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569B1 - 이물질 포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설비 - Google Patents

이물질 포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569B1
KR102348569B1 KR1020190147864A KR20190147864A KR102348569B1 KR 102348569 B1 KR102348569 B1 KR 102348569B1 KR 1020190147864 A KR1020190147864 A KR 1020190147864A KR 20190147864 A KR20190147864 A KR 20190147864A KR 102348569 B1 KR102348569 B1 KR 102348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oreign material
collecting device
foreign
material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60165A (ko
Inventor
홍성철
민기영
김동근
권오철
김창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47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569B1/ko
Priority to JP2022528716A priority patent/JP7461474B2/ja
Priority to CN202080079947.XA priority patent/CN114728375B/zh
Priority to US17/777,471 priority patent/US20230027665A1/en
Priority to PCT/KR2020/016149 priority patent/WO2021101206A1/ko
Priority to EP20888835.4A priority patent/EP4063059A4/en
Publication of KR202100601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01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magne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62Laser etching
    • B23K26/364Laser etching for making a groove or trench, e.g. for scribing a break initiation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35Open gradient magnetic separators, i.e. separators in which the gap is unobstructed,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g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 B03C1/284Magnetic plugs and dipsticks with associated cleaning means, e.g. retractable non-magnetic slee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28Magnetic plugs and dipsticks
    • B03C1/286Magnetic plugs and dipsticks disposed at the inner circumference of a recipient, e.g. magnetic drain bo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4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from a small area, e.g. a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3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workpiece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 B23K26/0838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workpiece in at least one axial direction by using an endless conveyor be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12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in a special atmosphere, e.g. in an enclosure
    • B23K26/127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in a special atmosphere, e.g. in an enclosure in an en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16Removal of by-products, e.g. particles or vapours produced during treatment of a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40Removing material taking account of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olv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0Magnetic separation whereby the particles to be separated are in solid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2201/00Details of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 B03C2201/28Parts being easily removable for clean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1/00Articles made by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2101/18Sheet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02Iron or ferrous alloys
    • B23K2103/04Steel or steel allo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Manufacturing Of Steel Electrode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는 자성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진입하는 유입구와, 자성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포집바디유닛 및 상기 포집바디유닛에 연계되며, 상기 포집바디유닛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상기 공기 중에서 상기 자성 이물질을 인력에 의해서 분리하는 자석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자석부재를 감싸는 비자성부재가 구비된 자기분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물질 포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설비{Alien substance capturing apparatus and electrical steel sheet manufacturing facility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이물질 포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설비에 관한 것이다.
변압기와 같은 전기기기의 전력손실을 줄이고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철손이 낮고 자속밀도가 높은 자기적 특성을 지닌 방향성 전기강판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 즉 방향성 전기강판의 표면에 홈을 형성 시킬 수 있는 고출력 연속파 레이저 빔을 인가하여 홈을 생성함으로써 철손을 개선 시키는 자구미세화 공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고정의 일례로, 펄스 레이저 조사에 의한 물질의 증착(Vaporization)으로 홈을 형성시킴으로써, 방향성 전기강판의 열처리 후 철손 개선율을 확보하는 기술 등이 제시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영구자구미세화를 위한 방법들은 강판 표면에 홈을 형성해야 하는데, 이때 강판 표면부는 입자, 칩(Chip), 스패터(Spatter), 퓸(Fume) 등의 다양한 형태의 이물질이 형성된다.
이러한 이물질은 발생 즉시 제거되어야 하며, 이물질의 발생 즉시 제거되지 않으면, 주변설비를 오염시키고 작업환경을 악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특히, 레이저를 강판에 전송하는 광학계가 오염되면 성능이 급속하게 저하되어 홈 가공 품질 및 생산성을 확보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물의 완전한 제거를 위한 포집이 필요하며, 스패터와 퓸 등과 같은 이물질을 포집하여 제거하기 위해서는, 스패터와 퓸 등 이물질의 특성을 고려하여 포집 장치 및 방법을 설계해야 한다.
