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414B1 - 과실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과실 수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414B1
KR102350414B1 KR1020190165939A KR20190165939A KR102350414B1 KR 102350414 B1 KR102350414 B1 KR 102350414B1 KR 1020190165939 A KR1020190165939 A KR 1020190165939A KR 20190165939 A KR20190165939 A KR 20190165939A KR 102350414 B1 KR102350414 B1 KR 1023504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unit
fruit
collecting uni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4841A (ko
Inventor
김현승
Original Assignee
김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승 filed Critical 김현승
Priority to KR1020190165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414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04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according to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2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fal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6/00Picking of fruits, vegetables, hops, or the like; 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 A01D46/26Devices for shaking trees or shrubs; Fruit catching devices to be used therewith
    • A01D2046/262Collecting surfaces extended around a tree in order to catch the fruit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나무 주위로 포집유닛의 설치가 용이하고 과실의 선별이 용이한 과실 수집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실 수집 장치는 롤러를 통해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형성되고 과실을 포집하는 포집유닛을 포함하는 포집부 및 상기 포집유닛의 권출방향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상기 포집유닛에 포집된 과실이 모이는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유닛의 테두리에 인접한 부분은 절개선을 통해 복수개의 부분들로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과실 수집 장치{FRUITS COLLECTING APPARATU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과실 수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과실을 수집하는 과실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대추와 같은 과실을 포함하는 과실은 나무에서 과실을 수확할 경우에, 그물을 준비하고, 나무에 진동을 가해서 나무에 열린 과실들을 낙하시킨다.
그러나 넓은 토지에 심어진 과실 나무들 주위에 그물망을 설치하고, 과실을 수확한 뒤에 그물망에 놓여진 과실들을 수확하여 수납용기에 수납시키는 과정은 많은 노동력과 시간을 낭비하는 단점이 있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7-0001634호는 과일이나 열매의 낙하방지 기능이 있는 그물망과 그의 고정 장치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3072호는 견과류 수확물 포집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발명들은 그물망의 설치가 용이하고 자동으로 과실의 선별이 가능한 기술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나무 주위로 천 형태의 포집유닛의 설치가 용이하고 과실의 선별이 용이한 과실 수집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과실 수집 장치는 롤러를 통해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형성되고 과실을 포집하는 포집유닛을 포함하는 포집부 및 상기 포집유닛의 권출방향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상기 포집유닛에 포집된 과실이 모이는 수집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집유닛의 테두리에 인접한 부분은 절개선을 통해 복수개의 부분들로 분리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롤러의 하부에는 상기 포집유닛을 따라 공급되는 잎과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송풍부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롤러의 일단에 권취되도록 형성되는 제1포집유닛 및 상기 롤러의 타단에 권취되도록 형성되는 제2포집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부는 상기 롤러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 상기 롤러에 일단이 권취되고 권취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절개선이 형성되는 포집유닛 및 상기 포집유닛의 절개선 부분에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장착되어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집부는 상기 포집유닛의 가장자리에 간격을 두고 고정유닛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유닛장착공에는 지면에 포집유닛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유닛이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고정유닛은 높이를 두고 포집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송풍부는 상기 롤러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고, 외면에 간격을 두고 통공이 형성되는 타공관 및 상기 타공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과실 수집 장치는 그물을 과실 나무의 주위로 권출시키고 나무에서 낙하하는 과실을 효과적으로 수집이 가능하며, 그물을 권취시키면서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과실을 수집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과실 수집 장치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권취 또는 권출되는 그물을 통해 편리한 자세로 과실의 수집이 가능하고, 수집된 과실의 선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과실 수집 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2 내지 4들은 도 1의 과실 수집 장치의 사시도들.
도 5는 도 2의 I-I'를 따라 과실 수집 장치를 절단한 단면도.
도 6은 도 2의 'A'의 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들.
도 7 및 8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과실 수집 장치의 사시도.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실 수집 장치의 사시도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과실 수집 장치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과실 수집 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4들은 도 1의 과실 수집 장치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2의 I-I'를 따라 과실 수집 장치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5들을 참조하면, 과실 수집 장치(100)는 포집부(200), 수집부(300), 송풍부(400) 및 배터리(500)들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대추와 같은 과실을 포함하는 과실은 나무에서 과실을 수확할 경우에, 그물을 준비하고, 나무에 진동을 가해서 나무에 열린 과실들을 낙하시킨다.
