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800B1 - 케이블 지지수단 - Google Patents

케이블 지지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800B1
KR102354800B1 KR1020190130021A KR20190130021A KR102354800B1 KR 102354800 B1 KR102354800 B1 KR 102354800B1 KR 1020190130021 A KR1020190130021 A KR 1020190130021A KR 20190130021 A KR20190130021 A KR 20190130021A KR 102354800 B1 KR102354800 B1 KR 102354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cable
extension
shaft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6379A (ko
Inventor
김영태
Original Assignee
김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태 filed Critical 김영태
Priority to KR1020190130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800B1/ko
Publication of KR20210046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원에서는 케이블 지지수단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물체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물체와 결합하는 고정부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연장부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지지수단{MEANS FOR SUPPORTING CABLE}
본 발명은 케이블 지지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케이블이 바닥에 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지지수단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고도로 발달된 산업사회로서 각종 초정밀부품, 디스플레이, 스마트폰, 컴퓨터, 반도체, 자동차, 항공기들과 같은 많은 고성능 제품들이 생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신제품도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이 고성능 제품의 생산을 위해 많은 산업용 기계가 사용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 장비나 반도체 칩 제조 장치, 공작기계, 산업용 로봇 등과 같은 산업용 기계들은 특정 제품을 대량생산하거나 가공할 수 있도록 원재료나 피가공물을 픽업하여 이송하고 가공 처리하는 등의 반복적인 동작을 수행한다.
여기서, 반복적으로 운동하는 산업용 기계는 가용성 벨트(이하 '케이블 포드'라고 함)에 연결되어 전원이나, 액체, 기체 등을 공급받는다.
그러나 산업용 기계의 반복적인 동작으로 상기 기계에 연결된 전원이나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전선이나 호스 등이 삽입된 케이블 포드 역시 직선 또는 곡선 이동하게 된다. 케이블 포드에 무리한 꼬임이나 비틀림, 당김이 발생하여 케이블 포드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일반적으로 케이블은 통전을 위해 보호 외피나 외장 안에 두 개 이상의 전선이나 광섬유가 내재되어 있으므로, 케이블 자체의 무게로 인해 처지게 되어 바닥과 맞닿게 되고, 기계의 동작에 따라 바닥에 케이블 포트가 쓸리게 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 경우, 케이블 포트는 파손(예를 들면, 단선)으로 인하여, 전류가 더 이상 흐르지 못해 장치의 오작동 등이 발생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누전 또는 단락이 되어 화재와 같은 재난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케이블 접속수단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케이블이 무게로 인해 중력방향으로 처져 바닥과 맞닿게 되고, 바닥에 쓸리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블 지지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물체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물체와 결합하는 고정부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연장부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부는 순차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 암 및 제2 암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암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대향하는 한 쌍의 부재와 상기 부재의 양끝단 사이를 가로지르는 한 개 이상의 회동제한대와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부재 및 회동제한대에 둘러싸여 형성되되 일측면이 개방된 제1 회동공간 및 제2 회동공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공간의 폭은 상기 제2 암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2 회동공간에 상기 제2 암의 일단이 배치되고, 상기 부재 및 제2 암의 일단과 상기 제2 회동공간을 관통하는 샤프트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암 및 제2 암이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일단은 하측을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연장부의 측면은 함입되어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연장부의 대향하는 양측면을 관통하는 방향을 따라 천공되어 형성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에 상기 제1 암과 회동가능하게 하는 회동부가 배치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연장부의 측면에 내재되는 외륜과 상기 외륜에 이격되어 내재되는 내륜과 상기 외륜과 내륜 사이에 배치되는 한 개 이상의 볼을 포함하고, 샤프트가 상기 내륜과 홀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부와 제1 암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 암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외주면에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의 함몰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만곡되어 형성된 분리방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분리방지대는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적어도 대향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일단은 상기 연장부의 대향하는 양측면 사이구간에서 소정의 폭을 갖고 상기 연장부의 타단측으로 절개되되, 적어도 상기 샤프트가 배치된 곳까지 절개되어 샤프트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암은 대향하는 양면이 개구된 회동대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동대의 개구된 양면에 관통삽입된 길이조절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대는 내측면에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대의 대향하는 양면에 함입되어 형성된 한 쌍의 경로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안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받침부가 케이블을 지지하여 자체무게 등을 이유로 중력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암의 회동제한대가 연장부 및 제2 암과 이격되어 회동공간을 구비하여 케이블을 지지하는 받침부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케이블이 지지되는 받침구간을 외부환경에 맞추어 변경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케이블 또는 주변기기들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케이블을 안정적이고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접속수단으로 접속되는 다양한 케이블들을 복수 개의 받침공간을 통해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다양한 크기의 케이블들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아울러 케이블들이 꼬여서 발생될 수 있는 단락이나 합선 등의 위험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상기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a 내지 3b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고정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3c 내지 3d는 상기 제1 실시예가 활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고,
도 3e 내지 3h는 상기 제1 실시예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a는 상기 제3 실시예의 일부분을 확대한 평면도이고,
도 6b는 상기 제3 실시예의 다른 부분을 확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7는 상기 제3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지지수단에 대해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1000)에 따른 케이블 지지수단에 대한 사용상태도이고, 도 2는 상기 제1 실시예(1000)에 대한 사시도이다.
