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779B1 - 졸음 경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졸음 경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779B1
KR102348779B1 KR1020200058365A KR20200058365A KR102348779B1 KR 102348779 B1 KR102348779 B1 KR 102348779B1 KR 1020200058365 A KR1020200058365 A KR 1020200058365A KR 20200058365 A KR20200058365 A KR 20200058365A KR 102348779 B1 KR102348779 B1 KR 102348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drowsiness
test subject
subje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8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1129A (ko
Inventor
채문기
권동열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to KR10202000583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779B1/ko
Priority to US17/998,727 priority patent/US20230172487A1/en
Priority to PCT/KR2021/006052 priority patent/WO2021230696A1/ko
Publication of KR20210141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1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03Detecting eye twink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3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by tracking eye movement, gaze, or pupil chan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68Evaluating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6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 A61B5/18Devices for psychotechnics; Testing reaction times ; Devices for evaluating the psychological state for vehicle drivers or machine ope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09Sleep detection, i.e. determining whether a subject is asleep or 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06Sleep evaluation
    • A61B5/4812Detecting sleep stages or cy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Bio-feedba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13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a specific body part
    • A61B5/6814Head
    • A61B5/6821Ey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3Treatment planning systems
    • A61N5/1037Treatment planning systems taking into account the movement of the target, e.g. 4D-image based pl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48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 A61N5/1064Monitoring, verifying, controlling systems and methods for adjusting radiation treatment in response to monitoring
    • A61N5/1065Beam adjustment
    • A61N5/1067Beam adjustment in real time, i.e. during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hys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ology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졸음 경고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치료 장비를 이용하여 치료 중인 검사대상자의 상부 눈꺼풀 또는 하부 눈꺼풀 중 어느 하나에 장착 가능한 제1 센서유닛과, 상기 검사대상자의 상부 눈꺼풀 또는 하부 눈꺼풀 중 다른 하나에 장착가능한 제2 센서유닛과, 상기 검사대상자의 졸음을 방지하기 위한 졸음 방지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부와, 상기 제1 센서유닛과 상기 제2 센서유닛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대상자의 졸음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워진 상태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검사대상자가 졸음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출력부가 상기 검사대상자에게 졸음 방지 신호를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졸음 경고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졸음 경고 시스템 및 방법{Drowsiness warning system and method}
본 발명은 검사대상자의 졸음을 방지 및 경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SBRT(Stereotatic Body Radiation Therapy) 나 IMPT(Intensity Modulated Proton Therapy)의 게이팅(gating) 치료가 수행 되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의 치료는 기존에 비해 훨씬 많은 치료 시간이 소요 된다. 긴 치료시간(최대 1시간~2시간)은 환자로 하여금 졸음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으며, 환자의 졸음은 치료 시간이 더욱 지연시키거나, 부정확한 치료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환자의 졸음 및 집중력 저하를 방지함으로써 원활한 치료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현재, 환자의 졸음을 확인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어 적외선 카메라와 같은 감시 장치를 사용하여, 환자의 호흡 주기(respiratory cycle)에 따른 호흡 패턴을 관찰하여, 이를 모니터링하는 근무자의 주관적 판단에 기초하여 환자의 호흡 패턴에 이상이 발견되면 치료실내부로 이어져있는 마이크를 통하여 안내방송을 하여, 환자를 깨우고 있을 뿐이며, 현실적으로 환자가 졸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인 시스템 또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20-0392762호(2005.08.04)
본 발명의 목적은 장시간의 치료 중인 검사대상자의 졸음을 방지할 수 있는 졸음 경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졸음 경고 시스템은, 치료 장비를 이용하여 치료 중인 검사대상자의 상부 눈꺼풀 또는 하부 눈꺼풀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제1 센서유닛과, 상기 검사대상자의 상부 눈꺼풀 또는 하부 눈꺼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되, 상기 제1 센서유닛과 마주보는 제2 센서유닛과, 상기 검사대상자의 신체의 일부에 배치되고, 상기 검사대상자의 졸음을 방지하기 위한 졸음 방지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부와, 상기 제1 센서유닛과 상기 제2 센서유닛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대상자의 졸음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워진 상태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검사대상자가 졸음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출력부가 상기 검사대상자에게 졸음 방지 신호를 전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치료 장비와 연결되어, 상기 검사대상자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치료 장비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자의 졸음 상태를 검사자에게 알려주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대상자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알림부가 상기 검사자에게 알리기 위한 졸음 알림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졸음 방지 신호는 소리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신호와, 광 신호를 포함하는 제2 신호와, 진동 신호를 포함하는 제3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검사대상자에게 