그러나 넓은 토지에 심어진 과실 나무들 주위에 그물망을 설치하고, 과실을 수확한 뒤에 그물망에 놓여진 과실들을 수확하여 수납용기에 수납시키는 과정은 많은 노동력과 시간을 낭비하는 단점이 있다.
과실 수집 장치(100)는 그물을 과실 나무의 주위로 권출시키고 나무에서 낙하하는 과실을 효과적으로 수집이 가능하며, 그물을 권취시키면서 효과적이고 편리하게 과실을 수집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과실 수집 장치(100)는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권취 또는 권출되는 그물을 통해 편리한 자세로 과실의 수집이 가능하고, 수집된 과실의 선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포집부(200)는 모터(210), 롤러(220), 제1포집유닛(230), 제1손잡이(235), 제2포집유닛(240), 제2손잡이(245), 지지대(250, 260)들, 휠(255, 265)들, 제1자석(237) 및 제2자석(247)들을 포함한다.
포집부(200)는 롤러를 통해 후방에 해당하는 제1방향(1)을 향해 포집용 천을 권출시키거나 제1방향(1)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2)을 향해 상기 포집용 천을 권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포집용 천은 절개선을 통해 복수개의 부분들로 분할되어 나무(10) 주위를 둘러싼다.
포집부(200)는 수집부(300)에 의해 지면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사용자는 서있는 상태에서 상기 포집용 천을 권출시켜 상기 포집용 천으로 나무(10)의 주위를 둘러쌀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210)는 수집부(300)의 제1방향(1)쪽에서 수집부(300)의 일측에 결합되고, 모터(210)의 구동축의 회전 방향에 따라 롤러(220)의 회동방향이 변경된다.
롤러(220)의 일단은 모터(210)의 구동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원기둥 형태로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수집부(300)와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제1포집유닛(230)의 일단은 사각 포집용천 형태로 형성되고, 롤러(220)의 일단에 결합되어 롤러(220)에 권취되며, 타단은 소정의 거리만큼 제1방향(1)을 향해 연장되어 롤러(220)에 권취되거나 롤러(220)에서 권출된다.
제1포집유닛(230)은 롤러(220)의 일단 상부에서 제1방향(1)을 향해 권출되도록 롤러(220)에 권취되고, 수확되는 과실의 종류에 따라 제1포집유닛(230)은 포집용 천이 아닌 고분자 또는 천연소재로 제작되는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손잡이(235)의 일단은 스틱형태로 형성되어 상단부가 수집부(300)의 일측 방향에 해당하는 제1포집유닛(230)의 타단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1포집유닛(23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따라서, 제1손잡이(235)가 제1포집유닛(230)과 결합된 상태에서 제1손잡이(235)의 하단부는 제1포집유닛(230)의 저면보다 상대적으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으로 제1손잡이(235)의 파지가 용이하다.
제2포집유닛(240)의 일단은 사각 포집용 천 형태로 형성되고, 제1포집유닛(230)의 타측에 해당하는 롤러(220)의 타단에 결합되어 롤러(220)에 권취되며, 타단은 소정의 거리만큼 제1방향(1)을 향해 연장되어 롤러(220)에 권취되거나 롤러(220)에서 권출된다.
제2포집유닛(240)은 롤러(220)의 타단 상부에서 제1방향(1)을 향해 권출되도록 롤러(220)에 권취되고, 수확되는 과실의 종류에 따라 제2포집유닛(240)은 포집용 천이 아닌 고분자 또는 천연소재로 제작되는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손잡이(245)의 일단은 스틱형태로 형성되어 상단부가 제1손잡이(235)의 타단에 인접한 제2포집유닛(240)의 타단 일측에 결합되고, 제2포집유닛(240)의 타단은 일단에서 제2포집유닛(240)의 타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따라서, 제2손잡이(245)가 제2포집유닛(240)과 결합된 상태에서 제2손잡이(245)의 하단부는 제2포집유닛(240)의 저면보다 상대적으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어 사용자의 손으로 파지가 용이하다.
