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2547B1 - 필라멘트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필라멘트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2547B1
KR102352547B1 KR1020200129261A KR20200129261A KR102352547B1 KR 102352547 B1 KR102352547 B1 KR 102352547B1 KR 1020200129261 A KR1020200129261 A KR 1020200129261A KR 20200129261 A KR20200129261 A KR 20200129261A KR 102352547 B1 KR102352547 B1 KR 102352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ament
resin material
moving
cr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재상
박현규
최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락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락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락방
Priority to KR1020200129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547B1/ko
Priority to CN202011361808.4A priority patent/CN114393834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57Recyc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05Direct recuperation and re-use of scrap material during moulding operation, i.e. feed-back of us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5Filamentary, e.g. stra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Storing of extruded material, e.g. by winding up or stac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285Feeding the extrusion material to the extru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88Thermal treatment of the stream of extruded material, e.g.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filamentary material being melted, e.g. fused deposition modelling [FD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07Handling of material to be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14Pr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3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recycled material, e.g.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Abstract

공급되는 수지제를 설정된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부, 상기 파쇄부의 둘레에서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파쇄된 수지제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이동된 파쇄된 수지제를 가열하고, 일방향으로 가압 이동시켜 선 형태의 필라멘트로 생성하는 압출부 및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선 형태의 필라멘트를 감아 정렬하는 정렬부를 포함하는 필라멘트 재생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필라멘트 재생장치{APPARATUS FOR RECYCLING 3D PRINTER FILAMENT}
본 발명은 폐 수지제를 3D 프린트용 필라멘트로 재생할 수 있는 필라멘트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3D 프린터는 우리의 인식을 바꾸었다.
프린터는 잉크를 인쇄하여 종이에 2차 원적 정보를 빠르게 만들어낸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기술발전에 따라 종이가 아닌 공간에 재료를 적층하는 방식의 인쇄기술이 발전되어 3D 형태물을 만들 수 있게 되었다.
3D 프린터는 다양한 방식의 인쇄방식이 있을 수 있으나, 빈번하게 활용되는 방식은 열가소성 수지로 된 와이어 또는 필라멘트를 공급릴과 이송롤을 통해 공급하고 공급된 필라멘트를 상하, 전후, 좌우 세 방향으로 위치 조절되는 히터노즐에서 융해시켜서 배출하여 적층함으로써 물체를 3차원으로 성형하는 필라멘트 융해 적층하는 것이다.
그러나 3D 프린터는 합성수지를 재료로 사용하므로 환경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최근 환경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어서, 폐 플라스틱의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위와 같은 필라멘트 융해 적층 방식은 설계오류, 치수오류, 실내온도, 압출불량 등의 이유로 폐 플라스틱을 만들고 있다.
또한, 3D 인쇄에 성공하였다 하더라도, 일부 잔여량으로 남아있는 잔여 필라멘트는 활용되지 못하기 폐기하여야 한다.
이처럼 3D 프린터기의 기술 발전과 별도로, 잔여 필라멘트의 감소, 폐 필라멘트의 처리 방안에 대한 요구가 빗발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5-0096078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합성수지제를 3D 프린터기에 이용 가능한 필라멘트로 제조할 수 있는 필라멘트 재생장치를 제조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는 공급되는 수지제를 설정된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부, 상기 파쇄부의 둘레에서 일방향으로 이동되어 파쇄된 수지제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이동된 파쇄된 수지제를 가열하고, 일방향으로 가압 이동시켜 선 형태의 필라멘트로 생성하는 압출부 및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선 형태의 필라멘트를 감아 정렬하는 정렬부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부는 설정된 크기 이상의 파쇄된 수지제가 다시 상기 파쇄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파쇄부를 중심으로 한 호의 형태로 파쇄된 상기 수지제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는 설정된 두께로 