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547B1 -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fidvr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fidvr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547B1
KR102348547B1 KR1020190116734A KR20190116734A KR102348547B1 KR 102348547 B1 KR102348547 B1 KR 102348547B1 KR 1020190116734 A KR1020190116734 A KR 1020190116734A KR 20190116734 A KR20190116734 A KR 20190116734A KR 102348547 B1 KR102348547 B1 KR 102348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reaker
rate
phase voltage
change
brea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4865A (ko
Inventor
신현구
정운중
최우식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6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547B1/ko
Publication of KR20210034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44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the rate of change of electrical quantiti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2Measuring rate of chan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5Electrical failure alar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기 및 개폐기로부터 전압을 계측하는 계측부; 선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차단기 투입 시점 전후의 상기 차단기 및 상기 개폐기의 3상 전압 변동률을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 중 적어도 하나가 제1기준 변동률을 초과하여 제1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FIDVR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개폐기의 3상 전압 변동률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실정된 제2기준 변동률을 초과하고, 제2기준시간 이내에 사선 이벤트 발생시 FIDVR알람을 출력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FIDVR 제어 방법{FEEDER REMOTE TERMINAL UNIT AND FIDVR CONTROL METHOD USING THEREOF}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FIDVR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배전자동화 시스템에 적용 될 수 있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FIDVR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전력계통은 빠른 산업화와 기술발전에 의해 지속적으로 부하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전력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부하의 성능 특성이 변화하고 있다. 모터 부하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고효율의 전력전자 기기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이러한 부하들이 시스템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특성에 따라 전력시스템의 관성을 감소시키고 있다. 또한 모터부하(에어컨, 난방기기 등 유도전동기 형태의 소형 모터부하, HVAC형태의 단상모터부하)가 집중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지역의 경우 무효전력이 크게 소모되어 전압 불안정 현상과 계통의 사고 발생 시 전압이 느리게 회복되는 FIDVR(Fault Induced Delayed Voltage Recovery)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FIDVR현상은 사고 제거 후에도 전압이 몇 초 동안 낮은 수준 상태로 유지되는 현상으로, 전압이 빠른 시간 안에 붕괴되어 전압불안정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계통 저전압 상태 지속으로 전기시스템의 장비손상 및 계통의 전압 붕괴 가능성이 증가 될 수 있는 상황이다.
현재 FIDVR 현상 대책을 위해 공급측면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무효전력의 부족한 현상을 보상하기 위해 SVC(Static Var Compensator), STATCOM(Static synchronous Compensator)등의 FACTS(Flexible AC Transmission System)을 활용하는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방법은 다수의 전동기 부하가 연결되어 있는 배전 자동화 시스템에 최적화 되어 있지 않으며, 전압 붕괴 현상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배전자동화 시스템(DAS,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을 활용하여 FIDVR에 대하여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FIDVR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기 및 개폐기로부터 전압을 계측하는 계측부; 선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차단기 투입 시점 전후의 상기 차단기 및 상기 개폐기의 3상 전압 변동률을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 중 적어도 하나가 제1기준 변동률을 초과하여 제1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FIDVR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개폐기의 3상 전압 변동률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실정된 제2기준 변동률을 초과하고, 제2기준시간 이내에 사선 이벤트 발생시 FIDVR알람을 출력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연산부는 상기 차단기 투입 직전의 전압과 상기 차단기 투입 이후 계측한 전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3상 전압 변동률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FIDVR 대기 모드에서 상기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 중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기준 변동률을 초과하여 제3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차단기가 차단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3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이 상기 제1기준 변동률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차단기의 투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차단기가 차단 동작을 수행한 경우, 사전에 지정된 비주요부하의 개폐기가 개방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개폐기가 개방 동작을 수행한 경우, 상기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 중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기준 변동률을 초과하여 상기 제3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차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개폐기가 개방 동작을 수행한 경우, 상기 제3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이 상기 제1기준 변동률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차단기를 투입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차단기가 투입 상태가 되면 상기 비주요부하의 개폐기를 투입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단기 및 개폐기의 전압을 계측하는 단계; 선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차단기 투입 시점 전후의 상기 차단기 및 상기 개폐기의 3상 전압 변동률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 중 적어도 하나가 제1기준 변동률을 초과하여 제1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FIDVR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개폐기의 3상 전압 변동률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실정된 제2기준 변동률을 초과하고, 제2기준시간 이내에 사선 이벤트 발생시 FIDVR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FIDVR 제어 방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인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FIDVR 제어 방법은 배전자동화 시스템을 활용하여 FIDVR에 대하여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또한, 전압붕괴를 예방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개념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IDVR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에서, 배전 자동화 시스템이란 배전설비 현장에 분포되어 있는 배전선로 개폐기, 차단기를 정보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주장치에서 원격 감시, 제어하고 배전선로 고장발생(배전선로의 단락, 지락사고 등)시에 고장구간을 자동을 검출 할 수 있는 장치의 집합체를 말한다.
