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270B1 - Device for limiting voltage on DC voltage networks - Google Patents

Device for limiting voltage on DC voltage networ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270B1
KR102353270B1 KR1020197027706A KR20197027706A KR102353270B1 KR 102353270 B1 KR102353270 B1 KR 102353270B1 KR 1020197027706 A KR1020197027706 A KR 1020197027706A KR 20197027706 A KR20197027706 A KR 20197027706A KR 102353270 B1 KR102353270 B1 KR 102353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limiter
controllable switching
supply potential
potential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70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19110A (en
Inventor
위르겐 루프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90119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91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27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02H9/041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using a short-circuiting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F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OR MAGNETIC VARIABLES
    • G05F3/00Non-retroactive systems for regulating electric variables by using an uncontrolled element, or an uncontrolled combination of elements, such element or such combination having self-regulating properties
    • G05F3/0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 G05F3/08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 G05F3/1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 G05F3/16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 G05F3/20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 G05F3/22Regulating voltage or current wherein the variable is dc using uncontrolled devices with non-linear characteristic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diode- transistor combinations wherein the transistors are of the bipolar type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16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fault current to earth, frame or ma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05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avoiding undesired transient condi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32Means for protecting converters other than automatic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9/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 H02H9/0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limiting excess current or voltage without disconn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6Arrangements for transfer of electric power between ac networks via a high-tension dc lin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Conversion In General (AREA)
  • Dc-Dc Converter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DC 전압 네트워크(1)에 대한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DC 전압 네트워크(1)에서는, 스위칭 동작들로 인한 과전압들이 DC 전압 네트워크(1)의 제1 공급 전위 레벨(2)과 제2 공급 전위 레벨(3) 사이에서 발생한다. 장치(10)는 제1 공급 전위 레벨과 제2 공급 전위 레벨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2 개의 제한기 셀들(10-1,..., 10-n)을 포함하고, 이러한 적어도 2 개의 제한기 셀들(10-1,..., 10-n) 각각은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1,..., 11-n), 방전 저항기(12-1,..., 12-n) 및 커패시터(13-1,..., 13-n)의 어레인지먼트를 포함하며, 이러한 적어도 2 개의 제한기 셀들(10-1,..., 10-n)에 걸쳐, 제1 공급 전위 레벨(2)과 제2 공급 전위 레벨(3)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Uges)이 강하된다. 장치의 동작 동안, 특정 제한기 셀(10-1,..., 10-n)의 커패시터(13-1,..., 13-n) 양단에서 강하된 전압(U1, U2, U3)에 기초하여, 상기 제한기 셀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1,..., 11-n)가 스위칭 온되거나 또는 스위칭 오프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limiting the voltage on a DC voltage network 1 , in which overvoltages due to switching operations occur at the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of the DC voltage network 1 ( 2) and the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3). Device 10 comprises at least two limiter cells 10-1, ..., 10-n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and a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such at least two limiter cells 10-1, ..., 10-n Each of the base cells 10-1, ..., 10-n includes a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1, ..., 11-n, a discharge resistor 12-1, ..., 12-n. and an arrangement of a capacitor (13-1, ..., 13-n), over these at least two limiter cells (10-1, ..., 10-n), a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 The voltage U ges applied between 2) and the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3 drops. During operation of the device, the voltage drops U1, U2, U3 across capacitors 13-1,..., 13-n of certain limiter cells 10-1,..., 10-n Based on this,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11-1, ..., 11-n of the limiter cell are switched on or switched off.

Description

DC 전압 네트워크에 대한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limiting voltage on DC voltage networks

본 발명은 DC 전압 네트워크(network)에 대한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며, 이러한 DC 전압 네트워크에서는, 스위칭(switching) 동작들의 결과로서 과전압들이 DC 전압 네트워크의 제1 공급 전위 레벨(level)과 제2 공급 전위 레벨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limiting the voltage on a DC voltage network, in which overvoltages as a result of switching operations are equal to the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of the DC voltage network and It may occur between the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DC 전압 네트워크에서의 스위칭 동작들로 인한 과전압들은 예컨대 전기 기계들로부터의 에너지(energy)의 피드백(feedback) 동안 또는 유도성 DC 전압 네트워크들에서의 스위칭 동작들의 결과로서 발생한다. 과전압들은, DC 전압 공급 네트워크에 연결된 구성요소들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한되어야 한다.Overvoltages due to switching operations in DC voltage networks occur, for example, during feedback of energy from electrical machines or as a result of switching operations in inductive DC voltage networks. Overvoltages must be limited to prevent damage to components connected to the DC voltage supply network.

배리스터(varistor)들 및 RC-네트워크들에 부가하여, 전자 전압 제한기들, 소위 브레이크 초퍼(brake chopper)들이 서지 어레스터(surge arrester)들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배리스터들이 높은 방전 전류들을 매우 잘 흡수할 수 있지만, 이러한 배리스터들은 스위칭 동작들 동안 생기는 것과 같이 빈번히 발생하는 과전압들에는 적절하지 않다. 빈번한 에너지(energy) 흡수를 겪을 때, 배리스터들은 매우 빨리 노화되는 경향이 있다. RC 네트워크들에서 사용되는 커패시터(capacitor)는 예상되는 과전압들에 따라 치수화되어야 한다. 많은 양(amount)들의 에너지가 흡수되어야 하면, 커패시터는 비싸다. 부가하여, 커패시터는 상당한 크기와 상당한 중량을 갖는다. 브레이크 초퍼들은 컨버터(converter)들의 DC 링크(link) 회로들 상에서 사용된다. 브레이크 초퍼들은, DC 전압 공급 네트워크에 연결된 전기 기계의 브레이킹(braking) 에너지를 소산시키기 위해 사용된다.In addition to varistors and RC-networks, electronic voltage limiters, so-called brake choppers, are known to be used as surge arresters. Although varistors can absorb high discharge currents very well, these varistors are not suitable for frequent overvoltages such as those encountered during switching operations. When subjected to frequent energy absorption, varistors tend to age very quickly. Capacitors used in RC networks must be sized according to expected overvoltages. Capacitors are expensive if large amounts of energy have to be absorbed. In addition, the capacitor has a significant size and considerable weight. Brake choppers are used on DC link circuits of converters. Brake choppers are used to dissipate the braking energy of an electric machine connected to a DC voltage supply network.