상기 제1 실시예(1000)는 도 1에서 나타나듯이 케이블 접속수단에 해당하는 케이블 덕트(100)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1100)와 케이블(200)을 파지할 수 있는 받침부(1200)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1100)는 상기 케이블 덕트(100)와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1110)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1120)와, 상기 연장부(1120)와 받침부(1200)를 연결하는 암부(11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암부(1130)를 매개로 고정부(1110) 및 받침부(1200)에 의해 케이블(200)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110)가 체결되는 대상물은 제1 실시예(1000)의 경우 케이블 덕트(100)로 한정하여 설명되나, 고정부(1110)의 체결대상물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약 본 발명인 케이블 지지수단이 체결되는 위치 부근에 단단하게 고정된 물체가 존재한다면, 상기 고정된 물체 역시 고정부가 체결되어 본 발명인 케이블 지지수단이 지지될 수도 있다. 다만, 본원에서는 본 발명인 케이블 지지수단에 대한 설명 편의상 고정부가 체결되는 대상으로 케이블 접속부근에 위치하는 케이블 덕트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하, 고정부가 체결되는 대상은 고정된 물체로 설명되고,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 고정된 물체는 하나의 예로서 케이블이 접속되는 브라켓으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 덕트가 될 수 있음을 밝힌다.
또한, 고정된 물체로부터 "연장된다"는 의미는 반드시 물체와 케이블이 연결되고 연장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물체측에 위치한 접속수단에 케이블이 연결되어 물체측으로부터 임의의 방향으로 케이블이 연장됨을 의미하고, 연장되는 케이블은 특별한 수단에 의해 지지되지 않아 자체하중으로 중력방향에 따라 처질 수 있다.
상기 고정부(1110)는 도 2에서 나타나듯이 긴 플레이트의 형상을 갖는 구성으로서, 양끝단에 형성된 볼트공을 통해 고정된 물체에 볼트가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다만, 고정부에 형성되는 볼트공의 개수나 위치는 반드시 제1 실시예와 같은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고정부(1110)의 하면은 도 3a에서 나타나듯이 일정부분이 함입되어 형성된 제1 장착부(1112)에 후술할 연장부(112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장착부(1112)는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대향하는 한 쌍의 걸림턱(1112a)을 포함하여 단면이 대략 'T'자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고, 삽입된 연장부(1120)의 단부는 상기 걸림턱(1112a)에 의해 고정된다. 아울러 연장부(1130)의 단부와 고정부(1110) 간의 견고한 결합을 위해 도 3b와 같이 양 구성은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제1 장착부(1112)는 암부(1130)가 자유롭게 장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분리된 암부(1130)에 다양한 형태의 고정부가 장착될 수 있어 여러 형태의 고정된 물체에 따라 고정부를 대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된 물체가 상당히 짧고 고정된 물체의 양측에 임의의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 제1 실시예(1000)와 같이 긴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부(1110)가 장착되는 것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기존에 체결된 고정부(1110)는 제1 장착부(1112)를 통해 볼트해제 및 슬라이딩 방식을 통해 분리된 후 짧은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부가 장착되어 고정된 물체에 안정적으로 고정 및 장착되어 받침부를 이용하여 케이블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 장착부(1112)에 체결되는 상기 연장부(1120)의 일단은 도 3a와 같이 돌출되되 대향하는 양측면이 내측으로 함입되어 종단면이 'T'자와 유사한 제2 장착부(1120a)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장착부(1120a)의 상단은 제1 장착부(1112)의 걸림턱(1112a)에 의해 장착 및 고정되어 연장부(1120)가 고정부(1110)에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장부(1120)는 도 3h에서 나타내듯이 일단에 후술할 회동부(1122)가 내재되고, 타단에 고정부(1110)가 체결된다. 상기 일단은 내재되는 회동부(1122)의 둥근 형태에 맞추어 대략 둥근 형상을 갖되, 회동부(1122) 구비에 따른 하중을 줄이고자 절개부(1120d)를 포함한다.