배전자동화 시스템은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개폐기, 차단기,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통신장치와 운영실에서 배전자동화 기기를 원격 감시 제어하기 위한 주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배전자동화 시스템은 주장치와 통신장치간의 데이터 통신에 의해 현장에 설치된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로부터 배전선로의 각종 데이터를 취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배전계통을 감시 관리하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의 개념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100)는 배전자동화기기의 제어함(10)에 조작부(400), 통신장치(200) 및 비상전원으로 동작하는 축전지(500)와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조작부(400)는 차단기 및 개폐기의 동작상태를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100)에 전달하고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100)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차단기 및 개폐기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조작부(400)의 일측면은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100)와 연결되고, 다른 일측면은 제어 케이블을 통해 개폐기 및 차단기와 연결된다.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100)가 개폐기 및 차단기를 투개방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제어신호는 조작부(400)에 연결된 제어 케이블을 통해 개폐기 및 차단기로 전달될 수 있다.
축전지(500)는 배전자동화 기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외부전원이 고장 등으로 인하여 상실되는 경우 비상전원으로 동작하여 배전자동화 기기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통신장치(200)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100)로부터 생성된 정보를 주장치로 전송하고, 관리자의 제어 명령을 주장치로부터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100)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장치(200)는 광케이블 모뎀 등을 통한 유선방식일 수 있으며, TRS 모뎀 등을 통한 무선방식 일 수 있다.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100)는 배전선로의 데이터를 계측하고 통신장치(200)를 통하여 계측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100)는 이벤트 발생시 주장치로 이벤트 발생을 보고하고 주장치의 제어명령에 따라 개폐기의 투개방을 제어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100)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100)는 계측부(110), 연산부(120), 제1제어부(130) 및 제2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계측부(110)는 차단기(20) 및 개폐기(30)로부터 전압 데이터를 계측할 수 있다. 계측부(110)가 계측하는 배전선로의 데이터는 전류, 전압, 고장전류, 역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고장표시기 및 단선/결상과 위상불일치 등 계통과 설비에 대한 상태 계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계측부는 로그스키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계측부는 각 상에 체결된 로그스크 코일을 통해 계측을 수행할 수 있다.
연산부(120)는 선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차단기(20) 투입 시점 전후의 차단기(20) 및 개폐기(30)의 3상 전압 변동률을 연산할 수 있다.
연산부(120)는 차단기(20) 투입 직전의 전압과 차단기(20) 투입 이후 계측한 전압 데이터를 이용하여 3상 전압 변동률을 연산할 수 있다.
연산부(120)는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을 연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9096969766-pat00001
수학식 1에서 Rvad는 차단기 투입 직전과 차단기 투입 이후의 차단기의 A상 전압변동률[%]이고, Rvbd는 차단기 투입 직전과 차단기 투입 이후의 차단기의 B상 전압변동률[%]이고, Rvcd는 차단기 투입 직전과 차단기 투입 이후의 차단기의 C상 전압변동률[%]이다. Rva1은 차단기 투입 직전의 차단기의 A상 전압값[V]이고, Rvb1은 차단기 투입 직전의 차단기의 B상 전압값[V]이고, Rvc1은 차단기 투입 직전의 차단기의 C상 전압값[V]이고, Rva2는 차단기 투입 이후의 차단기의 A상 전압값[V]이고, Rvb2는 차단기 투입 이후의 차단기의 B상 전압값[V]이고, Rvc2는 차단기 투입 이후의 차단기의 C상 전압값[V]이다.
