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465B1 -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 - Google Patents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465B1
KR102354465B1 KR1020210015993A KR20210015993A KR102354465B1 KR 102354465 B1 KR102354465 B1 KR 102354465B1 KR 1020210015993 A KR1020210015993 A KR 1020210015993A KR 20210015993 A KR20210015993 A KR 20210015993A KR 102354465 B1 KR102354465 B1 KR 102354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horizontal
vertical
vertical part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금옥
Original Assignee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5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44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4Gymnasiums; Other sporting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12Compressable seals of solid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12Tribunes, grandstands or terraces for spect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는, 다양한 높이를 갖고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PC기둥; 상기 복수의 PC기둥 사이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PC레이커보; 상기 PC레이커보의 계단형 상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PC스탠드; 및 상기 PC스탠드의 상면에 장착되는 PC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PC스탠드는 제1수직부, 제1수평부, 제2수직부, 제2수평부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PC레이커보의 수평면과 상기 제1수직부는 결합철물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PC스탠드의 제2수평부는 지지철물에 의해 그 아래에 있는 PC스탠드의 제1수직부 상면에 지지된다.

Description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STADIUM STAND CONSTRU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쉽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고,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에 관한 것이다.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 현장에서 거푸집을 제작하여 타설하는 RC(강화 콘크리트: Reinforced Concrete)공법과, 공장에서 제작 및 운반하여 현장에서 조립하고 이음부를 타설 혹은 적절한 조치를 하여 완성하는 PC(프리캐스트 콘크리트: Precast Concrete)공법으로 나눌 수 있다.
RC공법에 비해 PC공법은 운반, 장비 인양을 고려하여 구조물을 더욱 잘게 분할하여 시공하므로 상대적으로 이음부위가 많을 수밖에 없고 이음부위는 계획적인 설계와 완벽한 시공을 하지 않으면 누수 등에 의해 많은 피해를 볼 수밖에 없다.
일반적으로 누수의 원인을 살펴보면 물은 항상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흘러가는 중력에 의한 작용과 외부의 강한 압력에 의해 물이 침투하는 작용, 가는 틈 상호간에 인력이 작용하여 물이 침투하는 모세관 현상에 따른 누수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특히 관람을 위한 구조물은 가시선을 위해 계단형태의 바닥을 형성하고, 이러한 바닥을 지지해주는 보(Beam)도 계단 형태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물은 현장 시공이 어려운 특성상 거의 대부분 PC공법을 적용하여 시공하고 있다. 이에 따라 방수, 배수 계획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많은 누수 하자로 인해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또한, 요즘은 관람을 위한 경기장 구조물 시공의 경제성 확보를 위해 관람석 하부에 매장, 전시, 사무 등의 용도로 많이 사용하는 추세라서 누수 방지는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20153호
본 발명은 쉽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고,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는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는, 다양한 높이를 갖고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PC기둥; 상기 복수의 PC기둥 사이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PC레이커보; 상기 PC레이커보의 계단형 상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PC스탠드; 및 상기 PC스탠드의 상면에 장착되는 PC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PC스탠드는 제1수직부, 제1수평부, 제2수직부, 제2수평부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PC레이커보의 수평면과 상기 제1수직부는 결합철물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PC스탠드의 제2수평부는 지지철물에 의해 그 아래에 있는 PC스탠드의 제1수직부 상면에 지지된다.
