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723B1 -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723B1
KR102351723B1 KR1020210065158A KR20210065158A KR102351723B1 KR 102351723 B1 KR102351723 B1 KR 102351723B1 KR 1020210065158 A KR1020210065158 A KR 1020210065158A KR 20210065158 A KR20210065158 A KR 20210065158A KR 102351723 B1 KR102351723 B1 KR 102351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ment
panel
door
temperature
al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혁남
Original Assignee
권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남 filed Critical 권혁남
Priority to KR1020210065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7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536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racks or cabinets of standardised dimensions, e.g. electronic racks for aircraft or telecommunication equipment
    • H05K7/20554Forced ventilation of a gaseous coolant
    • H05K7/20563Forced ventilation of a gaseous coolant within sub-racks for removing heat from electronic boar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536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racks or cabinets of standardised dimensions, e.g. electronic racks for aircraft or telecommunication equipment
    • H05K7/207Thermal management, e.g. cabinet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플로어 상에 안착되며, 상부 천정사이에 위치된 다수개의 서버들이 개재된 에 안착되며, 상부 천정사이에 위치된 다수개의 서버들이 개재된 랙들을 직사각형 형상의 도어들로 감싸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감싸진 도어들의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쿨존과 핫존을 구분하여 제어하며 시리얼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인먼트 시스템과, 상기 컨테인먼트 시스템과 시리얼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컨테인먼트 시스템으로부터의 온도 및 습도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알람수집장치와, 상기 알람수집장치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컨테인먼트들의 온도,습도, 풍속, 화재, 외부 소방신호를 탐지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긴박한 상황에 대한 알람정보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인먼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Containment Manage System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콘테인먼트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평평한 플로어 상에 안착되며, 상부 천정사이에 위치된 다수개의 서버들이 개재된 랙들을 감싸고 있는 하나 이상의 컨테인먼트 시스템들과 유무선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컨테인먼트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서버들의 온도/습도 상태데이터를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하고 각각의 컨테인먼트 시스템의 상태를 관리하고 제어하며, 각각의 컨테인먼트 시스템내의 쿨존과 외부의 핫존을 구분하여 제어함으로써 각 컨테인먼트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각 컨테인먼트 시스템 내부의 온도제어 등 각종 제어를 하며, 에너지효율을 높여 내부장치들에 냉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컨테인먼트 내부장치들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고, 운용장비들을 환경감시 장치들을 통해 원격에서 각 컨테인먼트 시스템의 내부를 항상 감시하고 제어하여 각 컨테인먼트 시스템의 에러 제로화(error zero)를 실현하도록 하는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데이터 센터(Internet Data Center: IDC)는 기업 및 개인 고객에게 전산 설비나 네트워크 설비를 유치하여 유지, 보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으로, 서버 장비 및 통신장비의 운영과 관리를 대행하여 서버의 안정성, 보안성과 서버가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을 유지해 주는 시설이다. 즉, 전자 상거래(EC)를 행하는 기업으로부터 서버를 맡아서 그 기업의 인터넷 사업의 운용을 대행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IDC는 연중무휴, 24시간 가동되는 인터넷 접속 환경의 보증, 서버의 설치, 관리, 기간망에의 접속, 보안 대책 및 기타 인터넷 서버의 유지 관리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인터넷 데이터 센터는 대부분 대용량 기간망과 서버 설치를 위한 대규모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
온실가스 배출 증가로 인한 지구 온난화 문제와 유가 불안정 그리고 경기침체에 따른 비용 절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친환경 경영 및 저탄소 녹색 성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절감 등 친환경 요소는 기업 운영에 필수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전력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그린 인터넷 데이터 센터(IDC: Internet Data Center)가 그린IT의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그린 IDC란 IDC 인프라의 고효율화, 저전력 시스템, 고성능 고효율 그린 컴퓨팅 소프트웨어의 도입을 통해 IDC의 에너지 사용 효율을 대폭 개선한 친환경 및 에너지 절약형 IDC를 말한다.
한편, 이러한 IDC는 대용량 기간망과 서버 설치를 위한 대규모 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많은 전력 사용으로 인한 고온의 열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열은 일정온도 이하로 냉각시켜 주지 않을 시 시스템의 오작동의 원인이 되는데, 이러한 IDC에 설치되어 효율적인 에너지 순환을 위하여 컨테인먼트 시스템이 사용된다.
