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7274B1 - A toilet with an ice maker - Google Patents

A toilet with an ice ma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7274B1
KR102347274B1 KR1020200021629A KR20200021629A KR102347274B1 KR 102347274 B1 KR102347274 B1 KR 102347274B1 KR 1020200021629 A KR1020200021629 A KR 1020200021629A KR 20200021629 A KR20200021629 A KR 20200021629A KR 102347274 B1 KR102347274 B1 KR 102347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powder
ice
weight
parts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16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06744A (en
Inventor
신병철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1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7274B1/en
Publication of KR20210106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674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7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72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2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solid substances introduced in the bowl or the supply lin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20Distributing ic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4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solid sub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에 관한 발명으로, 변기 형상의 본체부, 본체부 상면에 결합되는 탱크부 및 본체부 상면에 결합되는 제빙부를 포함하고, 본체부의 일측에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구비하되, 제1 개구부에서 탱크부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고, 제2 개구부에서 제빙부에 저장된 얼음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with an ice maker attached thereto, comprising a body part in the shape of a toilet, a tank part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an ice maker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at one side of the body part wherein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unit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the ice stored in the ice maker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Description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A TOILET WITH AN ICE MAKER}Toilet with ice maker {A TOILET WITH AN ICE MAKER}

본 발명은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결합되는 탱크부 및 제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개구부에서 상기 탱크부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고, 상기 제2 개구부에서 상기 제빙부에 저장된 얼음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to which an ice maker is attached, and more particularly, it includes a toilet-shaped body part, a tank part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side by sid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ce maker part, and a first opening at one side of the body part and a second opening, wherein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unit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opening and the ice stored in the ice making unit is simultaneously suppli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현재, 세계 선진국들은 물론 우리 나라에서도 화장실에 대한 논의 및 비중을 확대하는 추세로, 이는 현대인의 삶에서 화장실은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공간으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Currently, in developed countries around the world, as well as in Korea, the discussion and importance of toilets is increasing, because the toilet is recognized as a space that has an important influence in the lives of modern people.

화장실은 특히 대중이 이용하는 공공기관 및 공공 시설물의 공중 화장실은 시민의 사회활동에 직결된 필수적인 시설이면서, 공공 영역에 대한 시민적 인식과 나라의 청결성을 드러내 주는 척도이기도 하다.In particular, public toilets in public institutions and public facilities used by the public are essential facilities directly related to citizens' social activities, and are also a measure of civic awareness of the public sphere and the cleanliness of the country.

이로 인해, 오늘날의 화장실은 보다 편안함과 편리성을 추구하는 장소가 되었고, 실내 디자인 및 위생적인 부분을 더욱 중요시하는 경향이 되었을 뿐 아니라, 화장실의 청결도는 오늘날 백화점 및 상점 등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이 신경 쓰는 부문에 손꼽힐 정도로 비중이 확대되었다.Due to this, today's bathroom has become a place that pursues more comfort and convenience, and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place more importance on interior design and hygiene. The proportion has expanded to the extent that it is counted as one of the divisions.

종래의 변기는 물로 세척하는 방법으로 수동 버튼에 의해 물이 흘러내려 변기를 세척하는 방법이 있고, 자동 센서가 부착되어 변기를 세척하는 방법이 있다.As a method of washing a conventional toilet bowl with water, there is a method of washing the toilet bowl with water flowing down by a manual button, and there is a method of washing the toilet bowl with an automatic sensor attached thereto.

그러나, 사람의 소변으로 인해 기체들이 발생하여 병원균들이 공기중으로 발생됨에 따라, 변기에서 각종 질병을 야기시킬 뿐 아니라, 물 만으로 세척이 어려워 소변의 찌꺼기들이 그대로 남아 있어 심한 악취를 발생시킴에 따라 변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들로 하여금 불쾌감을 유발시키고 있다.However, as gases are generated from human urine and pathogens are generated in the air, it not only causes various diseases in the toilet, but also it is difficult to wash with only water, so urine residues remain as they are, generating a severe odor. It causes discomfort to users who use it.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변기에서 세균의 번식을 제어 및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device capable of controlling the growth of bacteria and removing odors in the toilet used by many peopl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5836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345836

본 발명은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변기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면에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결합되는 탱크부 및 제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개구부에서 상기 탱크부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고, 상기 제2 개구부에서 상기 제빙부에 저장된 얼음을 동시에 공급하여 세균 번식 및 악취 제거와 소변 튐 방지의 효과를 도모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to which an ice maker is attached, and more particularly, it includes a toilet-shaped body part, a tank part coupled to an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side by sid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an ice maker part, and a first opening at one side of the body part and a second opening to supply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unit from the first opening, and simultaneously supply the ice stored in the ice-making unit from the second opening to promote bacterial propagation, odor removal, and prevention of urine splashing. want to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 시키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는 변기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면에 결합되는 탱크부; 및 상기 본체부 상면에 결합되는 제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개구부에서 상기 탱크부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고, 상기 제2 개구부에서 상기 제빙부에 저장된 얼음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oilet to which an ice maker is atta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ilet-shaped body portion; a tank unit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unit; and an ice-making unit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wherein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is supplied from the first opening, and the second opening is provided. in the ice mak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ed ice is suppli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의 상기 탱크부 및 상기 제빙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서 일측에 결합되되, 길이방향으로 인접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ank part and the ice maker of the toilet to which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are coupled to one si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and are formed integrally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의 상기 제빙부는, 원통 형상으로 외부에서 내부로 가압되는 버튼부;를 구비하여 상기 버튼부를 가압하는 일정 시간에만 상기 제2 개구부가 개방되어 얼음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ce maker of the toilet to which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includes a button part that is press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second opening is opened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when the button part is pressed, so that ice is supplied. characterized in tha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의 상기 본체부는,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를 따라 상기 제빙부에 저장된 얼음이 이동 및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body of the toilet to which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includes a protrusion formed along an inner surface, and the ice stored in the ice maker is moved and supplied along the protrus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의 상기 본체부는, 중공부를 지니고,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직사각형 형상의 방출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방출부는, 양측면이 개방되어 일측은 상기 제2 개구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of the toilet to which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has a hollow portion and a rectangular discharge portion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t is connected to, and the other si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nected to the protrusion.

