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4308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제어 정보 피기백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제어 정보 피기백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4308B1
KR102354308B1 KR1020197025046A KR20197025046A KR102354308B1 KR 102354308 B1 KR102354308 B1 KR 102354308B1 KR 1020197025046 A KR1020197025046 A KR 1020197025046A KR 20197025046 A KR20197025046 A KR 20197025046A KR 102354308 B1 KR102354308 B1 KR 102354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mbol
control information
mapped
information
co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5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775A (ko
Inventor
이승민
서한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121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4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4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607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 H04L1/1664Details of the supervisory signal the supervisory signal being transmitted together with payload signals; piggyb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9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 H04L1/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channel coding applied to contro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56System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code used
    • H04L1/0067Rate mat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vehicle-to-everything) 전송 자원 선택 방법에 있어서,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벌(Coded Symbol)을 서브프레임 상에 매핑하고 및 매핑된(mapped) 상기 코드된 심벌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제어 정보는 데이터와 함께 피기백(Piggyback)되어 전송되고, 및 상기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벌은 데이터보다 먼저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제어 정보 피기백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제어 정보 피기백(Piggyback) 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에 관한 것이다.
ITU-R(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Radio communication sector)에서는 3세대 이후의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인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Advanced의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IMT-Advanced는 정지 및 저속 이동 상태에서 1Gbps, 고속 이동 상태에서 100Mbps의 데이터 전송률로 IP(Internet Protocol)기반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지원을 목표로 한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는 IMT-Advanced의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 시스템 표준으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전송방식 기반인 LTE(Long Term Evolution)를 개선한 LTE-Advanced(LTE-A)를 준비하고 있다. LTE-A는 IMT-Advanced를 위한 유력한 후보 중의 하나이다.
최근 장치들 간 직접통신을 하는 D2D (Device-to-Device)기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D2D는 공중 안전 네트워크(public safety network)을 위한 통신 기술로 주목 받고 있다. 상업적 통신 네트워크는 빠르게 LTE로 변화하고 있으나 기존 통신 규격과의 충돌 문제와 비용 측면에서 현재의 공중 안전 네트워크는 주로 2G 기술에 기반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 간극과 개선된 서비스에 대한 요구는 공중 안전 네트워크를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공중 안전 네트워크는 상업적 통신 네트워크에 비해 높은 서비스 요구 조건(신뢰도 및 보안성)을 가지며 특히 셀룰러 통신의 커버리지가 미치지 않거나 이용 가능하지 않은 경우에도, 장치들 간의 직접 신호 송수신 즉, D2D 동작도 요구하고 있다.
일례로, 일반적으로 D2D 동작은 근접한 기기들 간의 신호 송수신이라는 점에서 다양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단말은 높은 전송률 및 낮은 지연을 가지며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D2D 동작은 기지국에 몰리는 트래픽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D2D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이 중계기 역할을 한다면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확장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술한 D2D 통신을 확장하여 차량 간의 신호 송수신에 적용할 수 있으며, 차량 (VEHICLE)과 관련된 통신을 특별히 V2X(VEHICLE-TO-EVERYTHING) 통신이라고 부른다.
V2X에서 'X'라는 용어는 PEDESTRIAN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DEVICE CARRIED BY AN INDIVIDUAL(예: HANDHELD TERMINAL CARRIED BY A PEDESTRIAN, CYCLIST, DRIVER OR PASSENGER), 이 때, V2X는 V2P로 표시할 수 있다), VEHICLE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V2V), INFRASTRUCTURE/NETWORK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ROADSIDE UNIT (RSU)/NETWORK (예) RSU IS A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ENTITY (예) AN ENTITY TRANSMITTING SPEED NOTIFICATIONS) IMPLEMENTED IN AN eNB OR A STATIONARY UE)) (V2I/N) 등을 의미한다.
아래 제안 방식들은 V2X UE(S)가 사전에 지정된 채널 (예를 들어, PSSCH) 상에, ('데이터'와 함께) 제어(/스케줄링) 정보 (예를 들어, 'MCS INDEX(/MODULATION ODER)' 그리고/혹은 'TBS INDEX(/TRANSPORT BLOCK SIZE)')를 피기백하여 전송할 때, 구체적인 맵핑 (MAPPING)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전송 자원 선택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vehicle-to-everything) 전송 자원 선택 방법에 있어서,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벌(Coded Symbol)을 서브프레임 상에 매핑하고 및 매핑된(mapped) 상기 코드된 심벌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제어 정보는 데이터와 함께 피기백(Piggyback)되어 전송되고, 및 상기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벌은 데이터보다 먼저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벌은 참조 신호 심벌들과 인접한 곳에 매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벌은 복수의 참조 신호 심벌들 사이에 매핑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프레임 상의 첫 번째 참조 신호 심벌 이전의 심벌들과 마지막 참조 신호 심벌 이후의 심벌들 상에는 상기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벌이 매핑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프레임의 동일 주파수 상에 연속적으로 매핑되는 상기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벌들 간의 간격은 최대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프레임은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벌 축과 가상 서브 캐리어(Virtual Sub-Carrier) 축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SC-FDMA 심벌 축 상에서 14개의 심벌을 포함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은 상기 가상 서브 캐리어 축 상에서 12개의 가상 서브 캐리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참조 신호 심벌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참조 신호 심벌은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심벌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정보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인덱스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자원은 고정된 자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User equipment; UE)은,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 부 및 상기 RF부와 결합하여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vehicle-to-everything) 전송 자원 선택 방법에 있어서,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벌(Coded Symbol)을 서브프레임 상에 매핑하고 및 매핑된(mapped) 상기 코드된 심벌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제어 정보는 데이터와 함께 피기백(Piggyback)되어 전송되고, 및 상기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벌은 데이터보다 먼저 맵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은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벌(Coded Symbol)을 참조 신호 근처에 매핑하고, 상기 코드된 심벌을 통해 제어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제어 정보를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참조 신호의 밀도를 높임으로써, ‘PHASE OFFSET' 보정 및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를 경우, “가변하는 크기의 V2X MESSAGE(S)"가 높은 신뢰도 (RELIABILITY)로 전송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도 2는 3GPP LTE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4는 PUSCH상에서 상향링크 제어정보가 상향링크 데이터와 다중화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5는 ProSe를 위한 기준 구조를 나타낸다.
도 6은 ProSe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과 셀 커버리지의 배치 예들을 나타낸다.
도 7은 ProSe 직접 통신을 위한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다.
도 8은 D2D 발견을 위한 PC 5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9 내지 도 13은 채널 추정에 사용되는 참조 신호의 밀도(/개수)가 증가된 경우에 대한 일례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볼(CODED SYMBOL)을 서브프레임 상에 매핑시키는 방법의 순서도다.
도 15 내지 도 23은 도 9 및/또는 도 11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2), (규칙#1-3)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다.
도 24는 도 9 및/또는 도 11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2)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를 보여준다.
도 25 내지 도 34는 도 9 및/또는 도 11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3)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다.
도 35는 도 9 및/또는 도 11의 경우에, (규칙#1-1)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다.
도 36 내지 도 39는 도 10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2), (규칙#1-3)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다.
도 40은 도 10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2)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다.
도 41 내지 도 49는 도 10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3)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다.
도 50은 도 10의 경우에, (규칙#1-1)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다.
도 51 내지 도 54는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의 일례다.
도 55 내지 도 58은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매핑된 일례다.
도 59 내지 도 73은 도 12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3)(/(규칙#1-2))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다.