선행 기술로부터 알려진 그러한 브레이크 초퍼의 예가 도 1에서 도시된다. 도 1은 제1 공급 전위 레벨(level)(2) 및 제2 공급 전위 레벨(3)을 갖는 DC 전압 네트워크(1)를 도시한다. 제1 공급 전위 레벨(2)과 제2 공급 전위 레벨(3) 사이에, DC-링크 커패시터(4)가 연결된다. 입력 측의 정류기와 출력 측의 인버터(inverter)는 도시되지 않는다. 서지 어레스터(10)의 기능을 갖는 브레이크 초퍼는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element)(11)와 브레이킹 저항기(12)의 직렬 회로로 구성된다. 이 경우, 브레이크 초퍼 또는 서지 어레스터(10)는 제1 공급 전위 레벨(2)과 제2 공급 전위 레벨(3) 사이에 DC-링크 커패시터(4)와 병렬로 연결된다.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는 스위치(switch)로서 동작한다. 저항기(12)는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에 의하여 펄스식 모드(pulsed mode)로 중간 회로로 스위칭되고(switched), 따라서 DC-링크 커패시터(4)에 대한 전압은 전기 드라이브(drive)의 브레이킹 동작에 기인하여 증가하는 전압의 결과로서 다시 점진적으로 감소된다. 따라서, 브레이킹 동작 동안 전기 기계에 의해 피드백된(fed back) 에너지는, DC-링크 커패시터(4) 양단에서 강하되는 DC-링크 전압이 미리 설정된 턴-오프(turn-off) 임계치 미만으로 떨어질 때까지 열로 변환된다.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를 제어하기 위한 대응하는 제어 유닛(unit)은 단순화를 위해 도시되지 않는다.An example of such a brake chopper known from the prior art is shown in FIG. 1 . 1 shows a DC voltage network 1 having a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2 and a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3 . Between the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2 and the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3 , a DC-link capacitor 4 is connected. The rectifier on the input side and the inverter on the output side are not shown. A brake chopper having the function of a surge arrester 10 is composed of a series circuit of a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 and a braking resistor 12 . In this case, the brake chopper or surge arrester 10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DC-link capacitor 4 between the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2 and the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3 .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 operates as a switch. The resistor 12 is switched to the intermediate circuit in a pulsed mode by means of a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 , so that the voltage on the DC-link capacitor 4 is a braking of the electric drive. It again gradually decreases as a result of the voltage increasing due to operation. Thus, the energy fed back by the electric machine during the braking operation until the DC-link voltage that drops across the DC-link capacitor 4 drops below a preset turn-off threshold. converted to heat A corresponding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 is not shown for simplicity.

도 1에서 도시된 DC-링크에서의 경우와 같이, 평활화를 위해 커패시턴스(capacitance)가 존재하지 않는 DC 전압 네트워크에서의 지점에서 에너지가 소산될 필요가 있으면, 브레이크 초퍼는 또한, 자신만의 작은 커패시턴스를 갖출 수 있다. 그러한 경우는 예컨대 긴 케이블(cable)의 단부에, 또는 스위칭 엘리먼트의 앞에 있는 초크(choke)의 출력에 적용된다. 이에 대한 예가 도 2에서 도시된다. 도 2는 제1 공급 전위 레벨(2)의 도체에서 초크(5)와 스위칭 엘리먼트(6)가 서로 직렬로 연결되는 DC 전압 네트워크(1)의 일부를 도시한다. 서지 어레스터(10)를 형성하는 브레이크 초퍼는 초크(5)와 스위칭 엘리먼트(6) 사이의 노드(node)에서 제1 공급 전위 레벨(2)에 연결된다. 이 브레이크 초퍼의 다른 단부는 알려진 방식으로 제2 공급 전위 레벨(3)에 연결된다. 브레이크 초퍼 또는 서지 어레스터(10)는,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와 저항기(12)의 직렬 회로에 부가하여, 이 직렬 회로에 병렬로 연결된 커패시터(13)를 포함하며, 이 커패시터(13)는,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가 스위칭 오프되는(switched off) 위상들에서, 초크(5)에 의해 생성된 전류를 흡수할 수 있다. 이 경우, 커패시터(13)는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의 스위칭-오프 프로세스(switching-off process) 동안의 에너지 흡수를 위해서만 설계된다.If energy needs to be dissipated at points in the DC voltage network where there is no capacitance for smoothing, as is the case with the DC-link shown in Figure 1, the brake chopper also has its own small capacitance can have Such a case applies, for example, to the end of a long cable, or to the output of a choke in front of a switching element. An example of this is shown in FIG. 2 . 2 shows a part of a DC voltage network 1 in which a choke 5 and a switching element 6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in a conductor of a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2 . A brake chopper forming a surge arrester 10 is connected to a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2 at a node between the choke 5 and the switching element 6 . The other end of this brake chopper is connected in a known manner to the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3 . The brake chopper or surge arrester (10) comprises, in addition to the series circuit of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 and the resistor (12), a capacitor (13) connected in parallel to this series circuit, the capacitor (13) can absorb the current generated by the choke 5 in the phases in which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 is switched off. In this case, the capacitor 13 is designed only for energy absorption during the switching-off process of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 .

도 1 및 도 2에서 설명된 브레이크 초퍼에 대한 문제점은, 더 높은 전압들, 특히 1000 V를 초과하는 전압들의 경우,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이 매우 비싸거나 또는 심지어 이용가능하지 않다는 점이다.
DE 10 2011 053 013 A1은 직렬로 연결된 2 개 이상의 에너지 저장 유닛들을 위한 밸런싱 디바이스(balancing device)를 개시한다. 밸런싱 디바이스는 연관된 에너지 저장 유닛의 전압을 제한하기 위해 에너지 저장 유닛들의 수에 대응하는 수의 바이-패스-회로(by-pass-circuit)들을 가지며, 여기서, 바이-패스-회로는 연관된 에너지 저장 유닛과는 병렬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옴(ohmic) 저항기와 제어가능한 스위치 엘리먼트(switch element)의 직렬 회로를 갖는다. 연관된 에너지 저장 유닛에 대한 전압 레벨이 허용가능한 한계치를 초과하면, 전류 흐름을 바이-패스 회로로 방향을 바꾸기 위해 그리고 에너지 저장 유닛을 허용가능한 전압 값들까지 방전하기 위해, 제어 디바이스가 바이-패스 회로의 스위치 엘리먼트를 활성화한다.
A problem with the brake chopper described in FIGS. 1 and 2 is that for higher voltages, in particular voltages exceeding 1000 V,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are very expensive or even not available.
DE 10 2011 053 013 A1 discloses a balancing device for two or more energy storage units connected in series. The balancing device has a number of by-pass-circuits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energy storage units for limiting the voltage of the associated energy storage unit, wherein the bypass-circuit is the associated energy storage unit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and has a series circuit of at least one ohmic resistor and a controllable switch element. If the voltage level for the associated energy storage unit exceeds an acceptable limit, the control device switches the bypass circuit to redirect the current flow to the bypass circuit and to discharge the energy storage unit to acceptable voltage values. Activate the switch element.

