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624B1 -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624B1
KR102351624B1 KR1020210116441A KR20210116441A KR102351624B1 KR 102351624 B1 KR102351624 B1 KR 102351624B1 KR 1020210116441 A KR1020210116441 A KR 1020210116441A KR 20210116441 A KR20210116441 A KR 20210116441A KR 102351624 B1 KR102351624 B1 KR 102351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ubstitute
call
service providing
c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보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핸들모빌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핸들모빌리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핸들모빌리티
Priority to KR1020210116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13Third-party assisted
    • G06Q30/0619Neutral ag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사용자 네트워크 기반의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이 저장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서비스 제공 장치를 통해 수행되는 사용자 네트워크 기반의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복수의 단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는 보다 효율적인 대리 기사의 호출과 배정과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SERVICE PROVIDING METHOD FOR CALLING DESIGNATED DRIVER BAED ON USER NETWORK}
본 발명은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리 기사를 타인이 대신 호출해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을 운전하는 사람들 중 음주 상황 등과 같은 개인적인 사정으로 차량을 직접 운전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사람들은 자신을 대신하여 차량을 운전하는 대리 기사를 호출하는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대리 기사를 호출하는 서비스는 개인의 스마트 폰(smart phone)과 같은 단말에 대리 기사를 호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대리 기사를 호출하는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대리 기사를 호출하는 위치(즉, 현재 사용자의 위치로 차량이 출발해야 하는 위치)와 목적지(차량이 도착해야 하는 위치)를 입력하여 해당 출발지에서 목적지까지 차량을 대신하여 운전할 수 있는 대리 기사를 호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리 기사를 호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등과 같은 장치는 해당 호출에 대하여 대리 기사가 응답하여 배정될 수 있도록 해당 서비스의 플랫폼에 등록된 대리 기사들에게 호출을 방송함으로써 호출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대리 기사가 배정되도록 지원하고 있다.
한편, 사용자가 대리 기사를 호출하는 상황은 단순히 혼자가 아닌 다수의 사용자가 함께 모인 상황에서 각자 대리 기사를 호출해야 하는 경우가 상당히 흔하게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특정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의 대리 기사까지 호출을 도와주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때 카카오 대리 등을 비롯한 통상적인 대리 기사 호출 애플리케이션들은 자신이 하나의 대리기사만을 호출할 수 있고, 배차가 완료된 후에 다시 대리 기사 호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까운 지인이나 동일한 장소에 있는 지인의 대리 기사를 대신 호출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동일한 장소에 다수의 인원들이 모여있을 때, 동일한 출발지에서 서로 다른 목적지로 향하는 호출마다 개별적으로 대리 기사를 호출하고 배정하는 절차가 진행되기 때문에 각 사용자의 대리 기사가 출발지에 도착하는 시간이 서로 다를 수 있다.
또한, 동일한 장소에 있는 일행들 간에는 특정 사용자에게 우선 순위를 고려하여 보다 빠르고 좋은 품질의 대리 기사를 배정해야 하는 상황이 있을 수 있으나, 현재로써는 대리 기사를 호출하는 과정에서 이를 고려하여 대리 기사를 호출하거나 배정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대리 기사를 효율적으로 배정할 수 있는 대리 기사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인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1 사용자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대리 기사들의 배정을 요청하는 복수의 호출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호출들 각각에 배정하기 위한 후보 대리 기사들로 구성된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후보 대리 기사 그룹에 포함된 대리 기사들 각각의 서비스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호출들 각각에 배정할 대리 기사들을 상기 후보 대리 기사 그룹에서 선정하는 단계; 및 선정된 대리 기사들 각각의 대리기사 단말로 상기 호출들 각각에 대한 호출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사용자들 각각은,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화번호가 등록된 사용자이다.
상기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미리 등록(registration)된 대리 기사들 각각의 교통 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 대리 기사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후보 대리 기사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교통 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된 대리 기사들 각각의 대리기사 단말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호출들 각각의 출발지까지 이동할 경우에 따른 소요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및 산출된 상기 소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내의 대리 기사들로 상기 후보 대리 기사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후보 대리 기사들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소요 시간이 상기 임계 시간 이내이고, 상기 소요 시간이 서로 임계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한 대리 기사들로 상기 후보 대리 기사들을 결정한다.
