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723B1 - 제어부들을 외부화하기 위한 부속 커넥터를 갖는 제어기 - Google Patents

제어부들을 외부화하기 위한 부속 커넥터를 갖는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723B1
KR102349723B1 KR1020197008883A KR20197008883A KR102349723B1 KR 102349723 B1 KR102349723 B1 KR 102349723B1 KR 1020197008883 A KR1020197008883 A KR 1020197008883A KR 20197008883 A KR20197008883 A KR 20197008883A KR 102349723 B1 KR102349723 B1 KR 102349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sical
auxiliary
accessory
control sign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8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2075A (ko
Inventor
브라이언 지 러셀
샘 마이클 사마스트
로버트 브라이스 존슨
조나단 시어 로빈슨
앙드레 스탄토
레오 싱
로스 넬슨
크리스토퍼 쿠야프스키
에블린 토마스
크리스틴 에이 헌터
플로 알보르노즈
레이첼 양
크리스토퍼 하몬
그레고리 엠 달리
매튜 에드워드 하이트
Original Assignee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filed Critical 마이크로소프트 테크놀로지 라이센싱,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0420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0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3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for interfacing with the game device, e.g. specific interfaces between game controller and conso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40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 A63F13/42Processing input control signals of video game devices, e.g. signals generated by the player or derived from the environment by mapping the input signals into game commands, e.g. mapping the displacement of a stylus on a touch screen to the steering angle of a virtual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0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3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 A63F13/537Controlling the output signals based on the game progress involving additional visual information provided to the game scene, e.g. by overlay to simulate a head-up display [HUD] or displaying a laser sight in a shooting game using indicators, e.g. showing the condition of a game character on scree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90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video game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F13/20 or A63F13/25, e.g. housing, wiring, connections or cabinets
    • A63F13/98Accessories, i.e. detachable arrangements optional for the use of the video game device, e.g. grip supports of game controll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27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input arrangement with other functional units of a compu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부속 장치는 하우징, 장치 커넥터, 복수의 보조 부속 인터페이스들, 및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를 포함한다. 연결 커넥터는 물리적 제어기의 대응하는 부속 커넥터와 맞물림되어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를 물리적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보조 부속 커넥터는 별도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가 부속 장치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 마이크로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1)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보조 부속 커넥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2) 입력 제어 신호를 물리적 제어기의 물리적 제어부에 대응하는 맵핑된 제어 신호에 맵핑시키며, (3) 상기 맵핑된 제어 신호를 상기 장치 커넥터를 통해 상기 물리적 제어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제어부들을 외부화하기 위한 부속 커넥터를 갖는 제어기
본 발명은 제어부들을 외부화하기 위한 부속 커넥터를 갖는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물리적 제어기(controller)는 비디오 게임에서의 물체 또는 캐릭터와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거나, 또는 일부 다른 형태의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물리적 제어기는 상이한 유형의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물리적으로 조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물리적 제어부(control)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물리적 제어부의 비제한적인 예시들은 푸시 버튼, 트리거, 터치 패드, 조이스틱, 패들, 범퍼, 및 방향 패드를 포함한다. 다양한 물리적 제어부는 물리적으로 조작될 수 있으며, 물리적 제어기는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제어를 실시하기 위해 그러한 물리적 조작에 기초하여 컴퓨팅 디바이스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요약은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개념들의 선택을 단순한 형태로 소개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본 요약은 청구된 발명내용의 중요한 특징들 또는 필수적인 특징들을 확인시키려는 의도는 없으며, 또한 청구된 발명내용의 범위를 제한시키려는 의도도 없다. 뿐만 아니라, 청구된 발명내용은 본 발명개시의 임의의 부분에서 언급된 단점들 모두 또는 그 일부를 해결하는 구현예들로 국한되지 않는다.
부속(accessory) 장치는 하우징, 장치 커넥터, 복수의 보조(auxiliary) 부속 인터페이스, 및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를 포함한다. 연결 커넥터는 물리적 제어기의 대응하는 부속 커넥터와 맞물림되어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를 물리적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보조 부속 커넥터는 별도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가 부속 장치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 마이크로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1)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보조 부속 커넥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2) 입력 제어 신호를 물리적 제어기의 물리적 제어부에 대응하는 맵핑된 제어 신호에 맵핑시키며, (3) 맵핑된 제어 신호를 장치 커넥터를 통해 물리적 제어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예시적인 물리적 제어기의 상방부(upward-facing portion)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물리적 제어기의 후방부(rearward-facing portion)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물리적 제어기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예시적인 부속 장치의 후방부를 도시한 등각투상도이다.
도 4는 부속 장치가 도 2의 물리적 제어기의 후방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커넥터를 전방부(forward-facing portion) 상에 갖는, 도 3의 부속 장치의 등각투상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의 부속 장치가 물리적 제어기의 후방부에 부착되어 있는 도 1의 물리적 제어기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3의 부속 장치가 물리적 제어기에 부착되어 있고 복수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이 부속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도 1의 물리적 제어기의 상방부를 도시한다.
도 7은 물리적 제어부들 및/또는 물리적 제어기와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의 다른 기능들 간의 제어 맵핑들의 시각적 표시자들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부속 장치를 도시한다.
도 8은 물리적 제어기의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을 표시하는 온/오프 표시자들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부속 장치를 도시한다.
도 9a와 도 9b는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적(application-specific) 세트를 표시하기 위해 활성화된 상이한 온/오프 표시자들을 갖는 도 8의 부속 장치를 도시한다.
도 9c와 도 9d는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상이한 사용자 특유적(user-specific) 세트를 표시하기 위해 활성화된 상이한 온/오프 표시자들을 갖는 도 8의 부속 장치를 도시한다.
도 10a와 도 10b는 물리적 제어부들의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적 세트에 맵핑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의 세트에 연결된 예시적인 부속 장치를 도시한다.
도 10c와 도 10d는 물리적 제어부들의 상이한 사용자 특유적 세트에 맵핑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의 세트에 연결된 예시적인 부속 장치를 도시한다.
물리적 제어기 또는 다른 사용자 입력 제어 디바이스는 비디오 게임에서 캐릭터 또는 다른 물체를 제어하거나,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일부 다른 형태의 제어를 제공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게임 제어기 또는 다른 물리적 제어기는 "평균" 사용자 손, 예를 들어, 예상되는 사용자 집단에 대한 평균 크기/비율의 손인 것으로 가정되는 것에 맞춰지도록 형상화/크기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물리적으로 조작되도록 구성된 제어부들(예를 들어, 푸시 버튼, 트리거, 조이스틱, 방향 패드)이 포함될 때, 이것들은 일반적으로 "원 사이즈 피츠 올(one size fits all)" 접근법을 사용하여 설계된다. 그러나, 손은 물론 사용자마다 크기와 비율이 다르며, 사용자들은 물리적 제어기를 소지하고 제어부들을 조작할 때 다양한 선호도를 가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는 일시적 또는 영구적 장애로 인해, 평균적인 사용자 집단에 맞게 형상화/크기조정된 물리적 제어기를 소지/작동시키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개시는 상이한 사용자들의 능력/선호도에 기초하여 이러한 사용자들이 원하는 방식으로 물리적 제어기와 상호작용할 수 있게 해주는 맞춤화가능 특징들을 갖는 물리적 제어기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물리적 제어기는 부속 장치를 물리적 제어기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부속 커넥터를 포함한다. 일부 예시에서, 부속 장치는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을 포함한다. 이들 커넥터들은 별도의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예를 들어, 개별 버튼, 조이스틱, 터치 패드, 빨기/불기(sip and puff) 디바이스)이 부속 장치에 연결될 수 있게 한다. 부속 장치가 물리적 제어기에 부착되는 경우, 그리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가 부속 장치의 보조 부속 커넥터에 연결되는 경우, 부속 장치는 중간 변환기로서 동작한다. 특히, 부속 장치는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입력 제어 신호를 물리적 제어기의 물리적 제어부들에 대응하는 맵핑된 제어 신호에 맵핑시킨다. 따라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물리적 제어기의 물리적 제어부들과 동일한 제어 신호를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물리적 제어기의 물리적 제어부들을 조작할 수 없는 사용자가 대안적인 방식으로 (즉, 물리적 제어기 상에 주어진 물리적 제어부를 조작하기 위해 보통 요구되는 것과는 다른 물리적 동작을 통해) 동일한 기능을 획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도 1과 도 2는 게임 제어기(100)의 형태의 예시적인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 또는 물리적 제어기를 도시한다. 게임 제어기(100)는 사용자 입력을 제어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어 신호는 게임 콘솔과 같은 컴퓨팅 디바이스(101)에 제공된다. 게임 제어기(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01)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게임 제어기(100)를 컴퓨팅 디바이스(101)와 통신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10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103)는 컴퓨팅 디바이스(101)와의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03)는 임의의 적절한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Wi-Fi, 블루투스)에 따라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임의의 적절한 통신 하드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비디오 게임 또는 임의의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컴퓨팅 동작들을 수행하기 위한 커맨드에 맵핑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1) 및/또는 게임 제어기(100)는 컴퓨팅 디바이스(101), 게임 제어기(100), 컴퓨팅 디바이스(101)에 의해 실행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게임 제어기(100)/컴퓨팅 디바이스(101)를 제어하는 특정의 식별된 사용자의 설정에 기초하여, 상이한 제어 신호를 상이한 커맨드에 맵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게임 제어기(100)는 제어 신호를 커맨드에 맵핑(또는 재맵핑)시키고 커맨드를 컴퓨팅 디바이스(101)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커맨드에 대한 제어 신호의 맵핑은 국부적으로(예를 들어, 게임 제어기(100)에 온보딩됨) 수행될 수 있다.