본 발명에 따르면, 탱크부와 제빙부가 일체형으로 본체부의 상면에 결합되어 물과 얼음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어 소변 오염물에 함유되어 있는 유해 병균을 냉동시켜 제거할 수 있고, 악취 제거 및 소변 튐 방지의 효과를 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ank unit and the ice making unit are integrally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to supply water and ice at the same time, so harmful germs contained in urine contaminants can be frozen and removed, and the effect of removing odors and preventing urine splashing can be seen

또한, 방출부와 동일한 선상에서 돌기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구비하여 얼음이 방출될 때 돌출부를 따라 이송되면서 방출되므로 다양한 지점에서 얼음이 분포되어 세균 및 악취를 제거하는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shape of a protrusion is provided on the same line as the discharging unit, when the ice is discharged, it is transported along the protrusion and discharged, so that the ice is distributed at various points, thereby maximizing the effect of removing bacteria and odor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의 탱크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의 제빙부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to which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2 is a plan view of a toilet to which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ank of the toilet to which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ce maker of the toilet to which the ice maker is atta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nd,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descriptio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thu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다. 또한, "수직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또한, 내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Definitions of terms used below are as follow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x-axis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width direction" is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FIG. 1 . In addition,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z-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FIG. 1 . In addition, the inner side means a side relatively close to the center of the same memb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의 탱크부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의 제빙부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ilet to which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Also, FIG. 2 is a plan view of a toilet to which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ank part of the toilet to which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ice maker of the toilet to which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는 본체부(100), 탱크부(200) 및 제빙부(300)를 포함한다.The toilet to which the ice maker is atta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part 100 , a tank part 200 , and an ice maker part 300 .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체부(100)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main body 1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

본체부(100)는 종래의 변기 형상으로, 화장실에 배치되고, 사람이 배출 및 배설하는 오물 등을 집의 밖으로 내보내는 형태를 포함한다.The body part 100 has a conventional toilet shape, and is disposed in a toilet, and includes a form in which a person discharges and excretes filth and the like out of the house.

또한, 본체부(100)는 종래의 좌변기의 다양한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사람의 엉덩이가 닿는 변좌, 변좌를 덮을 수 있는 커버, 악취나 오물 등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S자 모양의 트랩을 구비하고 일정 수위의 깨끗한 물이 담겨져 있도록 하는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100 may include various shapes of a conventional toilet seat, and a toilet seat that a person's buttocks touch, a cover that can cover the toilet seat, and an S-shaped trap to prevent backflow of odors or filth. It may include a structure that is provided and contains clean water of a certain level.

또한, 본체부(100)의 재질은 소변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금속 및 비금속의 재질로 도기 및 세라믹을 포함하고, 사람이 본체부(100)의 상면에 앉아도 버틸 수 있는 내구성, 물이 씻겨 내려도 견딜 수 있는 내마모성 및 친수성, 내식성 등의 특성을 모두 만족시키는 재질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변기 형상으로 공지된 기술이므로, 작동 방법 및 효과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aterial of the body part 100 is a metal and non-metal material that is not corroded by urine, and includes ceramics and ceramics, durability that can withstand even if a person sit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and withstands washing down with water It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with a material that satisfies all of the characteristics such as abrasion resistance, hydrophilicity, and corrosion resistance. Since this is a known technique in the shape of a conventional toilet bowl,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operation method and effect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는 가정집, 공공건물, 학교 및 공공기간의 화장실에 설치되는 변기의 형태를 포함하며, 후술할 탱크부(200)와 제빙부(300)가 일체형으로 본체부(100)와 결합되어 소변 오염물에 함유되어 있는 유해 병원균을 냉동시켜 제거할 수 있으며, 악취 제거 및 소변 튐 방지의 효과를 볼 수 있다.The toilet to which the ice maker is attach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oilet installed in households, public buildings, schools and public toilets, and the tank unit 200 and the ice maker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integrated. By being combined with the body part 100, harmful pathogens contained in urine contaminants can be frozen and removed, and the effect of removing odors and preventing urine splashing can be seen.

이와 같은, 본체부(100)는 후술할 탱크부(200) 및 제빙부(300)가 결합되는 상면의 일측에서 원형 형상으로 절단된 제1 개구부(110) 및 제2 개구부(120)를 구비하여 탱크부(200)에 저장된 물(230)을 본체부(100) 내측면에 공급할 수 있고, 제빙부(300)에 저장된 얼음(330)을 본체부(100) 내측면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체부(100)의 내측면이란, 사람에게서 방출되는 우물과 만나는 면으로 종래의 변기 형상에서 일정 수위의 물이 담겨져 있는 면을 지칭한다.As described above, the main body 100 includes a first opening 110 and a second opening 120 cut in a circular shape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to which the tank unit 200 and the ice making unit 300 are coupl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The water 230 stored in the tank 200 can be su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and the ice 330 stored in the ice maker 300 can be su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In this case,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refers to a surface that meets a well discharged from a person and contains water of a certain level in a conventional toilet shape.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탱크부(200)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tank unit 2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탱크부(200)는 본체부(100)의 상면의 일측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된다. The tank unit 200 is vertical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unit 100 .

