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903B1 -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903B1
KR102352903B1 KR1020190091954A KR20190091954A KR102352903B1 KR 102352903 B1 KR102352903 B1 KR 102352903B1 KR 1020190091954 A KR1020190091954 A KR 1020190091954A KR 20190091954 A KR20190091954 A KR 20190091954A KR 102352903 B1 KR102352903 B1 KR 102352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ercise
binding
transfer
band
pers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1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3994A (ko
Inventor
한영민
Original Assignee
(주)에스씨모빌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씨모빌리티 filed Critical (주)에스씨모빌리티
Priority to KR1020190091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903B1/ko
Publication of KR20210013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5A single apparatus used for either upper or lower limbs, i.e. with a set of support elements driven either by the upper or the lower limb or limbs
    • A63B23/03558Compound apparatus having multiple stations allowing an user to exercise different limbs
    • A63B23/03566Compound apparatus having multiple stations allowing an user to exercise different limbs the multiple stations having a common resistance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5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extension element type
    • A63B21/0552Elastic ropes or ban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0Multi-station exercising machines
    • A63B2225/105Multi-station exercising machines each station having its own resisting device, e.g. for training multiple users simultaneousl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부에 위치되되, 등각 간격으로 배치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 운동수단;과, 하부에 위치되되, 등각 간격으로 배치 형성되는 다수의 하부 운동수단;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수단을 바깥쪽으로 펼쳐 노출시키거나, 안쪽으로 오므려 밀폐하는 개방수단;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수단과 개방수단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부 및 하부 운동기구를 통해 여러 명이 동시에 함께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운동시 지루하지 않고 흥미와 재미를 느낄 수 있어 운동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상부 및 하부 운동기구를 통해 신체의 상부와 하부 근력을 골고루 운동하여 관리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방수단을 통해 사용시에는 상부 및 하부 운동기구를 바깥쪽으로 펼쳐 노출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 및 하부 운동기구를 안쪽으로 오므려 밀폐시켜 운동기구의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하여 용이한 보관을 유도할 수 있어 운동기구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Multi-quoted muscle strength device}
본 발명은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및 하부 운동기구를 통해 여러 명이 동시에 함께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운동시 지루하지 않고 흥미와 재미를 느낄 수 있어 운동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상부 및 하부 운동기구를 통해 신체의 상부와 하부 근력을 골고루 운동하여 관리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근력이나 유연성을 키우기 위해 여러 가지 운동기구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운동기구는 대부분 개인(1인)용으로 제작되어 개인이 혼자 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운동기구는 한 번에 여러 명이 동시에 운동을 수행하기 곤란함으로 여러 사람이 함께 운동하기 위해서는 다수 대의 운동기구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공간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는 다수의 운동기구의 설치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개인용 운동기구는 개인이 혼자 운동을 수행하기 때문에 운동시 쉽게 지루함을 느껴 운동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수행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부 및 하부 운동기구를 통해 여러 명이 동시에 함께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운동시 지루하지 않고 흥미와 재미를 느낄 수 있어 운동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상부 및 하부 운동기구를 통해 신체의 상부와 하부 근력을 골고루 운동하여 관리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개방수단을 통해 사용시에는 상부 및 하부 운동기구를 바깥쪽으로 펼쳐 