도 74 내지 도 82는 도 13의 경우에, 경우에, (규칙#1-1), (규칙#1-3)(/(규칙#1-2))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다.
도 83은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 순위의 제어(/스케줄링) 정보는 'EXTRA(/OUTER)-POLATION' 기반의 채널 추정이 수행되는 심벌 상에 맵핑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 순위의 제어(/스케줄링) 정보는 'INTRA-POLATION' 기반의 채널 추정이 수행되는 심벌 상에 맵핑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8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예시한다. 이는 E-UTRAN(Evolved-UMTS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LTE-A 시스템이라고도 불릴 수 있다.
E-UTRAN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에게 제어 평면(control plane)과 사용자 평면(user plane)을 제공하는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MT(mobile terminal),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들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기지국(20)은 S1 인터페이스를 통해 EPC(Evolved Packet Core, 30), 보다 상세하게는 S1-MME를 통해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와 S1-U를 통해 S-GW(Serving Gateway)와 연결된다.
EPC(30)는 MME, S-GW 및 P-GW(Packet Data Network-Gateway)로 구성된다. MME는 단말의 접속 정보나 단말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단말의 이동성 관리에 주로 사용된다. S-GW는 E-UTRA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며, P-GW는 PDN을 종단점으로 갖는 게이트웨이이다.
단말과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인터페이스 프로토콜 (Radio Interface Protocol)의 계층들은 통신시스템에서 널리 알려진 개방형 시스템간 상호접속 (Open System Interconnection; OSI) 기준 모델의 하위 3개 계층을 바탕으로 L1 (제1계층), L2 (제2계층), L3(제3계층)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 중에서 제1계층에 속하는 물리계층은 물리채널(Physical Channel)을 이용한 정보전송서비스(Information Transfer Service)를 제공하며, 제 3계층에 위치하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계층은 단말과 네트워크 간에 무선자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RRC 계층은 단말과 기지국간 RRC 메시지를 교환한다.
도 2는 3GPP LTE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개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은 2개의 슬롯(slot)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서브 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한다. TTI는 스케줄링의 최소 단위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할 수 있다. OFDM 심벌은 3GPP LTE가 하향링크에서 OFDMA를 사용하므로 하나의 심벌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다른 명칭으로 불리울 수 있다. 예를 들어, SC-FDMA 심벌이라고 할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7 OFDM 심벌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CP(Cyclic Prefix)의 길이에 따라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수는 바뀔 수 있다. 3GPP에 의하면, 노멀(normal) CP에서 1 서브프레임은 7 OFDM 심벌을 포함하고, 확장(extended) CP에서 1 서브프레임은 6 OFDM 심벌을 포함한다.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예시에 불과하고, 무선 프레임에 포함되는 서브프레임의 수 및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상향링크 서브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상향링크 서브 프레임은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나르는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가 할당되는 제어영역(region)과 사용자 데이터를 나르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가 할당되는 데이터영역으로 나눌 수 있다.
하나의 단말에 대한 PUCCH는 서브프레임에서 자원블록(RB) 쌍(pair,)으로 할당되고, RB 쌍에 속하는 RB들은 2개의 슬롯들 각각에서 서로 다른 부반송파를 차지한다. 이를 PUCCH에 할당되는 RB 쌍이 슬롯 경계(slot boundary)에서 주파수 도약(frequency hopping)된다고 한다.
PUCCH는 다중 포맷을 지원할 수 있다. 즉, 변조 방식(modualtion scheme)에 따라 서브프레임당 서로 다른 비트 수를 갖는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PSK(Binary Phase Shift Keying)을 사용하는 경우(PUCCH 포맷 1a) 1비트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PUCCH 상으로 전송할 수 있으며,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을 사용하는 경우(PUCCH 포맷 1b) 2비트의 상향링크 제어 정보를 PUCCH 상으로 전송할 수 있다. PUCCH 포맷은 이외에도 포맷 1, 포맷 2, 포맷 2a, 포맷 2b 등이 있다.
도 4는 PUSCH상에서 상향링크 제어정보가 상향링크 데이터와 다중화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매 TTI마다 데이터 비트들 a0, a1, ..., aA-1 는 하나의 전송 블록(transport block) 형태로 주어진다. 먼저, 데이터 비트들 a0, a1, ..., aA-1 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 패리티 비트들 p0, p1, ..., pL-1 이 부가되어, CRC 부가 비트들 b0, b1, ..., bB-1 이 생성된다(S200). 여기서, B=A+L이다. ak와 bk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식 1>
Figure 112019087713886-pct00001
CRC 부가 비트들 b0, b1, ..., bB-1 이 코드 블록(code block) 단위로 쪼개지고, 코드 블록 단위로 다시 CRC 패리티 비트들이 부가된다(S210). 코드 블록 분할(segmentation) 후의 비트 시퀀스 출력을 cr0, cr1, ..., cr(Kr-1) 이라 한다. 여기서, 코드 블록들의 총 갯수를 C라 할 때, r 코드 블록 번호(code block number), Kr은 코드 블록 번호 r에 대한 비트 수를 말한다.
주어진 코드 블록에 대한 비트 시퀀스는 채널 코딩이 수행된다(S220). 인코딩된 비트들을 d(i) 0, d(i) 1, ..., d(i) D-1 로 나타내며, D는 출력 스트림당 인코딩된 비트들의 갯수, i는 인코더 출력 비트 스트림의 인덱스이다.
인코딩된 비트들은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이 수행되고(S230), 코드 블록 연결(concatenation)이 수행되어(S240), 데이터 비트 시퀀스 f0, f1,..., fG-1을 생성한다. 여기서, G는 제어 정보가 PUSCH 상에서 다중화될 때, 제어 정보 전송에 사용되는 비트들을 제외한 전송에 사용되는 인코딩된 비트들의 총 수를 나타낸다.
한편, 데이터(상향링크 데이터)와 더불어 제어 정보(상향링크 제어정보)가 다중화될 수 있다. 데이터와 제어 정보는 그 전송을 위한 코딩된 심벌들(coded symbols)의 다른 갯수를 할당함으로써, 다른 코드률(coding rate)을 사용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RI(rank indicator), ACK/NACK(acknowledgement/not-acknowledgement) 등이 있다.
CQI o0, o1, ..., oO-1 (O는 CQI의 비트 수)는 채널 코딩이 수행되어 제어정보 비트 시퀀스 q0, q1, ..., qQCQI-1이 생성된다(S250). RI o0 RI, 또는 o0 RI , o1 RI 는 채널 코딩이 수행되어 제어 정보 비트 시퀀스 q0 RI, q1 RI, ..., qQRI RI -1이 생성된다(S260). 마찬가지로 ACK/NACK o0 ACK, 또는 o0 ACK , o1 ACK 또는 o0 ACK , o1 ACK ,..., ooACK-1 ACK 는 채널 코딩이 수행되어 제어 정보 비트 시퀀스 q0 ACK, q1 ACK, ..., qQACK -1 ACK이 생성된다(S270).