게임 제어기(100)는 물리적 조작에 응답하여 상이한 제어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102)를 포함한다. 특히, 물리적 제어부(102)는 복수의 동작 버튼(104)(예를 들어, 104A, 104B, 104C, 104D, 104E, 104F, 104G, 104H, 104I), 복수의 조이스틱(106)(예를 들어, 좌측 조이스틱(106A)과 우측 조이스틱(106B)), 복수의 트리거(108)(예를 들어, 좌측 트리거(108A)와 우측 트리거(108B)), 및 방향 패드(110)를 포함할 수 있다. 게임 제어기(100)는 본 발명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임의의 갯수의 물리적 제어부들, 임의의 유형의 물리적 제어부들, 임의의 갯수의 전자 입력 센서들, 및 임의의 유형의 전자 입력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물리적 제어부(102)는 하나 이상의 프레임(112)에 결합될 수 있다. 프레임(112)은 게임 제어기(100)의 하우징(114)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인쇄 회로 기판(116)이 하나 이상의 프레임(112)에 결합될 수 있다. 단일 인쇄 회로 기판이 도시되어 있지만, 일부 구현예에서는, 두 개 이상의 인쇄 회로 기판이 게임 제어기(100)에서 활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16)은 복수의 전자 입력 센서(118)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전자 입력 센서(118)는 대응하는 물리적 제어부(102)와의 상호작용에 응답하여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입력 센서의 비제한적인 예시들은 돔 스위치, 촉각 스위치, 홀 효과 센서, 전위차계, 및 다른 전자 감지 컴포넌트들을 포함한다. 임의의 적절한 센서가 게임 제어기(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동작 버튼(104) 각각은 대응하는 전자 입력 센서(118)를 활성화하여, (예를 들어, 물리적 조작을 통한) 누름에 응답하여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조이스틱(106)은 디폴트 "중심" 위치와 관련한 조이스틱의 위치에 기초한 이차원 입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이스틱은 아날로그 입력 제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지속적인 전기적 활동을 사용하는 전위차계의 형태의 전자 입력 센서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트리거(108) 각각은 디폴트 위치에 대한 트리거의 위치에 기초하여 가변적인 활성화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리거가 디폴트 위치로부터 더 멀리 당겨질 때, 생성된 제어 신호의 특징은 크기가 증가할 수 있다.
방향 패드(110)는 방향 패드(110)에 터치 힘이 가해지지 않을 때 디폴트 자세로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폴트 자세에서, 방향 패드(110)는 복수의 전자 입력 센서(118) 중 어느 전자 입력 센서도 활성화 신호를 생성케 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방향 패드(110)는 방향 패드(110)에 가해지는 터치 힘에 응답하여 디폴트 자세로부터 선택된 활성화 자세로 움직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선택된 활성화 자세는 상이한 전자 입력 센서와 인터페이싱함으로써 상이한 활성화 신호 또는 활성화 신호들의 조합을 각각 생성하는 복수의 상이한 활성화 자세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대응하는 제어부(102)가 활성화 자세에 있을 때 전자 입력 센서(118)에 의해 생성된 활성화 신호는 디폴트 자세에서 전자 입력 센서(118)에 의해 생성된 신호와는 상이하거나 또는 이러한 신호가 결여된 임의의 신호일 수 있다는 것을 유의한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활성화 신호는 게임 제어기(100)의 공급 전압(예를 들어, VDD)에 대응할 수 있고 디폴트 상태에서 생성된 신호는 상대적 접지(예를 들어, 0)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활성화 신호는 상대적 접지에 대응할 수 있고, 디폴트 상태에서 생성된 신호는 게임 제어기(100)의 공급 전압에 대응할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방향 패드(110)는 상이한 활성화 신호를 생성하는 상이한 전자 입력 센서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해 네 개의 상이한 방향들(예를 들어, 위, 아래, 좌, 우)로 눌려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네 개의 상이한 방향들은 4방향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네 개의 상이한 활성화 신호들을 생성하는 네 개의 상이한 활성화 자세들에 대응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한 번에 두 방향(예를 들어, 위와 왼쪽)으로 방향 패드(110)를 누르는 것에 대응하는 활성화 신호들의 조합은 8방향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네 방향들 사이의 대각선에 대응하는 추가적인 활성화 자세들로서 해석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방향 패드(110)는 네 개 또는 여덟 개와는 상이한 갯수의 방향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향 패드(110)는 두 개 이상의 상이한 방향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4)은 손으로 잡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124)를 포함한다. 특히, 손잡이부(124)는 인간의 손바닥의 윤곽을 따르는 구상형(bulbous) 돌출부와 같이 형상화된다. 손잡이부(124)는 물리적 제어부(102)가 물리적으로 조작될 수 있도록 한 손 또는 양 손으로 게임 제어기(100)를 쥘 수 있게 해준다.
게임 제어기(100)는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102)로부터 활성화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인터페이스(103)를 통해, 활성화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컴퓨팅 디바이스(101)에 송신하여, 컴퓨팅 디바이스(101)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통합형 마이크로제어기(122)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통합형 마이크로제어기(122)는 게임 제어기(100)의 상이한 물리적 제어부로부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컴퓨팅 디바이스(101) 및/또는 게임 제어기(100)의 상이한 동작 조건에 기초하여, 상이한 커맨드 또는 기능에 맵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합형 마이크로제어기(122)는 게임 제어기(100)의 임의의 적절한 제어부를, 임의의 적절한 동작 조건에 기초하여, 임의의 적절한 기능에 맵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임 제어기(100)는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부속 장치(300)와 같은 부속 장치를, 게임 제어기(10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부속 커넥터(120)를 포함한다. 특히, 부속 커넥터(120)는 부속 장치(300)의 대응하는 장치 커넥터(312)와 맞물림되어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은 또한 통합형 마이크로제어기(122)와 부속 장치(300)의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부속 커넥터(120)와 장치 커넥터(312)는 부속 장치(300)가 게임 제어기(100)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집합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속 커넥터(120)는 부속 장치(300)와 게임 제어기(100) 간에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이 가능해지게 하는 전기적 및 기계적 특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부속 커넥터(120)는 게임 제어기(100)가 부속 장치(30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부속 장치(300)가 게임 제어기(100)에 전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부속 커넥터(120)는, 일방향 및/또는 양방향 제어 신호가 게임 제어기(100)와 부속 장치(300) 간을 왕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해주기 위해 장치 커넥터(312)의 상보적 전기도전성 콘택트(들)와 정렬되는 하나 이상의 전기도전성 콘택트를 포함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부속 커넥터(120)는 외부 부속장치와 게임 제어기(100) 간의 양방향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USB(universal serial bus) 리셉터클(receptacle), 소켓, 또는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착탈가능 커넥터가 또한 구상가능하고, 부속 커넥터(120)는 USB 리셉터클 또는 플러그로 결코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부속 커넥터(120)는 부속 장치(300)와 게임 제어기(100)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부속 커넥터(120)는, 부속 장치(300)를 게임 제어기(100)에 부착하도록 부속 장치(300)가 정렬될 수 있는 마운팅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속 커넥터(102)는 부속 장치(300)의 상보적 돌출부(들)와 기계적으로 맞물림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형상화된 하나 이상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및/또는 장치 커넥터(120)는 부속 장치(300)의 상보적 개구부(들)와 기계적으로 맞물림되도록 크기가 정해지고 형상화된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전도성 콘택트는, 포함되는 경우, 부속 커넥터(120)의 오리피스(orifice) 및/또는 연장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부속 커넥터(120)는 상이한 방식으로 게임 제어기(100)의 기능을 확장하기 위해 상이한 기능을 상호교환적으로 갖는 다양한 상이한 부속 장치들과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부속 커넥터(120)는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부속 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체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부속 커넥터(120)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분리하기 위해 게임 제어기(100)의 다양한 물리적 제어부(102)의 기능을 외부화하기 위해 게임 제어기(100)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 부속 장치(300)를 도시한다. 도 3은 부속 장치(300)의 하우징(304)에 수용되고 외부 환경에 노출된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302)를 포함하는 부속 장치(300)의 후방부를 도시한 등각투상도이다. 각각의 보조 부속 커넥터(302)는 별도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306)(예를 들어, 도 6에서 도시된 306A, 306B, 306C)가 부속 장치(300)와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비제한적인 예시는 단일 버튼, 버튼들의 그룹, 조이스틱, 방향 패드, 패들, 트리거 디바이스, 롤러 볼, 빨기/불기 디바이스, 및 시선 추적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부속 장치(300)는 보조 부속 커넥터(302)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우징(304) 내에 포함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를 포함한다. 특히, 이 예시에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하우징(304) 내의 회로 기판(310)에 마운팅되고,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회로 기판(310)을 통해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302)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 커넥터(312)는 또한 회로 기판(310)에 마운팅될 수 있고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부속 장치(300)가 도 2의 물리적 제어기(100)의 후방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해주는 장치 커넥터(312)를 전방부 상에 갖는, 부속 장치(300)의 등각투상도를 도시한다.