탱크부(200)는 중공부를 지니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내부에 물(230)을 저장할 수 있고, 물(230)을 본체부(100)로 공급할 수 있는 손잡이부(220)를 구비한다.The tank unit 200 has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hollow portion, can store water 230 therein, and includes a handle unit 220 capable of supplying water 230 to the body unit 100 .

또한, 탱크부(200)는 종래의 변기의 물탱크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고, 일 예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도관에서 탱크부(200)로 물을 이동시키는 밸브 및 무소음 볼탑을 포함할 수 있고, 탱크부(200)와 본체부(100)를 결합할 수 있는 연결용 볼트, 너트 및 부속품을 포함할 수 있고, 수도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볼탑 및 볼탑의 물이 일정 수위보다 더 높게 올라가면 밖으로 흘려보내는 오버플로우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공지의 기술로 상세한 설명 및 효과는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ank unit 200 may include the shape of a conventional toilet water tank,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valve for moving water from a water pipe supplying tap water to the tank unit 200 and a silent ball top. , It may include bolts, nuts, and accessories for connection that can combine the tank unit 200 and the body unit 100, and the ball top and the ball top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through the water pipe are higher than a certain water level. If it rises high, it may include an overflow pipe that flows out. This is a known technique, and detailed description and effects will be omitted.

이와 같은 탱크부(200)는 본체부(100)와 맞닿아 결합될 때, 제1 개구부(110)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절단되는 형상을 구비하여 탱크부(200) 내부에 저장된 물(230)을 본체부(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1 개구부(110)에 대응되는 형상에 맞닿는 물 마개부(210)를 구비하고, 물 마개부(210)는 종래의 변기 부속품을 포함할 수 있고, 물을 내보내 주는 다양한 사이폰 마개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The tank unit 200 has a shape that is cut in the same shape and size on the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first opening 110 when the tank unit 2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dy unit 100 and is coupled to the tank unit 200. ) may be supplied to the water 230 stored therein to the body portion (100). In addition, the first opening 110 is provided with a water stopper 210 in contact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and the water stopper 210 may include a conventional toilet accessory, and may include various siphon stoppers for discharging water. form may be included.

이와 같이, 물탱크부(200)는 외측면에 결합되고, 물 마개부(210)와 줄 형상으로 연결되는 손잡이부(220)를 구비하여, 사람이 오물을 집 밖으로 배출하기 위해 손잡이부(220)를 가압하면 연결되어 있는 물 마개부(210)가 들려 올려져 제1 개구부(110)를 개방하여 탱크부(200) 내부에 저장된 물(230)을 본체부(100)로 공급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water tank unit 200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and includes a handle unit 220 connected to the water stopper unit 210 in a line shape, and the handle unit 220 for a person to discharge filth out of the house. ), the connected water stopper 210 is lifted and the first opening 110 is opened to supply the water 230 stored in the tank 200 to the main body 100 .

이는, 종래의 변기의 사용 실시 예와 동일하고, 변기 내측면에 배설물의 흔적을 지우고 밖으로 배출하는 목적과 효과는 동일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is is the same as the embodiment of using the conventional toilet, and the purpose and effect of erasing the traces of excrement on the inner surface of the toilet and discharging it out are the same, so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제빙부(300)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ice maker 3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

제빙부(300)는 본체부(100) 상면의 일측에서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고, 탱크부(200)와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인접되어 결합된다.The ice making unit 300 is vertically coupled from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and is adjacent to and adjacent to the tank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따라서, 제빙부(300)는 탱크부(200)와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여 일체형 형상으로 본체부(100) 상면에 결합되므로 보는 이에게 미관상 깔끔함을 제공하여 심미적으로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Accordingly, the ice making unit 300 is adjacent to the tank unit 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unit 100 in an integral shape, thereby providing aesthetically neatness to the viewer, thereby providing aesthetic stability.

제빙부(300)는 종래의 물을 얼음으로 결빙시키는 공지의 기술로, 컴프레셔, 냉판, 축압기, 솔레노이드 밸브 및 핫 가스 밸브 혹은 고압 파이프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증발기 혹은 냉판에 물 분배기를 이용하여 물을 흘러내리도록 하거나 분사해서 얼음으로 형성시킨 후, 솔레노이드를 작동시켜 고압열이 냉판에 가해져 큐브 형상의 얼음으로 저장고에 저장되는 공지의 알고리즘을 통해 구성될 수 있다.The ice maker 300 is a known technique for freezing water into ice in the related art, and may include a compressor, a cold plate, an accumulator, a solenoid valve, a hot gas valve, or a high pressure pipe, and use a water distributor for an evaporator or a cold plate It can be configured through a known algorithm in which water flows down or is sprayed to form ice, and then a solenoid is operated to apply high-pressure heat to the cold plate and stored in a storage as cube-shaped ice.