형성되는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와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제1프레임부와 동일한 형태와 두께로 형성되는 제2프레임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와 제2프레임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프레임부와 제2프레임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며 필터홀이 복수개 형성되어 파쇄된 수지제를 관통시켜 이동시키는 관통망부를 포함하여서 설정된 크기로 파쇄된 수지제를 상기 압출부의 인입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부는 상기 관통망부의 둘레에 배치되며 일측에는 연통홀이 형성되어 파쇄된 수지제를 배출하는 둘레하우징이 배치되고, 상기 관통망부에는 내측을 향하여 이격되어 형성된 제1이동벽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제2이동벽이 형성되어 회전 운동에 따라 내측에 위치되는 수지제를 상기 파쇄부로 운반 이동시키고, 외측에 위치되는 파쇄된 수지제를 상기 연통홀로 운반 이동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출부는 열을 공급하여 상기 파쇄된 수지제를 녹이는 가열부와, 상기 열을 공급받은 수지제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며 이동시키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된 수지제를 선의 형태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이동치와 상기 샤프트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압부는 전원공급에 의하여 상기 배출부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수지제를 가압 이동시키는 피스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출부와 정렬부 사이에는 상기 가열되며 선 형태로 배출되는 필라멘트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압출부와 상기 정렬부 사이에는 상기 선 형태의 필라멘트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바디부와 상기 가이드바디부의 외주면을 따라서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서 상기 가이드바디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선 형태의 필라멘트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는 공급되는 수지제를 설정된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부 및 상기 파쇄부의 둘레에서 일방향으로 이동되며,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파쇄된 수지제를 관통하여 이동시키는 관통망부를 포함하여서 내측에 위치되는 설정된 크기 이상의 수지제는 상기 파쇄부로 다시 공급하는 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관통망부를 폐쇄한 상기 수지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에 타격을 인가하는 타격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잔여 필라멘트, 폐 필라멘트, 합성 수지제를 3D 프린터에 이용할 수 있는 필라멘트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의 파쇄부와 이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의 이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의 파쇄부와 이동부의 측면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의 압출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의 압출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의 냉각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의 냉각부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의 냉각부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의 가이드부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상장치의 가이드부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고 의도된 것은 아니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는 파쇄부(100), 이동부(200), 압출부(300), 정렬부(6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는 냉각부(400), 가이드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쇄부(100)는 공급되는 수지제를 설정된 크기로 파쇄한다. 설정된 크기로 파쇄된 수지제는 이동부(200)에 위치되게 된다. 이동부(200)는 수지제를 이동시키되, 설정된 크기로 파쇄된 수지제는 내면을 관통하여 외면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동된 수지제는 압출부(300)로 공급된다. 수지제는 압출부(300)에서 열에 의하여 녹으며 일방향으로 압출된다. 압출부(300)를 통과한 수지제는 선 형태의 필라멘트로 재생산될 수 있다. 선 형태의 필라멘트는 정렬부(600)에 의하여 정렬되어 필라멘트로 재생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냉각부(400)는 선 형태의 필라멘트를 냉각시켜 견고하게 만들고, 가이드부(500)는 선 형태의 필라멘트가 정렬부(600)에 정확하게 감기도록 가이드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의 파쇄부와 이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의 이동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동부(200)는 둘레하우징(210)과 롤링부(220)로 구성된다.
롤링부(220)는 제1프레임부(221)와 제2프레임부(222) 및 관통망부(223)를 포함한다. 롤링부(220)는 롤링부(220)의 외측에 위치된 모터의 샤프트의 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의 샤프트에 회전롤러가 설치되고, 회전롤러는 제1프레임부(221)과 맞닿는다. 따라서 회전롤러가 회전되면 롤링부(220)는 회전될 수 있다.
롤링부(220)는 제1프레임부(221)와 제2프레임부(222)가 이격되어 위치되고, 제1프레임부(221)와 제2프레임부(222) 사이에 관통망부(223)가 위치된 형태일 수 있다. 제1프레임부(221)와 제2프레임부(222)는 설정된 두께를 가지며 형성된다. 따라서 제1프레임부(221), 관통망부(223), 제2프레임부(222)를 수평한 위치에서 관찰하면 제1프레임부(221)와 관통망부(223), 제2프레임부(222)와 관통망부(223) 사이에는 단차가 관찰될 수 있다.
