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742B1 - Digital Signage System - Google Patents

Digital Signag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742B1
KR102353742B1 KR1020200121020A KR20200121020A KR102353742B1 KR 102353742 B1 KR102353742 B1 KR 102353742B1 KR 1020200121020 A KR1020200121020 A KR 1020200121020A KR 20200121020 A KR20200121020 A KR 20200121020A KR 102353742 B1 KR102353742 B1 KR 102353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electric sign
type electric
visual content
po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10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수미
김승철
김용수
Original Assignee
김수미
(주)포이든
김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미, (주)포이든, 김용수 filed Critical 김수미
Priority to KR10202001210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74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7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204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with determination of ambient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digital signage system comprising: at least one user terminal; at least one electric bulletin board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placard-shaped electric bulletin boards and an electric bulletin board control part for controlling the placard-shaped electric bulletin boards; and an operating server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by a network to receive the information of visual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and to transmit control information to the electric bulletin board module, thereby displaying the visual content on the placard-shaped electric bulletin boards as a screen, wherein the operating server provide a design form for generating the visual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Therefore, visual content posted on an electric bulletin board can be manufactured easily and excessive glare can be prevented during nighttime.

Description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Digital Signage System}Digital Signage System

본 발명은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광판에 게시되는 시각 컨텐츠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야간에 과도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gital signag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gital signage system that enables a user to easily produce visual content posted on an electric billboard and prevents excessive glare at night.

도로나 시가지에는 광고나 홍보를 하기 위해서 천으로 제작한 다양한 현수막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현수막의 난립과 방치, 훼손등으로 인하여 도시미관과 환경이 크게 손상되고 있으며, 또한 일회성 사용후에 폐기되고 있어 자원 낭비 및 폐기물 처리와 관련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Various banners made of cloth are being installed on roads and city streets for advertisements and public relations. Due to the sprawl, neglect, and damage of these banners, the aesthetics of the city and the environment are greatly damaged, and since they are discarded after one-time use, problems related to resource waste and waste disposal are raised.

한편, 이러한 종래의 현수막은 일반적으로 철재로 된 지지대를 양측에 수직으로 설치하고 다단의 현수막을 횡방향으로 양측 지지대에 고정시키거나, 지지대의 측면에서 광고판을 삽입하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such a conventional banner is generally used as a slide method in which iron supports are installed vertically on both sides and a multi-stage banner is fixed to both support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r a billboard is inserted from the side of the support.

이와 같은 종래의 현수막이나 광고판은 광고내용이 바뀔때마다 새롭게 다시 제작. 설치하여야 하므로, 다양한 영상 컨텐츠를 제공할 수 없을 뿐 아니라, 별도의 조명시설이 없기 때문에 야간에는 잘 보이지 않아 광고 효과가 떨어지며, 비 바람 등에 의해 찢기거나 방치되어 도시미관을 훼손시킨다는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새로운 현수막의 설치나, 유효기간이 지난 현수막의 제거작업에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고, 설치/제거 작업시 안전사고의 위험 또한 상존한다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Such conventional banners or billboards are re-produced every time the advertisement content changes. Since it has to be installed, various video contents cannot be provided, and because there is no separate lighting facility, it is difficult to see at night, so the advertising effect is reduced. have. In addition, there have been problems in that it takes manpower and money to install a new banner or remove an expired banner, and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lso exists during installation/removal work.

이에 따라, 최근에는 전광판을 이용한 전자 현수막이 제안되고 있으나, 사용자가 컨텐츠를 제작하기가 번거롭고, 야간에 전광판에서 발산되는 과도한 빛으로 인하여 눈부심을 유발하여 빛공해를 일으키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Accordingly, although electronic banners using electric signs have been recently proposed, there are problems in that it is cumbersome for users to produce content, and excessive light emitted from the electric signs at night causes glare and light pollution.

등록특허 제10-1076486호 (2011.10.18)Registered Patent No. 10-1076486 (2011.10.18)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전자 현수막에 표출되는 시각컨텐츠를 용이하게 제작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signage system that enables a user to easily produce visual content displayed on an electronic banner.