또한, 연장부(1120)의 일단은 후술할 회동부(1122)가 고정부(111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측을 향하여 돌출되되, 후술할 회동부(1122)의 내재를 고려하여 고정부(1110)가 체결되는 타단 대비 부피가 크다.
상기 절개부(1120d)는 도 3h와 같이 상기 연장부(1120)의 일단의 양측면 사이에 위치하여, 연장부(1120)의 일단은 마치 한 쌍의 원판이 대향하고 있는 듯한 형상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양측면은 회동부(1122)가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는 안착홈(1120b)을 포함하여 회동부(1122)가 안정적으로 연장부(1120)에 내재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안착홈(1120b)의 하면에 형성된 홀(1120c)로 샤프트(1124)가 관통되어 연장부(1120)와 제1 암(1134)의 회동이 가능하다.
상기 절개부(1120d)는 연장부(1120)의 일단에서 일정한 깊이까지 절개되고, 연장부(1120)의 타단은 수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된 평평한 면이 고정부(1110)의 밑면과 접촉되어 체결된다.
연장부(1120)의 일단에 절개부(1120d)가 포함되어 후술할 샤프트(1124)가 마찰없이 쉽게 연장부(1120)를 관통되어 조립될 수 있고, 조립된 샤프트(1124)는 용이하게 회동될 수 있다.
암부(1130)는 고정부(1110)에 체결되는 연장부(1120)와 상기 연장부(1120)와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제1 암(1134)과 상기 제1 암(1134)과 회동되도록 연결되는 제2 암(1136)을 포함한다.
제1암(1134)는 일단이 연장부(1120)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제1암(1134)의 타단은 제2암(1136)의 일단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암(1134)과 제2 암(1136)은 순차적으로 체결되어 개별적으로 회동할 수 있고, 제2 암(1136)은 회동되는 제1 암(1134)과 동시에 회동될 수도 있다.
제1 암(1134)은 고정된 연장부(1120)에 대하여 회전되는 범위가 제한되지 않아 제1 암(1134)의 일단이 고정부보다 높거나 낮도록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다.
제2 암(1136)은 받침부(1200)와 체결되는 구성으로서, 일단이 제1 암(1134)과 회동되도록 체결되며 타단이 받침부(1200)와 회동되도록 체결된다.
