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9564B1 -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9564B1
KR102349564B1 KR1020210048178A KR20210048178A KR102349564B1 KR 102349564 B1 KR102349564 B1 KR 102349564B1 KR 1020210048178 A KR1020210048178 A KR 1020210048178A KR 20210048178 A KR20210048178 A KR 20210048178A KR 102349564 B1 KR102349564 B1 KR 102349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flow rate
power generation
power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철호
Original Assignee
원철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철호 filed Critical 원철호
Priority to KR10202100481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9564B1/ko
Priority to KR1020220000642A priority patent/KR1024657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9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9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7/00Other machines or engines
    • F03B17/06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 F03B17/062Other machines or engines using liquid flow with predominantly kinetic energy conversion, e.g. of swinging-flap type, "run-of-river", "ultra-low head"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at right angle to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1/00Parts or detail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preceding groups, e.g. wear-protection couplings, between turbine and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5/00Controlling
    • F03B15/02Controlling by varying liquid flow
    • F03B15/04Controlling by varying liquid flow of turbines
    • F03B15/06Regulating, i.e. acting automatical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7/00Water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70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 F05B2220/706Application in combination with an electrical gener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4Rotors for turbines
    • F05B2240/244Rotors for turbines of the cross-flow, e.g. Banki, Ossberge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40Transmission of power
    • F05B2260/402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friction drives
    • F05B2260/4022Transmission of power through friction drives through endless cha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70/00Control
    • F05B2270/30Control parameters, e.g. input parame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 Control Of Water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 형상의 터빈몸체와 상기 터빈몸체의 회전축을 구성하는 터빈 샤프트 및 상기 터빈몸체에 구비된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수로상에 배치되어 수압을 인가받아 회전에너지를 발생하는 다수 개의 터빈; 상기 다수 개의 터빈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다수 개의 발전모터; 및 상기 다수 개의 터빈을 지나는 물의 유량을 검지하는 유량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터빈 각각에 의해 생성된 회전 동력은 유량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유량에 따라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로 선택적으로 전달되며, 상기 다수 개의 터빈 중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터빈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가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A Flow-response small hydro power generation apparatus including a multi-turbin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방법은 열에너지 또는 기계적 에너지를 전기적 에너지로 변환하는 시설 및 설비를 갖추고 생산된 전력을 가정, 산업시설, 공공시설 등에 공급하는데, 발전에 사용하는 에너지원으로는 물, 기름, 석탄, 천연가스, 원자력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상기 에너지원들을 이용하여 터빈을 회전시키고 터빈과 연결된 발전기를 통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되며, 이? 이용되는 에너지원의 종류와 그에 따른 발전방식에 따라 수력발전소, 화력발전소, 원자력발전소 등으로 구분된다.
근자에는, 조수(潮水)의 에너지를 이용하는 조력발전소, 바람의 에너지를 이용하는 풍력발전소, 지열(地 熱)을 이용하는 지열발전소, 태양열을 이용하는 태양열발전소 등 그린 에너지 분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중 하나로, 소수력발전이 있으며, 이는 하천의 물을 막아 소하천과 농수로 및 각종 수처리 시설에 적용되는 설비 용량 15,000kw 미만의 발전 장치로 분류될 수 있다.
이러한 소수력발전은 대용량 수력발전설비의 부정적 요인(대규모 설비에 의한 환경파괴, 시설 가능 지역의 제한 등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소수력발전은 다른 발전설비에 비해 친환경적이고, 단위 용량당 에너지 생산량이 많으며, 원자재의 해외의존도가 없다.