또한, 본 발명은 표면휘도가 일정수치 이상이 되도록 하는 시각컨텐츠는 야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gital signage system capable of preventing glare by preventing exposure of visual content having a surface luminance of a certain value or more at night.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 복수개의 현수막형 전광판, 및 상기 복수개의 현수막형 전광판을 제어하는 전광판 제어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광판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시각컨텐츠의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전광판 모듈로 제어정보를 송신하여 시각컨텐츠가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에 화면으로 표출되도록 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시각 컨텐츠 생성을 위한 디자인 서식을 제공할 수 있다.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user terminal; at least one billboard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banner-type electric signs, and an electric sig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banner-type electric signs; and an oper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to receive information of visual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 control information to the electric sign module so that the visual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n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board; and The operation server may provide a design template for generating the visual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상기 전광판 모듈은, 뉴스가 게시되는 메인전광판, 날씨와 대기정보가 게시되는 보조전광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th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billboard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main electric signboard on which news is posted, and an auxiliary signboard on which weather and atmospheric information are posted.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상기 전광판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시각컨텐츠가 화면으로 표출되는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의 위치를 달리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signage control unit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board periodically displaying visual content on the screen.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상기 전광판 제어부는, 일정시간 경과후 N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에 게시되고 있던 시각컨텐츠가 N+1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에 게시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signage control unit may cause the visual content that has been posted on the N-th banner-type electric signboard to be posted on the N+1-th banner-type electric signag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상기 전광판 제어부는, 일정시간 경과후 마지막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에 게시되고 있던 시각컨텐츠를 소정시간동안 게시하지 않도록 하고, 소정시간동안 게시되지 않고 있던 새로운 시각 컨텐츠가 첫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에 게시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signage control unit prevents the visual content posted on the last banner-type electric signage from being pos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nd the new visual content that has not been posted for a predetermined time is displayed. First, it can be posted on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board.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상기 전광판 모듈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에서 화면이 출력되는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모듈은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 각각의 화면에서 표출되는 빛의 양을 파악하여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 각각의 휘도를 측정할 수 있다. In th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ignage module includes an illuminance sensor for measuring illuminance, a plurality of banner-type electric signs spaced a certain distance apart in a direction in which a screen is output,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plurality of the banner-type billboards A module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e camera module may measure the luminan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anner-type electric signs by detecting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each screen of the plurality of banner-type electric signs.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상기 전광판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조도의 크기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에 표출되는 화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In th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signage control unit may adjust the brightness of screens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banner-type electric signs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illuminanc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가 일정값 이하이고,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 중에서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해 측정된 휘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것이 있는 경우에는 이에 해당하는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의 밝기를 조절하여,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휘도가 소정의 값 이하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lluminanc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is less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 luminance measured by the camera module among a plurality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s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is corresponds to By adjusting the brightness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board, the luminance measured by the camera module may be maintained below a predetermined value.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전광판 제어부로부터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한 영상정보 및 측정된 휘도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정보 및 측정된 휘도 정보를 통해 화면의 밝기와 시각컨텐츠의 색상 구성에 따른 휘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야간에 눈부심을 과도하게 일으킬 수 있는 시각컨텐츠의 색상구성에 대한 기준을 마련할 수 있다. In th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server receives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and the measured luminance information from the electric sign control unit, and transmits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and the measured luminance information Through this, information on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and the change in luminance according to the color composition of visual content can be collected, and standards for the color composition of visual content that can cause excessive glare at night can be prepared.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상기 운영서버가 제공하는 디자인서식은 야간에 게시하는 경우 눈부심을 과도하게 일으키지 않을 수 있는 색상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th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sign form provided by the operation server may be configured in a color scheme that may not cause excessive glare when posted at night.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서, 상기 전광판모듈은 QR코드로 마련되는 접속안내수단을 구비하여, QR코드 스캔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운영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In th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nic signage module includes a connection guide means provided with a QR code, so that the user terminal can connect to the operation server by scanning the QR code.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자는 시각컨텐츠를 게시하고자 하는 전광판모듈에 QR코드 등으로 구비되는 접속안내수단을 스캔함으로써 손쉽게 운영서버에 접속하여, 운영서버에서 제공되는 유형별 시각컨텐츠 디자인에 텍스트를 간단히 입력함으로써 게시하고자 하는 시각컨텐츠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easily connects to the operation server by scanning the connection guide means provided in the form of a QR code on the electronic signboard module to publish the visual content, and designs visual content by type provided by the operation server. You can easily create visual content to be posted by simply entering text in the .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에 의하면, 카메라모듈에 의해 각 전광판을 촬영하여 휘도를 측정하고, 주변 조도에 따라 조절된 소정의 화면밝기에서 특정 휘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야간에 시각컨텐츠의 게시에 따른 과도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electric sign is photographed by a camera module to measure the luminance, and by not exceeding a specific luminance at a predetermined screen brightness adjusted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illuminance, the visual content is displayed at night. You can prevent excessive glare from posting.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전광판 모듈의 개념도.
도 3의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에 게시되는 시각컨텐츠의 변화를 나타낸 참고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electric sign module.
A reference diagram showing a change in visual content posted on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board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of FIG. 3 has elapsed.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add, change, delete, etc. other ele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and may use other degenerative inventions or the present invention. Other embodiments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invention may be easily proposed, but this will also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In addi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function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idea shown in the drawings of th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100)의 개념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igital signag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110), 적어도 하나의 전광판 모듈(120), 운영서버(130), 및 결제서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digital signage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user terminal 110 , at least one electric sign module 120 , an operation server 130 , and a payment server ( 140) may be included.

