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8075B1 -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 및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 및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8075B1
KR102348075B1 KR1020160150316A KR20160150316A KR102348075B1 KR 102348075 B1 KR102348075 B1 KR 102348075B1 KR 1020160150316 A KR1020160150316 A KR 1020160150316A KR 20160150316 A KR20160150316 A KR 20160150316A KR 102348075 B1 KR102348075 B1 KR 102348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urrent
temperature
value
valu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3018A (ko
Inventor
이병은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0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8075B1/ko
Publication of KR20180053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3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8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8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28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using current integ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4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means for correcting the measurement for temperature or age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는, 배터리를 충전 또는 방전시켜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부와, 복수의 전류값과 복수의 온도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용량값을 저장하는 저장부와, 측정부에 의해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까지 측정된 전류의 평균 전류값을 계산하고 복수의 용량값에서 평균 전류값과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대응되는 용량값을 선택하고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의 적산값에서 선택된 용량값을 나눈 값에 대응되는 잔존전하량(State of Charge, SOC)을 계산하는 계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 및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state of charge of battery}
본 발명은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 및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솔린이나 중유를 주연료로 사용하는 내연 엔진을 이용하는 자동차는 대기오염 등 공해발생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공해발생을 줄이기 위하여, 전기 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Hybrid) 자동차의 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전기 자동차는 배터리(battery)에서 출력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동작하는 배터리 엔진을 이용하는 자동차이다. 이러한 전기 자동차는 충방전이 가능한 다수의 2차 전지(cell)가 하나의 팩(pack)으로 형성된 배터리를 주동력원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배기가스가 전혀 없으며 소음이 아주 작은 장점이 있다. 한편, 하이브리드 자동차라 함은 내연 엔진을 이용하는 자동차와 전기 자동차의 중간 단계의 자동차로서, 두 가지 이상의 동력원, 예컨대 내연 엔진 및 배터리 엔진을 사용하는 자동차이다. 현재에는, 내연 엔진과 수소와 산소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화학반응을 일으켜 직접 전기 에너지를 얻는 연료 전지를 이용하거나, 배터리와 연료 전지를 이용하는 등 혼합된 형태의 하이브리드 자동차가 개발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는 자동차는 배터리의 성능이 자동차의 성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각 전지 셀의 성능이 뛰어나야 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의 온도, 셀전압, 전체 배터리의 전압 및 전류 등을 측정하여 배터리의 충방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이하 BMS)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성능은 배터리의 잔존전하량(State Of Charge, SOC)의 추정 정확도에 의존적이다.
공개특허공보 10-2014-0070790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배터리의 부하와 온도가 반영된 잔존전하량을 추정할 수 있는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 및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는, 배터리를 충전 또는 방전시켜 상기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복수의 전류값과 복수의 온도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용량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측정부에 의해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까지 측정된 전류의 평균 전류값을 계산하고, 상기 복수의 용량값에서 상기 평균 전류값과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대응되는 용량값을 선택하고,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의 적산값에서 선택된 용량값을 나눈 값에 대응되는 잔존전하량(State of Charge, SOC)을 계산하는 계산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방법은, 복수의 전류값과 복수의 온도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용량값을 저장하는 단계; 배터리를 충전 또는 방전시켜 상기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와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까지 측정된 전류의 평균 전류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용량값에서 상기 평균 전류값과 측정된 온도에 대응되는 용량값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동안 측정된 전류의 적산값에서 선택된 용량값을 나눈 값에 대응되는 잔존전하량(State of Charge, SOC)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터리의 부하와 온도가 반영된 잔존전하량 추정하여 정확한 잔존전하량을 추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를 구체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는 배터리의 복수의 용량값을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 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동일하다"는 표현은 비교 대상이 서로 완벽하게 동일하다는 것이 아닌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비교 대상간에 수% 이내의 오차가 포함되는 것도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100)는 측정부(110), 저장부(120) 및 계산부(1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10)의 잔존전하량(State Of Charge, SOC)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0)는 다수의 배터리 셀이 직렬 또는 병렬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니켈 메탈 배터리, 리튬 이온 배터리 등의 하이브리드 배터리가 될 수 있으나,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배터리(10)는 전기차 또는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사용될 수 있다.