특히, 장치 커넥터(312)는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를 게임 제어기(100)의 통합형 마이크로제어기(122)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게임 제어기(100)의 대응하는 부속 커넥터(120)와 맞물림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은 게임 제어기(100)와 부속 장치(300)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장치 커넥터(312)는 하우징(304) 내에 수용되고 외부 환경에 노출되어 그러한 맞물림을 가능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04)은 부속 장치(300)가 비 관입 방식으로 게임 제어기(100)와 결합할 수 있도록 게임 제어기(100)의 폼 팩터와 협력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특히, 하우징(304)은, 부속 장치의 하우징(314)이 손잡이부(124)를 부분적으로 감싸서 부속 장치(300)를 게임 제어기(100)에 부착시키는 것을 돕도록, 게임 장치(100)의 손잡이부(124)의 구상 형상에 대응하는 함몰부(31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와 도 6은 게임 제어기(100)에 부착된 부속 장치(300)를 도시한다. 도 6은 부속 장치(300)에 부착된 복수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306)를 더 도시한다. 부속 장치(300)는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러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제한된/감소된 물리적 능력을 갖는 사용자가 물리적 제어기 상의 물리적 제어부를 제어할 수 없을 때,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사용자는, 임의의 종류의 제한된 능력(동작 범위, 세기, 유연성 등)을 갖기 때문에, 평균 사용자에 맞춰 설계된 물리적 제어기의 물리적 제어부를 물리적으로 조작할 수 없을 수도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조이스틱(306A)은 보조 부속 커넥터(302A)에 연결되고, 제1 "대형 버튼” 디바이스(306B)는 보조 부속 커넥터(302B)에 연결되고, 제2 대형 버튼 디바이스(306C)는 보조 부속 커넥터(302C)에 연결된다. 대형 버튼 디바이스들(306B, 306C)은 물리적 제어기 상의 소형 버튼보다 누르기가 더 쉬운 확대형/특대형 버튼들일 수 있다. 보조 부속 커넥터(302)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구현예에서, 보조 부속 커넥터(302)는 3.5mm 잭으로서 도시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보조 부속 커넥터는 USB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보조 부속 커넥터는 유선 또는 무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부속 인터페이스는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306)가 무선 링크(예를 들어, 블루투스)를 통해 부속 장치(300)와 연결되게 할 수 있다.
부속 장치(300)는 임의의 적절한 갯수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306)에 연결하기 위한 임의의 적절한 갯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3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적절한 갯수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한 번에 외부 부속부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부속 장치는 15개의 상이한 보조 부속 커넥터들을 포함하고, 0개 내지 15개의 보조 입력 디바이스들은 어느 곳에서든지 부속 장치(300)에 언제든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적절한 갯수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306)는 게임 제어기(100)의 임의의 적절한 갯수의 물리적 제어부에 대응할 수 있다.
부속 장치(300)가 게임 제어기(100)에 부착되고, 복수의 보조 입력 디바이스(306)가 부속 장치(300)에 연결될 때,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중개 변환기로서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연결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입력 제어 신호를, 게임 제어기(100)의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102)의 물리적 제어부에 대응하는 맵핑된 제어 신호에 맵핑시키도록 구성된다.
입력 제어 신호 및 맵핑된 제어 신호는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제어 신호는 디폴트 자세에 있을 때,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생성된 신호와는 상이한 임의의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구현예에서, 입력 제어 신호는 지정된 전압(예를 들어, VDD)에 대응할 수 있고, 디폴트 상태에서 생성된 신호는 상대적 접지(예컨대, 0)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입력 제어 신호는 상대적 접지에 대응할 수 있고, 디폴트 상태에서 생성된 신호는 지정된 전압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맵핑된 신호는 게임 제어기(100)의 물리적 제어부(102) 중 임의의 물리적 제어부에 의해 생성된 임의의 활성화 신호에 대응할 수 있다.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임의의 적절한 맵핑 방식에 따라 입력 제어 신호를 맵핑된 제어 신호에 맵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고정된 맵핑 방식에 따라 보조 부속 커넥터(302)를 게임 제어기(100)의 특정 물리적 제어부(102)에 맵핑시키도록 구성된다. 달리 말하면, 특정 보조 부속 커넥터(302)는 특정 물리적 제어부(102)에 항상 맵핑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예시에서, 이러한 맵핑은 커넥터(302)에 플러그된 특정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306)에 무관하고 부속 장치(300)의 다른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302)와 무관한 경우일 것이다.
하나의 예시에서, 각각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306)에 의해 생성된 입력 제어 신호는 게임 제어기(100)의 상이한 물리적 제어부(102)와 연관된 맵핑된 제어 신호에 맵핑될 수 있다. 도시된 예시에서, 조이스틱(306A)은 방향 패드(110)에 맵핑되고, 제1 대형 버튼 디바이스(306B)는 "A" 버튼(104D)에 맵핑되고, 제2 대형 버튼 디바이스(306C)는 "B" 버튼(104E)에 맵핑된다. 다른 예시에서, 두 개의 상이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이 게임 제어기(100)의 동일한 물리적 제어부(102)에 맵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상이한 보조 대형 버튼 디바이스들이 게임 제어기의 동일한 통합된 "A" 버튼에 맵핑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의 활성화는, 변화하는 맵핑된 제어 신호들을 통해, 동일한 통합된 제어의 상이한 기능들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대형 버튼 디바이스는 방향 패드(110)의 "UP" 방향에 맵핑될 수 있고, 제2 대형 버튼 디바이스는 방향 패드(110)의 "DOWN" 방향에 맵핑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동적 맵핑 방식에 기초하여 맵핑된 제어 신호들에 입력 제어 신호들을 맵핑시키도록 구성된다.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상이한 동작 조건들에 기초하여 동적 맵핑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활성 보조 커넥터의 특정 세트에 기초하여 동적 맵핑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보조 부속 커넥터는,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가 보조 부속 커넥터에 플러그될 때, 활성화된 것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보조 입력 디바이스가 보조 부속 커넥터에 플러그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보조 부속 커넥터를 통해 신호 또는 신호 결여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한 일부 예시에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활성 커넥터들에 연결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의 유형을 인식하고, 연결된 디바이스들의 유형에 기초하여 이들 디바이스들을 특정 물리적 제어부에 동적으로 맵핑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조이스틱, 트리거 디바이스, 또는 빨기/불기 디바이스와 같은 아날로그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가 복수의 대형 버튼 디바이스들과 함께 연결되면,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보조 아날로그 디바이스를 게임 제어기의 트리거 또는 조이스틱과 같은 대응하는 물리적 제어부에 맵핑시킬 수 있다. 또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대형 버튼 디바이스를 A, B, X, 또는 Y 버튼과 같은, 게임 제어기의 대응하는 2진 물리적 제어부에 맵핑시킬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대형 버튼 디바이스들만이 연결된 경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대형 버튼 디바이스들 중 일부를 상이한 방향성 물리적 제어부(예를 들어, 방향 패드의 위, 아래, 좌, 우)에 맵핑시키고, 대형 버튼 디바이스들 중 일부를 게임 제어기의 2진 물리적 제어부에 맵핑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게임 제어기(100)와 통신하는 컴퓨팅 디바이스(101)에 의해 실행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동적 맵핑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애플리케이션 특유적 동적 맵핑의 비제한적인 예시가 도 10a와 도 10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게임 제어기(100)와 상호작용하는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동적 맵핑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 특유적 동적 맵핑의 비제한적인 예시가 도 10c와 도 10d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된다.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임의의 적절한 맵핑 방식에 따라 입력 제어를 맵핑된 제어 신호에 맵핑시킬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적 맵핑 방식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보조 부속 커넥터를 통해, 커넥터에 플러그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셋업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또한, 셋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된 입력 제어 신호들을 맵핑시키도록 구성된다.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셋업 제어 신호는 맵핑을 수행하기 위해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에 의해 사용될 수 있는 상이한 맵핑 특징을 정의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셋업 제어 신호는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가 맵핑되는 물리적 제어부(들)을 정의한다. 하나의 예시의 시나리오에서, 셋업 제어 신호는 방향 패드의 상이한 방향들(위, 아래, 좌, 우)에 대응하는 네 개의 제어부들이 두 개의 단일 축 조이스틱들에 연결된 두 개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에 맵핑되도록 지정한다. 이 예시에서, 각각의 조이스틱은 방향 패드의 두 방향에 맵핑된다. 다른 예시에서, 제어 신호는 방향 패드의 상이한 방향들에 대응하는 네 개의 제어부들이 네 개의 상이한 대형 버튼 디바이스들에 맵핑되도록 지정한다.
