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5016B1 - 이미지 센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이미지 센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5016B1
KR102355016B1 KR1020140178234A KR20140178234A KR102355016B1 KR 102355016 B1 KR102355016 B1 KR 102355016B1 KR 1020140178234 A KR1020140178234 A KR 1020140178234A KR 20140178234 A KR20140178234 A KR 20140178234A KR 102355016 B1 KR102355016 B1 KR 102355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frame
image senso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1031A (ko
Inventor
송진한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8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016B1/ko
Publication of KR20160071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1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G03B11/04Hoods or caps for eliminating unwanted light from lenses, viewfinders or focusing ai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렌즈배럴; 전방측에 상기 렌즈배럴이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렌즈배럴을 통해 입사하는 광이 형성하는 이미지가 결상되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고, 상기 프레임 후면에 결합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프레임에 결합시키고, 상기 렌즈배럴의 광축과 상기 이미지 센서 표면이 수직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방향 틸트각을 조절하는 나사체결구;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을 가압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제1방향으로 틸트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센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image sensor}
실시예는, 이미지 센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렌즈, 또는 복수의 렌즈가 정렬하여 광학계를 구성하는 렌즈배럴과, 상기 렌즈 또는 렌즈배럴의 광축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에는 렌즈 또는 렌즈배럴을 투과한 피사체의 이미지를 포함하는 광이 입사하여 피사체의 이미지가 결상되는 부위이다.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이미지는 전기적으로 연결된 외부장치로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송출되고 외부장치에서는 전송받은 이미지를 저장, 재생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결합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이미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거나, 변환 후 외부장치로 송출하는 통로의 역할을 하기 위해, 각종의 도선, 회로, 소자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광이 입사하는 표면이 상기 렌즈 또는 렌즈배럴의 광축과 수직 또는 극히 수직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질 저하 방지를 위해 유리하다.
그러나, 이미지 센서가 결합하여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이 광축에 수직하지 않은 점, 인쇄회로기판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경사가 형성될 수 있는 점 등의 원인으로, 이미지 센서의 표면이 광축에 수직 또는 극히 수직에 가까운 상태로 조절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실시예는, 간단한 구성을 부가하여 이미지 센서의 광이 입사하는 표면과 광축을 수직 또는 극히 수직에 가까운 상태로 조절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렌즈배럴; 전방측에 상기 렌즈배럴이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렌즈배럴을 통해 입사하는 광이 형성하는 이미지가 결상되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고, 상기 프레임 후면에 결합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프레임에 결합시키고, 상기 렌즈배럴의 광축과 상기 이미지 센서 표면이 수직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방향 틸트각을 조절하는 나사체결구;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을 가압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제1방향으로 틸트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이미지센서 및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렌즈배럴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 각각은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각각 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의 전면에 상기 렌즈배럴을 투과한 상기 광이 입사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제1방향으로 틸트시켜 상기 이미지 센서의 전면을 제1방향에 수직 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나사체결구는,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되는 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나사홈에 나사결합하고, 상기 나사체결구를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프레임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나사체결구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방향 틸트각이 조절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나사체결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복수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복수의 나사체결구 각각의 상기 나사홈에 삽입되는 깊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방향 틸트각이 조절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과 접촉하는 가압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가압볼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가압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제1방향으로 틸트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프레임 후측으로부터 절곡형성되는 제2탄성부재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가압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각각 가압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제1방향으로 틸트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는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결합하는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다른 실시예는, 렌즈배럴; 전방측에 상기 렌즈배럴이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렌즈배럴을 통해 