또한 제1 암(1134) 및 제2 암(1136)은 회전되는 범위가 제한되지 않도록 이웃하는 구성에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후술할 받침부(1200)는 고정부(1110)를 중심으로 다양한 위치 및 임의의 반경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암 내지 제2 암(1134, 1136)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형태의 구성으로서, 이웃하는 구성 간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받침부(1200)가 전방위로 위치할 수 있도록 보조하며, 제1 암(1134) 및 제2 암(1136)이 수평하게 회동되었을 때 케이블의 받침구간(L)이 길게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c와 같이 케이블 밑에 케이블 접촉으로 파손 위험이 있는 전자기기 등에 해당하는 구성(B)이 존재하여 케이블의 받침구간(L)이 길어야 하는 경우, 각각의 암들이 수평하게 회동되어 케이블의 받침구간(L)을 확장시켜 케이블을 지지함으로써 케이블이 구성(B)과 닿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d와 같이 고정된 물체의 한 예인 케이블 덕트(100)는 수평하게 위치하나 상기와 같은 구성(B)이 대향하도록 한 쌍이 설치되어 케이블 이동경로 상 장애가 되는 경우, 고정부(1110)는 수평한 케이블 덕트(100)에 체결되고, 연장부(1120)과 제1 암(1134) 간 회동되어 케이블(100)이 경사지도록 하여 케이블(100)이 구성(B)을 피할 수 있고, 대향하는 한 쌍의 구성(B) 사이를 케이블(100)이 닿지 않고 통과되도록 제1 암(1134)과 제2 암(1136) 간 회동하여 케이블(100)을 수평하게 가이드하고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암 내지 제2 암(1134, 1136)의 개별적인 회동을 통해 케이블의 연결상태뿐만 아니라 외부에 존재할 수 있는 구성들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본 발명인 케이블 지지수단이 형태가 변화되어 케이블 지지를 통한 처짐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암(1134)은 도 2에서 나타나듯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대향하는 부재(1134a)와 상기 부재(1134a)를 가로질러 고정시키는 한 쌍의 회동제한대(1134b)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부재(1134a)는 일단의 내측면에 연장부(1120)가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고 타단의 내측면에 제2 암(1136)이 회동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회동제한대(1134b)가 연장부(1120)와 제2 암(1136)과 이격되어 제1 내지 2 회동공간(S1, S2)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암(1134)은 회동제한대(1134b)가 연장부(1120) 및 제2 암(1136)과 이격되어 형성되어 회동공간을 형성시킴으로써 연장부(1120)과 제2 암(1136)이 제한없이 넓은 회동범위를 가질 수 있다.
즉, 연장부(1120) 및 제2 암(1136)은 제1 암(1134)의 내측에 위치하고 회동제한대(1134b)가 이격되어 구비됨으로써, 연장부(1120) 및 제2 암(1136)이 회동되는 중 제1 암(1134)과 충돌없이 자유롭게 회동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케이블 지지수단이 케이블을 지지하는 중, 외력 등에 의한 제1 암(1134) 및 제2 암(1136)의 지나친 회동은 받침부(1200)와 부착되는 고정된 물체와의 충돌이 있을 수 있고, 특히 제2 암(1136)의 지나친 회동은 케이블이 과도하게 휘어짐으로써 케이블 파손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암(1134) 및 제2 암(1136)의 과도한 회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부재(1134a)를 가로질러 고정시키는 한 쌍의 회동제한대(1134b)가 구비된다. 즉, 연장부(1120) 및 제2 암(1136)과 이격된 회동제한대(1134b)는 제1 암(1134) 및 제2 암(1136)의 과도한 회동을 제한하여 고정된 물체와의 충돌이나 케이블의 과도한 휘어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암(1134)은 한 쌍의 부재(1134a)와 회동제한대(1134b)가 연결되어 형성됨으로써 텅 빈 내부 공간을 구비하여 자체 경량화를 이룰 수 있다. 받침부(1200)는 암부(1130)의 자체무게로 인해 중력방향으로 하강되어 케이블 처짐을 제대로 방지할 수 없을 수 있으나, 고정부(1110)로부터 이격된 받침부(1200)는 제1 암(1134)의 경량화로 인해 위치변동없이 안정적으로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암(1134)의 회동을 위해 도 3e에서 나타나듯이 상기 연장부(1120)는 일단에 회동부(1122)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부(1122)는 연장부(1120)의 일단에 내재되는 외륜(1122a)과 내륜(1122b) 그리고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볼(1122c)을 포함한다.
상기 외륜(1122a)은 내륜(1122b)이 내재될 수 있는 공간을 형상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3e와 같이 고리형태를 갖는다. 상기 내륜(1122b)은 볼(1122c)에 의한 회전저항을 샤프트(1124)에 전달하여 제1 암(1134)의 자유로운 회전을 제한하는 구성으로서, 외륜(1122a)의 형태와 유사하다. 상기 볼(1122c)은 내륜(1122b)을 지지하며 내륜(1122b)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나, 내륜(1122b)의 지나친 회전을 접촉점에서의 마찰을 통해 제한하는 구성으로서, 도 3e와 같이 구형태를 갖는다.