상기 제1수직부 및 제2수직부는 상기 제1수평부 및 제2수평부보다 더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수평부의 하면 전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물끊기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평부 및 제2수평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수직부 및 제2수직부와의 사이에 전방으로 경사진 모접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부 및 제2수평부의 상면은 상기 PC스탠드의 폭방향 중심부에서 좌우 가장자리로 갈수록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부 및 제2수직부의 하부 내부에는 폭방향으로 복수의 강연선이 매립되어 인장됨으로써, 상기 PC스탠드 상면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캠버가 형성되어 자연 배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PC레이커보는 계단형 상면 중앙을 따라 연결되는 배수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C레이커보의 배수홈 양측에는 한 쌍의 제1물막이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PC스탠드의 제2수평부의 하면과 그 아래의 PC스탠드의 제1수직부의 상면 사이에는 폭방향으로 제2물막이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PC스탠드의 물끊기턱의 하면과 그 아래의 PC스탠드의 제1수직부의 상면 사이에는 폭방향으로 제3물막이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물막이재의 전면에는 상기 PC스탠드의 수축 또는 팽창시 대응 가능한 탄성이 좋은 실란트로 코킹되는 코킹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PC스텝은 직육면체 형태에 가까운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단에 매립되어 인양고리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재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배수를 유도하는 배수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철물은 일측면에서 볼 때 "ㄱ"자 모양의 브라켓과, 상기 PC스탠드의 제1수직부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에 체결되는 체결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철물은 상기 브라켓의 수평부에 결합되고 상기 PC레이커보에 매립되는 스터드와, 상기 브라켓의 수직부와 상기 체결볼트 사이에 삽입되는 와셔와, 상기 수직부와 상기 와셔 사이에 한 방향으로만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철물은 상기 PC스탠드의 폭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철물의 수직부에 슬롯홀이 형성되고, 상기 PC스탠드의 폭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결합철물의 수직부에 오버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PC스탠드의 폭방향으로 인접한 틈에는 PC스탠드 설치 후에 제4물막이재가 압착되도록 시공, 장착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에 의하면, 쉽고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고,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PC레이커보와 PC스탠드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길이방향 일부 단면도이다.
도 3은 PC스탠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PC스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PC레이커보와 PC스탠드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폭방향 일부 단면도이다.
도 6은 PC레이커보와 PC스탠드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길이방향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결합철물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PC스탠드와 PC스텝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PC레이커보와 PC스탠드 사이에 배치되는 물막이재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PC레이커보와 PC스탠드에 배치되는 물막이재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두 PC스탠드 사이의 틈에 배치되는 제4물막이재를 나타내는 폭방향 단면도이다.
도 12는 PC레이커보 상의 유수 흐름을 나타내는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3은 PC레이커보의 배수홈 하단에 배수관이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PC레이커보와 PC스탠드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길이방향 일부 단면도이며, 도 3은 PC스탠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PC스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는, 다양한 높이를 갖고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PC기둥(100), 복수의 PC기둥 사이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PC레이커보(200), PC레이커보의 계단형 상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PC스탠드(300), PC스탠드의 상면에 장착되는 PC스텝(60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PC기둥(100)은 다양한 높이를 가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제품들이 지상에 세워져서 그 위에 장착되는 PC레이커보(200)와 PC스탠드(300)를 지지한다. PC기둥(100)의 하단은 지중에 매립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PC기둥(100)은 상단에 수평 단면적이 크게 형성된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PC기둥(100)의 플랜지부는 좌우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경기장의 외측에 배치되는 PC기둥(120)은 다른 것보다 훨씬 크고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대형 PC기둥(120)의 위에는 지붕 구조물(50)이 설치될 수 있다. 대형 PC기둥(120)은 상부 측면에 PC레이커보(20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플랜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PC레이커보(200)의 하단부는 PC기둥(100)의 플랜지부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PC레이커보(200)는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진 두 PC기둥(100) 사이에 경사지게 장착될 수 있다. 경기장의 크기에 따라 2개 이상의 PC레이커보(200)가 설치될 수 있다. 하측의 PC레이커보(200)는 그 길이 또는 형태가 상측의 PC레이커보(200)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측의 PC레이커보(200)는 수평부가 길게 형성되고, 수평부 중간부가 PC기둥(130)에 지지될 수 있고, 하측의 PC레이커보(200)의 하단부는 PC기둥(140)에 지지될 수 있다. PC기둥(130)과 PC기둥(140)은 각 플랜지부가 비대칭되게 형성되고, 그 수평 단면적이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PC레이커보(200)는 전체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면이 계단 형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PC스탠드(300)는 PC레이커보(200)의 계단형 상면에 복수의 결합철물에 의해 결합되어 장착될 수 있다.