입사하는 광이 형성하는 이미지가 결상되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고, 상기 프레임 후면에 결합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렌즈배럴과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렌즈배럴을 투과한 광이 입사하는 이미지센서;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고, 상기 프레임 후면에 결합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이미지 센서 표면이 광축에 수직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방향 틸트각을 조절하는 나사체결구;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을 가압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제1방향으로 틸트된 상태를 유지하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전면과 접촉하며,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프레임의 후측에 결합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후방으로 가압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은 간단한 구조의 나사체결구와 가압부를 구비하고, 나사체결구를 프레임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인쇄회로기판의 제1방향 틸트각을 조절하여, 용이하게 이미지 센서의 전면과 광축방향이 수직하거나 극히 수직에 가깝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의 전면과 광축방향을 수직하거나 극히 수직에 가깝게 조절하여, 이미지 센서와 렌즈배럴 사이의 초점 불일치, 플래어(flare) 현상, 고스트이미지(ghost image)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질적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이미지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가압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x축과 y축은 광축에 대하여 수직한 축을 의미하는 것으로 편의상 광축 방향(z축 방향)은 제1방향, x축 방향은 제2방향, y축 방향은 제3방향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400)과 이미지 센서(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가압부(61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배럴(100), 프레임(200), 이미지 센서(300), 인쇄회로기판(400), 나사체결구(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후술하는 가압부(6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촬상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담은 광이 투과하고, 렌즈를 투과한 상기 광은 이미지 센서(300) 입사하여 상기 광이 담고 있는 이미지는 상기 이미지 센서(300)에 결상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설치되고, 프레임(200)에 형성되는 공동(220)의 표면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동(220)의 표면에 암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렌즈배럴(100)의 외주면에는 상기 나사산에 대응되는 수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들의 나사 결합으로 렌즈배럴(100)을 공동(220)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공동(220)의 표면에 암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렌즈배럴(100)을 상기 공동(220)에 나사결합 이외의 방법으로 직접 고정할 수도 있다. 또는, 렌즈배럴(100) 없이 상기 한 장 이상의 렌즈가 공동(220)에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렌즈배럴(100)에 결합되는 렌즈는 한 장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2개 또는 그 이상의 렌즈들이 광학계를 형성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프레임(200)은 전방측에 상기 렌즈배럴(100)이 장착되고, 후면에는 인쇄회로기판(400)이 결합할 수 있다. 렌즈배럴(100)을 장착하고 인쇄회로기판(400)을 결합하기 위해 프레임(200)에는 공동(220), 나사홈(210)이 형성될 수 있다.
공동(22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0)의 전방측에 형성되어 상기 렌즈배럴(100)이 장착될 수 있다. 나사홈(210)은 상기 프레임(200)의 후면에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을 프레임(200)에 결합시키는 나사체결구(500)의 나사산이 형성된 부위가 나사결합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나사홈(210)에는 상기 나사체결구(500)와 나사결합을 위한 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체결구(500)는 카메라 모듈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나사홈(210)도 나사체결구(500)와 동일한 개수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400)은 상기 프레임(200) 후면에 상기 나사체결구(500)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400)에는 이미지 센서(300)가 실장될 수 있고, 이미지 센서(300)에 결상되는 이미지에 관한 신호를 외부의 장치로 송출하고, 외부의 전격공급원과 전기적 연결을 위해, 각종 도선, 회로, 소자, 연결단자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300)는 인쇄회로기판(400)에 실장되고, 상기 렌즈배럴(100)을 통해 입사하는 광이 형성하는 이미지가 결상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상기 이미지 센서(300)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은 각각 판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이미지 센서(3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에 상기 렌즈배럴(100)을 투과한 상기 광이 입사하여 상기 광에 담긴 이미지가 상기 이미지 센서(300)에 결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는 통공(410)이 형성될 수 있다. 통공(410)은 나사체결구(500)가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200)에 형성되는 나사홈(21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을 상기 프레임(200)에 결합시키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통공(410)은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서 상기 프레임(200)에 형성되는 나사홈(210)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나사체결구(500) 및 상기 나사홈(210)과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나사체결구(5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을 상기 프레임(2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나사체결구(500)는 프레임(200)에 형성되는 나사홈(210)에 나사결합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을 상기 프레임(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사체결구(5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제1방향 틸트각을 조절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때, 틸트각은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이 광축 방향 즉, 제1방향과 수직하는 평면 즉, x-y평면상에서 제1방향으로 기울어진 각도를 의미한다.