상기 외륜(1122a)은 도 3f에서 나타나듯이 내주면에 함몰된 경로(P1)를 포함하고, 상기 내륜(1122b)은 외주면에 함몰된 경로(P2)를 포함한다. 외륜(1122a)와 내륜(1122b) 사이에 끼워진 볼(1122c)은 내륜(1122b)의 회전을 통해 자전하며 상기 경로(P1, P2)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내륜(1122b)의 외주면상 경로(P2)를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볼(1122c)은 내륜(1122b)과 외륜(1122a)을 이격시키며 내륜(1122b)이 외륜(1122a)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볼(1122c)의 형태특성상 내륜(1122b)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여 연장부(1120)와 제1 암(1134)의 회동을 구현시키나, 내륜(1122b)과 외륜(1122a) 사이에 끼워져 내륜(1122b)의 외주면을 가압하는 볼(1122c)은 접촉점에서의 마찰력으로 인해 제1 암(1134)의 자유로운 회동을 방해한다. 즉, 제1 암(1134)의 회동이 쉽지 않게 하여 받침부(1200)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 또는 제2 암(1136) 및 받침부(1200)의 하중이 상당하더라도, 하중에 의한 제1 암(1134)의 회동을 방지하여 본 발명의 케이블 지지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120)와 제1 암(1134)은 포개져 내륜(1122b)과 제1 암(1134)을 관통하는 샤프트(1124)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된다.
상기 샤프트(1124)는 도 3e에서 나타나듯이 일방향으로 연장된 원통형을 갖는 구성으로서, 체결된 샤프트(1124)는 일부분이 도 3a와 같이 제1 암(1134)의 외측으로 도출된다. 샤프트(1124)의 도출된 부분은 도 3e와 같이 외주면을 따라 함입되어 분리방지대(1123)가 안착될 수 있는 함몰부(1124a)를 포함한다.
상기 분리방지대(1123)는 샤프트(1124)가 내륜(1122b)과 제1 암(113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3g에서 나타나듯이 일부분이 절개되어 개방된 부분을 포함하는 고리형태이다. 분리방지대(1123)는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적어도 대향하는 한 쌍의 돌출부(1123a)를 포함하여, 샤프트(1124)가 분리방지대(1123)의 내부공간에 강하게 끼워질 수 있고 분리방지대(1123)가 샤프트(1124)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된다.
샤프트(1124)에 끼워진 분리방지대(1123)는 제1 암(1134)의 측면과 대향하여 샤프트(1124)가 좌우로 이동되더라도 분리방지대(1123)는 제1 암(1134)의 측면과 접촉되어 샤프트(1124)의 이동에 저항을 발생시켜 샤프트(1124)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샤프트(1124)에 강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분리방지대(1123)는 함몰부(1124a)에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되므로, 분리방지대(1123)는 강한 외력에 의한 샤프트(1124)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2 암(1136)은 제1 암(1134)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대향하는 부재와 상기 부재와 격자로 배치되는 다른 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암(1134)의 회동공간과 유사하게 제2 암(1136)의 양측단에 공간이 내재된다.
제2 암(1136)의 양측단은 제1 암(1134)에 내재된 회동부와 동일한 구성이 내재되어, 하나의 회동부는 샤프트를 통해 제1 암(1134)의 일단과 회동가능하게 체결되고 다른 하나의 회동부는 샤프트를 통해 받침부(1200)와 회동가능하게 체결된다.
받침부는 케이블을 지지하여 케이블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제1 실시예(1000)에서 받침부(1200)는 케이블(100)이 관통되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구비되어 적어도 양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상기 받침부(1200)는 일단이 제2 암(1136)과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케이블이 고정부(1110)측으로부터 연장되어 뻗어가는 방향을 섬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받침부(1200)는 하면에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대향하는 한 쌍의 체결단(1200a)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단(1200a)의 내측면이 제2 암(1136)의 일단에 내재된 회동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고, 샤프트가 체결단(1200a) 및 회동부를 관통하여 제2 암(1136) 및 받침부(1200)가 회동가능하게 체결된다.
