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983B1 - 크린룸 및 음압 격리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크린룸 및 음압 격리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983B1
KR102354983B1 KR1020210052966A KR20210052966A KR102354983B1 KR 102354983 B1 KR102354983 B1 KR 102354983B1 KR 1020210052966 A KR1020210052966 A KR 1020210052966A KR 20210052966 A KR20210052966 A KR 20210052966A KR 102354983 B1 KR102354983 B1 KR 102354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exhaust
air supply
centr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소영
Original Assignee
태흥브에이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흥브에이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태흥브에이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2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05Isolators, i.e. enclosures generally comprising flexible walls for maintaining a germ-free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0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 A61G10/02Treatment rooms or enclosures for medical purposes with artificial climate; with means to maintain a desired pressure, e.g. for germ-free rooms
    • A61G10/023Rooms for the treatment of patients at over- or under-pressure or at a variable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10/0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 A61G2210/30Devices for specific treatment or diagnosis for intensive ca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4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overpressure in a 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24F2011/000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 F24F2011/0005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for admittance of outside air to create underpressure in a room, keeping contamination in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40Pressure, e.g. wind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entil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린룸 및 음압 격리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흡배기에 의해서 제어되는 다수의 크린룸 및 음압 격리실들과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압 또는 음압용 격리실 시스템은
하나의 중앙 급기 장치와, 하나의 중앙 배기 장치와, 다수의 격실들과, 상기 하나의 중앙급기장치와 각 격실들의 급기부를 연결하는 급기용 덕트와, 상기 하나의 중앙배기장치와 각 격실들의 배기부를 연결하는 배기용 덕트와, 각 격실의 급기부와 배기부에 설치되는 급기량 조절기 및 배기량 조절기와, 상기 각 격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와, 상기 각 격실의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출입문 개폐 감지 장치와, 상기 압력 측정부의 압력 및 출입문 개폐 감지 장치의 신호를 이용해서 급기량 및/또는 배기량을 조절하는 격실제어부들과, 상기 격실 제어부들을 관측 및/또는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크린룸 및 음압 격리실 및 그 제어 방법{Clean room and negative pressure isolation roo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크린룸 및 음압 격리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흡배기에 의해서 제어되는 다수의 크린룸 및 음압 격리실들과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바이러스나 세균등을 취급하는 연구실이나 제약과 관련된 크린룸 또는 감염병 환자가 거주하는 음압 격리실은 외부의 공기가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거나 또는 내부에 공기가 나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서 양압 또는 음압이 요구된다.
크린룸이나 음압 격리실에 양압 또는 음압을 제공하기 위해서 해당룸에 흡배기 장치가 설치되고, 양압이 필요한 경우 흡기량이 배기량보다 많게 설정되고, 음압이 필요한 경우 흡기량이 배기량보다 적게 설정된다.
격실의 숫자가 많아질 경우에는 독립적인 흡배기 장치를 설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하나의 중앙 흡기 장치와 격실들을 흡기 덕트를 통해서 연결시켜 공기를 급기하고, 하나의 중앙 배기 장치와 격실들을 배기 덕트를 통해서 연결하여 공기를 배기하도록 구성된다.
각 격실은 동일한 중앙 흡기 장치 또는 중앙 배기 장치를 공유하더라도 중앙 흡기 장치 또는 중앙 배기 장치와의 거리 또는 순서에 따라서 흡기력과 배기력이 달라지므로, 각 격실에 풍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급기구와 배기구에 풍량 조절 댐퍼를 설치하고, 개폐량을 조절하여 양압 또는 음압을 제공하게 된다.