상기 제1 신호 내지 제3 신호를 단계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검사대상자에게 상기 제1 신호 내지 제3 신호 중 적어도 일부를 동시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졸은 경고 방법은, 치료 장비를 이용하여 치료할 대상인 검사대상자의 눈꺼풀에 제1 센서유닛 및 제2 센서유닛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센서유닛과 상기 제2 센서유닛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거리를 기 설정된 거리와 비교하는 단계와, 측정된 상기 거리가 상기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시간을 기 설정된 시간과 비교하는 단계와, 측정된 상기 거리 및 상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대상자의 졸음상태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대상자가 졸음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검사대상자에게 졸음 방지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자가 졸음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가 상기 치료 장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자가 졸음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알림부가 검사자에게 알리기 위한 졸음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졸음 방지 신호는 소리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신호와, 광 신호를 포함하는 제2 신호와, 진동 신호를 포함하는 제3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자에게 졸음 방지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검사대상자에게 상기 제1 신호 내지 제3 신호를 단계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자에게 졸음 방지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검사대상자에게 상기 제1 신호 내지 제3 신호 중 적어도 일부를 동시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졸음 경고 시스템 및 방법은 검사대상자의 상부 눈꺼풀 및 하부 눈꺼풀 사이의 거리 측정을 통해 치료 중인 검사대상자의 졸음 상태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치료 중인 검사대상자의 졸음에 의한 자세 변화를 방지하여 치료의 정확성 및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졸음 경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검사대상자가 눈을 감은 상태 및 눈을 뜬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유닛들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졸음 방지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졸음 경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졸음 경고 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졸음 경고 방법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각 구성요소의 설명에 있어서, 상(on)에 또는 하(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on)과 하(under)는 직접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하며, 상(on) 및 하(under)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졸음 경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검사대상자가 눈을 감은 상태 및 눈을 뜬 상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유닛들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졸음 방지 신호를 전달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졸음 경고 시스템(10)은 제1 센서유닛(100)과, 제2 센서유닛(200)과, 제어부(300)와, 출력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졸음 경고 시스템(10)은 알림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졸음 경고 시스템(10)은 검사대상자(P)가 치료 장비(20)를 이용하여 치료 또는 검사 중에 검사대상자(P)의 졸음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이때, 치료 장비(20)는 예를 들어, MRI나 방사선 치료 장비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에 따른 졸음 경고 시스템(10)은 예를 들어, 차량을 운전 중인 운전자와 같이, 치료 목적은 아니지만, 졸음 방지가 필요한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1 센서유닛(100)은 검사대상자(P)의 신체 중 어느 한 부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센서유닛(100)은 제1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센서유닛(200)은 검사대상자(P)의 신체 중 다른 부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때 제2 센서유닛(200)은 제2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센서유닛(100)은 제1 센서를 통해 검사대상자(P)의 신체 중 어느 한 부분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2 센서유닛(200)은 제2 센서를 통해 검사대상자(P)의 신체 중 다른 부분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센서유닛(100)과 제2 센서유닛(200)은 제어부(300)와 연결되고, 측정한 검사대상자(P)의 신체 부분의 위치를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센서유닛(100)은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 또는 하부 눈꺼풀(A2) 중 어느 하나에 장착 가능하고, 제2 센서유닛(200)은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 또는 하부 눈꺼풀(A2) 중 다른 하나에 장착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제1 센서유닛(100)은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에 장착 가능하며, 제2 센서유닛(200)은 검사대상자(P)의 하부 눈꺼풀(A2)에 장착 가능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센서유닛(100)은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으며, 제2 센서유닛(200)은 검사대상자(P)의 하부 눈꺼풀(A2)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센서유닛(100)은 치료 장비(20)를 이용하여 검사대상자(P)를 치료하는 과정 전반에 걸쳐 상부 눈꺼풀(A1)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그리고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유닛(100)은 측정된 상부 눈꺼풀(A1)의 위치를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서유닛(200)은 치료 장비(20)를 이용하여 검사대상자(P)를 치료하는 과정 전반에 걸쳐 하부 눈꺼풀(A2)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그리고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2 센서유닛(200)은 측정된 하부 눈꺼풀(A2)의 위치를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 센서유닛(100)과 제2 센서유닛(200)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검사대상자(P)의 졸음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예를 들어, 졸음 경고 시스템(10)의 제어용 컴퓨터에 장착되는 회로기판이나, 회로기판에 장착되는 컴퓨터 칩이나, 컴퓨터 칩에 내장되거나 제어용 컴퓨터에 내장되는 소프트웨어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에 장착된 제1 센서유닛(100)의 위치와, 검사대상자(P)의 하부 눈꺼풀(A2)에 장착된 제2 센서유닛(200)의 위치에 기초하여,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과 하부 눈꺼풀(A2)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산출된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과 하부 눈꺼풀(A2) 사이의 거리를 기 설정된 거리와 비교하여, 상부 눈꺼풀(A1)과 하부 눈꺼풀(A2)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보다 가까운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과 하부 눈꺼풀(A2)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상태를 눈꺼풀 근접상태로 정의하기로 한다.