측정부(110)는 배터리(10)를 충전 또는 방전시켜 배터리(1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배터리(1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정부(110)는 배터리(10)의 충전 또는 방전을 위한 전원과, 온도 측정을 위한 온도센서와, 전류 측정 위한 감지회로와, 측정값을 변환, 증폭 또는 필터링하는 처리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되는 전류는 배터리(10)의 잔존전하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배터리(10)에 연결된 부하(20)의 저항값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되는 온도는 배터리(10)의 잔존전하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측정부(110)는 측정 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측정부(110)는 배터리(10)의 온도가 저장된 온도값에 대응되는지 측정한 이후에 배터리(10)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할 수 있으며, 배터리(10)에 흐르는 전류가 저장된 전류값에 대응되는지 측정한 이후에 배터리(10)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측정부(110)는 배터리(10)의 온도값 및 전류값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복수의 전류값과 복수의 온도값에 대응되는 배터리(10)의 복수의 용량값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20)는 하기의 표 1과 같은 2차원 행렬에 복수의 용량값을 저장할 수 있다. 표 1에서 복수의 용량값의 단위는 Ah이다. 한편 표 1에서 C-rate는 충방전율(current rate)을 의미하며, 방전 또는 충전 전류를 단위를 뺀 배터리(10)의 정격용량으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즉, 표 1의 C-rate는 상기 복수의 전류값에 대응되는 값이다.
Figure 112016110451823-pat00001
계산부(130)는 측정부(110)에 의해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까지 측정된 전류의 평균 전류값을 계산할 수 있다. 전압이 일정할 경우, 배터리(10)에 연결된 부하(20)의 저항값은 상기 평균 전류값에 반비례할 수 있다. 상기 부하(20)의 저항값은 배터리(10)의 잔존전하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상기 평균 전류값은 배터리(10)의 잔존전하량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산부(130)는 저장부(120)에 저장된 복수의 용량값에서 계산된 평균 전류값과 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대응되는 용량값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산부(130)는 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된 전류의 적산값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계산부(130)는 소정의 주기마다 배터리(10)의 전류를 샘플링하고, 샘플링된 전류들 각각과 상기 소정의 주기의 곱을 합산하여 상기 전류의 적산값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계산부(130)는 상기 전류의 적산값에서 선택된 용량값을 나눈 값에 대응되는 잔존전하량을 계산할 수 있다. 선택된 용량값이 배터리(10)의 온도 및 평균 전류값에 대응되는 용량값이므로, 상기 계산부(130)는 배터리(10)의 온도 및 부하가 반영된 잔존전하량을 계산할 수 있으며, 정확한 잔존전하량을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100)는 도 5에 도시된 컴퓨팅 환경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부(120)는 복수의 용량값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계산부(130)는 계산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싱 유닛과, 측정부(110)로부터 측정값을 입력받는 입력 디바이스, 추정한 잔존전하량을 출력하는 출력 디바이스, 측정부(11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측정부(110)로 전송하고 측정값을 수신하는 통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를 구체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측정부(110)는 온도 측정부(111), 전류 측정부(112) 및 전압 측정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측정부(111)는 주위의 온도에 따라 출력되는 전기적인 값이 달라지는 반도체 소자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류 측정부(112) 및 전압 측정부(113)는 소정의 주기마다 전류 또는 전압을 샘플링하는 감지회로와, 측정값을 변환, 증폭 또는 필터링하는 처리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계산부는 평균전류 계산부(131), 전류 적산부(132), OCV 계산부(133) 및 최종 SOC 추정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평균전류 계산부(131)는 측정부(110)에 의해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까지 측정된 전류의 평균 전류값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평균전류 계산부(131)는 전류 측정부(112)에 의해 샘플링된 전류들의 합에서 샘플링 횟수를 나눠서 상기 평균 전류값을 계산할 수 있다.
전류 적산부(132)는 전류 측정부(112)에 의해 샘플링된 전류들을 이용하여 전류 적산값을 계산할 수 있으며, 저장부(120)로부터 용량값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계산한 전류 적산값에 전달받은 용량값을 나눈 값에 대응되는 잔존전하량을 출력할 수 있다.