도 4는 본 발명인 케이블 지지수단에 대한 제2 실시예(2000)를 도시하는 사시도로서, 상기 제2 실시예(200)는 고정부(2110)와 연장부(2120)와 암부(2130)를 포함하는 연결부(2100)와 상기 연결부(2100)에 회동될 수 있도록 체결되는 받침부(2200)를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2200)는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4에서 나타나듯이 케이블이 파지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공간을 포함한다.
상기 받침부(2200)는 도 4와 같이 상부에 슬리빙 케이블과 같이 임의의 너비 이상인 케이블을 파지할 수 있도록 일방향으로 공간이 연장되는 제1 받침공간(2202)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2200)는 하부에 임의의 너비 이하인 케이블을 파지할 수 있도록 제2 받침공간(2204) 및 제3 받침공간(2206)을 포함한다.
상기 제2 받침공간(2204)은 도 4를 기준으로 받침부(2200)의 하단 좌측에 위치하여 가닥 단위로 형성되는 일반적인 케이블을 파지할 수 있고, 복수 개의 케이블을 파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제2 받침공간(2204)이 연속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케이블이 복수 개의 제2 받침공간(2204)에 개별적으로 파지되고 케이블들이 이격됨으로써, 케이블 간 꼬임현상이나 합선 내지 단락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받침공간(2206)은 도 4를 기준으로 받침부(2200)의 하단 우측에 위치하여, 임의의 너비 이하인 케이블이나 제1 받침공간(2202)에 파지되는 케이블보다 폭이 작은 형태의 케이블을 파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너비의 케이블들이 적절한 형태의 받침공간에 의해 파지되어 받침공간과 지나치게 이격되어 흔들림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아울러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들이 접속되는 지점에서 상기 받침부(2200)는 복수 개의 받침공간을 통해 케이블들을 적당하게 이격시켜 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이웃하는 케이블의 처짐영향을 받지 않아 케이블 접속영역부근에서 케이블이 처지는 현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3000)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상기 제3 실시예(3000)의 연결부(3100)는 고정부(3110)와 연장부(3120)와 케이블의 받침구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길이조절이 가능한 암부(31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암부(3130)의 제2 암(3136)은 도 5와 같이 제1 암(3134)과 회동될 수 있는 회동대(3136a)와 상기 회동대(3136a)로부터 길이조절이 가능한 길이조절대(3136c)를 포함한다.
또한 다양한 크기의 케이블을 따라 받침구간을 조절하여 케이블 지지수단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비하기 위해 고정된 물체에 강하게 결합될 수 있는 고정부(311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3110)는 도 5와 같이 양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대향하는 보강대(3114)를 포함한다. 따라서 고정부는 고정된 물체와 보강대와의 추가적인 결합을 통해 견고하게 상기 물체에 부착 및 고정될 수 있어, 받침부가 안정적으로 무거운 케이블을 지지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상기 보강대(3114)는 고정된 물체와 추가적으로 체결될 수 있는 체결구(3114a)를 적어도 한 개 이상 포함한다. 상기 체결구(314a)는 도 6a에서 나타나듯이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개구로서 슬릿 형상과 유사하다. 따라서 폭 대비 길이가 긴 체결구로 인해 보강대(3114)는 고정된 물체의 다양한 크기에도 불구하고 용이하게 고정된 물체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고정된 물체에 내재된 체결구가 물체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나, 보강대(3114)는 개구된 부위가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체결구(3114a)로 인해 쉽게 고정된 물체와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체결구의 형태는 슬릿 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이격되어 연속하는 복수 개의 볼트공과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회동대(3136a)는 적어도 양면이 개구되어 내부공간이 구비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구성으로서, 회동대는 도 6b와 같이 내부공간측으로 돌출된 적어도 한 쌍의 대향하는 가이드 돌기(3136b)를 포함한다.