수동식의 경우, 중앙 공조 장치의 특정 값을 기준으로 각 실시에 급기량과 배기량을 실측하고, 수동식 급배기댐퍼의 개폐량을 수동으로 조절하여 환경 조건에 관계 없이 급기 및 배기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서 격실에 양압 또는 음압을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환경 변화에 상관 없이 급배기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양압 또는 음압을 확실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수동식이어서 급기 및 배기량이 최초 설정된 상태로 유지되는지 주기적인 점검과 조절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자동식의 경우, 자동제어용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급기 및 배기 댐퍼의 풍량을 조절하고, 이를 통해 급기 및 배기량을 자동제어하여 양압 혹은 음압을 유지한다. 이 경우, 실시간으로 흡기량 및 배기량을 확인하고 조절할 수 있어서, 과도한 공기의 사용이나 이로 인한 에너지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각 격실의 제어 상황을 중앙제어장치에서 확인할 수 있어, 각 실시에 발생하는 이상상황을 확인 및/또는 통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08-0096618호에서는 실험실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시스템으로써 인접한 실험실의 이상 동작시 시스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각 격실에 설치된 바이오 크린룸(GLP, GMP, 생물안전 밀폐실험실, 동물사육 실험실) 제어용 랩 컨트롤러는 독립분산 제어기능을 가지고 각 실을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중앙감시 시스템과 통신하여 각 실의 정보를 공유하며, 상기 바이오 크린룸(GLP, GMP, 생물안전 밀폐실험실, 동물사육 실험실) 제어용 랩 컨트롤러는 입출력포트, 데이터 라인, 통신 라인, CPU, 및 모듈이 이중화되어 구성됨으로써 안정성을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자동제어 컨트롤러에 의한 제어는 출입문의 개폐와 같은 돌발적인 변화에 너무 민감하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크린룸 혹은 음압격리실의 출입자에 의한 출입문 개폐는 격실내 압력의 급격한 변동을 야기하여, 격실내 압력이 설정압력 이하 혹은 이상으로의 올라가거나 또는 내려가는 상황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이 경우 자동제어 콘트롤러가 설정압력을 맞추기 위해 격실내의 자동 급기 혹은 배기 댐퍼를 자동으로 개폐가 이루어게 함으로서, 동일 덕트에 연결된 이웃한 다른 방에도 그 영향을 주게 된다. 따라서, 각 격실에 수많은 사용자들이 출입하면서 발생되는 변동으로 인해 전체적인 크린룸 혹은 음압격리실의 안정적인 차압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자동제어 컨트롤 시스템이 설치된 상황에서, 수동으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한편, 양압 또는 음압을 유지해야 하는 격실에서 흡기 또는 배기 장치의 고장으로 인해 양압 또는 음압 환경이 파손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압을 유지해야 하는 격실의 경우, 격실 내부와 외부 사이에 차압센서를 설치하고, 실간차압제어를 이용해 배기용 댐퍼를 제어하여 급기풍량보다 적은 배기 풍량을 유지함으로써 실내 양압을 유지하는데, 급기용댐퍼에 문제가 발생하여 배기량보다 적게 유입될 경우 격실내부에 양압이 깨지는 문제들이 발생한다. 반대로, 음압을 유지해야 하는 격실의 경우, 격실 내부와 외부 사이에 차압센서를 설치하고, 실간 차압제어를 이용해 배기용 댐퍼를 제어하여 급기풍량보다 많은 배기 배기풍량을 유지함으로써 실내 음압을 유지하는데, 급기용댐퍼에 문제가 발생하여 배기량보다 많이 유입될 경우 격실내부에 음압이 깨지는 문제들이 발생한다.