PC기둥(100)의 상면에는 횡방향보(500)가 횡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횡방향보(500)는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두 PC기둥(100)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PC레이커보(200) 상에는 PC기둥(100)의 위에 PC슬래브(400)가 횡방향으로 길게 장착될 수 있다. PC슬래브(400)는 전체적으로 넓은 평판 형태를 가지고 있고, 복수의 PC스탠드(300)의 사이 또는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스탠드(300)의 상면에는 PC스텝(600)이 각각 장착될 수 있다. 복수의 PC스탠드(300)도 계단 형태를 구성하도록 배치되지만 그 높이차가 크기 때문에, 각 계단의 중간부 모서리 내측에 각각 PC스텝(600)이 장착되어 사람이 오르내리기 편하도록 만들 수 있다.
도 3(a)는 PC스탠드(300)의 상면도이고, 도 3(b)는 PC스탠드(300)의 정면도이며, 도 3(c)는 PC스탠드(300)의 좌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스탠드(300)는 제1수직부(310), 제1수평부(320), 제2수직부(330), 제2수평부(340)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PC스탠드(300)는 측면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ㄴ"자 형태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이 일체로 연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수직부(310) 및 제2수직부(330)는 제1수평부(320) 및 제2수평부(340)보다 더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수직부가 수평부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제1수직부(310)가 PC레이커보(2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수평부(340) 하단이 아래의 제1수직부(310) 상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 4(a)는 PC스텝(600)의 입면도이고, 도 4(b)는 PC스텝(600)의 평면도이며, 도 4(c)는 PC스텝(600)의 A-A 좌측단면도이고, 도 4(d)는 PC스텝(600)의 우측면도이다.
PC스텝(600)은 직육면체 형태에 가까운 본체부(610)와, 본체부의 양측단에 매립되어 인양고리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재(650)와, 본체부의 하면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배수를 유도하는 배수홈(6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6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전방 내부에 복수의 철근(620)이 배열되어 매립될 수 있다. 배수홈(630)은 평면상에서 본체부(610)의 하면 중앙부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650)는 본체부의 양측단에 한 쌍이 마주보도록 매립되어 인양고리를 체결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레이커보(200)의 수평면과 PC스탠드(300)의 제1수직부(310)는 결합철물(250)에 의해 결합되며, PC스탠드(300)의 제2수평부(340)는 지지철물(350)에 의해 그 아래에 있는 PC스탠드(300)의 제1수직부(310)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PC스탠드(300)의 제1수평부(320) 및 제2수평부(340)는 PC레이커보(200)의 계단 형태의 상면에 안착되어 상하방향으로 지지되고, PC스탠드(300)의 제1수직부(310)가 결합철물(250)에 의해 PC레이커보(200)의 수평면에 결합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평부(320) 및 제2수평부(340)의 상면(322)에는 제1수직부(310) 및 제2수직부(330)와의 사이에 전방으로 경사진 모접기부(324)가 형성되고, 제1수평부(320) 및 제2수평부(340)의 상면(322)은 PC스탠드(300)의 폭방향 중심부에서 좌우 가장자리로 갈수록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각 수직부와 수평부의 내측 모서리부에는 수평면에 대해 10~20도의 경사각을 가진 모접기부(324)가 형성되고, 각 수평부의 상면에는 중심부가 높고 좌우측 단부로 갈수록 낮아지도록 완만하게 형성된 캠버부(32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PC스탠드(300)의 각 수평부 상면으로 흐르는 물은 중력에 의해 각 수평부의 전방 및 좌우로 원활하게 흘러내릴 수 있다. 