본 발명의 목적은, 그 기능 및/또는 설계가 개선되는 DC 전압 네트워크에 대한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를 특정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y a device for limiting the voltage for a DC voltage network whose function and/or design is improved.

이 목적은 청구항 제1 항의 특징들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로부터 획득된다.This object is achieved by a device according to the features of claim 1 . Advantageous embodiments are obtained from the dependent claims.

본 발명은 DC 전압 네트워크에 대한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를 생성하며, 이러한 DC 전압 네트워크에서는, 스위칭 동작들의 결과로서 과전압들이 DC 전압 네트워크의 제1 공급 전위 레벨과 제2 공급 전위 레벨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장치는 제1 공급 전위 레벨과 제2 공급 전위 레벨 사이에 직렬로 상호연결된 적어도 2 개의 제한기 셀(cell)들을 포함한다. 제한기 셀들 각각은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 방전 저항기 및 커패시터의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를 포함한다. 제1 공급 전위 레벨과 제2 공급 전위 레벨 사이에 인가된 (총) 전압은 직렬로 연결된 적어도 2 개의 제한기 셀들에 걸쳐 강하된다. 장치의 동작에서, 개개의 제한기 셀의 커패시터 양단에서 강하된 전압에 따라, 이러한 개개의 제한기 셀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가 스위칭 온되거나(switched on) 또는 스위칭 오프된다. 디바이스는 제한기 셀들의 개개의 스위칭 엘리먼트들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은, 제1 전위 공급 레벨의 도체와 제2 전위 공급 레벨의 도체 사이에서 과전압이 발생할 때,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을 시간 오프셋(time offset)을 갖는 펄스식 모드(pulsed mode)로 동작시키도록 구성된다. 커패시터들의 전압들이 결정 및 비교되며, 주어진 시간에, 양단에 최고 전압이 현재 인가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제한기 셀들 중 하나의 제한기 셀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가 스위칭 온되는 한편, 다른 제한기 셀들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은 스위칭 오프된다.The invention creates a device for limiting the voltage on a DC voltage network, in which overvoltages as a result of switching operations can occur between a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and a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of the DC voltage network. have. The apparatus includes at least two limiter cells inter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and a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Each of the limiter cells includes an arrangement of a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a discharge resistor and a capacitor. The (total) voltage applied between the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and the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is connected in series It is dropped across at least two limiter cells. In operation of the device, depending on the voltage dropped across the capacitor of the respective limiter cell,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of this individual limiter cell is switched on or off. The device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activating individual switching elements of the limiter cells.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in a pulsed mode with a time offset when an overvoltage occurs between the conductor of the first potential supply level and the conductor of the second potential supply level. is composed The voltages of the capacitors are determined and compared, and at a given time,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of one of the limiter cells, comprising the capacitor with the highest voltage currently applied across it, is switched on while the other limiter cell is switched on. Their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are switched off.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이하에서는, 전압 제한기 또는 서지 어레스터로 또한 지칭됨)는 제1 공급 전위 레벨과 제2 공급 전위 레벨 사이에서 직렬 회로로 상호연결되는 복수의 제한기 셀들로 모듈러(modular) 방식으로 설계된다. 복수의 제한기 셀들의 직렬 연결에 의하여, 스위칭-오프된(switched-off)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에 걸친 부분 전압만이 강하되며, 따라서 단일 제한기 셀과 비교하여 저전압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이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덜 비싼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이 선정될 수 있게 한다.A device for limiting voltage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voltage limiter or surge arrester) propos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 plurality of interconnected in series circuit between a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and a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It is designed in a modular way with limiter cells of By means of a series connection of a plurality of limiter cells, only a partial voltage across the switched-off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is dropped, so that low voltag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may be used compared to a single limiter cell. can This allows less expensiv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to be selected.

다른 장점은, 각각의 제한기 셀에서의 커패시터의 존재에 기인하여, 제한기 셀의 개개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에 대한 전압이 갑자기 변화할 수 없다는 점이다. 그 결과, 제한기 셀들의 개별적인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의 밸런싱(balancing), 즉 정밀한 시간적(temporal) 제어는 시간 임계적(time critical)이지 않다.Another advantage is that, due to the presence of a capacitor in each limiter cell, the voltage on the individual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of the limiter cell cannot change suddenly. As a result, the balancing of the individual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of the limiter cells, ie the precise temporal control, is not time critical.

제한기 셀들 각각에 걸쳐 강하되는 최대 전압은 다른 제한기 셀들과는 독립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이는, 가능하더라도, 더 높은 레벨의 제어 유닛이 필요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더 높은 레벨의 제어 유닛은, 예컨대 제1 공급 전위 레벨과 제2 공급 전위 레벨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압이 가변 레벨로 설정될 필요가 있으면 편리하다.The maximum voltage dropped across each of the limiter cells can be regulated independently of the other limiter cells. This means that, if possible, a higher level control unit is not required. Such a higher level control unit is convenient, for example, if the voltage occurring between the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and the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needs to be set to a variable level.