이와 같은 제빙부(300)는 본체부(100)와 맞닿아 결합될 때, 제2 개구부(120)와 수직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 선상에서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절단되는 형상을 구비하여 제빙부(300) 내부에 저장된 얼음(300)을 본체부(100)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제2 개구부(120)에 대응되는 형상에 맞닿는 얼음 마개부(310)를 구비하고, 얼음 마개부(310)는 물 마개부(210)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The ice maker 300 has a shape that is cut in the same shape and size on the same line with respect to the second opening 120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ice maker 30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dy part 100 and is coupled to the ice maker 300 . ) the ice 300 stored therein may be supplied to the body part 100 . Also, the ice stopper 310 may be provided in contact with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opening 120 , and the ice stopper 310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water stopper 210 .

따라서, 제빙부(300)는 상면에 결합되고, 얼음 마개부(310)와 줄 형상으로 연결되는 버튼부(320)를 구비하여, 버튼부(320)를 외부에서 내부로 가압하여 제빙부(300)에 저장된 얼음(330)을 본체부(100)로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버튼부(320)는 손잡이부(220)와 동일한 구조로 구현될 수도 있고, 탄성력을 포함하는 스프링 또는 고무 같은 재질의 힘에 의해 원상 복구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ce maker 30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and includes the button 320 connected to the ice stopper 310 in a string shape, and presses the button 320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o press the ice maker 300 . ) stored in the ice 330 may be supplied to the main body 100 . Here, the button unit 320 may be implemented with the same structure as the handle unit 220 , and may include a structure that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a force of a material such as a spring or rubber including an elastic force.

다시 말해, 사람이 임의로 버튼부(320)를 가압 시, 버튼부(320)와 연결된 얼음 마개부(310)가 들어 올려져 제2 개구부(120)가 개방되는 구조로 제빙부(300) 내부의 얼음(330)이 본체부(100)의 내측면에 공급될 수 있다.In other words, when a person arbitrarily presses the button unit 320 , the ice stopper 310 connected to the button unit 320 is lifted and the second opening 120 is opened. Ice 330 may be suppli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에서 탱크부(200)에서 공급되는 물(230)과 동시에 제빙부(300) 내부에 저장된 얼음(330)을 함께 공급하는 구조로, 소변의 기체, 유해 병균의 번식을 제거할 수 있고, 악취를 제거하여 본체부(100) 내부의 청결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Accordingly, in the toilet to which the ice maker is atta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230 supplied from the tank unit 200 and the ice 330 stored in the ice maker 300 are simultaneously supplied together with urine gas,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propagation of harmful germs, and to remove the odor to promote the cleanliness of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00 occurs.

이때, 본체부(100)에 방출부(130) 및 돌출부(140)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the discharge part 130 and the protrusion part 140 in the body part 100 .

더 상세하게는, 본체부(100) 내부에 삽입되어 중공부를 지니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상의 방출부(130)를 구비한다. 또한, 방출부(310)는 양단부가 개방되는 형상으로 일측은 제2 개구부(120)와 연결되고, 타측은 본체부(100)의 내측과 연결된다. 따라서, 제빙부(300) 내부에서 시작으로, 제2 개구부(120)를 통해 얼음이(330)이 공급될 때, 방출부(130)를 지나 방출부(130)의 타측에 연결된 본체부(100)의 내측으로 얼음(330)이 배출되게 된다.More specifically, it is inserted into the body portion 100 and has a hollow portion, and a rectangular-shaped discharge portion 130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is provided. In addition, the discharge unit 310 has both ends open,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opening 120 ,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100 . Therefore, starting from the inside of the ice maker 300 , when the ice 330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120 , the body part 100 passes through the discharge unit 130 and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discharge unit 130 . ), the ice 330 is discharged to the inside.

또한, 본체부(100) 내측면을 따라 방출부(130)와 동일한 선상에서 돌기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1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protrusion 140 protruding in the shape of a protrusion on the same line as the discharge unit 130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0 .

따라서, 방출부(130)를 통해 얼음(330)이 배출될 때, 돌출부(140)를 따라 얼음(330)이 이송되어 공급되므로 본체부(100) 내측에서 한 지점에서 얼음(330)이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지점에서 분포되어 공급되므로, 사람의 건강을 해치는 유해 세균들의 번식을 제거 및 악취를 제거하는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ice 330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unit 130 , the ice 330 is transported and supplied along the protrusion 140 , so that the ice 330 is supplied at one point inside the body unit 100 . Rather, it is distributed and supplied at various points, so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reproduction of harmful bacteria that harm human health and removing odors.

즉, 사람이 소변을 본 후에, 종래의 변기에서 물 만을 이용하여 오물을 씻겨내는데 부족했던 문제점을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의 제빙부(300)에서 얼음(330)이 동시에 공급되어 소변의 기체, 유해 병균 및 악취제거를 할 수 있는 효과와 더불어 소변의 튐 방지효과까지 제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를 사용하는 사람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after a person urinates, the ice 330 is simultaneously supplied from the ice maker 300 of the toilet to which the ice maker is atta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 that the conventional toilet is insufficient to wash away filth using only water.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removing gas, harmful germs and odors, it also provides the effect of preventing urine splashing,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person using the toilet with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의 다른 실시 예로, 제빙부(300) 내부에 얼음(330)을 공급하기 위해 버튼부(320)의 구동을 대체하여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온도 센서 혹은 감지 센서로 구동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toilet to which the ice maker is atta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320 is replaced with the operation of the button unit 320 to supply the ice 330 to the inside of the ice maker 30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temperature sensor or It may include actuation with a detection sensor.