노출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 및 하부 운동기구를 안쪽으로 오므려 밀폐시켜 운동기구의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하여 용이한 보관을 유도할 수 있어 운동기구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는 상부에 위치되되, 등각 간격으로 배치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 운동수단;과, 하부에 위치되되, 등각 간격으로 배치 형성되는 다수의 하부 운동수단;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수단을 바깥쪽으로 펼쳐 노출시키거나, 안쪽으로 오므려 밀폐하는 개방수단;과,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수단과 개방수단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 운동수단은 긴 봉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제1봉과, 탄성력을 갖는 것으로, 상기 상부 제1봉 상에 형성 고정되며, 양 끝단에는 각각 2개의 연결고리가 형성되는 상부 탄성밴드와, 상기 상부 탄성밴드의 연결고리에 탈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거나 신체의 일부를 거치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을 갖는 상부 걸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또한, 상기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의 용이한 이송 및 보관을 유도하는 이송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송수단은 상기 지지프레임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이송바퀴와, 상기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의 외측을 감싸는 것으로, 반원 형상의 좌판과, 일단이 상기 좌판의 일단과 핀 결합되는 반원 형상의 우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판의 타단은 벌어져 개방되거나 오므려져 폐쇄되도록 하는 환형의 이송밴드와, 상기 이송밴드가 오므려지면 결속 고정하거나, 결속을 해제하여 상기 이송밴드가 벌어져 개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좌판의 타단에서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되, 내부에는 결속홈이 형성되는 결속체와, 일단은 상기 우판의 타단에 상기 우판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결속체의 결속홈에 내입 관통되며, 타단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결속볼트와, 상기 제1결속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결속체와 함께 상기 좌판의 타단을 상기 우판의 타단으로 밀착 결속하여 상기 이송밴드를 오므려 결속하는 결속너트로 이루어지는 결속부와, 상기 이송밴드에 상기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가 견고히 결속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밴드의 측면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보조구멍과, 상기 보조구멍이 형성되는 상기 이송밴드의 외측면에 결합 고정되되, 내부에는 암나사공이 형성되는 결속가이드와, 상기 이송밴드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를 가압하는 것으로 소정의 쿠션을 갖는 가압패널과, 상기 결속가이드의 암나사공에 체결되어 상기 암나사공을 타고 전·후진하되, 끝단에는 상기 가압패널이 연결되어 상기 가압패널을 전진시켜 상기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에 밀착 가압시키거나, 후진 복귀되도록 하는 제2결속볼트로 이루어지는 가압부와, 상기 이송밴드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에 의하면, 상부 및 하부 운동기구를 통해 여러 명이 동시에 함께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운동시 지루하지 않고 흥미와 재미를 느낄 수 있어 운동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상부 및 하부 운동기구를 통해 신체의 상부와 하부 근력을 골고루 운동하여 관리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방수단을 통해 사용시에는 상부 및 하부 운동기구를 바깥쪽으로 펼쳐 노출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부 및 하부 운동기구를 안쪽으로 오므려 밀폐시켜 운동기구의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하여 용이한 보관을 유도할 수 있어 운동기구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의 상부 및 하부 운동기구가 오므려진 모습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의 상부 및 하부 운동기가구 펼쳐져 개방된 모습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의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의 상부 및 하부 운동기구가 오므려진 모습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의 상부 및 하부 운동기가구 펼쳐져 개방된 모습의 사시도를,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의 A-A 단면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의 사시도를,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는 상부 운동수단(10)과, 하부 운동수단(20)과, 개방수단(30)과, 지지프레임(40)을 포함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운동수단(10)은 상부에 등각 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치 형성되는 것으로,