관통망부(223)는 홀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설정된 크기 이하로 파쇄된 수지제는 관통망부(223)를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다. 즉, 파쇄부(100)에 의하여 설정된 크기 이하로 파쇄된 수지제는 관통망부(223)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관통망부(223)의 외측에는 둘레하우징(210)이 설치될 수 있다. 둘레하우징(210)은 롤링부(220)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되, 롤링부(22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관통망부(223)를 통과한 설정된 크기의 수지제는 둘레하우징(210)에 의하여 이동이 방해될 수 있다. 둘레하우징(210)의 일측에는 연통홀(211)이 형성된다. 연통홀(211)은 파쇄부(100)의 인입부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관통망부(223)를 관통하여 둘레하우징(210)의 내측에 위치된 설정된 크기의 수지제는 둘레하우징(210)의 연통홀(211)을 통하여 파쇄부(100)로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지제의 이동은 본 발명인 이동부(200)에 형성된 제1이동벽(224)과 제2이동벽(225)을 통하여 가능할 수 있다. 제1이동벽(224)과 제2이동벽(225)은 이동부(200)의 내측과 외측에 설정된 각도를 가지며 형성될 수 있다. 제1이동벽(224)과 제2이동벽(225)은 각각 이동부(200)의 롤링부(220)의 내측에 위치된 수지제와 외측에 위치된 수지제를 이동시킨다. 제2이동벽(225)은 전술한 바와 같이 관통망부(223)와 프레임 사이의 두께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을 채우는 길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이동벽(224)의 길이가 제2이동벽(225)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따라서 제1이동벽(224)은 설정된 크기 이상의 수지제를 파쇄부(100)로 재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제2이동벽(225)은 설정된 크기 이하로 파쇄된 수지제를 연통홀(211)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은 설정된 크기 이하의 수지제만이 압출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파쇄부(100)에 의하여 설정된 크기 이상으로 파쇄된 수지제는 롤링부(220)의 내측에 위치된다. 롤링부(220)의 내측에 위치된 수지제는 롤링부(220)의 이동과 제1이동벽(224)에 의하여 호를 그리며 이동될 수 있다. 그러다가 파쇄부(100)의 상측에 위치되면 중력에 의하여 수지제는 롤링부(220)를 이탈할 수 있다. 그러면 수지제는 다시 파쇄부(100)로 공급되어 다시 한 번 파쇄될 수 있다.
설정된 크기 이하로 파쇄된 수지제는 롤링부(220)의 외측과 둘레 하우징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롤링부(220)가 이동되면 제2이동벽(225)은 수지제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수지제는 연통홀(211)로 이동되고, 압출부(300)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연통홀(211)에는 거름망부가 설치될 수 있다. 거름망부의 형성된 홀의 크기는 관통망부(223)에 형성된 홀의 크기와 대비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거름망부는 압출부(300)로 파쇄된 수지제가 이동되기 전 다시 한 번 수지제의 이동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는 타격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격부는 이동부(200)에 타격을 인가한다. 따라서 관통망부(223), 거름망부가 수지제에 의하여 폐쇄된 경우 관통망부(223), 거름망부에 충격을 인가하여 관통망부(223), 거름망부의 폐쇄된 홀을 다시 연통시킬 수 있다. 타격부는 일례로 피스톤에 블록이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파쇄부(100)는 이동부(200)의 내측에 위치되어 공급되는 수지제를 파쇄한다.
파쇄부(100)는 고정하우징부(110), 파쇄날부(120), 보조커팅날부(130), 플레이팅부(140)를 포함한다.
고정하우징부(110)는 이동부(200)의 전방과 후면에 위치된다. 고정하우징부(110)는 상측이 절개된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파쇄부(100)는 외부에서 관찰 시 관찰될 수 있다. 고정하우징부(110)는 설치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형성된다. 설치홈에는 플레이팅부(140)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설치홈이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플레이팅부(140)도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팅부(140)에는 보조커팅날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고정하우징부(110)의 하측은 보관부가 형성되어 이동부(200)를 이탈한 수지제가 보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의 파쇄부와 이동부의 측면도이다.