이러한 컨테인먼트 시스템은 냉각된 공기(cooled air)를 필요한 곳에만 제공하도록 하는 일종의 구조물로, 에너지 절약을 위하여 IDC의 불필요한 공간을 쿨링(cooling)하지 않도록 물리적으로 구획한 것을 의미한다. 즉, 차가운 냉기복도를 밀폐해 냉기 손실을 최소화하고 IDC 장비에 생기는 뜨거운 공기의 재순환을 차단함으로써 냉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컨테인먼트 시스템의 도입으로 IDC 서버룸 내의 온도 및 습도를 최적의 환경으로 유지함으로써 냉각효과를 극대화하여 전력소비량을 감소시키고 에너지 절감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아이디씨(IDC)센터의 운영비는 급격히 상승하는 추세이다. 데이터 센터의 전력사용 분포를 보면 장비에서 사용되는 IT전력이 약 50%이고, 냉각전력이 약 37%를 차지하고 있고, 냉각 전력의 효율적인 관리가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종래 기술과 같은 컨테인먼트 장치의 설치후에도 컨테인먼트 내부의 공기를 제어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제안되고 있으나, 랙(RACK)에 설치된 장치들의 온도 관리등에 대한 구체적이고 안전한 관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컨테인먼트 설치전의 데이터센터의 플로어(floor)에 설치된 랙(Rack)에서의 냉기와 열기가 혼합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컨테인먼트 설치전에는 냉기와 열기가 서로 혼합되어 효과적으로 데이터센터내의 온도를 조절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즉, 랙(RACK)(11,12,131,14,15)이 플로어 상에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냉기(파란색표시)는 랙(12)와 랙(14)사이 및 랙(14) 및 랙(15)사이에 존재하며, 열기는 랙(11) 및 랙(13)사이에 존재하며, 랙(13) 및 랙(14)사이에도 존재하게 된다(도 1 하단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센터내의 온도 분포가 심각하게 붉은색으로 편중되어 있다). 한편, 열기는 랙(12), 랙(13), 및 랙(14)를 넘어서 다른 곳까지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전체 데이터 센터내의 온도를 제어할 수 없게 되어 데이터 센터의 신뢰성이 저하되게 되고, 데이터센터 운영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수개의 컨테인먼트 시스템들의 작동상태를 개별적으로 관리하고, 실시간으로 발생하는 상태변화에 즉각대응하는 제어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75525호(2014년12월02일 등록)(고안의 명칭: 회전가능한 아이디씨용 방화창문 및 이를 포함하는 컨테인먼트 시스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평평한 플로어 상에 안착되며, 상부 천정사이에 위치된 다수개의 서버들이 개재된 랙들을 감싸고 있는 하나 이상의 컨테인먼트 시스템들과 유무선 유무선통신망을 통해 연결된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컨테인먼트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서버들의 온도/습도 상태데이터를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하고 각 컨테인먼트 시스템의 상태를 관리하고 제어하며, 각 컨테인먼트 시스템내의 쿨존과 외부의 핫존을 구분하여 제어함으로써 각 컨테인먼트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각 컨테인먼트 시스템 내부의 온도제어 등 각종 제어를 하며, 에너지효율을 높여 내부장치들에 냉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내내부장치들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고, 운용장비들을 환경감시 장치들을 통해 원격에서 각 컨테인먼트 시스템의 내부를 항상 감시하고 제어하여 각 컨테인먼트 시스템의 에러 제로화(error zero)를 실현하도록 하는 쿨존과 핫존을 구분하여 제어하는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플로어 상에 안착되며, 상부 천정사이에 위치된 다수개의 서버들이 개재된 에 안착되며, 상부 천정사이에 위치된 다수개의 서버들이 개재된 랙들을 직사각형 형상의 도어들로 감싸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감싸진 도어들의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쿨존과 핫존을 구분하여 제어하며 시리얼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인먼트 시스템과,
상기 컨테인먼트 시스템과 시리얼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컨테인먼트 시스템으로부터의 온도 및 습도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알람수집장치와,
상기 알람수집장치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컨테인먼트들의 온도,습도, 풍속, 화재, 외부 소방신호를 탐지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긴박한 상황에 대한 알람정보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인먼트 단말기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컨테인먼트 시스템은
상기 랙 근방에 위치한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에 위치하여 설치되며 개방가능한 전면도어,
상기 랙 후방에 상기 전면패널과 평행하게 위치한 후면패널
상기 후면패널에 위치하여 설치되며 개방가능한 후면도어,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를 덮는 상부패널,
상기 상부패널에 위치하여 설치되되 상부패널중 공기순환을 위한 쿨존(cool zone)을 형성하며, 개방가능한 상부도어,
상기 전면도어 상부에 설치되고, 컨테인먼트 내부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의 양측면을 감싸는 좌측패널 및 우측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플로어 하방에서 유입된 찬 공기는 상기 상부도어가 설치된 부분에만 공급되어 내부에 설치된 랙들에 개재된 저장장치들의 온도를 유지시키며,
상기 저장장치들의 뜨거운 공기는 좌측 패널 및 우측 패널측으로 배출되고,
전면도어, 후면도어, 상부도어, 좌측패널 및 우측패널에 의해 감싸진 직사각형 내부공간은 쿨존(cool zone)을 형성하며, 상기 쿨존의 외부에는 핫존(hot zone)이 형성되되, 상기 좌측패널 및 우측패널 외부의 뜨거운 공기는 상기 쿨존을 형성하는 상부도어와는 다른 천정 배출구측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쿨존과 핫존을 구분하여 제어함으로써, 아이디씨(IDC:Internet Data Center)내에 냉기(Cold air)와 온기(hot air)의 혼합(mixing)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컨테인먼트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컨테인먼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컨테인먼트 내부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상승시에는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컨테인먼트의 상부도어를 개방하여 온도를 계속적으로 체크하고, 화재발생시에는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고, 상부도어를 자동개방시키고, 출입문도 자동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테인먼트 단말기의 메인스크린은, 메인스크린의 중심부에는 3D로 표시된 사이트 플로어(site floor) 상태표시창이 구비되어 원격지에서 특정 사이트의 컨테인먼트의 현재상태가 정상, critical 경보, major 경보, minor 경보중 하나로 구분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테인먼트 단말기의 메인스크린을 통해 컨테인먼트 상태 및 레이아웃 정보를 볼 수 있는 상태표시창이 표시되며, 상부온습도, 하부온습도, 경보(화재 등), 하부 FAN 상태, LAYOUT(컨테인먼트 FRONT, ROOF, BACK 포함), POWER ASSIGN도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태표시창에 표시된 주요기능은 Status and Layout Open 버튼에 의한 기능으로서, 상태표시기능(온/습도, 각종 경보, 소모전류합계, rack 별 소모전류), 레이아웃 디자인(layout design) 기능(온도계, 화재경보기, 풍속계, FAN, 동작센서), 파워 채널 세트 기능(Power Channel Set)(각 Rack별로 power channel 을 할당/삭제 할 수 있음, 각 rack에 실장된 디바이스의 모델 이름 추가/삭제 기능), 도어 개방/폐쇄 기능(Door open/close)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컨테인먼트 시스템 내부는 외부와 차단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쿨존은 송풍구에 의해 바람이 플로어 하부에서 송풍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플로어 상에 안착되며, 상부 천정사이에 위치된 다수개의 서버들이 개재된 에 안착되며, 상부 천정사이에 위치된 다수개의 서버들이 개재된 랙들을 직사각형 형상의 도어들로 감싸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감싸진 도어들의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쿨존과 핫존을 구분하여 제어하며 시리얼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인먼트 시스템과,