지지대(250)의 일단은 스틱 형태로 형성되어 제1손잡이(235)의 일단에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1손잡이(235)와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지지대(250)의 일단은 일정한 각도만큼 회동하면 회동된 상태로 제1손잡이(235)에 고정되는 관절식 회동장치를 통해 제1손잡이(235)와 결합될 수 있고, 이 경우 타단은 일단을 축으로 상부를 향해 회동하여 지지대(250)의 타단은 제1손잡이(235)의 제1방향(1)쪽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휠(255)은 지지대(250)의 타단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에서 지지대(250)의 타단에 지지대(25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레버를 통해 휠(255)의 회동이 제한되거나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지지대(260)의 일단은 스틱 형태로 형성되어 제2손잡이(245)의 타단에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제2손잡이(245)와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지지대(260)의 일단은 일정한 각도만큼 회동하면 회동된 상태로 제2손잡이(245)에 고정되는 관절식 회동장치를 통해 제2손잡이(245)와 결합될 수 있고, 이 경우 타단은 일단을 축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회동하여 지지대(260)의 타단은 제2손잡이(245)의 제1방향(1)쪽에 배치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휠(265)은 지지대(260)의 타단이 지면을 향하는 상태에서 지지대(260)의 타단에 지지대(260)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레버를 통해 휠(265)의 회동이 제한되거나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제1자석(237)들 각각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된 스틱 형태의 자석으로 형성되고, 제1포집유닛(230)의 타측에서 제1포집유닛(230)의 연장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제1포집유닛(230)에 결합된다.
제2자석(247)들 각각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된 스틱 형태의 자석으로 형성되고, 제2포집유닛(240)의 일측에서 제2포집유닛(240)의 연장방향을 따라 제1자석(237)들이 서로 이격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제2포집유닛(240)에 결합된다.
제1 및 제2 자석(237, 247)들 각각은 제1 및 제2 손잡이(235, 245)들이 서로 단차없이 연결되는 경우, 서로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서로 자성 결합되고,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 각각은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에 의해 나무(10) 주위를 둘러싼 상태로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 각각은 롤러(220)에서 권출되어 나무(10)의 일측 및 타측 각각을 지나 제1방향(1)을 향해 이동하면, 제1 및 제2 자석(237, 247)들 각각이 서로 자성으로 부착되고,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 각각은 나무(10) 주위의 공간을 둘러싼다.
또한,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이 서로 부착된 상태에서 지지대(250, 260)들 각각의 타단을 하강시켜 휠(255, 265)들을 지면에 밀착시키면, 과실(12)이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에 낙하하는 상황에서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 각각의 타단은 지지대(250, 260)들 및 휠(255, 265)들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한편, 지지대(250, 260)들 각각의 타단은 휠(255, 265)들 각각 대신에 지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폴들 각각과 결합되어 권출된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 각각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의 가장자리에 간격을 두고 고정유닛장착공들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정유닛장착공에는 지면에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 각각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폴을 포함하는 고정유닛이 선택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고정유닛은 높이를 두고 포집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자석(237, 247)들 각각은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 각각과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으로 낙하하는 과실의 하중에 따라 제1 및 제2 자석(237, 247)들의 숫자를 조절하여 안정적으로 과실을 수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실의 하중에 높은 경우, 나무(10)를 둘러싸는 부분을 제외한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이 서로 밀착되는 위치에 상대적으로 많은 숫자의 제1 및 제2 자석(237, 247)들을 부착시켜 안정적으로 과실을 지지할 수 있다.
반대로, 과실의 하중이 낮은 경우, 나무(10)를 둘러싸는 부분을 제외한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이 서로 밀착되는 위치에 상대적으로 적은 숫자의 제1 및 제2 자석(237, 247)들을 부착시켜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과실을 지지할 수 있다.
수집부(300)는 테이블(310), 지지대(320)들, 휠(330)들, 차단판(340), 선별장치(350), 트랙판(360) 및 수납용기(370)들을 포함한다.
수집부(300)는 테이블 형태로 형성되고, 포집부(200)의 제2방향(2)쪽에 배치되어 포집부(200)와 결합되며, 포집부(200)에서 수확되는 과실(12)들이 수거되면 자동으로 사이즈별로 과실(12)들을 분류하고 수납한다.
테이블(310)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1방향(1)쪽 일부는 모터(210)의 저면과 결합되며, 타단은 일단에서 롤러(220)의 연장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강하면서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지지대(320)들 각각의 일단은 스틱형태로 형성되어 테이블(310)의 코너들 각각의 저면에 결합되고,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하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휠(330)들 각각과 결합된다.