제어부(300)는 제1 센서유닛(100)과 제2 센서유닛(200)에서 측정된 상부 눈꺼풀(A1) 및 하부 눈꺼풀(A2)의 위치를 전달받아, 상부 눈꺼풀(A1)과 하부 눈꺼풀(A2) 사이의 거리를 치료 과정 전반에 걸쳐 계속적으로 산출하고, 이에 의해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어부(300)는 검사대상자(P)가 치료 시작 시점의 깨어 있는 상태인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과 하부 눈꺼풀(A2) 사이의 제1 거리(r1)를 산출하고,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변화되는 검사 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과 하부 눈꺼풀(A2) 사이의 제2 거리(r2)를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산출된 제2 거리(r2)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제어부(300)는 상부 눈꺼풀(A1)과 하부 눈꺼풀(A2) 사이의 거리가 제2 거리(r2)로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과 하부 눈꺼풀(A2)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보다 가까운 경우, 눈꺼풀 근접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과 하부 눈꺼풀(A2)이 눈꺼풀 근접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긴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눈꺼풀 근접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긴 경우,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기 설정된 시간은 2초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제어부(300)는 눈꺼풀 근접상태가 2초 이상 유지되면,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출력부(4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출력부(400)가 졸음 방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치료 장비(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300)는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치료 장비(20)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치료 장비(20)가 방사선 치료 장비인 경우, 이러한 방사선 치료 장비의 내부에서 치료 중인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0)는 방사선 치료 장비의 작동을 정지시켜, 검사대상자(P)에게 방사선이 조사되는 것을 멈추고, 방사선 치료를 중단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치료 중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인 경우 방사선 치료를 중단시킴으로써, 졸음 상태로 인한 검사대상자(P)의 자세 변화에 의해 검사대상자(P)의 정상 신체 부위로 불필요한 방사선의 조사가 이루어 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검사대상자(P)의 졸음 상태 시 제어부(300)에 의해 자동적으로 방사선 치료가 중단됨으로써, 검사대상자(P)의 상태를 계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없게 되어, 검사 및 치료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출력부(400)는 검사대상자(P)의 졸음을 방지하거나, 검사대상자(P)를 졸음 상태에서 깨어나게 하기 위한 졸음 방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출력부(400)는 제어부(300)에 의해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졸음 방지 신호를 생성하여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에서 깨도록 유도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검사대상자(P)를 모니터링하는 검사자가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가 될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졸음 방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출력부(4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어부(300)에 의한 제어와 검사자에 의한 제어를 포함하는 이중 제어에 의해 검사대상자(P)가 치료 중 졸음 상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출력부(400)는 제1 신호(S1)를 생성하는 제1 신호생성부(410)와, 제2 신호(S2)를 생성하는 제2 신호생성부(420)와, 제3 신호(S3)를 생성하는 제3 신호생성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400)에 의해 생성되는 졸음 방지 신호는 제1 신호(S1) 내지 제3 신호(S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신호생성부(410)는 검사대상자(P)의 졸음을 방지하기 위한 제1 신호(S1)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신호(S1)는 예를 들어, 경고음과 같은 소리 신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예로서 제1 신호(S1)는 서로 다른 종류의 복수의 소리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신호생성부(410)는 검사대상자(P)의 머리 및 그 주변부(예를 들어, 검사대상자(P)의 귀 주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300)에 의해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신호생성부(410)에서 생성된 제1 신호(S1)를 검사대상자(P)에게 전달함으로써 검사대상자(P)를 졸음 상태에서 깨어나게 할 수 있다. 한편, 검사대상자(P)가 제1 신호(S1)에 의해 졸음 상태에서 깨어나지 않는 경우, 제어부(300)는 제1 신호(S1)에 포함된 소리 신호의 종류, 신호의 크기 등을 변경하여 새로운 제1 신호(S1)를 생성하도록 출력부(400)를 제어하여, 새롭게 생성된 제1 신호(S1)를 검사대상자(P)에게 전달할 수 있다.
제2 신호생성부(420)는 검사대상자(P)의 졸음을 방지하기 위한 제2 신호(S2)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신호생성부(420)는 조명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신호(S2)는 조명에 의해 방출된 빛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신호생성부(420)는 검사대상자(P)의 머리 주변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300)에 의해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신호생성부(420)에서 생성된 제2 신호(S2)를 검사대상자(P)에게 전달함으로써 검사대상자(P)를 깨울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신호생성부(420)는 생성된 빛을 졸음 상태인 검사대상자(P)의 눈 및 그 주변부로 방출하여, 검사대상자(P)의 졸음을 깨울 수 있다.