그러므로,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의 동작에서, 주어진 시간에, 제한기 셀들 중 나머지 제한기 셀들의 커패시터들의 전압들과 비교하여 양단에 최고 전압이 인가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해당 제한기 셀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가 스위칭 온되는(switched on) 것이 제공된다. 다시 말해서, 모든 제한기 셀들의 커패시터들에 걸친 전압들은 별개로 결정되고 서로 비교된다. 그런 다음, 양단에 최고 전압이 강하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해당 제한기 셀의 스위칭 엘리먼트가 스위칭 온된다. 이는, 심지어 높은 과전압들에서도, 개개의 제한기 셀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의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한다.Therefore, in the operation of the device for limiting voltage, at a given time, the controllable value of the limiter cell in question comprising the capacitor having the highest voltage applied across it compared to the voltages of the capacitors of the remaining of the limiter cells. It is provided that the switching element is switched on. In other words, the voltages across the capacitors of all limiter cells are determined separately and compared to each other. The switching element of the limiter cell in question is then switched on, which includes the capacitor across which the highest voltage drops. This ensures that, even at high overvoltages, an overload of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of the individual limiter cell cannot occur.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는, 장치의 동작에서,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이 펄스식 모드로 동작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는, 종래의 브레이크 초퍼에서의 경우와 같이 개개의 제한기 엘리먼트들이, 제1 공급 전위 레벨과 제2 공급 전위 레벨 사이에서 전압을 점진적으로 낮추기 위하여 펄스식 모드로 동작됨("초핑 업됨(chopped up)")을 의미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제안된, 전압 감소를 위한 장치에 대해, 종래의 브레이크 초퍼들의 알려진 제어 유닛들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 further advantageous embodiment provides that, in the operation of the device,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are operated in a pulsed mode. This means that the individual limiter elements are operated in a pulsed mode (“chopped up”) to gradually lower the voltage between a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and a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as is the case in a conventional brake chopper. )") means. In particular, for the device for voltage reduction, proposed according to the invention, it is possible to use known control units of conventional brake choppers.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는,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의 동작에서, 주어진 시간에, 적어도 2 개의 제한기 셀들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의 제1 서브세트(subset)가 스위칭 온되고, 적어도 2 개의 제한기 셀들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의 제2 서브세트가 스위칭 오프되는 것을 제공한다. 그러한 설계에서, 심지어 최대 방전 전류가 처리되어야 하는 단락의 경우에도, 모든 제한기 셀들의 동시 활성화(즉, 모든 제한기 셀들의 개개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의 동시 활성화)가 가능하다는 것이 보장된다. 이는 특히, 심지어 단락 및 결과적인 높은 방전 전류의 경우에도, 제한기 셀들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손상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음을 보장할 수 있다.A further advantageous embodiment is that, in the operation of the device for limiting voltage, at a given time, a first subset of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of the at least two limiter cells are switched on, and the at least two limiter cells are switched on. provide that a second subset of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of In such a design, it is ensured that simultaneous activation of all limiter cells (ie simultaneous activation of the individual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of all limiter cells) is possible, even in case of a short circuit in which the maximum discharge current has to be dealt with. This can in particular ensure that no damage to the components of the limiter cells can occur, even in case of short circuits and consequent high discharge currents.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는, 어레인지먼트가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와 방전 저항기의 직렬 회로를 포함하고, 커패시터가 이 직렬 회로와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제공한다. 그러한 구성에서,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는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일 수 있다.A further advantageous embodiment provides that the arrangement comprises a series circuit of a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and a discharge resistor, with a capacitor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is series circuit. In such a configuration,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may be an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다른 실시예에서, 직렬 회로는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 및 방전 저항기에 부가하여 인덕터(induc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인덕터의 크기는 유리하게, 각각의 제한기 셀에 의해 RLC 공진 회로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커패시터의 크기 및/또는 방전 저항기의 크기에 따라 선정된다. 이는,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로서 사이리스터(thyristor)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RLC 공진 회로에 의하여, 사이리스터의 자동 차단, 즉 스위칭 오프(switching off)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가 게이트 턴-오프(GTO; gate turn-off) 사이리스터로서 설계되거나 또는 사이리스터에 퀀칭(quenching) 회로가 제공될 때, 단순화된 제어가 획득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series circuit may include an inductor in addition to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and the discharge resistor. The size of the inductor is advantageously sele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apacitor and/or the size of the discharge resistor in such a way that an RLC resonant circuit is formed by each limiter cell. This makes it possible to select a thyristor as a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since by means of the RLC resonant circuit, an automatic shut-off, ie switching off, of the thyristor is possible. When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is designed as a gate turn-off (GTO) thyristor or the thyristor is provided with a quenching circuit, simplified control is obtained.

추가적인 유리한 실시예는, 제한기 셀들의 수가 2 개를 초과하는 것을 제공한다. 제한기 셀들의 정확한 수는 제1 공급 전위 레벨과 제2 공급 전위 레벨 사이의 공칭 전압, 그리고 개개의 제한기 셀들에서 사용되는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의 전압 항복(voltage breakdown) 강도 등급에 따라 좌우된다. 원리적으로, 2 개의 제한기 셀들이 제1 공급 전위 레벨과 제2 공급 전위 레벨 사이에서 차례로 직렬로 연결되면 기능성은 이미 보증된다.A further advantageous embodiment provides that the number of limiter cells exceeds two. The exact number of limiter cells depends on the nominal voltage between the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and the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and the voltage breakdown strength class of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used in the individual limiter cells. In principle, the functionality is already guaranteed if two limiter cells are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and a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in turn.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는 제한기 셀들의 개개의 스위칭 엘리먼트들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위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제어 유닛은, 이 제어 유닛이 상이한 제한기 셀들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의 시간적 스위칭 온(switching on) 및 스위칭 오프(switching off) 거동의 더 높은 레벨의 조정을 수행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 유닛은 또한, 이 제어 유닛이 제한기 셀들의 커패시터들 양단에 인가된 전압에 따라 배타적으로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의 제어를 수행하는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The device for limiting the voltage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activating individual switching elements of the limiter cells. As already explained above, the control unit is designed such that it carries out a higher level adjustment of the temporal switching on and switching off behavior of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of the different limiter cells. can be However, the control unit can also be designed in such a way that it performs the control of the exclusively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in dependence on the voltage applied across the capacitors of the limiter cells.

부가적으로, DC 전압 네트워크의 제1 공급 전위 레벨과 제2 공급 전위 레벨 사이의 공칭 전압이 1000 V를 초과하면 유리하다. 다시 말해서, 이는,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가 예컨대 선박들에 대해 또는 산업 플랜트(plant)들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이 특히 중간-전압 네트워크들에 제공됨을 의미한다.Additionally, it is advantageous if the nominal voltage between the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and the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of the DC voltage network exceeds 1000 V. In other words, this means that a device for limiting the voltage is provided in particular in medium-voltage networks, for example used for ships or in industrial plants.

본 발명은 도면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기초하여 다음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다음이 도시된다:
도 1은 브레이크 초퍼로서 설계된,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를 갖는, DC 전압 네트워크의 알려진 DC-링크 회로의 개략적인 표현이고;
도 2는 스위칭 엘리먼트의 앞에 있는 초크의 출력에서의 알려진 브레이크 초퍼의 개략적인 표현이고;
도 3은 DC 전압 네트워크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의 제1 설계 변형의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의 제2 설계 변형의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도면들에서, 등가 엘리먼트들은 동일한 참조 번호들로 라벨링된다(labelled).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invention is explained in more detail below on the basis of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drawings. The following is shown:
1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 known DC-link circuit of a DC voltage network, with a device for limiting the voltage, designed as a brake chopper;
2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 known brake chopper at the output of a choke in front of the switching element;
3 show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 first design variant of a device for limi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or a DC voltage network;
4 show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 second design variant of a device for limi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the drawings, equivalent elements are label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bers.

