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1277B1 -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 - Google Patents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1277B1
KR102351277B1 KR1020210021607A KR20210021607A KR102351277B1 KR 102351277 B1 KR102351277 B1 KR 102351277B1 KR 1020210021607 A KR1020210021607 A KR 1020210021607A KR 20210021607 A KR20210021607 A KR 20210021607A KR 102351277 B1 KR102351277 B1 KR 102351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wall panel
stress
panel
indu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석희
Original Assignee
뉴콘텍이앤씨(주)
홍석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뉴콘텍이앤씨(주), 홍석희 filed Critical 뉴콘텍이앤씨(주)
Priority to KR1020210021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1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1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1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5Shapes polygon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 E02D2300/0034Steel; Iron in wir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토압력에 의해 옹벽판넬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이 옹벽판넬의 가장자리에 집중되지 않고 옹벽판넬에 전체적으로 분산되게 하며, 특히 옹벽판넬의 모서리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있도록 한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다수개가 적층된 구조로 쌓아올려져 토사 또는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는 벽체를 형성하는 옹벽판넬에 있어서, 정착지반으로부터 연장되는 보강재가 결속되도록 중앙부 영역에 형성된 앵커홀; 및 토압력에 의해 옹벽판넬의 모서리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키는 프레스트레스 압축응력을 옹벽판넬에 도입하도록 옹벽판넬의 내부에서 대각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응력도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Prestressed retaining panel}
본 발명은 옹벽 또는 사면 지지를 목적으로 시공되는 구조체 중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프리캐스트 타입의 옹벽판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면지반의 토압 등 압력에 의해 각형 옹벽판넬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상쇄하도록 도입되는 프리스트레스, 배면 지반의 붕괴력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앵커 또는 네일링 등으로 구성된 보강재에 작용하는 힘이 판넬단면에 균등하게 분산 작용하도록 전단면 강성 유지, 패널 단면형상 특성에 따른 상기 응력과 강성의 취약부인 모서리부까지 프리스트레스 도입 및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스템을 최소화하여 제작의 편의성과 경제성을 구비하면서 내구성 및 내진성을 갖추어 상시 및 지진시에도 보다 안정적인 옹벽 및 사면보강구조를 구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옹벽은 배면 지반이 붕괴되는 것을 막기 위한 구조물로서, 흙을 쌓아 올리거나, 산을 깎아 내리거나, 해안을 메울 때 토사가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시공된다.
도 1은 배면 지반 붕괴를 위해 시공된 옹벽 중 전면부에 프리캐스트 패널을 설치하고 후면부인 배면에는 앵커나 네일링 등 보강재로 지지하는 옹벽의 예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사면 보강용으로 설치하는 구조체도 상기와 같은 개념으로 이루어지며, 본 기술에 이에 관련한 범 종류의 옹벽이다.
배면부 정착지반(20)으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다수의 옹벽판넬(10)을 쌓아올려 지반이나 토사의 붕괴를 위한 벽체를 형성하되, 옹벽판넬(10)과 배면부 정착지반(20)을 앵커나 네일링 등으로 이루어진 보강재(30)로 연결하여 각각의 옹벽판넬(10)이 보강재(30)를 통해 배면부 지반(20)에 정착되게 함으로써 견고한 벽체형태의 옹벽이 시공된다.
한편, 중앙부 영역이 보강재에 의해 배면부 정착지반에 고정된 각각의 옹벽판넬(10)은 배면 뒷채움재 및 지반의 토압력에 의해 도 2와 같은 형태로 변형된다.