이때, PC스텝(600)의 하면도 모접기부(324) 및 캠버부(326)의 형상에 대응하여 경사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PC레이커보와 PC스탠드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폭방향 일부 단면도이고, 도 6은 PC레이커보와 PC스탠드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길이방향 일부 단면도이며, 도 7은 결합철물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PC스탠드와 PC스텝의 결합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PC레이커보와 PC스탠드 사이에 배치되는 물막이재들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PC레이커보와 PC스탠드에 배치되는 물막이재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두 PC스탠드 사이의 틈에 배치되는 제4물막이재를 나타내는 폭방향 단면도이고, 도 12는 PC레이커보 상의 유수 흐름을 나타내는 길이방향 단면도이며, 도 13은 PC레이커보의 배수홈 하단에 배수관이 연결된 것을 나타내는 일부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스텝(600)은 PC스탠드(300)의 수직면과 수평면에 장착될 때, 접착제를 도포하여 부착하는 접착부(660)와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고정하는 타설부(67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부(660)에는 에폭시접착제와 같은 접착제를 타원 내지 직사각형의 양단부가 라운드진 형태로 도포할 수 있다. 타설부(670)에는 타원 내지 직사각형의 양단부가 라운드진 형태의 홈이 PC스탠드(300)의 수평면 또는 PC스텝(600)의 하면에 미리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스탠드(300)의 제2수평부(340)의 하면 전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물끊기턱(34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물끊기턱(342)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PC스탠드(300)의 제2수평부(340)의 상면을 따라 전방으로 흘러내리는 물이 제2수평부(340)의 하면 내측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PC스탠드(300)의 물끊기턱(342)의 하면과 그 아래의 PC스탠드(300)의 제1수직부(310)의 상면 사이에는 폭방향으로 제3물막이재(375)가 배치될 수 있다. 제1수직부(310)의 상면은 후반부보다 전반부가 낮아져서 단차지게 형성되고, 물끊기턱(342)의 하면은 제1수직부(310)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물끊기턱(342)의 하면과 제1수직부(310)의 상면 사이에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의 원형관 형태를 가진 제3물막이재(375)가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압착될 수 있다. 이 제3물막이재(375)에 의해 물이 물끊기턱(342)의 하면과 제1수직부(310)의 상면 사이의 틈으로 흘러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제3물막이재(375)의 전면에는 실란트로 코킹되는 코킹부(376)를 구비할 수 있다. 제1수직부(310) 위에 제3물막이재(375) 등을 배치하고 제2수평부(340)를 장착한 다음 제3물막이재(375) 전면에 실란트(Sealant)를 코킹(Caulking)함으로써 코킹부(376)를 형성할 수 있다. 실란트는 PC스탠드의 수축 또는 팽창시 대응할 수 있도록 탄성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코킹부(376)에 의해 물끊기턱(342)의 하면과 제1수직부(310)의 상면 사이의 틈을 완전히 밀폐할 수 있다.
도 10에 일부 나타낸 바와 같이, PC스탠드(300)의 제1수직부(310) 및 제2수직부(330)의 하부 내부에는 폭방향으로 복수의 강연선(390)이 매립되어 인장될 수 있다. 강연선(390)은 PC스탠드(300)의 제1수직부(310) 및 제2수직부(330)의 하부 내부에 2개씩 배치된 것이 도시되어 있으나, 제1수평부(320) 및 제2수평부(340)의 내부에 복수의 강연선(390)이 매립될 수도 있다. 복수의 강연선(390)이 PC스탠드(300)의 내부에 매립되어 인장됨으로써, PC스탠드(300)를 보강할 뿐만 아니라 상기한 수평부의 상면(322) 캠버부(326)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PC스탠드(300)의 내부에 매립되어 인장되는 복수의 강연선(390)에 의해 PC스탠드(300) 상면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캠버가 형성되어 자연 배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3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PC레이커보(200)는 계단형 상면 중앙을 따라 연결되는 배수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PC레이커보(200)의 계단형 상면 좌우에는 한 쌍의 PC스탠드(300)가 장착되는데, 두 PC스탠드(300) 사이의 틈으로 흘러내리는 물이 배수홈(220)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다.