도 3은 제1 공급 전위 레벨(2)의 하나의 도체 및 제2 공급 전위 레벨(3)의 하나의 도체가 도시되는, DC 전압 네트워크(1)의 일부의 개략적인 표현을 도시한다. 제1 공급 전위 레벨(2)의 도체와 제2 공급 전위 레벨(3)의 도체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10)(이하에서는, 전압 제한기 또는 서지 어레스터로 지칭됨)가 연결된다. 서지 어레스터(10)는 제1 공급 전위 레벨(2)과 제2 공급 전위 레벨(3) 사이에 직렬 연결된 다수(n)의 제한기 셀들(10-1,..., 10-n)을 포함한다. 본 경우, 이 수(n)는 2 개 이상이다. 제한기 셀들(10-1,..., 10-n)의 수는 각각의 경우 동일하게 설계되며, 각각의 경우,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i), 방전 저항기(12-i) 및 커패시터(13-i)로 구성되는 어레인지먼트를 포함하며, 여기서, i = 1 내지 n이다. 제한기 셀들(10-i) 각각에서,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i)와 방전 저항기(12-i)는 서로 직렬 연결된다.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i)와 방전 저항기(12-i)의 이 직렬 회로와 병렬로 커패시터(13-i)가 연결된다.3 show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a part of a DC voltage network 1 , in which one conductor of a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2 and one conductor of a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3 are shown. Between a conductor at a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2 and a conductor at a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3 , a device 10 for limiting a voltage according to the inven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voltage limiter or surge arrester) ) is connected. The surge arrester 10 connects a plurality of (n) limiter cells 10-1, ..., 10-n in series between the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2 and the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3 . include In this case, this number n is two or more. The number of limiter cells 10-1, ..., 10-n is in each case designed the same, in each case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i, the discharge resistor 12-i and the capacitor Including the arrangement consisting of (13-i), where i = 1 to n. In each of the limiter cells 10-i,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i and the discharge resistor 12-i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each other. A capacitor 13-i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is series circuit of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i and the discharge resistor 12-i.

제1 제한기 셀(10-1)의 방전 저항기(12-1)와 커패시터(13-1) 사이의 노드는 제1 공급 전위 레벨(2)의 도체에 연결된다. 제1 제한기 셀(10-1)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1)의 부하 단자와 커패시터(13-1) 사이의 노드는 바로 다음의 제2 제한기 셀(10-2)의 방전 저항기(12-2)와 커패시터(13-2)의 노드에 연결된다.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n)의 메인(main) 단자와 커패시터(13-n) 사이의, 마지막 제한기 셀(10-n)의 노드는 제2 공급 전위 레벨(3)의 도체에 연결된다. 제한기 셀들(10-i)에서,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11-i)로서 IGBT들이 제공된다. IGBT들의 제어 단자들은 도시되지 않은 제어 유닛에 연결된다.The node between the discharge resistor 12-1 and the capacitor 13-1 of the first limiter cell 10-1 is connected to a conductor at a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2 . The node between the load terminal of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1 of the first limiter cell 10-1 and the capacitor 13-1 is the discharge resistor of the immediately following second limiter cell 10-2. It is connected to the node of (12-2) and the capacitor (13-2). Between the main terminal of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n and the capacitor 13-n, the node of the last limiter cell 10-n is connected to a conductor of a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3 . In the limiter cells 10-i, IGBTs are provided as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11-i. The control terminals of the IGBTs are connec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제1 공급 전위 레벨(2)의 도체와 제2 공급 전위 레벨(3)의 도체 사이에서 강하되는 총 전압(Uges)은 제한기 셀들의 수(n)에 따라 부분 전압들(Ui,..., Un)로 분할되고, 여기서, 각각의 부분 전압(Ui)은 개개의 제한기 셀들(10-i)에 걸쳐 강하된다. The total voltage U ges , which drops between the conductor of the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2 and the conductor of the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3 , depends on the number of limiter cells n at the partial voltages U i ,. .., U n ), where each partial voltage U i is dropped across the respective limiter cells 10-i.

제1 공급 전위 레벨(2)의 도체와 제2 공급 전위 레벨(3)의 도체 사이에서 과전압이 발생하는 경우에,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10)에 의하여, 이 과전압은 점진적으로 소산된다. 이 목적을 위해, 제한기 셀들(10-i)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11-i)은 시간 오프셋(time offset)을 갖는 펄스식 모드로 동작된다. 브레이크 초퍼의 동작에 따라, 스위칭 온되는(switched on) 각각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i)에서, 전류는 연관된 방전 저항기(12-i)를 통해 전달되어 열로 변환된다. 관련된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i)가 스위칭 오프되면(switched off), 개개의 제한기 셀(10-i)의 연관된 커패시터(13-i)를 통한 전압 버퍼링(buffering)이 뒤를 잇는데, 그 이유는 전류가 이제 커패시터(13-i)로 흐를 수 있기 때문이다.In the event of an overvoltage occurring between the conductor at the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2 and the conductor at the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3 , this overvoltage is gradually dissipated by means of the voltage limiting device 10 . For this purpose,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11-i of the limiter cells 10-i are operated in a pulsed mode with a time offset.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brake chopper, in each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i that is switched on, a current is transferred through the associated discharge resistor 12-i and converted into heat. When the associated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i is switched off, voltage buffering via the associated capacitor 13-i of the individual limiter cell 10-i follows, for the reason Because current can now flow into capacitor 13-i.

제한기 셀들의 직렬 회로와 제한기 셀들의 어레인지먼트들의 토폴로지(topology)는, 각각의 제한기 셀에서, 개별적인 IGBT에 대한 전압이 갑자기 변화할 수 없고 이에 따라 밸런싱 동작, 즉 모든 제한기 셀들(10-i)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13-i)의 스위칭 온(switching on) 및 스위칭 오프(switching off) 거동의 시간적 동기화가 요구되지 않음을 보장한다. 이는 제한기 셀들(10-i) 각각에 제공된 커패시터에 의하여 가능해진다.The topology of the series circuit of limiter cells and the arrangement of limiter cells is such that, in each limiter cell, the voltage on the individual IGBT cannot change abruptly and thus a balancing operation, i.e. all limiter cells 10- It ensures that no temporal synchronization of the switching on and switching off behavior of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13-i of i) is required. This is made possible by a capacitor provided in each of the limiter cells 10-i.

개별적인 제한기 셀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자신들의 최대 전압을 조절할 수 있는데,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11-i)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 유닛에 의한 더 높은 레벨의 조정은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예컨대, 가변 총 전압(Uges)이 설정되어야 하면, 더 높은 레벨의 조정이 가능하다.The individual limiter cells can regulate their maximum voltage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no higher level adjustment by the control unit is required to control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11 - i . However, for example, if a variable total voltage U ges has to be set, a higher level of adjustment is possible.