제2 신호생성부(420)는 제2 신호(S2)에 포함된 빛의 세기, 조사 시간 등을 변경하여 검사대상자(P)에게 전달함으로써 검사대상자(P)의 졸음을 깨울 수 있다.
제3 신호생성부(430)는 검사대상자(P)의 졸음을 방지하기 위한 제3 신호(S3)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제3 신호(S3)는 검사대상자(P)의 졸음 상태를 깨우기 위한 충격을 검사대상자(P)에게 전달하기 위한 신호일 수 있다. 제3 신호(S3)는 예를 들어, 진동 신호, 전기충격 신호일 수 있으며, 또는 상기한 신호들 모두를 포함하는 신호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제3 신호(S3)는 검사대상자(P)에 소정의 충격을 전달하여 졸음을 깨울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3 신호생성부(430)는 검사대상자(P)의 졸음 상태에 따라 제3 신호(S3)의 세기 및 주기를 변경하여 검사대상자(P)에게 제3 신호(S3)를 전달할 수 있다.
제3 신호생성부(430)는 검사대상자(P)의 신체 중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3 신호생성부(430)는 검사대상자(P)의 팔목과 발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3 신호생성부(430)에 의해 생성된 제3 신호(S3)가 검사대상자(P)의 팔목 또는 손목으로 전달되어 소정의 충격을 전달함으로써, 검사대상자(P)의 졸음을 깨울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3 신호생성부(430)는 검사대상자(P)를 지지하는 검사용 침대(B)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300)에 의해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3 신호(S3)가 검사용 침대(B)를 통해 검사대상자(P)에게 전달(예를 들어, 검사용 침대(B)가 소정의 세기 및 주기로 흔들리는 방식으로 전달)되어, 검사대상자(P)의 졸음을 깨울 수 있다.
출력부(400)는 생성된 졸음 방지 신호를 검사대상자(P)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출력부(400)는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신호(S1) 내지 제3 신호(S3)를 단계적으로 검사대상자(P)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단계적으로 전달한다는 것은, 검사대상자(P)에게 제1 신호(S1)와, 제2 신호(S2)와, 제3 신호(S3)를 차례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는 검사대상자(P)에게 제1 신호(S1) 내지 제3 신호(S3)를 전달하는 순서 및 신호의 세기를 변경하면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세기의 제1 신호(S1) 내지 제3 신호(S3)가 검사대상자(P)에게 차례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1 신호(S1)가 유지되는 제1 시간(t1)과, 제2 신호가 유지되는 제2 시간(t2)과, 제3 신호가 유지되는 제3 시간(t3)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S1) 내지 제3 신호(S3)는 동일한 세기로, 순차적으로 검사대상자(P)에게 전달될 수 있고, 동시에 제1 시간(t1) 내지 제3 시간(t3)은 점차 늘어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신호(S1) 내지 제3 신호(S3)가 전달되는 순서가 변경되거나, 제1 시간(t1) 내지 제3 시간(t3)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사대상자(P)에게 주입되는 제1 신호(S1)의 세기(C1)와, 제2 신호의 세기(C2)와, 제3 신호(S3)의 세기(C3)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S1)의 세기(C1)와, 제2 신호의 세기(C2)와, 제3 신호(S3)의 세기(C3)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면서, 검사대상자(P)에게 순차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신호(S1)가 끝나는 시점과 제2 신호(S2)가 시작되는 시점 사이에 제1 인터벌(interval)(td1)이 존재하고, 제2 신호(S2)가 끝나는 시점과 제3 신호가 시작되는 시점 사이에 제2 인터벌(td2)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제1 인터벌(td1)과 제2 인터벌(td2)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인터벌(td1)과 제2 인터벌(td2)은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신호(S1) 내지 제3 신호(S3)가 전달되는 순서가 변경되거나, 제1 시간(t1) 내지 제3 시간(t3)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신호(S1)가 끝나는 시점과 제2 신호(S2)가 시작되는 시점 사이 및 제2 신호(S2)가 끝나는 시점과 제3 신호가 시작되는 시점 사이에는 인터벌이 존재하지 않고, 연속되어 신호가 검사대상자(P)에게 전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제1 신호(S1) 내지 제3 신호(S3)가 전달되는 순서는 변경될 수 있고, 제1 시간(t1) 내지 제3 시간(t3)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제1 신호(S1) 내지 제3 신호(S3)를 검사대상자(P)에게 전달한 후에도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출력부(400)가 새로운 추가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출력부(400)는 검사대상자(P)에게 추가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출력부(400)가 제1 신호(S1) 내지 제3 신호(S3)를 검사대상자(P)에게 단계적으로 전달함으로써, 졸음 상태인 검사대상자(P)에게 상이한 종류 및/또는 세기의 신호에 의한 상이한 종류 및/또는 세기의 자극(또는 충격)을 단계적으로 가함으로써,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에서 확실하게 벗어나게 할 수 있다. 또한, 졸음 상태인 검사대상자(P)가 어느 하나의 신호에 의한 자극에 적응하여 졸음 상태에서 깨어나지 못하는 경우에도, 상이한 종류 및/또는 세기의 신호를 검사대상자(P)에게 가함으로써, 검사대상자(P)의 졸음을 깨우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출력부(400)는 제1 신호(S1)와, 제2 신호(S2)와, 제3 신호(S3) 중 적어도 일부를 동시에 검사대상자(P)에게 전달할 수 있다. 일 예로, 출력부(400)는 제1 신호(S1) 내지 제3 신호(S3)를 동시에 검사대상자(P)에게 전달하여 검사대상자(P)의 졸음을 깨울 수 있다.
