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726B1 -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726B1
KR102347726B1 KR1020210054758A KR20210054758A KR102347726B1 KR 102347726 B1 KR102347726 B1 KR 102347726B1 KR 1020210054758 A KR1020210054758 A KR 1020210054758A KR 20210054758 A KR20210054758 A KR 20210054758A KR 102347726 B1 KR102347726 B1 KR 102347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ctural adhesive
laser
vehicle parts
bonding
laser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영
김대인
유지성
Original Assignee
대우공업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공업 (주) filed Critical 대우공업 (주)
Priority to KR1020210054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7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6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heating of the applied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2Positioning or observing the workpiece, e.g. with respect to the point of impact; Aligning, aiming or focusing the laser beam
    • B23K26/06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 B23K26/062Shaping the laser beam, e.g. by masks or multi-focusing by direct control of the laser b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08Devices involv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laser beam and workpiece
    • B23K26/082Scanning systems, i.e. devices involving movement of the laser beam relative to the laser hea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 간에 개재되는 구조용접착제를 고속 경화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접합단부를 따라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구조용접착제를 고속경화시키는 레이저수단 및 일측에 상기 레이저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레이저수단을 상기 접합단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수단 및 상기 레이저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종 소재로 이루어진 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 사이에 구조용접착제를 개재하고, 개재된 구조용접착제를 레이저광의 열원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경화시킴에 따라 후속공정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부품의 정렬상태가 흐트러지지 않으므로 제품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를 가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클램핑수단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이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High speed curing apparatus of structural adhesive for vehicle parts}
본 발명은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종 소재로 이루어진 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 사이에 구조용접착제를 개재하고, 개재된 구조용접착제를 레이저광의 열원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경화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부품 중 패널 형태의 부품(이하 '패널부재'라 함)들은 차체의 강성 확보를 위해 통상 스틸 소재가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패널부재들은 상호 접합되는 접합단부를 접합하는 공정, 접합이 완료된 패널부재를 도장하는 도장공정 및 도장공정이 완료된 패널부재를 건조하는 가열공정을 거쳐 완성된 제품으로 제조된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 간을 스폿용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에는 패널부재의 접합단부 간을 스폿용접을 통해 고정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해왔다.
그러나, 위와 같은 스폿용접 방식은 패널부재의 접합단부 간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접합하는 공정과정을 살펴보면, 도 1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①패널부재(100)의 접합단부 외측에 배치된 스폿용접장치(미도시)를 스폿용접위치(T)로 이동시키는 동작, ②스폿용접이 완료된 스폿용접장치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 ③원위치로 복귀된 스폿용접장치를 후속 스폿용접위치(T)와 대응되는 패널부재(100)의 접합단부(A)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반복되면서 이루어짐에 따라 공정시간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는 차량의 경량화가 요구됨에 따라 스틸 소재로 이루어진 패널부재 중 어느 하나를 경량성 소재인 알루미늄 또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 소재로 대체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알루미늄 또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 소재는 스틸 소재와 스폿 용접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종소재로 이루어진 패널부재(100)의 접합단부 사이에 180~200℃에서 경화되는 구조용접착제(B)를 개재하고, 별도의 클램핑수단(C)을 통해 패널부재(100)의 접합단부(A)를 가 고정한 상태로 도장공정으로 이송하여 도장을 실시하고, 도장이 완료된 패널부재를 가열공정으로 이송하여 도장의 건조와 동시에 구조용접착제를 경화시켜 패널부재의 접합단부를 접합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은 패널부재(100)의 접합단부(A)가 클램핑수단(C)으로 가고정되어 있기는 하나, 구조용접착제가 미경화된 상태에서 후속공정으로 여러차례 이송됨에 따라 패널부재 간의 정렬상태가 흐트러져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방식은 패널부재의 접한단부 간을 가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클램핑수단이 요구됨에 따라 클램핑수단에 소요되는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종 소재로 이루어진 차량의 부품의 접합단부 사이에 구조용접착제를 개재하고, 개재된 구조용접착제를 레이저광의 열원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경화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의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 간에 개재되는 구조용접착제를 고속 경화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합단부를 따라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구조용접착제를 고속경화시키는 레이저수단 및 일측에 상기 레이저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레이저수단을 