본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중앙 배기 장치 및 중앙 흡기 장치에 다수의 격실들이 연계된 격실 시스템에서, 각 격실에서 발생되는 출입문 개폐에 의한 변동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중앙 배기 장치 및 중앙 흡기 장치에 다수의 격실들이 연계된 상태에서 각 격실에서 발생되는 출입문 개폐에 의한 변동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격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급기 제어 댐퍼의 고장으로 인한 사고 발생시 격실의 양압 또는 음압 환경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양압 또는 음압 격리실 시스템은
하나의 중앙 급기 장치와,
하나의 중앙 배기 장치와,
다수의 격실들과,
상기 하나의 중앙급기장치와 각 격실들의 급기부를 연결하는 급기용덕트와,
상기 하나의 중앙배기장치와 각 격실들의 배기부를 연결하는 배기용 덕트와,
각 격실의 급기부와 배기부에 설치되는 급기량 조절기 및 배기량 조절기와,
상기 각 격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와,
상기 각 격실의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출입문 개폐 감지 장치와,
상기 압력 측정부의 압력 및 출입문 개폐 감지 장치의 신호를 이용해서 급기량 및/또는 배기량을 조절하는 격실제어부들과,
상기 격실 제어부들을 관측 및/또는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격실 제어부는, 출입문의 개방에 따른 압력 변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해당 격실의 급기량 조절기와 배기량 조절기를 조절할 경우 다른 격실들의 제어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할 수 있도록, 출입문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격실 제어부가 개방전의 제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개방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길어질 경우 격실 제어부가 중앙 제어부에 이를 통지하거나, 중앙 제어부가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격실 제어부는 양압이 요구되는 격실에서는 항상 급기량 보다 적은 배기량을 가지도록 급기량 및 배기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격실 제어부는 크린룸에 양압 자동제어시 급기댐퍼통과풍량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항온 및 항습 기능을 구현하고, 배기용 댐퍼에 자동제어 콘트롤러를 적용하여 항상 적정한 실내양압을 자동제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 있어서, 만약 급기댐퍼에 문제가 발생시 강제 개방하고, 배기용 댐퍼가 문제시 강제로 닫히도록 함으로써, 어떤 상황에서도 양압을 유지토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격실 제어부는 음압이 요구되는 격실에서는 항상 급기량 보다 많은 배기량을 가지도록 급기량 및 배기량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격실 제어부는 음압이 요구되는 격실에서 급기풍량 및 배기풍량을 적정실내 음압을 유지토록 그 풍량 편차를 항상 동일하게 유지토록 자동제어(양압=급기량>배기량, 음압=급기량<배기량)하고, 이때 실내차압 편차가 발생시 급기 및 배기풍량 편차를 항상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급기 및 배기 풍량을 각각 제어를 한다, 만약 급기댐퍼에 문제가 발생시 강제로 닫히게하고, 배기댐퍼가 문제시 배기댐퍼를 강제개방 되도록하여 항상 실내압이 음압을 유지토록 콘트롤러의 제어로직을 구성하여 적용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양압 또는 음압 격리실 시스템 제어 방법은
하나의 중앙 급기 장치와,
하나의 중앙 배기 장치와,
다수의 격실들과,
상기 하나의 중앙급기장치와 각 격실들의 급기부를 연결하는 급기용덕트와,
상기 하나의 중앙배기장치와 각 격실들의 배기부를 연결하는 배기용 덕트와,
각 격실의 급기부와 배기부에 설치되는 급기량 조절기 및 배기량 조절기와,
상기 각 격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와,
상기 각 격실의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출입문 개폐 감지 장치와,
상기 격실의격실제어부들과,
상기 격실 제어부들을 관측 및/또는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
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상기 압력 측정부 및 출입문 개폐 감지 장치의 신호를 이용해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격실 제어부는 출입문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격실 제어부가 개방전의 제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개방 시간이 소정 시간보다 길어질 경우 격실 제어부가 중앙 제어부에 이를 통지하거나, 중앙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경고 또는 출입문 닫기 요청 신호를 보낼 수 있다. 상기 신호는 실별 감독자의 스마트폰에 알람, 문자 또는 메시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 양압 또는 음압의 유지가 요구되는 다수의 격실을 하나의 중앙급기장치 및 중앙배기장치로 제어할 경우, 하나의 격실에 발생하는 출입문의 개폐와 같은 돌발적인 변화를 제어하기 위해서 제어 장치가 개입될 경우, 중앙 급기 장치 또는 중앙 배기 장치를 통해서 연통된 다른 객실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시스템의 불안정성이 높아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의해서 각 실에서 배기 또는 급기 장치에 이상이 있을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양압 또는 음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 따른 양압 또는 음압용격실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에 따른 양압용클린룸격실 시스템의 일 격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에 따른 양압 또는 음압용격실 시스템에서 2 개의 연동된 격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에 따른 양압 또는 음압용격실 시스템의 일 격실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격실 시스템은 하나의 건물에 다수의 격실들이 형성되고, 각 격실에 전체적으로 및 상시적으로 양압을 형성하거나, 각 격실에 전체적으로 및 상시적으로 음압을 형성하기 위한 시스템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압 또는 음압용격실 시스템(10)은 다수의 격실들로 이루어진 격실부(100)와, 상기 격실부(100)의 각 격실들에 공기를 급기하거나 배기하기 위한 중앙 공조부(200)와, 상기 중앙 공조부(200)에서 격실부(100)를 연결하는 덕트부(300)과 다수의 격실들을 양압또는 음압으로 유지하기 위한 제어부(400)로 이루어진다.