즉, 사각형의 판재 형태로 이루어진 옹벽판넬(10)이 중앙부나 중앙 인접부에 설치된 보강재(30)에 의해 정착지반에 고정된 경우, 해당 옹벽판넬에는 상기 토압력에 의해 휨인장응력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인장응력은 콘크리트 판넬에 균열을 발생시켜 안전성 및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기 인장응력에 의한 균열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철근을 배근하게 되는데, 판넬의 모서리부에는 철근 보강이 곤란하고, 비연속단면에 의한 응력 전달이 안됨에 따라 단면이 균열 및 박리 등 발생으로 쉽게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옹벽판넬은 배면 지반의 붕괴력을 제어하기 위해 설치되는 앵커 또는 네일링 등으로 구성된 보강재에 선행힘을 가하게 된다. 이 선행힘이 판넬단면에 균등하게 분산 작용하도록 판넬 전단면이 강성을 유지하여야만 하는데, 각형 패널 단면형상 특성에 따라 보강재에 의해 고정된 옹벽판넬의 중심부로부터 멀리 떨어진 옹벽판넬의 모서리에는 비연속 단면으로 균열발생에 의해 강성 유지가 곤란하여 쉽게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일부 바닥판용 콘크리트 데크 판넬에는 판넬 대향 측면인 한 방향으로만 PS강선을 설치하여 프리스트레스힘을 도입하게 되어 상쇄 프리스트레스 압축응력이 한 방향으로만 발생됨에 따라, 옹벽판넬처럼 전 방향이 주응력이 발생하는 단면에서의 상기 방식의 프리스트레스 도입은 효과가 없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2141573호(2020.08.05.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0-2131653호(2020.07.09.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압력에 의해 옹벽판넬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이 옹벽판넬의 가장자리에 집중되지 않고 옹벽판넬에 전체적으로 분산되게 하며, 특히 옹벽판넬의 모서리까지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있도록 한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다수개가 적층된 구조로 쌓아올려져 토사 또는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는 벽체를 형성하는 옹벽판넬에 있어서, 정착지반으로부터 연장되는 보강재가 결속되도록 중앙부 영역에 형성된 앵커홀; 및 토압력에 의해 옹벽판넬의 모서리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키는 프레스트레스 압축응력을 옹벽판넬에 도입하도록 옹벽판넬의 내부에서 대각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응력도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에 있어서, 상기 옹벽판넬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조된 각형 콘트리트 판넬로 이루어지며, 상기 응력도입부재는 옹벽판넬의 모서리와 모서리를 연결하는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에 있어서, 상기 응력도입부재는 옹벽판넬의 전면과 배면 중 토압력이 작용하는 면에 보다 근접한 곳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에 있어서, 상기 옹벽판넬은 사각형 콘크리트 판넬로 이루어지고, 상기 앵커홀은 옹벽판넬의 네 모서리를 연결하는 사각형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응력도입부재는 내측 단부가 앵커홀에 고정 정착되고, 외측 단부가 옹벽판넬의 모서리에 긴장 정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에 있어서, 상기 옹벽판넬은 사각형 콘크리트 판넬로 이루어지고, 상기 앵커홀은 옹벽판넬의 네 모서리를 연결하는 사각형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곳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응력도입부재는 일측 단부가 옹벽판넬의 한 쪽 모서리에 고정 정착되고, 타측 단부가 대각 방향에 위치한 모서리에 긴장 정착되게 설치되어 2개의 응력도입부재가 X자 형태로 교차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토압력에 의해 옹벽판넬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프리스트레스 압축응력으로 상쇄시켜 균열을 제거시키므로서 안전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특히, 본 발명의 모서리부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 도입 시스템은 판넬의 취약부인 모서리부까지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함으로써 상기 효과를 더욱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판넬의 모서리부를 포함하여 전단면 강성 유지를 통해서 배면 지반 붕과를 억제하기 위해 가해지는 보강재의 선행힘을 전 판넬단면에 균등하게 분산 작용하게 함에 따라 배면 지반의 안정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대향 모서리부에서 대각선으로 고강도강선을 배치하여 프리스트레스힘을 도입하는 경우는, 상기 강선을 고정 및 정착하는 갯수 및 긴장 횟수가 판넬 에지선에 평행하게 고강도강선을 배치하여 판넬 전단면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한 방식 보다 약 50% 절감됨에 따라 제작의 편리성, 경제성 및 친환경성 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은 대향 모서리부에서 대각선으로 고강도강선을 배치하여 프리스트레스힘을 도입하는 방식은 최초로서 기술의 우수성 효과가 월등하다.
도 1 은 지반 붕괴를 위해 시공된 옹벽의 예시도,
도 2 는 옹벽판넬의 가장자리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의 형태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의 정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의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의 정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의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의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의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의 사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의 정면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의 측면도를,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의 정면도를,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의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를, 도 8 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조된 각형 콘트리트 판넬로 이루어지되, 앵커홀(110)과 응력도입부재(1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배면지반의 토압 등 압력에 의해 옹벽판넬(100)에 발생되는 응력이 가장자리에 집중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고, 특히 옹벽판넬(100)의 가장자리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프리스트레스 압축응력으로 상쇄하여 상대적으로 취약한 가장자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언급된 각형 콘크리트 판넬은 사각형의 구조를 갖거나(도 3 내지 도 6 참조), X자형의 구조를 갖거나(도 8 참조), 사각형의 구조를 갖되 네 모서리에 절취부(103)가 형성된 것(도 9 참조)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판넬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앵커홀(110)은 옹벽판넬(100)을 배면부 정착지반에 고정하는 앵커나 네일링 등 보강재의 단부가 결속되는 구멍으로, 옹벽판넬(100)의 중앙부 영역에 형성된다.