휠(330)들 각각은 상부 또는 하부를 향해 연장되는 축을 기준으로 지지대(320)들 각각의 타단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휠(330)들 각각에 형성되는 레버를 누르면 휠(330)들 각각의 회동이 제한된다.
차단판(340)은 상대적으로 넓은 표면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되고 테이블(310)의 제2방향(2)쪽에 결합되어 과실(12)들이 테이블(310)을 지나 제2방향(2)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선별장치(350)는 과실(12)들을 크기별로 분류하는 일반적인 과실선별장치로서, 테이블(310)을 따라 테이블(310)의 타단을 향해 이동하는 과실(12)들이 유입되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과실(12)들을 크기별로 순차적으로 배치시키고, 크기별로 배치된 과실(12)들 각각을 하부를 향해 낙하시킨다.
도 2를 참조하면, 트랙판(360)의 일단은 플레이트의 상부에 돌출된 돌출부들이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서로 이격되는 형태로 배치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테이블(310)의 일단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하강 연장된다.
구체적으로, 트랙판(360)은 가이드판(361) 및 가이드(362)들을 포함한다.
가이드판(361)의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선별장치(350)의 하부에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테이블(310)의 일단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수납용기(370)의 상부에 배치된다.
가이드(362)들 각각의 일단은 스틱 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판(361)의 일단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타단은 가이드판(361)의 표면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가이드(362)들 각각의 일단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선별장치(350)에서 선별되어 하강하는 과실(12)들 각각의 직경 이상의 크기로 형성되고, 선별장치(350)에서 낙하하는 과실(12)들은 가이드(362)들 사이에 낙하하여 가이드판(361)을 따라 수납용기(370)로 이동한다.
수납용기(370)는 내부의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직육면체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납용기(370) 안쪽공간을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따라 분리 배치되는 복수의 공간들로 구획하는 구획판(372)들이 형성된다.
구획판(372)들 각각의 일단은 상하부로 연장된 판형태로 형성되어 가이드(362)들 각각의 타단의 직하방에 각각 배치되고, 구획판(372)들 각각의 타단은 일단에서 테이블(310)의 일단쪽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수납용기(370)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가이드(362)들의 사이에서 선별되어 이동되는 과실(12)들은 수납용기(370)의 안쪽에서 구획판(372)들을 통해 크기별로 자동으로 수납되어 과실(12)의 수확 편의성이 개선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송풍부(400)는 송풍기(410) 및 타공관(420)들을 포함한다.
송풍부(400)는 롤러(220) 및 수집부(300)의 사이에서 롤러(220)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외측에 통공들이 형성되며 끝단에는 송풍장치가 연결되어 롤러(220) 및 수집부(300) 사이에서 낙하하는 과실(12)들에서 이물질을 제거한다.
구체적으로, 송풍기(410)는 모터(210)의 제2방향(2)쪽에 배치되어 테이블(310)의 일단 상부에 결합되고, 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구는 롤러(220) 및 테이블(310) 사이에 배치되는 타공관(420)의 일단과 연결된다.
타공관(420)의 일단은 외측에 제2방향(2) 및 상부를 향해 복수의 통공(422)들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관 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원통형태를 유지하면서 테이블(310)의 타단쪽 방향을 향해 테이블(310)의 타단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송풍기(410)의 작동으로 상기 배출구에서 타공관(420)의 내부를 향해 가스가 이동하면, 강한 압력에 의해 이동하는 가스는 통공(422)들을 통해 롤러(220)의 전방에서 테이블(310)을 향해 낙하하는 과실(12)들을 향해 이동한다.
과실(12)을 향해 이동하는 가스는 과실(12)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과 과실(12)들과 함께 포집부(200)에 포집된 이물질들을 테이블(310)의 제2방향(2)을 향해 이동시켜 과실(12)을 세척한다.
배터리(50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어 테이블(310)의 일단 상부에 결합되고, 모터(210), 송풍기(410) 및 선별장치(350)들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모터(210), 송풍기(410) 및 선별장치(350)들 각각에 전원을 공급한다.
도 6은 도 2의 'A'의 내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별장치(350)는 선별모터(351), 샤프트(352), 풀리(353), 선별스프링(354), 샤프트(355), 풀리(356), 롤러샤프트(357) 및 선별롤러(358)들을 포함한다.