상기 격실부(100)는 음압 또는 양압을 유지하도록 외부와 격리된 공간을 이루는 다수의 격실(110)들로 이루어지며, 상기 격실에는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111)이 설치된다.
상기 중앙 공조부(200)는 상기 하나의 중앙급기장치(210)와 하나의 중앙배기 장치(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덕트부(300)는 각 실에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용덕트(310)과 각 실에서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용 덕트(3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급기용덕트(310)은 일측이 상기 중앙 급기 장치(210)에 연결되고, 격실부(200)를 따라서 연장되면서, 급기용덕트의 주 관로에서 분지되어 각 격실(110)의 천정으로 연결되는 급기부(311)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기용 덕트(320)는 일측이 상기 중앙 배기 장치(220)에 연결되고, 격실부(200)를 따라서 연장되면서, 배기용 덕트의 주 관로에서 분지되어 각 격실(110)의 천정으로 연결되는 배기부(321)로 이루어진다.
상기 급기부(311)에는 제어부가 급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급기용댐퍼(312)가 설치되며, 상기 배기부(321)에는 제어부가 배기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기용 댐퍼(322)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격실 내부의 압력을 양압 또는 음압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격실과 외부와의 차압을 측정하고, 소정의 차압을 형성하도록 급기용댐퍼(312)와 배기용 댐퍼(32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다수의 격실 제어부(410)들과, 각 격실 제어부(410)들을 제어하는 중앙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으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실(110)은 바닥 및 천장과 벽면들이 직육면체 형태를 이루며, 복도에 접하는 측벽(120)에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출입문(111)이 설치되고, 천정(130)에는 급기를 위한 급기구(313) 및 배기를 위한 배기구(323)가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외부와 차단된 형태를 이룬다.
천정(130)의 상부 공간에는 급기부(311)와 급기댐퍼(312)가 급기구(313)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배기부(321)와 배기 댐퍼(322)가 배기구(323)에 연결되게 설치된다.
급기댐퍼(312)의 내부에는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급기댐퍼팬(314)가 설치되고, 외면에 부착된 급기용댐퍼 모터(315)에 의해서 개폐량이 조절된다. 또한, 배기 댐퍼(322)의 내부에는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배기댐퍼팬(314)이 설치되고, 외면에 부착된 배기용 댐퍼 모터(325)에 의해서 개폐량이 조절된다.
격실 제어부(410)은 격실(110)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격실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된 차압센서(411)로부터 수신되는 차압 측정값을 이용해서 격실 내부의 압력을 조절한다.
격실(110)에 양압이 필요한 경우에는 급기부(311)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배기부(32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게 조절하며, 반대로 격실(110)에 음압이 필요한 경우에는 급기부(311)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양보다 배기부(32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게 조절된다.
급기량의 조절은 급기용댐퍼 모터(315)를 이용하여 급기댐퍼팬(314)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이루어지며, 배기량의 조절은 배기용 댐퍼 모터(325)를 이용하여 배기 댐퍼팬(324)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이루어진다.