다른 예로, 출력부(400)는 제1 신호(S1) 내지 제3 신호(S3) 중 두 개의 신호를 동시에 검사대상자(P)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력부(400)는 제1 신호(S1)와 제2 신호(S2)를 동시에 검사대상자(P)에게 소정의 시간 동안 전달한 후, 검사대상자(P)가 여전히 졸음 상태로 판단되면 제2 신호(S2)와 제3 신호(S3)를 동시에 검사대상자(P)에게 전달하여, 검사대상자(P)의 졸음을 깨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함께 전달되는 두 개의 신호의 종류는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출력부(400)는 제1 신호(S1) 내지 제3 신호(S3) 외의 추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출력부(400)는 세 개 이상의 신호를 동시에 검사대상자(P)에게 전달하여, 검사대상자(P)의 졸음을 깨울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출력부(400)에 의해 생성된 서로 다른 복수개의 신호를 조합하여 검사대상자(P)에게 전달함으로써, 단일 신호만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검사대상자(P)의 졸음을 깨우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알림부(500)는 검사대상자(P)의 졸음 상태를 검사자(미도시)에게 알려줄 수 있다. 여기서 검사자는 치료 장비(20)를 컨트롤하여 검사대상자(P)를 치료하거나, 치료 장비(20)에 의해 치료되는 검사대상자(P)를 모니터링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알림부(500)는 제어부(300)와 연결되어, 제어부(300)로부터 검사대상자(P)의 졸음 상태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알림부(500)가 검사자에게 검사대상자(P)의 졸음 상태를 알리기 위한 졸음 알림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알림부(500)는 예를 들어, 알림음을 생성할 수 있는 음향 장치이거나, 환자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알림부(500)는 음향부와 디스플레이부를 모두 포함하는 장비일 수도 있다.
알림부(500)에 의해 생성된 졸음 알림 신호에 의해, 검사자는 치료 중인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검사자는 치료 장비(20)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출력부(400)를 직접 컨트롤하여 검사대상자(P)에게 졸음 방지 신호를 전달함으로써 검사 대상자(P)의 졸음을 깨울 수 있다. 이에 의해, 제어부(300)에 의한 출력부(400) 및/또는 치료 장비(20)의 제어와, 검사자에 의한 출력부(400) 및/또는 치료 장비(20)의 제어를 포함하는 이중 제어 방식을 통해, 검사대상자(P)가 치료 도중 졸음 상태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검사대상자(P)의 정상 신체 부위에 불필요한 방사선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졸음 경고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졸음 경고 시스템의 일부를 도시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졸음 경고 시스템(10)은 제1 센서유닛(100)과, 제2 센서유닛(200)과, 제어부(300)와, 출력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졸음 경고 시스템(10)은 알림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센서유닛(100)은 제1 센서(110) 및 제1 마커(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센서(110)는 제1 마커(12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제2 센서유닛(200)은 제2 센서(210) 및 제2 마커(2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센서(210)는 제2 마커(22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제1 센서(110)는 검사대상자(P)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1 마커(120)는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 또는 하부 눈꺼풀(A2) 중 어느 하나에 장착 가능할 수 있다. 이때 제2 센서(210)는 검사대상자(P)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제2 마커(220)는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 또는 하부 눈꺼풀(A2) 중 다른 하나에 장착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제1 마커(120)는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에 장착 가능하고, 제2 마커(220)는 검사대상자(P)의 하부 눈꺼풀(A2)에 장착 가능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센서(110)는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에 장착된 제1 마커(120)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2 센서(210)는 검사대상자(P)의 하부 눈꺼풀(A2)에 장착된 제2 마커(22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110)는 측정된 제1 마커(120)의 위치 및 제2 마커(220)의 위치를 제어부(3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300)는 전달받은 제1 마커(120)의 위치 및 제2 마커(220)의 위치에 기초하여,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과 하부 눈꺼풀(A2)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산출된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과 하부 눈꺼풀(A2)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 보다 가까운 경우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함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210)는 지지대(S)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대(S)는 검사대상자(P)와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210)가 검사대상자(P)에 장착된 제1 마커(120) 및 제2 마커(2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지지대(S)에는 제2 신호생성부(4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신호생성부(420)는 제2 신호(S2)를 생성하여, 검사대상자(P)의 눈꺼풀 주변부에 빛을 조사하여 검사대상자(P)의 졸음을 깨울 수 있다.