연산부(120)는 차단기(20) 투입 이후 주기적으로 차단기(20)의 전압을 계측하여 차단기(20)의 전압 변동률을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연산부(120)는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개폐기(30)의 3상 전압 변동률을 연산할 수 있다.
Figure 112019096969766-pat00002
수학식 2에서 Fvad는 차단기 투입 직전과 차단기 투입 이후의 개폐기의 A상 전압변동률[%]이고, Fvbd는 차단기 투입 직전과 차단기 투입 이후의 개폐기의 B상 전압변동률[%]이고, Fvcd는 차단기 투입 직전과 차단기 투입 이후의 개폐기의 C상 전압변동률[%]이다. Fva1은 차단기 투입 직전의 개폐기의 A상 전압값[V]이고, Fvb1은 차단기 투입 직전의 개폐기의 B상 전압값[V]이고, Fvc1은 차단기 투입 직전의 개폐기의 C상 전압값[V]이고, Fva2는 차단기 투입 이후의 개폐기의 A상 전압값[V]이고, Fvb2는 차단기 투입 이후의 개폐기의 B상 전압값[V]이고, Fvc2는 차단기 투입 이후의 개폐기의 C상 전압값[V]이다.
연산부(120)는 차단기 투입 이후 주기적으로 개폐기(30)의 전압을 계측하여 개폐기(30)의 전압 변동률을 연산할 수 있다.
제1제어부(130)는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 중 적어도 하나가 제1기준 변동률을 초과하여 제1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FIDVR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기준 변동률은 차단기의 재폐로 성공 이후 시퀀스 복귀 모드(정상 대기)를 강제종료 시키고, FIDVR 대기 모드로의 진입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전압변동률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제1기준 변동률은 운영자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기준시간은 차단기의 재폐로 성공 이후 시퀀스 복귀 모드(정상 대기)를 강제종료 시키고, FIDVR 대기 모드로의 진입을 판단하기위한 지연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1기준 시간은 운영자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제1제어부(130)는 FIDVR 대기 모드에서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 중 적어도 하나가 제1기준 변동률을 초과하여 제3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차단기가 차단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3기준 시간은 FIDVR 대기 모드 진입 이후 차단기의 자동 차단 수행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차단 지연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3기준 시간은 운영자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제1제어부(130)는 제3기준 시간 이내에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이 제1기준 변동률 이하가 되는 경우 차단기의 투입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제어부(130)는 개폐기가 개방 동작을 수행한 경우,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 중적어도 하나가 제1기준 변동률을 초과하여 제3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차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제어부(130)는 개폐기가 개방 동작을 수행한 경우, 제3기준 시간 이내에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이 제1기준 변동률 이하가 되는 경우 차단기를 투입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제2제어부(140)는 개폐기의 3상 전압 변동률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실정된 제2기준 변동률을 초과하고, 제2기준시간 이내에 사선 이벤트 발생시 FIDVR알람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기준 변동률은 차단기의 재폐로 성공 이후 FIDVR 알람 발생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전압변동률의 크기를 의미할 수 있다. 제2기준 변동률은 운영자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기준 시간은 FIDVR 대기 모드에서 차단기의 재차단 동작시에 개폐기의 FIDVR 알람 발생을 판단하기 위한 사선 대기시간을 의미할 수 있다. 제2기준 시간은 운영자에 의하여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제2제어부(140)는 차단기가 차단 동작을 수행한 경우, 사전에 지정된 비주요부하의 개폐기가 개방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2제어부(140)는 사전에 설정된 개방 지연시간 이후에 개폐기가 개방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비주요 부하는 가정집 등 산업시설과 비교하여 전력공급면에서 비교적 중요하지 않은 부하를 의미할 수 있다. 비주요 부하는 사전에 설정될 수 있다. 비주요 부하로 설정된 개폐기는 자동개방 기능을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로 설정할 수 있다. 활성화로 설정된 개폐기의 경우 제2제어부(140)가 투입, 개방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비활성화로 설정된 개폐기의 경우 수동으로 투입, 개방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제어부(140)는 차단기가 투입 상태가 되면 비주요부하의 개폐기를 투입 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는 사전에 설정된 투입 지연시간 이후에 개폐기가 투입 상태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FIDVR 제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3을 참조하면, 먼저, 차단기 및 개폐기로부터 전압을 계측한다(S301).