상기 복수의 호출들 각각에 배정할 대리 기사들을 상기 후보 대리 기사 그룹에서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문자내역 및 통화 내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사이의 사회적 관계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사회적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사이의 호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호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호출들 각각에 배정할 대리 기사들을 상기 후보 대리 기사 그룹에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동일한 출발지에서 서로 다른 목적지로 향하는 복수의 대리 기사들의 배정을 요청하는 복수의 호출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플랫폼에 가입된 대리 기사의 교통 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출발지로의 도착 시간이 유사 범위에 속하는 대리 기사로 구성된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와 상기 복수의 대리 기사들의 배정을 요청하는 복수의 사용자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 대비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급(grade)을 추측하는 단계, 상기 추측된 복수의 사용자들의 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호출들의 대리 기사를 배정하기 위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후보 대리 기사 그룹에 대하여 상기 결정된 우선 순위 및 상기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구성하는 대리 기사의 서비스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최종 대리 기사 그룹을 구성하는 대리 기사로 상기 복수의 호출들을 방송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호출들에 대한 대리 기사의 배정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플랫폼에 가입된 대리 기사가 이동을 위해 미리 등록한 교통 수단을 통해 출발지까지 이동할 경우의 소요 시간에서 이동 경로 상의 시간 구간 별 혼잡도를 적용하여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소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에 따라 유사 범위에 속하는 대리 기사로 구성되는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하여 저장된 연락처 정보, 상기 사용자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간의 문자 내역 정보 및 통화 내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급을 추측하는 단계는 상기 연락처 정보를 구성하는 이름을 제외한 나머지 텍스트 정보 및 상기 문자 내역 정보에 포함된 이름과 이웃하는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급과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를 통해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급을 추측하되, 상기 문자 내역 정보에서는 문자의 내용에 사용된 존칭 여부를 더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의 급을 추측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및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중 급이 동일한 것으로 추측되는 경우, 상기 사용자와 상기 복수의 사용자들 간의 통화 내역 정보를 통해 확인되는 발신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및 복수의 사용자들 간의 급을 추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종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추측된 급에 기초하여 상위 급의 사용자부터 하위 급의 사용자를 추측하여 우선 순위를 결정하고, 상기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구성하는 대리 기사의 서비스 이력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서비스 점수가 높은 대리 기사로 구성되는 최종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비스 이력 정보는 대리 기사의 주행 거리 별 평균 소요 시간 및 출발지 및 목적지 간의 직선 거리 대비 실제 이동 거리의 비를 포함하되, 상기 서비스 점수는 상기 평균 소요 시간이 짧고 출발지 및 목적지 간의 직선 거리 대비 실제 이동 거리의 비의 값이 작을수록 높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신의 대리 기사를 호출하는 것과 동시에, 자신의 지인에 대한 대리 기사를 대신 호출해 줄 수 있는 효과 있다.