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210)가 검사대상자(P)에 장착된 제1 마커(120) 및 제2 마커(220)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한편, 지지대(S)에는 제2 신호생성부(4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2 신호생성부(420)는 제2 신호(S2)를 생성하고, 검사대상자(P)의 눈꺼풀 주변부에 제2 신호(S2)에 포함된 빛을 조사하여 검사대상자(P)의 졸음을 깨울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 센서(110) 및 제2 센서(210)는 탈착형 지지대(G)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탈착형 지지대(G)는 검사대상자(P)의 머리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탈착형 지지대(G)는 예를 들어, 고글(goggle) 형태일 수 있다.
탈착형 지지대(G)의 내측면에는 제1 센서(110)와 제2 센서(21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110)는 검사대상자(P)가 탈착형 지지대(G)을 착용 시 상부 눈꺼풀(A1)과 마주보는 탈착형 지지대(G)의 내측면의 일 부분에 배치되고, 제2 센서(210)는 검사대상자(P)가 탈착형 지지대(G)를 착용 시 하부 눈꺼풀(A2)과 마주보는 탈착형 지지대(G)의 내측면의 다른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검사대상자(P)가 탈착형 지지대(G)을 착용한 상태에서, 제1 센서(110)는 제1 마커(120)의 위치를 측정하고, 제2 센서(210)는 제2 마커(22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다.
탈착형 지지대(G)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정부는 탈착형 지지대(G)와 검사대상자(P)의 머리부를 고정할 수 있다. 이때 탈착형 지지대(G)의 고정부에는 제1 신호생성부(410)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1 신호생성부(410)는 검사대상자(P)의 귀 및 그 주변부에 인접하도록 고정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300)에 의해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신호생성부(410)는 제1 신호(S1)를 생성하여 탈착형 지지대(G)를 착용 중인 검사대상자(P)의 귀 및 그 주변부로 경고음 등을 포함하는 제1 신호(S1)을 전달할 수 있다.
탈착형 지지대(G)의 내측면에는 제2 신호생성부(4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300)에 의해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2 신호생성부(420)는 제2 신호(S2)를 생성하여 탈착형 지지대(G)를 착용 중인 검사대상자(P)의 눈 및 그 주변부로 빛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탈착형 지지대(G)에는 제3 신호생성부(430)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300)에 의해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3 신호생성부(430)는 제3 신호(S3)를 생성하여 탈착형 지지대(G)를 착용 중인 검사대상자(P)의 머리부로 진동 등의 제3 신호(S3)을 전달하여, 검사대상자(P)의 졸음을 깨울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탈착형 지지대(G)에 의해 센서유닛(100, 200) 및 출력부(400)가 검사대상자(P)에 안정적으로 고정됨으로써, 치료 중 검사대상자(P)의 움직임 등에 의해 검사대상자(P)의 자세가 변하는 것에 의한 제1 센서유닛(100) 및 제2 센서유닛(200)에 의한 검사대상자(P)의 졸음 상태 여부 측정의 정확도가 하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치료를 필요한 신체 부위가 검사대상자(P)의 몸 정면부가 아닌, 측면 또는 후면에 위치하는 경우에도, 검사대상자(P)의 자세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여, 검사대상자(P)의 졸음 상태 여부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300)와, 출력부(400)와, 알림부(500)의 구체적인 특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졸음 경고 방법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졸음 경고 시스템(10)을 이용한 졸음 경고 방법은 아래와 같을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센서유닛(100) 및 제2 센서유닛(200)이 각각 상부 눈꺼풀(A1)과 하부 눈꺼풀(A2)에 장착 가능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1 센서유닛(100)을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에 장착하고, 제2 센서유닛(200)을 검사대상자(P)의 하부 눈꺼풀(A2)에 장착할 수 있다(S10). 이러한 경우 제1 센서유닛(100)은 상부 눈꺼풀(A1)의 위치를 측정하여 제어부(300)로 전달하고, 제2 센서유닛(200)은 하부 눈꺼풀(A2)의 위치를 측정하여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300)는 전달받은 상부 눈꺼풀(A1)의 위치 및 하부 눈꺼풀(A2)의 위치에 기초하여,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과 하부 눈꺼풀(A2)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300)는 산출된 상부 눈꺼풀(A1)과 하부 눈꺼풀(A2)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 일 실시예로서,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과 하부 눈꺼풀(A2)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상태(즉, 눈꺼풀 근접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300)는 눈꺼풀 근접상태가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할 수 있다(S40). 다른 실시예로서,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과 하부 눈꺼풀(A2)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먼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0)는 검사대상자(P)가 깨어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치료를 계속 할 수 있다.