도 2, 도 9, 도 10,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레이커보(200)의 배수홈(220) 양측에는 한 쌍의 제1물막이재(360)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물막이재(360)는 그 단면이 Ω 형상으로 형성되고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물막이재(360)는 PC스탠드(300)에 의해 압착되어 PC스탠드(300)와 PC레이커보(200)의 배수홈(220) 양측 모서리 상면 사이의 틈을 밀폐할 수 있다. 그래서, 배수홈(220) 내부의 물이 PC스탠드(300)와 PC레이커보(200) 사이의 틈으로 흘러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2, 도 5, 도 6,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스탠드(300)의 제2수평부(340)의 하면과 그 아래의 PC스탠드(300)의 제1수직부(310)의 상면 사이에는 폭방향으로 제2물막이재(37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물막이재(370)는 제2수평부(340)의 하면과 제1수직부(310)의 상면 사이에 폭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압착되고, 그 단면이 Ω 형태의 탄성 재질 가스켓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제2물막이재(370)에 의해 배수홈(220) 주위의 물이 제2수평부(340)의 하면과 제1수직부(310)의 상면 사이의 틈으로 흘러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PC스탠드(300)의 수평부 상면에서 수직부로 전후방향으로 흘러내리는 물은 중력에 의해 그 아래의 수평부로 자연적으로 배수될 수 있다. 그리고, PC스탠드(300)의 수평부 상면 중심부에서 좌우 양측으로(폭방향으로) 흘러내리는 물은 두 PC스탠드(300) 사이의 틈을 통해 PC레이커보(200)에 형성된 배수홈(220)으로 인공 배수를 유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철물(350)은 PC스탠드(300)를 제작할 때 제2수평부(340)의 하면에서 위로 매립되는 체결부재(352)와, 이 체결부재(352)의 내주면 나사부에 체결되는 지지볼트(354)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볼트(354)가 체결부재(352)에 체결되는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제2수평부(340)가 제1수직부(310)의 상면에 소정 높이로 지지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철물(250)은 일측면에서 볼 때 "ㄱ"자 모양의 브라켓(251)과, PC스탠드(300)의 제1수직부(310)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체결부재(255)와, 체결부재에 체결되는 체결볼트(25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레이커보(200)의 계단 형태의 상면 내부에는 스터드(252)가 매립될 수 있다. 브라켓(251)은 그 종단면이 수평부와 수직부가 일체로 연결되어 "ㄱ"자 형태를 구성하고, 수평부가 스터드(252)에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브라켓(251)과의 용접을 위해 스터드(252)의 외측 단부에는 평판 형태의 머리부가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체결부재(255)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수직부(310)에 수평방향으로 매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체결볼트(256)는 브라켓(251)을 사이에 두고 체결부재(255)에 체결됨으로써, PC레이커보(200)에 PC스탠드(300)의 제1수직부(310)를 결합하여 수평방향으로 고정할 수 있다.
