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461B1 -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461B1
KR102353461B1 KR1020200115997A KR20200115997A KR102353461B1 KR 102353461 B1 KR102353461 B1 KR 102353461B1 KR 1020200115997 A KR1020200115997 A KR 1020200115997A KR 20200115997 A KR20200115997 A KR 20200115997A KR 102353461 B1 KR102353461 B1 KR 102353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ower
buck
termina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5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범
Original Assignee
지에스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5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34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4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8Electrical distribution cen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42The other DC source being a battery actively interacting with the first one, i.e. battery to battery charg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4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15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156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 H02M3/15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with automatic control of output voltage or current, e.g. switching regulators including plural semiconductor devices as final control devices for a single load
    • H02M3/1582Buck-boost co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6Electric voltages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점화장치(23)로부터의 ACC 신호선을 절단하고 자동차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더블 입력라인만 입력받는 입력단자(P1, P2);
직류전원을 출력시키는 출력단자부(41);
벅부스트회로를 내장하여 무시동시 자동차 배터리(20) 전원을 내부출력단자(T1,T2)를 통하여 내장된 보조배터리(40)로 충전하는 무시동주행 충전기(110)를 포함하며, 입력단자(P1, P2)와 출력단자부(41)가 하우징에 설치된 더블트윈 파워뱅크(100)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이다.

Description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Double Twin Power Bank System}
본 발명은 2개의 입력전원선과 2개의 배터리를 이용하여 차량에서 자동차배터리를 무시동시에 이용하여 보조배터리에 충전토록 하여 보조배터리의 효율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자동차배터리가 구비되어 주행중에는 자동차배터리를 충전하고, 시동전에는 ACC 단자 전원을 이용하여 내부 전원을 사용하며, 최근에는 보조배터리를 부가하여 자동차배터리가 만충전되면 보조배터리도 충전토록 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러한 예로는 도 1 과 같이 자동차배터리(20)의 출력을 입력단자(P1,P2)로, 점화장치(23)의 ACC신호를 다른 입력단자(P3)로 구분하여 주행충전기(30)의 입력단자로 연결하고, 주행충전기(30)의 출력단자(T1,T2)는 보조배터리(40)에 연결한다.
도 2는 도 1 의 세부회로 예시도로, 주행충전기(30)는 입력단자(P1,P2,P3)와 출력단자(T1,T2)를 구비한다. 입력단자(P1,P2)는 자동차배터리(20)의 단자측과 연결하고, 자동차배터리(20)의 단자측에는 발전용 차량용발전기(21)(직류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정류회로 도시는 생략 함), 엔진(도시하지 않음)을 시동하는 시동용모터(22)를 구동하는 점화스위치(23)를 포함하여, 점화스위치(23)의 ACC신호는 입력단자(P3)와 연결한다.
입력단자(P1)는 과부하방지 퓨즈(10) 및 평활회로(12)를 거쳐 벅부스트제어부(15)의 입력단자(IN1)로 인가되고, 입력단자(IN1)에는 또한 저항(R4) 일단을 연결하고 저항(R4)의 다른단은 벅부스트제어부(15)의 입력단(IN2)으로 인가되며, 입력단(IN2)은 또한 소스접지의 엔채널에프이티(F15)의 드레인과 접속하고, 엔채널에프이티(F15)의 게이트는 입력단자(P3)와 연결된다.
벅부스트제어부(15)의 출력단자(OUT1~OUT4)는 벅부스트충전 스위치부(16)를 벅, 부스트 기능을 하도록 제어하며, 벅부스트충전 스위치부(16)의 스위칭 출력은 전류검출부(16-1) 기능의 저항(R3)을 통과하고, 저항(R3) 양단은 벅부스트제어부(15)의 입력단(IN4,IN5)과 연결한다.