이러한 소수력발전은 계절이나 강수량에 따라 하천 수위의 변동이 심한 대한민국에 특히 최적화되어 있으나 대부분 수동형 터빈 발전 시스템 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제 하천의 유량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여 발전을 수행하고 있지는 못한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의 유량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소수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명은 원통 형상의 터빈몸체와 상기 터빈몸체의 회전축을 구성하는 터빈 샤프트 및 상기 터빈몸체에 구비된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수로상에 배치되어 수압을 인가받아 회전에너지를 발생하는 다수 개의 터빈; 상기 다수 개의 터빈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다수 개의 발전모터; 및 상기 다수 개의 터빈을 지나는 물의 유량을 검지하는 유량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터빈 각각에 의해 생성된 회전 동력은 유량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유량에 따라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로 선택적으로 전달되며, 상기 다수 개의 터빈 중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터빈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가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빈 샤프트에는 터빈풀리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 개의 터빈 각각은 상기 터빈풀리에 연결된 다수 개의 터빈벨트를 통해 서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다수 개의 터빈벨트를 통해 전달된 동력은 다시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에 전달되며, 상기 다수 개의 터빈벨트 각각에 선택적으로 장력을 가해, 상기 다수 개의 터빈 간 회전동력 전달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다수 개의 터빈 장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장력 조절부는 상기 터빈벨트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터빈벨트를 향해 상기 가압부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축; 및 상기 이동축이 연결되며, 모터가 내재된 조절부 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에는 모터풀리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 각각은 상기 모터풀리에 연결된 다수 개의 모터벨트를 통해 서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다수 개의 모터벨트 각각에 선택적으로 장력을 가해, 상기 다수 개의 모터 간 회전동력 전달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다수 개의 모터 장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터빈에서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 샤프트; 상기 모터 샤프트에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축기어; 상기 다수 개의 축기어에서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로 동력을 전달하는 연결기어; 및 상기 다수 개의 축기어 각각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모터 샤프트에서 상기 다수 개의 축기어 각각으로의 회전동력 전달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다수 개의 동력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동력 조절부는 상기 축기어에 형성된 홈인 수용부; 상기 모터 샤프트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터빈은 제1터빈, 제2터빈 및 제3터빈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는 제1발전모터, 제2발전모터 및 제3발전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량검지부를 통해, 상기 수로를 유동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검지 단계; 상기 제1터빈에서 생성된 회전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1발전모터가 가동되는 제1발전모터 가동 단계; 유량이 제1기준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유량이 제1기준 이상이면, 제2터빈에서 생성된 회전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2발전모터가 가동되는 제2발전모터 가동 단계; 및 유량이 제2기준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의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유량이 제2기준 미만이면, 유량이 제1기준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유량이 제1기준 미만이면, 상기 제1발전모터의 가동이 중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유량이 제1기준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유량이 제1기준 미만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유량검지 단계;가 다시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천의 유량에 능동적으로 대응하는 소수력발전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의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의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의 제어방법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는 수로상에 배치되어 수압을 인가받아 회전에너지를 발생하는 다 수개의 터빈(10)과, 상기 다수 개의 터빈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다수 개의 발전모터(61, 62, 63, 64, 65) 및, 상기 다수 개의 터빈을 지나는 물의 유량을 검지하는 유량검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빈(10)은 원통 형상의 터빈몸체(101)와, 상기 터빈몸체(101)의 회전축을 구성하는 터빈 샤프트(103) 및, 상기 터빈몸체(101)에 구비된 다수개의 블레이드(1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발전 모터 회전에 의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구비되며, 코일과 자석을 포함하는 본체와, 회전축 그리고, 회전축에 결합된 풀리(또는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터빈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제1터빈(11), 제2터빈(12), 제3터빈(13), 제4터빈(14), 및 제5터빈(15)을 포함할 수 있으며, 5개 미만 또는 이상의 터빈을 덜 포함하거나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는 제1발전모터(61), 제2발전모터(62), 제3발전모터(63), 제4발전모터(64) 및, 제5발전모터(6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역시 5개 미만 또는 이상의 발전모터를 덜 포함하거나 더 포함할 수 있고, 유량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 상기 터빈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는 상기 터빈 샤프트(103)가 체결되는 터빈 결합 프레임(21)과, 터빈풀리(41)와 터빈 장력 조절부(91)가 체결되는 보조 프레임(22) 및, 발전모터가 체결되는 모터 결합 