상기 길이조절대(3136c)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육면체의 형태를 갖는 구성으로서, 상기 회동대(3136a)에 관통삽입되어 받침부(3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길이조절대(3136c)는 상기 가이드 돌기(3136b)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대향하는 경로(3136d)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대(3136a)에 삽입된 길이조절대(3136c)는 회동대(3136a)를 관통하는 정도를 조절하여 받침구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길이조절대(3136c)는 가이드 돌기(3136b)와 경로(3136d)가 맞물려 안정적으로 이동되어 받침부(3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길이조절대(3136c)는 상기 제3 실시예(3000)에서 슬라이딩 방식으로 회동대(3136a)의 내부공간을 자유롭게 이동한다. 용이한 길이조절을 위해 길이조절대(3136c)는 종단면적이 회동대(3136a)의 내부공간에 대한 종단면적보다 조금 작아 회동대(3136a)와 길이조절대(3136c)의 분리가 쉬울 수 있다. 하지만, 종단면적이 유사한 가이드 돌기(3136b)와 경로(3136d)가 맞물려 길이조절대(3136c)는 회동대(3136a)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으며 전진과 후진을 할 수 있어, 제2 암(3136)은 자유롭고 안정적으로 받침부(320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3 실시예(3000)의 제2 암(3136)은 도 7과 같이 길이조절을 통하여 쉽게 케이블의 받침구간(L)을 조절하여 외부환경에 쉽게 대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되는 케이블의 접속영역 부근이 도 7과 같이 케이블(200)의 상하측에 인접하는 복수 개의 구성(B)이 존재하고 외벽(W)이 존재하여 케이블 지지수단이 위치하는 공간의 상하뿐만 아니라 좌우공간이 비좁을 수 있다. 구성(B)는 전자기기 등과 같이 케이블(100)의 접촉으로 파손위험이 존재할 수 있는 구성이고, 외벽(W)은 케이블(100)을 내장하는 하우징과 같은 부품의 구성이다. 케이블 덕트(100)로부터 연장되어 외벽(W)의 구멍을 통해 케이블(100)이 외부로 연장될 때, 제3 실시예(3000)는 길이조절대(3136c)를 통해 받침구간(L)을 조절하여 케이블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암(3134)과 제2 암(3136)과의 회동없이 받침부(3200)의 위치가 케이블의 접속영역측으로 변경되어 비좁은 공간에서 케이블(100)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전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서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송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케이블 덕트 : 100
케이블 : 200
제1 실시예 : 1000
연결부 : 1100, 2100, 3100
고정부 : 1110, 2110, 3110
제1 장착부 : 1112
걸림턱 : 1112a
암부 : 1130, 2130, 3130
연장부 : 1120, 2120, 3120
제2 장착부 : 1120a
안착홈 : 1120b
홀 : 1120c
절개부 : 1120d
회동부 : 1122
외륜 : 1122a
내륜 : 1122b
볼 : 1122c
경로 : P1. P2
분리방지대 : 1123
돌출부 : 1123a
샤프트 : 1124
함몰부 : 1124a
제1 암 : 1134, 3134
부재 : 1134a
회동제한대 : 1134b
제1 회동공간 : S1
제2 회동공간 : S2
제2 암 : 1136, 3136
받침부 : 1200, 2200, 3200
체결단 : 1200a
제2 실시예 : 2000
제1 받침공간 : 2202
제2 받침공간 : 2204
제3 받침공간 : 2206
제3 실시예 : 3000
보강대 : 3114
체결구 : 3114a
회동대 : 3136a
가이드 돌기 : 3136b
길이조절대 : 3136c
경로 : 3136d
구성 : B
받침구간 : L
외벽 : W

Claims (6)

  1. 물체로부터 연장되는 케이블을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물체와 결합하는 고정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는 연장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연장부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암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부는 순차적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제1 암 및 제2 암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암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대향하는 한 쌍의 부재와 상기 부재의 양끝단 사이를 가로지르는 한 개 이상의 회동제한대와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부재 및 회동제한대에 둘러싸여 형성되되 일측면이 개방된 제1 회동공간 및 제2 회동공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동공간의 폭은 상기 제2 암의 폭보다 크고, 상기 제2 회동공간에 상기 제2 암의 일단이 배치되고,
    상기 부재 및 제2 암의 일단과 상기 제2 회동공간을 관통하는 샤프트를 회전축으로 하여 상기 제1 암 및 제2 암이 회동되고,
    상기 샤프트의 상기 제1 암의 외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함몰부; 및
    상기 샤프트의 함몰부에 안착될 수 있도록 만곡되어 형성되는 분리방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분리방지대는 내측을 향하여 돌출된 적어도 대향하는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지지수단.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일단은 하측을 향하여 돌출되되, 상기 연장부의 측면은 함입되어 형성된 안착홈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은 상기 연장부의 대향하는 양측면을 관통하는 방향을 따라 천공되어 형성된 홀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홈에 상기 제1 암과 회동가능하게 하는 회동부가 배치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연장부의 측면에 내재되는 외륜과 상기 외륜에 이격되어 내재되는 내륜과 상기 외륜과 내륜 사이에 배치되는 한 개 이상의 볼을 포함하고,
    샤프트가 상기 내륜과 홀을 관통하여 상기 연장부와 제1 암이 결합되는, 케이블 지지수단.