여기서, 스패터 (Spatter)는 모양이 대략 구형이고 직경이 수 백 nm에서 수 십 um 범위의 크기를 가지고 성분이 Fe, Si, C, O로 구성되며, 자성 이물질을 포함하고 있어, 이의 제거가 문제된다.
더욱이, 자성 이물질은 자성부재에 부착 후에 탈락시켜 수집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 내지 한계를 개선할 할 수 있는 이물질 포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설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 출원 번호 제10-2018-0032765호
본 발명은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이물질 포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이물질의 제거시에 자력에 의해서 부착된 자성 이물질을 용이하게 탈락시킬 수 있는 이물질 포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설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는 자성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진입하는 유입구와, 자성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포집바디유닛; 및 상기 포집바디유닛에 연계되며, 상기 포집바디유닛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상기 공기 중에서 상기 자성 이물질을 인력에 의해서 분리하는 자석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자석부재를 감싸는 비자성부재가 구비된 자기분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비자성부재는, 상기 포집바디유닛에 결합되며, 비자성체로 형성된 비자성판부; 및 상기 비자성판부에 결합되되, 복수 개의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기 자석부재에 대응되게 복수 개의 관재 형상으로 구비되며, 비자성체로 형성된 수용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자성부재는,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의 상류에 배치되는 제1열의 수용관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의 하류에 배치되는 제2열의 수용관부 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배치될 수 있다.
삭제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의 상기 수용관부는, 이웃하는 수용관부와의 간격이 적어도 30mm보다 작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의 상기 수용관부는, 외면에 둘레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끌림방지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의 상기 끌림방지탭은, 도넛 디스크 형태로 상기 수용관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삭제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의 상기 자기분리유닛은, 상기 자석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자석부재를 상기 포집바디유닛에 결합된 상기 비자성부재로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의 상기 포집바디유닛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비자성부재가 결합되는 연통관부재 및 상기 연통관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통관부재에서 낙하하는 자성 이물질을 수용하는 언더박스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는 상기 비자성부재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비자성부재로 유체를 분사하는 샤워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의 상기 샤워유닛은, 하방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는 전기강판이 제공되는 레이저룸, 상기 레이저룸의 내부에 구비되며,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전기강판 표면에 홈을 형성하는 레이저장치 및 상기 전기강판 표면에서 비산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후드부재에 연계되어 자성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전달받는 상기 이물질 포집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물질 포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설비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이물질 포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설비는 이물질의 제거시에 자력에 의해서 부착된 자성 이물질을 용이하게 탈락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물질 포집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물질 포집장치에서 자기분리유닛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물질 포집장치에서 자기분리유닛의 수용관부의 간격을 조정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이물질 포집장치에서 자기분리유닛이 공기 유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물질 포집장치에서 자기분리유닛의 수용관부에 끌림방지탭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물질 포집장치에서 샤워유닛이 하방 경사진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강판 제조설비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물질 포집장치(1)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설비에 관한 것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다른 측면에서 이물질의 제거시에 자력에 의해서 부착된 자성 이물질을 용이하게 탈락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이물질 포집장치(1)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1)는 자성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진입하는 유입구(111)와, 자성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112)가 형성된 포집바디유닛(100) 및 상기 포집바디유닛(100)에 연계되며, 상기 포집바디유닛(10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상기 공기 중에서 상기 자성 이물질을 인력에 의해서 분리하는 자석부재(210)를 포함하되, 상기 자석부재(210)를 감싸는 비자성부재(220)가 구비된 자기분리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이물질 포집장치(1)는 상기 자기분리유닛(200)에서 자성 이물질을 자력에 의해서 분리하는 자석부재(210)를 포함함에 의해서 자성 이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부재(210)를 감싸게 구비되는 비자성부재(220)에 의해서 상기 자성 이물질이 상기 자석부재(210)에 직접 부착되지 않게 구성하여 상기 자성 이물질의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포집바디유닛(100)은 상기 자기분리유닛(200) 등이 구비되는 장치의 바디 역할을 하게 되며, 자성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고, 또한 상기 자기분리유닛(200)을 통과하여 자성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유입구(111)와 유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포집바디유닛(100)에는 후술할 샤워유닛(300)도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자기분리유닛(200)에 부착된 자성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탈락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상기 포집바디유닛(100)은 상기 자기분리유닛(200)에서 탈락한 자성 이물질을 수집하는 언더박스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 분리된 자성 이물질의 처리를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1)의 상기 포집바디유닛(100)은, 상기 유입구(111)와 상기 유출구(112)가 형성되되, 상기 비자성부재(220)가 결합되는 연통관부재(110) 및 상기 연통관부재(1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통관부재(110)에서 낙하하는 자성 이물질을 수용하는 언더박스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통관부재(110)는 상기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연통관부재(110)에는 상기 유입구(111)와 유출구(112)가 형성되어 공기가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통관부재(110)에는 상기 자기분리유닛(200)이 구비되어, 상기 연통관부재(110)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서 자성 이물질을 분리하여 상기 공기에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통관부재(110)에는 상기 샤워유닛(300)도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서 상기 자기분리유닛(200)에 부착된 자성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탈락시킬 수 있다.