이미지가 결상되는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은 제1방향과 수직하거나, 극히 수직에 가깝도록 배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과 제1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수직에서 멀어질수록 이미지 센서(300)와 렌즈배럴(100) 사이의 초점 불일치, 플래어(flare) 현상, 고스트이미지(ghost image)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과 제1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수직에서 멀어질수록 상기한 현상의 발생으로 이미지 센서(300)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질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300)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은 각각 판형으로 구비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3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전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미지 센서(300)는 인쇄회로기판(400)에 결합하지만 이미지 센서(300)와 인쇄회로기판(400) 사이에도 제1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고, 이미지 센서(300)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400)의 전면이 제1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400)의 전면이 광축과 수직 하더라도 이미지 센서(300)는 제1방향과 수직하지 않은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쇄회로기판(400)을 제1방향으로 적절히 틸트시키면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은 제1방향과 수직하거나 극히 수직에 가까워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을 제1방향으로 틸트시켜 상기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을 제1방향에 수직 되거나, 극히 수직에 가까워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나사체결구(5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제1방향 틸트각을 조절하여 상기 렌즈배럴(100)의 광축과 상기 이미지 센서(300) 표면이 수직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나사체결구(500)는 일측이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 형성되는 통공(410)을 관통하여 상기 프레임(200)에 형성되는 나사홈(210)에 나사결합하고, 상기 나사체결구(500)를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프레임(2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나사체결구(500)는 스크루드라이버, 렌치 등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축 회전이 가능하고, 이를 위해 나사체결구(500)의 머리는 일자, 십자형, 다각형 등의 홈이 형성되거나, 다각형으로 형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체결구(500)는 길이방향을 축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프레임(2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나사체결구(500)가 상기 프레임(2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제1방향 틸트각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나사체결구(50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인쇄회로기판(400)에 4개의 나사체결구(500)가 구비되었으나, 3개 또는 5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실시예에서 4개의 나사체결구(500) 각각을 프레임(2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적절하게 이동시켜서 인쇄회로기판(400)의 제1방향 틸트각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4개의 나사체결구(500) 각각의 상기 나사홈(210)에 삽입되는 깊이를 서로 다르게 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제1방향 틸트각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방식에 따라 인쇄회로기판(400)의 제1방향 틸트각을 조절하여,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과 렌즈배럴(100)의 광축이, 수직하거나, 원하는 수준의 화질을 가진 이미지가 상기 이미지 센서(300)에 결상될 정도로 서로 극히 수직에 가깝게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배럴(100)은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이미지 센서(300) 및 인쇄회로기판(400)은 상기 렌즈배럴(100)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2개의 렌즈배럴(100)이 프레임(200)에 구비되었다. 이때, 상기 렌즈배럴(100) 각각은 제1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스테레오 카메라를 구현한다.
스테레오 카메라는 사물의 원근을 판단하고 입체적으로 볼 수 있는 인간의 두 눈을 모방하여 제작된 카메라이다. 따라서, 스테레오 카메라는 2개의 렌즈배럴(100)의 초점 및 노출을 조절하여 인간의 두 눈과 유사한 방식으로 카메라에 촬상되는 피사체의 원근을 판단하고 촬상된 피사체의 이미지는 입체적으로 재생될 수 있다.