상기 생성된 데이터 비트 시퀀스 f0, f1,..., fG-1와 CQI의 제어 정보 비트 시퀀스 q0, q1, ..., qQCQI-1는 다중화된 시퀀스 g0, g1, ..., gH-1로 다중화된다(S280). 다중화시 먼저 CQI의 제어정보 비트 시퀀스 q0, q1, ..., qQCQI-1가 배치되고, 이후로 데이터 비트 시퀀스 f0, f1,..., fG-1가 배치될 수 있다. 즉, H=G+Q일때, [g0, g1, ..., gH-1]=[q0, q1, ..., qQCQI-1, f0, f1,..., fG-1 ]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다중화된 시퀀스 g0, g1, ..., gH-1는 채널 인터리버(channel interleaver)에 의해 변조 시퀀스 h0, h1, ..., hH'-1로 맵핑된다(S280). 또한, RI 또는 ACK/NACK의 제어 정보 비트 시퀀스는 채널 인터리버에 의해 변조 시퀀스 h0, h1, ..., hH'-1로 맵핑된다. 여기서, hi는 성상(constellation)상의 변조 심벌이며, H'=H+QRI이다. 변조 시퀀스 h0, h1, ..., hH'-1의 각 변조 심벌은 PUSCH를 위한 자원 요소(resoruce element)로 맵핑된다. 자원요소는 1 SC-FDMA 심벌(또는 OFDMA 심벌)과 1 부반송파로 정의되는 서브프레임상의 할당 단위이다.
도 5는 ProSe를 위한 기준 구조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ProSe를 위한 기준 구조는 E-UTRAN, EPC, ProSe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복수의 단말들, ProSe 응용 서버(ProSe APP server), 및 ProSe 기능(ProSe function)을 포함한다.
EPC는 E-UTRAN 코어 네트워크 구조를 대표한다. EPC는 MME, S-GW, P-GW, 정책 및 과금 규칙(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PCRF), 가정 가입자 서버(home subscriber server:HSS)등을 포함할 수 있다.
ProSe 응용 서버는 응용 기능을 만들기 위한 ProSe 능력의 사용자이다. ProSe 응용 서버는 단말 내의 응용 프로그램과 통신할 수 있다. 단말 내의 응용 프로그램은 응용 기능을 만들기 위한 ProSe 능력을 사용할 수 있다.
ProSe 기능은 다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제3자 응용 프로그램을 향한 기준점을 통한 인터워킹(Interworking via a reference point towards the 3rd party applications)
- 발견 및 직접 통신을 위한 인증 및 단말에 대한 설정(Authorization and configuration of the UE for discovery and direct communication)
- EPC 차원의 ProSe 발견의 기능(Enable the functionality of the EPC level ProSe discovery)
- ProSe 관련된 새로운 가입자 데이터 및 데이터 저장 조정, ProSe ID의 조정(ProSe related new subscriber data and handling of data storage, and also handling of ProSe identities)
- 보안 관련 기능(Security related functionality)
- 정책 관련 기능을 위하여 EPC를 향한 제어 제공(Provide control towards the EPC for policy related functionality)
- 과금을 위한 기능 제공(Provide functionality for charging (via or outside of EPC, e.g., offline charging))
이하에서는 ProSe를 위한 기준 구조에서 기준점과 기준 인터페이스를 설명한다.
- PC1: 단말 내의 ProSe 응용 프로그램과 ProSe 응용 서버 내의 ProSe 응용 프로그램 간의 기준 점이다. 이는 응용 차원에서 시그널링 요구 조건을 정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 PC2: ProSe 응용 서버와 ProSe 기능 간의 기준점이다. 이는 ProSe 응용 서버와 ProSe 기능 간의 상호 작용을 정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ProSe 기능의 ProSe 데이터베이스의 응용 데이터 업데이트가 상기 상호 작용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 PC3: 단말과 ProSe 기능 간의 기준점이다. 단말과 ProSe 기능 간의 상호 작용을 정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ProSe 발견 및 통신을 위한 설정이 상기 상호 작용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 PC4: EPC와 ProSe 기능 간의 기준점이다. EPC와 ProSe 기능 간의 상호 작용을 정의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상기 상호 작용은 단말들 간에 1:1 통신을 위한 경로를 설정하는 때, 또는 실시간 세션 관리나 이동성 관리를 위한 ProSe 서비스 인증하는 때를 예시할 수 있다.
- PC5: 단말들 간에 발견 및 통신, 중계, 1:1 통신을 위해서 제어/사용자 평면을 사용하기 위한 기준점이다.
- PC6: 서로 다른 PLMN에 속한 사용자들 간에 ProSe 발견과 같은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기준점이다.
- SGi: 응용 데이터 및 응용 차원 제어 정보 교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ProSe 직접 통신(D2D 통신): ProSe Direct Communication>.
ProSe 직접 통신은 2개의 공용 안전 단말들이 PC 5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통신을 할 수 있는 통신 모드이다. 이 통신 모드는 단말이 E-UTRAN의 커버리지 내에서 서비스를 받는 경우나 E-UTRAN의 커버리지를 벗어난 경우 모두에서 지원될 수 있다.
도 6은 ProSe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들과 셀 커버리지의 배치 예들을 나타낸다.
도 6 (a)를 참조하면, 단말 A, B는 셀 커버리지 바깥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 (b)를 참조하면, 단말 A는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고, 단말 B는 셀 커버리지 바깥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 (c)를 참조하면, 단말 A, B는 모두 단일 셀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6 (d)를 참조하면, 단말 A는 제1 셀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고, 단말 B는 제2 셀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ProSe 직접 통신은 도 5와 같이 다양한 위치에 있는 단말들 간에 수행될 수 있다.
한편, ProSe 직접 통신에는 다음 ID들이 사용될 수 있다.
소스 레이어-2 ID: 이 ID는 PC 5 인터페이스에서 패킷의 전송자를 식별시킨다.
목적 레이어-2 ID: 이 ID는 PC 5 인터페이스에서 패킷의 타겟을 식별시킨다.
SA L1 ID: 이 ID는 PC 5 인터페이스에서 스케줄링 할당(scheduling assignment: SA)에서의 ID이다.
도 7은 ProSe 직접 통신을 위한 사용자 평면 프로토콜 스택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PC 5 인터페이스는 PDCH, RLC, MAC 및 PHY 계층으로 구성된다.
ProSe 직접 통신에서는 HARQ 피드백이 없을 수 있다. MAC 헤더는 소스 레이어-2 ID 및 목적 레이어-2 ID를 포함할 수 있다.
<ProSe 직접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 할당>.
ProSe 가능 단말은 ProSe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에 대해 다음 2가지 모드들을 이용할 수 있다.
1. 모드 1
모드 1은 ProSe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을 기지국으로부터 스케줄링 받는 모드이다. 모드 1에 의하여 단말이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RRC_CONNECTED 상태이여야 한다. 단말은 전송 자원을 기지국에게 요청하고, 기지국은 스케줄링 할당 및 데이터 전송을 위한 자원을 스케줄링한다. 단말은 기지국에게 스케줄링 요청을 전송하고, ProSe BSR(Buffer Status Report)를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은 ProSe BSR에 기반하여, 상기 단말이 ProSe 직접 통신을 할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이 전송을 위한 자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한다.
2. 모드 2
모드 2는 단말이 직접 자원을 선택하는 모드이다. 단말은 자원 풀(resource pool)에서 직접 ProSe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을 선택한다. 자원 풀은 네트워크에 의하여 설정되거나 미리 정해질 수 있다.
한편, 단말이 서빙 셀을 가지고 있는 경우 즉, 단말이 기지국과 RRC_CONNECTED 상태에 있거나 RRC_IDLE 상태로 특정 셀에 위치한 경우에는 상기 단말은 기지국의 커버리지 내에 있다고 간주된다.