상기 언더박스부재(120)는 상기 자기분리유닛(200)에 의해서 분리된 자성 이물질이 상기 자기분리유닛(200)에서 탈락하여 낙하하면, 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언더박스부재(120)는 상기 자기분리유닛(200)이 구비되는 상기 연통관부재(1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낙하하는 자성 이물질을 수집하기 위해서, 상기 연통관부재(110)의 하부와 연통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기분리유닛(200)은 상기 자성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에서 자성 이물질을 분리하여 제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자기분리유닛(200)은 상기 공기가 유동하는 상기 포집바디유닛(100)에 연계되며, 자력에 의해서 상기 자성 이물질을 분리하는 자석부재(210)을 포함하고, 또한 상기 자성 이물질이 상기 자석부재(210)에 직접 부착되지 않도록 상기 자석부재(210)를 감싸는 비자성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석부재(210)에서 의해서 분리되어, 상기 자석부재(210)의 자력에 의해서 상기 비자성부재(220)의 외면에 부착되는 자성 이물질은 상기 자석부재(210)가 상기 비자성부재(220)에서 빠져나가면서 탈락할 수 있게 구성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물질 포집장치(1)에서 자기분리유닛(200)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이물질 포집장치(1)에서 자기분리유닛(200)의 수용관부(222)의 간격(I)을 조정한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이물질 포집장치(1)에서 자기분리유닛(200)이 공기 유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1)의 상기 비자성부재(220)는, 상기 포집바디유닛(100)에 결합되며, 비자성체로 형성된 비자성판부(221) 및 상기 비자성판부(221)에 결합되되, 복수 개의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기 자석부재(210)에 대응되게 복수 개의 관재 형상으로 구비되며, 비자성체로 형성된 수용관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비자성부재(220)는, 상기 비자성판부(221), 수용관부(222)를 포함함에 의해서, 상기 자석부재(210)가 상기 비자성부재(220)에서 빠져나가면서 상기 자석부재(210)의 자력에 의해서 상기 비자성부재(220)의 외면에 부착되는 자성 이물질이 탈락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수용관부(222)는 관재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자석부재(210)는 관재 형상의 상기 수용관부(222)에 삽입될 수 있는 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비자성판부(221)는 상기 포집바디유닛(100)에 결합되되, 상기 수용관부(222)가 구비되는 구성이다.