긴 봉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제1봉(11)과, 탄성력을 갖는 것으로, 상기 상부 제1봉(11) 상에 형성 고정되며, 양 끝단에는 각각 2개의 연결고리(12a)가 형성되는 상부 탄성밴드(12)와, 상기 상부 탄성밴드(12)의 연결고리(12a)에 탈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거나 신체의 일부를 거치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을 갖는 상부 걸이(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상부 운동수단(10)의 상부 탄성밴드(12) 끝단에 형성되는 상기 상부 걸이(13)를 양손으로 파지하거나 신체의 일부를 거치한 상태에서 탄력적으로 당기는 운동을 반복하면서 신체의 근력 운동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상부 탄성밴드(12)의 일단 또는 타단에 형성되는 상기 연결고리(12a)에 선택적으로 상기 상부 걸이(13)를 연결한 후, 그 상기 상부 걸이(13)를 통해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한 손은 상기 상부 운동기구(10)의 상부 걸이(13)를 파지하고 나머지 한 손은 인접하는 다른 상부 운동기구(10)의 상부 걸이(13)를 파지하여 운동을 수행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상부 운동기구(10)들 사이의 간격으로 인해 사용자의 양팔이 자연스럽게 간격만큼 벌어진 상태로 유지되므로 사용자는 양손이 대략 성인의 어깨 폭만큼 이격 배치되어 효율적인 상부 근력 운동이 유도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에서 상부 운동수단(10)은 총 6개가 등각 간격으로 형성 배치되나, 이러한 개수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운동수단(20)은 상부에 등각 간격으로 다수 개가 배치 형성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지렛대(21)와, 중심 부위가 상기 지렛대(21)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지렛대(21)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하부 제1봉(22)과, 상기 하부 제1봉(22)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하부는 지면에 의지하여 고정되며, 상부에는 운동 중에 사용자가 파지하여 용이하게 중심을 잡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안전 손잡이(23a)가 형성되는 안전부재(23)와, 타단은 상기 안전부재(23)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부 제1봉(22)과 함께 상기 안전부재(23)의 위치를 견고히 설정 고정하는 하부 제2봉(24)과, 탄성력을 갖는 것으로, 상기 하부 제1봉(22) 또는 하부 제2봉(24) 상에 형성 고정되며, 양 끝단에는 각각 2개의 연결고리(25a)가 형성되는 하부 탄성밴드(25)와, 상기 하부 탄성밴드(25)의 연결고리(25a)에 탈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거나 신체의 일부를 거치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을 갖는 하부 걸이(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하부 운동수단(20)의 하부 탄성밴드(25) 끝단에 형성되는 상기 하부 걸이(26)로 양발을 거치하거나 신체의 일부를 거치한 상태에서 탄력적으로 당기는 운동을 반복하면서 신체의 근력 운동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하부 탄성밴드(25)의 일단 또는 타단에 연결 형성되는 상기 하부 걸이(26)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 파지하여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다리가 상기 상부 걸이(26)에 거치되어 상기 하부 탄성밴드(25)를 탄력적으로 당기는 운동을 수행하다 보면 사용자의 발이 지면에서 떨어지는 경우가 연속적으로 발생하여 사용자가 순간적으로 중심을 잃고 넘어지는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의 양손은 상기 안전부재(23)의 안전 손잡이(23a)를 파지한 상태에서 안전하게 근력 운동을 수행하도록 함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수단(30)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수단(10,20)을 바깥쪽으로 펼쳐 노출시키거나, 안쪽으로 오므려 밀폐하는 것으로,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수단(20,30)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프레임(40)에 의지하여 수직으로 길게 등각 간격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안내 가이드(31)와, 상기 안내 가이드(31) 상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 가이드(31)를 타고 수직 승강 또는 하강하되, 상기 하부 제1,2봉(22,24)의 일단과 연결되어 상기 하부 제1,2봉(22,24)의 일단을 승·하강시키는 안내블럭(32)과, 일단은 상기 안내블럭(32)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 제1봉(11)의 일단 측과 연결되어 연결봉(33)과, 다수의 상기 안내 가이드(31) 상에 형성되는 상기 안내블럭(32)과 각각 연결되어 상기 안내블럭(32)들과 함께 승·하강하는 연결블럭(34)과, 상기 연결블럭(34)과 함께 상기 안내블럭(32)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개방실린더(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를 사용하기 위해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수단(10,20)의 노출이 요구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방수단(30)의 개방실린더(35)를 통해 상기 연결블럭(34)과 함께 상기 안내블럭(32)을 승강시킨다.
그러면, 상기 안내블럭(32)과 연결되는 상기 연결봉(33)이 승강하면서 상기 연결봉(33)과 연결되는 상기 상부 제1봉(11)을 밀어올리는데, 이때 상기 상부 제1봉은(11)의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40)을 기준으로 회동되므로 자연스럽게 상기 상부 제1봉(11)이 회동 승강하면서 바깥쪽으로 펼쳐지면서 상기 상부 운동기구(10)가 노출된다.
동시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블럭(32)과 연결되는 상기 하부 제1,2봉(22,24)이 승강하면서 상기 하부 제1봉(22)은 상기 지렛대(21)를 기준으로 회동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 제1봉(22)의 일단이 승강함에 의해 타단은 하강되므로 상기 하부 제1,2봉(22,24)의 타단과 함께 상기 안전부재(23)가 하강하면서 바깥쪽으로 펼쳐져 자연스럽게 상기 하부 운동기구(20)가 노출된다.