상기 컨테인먼트 시스템과 시리얼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컨테인먼트 시스템으로부터의 온도 및 습도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알람수집장치와,
상기 알람수집장치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컨테인먼트들의 온도,습도, 풍속, 화재, 외부 소방신호를 탐지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긴박한 상황에 대한 알람정보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인먼트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인먼트 시스템은
상기 랙 근방에 위치한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에 위치하여 설치되며 개방가능한 전면도어,
상기 랙 후방에 상기 전면패널과 평행하게 위치한 후면패널
상기 후면패널에 위치하여 설치되며 개방가능한 후면도어,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를 덮는 상부패널,
상기 상부패널에 위치하여 설치되되 상부패널중 공기순환을 위한 쿨존(cool zone)을 형성하며, 개방가능한 상부도어,
상기 전면도어 상부에 설치되고, 컨테인먼트 내부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의 양측면을 감싸는 좌측패널 및 우측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플로어 하방에서 유입된 찬 공기는 상기 상부도어 설치된 부분에만 공급되어 내부에 설치된 랙들에 개재된 저장장치들의 온도를 유지시키며,
상기 저장장치들의 뜨거운 공기는 좌측 패널 및 우측 패널측으로 배출되고,
전면도어, 후면도어, 상부도어, 좌측패널 및 우측패널에 의해 감싸진 직사각형 내부공간은 쿨존(cool zone)을 형성하며,
상기 쿨존의 좌측패널 및 우측패널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컨테인먼트 시스템의 좌측 패널 및 우측 패널 외부에 랙이 없이 전면도어, 후면도어, 상부도어, 좌측패널 및 우측패널에 의해 감싸진 직사각형 형상의 내부공간을 가진 핫존(hot zone)을 형성하며, 상기 핫존의 뜨거운 공기는 천정 배출구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쿨존의 외부에는 핫존(hot zone)이 형성되되, 상기 쿨존과 핫존을 구분하여 제어함으로써, 아이디씨(IDC:Internet Data Center)내에 냉기(Cold air)와 온기(hot air)의 혼합(mixing)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존과 핫존을 구분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컨테인먼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컨테인먼트 내부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상승시에는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컨테인먼트의 상부도어를 개방시키며,
화재발생시에는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고, 상부도어를 개방시키며, 출입문도 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을 통한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상기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컨테인먼트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서버들의 온도/습도 상태데이터를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하고 각 컨테인먼트 시스템의 상태를 관리하고 제어하며, 각 컨테인먼트 시스템내의 쿨존과 외부의 핫존을 구분하여 제어함으로써 각 컨테인먼트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각 컨테인먼트 시스템 내부의 온도제어 등 각종 제어를 하며, 에너지효율을 높여 내부장치들에 냉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통해 내부장치들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밀하게 랙에 설치되어 있는 운용장비들 및 저장장치들을 외부와 차단시켜 내부에서 온도제어 등 각종 제어를 하며, 에너지효율을 높여 운용장비들(저장장치들)에 냉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운용장비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운용장비들을 환경감시 장치들을 통해 원격에서 컨테인먼트 내부를 항상 감시하고 제어하여 운용 시스템의 에러 제로화(error zero)를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원격지에서 컨테인먼트들의 도어를 개방/폐쇄가 가능하며, 컨테인먼트 내부의 온도,습도를 포함한 각종 가동조건을 세팅할 수 있으므로 관리가 간편한 효과가 있다.
또한, 원격지 관리 단말기의 메인스크린을 통해 컨테인먼트들의 상태를 볼 수 있으므로 화재등 위험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컨테인먼트들을 통해 수신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통해 빅데이터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장비의 사고를 예측하고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컨테인먼트 설치전의 데이터센터의 플로어(floor)에 설치된 랙(Rack)에서의 냉기와 열기가 혼합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인먼트가 설치된 데이터센터의 플로어(floor)에 설치된 랙(Rack)에서의 냉기와 열기가 분리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컨테인먼트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컨테인먼트 운용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컨테인먼트 설치전의 데이터센터의 플로어(floor)에 설치된 랙(Rack)에서의 냉기와 열기가 혼합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인먼트가 설치된 데이터센터의 플로어(floor)에 설치된 랙(Rack)에서의 냉기와 열기가 분리되는 구조를 컨테인먼트 구조와 대비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쿨존형태의 장치를 나타낸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인먼트가 설치된 데이터센터의 플로어(floor)에 설치된 랙(Rack)에서의 냉기와 분리되는 구조를 나타내되, 특히 열기를 천정으로 배출하는 형태의 핫존 형태의 컨테인먼트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도 5의 쿨존 형태의 컨테인먼트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쿨존 형태의 컨테인먼트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벽(wall)에 설치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쿨존 형태의 컨테인먼트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의 핫존 형태의 컨테인먼트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6의 핫존 형태의 컨테인먼트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6의 핫존 형태의 컨테인먼트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3에서의 컨테인먼트 시스템의 전면패널, 후면패널 및 상부패널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컨테인먼트 시스템 내부에 장착된 컨테인먼트 제어유닛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전면 및 측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5의 컨테인먼트 제어유닛의 일측면에 연결된 센서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5의 컨테인먼트 제어유닛에 설치된 온도/습도 분배기 블럭도 및 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3에서의 알람 게더링유닛(AGU:Alarm Gathering Unit)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도 13에서의 컨테인먼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기능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21은 도 13에서의 컨테인먼트 시스템의 LED 등 조명제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도 13에서의 컨테이먼트 시스템의 소방신호 처리 기능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결선도이다.