OCV 계산부(133)는 전류 측정부(112)에 의해 측정된 전류와 전압 측정부(113)에 의해 측정된 전압을 배터리(10)의 등가회로 모델에 적용하고, 적응필터를 이용하여 개방회로전압(Open Circuit Voltage, OCV)을 계산하고, 상기 개방회로전압에 기초하여 제2 잔존전하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OCV 계산부(133)는 소정의 SOC-OCV 테이블에 계산된 OCV를 적용하여 제2 잔존전하량을 계산할 수 있다.
최종 SOC 추정부(134)는 전류 적산부(132)에 의해 계산된 잔존전하량과 OCV 계산부(133)에 의해 계산된 제2 잔존전하량 중 하나를 선택하여 최종 잔존전하량(SOC)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최종 SOC 추정부(134)는 전류 적산부(132)에 의해 측정된 전류가 소정의 기간동안 저전류 상태를 유지하는지 분석하고,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잔존전하량과 상기 제2 잔존전하량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통상 상기 제2 잔존전하량의 정확도가 배터리(10)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가 작을수록 높기 때문에, 상기 최종 SOC 추정부(134)는 측정된 전류가 소정의 기간동안 저전류 상태를 유지할 경우에 상기 제2 잔존전하량을 최종 잔존전하량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는, 배터리(10)의 용량을 측정하는 용량 측정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량 측정부(160)는 배터리(10)의 온도가 저장부(120)에 설정된 복수의 온도값 중 하나에 대응되고 배터리(10)에 흐르는 전류가 저장부(120)에 설정된 복수의 전류값 중 하나에 대응될 경우에 배터리(10)의 용량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량 측정부(160)는 소정의 전압을 출력하여 배터리(10)를 충전 또는 방전하고, 상기 소정의 전압과 충전 또는 방전에 따른 전류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배터리(10)의 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방법은, 배터리 용량값을 저장하는 단계(S10), 배터리의 전류/온도를 측정하는 단계(S20), 배터리의 평균전류값을 계산하는 단계(S30), 저장된 용량값에서 평균전류값과 온도값에 따라 선택하는 단계(S40) 및 배터리 전류적산값을 계산하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의 부하와 온도가 반영된 잔존전하량이 추정될 수 있다.
도 4는 배터리의 복수의 용량값을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는, 배터리의 온도를 조절(S11)하고, 배터리의 용량을 측정(S12)하고, 측정된 용량값을 저장(S13)하고, 온도 조절 횟수가 제1 기준 횟수 이상인지 확인(S14)하고, 배터리의 부하를 조절(S15)하고, 배터리의 용량을 측정(S16)하고, 측정된 용량값을 저장(S17)하고, 부하 조절 횟수가 제2 기준 횟수 이상인지 확인(S18)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는 배터리의 온도 및/또는 부하가 반영된 복수의 용량값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S11단계부터 S14단계까지의 과정의 배치는 S15단계부터 S18단계까지의 과정과 교체될 수 있다.