전류검출부(16-1)를 통과한 포트와 접지는 보조베터리(40)와 연결하는 출력단자(T1,T2)와 연결한다. 이중 출력단자(T1)는 또한 직렬 저항(R1,R2)으로 분배되는 전압검출기(16-2)를 부가하고, 직렬 저항(R1,R2)의 공통노드는 검출전압을 입력단(IN3)으로 피드백시킨다.
이러한 방식은 주행중에만 주행충전기(30)의 벅부스트제어부(15)가 벅, 부스트 기능을 수행하여 보조배터리(40)를 중전하므로, 시동을 끈 후 보조배터리를 사용할 때는 자동차배터리(20)의 전원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점화스위치와 연동하는 ACC 신호를 차단하여 입력단자는 2개만 사용하고, 무시동시에도 자동차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보조배터리 전원을 충전가능토록 하여 보조배터리 사용시간과 용량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무시동자동충전기의 입력단자에 자동차배테리의 전원극성을 바꾸어 연결하여도 작동을 멈추어 내부회로 및 보조배터리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전압방지부를 두어 안정성을 극대화한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무시동자동충전기의 하나의 입력단자에 전압검출기를 부가하고, 전압검출기에서는 무시동 상태에서 자동차배터리의 전압 레벨를 검출하여 시동 가능한 최저레벨의 전압(12.1~12.3V) 이상일 때 까지 벅부스트제어부의 입력단자(IN2)에 충전 가능한 상태의 신호(예를들어 로레벨)를 인가하여, 무시동 상태에서도 자동차배터리가 최저 시동 가능한 상태까지는 보조배터리로 충전되도록 하여 무시동상태에서도 충전 가능토록 하는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무시동자동충전기의 내부 출력단자(T1)에 정전압 정전류제어부를 부가하고,
정전압 정전류제어부는 보조배터리의 만 충전전압을 예를들어 14.6V로 산정하여 이를 저항(R17,R18)의 분배 전압으로 벅부스트제어회로의 입력단자(I3)에서 인식도록 하여, 14.6볼트를 초과하면 벅부스트제어부에서 벅부스트스위치부를 오프시켜 충전을 중단하고, 14.6볼트 미만이면 벅부스트스위치부를 온시켜 충전을 유지하여 보조배터리의 안정성도 제공하는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원 발명은 자동차 점화장치로부터의 ACC 신호선을 절단하고 자동차배터리로부터 양 전원을 더블 입력라인으로 입력받는 입력단자;
직류전원을 출력시키는 출력단자부;
벅부스트회로를 내장하여 무시동시 자동차 배터리 전원을 내부출력단자를 통하여 내장된 보조배터리로 충전하는 무시동주행 충전기를 포함하며,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부가 하우징에 설치된 더블트윈 파워뱅크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무시동주행 충전기는 입력단자로 자동차배터리의 충전전원을 인가받아 벅부스트제어부로만 인가하는 역전압방지부와;
충전전원을 기초로 벅부스트제어부의 지령에 따라 보조배터리로의 전원을 내부출력단자를 통하여 인가하도록 스위칭하는 벅부스트충전 스위치부와;
충전전원을 분배하는 전압전류분배기와;
충전전원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기준전압보다 적으면 충전 지시용 하이레벨을 인가하고, 기준전압을 초과하면 충전을 정지토록 하는 로레벨을 벅부스트제어부 입력단자(IN2)에 인가하는 전압검출기; 및
비교기의 비반전단자에 보조배터리 음전위와 접지사이의 저항에 의한 전위로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와, 비교기의 반전단자와 출력단에 저항 및 다이오드로 이루어지고 분배전압이 벅부스트제어부의 피드백 입력단으로 인가되는 정전압 정전류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한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점화스위치와 연동하는 ACC 신호를 차단하여 입력단자는 2개만 사용하고, 무시동시에도 자동차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보조배터리 전원을 충전가능토록 하여 보조배터리 사용시간과 용량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시동자동충전기의 입력단자에 자동차바테리의 전원극성을 바꾸어 연결하여도 작동을 멈추어 내부회로 및 보조배터리의 손상을 방지하는 역전압방지부를 두어 안정성을 극대화한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시동자동충전기의 하나의 입력단자에 전압검출기를 부가하고, 전압검출기에서는 무시동 상태에서 자동차배터리의 전압 레벨를 검출하여 시동 가능한 최저레벨의 전압(12.1~12.3V) 이상일 때 까지 벅부스트제어부의 입력단자(IN2)에 충전 가능한 상태의신호(예를들어 로레벨)를 인기하여, 무시동 상태에서도 자동차배터리가 최저 시동 가능한 상태까지는 보조배터리로 충전되도록 하여 무시동상태에서도 충전 가능토록 하는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무시동자동충전기의 내부 출력단자(T1)에 정전압 정전류제어부를 부가하고,