도 23은 도 13에서의 컨테인먼트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요소를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4는 도 13에서의 컨테인먼트 시스템을 관리하는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의 메인 스크린 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도 13에서의 컨테이먼트 시스템을 관리하는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의 모니터링 스크린에 표시되는 기능 창의 일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도 13에서의 컨테인먼트 시스템을 관리하는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상태표시창을 3D로 표시한 도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은 도 13에서의 컨테인먼트 시스템을 관리하는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현재상태표시창 및 레이아웃 표시창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은 도 13에서의 컨테인먼트 시스템을 관리하는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출력메시지 화면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쿨존과 핫존을 구분하여 제어하는 컨테인먼트 시스템과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인먼트가 설치된 데이터센터의 플로어(floor)에 설치된 랙(Rack)에서의 냉기와 열기가 분리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랙(12)과 랙(13)사이와 랙(14)과 랙(15)사이의 천정부를 차단하여 밀폐시키고, 열기가 냉기와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 도 2 하단부 온도분포를 살펴보면, 냉기와 열기가 분리된 상태를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데이터센터의 랙과 랙사이의 공간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랙내부에 안착되어 있는 저장장치 및/또는 서버장치들의 안정적인 온도유지가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컨테인먼트가 설치된 상태에서의 컨테인먼트 운용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컨테인먼트 운용시스템의 운영서버(200)는 단말(210) 및 디스플레이장치가 구비되며,
단말(210)에는
환경감지장치(220)(혹은 환경감지운영 프로그램 모듈로 칭함)
도어감지 및 제어모듈(221),
화재감지 및 제어모듈(222),
상부 및 하부 온도습도감지 및 제어모듈(223)
하부 풍속감지 및 제어모듈(224),
동작감지 및 제어모듈(225),
LED등 제어모듈(226),
분전함 감시/랙(RACK)단위 전원 감시 및 제어모듈(227)을 구비한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컨테인먼트 설치전의 데이터센터의 플로어(floor)에 설치된 랙(Rack)에서의 냉기와 열기가 혼합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 컨테인먼트 설치전의 랙(1-1) 및 랙(1-2)가 플로어(2)상에 설치되며, 랙(1-1) 및 랙(1-2)사이에 송풍기(미도시)를 통한 바람이 플로어 하부에서 상부로 송풍되는 송풍통로(4)가 형성되어 있다.
붉은 색으로 표시된 열기와 파란색으로 표시된 냉기가 이동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의 종래 기술에서는 냉기와 열기가 서로 혼합되는 믹싱(MIXING)현상이 발생되면서 데이터 센터내의 온도제어가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인먼트가 설치된 데이터센터의 플로어(floor)에 설치된 랙(Rack)에서의 냉기와 열기가 분리되는 구조를 가진 쿨존 형태의 컨테인먼트 구조와 대비하여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컨테이먼트 시스템은 랙(1-1) 및 랙(1-2)를 전후면 및 상부면을 커버하면서 냉기와 열기를 차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컨테인먼트 시스템을 통해 공간(S2)이 확보되면서 랙(1-1) 및 랙(1-2)내이 각종 장치들의 온도제어가 가능하게 되었다.
컨테인먼트 시스템내에는 각종 센서가 장착되어 있고, 경보장치 및 CCTV 카메라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인먼트가 설치된 데이터센터의 플로어(floor)에 설치된 랙(Rack)에서의 냉기와 분리되는 구조를 나타내되, 특히 열기를 천정으로 배출하는 형태인 핫존 형태의 컨테인먼트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를 참조하면, 플로어(2)의 상에 중간중간에 송풍통로(4)가 형성되어 있고, 컨테인먼트 시스템은 별도의 열기 공간(S3)을 구성하고 있다. 열기는 상부 열기통로(26)를 통해 천정으로 배출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열기는 천정을 통해 배출되며, 냉기는 랙과 랙 사이를 순환하는 구조로 랙의 온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도 5의 쿨존 형태의 컨테인먼트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컨테인먼트 구조에서 측면부를 보면 다수개의 랙이 장착될 수 있도록 측면장벽(121)이 다수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천정부분도 랙 천정부를 커버하는 천정부(131)과 중간 송풍통로를 커버하는 중간부(141)가 구비되어 있다.
도 8은 도 5의 쿨존 형태의 컨테인먼트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벽(wall)에 설치되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컨테인먼트 구조 중 일측이 벽(wall)에 부착되는 형태이다. 물론 타측 측면부는 다수개의 랙이 장착될 수 있도록 측면장벽(121)이 다수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9는 도 5의 쿨존 형태의 컨테인먼트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컨테이먼트 구조 중 좌우측 측면부 중 한쪽을 투명하게 보이는 형태로 랙이 설치되는 않는 구조로 단일 열로 배치된 랙에 적합한 컨테인먼트 구조를 나타낸다. 즉 공간(S6)이 구분되어 확보되는 형태는 도 8과 동일하다.
도 10은 도 6의 핫존 형태의 컨테인먼트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컨테이먼트 구조 중 스탠다드 한 형태로서, 중간 공간은 열기를 천정으로 유도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천정 연결부(26-1)가 구비되어있다. 물론 측면부는 다수개의 랙이 장착될 수 있도록 측면장벽(121)이 다수개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다.
도 11은 도 6의 핫존 형태의 컨테인먼트 구조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컨테인먼트 구조중 천정부가 도 10은 보통의 직사각형 형태인데 반해, 이 구조에서는 천정 연결부(26-2)가 비스듬한 경사형태를 가진다. 냉기 유도부(150)이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천정 연결부(26-2)의 투명유리부는 개폐가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도 12는 도 6의 핫존 형태의 컨테인먼트 구조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천정부(26-3)가 따로 연결부가 없고 바로 냉기 유도부(150)가 다수개 연결 설치된 구조이다. 천정부(26-3)는 기존 랙 천정 커버부(131)외에 중간 천정부(141)와 유사한 구조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은 컨테인먼트를 제어/운용하는 EMS(제어/운용)프로그램이 포함된 관리자 단말(멀티 접속 4대)(30-1,30-2,30-3,30-4)(도 3에서 운영서버(200)로 표시됨)들은 허브(HUB)를 경유하여 알람수집장치(AGU:Alarm Gathering Unit)(20)와 IP 통신망(이에 제한되지 않음, 유무선 통신망이 가능함)을 통해 연결되며, 복수개의 컨테인먼트 시스템(10-1,10-2,...,10-n)은 RS-485통신을 통해 상기 AGU(20)에 연결된다. 또한, 복수개의 컨테인먼트 시스템(10-1,10-2,...,10-n)의 온도/습도 데이터는 상기 AGU(20)를 통해 MOD-BUS(40)에 전송된다. 복수개의 컨테인먼트 시스템(10-1,10-2,...,10-n)들간에는 RS-485통신으로 연결된다.
도 14를 참조하면(도 4 내지 도 7과 유사함), 전면패널(110)의 전면도어(111)와 상부프레임 및 상부도어(114) 및 후면도어(113)이 도시된다.