이때, 상기 안전부재(23)의 하부는 지면에 의지하여 고정되므로 상기 하부 운동기구(20)의 안정적인 고정이 유도됨은 물론이다.
반대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수단(10,20)의 사용이 완료되어 밀폐 보관이 요구되면, 상기 개방실린더(35)를 통해 상기 연결블럭(34)과 함께 상기 안내블럭(32)을 하강 복귀시켜 상기 상부 운동수단(10)의 상부 제1봉(11)은 하강 회동되면서 안쪽으로 오므려지게 하고, 동시에 상기 하부 운동수단(20)의 하부 제1봉(22)의 타단은 상기 지렛대(21)를 기준으로 승강되면서 안쪽으로 오므려지면서 밀착되게 한다.
따라서 상기 개방수단(30)을 통해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수단(10,20)의 사용이 요구되면 간편히 바깥쪽으로 노출시켜 사용하고, 보관이 요구되면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수단(10,20)을 안쪽으로 오므려 밀폐시켜 기구의 부피가 최소화할 수 있어 운동기구의 사용 및 보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40)은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수단(10,20)과 개방수단(30)을 지지하도록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의 용이한 이송 및 보관을 유도하는 이송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송수단(50)은 상기 지지프레임(40)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이송바퀴(51)와, 상기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의 외측을 감싸는 것으로, 반원 형상의 좌판(52a)과, 일단이 상기 좌판(52a)의 일단과 핀 결합되는 반원 형상의 우판(52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판(52a,52b)의 타단은 벌어져 개방되거나 오므려져 폐쇄되도록 하는 환형의 이송밴드(52)와, 상기 이송밴드(52)가 오므려지면 결속 고정하거나, 결속을 해제하여 상기 이송밴드(52)가 벌어져 개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좌판(52a)의 타단에서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되, 내부에는 결속홈(53aa)이 형성되는 결속체(53a)와, 일단은 상기 우판(52b)의 타단에 상기 우판(52b)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결속체(53a)의 결속홈(53aa)에 내입 관통되며, 타단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결속볼트(53b)와, 상기 제1결속볼트(53b)에 체결되어 상기 결속체(53a)와 함께 상기 좌판(52a)의 타단을 상기 우판(52b)의 타단으로 밀착 결속하여 상기 이송밴드(52)를 오므려 결속하는 결속너트(53c)로 이루어지는 결속부(53)와, 상기 이송밴드(52)에 상기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가 견고히 결속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밴드(52)의 측면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보조구멍(54a)과, 상기 보조구멍(54a)이 형성되는 상기 이송밴드(52)의 외측면에 결합 고정되되, 내부에는 암나사공(54ba)이 형성되는 결속가이드(54b)와, 상기 이송밴드(52)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를 가압하는 것으로 소정의 쿠션을 갖는 가압패널(54c)과, 상기 결속가이드(54b)의 암나사공(54ba)에 체결되어 상기 암나사공(54ba)을 타고 전·후진하되, 끝단에는 상기 가압패널(54c)이 연결되어 상기 가압패널(54c)을 전진시켜 상기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에 밀착 가압시키거나, 후진 복귀되도록 하는 제2결속볼트(54d)로 이루어지는 가압부(54)와, 상기 이송밴드(5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손잡이(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의 상부 및 하부 운동수단(10,20)은 다수의 봉으로 구성되는 특성상 상기 개방수단(30)을 통해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수단(10,20)이 오므려지면 외측으로 다수의 봉이 노출되는데, 이때 본 발명의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의 이송이 요구되면 사용자는 봉을 잡고 밀어 이송하는 과정에서 연약한 봉이 쉽게 휘어져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가 보관 과정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수단(10,20)의 봉이 충격을 받으면, 그 봉과 연결되는 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의 이송이 요구되면 상기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를 상기 이송밴드(52)로 감싼 후에 상기 결속부(53)를 통해 상기 이송밴드(52)를 결속한 상태에서 상기 가압부(54)의 제2결속볼트(54d)를 통해 상기 가압패널(54c)을 전진시켜 상기 가압패널(54c)에 상기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가 안정적으로 탄성 가압되게 한다.