감지 센서는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에서 본체부(100)의 외측면에서 본체부(100)를 사용하는 사람의 접근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 센서는 사람을 인식할 수 있는 센싱 범위를 인위적으로 설정하여 상황 및 환경에 맞게 센싱 범위를 조절할 수 있고, 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detection sensor may detect the approach of a person using the body part 100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in the toilet to which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tached. Here, the detection sensor may artificially set a sensing range capable of recognizing a person to adjust the sensing range according to a situation and environment, and since this is a known technology,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를 사용하는 사람이 접근하면 감지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얼음(330)을 공급하므로, 얼음(330)을 공급하기 위해 버튼부(320)를 가압하는 동작을 대신할 수 있어 편리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a person using the toilet to which the ice maker is attac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pproaches, the sensor detects it and supplies the ice 330, so that the operation of pressing the button 320 to supply the ice 330 is performed. It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convenience because it can be replaced.

이하에서, 제빙부(300) 내부에 저장된 얼음(330)이 본체부(100)의 내측을 따라 공급되는 구동 순서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riving sequence in which the ice 330 stored in the ice maker 300 is supplied along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와 같이, 탱크부(200)와 제빙부(300)는 길이 방향으로 인접하여 일체형으로 설치되어, 탱크부(200)에 저장된 물(230)은 제1 개구부(110)를 통해서 공급되고, 제빙부(300)에 저장된 얼음(330)은 제2 개구부(120)를 통해서 공급된다.As shown in FIG. 2 , the tank unit 200 and the ice making unit 300 are integrally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water 230 stored in the tank unit 200 is supplied through the first opening 110 , The ice 330 stored in the ice maker 300 i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opening 120 .

따라서, 물 마개부(210)와 연결된 손잡이부(220)를 가압 시에 물 마개부(210)가 들려 올려져 제1 개구부(120)가 열림 상태가 되어 탱크부(200)에 저장된 물(230)을 제1 개구부(110)를 통해 본체부(100)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handle 220 connected to the water stopper 210 is pressed, the water stopper 210 is lifted up to open the first opening 120 and the water 230 stored in the tank 200 is opened. ) may be supplied into the body portion 100 through the first opening 110 .

이와 동일한 원리로, 얼음 마개부(310)와 연결된 버튼부(320)를 가압 시에 얼음 마개부(310)가 들려 올려져 열림 상태가 되어 제빙부(300)에 저장된 얼음(330)을 제2 개구부(120)를 통해 본체부(100) 내부에 공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ame principle, when the button 320 connected to the ice stopper 310 is pressed, the ice stopper 310 is lifted up and opened to release the ice 330 stored in the icemaker 300 for the second time. It may be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0 through the opening 120 .

이에 따라, 사람은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를 사용하여 오물을 배출하고, 화장실 밖으로 완전히 배출시키기 위해 손잡이부(220) 및 버튼부(320)를 가압 하는 구동 방법으로 탱크부(200)에서 물(230)을 제빙부(300)에서 얼음(330)을 본체부(100)로 공급하여 본체부(100)에 있는 세균 둥과 같은 미생물을 얼음(330)으로 증식을 억제시킬 수 있고,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를 사람이 사용할 때에 물(230)과 얼음(330)이 동시에 공급되므로, 소변 튐 방지의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Accordingly, a person discharges filth using a toilet with an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presses the handle 220 and the button 320 in order to completely drain the toilet tank 200 as a driving method. By supplying water 230 from the ice making unit 300 to the ice 330 from the ice making unit 300 to the body unit 100,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in the body unit 100 can be suppressed into the ice 330, It has the effect of removing odors. In addition, since water 230 and ice 330 are supplied at the same time when a person uses the toilet with the ice m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 of preventing urine splash can be generated.

또한, 종래의 변기에 존재하는 세균과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세정액과 약품으로 세척해야 하는 불편함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reduce the inconvenience of periodically washing with a cleaning solution and chemicals to remove bacteria and odors existing in the conventional toilet.

상기 제빙부(300) 이외에 본 발명의 변기는 본체부(100) 내부에 탈취 코팅층이 형성되어, 얼음에 의한 악취 제거 효과와 더불어, 소변 및 대변 등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악취의 제거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ice making unit 300, the toile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eodorizing coating layer formed inside the body unit 100, so that, in addition to the effect of removing odors from ice, odors that may be generated by urine and feces and the like and antibacterial effects are removed. can indicate

상기 탈취 코팅층은, 탈취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탈취 코팅 조성물을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선택 가능한 코팅 방법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한다. The deodorization coating layer is to be formed using a deodorization coating composition, and forms a coating layer using a coating method that can be easily selec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deodorization coating composition.

상기 탈취 코팅 조성물은 미분말 šœ가이트(shungite), 미분말 일라이트(illite), 미분말 제올라이트(zeolite),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jad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무기분말을 포함하는 것이다.The deodorizing coating composition is fine powder shungite, fine powder illite, fine powder zeolite, fine powder elvanite, fine powder bentonite, fine powder diatomite, fine powder germanium, fine powder ocher, fine powder alum, fine powder jade) and an inorganic powd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ixtures thereof.

본 발명에서 말하는 미분말은 볼밀, 제트밀, 기타 분쇄장치 등으로 파쇄하거나 합성과정에서 미분말의 성상을 가지도록 제조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미분말은 평균입경이 100μm 이하인 것으로 정의한다.The fine powder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being crushed by a ball mill, jet mill, other pulverizing device, etc. or manufactured to have the properties of a fine powder in the synthesis process, and the fine powder is defined as having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100 μm or less.