격실 제어부(410)는 격실 출입문(111)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출입문(111)의 상단에 설치된 출입문 개폐 센서(412)에서 개폐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격실 제어부(410)는 출입문 개폐 센서(412)로부터 격실 출입문(111)이 개방되었다는 신호가 접수되면, 개방 신호 접수 시간부터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 동안에, 차압 센서(411)로부터 격실(110) 내외부의 차압 변동이 감지되더라도, 개방 신호 접수 시간의 제어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격실 제어부(410)는 상기 출입문의 개방 시간이 미리정해진 소정 시간보다 길어질 경우 중앙 제어부에 격실에 출입문 개방 경고신호를 보내고, 각 격실 담당자에게 경고 문자를 발송한다. 상기 경고 문자는 중앙 제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전화번호를 이용해서 통지한다.
필요시, 예를 들어, 양압이 걸리는 클린룸을 구현하기 위해, 격실(110)에 양압을 자동으로 제어할 경우, 급기댐퍼(312) 통과 풍량은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여 항온 및 항습 기능을 구현하고, 배기용 댐퍼(322)에만 자동제어 콘트롤러를 적용하여 항상 적정한 실내양압을자동제어하는 것이 가능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격실(110)과 제2 격실(110')은 바닥 및 천장과 벽면들이 직육면체 형태를 이루며, 복도에 접하는 측벽(120, 120') 에 사용자의 출입을 위한 제1 격실출입문(111)과 제2 격실출입문(111')이 각각 설치되고, 천정(130,130')에는 급기를 위한 급기구(313, 313') 및 배기를 위한 배기구(323,323')가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외부와 차단된 형태를 이룬다.
각각의 천정(130, 130')의 상부 공간에는 급기용덕트(310)에서 급기부(311, 311')가 분지되어 각각 급기댐퍼(312, 312')을 거쳐서 급기구(313, 313')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배기용 덕트(320)에서 배기부(321, 321')가 분지되어 각각 배기 댐퍼(322, 322')를 거쳐서 배기구(323, 323')에 연결된다.
급기댐퍼(312, 312')의 내부에는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급기댐퍼팬(314, 314')가 설치되고, 외면에 부착된 급기용댐퍼 모터(315, 315')에 의해서 개폐량이 조절된다.
또한, 배기 댐퍼(322, 322')의 내부에는 개폐량을 조절할 수 있는 배기댐퍼팬(314, 314')이 설치되고, 외면에 부착된 배기용 댐퍼 모터(325, 325')에 의해서 개폐량이 조절된다.
제1 격실 제어부(410) 및 제2 격실 제어부(410')은 제1 격실(110) 및 제2 격실(110')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제1 격실 및 제2 격실 벽면을 관통하여 설치된 차압센서(411, 411')로부터 수신되는 차압 측정값을 이용해서 제1 격실(110) 및 제2 격실(110') 내부의 압력을 조절한다.
제1 격실(110) 및 제2 격실(110')에 양압이 필요한 경우에 급기부(311, 311')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이 배기부(321, 32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게 조절하고, 반대로 제1 격실(110) 및 제2 격실(110')에 음압이 필요한 경우에는 급기부(311, 311')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양보다 배기부(321, 321')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양보다 많게 조절된다.
급기량의 조절은 급기용댐퍼 모터(315, 315')를 이용하여 급기댐퍼팬(314, 314')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이루어지며, 배기량의 조절은 배기용 댐퍼 모터(325, 325')를 이용하여 배기 댐퍼팬(324, 324')의 개폐량을 조절하여 이루어진다.
제1 격실 제어부(410) 및 제2 격실 제어부(410')는 제1 격실 출입문(111) 및 제2 격실 출입문(111')의 개폐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제1 출입문(111) 및 제2 격실 출입문(111')의 상단에 설치된 제1 출입문 개폐 센서(412) 및 제2 출입문 개폐 센서(412')에서 개폐에 대한 신호를 수신한다.