이때에, 상기 운영서버(13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 및 상기 전광판 모듈(120)과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결제서버 (140) 또한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 및 상기 전광판 모듈(120)과 연결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operation serve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electric sign module 12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In addition, the payment server 140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and the electronic sign module 120 through a wired or wireless network.

사용자 단말기(110)는 PC, 스마트폰, PDA, 테블릿 PC, 노트북 등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130) 및 상기 결제서버(140)에 연결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PC, a smart phone, a PDA, a tablet PC, a notebook computer, and the like, and may be connected to the operation server 130 and the payment server 140 through a network.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상기 전광판 모듈(120)에 화면으로 표출되는 시각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상기 운영서버(12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user terminal 110 may transmit information on the visual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on the electric sign module 120 to the operation server 120 .

이때에, 상기 시각 컨텐츠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전광판 모듈(120)에 화면으로 표출되는 시각 컨텐츠의 내용, 시각 컨텐츠의 게시 기간, 시각 컨텐츠가 게시되는 상기 전광판 모듈(120)의 위치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nformation on the visual content may include the content of the visual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on the electric sign module 120, the posting period of the visual cont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ectric sign module 120 in which the visual content is posted, etc. can

상기 운영서버(13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시각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전광판 모듈(120)로 제어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시각 컨텐츠가 상기 전광판 모듈(120), 보다 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화면으로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operation server 130 transmits control information to the electric sign module 120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visual conten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so that the visual content is transmitted to the electric sign module 120, more specifically may be displayed on a screen on a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결제서버(14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에서 상기 운영서버(130)로 전송되는 상기 시각 컨텐츠에 대한 정보에 따라 요금을 과금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해당 요금이 결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payment server 140 may charge a fe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on the visual content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to the operation server 130 , and is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110 through a network. You can have the fee paid.

이때에, 상기 운영서버(130)는 상기 결제서버(140)를 통해 요금이 결제된 경우에만 상기 제어정보가 상기 전광판 모듈(12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operation server 130 may cause the control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to the electric sign module 120 only when the fee is paid through the payment server 140 .

도 2는 전광판 모듈(120)의 개념도이다.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the electric sign module 120 .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전광판 모듈(120)은 메인전광판(121), 보조전광판(122), 동일한 규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현수막형 전광판(123), 전광판 제어부(124), 카메라모듈(125), 및 조도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 the electric sign module 120 includes a main electric sign 121, an auxiliary electric sign 122, a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e same standard, an electric sign control unit 124, and a camera module 125. , and an illuminance sensor (not shown).

메인전광판(121)은, 도 2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전광판 모듈(12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보조전광판(122)은 상기 메인전광판(121)의 일측에 상기 메인전광판(121) 보다 작은 크기로 구비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 the main electric sign 121 may be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electric sign module 120 , and the auxiliary electric sign 122 is on one side of the main electric sign 121 , the main electric sign 121 . It may be provided in a smaller size.

현수막형 전광판(123)은 상기 메인전광판(121) 하측에 복수개가 나란히 구비될 수 있다.A plurality of banner-type electric signs 123 may be provided side by side under the main electric sign 121 .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메인전광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및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은 LCD, LED 모듈 등 컬러를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광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메인전광판(121)은 625×364 (227,500 픽셀)의 해상도로 (W)729mm×(H)417mm의 화면크기를 가지고, 상기 보조전광판은 500×750 (16,224 픽셀)의 해상도로 (W)104mm×(H)156mm의 화면크기를 가지며,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은 1250×156 (195,000 픽셀)의 해상도로 (W)6,000mm×(H)750mm의 화면크기를 가지는 LED 모듈로 구비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main billboard 121, the auxiliary electric signboard 122, and the banner-type electric signboard 123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various types of electric billboards capable of expressing colors, such as LCD and LED modules, for example. For example, the main billboard 121 has a screen size of (W)729mm×(H)417mm with a resolution of 625×364 (227,500 pixels), and the auxiliary signboard has a resolution of 500×750 (16,224 pixels) ( W) has a screen size of 104 mm × (H) 156 mm, and a plurality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s 123 are LEDs having a screen size of (W) 6,000 mm × (H) 750 mm with a resolution of 1250 × 156 (195,000 pixels) It may be provided as a module.

전광판 제어부(124)는 상기 메인전광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및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을 제어하여, 상기 메인전광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및 상기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 각각에 시각 컨텐츠가 화면으로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The electric sign control unit 124 controls the main electric sign board 121, the auxiliary electric sign board 122, and the plurality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boards 123 to control the main electric sign board 121, the auxiliary electric sign board 122, and the plurality of Visual contents may be displayed on each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s 123 on a screen.

여기에서, 상기 전광판 제어부(124)는 상기 운영서버(130)에서 전송받은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메인전광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및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 각각에 출력되는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Here, the electric sign control unit 124 outputs the main electric sign 121, the auxiliary electric sign 122, and the plurality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boards 123 according to the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operation server 130, respectively. You can control the displayed screen.