선별모터(351)의 구동축은 샤프트(352)와 연결되어 샤프트(352)를 둘러싸면서 샤프트(352)와 결합되는 풀리(353)들을 회전시키고, 풀리(353)들에 권취된 선별스프링(354)들은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샤프트(355)를 둘러싸는 풀리(356)에 권취된다.
풀리(353, 356)들 각각은 서로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풀리(353, 356)들 각각은 샤프트(352, 355)들 각각과 결합되어 베어링을 통해 선별장치(350)의 내측면에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풀리(353)들 각각의 사이의 거리는 풀리(356)들 각각의 사이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긴 거리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풀리(356, 353)들에 각각 권취되는 선별스프링(254)들 각각의 사이의 거리는 풀리(353)들에 인접할수록 길어진다.
롤러샤프트(357)에 결합되는 선별롤러(358)들은 선별스프링(354)들 각각과 밀착되어 선별스프링(354)의 위치가 틀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풀리(356)와 인접한 위치에서 선별스프링(354)들 사이로 하강하는 음식들은 선별모터(351)의 정회전에 의해 선별스프링(354)들을 따라 풀리(353)를 향해 이동하고, 과실(12)들은 크기별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하강한다.
도 7 및 8들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에 따른 과실 수집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과실 수집 장치(120)는 송풍부(700) 및 가이드부(900)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6들의 과실 수집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과실 수집 장치(120)는 송풍기(710), 제1타공관(720), 제2타공관(730), 로드셀(740, 750)들 및 연결판(760)들을 포함한다.
과실 수집 장치(120)는 좁은 도로를 사이에 두고 양쪽으로 복수의 나무(10)들이 배치된 경우, 단일의 포집부(200)가 포집용 천을 권출시키는 방향쪽의 나무(10)들의 과실(12)만 수확이 가능한 단점을 개선한다.
구체적으로, 송풍기(710)는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가능한 팬이 형성되며, 송풍기(710)의 일측면 제1 및 제2 방향(1, 2)들 각각에 해당하는 위치에는 테이블(310)의 타단을 향해 돌출된 가스배출구들이 형성된다.
제1타공관(720)의 일단은 테이블(310)의 제1방향(1)쪽 상부에서 외측에 통공들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스배출구에 결합되고, 타단은 테이블(310)의 타단 방향을 향해 테이블(310)의 타단까지 연장된다.
제2타공관(730)의 일단은 테이블(310)의 제2방향(2)쪽 상부에서 외측에 통공들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스배출구에 결합되고, 타단은 테이블(310)의 타단 방향을 향해 테이블(310)의 타단까지 연장된다.
상기 제1 및 제2 타공관(720, 730)들은 송풍기(710) 내부에 형성된 팬을 사이에 두고 서로 연결되도록 송풍기(710)에 결합되고, 상기 팬은 회전 방향에 따라 제1타공관(720)에 가스를 이동시키거나 제2타공관(730)에 가스를 이동시킨다.
로드셀(740, 750)들 각각은 테이블(310)의 일단 상부에서 송풍기(710)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에 각각 형성되고, 로드셀(740, 750)들 각각의 높이는 송풍기(710)의 높이와 동일하여 로드셀(740, 750)들 각각의 상부면은 송풍기(710)의 상부면과 단차없이 연결된다.
로드셀(740)의 상부에는 모터(210)가 배치되고, 로드셀(740)은 제1포집유닛(230)에 수거된 과실(12)들이 제1포집유닛(230)과 함께 롤러(220)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모터(210)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롤러(220), 제1포집유닛(230) 및 과실(12)들의 중량 증가를 감지한다.
송풍기(710)는 로드셀(740)이 과실(12)들의 테이블(310)을 향한 이동과정에서 롤러(220)에 가해지는 중량의 증가를 감지하면 자동으로 팬을 정회전시켜 구동을 시작함과 동시에 점진적으로 출력을 증가하여 제1타공관(720)에서 가스를 배출시키는 압력을 증가시킨다.
제1타공관(720)에서 가스를 배출하여 이물질을 제2방향(2)을 향해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팬의 정회전으로 인해 제2타공관(730)은 통공들을 통해 외부의 가스를 흡입하므로, 이물질들은 제2타공관(730)의 흡입력에 의해 제2방향(2)을 향해 이동하려는 관성이 증가하여 효과적으로 이물질이 제거된다.