프레임(2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다수 개의 터빈 각각에 의해 생성된 회전 동력은 유량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유량에 따라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로 선택적으로 전달되며, 상기 다수 개의 터빈 중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터빈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가 가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터빈 샤프트(103) 각각에 연결된 다수 개의 터빈풀리(41)와, 상기 다수 개의 터빈풀리(41)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다수 개의 터빈벨트(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터빈벨트(43)를 통해 제1터빈(11)의 터빈풀리(41)로 전달된 동력은 다시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에 전달될 수 있으며, 유량에 따라 제1터빈(11) 내지 제5터빈(15)의 동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는 상기 다수 개의 터빈에서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 샤프트(51) 상기 모터 샤프트(51)에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축기어(52), 상기 다수 개의 축기어(52)에서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로 동력을 전달하는 연결기어(53) 및, 상기 다수 개의 축기어(52) 각각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모터 샤프트에서 상기 다수 개의 축기어(52) 각각으로의 회전동력 전달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다수 개의 동력 조절부(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축기어(52)는 스퍼기어, 상기 연결기어(53)의 일단은 스퍼기어 타단은 베벨기어, 발전모터의 회전축에는 스퍼기어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기어의 종류는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조절부(54)는 상기 모터 샤프트(51)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 또는 가이드 경로인 가이드부(511), 상기 축기어(52)에 형성된 홈 또는 돌출부인 수용부(521) 및, 상기 가이드부(511) 상에서 상기 모터 샤프트(51)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52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부(5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541)가 전진하여 상기 수용부(521)에 삽입되면, 상기 걸림부(541)가 삽입된 축기어(52)는 동력을 전달받게 되고 이는 해당 축기어(52)와 연결된 연결기어(53)를 통해 특정 발전모터로 동력이 전달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걸림부(541)가 후진하여 수용부(521)에서 이탈하면, 해당 축기어(52)에는 회전 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를 통해, 유량 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유량에 따라, 상기 다수 개의 동력 조절부(54)에 의해 모터 샤프트(51)에서 각각의 상기 축기어(52)로 동력이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어, 유량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전력을 효과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를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으로, 상기 모터 샤프트(51)로 전달된 동력은 다수 개의 모터풀리(42)와 상기 다수 개의 모터풀리(42)를 연결하며 동력을 전달하는 모터벨트(44)에 의해, 각각의 발전모터로 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터빈에 의해 발생된 회전 동력을 발전모터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는 상기 다수 개의 터빈벨트(43) 각각에 선택적으로 장력을 가해 상기 다수 개의 터빈 간 회전동력 전달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다수 개의 터빈 장력 조절부(9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빈 장력 조절부(91)는 벨트를 가압하는 가압부(901), 상기 벨트를 향해 상기 가압부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축(902) 및, 상기 이동축(902)이 연결되며 모터가 내재된 조절부 본체(90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압부(901)가 터빈벨트(43)를 향해 전진하여 터빈벨트(43)의 텐션을 높이면, 해당 터빈벨트(43)를 통해 동력이 전달될 수 있어, 유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터빈벨트(4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터빈 장력 조절부(91)는 전술한 도 1과 도 2실시예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는 상기 다수 개의 모터벨트(44) 각각에 선택적으로 장력을 가해, 상기 다수 개의 모터 간 회전동력 전달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다수 개의 모터 장력 조절부(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모터 장력 조절부(92)는 벨트를 가압하는 가압부(901), 상기 벨트를 향해 상기 가압부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축(902) 및, 상기 이동축(902)이 연결되며 모터가 내재된 조절부 본체(9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장력 조절부(92)는 전술한 도 2의 실시예에 적용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의 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의 제어방법은 유량검지부를 통해, 상기 수로를 유동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검지 단계(S10), 상기 제1터빈(16)에서 생성된 회전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1발전모터(61)가 가동되는 제1발전모터 가동 단계(S11), 유량이 제1기준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S12에서 유량이 제1기준 이상으로 판단되면 제2터빈(12)에서 생성된 회전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2발전모터(62)가 가동되는 제2발전모터 가동 단계(S13)가 진행될 수 있다.
이후, 유량이 제2기준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4)가 더 진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유량이 제2기준 미만으로 판단되면 유량이 제1기준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21)가 진행되고, 유량이 제2기준 이상으로 판단되면 제3터빈(13)에서 생성된 회전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3발전모터(63)가 가동되는 제3발전모터 가동 단계(S15)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21에서 유량이 제1기준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1발전모터의 가동이 중지되는 단계(S22)가 진행될 수 있으며, 반대로 유량이 제1기준 미만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유량검지 단계(S11) 다시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량에 맞춰 발전모터를 유연하게 가동할 수 있다.