다른 예시에서, 셋업 제어 신호는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활성화/디폴트 신호를 지정한다. 예를 들어, 대형 버튼 디바이스와 같은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누름해제 디폴트 자세 또는 누름 디폴트 자세에서 동작될 수 있으며, 셋업 제어 신호는 어떤 디폴트 자세가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에 의해 맵핑 목적으로 사용될 것인지를 나타낼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보조 조이스틱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반전 축을 갖고 동작될 수 있고(예를 들어, 조이스틱을 위로 움직이는 것은 조이스틱을 아래로 움직이는 것이라고 해석되고, 조이스틱을 왼쪽으로 움직이는 것은 조이스틱을 오른쪽으로 움직이는 것이라고 해석되며,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셋업 제어 신호는 맵핑 목적으로 조이스틱의 어느 축이 반전되었는지를 나타낼 수 있다. 셋업 제어 신호는 조이스틱의 임의의 물리적 축을 임의의 논리적 축에 맵핑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조이스틱을 위/아래로 움직이지 못하고 위/왼쪽 또는 아래/왼쪽으로 돌리면, 셋업 제어 신호는 위/왼쪽을 위로, 위/아래를 아래에 맵핑시킬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입력 제어 신호 필터링 특징을 지정하는 셋업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사용자의 안정성 문제(예컨대, 떨림)를 보정하기 위해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적응적으로 필터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바이스는 셋업 제어 신호에서 사용되는 필터링 유형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궤적 예측에 기초하여 필터링을 동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조정은 다른 셋업 제어 신호를 통해 부속 장치에 동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다른 구현예에서, 입력 필터링은 컴퓨팅 디바이스(101)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을 때까지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입력의 필터링을 조정하는 동안 애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도록 사용자에게 프롬프트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는 커넥터에 상이한 입력 제어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단독으로 또는 함께 눌러질 수 있는 두 개의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예시에서, 셋업 제어 신호는 커넥터에 제공된 입력 제어 신호(들)에 대한 상이한 버튼 누름의 내부 맵핑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버튼들 중 하나를 누르는 것은 왼쪽 방향에 맵핑될 수 있고, 두 개의 버튼들 중 나머지 다른 하나를 누르는 것은 오른쪽 방향에 맵핑될 수 있고, 두 개의 버튼들을 함께 누르는 것은 위쪽 방향에 맵핑될 수 있으며, 두 개의 버튼들을 누르지 않는 것은 아랫쪽 방향에 맵핑될 수 있다.
동적 맵핑을 수행하기 위해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에 의해 사용되는 셋업 제어 신호는 임의의 적절한 소스로부터 수신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게임 제어기(308)는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셋업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셋업 제어 신호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특정 특징을 지정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게임 제어기(308)는 물리적 게임 제어기(100)로부터 셋업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게임 제어기(308)는 물리적 게임 제어기(100)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101)로부터 셋업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01)는, 사용자가 게임 제어기(100) 및/또는 부속 장치(300)의 셋업 및 맵핑을 맞춤화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또한, 맵핑된 제어 신호를 장치 커넥터(312)를 통해 게임 제어기(1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통합형 마이크로제어기(122)는 부속 커넥터(120)를 통해 부속 장치(300)로부터 맵핑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통합형 마이크로제어기(122)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01)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비디오 게임)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팅 디바이스(101)에 맵핑된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주어진 물리적 제어부에 대해, 맵핑된 제어 신호는 물리적 제어부의 정상적인 동작을 통해(즉,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306)의 사용이 없음) 생성되는 것과 동일한 출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306)는 게임 제어기(100)의 물리적 제어부(102)와 동일한 기능에 맵핑되는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게임 제어기(100)의 물리적 제어부(102)를 조작할 수 없거나 또는 조작하기를 선호하지 않는 사용자가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306)를 통해 대안적인 방식으로 동일한 사용자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보조 입력 메커니즘은 상이한 물리적 동작으로 동작하는 교호적인 물리적 입력 디바이스들이 정상적인 사용 중에 발생하는 것과 동일한 출력 신호를 물리적 제어기로부터 생성할 수 있게 한다.
부속 장치(300)는 게임 제어기(100)로부터 착탈가능한 하우징과 함께, 하우징(304)에 수용된 보조 부속 커넥터(302) 및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도 3 내지 도 6에서 도시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부속 장치(300)의 컴포넌트는 게임 제어기(100)에 통합될 수 있다. 특히, 일부 구현예에서, 통신 인터페이스(103), 물리적 제어부(102), 보조 부속 커넥터(302), 및 내부 마이크로제어기(308)는 공유된 하우징 내에 수용된다. 그러한 일부 구현예에서, 마이크로제어기들(122, 308)은 게임 제어기 및 연결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단일 물리적 마이크로제어기로 결합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부속 장치는 물리적 제어기의 물리적 제어부 또는 다른 기능에 대한 보조 부속 커넥터의 맵핑을 시각적으로 식별하는 시각적 표시자 또는 마킹을 포함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시각적 마킹은, 보조 부속 커넥터에 연결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제어 신호가 수신될 때, 입력 제어 신호가 물리적 제어부 또는 다른 기능과 연관된 맵핑된 제어 신호에 맵핑되고, 이에 따라 마치 물리적 제어부 또는 다른 기능이 제어기 상에서 직접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처럼 기능을 생성하는 것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시각적 표시자는 주어진 보조 부속 커넥터가 물리적 제어기 상의 특정 물리적 제어부와 연관되는 것을 지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각적 표시자는 주어진 보조 부속 커넥터가 물리적 제어기의 특정 기능과 연관되는 것을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헤드폰의 시각적 표현인 시각적 표시자는 대응하는 보조 부속 커넥터가 오디오 기능과 연관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달리 말하면, 한 쌍의 헤드폰은 상기 보조 부속 커넥터에 연결되어 수신 오디오 출력을 제공하고/제공하거나 한 쌍의 헤드폰에 통합된 마이크로폰을 통해 오디오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시각적 표시자는 게임 제어기의 원하는 물리적 제어부에 특정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맵핑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올바르게 플러그하는 것을 안내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도 7은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702) 및 연관된 시각적 표시자(704)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부속 장치(700)를 도시한다. 시각적 표시자(704A~704F)는 게임 제어기의 좌측에 있는 물리적 제어부에 대한 맵핑을 식별한다. 특히, 시각적 표시자(704A)는 커넥터(702A)와 연관되어 있으며, 커넥터(702A)가 게임 제어기의 좌측 조이스틱의 누름에 맵핑된 것을 나타낸다. 특히, 시각적 표시자(704B)는 커넥터(702B)와 연관되어 있으며, 커넥터(702B)가 게임 제어기의 좌측 트리거의 누름에 맵핑된 것을 나타낸다. 시각적 표시자(704C)는 커넥터(702C)와 연관되어 있으며, 커넥터(702C)가 게임 제어기의 방향 패드의 좌우 방향의 누름에 맵핑된 것을 나타낸다. 시각적 표시자(704D)는 커넥터(702D)와 연관되어 있으며, 커넥터(702D)가 게임 제어기의 좌측 조이스틱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맵핑된 것을 나타낸다. 시각적 표시자(704E)는 커넥터(702E)와 연관되어 있으며, 커넥터(702E)가 게임 제어기의 방향 패드의 좌우 방향의 누름에 맵핑된 것을 나타낸다. 시각적 표시자(704F)는 커넥터(702F)와 연관되어 있으며, 커넥터(702F)가 게임 제어기의 좌측 조이스틱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맵핑된 것을 나타낸다.
시각적 표시자들(704G~704O)은 게임 제어기의 우측에 있는 물리적 제어부에 대한 맵핑을 식별한다. 특히, 시각적 표시자(704G)는 커넥터(702G)와 연관되어 있으며, 커넥터(702G)가 게임 제어기의 "X" 버튼에 맵핑된 것을 나타낸다. 시각적 표시자(704H)는 커넥터(702H)와 연관되어 있으며, 커넥터(702H)가 게임 제어기의 헤드폰 입력 잭에 맵핑된 것을 나타낸다. 달리 말하면, 커넥터(702H)에 플러그된 한 쌍의 헤드폰은 게임 제어기로부터의 오디오 출력을 수신할 수 있다. 시각적 표시자(704I)는 커넥터(702I)와 연관되어 있으며, 커넥터(702I)가 게임 제어기의 "Y" 버튼에 맵핑된 것을 나타낸다. 시각적 표시자(704J)는 커넥터(702J)와 연관되어 있으며, 커넥터(702J)가 게임 제어기의 우측 조이스틱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맵핑된 것을 나타낸다. 시각적 표시자(704K)는 커넥터(702K)와 연관되어 있으며, 커넥터(702K)가 게임 제어기의 "A" 버튼에 맵핑된 것을 나타낸다. 시각적 표시자(704L)는 커넥터(702L)와 연관되어 있으며, 커넥터(702L)가 게임 제어기의 우측 조이스틱을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맵핑된 것을 나타낸다. 시각적 표시자(704M)는 커넥터(702M)와 연관되어 있으며, 커넥터(702M)가 게임 제어기의 "B" 버튼에 맵핑된 것을 나타낸다. 시각적 표시자(704N)는 커넥터(702N)와 연관되어 있으며, 커넥터(702N)가 게임 제어기의 좌측 트리거의 누름에 맵핑된 것을 나타낸다. 시각적 표시자(704O)는 커넥터(702O)와 연관되어 있으며, 커넥터(702O)가 게임 제어기의 우측 조이스틱의 누름에 맵핑된 것을 나타낸다.