단말이 커버리지 밖에 있다면 상기 모드 2만 적용될 수 있다. 만약, 단말이 커버리지 내에 있다면, 기지국의 설정에 따라 모드 1 또는 모드 2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예외적인 조건이 없다면 기지국이 설정한 때에만, 단말은 모드 1에서 모드 2로 또는 모드 2에서 모드 1로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ProSe 직접 발견(D2D 발견): ProSe direct discovery>
ProSe 직접 발견은 ProSe 가능 단말이 근접한 다른 ProSe 가능 단말을 발견하는데 사용되는 절차를 말하며 D2D 직접 발견 또는 D2D 발견이라 칭하기도 한다. 이 때, PC 5 인터페이스를 통한 E-UTRA 무선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ProSe 직접 발견에 사용되는 정보를 이하 발견 정보(discovery information)라 칭한다.
도 8은 D2D 발견을 위한 PC 5 인터페이스를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PC 5인터페이스는 MAC 계층, PHY 계층과 상위 계층인 ProSe Protocol 계층으로 구성된다. 상위 계층(ProSe Protocol)에서 발견 정보(discovery information)의 알림(anouncement: 이하 어나운스먼트) 및 모니터링(monitoring)에 대한 허가를 다루며, 발견 정보의 내용은 AS(access stratum)에 대하여 투명(transparent)하다. ProSe Protocol은 어나운스먼트를 위하여 유효한 발견 정보만 AS에 전달되도록 한다.
MAC 계층은 상위 계층(ProSe Protocol)로부터 발견 정보를 수신한다. IP 계층은 발견 정보 전송을 위하여 사용되지 않는다. MAC 계층은 상위 계층으로부터 받은 발견 정보를 어나운스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자원을 결정한다. MAC 계층은 발견 정보를 나르는 MAC PDU(protocol data unit)를 만들어 물리 계층으로 보낸다. MAC 헤더는 추가되지 않는다.
발견 정보 어나운스먼트를 위하여 2가지 타입의 자원 할당이 있다.
1. 타입 1
발견 정보의 어나운스먼트를 위한 자원들이 단말 특정적이지 않게 할당되는 방법으로, 기지국이 단말들에게 발견 정보 어나운스먼트를 위한 자원 풀 설정을 제공한다. 이 설정은 시스템 정보 블록(system information block: SIB)에 포함되어 브로드캐스트 방식으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설정은 단말 특정적 RRC 메시지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설정은 RRC 메시지 외 다른 계층의 브로드캐스트 시그널링 또는 단말 특정정 시그널링이 될 수도 있다.
단말은 지시된 자원 풀로부터 스스로 자원을 선택하고 선택한 자원을 이용하여 발견 정보를 어나운스한다. 단말은 각 발견 주기(discovery period) 동안 임의로 선택한 자원을 통해 발견 정보를 어나운스할 수 있다.
2. 타입 2
발견 정보의 어나운스먼트를 위한 자원들이 단말 특정적으로 할당되는 방법이다. RRC_CONNECTED 상태에 있는 단말은 RRC 신호를 통해 기지국에게 발견 신호 어나운스먼트를 위한 자원을 요청할 수 있다. 기지국은 RRC 신호로 발견 신호 어나운스먼트를 위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단말들에게 설정된 자원 풀 내에서 발견 신호 모니터링을 위한 자원이 할당될 수 있다.
RRC_IDLE 상태에 있는 단말에 대하여, 기지국은 1) 발견 정보 어나운스먼트를 위한 타입 1 자원 풀을 SIB로 알려줄 수 있다. ProSe 직접 발견이 허용된 단말들은 RRC_IDLE 상태에서 발견 정보 어나운스먼트를 위하여 타입 1 자원 풀을 이용한다. 또는 기지국은 2) SIB를 통해 상기 기지국이 ProSe 직접 발견은 지원함을 알리지만 발견 정보 어나운스먼트를 위한 자원은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발견 정보 어나운스먼트를 위해서는 RRC_CONNECTED 상태로 들어가야 한다.
RRC_CONNECTED 상태에 있는 단말에 대하여, 기지국은 RRC 신호를 통해 상기 단말이 발견 정보 어나운스먼트를 위하여 타입 1 자원 풀을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타입 2 자원을 사용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D2D 동작은 근접한 기기들 간의 신호 송수신이라는 점에서 다양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D2D 단말은 높은 전송률 및 낮은 지연을 가지며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D2D 동작은 기지국에 몰리는 트래픽을 분산시킬 수 있으며, D2D 동작을 수행하는 단말이 중계기 역할을 한다면 기지국의 커버리지를 확장시키는 역할도 할 수 있다. 상술한 D2D 통신의 확장으로 차량 간의 신호 송수신을 포함하여, 차량 (VEHICLE)과 관련된 통신을 특별히 V2X(VEHICLE-TO-X) 통신이라고 부른다.
여기서, 일례로, V2X (VEHICLE-TO-X)에서 'X' 용어는 PEDESTRIAN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DEVICE CARRIED BY AN INDIVIDUAL (예) HANDHELD TERMINAL CARRIED BY A PEDESTRIAN, CYCLIST, DRIVER OR PASSENGER)) (V2P), VEHICLE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V2V), INFRASTRUCTURE/NETWORK (COMMUNICATION BETWEEN A VEHICLE AND A ROADSIDE UNIT (RSU)/NETWORK (예) RSU IS A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ENTITY (예) AN ENTITY TRANSMITTING SPEED NOTIFICATIONS) IMPLEMENTED IN AN eNB OR A STATIONARY UE)) (V2I/N) 등을 의미한다. 또한, 일례로, 제안 방식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보행자 (혹은 사람)가 소지한 (V2P 통신 관련) 디바이스를 "P-UE"로 명명하고, VEHICLE에 설치된 (V2X 통신 관련) 디바이스를 "V-UE"로 명명한다. 또한, 일례로, 본 발명에서 '엔티티(ENTITY)' 용어는 P-UE 그리고/혹은 V-UE 그리고/혹은 RSU(/NETWORK/INFRASTRUCTURE)로 해석될 수 가 있다.
전술한 D2D 동작을 제공 (혹은 지원)하는 단말은 D2D 단말이라고 명명할 수 있으며, 전술한 V2X 동작을 제공 (혹은 지원)하는 단말은 V2X 단말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주로 V2X 단말 관점에서 서술 하도록 하겠으나, 해당 V2X 단말에 대한 내용은 상기 D2D 단말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례로, V2X UE(S)가 "가변하는 크기의 V2X MESSAGE(S)"를 사전에 예약(/선택)된 "(고정된 크기의) 주기적 자원"을 통해서 전송할 때, 아래의 (일부) 규칙을 따르도록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아래 (일부) 규칙이 적용될 경우, "가변하는 크기의 V2X MESSAGE(S)"가 높은 신뢰도 (RELIABILITY)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V2X MESSAGE는 제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A) 주기적 자원 할당에서는 '자원의 위치(/크기)' 정보만 지정해주고, V2X UE(S)로 하여금,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INDEX(/MODULATION ODER)' 정보를 매 전송 시점의 '링크 품질 (LINK QUALITY)' 그리고/혹은 '(전송해야 할) V2X MESSAGE 크기'를 (스스로) 고려/결정한 후, 사전에 지정된 채널 (예를 들어, PSSCH (PHYSICAL SIDELINK CHANNEL)) 상에 '데이터'와 함께 피기백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사전에 지정된 채널 (예를 들어, PSSCH) 상에 '데이터'와 함께 피기백되어 전송되는 제어 정보 (예를 들어, 'MCS INDEX(/MODULATION ODER)' 그리고/혹은 'TBS INDEX(/TRANSPORT BLOCK SIZE)')는 '데이터'와는 별도의 채널 코딩이 인가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수신 V2X UE(S)는 해당 제어 정보가 어떤 자원을 통해서 전송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어야 하므로, 그 자원의 위치(/크기)는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시#B) 주기적 자원 할당에서는 '자원의 위치(/크기)' 정보 및 'MCS INDEX(/MODULATION ODER)' 정보만 지정해주고, V2X UE(S)로 하여금, 'TBS INDEX(/TRANSPORT BLOCK SIZE)' 정보를 매 전송 시점의 '링크 품질' 그리고/혹은 '(전송해야 할) V2X MESSAGE 크기'를 (스스로) 고려/결정한 후, 사전에 지정된 채널 (예를 들어, PSSCH) 상에 '데이터'와 함께 피기백하여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TBS INDEX(/TRANSPORT BLOCK SIZE)' 정보는 실제 (전송해야 할) V2X MESSAGE 크기에 가장 적합한 것 (예를 들어, 크거나 같은 값들 중에 최소의 것, 가장 가까운 것)으로 선정될 수 있다.