상기 전면도어(111), 후면도어(113) 및 상부도어(114)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전면도어(111)상부에는 CCU(Containment Control Unit)(1110)이 설치되어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CCU(1110)는 컨테인먼트 메인프레임에 장착되며, CCU의 기능은 각종 센서와 통신하여 감지된 신호를 통해 출입문제어(자동 OPEN/CLOSE), 상부도어 제어(도어 열림감지 및 온도 상승(40도)시 열림기능), 온/습도 센서-상부/하부 제어(컨테인먼트 내부 랙에 부착, 억세스 플로어 하부 기둥에 부착), 풍속 센서 제어(억세스 플로어 하부 바닥에 위치, 항온항습기의 Cold Air(냉기) 세기 확인), 동작 센서 제어(컨테인먼트 내부 출입자 알람 용), led 등 제어(동작센서 작동시 led 등 켜짐), 화재 센서 제어(화재(연기) 발생시 alarm), 경광등 제어(화재 및 온도 상승시 작동), CDU 제어(컨테인먼트 메인프레임 상단에 온/습도 표시)기능을 가진다.
도 16을 참조하면, CCU(1110)는 CCU 전원 온/오프장치, 메인 전원 온/오프장치, ACO(Alarm cut off)(상단 도어 수동 개방), ID 설정부(출하시 1로 SET)(해당 SW를 위로 올린다)가 구비되며, LED 등기구 전원 출력부, 전면(전문)도어 전원 출력부, 후면(후문)도어 전원 출력부, 메인 전원 입력부가 구비된다.
LED 동작설명을 보면,
1은 PWR로 전원 공급시 온되며, 전원 S/W OFF시 OFF된다. 2는 ACT로서, 정상 동작시(1초간격)이 온/오프상태가 된다. 3은 온도로서, 설정값 이상으로 고온발생시 온상태가 된다. 4는 전문, 후문, 상판으로서, 문이 개방되었을 때 온 상태가 되며, 문이 닫혀있을 때 오프상태가 된다. 5는 화재로서, 화재 검출시 온 상태가 된다. 6은 동작 1,2 로서, 동작 센서 작동시 온 상태가 된다. 7은 예비로서, IEC-62053-21/22온 상태에서 온 상태로 LED가 표시된다. 8은 TXD로서, AGU data 송신시 온 상태가 된다. 9는 RXD 로서, AGU data 수신시 온 상태가 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CCU(1110)의 센서연결도로서, 상부온도센서, 하부온도센서, 풍속센서, CCU 통신 장치, 동작센서가 연결되며, 상부오퍼레이터 단자대, 오퍼레이터 단자대, 후문도어, 전문도어, 화재센서, ALM(IN), ALM(OUT)이 연결된다.
도 18을 참조하면, CCU(1110)와 온/습도 분배기1, 온/습도 분배기 2, 온/습도 분배기 8의 연결이 RS-485를 통해 연결되며, 각 온/습도 분배기는 각 MPU와 MUX 장치를 포함하며, 복수개의 온/습도 센서들과 연결되어 기능을 수행하는데, 예를 들면, 6개의 온/습도 센서값을 취합하여 CCU(1110)에게 전달하며, 후면 DIP 스위치를 이용하여 ID를 설정하며, 분배기는 온/습도 센서 6개가 연결되며 8개까지 확장되며(이에 제한되지 않음), CCU는 최대 48개 온/습도 센서가 연결될 수 있도록 하였다(이에 제한되지 않음).
상기 온/습도 센서는 2.4~5.5V의 넓은 공급전압범위를 가지며, 통신속도가 최대 12C 인터페이스 1MHz이고, 정밀도는 1.5% RH,0.2 ℃정밀도를 가지며, 매우빠른 시작과 측정시간을 가지며, 디지털 출력 및 12C FAST MODE 11표준을 충족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AGU(20)는 RACK에 실장되며, J-TAG로서 프로그램 및 디버깅 포트를 구비하며, CCU용 RS-485포트를 구비하며, MODBUS용 TCP/IP를 구비하고, LED를 구비한다.
AGU(20)는 CCU(1110)의 정보를 수집하며(최대 20개 연결, 이에 제한되지 않음), 수집된 정보는 TCP/IP로 접속(EMS 프로그램, MODBUS)으로 처리되며, EMS 제어/운용 프로그램(4명 멀티 접속,이에 제한되지 않음)을 구비하며, MOD-BUS는 표준 포로토콜을 사용한다.
LED 동작을 설명하면, 1은 PWR로서, 전원공급시 LED가 온 상태가 되며, 전원 SWITCH 오프시 OFF 상태가 된다. 2는 ACT로서, 정상동작시(1초간격)으로 ON/OFF 상태가 된다. 3은 CCU TX와 CCT RX로서, CCU data, 송신시와 CCU data 수신시 각각 on 상태가 된다. 4는 MODBUS TX, MODBUS RX로서, MODBUS data 송신시와 MODBUS data 수신시 각각 온상태가 된다. AGC(20)의 후면에는 AC IN 220V 단자가 구비된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의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의 기능을 살펴본다. 컨테인먼트(10-1)는 AGU(20)을 통해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단말(30-1,30-2,30-3,30-4)에 연결되며, 컨테인먼트(10-1)의 상판(상부도어 114)열림 기능으로서, 고온(내부온도>설정온도의 경우) 발생시(예 내부온도 40℃) 자동으로 개방된다. 또한,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개방된다. 또한, 원격 명령시에도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전면 디스플레이 스위치 눌림시(수동 개방시 사용)에도 개방될 수 있다. 상판은 자동 또는 수동으로 닫힐 수 있다.
출입문(전면도어(111)) 열림기능으로서, 고온(내부온도>설정온도의 경우) 발생시(예 내부온도 40℃) 자동으로 개방된다. 또한, 원격 명령시에도 개방될 수 있다(열린후 10초이내로 다시 닫힘). 수동으로 오픈 시킬 수 있고, 개방 상태를 유지시키는 기능도 있으며, 출입문 상부에 동작센서를 장착하여 출입자의 안전을 확보하였다.