시각적 표시자들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부속 장치 상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고 임의의 적절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부속 장치가 고정된 맵핑 방식을 갖는 구현예에서, 시각적 표시자들의 디스플레이는 예컨대 페인트를 통해 영구적일 수 있다. 부속 장치가 동적 맵핑 방식을 갖는 구현예에서, 시각적 표시자들의 디스플레이는 동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시각적 표시자는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시각적으로 제공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보조 부속 커넥터의 물리적 제어기의 물리적 제어부 또는 다른 기능으로의 현재 맵핑을 반영하도록 시각적 표시자들을 변경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부속 장치는 물리적 제어기의 특정 동작 조건에 대해 어떤 커넥터가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시각적으로 식별하는 온/오프 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온/오프 표시자는 사용자가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현재 동작 조건에 대해 활성화되어 있는 물리적 제어기의 물리적 제어부 또는 다른 기능의 대응 세트에 맵핑된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의 특정 세트에 플러그인하는 것을 안내하도록 도와줄 수 있다. 도 8은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802)(예컨대, 802A~802O) 및 연관된 온/오프 표시자(804)(예컨대, 804A~804O)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부속 장치(800)를 도시한다. 온/오프 표시자(804)는 대응하는 커넥터(802)가 활성화되어 사용자가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커넥터(802)에 플러그인할 것을 지시할 때 조명되는 LED이다. 커넥터(802)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을 때, 대응하는 온/오프 표시자(804)는 조명되지 않는다. 도시된 예시에서, 대응하는 보조 부속 커넥터(802B, 802D, 802G, 802I, 802K, 802M)가 활성화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온/오프 표시자(804B, 804D, 804G, 804I, 804K, 804M)가 조명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활성 커넥터들의 세트를 인식하고 활성 커넥터들의 세트(802B, 802D, 802G, 802I, 802K, 802M)에 복수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806)(예를 들어, 806A~806F)를 플러그인할 수 있다.
활성 커넥터들의 세트는 임의의 적절한 동작 조건에 기초하여 내부 마이크로제어기(808)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808)는 결정된 활성 커넥터들의 세트(802)에 기초하여 온/오프 표시자(804)의 조명 상태를 조정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808)는 물리적 제어기의 활성 커넥터들 및/또는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를 식별하는 셋업 제어 신호를 물리적 제어기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마이크로제어기(808)는 또한,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의 각각의 물리적 제어부에 대응하는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802)의 세트와 연관된 온/오프 표시자(804)들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다.
물리적 제어기로부터 수신된 셋업 제어 신호는 특정 동작 조건에 특유적인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를 나타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셋업 제어 신호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애플리케이션 특유적 세트를 식별한다. 특히,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은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능동적으로 사용되는 상이한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를 가질 수 있다.
도 9a와 도 9b는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활성화된 부속 장치의 활성 커넥터들의 상이한 애플리케이션 특유적 세트들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9a에서, 부속 장치(900)는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902) 및 대응하는 복수의 온/오프 표시자(904)를 포함한다. 부속 장치(900)는 물리적 제어기(906)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리적 제어기(906)는 애플리케이션 A를 실행하는 컴퓨팅 디바이스(908)와 통신한다. 컴퓨팅 디바이스(908)는 애플리케이션 A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를 나타내는 셋업 제어 신호를 물리적 제어기(906)에 제공한다. 물리적 제어기(906)는 셋업 제어 신호를 부속 장치(900)의 내부 마이크로제어기(910)에 발송한다. 내부 마이크로제어기(910)는 물리적 제어기(906)로부터 셋업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셋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활성 커넥터들의 애플리케이션 특유적 세트(902A, 902C, 902D, 902F, 902I, 902K, 902M, 902O)에 대응하는 온/오프 표시자들의 세트(904A, 904C, 904D, 904F, 904I, 904K, 904M, 904O)를 활성화시킨다. 이 시나리오에서, 온/오프 표시자는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커넥터들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식별하게 하고, 애플리케이션 A를 제어하기 위한 적절한 커넥터들에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플러그인하게 한다.
도 9b에서, 컴퓨팅 디바이스(908)는 애플리케이션 B를 실행하고, 애플리케이션 B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를 나타내는 셋업 제어 신호를 물리적 제어기(906)에 제공한다. 물리적 제어기(906)는 셋업 제어 신호를 부속 장치(900)의 내부 마이크로제어기(910)에 발송한다. 내부 마이크로제어기(910)는 물리적 제어기(906)로부터 셋업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셋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활성 커넥터들의 애플리케이션 특유적 세트(902A~902O)에 대응하는 온/오프 표시자들의 세트(904A~904O)를 활성화시킨다. 이 시나리오에서, 온/오프 표시자는 사용자로 하여금, 어느 커넥터들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식별하게 하고, 애플리케이션 B를 제어하기 위한 적절한 커넥터들에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플러그인하게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셋업 제어 신호는 컴퓨팅 디바이스 및/또는 물리적 제어기와 상호작용하는 특정 사용자 프로파일에 대한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사용자 특유적 세트를 식별한다. 예를 들어, 상이한 사용자들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이한 제어 레벨에 영향을 미치는 상이한 물리적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도 9c와 도 9d는 상이한 사용자들에 대해 활성화된 부속 장치(900)의 활성 커넥터들의 상이한 사용자 특유적 세트들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9c에서, 사용자 A와 연관된 사용자 프로파일 A는 컴퓨팅 디바이스(908) 상에서 활성이다. 사용자 프로파일 A는 사용자 A에 특유적인 사용자 입력 및 제어 선호도 및 기타 정보를 지정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908)는 셋업 제어 신호를 물리적 제어기(906)에 제공한다. 셋업 제어 신호는 사용자 프로파일 A에서 지정되고 컴퓨팅 디바이스(908)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 A에 의해 사용되는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를 식별한다. 물리적 제어기(906)는 셋업 제어 신호를 부속 장치(900)의 내부 마이크로제어기(910)에 발송한다. 내부 마이크로제어기(910)는 물리적 제어기(906)로부터 셋업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셋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A에 특유적인 활성 커넥터들의 사용자 특유적 세트(902A, 902C, 902D, 902F, 902I, 902K, 902M, 902O)에 대응하는 온/오프 표시자들의 세트(904A, 904C, 904D, 904F, 904I, 904K, 904M, 904O)를 활성화시킨다. 이 시나리오에서, 온/오프 표시자는 사용자 A로 하여금, 어느 커넥터들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식별하게 하고, 사용자 A의 선호하는 제어 방식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908)를 제어하기 위한 적절한 커넥터들에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플러그인하게 한다.