이를 통해서, 상기 전광판 제어부(124)는 예를 들어,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메인전광판(121)에는 뉴스가 게시되도록 하고, 상기 보조전광판(122)에는 날씨와 대기정보가 게시되도록 하며,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전송받은 시각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제작된 시각컨텐츠가 게시되도록 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electric sign control unit 124 causes news to be posted on the main electric sign 121, and weather and atmospheric information to be posted on the auxiliary electric sign 122, as shown in FIG. 3, for example. , on the banner-type electric signboard 123 , visual content produced based on information on the visual content received from the user terminal 110 may be posted.

이때에, 상기 전광판 제어부(124)는, 일정시간 경과 후 어느 하나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는 시각컨텐츠가 다른 하나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ectric sign control unit 124 may cause the visual content to be posted on one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s 123 to be posted on the other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도 3의 일정시간 경과 후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는 시각컨텐츠의 변화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It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change of the visual content posted on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in FIG. 3 .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광판 제어부(124)는 일정시간 경과 후 첫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고 있던 시각컨텐츠는 두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도록 하고, 두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고 있던 시각컨텐츠는 세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도록 하는 등, N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고 있던 시각컨텐츠가 N+1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a) 에서 도 3의 (b)로 변화)Referring to FIG. 3 , the electric sign control unit 124 causes the visual content that was posted on the first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to be posted on the second billboard-type electric sign 123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has elapsed, and the second billboard-type electric sign Visual content being posted on 123 is posted on the third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and so on, and the visual content being posted on the N-th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is the N+1-th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 can be posted. (Changed from (a) of FIG. 3 to (b) of FIG. 3)

이때에, 상기 전광판 제어부(124)는 마지막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고 있던 시각컨텐츠가 첫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의 갯수보다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어야할 시각컨텐츠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마지막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고 있던 시각컨텐츠를 소정시간동안 게시하지 않도록 하고, 소정시간동안 게시되지 않고 있던 새로운 시각 컨텐츠가 첫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electric sign control unit 124 may cause the visual content that was last posted on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board 123 to be posted on the first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and the number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is higher than that of the first. When the number of visual content to be posted on the banner-type electric signboard 123 is large, the last visual content posted on the banner-type electric signboard 123 is not pos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a new time that has not been posted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content may be posted on the first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

즉, 상기 전광판 제어부(124)는 주기적으로 시각컨텐츠가 화면으로 표출되는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의 위치를 달리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electric sign control unit 124 may periodically change the position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in which the visual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예를 들어,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이 4개가 구비되고, 게시하여야할 시각 컨텐츠가 6개인 경우에, 5초 경과후에는 첫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어 있던 시각컨텐츠는 두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도록 하고, 두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고 있던 시각컨텐츠는 세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세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고 있던 시각컨텐츠는 네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도록 하고, 네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고 있던 시각컨텐츠는 10초간 게시되지 않도록 하며, 게시되지 않고 있던 새로운 시각컨텐츠를 첫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four banner-type electric signs 123 are provided and there are six visual contents to be posted, after 5 seconds, the first visual content posted on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is the second. Displayed on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the second visual content being posted on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can be posted on the third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and the third on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The visual content that was being posted is posted on the fourth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and the visual content that has been posted on the fourth billboard-type electric sign 123 is not posted for 10 seconds, and new visual content that has not been posted is displayed first. It can be posted on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

다시 말해서, 어느 하나의 시각컨텐츠가 게시되는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의 위치를 달리하면서 20초가 게시되고, 10초 동안은 게시되지 않는 형태를 주기적으로 반복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eriodically repeat a form in which 20 seconds are posted and not posted for 10 seconds while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in which any one visual content is posted.

뿐만아니라, 상기 전광판 제어부(124)는 상술한 바와는 반대방향으로, N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고 있던 시각컨텐츠가 N-1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3의 (b)에서 도 3의 (a)로 변화) In addition, the electric sign control unit 124 may cause the visual content being posted on the N-th banner-type electric billboard 123 to be posted on the N-1th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above. have. (Changed from (b) of FIG. 3 to (a) of FIG. 3)

이와 같이, 상기 전광판 제어부(124)는 주기적으로 시각컨텐츠가 다른 위치의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되도록 하여, 위치에 따른 시각컨텐츠의 노출도를 일정하게 할 수 있으며, 현수막형 전광판(123)의 갯수보다 게시되어야할 시각컨텐츠의 수가 많은 경우에도 동일한 시간 동안 노출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electric sign control unit 124 may periodically display the visual content on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at a different location, so that the exposure of the visual content according to the location can be constant, and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Even when the number of visual contents to be posted is greater than the number of

다른 한편으로, 상기 전광판 제어부(124)는,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을 통합된 하나의 전광판으로서 활용하여 하나의 시각컨텐츠를 모든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걸쳐 화면으로 표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sign control unit 124, as shown in FIG. 4, utilizes a plurality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boards 123 as one integrated electric signboard to convert one visual content to all the billboard-type electric signs 123. )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카메라모듈(125)은 상기 메인전광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및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서 화면이 출력되는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전광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및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을 촬영할 수 있다. The camera module 125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direction in which a screen is output from the main electric sign 121, the auxiliary electric sign 122, and the plurality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s 123, and the main electric sign ( 121), the auxiliary electric sign 122, and a plurality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may be photographed.