도 3에서 설명된 설계의 하나의 장점은, 1000 V를 초과하는 공칭 총 전압(Uges)을 가정하면 저전압 등급들, 즉 최대 1200 V의 IGBT들이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One advantage of the design described in FIG. 3 lies in the fact that low voltage classes, ie IGBTs up to 1200 V, can be used as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assuming a nominal total voltage U ges in excess of 1000 V.

제한기 셀들(10-i)에서의 커패시터들(13-i)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들의 직렬 연결은, 적절하다면, 제1 공급 전위 레벨(2)의 도체와 제2 공급 전위 레벨(3)의 도체 사이에 연결된 DC-링크 커패시터와는 병렬일 수 있다. 그 결과, 커패시터들(13-i)의 커패시턴스들은 DC-링크 커패시터의 기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체할 수 있으며, 따라서 DC-링크 커패시터는 더 작게 치수화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그러한 구성에서, 도 1에서 개략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10)와 DC-링크 커패시터는 유닛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The series connection of the capacitances of the capacitors 13-i in the limiter cells 10-i is, if appropriate, of the conductor at the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2 and the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3 . It may be in parallel with a DC-link capacitor connected between the conductors. As a result, the capacitances of the capacitors 13 - i can at least partially replace the function of the DC-link capacitor, and thus the DC-link capacitor can be dimensioned smaller. Then, in such a configuration, as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FIG. 1 , the device 10 for limiting the voltage and the DC-link capacitor can be considered as a unit.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11-i)로서 IGBT들을 사용할 때, 단락과 같은 결함의 경우에, 이러한 IGBT들이 정격 전류의 불과 2 배 내지 3 배까지만 과부하될 수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제한기 셀들(10-i)의 수(n)의 설계 또는 선정은 바람직하게는, 스위칭 동작들 동안 주어진 시간에 DC 전압 네트워크에서 발생하는 과전압들을 소산시키기 위하여, 모든 제한기 셀들(10-i)의 모든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11-i)이 전도성 상태로 스위칭될(switched) 필요는 없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10)가 예컨대 n = 2의 제한기 셀들을 포함하면, 주어진 시간에, 셀들 중 하나의 셀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는 스위칭 온되고, 다른 제한기 셀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는 스위칭 오프된다. 많은 수(n)의 제한기 셀들(10)의 경우, 상이한 파티셔닝(partitioning)이 선택될 수 있다. 제한기 셀들(10-i) 중 나머지 제한기 셀들의 다른 커패시터들의 전압들과 비교하여 양단에 최고 전압이 인가되는 커패시터(13-i)를 포함하는 제한기 셀(10-i)의 IGBT가 스위칭 온되는 방식으로, IGBT들은 스위칭 온 및 스위칭 오프된다. 이는 자동적으로 그리고 부수적으로, 개개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11-i)의 펄스식 스위칭 온 및 스위칭 오프를 야기한다.When using IGBTs as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11-i, it is important to take into account the fact that in case of a fault such as a short circuit, these IGBTs can only be overloaded by two to three times the rated current. Therefore, the design or selection of the number n of limiter cells 10-i is advantageously such that all limiter cells 10-i This is done in such a way that not all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11 - i of i) need to be switched to the conductive state. If the device 10 for limiting voltage comprises limiter cells, for example n = 2, then at a given time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of one of the cells is switched on and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of the other limiter cell is switched on. is switched off. For a large number (n) of limiter cells 10, a different partitioning may be selected. The IGBT of the limiter cell 10-i including the capacitor 13-i having the highest voltage applied across it compared to the voltages of other capacitors of the other limiter cells of the limiter cells 10-i is switched In the manner in which they are turned on, the IGBTs are switched on and off. This automatically and incidentally causes pulsed switching on and switching off of the individual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11 - i .

그런 다음, 최대 방전 전류가 발생할 수 있는 단락의 경우에,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 또는 IGBT들(11-i) 전부가 동시에 스위칭 온된다. 이는, 스위칭 엘리먼트들에 대한 손상을 유발하지 않고, 전압 오버슈트(overshoot)가 가능한 한 빨리 소산될 수 있게 한다.Then, in case of a short circuit in which a maximum discharge current can occur, all of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or IGBTs 11-i are switched on at the same time. This allows voltage overshoots to be dissipated as quickly as possible without causing damage to the switching elements.

더 높은 전압들 및 더 높은 전력 레벨들을 처리하기 위해, 사이리스터들이 또한,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10)의 그러한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4에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사이리스터들은, IGBT들에 비하여, 이 사이리스터들이 파괴되지 않고 정격 전류의 10 배 내지 20 배를 견딜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사이리스터들이 (용이하게) 스위칭 오프될 수 없기 때문에, 부가적인 조치(measure)들 없이 전압의 파인-그레인드(fine-grained) 조절은 가능하지 않다. 그러나, m 개의 제한기 셀들(여기서, m은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따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의 n을 초과함)의 충분한 직렬 연결에 의하여, 사이리스터들이 발화되고 있을 때 심지어 단일 제한기 셀이 완전히 방전되더라도 전압 스윙(swing)은 여전히 작다.To handle higher voltages and higher power levels, thyristors may also be used as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Such an exemplary embodiment of a device 10 for limiting voltag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chematically shown in FIG. 4 . Thyristors have the advantage over IGBTs that they can withstand 10 to 20 times the rated current without breaking down. Since thyristors cannot be switched off (easily), a fine-grained regulation of the voltage is not possible without additional measures. However, with sufficient series connection of m limiter cells, where m preferably exceeds n in the exemplary embodiment according to FIG. 3 , when the thyristors are firing even a single limiter cell Even when fully discharged, the voltage swing is still small.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11-i)(여기서, i = 1 내지 m임)로서 사이리스터들이 제공될 때,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11-i)과 방전 저항기(12-i)의 직렬 상호연결에 부가하여, 인덕터(14-i)가 제공된다. 각각의 제한기 셀(10-i)의 인덕터(14-i)의 크기는 방전 저항기(12-i)의 저항 및 커패시터(13-i)의 커패시턴스의 크기에 따라 선정된다. 그런 다음, 그 결과, 각각의 제한기 셀(10-i)에 RLC 공진 회로가 형성된다. 이는, 제한기 셀(10-i) 내에서, 커패시터(13-i)의 완전한 방전 후에 개개의 사이리스터(11-i)를 퀀칭(quench)하도록 제로(zero) 전류가 생성됨을 의미한다. 이로써, 사이리스터의 자기-퀀칭(self-quenching)이 가능하다.When thyristors are provided as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11-i (where i = 1 to m), in the series 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11-i and the discharge resistor 12-i In addition, an inductor 14-i is provided. The size of the inductor 14-i of each limiter cell 10-i is select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resistance of the discharge resistor 12-i and the capacitance of the capacitor 13-i. Then, as a result, an RLC resonant circuit is formed in each limiter cell 10-i. This means that within limiter cell 10-i, zero current is created to quench individual thyristors 11-i after complete discharge of capacitor 13-i. Thereby, self-quenching of the thyristor is possible.