정전압 정전류제어부는 보조배터리의 만 충전전압을 14.6V로 산정하여 저항(R17,R18)의 분배 전압을 벅부스트제어회로의 입력단자(I3)에서 인식도록 하여, 14.6볼트를 초과하면 벅부스트제어부에서 벅부스트스위치부를 오프시켜 충전을 중단하고, 14.6볼트 미만이면 벅부스트스위치부를 온시켜 충전을 유지하여 보조배터리의 안정성도 제공하는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을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주행충전기 결선도,
도 2는 도 1의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 실물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 연결도,
도 5는 본 발명의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무시동주행충전기를 이루는 전압검출기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무시동주행충전기를 이루는 정전압 정전류제어부 회로도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도 3내지 7에서와 같이, 점화장치(23)로부터의 ACC 신호선을 절단하고 자동차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더블 입력라인 으로 입력받는 입력단자(P1, P2);
직류전원을 출력시키는 출력단자부(41);
벅부스트회로를 내장하여 무시동시 자동차 배터리(20) 전원을 내부출력단자(T1,T2)를 통하여 내장된 보조배터리(40)로 충전하는 무시동주행 충전기(110)를 포함하며, 입력단자(P1, P2)와 출력단자부(41)가 하우징에 설치된 더블트윈 파워뱅크(10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무시동주행 충전기(110)는 입력단자(P1,P2)로 자동차배터리(20)의 충전전원을 인가받아 벅부스트제어부(15)로만 인가하는 역전압방지부(11)와;
충전전원을 기초로 벅부스트제어부(15)의 지령에 따라 보조배터리(40)로의 전원을 내부출력단자(T1,T2)를 통하여 인가하도록 스위칭하는 벅부스트충전 스위치부(16)와;
충전전원을 분배하는 전압전류분배기(13)와;
충전전원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기준전압보다 적으면 충전 지시용 하이레벨을 인가하고, 기준전압을 초과하면 충전을 정지토록 하는 로레벨을 벅부스트제어부 입력단자(IN2)에 인가하는 전압검출기(14); 및
비교기(17-3)의 비반전단자에 보조배터리(40) 음전위와 접지사이의 저항에 의한 전위로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17-2)와, 비교기(17-3)의 반전단자와 출력단에 저항(R17~R20) 및 다이오드(D17)로 이루어지고 분배전압이 벅부스트제어부(15)의 피드백 입력단(IN3)으로 인가되는 정전압 정전류제어부(17)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전압검출기(14)의 반전단자에는 충전전원을 분배하도록 직결된 저항(R14-1, R14-2, R14-3)과,
상기 저항(R14-3)의 양단에 드레인과 소오스단이 연결되어 히스테리시스 기능을 하도록 게이트는 비교기(14-1) 출력단에 연결된 앤채널에프이티의 히스테리스스회로(14-2)와,
상기 비교기(14-1) 출력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14-3)와,
지연회로(14-3) 출력시 선택 구동하여 벅부스트제어부(15) 입력단(IN2)으로 출력을 인가하여 푸시풀 기능을 하는 스위칭에프이티(14-4, 14-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역전압방지부(11)는 자동차배터리(20) 출력단이 휴즈(10)를 경유해 드레인에 인가되고 드레인과 소오스 사이에 기생다이오드가 순방향으로 내장된 피채널에프이티(11-2)와,
피채널에프이티(11-2)의 소오스단에 결합되고 공통노드는 피채널에프이티(11-2)의 게이트에 연결된 직렬의 분배저항(R11,R11-1)과,
상기 저항(R11)에 병렬로 접속되고 애노드단에 게이트가 연결되어 역전압 발생시 게이트를 오프시켜 자동차배터리로의 역전압 인가를 방지하는 제너다이오드(ZD11)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전압검출기(14)로 인가되는 충전전원은 전압전류 분배기(13)에도 인가되며,
전압전류 분배기(13)는 병렬 연결된 저항(R13, R13-1)과,
상기 저항(R13, R13-1)과 직렬접속되며 상호 병렬접속되고 타단은 접지된 저항(R13-2, R13-2)으로 이루어진다.