이를 통하여, 상기 카메라모듈(125)은 상기 메인전광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및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 각각의 화면에서 표출되는 빛의 양을 파악하여 상기 메인전광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및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 각각의 휘도를 측정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camera module 125 detects the amount of light displayed on each screen of the main electric sign board 121, the auxiliary electric sign board 122, and the plurality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board 123, and the main electric sign board ( 121), the auxiliary electric sign 122, and the plurality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may measure the luminance of each.

조도센서(미도시)는 상기 메인전광판(121), 상기 보저전광판(122), 및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하나 이상 구비되어 조도를 측정할 수 있다. At least one illuminance sensor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main electric sign board 121 , the supplementary electric sign 122 , and the plurality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boards 123 to measure the illuminance.

여기에서, 상기 전광판 제어부(124)는 상기 메인전광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및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표출되는 화면의 밝기 조절이 가능할 수 있는데, 상기 전광판 제어부(124)는 상기 조도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되는 조도의 크기에 따라 상기 메인전광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및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표출되는 화면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Here, the electric sign control unit 124 may control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ain electric sign board 121, the auxiliary electric sign board 122, and the plurality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boards 123. 124)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ain electric sign 121, the auxiliary electric sign 122, and the plurality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s 123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lluminanc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not shown). can

다시 말해서, 상기 전광판 제어부(124)는 조도가 낮을 경우에는 상기 메인전광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및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표출되는 화면의 밝기를 어둡게 하고, 조도가 높을 경우에는 상기 메인 전광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및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표출되는 화면의 밝기를 밝게하여 시인성을 일정수준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the illuminance is low, the electric sign control unit 124 dims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ain electric sign 121, the auxiliary electric sign 122, and the plurality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boards 123, and dims the illuminance. When is high, the brightness of the screens displayed on the main electric sign board 121, the auxiliary electric sign board 122, and the plurality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boards 123 can be brightened to maintain visibility above a certain level.

한편, 상기 카메라모듈(125)에 의해 측정되는 상기 메인전광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및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 각각의 휘도는 상기 메인전광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및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 각각에서 화면으로 표출되는 시각컨텐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력되는 시각컨텐츠의 색상구성에 따라 휘도가 달라질 수 있는데, 백색이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경우 휘도가 높아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특히 야간에 보행자나 운전자에게 눈부심을 일으켜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교통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는 위험이 존재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luminance of each of the main electric sign 121, the auxiliary electric sign 122, and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measured by the camera module 125 is the main electric sign 121, the auxiliary electric sign 122 ),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visual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in each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board 123 . More specifically, the luminance may vary depending on the color composition of the output visual content. If white occupies a large portion, the luminance may increase, which may cause glare to pedestrians or drivers, particularly at night, which may cause inconvenience. Not only that, there may be a risk that may cause a traffic accident.

따라서, 화면으로 표출되는 시각컨텐츠의 색상구성에 따라서, 상기 메인 전광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및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표출되는 화면의 밝기를 조절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displayed on the main electric sign 121, the auxiliary electric sign 122, and the plurality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boards 123 according to the color configuration of the visual content displayed on the screen. .

이를 위하여, 상기 전광판 제어부(124)는 상기 조도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된 조도가 일정값 이하이고, 상기 메인전광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또는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 중에서 상기 카메라모듈(125)에 의해 측정된 휘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것이 있는 경우에는 이에 해당되는 전광판(121, 122, 123)의 밝기를 조절하여, 측정되는 휘도가 소정의 값 이하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To this end, in the electric sign control unit 124, the illuminanc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not shown) is equal to or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and the main electric sign 121, the auxiliary electric sign 122, or a plurality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 if the luminance measured by the camera module 125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the brightness of the corresponding electric signs 121, 122, and 123 is adjusted so that the measured luminance is maintained below a predetermined value. can do.

이와 같이, 상기 전광판 제어부(124)는 조도에 따라서만 상기 메인전광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및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조도가 일정값 이하인 경우, 다시 말해서 야간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전광판(121, 122, 123)의 휘도를 소정의 값 이하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보행자 또는 운전자의 눈부심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야간 빛공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In this way, the electric sign control unit 124 does not adjust the brightness of the main electric sign 121, the auxiliary electric sign 122, and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only according to the illuminance, but when the illuminance is less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In other words,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ighttime, the luminance of each electric sign board (121, 122, 123) can be maintained below a predetermined value, so that glare of pedestrians or drivers can be prevented, and night light pollution can be minimized. have.