파쇄날부(120)는 이격되어 위치된 플레이팅부(14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파쇄날부(120)는 보조커팅날부(130)들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파쇄날부(120)는 모터에 의하여 회전될 수 있다. 파쇄날부(120)를 회전시키는 모터는 이동부(200)를 이동시키는 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다. 즉, 하나의 모터의 회전 동력으로 이동부(200)와 파쇄날부(120)는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즉, 파쇄날부(120)는 샤프트와 연결되어 샤프트가 고정하우징(110)에 돌출되어 배치될 수 있다. 모터의 샤프트에는 구동기어가 설치되고, 파쇄날부(120)의 샤프트에도 역시 구동기어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구동기어의 둘레에는 회전체인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의 샤프트가 회전되면 파쇄날부(120)는 회전될 수 있다. 파쇄날부(120)의 회전 동작에 공급되는 수지제는 파쇄될 수 있다.
파쇄부(100)에 의하여 파쇄된 수지제는 이동부(200)의 내측으로 이동되게 되고, 여기서 설정된 크기 이상인지 이하인지 차이에 의하여 수지제는 다시 파쇄부(100)로 공급되거나 또는 압출부(300)로 공급될 수 있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의 압출부의 단면도이다.
압출부(300)는 파쇄된 수지제를 선 형태의 필라멘트로 재생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의한 압출부(300)는 압출하우징(310), 가열부(320), 가압부(330)를 포함한다.
제1실시예에 의한 압출부(300)의 압출하우징(310)은 일측에 인입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는 작은 사이즈를 갖는다. 따라서 배출부로 배출되는 수지제는 선 형태의 필라멘트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러기 위하여 수지제는 배출부로 배출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는 가열부(320)로 인하여 가능할 수 있다.
압출하우징(310)의 인입부 측에는 가열부(320)가 위치될 수 있다. 가열부(320)는 압출하우징(3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수지제를 가열한다. 가열된 수지제는 연성을 가지게 된다. 가열된 수지제는 가압부(330)에 의하여 배출부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배출부는 압출하우징(310) 내에 설치되어 가열된 수지제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배출부는 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둘레에 사선 방향으로 형성된 이동치를 포함한다. 샤프트는 회전모터와 연결되어 있어서,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이동치에 의하여 가열된 수지제를 이동시킨다. 가열된 수지제는 이동되어 배출부 측으로 이동되고 선 형태의 필라멘트로 제조되어 배출될 수 있다.
도 6는 제2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의 압출부의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에 의한 경우, 압출부(300)는 피스톤(331)일 수 있다.
제2실시예에 의한 압출부(300)는 제1실시예에 의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압출하우징(310)을 포함한다. 압출하우징(310)은 인입부와 배출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압출부(300)의 인입부에는 폐쇄부가 배치될 수 있다. 폐쇄부는 전원인가 차단에 따라 인입부를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설정된 양의 수지제만이 공급될 수 있다.
피스톤(331)은 전원 인가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가열부(320)에 의하여 가열된 수지제는 피스톤(331)에 의하여 가압되어 배출부로 수지제를 배출하여 선 형태의 필라멘트로 만들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의 냉각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제1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의 냉각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는 선 형태의 필라멘트를 냉각하는 냉각부(400)를 포함한다. 냉각부(400)는 일례로 공냉식일 수 있다.
냉각부(400)는 냉각펜(410), 냉각하우징(420)을 포함한다.
냉각하우징(420)은 흡입홀(421), 유로(422), 배출홀(423), 배치공간(424) 및 돌기(425)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펜(410)은 흡입홀(421) 측에 배치되어 바람을 냉각하우징(420)으로 인입할 수 있다. 흡입홀(421)로 인입된 공기는 유로(422)를 이동하며 배출홀(423) 측으로 위치될 수 있다. 배치공간(424)은 배출홀(423)과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배치공간(424)에는 선 형태의 필라멘트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배출홀(423)의 사이즈는 돌기(425)에 의하여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은 이동되는 유로(422)의 사이즈가 작아져서 가속될 수 있다. 또한, 바람은 돌기(425)에 의하여 가이드 되며 배치공간(424)의 하부 측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람은 공급되어 선 형태의 필라멘트를 냉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유로(422)는 흡입홀(421)과 연통되되 선 형태의 필라멘트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형성되어 선 형태의 필라멘트를 양측에서 냉각할 수 있다. 당연하게도 유로(422)가 양측으로 형성되면 배출홀(423)도 역시 양측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돌기(425)도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의 냉각부의 단면도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경우 냉각부(400)는 수냉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냉각부(400)는 코일형 유로부(430)와 냉각하우징(420)을 포함한다. 냉각하우징(420)은 배치공간(424)이 형성되어 있다. 배치공간(424)에는 선 형태의 필라멘트가 배치될 수 있다. 코일형 유로부(430)는 냉각하우징(420)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된다. 코일형 유로부(430)에는 냉각수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형 유로부(430)는 펌프에 의하여 냉각수가 일방향으로 지속하여 이동될 수 있다. 냉각수는 코일형 유로부(430)를 따라서 이동되며 배치공간(424)에 위치된 선 형태의 필라멘트의 열을 식힐 수 있다.