그러면, 상기 이송밴드(52)가 상기 가압부(54)에 의해 상기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에 견고히 고정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이송밴드(52)에 형성되는 상기 손잡이(55)를 파지하여 상기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를 안정적으로 이송하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를 보관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수단(10,20)의 봉이 충격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이송밴드(52)의 안정적인 결속을 통해 봉의 흔들림/이탈(이송)이 방지되므로 봉과 연결되는 부위가 충격으로 인해 손상 또는 파손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는 상부 및 하부 운동기구(10,20)를 통해 여러 명이 동시에 함께 운동을 수행할 수 있어 운동시 지루하지 않고 흥미와 재미를 느낄 수 있어 운동을 장기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할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기구(10,20)를 통해 신체의 상부와 하부 근력을 골고루 운동하여 관리할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인 근력 운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개방수단(30)을 통해 사용시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기구(10,20)를 바깥쪽으로 펼쳐 노출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기구(10,20)를 안쪽으로 오므려 밀폐시켜 운동기구의 전체적인 부피를 최소화하여 용이한 보관을 유도할 수 있어 운동기구를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하여 운동을 수행한다.
먼저,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를 통한 운동 수행이 요구되면 개방수단(30)을 통해 상부 및 하부 운동수단(10,20)을 바깥쪽으로 펼쳐 노출시킨다.
그런 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가 동시에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수단(10,20)을 통해 운동을 수행한다.
그런 후,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를 통한 운동이 완료되면 상기 개방수단(30)을 통해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수단(10,20)을 안쪽으로 오므려 밀폐시킨 후에 간편히 이송 보관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0. 상부 운동수단 11. 상부 제1봉
12. 상부 탄성밴드 13. 상부 걸이
20. 하부 운동수단 21. 지렛대
22. 하부 제1봉 23. 안전부재
23a. 안전 손잡이 24. 하부 제2봉
25. 하부 탄성밴드 26. 하부 걸이
30. 개방수단 31. 안내 가이드
32. 안내블럭 33. 연결봉
34. 연결블럭 35. 개방실린더
40. 지지프레임 50. 이송수단
51. 이송바퀴 52. 이송밴드
53. 결속부 54. 가압부
55. 손잡이
100.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

Claims (4)

  1. 상부에 위치되되, 등각 간격으로 배치 형성되는 다수의 상부 운동수단(10);
    하부에 위치되되, 등각 간격으로 배치 형성되는 다수의 하부 운동수단(20);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수단(10,20)을 바깥쪽으로 펼쳐 노출시키거나, 안쪽으로 오므려 밀폐하는 개방수단(30); 및
    상기 상부 및 하부 운동수단(10,20)과 개방수단(30)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4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상부 운동수단(10)은,
    긴 봉 형상을 갖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4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제1봉(11)과,
    탄성력을 갖는 것으로, 상기 상부 제1봉(11) 상에 형성 고정되며, 양 끝단에는 각각 2개의 연결고리(12a)가 형성되는 상부 탄성밴드(12)와,
    상기 상부 탄성밴드(12)의 연결고리(12a)에 탈착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하거나 신체의 일부를 거치할 수 있도록 링 형상을 갖는 상부 걸이(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의 용이한 이송 및 보관을 유도하는 이송수단(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송수단(50)은 상기 지지프레임(40) 하부에 형성되는 다수의 이송바퀴(51)와, 상기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의 외측을 감싸는 것으로, 반원 형상의 좌판(52a)과, 일단이 상기 좌판(52a)의 일단과 핀 결합되는 반원 형상의 우판(52b)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좌·우판(52a,52b)의 타단은 벌어져 개방되거나 오므려져 폐쇄되도록 하는 환형의 이송밴드(52)와, 상기 이송밴드(52)가 오므려지면 결속 고정하거나, 결속을 해제하여 상기 이송밴드(52)가 벌어져 개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좌판(52a)의 타단에서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되되, 내부에는 결속홈(53aa)이 형성되는 결속체(53a)와, 일단은 상기 우판(52b)의 타단에 상기 우판(52b)에 대하여 상대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결속체(53a)의 