  4. 삭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의 일단은 상기 연장부의 대향하는 양측면 사이구간에서 소정의 폭을 갖고 상기 연장부의 타단측으로 절개되되, 적어도 상기 샤프트가 배치된 곳까지 절개되어 샤프트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절개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지지수단.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암은 대향하는 양면이 개구된 회동대와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회동대의 개구된 양면에 관통삽입된 길이조절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대는 내측면에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대의 대향하는 양면에 함입되어 형성된 한 쌍의 경로에 상기 가이드 돌기가 안착되는, 케이블 지지수단.

KR1020190130021A 2019-10-18 2019-10-18 케이블 지지수단 KR102354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021A KR102354800B1 (ko) 2019-10-18 2019-10-18 케이블 지지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021A KR102354800B1 (ko) 2019-10-18 2019-10-18 케이블 지지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379A KR20210046379A (ko) 2021-04-28
KR102354800B1 true KR102354800B1 (ko) 2022-01-24

Family

ID=75720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021A KR102354800B1 (ko) 2019-10-18 2019-10-18 케이블 지지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8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120B1 (ko) * 2016-12-30 2017-05-23 (주) 세화 단지내 전신주 전기 케이블 지지장치
KR101933909B1 (ko) 2017-04-05 2018-12-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케이블 그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1332B1 (ko) * 2004-01-05 2006-05-25 (주)한림종합건축사사무소 다기능 슬라이드형 전선 고정장치
FR2971099B1 (fr) * 2011-01-31 2013-03-01 Icm Group Eclisse de raccordement pour troncons de chemin de cables en fils
KR200465244Y1 (ko) * 2011-11-07 2013-02-07 송영우 로울러의 외부 설치가 용이한 구조를 갖는 케이블 베어
JP6091690B1 (ja) * 2016-08-08 2017-03-08 株式会社ミサゴ技研 議会運営支援システム及び議会運営支援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9120B1 (ko) * 2016-12-30 2017-05-23 (주) 세화 단지내 전신주 전기 케이블 지지장치
KR101933909B1 (ko) 2017-04-05 2018-12-31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케이블 그립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379A (ko)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08888B1 (en) Energy conducting guide chain
JP2007110851A (ja) ケーブルの支持装置
JP5564185B2 (ja) コンプライアントジョイント
JP6317291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固定部材
CN105082122A (zh) 吊挂式机器人
CN106715813B (zh) 用于远程通信面板的门铰链机构
TW201944875A (zh) 機架系統及其纜線支撐總成
KR102354800B1 (ko) 케이블 지지수단
CN104104033A (zh) 缆线类保护引导装置
US20180219447A1 (en) Actuator module
JP7231167B2 (ja) 安全器
KR101311219B1 (ko) 멀티탭
KR20140001501U (ko) 전선 포설 안내장치
KR101777266B1 (ko) 케이블 보호 장치
CN108574249A (zh) 移动系统
JP2016088633A (ja) 乗客コンベア装置
KR102008170B1 (ko)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JP2018041654A (ja) 端子台可働装置および配電盤
WO2011024493A1 (ja) 導電路の屈曲動作ガイド部材及びスライドドア用導電路の屈曲動作ガイド装置
US11504861B2 (en) Gripping mechanism and assembly apparatus
KR101450092B1 (ko) 탈선 방지를 위한 보조 롤러를 구비한 와이어 이동형 로봇
CA2978294A1 (en) Mechanical link
KR101478084B1 (ko) 프레스용 다관절 판넬 이송기의 케이블 지지장치
KR20200009404A (ko) 다관절 지지부재
JP4825127B2 (ja) 吊り戸用スライドレ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