나아가, 유량이 제3기준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6)가 더 진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유량이 제3기준 미만으로 판단되면 유량이 제2기준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23)가 진행되고, 유량이 제3기준 이상으로 판단되면 제4터빈(14)에서 생성된 회전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4발전모터(64)가 가동되는 제4발전모터 가동 단계(S17)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23에서 유량이 제2기준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발전모터의 가동이 중지되는 단계(S24)가 진행될 수 있고, 이후 상기 S21이 진행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유량이 제4기준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S18)가 더 진행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유량이 제4기준 미만으로 판단되면 유량이 제3기준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25)가 진행되고, 유량이 제4기준 이상으로 판단되면 제5터빈(15)에서 생성된 회전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5발전모터(65)가 가동되는 제5발전모터 가동 단계(S19)가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S25에서 유량이 제3기준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3발전모터의 가동이 중지되는 단계(S26)가 진행될 수 있고, 이후 상기 S23이 진행될 수 있다.
S19 다음으로, 유량이 제4기준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S27)가 진행될 수 있으며, 유량이 제4기준 미만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4발전모터의 가동이 중지되는 단계(S28)가 진행될 수 있고, 이후 상기 S25가 진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효과라도, 본 발명은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이 다른 효과를 추가적으로 가지고 있을 수 있으며, 상술한 각각의 구성들간 유기적인 결합관계에 따라 종래기술에서 볼 수 없는 새로운 효과를 도출할 수 있다.
아울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이 다른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청구된 구성을 포함하여 실시되거나 균등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경우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제1터빈 11 제2터빈 12
제3터빈 13 제4터빈 14
제2터빈 15 터빈 10
터빈몸체 101 터빈 샤프트 103
블레이드 102 터빈 결합 프레임 21
보조 프레임 22 모터 결합 프레임 23
터빈풀리 41 터빈벨트 43
모터풀리 42 모터벨트 44
모터 샤프트 51 축기어 52
연결기어 53 동력 조절부 54
가이드부 511 수용부 521
걸림부 541 제1발전모터 61
제2발전모터 62 제3발전모터 63
제4발전모터 64 제5발전모터 65
터빈 장력 조절부 91 모터 장력 조절부 92
가압부 901 이동부 902
조절부 본체 903

Claims (10)

  1. 원통 형상의 터빈몸체와 상기 터빈몸체의 회전축을 구성하는 터빈 샤프트 및 상기 터빈몸체에 구비된 다수개의 블레이드를 포함하며, 수로상에 배치되어 수압을 인가받아 회전에너지를 발생하는 다수 개의 터빈;을 포함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는
    상기 다수 개의 터빈으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전력을 생산하는 다수 개의 발전모터; 및
    상기 다수 개의 터빈을 지나는 물의 유량을 검지하는 유량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의 터빈 각각에 의해 생성된 회전 동력은 유량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유량에 따라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로 선택적으로 전달되며,
    상기 다수 개의 터빈 중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터빈의 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가 가동되고,
    상기 다수 개의 터빈은 제1터빈, 제2터빈 및 제3터빈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는 제1발전모터, 제2발전모터 및 제3발전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의 제어방법은
    유량검지부를 통해, 상기 수로를 유동하는 물의 유량을 감지하는 유량검지 단계;
    상기 제1터빈에서 생성된 회전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1발전모터가 가동되는 제1발전모터 가동 단계;
    유량이 제1기준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
    유량이 제1기준 이상이면, 제2터빈에서 생성된 회전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제2발전모터가 가동되는 제2발전모터 가동 단계; 및
    유량이 제2기준 이상인지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의 제어방법.
  2. 제1항의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의 제어방법이 이용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터빈 샤프트에는 터빈풀리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 개의 터빈 각각은 상기 터빈풀리에 연결된 다수 개의 터빈벨트를 통해 서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다수 개의 터빈벨트를 통해 전달된 동력은 다시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에 전달되며,
    상기 다수 개의 터빈벨트 각각에 선택적으로 장력을 가해, 상기 다수 개의 터빈 간 회전동력 전달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다수 개의 터빈 장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장력 조절부는
    상기 터빈벨트를 가압하는 가압부;
    상기 터빈벨트를 향해 상기 가압부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축; 및
    상기 이동축이 연결되며, 모터가 내재된 조절부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에는 모터풀리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 각각은 상기 모터풀리에 연결된 다수 개의 모터벨트를 통해 서로 동력을 전달하고,
    상기 다수 개의 모터벨트 각각에 선택적으로 장력을 가해, 상기 다수 개의 모터 간 회전동력 전달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다수 개의 모터 장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터빈에서 전달된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 샤프트;
    상기 모터 샤프트에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에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다수 개의 축기어;
    상기 다수 개의 축기어에서 상기 다수 개의 발전모터로 동력을 전달하는 연결기어; 및
    상기 다수 개의 축기어 각각에 선택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모터 샤프트에서 상기 다수 개의 축기어 각각으로의 회전동력 전달여부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다수 개의 동력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조절부는
    상기 축기어에 형성된 홈인 수용부;
    상기 모터 샤프트에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수용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유량이 제2기준 미만이면, 유량이 제1기준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유량이 제1기준 미만이면, 상기 제1발전모터의 가동이 중지되는 단계;를 더 포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의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유량이 제1기준 미만인지 판단하는 단계에서 유량이 제1기준 미만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유량검지 단계;가 다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의 제어방법.