상기 접합단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수단 및 상기 레이저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레이저수단은 피복을 형성하는 클래드 및 상기 클래드의 단면 중심에 상기 클래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1레이저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제1레이저광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센터코어 및 상기 센터코어와 일정간격 이격된 둘레에 상기 클래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2레이저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제2레이저광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링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레이저광원 및 상기 제2레이저광원의 온/오프 및 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수단은 상기 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에 개재되는 구조용접착제의 도포유무 및 도포형태를 검출하는 스캐너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스캐너유닛에 의해 검출된 상기 구조용접착제의 도포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저수단을 워블 트랙킹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수단은 상기 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 사이에 도포되는 구조용접착제의 도포유무 및 도포형태를 검출하는 스캐너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캐너유닛에 의해 상기 구조용접착제의 도포형태가 지그재그 형태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은 지그재그 형태로 도포된 상기 구조용접착제의 다수의 전환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경로 중 최단 경로를 최적 이동경로로 설정하고, 상기 최적 이동경로 중 상기 구조용접착제의 미도포영역에서는 상기 구조용접착제의 도포영역보다 상기 레이저수단의 이동속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이송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레이저수단은 상기 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에 개재되는 구조용접착제의 도포유무 및 도포형태를 검출하는 스캐너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캐너유닛에 의해 상기 구조용접착제의 미도포영역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구조용접착제의 도포영역에서의 상기 레이저수단의 이동속도보다 상기 구조용접착제의 미도포영역에서의 상기 레이저수단의 이동속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이송수단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구조용접착제의 미도포영역에서 상기 레이저수단의 강도를 증가시켜 상기 구조용접착제의 미도포영역을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종 소재로 이루어진 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 사이에 구조용접착제를 개재하고, 개재된 구조용접착제를 레이저광의 열원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경화시킴에 따라 후속공정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부품의 정렬상태가 흐트러지지 않으므로 제품의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를 가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클램핑수단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이에 소요되는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 간을 스폿용접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2는 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 간 고정방식의 다른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유닛의 다양한 사용예를 도시한 것.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유닛의 워블 트랙킹 제어의 다양한 일예를 도시한 것.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유닛의 제어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유닛의 제어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1)는 이종 소재로 이루어진 적어도 둘 이상의 차량용 부품(P)의 접합단부(A) 외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열원으로 차량용 부품(P)의 접합단부에 개재된 구조용접착제를 고속 경화시키는 것으로서, 레이저수단(10), 이송수단(20) 및 제어수단(30)을 포함한다.
레이저수단(10)은 본체(11), 레이저유닛(12) 및 스캐너유닛(13)을 포함한다.
본체(11)는 내부에 수용공간(S)이 형성된 함체형상으로서 상면 일측에 레이저유닛(12)이 설치되는 설치공(11a)이 형성되고, 설치공(11a)의 측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저면 일측에 하방으로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조사공(11b)이 형성된다.
또한, 본체(11)의 내부 중 조사공(11b)의 상부 일측과 설치공(11a)의 하부 일측에 45°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레이저유닛(12)으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의 방향을 전환시켜 조사공(11b)의 하부로 조사되도록 하는 2개의 반사경(11c)이 설치된다.
레이저유닛(12)은 본체(11)의 설치공(11a)에 설치되고, 2개의 반사경(11c)을 통해 조사공(11b)의 하부에 위치한 차량용 부품(P)의 접합단부로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구조용접착제를 경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래드(12a), 센터코어(12b) 및 링코어(12c)를 포함한다.
클래드(12a)는 원기둥 형상으로서 센터코어(12b)와 링코어(12c)의 설치영역을 제공함과 아울러 센터코어(12b) 및 링코어(12c)를 보호하는 피복의 역할을 한다.
센터코어(12b)는 클래드(12a)의 단면 중심에 클래드(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외부에 설치된 제1레이저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제1레이저광의 이동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차량용 부품(P)의 접합단부 외면에 원형의 레이저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링코어(12c)는 센터코어(12b)와 일정간격 이격된 둘레에 클래드(12a)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외부에 설치된 제2레이저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제2레이저광의 이동경로를 제공함으로써, 제1레이저광의 이격된 둘레에 링 형상의 레이저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스캐너유닛(13)은 본체(10)의 저면 일측에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차량용 부품(P)의 접합단부를 스캔하여 접합단부에 개재되는 구조용접착제의 도포유무 및 도포형태를 검출하여 제어수단(30)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송수단(20)은 레이저수단(10)을 차량용 부품(P)의 접합단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선단부에 레이저수단(10)이 설치된 다관절 로봇암이 사용될 수 있다.