한편, 앵커홀(110)은 옹벽판넬(100)의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정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제1실시예에 따른 옹벽판넬(100)은 앵커홀(110)이 정중앙에서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고, 제2실시예에 따른 옹벽판넬(100)은 앵커홀(110)이 정중앙에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응력도입부재(120)는 토압력에 의해 옹벽판넬(100)의 모서리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키는 프리스트레스 압축응력을 옹벽판넬(100)에 도입하는 것으로, 옹벽판넬(100)의 내부에서 대각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되며, 이러한 응력도입부재(120)의 강선으로 구성되고, 공지의 나사식 정착구 또는 쐐기식 정착구에 의해 옹벽판넬(1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응력도입부재(120)는 옹벽판넬(100)의 네 모서리 중 대각방향에 위치한 두 모서리를 서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프리스트레스 압축응력을 도입하도록 구성되고, 제2실시예에 따른 응력도입부재(120)는 앵커홀(110)로부터 옹벽판넬(100)의 모서리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옹벽판넬(100)에 프리스트레스 압축응력을 도입하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앵커홀(110)이 옹벽판넬(100)의 정중앙부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형성된 경우, 옹벽판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한 응력도입부재(120)는 옹벽판넬(100)의 한측 모서리부와 대각선 대향측 모서리부를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X자 형태로 서로 교차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게 된다.
즉, 2개의 응력도입부재(120)가 X자 형태로 서로 교차하면서 옹벽판넬(100)의 한측 모서리부와 대각선 대향측 모서리부를 연결하되, 어느 한 응력도입부재(120)가 옹벽판넬(100)의 좌측 하단 모서리와 우측 상단 모서리를 연결하도록 설치되고, 다른 한 응력도입부재(120)가 옹벽판넬(100)의 좌측 상단 모서리와 우측 하단 모서리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이 때 앵커홀(110)은 2개의 응력도입부재(120)가 X자로 교차되는 위치에서 약간 벗어난 하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반면, 도 6에서와 같이 옹벽판넬(100)의 정중앙부에 앵커홀(110)이 형성된 경우, 응력도입부재(120)는 앵커홀(110)과 옹벽판넬(100)의 모서리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즉, 응력도입부재(120)의 내측 단부는 정착구(130)에 의해 앵커홀(110)에 고정 정착되고, 외측 단부는 또 다른 정착구(130)에 의해 옹벽판넬(100)의 모서리에 긴장 정착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옹벽판넬(100)이 사각형의 콘크리트 판넬로 이루어진 경우, 4개의 응력도입부재(120)가 앵커홀(110)로부터 사방으로 연장되어 네 모서리에 연결되면서 옹벽판넬(100)에 대각방향의 프리스트레스 압축응력을 도입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옹벽판넬(100)에 프리스트레스 압축응력을 도입하도록 응력도입부재(120)를 설치함에 있어서, 응력도입부재(120)는 옹벽판넬(100)의 전면(100a)과 배면(100b) 중 두께 방향 중심선(CL)을 기준으로 토압력이 작용하는 면에 보다 근접한 곳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응력도입부재(120)는 옹벽판넬(100)의 전면(100a)과 배면(100b) 중 토압력에 의해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구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토압력이 작용하는 면은 인장측에 해당하며, 배면으로부터 토압력 등을 받는 옹벽판넬(100)의 경우, 상기 인장측은 배면(100b)이 되므로, 응력도입부재(120)는 전면(100a) 보다 배면(100b)에 근접한 곳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응력도입부재(120)가 배면(100b)에 근접한 곳에서 프리스트레스 압축응력을 도입하도록 설치된 경우, 옹벽판넬(100)의 모서리 및 그 주변은 정착지반 방향으로 휘어지는 형태로 변형되는 성질을 갖게 되므로, 토압력에 의해 옹벽판넬(100)의 가장자리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보다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옹벽판넬(10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기 위해 응력도입부재(120)에 프리스트레스힘을 도입하는 방식은 프리텐션(Pretension) 방식 또는 비부착강선에 의한 포스트텐션(Posttension) 방식이 적용된다.
즉, 프리텐션 방식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부착강선인 응력도입부재(120)를 한 측 모서리와 대향 모서리를 걸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하여 X형상의 응력도입부재(120)를 이루게 하고, 옹벽판넬 형성용 거푸집을 이용하여 상기 X형 응력도입부재(120)의 한 측 모서리부에는 고정정착장치로 고정하고, 대각선 대향 모서리부에서 응력도입부재(120)를 설계관리치 만큼 긴장 후 정착장치로 고정한 다음,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한 후에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게 되면 옹벽판넬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게 된다.