다시 말해서, 상기 메인전광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및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표출되는 시각컨텐츠의 색상 구성에 따라 각 전광판(121, 122, 123)의 휘도가 달라질 수 있으며, 특히 밝은 색의 구성이 많은 경우에는 휘도가 높아져 보행자 또는 운전자의 눈부심을 일으킬 수 있는데, 상기 전광판 제어부(124)는 시각컨텐츠의 구성에 따라 각각의 전광판(121, 122, 123)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어 이를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In other words, the luminance of each electric sign board (121, 122, 123) may vary according to the color configuration of the visual content displayed on the main electric sign board 121, the auxiliary electric sign board 122, and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 in particular, when there are many bright colors, the luminance is increased, which may cause glare of pedestrians or drivers. There is an effect that this can be prevented.

예를 들어, 상기 전광판 제어부(124)는 상기 조도센서(미도시)에서 측정되는 조도가 일정값이하인 경우 야간이라고 판단할 수 있고, 야간이라고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 메인전광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및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 각각의 평균휘도값이 1000cd/㎡ 이하가 되도록 상기 메인전공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및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lluminanc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not show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value, the electric sign control unit 124 may determine that it is nighttime, an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is night, the main electric sign 121 and the auxiliary electric sign board (122), and the brightness of the main electric sign 121, the auxiliary electric sign 122, and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so that the average luminance value of each of the billboard-type electric sign boards 123 is 1000 cd/m2 or less. can be adjusted

한편, 상기 운영서버(130)는 상기 전광판 제어부(124)로부터 상기 카메라모듈(125)에서 촬영된 영상정보 및 측정된 휘도 정보를 전송받을 수 있다. Meanwhile, the operation server 130 may receive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25 and the measured luminance information from the electric sign control unit 124 .

이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130)는 상기 메인전광판(121), 상기 보조전광판(122), 및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서 표출되는 시각컨텐츠를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상기 운영서버(130)는 상기 카메라모듈(125)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에 전송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시각컨텐츠가 제대로 게시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Through this, the operation server 130 can monitor the visual content displayed on the main electric sign 121, the auxiliary electric sign 122, and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and the operational server 130 is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25 can be transmitted to the user terminal 110 , and through this, the user can check whether the visual content is properly posted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

또한, 상기 운영서버(130)는 상기 카메라모듈(125)에서 촬영된 영상정보 및 측정된 휘도정보를 통해 화면의 밝기와 시각컨텐츠의 색상 구성에 따른 휘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130)는 야간에 게시하는 경우 눈부심을 과도하게 일으킬 수 있는 시각컨텐츠의 색상구성에 대한 기준을 마련할 수 있고, 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기 제공함으로써 야간에 눈부심을 일으킬 수 있는 시각컨텐츠가 상기 전광판모듈(120)에 게시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server 130 may collect information on the change in brightness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and the color composition of the visual content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25 and the measured brightness information. Through this, the operation server 130 can prepare a standard for the color composition of visual content that can cause excessive glare when posted at night, and the user terminal 110 provides this to reduce glare at night.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at the visual content that may be caused is posted on the electric sign module 120 .

다른 한편으로, 상기 운영서버(130)는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123)에 게시될 수 있는 시각컨텐츠의 생성을 위한 디자인서식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에 제공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server 130 may provide the user terminal 110 with a design template for generating visual content that can be posted on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123 .

이때에, 상기 디자인서식은 간단한 텍스트 등을 입력하면 시각컨텐츠를 완성할 수 있는 형태의 디자인서식일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esign form may be a design form in which visual content can be completed by inputting simple text or the like.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를 통해 상기 운영서버(130)에서 제공된 디자인서식에 원하는 텍스트를 입력함으로써 손쉽게 시각컨텐츠의 내용을 구성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compose the contents of the visual content by inputting the desired text into the design form provided by the operation server 130 through the user terminal 110 .

또한, 운영서버(130)에서 제공되는 상기 디자인서식은 일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게시 목적이나 업종 등에 따라 분류되어 제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sign form provided by the operation server 130 may be provided by being classified according to a certain standard, for example, may be provided by being classified according to a posting purpose or industry.

이때에, 상기 운영서버(130)에서 제공되는 디자인서식은 야간에 게시하는 경우 눈부심을 과도하게 일으키지 않을 수 있는 색상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상기 운영서버(130)가 상기 카메라모듈(125)에서 촬영된 영상정보 및 측정된 휘도정보를 통해 화면의 밝기와 시각컨텐츠의 색상 구성에 따른 휘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통해 마련된 기준에 의해 검증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esign form provided by the operation server 130 may be configured in a color configuration that may not cause excessive glare when posted at night, which is the operation server 130 in the camera module 125 . Through the photographed image information and the measured luminance information,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and the information on the luminance change according to the color composition of the visual content can be verified by the standards prepared.

한편, 상기 전광판모듈(12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가 상기 운영서버(130)에 손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접속안내수단(미도시)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the electric sign module 12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on guide means (not shown) so that the user terminal 110 can easily access the operation server 130 .