도 9d에서, 사용자 B와 연관된 사용자 프로파일 B는 컴퓨팅 디바이스(908) 상에서 활성이다. 사용자 프로파일 B는 사용자 B에 특유적인 사용자 입력 및 제어 선호도 및 기타 정보를 지정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908)는 셋업 제어 신호를 물리적 제어기(906)에 제공한다. 셋업 제어 신호는 사용자 프로파일 B에서 지정되고 컴퓨팅 디바이스(908)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 B에 의해 사용되는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를 식별한다. 물리적 제어기(906)는 셋업 제어 신호를 부속 장치(900)의 내부 마이크로제어기(910)에 발송한다. 내부 마이크로제어기(910)는 물리적 제어기(906)로부터 셋업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셋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B에 특유적인 활성 커넥터들의 애플리케이션 특유적 세트(902A~902O)에 대응하는 온/오프 표시자들의 세트(904A~904O)를 활성화시킨다. 이 시나리오에서, 온/오프 표시자는 사용자 B로 하여금, 어느 커넥터들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식별하게 하고, 사용자 B의 선호하는 제어 방식에 따라 컴퓨팅 디바이스(908)를 제어하기 위한 적절한 커넥터들에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를 플러그인하게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부속 장치는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상기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에 포함된 특정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에 기초하여 입력 제어 신호를 상이하게 맵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모든 커넥터가 활성화되면,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보조 입력 디바이스들을 물리적 제어기의 물리적 제어부와 1:1 맵핑시킬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커넥터들의 절반이 활성화되면,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을 물리적 제어기의 물리적 제어부에 맵핑시킬 때, 트리거 및 방향 패드의 상이한 방향들에 대해 조이스틱과 버튼을 우선순위화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들은 비제한적인 것을 의미하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상기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에 포함된 특정 커넥터들에 기초하여 물리적 제어기의 임의의 적절한 물리적 제어부에 임의의 적절한 활성 커넥터를 맵핑시킬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동작 조건에 더 기초하여 커넥터들의 활성 세트를 상이한 물리적 제어부들에 맵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맵핑은 물리적 제어기와 통신하는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할 수 있다. 도 10a와 도 10b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상이한 애플리케이션들에 기초하여 물리적 제어기의 상이한 물리적 제어부들에 맵핑되는 부속 장치의 활성 커넥터들의 세트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10a에서, 부속 장치(1000)는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예를 들어, 1004A, 1004B, 1004C, 1004D, 1004E, 1004F)의 대응하는 세트에 연결된 보조 부속 커넥터(1002)(예를 들어, 1002A, 1002B, 1002C, 1002D, 1002E, 1002F)의 활성 세트를 포함한다. 내부 마이크로제어기(1006)는 활성 커넥터들의 세트(1002)를 검출한다. 부속 장치(1000)는 물리적 제어기(1008)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리적 제어기(1008)는 애플리케이션 A를 실행하는 컴퓨팅 디바이스(1010)와 통신한다. 컴퓨팅 디바이스(1010)는 셋업 제어 신호를 물리적 제어기(1008)에 제공한다. 셋업 제어 신호는 애플리케이션 A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물리적 제어기(1008)의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를 식별한다. 물리적 제어기(1008)는 셋업 제어 신호를 부속 장치(1000)의 내부 마이크로제어기(1006)에 발송한다. 내부 마이크로제어기(1006)는 또한, 셋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활성 커넥터들(1002) 및/또는 연결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1004)의 세트를 물리적 제어기(1008)의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에 동적으로 맵핑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A)는 방향 패드의 "UP" 입력에 맵핑되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B)는 방향 패드의 "DOWN" 입력에 맵핑되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C)는 "A" 버튼에 맵핑되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D)는 "B" 버튼에 맵핑되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E)는 "X" 버튼에 맵핑되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F)는 "Y" 버튼에 맵핑된다.
도 10b에서, 컴퓨팅 디바이스(1010)는 애플리케이션 B를 실행하고, 물리적 제어기(1008)에 셋업 제어 신호를 제공한다. 셋업 제어 신호는 애플리케이션 B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물리적 제어기(1008)의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를 나타낸다. 물리적 제어기(1008)는 셋업 제어 신호를 부속 장치(1000)의 내부 마이크로제어기(1006)에 발송한다. 내부 마이크로제어기(1006)는 또한, 셋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활성 커넥터들(1002) 및/또는 연결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1004)의 세트를 물리적 제어기(1008)의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에 동적으로 맵핑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A)는 좌측 트리거에 맵핑되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B)는 우측 트리거에 맵핑되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C)는 방향 패드의 "UP" 입력에 맵핑되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D)는 방향 패드의 "DOWN" 입력에 맵핑되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E)는 방향 패드의 "LEFT" 입력에 맵핑되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F)는 방향 패드의 "RIGHT" 입력에 맵핑된다. 이러한 상이한 맵핑들은 애플리케이션 A 및 B의 특정 제어 요구사항에 기초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맵핑은 컴퓨팅 디바이스 및/또는 물리적 제어기와 상호작용하는 사용자의 특정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할 수 있다. 도 10c과 도 10d는 컴퓨팅 디바이스 및/또는 물리적 제어기와 상호작용하는 상이한 사용자들의 상이한 활성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물리적 제어기의 상이한 물리적 제어부들에 맵핑되는 부속 장치의 활성 커넥터들의 세트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상이한 사용자들은 컴퓨팅 디바이스의 상이한 제어 레벨에 영향을 미치는 상이한 물리적 능력을 가질 수 있다.
도 10c에서, 사용자 A와 연관된 사용자 프로파일 A는 컴퓨팅 디바이스(1010) 상에서 활성이다. 사용자 프로파일 A는 사용자 A에 특유적인 사용자 입력 및 제어 선호도 및 기타 정보를 지정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10)는 셋업 제어 신호를 물리적 제어기(1008)에 제공한다. 셋업 제어 신호는 사용자 프로파일 A에서 지정되고 컴퓨팅 디바이스(1010)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 A에 의해 사용되는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를 식별한다. 물리적 제어기(1008)는 셋업 제어 신호를 부속 장치(1000)의 내부 마이크로제어기(1006)에 발송한다. 내부 마이크로제어기(1006)는 또한, 셋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활성 커넥터들(1002) 및/또는 연결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1004)의 세트를 물리적 제어기(1008)의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에 동적으로 맵핑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A)는 방향 패드의 "UP" 입력에 맵핑되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B)는 방향 패드의 "DOWN" 입력에 맵핑되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C)는 방향 패드의 "LEFT" 입력에 맵핑되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D)는 방향 패드의 "RIGHT" 입력에 맵핑되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E)는 "A" 버튼에 맵핑되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F)는 "B" 버튼에 맵핑된다.
도 10d에서, 사용자 B와 연관된 사용자 프로파일 B는 컴퓨팅 디바이스(1010) 상에서 활성이다. 사용자 프로파일 B는 사용자 B에 특유적인 사용자 입력 및 제어 선호도 및 기타 정보를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선호도들은 컴퓨팅 디바이스(1010)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사용자 B에 의해 사용되는 물리적 제어부들의 상이한 세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A의 것과는 상이할 수 있다. 컴퓨팅 디바이스(1010)는 셋업 제어 신호를 물리적 제어기(1008)에 제공한다. 셋업 제어 신호는 사용자 프로파일 B에서 지정되고 컴퓨팅 디바이스(1010)를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 B에 의해 사용되는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를 식별한다. 물리적 제어기(1008)는 셋업 제어 신호를 부속 장치(1000)의 내부 마이크로제어기(1006)에 발송한다. 내부 마이크로제어기(1006)는 또한, 셋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활성 커넥터들(1002) 및/또는 연결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1004)의 세트를 물리적 제어기(1008)의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에 동적으로 맵핑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A)는 좌측 트리거에 맵핑되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B)는 우측 트리거에 맵핑되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C)는 "A" 버튼에 맵핑되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D)는 "B" 버튼에 맵핑되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E)는 "X" 버튼에 맵핑되고;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1004F)는 "Y" 버튼에 맵핑된다. 그러한 상이한 맵핑들은 연관된 사용자 프로파일들에서 지정된 바와 같이 사용자 A 및 B의 특정 제어 요구사항/선호도에 기초할 수 있다.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의 임의의 적절한 세트가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물리적 제어기의 물리적 제어부들의 임의의 대응하는 세트에 맵핑될 수 있다.
이러한 맵핑들에 기초하여, 내부 마이크로제어기(1006)가 선택된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면, 내부 마이크로제어기(1006)는 입력 제어 신호를, 선택된 보조 부속 커넥터에 맵핑된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의 선택된 물리적 제어부에 대응하는 맵핑된 제어 신호에 맵핑시키고,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에 상기 맵핑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부속 장치의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컴퓨팅 디바이스와 상호작용하는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물리적 제어기의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의 대응하는 물리적 제어부 세트에 맵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들에서, 부속 장치의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맵핑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현예에서, 물리적 제어기의 통합형 마이크로제어기가 그러한 맵핑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합형 마이크로제어기는 보조 부속 커넥터들이 물리적 제어기에 통합될 때 그러한 맵핑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 설명된 개념들은 특정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요구되는 물리적 제어부들을 갖는 임의의 유형의 물리적 제어기 또는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특히, 부속 장치는 이러한 물리적 제어부들의 물리적 조작을 통해 생성될 동일한 제어 신호들이 상이한 물리적 디바이스 및 상이한 물리적 동작을 통해 교대로 생성되게 해줄 수 있다.