본 발명에서 말하는 šœ가이트란, 러시아 Karelia Ladoga호 북부 부근 Shunga에서 원생대 야툴리아 시대(Jatulian)의 작은 흑연 미세 결정이 풍부한 변성도가 낮은 혈암 중에 층(두께 2m에도 달한다)이나 렌즈 모양체로 산출된다. The “gait”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oduced as a layer (up to 2 m thick) or lenticular in the low metamorphic shale rich in small graphite microcrystals of the Proterozoic Jatulian in Shunga, near northern Lake Karelia Ladoga, Russia. .

본 발명에서 말하는 일라이트란, 화학조성은 (K,H3O)Al2(Si,Al)4O10(H2O,OH)2이다. 화학성분으로 보아, 백운모에 가까운 것도 있으나, 비교적 SiO2, MgO, H2O가 많고, K2O는 적다. 수백운모(水白雲母) 등과 같은 계열의 광물이다. 굳기 1 내지 2, 비중 2.6 내지 2.9이다. 쪼개짐은 완전하며, 조흔색은 백색이며, 토상(土狀)광택이 있다. 화학성분이나 결정구조로 보아 독립된 광물이 아니고, 다른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혼합광물이라는 견해가 있다. 알루미늄이 풍부한 이질(泥質) 또는 응회암질(凝灰岩質) 퇴적암 중에 산출되며, 열수성(熱水性) 광상모암의 변질광물로서 산출된다.The chemical composition of illite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K,H 3 O)Al 2 (Si,Al) 4 O 10 (H 2 O,OH) 2 . In terms of chemical composition, there are some that are close to muscovite, but relatively SiO 2 , MgO, H 2 O is high, and K 2 O is small. It is a mineral of the same series as hundreds of mica. It has a hardness of 1 to 2 and a specific gravity of 2.6 to 2.9. The cleavage is complete, the streak is white, and there is an earthy luster. In terms of chemical composition or crystal structure, there is an opinion that it is not an independent mineral, but a mixed mineral containing other components. It is produced in aluminum-rich heterogeneous or tuff sedimentary rocks, and is produced as a metamorphic mineral of hydrothermal mineralogy.

본 발명에서 말하는 제올라이트는 비석(沸石)이라고도 한다. 종류는 많으나 함수량(含水量)이 많은 점, 결정의 성질, 산상(産狀) 등에 공통성이 있다. 굳기는 6을 넘지 않으며, 비중은 약 2.2이다. 일반적으로 무색 투명하거나 백색 반투명하다. 취관으로 가열하면 끓어서 팽대하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다. 대개의 종류는 염산에 녹아 흔히 아교 모양이 되지만, 소수의 종류는 염산에 녹지 않는다. 주요한 종류로서 방비석, 어안석, 캐버자이트, 소다비석·휼란다이트, 스틸바이트, 로몬타이트, 이네사이트 등이 있다. 현무암이나 휘록응회암 등 염기성 화성암의 공동(空洞) 속이나 열극에서 산출되며, 때로는 화강암, 편마암 중에 2차광물로서 존재한다. 또한 금광맥 그 밖의 광맥 중에 산출되는 경우도 있다. 결정구조적으로 각 원자의 결합이 느슨하여, 그 사이를 채우고 있는 수분을 고열로 방출시켜도 골격은 그대로 있으므로 다른 미립물질을 흡착할 수가 있다. 이 성질을 이용해서 흡착제로 사용하며, 크기가 다른 미립물질을 분리시키는 분자체(分子篩)로 사용한다.The zeolite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alled zeolite. Although there are many types, they have common features such as high water content, crystal properties, and acid phase. The hardness does not exceed 6, and the specific gravity is about 2.2. It is usually colorless transparent or white translucent. It got its name because it boils and expands when heated with a blowpipe. Most kinds dissolve in hydrochloric acid and often form a glue, but a few kinds are insoluble in hydrochloric acid. Main types include bantamite, fisheye, chabazite, soda zeolite, hewlandite, stilbite, lomontite, and inesite. It is produced in hollows or fissures of basic igneous rocks such as basalt and pyroclastic tuff, and sometimes exists as a secondary mineral in granite and gneiss. In addition, it may be produced in gold veins and other veins. Since the bonds between each atom are loose in the crystal structure, even if the moisture filling the gap is released with high heat, the skeleton remains intact, so other particulate matter can be adsorbed. Using this property, it is used as an adsorbent and as a molecular sieve that separates particles of different sizes.