따라서, 송풍기(710)는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이 롤러(220)에 권취되면서 증가하는 중량에 비례하여 가스를 배출하는 압력을 증가시키므로, 과실(12)의 양에 따라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포집부(200)는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이 롤러(220)에 권취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로드셀(740)에서부터 송풍기(710)의 상부를 지나 로드셀(750)의 상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로드셀(740, 750)들 각각의 제1 및 제2 방향(1, 2)쪽에는 테이블(310)의 측면에서 제1 및 제2 방향(1, 2)으로 연장된 후 상부를 향해 절곡되어 포집부(200)가 테이블(310)의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판들이 형성된다.
포집부(200)는 테이블(310)의 제2방향(2)쪽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제1 또는 제2 포집유닛(230, 240)들 중 어느 하나를 권출시켜 과실(12)을 수확하거나 과실(12)을 건조시킬 수 있다.
로드셀(750)의 상부에는 모터(210)가 배치되고, 제1 또는 제2 포집유닛(230, 240)에 수거된 과실(12)들이 제1 또는 제2 포집유닛(230, 240)과 함께 롤러(220)에 권취되는 과정에서 모터(210)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롤러(220), 제1포집유닛(230), 제2포집유닛(240) 및 과실(12)들의 중량 증가를 감지한다.
송풍기(710)는 로드셀(750)이 과실(12)들의 테이블(310)을 향한 이동과정에서 롤러(220)에 가해지는 중량의 증가를 감지하면 팬을 역회전시켜 자동으로 구동을 시작함과 동시에 점진적으로 출력을 증가하여 제2타공관(730)으로 가스를 배출시키는 압력을 증가시킨다.
제2타공관(730)에서 가스를 배출하여 이물질을 제1방향(1)을 향해 이동시키는 동안, 상기 팬의 역회전으로 인해 제1타공관(720)은 통공들을 통해 외부의 가스를 흡입하므로, 이물질들은 제1타공관(720)의 흡입력에 의해 제1방향(1)을 향해 이동하려는 관성이 증가하여 효과적으로 이물질이 제거된다.
따라서, 송풍기(710)는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이 롤러(220)에 권취되면서 증가하는 중량에 비례하여 가스를 배출하는 압력을 증가시키므로, 과실(12)의 양에 따라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연결판(760)의 일단은 제1타공관(720)의 타단 상부에 플레이트 형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제2방향(2)을 향해 연장되어 제2타공관(730)의 타단 상부에 결합된다.
연결판(760)은 포집부(200)가 테이블(310)의 상부에서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지지한다.
가이드부(900)는 지지대(910, 920)들 및 가이드롤러(930)들을 포함한다.
가이드부(900)의 일단은 테이블(310)의 제2방향(2)쪽 일단에 연결되어 상부를 향해 스틱 형태로 연장되고, 중앙부는 일단에서 테이블(310)의 타단을 향해 연장되며, 타단은 중앙부에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테이블(310)의 타단에 결합된다.
가이드부(900)의 중앙부는 포집부(200)가 테이블(310)의 제2방향(2)쪽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또는 제2 포집유닛(230, 240)중 어느 하나가 권취되어 제2방향을 향해 이동하도록 롤러형태로 형성된다.
가이드부(900)의 중앙부는 로드셀(750)의 제1방향(1)쪽 상부에 형성되고, 가이드부(900)의 일단 및 타단 사이에는 포집부(200)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은 롤러(220)에서 상부 및 제1방향(1)을 향해 권출되어 가이드부(900)의 중앙부 제1방향(1)쪽에 권취된 후 가이드부(900)의 중앙부 후방을 향해 권출되어 나무(10)의 양측을 둘러싼다.
따라서,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에 의해 수거된 과실(12)들은 가이드부(900)에 의해 롤러(220)의 방해없이 테이블(310)의 상부를 향해 낙하가 가능하고, 과실(12)들이 테이블(310)을 향해 낙하할 수 있는 높이를 제공하여 제2타공관(730)에서 배출되는 가스에 의한 이물질 제거효과가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지지대(910)의 일단은 테이블(310)의 제2방향(2)쪽 일단에 스틱형태로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모터(210) 및 롤러(220)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까지 연장된다.