선 형태의 필라멘트는 정렬부(600)에 권선되어 3D 프린터기에 사용될 수 있는 필라멘트가 될 수 있다. 정렬부(600)는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몸통에 선 형태의 필라멘트를 권선 할 수 있다. 여기서 정렬부(600)에 권선되는 필라멘트는 사용 가능하게 정위치에서 정렬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가이드부(500)를 포함한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생장치의 가이드부의 확대도이다.
가이드부(500)는 정렬부(600)와 냉각부(40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500)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형태로 형성된 가이드바디부(510)와 가이드바디부(510)의 외주면을 따라서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돌기(425)를 포함할 수 있다. 선 형태의 필라멘트는 일측이 회전되는 정렬부(600)에 의하여 감겨질 수 있다. 그리고 선 형태의 필라멘트는 가이드바디부(510)와 맞닿으며 가이드돌기(42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바디부(510)는 모터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모터는 미세한 샤프트 회전 동작이 가능한 모터임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바디부(510)는 회전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도 10을 기준으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정렬부(600)에 선 형태의 필라멘트가 감기는 위치를 변경하고 싶으면 가이드바디부(510)는 회전을 통하여 축방향 위치가 변경되게 되고, 그에 따라 가이드돌기(425) 사이에 위치된 선 형태의 필라멘트 역시 그 위치가 변경되게 된다.
즉, 정렬부(600)에 선 형태의 필라멘트가 어느 정도 감기게 되면 가이드바디부(510)는 회전되어 선 형태의 필라멘트의 감기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바디부(510)는 회전을 통하여 가이드돌기(425)의 위치를 변경하여 선 형태의 필라멘트가 정렬부(600)에 정해진 위치에 감겨지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인 필라멘트 재상장치의 가이드부의 확대도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가이드부(500)는 가이드바디부(510)는 선 형태의 필라멘트에 텐션을 인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정렬부(600)는 가이드피스톤(53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정렬부(600)에 선 형태의 필라멘트가 어느 정도 권선되면 가이드피스톤(530)은 정렬부(600)를 일측으로 이동시켜 선 형태의 필라멘트가 권선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파쇄부
110 : 고정하우징
120 : 파쇄날부
130 : 보조커팅날부
140 : 플레이팅부
200 : 이동부
210 : 둘레하우징
211 : 연통홀
220 : 롤링부
221 : 제1프레임부
222 : 제2프레임부
223 : 관통망부
224 : 제1이동벽
225 : 제2이동벽
300 : 압출부
310 : 압출하우징
320 : 가열부
330 : 가압부
331 : 피스톤
400 : 냉각부
410 : 냉각펜
420 : 냉각하우징
421 : 흡입홀
422 : 유로
423 : 배출홀
424 : 배치공간
425 : 돌기
430 : 코일형 유로부
500 : 가이드부
510 : 가이드바디부
520 : 가이드돌기
521 : 가이드홈
530 : 가이드피스톤
600 : 정렬부

Claims (12)

  1. 중앙에 위치되며 공급되는 수지제를 설정된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부;
    상기 파쇄부를 원형으로 둘러싸며 일방향으로 회전하며 파쇄된 수지제를 일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에 의하여 이동된 파쇄된 수지제를 가열하고, 일방향으로 가압 이동시켜 선 형태의 필라멘트로 생성하는 압출부 및
    축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선 형태의 필라멘트를 감아 정렬하는 정렬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설정된 두께로 형성되는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와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제1프레임부와 동일한 형태와 두께로 형성되는 제2프레임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와 제2프레임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프레임부와 제2프레임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며 필터홀이 복수개 형성되어 파쇄된 수지제를 관통시켜 이동시키는 관통망부를 포함하며, 상기 관통망부의 둘레에 배치되며 일측에는 연통홀이 형성되어 파쇄된 수지제를 배출하는 둘레하우징이 배치되어서,