출입문 닫힘기능은, 경보(화재/고온) 해제후에 닫히게 되며, 평상시에는 열린 후 10초 이내에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물론 내부 작업 완료후에 강제로 폐쇄시킬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컨테인먼트(10-1)의 내부에 설치된 동작센서와 연동되어,필요시에만 조명이 사용되며, 평상시 불필요한 IDC내부 조명은 OFF되도록 하여 에너지 절감을 하며, 컨테인먼트(10-1)의 내부에는 LED 조명등이 설치되어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컨테인먼트(10-1)들 간에 서로 연결되며, 또한, 방제실(12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서, 소방신호(화재신호)를 처리하게 된다. 방제실 입력조건에 맞추어 CCU(1110) 제어방식으로 도어를 개방 처리하게 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에 따르면, 최적의 컨테인먼트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모니터링 기능으로 온도, 습도, 화재, 외부 소방신호를 탐지하여 필요한 정보를 알려줌과 동시에 긴박한 상황에 대처 동작까지를 포함하는 차세대 통합관제시스템이다. 상기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은 최대 10 사이트까지 관리가 가능하며(이에 제한되지 않음), 사이트당 수용 컨테인먼트수는 최대 20개까지 가능하며(이에 제한되지 않음), 사이트당 수용 PCU(Power Distribution Control Unit)(전력분배제어유닛)는 최대 20개까지 가능하다(이에 제한되지 않음). 사이트 구성요소로는, AGU(Alarm Gathering Unit)(알람수집장치)(20-1,20-2,...,20-n), CCU(Containment Control Unit)(컨테인먼트 제어유닛), PCU, PDU(Power Distribution Display Unit)(전력 분배표시유닛), CDU(Containment Display Unit)(컨테인먼트 표시유닛) 및 각종센서(화재,풍속,온/습도,동작 센서)를 포함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단말의 메인스크린 구성을 살펴본다. 메인스크린의 중심부에는 3D로 표시된(도 3 참조) 사이트 플로어(site floor) 상태표시창이 구비되며, 상태표시창 좌측에 사이트 및 컨테인먼트에 대한 컴포넌트창이 구비된다. 하부에는 시스템 운용시 발생되는 모든 이벤트 메시지 창 및 그래프 및 정보에 대한 통계창이 구비된다. 상부에는 시스템 운용및 설정을 위한 각종 명령 버튼이 구비되며, 시스템 가동/정지 버튼이 구비되며, 시스템 운용상태 진행표시창이 구비되며, CMS(Containment Manage System) 종료 버튼이 구비된다.
도 25를 참조하면, EMS WCMS의 구체적인 설명도로서, 각종 버튼 기능을 살펴보면, LOGIN은 로그인 기능(아이디 추가/삭제/PW 변경 등) 버튼, ADD 버튼(Site/Containment/PCU 등 아이콘 추가), IPSET 버튼(Site 별 Ethernet IP Address/Port 설정), TIMESET 버튼(시스템내의 각종 software routine 의 주기설정), SYSLIMIT(System Capacity에 대한 limitation 설정), WINDOW 버튼(각종 메시지 선택(이벤트 로그/시스템 로그 등)), HISTORY 버튼(Site/CONT/PCU 이벤트 이력 확인 및 관리), GRAPH 버튼(온도/전류/전압 등에 대한 통계 그래프 확인), RD OPEN 버튼(Roof Door Open: 상부도어 개방명령 하달), RD CLOSE 버튼(Roof Door Close:상부도어 닫힘 명령 하달), RD OPEN(Front Door Open: 전방도어 개방명령 하달), BD OPEN(Back Door Open: 후방도어 개방명령 하달), RUN 버튼(시스템가동), STOP(시스템정지), X버튼(시스템 종료)이 구비된다.
컴포넌트창: 사이트 및 컨테인먼트의 동작 상태를 종합적으로 나타낸다. 메시지창: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모든 이벤트 메시지, 로그 메시지 등을 나타낸다. Message Clear 버튼은 현재 디스플레이된 모든 메시지를 clear 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통계표시창: 온도/전류/전압에 대한 통계 그래프를 나타낸다.
Select No: Site/Cont 선택 번호를 나타낸다. 해당 사이트의 containment에 대한 도어 개방/닫힘 명령 신호를 보낼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상태표시창에서는 해당 site의 3D layout 도면에 컨테인먼트 상태 및 PCU 상태, 그리고 Ethernet 상태를 표시한다(CMS<--->AGU 통신상태가통신정상, 통신불량으로 표시된다). 또한, 정상(Normal), critical 경보, major 경보, minor 경보가 다른 색상으로 표시된다.
모든 상태는 1초마다 점등되며, 평균온도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27을 참조하면, 컨테이먼트 상태표시를 보여주며, 예를 들면, 컨테인먼트-01의 상태 및 레이아웃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즉, 상부온습도, 하부온습도, 경보(화재 등), 하부 FAN 상태, LAYOUT(컨테인먼트 FRONT, ROOF, BACK 포함), POWER ASSIGN 도 볼수 있다.
상태표시 주요기능은 Status and Layout Open 버튼에 의한 기능으로서, 1.상태표시기능: 온/습도, 각종 경보등, 소모전류합계, rack 별 소모전류, 2. layout design 기능: 온도계, 화재경보기, 풍속계, FAN, 동작센서, 3.Power Channel Set 기능: 각 Rack별로 power channel 을 할당/삭제 할 수 있음, 각 rack에 실장된 디바이스의 모델 이름 추가/삭제 기능, 4. Door open/close 기능들이 표시된다.