아래 제안 방식들은 V2X UE(S)가 사전에 지정된 채널 (예를 들어, PSSCH) 상에, ('데이터'와 함께) 제어(/스케줄링) 정보 (예를 들어, 'MCS INDEX(/MODULATION ODER)' 그리고/혹은 'TBS INDEX(/TRANSPORT BLOCK SIZE)')를 피기백하여 전송할 때, 구체적인 맵핑 (MAPPING)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 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하기 전에, 일례로, V2X 통신이 상대적으로 '높은 주파수 대역 (예를 들어, 6GHZ)'과 '빠른 속도 (예를 들어, (최대) 140KM/H)' 하에서 수행될 경우, (사전에 정의(/시그널링)된 참조 신호 (REFERENCE SIGNAL (RS)) (예를 들어, 'DM-RS') 기반의) 채널 추정 성능이 "('FREQUENCY OFFSET'과 'DOPPLER EFFECT'로 인해 발생되는) PHASE DRIFT"와 "ICI (INTER-CARRIER INTERFERENCE)"로 인해서 감소(/저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채널 추정에 사용되는 참조 신호 (예를 들어, 'DM-RS')의 밀도 (DENSITY)(/개수)를 높여줄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일례로, 'PHASE OFFSET' 보정 및 채널 추정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3은 채널 추정에 사용되는 참조 신호의 밀도(/개수)가 증가된 경우에 대한 일례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 내지 도 13은 채널 추정에 사용되는 참조 신호 (예를 들어, 'DM-RS')의 밀도(/개수)가 증가된 경우 (예를 들어, '4개'의 심벌이 참조 신호 (DM-RS) 전송 용도로 사용됨)를 보여준다. 여기서, 일례로, 'NORMAL CP'가 설정된 경우를 가정하였다.
이때, 도 9는 'SYMBOL#2, #5, #8, #11'에 4 심볼 DMRS가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SYMBOL#2, #4, #9, #11'에 4 심볼 DMRS가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COMB-TYPE RS AT 'SYMBOL#2, #5, #8, #11'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FDM OF RS AND DATA AT EVERY SYMBOL (OFDM-LIKE STRUCTURE)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FDM OF RS AND DATA AT 'SYMBOL#1, #2, #3, #4, #5, #6, #7, #8, #9, #10, #11, #12' (OFDM-LIKE STRUCTURE)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제안 방식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9 내지 도 13의 '참조 신호 구조(/밀도/개수)'를 가정한다. 여기서, 하지만, 본 발명의 제안 방식들은 다른 '참조 신호 구조(/밀도/개수)'에서도 확장 적용이 가능하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볼(CODED SYMBOL)을 서브프레임 상에 매핑시키는 방법의 순서도다.
도 14에 따르면, 단말은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볼(CODED SYMBOL)을 서브프레임 상에서 매핑한다(S1410). 이때, 단말은 V2X 단말일 수 있다. 이하에서,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볼이 매핑되는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제안 방법] 아래의 (일부) 규칙(/원리)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해당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은 '데이터'보다 먼저 맵핑되도록 설정 ('데이터'가 'RATE-MATCHING'되는 형태)되거나, 혹은 우선(/먼저) 맵핑된 '데이터'를 'PUNCTURING'하여 맵핑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의 최대 개수"는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심벌 개수 X 제어(/스케줄링) 정보와 '데이터'가 (함께) 전송되는 채널 (예를 들어, 'PSSCH')의 'SCHEDULED BANDWIDTH (SUB-CARRIER 개수)')"로 한정될 수 있다.
(규칙#1-1) '채널 추정(/디코딩)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 'DM-RS' 심벌(들)과 (최대한) 인접한 곳에,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도록 한다.
(규칙#1-2) 'EXTRA(/OUTER)-POLATION' 기반의 채널 추정을 줄이기 위해서,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DM-RS' 심벌(들) 사이에(만) 맵핑되도록 한다. 일례로, 이러한 규칙이 적용될 경우, "첫번째 'DM-RS' 심벌 이전의 심벌(들)"과 "마지막 'DM-RS' 심벌 이후의 심벌(들)" 상에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지 않는다.
(규칙#1-3) 'TIME-DISVERSITY' 이득을 (최대한) 얻기 위해서, 동일 주파수(/SUB-CARRIER)' 상에 (연속적으로) 맵핑되는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 간의 간격이 최대한 이격되도록 한다.
도 15 내지 도 23은 도 9 및/또는 도 11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2), (규칙#1-3)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5 내지 도 23은 도 9 및/또는 도 11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2), (규칙#1-3)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를 보여준다. 여기서, 일례로, (피기백되는)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을 '21'개로 가정하였다. 여기서, 일례로,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심벌 위치(/자원 위치(/크기))가 'SYMBOL#3/4/6/7/9/10'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도 15, 도 16, 도 17에서, 'SYMBOL#6'와 'SYMBOL#7'에 맵핑되는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각각 'SYMBOL#7'와 'SYMBOL#6'에 맵핑되도록 변경될 수 도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도 15의 경우, 'SYMBOL#6'에 맵핑되는 'CODED SYMBOL#5/11/7'과 'SYMBOL#7'에 맵핑되는 'CODED SYMBOL#2/8/14/20'이 각각 'SYMBOL#7'와 'SYMBOL#6'에 맵핑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24는 도 9 및/또는 도 11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2)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를 보여준다. 여기서, 일례로, (피기백되는)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을 '21'개로 가정하였다. 여기서, 일례로,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심벌 위치(/자원 위치(/크기))가 'SYMBOL#3/4/6/7/9/10'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은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심벌(들)(/자원 위치(/크기))만 고려하여) 'SYMBOL(/TIME) INDEX'의 최소값 (예를 들어, 'SYMBOL#3'), 'SUB-CARRIER(/FREQUENCY) INDEX'의 최대값에서 시작하여 'SYMBOL(/TIME) INDEX'를 증가시키면서 할당되고, 'SYMBOL(/TIME) INDEX'가 최대값 (예를 들어, 'SYMBOL#10')이 되면 'SUB-CARRIER(/FREQUENCY) INDEX'를 하나 감소시키고, 다시 'SYMBOL(/TIME) INDEX'의 최소값부터 'SYMBOL(/TIME) INDEX'를 증가시키면서 할당된다.