또한, 동일한 출발지에서 서로 다른 목적지로 향하는 복수의 대리 기사들을 호출하는 경우, 비교적 유사한 시간 범위에 대리 기사가 도착하도록 복수의 호출들을 진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동일한 장소에서 대리 기사를 호출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유사한 시간에 대리 기사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대리 기사들을 호출하는 과정에서 각 호출에 따른 대리 기사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회적 지위(예를 들어, 직급 등)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고려한 대리 기사의 배정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원활한 대리 기사의 호출 및 배정과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네트워크 기반의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네트워크 기반의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네트워크 기반의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 정보 및 문자 내역 정보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에 포함된 통화 내역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네트워크 기반의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네트워크 기반의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이 수행되는 환경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네트워크 기반의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200)의 대리기사 호출에 상응하여 동작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200)은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 및 실행될 수 있는 모바일 단말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를 운영 및 제공하는 서버 등과 같은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200)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호출들을 생성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호출들은 제1 호출, 제2 호출 및 제3 호출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호출들에 따른 대리 기사를 제공받는 사용자들은 모두 상이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자신 이외의 타인을 위해 대리기사를 호출하기 위한 복수의 호출들을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더 구체적인 예시들 중 하나로, 복수의 호출들은, 각 호출의 출발지는 동일하지만, 목적지가 서로 다른 호출로써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및 사용자와 관계가 있는 복수의 사용자들을 위해 대리 기사의 배정을 요청하는 호출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서비스는 자신을 위한 대리기사 호출 뿐만 아니라 타인을 위해 대신 대리기사를 호출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공된 복수의 호출들을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복수의 호출들에 대한 내용을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 및 플랫폼에 미리 등록된 복수의 대리 기사들의 정보를 기반으로 복수의 호출들 각각에 대하여 적합한 대리 기사를 배정하기 위한 대리 기사 그룹(group)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대리 기사 그룹에 기초하여 각 호출의 대리 기사가 배정될 수 있도록 각 호출에 대한 내용을 대리 기사 그룹에 속한 대리 기사들의 단말들로 방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우선적으로 각 호출에 대한 대리 기사가 출발지에 도착하는 시간이 유사 범위에 속하도록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리 기사들을 각각 배정받을 복수의 사용자들 중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호출들 각각을 통해 대리 기사의 배정을 받을 복수의 사용자들 사이의 호출 우선 순위를 추정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는 사용자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예를 들어, 부장님과 사원 사이, 엄마와 아빠 사이 등)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결정된 우선 순위와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구성하는 대리 기사의 서비스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최종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최종 대리 기사 그룹에 속하는 대리 기사들 각각의 대리기사 단말(300)에게 각 호출의 내용을 방송함으로써 각 호출에 대한 대리 기사가 배정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네트워크 기반의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110)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가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을 저장하는 메모리(memory, 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본 명세서 전체에서 설명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동작이나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그래픽 처리 장치(graphics processing unit, GPU),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들이 수행되는 전용의 프로세서를 의미할 수 있다. 메모리(120) 및 저장 장치(160) 각각은 휘발성 저장 매체 및 비휘발성 저장 매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및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송수신 장치(transceiver)(13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입력 인터페이스 장치(140), 출력 인터페이스 장치(150) 및 저장 장치(1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포함된 각각의 구성 요소들은 버스(bus)(170)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네트워크 기반의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네트워크 기반의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의사용자인 제1 사용자 및 제1 사용자 이외의 복수의 제2 사용자들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대리 기사들의 배정을 요청하는 복수의 호출들을 수신할 수 있다(S100).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이하, 제1 사용자로 지칭) 뿐만 아니라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 이외의 다른 사용자들(이하, 제2 사용자들로 지칭) 각각을 위한 호출들을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는 복수의 호출들은 출발지와 목적지가 모두 상이한 호출들이거나, 출발지가 모두 동일하고 목적지가 서로 다른 호출들일 수 있고, 각 호출에 대한 대리 기사의 배정을 동시에 요청하는 호출을 의미할 수 있다. 이는, 한 명의 제1 사용자가 제1 사용자 이외의 다른 복수의 제2 사용자들의 대리 기사를 자신의 단말로 동시에 요청하는 상황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미리 등록된 대리 기사들 중에서 복수의 호출들 각각에 배정할 대리 기사들로 구성된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S200).