예시에서, 부속 장치는 하우징, 하우징 내에 포함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외부 환경에 노출된 장치 커넥터, 및 하우징에 수용되고 외부 환경에 노출된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을 포함한다. 장치 커넥터는 물리적 제어기의 대응하는 부속 커넥터와 맞물림되어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를 물리적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된다. 물리적 제어기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들을 트리거시키기 위한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을 갖는다. 각각의 보조 부속 커넥터는 별도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가 부속 장치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고 내부 마이크로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1)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보조 부속 커넥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2) 입력 제어 신호를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의 물리적 제어부에 대응하는 맵핑된 제어 신호에 맵핑시키며, (3) 맵핑된 제어 신호를 장치 커넥터를 통해 물리적 제어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 예시 및/또는 다른 예시에서, 장치 커넥터는 또한, 부속 장치를 물리적 제어기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시 및/또는 다른 예시에서,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은, 복수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이 물리적 제어기의 상이한 물리적 제어부들에 대응하는 상이한 맵핑된 제어 신호들에 맵핑되도록, 복수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이 부속 장치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다. 이 예시 및/또는 다른 예시에서, 부속 장치는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각각의 보조 부속 커넥터와 연관된 시각적 표시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시각적 표시자는 보조 부속 커넥터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 제어 신호가 내부 마이크로제어기에 의해 맵핑되는 맵핑된 제어 신호를 식별하도록 구성된다. 이 예시 및/또는 다른 예시에서, 부속 장치는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각각의 보조 부속 커넥터와 연관되어 있고 내부 마이크로제어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온/오프 표시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또한, (1)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의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를 식별하는 셋업 제어 신호를 물리적 제어기로부터 수신하고, (2)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의 각각의 물리적 제어부에 대응하는 보조 부속 커넥터들과 연관된 온/오프 표시자들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시 및/또는 다른 예시에서, 셋업 제어 신호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애플리케이션 특유적 세트를 식별할 수 있다. 이 예시 및/또는 다른 예시에서, 셋업 제어 신호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사용자 특유적 세트를 식별할 수 있다. 이 예시 및/또는 다른 예시에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또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에 포함된 특정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에 기초하여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을 통해 수신된 입력 제어 신호들을 상이하게 맵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시 및/또는 다른 예시에서, 마이크로제어기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의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제어 신호들을 맵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시 및/또는 다른 예시에서, 마이크로제어기는 또한,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의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제어 신호들을 맵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시 및/또는 다른 예시에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또한, (1) 보조 부속 커넥터를 통해,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셋업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2) 셋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후속하여 수신된 입력 제어 신호를 맵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에서, 물리적 제어기는, 물리적 제어기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와 통신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와,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과,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과,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의 각각의 물리적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 조작에 응답하여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보조 부속 커넥터는 별도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가 물리적 제어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고,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1)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보조 부속 커넥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2) 입력 제어 신호를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의 물리적 제어부에 대응하는 맵핑된 제어 신호에 맵핑시키며, (3)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맵핑된 제어 신호를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 예시 및/또는 다른 예시에서, 통신 인터페이스,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 및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공유 하우징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예시 및/또는 다른 예시에서,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 및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물리적 제어기로부터 착탈가능한 부속 장치의 하우징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예시 및/또는 다른 예시에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부속 마이크로제어기일 수 있고, 물리적 제어기는 통합형 마이크로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부속 마이크로제어기는 맵핑된 제어 신호를 통합형 마이크로제어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통합형 마이크로제어기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팅 디바이스에 상기 맵핑된 제어 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시 및/또는 다른 예시에서, 물리적 제어기는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각각의 보조 부속 커넥터와 연관되어 있고 부속 마이크로제어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온/오프 표시자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부속 마이크로제어기는 또한, (1)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를 식별하는 셋업 제어 신호를 통합형 마이크로제어기로부터 수신하고, (2)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의 각각의 물리적 제어부에 대응하는 보조 부속 커넥터들과 연관된 온/오프 표시자들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시 및/또는 다른 예시에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또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에 포함된 특정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에 기초하여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을 통해 수신된 입력 제어 신호들을 상이하게 맵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시 및/또는 다른 예시에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또한, 물리적 제어기와 통신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의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제어 신호들을 맵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예시 및/또는 다른 예시에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또한,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의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제어 신호들을 맵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에서, 물리적 제어기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물리적 제어기를 컴퓨팅 디바이스와 통신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를 포함하고,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의 각각의 물리적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 조작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의 보조 부속 커넥터는 별도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가 물리적 제어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되고,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1)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2)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를,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및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물리적 제어기의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의 대응하는 물리적 제어부 세트에 맵핑시키고, (3) 선택된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4) 선택된 보조 부속 커넥터에 맵핑된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의 선택된 물리적 제어부에 대응하는 맵핑된 제어 신호에 입력 제어 신호를 맵핑시키며, (5)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맵핑된 제어 신호를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성들 및/또는 접근법들은 성질상 예시적인 것이며, 이러한 특정한 실시예들 또는 예시들은 수많은 변형들이 가능하기 때문에 한정적인 의미로 간주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특정한 루틴들 또는 방법들은 임의의 개수의 프로세싱 전략들 중의 하나 이상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예시되고/예시되거나 설명된 다양한 동작들은 예시되고/예시되거나 설명된 시퀀스로, 또는 다른 시퀀스로, 병렬로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생략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프로세스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개시의 발명내용은 여기서 개시된 다양한 프로세스들, 시스템들 및 구성들과, 다른 특징들, 기능들, 동작들, 및/또는 특성들의 모든 신규하고 비자명한 조합들 및 서브조합들뿐만이 아니라, 이들의 임의의 그리고 모든 등가물들을 포함한다.

Claims (20)

  1. 부속(accessory)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포함된 내부 마이크로제어기;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외부 환경에 노출된 장치 커넥터 - 상기 장치 커넥터는 물리적 제어기의 대응하는 부속 커넥터와 맞물림되어 상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를 상기 물리적 제어기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물리적 제어기는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들을 트리거시키기 위한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을 가짐 -;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되고 상기 외부 환경에 노출된 복수의 보조(auxiliary) 부속 커넥터들 - 각각의 보조 부속 커넥터는 별도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가 상기 부속 장치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됨 -
    을 포함하고,
    상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1) 상기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보조 부속 커넥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2) 상기 입력 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의 물리적 제어부에 대응하는 맵핑된 제어 신호에 맵핑시키며,
    (3) 상기 맵핑된 제어 신호를 상기 장치 커넥터를 통해 상기 물리적 제어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인 부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커넥터는 또한, 상기 부속 장치를 상기 물리적 제어기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된 것인 부속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은, 복수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이 상기 물리적 제어기의 상이한 물리적 제어부들에 대응하는 상이한 맵핑된 제어 신호들에 맵핑되도록, 상기 복수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이 상기 부속 장치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된 것인 부속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각각의 보조 부속 커넥터와 연관된 시각적 표시자
    를 더 포함하며,
    각각의 시각적 표시자는 상기 보조 부속 커넥터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 제어 신호가 상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에 의해 맵핑되는, 맵핑된 제어 신호를 식별하도록 구성된 것인 부속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각각의 보조 부속 커넥터와 연관되어 있고 상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온/오프 표시자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또한,
    (1) 상기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 중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를 식별하는 셋업 제어 신호를 상기 물리적 제어기로부터 수신하고,
    (2) 상기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의 각각의 물리적 제어부에 대응하는 상기 보조 부속 커넥터들과 연관된 상기 온/오프 표시자들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부속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셋업 제어 신호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애플리케이션 특유적(application-specific) 세트를 식별하는 것인 부속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셋업 제어 신호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사용자 특유적(user-specific) 세트를 식별하는 것인 부속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또한, 상기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 중,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상기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에 포함된 특정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에 기초하여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제어 신호들을 상이하게 맵핑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부속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또한,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의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제어 신호들을 맵핑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부속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또한,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의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제어 신호들을 맵핑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부속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또한,
    (1) 보조 부속 커넥터를 통해,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셋업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2) 상기 셋업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후속하여 수신되는 입력 제어 신호들을 맵핑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부속 장치.
  12. 물리적 제어기에 있어서,
    물리적 제어기를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컴퓨팅 디바이스와 통신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 - 상기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의 각각의 물리적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 조작에 응답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됨 -;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 - 각각의 보조 부속 커넥터는 별도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가 상기 물리적 제어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됨 -; 및
    내부 마이크로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1) 상기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의 물리적 제어부의 물리적 조작을 검출하고,
    (2)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물리적 제어부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3) 상기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보조 부속 커넥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4) 상기 입력 제어 신호를 상기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의 물리적 제어부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에 맵핑시키며,
    (5)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인 물리적 제어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 상기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 및 상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공유 하우징 내에 수용된 것인 물리적 제어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과 상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상기 물리적 제어기로부터 착탈가능한 부속 장치의 하우징 내에 수용된 것인 물리적 제어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부속 마이크로제어기이고,
    상기 물리적 제어기는 통합형 마이크로제어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속 마이크로제어기는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통합형 마이크로제어기에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통합형 마이크로제어기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인 물리적 제어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각각의 보조 부속 커넥터와 연관되어 있고 상기 부속 마이크로제어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온/오프 표시자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부속 마이크로제어기는 또한,
    (1)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를 식별하는 셋업 제어 신호를 상기 통합형 마이크로제어기로부터 수신하고,
    (2) 상기 활성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의 각각의 활성 물리적 제어부에 대응하는 상기 보조 부속 커넥터들과 연관된 상기 온/오프 표시자들을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물리적 제어기.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또한, 상기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 중,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상기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에 포함된 특정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에 기초하여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제어 신호들을 상이하게 맵핑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물리적 제어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또한, 상기 물리적 제어기와 통신하는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의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제어 신호들을 맵핑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물리적 제어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또한, 특정 사용자의 사용자 프로파일에 기초하여 상기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의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 제어 신호들을 맵핑시키도록 구성된 것인 물리적 제어기.