가이드롤러(930)의 일단은 지지대(910)의 타단에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연장된 축을 기준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테이블(310)의 타단까지 연장된다.
지지대(920)의 일단은 스틱형태로 테이블(310)의 제2방향(2)쪽 타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가이드롤러(930)의 타단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도 9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과실 수집 장치의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과실 수집 장치(140)는 포집부(940)의 돌출부(945)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6들의 과실 수집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실 수집 장치(140)는 포집부(940)를 포함하고, 포집부(940)는 돌출부(945)들을 포함한다.
돌출부(945)는 일측 또는 타측을 향해 길게 연장된 스틱 형태로 형성되고,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 각각의 상부에 서로 소정의 거리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945)들 각각은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의 상부면 전체에 걸쳐서 서로 이격된 상태로 랜덤하게 배치되고, 과실(12)들이 제1포집유닛(230)의 상부에 낙하하면 돌출부(945)들은 과실(12)들이 제1방향(1)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차단한다.
따라서, 제1 또는 제2 포집유닛(230, 240)들 각각이 제2방향(2)을 향해 이동하여 롤러(220)에 의해 권취되는 상태에서 과실(12)들이 제1방향(1)을 향해 이동하여 낙과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과실 수집 장치(160)는 포집부(950)의 제1 및 제2 자석(952, 954)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6들의 과실 수집 장치(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b)를 참조하면, 과실 수집 장치(160)는 포집부(950)를 포함하고, 포집부(950)는 제1 및 제2 자석(952, 954)들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자석(952, 954)들 각각은 제1 또는 제2 방향(1, 2)을 향해 길게 연장된 벤딩이 가능한 자석 형태로 형성되고, 각각이 제1포집유닛(230)의 타측 및 제2포집유닛(240)의 일측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나무(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밀착되는 제1 및 제2 자석(952, 954)들 각각의 일부분은 나무(10) 주위를 둘러싸고, 나머지 부분은 나무(10)와 인접한 위치에서 서로 밀착되므로, 나무(10)와 제1 및 제2 포집유닛(230, 240)들이 서로 유격없이 밀착되는 장점이 있다.
한편, 과실 수집 장치(100, 120, 140, 160)들 각각에 형성되는 롤러(220)는 서로 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2개의 롤러들이 서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고, 과실(12)들의 수확을 마친 후에는 수집부(300)에서 롤러(220)를 분리한 후 폴딩하여 수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롤러들 각각의 일단은 십자베어링들 각각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십자베어링들 각각의 사이에는 상기 십자베어링들 각각과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로드가 배치된다.
상기 롤러들 각각은 상기 십자베어링들 각각을 기준으로 회동하여 상기 롤러들 각각의 측면이 서로 밀착되도록 폴딩이 가능하다.
상기 롤러들 각각이 펼쳐진 후에는 상기 롤러들 각각은 서로를 향해 이동하여 상기 십자베어링들 및 로드들을 둘러싸고, 상기 롤러들은 서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롤러들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롤러들을 펼쳐서 수집부(300)에 부착시키고, 상기 롤러들의 사용이 종료되면 상기 롤러들을 수집부(300)에서 탈착시킨 후 폴딩시켜 편리하게 운반이 가능하다.
한편, 과실 수집 장치(100, 120, 140, 160)들 각각에 형성되는 테이블(310)은 2개의 제1 및 제2 테이블들로 분리한 후 2개 중 하나의 제1 테이블이 나머지 제2테이블에 삽입되면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테이블(310)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제1 및 제2 테이블들을 펼쳐서 사용이 가능하고, 테이블(310)의 사용이 종료되는 경우, 상기 제1 테이블을 상기 제2테이블의 내부에 삽입시켜 편리하게 수집부(300)의 이송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140, 160: 과실 수집 장치 200, 940, 950: 포집부
300: 수집부 400: 송풍부
500: 배터리

Claims (6)

  1. 롤러의 일단 및 타단에 각각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형성되고 과실을 포집하는 제1 및 제2 포집유닛들을 포함하는 포집부;
    상기 제1 및 제2 포집유닛의 권출방향의 반대쪽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포집유닛에 포집된 과실이 모이는 수집부; 및
    상기 롤러의 하부에는 상기 제1 및 제2 포집유닛을 따라 공급되는 잎과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송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포집유닛들은 절개선을 통해 분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포집부는,
    상기 롤러에 회전력을 공급하는 모터;
    상기 절개선 부분에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1 및 제2 포집유닛들에 장착되어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되는 자석들; 및
    상기 제1 및 제2 포집유닛들 각각의 상부에 서로 소정의 거리를 사이에 두고 이격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포집유닛들에 결합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며,
    상기 송풍부는,
    상기 롤러의 하부에 길이 방향으로 장착되고, 외면에 간격을 두고 통공이 형성되는 타공관 및 상기 타공관에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집부는,
    일단은 상기 모터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기 롤러의 연장방향과 수평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강하며 연장되는 테이블;
    일단은 상기 테이블의 타단 하부에 형성되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기 테이블의 일단 및 하부를 향해 경사지게 연장되는 트랙판; 및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트랙판의 타단 하부에 배치되는 수납용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수집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부는,
    상기 포집유닛의 가장자리에 간격을 두고 고정유닛장착공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유닛장착공에는 지면에 포집유닛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유닛이 선택적으로 장착되고, 상기 고정유닛은 높이를 두고 포집유닛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 수집 장치.