본원발명의 출력단자부(41)는 도 3에서와 같이(외부 하우징을 일부 생략하고 도시한 것임은 알 수 있을 것이다), 대전류출력단자(41a), 시거잭출력단자(41b), DC잭출력단자(41C) DC12V출력단자(41d)를 포함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와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을 사용할 때,
1)자동차배터리(20)의 전원단자와 극성을 달리하여 연결한 경우는 역전압 방지부(11)에 의하여 전원인가가 보조배터리(40)로 인가되지 않도록 기능하여 무시동주행 충전기(110) 내부를 보호한다. 즉, 입력단자(P1)에 양전위가 아닌 음전위가 인가되면, 피채널에프이티(11-2)의 드레인과 소오스 사이에 내장되어 있는 기생다이오드가 차단되므로 벅부스트제어부(15)의 입력단(IN1)에는 입력신호가 없어 벅부스 작동을 중지하여 보조배터리(40)로의 전원 인가도 없게되어 무시동주행 충전기(110)를 보호하게된다.
2)반대로 자동차배터리(20)의 전원단자와 극성이 일치하도록 바르게 연결하면, 피채널에프이티(11-2)의 드레인과 소오스 사이에 내장되어 있는 기생다이오드가 도통되고, 저항(R11,R11-1)의 분배전압으로 게이트를 구동하여, 피채널에프이티(11-2)의 턴온을 유지토록 한다. 이는 벅부스트제어부(15)의 입력단(IN1)에는 입력신호가 하이레벨로 인가되는 것이므로 부스트 작용을 하여 보조배터리(40)가 충전되도록 기능한다.
3) 보조배터리(40)를 충전할 때는 만충전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정전압정전류제어부(17)를 가동시킨다. 즉, 만충전전압을 14.6V라 할 때, 만충전 되기 전에는 션트저항 기능을 하는 전류검출부(17-2)를 이루는 저항(R21)으로는 보조배터리(40)의 음전위(접지,삼각형상의 접지)에서 저항(R21)을 거쳐 자동차배터리의 접지로 순환되어 발생되는 전압을 비교기(17-3)의 비반전단자로 제공하여 전류 발생정도를 검출한다. 한편 보조배터리(40)의 양전위 단자를 통한 전원은 저항(R17,R18)의 공통노드를 통한 분압이 벅부스트제어부(15)의 입력단(I3)으로 인가된다. 아울러 저항(R20, R19)을 통한 분압은 비교기(17-3)의 반전단자로 기준전압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전류검출부(17-2)에서 충전전류가 만충전전압(예를들어 14.6V) 에 상응하는 전류(예를들어 30A)보다 낮을 경우는 비교기(17-3)가 작동하지 않아 저항(R17,R18)의 공통노드를 통한 분압이 전압분배기(17-1)로 작용하여 입력단(I3)에 제공된다. 반면 충전전류가 만충전전압(예를들어 14.6V) 에 상응하는 전류(예를들어 30A)보다 높을 경우는 비교기(17-3)가 작동하여 하이레벨이 출력되고 이는 다이오드(D17)를 도통시켜 하이레벨 출력만큼 더하여진 전압이 입력단(I3)으로 제공되므로, 높아진 하이레벨 유무로 벅부스트제어부(15)는 만충전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렇게 전류 및 전압을 연계하여 검출하여 벅부스트 작용을 하므로 보조배터리(40)는 안정적인 충전을 수행하게 된다.