또한, 포스트텐션 방식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비부착강선인 응력도입부재(120)를 한 측 모서리와 대향 모서리를 걸쳐 대각선 방향으로 설치하여 X형상의 응력도입부재를 이루게 하고,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한 후에 응력도입부재(120)의 한 측 모서리부에는 고정정착장치로 고정하고, 대각선 대향 모서리부에서 응력도입부재(120)를 설계관리치 만큼 긴장 후 정착장치로 고정하게 되면 옹벽판넬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게 된다.
따라서, 프리텐션 방식은 X형 응력도입부재 두 개를 동시에 긴장하게 되며, 포스트텐션 방식은 X형 응력도입부재 두 개를 동시에 긴장하거나 하나씩 긴장할 수 있다.
한편, 응력도입부재가 고정되는 위치인 모서리부에 프리스트레스 힘을 긴장 및 정착하기 위해서는, 판넬 전면부는 판넬 형상을 온전히 유지하고, 판넬 후면부는 각형의 판넬 코너를 상기 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직선단면을 갖도록 하여 공간부가 형성하도록 부분 조정한다. 상기 공간부에 응력도입부재 정착장치가 설치한 다음, 필요한 경우는 모르타르로 채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옹벽판넬과 마찬가지로 다수의 옹벽판넬(100)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채로 나열 및 적층되게 배치되어 벽체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옹벽판넬(100)의 모든 측면에는 옹벽판넬(100)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는 돌기(101)와 홈(102)이 형성되어 이웃하게 배치되는 옹벽판넬(100)이 물리적으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다수의 옹벽판넬(100)을 배치하면서 벽체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옹벽판넬(100) 중앙부 영역에 형성된 앵커홀(110)에 보강재의 선단을 결속하고, 보강재의 후단을 배면 정착지반에 앵커로 고정함으로써 각각의 옹벽판넬(100)을 배면 토공부에 고정하게 되며, 옹벽판넬(100)에 의해 형성되는 벽체와 정착지반의 사이에 뒷채움재를 채워넣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옹벽판넬(100)의 설치구조는 도 1과 동일하므로 그 도시는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중앙부가 보강재를 통해 정착지반에 고정된 옹벽판넬(100)에 토압력이 작용할 경우, 보강재의 선행힘을 전 판넬단면에 균등하게 분산 작용하게 함에 따라 배면 지반의 안정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옹벽판넬(100)에 발생되는 휨인장응력을 응력도입부재(120)에 의해 옹벽판넬(100)에 대각방향으로 도입된 프리스트레스로 상쇄하여 제거함으로써 옹벽판넬(100)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옹벽판넬(100)은 대각방향으로 프리스트레스 압축응력을 도입하여 토압력에 의해 옹벽판넬(100)에 발생되는 휨인장응력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옹벽판넬(1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철근 보강이 곤란한 모서리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옹벽판넬
110: 앵커홀
120: 응력도입부재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다수개가 적층된 구조로 쌓아올려져 토사 또는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는 벽체를 형성하는 옹벽판넬(100)에 있어서,
    정착지반으로부터 연장되는 보강재가 결속되도록 중앙부 영역에 형성된 앵커홀(110); 및
    토압력에 의해 옹벽판넬(100)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키는 프레스트레스를 옹벽판넬(100)에 도입하도록 옹벽판넬(100)의 내부에서 대각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응력도입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옹벽판넬(100)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조된 각형 콘트리트 판넬로 이루어지며, 상기 응력도입부재(120)는 옹벽판넬(100)의 모서리와 모서리를 연결하는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응력도입부재(120)는 옹벽판넬(100)의 전면(100a)과 배면(100b) 중 토압력에 의해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구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옹벽판넬(100)은 사각형 콘크리트 판넬로 이루어지고, 상기 앵커홀(110)은 옹벽판넬(100)의 네 모서리를 연결하는 사각형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응력도입부재(120)는 내측 단부가 앵커홀(110)에 고정 정착되고, 외측 단부가 옹벽판넬(100)의 모서리에 긴장 정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
  5. 다수개가 적층된 구조로 쌓아올려져 토사 또는 지반의 붕괴를 방지하는 벽체를 형성하는 옹벽판넬(100)에 있어서,
    정착지반으로부터 연장되는 보강재가 결속되도록 중앙부 영역에 형성된 앵커홀(110); 및
    토압력에 의해 옹벽판넬(100)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키는 프레스트레스를 옹벽판넬(100)에 도입하도록 옹벽판넬(100)의 내부에서 대각방향으로 연장되게 설치된 응력도입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옹벽판넬(100)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조된 각형 콘트리트 판넬로 이루어지며, 상기 응력도입부재(120)는 옹벽판넬(100)의 모서리와 모서리를 연결하는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옹벽판넬(100)은 사각형 콘크리트 판넬로 이루어지고, 상기 앵커홀(110)은 옹벽판넬(100)의 네 모서리를 연결하는 사각형의 중심으로부터 벗어난 곳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응력도입부재(120)는 일측 단부가 옹벽판넬(100)의 한 쪽 모서리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대각 방향에 위치한 모서리에 긴장 정착되게 설치되어 2개의 응력도입부재(120)가 X자 형태로 교차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