스테레오 카메라는 피사체의 원근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와 피사체 사이의 거리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피사체와의 거리를 판단하여 이를 근거로 한 사고방지 시스템, 운전안내 시스템이 장착되는 스마트카(smart car)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가압부(61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가압부(610)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가압부(6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전면을 가압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이 제1방향으로 틸트된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나사체결구(500)는 머리부위로 인쇄회로기판(400)의 후면을 가압하고, 가압부(610)의 일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전면을 가압하며, 나사체결구(500)의 가압력과 가압부(610)의 가압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인쇄회로기판(400)은 나사체결구(500)에 의해 제1방향으로 틸트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610)에 의해 인쇄회로기판(400)은 제1방향으로 틸트된 상태를 유지하여 렌즈배럴(100)의 광축방향과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은 수직하거나 극히 수직에 가까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가압부(610)의 일 실시예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탄성부재(610) 및 가압볼(6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탄성부재(610)는 상기 프레임(200)의 후면에 형성되는 삽입홈(230)에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1탄성부재(610)의 일단은 상기 삽입홈(230)의 폐쇄된 일면과 접촉하고, 타단은 가압볼(620)과 접촉하여 상기 가압볼(620)에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가압볼(620)은 상기 제1탄성부재(6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전면과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볼(620)은 상기 제1탄성부재(610)로부터 가압력을 제공받아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전면을 가압하여 인쇄회로기판(400)이 제1방향으로 틸트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탄성부재(610)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1탄성부재(6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을 각각 가압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이 제1방향으로 틸트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압볼(620) 및 삽입홈(230)도 상기 제1탄성부재(610)와 동일한 개수로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610)의 개수가 증가할 수로 제1탄성부재(610)의 가압력을 증가하지만, 제작비용, 시간 등 제작상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610)의 개수와 배치위치는 카메라 모듈의 제작용이성, 나사체결구(500)의 개수와 배치위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가압부(61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가압부(610)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8은 도 7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가압부(610)의 다른 실시예는 제2탄성부재(610-1)가 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610-1)는 상기 프레임(200) 후측으로부터 절곡형성되도록 구비되고, 결합부(630) 및 절곡부(64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630)는 상기 프레임(200)의 후면에 결합하고, 절곡부(640)는 상기 결합부(630)로부터 절곡되어 일부가 상기 인쇄회로기판(400)과 접촉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을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제2탄성부재(610-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전면을 가압하여 인쇄회로기판(400)이 제1방향으로 틸트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탄성부재(610-1)는 프레임(200)의 후면에 구비되는 함몰부(240)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함몰부(240) 없이 상기 제2탄성부재(610-1)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610-1)는 사출성형 등에 의해 상기 프레임(200)에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특히, 프레임(200)과 제2탄성부재(610-1)의 재질이 다른 경우 인서트 사출성형을 통해 상기 제2탄성부재(610-1)는 상기 프레임(200)에 일체로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탄성부재(610-1)는 복수로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2탄성부재(610-1)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을 각각 가압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이 제1방향으로 틸트된 상태를 유지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610-1)의 개수가 증가할 수로 제2탄성부재(610-1)의 가압력을 증가하지만, 제작비용, 시간 등 제작상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2탄성부재(610-1)의 개수와 배치위치는 카메라 모듈의 제작용이성, 나사체결구(500)의 개수와 배치위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카메라 모듈은 간단한 구조의 나사체결구(500)와 가압부(610)를 구비하고, 나사체결구(500)를 프레임(20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시켜 인쇄회로기판(400)의 제1방향 틸트각을 조절하여, 용이하게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과 광축방향이 수직하거나 극히 수직에 가깝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300)의 전면과 광축방향을 수직하거나 극히 수직에 가깝게 조절하여, 이미지 센서(300)와 렌즈배럴(100) 사이의 초점 불일치, 플래어 현상, 고스트이미지 발생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미지 센서(300)에 결상되는 이미지의 질적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렌즈배럴
200: 프레임
210: 나사홈
220: 공동
230: 삽입홈
240: 함몰부
300: 이미지 센서
400: 인쇄회로기판
410: 통공
500: 나사체결구
600: 가압부
610: 제1탄성부재
620: 가압볼
600-1: 제2탄성부재
630: 결합부
640: 절곡부

Claims (17)

  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측에 장착되는 렌즈배럴;
    상기 프레임의 후방측에 결합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2면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의 후방측에 결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2면을 가압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틸트각을 조절하는 나사체결구; 및
    상기 프레임의 후방측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되는 제1탄성부재; 및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과 접촉하는 가압볼을 포함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가압볼에 접촉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2면에 대한 상기 나사체결구의 가압력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에 대한 상기 가압부의 가압력은 서로 반대 방향인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볼의 일부는 상기 삽입홈 내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을 가압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틸트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각각 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배럴을 투과한 광은 상기 이미지 센서에 입사되는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결구는 상기 이미지 센서의 전면을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이 되도록 틸트시키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체결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홈에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체결구가 상기 프레임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틸트각이 조절되는 카메라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복수 개의 나사홈들을 포함하고,