상기 수용관부(222)는 상기 비자성판부(221)를 통하여 상기 포집바디유닛(100)에 결합되는 구성이며, 또는 상기 비자성판부(221) 없이 직접 상기 포집바디유닛(1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관부(222)는 상기 자석부재(210)가 삽입되거나, 상기 자석부재(210)가 이탈되는 구성이다. 상기 수용관부(222)에 상기 자석부재(210)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자석부재(210)가 상기 자성 이물질을 끌어들이는 인력에 의해서 상기 수용관부(222)의 외면에는 자성 이물질이 달라붙게 되고, 이후에 상기 자석부재(210)가 상기 수용관부(222)재에서 이탈되면 상기 수용관부(222)의 외면에 달라붙었던 자성 이물질은 탈락하여 낙하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수용관부(222)는 상기 자석부재(210)의 기둥 형상에 대응되는 관재 형상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자석부재(210)는 후술할 구동부재(230)에 연결되어 상기 수용관부(222)에 삽입되거나 이탈되게 이동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1)의 상기 자기분리유닛(200)은, 상기 자석부재(210)와 결합되며, 상기 자석부재(210)를 상기 포집바디유닛(100)에 결합된 상기 비자성부재(220)로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부재(230)는 신축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일 수 있으며, 또는 전기모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부재(230)는 상기 자석부재(210)를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게 되고, 이에 의해서 상기 자석부재(210)는 상기 수용관부(222)에 삽입되거나 이탈되게 작동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용관부(222)는 상단부가 개방되고 하단부가 막혀진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자석부재(210)는 상기 수용관부(222)의 상단부에서 하강하여 상기 수용관부(222)에 삽입되고, 상승하여 상기 수용관부(222)에서 이탈되도록 신축되는 실린더로 구성되는 상기 구동부재(2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1)의 상기 수용관부(222)는, 이웃하는 수용관부(222)와의 간격(I)이 적어도 30mm보다 작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상기 수용관부(222) 사이의 간격(I)을 한정한 것은, 상기 수용관부(222) 사이로 통과되는 공기에서 자성 이물질을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즉, 서로 이웃하는 상기 수용관부(222) 사이의 간격(I)이 30mm보다 넓으면 공기 중에서 자성 이물질을 포집하는 비율이 현저히 저감되기 때문에, 상기 수용관부(222) 사이의 간격(I)을 한정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1)의 상기 비자성부재(220)는,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의 상류에 배치되는 제1열(L1)의 수용관부(222) 사이의 간격(I)이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의 하류에 배치되는 제2열(L2)의 수용관부(222) 사이의 간격(I)보다 넓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용관부(222)를 배치함에 의해서, 상기 포집바디유닛(100)을 통과하는 공기 중의 자성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즉,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의 상류에 배치되는 제1열(L1)의 수용관부(222)는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의 하류에 배치되는 제2열(L2)의 수용관부(222)보다 먼저 상기 공기와 접하게 된다. 이때 제1열(L1)의 수용관부(222) 사이의 간격(I)이 비교적 넓기 때문에 공기의 유동을 방해하는 문제는 최대로 감소하면서 자성 이물질을 1차적으로 분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열(L1) 수용관부(222)보다 이후에 상기 공기와 접하는 제2열(L2) 수용관부(222)는 이미 1차로 자성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에 대하여 접촉 비율을 더 높이면서 자성 이물질을 제거하므로 더 많은 자성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하면 상기 공기의 유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1열(L1) 수용관부(222) 사이에 상기 제2열(L2) 수용관부(222)가 배치되게 되어, 더욱 효과적으로 상기 자성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1)의 상기 비자성부재(220)는,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비자성부재(220)에 삽입되는 상기 자성부재 및 상기 자성부재를 이동시키는 구동부재(230)도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의 일 부분에서만 자성 이물질을 제거하게 구비될 수 있어, 상기 자성 이물질의 포집 정도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물질 포집장치(1)에서 자기분리유닛(200)의 수용관부(222)에 