다음,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과 하부 눈꺼풀(A2) 사이의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경우, 제어부(300)는 측정된 눈꺼풀 근접상태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긴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0).
일 실시예로서, 측정된 눈꺼풀 근접상태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긴 경우, 제어부(300)는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0)는 출력부(400)가 졸음 방지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이에 따라 출력부(400)는 졸음 방지 신호를 생성하여 졸음 상태인 검사대상자(P)에게 전달함으로써 검사대상자(P)의 졸음을 깨울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0)는 알림부(500)가 검사자에게 검사대상자(P)가 졸음 상태인 것을 알리기 위한 졸음 알림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고, 이에 따라 알림부(500)는 졸음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검사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측정된 눈꺼풀 근접상태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제어부(300)는 검사대상자(P)가 깨어 있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치료를 계속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졸음 경고 시스템(10) 및 방법은 검사대상자(P)의 상부 눈꺼풀(A1) 및 하부 눈꺼풀(A2) 사이의 거리 측정을 통해 치료 중인 검사대상자(P)의 졸음 상태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치료 중인 검사대상자(P)의 졸음에 의한 자세 변화를 방지하여 치료의 정확성 및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졸음 경고 시스템
20: 치료 장비
100: 제1 센서유닛
200: 제2 센서유닛
300: 제어부
400: 출력부
500: 알림부

Claims (12)

  1. 치료 장비를 이용하여 치료 중인 검사대상자의 상부 눈꺼풀 또는 하부 눈꺼풀 중 어느 하나에 장착 가능한 제1 센서유닛;
    상기 검사대상자의 상부 눈꺼풀 또는 하부 눈꺼풀 중 다른 하나에 장착 가능한 제2 센서유닛;
    상기 검사대상자의 졸음을 방지하기 위한 졸음 방지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부; 및
    상기 제1 센서유닛과 상기 제2 센서유닛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대상자의 졸음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가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워진 상태로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유지되면 상기 검사대상자가 졸음상태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출력부가 상기 검사대상자에게 졸음 방지 신호를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졸음 경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치료 장비와 연결되어, 상기 검사대상자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치료 장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졸음 경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자의 졸음 상태를 검사자에게 알려주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대상자가 졸음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알림부가 상기 검사자에게 알리기 위한 졸음 알림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하는, 졸음 경고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졸음 방지 신호는
    소리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신호;
    광 신호를 포함하는 제2 신호; 및
    진동 신호를 포함하는 제3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졸음 경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검사대상자에게 상기 제1 신호 내지 제3 신호를 단계적으로 전달하는, 졸음 경고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부는 상기 검사대상자에게 상기 제1 신호 내지 제3 신호 중 적어도 일부를 동시적으로 전달하는, 졸음 경고 시스템.
  7. 졸음 경고 시스템은 치료 장비를 이용하여 치료할 대상인 검사대상자의 눈꺼풀에 배치된 제1 센서유닛 및 제2 센서유닛을 이용하여 상부 눈꺼풀 및 하부 눈꺼풀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졸음 경고 시스템은 제어부를 이용하여 상기 상부 눈꺼풀의 위치와 상기 하부 눈꺼풀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상기 상부 눈꺼풀과 상기 하부 눈꺼풀 사이의 거리를 산출하고, 측정된 상기 거리를 기 설정된 거리와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거리가 상기 기 설정된 거리보다 가까운 상태로 유지되는 시간을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시간을 기 설정된 시간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는 측정된 상기 거리 및 상기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검사대상자의 졸음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사대상자가 졸음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검사대상자에게 졸음 방지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졸음 경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자가 졸음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가 상기 치료 장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졸음 경고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자가 졸음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 알림부가 검사자에게 알리기 위한 졸음 알림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졸음 경고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졸음 방지 신호는
    소리 신호를 포함하는 제1 신호;
    광 신호를 포함하는 제2 신호; 및
    진동 신호를 포함하는 제3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졸음 경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자에게 졸음 방지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졸음 경고 시스템은 상기 검사대상자에게 상기 제1 신호 내지 제3 신호를 단계적으로 전달하는, 졸음 경고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대상자에게 졸음 방지 신호를 전달하는 단계는, 상기 검사대상자에게 상기 제1 신호 내지 제3 신호 중 적어도 일부를 동시적으로 전달하는, 졸음 경고 방법.