  20. 물리적 제어기에 있어서,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물리적 제어기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와 통신가능하게 결합시키도록 구성된 통신 인터페이스;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 - 상기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의 각각의 물리적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한 물리적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됨 -;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 - 각각의 보조 부속 커넥터는 별도의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가 상기 물리적 제어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됨 -; 및
    내부 마이크로제어기
    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 마이크로제어기는,
    (1) 상기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의 물리적 제어부의 물리적 조작을 검출하고,
    (2)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물리적 제어부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고,
    (3) 상기 복수의 보조 부속 커넥터들 중,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들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를 검출하고,
    (4) 상기 물리적 제어기의 상기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 중 대응하는 물리적 제어부들의 세트에 상기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들의 세트를 맵핑시키고,
    (5) 선택된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에 동작가능하게 연결된 보조 사용자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입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6) 상기 복수의 물리적 제어부들 중, 상기 선택된 활성 보조 부속 커넥터에 맵핑된 물리적 제어부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에 상기 입력 제어 신호를 맵핑시키며,
    (7)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입력 제어 신호를 상기 컴퓨팅 디바이스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물리적 제어기.
KR1020197008883A 2016-08-30 2017-08-24 제어부들을 외부화하기 위한 부속 커넥터를 갖는 제어기 KR1023497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81508P 2016-08-30 2016-08-30
US62/381,508 2016-08-30
US15/449,861 2017-03-03
US15/449,861 US10286304B2 (en) 2016-08-30 2017-03-03 Controller having accessory connectors for externalizing controls
PCT/US2017/048295 WO2018044658A1 (en) 2016-08-30 2017-08-24 Controller having accessory connectors for externalizing contro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075A KR20190042075A (ko) 2019-04-23
KR102349723B1 true KR102349723B1 (ko) 2022-01-10

Family

ID=61241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8883A KR102349723B1 (ko) 2016-08-30 2017-08-24 제어부들을 외부화하기 위한 부속 커넥터를 갖는 제어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286304B2 (ko)
EP (1) EP3507680B1 (ko)
JP (1) JP7050758B2 (ko)
KR (1) KR102349723B1 (ko)
CN (1) CN109643170B (ko)
AU (1) AU2017321007B2 (ko)
BR (1) BR112019000704A2 (ko)
CA (1) CA3031520A1 (ko)
MX (1) MX2019002062A (ko)
WO (1) WO20180446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19821B2 (en) * 2017-12-07 2022-01-1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nalog voltage based computing device input system
TWI694356B (zh) * 2018-04-03 2020-05-21 義隆電子股份有限公司 電子系統
WO2019244995A1 (ja) * 2018-06-21 2019-12-26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入力デバイス
US20230149803A1 (en) * 2019-10-02 2023-05-18 Ironburg Inventions Limited Input apparatus for a computing system
US11911695B1 (en) * 2020-01-23 2024-02-27 Amazon Technologies, Inc. Device for converting input from control devices
US11400364B2 (en) 2020-04-01 2022-08-02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Controller with swappable input controls
US11628352B2 (en) 2020-04-01 2023-04-18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Two-axis controller interface with reconfigurable orientation
US11565173B2 (en) * 2020-04-01 2023-01-31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Controller with swappable, rotatable button cluster
USD984464S1 (en) 2020-12-22 2023-04-25 Google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91942S1 (en) 2020-12-22 2023-07-11 Google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TW202345950A (zh) * 2022-05-03 2023-12-01 美商元平台技術有限公司 無障礙控制器和控制器集線器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8164A (en) 1983-11-10 1985-05-21 Hayford Jr Robert L Video game control console
DE19513825C1 (de) * 1995-04-12 1996-08-29 Daimler Benz Aerospace Ag Vorrichtung zur Auswertung von Bedienungseingaben
US5896125A (en) 1995-11-06 1999-04-20 Niedzwiecki; Richard H. Configurable keyboard to personal computer video game controller adapter
EP0835676B1 (en) 1996-03-05 2004-10-13 Sega Enterprises, Ltd. Controller and extension unit for controller
US9235955B2 (en) * 2000-12-22 2016-01-12 Bally Gaming, Inc. Universal game monitoring unit and system
US7950999B2 (en) * 2004-09-16 2011-05-31 Bally Gaming, Inc. User interface system and method for a gaming machine
JP3552211B2 (ja) * 2000-07-27 2004-08-11 株式会社ナムコ 入力操作を支援するコントローラ
US8157654B2 (en) * 2000-11-28 2012-04-17 Nintendo Co., Ltd. Hand-held video game platform emulation
US20020142838A1 (en) 2001-03-28 2002-10-03 Russell Robert John Video game controller
KR20040095838A (ko) * 2003-04-28 2004-11-16 (주)옴니텔 지능망을 이용한 가입자 기반의 상용 링백톤 시스템 및 그 방법
US7782306B2 (en) * 2003-05-09 2010-08-24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and method of configuring the input device
US7670227B2 (en) * 2004-12-30 2010-03-02 Microsoft Corporation Changeable console face plate
US7927216B2 (en) * 2005-09-15 2011-04-19 Nintendo Co., Ltd. Video game system with wireless modular handheld controller
US8313379B2 (en) * 2005-08-22 2012-11-20 Nintendo Co., Ltd. Video game system with wireless modular handheld controller
US7669770B2 (en) * 2005-09-06 2010-03-02 Zeemote, Inc. Method of remapping the input elements of a hand-held device
US7653771B2 (en) 2005-09-22 2010-01-2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Inc. Control docking unit
JP5522888B2 (ja) 2007-04-09 2014-06-18 株式会社タイトー 自動切替機能付きコントローラ切替装置
GB2455281A (en) * 2007-10-27 2009-06-10 Geoffrey John Harbach Switch access method for computer games equipment
JP5329140B2 (ja) 2008-07-11 2013-10-30 任天堂株式会社 操作システム
US20100075756A1 (en) * 2008-09-19 2010-03-25 Adam Roberts Secondary controller for emulating a console controller
US8608564B2 (en) 2009-04-21 2013-12-17 Nyko Technologies, Inc. Connector for video game controller, and video game controller including the same
US20110028194A1 (en) * 2009-07-31 2011-02-03 Razer (Asia-Pacific) Pte Ltd System and method for unified-context mapping of physical input device controls to application program actions
JP5137932B2 (ja) 2009-11-17 2013-02-06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通信システム、端末装置、通信処理方法、通信処理プログラム、通信処理プログラムが記憶された記憶媒体、拡張機器
US10912991B2 (en) * 2009-12-09 2021-02-09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LLC Portable game controller settings
US8678927B2 (en) * 2011-10-04 2014-03-25 Microsoft Corporation Game controller on mobile touch-enabled devices
US8529357B2 (en) * 2011-12-20 2013-09-10 Wikipad, Inc. Combination tablet computer and game controller with flexible bridge section
JP5200196B1 (ja) * 2012-04-20 2013-05-15 任天堂株式会社 ゲームシステムおよびゲームコントローラ
CN202600620U (zh) * 2012-06-04 2012-12-12 宋子健 利用鞋子代替键盘鼠标作为计算机外设的实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44658A1 (en) 2018-03-08
US10286304B2 (en) 2019-05-14
CA3031520A1 (en) 2018-03-08
BR112019000704A2 (pt) 2019-05-07
EP3507680A1 (en) 2019-07-10
EP3507680B1 (en) 2020-10-14
CN109643170B (zh) 2022-10-28
JP2019536491A (ja) 2019-12-19
AU2017321007B2 (en) 2021-09-16
JP7050758B2 (ja) 2022-04-08
MX2019002062A (es) 2019-06-06
US20180056180A1 (en) 2018-03-01
CN109643170A (zh) 2019-04-16
KR20190042075A (ko) 2019-04-23
AU2017321007A1 (en) 2019-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9723B1 (ko) 제어부들을 외부화하기 위한 부속 커넥터를 갖는 제어기
CN107548317B (zh) 游戏控制器和经由外部附件控制游戏控制器操作的方法
US9517407B2 (en) Game system and game controller
EP2700436A1 (en) Game system and game controller
JP4386900B2 (ja) 操作装置およびゲームコントローラ
US772711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vely controlling a virtual reality scenario with a physically demanding interface
US20060223634A1 (en) Game controller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of selectively connecting a game controller with a plurality of different video gaming systems
US10252173B2 (en) Game controller adapter with game actuator mechanism and function control module
US20090048021A1 (en) Inertia sensing input controller and receiver and interactive system using thereof
US10933309B2 (en) Sensing apparatus and method
WO2016080906A1 (en) Gaming controller for mobile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a gaming controller
US8715080B2 (en) Game system, game controller
EP2772824A2 (en) Tablet computer with grip rail and game controller
US20120299829A1 (en) Computer Input Device
CN203387626U (zh) 一种遥控器
US20120100917A1 (en) Video game action detecting system
CN209964107U (zh) 一种手机背夹式触控屏控制装置
TWM470355U (zh) 顯示裝置
CN106267815A (zh) 游戏控制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