  6. 청구항5에 있어서
    상기 응력도입부재(120)는 옹벽판넬(100)의 전면(100a)과 배면(100b) 중 토압력에 의해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구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
KR1020210021607A 2021-02-18 2021-02-18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 KR102351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607A KR102351277B1 (ko) 2021-02-18 2021-02-18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607A KR102351277B1 (ko) 2021-02-18 2021-02-18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1277B1 true KR102351277B1 (ko) 2022-01-14

Family

ID=79343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607A KR102351277B1 (ko) 2021-02-18 2021-02-18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127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9579A (ja) * 1995-01-31 1996-08-06 Kurosawa Kensetsu Kk 法面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44940A (ko) * 2003-04-03 2003-06-09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및 이의조립시공방법
KR101356724B1 (ko) * 2013-07-26 2014-02-03 김규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572571B1 (ko) * 2015-04-09 2015-11-27 김규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31653B1 (ko) 2020-02-24 2020-07-09 주식회사 에프에스티앤씨 친환경 옹벽패널과 이용한 옹벽구조 및 구축방법
KR102141573B1 (ko) 2020-03-23 2020-08-05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9579A (ja) * 1995-01-31 1996-08-06 Kurosawa Kensetsu Kk 法面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30044940A (ko) * 2003-04-03 2003-06-09 주식회사 시티기술단 단위 옹벽판넬에 설치된 고강도 철근을 커플러로상호연결하여 단면력에 저항토록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도입한 단위 옹벽판넬로 이루어진 옹벽조립체 및 이의조립시공방법
KR101356724B1 (ko) * 2013-07-26 2014-02-03 김규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572571B1 (ko) * 2015-04-09 2015-11-27 김규철 옹벽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131653B1 (ko) 2020-02-24 2020-07-09 주식회사 에프에스티앤씨 친환경 옹벽패널과 이용한 옹벽구조 및 구축방법
KR102141573B1 (ko) 2020-03-23 2020-08-05 주식회사 구마에스앤씨(S&C) 패널식 옹벽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8197B2 (en) Method for jointing concrete column and iron beam
US6332301B1 (en) Metal beam structure and building construction including same
KR101152270B1 (ko) 장경간 고하중 건물에 적합한 피씨 슬래브 및 그 시공방법
US6003281A (en) Reinforced concrete structural elements
KR100903398B1 (ko) 프리캐스트 섬유보강 와이어매쉬 슬래브
US9797138B2 (en) Constructive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JP2022107467A (ja) 主筋周囲補強筋を用いたrc部材
JP2002061282A (ja) 柱状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部材
KR102351277B1 (ko) 옹벽 또는 사면 지지용 프리스트레스 옹벽판넬
US8590230B2 (en) Prestressed slab element
KR102170635B1 (ko) 비용절감형 중공pc 바닥판넬
KR20210068270A (ko) 기둥부재와 보의 보강구조물
JP3513731B2 (ja) 既設建物の補強構造
KR100989153B1 (ko) 바닥판 주철근 대체가 용이하도록 횡방향 강성연결재를 구비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 연결구조 및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EP1416101A1 (en) Composite beam
KR100607482B1 (ko) 긴장부재가 형성된 조립식 옹벽시스템
JPS61176706A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施工方法
JP2009091743A (ja) 連続i桁橋およびその中間支点近傍の構造
KR101004221B1 (ko) 포스트텐션으로 연속화된 와플형 슬래브 시스템 및 포스트텐션닝 방법
KR101139762B1 (ko) 건축물용 보강 벽의 시공 방법
JP6232190B2 (ja) 目地構成部材、コンクリート打設方法、コンクリート構造物
JP3229231B2 (ja) 建物の耐震補強構造
KR20120030206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데크와 이를 이용한 슬래브를 가지는 구조물의 시공방법
JP2931808B1 (ja) コンクリート床版材
KR20180070097A (ko) 시공단계에서 연속화 공법이 가능한 프리스트레스트 하이브리드 와이드 플랜지 보 구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