이때에, 상기 접속안내수단(미도시)은, 예를 들어 QR코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는 QR코드로 구비되는 상기 접속안내수단(미도시)을 스캔하여 상기 운영서버(130)에 접속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nection guide means (not shown) may be provided with, for example, a QR code, and the user terminal 110 scans the connection guide means (not shown) provided with a QR code to the operation server 130 can be accessed.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별도의 검색수단 등을 동원하지 않고도, 손쉽게 QR코드 검색을 통해 상기 운영서버(130)에 접속할 수 있다. Through this, the user can easily access the operation server 130 through QR code search without using a separate search means.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자현수막 시스템(100)에 의하면, 사용자는 시각컨텐츠를 게시하고자 하는 전광판모듈(120)에 QR코드 등으로 구비되는 접속안내수단을 스캔함으로써 손쉽게 운영서버(120)에 접속하여, 운영서버(120)에서 제공되는 유형별 시각컨텐츠 디자인에 텍스트를 간단히 입력함으로써 게시하고자 하는 시각컨텐츠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카메라모듈(125)에 의해 각 전광판을 촬영하여 휘도를 측정하고, 주변 조도에 따라 조절된 소정의 화면밝기에서 특정 휘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야간에 시각컨텐츠의 게시에 따른 과도한 눈부심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lectronic banner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server 120 by scanning the connection guide means provided in the form of a QR code on the electronic sign module 120 to which the user wants to post visual content.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easily produce visual content to be posted by simply inputting text into the visual content design for each type provided by the operation server 120 by accessing the It is possible to prevent excessive glare due to the posting of visual content at night by measuring and not exceeding a specific luminance at a predetermined screen brightness adjusted according to the ambient illuminanc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In the abov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110: 사용자 단말기 120: 전광판 모듈
121: 메인전광판 122: 보조전광판
123: 현수막형 전광판 124: 전광판 제어부
125: 카메라 모듈 130: 운영서버
140: 결제서버
100: digital signag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user terminal 120: electric sign module
121: main electronic board 122: auxiliary electronic board
123: banner-type electric sign 124: electric sign control unit
125: camera module 130: operation server
140: payment server

Claims (11)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단말기;
복수개의 현수막형 전광판, 및 상기 복수개의 현수막형 전광판을 제어하는 전광판 제어부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광판 모듈;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시각컨텐츠의 정보를 수신받고, 상기 전광판 모듈로 제어정보를 송신하여 시각컨텐츠가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에 화면으로 표출되도록 하는 운영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시각 컨텐츠 생성을 위한 디자인 서식을 제공하며,
상기 전광판 모듈은,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에서 화면이 출력되는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을 촬영하는 카메라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모듈은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 각각의 화면에서 표출되는 빛의 양을 파악하여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 각각의 휘도를 측정하고,
상기 전광판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되는 조도의 크기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에 표출되는 화면의 밝기를 조절하되,
상기 조도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가 일정값 이하이고, 복수개의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 중에서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해 측정된 휘도가 소정의 값 이상인 것이 있는 경우에는 이에 해당하는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의 밝기를 조절하여, 상기 카메라모듈에 의해 측정되는 휘도가 소정의 값 이하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at least one user terminal;
at least one billboard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banner-type electric signs and an electric sig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lurality of banner-type electric signs; and
An operation server connected to the user terminal through a network to receive information of visual content from the user terminal, and transmit control information to the electric sign module so that the visual content is displayed on the screen on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board;
The operation server provides a design template for generating the visual content to the user terminal,
The signboard module is
an illuminance sensor that measures illuminance,
A plurality of the banner-type billboards are spaced apart a certain distan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creen is output, further comprising a camera module for photographing the plurality of the banner-type billboards,
The camera module measures the luminan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anner-type electric billboards by determining the amount of light emitted from the scree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banner-type electric signs,
The electric sign control unit adjusts the brightness of the screens displayed on the plurality of banner-type electric signs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illuminanc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When the illuminance measured by the illuminance sensor is less than or equal to a certain value, and the luminance measured by the camera modul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among the plurality of banner-type electric signs, the corresponding brightness of the corresponding banner-type electric sign is adjusted, A digital sig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luminance measured by the camera module is maintained below a predetermined valu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광판 모듈은, 뉴스가 게시되는 메인전광판, 날씨와 대기정보가 게시되는 보조전광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signage module, digital sig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main electric signboard on which news is posted, and an auxiliary signboard on which weather and atmospheric information are pos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광판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시각컨텐츠가 화면으로 표출되는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의 위치를 달리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signage control unit is a digital sig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of the banner-type electric signboard periodically displayed on the screen to be displayed differentl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광판 제어부는, 일정시간 경과후 N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에 게시되고 있던 시각컨텐츠가 N+1번째 또는 N-1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에 게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electronic signage control unit, digital sig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visual content that has been posted on the N-th banner-type electric sign board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is posted on the N+1-th or N-1th banner-type electric sign boar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광판 제어부는, 일정시간 경과후 마지막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에 게시되고 있던 시각컨텐츠를 소정시간동안 게시하지 않도록 하고, 소정시간동안 게시되지 않고 있던 새로운 시각 컨텐츠가 첫번째 상기 현수막형 전광판에 게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electric sign control unit prevents the visual content that was last posted on the banner-type electric sign board from being posted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a certain time has elapsed, and new visual content that has not been posted for a predetermined time is posted on the first banner-type electric sign board Characterized digital signage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는,
상기 전광판 제어부로부터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한 영상정보 및 측정된 휘도 정보를 전송받고, 상기 카메라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정보 및 측정된 휘도 정보를 통해 화면의 밝기와 시각컨텐츠의 색상 구성에 따른 휘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야간에 눈부심을 과도하게 일으킬 수 있는 시각컨텐츠의 색상구성에 대한 기준을 마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operating server is
Receive image information and measured luminanc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from the electric sign control unit, and change in luminance accor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screen and the color composition of visual content through the image informati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module and measured luminance information A digital sig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llects information about and prepares a standard for color composition of visual content that can cause excessive glare at night.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서버가 제공하는 디자인서식은 야간에 게시하는 경우 눈부심을 과도하게 일으키지 않을 수 있는 색상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design form provided by the operation server is a digital sig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color configuration that can not cause excessive glare when posted at nigh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광판모듈은 QR코드로 마련되는 접속안내수단을 구비하여, QR코드 스캔을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운영서버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사이니지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nic signage module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guide means provided with a QR code, the digital signag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user terminal can connect to the operation server by scanning the QR code.
KR1020200121020A 2020-09-19 2020-09-19 Digital Signage System KR1023537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020A KR102353742B1 (en) 2020-09-19 2020-09-19 Digital Signag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1020A KR102353742B1 (en) 2020-09-19 2020-09-19 Digital Signag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742B1 true KR102353742B1 (en) 2022-01-20