본 발명에서 말하는 맥반석은 중국의 한방의학에서 사용한 용어로 알려지고 있으며 지질학적으로 분류하자면 화강암류에 속한다. 석영반암, 장석반암, 화강반암과 같은 것으로서, 암석명으로 석영-몬조나이트와 일치한다. 석영과 장석이 촘촘하게 섞여 있다. 누런 백색, 연한 누런 갈색, 옅은 회색, 짙은 녹색 또는 옅은 녹색 암석에 빨간 점 또는 하얀 점이 고르게 섞여 있는 모습이 보리밥으로 만든 주먹밥과 같다고 하여 맥반석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주성분은 무수규산과 산화알루미늄이고, 산화제철이 소량 함유되어 있다. 약석으로 알려진 것은 누런 백색을 띤 맥반석으로 예전에는 환약을 정제하는 여과제, 등에 나는 부스럼 또는 종기 등 피부질병을 치료하는 소염제로 사용하였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그 성질은 달고, 따뜻하며, 독이 없다고 한다. 1cm3 당 3 내지 15만 개의 구멍으로 이루어져 있어 흡착성이 강하고, 약 2만 5000종의 무기 염류를 함유하고 있다. 중금속과 이온을 교환하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유해금속 제거제로도 사용하며, 이 암석에 열을 가하면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찜질방, 식기, 의료기 등 여러 산업 부분에서 이용하고 있다.Elvan ston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known as a term used in Chinese oriental medicine, and geologically it belongs to the granite class. As quartz porphyry, feldspar porphyry, and granite porphyry, the name of the rock corresponds to quartz-monzonite. Quartz and feldspar are densely mixed. Yellowish white, light yellowish brown, light gray, dark green, or pale green rocks with red dots or white dots evenly mixed in the rock resembles a rice ball made of barley, hence the name elvan stone. The main components are silicic anhydride and aluminum oxide, and a small amount of iron oxide is contained. What is known as yakseok is a yellowish white elvan stone that was previously used as a filter agent to refine pills and as an anti-inflammatory agent to treat skin diseases such as swelling or boils on the back. According to Donguibogam, its nature is sweet, warm, and non-toxic. It has 3 to 150,000 pores per 1 cm3, so it has strong adsorption and contains about 25,000 kinds of inorganic salts. Because it acts to exchange ions with heavy metals, it is also used as a toxic metal remover, and is known to emit far-infrared rays when heat is applied to this rock.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it is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jjimjilbang, tableware, and medical equipment.

본 발명에서 말하는 벤토나이트는 석영, 장석(長石), 제올라이트 등을 포함한 것이 많다. 빛깔은 백색, 회색, 담갈색, 담녹색 등을 나타낸다. 진주광택, 납상광택을 가지며 지방감이 있는 치밀한 괴상으로 산출되는데, 물을 흡착하여 팽윤하고, 양이온 교환성이 뚜렷한 것 등 몬모릴로나이트의 성질과 흡사하다. 응회암과 유리질 유문암(流紋岩)이 변질된 것이다. 용도는 매우 넓어 석유정굴진용 이수(石油井掘進用泥水)의 주성분, 주물형(鑄物型)의 결합제, 요업원료의 혼입제, 연고의 기초제로서 사용되기도 한다. 명칭은 발견지인 미국 와이오밍주(州)의 지층에서 유래되었다.The bentonite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often includes quartz, feldspar, zeolite, and the like. Colors include white, gray, light brown, and light green. It has pearl luster and waxy luster and is produced as a dense mass with a sense of fat. Tuff and glassy rhyolite are altered. Its use is very wide, and it is also used as a main component of water for petroleum refining, as a binder for castings, as an admixture for ceramic materials, and as a base agent for ointments. The name is derived from the strata of the state of Wyoming, USA, where it was discovered.

본 발명에서 말하는 규조토는 주로 규산(SiO2)으로 되어 있으며, 백색 또는 회백색을 띤다. 가벼우며 손가락으로 만지면 분말이 묻을 정도로 연하다. 미세한 다공질(多孔質)이기 때문에 흡수성이 강하고, 열의 불량도체이다. 우리 나라에서의 규조토는 제3기 또는 제4기 지층내에서 토상(土狀)으로 산출된다. 우리나라 고제3기(古第三期)에는 북동 내지 북북동 방향의 단층운동이 일어나서 여러 곳에 지구대(地溝帶) 퇴적분지가 형성되었다. 영일 분지, 길주와 명천 간 지구대, 서울과 원산 간 지구대, 두만강 분지 등이 형성되었고, 여기에 제3기층이 퇴적되었다. 퇴적층이 형성될 때 곳곳에서 소규모의 얕은 호수 또는 담수분지에 규조가 침적되어 광상을 이루었다. 이들 퇴적분지 가운데에서 영일만에 있는 규조토가 규조토 광상에 있어서 규모가 가장 크고, 경상북도 월성과 영일 등지에서 집중적으로 발견된다. 그 밖에도 북한지역에서는 함경남도 안변군 문산면 행현리와 안변군 안변면 남산리, 함경북도 경성군 주남면 부평동과 경성군 주북면 회문광산, 길주군 웅평면 산본광산, 명천군 명천광산, 명천군 서면 백록광산, 강원도 평강군 고삽면 세포리 등의 산지가 알려져 있다. 우리 나라에서 규조토를 광상으로 개발하기 시작한 것은 1941년 '조선광업령(朝鮮鑛業令)'에 의하여 지정법정광물로 편입되면서부터이다. 이후 국내의 규조토광상이 각지에서 발견되었고, 특히 경상북도 월성군 양북면 이일리에서 산출된 규조토를 원료로 경주시 노동리에서 일본의 아사히 곤로(旭爐)제조에 긴요히 사용되었다고 한다. 근래에 와서는 내화재용(耐火材用)으로 쓰이며, 강한 흡수성 때문에 대부분 공업용수, 수도, 의약품, 식품 등의 정제를 위한 여과재(濾過材)로 사용된다. 그 밖에 플라스틱과 제지의 충전재(充塡材), 다이너마이트의 흡착제, 지혈제(止血劑), 시멘트의 혼합재 등으로도 사용된다.Diatomaceous earth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ainly made of silicic acid (SiO 2 ), and has a white or grayish white color. It is light and soft enough to be smeared with powder when touched with your fingers. Because it is finely porous, it has strong absorption and is a poor conductor of heat. Diatomaceous earth in Korea is produced as soil in the tertiary or quaternary strata. During the Old 3rd Period of Korea, fault movements in the northeast to northeast directions occurred, forming rift sedimentary basins in various places. The Yeongil Basin, the Gilju-Myeongcheon Ridge Belt, the Seoul-Wonsan Ridge Belt, and the Tuman River Basin were formed, and the Tertiary Basin was deposited here. When the sedimentary layer was formed, diatoms were deposited in small shallow lakes or freshwater basins in various places to form mineral deposits. Among these sedimentary basins, diatomaceous earth in Yeongil Bay is the largest in terms of diatomite deposits, and is concentrated in Wolseong and Yeongil, Gyeongsangbuk-do. In addition, in the North Korean region, Haenghyeon-ri and Anbyeon-myeon, Anbyeon-myeon, Anbyeon-gun, Hamgyeongnam-do, Bupyeong-dong, Junam-myeon, Gyeongseong-gun, Bupyeong-dong and Jubuk-myeon, Gyeongseong-gun, Hoemun Mine, Sanbon Mine, Ungpyeong-myeon, Gilju-gun, Myeongcheon-gun Myeongcheon Mine, Myeongcheon-gun Seomyeon Baengnok Mine, Gangwon-do The production areas such as Sephori, Gosap-myeon, Pyeonggang-gun are known. The development of diatomaceous earth as a mineral deposit in Korea began in 1941 when it was incorporated as a designated legal mineral by the 'Joseon Mining Ordinance'. Since then, diatomite deposits have been discovered in various places in Korea. In particular, it is said that diatomaceous earth produced in Iil-ri, Yangbuk-myeon, Wolseong-gun, Gyeongsangbuk-do was used as a raw material in Nodong-ri, Gyeongju-si, for the manufacture of Asahi furnaces in Japan. Recently, it is used as a fire-resisting material, and because of its strong absorbency, it is mostly used as a filter material for the purification of industrial water, water supply, medicine, food, etc. In addition, it is used as a filler for plastics and paper, an adsorbent for dynamite, a hemostatic agent, and a mixture of cement.