다음으로, 선로에 사고 이벤트 발생시 단말장치는 이를 감지하고 차단기 및 개폐기의 상태를 판단한다. 단말장치는 사고 이벤트에 따라 차단기가 투입된 후 고장 상태에 따라 재폐로에 성공(순간고장)하거나 또는 완전개방(일시고장)된다. 개폐기는 차단기의 동작상태(재폐로 성공 또는 완전개방)에 따라 순간고장 또는 일시고장 이벤트를 발생시킨다(S302).
다음으로, 선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차단기 투입 시점 전후의 차단기 및 개폐기의 3상 전압 변동률을 연산한다. 3상 전압 변동률은 차단기 투입 직전의 전압과 차단기 투입 이후 계측한 전압 데이터를 이용하여 연산될 수 있다. 3상 전압 변동률은 차단기 투입 이후 주기적으로 계측되는 전압 데이터에 따라 갱신된다(S303).
다음으로,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 중 적어도 하나가 제1기준 변동률을 초과하여 제1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FIDVR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 즉, 3상 전압 변동률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 변동률을 초과하는 시간이 제1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면 차단기 투입 후 전압이 정상으로 회복되지 못한다고 판단하여 FIDVR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한다(S304~305).
다음으로, FIDVR 대기 모드에서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 중 적어도 하나가 제1기준 변동률을 초과하여 제3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차단기가 차단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S306~307).
또는, 제3기준 시간 이내에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이 제1기준 변동률 이하가 되는 경우 차단기의 투입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한다. 즉, 차단기가 FIDVR 대기 모드로 진입 한 후 다시 차단을 수행하기 위해 지연시간을 가지게 된다. 이 지연 시간동안 3상 전압 변동률 중 적어도 하나가 제1 기준 변동률을 초과하는 상황이 계속 지속 되면 개폐기가 차단되도록 제어한다. 만약, 지연시간 이내에 제1 기준 변동률을 초과하는 상황이 종료되면 차단기를 투입 상태로 유지시킨다(S307).
개폐기의 경우, 3상 전압 변동률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실정된 제2기준 변동률을 초과하고, 제2기준시간 이내에 사선 이벤트 발생시 FIDVR알람을 출력한다. 개폐기의 경우, FIDVR 대기 모드에서 3상 전압 변동률 중 적어도 하나가 제2기준 전압변동률을 초과한다면 차단기가 FIDVR현상에 의하여 재 차단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사선 대기시간을 가지게 된다. 즉, 개폐기는 3상 전압 변동률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실정된 제2기준 변동률을 초과한 이후 사선 대기시간 이내에 사선이 되면 FIDVR 알람을 발생하게 된다(S308~309).
다음으로, 차단기가 차단 동작을 수행한 경우, 사전에 지정된 비주요부하의 개폐기가 개방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즉, 차단기가 FIDVR현상에 의해 차단되면 전압 붕괴현상을 막기 위해 비주요부하를 개방시킨 후 차단기를 다시 투입해야 한다. 비중요부하로 설정된 개폐기는 자동 개방기능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 활성화로 설정된 개폐기의 경우 개방을 위한 대기시간 이후 자동으로 개방된다(S310).
다음으로, 개폐기 개방이 완료되었다면 차단기를 투입해주고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을 이용하여 차단기의 차단 동작 또는 투입 상태 유지 여부를 판단한다(S311).