결속홈(53aa)에 내입 관통되며, 타단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결속볼트(53b)와, 상기 제1결속볼트(53b)에 체결되어 상기 결속체(53a)와 함께 상기 좌판(52a)의 타단을 상기 우판(52b)의 타단으로 밀착 결속하여 상기 이송밴드(52)를 오므려 결속하는 결속너트(53c)로 이루어지는 결속부(53)와, 상기 이송밴드(52)에 상기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가 견고히 결속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이송밴드(52)의 측면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보조구멍(54a)과, 상기 보조구멍(54a)이 형성되는 상기 이송밴드(52)의 외측면에 결합 고정되되, 내부에는 암나사공(54ba)이 형성되는 결속가이드(54b)와, 상기 이송밴드(52)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를 가압하는 것으로 소정의 쿠션을 갖는 가압패널(54c)과, 상기 결속가이드(54b)의 암나사공(54ba)에 체결되어 상기 암나사공(54ba)을 타고 전·후진하되, 끝단에는 상기 가압패널(54c)이 연결되어 상기 가압패널(54c)을 전진시켜 상기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100)에 밀착 가압시키거나, 후진 복귀되도록 하는 제2결속볼트(54d)로 이루어지는 가압부(54)와, 상기 이송밴드(5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적어도 둘 이상의 손잡이(5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091954A 2019-07-29 2019-07-29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 KR102352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954A KR102352903B1 (ko) 2019-07-29 2019-07-29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1954A KR102352903B1 (ko) 2019-07-29 2019-07-29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994A KR20210013994A (ko) 2021-02-08
KR102352903B1 true KR102352903B1 (ko) 2022-01-20

Family

ID=74560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1954A KR102352903B1 (ko) 2019-07-29 2019-07-29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90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4376A (ja) * 1996-11-22 2001-04-03 コオペラ・ボイテル・ウント・マルトゥツィ・ゲーエムベーハー 人間の身体鍛練用トレーニングマシーン及びその牽引装置
US20150165259A1 (en) * 2013-12-13 2015-06-18 Liberty Active Body & Mind Inc. Exercise machine having elastic exercise resistance cab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504376A (ja) * 1996-11-22 2001-04-03 コオペラ・ボイテル・ウント・マルトゥツィ・ゲーエムベーハー 人間の身体鍛練用トレーニングマシーン及びその牽引装置
US20150165259A1 (en) * 2013-12-13 2015-06-18 Liberty Active Body & Mind Inc. Exercise machine having elastic exercise resistance cab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994A (ko) 2021-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38547A (en) Indoor outdoor exercise chair
US10398930B2 (en) Strength and exercise apparatus
US6183400B1 (en) Hand at rest grip
US7465259B2 (en) Exercise apparatus
JP3534409B2 (ja) 調整可能なダンベル
US20160074693A1 (en) Diamond Cutter Push-up Bar and Accompanying Workout Methods
US5098361A (en) Center supported weight lifting bars
US4277062A (en) Leg stretching exercise
US9878198B2 (en) Weight lifting and strength training platforms and pulling blocks
US20140342887A1 (en) Exercise apparatus
US20140066262A1 (en) Exercise device
US9586075B2 (en) Exercise device for performing dips
US7195102B2 (en) Telescopic stool
US20040067830A1 (en) Exercise device
FR2630652A1 (fr) Appareil de musculation
KR102352903B1 (ko) 다인용 근력 운동기구
US20060052225A1 (en) Torso exercise methods and apparatus
FR2625907A1 (fr) Appareillage modulaire de musculation
US5865713A (en) Multipurpose exercise device
CN206642290U (zh) 一种肱二头肌训练器
CN211328001U (zh) 一种普拉提运动训练器
US20040082450A1 (en) Abdominal exercise machine
CN210331571U (zh) 一种舞蹈把杆
DE102004003904A1 (de) Walkingtrainer
US20110092341A1 (en) Bench dip bla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