도 28을 참조하면, window 버튼을 계속클릭 하면 순차적으로 바뀌면서 메시지창에 해당 메시지가 출력된다. 이벤트 메시지(각종 경보)(시간, Site, IP, 위치, 알람등급, 메시지, 내용등), 시스템 메시지(운영관련)(시작 시간, 로그인 아디디, 메시지 내용 등), CCU Event메시지(각종 발생경보)(ccu 관련 모든 이벤트 사항만 별도로 종합),CCU Temp 메시지(주기적 데이터)(CCU관련 온도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저장), PCU Event메시지(각종 발생경보)(PCU 관련 모든 이벤트 사항만 별도로 종합), PCU Current 메시지(주기적 데이터)(PCU 관련 전류 및 전압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저장)가 출력되며, WINDOWN버튼을 누르면 관련 메시지들이 메시지 창에 보여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쿨존과 핫존을 구분하여 제어하는 컨테인먼트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의하면, 상기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컨테인먼트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각각의 서버들의 온도/습도 상태데이터를 전송받아 화면에 표시하고 각 컨테인먼트 시스템의 상태를 관리하고 제어하며, 각 컨테인먼트 시스템내의 쿨존과 외부의 핫존을 구분하여 제어함으로써 각 컨테인먼트 시스템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각 컨테인먼트 시스템 내부의 온도제어 등 각종 제어를 하며, 에너지효율을 높여 내부장치들에 냉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이를 통해 내부장치들의 수명을 연장 시킬 수 있다.
또한, 기밀하게 랙에 설치되어 있는 운용장비들 및 저장장치들을 외부와 차단시켜 내부에서 온도제어 등 각종 제어를 하며, 에너지효율을 높여 운용장비들(저장장치들)에 냉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운용장비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운용장비들을 환경감시 장치들을 통해 원격에서 컨테인먼트 내부를 항상 감시하고 제어하여 운용 시스템의 에러 제로화(error zero)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원격지에서 컨테인먼트들의 도어를 개방/폐쇄가 가능하며, 컨테인먼트 내부의 온도,습도를 포함한 각종 가동조건을 세팅할 수 있으므로 관리가 간편하다.
또한, 원격지 관리 단말기의 메인스크린을 통해 컨테인먼트들의 상태를 볼 수 있으므로 화재등 위험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고, 컨테인먼트들을 통해 수신되는 각종 데이터들을 통해 빅데이터 처리 알고리즘을 통해 장비의 사고를 예측하고예방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에 비해 스마트한 관리가 가능해지며, 원격지에서 컨테인먼트 내부장치들의 제어가 쉽고, 이를 통해 컨테이먼트 시스템에 보관된 랙장치내의 서버들의 관리도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안전성을 훨씬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20-1,...,20-n: AGU(Alarm Gathering Unit)(알람수집장치)
30-1,30-2,30-3,30-4: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단말기
40: MOD-BUS
10-1,10-2,10-n,100: 컨테인먼트 시스템
110: 전면패널
111: 전면도어
112: 디스플레이
113: 후면도어
114: 상부도어
200: 컨테인먼트 운영시스템 서버
210: 시스템 단말
220: 환경감시장치(환경감시 프로그램 모듈)

Claims (9)

  1. 플로어 상에 안착되며, 상부 천정사이에 위치된 다수개의 서버들이 개재된 에 안착되며, 상부 천정사이에 위치된 다수개의 서버들이 개재된 랙들을 직사각형 형상의 도어들로 감싸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감싸진 도어들의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쿨존과 핫존을 구분하여 제어하며 시리얼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인먼트 시스템과,
    상기 컨테인먼트 시스템과 시리얼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컨테인먼트 시스템으로부터의 온도 및 습도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알람수집장치와,
    상기 알람수집장치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컨테인먼트들의 온도,습도, 풍속, 화재, 외부 소방신호를 탐지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긴박한 상황에 대한 알람정보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인먼트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인먼트 시스템은
    상기 랙 근방에 위치한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에 위치하여 설치되며 개방가능한 전면도어,
    상기 랙 후방에 상기 전면패널과 평행하게 위치한 후면패널
    상기 후면패널에 위치하여 설치되며 개방가능한 후면도어,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를 덮는 상부패널,
    상기 상부패널에 위치하여 설치되되 상부패널중 공기순환을 위한 쿨존(cool zone)을 형성하며, 개방가능한 상부도어,
    상기 전면도어 상부에 설치되고, 컨테인먼트 내부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의 양측면을 감싸는 좌측패널 및 우측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플로어 하방에서 유입된 찬 공기는 상기 상부도어가 설치된 부분에만 공급되어 내부에 설치된 랙들에 개재된 저장장치들의 온도를 유지시키며,
    상기 저장장치들의 뜨거운 공기는 좌측 패널 및 우측 패널측으로 배출되고,
    전면도어, 후면도어, 상부도어, 좌측패널 및 우측패널에 의해 감싸진 직사각형 내부공간은 쿨존(cool zone)을 형성하며, 상기 쿨존의 외부에는 핫존(hot zone)이 형성되되, 상기 좌측패널 및 우측패널 외부의 뜨거운 공기는 상기 쿨존을 형성하는 상부도어와는 다른 천정 배출구측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상기 쿨존과 핫존을 구분하여 제어함으로써, 아이디씨(IDC:Internet Data Center)내에 냉기(Cold air)와 온기(hot air)의 혼합(mixing)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인먼트 단말기는 하나 이상의 컨테인먼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컨테인먼트 내부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상승시에는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컨테인먼트의 상부도어를 개방하여 온도를 계속적으로 체크하고, 화재발생시에는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고, 상부도어를 자동개방시키고, 출입문도 자동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인먼트 단말기의 메인스크린은, 메인스크린의 중심부에는 3D로 표시된 사이트 플로어(site floor) 상태표시창이 구비되어 원격지에서 특정 사이트의 컨테인먼트의 현재상태가 정상, critical 경보, major 경보, minor 경보중 하나로 구분하여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인먼트 단말기의 메인스크린을 통해 컨테인먼트 상태 및 레이아웃 정보를 볼 수 있는 상태표시창이 표시되며, 상부온습도, 하부온습도, 경보(화재 등), 하부 FAN 상태, LAYOUT(컨테인먼트 FRONT, ROOF, BACK 포함), POWER ASSIGN도 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표시창에 표시된 주요기능은 Status and Layout Open 버튼에 의한 기능으로서, 상태표시기능(온/습도, 각종 경보, 소모전류합계, rack 별 소모전류), 레이아웃 디자인(layout design) 기능(온도계, 화재경보기, 풍속계, FAN, 동작센서), 파워 채널 세트 기능(Power Channel Set)(각 Rack별로 power channel 을 할당/삭제 할 수 있음, 각 rack에 실장된 디바이스의 모델 이름 추가/삭제 기능), 도어 개방/폐쇄 기능(Door open/close)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인먼트 시스템 내부는 외부와 차단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쿨존은 송풍구에 의해 바람이 플로어 하부에서 송풍되는 위치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존과 핫존을 구분하여 제어하는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8. 플로어 상에 안착되며, 상부 천정사이에 위치된 다수개의 서버들이 개재된 에 안착되며, 상부 천정사이에 위치된 다수개의 서버들이 개재된 랙들을 직사각형 형상의 도어들로 감싸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감싸진 도어들의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여 쿨존과 핫존을 구분하여 제어하며 시리얼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인먼트 시스템과,