이와 같이, 제1 격실(110)과 제2 격실(110')이 급기용덕트(310) 및 배기용 덕트(320)를 통해서 연동된 상태에서, 제1 격실 출입문(111)이 개방되어 상기 제1 격실 제어부(410)에 제1 출입문 개폐 센서(412)로부터 제1 격실 출입문(111)이 개방되었다는 신호가 접수되면, 제1 격실 출입문의 개방 신호 접수 시간부터 미리 정해진 소정의 시간 동안에, 개방 신호 접수 시간의 제어 상태를 유지한다. 이에 따라, 제1 격실(110)에서 개방 신호 접수 시간 이후에 미리 정해진 소정 시간동안에는 제1 격실용 차압센서(411)로부터 제1 격실 제어부(410)에 차압값의 변화가 입력되더라도, 급기용댐퍼 모터(315) 및 배기용 댐퍼 모터(325)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급기용덕트(310) 및 배기용 덕트(320)에서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제1 격실(110)에서 제1 격실 출입문(111)의 개방이 제2 격실(110')에 영향을 미쳐, 제2 격실 제어부(410')가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격실(110)에 양압이 요구되는 상태에서, 급기댐퍼 또는 배기댐퍼에 문제가 발생하여, 격실 제어부(410)에 고장 신호가 접수시에는 급기댐퍼용 모터(315)를 작동시켜 급기댐퍼팬(314)를 강제 개방하고, 배기 댐퍼용 모터(325)를 작동시켜 배기 댐퍼팬(324)를 강제로 닫히도록 함으로써, 어떤 상황에서도 양압을 유지토록 하고, 반대로, 격실(110)에 음압이 요구되는 상태에서, 급기댐퍼 또는 배기 댐퍼에 문제가 발생하여, 격실 제어부(410)에 고장 신호가 접수시에는 급기댐퍼용 모터(315)를 작동시켜 급기댐퍼팬(314)를 강제로 닫히도록 하고, 배기 댐퍼용 모터(325)를 작동시켜 배기 댐퍼팬(324)를 강제 개방함으로써, 어떤 상황에서도 음압을 유지토록 비상 제어 기능을 구비한다.
100: 격실부
200: 중앙 공조부
300: 덕트부
400: 제어부

Claims (6)

  1. 하나의 중앙 급기 장치와,
    하나의 중앙 배기 장치와,
    다수의 격실들과,
    상기 하나의 중앙급기장치와 각 격실들의 급기부를 연결하는 급기용 덕트와,
    상기 하나의 중앙배기장치와 각 격실들의 배기부를 연결하는 배기용 덕트와,
    각 격실의 급기부와 배기부에 설치되는 급기량 조절기 및 배기량 조절기와,
    상기 각 격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와, 및
    상기 각 격실의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출입문 개폐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양압 또는 음압용 격리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압력 측정부의 압력 및 출입문 개폐 감지 장치의 신호를 이용해서 급기량 및/또는 배기량을 조절하는 격실제어부들과,
    상기 격실 제어부들을 관측 및/또는 제어하고, 출입문 개폐를 감지하는 중앙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격실 제어부는 출입문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격실 제어부가 개방전의 제어상태로 유지하고, 그리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출입문 개방을 경고하는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 또는 음압용 격리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 개방 경고는 이를 감지한 중앙 제어부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 또는 음압용 격리실 시스템.
  3. 하나의 중앙 급기 장치와,
    하나의 중앙 배기 장치와,
    다수의 격실들과,
    상기 하나의 중앙급기장치와 각 격실들의 급기부를 연결하는 급기용 덕트와,
    상기 하나의 중앙배기장치와 각 격실들의 배기부를 연결하는 배기용 덕트와,
    각 격실의 급기부와 배기부에 설치되는 급기량 조절기 및 배기량 조절기와,
    상기 각 격실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측정부와, 및
    상기 각 격실의 출입문의 개폐를 감지하는 출입문 개폐 감지 장치를 포함하는 양압 또는 음압용 격리실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격실 제어부는 상기 압력 측정부의 압력 및 출입문 개폐 감지 장치의 신호를 이용해서 급기량 및/또는 배기량을 조절하며,
    중앙 제어부는 상기 격실 제어부들을 관측 및/또는 제어하고, 출입문 개폐를 감지하며,
    상기 격실 제어부는 출입문 개방 신호가 입력되면 미리 정해진 시간동안 격실 제어부가 개방전의 제어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중앙 제어부는 미리 정해진 시간 후에 출입문 개방을 경고하는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 또는 음압용 격리실 제어 방법.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실 제어부는 비상시 급기량 조절기 및/또는 배기량 조절기를 강제 개방하거나 강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 또는 음압용 격리실 제어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시간의 경과후에 격실 제어부가 중앙 제어부에 이를 통지하거나, 중앙 제어부가 이를 감지하여 경고 또는 출입문 닫기 요청 신호를 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압 또는 음압용 격리실 제어 방법.