단계 S20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미리 등록(registraion)된 대리 기사들 각각의 교통 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20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미리 대리 기사들 각각에 대한 등록 과정에서, 대리 기사들 각각의 대리기사 단말(300)들로부터 대리 기사의 교통 수단 정보(예를 들어, 도보, 자전거, 전동기, 택시 등)을 제공받아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저장한 교통 수단 정보를 기초로 대리기사 단말(300)의 현재 위치에서 호출들 각각의 출발지까지 이동할 경우의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단계 S20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리 기사의 현재 위치 및 호출의 출발지 간의 이동 경로 상의 시간 구간 별 교통 혼잡도를 기초로 소요 시간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통 혼잡도가 높을수록 소요 시간이 높아지도록, 교통 혼잡도의 크기에 비례하는 가중치 상수를 소요 시간에 곱하는 방식으로, 소요 시간을 보정할 수 있다. 이때, 교통 혼잡도는 외부의 교통량이나 교통 혼잡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공공기관의 운영 서버를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단계 S20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대리 기사들 중 (보정된) 소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내인 대리 기사들로 구성된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S200).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소요 시간이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내이고, 소요 시간이 서로 임계 범위 내에 위치(예를 들어, 30분에서 40분 사이의 임계 시간 범위에 소요 시간이 모두 위치하거나, 또는 10분 내지 20분 사이의 임계 시간 범위에 소요 시간이 모두 위치)한 대리기사들로 구성된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처럼, 소요 시간이 서로 임계 범위 내에 위치한 대리 기사들로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할 경우, 비슷한 시간 내에 대리 기사들이 출발지로 도착하기 때문에 호출받을 제1 사용자와 제1 사용자 이외의 다른 복수의 제2 사용자들 각각이 서로 비슷한 시간에 대리 기사를 이용해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들이 서로 동일한 출발지에서 함께 모임을 갖고있는 경우, 비슷한 시기에 출발할 수 있어 서비스 만족도가 높을 수 있다.
단계 S200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대리 기사들 각각을 배정받는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를 추정하기 위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300).
여기서,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는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연락처, 문자 내역 및 통화 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연락처는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제2 사용자들의 전화번호에 매칭되어 저장된 텍스트 형태의 정보(예를 들어, 제2 사용자의 전화번호와 매칭되게 등록된 호칭이나 약칭, 별명 등)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문자 내역 정보는 제1 사용자와 복수의 제2 사용자들 간에 서로 주고받은 문자의 내용을 의미하는 텍스트 형태의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통화 내역 정보는 제1 사용자와 복수의 제2 사용자들 간에 진행된 통화의 발신 또는 수신 여부(예를 들어, 제1 사용자가 전화를 걸었는지, 제1 사용자가 전화를 받았는지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획득된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를 기반으로 제1 사용자와 복수의 제2 사용자들 사이의 사회적 관계를 추정할 수 있다(S400).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연락처를 구성하는 이름을 제외한 나머지 텍스트 정보 및 문자 내역 정보에 포함된 이름과 이웃하는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들의 직급과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급과 관련된 키워드는 사원, 주임, 대리, 과장, 차장, 부장, 실장, 이사, 대표 및 사장 등과 같은 키워드로 정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문자 내역 정보로부터 존칭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키워드를 더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존칭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되는 키워드는 "~습니다." 및 "~요." 등과 같은 키워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에 포함된 테스트 정보에서 직급과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문자에서 존칭과 관련된 키워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키워드들을 기반으로 제2 사용자들의 직급이나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들 사이의 사회적 지위(예를 들어, 누가 더 연장자인지 또는 누가 더 직급이 높은지 등)를 추정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40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사용자 및 복수의 제2 사용자들 중 일부가 서로 직급이 동일하게 추정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및 복수의 제2 사용자들이 모두 "대리"라는 직급으로 동일하게 추정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사용자와 복수의 제2 사용자들 사이의 통화 내역 정보를 통해 확인되는 발신 방향에 기초하여 사회적 지위를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사용자와 복수의 제2 사용자들 중 서로간에 통화 내역이 있는 2명의 사용자들 사이에서, 발신을 많이 한 사용자가 수신을 많이 받은 사용자보다 사회적 지위가 낮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추정된 사회적 지위에 기초하여 복수의 호출들 각각에 대응하는 대리 기사들을 배정하기 위한 호출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S500).
단계 S50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직급이나 사회적 지위가 다른 사용자들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사용자에게 배리 기사가 먼저 배정되도록 호출 우선 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사용자들 각각의 직급이 "대리", "과장", 및 "차장"인 경우, 직급이 가장 높은 "차장" 직급의 사용자에게 가장 높은(즉, 0순위 또는 1순위) 호출 우선 순위가 할당되고, "대리" 직급의 사용자에게 가장 낮은 호출 우선 순위가 할당될 수 있다.
단계 S500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호출 우선 순위 및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구성하는 대리 기사들 각각의 서비스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후보 대리 기사 군에서 선택된 대리 기사들로 구성되는 최종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S600).