제어수단(30)은 레이저수단(10) 및 이송수단(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제어수단(20)에 의한 레이저수단(10) 및 이송수단(20)의 제어방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유닛의 다양한 사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1)는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30)을 통해 레이저유닛(12)의 센터코어(12b)로 제1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제1레이저광원과, 링코어(12c)로 제2레이저광을 조사하는 제2레이저광원의 강도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방식은 동일한 강도로 조사되는 제1레이저광과 제2레이저광을 통해 차량용 부품(P)의 접합단부 사이에 도포된 구조용접착제를 가열하는 방식으로 구조용접착제의 도포폭이 넓은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고, 레이저유닛의 진행방향을 따라 도포된 구조용접착제를 링 형상의 제2레이저광을 통해 미리 예열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한 경화가 필요한 구조용접착제에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1)는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코어(12b)로부터 조사되는 제1레이저광의 강도를 링코어(12c)로부터 조사되는 제2레이저광의 강도보다 더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방식은 제1레이저광을 통해 차량용 부품(P)의 접합단부 간을 용접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보다 낮은 강도의 제2레이저광을 통해 구조용접착제를 경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적층되는 차량용 부품(P)의 매수가 많은 경우, 강도가 높게 설정된 제1레이저광을 통해 내측에 배치된 차량용 부품(P)의 접합단부에 개재된 구조용접착제도 쉽게 가열하여 경화시킬 수 있으므로 적층되는 차량용 부품(P)의 매수가 많은 경우에도 구조용접착제가 미경화되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몇가지 예시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제1레이저광 및 제2레이저광의 온/오프 및 강도를 조절하여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유닛의 워블 트랙킹 제어의 다양한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1)는 스캐너유닛(13)에 의해 검출된 구조용접착제의 도포형태에 기초하여 제어수단(30)을 통해 레이저유닛(12)을 워블 트랙킹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도 6의 (a)에 도시된 와 같이, 제어수단(30)을 통해 이송수단(20)을 제어하여 레이저유닛(12)이 진행방향을 따라 원호를 그리면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30)을 통해 레이저유닛(12)이 진행방향과 교차되는 양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6의 (c)와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수단(30)을 통해 레이저유닛(12)이 숫자 8 형태를 그리면서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하거나, 도 6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유닛(12)이 무한대(∞) 형태를 그리면서 진행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워블 트랙킹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워블 트랙킹 제어를 통해 차량용 부품(P)의 접합단부 사이에 개재된 구조용접착제로 레이저광의 열원이 보다 확실하게 절달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접합위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유닛의 제어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스캐너유닛에 의해 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 사이에 도포된 구조용접착제의 도포형태가 지그재그 형태로 검출되는 경우, 통상적으로 지그재그 형태를 따라 레이저수단을 이동시키면서 구조용접착제를 경화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레이저수단의 이동경로가 증가함에 따라 경화를 위한 공정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실시예의 제어수단은 지그재그 형태로 도포된 구조용접착제(B)의 다수의 전환점(TP)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경로 l, m 중 최단 경로 m을 최적 이동경로로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수단은 최적 이동경로 중 구조용접착제(B)의 미도포영역(전환점(TP) 사이영역)에서는 도포영역(전환점(TP))보다 레이저수단의 이동속도가 증가하도록 이송수단을 제어한다.
위와 같은 방식을 통해 본 발명은 최적 이동경로 상의 구조용접착제의 일부를 경화시켜 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 일부가 접합되도록 하고, 최적 이동경로 상에서 구조용접착제가 미도포되는 영역에서는 레이저수단의 이동속도가 증가되도록 함으로써, 경화를 위한 공정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레이저유닛의 제어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스캐너유닛에 의해 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 사이에 도포된 구조용접착제의 ②미도포영역이 검출되는 경우, 본 실시예의 제어수단은 구조용접착제의 ①도포영역에서의 레이저수단의 이동속도보다 구조용접착제의 ②미도포영역에서의 레이저수단의 이동속도가 증가하도록 제어하여 구조용접착제의 경화공정시간이 단축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수단은 구조용접착제의 ②미도포영역에서 레이저수단의 강도를 증가시켜 구조용접착제의 미도포영역을 용접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구조용접착제의 ②미도포영역에서 레이저수단의 이동속도를 증가시켜 구조용접착제의 경화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고, 구조용접착제의 ②미도포영역에서 레이저수단의 강도를 증가시켜 구조용접착제의 ②미도포영역을 용접함에 따라 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
10 : 레이저수단 11 : 본체
11a : 설치공 11b : 조사공
11c : 반사경 12 : 레이저유닛
12a : 클래드 12b : 센터코어
12c : 링코어 13 : 스캐너유닛
20 : 이송수단 30 : 제어수단
P : 차량용 부품

Claims (6)

  1. 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 간에 개재되는 구조용접착제를 고속 경화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합단부를 따라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상기 구조용접착제를 고속경화시키는 레이저수단과;
    일측에 상기 레이저수단이 결합되고, 상기 레이저수단을 상기 접합단부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송수단과;
    상기 레이저수단 및 상기 이송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레이저수단은
    피복을 형성하는 클래드와;
    상기 클래드의 단면 중심에 상기 클래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1레이저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제1레이저광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센터코어와;