Family

ID=80052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1020A KR102353742B1 (en) 2020-09-19 2020-09-19 Digital Signag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74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380B1 (en) * 2010-03-04 2011-02-18 (주)인컴이즈 Electric indicator system
KR20110100885A (en) * 2010-03-05 2011-09-15 김석원 Multistack electronic placard board system
KR20120137068A (en) * 2011-06-10 2012-12-20 주식회사 비쥬얼스톰 The deul led signboard with solarcell
KR101934327B1 (en) * 2018-03-21 2019-01-02 천병민 System for compensating luminance in LED display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380B1 (en) * 2010-03-04 2011-02-18 (주)인컴이즈 Electric indicator system
KR20110100885A (en) * 2010-03-05 2011-09-15 김석원 Multistack electronic placard board system
KR101076486B1 (en) 2010-03-05 2011-10-24 김석원 Multistack electronic placard board system
KR20120137068A (en) * 2011-06-10 2012-12-20 주식회사 비쥬얼스톰 The deul led signboard with solarcell
KR101934327B1 (en) * 2018-03-21 2019-01-02 천병민 System for compensating luminance in LED displa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29829B (en) Electronic display panels for automobiles
RU2478231C2 (en) Advertisement display system
KR100805684B1 (en) Led display board presenting brightness and color differently by weather
CN101675376B (en) Methods and systems for adjusting backlight luminance
US20120188146A1 (en) Display scree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US9738225B1 (en) Electronic display panels for buses
KR20190006325A (en) Road lighting board having IoT
KR102353742B1 (en) Digital Signage System
Domke et al. Digital billboards and road safety
KR20120114624A (en) Led signboard and advertising method of led signboard for vehicle
CN202512855U (en) LED-LCD-canvas (light-emitting diode-liquid crystal display-canvas) multimedia display screen
KR102228384B1 (en) Content display apparatus assembled digital signage and smart lighting
KR102597620B1 (en) Advertising method using electronic bulletin board
Domke et al. Large-sized digital billboards hazard
Zalesinska et al. Examination of luminance distributions in the field of Vision of drivers in locations with LED billboards
KR102542249B1 (en) Electronic bulletin board system using electronic banners
KR101021313B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data for driving led and method thereof
Bullough Brief communication: impact of sign panel luminance on visual comfort
Grieser 30‐2: Late‐News Paper: LED Outdoor Display‐the new advertising column‐challenges and requirements
WO2015041625A1 (en) Projection extender
KR20190059855A (en) Method and system for screen service based on electronic display
KR102232073B1 (en) Photovoltaic Outdoor Advertising System
KR102390514B1 (en) Method for managing managing power consumption of LED(light emitting diode) sign and LED sign for performing the method
JP2020160375A (en) Multi-functional electric pole system
KR102346203B1 (en) Electronic Display Board With automatic brightness adjus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