단계 S60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호출 우선 순위가 높은 사용자부터 호출 우선 순위가 가장 낮은 사용자까지 순서대로,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구성하는 대리 기사들 각각의 서비스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대리 기사를 선정하고, 선정된 대리 기사들로 구성된 최종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이력 정보는 대리 기사의 주행 거리 별 평균 소요 시간 및 출발지 및 목적지 간의 직선 거리 대비 실제 이동 거리의 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평균 소요 시간이 짧고 출발지 및 목적지 간의 직선 거리 대비 실제 이동 거리의 비의 값이 작을수록 높은 값이 되도록 대리 기사들 각각의 서비스 점수를 산출하고, 산출된 서비스 점수가 높은 순서대로 후보 대리 기사 그룹에서 대리 기사를 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등록된 대리 기사들 각각의 단위 주행 거리에 따른 평균 소요 시간들의 평균 값과 대비하여 해당 대리 기사의 주행 거리 별 평균 소요 시간을 백분율로 환산된 제1 보조 서비스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해당 대리 기사가 과거에 주행한 각 건의 출발지 및 목적지 간의 직선 거리 대비 실제 이동 거리의 비를 백분율로 환산된 제2 보조 서비스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보조 서비스 점수와 제2 보조 서비스 점수를 이용하여 서비스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조 서비스 점수와 제2 보조 서비스 점수 사이의 평균 또는 기하 평균을 서비스 점수로서 산출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호출 우선 순위에 따라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들 각각에게 대리 기사를 배정하되, 서비스 점수가 높은 대리 기사를 먼저 배정시켜 최종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한다. 따라서, 호출 우선 순위가 높은 사용자에게 보다 좋은 서비스를 제공할 확률이 높은 대리 기사(서비스 점수가 높은 대리 기사)가 먼저 배정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최종 대리 기사 그룹을 구성하는 대리 기사들 각각의 대리 기사 단말(300)에게 복수의 호출들을 방송(broadcast)함으로써 복수의 호출들에 대한 대리 기사의 배정을 지원할 수 있다(S700).
단계 S700에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플랫폼에 등록된 복수의 대리 기사들 중 각 호출에 대하여 결정된 최종 대리 기사 그룹을 구성하는 대리 기사가 보유하고 있는 대리기사 단말(300)로 각 호출의 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각 호출의 출발지, 목적지, 해당 호출을 통해 대리 기사를 배정받을 사용자들(제1 사용자 및 제2 사용자들)의 연락처 및 서비스에 대하여 지불을 희망하는 금액 등이 포함된 호출의 내용을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최종 대리 기사 그룹에 속하는 대리 기사는 자신의 대리 기사 단말(30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방송되는 각 호출의 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호출에 대하여 수락을 희망하는 경우, 수락 의사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0)에서 발생된 호출과 서로 연결되어 각 사용자에게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하기 위해 미리 등록된 대리 기사의 정보가 분석된 내용이 기재된 표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등록된 복수의 대리 기사들을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는 식별 정보(예를 들어, D1 내지 D8 등으로 표현되는 아이디 정보), 각 대리 기사들이 출발지까지 이동하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등록한 교통 수단(예를 들어, 도보, 자전거, 전동기 및 택시 등의 이동하는 수단의 이름), 각 대리 기사의 현재 위치로 호출의 출발지로 출발하는 출발 위치(예를 들어, P1 내지 P2 등으로 표현되는 위치의 주소 정보), 현재 시각(예를 들어, 호출이 발생된 시각) 및 현재 시각에서 각 대리 기사의 출발 위치의 교통 혼잡 정도를 의미하는 혼잡도(예를 들어, 시간 값을 수정하기 위한 0 부터 1이하의 값)을 포함하는 표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호출의 출발지, 교통 수단, 대리 기사의 현재 위치인 출발 위치 및 혼잡도를 이용하여 각 대리 기사가 호출의 출발지까지 도착하는 데 소요되는 시간인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는 대리 기사의 출발 위치에서 호출의 출발지까지 해당 대리 기사의 교통 수단으로 이동했을 경우, 