일치시킨다. 이때, 이 상태에서 수목 홀딩부(30)는 도 4와 같이 홀딩롤러(33)가 수목(T)의 줄기에 접촉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굴취 장비(100)의 중심의 일치 시, 수목 홀딩부(30)의 완충부재(31)가 각각 독립적으로 길이 변형이 가능함에 따라 수목 홀딩부(30)와 수목(T)의 중심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도 수목(T)의 홀딩은 가능하다.
이후, 상기 스페이드(20)를 작동시켜 슬라이드 조립체를 동시에 또는 각각 개별적으로 하강시킨다. 이때, 슬라이드 조립체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도 5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페이드(20)가 기울어져 있음에 따라 홀딩롤러(33)는 점차적으로 수목(T)과 가까워지게 되고 수목(T) 줄기와 접촉하게되며, 스페이드(20)의 하강이 더 이루어지면 완충기(31)의 길이가 축소되면서 수목(T)의 줄기와 접촉된 체로 홀딩롤러(33)가 하강하게 된다. 이후 모든 스페이드(20)가 하강하면 수목(T)의 줄기를 수목 홀딩부(30)의 홀딩롤러(33)가 다각도에서 지지하게 되어 수목(T)이 견고하게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이때, 도 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목(T)의 크기에 무관하게 수목 홀딩부(30)에 의한 수목(T)의 안정적인 홀딩이 가능하다.
이렇게 수목(T)이 지지된 상태로 굴취 작업을 하게 되며, 굴취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수목(T)을 이송하여 미리 준비한 이식 장소에 놓고 스페이드(20)를 상승시키면 수목(T)을 홀딩하고 있는 수목 홀딩부(30)가 수목(T)의 줄기로부터 떨어짐으로써 수목(T)의 홀딩상태가 자연스럽게 해제된다. 이후 굴취 장비(100)를 수목(T)으로부터 분리시키면 해제하면 수목의 이식 작업이 마무리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프레임 11 : 메인프레임
12, 13, 14 : 지지프레임 15 : 게이트실린더
20 : 스페이드 21 : 외부슬라이더
22 : 가이드부재 23 : 내부슬라이더
24 : 유압실린더 25 : 블레이드
30 : 수목 홀딩부 31 : 완충부
40 : 어댑터 50 : 컨트롤 밸브
60 : 굴삭기 T: 수목

Claims (3)

  1. 복수개의 지지프레임에 각각 설치되어 유압에 의해 상하로 운동하는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드는
    외부슬라이더와;
    상기 외부슬라이더의 내측에 설치되며 하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부슬라이더와;
    상기 내부슬라이더 내측에 설치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내부슬라이더에 장착되어 상기 외부슬라이더와 함께 체결되는 블레이드 및
    상기 외부슬라이더에 지면과 수평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스페이드가 상방향에서 하방향으로 이동할수록 상호간의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수목과의 접촉을 통해 수목을 홀딩하는 하는 수목 홀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수목 홀딩부는,
    일 측이 상기 외부슬라이더에 고정되는 댐퍼 및 상기 댐퍼에 설치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완충기와;
    상기 완충기의 타 측에 연결되어 자유회전 가능한 홀딩롤러; 및
    상기 완충기의 타 측에 배치 결합되어 양측면이 상기 홀딩롤러의 양측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됨과 동시에 상부 또는 하부면이 상기 홀딩롤러에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확장 형성되어 회전하는 상기 홀딩롤러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긁어 제거하는 연결브라켓;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목 홀딩부는 상기 외부슬라이더의 하강시 수목 크기에 따라 완충부가 압축됨으로써 길이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딩롤러는, 내부에는 금속 또는 강화 플라스틱재질로 형성되고, 양단측에서 중앙측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완만하게 작아지는 원통형 구조로 형성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탄성시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


KR1020170145817A 2017-11-03 2017-11-03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 KR101971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817A KR101971515B1 (ko) 2017-11-03 2017-11-03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817A KR101971515B1 (ko) 2017-11-03 2017-11-03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058A Division KR101815469B1 (ko) 2017-09-26 2017-09-26 수목 홀딩부를 구비하는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438A KR20190035438A (ko) 2019-04-03
KR101971515B1 true KR101971515B1 (ko) 2019-04-23

Family

ID=66165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817A KR101971515B1 (ko) 2017-11-03 2017-11-03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15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03531B (zh) * 2021-12-28 2022-07-08 黑龙江省农业机械工程科学研究院 一种玉米小区播种装置
KR102550726B1 (ko) * 2022-11-21 2023-07-03 주식회사 센스정공 커브드 블레이드가 구비된 수목 굴취기
CN117530139B (zh) * 2023-12-14 2024-05-03 济宁中源重工有限公司 一种具有防护功能的苗木移栽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01449U (ko) * 1987-06-16 1988-12-26
JPH07102049B2 (ja) * 1991-10-04 1995-11-08 市郎 山下 樹木の固定方法および可変支持装置
KR101264977B1 (ko) * 2011-05-20 2013-05-15 김영수 수목 굴취 및 이식 장치
KR20160144776A (ko) * 2015-06-09 2016-12-19 조의환 수목 이식 장치
KR101817232B1 (ko) * 2016-02-04 2018-01-10 (주)지에스판넬 수목 이식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438A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977B1 (ko) 수목 굴취 및 이식 장치
KR101971515B1 (ko)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의 스페이드
KR101815469B1 (ko) 수목 홀딩부를 구비하는 수목 굴취 및 이식 장비
CN210580337U (zh) 一种园林施工用的林木移植装置
US393696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ooted plant excavating and plant package produced thereby
JPH0313845B2 (ko)
US2652639A (en) Earth digging bucket
KR20160107542A (ko) 굴삭기용 나무 옮겨심기 장치
KR101162885B1 (ko) 수목 굴취 및 이식 장치
CN217850575U (zh) 一种沙漠植树机器人
US5715614A (en) Transplant apparatus
CN106376276A (zh) 一种用于苗木种植的自动挖坑机
KR102356030B1 (ko) 수목굴취기
JPH09201136A (ja) 自走式苗木植付装置並びにその植付機及び搬出機
KR101685171B1 (ko) 수목 이식용 굴취장치
US6341568B1 (en) Expandable stinger planter
US4343389A (en) Mobile conveyor
CN111066618A (zh) 一种果树移植机
KR20170025654A (ko) 수목 이식 장비
KR101540115B1 (ko) 수목 굴취 장치
US3441155A (en) Adjustable implement carrying structures
US3071265A (en) Sugar-cane loader and ditcher combination
CN210013207U (zh) 高原固沙沙沟挖掘装置
US2534886A (en) Hydraulic power shovel loader
EP1739238A1 (en) Trenc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