도 25 내지 도 34는 도 9 및/또는 도 11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3)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5 내지 도 34는 도 9 및/또는 도 11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3)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를 보여준다. 여기서, 일례로, (피기백되는)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을 '21'개로 가정하였다. 여기서, 일례로,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심벌 위치(/자원 위치(/크기))가 'SYMBOL#1/3/4/6/7/9/10/12'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도 25 및/또는 도 26 및/또는 도 27에서, 'SYMBOL#9'와 'SYMBOL#10'에 맵핑되는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각각 'SYMBOL#10'와 'SYMBOL#9'에 맵핑되도록 변경될 수 도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도 25의 경우, 'SYMBOL#9'에 맵핑되는 'CODED SYMBOL#6/14'과 'SYMBOL#10'에 맵핑되는 'CODED SYMBOL#4/12/20'이 각각 'SYMBOL#10'와 'SYMBOL#9'에 맵핑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35는 도 9 및/또는 도 11의 경우에, (규칙#1-1)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5는 도 9 및/또는 도 11의 경우에, (규칙#1-1)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를 보여준다. 여기서, 일례로, (피기백되는)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을 '21'개로 가정하였다. 여기서, 일례로,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심벌 위치(/자원 위치(/크기))가 'SYMBOL#1/3/4/6/7/9/10/12'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은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심벌(들)(/자원 위치(/크기))만 고려하여) 'SYMBOL(/TIME) INDEX'의 최소값 (예를 들어, 'SYMBOL#1'), 'SUB-CARRIER(/FREQUENCY) INDEX'의 최대값에서 시작하여 'SYMBOL(/TIME) INDEX'를 증가시키면서 할당되고, 'SYMBOL(/TIME) INDEX'가 최대값 (예를 들어, 'SYMBOL#12')이 되면 'SUB-CARRIER(/FREQUENCY) INDEX'를 하나 감소시키고, 다시 'SYMBOL(/TIME) INDEX'의 최소값부터 'SYMBOL(/TIME) INDEX'를 증가시키면서 할당된다.
도 36 내지 도 39는 도 10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2), (규칙#1-3)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6 내지 도 39는 도 10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2), (규칙#1-3)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를 보여준다. 여기서, 일례로, (피기백되는)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을 '21'개로 가정하였다. 여기서, 일례로,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심벌 위치(/자원 위치(/크기))가 'SYMBOL#3/5/8/10'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도 40은 도 10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2)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0은 도 10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2)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를 보여준다. 여기서, 일례로, (피기백되는)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을 '21'개로 가정하였다. 여기서, 일례로,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심벌 위치(/자원 위치(/크기))가 'SYMBOL#3/5/8/10'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은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심벌(들)(/자원 위치(/크기))만 고려하여) 'SYMBOL(/TIME) INDEX'의 최소값 (예를 들어, 'SYMBOL#3'), 'SUB-CARRIER(/FREQUENCY) INDEX'의 최대값에서 시작하여 'SYMBOL(/TIME) INDEX'를 증가시키면서 할당되고, 'SYMBOL(/TIME) INDEX'가 최대값 (예를 들어, 'SYMBOL#10')이 되면 'SUB-CARRIER(/FREQUENCY) INDEX'를 하나 감소시키고, 다시 'SYMBOL(/TIME) INDEX'의 최소값부터 'SYMBOL(/TIME) INDEX'를 증가시키면서 할당된다.
도 41 내지 도 49는 도 10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3)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1 내지 도 49는 도 10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3)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를 보여준다. 여기서, 일례로, (피기백되는)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을 '21'개로 가정하였다. 여기서, 일례로,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심벌 위치(/자원 위치(/크기))가 'SYMBOL#1/3/5/8/10/12'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도 41 및/또는 도 42에서, 'SYMBOL#5'와 'SYMBOL#8'에 맵핑되는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각각 'SYMBOL#8'와 'SYMBOL#5'에 맵핑되도록 변경될 수 도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도 41의 경우, 'SYMBOL#5'에 맵핑되는 'CODED SYMBOL#3/9/15'과 'SYMBOL#8'에 맵핑되는 'CODED SYMBOL#2/8/14/20'이 각각 'SYMBOL#8'와 'SYMBOL#5'에 맵핑되도록 변경될 수 있다.
도 50은 도 10의 경우에, (규칙#1-1)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0은 도 10의 경우에, (규칙#1-1)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를 보여준다. 여기서, 일례로, (피기백되는)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을 '21'개로 가정하였다. 여기서, 일례로,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심벌 위치(/자원 위치(/크기))가 'SYMBOL#1/3/5/8/10/12'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은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심벌(들)(/자원 위치(/크기))만 고려하여) 'SYMBOL(/TIME) INDEX'의 최소값 (예를 들어, 'SYMBOL#1'), 'SUB-CARRIER(/FREQUENCY) INDEX'의 최대값에서 시작하여 'SYMBOL(/TIME) INDEX'를 증가시키면서 할당되고, 'SYMBOL(/TIME) INDEX'가 최대값 (예를 들어, 'SYMBOL#12')이 되면 'SUB-CARRIER(/FREQUENCY) INDEX'를 하나 감소시키고, 다시 'SYMBOL(/TIME) INDEX'의 최소값부터 'SYMBOL(/TIME) INDEX'를 증가시키면서 할당된다.
도 51 내지 도 54는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의 일례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기서, 일례로, 도 51 및/또는 도 52와 도 53 및/또는 도 54는 각각 도 9 및/또는 도 11, 도 10의 경우에 해당된다. 여기서, 일례로, (피기백되는)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을 '21'개로 가정하였다. 여기서, 일례로, 도 51, 도 52, 도 53, 도 54는 각각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심벌 위치(/자원 위치(/크기))가 'SYMBOL#0/1/3/4/6/7/9/10/12/13', 'SYMBOL#1/3/4/6/7/9/10/12', 'SYMBOL#0/1/3/5/6/7/8/10/12/13', 'SYMBOL#1/3/5/6/7/8/10/12'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은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심벌(들)(/자원 위치(/크기))만 고려하여) 'SYMBOL(/TIME) INDEX'의 최소값 (예를 들어, 'SYMBOL#1' (도 52), 'SUB-CARRIER(/FREQUENCY) INDEX'의 최소값에서 시작하여 'SYMBOL(/TIME) INDEX'를 증가시키면서 할당되고, 'SYMBOL(/TIME) INDEX'가 최대값 (예를 들어, 'SYMBOL#12' (도 52)이 되면 'SUB-CARRIER(/FREQUENCY) INDEX'를 하나 증가시키고, 다시 'SYMBOL(/TIME) INDEX'의 최소값부터 'SYMBOL(/TIME) INDEX'를 증가시키면서 할당된다. 여기서, 일례로, 첫번째 심벌 ('SYMBOL#0') 그리고/혹은 마지막 심벌 ('SYMBOL#13')이 'AGC 문제 완화' 그리고/혹은 '(후행하는) WAN UL TX (SF)과의 오버랩 방지' 등의 이유로 펑처링될 경우, 도 52 및/또는 도 54가 도 51 및/또는 도 53에 비해서, 더 나은 "제어(/스케줄링) 정보 송/수신 성능"을 보장 (펑처링으로 손실되는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 개수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임) 해줄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해당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은 '데이터'보다 먼저 맵핑되도록 설정 ('데이터'가 'RATE-MATCHING'되는 형태)되거나, 혹은 우선(/먼저) 맵핑된 '데이터'를 'PUNCTURING'하여 맵핑되도록 정의될 수 있다.