KR1020210048178A 2021-04-14 2021-04-14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349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178A KR102349564B1 (ko) 2021-04-14 2021-04-14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220000642A KR102465705B1 (ko) 2021-04-14 2022-01-04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178A KR102349564B1 (ko) 2021-04-14 2021-04-14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642A Division KR102465705B1 (ko) 2021-04-14 2022-01-04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9564B1 true KR102349564B1 (ko) 2022-01-10

Family

ID=7934753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178A KR102349564B1 (ko) 2021-04-14 2021-04-14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220000642A KR102465705B1 (ko) 2021-04-14 2022-01-04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0642A KR102465705B1 (ko) 2021-04-14 2022-01-04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495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225U (ja) * 2008-08-28 2008-11-06 良一 上垣内 水力発電装置
JP2012132340A (ja) * 2010-12-20 2012-07-12 Shikoku Electric Power Co Inc 出力制御装置および出力制御方法並びに当該出力制御装置を備えた水車発電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85468A (en) 1992-07-17 1994-02-08 At&T Bell Laboratories Analog optical fiber communication system, and laser adapted for use in such a system
WO2017158506A1 (en) 2016-03-15 2017-09-21 Kunaparaju Rambabu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hydroelectric power by utilization of turbines arranged in a cascaded configur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225U (ja) * 2008-08-28 2008-11-06 良一 上垣内 水力発電装置
JP2012132340A (ja) * 2010-12-20 2012-07-12 Shikoku Electric Power Co Inc 出力制御装置および出力制御方法並びに当該出力制御装置を備えた水車発電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327A (ko) 2022-10-21
KR102465705B1 (ko) 2022-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5817B9 (en) A system of production of electric energy from renewable energy sources
US20100276935A1 (en) Renewable energy fluid pump to fluid-based energy generation
AU775232B2 (en) Power station using ocean currents
KR101202678B1 (ko) 하수방류관용 수력발전장치
US20140241855A1 (en) Run-of-the-river or ocean current turbine
KR20180087243A (ko) 재생가능 에너지원으로부터 에너지를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503727B1 (ko) 소수력발전장치
KR102349564B1 (ko) 멀티 터빈을 포함하는 유량 대응형 소수력 발전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EP3008330B1 (en) Run-of-the-river or ocean current turbine
KR20100008648A (ko) 수력 발전장치
CN104344956A (zh) 一种风力发电齿轮箱轴承故障模拟方法
US10982645B2 (en) River and tidal turbine with power control
KR20160062919A (ko) 회전형 고정자를 포함하는 이중여자 유도형 발전기
JP2015218720A (ja) 水力発電装置
CN212615148U (zh) 用于大型河流的水车发电装置
US11111898B2 (en) Voltage converter-controlled damless hydrokinetic river turbines
KR101956720B1 (ko) 수위 조절이 용이한 소수력발전 시스템
KR101702811B1 (ko) 부력을 이용한 발전 장치
KR20100093203A (ko) 다단 발전기 풍력 발전 시스템
Gautam Intelligent Control of Doubly-Fed Induction Generator Based Variable Speed Wind Turbine
Veach et al. Wide radius, multi-pole gearless DFIG for in-stream hydroelectric generation
KR200410891Y1 (ko) 원자력, 화력, 수력, 조력 발전소용 양방향 발전장치
KR101442789B1 (ko) 보조발전기가 설치된 수차발전시스템 및 이에 따른 제어방법
PRATHAP et al. Maximum Power Extraction from Wind Turbine with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Generator using MPPT Control Scheme
WO2021061073A2 (en) Gravity-working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