결합철물(250)은 브라켓(251)의 수평부에 결합되고 PC레이커보(200)에 매립되는 스터드(252)와, 브라켓(251)의 수직부와 체결볼트(256) 사이에 삽입되는 와셔(257)와, 수직부와 와셔 사이에 한 방향으로만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판(25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PC레이커보(200)에 매립된 스터드(252)에 브라켓(251)이 용접되어 결합될 수 있다. 와셔(257)는 체결볼트(256)의 몸체부가 관통하고 체결볼트(256)의 머리부보다 작은 관통공이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판(258)은 와셔(257)보다 면적이 약간 작은 얇은 금속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특히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의 판재 2장을 배치하여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야외에 설치되는 PC스탠드(300) 주위 온도가 큰 폭으로 변함에 따라 PC스탠드(300)가 수축 또는 팽창할 수 있는데, 슬라이딩판(258)에 의해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함으로써 결합철물(250)과 PC스탠드(3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철물(250)은 PC스탠드(300)의 폭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철물(250)의 수직부에 슬롯홀(253)이 형성되고, PC스탠드(300)의 폭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결합철물(250)의 수직부에 오버홀(254)이 형성될 수 있다. 슬롯홀(Slot hole, 253)은 상하방향으로 긴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오버홀(Over hole, 254)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PC스탠드(300)에는 폭방향으로 2개 이상의 결합철물(250)이 결합될 수 있는데, 하나의 PC스탠드(300)의 폭방향 우측에는 슬롯홀(253)이 형성된 결합철물(250)이 배치되고, PC스탠드(300)의 폭방향 좌측에는 오버홀(254)이 형성된 결합철물(250)이 배치되는 것이다. 상기한 슬라이딩판(258)은 오버홀(254)이 형성된 브라켓(251)에 장착되고, 슬롯홀(253)이 형성된 브라켓(251)에는 장착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PC스탠드(300)가 수축 또는 팽창할 때 폭방향 일측으로만 수축 또는 팽창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상기한 코킹부(376)가 찢어지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결합철물(250)은 제1물막이재(360), 제2물막이재(370), 제3물막이재(375) 등과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5, 도 9,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PC스탠드(300)의 폭방향으로 인접한 틈에는 PC스탠드(300) 설치 후에 제4물막이재(380)가 압착되도록 시공, 장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물막이재(380)는 PC레이커보(200) 상에 장착되는 두 PC스탠드(300) 사이의 틈을 밀폐하도록 배치된다. 제4물막이재(380)는 PC레이커보(200)의 계단형 상면보다 높은 위치에 두 PC스탠드(300) 사이의 틈 속에 연속적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물막이재(380)는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단면 형상은 2개의 평행사변형이 일체로 연결되어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제4물막이재(380)는 두 PC스탠드(300) 사이에 압착될 때, 내부의 두 공간이 작아지면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제4물막이재(380)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리브가 돌출형성되어 PC스탠드(300)의 측면에 밀착되는 성능이 증가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레이커보(200)의 위로 흐르는 물은 PC레이커보의 계단 형태의 상면을 따라 흘러내리거나, 배수홈(220)을 따라 흘러내릴 수 있다. PC레이커보(200)의 배수홈(220) 하단에는 수평 물빼기 홀(242)이 수평방향으로 연결되거나, 배수홈(220) 하단부에 수직 물빼기 홀(244)이 수직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레이커보(200)의 배수홈(220) 하단에는 수평부 및 수직부로 절곡된 형태의 배수관(246)이 연결될 수 있다. 이 배수관(246)을 통해 배수홈(220)에 집수된 물이 배수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50: 지붕 구조물
100: PC기둥 120: 제2기둥
130: 제3기둥 140: 제4기둥
200: PC레이커보 220: 배수홈
230: 끼움쇠 242: 수평 물빼기 홀
244: 수직 물빼기 홀 246: 배수관
250: 결합철물 251: 브라켓
252: 스터드 253: 슬롯홀
254: 오버홀 255: 체결부재
256: 체결볼트 257: 와셔
258: 슬라이딩판
300: PC스탠드 310: 제1수직부
320: 제1수평부 322: 상면
324: 모접기부 326: 캠버부
330: 제2수직부 340: 제2수평부
342: 물끊기턱 350: 지지철물
352: 체결부재 354: 지지볼트