끌림방지탭(222a)이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1)의 상기 수용관부(222)는, 외면에 둘레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끌림방지탭(222a)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수용관부(222)에 상기 끌림방지탭(222a)이 구비됨에 의해서 상기 자석부재(210)가 상기 수용관부(222)에서 이탈시에 상기 수용관부(222)의 외면에 부착된 자성 이물질이 딸려올라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수용관부(222)에 외면에 상기 자성 이물질이 부착되는 원인은 상기 자석부재(210)의 자력에 의한 것인데, 이러한 자석부재(210)가 이동되면 상기 자성 이물질도 따라 이동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끌림방지탭(222a)은 상기 수용관부(222)의 외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상기 자성 이물질이 상기 수용관부(222)의 외면을 타고 이동될 때 장애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자성 이물질은 상기 자석부재(210)를 따라 이동되지 않고, 상기 끌림방지탭(222a)에 걸려서 탈락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끌림방지탭(222a)은 가운데 부분에 상기 수용관부(222)가 배치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 디스크 형상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1)의 상기 끌림방지탭(222a)은, 도넛 디스크 형태로 상기 수용관부(222)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끌림방지탭(222a)이 상기 수용관부(222)의 외면에 수직하게 결합됨에 의해서, 상기 자성 이물질은 더욱 더 상기 끌림방지탭(222a)에 의해서 이동이 차단되어 상기 자석부재(210)를 따라 이동되지 않고 탈락하는 비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물질 포집장치(1)에서 샤워유닛(300)이 하방 경사진 방향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1)는 상기 비자성부재(220)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비자성부재(220)로 유체를 분사하는 샤워유닛(3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포집바디유닛(100)에는 후술할 샤워유닛(300)도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자기분리유닛(200)에 부착된 자성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탈락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자성 이물질은 상기 자석부재(210)에 의해서 상기 비자성부재(220)에 달라붙을 수 있게 되나, 이후에 상기 자석부재(210)가 상기 비자성부재(220)에서 이탈된 후에도 상기 비자성부재(220)의 외면과의 접착력에 의해서 부착될 수 있는데, 상기 샤워유닛(300)이 이와 같이 상기 비자성부재(220)의 외면에 부착된 자성 이물질을 떨어뜨리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샤워유닛(300)은 상기 비자성부재(220)를 향하여 유체를 분사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일례로 공기 등의 기체일 수 있으며, 물 등의 액체 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1)의 상기 샤워유닛(300)은, 하방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샤워유닛(300)이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방향을 한정한 것은 상기 포집바디유닛(100)의 하부에 상기 언더박스부재(120)가 구비되는 경우에, 상기 자성 이물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수집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샤워유닛(300)은 상기 비자성부재(220)에 충돌하도록 상기 비자성부재(220)를 향하여 분사하면서도 하방으로도 분사되기 위해서, 하방 경사진 형태로 분사될 수 있는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기강판 제조설비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포집장치(1)는 전기강판(S)이 제공되는 레이저룸(2), 상기 레이저룸(2)의 내부에 구비되며,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전기강판(S) 표면에 홈을 형성하는 레이저장치(3) 및 상기 전기강판(S) 표면에서 비산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후드부재(2a)에 연계되어 자성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전달받는 상기 이물질 포집장치(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강판(S) 제조설비는 방향성 전기강판(S)에 홈을 형성하여 자구미세화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 상기 레이저장치(3)를 구비하며, 상기 레이저장치(3)에 의한 홈의 형성시에 발생하는 스패터, 퓸 등의 이물질 중에서 자성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술한 이물질 포집장치(1)가 구비된다.