    상기 나사체결구는 상기 복수 개의 나사홈들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나사체결구들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은 상기 프레임에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렌즈배럴들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복수의 렌즈배럴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인쇄회로기판들을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복수의 렌즈배럴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이미지 센서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복수의 인쇄회로기판들에 대응되는 복수의 가압부들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측에 장착되는 렌즈배럴;
    상기 프레임의 후방측에 결합하는 제1면 및 상기 제1면의 반대면인 제2면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2면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을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의 후방측에 결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2면을 가압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틸트각을 조절하는 나사체결구; 및
    상기 프레임의 후방측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을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결합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을 가압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는 나사홈이 형성되고, 상기 나사체결구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관통하여 상기 나사홈에 결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2면에 대한 상기 나사체결구의 가압력은 상기 제1 방향이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에 대한 상기 가압부의 가압력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2 방향인 카메라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제1면을 가압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틸트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카메라 모듈.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형성되는 함몰부에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사출성형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일체로 결합하는 카메라 모듈.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40178234A 2014-12-11 2014-12-11 이미지 센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KR102355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234A KR102355016B1 (ko) 2014-12-11 2014-12-11 이미지 센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234A KR102355016B1 (ko) 2014-12-11 2014-12-11 이미지 센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031A KR20160071031A (ko) 2016-06-21
KR102355016B1 true KR102355016B1 (ko) 2022-01-25

Family

ID=56353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234A KR102355016B1 (ko) 2014-12-11 2014-12-11 이미지 센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0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42526B2 (en) * 2016-07-28 2018-11-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elf-aligning multi-part camera system
KR102178509B1 (ko) * 2018-12-05 2020-11-13 에스더블류텍(주) 화상 이물 검사기
KR102209128B1 (ko) * 2020-05-26 2021-01-28 조성수 발광형 표지 장치
KR20220161097A (ko) * 2021-05-28 2022-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KR20220161098A (ko) * 2021-05-28 2022-12-0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장치
KR20240016041A (ko) * 2022-07-28 2024-02-06 (주)파트론 카메라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70264A (ja) * 2005-03-22 2006-10-05 Fuji Photo Film Co Ltd 複眼撮影装置
JP3889241B2 (ja) * 2001-05-18 2007-03-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7227341A (ja) * 2006-01-30 2007-09-06 Alps Electric Co Ltd ガイド部材及びガイド部材を備えた接続ボード並びにガイド部材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9241B2 (ja) * 2001-05-18 2007-03-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06270264A (ja) * 2005-03-22 2006-10-05 Fuji Photo Film Co Ltd 複眼撮影装置
JP2007227341A (ja) * 2006-01-30 2007-09-06 Alps Electric Co Ltd ガイド部材及びガイド部材を備えた接続ボード並びにガイド部材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1031A (ko) 201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5016B1 (ko) 이미지 센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카메라 모듈
US10491883B2 (en) Image capturing device
KR102480963B1 (ko) 카메라 모듈
US11418688B2 (en) Camera module for use in automobile
KR102502284B1 (ko) 카메라 모듈
CN110716381B (zh) 转光三维成像装置和投射装置及其应用
WO2015169220A1 (zh) 转光三维成像装置和投射装置及其应用
US20080298674A1 (en) Stereoscopic Panoramic imaging system
KR100910175B1 (ko) 입체영상 생성용 이미지센서
CN209117945U (zh) 成像镜头、相机模块及电子装置
CN102566228A (zh) 投影机装置
US20170184807A1 (en) Device and apparatus for imaging
US20240170466A1 (en) Optical navigation module performing lateral detection
CN202444550U (zh) 一种可调焦的防水式摄像头
US9110258B2 (en) Optical fiber coupling connector
US20190289280A1 (en) Three-dimensional sensing module and computing device using same
US10594908B2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WO2020116041A1 (ja) 撮像デバイス、撮像システム、および産業用ロボット
US9377592B2 (en) Optical coupling element and optical-electrical converting module having same
CN202710901U (zh) 微型摄像模组
US20140204380A1 (en) Method for detecting alignment between optical fibers and lenses of optical connector
WO2008096642A1 (ja) 原点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CN111385445B (zh) 一种电路板的柔性固定方式
CN207742684U (zh) 一种智能耗材柜用扫描枪
CN203311074U (zh) 一种新型的双滤光片切换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