평균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을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시간에 혼잡도가 의미하는 값을 반영하여 최종적인 소요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플랫폼에 등록된 복수의 기사들에 대한 호출의 출발지 도착까지의 소요 시간의 평균 값을 산출할 수 있고, 산출된 평균 값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 구간에 따라 유사 범위에 속하는 소요 시간을 가지는 대리 기사를 후보 대리 기사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는 D1 내지 D8의 대리 기사가 호출의 출발지 도착까지의 소요 시간의 평균 값이 24.75M(분)인 것으로 산출할 수 있고, 24.75M(분)을 기준으로 3분의 유사 범위를 결정할 경우, 24.75M(분)으로부터 3분이 감소된 21.75M(분) 부터 3분이 추가된 27.75M(분)의 소요 시간을 가지는 대리 기사인 D2, D3, D5, D7 및 D8의 대리 기사를 후보 대리 기사 그룹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 정보 및 문자 내역 정보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하는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 중 연락처 및 문자 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직급과 관련된 키워드로 추출되는 영역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는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에 포함된 연락처를 의미할 수 있으며, 연락처는 제1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가 형성되어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전화번호와 매칭된 텍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락처에 저장된 텍스트 형태의 정보는 "홍길동 대리"와 같은 형태로 "이름"과 "직책"의 순서로 텍스트가 이웃하는 형태일 수도 있고, "대리 홍길동"과 같은 형태로 "직책" 과 "이름"의 순서로 텍스트가 이웃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이름" 및 "직책"의 텍스트에서 "직책"과 관련된 키워드를 사용자의 직급과 관련된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도 5(b)는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에 포함된 문자 내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문자 내역은 제1 사용자 및 제1 사용자와 사회적 관계가 형성된 복수의 제2 사용자들 간에 서로 발송된 문자의 내용을 의미하는 텍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자 내역에서 확인되는 텍스트에서는 연락처와 유사하게 문자의 내용에서 서로를 호칭하는 "이름"과 "직책"의 순서 또는 "직책"과 "이름"으로 이웃하는 텍스트의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연락처와 유사 또는 동일하게 문자 내역에서 확인되는 "직책"과 관련된 키워드를 사용자의 직급과 관련된 키워드로 추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문자 내역에서 확인되는 텍스트 형태의 정보에서 문장에 사용된 존칭 문구나 존칭 키워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존칭 문구나 존칭 키워드에는 "~님", "~습니다." 및 "~요." 등과 같은 텍스트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존칭 문구나 존칭 키워드를 직접 사용한 사용자를 존칭 문구나 존칭 키워드를 사용한 대상 사용자보다 낮은 사회적 지위로 추정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에 포함된 통화 내역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하는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 중 통화 내역을 확인할 수 있으며, 통화 내역을 기반으로 사용자의 사회적 지위를 추정하는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에 포함된 통화 내역은 사용자와 복수의 사용자들 간에 진행된 통화의 발신 또는 수신 여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무가 통화 의사가 있는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사회적 지위가 낮을 가능성이 많으므로, 2명의 사용자들 사이의 발신 또는 수신 여부를 기초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통화의 발신 횟수가 적은 사용자가 발신 횟수가 많은 사용자보다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가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또는 구현 방식에 따라, 통화의 발신 횟수가 적은 사용자가 발신 횟수가 많은 사용자보다 낮은 사회적 지위를 가진 것으로 추정할 수도 있다.