이 때, 차단기가 투입 상태가 되면 비주요부하의 개폐기를 투입 상태로 제어한다. 즉, 차단기가 투입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로 결정되면, 비주요부하 개폐기를 다시 투입함으로써 FIDVR 상황을 종료한다(S312313).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110: 계측부
120: 연산부
130: 제1제어부
140: 제2제어부

Claims (9)

  1. 차단기 및 개폐기로부터 전압을 계측하는 계측부;
    선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차단기 투입 시점 전후의 상기 차단기 및 상기 개폐기의 3상 전압 변동률을 연산하는 연산부;
    상기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 중 적어도 하나가 제1기준 변동률을 초과하여 제1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FIDVR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제1제어부; 및
    상기 개폐기의 3상 전압 변동률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실정된 제2기준 변동률을 초과하고, 제2기준시간 이내에 사선 이벤트 발생시 FIDVR알람을 출력하는 제2제어부를 포함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부는 상기 차단기 투입 직전의 전압과 상기 차단기 투입 이후 계측한 전압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3상 전압 변동률을 연산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FIDVR 대기 모드에서 상기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 중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기준 변동률을 초과하여 제3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차단기가 차단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제3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이 상기 제1기준 변동률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차단기의 투입 상태를 유지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차단기가 차단 동작을 수행한 경우, 사전에 지정된 비주요부하의 개폐기가 개방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개폐기가 개방 동작을 수행한 경우, 상기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 중적어도 하나가 상기 제1기준 변동률을 초과하여 상기 제3기준 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상기 차단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제어부는 상기 개폐기가 개방 동작을 수행한 경우, 상기 제3기준 시간 이내에 상기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이 상기 제1기준 변동률 이하가 되는 경우 상기 차단기를 투입 상태로 제어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제어부는 상기 차단기가 투입 상태가 되면 상기 비주요부하의 개폐기를 투입 상태로 제어하는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9. 차단기 및 개폐기의 전압을 계측하는 단계;
    선로 이벤트 발생에 따른 차단기 투입 시점 전후의 상기 차단기 및 상기 개폐기의 3상 전압 변동률을 연산하는 단계;
    상기 차단기의 3상 전압 변동률 중 적어도 하나가 제1기준 변동률을 초과하여 제1기준시간 이상 지속되는 경우 FIDVR 대기 모드로 진입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개폐기의 3상 전압 변동률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실정된 제2기준 변동률을 초과하고, 제2기준시간 이내에 사선 이벤트 발생시 FIDVR알람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FIDVR제어 방법.
KR1020190116734A 2019-09-23 2019-09-23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fidvr 제어 방법 KR102348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734A KR102348547B1 (ko) 2019-09-23 2019-09-23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fidvr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734A KR102348547B1 (ko) 2019-09-23 2019-09-23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fidvr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865A KR20210034865A (ko) 2021-03-31
KR102348547B1 true KR102348547B1 (ko) 2022-01-07

Family

ID=7523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734A KR102348547B1 (ko) 2019-09-23 2019-09-23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fidvr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54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329B1 (ko) 2006-09-21 2007-04-20 한석주 자동 복귀 장치를 갖는 선박용 파워 서플라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05247B2 (en) * 2010-12-16 2013-03-26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fault-induced delayed voltage recovery (FIDVR) with photovoltaic and other inverter-based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329B1 (ko) 2006-09-21 2007-04-20 한석주 자동 복귀 장치를 갖는 선박용 파워 서플라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865A (ko) 2021-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9591B1 (en) Voltage instability predictor (VIP)—method and system for performing adaptive control to improve voltage stability in power systems
US8180481B2 (en) Autoloop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JP2007028769A (ja) 配電線系統の事故復旧方法、配電制御装置
US10955455B2 (en) Broken conductor detection and remediation in electric power systems
US20110264276A1 (en) Interconnected electrical network and building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KR102145266B1 (ko) 전력계통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US713295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an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and critical loads connected thereto
CN107947176B (zh) 一种配电网合环调电方法及控制系统
KR20180096357A (ko) IoT 기반 이동통신용 스마트 분전반 제어 장치
KR102160425B1 (ko) 배전반 내 차단기 관리 시스템
KR102348547B1 (ko)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fidvr 제어 방법
CN109560556A (zh) 一种基于柔性多状态调节开关调节的电压调节系统
JP2002044869A (ja) 電力変換装置
CN116780747A (zh) 一种提高分段备自投电压断线时动作正确率的方法
CN109004671B (zh) 模态切换方法、模态切换装置及背靠背设备
KR102352976B1 (ko) 가공 cls용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공 cls용 차단기 제어 방법
Purucker et al. Feeder automation designs for installing an integrated distribution control system
Allen Effects of wide-area control on the protection and operation of distribution networks
US9979228B2 (en) Energ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11211807B1 (en) Battery power management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of use
KR102387198B1 (ko) 배전자동화용 단말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Antoine et al. EUROSTAG, software for the simulation of power system dynamics. Its application to the study of a voltage collapse scenario
US20230198297A1 (en) Circuit management system
CN220874274U (zh) 用于远程控制电机的装置
KR102241285B1 (ko) 전력 개폐기용 스마트 제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