    상기 관통망부에는 내측을 향하여 이격되어 형성된 제1이동벽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제2이동벽이 형성되어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관통망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수지제를 상기 파쇄부로 운반 이동시키고, 외측에 위치되는 파쇄된 수지제를 상기 연통홀로 운반 이동시켜 상기 압출부로 상기 파쇄된 수지제를 이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재생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는
    열을 공급하여 상기 파쇄된 수지제를 녹이는 가열부와, 상기 열을 공급받은 수지제를 일방향으로 가압하며 이동시키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된 수지제를 선의 형태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재생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형성된 이동치와 상기 샤프트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재생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전원공급에 의하여 상기 배출부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수지제를 가압 이동시키는 피스톤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재생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와 정렬부 사이에는
    상기 가열되며 선 형태로 배출되는 필라멘트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재생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와 상기 정렬부 사이에는
    상기 선 형태의 필라멘트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위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재생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가이드바디부와 상기 가이드바디부의 외주면을 따라서 사선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서 상기 가이드바디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선 형태의 필라멘트의 위치를 가이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재생장치.
  11. 중앙에 위치되며 공급되는 수지제를 설정된 크기로 파쇄하는 파쇄부;
    상기 파쇄부의 둘레에서 원형으로 둘러싸며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설정된 크기보다 작은 크기로 파쇄된 수지제를 관통하여 이동시키는 관통망부를 포함하여서 내측에 위치되는 설정된 크기 이상의 수지제는 상기 파쇄부로 다시 공급하는 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부는 설정된 두께로 형성되는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와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제1프레임부와 동일한 형태와 두께로 형성되는 제2프레임부와 상기 제1프레임부와 제2프레임부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제1프레임부와 제2프레임부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며 필터홀이 복수개 형성되어 파쇄된 수지제를 관통시켜 이동시키는 관통망부와 상기 관통망부의 둘레에 배치되며 일측에는 연통홀이 형성되어 파쇄된 수지제를 배출하는 둘레하우징이 배치되고,
    상기 관통망부에는 내측을 향하여 이격되어 형성된 제1이동벽이 형성되고, 외측에는 제2이동벽이 형성되어 회전 운동에 따라 내측에 위치되는 수지제를 상기 파쇄부로 운반 이동시키고, 외측에 위치되는 파쇄된 수지제를 연통홀로 운반 이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라멘트 재생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망부를 폐쇄한 상기 수지제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동부에 타격을 인가하는 타격부
    를 더 포함하는 필라멘트 재생장치.