KR1020210052966A 2021-04-23 2021-04-23 크린룸 및 음압 격리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54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966A KR102354983B1 (ko) 2021-04-23 2021-04-23 크린룸 및 음압 격리실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966A KR102354983B1 (ko) 2021-04-23 2021-04-23 크린룸 및 음압 격리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983B1 true KR102354983B1 (ko) 2022-02-09

Family

ID=80267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966A KR102354983B1 (ko) 2021-04-23 2021-04-23 크린룸 및 음압 격리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9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9810A (ja) * 2015-03-03 2016-09-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負圧供給装置
KR101925554B1 (ko) * 2018-07-19 2018-12-05 전영운 병원 공조 설비 자동 제어 시스템
JP2019107425A (ja) * 2017-12-18 2019-07-04 株式会社セオコーポレーション 感染無菌システム
KR102207365B1 (ko) * 2020-04-21 2021-01-26 주식회사 나미 격리 효율을 증대시킨 음압 챔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59810A (ja) * 2015-03-03 2016-09-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負圧供給装置
JP2019107425A (ja) * 2017-12-18 2019-07-04 株式会社セオコーポレーション 感染無菌システム
KR101925554B1 (ko) * 2018-07-19 2018-12-05 전영운 병원 공조 설비 자동 제어 시스템
KR102207365B1 (ko) * 2020-04-21 2021-01-26 주식회사 나미 격리 효율을 증대시킨 음압 챔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5222B2 (en) Damper fault detection
AU2017289701B2 (en) Cleanroom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0906206B1 (ko) 화재 탐지와 국소화 방법 및 장치
JPH10507820A (ja) 加圧部屋設備のための空気流制御
CN102046405B (zh) 车辆用空调系统
KR101574682B1 (ko) 실내 급배기 연계 실험실용 흄 후드 시스템
EP3372911B1 (en) Laboratory ventilation integration
US20130337737A1 (en) Compressed gas cylinder cabinet with regulated exhaust control
KR102408073B1 (ko) 공기 처리 시스템에서 공급 공기 유동의 제어 장치 및 방법
BE1019200A5 (nl) Werkwijze voor het inregelen van een centraal ventilatiesysteem, inregelsysteem en centraal ventilatiesysteem met een dergelijk inregelsysteem.
KR20200012175A (ko) 음압형 특수시설의 공기조화시스템
US9605856B2 (en) Air pressure control system and method
KR100728316B1 (ko) 가변풍량방식 공조 제어시스템
KR102354983B1 (ko) 크린룸 및 음압 격리실 및 그 제어 방법
US201800562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contaminants within laboratory containment devices
KR102031650B1 (ko) 전열교환기 무선 연동으로 오염표시 기능을 갖는 환기시스템
US8096862B1 (en) Isolation damper with proofing
KR20040088629A (ko) 최적제어에 의한 에너지절약 및 유지관리가 용이한 한국형가변풍량 제어 시스템
KR100671477B1 (ko) 고 정밀 자동 통합 제연제어 장치
JP2009036425A (ja) 室圧制御方法及びシステム
ES2670401T3 (es)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la cantidad de aire alimentada a un armario de seguridad o evacuada del mismo
JP6704773B2 (ja) インキュベータ格納装置
JP5125137B2 (ja) 換気装置
EP2584278B1 (en) Ventilation system for ventilating a fire compartment in a building
JP2008170132A (ja) 室圧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