사이리스터들이 사용될 때 제한기 셀들(10-i)의 수(m)는 적어도 m = 3이다. 모든 제한기 엘리먼트들의 모든 사이리스터들이 동시에 스위칭 온되는 것은 아니다란 가정 하에서, 단 2 개의 제한기 셀들, 즉 m = 2임에 따라, 각각의 커패시터(13-i)는 제1 공급 전위 레벨(2)과 제2 공급 전위 레벨(3) 사이에서 발생하는 총 전압(Uges)을 흡수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The number m of limiter cells 10-i when thyristors are used is at least m=3. Given that not all thyristors of all limiter elements are switched on at the same time, as there are only two limiter cells, m = 2, each capacitor 13-i has a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2) and the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3 will need to absorb the total voltage U ges .

실제 구현에서, m = 20이 수로서 선택될 수 있고, 여기서, 주어진 시간에, 예컨대 3 개의 상이한 제한기 셀들의 3 개의 사이리스터들이 스위칭 온될 것이다. 이러한 과잉-치수화(over-dimensioning)는 유리한데, 그 이유는 이 구성에서 개개의 제한기 엘리먼트들(10-i)에 걸친 대칭 전압 분포가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In a practical implementation, m = 20 may be chosen as a number, where at a given time, for example, three thyristors of three different limiter cells will be switched on. This over-dimensioning is advantageous, since in this configuration a symmetrical voltage distribution across the individual limiter elements 10-i is not possible.

Claims (13)

DC 전압 네트워크(network)(1)에 대한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장치(10)는 제1 공급 전위 레벨(level)(2)과 제2 공급 전위 레벨(3) 사이에 직렬로 연결되는 적어도 2개의 제한기 셀(cell)들(10-1,..., 10-n)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한기 셀들(10-1,..., 10-n) 각각은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switching element)(11-1,..., 11-n), 방전 저항기(12-1,..., 12-n) 및 커패시터(capacitor)(13-1,..., 13-n)의 어레인지먼트(arrangement)를 포함하며, 직렬로 연결되는 상기 제한기 셀들(10-1,..., 10-n)에 걸쳐, 상기 제1 공급 전위 레벨(2)과 상기 제2 공급 전위 레벨(3)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Uges)이 강하되며, 상기 장치의 동작 동안, 특정 제한기 셀(10-1,..., 10-n)의 커패시터(13-1,..., 13-n) 양단에서 강하된 전압(U1, U2, U3)에 기초하여, 상기 제한기 셀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1,..., 11-n)가 스위칭 온되거나(switched on) 또는 스위칭 오프되며(switched off),
상기 장치는 상기 제한기 셀들(10-1,..., 10-n)의 개개의 스위칭 엘리먼트들(11-1,..., 11-n)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어 유닛(unit)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1 공급 전위 레벨(2)의 도체와 상기 제2 공급 전위 레벨(3)의 도체 사이에 과전압이 발생하는 경우에, 시간 오프셋(time offset)을 갖는 펄스식 모드(pulsed mode)로 상기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11-1,..., 11-n)을 동작시키도록 설계되고, 이때 상기 커패시터들(13-1,..., 13-n)의 전압들이 결정 및 비교되고,
제1 동작 모드 시, 상기 제한기 셀들(10-1,..., 10-n) 중 양단에 최고 전압이 인가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제한기 셀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1,..., 11-n)가 스위칭 온되고, 다른 제한기 셀들(10-1,..., 10-n)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은 스위칭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 device for limiting voltage on a DC voltage network (1), comprising:
The device (10) comprises at least two limiter cells (10-1, ...)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2) and a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3). , 10-n),
Each of the at least two limiter cells 10-1, ..., 10-n includes a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1, ..., 11-n, a discharge resistor 12-1 ,..., 12-n) and an arrangement of a capacitor 13-1,..., 13-n, said limiter cells 10-1, connected in series. .., 10-n), the voltage U ges applied between the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2 and the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3 drops, and during operation of the device, a certain limit Based on the voltages U 1 , U 2 , U 3 dropped across the capacitors 13-1,..., 13-n of the base cells 10-1,..., 10-n, the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1, ..., 11-n of the limiter cell is switched on or switched off,
The apparatus comprises a control unit for activating the individual switching elements 11-1,..., 11-n of the limiter cells 10-1,..., 10-n. and the control unit is configured in a pulsed mode with a time offset in case an overvoltage occurs between the conductor of the first supply potential level (2) and the conductor of the second supply potential level (3). designed to operate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11-1, ..., 11-n in a pulsed mode, wherein the voltage of the capacitors 13-1, ..., 13-n are determined and compared,
In the first mode of operation,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1, ... of the limiter cell comprising a capacitor to which the highest voltage is applied across one of the limiter cells 10-1, ..., 10-n. ., 11-n) is switched on and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of the other limiter cells (10-1, ..., 10-n) are switched off,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을 제한하기 위한 장치(10)의 동작에 있어서, 제2 동작 모드 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한기 셀들(10-1,..., 10-n)의 제1 서브세트(subset)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11-1,..., 11-n)이 스위칭 온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한기 셀들(10-1,..., 10-n)의 제2 서브세트의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11-1,..., 11-n)이 스위칭 오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In the operation of the device (10) for limiting the voltage, in a second mode of operation, a first subset of the at least two limiter cells (10-1, ..., 10-n) is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11-1, ..., 11-n are switched on, and control of a second subset of said at least two limiter cells 10-1, ..., 10-n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sible switching elements (11-1, ..., 11-n) are switched off,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인지먼트는 상기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1,..., 11-n)와 상기 방전 저항기(12-1,..., 12-n)의 직렬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들(13-1,..., 13-n)의 직렬 회로와는 병렬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rrangement comprises a series circuit of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1,..., 11-n) and the discharge resistor (12-1,..., 12-n), the capacitors (13)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series circuit of -1,..., 13-n),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1,..., 11-n)는 IGB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1, ..., 11-n) is an IGBT,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 회로는 부가적으로, 인덕터(inductor)(14-1, ..., 14-n)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characterized in that the series circuit additionally comprises an inductor (14-1, ..., 14-n),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1,..., 11-n)는 사이리스터(thyrist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1, ..., 11-n) is a thyristor,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11-1,..., 11-n)는 GTO 사이리스터이거나, 또는 퀀칭(quenching) 회로가 제공된 사이리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 (11-1, ..., 11-n) is a GTO thyristor or a thyristor provided with a quenching circuit,
Device.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14-1, ..., 14-n)의 크기는 RLC 공진 회로가 형성되는 방식으로 상기 방전 저항기(12-1,..., 12-n) 및/또는 상기 커패시터(13-1,..., 13-n)의 크기에 따라 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The size of the inductor 14-1, ..., 14-n is such that an RLC resonant circuit is formed in the discharge resistor 12-1, ..., 12-n and/or the capacitor 13- 1, ..., characterized in that selected according to the size of 13-n),
Device.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기 셀들(10-1,..., 10-n)의 수는 2개보다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7,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limiter cells (10-1, ..., 10-n) is more than two,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가능한 스위칭 엘리먼트들로서, 최대 1200V의 전압 등급을 갖는 IGBT들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s said controllable switching elements, IGBTs with a voltage class of up to 1200V can be used,
Devi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7027706A 2017-02-24 2018-02-22 Device for limiting voltage on DC voltage networks KR10235327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03053.4 2017-02-24
DE102017203053.4A DE102017203053A1 (en) 2017-02-24 2017-02-24 Voltage limiting device for a direct voltage network
PCT/EP2018/054399 WO2018153993A1 (en) 2017-02-24 2018-02-22 Apparatus for limiting voltage for a dc voltage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9110A KR20190119110A (en) 2019-10-21
KR102353270B1 true KR102353270B1 (en) 2022-01-18