360: 제1물막이재 370: 제2물막이재
375: 제3물막이재 376: 코킹부
380: 제4물막이재 390: 강연선
400: PC슬래브
500: 횡방향보
600: PC스텝 610: 본체부
620: 철근 630: 배수홈
650: 인양고리 체결부재 660: 접착부
670: 타설부

Claims (15)

  1. 다양한 높이를 갖고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PC기둥;
    상기 복수의 PC기둥 사이에 경사지게 장착되는 PC레이커보;
    상기 PC레이커보의 계단형 상면에 장착되는 복수의 PC스탠드; 및
    상기 PC스탠드의 상면에 장착되는 PC스텝을 포함하고,
    상기 PC스탠드는 제1수직부, 제1수평부, 제2수직부, 제2수평부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PC레이커보의 수평면과 상기 제1수직부는 결합철물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PC스탠드의 제2수평부는 지지철물에 의해 그 아래에 있는 PC스탠드의 제1수직부 상면에 지지되고,
    상기 PC레이커보는 계단형 상면 중앙을 따라 연결되는 배수홈이 형성되며,
    상기 PC레이커보의 배수홈 양측에는 한 쌍의 제1물막이재가 배치되고,
    상기 PC스탠드의 제2수평부의 하면과 그 아래의 PC스탠드의 제1수직부의 상면 사이에는 폭방향으로 제2물막이재가 배치되며,
    상기 PC스탠드의 물끊기턱의 하면과 그 아래의 PC스탠드의 제1수직부의 상면 사이에는 폭방향으로 제3물막이재가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PC스탠드의 폭방향으로 인접한 틈에는 PC스탠드 설치 후에 제4물막이재가 압착되도록 시공, 장착되며,
    상기 결합철물은
    일측면에서 볼 때 "ㄱ"자 모양의 브라켓과,
    상기 PC스탠드의 제1수직부에 매립되어 고정되는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에 체결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브라켓의 수평부에 결합되고 상기 PC레이커보에 매립되는 스터드와,
    상기 브라켓의 수직부와 상기 체결볼트 사이에 삽입되는 와셔와,
    2장의 금속 판재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부와 상기 와셔 사이에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딩판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철물은 상기 PC스탠드의 폭방향 일측에 결합되는 결합철물의 수직부에 장공 형태의 슬롯홀이 형성되며,
    상기 PC스탠드의 폭방향 타측에 결합되는 결합철물의 수직부에 원형의 오버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부 및 제2수직부는 상기 제1수평부 및 제2수평부보다 더 큰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평부의 하면 전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된 물끊기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평부 및 제2수평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수직부 및 제2수직부와의 사이에 전방으로 경사진 모접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수평부 및 제2수평부의 상면은 상기 PC스탠드의 폭방향 중심부에서 좌우 가장자리로 갈수록 완만한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직부 및 제2수직부의 하부 내부에는 폭방향으로 복수의 강연선이 매립되어 인장됨으로써, 상기 PC스탠드 상면의 폭방향 중앙부에서 양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진 캠버가 형성되어 자연 배수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물막이재의 전면에는 상기 PC스탠드의 수축 또는 팽창시 대응 가능한 탄성이 좋은 실란트로 코킹되는 코킹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스텝은 직육면체 형태에 가까운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양측단에 매립되어 인양고리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재와,
    상기 본체부의 하면측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배수를 유도하는 배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210015993A 2021-02-04 2021-02-04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 KR1023544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993A KR102354465B1 (ko) 2021-02-04 2021-02-04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993A KR102354465B1 (ko) 2021-02-04 2021-02-04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4465B1 true KR102354465B1 (ko) 2022-01-21

Family

ID=80050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993A KR102354465B1 (ko) 2021-02-04 2021-02-04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446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98948B1 (de) * 1991-02-14 1996-01-31 ACO Severin Ahlmann GmbH & Co. KG Sitz- und/oder Treppenstufe für Zuschauertribünen