즉, 도 6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사용자와 제2 사용자 간에 진행된 통화의 발신 횟수(제1 사용자가 1번 발신, 제2 사용자가 2번 발신) 또는 수신 횟수를 확인할 수 있고, 제1 사용자가 제2 사용자로부터 발신한 횟수가 수신한 횟수보다 더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사용자의 사회적 지위가 제2 사용자의 사회적 지위보다 높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사용자와 제3 사용자 사이의 통화 횟수가 1회 기록되어 있는 경우도 확인할 수 있다. 이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사용자와 제3 사용자 중에서 통화를 수신한 제1 사용자가 통화를 발신한 제3 사용자보다 사회적 지위가 높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서비스 제공 장치는 연락처 및 문자 내역에 기초하여 사용자 및 복수의 사용자들 간의 직급이 동일한 것으로 추측되는 경우, 통화 내역에 기초하여 추가적으로 사용자 및 복수의 사용자들 간의 사회적 지위를 보다 상세하게 추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네트워크 기반의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이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네트워크 기반의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플랫폼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로 실행함으로써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a)는 사용자 단말(200)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제1 호출을 등록하는 화면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상으로 출발지, 목적지를 등록함으로써 대리 기사의 배정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도 7(a)에서'대신 불러주기' 기능이 활성화(on, 도면상에는 off로 비활성화 표시)된 경우, 도 7(b)에서와 같이 제1 사용자는 해당 호출을 통해 대리 기사의 배정을 받을 다른 사용자(예를 들어, 제1 사용자의 지인)의 연락처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호출을 통해 대리 기사의 배정을 받을 사용자의 연락처를 입력할 수 있도록 "연락처 가져오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제1 사용자가 "연락처 가져오기" 기능을 선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내부에 저장된 연락처에 접근하여 전화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직접 연락처를 입력하지 않고 연락처에서 해당 호출을 통해 대리 기사의 배정을 받을 사용자의 연락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c)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제1 사용자가 해당 호출에 대한 금액(예를 들어, 대신 불러주기 기능이 활성화되어 지인 연락처가 입력된 경우, 해당 지인을 위해 대리 기사를 배정받기 위한 금액)을 입력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고, 제1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 상으로 금액을 입력할 경우, 해당 호출에 대하여 지불을 희망하는 금액으로 등록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기반으로 운행 거리를 산출하고, 운행 거리와 시각 등을 기반으로 추천 요금을 산정하여 제1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고, 제1 사용자는 추천 요금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호출하거나, 추천 요금을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여 호출할 수도 있다.
이후, 제1 사용자에 의해 최종적으로 결정된 요금(즉, 추천 요금이나 조정된 요금)에 대해 외부 금융 서버 등과 연계하여 결제가 진행될 수 있다.
도 7(d)는 결제가 완료된 후, 어플리케이션 상에서 제1 호출에 대한 대리 기사를 배정하기 위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제1 호출에 대한 내용이 전송된 후의 화면을 의미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도 7(d)에 따르면 제1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입력한 제1 호출에 대한 내용이 출력될 수 있고, 제1 호출의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 출력될 수 있다.
도 7(e)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제1 호출 이후에 제1 호출을 진행하였을 때, 제2 호출의 진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을 표시한 도면이다. 도 7(e)에서와 같이 제1 사용자는 지인 불러주기 기능을 통해 지인에 대한 제1 호출을 진행한 이후에, 자신이나 다른 지인을 위한 제2 호출을 제1 호출과 동일한 절차로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제1 사용자가 제2 호출에 대한 추천 금액을 제공받고, 제공받은 추천 금액으로 호출하거나, 추천 금액을 조정하여 호출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호출까지 진행이 완료된 이후에, 제1 사용자는 호출현황을 통해 제1 호출이나 제2 호출 각각의 진행 상태(접수중, 접수 완료, 배차진행중, 배차완료, 기사이동중, 운행중, 또는 운행완료)를 확인할 수 있어 복수의 호출들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해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해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예에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상술한 방법 또는 장치는 그 구성이나 기능의 전부 또는 일부가 결합되어 구현되거나,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서 적어도 하나의 동작(operation)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명령어들(instructions)이 저장된 메모리(memory);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동작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인 제1 사용자 및 상기 제1 사용자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대리 기사들의 배정을 요청하는 복수의 호출들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호출들 각각에 배정하기 위한 후보 대리 기사들로 구성된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후보 대리 기사 그룹에 포함된 대리 기사들 각각의 서비스 이력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호출들 각각에 배정할 대리 기사들을 상기 후보 대리 기사 그룹에서 선정하는 단계; 및
    선정된 대리 기사들 각각의 대리기사 단말로 상기 호출들 각각에 대한 호출 내용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들 각각은,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화번호가 등록된 사용자이고,