    상기 컨테인먼트 시스템과 시리얼 통신망을 통해 서로 통신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컨테인먼트 시스템으로부터의 온도 및 습도데이터를 포함한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하는 알람수집장치와,
    상기 알람수집장치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컨테인먼트들의 온도,습도, 풍속, 화재, 외부 소방신호를 탐지하여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긴박한 상황에 대한 알람정보를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컨테인먼트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인먼트 시스템은
    상기 랙 근방에 위치한 전면패널,
    상기 전면패널에 위치하여 설치되며 개방가능한 전면도어,
    상기 랙 후방에 상기 전면패널과 평행하게 위치한 후면패널
    상기 후면패널에 위치하여 설치되며 개방가능한 후면도어,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를 덮는 상부패널,
    상기 상부패널에 위치하여 설치되되 상부패널중 공기순환을 위한 쿨존(cool zone)을 형성하며, 개방가능한 상부도어,
    상기 전면도어 상부에 설치되고, 컨테인먼트 내부의 온도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면패널과 후면패널 사이의 양측면을 감싸는 좌측패널 및 우측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플로어 하방에서 유입된 찬 공기는 상기 상부도어 설치된 부분에만 공급되어 내부에 설치된 랙들에 개재된 저장장치들의 온도를 유지시키며,
    상기 저장장치들의 뜨거운 공기는 좌측 패널 및 우측 패널측으로 배출되고,
    전면도어, 후면도어, 상부도어, 좌측패널 및 우측패널에 의해 감싸진 직사각형 내부공간은 쿨존(cool zone)을 형성하며,
    상기 쿨존의 좌측패널 및 우측패널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상기 컨테인먼트 시스템의 좌측 패널 및 우측 패널 외부에 랙이 없이 전면도어, 후면도어, 상부도어, 좌측패널 및 우측패널에 의해 감싸진 직사각형 형상의 내부공간을 가진 핫존(hot zone)을 형성하며, 상기 핫존의 뜨거운 공기는 천정 배출구측으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상기 쿨존의 외부에는 핫존(hot zone)이 형성되되, 상기 쿨존과 핫존을 구분하여 제어함으로써, 아이디씨(IDC:Internet Data Center)내에 냉기(Cold air)와 온기(hot air)의 혼합(mixing)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쿨존과 핫존을 구분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9. 하나 이상의 컨테인먼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컨테인먼트 내부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상승시에는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컨테인먼트의 상부도어를 개방시키며,
    화재발생시에는 경보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고, 상부도어를 개방시키며, 출입문도 개방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또는 제 8항에 따른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을 통한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제어방법.
KR1020210065158A 2021-05-21 2021-05-21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2351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158A KR102351723B1 (ko) 2021-05-21 2021-05-21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158A KR102351723B1 (ko) 2021-05-21 2021-05-21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723B1 true KR102351723B1 (ko) 2022-01-13

Family

ID=79342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158A KR102351723B1 (ko) 2021-05-21 2021-05-21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72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098B1 (ko) * 2010-08-31 2010-11-22 (주)유호스트 개폐형 냉각유지 시스템의 상부보드 개폐장치
KR20160073187A (ko) *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케이티 데이터 센터의 온도조절장치 및 온도조절방법
KR20170036291A (ko) * 2015-09-24 2017-04-03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서버룸 냉복도 밀폐 환경에서 항온항습기의 최적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23844A (ko) * 2018-08-27 2020-03-06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비상 탈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098B1 (ko) * 2010-08-31 2010-11-22 (주)유호스트 개폐형 냉각유지 시스템의 상부보드 개폐장치
KR20160073187A (ko) *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케이티 데이터 센터의 온도조절장치 및 온도조절방법
KR20170036291A (ko) * 2015-09-24 2017-04-03 주식회사 어니언소프트웨어 서버룸 냉복도 밀폐 환경에서 항온항습기의 최적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23844A (ko) * 2018-08-27 2020-03-06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비상 탈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436235A (zh) 室内环境安全智能控制系统
CN106774023A (zh) 远程机柜可视化智能实时监控系统
CN105072875B (zh) 一种柜式机房
CN108493807A (zh) 一种具有防火警报功能的远程监控配电柜
CN206505292U (zh) 远程机柜可视化智能实时监控系统
CN106331086A (zh) 基于云平台的数据中心自动基础设施管理系统
KR20200108659A (ko) 전기판넬 화재 관리장치
CN209642406U (zh) 一种智能配电房在线监测系统
KR102351723B1 (ko) 컨테인먼트 관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08783151U (zh) 一种模块化数据中心
CN110793157A (zh) 一种空调柜机及其节能控制系统
CN208062550U (zh) 一种具有散热灭火功能的变压器控制箱
CN208836459U (zh) 一种智慧机柜
CN206061396U (zh) 一种机柜智能气流优化系统及基于该系统的数据中心
CN112964305A (zh) 一种锂离子储能电池火灾在线监测装置
CN209979068U (zh) 一种基于调度网络的点阵红外电缆室测温装置
CN209787687U (zh) 一种模块化一体式装置柜
CN216561565U (zh) 一种物资仓库环境监控系统
CN111857214A (zh) 一种基于人脸识别的机房环境测控系统
CN115276232A (zh) 一种变电站预制舱环境控制及监测系统
CN207676198U (zh) 变电站监控管理系统
CN214014784U (zh) 智能通信屏柜
CN202649804U (zh) 通讯基站集中控制系统
CN204929491U (zh) 变电站通信智能化一体机柜
CN212201474U (zh) 一种一体化智慧微型机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