도 5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구현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팅 환경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상술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구성된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포함하는 시스템(1000)의 예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개인 컴퓨터, 서버 컴퓨터, 핸드헬드 또는 랩탑 디바이스, 모바일 디바이스(모바일폰, PDA, 미디어 플레이어 등), 멀티프로세서 시스템, 소비자 전자기기, 미니 컴퓨터, 메인프레임 컴퓨터, 임의의 전술된 시스템 또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분산 컴퓨팅 환경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유닛(1110) 및 메모리(1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싱 유닛(1110)은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CPU), 그래픽처리장치(GPU), 마이크로프로세서, 주문형 반도체(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FPGA)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를 가질 수 있다. 메모리(1120)는 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를 들어, ROM, 플래시 메모리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추가적인 스토리지(1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리지(1130)는 자기 스토리지, 광학 스토리지 등을 포함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스토리지(1130)에는 본 명세서에 개진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이 저장될 수 있고, 운영 시스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도 저장될 수 있다. 스토리지(1130)에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은 프로세싱 유닛(1110)에 의해 실행되기 위해 메모리(1120)에 로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입력 디바이스(들)(1140) 및 출력 디바이스(들)(11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 디바이스(들)(1140)은 예를 들어 키보드, 마우스, 펜, 음성 입력 디바이스, 터치 입력 디바이스, 적외선 카메라, 비디오 입력 디바이스 또는 임의의 다른 입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들)(1150)은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디스플레이, 스피커, 프린터 또는 임의의 다른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구비된 입력 디바이스 또는 출력 디바이스를 입력 디바이스(들)(1140) 또는 출력 디바이스(들)(1150)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는 네트워크(1200)을 통하여 다른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팅 디바이스(1300))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통신접속(들)(1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접속(들)(1160)은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통합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무선 주파수 송신기/수신기, 적외선 포트, USB 접속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1100)를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에 접속시키기 위한 다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접속(들)(1160)은 유선 접속 또는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컴퓨팅 디바이스(1100)의 각 구성요소는 버스 등의 다양한 상호접속(예를 들어, 주변 구성요소 상호접속(PCI), USB, 펌웨어(IEEE 1394), 광학적 버스 구조 등)에 의해 접속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용어들은 일반적으로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 또는 실행중인 소프트웨어인 컴퓨터 관련 엔티티를 지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성요소는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 실행 가능물(executable), 실행 스레드, 프로그램 및/또는 컴퓨터일 수 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 상에서 구동중인 애플리케이션 및 컨트롤러 모두가 구성요소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는 프로세스 및/또는 실행의 스레드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구성요소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로컬화될 수 있고, 둘 이상의 컴퓨터 사이에서 분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실시 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배터리
20: 부하
100: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
110: 측정부
111: 온도 측정부
112: 전류 측정부
113: 전압 측정부
120: 저장부
130: 계산부
131: 평균전류 게산부
132: 전류 적산부
133: OCV 계산부
134: 최종 SOC 추정부
160: 용량 측정부

Claims (7)

  1. 배터리를 충전 또는 방전시켜 상기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고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하는 측정부;
    복수의 전류값과 복수의 온도값에 대응되는 복수의 용량값을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측정부에 의해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까지 측정된 전류의 평균 전류값을 계산하고, 상기 복수의 용량값에서 상기 평균 전류값과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온도에 대응되는 용량값을 선택하고,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류의 적산값에서 선택된 용량값을 나눈 값에 대응되는 잔존전하량(State of Charge, SOC)을 계산하는 계산부; 및
    상기 배터리의 온도가 상기 복수의 온도값 중 하나에 대응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류가 상기 복수의 전류값 중 하나에 대응될 때, 상기 배터리를 소정의 전압으로 충전 또는 방전하고 상기 소정의 전압과 상기 충전 또는 방전에 따른 전류의 변화율을 산출하여 상기 배터리의 용량을 측정하는 용량 측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는 상기 용량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용량값을 상기 복수의 용량값 중 하나로 저장하는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 또는 방전되는 동안의 상기 배터리의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계산부는 상기 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전압과 전류에 기초하여 개방회로전압(Open Circuit Voltage)을 계산하고, 상기 개방회로전압에 기초하여 제2 잔존전하량을 계산하는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배터리의 온도가 상기 복수의 온도값 중 하나에 대응될 때 상기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배터리의 전류가 상기 복수의 전류값 중 하나에 대응될 때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하는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
  5. 삭제
  6. 배터리의 온도가 복수의 온도값 중 하나에 대응되고 상기 배터리의 전류가 복수의 전류값 중 하나에 대응될 때, 상기 배터리를 소정의 전압으로 충전 또는 방전하고 상기 소정의 전압과 상기 충전 또는 방전에 따른 전류의 변화율을 산출하여 상기 배터리의 용량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의 용량을 측정하는 단계에 의해 측정된 복수의 용량값을 저장하는 단계;
    배터리를 충전 또는 방전시켜 상기 배터리에 흐르는 전류와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제1 시점부터 제2 시점까지 측정된 전류의 평균 전류값을 계산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용량값에서 상기 평균 전류값과 측정된 온도에 대응되는 용량값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가 충전 또는 방전되는 동안 측정된 전류의 적산값에서 선택된 용량값을 나눈 값에 대응되는 잔존전하량(State of Charge, SOC)을 계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온도가 상기 복수의 온도값 중 하나에 대응되도록 상기 배터리의 온도를 조절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의 전류가 상기 복수의 전류값 중 하나에 대응되도록 상기 배터리에 연결된 부하의 저항값을 변경하는 단계; 및;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방법.