    상기 후보 대리 기사 그룹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에 미리 등록(registration)된 교통 수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등록된 대리 기사들 각각의 대리기사 단말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상기 호출들 각각의 출발지까지 이동할 경우에 따른 소요 시간들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소요 시간들 각각이 미리 설정된 임계 시간 이내이고, 상기 소요 시간들이 서로 임계 시간 범위 내에 위치한 대리 기사들로 상기 후보 대리 기사들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호출들 각각에 배정할 대리 기사들을 상기 후보 대리 기사 그룹에서 선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연락처, 문자내역 및 통화 내역을 포함하는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네트워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사이의 사회적 관계를 추정하는 단계;
    상기 사회적 관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용자 사이의 호출 우선 순위를 결정하는 단계; 및
    결정된 상기 호출 우선 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호출들 각각에 배정할 대리 기사들을 상기 후보 대리 기사 그룹에서 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116441A 2021-09-01 2021-09-01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351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441A KR102351624B1 (ko) 2021-09-01 2021-09-01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441A KR102351624B1 (ko) 2021-09-01 2021-09-01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624B1 true KR102351624B1 (ko) 2022-01-14

Family

ID=7934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441A KR102351624B1 (ko) 2021-09-01 2021-09-01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62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457B1 (ko) * 2011-08-01 2012-12-12 최라성 네트워크상의 서비스서버를 이용한 대리운전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30096375A (ko) * 2012-02-22 2013-08-30 (주)무브먼트소프트 주문을 자동배차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16522482A (ja) * 2013-07-29 2016-07-28 バイドゥ オンライン ネットワーク テクノロジー (ベイジ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候補単語を提供する方法、装置、コンピューター記憶媒体及びデバイス
KR101771512B1 (ko) * 2016-02-18 2017-08-28 (주) 이루온엘비에스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23110B1 (ko) * 2016-11-08 2018-03-08 노기상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대리운전 시스템 및 그에 의한 배차방법
KR20180136760A (ko) * 2017-06-15 2018-12-26 주식회사 카카오모빌리티 복수의 배차 요청이 가능한 콜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단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1457B1 (ko) * 2011-08-01 2012-12-12 최라성 네트워크상의 서비스서버를 이용한 대리운전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20130096375A (ko) * 2012-02-22 2013-08-30 (주)무브먼트소프트 주문을 자동배차하는 방법 및 그 장치
JP2016522482A (ja) * 2013-07-29 2016-07-28 バイドゥ オンライン ネットワーク テクノロジー (ベイジン)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候補単語を提供する方法、装置、コンピューター記憶媒体及びデバイス
KR101771512B1 (ko) * 2016-02-18 2017-08-28 (주) 이루온엘비에스 대리운전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823110B1 (ko) * 2016-11-08 2018-03-08 노기상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대리운전 시스템 및 그에 의한 배차방법
KR20180136760A (ko) * 2017-06-15 2018-12-26 주식회사 카카오모빌리티 복수의 배차 요청이 가능한 콜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서버 및 단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3273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using location information
JP4458453B2 (ja) 相乗り仲介管理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09983790B (zh) 通过有限网络连接的网络服务
EP3011521B1 (en) Mobile application based dispatching
CN105190244A (zh) 多模态费用计算方法、系统与装置
CN107409144A (zh) 使用共享位置数据执行对服务的请求
US10273118B2 (en) Device and method providing traffic forecasts for elevator systems
WO2017041596A1 (zh) 一种室内定位方法及用户终端
KR102351624B1 (ko) 대리 기사 호출을 위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60909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9888114B2 (en) Multimedia alert and response system for urgent and local requests
KR20120087269A (ko) 경로 지도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0458305A (zh) 服务器系统、控制方法、及记录有程序的非暂时性记录介质
CN111191021A (zh) 职业预测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1211457B1 (ko) 네트워크상의 서비스서버를 이용한 대리운전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N108805651A (zh) 交互式信息亭
JP2006163670A (ja) 巡訪ルート探索システム、プログラム
CN114221960A (zh) 基于自动驾驶公交车的数据推送方法和自动驾驶公交车
JP6875351B2 (ja)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30130929A (ko)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승객관리 방법
KR20180059105A (ko) 도우미 서비스 제공방법
JP5843841B2 (ja) 面会予約支援装置及び面会予約支援方法
JP7494471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230394385A1 (en) Sales Score Optimized Routing
US202303542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tching Using Location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