Family

ID=61283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706A KR102353270B1 (en) 2017-02-24 2018-02-22 Device for limiting voltage on DC voltage networks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289904B2 (en)
EP (1) EP3571750B1 (en)
KR (1) KR102353270B1 (en)
CN (1) CN110326181B (en)
AU (1) AU2018223885B2 (en)
DE (1) DE102017203053A1 (en)
DK (1) DK3571750T3 (en)
ES (1) ES2856252T3 (en)
WO (1) WO201815399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6638B (en) * 2018-10-22 2020-07-28 南京南瑞继保电气有限公司 Direct current energy consumpt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42673A (en) * 1967-08-18 1971-08-11 English Electric Co Ltd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CA1162977A (en) * 1981-05-29 1984-02-28 Philip Chadwick Thyristor-switched capacitor apparatus
JPH06311727A (en) * 1993-04-20 1994-11-04 Toshiba Corp Overvoltage protective device and power conversion device
JP2928159B2 (en) * 1996-04-12 1999-08-03 日本原子力研究所 High-speed semiconductor switch circuit
US7599167B2 (en) * 2004-02-17 2009-10-06 Cooper Technologies Company Active balancing circuit modules, systems and capacitor devices
US7072196B1 (en) * 2005-01-28 2006-07-04 Applied Pulsed Power, Inc. Multi-stage high voltage solid state switch
DE102006046040A1 (en) * 2006-09-28 2008-04-03 Siemens Ag Thyristor valve of a HVDC system
DE102007035329A1 (en) 2007-07-27 2009-01-29 Robert Bosch Gmbh Charge distribution by charge transfer within battery pack
CN101383578A (en) 2008-09-22 2009-03-11 艾默生网络能源有限公司 Dual-feeding motor system having protecting device and protecting method thereof
EP2264894B1 (en) * 2009-06-19 2011-10-12 Vincotech Holdings S.a.r.l. Power module with additional transient current path and power module system
DE102010006525B4 (en) 2010-02-01 2012-02-09 Phoenix Contact Gmbh & Co. Kg Device for deriving surge currents or transient overvoltages
MX2012009019A (en) 2010-02-03 2012-09-07 Abb Technology Ag Switching module to limit and/or break the current of an electric power line.
CN101984546B (en) * 2010-02-05 2013-03-06 深圳市科陆变频器有限公司 Power switching device series voltage-limiting circuit
CN102208800B (en) * 2011-06-09 2014-04-30 国网电力科学研究院 Adaptive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IGBT) series-connection voltage-sharing circuit with overcurrent protection function
DE102011053013A1 (en) 2011-08-26 2013-02-28 Refusol Gmbh Symmetrical device for balancing voltage division of serially-connected energy storage devices e.g. capacitors, has control unit that drives switch element of bypass circuit according to voltage requirement of energy storage device
US8575990B2 (en) * 2011-10-14 2013-11-05 Silicon Power Corporation Matrix-stages solid state ultrafast switch
CN202997536U (en) * 2012-10-15 2013-06-12 大连国通电气有限公司 IGBT type Crowbar
CN203445627U (en) * 2013-09-06 2014-02-19 南车株洲电力机车研究所有限公司 Wind power generator set high and low voltage ride through device and system thereof
CN103441530A (en) * 2013-09-06 2013-12-11 南车株洲电力机车研究所有限公司 Wind power generating device group high and low voltage crossing device, system and method
US9178349B2 (en) * 2013-09-11 2015-11-0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architecture, control, and protection systems of modular stacked direct current subsea power system
US20150091539A1 (en) * 2013-10-02 2015-04-02 Infineon Technologies Autria AG Half-bridge gate driver control
CN207053386U (en) 2014-07-01 2018-02-27 西门子公司 The submodule and brake governor of the brake governor of built modul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8223885B2 (en) 2020-06-11
US20210249854A1 (en) 2021-08-12
EP3571750B1 (en) 2020-11-25
ES2856252T3 (en) 2021-09-27
CN110326181A (en) 2019-10-11
WO2018153993A1 (en) 2018-08-30
DE102017203053A1 (en) 2018-08-30
EP3571750A1 (en) 2019-11-27
US11289904B2 (en) 2022-03-29
KR20190119110A (en) 2019-10-21
DK3571750T3 (en) 2021-02-01
CN110326181B (en) 2022-08-26
AU2018223885A1 (en) 2019-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0191B (en) Device for temporarily taking over the current of an energy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system as required
KR102227376B1 (en) Switching device to isolate the current path
EP2747267B1 (en) Electrical apparatus including chain-link converter and protection circuit
WO2014177874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c current
EP2701255A1 (en) Circuit interruption device
EP3008822B1 (en) Semiconductor switching circuit
KR102580299B1 (en) Switching device to separate current paths
KR20160100398A (en) Device for switching a direct current
EP3357160B1 (en) Semiconductor switching string
Magnusson et al. On the use of metal oxide varistors as a snubber circuit in solid-state breakers
CN113396540A (en) Switching device for breaking a current path
EP3272000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electrical assemblies
US7245031B2 (en) Generator with integrated powerswitch
EP2849306A1 (en) Voltage source converter
KR102353270B1 (en) Device for limiting voltage on DC voltage networks
EP2955838B1 (en) Semiconductor switching assembly
Ganev et al. Solid-state switches for fault current limiter contr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