KR1020160150316A 2016-11-11 2016-11-11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 및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방법 KR102348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316A KR102348075B1 (ko) 2016-11-11 2016-11-11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 및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316A KR102348075B1 (ko) 2016-11-11 2016-11-11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 및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018A KR20180053018A (ko) 2018-05-21
KR102348075B1 true KR102348075B1 (ko) 2022-01-10

Family

ID=62453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316A KR102348075B1 (ko) 2016-11-11 2016-11-11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 및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80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4987B2 (en) * 2016-11-18 2019-01-22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reporting a relative state of charge of a batter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5518A (ja) 2001-09-05 2003-03-12 Nissan Motor Co Ltd 二次電池の充電率推定装置
JP2008151745A (ja) * 2006-12-20 2008-07-03 Fuji Heavy Ind Ltd 蓄電デバイスの残存容量演算装置
KR101631154B1 (ko) 2015-01-14 2016-06-24 (주) 유진에너팜 적응정격용량법을 이용한 배터리의 soh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8760B1 (ko) * 2012-01-12 2015-03-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잔존 용량 추정 장치 및 방법, 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1983392B1 (ko) 2012-11-27 2019-05-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충전 상태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US10205335B2 (en) * 2015-02-24 2019-02-12 Kabushiki Kaisha Toshiba Storage battery management device,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75518A (ja) 2001-09-05 2003-03-12 Nissan Motor Co Ltd 二次電池の充電率推定装置
JP2008151745A (ja) * 2006-12-20 2008-07-03 Fuji Heavy Ind Ltd 蓄電デバイスの残存容量演算装置
KR101631154B1 (ko) 2015-01-14 2016-06-24 (주) 유진에너팜 적응정격용량법을 이용한 배터리의 soh 추정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3018A (ko) 2018-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618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state of health of battery based on battery voltage variation pattern
US799616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imating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battery based on open circuit voltage estimated by battery voltage variation pattern
US8374807B2 (en) Method and apparatus that detects state of charge (SOC) of a battery
KR102225667B1 (ko) 배터리의 상태를 추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9287723B2 (en) Cell balancing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voltage variation pattern of each cell to estimate an open circuit voltage value for each cell
US10267864B2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including apparatus for estimating battery state
KR101966062B1 (ko) 배터리 잔량 측정 장치 및 측정 방법
US10024924B2 (en) Remaining battery life prediction device and battery pack
US20160274193A1 (en) Battery remaining power predicting device and battery pack
US9891287B2 (en) Temperature-compensated state of charge estimation for rechargeable batteries
CN110462412B (zh) 用于估计电池的soc的装置和方法
KR20200010369A (ko) 축전지 잔량 추정 장치, 축전지 잔량 추정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20075754A (ko) 2차 전지의 잔존용량 연산 방법 및 장치
CN113917348A (zh) 一种电池soc修正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KR102348075B1 (ko)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장치 및 배터리 잔존전하량 추정 방법
EP3605123A1 (en) Storage battery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KR20120029735A (ko) 전기구동 이동체의 배터리 잔여 전력량 산출 장치
KR102627793B1 (ko) 배터리 용량열화 추정 장치 및 배터리 용량열화 추정 방법
KR101584755B1 (ko) 배터리 출력 전압 예측 장치 및 방법
KR102091773B1 (ko) 배터리 사이클 카운팅 장치
KR102091772B1 (ko) 배터리 사이클 카운팅 장치
KR20150034593A (ko) 전지 충전 상태 추정 방법 및 장치
WO2018029849A1 (ja) 推定装置、推定プログラムおよび充電制御装置
JP5307269B1 (ja) 組電池のセルの状態推定装置
KR101546324B1 (ko) 2차전지 충전상태 예측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