4) 무시동중에는 자동차배터리(20)의 전압을 검출하여 시동 가능한 최저전압(예를들어 12.1~12.3V)이 되는 지를 검출하여 보조배터리(40)를 충전하여 충전시간과 양을 증대시키도록 한다. 이렇게 검출하는 기능을 본 발명에서는 전압전류 분배기(13)와 전압검출기(14)를 통하여 수행한다. 즉, 본발명의 전압전류 분배기(13)는 병렬접속한 저항(R13,R13-1)에서 전압은 일정하고 전류는 분기되므로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줄여주고, 병렬접속한 저항(R13,R13-1)의 공통노드에서 다시 병렬 접속한 저항(R13-2, R13-3)에서도 전압은 일정하게 분압되고 전류는 분기되므로 각 저항에 흐르는 전류를 줄여주어 회로 안전성유지와 소모전력을 줄여준다.
이어진 전압검출부(14)는 비교기(14-1)의 비반전단자에 기준전압칩(14-7)을 설치하여 기준전압을 제공한다. 비교기(14-1)의 반전단자에는 저항(R14-1)(R14-2, R14-3)에서 자동차배터리(20)의 충전전압을 분압한 분압전압이 인가된다. 한편 저항(R14-3)의 양단에는 히스테리시스 기능을 하는 엔채널에프이티의 히스테리시스회로(14-2)가 부가되고, 히스테리스스회로(14-2)의 게이트는 비교기(14-1)의 출력단과 연결된다. 따라서 자동차배터리(20)의 충전 전압이 기준전압칩(14-7)의 기준전압보다 낮으면 비교기(14-1)의 출력은 하이레벨이 되어 지연회로(14-3)를 거친 다음 선택작동하는 일련의 푸시풀결선을 이룬 에프이티(14-4, 14-5)를 경유하여 벅부스제어부(15)의 입력단(I2)에 하이레벨을 인가하여 벅부스트제어부(15)가 보조배터리(40) 충전을 차단하여 우선적으로 자동차배터리(20)를 충전토록 한다.
한편 자동차배터리(20)의 충전 전압이 기준전압칩(14-7)의 기준전압보다 높아지면(만충전되면) 비교기(14-1)의 출력은 로레벨이 되어 지연회로(14-3)를 거친 다음 선택작동하는 일련의 푸시풀 결선을 이룬 에프이티(14-4, 14-5)를 경유하여 벅부스제어부(15)의 입력단(I2)에 로레벨을 인가하여 벅부스트제어부(15)가 보조배터리(40) 충전을 시작하여 보조배터리(20)를 충전토록 한다. 이 경우 로레벨의 전위는 히스테리스시회로(14-2)를 이루는 게이트에 인가되어 턴온되므로 턴온전압으로 약 0.7V가 비교기(14-1)의 반전단자에 더하여져 자동차배터리(20)의 충전을 여유있게 충전하도록 기능한다. 상기 지연회로(14-3)는 노이즈 등에 의한 오동작시에는 지연작용하는 동안 없어지도록 하여 회로안정성을 유지하도록 부가하였다. 또한 전압전류 분배기(13)를 통한 저전류 환경을 만들어서 히스테리시스회로(14-2)를 에프이티로 구성하여 수마이크로 암페어 전류에서도 구동 가능토록 하여 소비전류를 최소화하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시킨다.