도 55 내지 도 58은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매핑된 일례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기서, 일례로, 도 55 및/또는 도 56과 도 57 및/또는 도58은 각각 도 12, 도 13의 경우에 해당된다. 여기서, 일례로, (피기백되는)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을 '33'개로 가정하였다. 여기서, 일례로,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규칙(/방향), 'AGC 문제 완화' 그리고/혹은 '(후행하는) WAN UL TX (SF)과의 오버랩 방지' 등의 이유로 펑처링되는 심벌 위치(/개수),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과 '데이터' 간의 맵핑 순서/펑처링(/레이트매칭) 방법 등은 도 51 내지 도 54의 경우와 동일하게 가정하였다.
도 59 내지 도 73은 도 12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3)(/(규칙#1-2))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9 내지 도 73은 도 12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3)(/(규칙#1-2))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를 보여준다. 여기서, 일례로, (피기백되는)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을 '39'개로 가정하였다. 여기서, 일례로, 첫번째 심벌 ('SYMBOL#0') 그리고/혹은 마지막 심벌 ('SYMBOL#13')은 'AGC 문제 완화' 그리고/혹은 ‘(후행하는) WAN UL TX (SF)과의 오버랩 방지' 등의 이유로 펑처링된다고 (혹은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 맵핑 용도로 이용되지 않는다고) 가정될 수 도 있다.
도 74 내지 도 82는 도 13의 경우에, 경우에, (규칙#1-1), (규칙#1-3)(/(규칙#1-2))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4 내지 도 82는 도 13의 경우에, (규칙#1-1), (규칙#1-3)(/(규칙#1-2))에 따라,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이 맵핑되는 예시를 보여준다. 여기서, 일례로, (피기백되는)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을 '39'개로 가정하였다. 여기서, 일례로, 첫번째 심벌 ('SYMBOL#0') 그리고/혹은 마지막 심벌 ('SYMBOL#13')은 'AGC 문제 완화' 그리고/혹은 '(후행하는) WAN UL TX (SF)과의 오버랩 방지' 등의 이유로 펑처링된다고 (혹은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 맵핑 용도로 이용되지 않는다고) 가정될 수 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사전에 정의(/시그널링)된)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 순위의 제어(/스케줄링) 정보 (예를 들어, 'MCS INDEX(/MODULATION ODER)' 그리고/혹은 'TBS INDEX(/TRANSPORT BLOCK SIZE)')는 도 15 내지 도 50, 도 59 내지 도 82와 같이 전송되고,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 순위의 제어(/스케줄링) 정보 (혹은 그 외의 제어(/스케줄링) 정보)는 도 51 내지 도 58과 같이 전송되도록 규칙이 정의될 수 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 순위의 제어(/스케줄링) 정보는 'EXTRA(/OUTER)-POLATION' 기반의 채널 추정이 수행되는 심벌 상에 맵핑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 순위의 제어(/스케줄링) 정보는 'INTRA-POLATION' 기반의 채널 추정이 수행되는 심벌 상에 맵핑되도록 규칙이 정의될 수 도 있다.
도 83은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 순위의 제어(/스케줄링) 정보는 'EXTRA(/OUTER)-POLATION' 기반의 채널 추정이 수행되는 심벌 상에 맵핑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 순위의 제어(/스케줄링) 정보는 'INTRA-POLATION' 기반의 채널 추정이 수행되는 심벌 상에 맵핑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3은 상대적으로 낮은 우선 순위의 제어(/스케줄링) 정보는 'EXTRA(/OUTER)-POLATION' 기반의 채널 추정이 수행되는 심벌 상에 맵핑되도록 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 순위의 제어(/스케줄링) 정보는 'INTRA-POLATION' 기반의 채널 추정이 수행되는 심벌 상에 맵핑되는 규칙이 도 28의 상황에 적용된 일례를 보여준다. 여기서, 일례로, (피기백되는) 상대적으로 높은 우선 순위와 낮은 우선 순위의 제어(/스케줄링) 정보 관련 'CODED SYMBOL(S)'을 각각 '22'개, '8'개로 가정하였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설명한 제안 방식들에서, 특정 채널 (예를 들어, 'PSSCH)을 통해서 전송되는 '(피기백되는) 제어(/스케줄링) 정보'는 '데이터'와 상이한 (사전에 정의(/시그널링)된) 'MODULATION ODER'가 적용 (혹은 '데이터'를 위해 결정된 'MODULATION ODER'가 동일하게 적용) 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제안 기법들 중에 어떤 것을 기반으로 제어(/스케줄링) 정보가 피기백될지가 기지국으로부터 시그널링 (예를 들어, 'SIB/(DEDICATED) RRC SIGNALING) 되거나, 혹은 사전에 정의될 수 도 있다. 추가적인 일례로, 특정 제어(/스케줄링) 정보가 상기 제안 기법들 중에 어떤 것을 기반으로 피기백될지 혹은 특정 제어(/스케줄링) 정보가 어느 위치의 심벌 상에 피기백될지가 기지국으로부터 시그널링되거나, 혹은 사전에 정의될 수 도 있다. 여기서, 일례로, 해당 규칙이 적용될 경우, 상이한 제어(/스케줄링) 정보 별로 적용되는 '피기백 기법' 혹은 '피기백되는 심벌 위치'가 다를 수 도 있다.
다시 도 14로 돌아와서, 단말은 매핑된 상기 코드된 심볼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한다(S1420). 이때, 상기 제어 정보는 데이터와 함께 피기백되어(PIGGYBACKED) 전송된다. 이때, 단말이 제어정보를 데이터와 함께 피기백하는 구체적인 예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설명한 제안 방식에 대한 일례들 또한 본 발명의 구현 방법들 중 하나로 포함될 수 있으므로, 일종의 제안 방식들로 간주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또한, 상기 설명한 제안 방식들은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도 있지만, 일부 제안 방식들의 조합 (혹은 병합) 형태로 구현될 수 도 있다. 일례로,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3GPP LTE 시스템을 기반으로 제안 방식을 설명하였지만, 제안 방식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범위는 3GPP LTE 시스템 외에 다른 시스템으로도 확장 가능하다. 일례로, 본 발명의 제안 방식들은 D2D 통신을 위해서도 확장 적용 가능하다. 여기서, 일례로, D2D 통신은 UE가 다른 UE와 직접 무선 채널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을 의미하며, 여기서, 일례로 UE는 사용자의 단말을 의미하지만, 기지국과 같은 네트워크 장비가 UE 사이의 통신 방식에 따라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경우에는 역시 일종의 UE로 간주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설명한 제안 방식들은 MODE 2 (V2X(/D2D)) COMMUNICATION 그리고/혹은 TYPE 1 (V2X(/D2D)) DISCOVERY (그리고/혹은 MODE 1 (V2X(/D2D)) COMMUNICATION 그리고/혹은 TYPE 2 (V2X(/D2D)) DISCOVERY)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도록 규칙이 정의될 수 도 있다. 또한, 일례로, 상기 설명한 제안 방식들은 IN-COVERAGE D2D(/V2X) UE (그리고/혹은 OUT-COVERAGE D2D(/V2X) UE) (그리고/혹은 RRC_CONNECTED D2D(/V2X) UE (그리고/혹은 RRC_IDLE D2D(/V2X) UE) 그리고/혹은 RELAY D2D(/V2X) UE (그리고/혹은 (RELAY 통신에 참여하는) REMOTE (D2D(/V2X)) UE))에게만 한정적으로 적용되도록 규칙이 정의될 수 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설명한 제안 방식들은 'PERIODIC V2X MESSAGE 전송 동작' (혹은 'EVENT-TRIGGERED V2X MESSAGE 전송 동작')에만 한정적으로 적용되도록 규칙이 정의될 수 도 있다. 또 다른 일례로, 본 발명의 (일부 혹은 모든) 제안 방법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상향링크 혹은 하향링크) 통신 환경에서도 확장 적용될 수 있다.