KR1020200058365A 2020-05-15 2020-05-15 졸음 경고 시스템 및 방법 KR102348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365A KR102348779B1 (ko) 2020-05-15 2020-05-15 졸음 경고 시스템 및 방법
US17/998,727 US20230172487A1 (en) 2020-05-15 2021-05-14 Drowsiness warning system and method
PCT/KR2021/006052 WO2021230696A1 (ko) 2020-05-15 2021-05-14 졸음 경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8365A KR102348779B1 (ko) 2020-05-15 2020-05-15 졸음 경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1129A KR20210141129A (ko) 2021-11-23
KR102348779B1 true KR102348779B1 (ko) 2022-01-07

Family

ID=78524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8365A KR102348779B1 (ko) 2020-05-15 2020-05-15 졸음 경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72487A1 (ko)
KR (1) KR102348779B1 (ko)
WO (1) WO202123069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2269A (ja) 2015-08-25 2017-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瞬目検知装置
JP2019503737A (ja) 2015-12-08 2019-02-14 ブレインステム バイオメトリ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眼センサ、システム、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8847B2 (ja) * 1989-02-21 1995-05-0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眼球運動検出方法及び居眠り検出・防止装置
CA2448806C (en) * 2001-06-13 2011-10-18 Compumedics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consciousness
KR200392762Y1 (ko) 2005-06-03 2005-08-18 (주)엠투비 근적외선 영상 기반 졸음 감지 장치
KR20070051021A (ko) * 2005-11-14 2007-05-17 신성복 동공 수축을 통한 졸음운전 방지방법
JP5270415B2 (ja) * 2009-03-19 2013-08-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眠気判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41753A (ko) * 2017-10-13 2019-04-23 국립암센터 안구종양 치료 시스템의 운전방법 및 이를 위한 안구종양 치료 시스템
KR102060100B1 (ko) * 2018-07-27 2019-12-30 주식회사 이에스피 Uwb 를 이용한 운전자 생체신호 감지 시스템 및 졸음운전 감지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42269A (ja) 2015-08-25 2017-03-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瞬目検知装置
JP2019503737A (ja) 2015-12-08 2019-02-14 ブレインステム バイオメトリ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眼センサ、システム、及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0696A1 (ko) 2021-11-18
US20230172487A1 (en) 2023-06-08
KR20210141129A (ko) 2021-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6122B1 (en) Tissue treatment device
CN106139414B (zh) 一种用于放疗系统的位置监测方法、装置和放疗系统
JP5654482B2 (ja) 光線療法を施す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1430557B1 (ko) 실시간 뇌 혈류 반응을 이용한 뇌 자극 시스템
US9301680B2 (en) Device for monitoring position and movements of an eye, particularly suitable for ocular radiotherapy
CN109248022B (zh) 基于改进的可调光学元件组的角膜治疗装置
WO2005046482A1 (ja) 血栓検出装置及び血栓治療装置及びそれらの方法
TWI433665B (zh) Medical ultrasonic device with irradiation position confirmation function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70119292A (ko) 레이저 및 진동을 이용한 지방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방분해방법
JP3685956B2 (ja) 眼球照射線の制御装置
KR102348779B1 (ko) 졸음 경고 시스템 및 방법
JP2005143684A (ja) リラックス感評価用瞳孔対光反応計測具
US11058596B2 (en) Autoregulation of irradiance in phototherapy systems
KR20100120364A (ko) 피부 치료용 레이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치료 방법
US6723047B1 (en) Volition induction apparatus and input/output apparatus which use optical measuring instrument, and recording medium
KR102183590B1 (ko) 수면 중 피부 치료를 위한 빛 조사장치
US9643028B2 (en) Radiotherapy apparatus
JP2002360543A (ja) 呼吸位相における同期点決定方法、及びそのために用いる呼吸位相モニタ装置
KR20100043958A (ko) 환자 위치 감시 장치
JP3616426B2 (ja) 低出力半導体レーザー治療器
Gardner et al. Psychophysical measurements of perceived intensity of single-point and multiple-point cutaneous stimuli in humans and subhuman primates.
WO2021020528A1 (ja) 血流計
JPH05146517A (ja) 半導体レーザ治療装置
CN209500557U (zh) 一种照射理疗仪用防烫伤报警装置
von der Burchard et al. Real-Time Temperature-Controlled Retinal Laser Irradiation in Rabb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