P1,P2,P3;입력단자 T1,T2;출력단자 10;퓨즈 11;역전압방지부 11-2;피채널에프이티 ZD11;제너다이오드 R11, R11-1;저항 12;평활콘덴서 13;전압전류 분배기 R13, R13-1, R13-2, R13-3;저항 14;전압검출기 14-1;비교기 14-2;히스테리시스회로 14-3;지연회로 14-4,14-5;스위칭에프이티 14-6;전류계 14-7;기준전압칩 ㄲ14-1, R14-2, R14-3; 저항 15;벅부스트제어부 IN1~IN5;입력단 OUT1~OUT4;출력단 16;벅부스트충전 스위치부 16-1;전류검출부 16-2;전압검출부 17;정전압정전류제어부 17-1;전압분배기 17-2;전류검출부 17-3;비교기 D17;다이오드 R17~R21;저항 20;자동차배터리 21;차량용발진기 22;스타트모터 23;점화스위치 30;주행충전기 40;보조배터리 41;출력단자부 100;더블 트윈 파워뱅크 110;무시동주행 충전기

Claims (5)

  1. 점화장치(23)로부터의 ACC 신호선을 절단하고 자동차배터리(20)로부터 전원을 더블 입력라인만 입력받는 입력단자(P1, P2);
    직류전원을 출력시키는 출력단자부(41);
    벅부스트회로를 내장하여 무시동시 자동차 배터리(20) 전원을 내부출력단자(T1,T2)를 통하여 내장된 보조배터리(40)로 충전하는 무시동주행 충전기(110); 입력단자(P1, P2)와 출력단자부(41)가 하우징에 설치된 더블트윈 파워뱅크(100)를 포함하며;
    상기 무시동주행 충전기(110)는 입력단자(P1,P2)로 자동차배터리(20) 의 충전전원을 인가받아 벅부스트제어부(15)로만 인가하는 역전압방지부(11)와;
    충전전원을 기초로 벅부스트제어부(15)의 지령에 따라 보조배터리(40)로의 전원을 내부출력단자(T1,T2)를 통하여 인가하도록 스위칭하는 벅부스트충전 스위치부(16)와;
    충전전원을 분배하는 전압전류분배기(13)와;
    충전전원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기준전압보다 적으면 충전 지시용 하이레벨을 인가하고, 기준전압을 초과하면 충전을 정지토록 하는 로레벨을 벅부스트제어부 입력단자(IN2)에 인가하는 전압검출기(14); 및
    비교기(17-3)의 비반전단자에 보조배터리(40) 음전위와 접지사이의 저항에 의한 전위로 전류를 검출하는 전류검출부(17-2)와, 비교기(17-3)의 반전단자와 출력단에 저항(R17~R20) 및 다이오드(D17)로 이루어지고 분배전압이 벅부스트제어부(15)의 피드백 입력단(IN3)로 인가되는 정전압 정전류제어부(17)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전압검출기(14)의 반전단자에는 충전전원을 분배하도록 직결된 저항(R14-1, R14-2, R14-3)과,
    상기 저항(R14-3)의 양단에 드레인과 소오스단이 연결되어 히스테리시스 기능을 하도록 게이트는 비교기(14-1) 출력단에 연결된 앤채널에프이티의 히스테리스스회로(14-2)와,
    상기 비교기(14-1) 출력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14-3)와,
    지연회로(14-3) 출력시 선택 구동하여 벅부스트제어부(15) 입력단(IN2)으로 출력을 인가하는 스위칭에프이티(14-4, 14-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역전압 방지부(11)는 자동차 배터리(20) 출력단이 휴즈(10)를 경유해 드레인에 인가되고 드레인과 소오스 사이에 기생다이오드가 순방향으로 내장된 피채널에프이티(11-2)와,
    피채널에프이티(11-2)의 소오스단에 결합되고 공통노드는 피채널에프이티(11-2)의 게이트에 연결된 직렬의 분배저항(R11,R11-1)과,
    상기 저항(R11)에 병렬로 접속되고 애노드단에 게이트가 연결되어 역전압 발생시 게이트를 오프시켜 자동차 배터리로의 역전압 인가를 방지하는 제너다이오드(ZD11)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전압검출기(14)로 인가되는 충전전원은 전압전류 분배기(13)에도 인가되며,
    전압전류 분배기(13)는 병렬 연결된 저항(R13, R13-1)과,
    상기 저항(R13, R13-1)과 직렬접속되며 상호 병렬접속되고 타단은 접지된 저항(R13-2, R13-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
KR1020200115997A 2020-09-10 2020-09-10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 KR102353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997A KR102353461B1 (ko) 2020-09-10 2020-09-10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5997A KR102353461B1 (ko) 2020-09-10 2020-09-10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3461B1 true KR102353461B1 (ko) 2022-01-20