도 84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단말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4를 참조하면, 단말(1100)은 프로세서(1110), 메모리(1120) 및 RF부(radio frequency unit, 1130)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110)는 본 발명이 설명하는 기능/동작/방법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110)는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볼(CODED SYMBOL)을 서브프레임 상에 매핑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10)는 매핑된 상기 코드된 심볼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제어 정보는 데이터와 함께 피기백되어 전송된다.
RF부(1130)은 프로세서(1110)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Claims (12)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vehicle-to-everything) 전송 자원 선택 방법에 있어서,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벌(Coded Symbol)을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상에 매핑하되, 상기 PSSCH는 단말 간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되는 채널이고; 및
    매핑된(mapped) 상기 코드된 심벌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제어 정보는 데이터와 함께 피기백(Piggyback)되어 상기 PSSCH 상에서 전송되고,
    상기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벌의 매핑은 상기 데이터의 매핑보다 먼저 수행되고,
    상기 PSSCH 상에서 상기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볼의 자원 요소는 상기 데이터의 자원 요소와 상이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볼은 첫 번째 참조 신호가 전송되는 심볼부터 매핑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벌은 참조 신호 심벌들과 인접한 곳에 매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SSCH 상의 상기 첫 번째 참조 신호 심벌 이전의 심벌들과 마지막 참조 신호 심벌 이후의 심벌들 상에는 상기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벌이 매핑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SSCH의 동일 주파수 상에 연속적으로 매핑되는 상기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벌들 간의 간격은 최대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SSCH는 복수의 참조 신호 심벌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참조 신호 심벌은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심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는 MCS(Modulation And Coding Scheme) 인덱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가 전송되는 자원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단말(User equipment; UE)은,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 부; 및
    상기 RF부와 결합하여 동작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벌(Coded Symbol)을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상에 매핑하되, 상기 PSSCH는 단말 간 데이터 통신에서 사용되는 채널이고, 및
    매핑된(mapped) 상기 코드된 심벌을 이용하여,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되,
    상기 제어 정보는 데이터와 함께 피기백(Piggyback)되어 상기 PSSCH 상에서 전송되고,
    상기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벌의 매핑은 상기데이터의 매핑보다 먼저 수행되고,
    상기 PSSCH 상에서 상기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볼의 자원 요소는 상기 데이터의 자원 요소와 상이하고,
    상기 제어 정보에 관련된 코드된 심볼은 첫 번째 참조 신호가 전송되는 심볼부터 매핑되는, 단말.
KR1020197025046A 2017-03-17 2017-03-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제어 정보 피기백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1023543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762472596P 2017-03-17 2017-03-17
US62/472,596 2017-03-17
PCT/KR2017/002956 WO2018169113A1 (ko) 2017-03-17 2017-03-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제어 정보 피기백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775A KR20190121775A (ko) 2019-10-28
KR102354308B1 true KR102354308B1 (ko) 2022-01-20

Family

ID=635240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5046A KR102354308B1 (ko) 2017-03-17 2017-03-17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제어 정보 피기백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09361B2 (ko)
EP (1) EP3588824B1 (ko)
JP (1) JP6942812B2 (ko)
KR (1) KR102354308B1 (ko)
CN (1) CN110521154B (ko)
WO (1) WO20181691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0496B (zh) * 2017-03-31 2022-09-02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由终端发送信号以用于v2x通信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设备
CN110062349B (zh) * 2018-01-18 2021-12-03 华为技术有限公司 选择通信方式的方法、装置及车辆
US20200236667A1 (en) * 2019-01-23 2020-07-23 Lg Electronics Inc. Sidelink control information format of nr v2x
WO2021184364A1 (en) * 2020-03-20 2021-09-23 Lenovo (Beijing)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selection on nr sidelink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13831A1 (en) * 2010-04-30 2012-05-1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Determination of Carriers and Multiplexing for Uplink Control Information Transmission
WO2016090567A1 (zh) * 2014-12-10 2016-06-1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发送、接收信号的方法、装置
CN105992279A (zh) * 2015-02-02 2016-10-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数据处理方法、装置、用户设备、基站
WO2016195411A1 (ko) * 2015-06-03 2016-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v 통신을 위한 참조 신호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204590A1 (ko) * 2015-06-18 2016-1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v 통신을 위한 참조 신호 설정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209056A1 (ko) * 2015-06-26 2016-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장치 대 장치 통신 단말의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644848B2 (en) * 2015-08-13 2020-05-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Operation method of communication node supporting direct communication in network
CN105490793B (zh) * 2015-12-11 2018-10-19 工业和信息化部电信研究院 一种用于车联网的资源分配方法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uawei, HiSilicon,"Discussion of transmission parameters range of PSSCH",3GPP TSG RAN WG1 Meeting #86 R1-167151(2016.08.26)*
Huawei, HiSilicon,"DMRS enhancement of V2V",3GPP TSG RAN WG1 Meeting #84 R1-160284(2016.02.19)*
Intel Corporation,"On PSBCH physical layer design for V2V communication",3GPP TSG RAN WG1 Meeting #86bis R1-1609461(2016.10.14)*
Intel Corporation,"Sidelink DMRS enhancements for V2V communication",3GPP TSG RAN WG1 Meeting #84 R1-160430(2016.02.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07311A1 (en) 2020-04-02
EP3588824A4 (en) 2020-11-04
EP3588824A1 (en) 2020-01-01
CN110521154A (zh) 2019-11-29
EP3588824B1 (en) 2022-03-09
KR20190121775A (ko) 2019-10-28
JP2020512747A (ja) 2020-04-23
CN110521154B (zh) 2022-04-05
US11109361B2 (en) 2021-08-31
JP6942812B2 (ja) 2021-09-29
WO2018169113A1 (ko) 2018-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120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통신을 위한 단말의 동작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US11082994B2 (en) Method for V2X communication performed by means of termi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US10833829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CK/NACK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method
KR10227856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v2x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통신 수행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KR101215690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harq 수행 방법 및 장치
TWI540859B (zh) Mobile station apparatus,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153080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harq 수행 방법 및 장치
JP7286000B2 (ja) Nr v2xにおけるフィードバックリソースを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US20200127768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feedback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235430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v2x 제어 정보 피기백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단말
JP7395614B2 (ja) Nr v2xにおけるharqフィードバックオプションを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CN110547018B (zh) 在无线通信系统中通过v2x终端执行的v2x通信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终端
US20220231802A1 (en) Method and device in nodes us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JP7340087B2 (ja) Nr v2xにおけるフィードバックリソースを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KR102438117B1 (ko)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 전송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JP2023501970A (ja) Nr v2xにおけるsl送信を実行する方法及び装置
KR20210099592A (ko) 셀룰라 메쉬 네트워크에 대한 다중 경로 단대단 (end-to-end) 연결
US1158933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uplink control channel in wireless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CN105684476A (zh) 用户终端以及终端间通信方法
US20230156837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4006417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지원 단말간 통신을 위해 seal핸드오버를 적용한 통신 품질 관리 방법
KR20240064187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망 지원 단말간 통신을 위해 seal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통신 품질 관리 방법
JP2023534230A (ja) Nr v2xにおける基地局によって割り当てられるリソースに基づいてsl通信を行う方法及び装置
CN117426131A (zh) 通信方法及装置
KR2019011570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제어채널의 전송자원 결정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