  6. 삭제
KR1020190165939A 2019-12-12 2019-12-12 과실 수집 장치 KR1023504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939A KR102350414B1 (ko) 2019-12-12 2019-12-12 과실 수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939A KR102350414B1 (ko) 2019-12-12 2019-12-12 과실 수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841A KR20210074841A (ko) 2021-06-22
KR102350414B1 true KR102350414B1 (ko) 2022-01-13

Family

ID=76600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939A KR102350414B1 (ko) 2019-12-12 2019-12-12 과실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4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51147B (zh) * 2022-01-27 2023-05-30 浙江小远机器人有限公司 一种自动采摘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9006A1 (en) * 2002-06-26 2005-05-26 Dotan Ltd. Mechanical collection of harvested tree-fruit
US20160270293A1 (en) * 2013-11-20 2016-09-22 PELLENC (Société Anonyme) Method and device for deploying and retracting a tarpaulin for collecting small fruit, and harvesting machines using same
CN107321617A (zh) 2017-06-28 2017-11-07 彭英通 一种吊干枣收获辅助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R1006485B (el) * 2008-05-13 2009-07-21 Γεωργιος Σπυριδωνος Γεωργουλης Μηχανημα συλλογης ελιας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09006A1 (en) * 2002-06-26 2005-05-26 Dotan Ltd. Mechanical collection of harvested tree-fruit
US20160270293A1 (en) * 2013-11-20 2016-09-22 PELLENC (Société Anonyme) Method and device for deploying and retracting a tarpaulin for collecting small fruit, and harvesting machines using same
CN107321617A (zh) 2017-06-28 2017-11-07 彭英通 一种吊干枣收获辅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841A (ko)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74892B2 (en) Handheld cleaning appliance
US5031277A (en) Debris collecting and bagging apparatus
KR102350414B1 (ko) 과실 수집 장치
US20090020441A1 (en) Collecting apparatus with seat
WO2008009890A1 (en) Handheld cleaning appliance
CN103430699B (zh) 一种红花花丝采摘机
CN105964644B (zh) 一种背负式杨絮柳絮吸收装置及方法
KR101312393B1 (ko) 과실 수확기
KR101937058B1 (ko) 셔틀콕 수거 장치
CN111296069A (zh) 一种便携式农产品采摘器
CN214126083U (zh) 一种冬枣采摘装置
CN112617417B (zh) 一种可翻转便于用餐的多功能茶几
US4358170A (en) Group storage tower for storing stacks, groups of elements or pasted battery plates in a dust-free manner
CN207881387U (zh) 进风均匀的果蔬加工用风干装置
CN218705393U (zh) 一种合成革储运货架
AU2020415395A1 (en) Fruit-harvesting machine
CN102161384B (zh) 一种颗粒谷物收储器
CN212698467U (zh) 一种集水式雨伞架装置
CN112219561A (zh) 一种葡萄采摘装置
CN219854537U (zh) 一种电力工具管理用分类存放装置
CN216820989U (zh) 一种厚朴林下黄连的遮阳装置
CN215476819U (zh) 一种竹炭防潮用储存装置
CN219037431U (zh) 一种中药采集晾晒支架
CN216546912U (zh) 一种蔬菜收割捆扎装置
CN108575311A (zh) 自动摘果收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