Family

ID=80052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5997A KR102353461B1 (ko) 2020-09-10 2020-09-10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346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541A (ko) * 2009-07-02 2011-01-10 타타대우상용차 주식회사 차량용 무시동 냉난방장치
KR20130130217A (ko) * 2012-04-03 2013-12-02 주식회사 올레브 전기자동차 및 그의 보조 배터리 충전방법
KR101620387B1 (ko) * 2016-03-11 2016-05-12 주식회사 라스트리 하이브리드 충전방식형 휴대용 스마트 파워뱅크장치 및 이를 통한 충방전방법
KR20160125754A (ko) * 2015-04-22 2016-11-01 성옥경 보조전원용 충전배터리시스템
KR20170089511A (ko) * 2016-01-27 2017-08-04 엄진환 차량에 탑재되는 캠핑용 전원관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2541A (ko) * 2009-07-02 2011-01-10 타타대우상용차 주식회사 차량용 무시동 냉난방장치
KR20130130217A (ko) * 2012-04-03 2013-12-02 주식회사 올레브 전기자동차 및 그의 보조 배터리 충전방법
KR20160125754A (ko) * 2015-04-22 2016-11-01 성옥경 보조전원용 충전배터리시스템
KR20170089511A (ko) * 2016-01-27 2017-08-04 엄진환 차량에 탑재되는 캠핑용 전원관리장치
KR101620387B1 (ko) * 2016-03-11 2016-05-12 주식회사 라스트리 하이브리드 충전방식형 휴대용 스마트 파워뱅크장치 및 이를 통한 충방전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55100B2 (en) Power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battery unit
US8749193B1 (en) Battery protection circuit for multiple battery power supply and charging system
EP3371870B1 (en) Automotive dual voltage battery charging system
US8917039B2 (en) Car power source apparatus and vehicle equipped with the power source apparatus
US7423410B2 (en) Battery protecting circuit
KR100297608B1 (ko) 충전제어장치, 이를 구비한 충방전장치 및 전자기기
US9479004B2 (en) Buck/boost circuit that charges and discharges multi-cell batteries of a power bank device
JP2008182872A (ja) 蓄電装置
CN105656112A (zh) 电池组
CN105270295A (zh) 用于机动车辆的车载电气系统
WO2012169171A1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JP2002238173A (ja) 充放電制御回路と充電式電源装置
JPH1014127A (ja) バッテリーで電力供給される装置用のサプライ電圧レギュレーターとして自己整列する多機能バッテリー充電器
US11695281B2 (en) Battery overcharging prevention device and battery overcharging prevention method using same
JP3312422B2 (ja) 2次電池保護装置及び2次電池パック
JP4054776B2 (ja) ハイブリッドシステム
KR102353461B1 (ko) 더블 트윈 파워뱅크 시스템
US6633153B1 (en) Under voltage protection for a starter/alternator
KR20160047344A (ko)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JP3457126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の制御装置
KR101755187B1 (ko) 전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585426B1 (ko) 축전상태에 따라 펄스전류의 크기를 조절하는 축전지의 수명연장 장치
JP4288812B2 (ja) 光ビーコン車両用送信装置
CN210489543U (zh) 一种直流agv伺服驱动供电防继电器主触点粘连硬件装置
CN214755680U (zh) 一种电池控制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