    상기 센터코어와 일정간격 이격된 둘레에 상기 클래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제2레이저광원으로부터 조사되는 제2레이저광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링코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1레이저광원 및 상기 제2레이저광원의 온/오프 및 강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수단은 상기 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에 개재되는 구조용접착제의 도포유무 및 도포형태를 검출하는 스캐너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스캐너유닛에 의해 검출된 상기 구조용접착제의 도포형태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저수단을 워블 트랙킹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수단은 상기 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 사이에 도포되는 구조용접착제의 도포유무 및 도포형태를 검출하는 스캐너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캐너유닛에 의해 상기 구조용접착제의 도포형태가 지그재그 형태로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은 지그재그 형태로 도포된 상기 구조용접착제의 다수의 전환점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경로 중 최단 경로를 최적 이동경로로 설정하고,
    상기 최적 이동경로 중 상기 구조용접착제의 미도포영역에서는 상기 구조용접착제의 도포영역보다 상기 레이저수단의 이동속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이송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수단은 상기 차량용 부품의 접합단부에 개재되는 구조용접착제의 도포유무 및 도포형태를 검출하는 스캐너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캐너유닛에 의해 상기 구조용접착제의 미도포영역이 검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구조용접착제의 도포영역에서의 상기 레이저수단의 이동속도보다 상기 구조용접착제의 미도포영역에서의 상기 레이저수단의 이동속도가 증가하도록 상기 이송수단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구조용접착제의 미도포영역에서 상기 레이저수단의 강도를 증가시켜 상기 구조용접착제의 미도포영역을 용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
KR1020210054758A 2021-04-28 2021-04-28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 KR102347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758A KR102347726B1 (ko) 2021-04-28 2021-04-28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758A KR102347726B1 (ko) 2021-04-28 2021-04-28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7726B1 true KR102347726B1 (ko) 2022-01-06

Family

ID=79347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758A KR102347726B1 (ko) 2021-04-28 2021-04-28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72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8217A (ja) * 1993-02-12 1994-08-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接着剤塗布方法とその装置
KR20120135544A (ko) * 2011-06-07 2012-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부품의 표면 강화 방법 및 그 부품
KR20160120473A (ko) * 2015-04-08 2016-10-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복합소재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접착방법
KR20170092607A (ko) * 2014-11-27 2017-08-11 꼼빠니 쁠라스틱 옴니움 접착제 직접 가열을 통한 두 개의 자동차 부품의 접착 방법
JP2019153590A (ja) * 2009-11-20 2019-09-12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光拡散光ファイバー、ファイバーバンドル及び照明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8217A (ja) * 1993-02-12 1994-08-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接着剤塗布方法とその装置
JP2019153590A (ja) * 2009-11-20 2019-09-12 コーニング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光拡散光ファイバー、ファイバーバンドル及び照明システム
KR20120135544A (ko) * 2011-06-07 2012-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부품의 표면 강화 방법 및 그 부품
KR20170092607A (ko) * 2014-11-27 2017-08-11 꼼빠니 쁠라스틱 옴니움 접착제 직접 가열을 통한 두 개의 자동차 부품의 접착 방법
KR20160120473A (ko) * 2015-04-08 2016-10-18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복합소재용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접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64557B2 (ja) 金属薄板部分をレーザ接合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6105781B2 (ja) レーザーシンクロ溶接プロセスと装置
US7510620B2 (en) Process for laser welding resinous members, apparatus for the same and laser-welded resinous product
KR102470074B1 (ko) 결합 장치 및 결합 방법
US7345258B2 (en) Beam welding apparatus and beam welding method
JP2001513704A (ja) 多光束ビームレーザ溶接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JP4572118B2 (ja)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成形品を軌跡溶着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JP2005088585A (ja) レーザー光線による部品の接合方法及び装置
CN103842156A (zh) 用于对由塑料制成的两个待接合元件进行激光焊接的方法和设备
US111106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 infrared (IR) laser welding
JP5200528B2 (ja) レーザ溶接方法および溶接接合体
JP5610138B2 (ja) レーザー溶着装置
JP5365729B2 (ja) レーザ溶接方法および溶接接合体
JPH11348132A (ja) レ−ザ溶着方法及びレ−ザ溶接装置
US20050121137A1 (en) Joint designs for laser welding of thermoplastics
KR102347726B1 (ko) 차량용 부품 접합용 구조용접착제의 고속 경화장치
US20040231788A1 (en) Laser joining method for structured plastics
JP2013196891A (ja) 車両用灯具の製造方法
WO2014203489A1 (ja) 外装缶封口方法及び外装缶封口装置
JPH10166451A (ja) プラスチックの融着方法および融着装置
JP6724443B2 (ja) レーザ接合方法
KR102408420B1 (ko) 샌드위치 판재의 접합 방법
US20230001626A1 (en) Method For Producing a Moldable, Thermoplastic, Continuous Fiber Reinforced Composite Structure, Moldable Composite Structure, and Device For Producing Same
JP2014151438A (ja) レーザー溶着方法
KR101116635B1 (ko) 레이저 용접용 옵틱 헤드 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