여기서, 레이저룸(2)은 상기 레이저장치(3)가 구비되며, 상기 이물질 포집장치(1)로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전달하기 위한 후드부재(2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룸(2)으로 전기강판(S)이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레이저룸(2)은 외부와의 밀폐를 위해서 상기 전기강판(S)의 입구 및 출구에 에어 커튼(2c)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전기강판(S)의 이동을 지지하기 위한 롤러(2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이저정치는 상기 전기강판(S)에 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레이저를 조사하게 구성된다. 일례로 상기 레이저장치(3)는 온오프 제어계, 레이저 발진기, 광학계로 구성되며, 온오프 제어계는 정상적인 작업조건 하에서는 발진기를 온(On) 할 수 있게 하고 강판사행량에 따라 발진기를 자동으로 오프(Off)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이물질 포집장치 2: 레이저룸
3: 레이저장치 100: 포집바디유닛
110: 연통관부재 111: 유입구
112: 유출구 120: 언더박스부재
200: 자기분리유닛 210: 자석부재
220: 비자성부재 221: 비자성판부
222: 수용관부 230: 구동부재
300: 샤워유닛

Claims (11)

  1. 자성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진입하는 유입구와, 자성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가 배출되는 유출구가 형성된 포집바디유닛; 및
    상기 포집바디유닛에 연계되며, 상기 포집바디유닛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상기 공기 중에서 상기 자성 이물질을 인력에 의해서 분리하는 자석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자석부재를 감싸는 비자성부재가 구비된 자기분리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비자성부재는,
    상기 포집바디유닛에 결합되며, 비자성체로 형성된 비자성판부; 및
    상기 비자성판부에 결합되되, 복수 개의 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상기 자석부재에 대응되게 복수 개의 관재 형상으로 구비되며, 비자성체로 형성된 수용관부;
    를 포함하고,
    상기 비자성부재는,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의 상류에 배치되는 제1열의 수용관부 사이의 간격이 상기 공기의 유동 방향의 하류에 배치되는 제2열의 수용관부 사이의 간격보다 넓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포집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관부는, 이웃하는 수용관부와의 간격이 적어도 30mm보다 작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포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관부는, 외면에 둘레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끌림방지탭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포집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끌림방지탭은, 도넛 디스크 형태로 상기 수용관부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포집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분리유닛은,
    상기 자석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자석부재를 상기 포집바디유닛에 결합된 상기 비자성부재로 인입 또는 인출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재;
    를 포함하는 이물질 포집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집바디유닛은,
    상기 유입구와 상기 유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비자성부재가 결합되는 연통관부재; 및
    상기 연통관부재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연통관부재에서 낙하하는 자성 이물질을 수용하는 언더박스부재;
    를 포함하는 이물질 포집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자성부재에 인접하여 구비되며, 상기 비자성부재로 유체를 분사하는 샤워유닛;
    을 포함하는 이물질 포집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샤워유닛은, 하방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유체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포집장치.
  11. 전기강판이 제공되는 레이저룸;
    상기 레이저룸의 내부에 구비되며, 레이저를 조사하여 상기 전기강판 표면에 홈을 형성하는 레이저장치; 및
    상기 전기강판 표면에서 비산되는 이물질을 흡입하는 후드부재에 연계되어 자성 이물질을 포함하는 공기를 전달받는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및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물질 포집장치;
    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설비.
KR1020190147864A 2019-11-18 2019-11-18 이물질 포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설비 KR102348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864A KR102348569B1 (ko) 2019-11-18 2019-11-18 이물질 포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설비
JP2022528716A JP7461474B2 (ja) 2019-11-18 2020-11-17 異物捕集装置及びこれを含む電気鋼板の製造設備
CN202080079947.XA CN114728375B (zh) 2019-11-18 2020-11-17 异物捕集装置及包括该异物捕集装置的电工钢板制造设备
US17/777,471 US20230027665A1 (en) 2019-11-18 2020-11-17 Foreign substance capture apparatus and facility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steel sheet including same
PCT/KR2020/016149 WO2021101206A1 (ko) 2019-11-18 2020-11-17 이물질 포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설비
EP20888835.4A EP4063059A4 (en) 2019-11-18 2020-11-17 DEVICE FOR COLLECTING FOREIGN OBJECTS AND PLANT FOR PRODUCTION OF ELECTRICAL STEEL SHEET THEREB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7864A KR102348569B1 (ko) 2019-11-18 2019-11-18 이물질 포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165A KR20210060165A (ko) 2021-05-26
KR102348569B1 true KR102348569B1 (ko) 2022-01-06

Family

ID=7598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7864A KR102348569B1 (ko) 2019-11-18 2019-11-18 이물질 포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설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27665A1 (ko)
EP (1) EP4063059A4 (ko)
JP (1) JP7461474B2 (ko)
KR (1) KR102348569B1 (ko)
CN (1) CN114728375B (ko)
WO (1) WO2021101206A1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01427C2 (nl) * 1995-10-16 1997-04-17 Paulus Wolfs Inrichting voor het verwijderen van magnetiseerbare delen.