KR1020200129261A 2020-10-07 2020-10-07 필라멘트 재생장치 KR102352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261A KR102352547B1 (ko) 2020-10-07 2020-10-07 필라멘트 재생장치
CN202011361808.4A CN114393834A (zh) 2020-10-07 2020-11-27 料丝再生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261A KR102352547B1 (ko) 2020-10-07 2020-10-07 필라멘트 재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547B1 true KR102352547B1 (ko) 2022-01-20

Family

ID=8005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261A KR102352547B1 (ko) 2020-10-07 2020-10-07 필라멘트 재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52547B1 (ko)
CN (1) CN1143938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160643B (zh) * 2023-11-03 2024-01-05 临汾市鑫锐机械设备有限公司 集成化滚筒干式筛分制砂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200A (ko) * 1998-11-20 2000-06-15 장무호 선별기
JP2006239592A (ja) * 2005-03-03 2006-09-14 Dendo Kogyo Kk プラスチックボトル破砕機
JP2007190481A (ja) * 2006-01-18 2007-08-02 Nippon Steel Corp 廃プラスチックの破砕方法及び破砕装置
KR101533998B1 (ko) * 2014-03-25 2015-07-07 전영곡 3차원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장치
KR20150096078A (ko) 2014-02-14 2015-08-24 장영문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재생 장치
KR101679322B1 (ko) * 2016-05-03 2016-12-06 주식회사 이조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3d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장치
KR20180009832A (ko) * 2016-07-19 2018-01-30 진광식 필라멘트 감기 장치, 이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필라멘트 재생 장치 및 3차원 프린터용 필라멘트 재생 장치 제어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03513A (ja) * 1998-09-30 2000-04-11 Kurimoto Shoji Kk 回転式搬送機とそれを使用した破砕装置
CN105498920B (zh) * 2016-03-05 2018-01-23 李时令 一种葛根破碎机
CN206731242U (zh) * 2017-05-06 2017-12-12 邱磊 一种中药材自动粉碎装置
CN109834872A (zh) * 2017-11-24 2019-06-04 宿州永冠环保科技有限公司 带独立圆筛的轮胎破碎机
KR102042913B1 (ko) * 2018-02-06 2019-11-08 홍종훈 일체형 폐 필라멘트 재활용 장치
CN208742661U (zh) * 2018-08-29 2019-04-16 山东铂佳轻合金有限公司 一种废旧铝制品破碎回收装置
CN110586244B (zh) * 2019-08-27 2021-01-22 安徽诚联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生产生物质颗粒的原料均匀粉碎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3200A (ko) * 1998-11-20 2000-06-15 장무호 선별기
JP2006239592A (ja) * 2005-03-03 2006-09-14 Dendo Kogyo Kk プラスチックボトル破砕機
JP2007190481A (ja) * 2006-01-18 2007-08-02 Nippon Steel Corp 廃プラスチックの破砕方法及び破砕装置
KR20150096078A (ko) 2014-02-14 2015-08-24 장영문 3d 프린터용 필라멘트 재생 장치
KR101533998B1 (ko) * 2014-03-25 2015-07-07 전영곡 3차원 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장치
KR101679322B1 (ko) * 2016-05-03 2016-12-06 주식회사 이조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3d프린터용 필라멘트 제조장치
KR20180009832A (ko) * 2016-07-19 2018-01-30 진광식 필라멘트 감기 장치, 이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필라멘트 재생 장치 및 3차원 프린터용 필라멘트 재생 장치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393834A (zh) 2022-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3490B1 (ko) 필라멘트 감기 장치, 이를 이용한 3차원 프린터용 필라멘트 재생 장치 및 3차원 프린터용 필라멘트 재생 장치 제어 시스템
KR102352547B1 (ko) 필라멘트 재생장치
JP5023212B2 (ja) プラスティック製部品をモールドする超音波振動装置
KR101720672B1 (ko) 일체형 노즐을 포함하는 3d 프린터 압출기
TW201338950A (zh) 用於製備塑料材料的裝置
JP2018079593A (ja) 射出成形機
KR101773134B1 (ko) 3d 프린터의 플렉서블 필라멘트 피딩장치
JP6281999B1 (ja) 射出成形機
KR20160039176A (ko) 3 d 프린터용 재료공급장치 및 재료공급방법
KR100435218B1 (ko)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US8714468B2 (en) Plastic scrap crushing apparatus
US5292240A (en) Pelletizer with cutting knife control
RU2203135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ереработки отходов
KR101770881B1 (ko) 반용융압축기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폐수지의 가공방법
KR20210083803A (ko) 정량토출이 가능한 3차원 프린터 및 이것의 제어 방법
KR100926995B1 (ko) 가연성 쓰레기의 고형화 연료 제조장치
JPS5812841B2 (ja) プラスチツクオシダシセイケイキ
KR20180066353A (ko) 필라멘트 생성장치
Gedde et al. Processing of polymeric materials
CN101172423A (zh) 通过在线挤压成形制造锻制墨棒
KR102060251B1 (ko) 3d 프린터의 재료 토출장치
KR200490503Y1 (ko) 소형화 가능한 폐합성수지 융해장치
WO2022180441A1 (en) Filament production and recycling machine for 3d printers
KR20220141545A (ko) 열가소성 수지를 이용한 복합재료 시트 제조장치
US10661500B1 (en) Hydraulic method for fused deposition mode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