JPH08158573A (ja) * 1994-12-02 1996-06-18 Fudo Kenken Kk プレキャストl形段床材
JPH08239930A (ja) * 1995-03-07 1996-09-17 Nippon Samikon Kk 駐車場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
KR19990068343A (ko) * 1999-04-16 1999-09-06 동서산업 주식회사 공설운동장용기성철근콘크리트좌석블록의시공방법
JPH11293793A (ja) * 1998-04-08 1999-10-26 Ps Corp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段床版の水切り構造
JP2001140592A (ja) * 1999-11-17 2001-05-22 Ps Corp トンネル覆工用セグメン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550295B1 (ko) * 2005-10-18 2006-02-07 주식회사 대명기술단건축사사무소 배수가 원활한 계단블록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계단
CN111535623A (zh) * 2020-05-11 2020-08-14 中建一局集团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三折线双台阶预制混凝土看台板及设计方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98948B1 (de) * 1991-02-14 1996-01-31 ACO Severin Ahlmann GmbH & Co. KG Sitz- und/oder Treppenstufe für Zuschauertribünen
JPH08158573A (ja) * 1994-12-02 1996-06-18 Fudo Kenken Kk プレキャストl形段床材
JPH08239930A (ja) * 1995-03-07 1996-09-17 Nippon Samikon Kk 駐車場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
JPH11293793A (ja) * 1998-04-08 1999-10-26 Ps Corp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段床版の水切り構造
KR19990068343A (ko) * 1999-04-16 1999-09-06 동서산업 주식회사 공설운동장용기성철근콘크리트좌석블록의시공방법
KR100320153B1 (ko) 1999-04-16 2002-01-10 정계조 공설운동장용 기성철근콘크리트 좌석블록의 시공방법
JP2001140592A (ja) * 1999-11-17 2001-05-22 Ps Corp トンネル覆工用セグメント及びその施工方法
KR100550295B1 (ko) * 2005-10-18 2006-02-07 주식회사 대명기술단건축사사무소 배수가 원활한 계단블록을 이용한 공동주택용 계단
CN111535623A (zh) * 2020-05-11 2020-08-14 中建一局集团建设发展有限公司 一种三折线双台阶预制混凝土看台板及设计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0002B1 (ko) 조립식 플레이트와 정착 채널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
KR101552176B1 (ko) 분리형 거푸집이 선조립된 기둥구조체
KR101544803B1 (ko) 절곡강판 합성보의 기둥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479613B1 (ko) 박스형 연결보를 이용하여 바닥판 이음부를 형성하는 프리캐스트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연결 방법
KR101349649B1 (ko) 조립철골거더에 의한 변단면 단부보강 합성구조
KR101533576B1 (ko) 반채움 pc 트러스보강재 합성보
KR101791651B1 (ko)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 및 장스팬 역삼각 트러스데크와 tsc보의 접합 구조
JP2018096071A (ja) 複合建物
KR102108335B1 (ko) 내진성능 접합부를 가지는 복합철골보구조
KR101395198B1 (ko) 슬림플로어용 강조립보 및 이를 이용한 슬림플로어 합성구조
KR102354465B1 (ko) 경기장 관람석 시공 구조
KR101619067B1 (ko) 보구조체의 범용 접합구조를 가진 조립 기둥구조체
KR101904115B1 (ko)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KR102309544B1 (ko) 건축물의 기둥과 보 연결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시공방법
KR20150025643A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구조물
JP2017214717A (ja) 柱梁接合部と梁との連結構造
KR101738244B1 (ko) 트러스보강 조립보
KR20130103420A (ko) 합성보를 이용한 클린룸 골조
KR20180052835A (ko) 내진 성능이 확보된 더블빔 pc 보-기둥 접합구조
JP6829631B2 (ja) 柱脚の施工方法、既存柱脚の補強方法
KR20180026286A (ko)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101904121B1 (ko) 철골과 콘크리트가 결합된 합성기둥
KR100622271B1 (ko) 중공슬래브와 철골보를 이용한 층고저감형 바닥판 시스템
KR101591224B1 (ko) 조립식 플레이트와 정착 채널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KR102330481B1 (ko) 분절된 pc 격자보를 이용한 반도체 공장 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