KR200259782Y1 (ko) * 2001-08-22 2002-01-09 이건국 용접흄 집진장치의 구조
JP5799580B2 (ja) 2011-05-23 2015-10-28 日立化成株式会社 磁力選別機、磁性不純物の除去方法及び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KR101397277B1 (ko) * 2012-05-16 2014-05-21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 방법
US8636907B1 (en) * 2013-05-09 2014-01-28 Amt International, Inc. Sealed magnetic filter for hazardous operations and easy clean service
KR102362753B1 (ko) * 2015-07-24 2022-02-11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설비
US9352331B1 (en) 2015-09-26 2016-05-31 Allnew Chemical Technology Company Filters for paramagnetic and diamagnetic substances
KR101739870B1 (ko) * 2016-01-22 2017-05-25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방법과 그 장치
KR101739868B1 (ko) * 2016-01-22 2017-05-25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의 자구미세화 방법과 그 장치
JP6663254B2 (ja) 2016-03-08 2020-03-11 富士電機株式会社 排液処理装置および排液処理方法
NL2017443B1 (en) * 2016-09-09 2018-03-15 Mhd Tech B V Device and method for magnetic separation
KR102501548B1 (ko) 2016-09-23 2023-02-20 한국식품연구원 대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지방간 질환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GB201616947D0 (en) * 2016-10-05 2016-11-23 Romar International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magnetic particles from liquids and slurries
CN110201792A (zh) 2019-06-15 2019-09-06 佛山市己阿已磁电设备有限公司 一种流体除铁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0165A (ko) 2021-05-26
JP7461474B2 (ja) 2024-04-03
CN114728375B (zh) 2023-11-24
WO2021101206A1 (ko) 2021-05-27
CN114728375A (zh) 2022-07-08
EP4063059A4 (en) 2023-01-11
EP4063059A1 (en) 2022-09-28
JP2023501833A (ja) 2023-01-19
US20230027665A1 (en)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2927B1 (ko) 마이크로 노즐 어레이, 그 제조 방법 및 마이크로 노즐 어레이를 이용한 공기 청정 장치
FI74412B (fi) Anordning foer att rena en partikelbemaengd vaetska.
US9757736B2 (en) Filtration assembly
US4441897A (en)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having removable nested hexagonal collector plates and magnetic aligning and rapping means
WO2014182424A1 (en) Sealed magnetic filter for hazardous operations and easy clean-up service
KR102348569B1 (ko) 이물질 포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설비
KR20190143125A (ko) 지하철 역사 내 지하수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KR20170025695A (ko) 기류 제어 기능을 가진 분진 제거 장치
JP2009125653A (ja) 空気浄化装置
JPH05154475A (ja) 重金属含有地下水浄化法及び装置
KR102178733B1 (ko) 이물질 포집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강판 제조설비
US20140246321A1 (en) Particle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KR102198334B1 (ko) 수두차를 이용한 정전분무 다중 노즐
US20220048136A1 (en) Alien substance removing apparatus and electrical steel sheet manufacturing facility having thereof
EP0397208A2 (de) Elektroabscheider für die Reinigung von Gasen
EP2091653A1 (de) Ionisierungsstufe und kollektor einer abgasreinigungsanlage
KR101801949B1 (ko) 전기집진기의 수막형성용 세정수의 재순환시스템
JPH0647310A (ja) 電気集塵装置
DE102004033815B3 (de) Elektrofilter mit gekühlten Niederschlagselektroden
CA2661043A1 (en)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EP2696955A1 (en) Improved removal device in particular for micro-bubbles, volatile compounds and dirt
JP2021526733A (ja) 物体を処理する方法及び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EP4023340A1 (en) Apparatus for electrostatic deactivation and removal of hazardous aerosols from air
KR101625802B1 (ko) 공기 정화 장치
RU132740U1 (ru) Установка электромагнитной сепара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