본 발명에서 말하는 게르마늄은 원소기호 Ge, 원자번호 32, 원자량 72.59±3이다. 1871년 D. I. 멘델레예프에 의해 그 존재가 예언되어 에카규소로 불렸으나 86년에 독일의 화학자 C. A. 빙클러에 의해 황은게르마늄석(Ag GeS) 속에서 발견되어 독일의 라틴명인 「Germania」를 따서 명명되었다. 규소와 유사하므로 지각(地殼) 속의 규산염의 규소와 치환하여 널리 존재하며, 또 구리나 아연 등을 함유한 황화광물이나 석탄 속에 함유되지만 게르마늄을 주체로 하는 광물은 극히 적다.Germanium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lement symbol Ge, an atomic number 32, and an atomic weight of 72.59±3. Its existence was predicted by D. I. Mendeleev in 1871 and it was called Eka silicon, but it was discovered in 1986 by German chemist C. A. Winkler in Ag GeS and named after Germany's Latin name "Germania". Because it is similar to silicon, it exists widely by substituting for silicon in silicate in the earth's crust, and is contained in sulfide minerals or coal containing copper or zinc, but there are very few minerals mainly composed of germanium.

본 발명에서 말하는 백반석은 명반석이라고도 한다. 화학성분은 KAl3(SO4)2(OH)6이다. 육각 판상(板狀) 또는 인상(鱗狀)의 결정으로 나타나는데, 대개는 괴상 또는 입상(粒狀)이다. 굳기 3.5 내지 4, 비중 2.6 내지 2.9이다. 결정형의 것은 밑면에 완전한 쪼개짐이 있고, 쪼개짐면에 진주광택이 난다. 괴상의 것은 광택이 없다. 백색, 회색이며 때로는 홍색, 황색, 적갈색을 띠기도 한다. 조흔색(條痕色)은 백색이다. 염산에 녹지 않고, 수산화칼륨이나 더운 황산에 녹는다. 열수(熱水) 변질작용을 받은 화산암 지대에서 산출된다.The alum referred to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called alum stone. The chemical composition is KAl3(SO4)2(OH)6. It appears as hexagonal plate-like or impression-shaped crystals, which are usually lumpy or granular. It has a hardness of 3.5 to 4 and a specific gravity of 2.6 to 2.9. The crystal form has a complete cleavage on the underside, and a pearlescent luster appears on the cleavage surface. The odd one has no luster. It is white or gray, sometimes red, yellow, or reddish-brown. The streak color is white. Insoluble in hydrochloric acid, soluble in potassium hydroxide or hot sulfuric acid. It is produced in volcanic rock that has undergone hydrothermal alteration.

본 발명에서 말하는 옥이란, 치밀하고 경질(硬質)이며, 투명하여 아름답게 빛나고, 연마하여 광택이 나는 것을 말한다. 광물학적으로 연옥은 각섬석의 일종이며, 경옥은 알칼리 휘석의 일종이다. 연옥은 유백색인 것이 많으며, 녹색, 황색, 홍색 등도 있고, 경옥은 녹색, 백색이다. 색에 따라 여러 가지 명칭이 있으나, 백옥과 비취(翡翠)가 대표적인 것이다. 고대로부터 동양에서 귀히 여겨왔으며, 세공하여 장식석, 옥기(玉器)로서 사용되어 왔다. 연옥은 터키 등지에서는 결정편암이나 편마암 속에 맥상(脈狀)으로 산출되고, 중국 동북에서는 화강암의 접촉대(接觸帶)에서 산출된다. 경옥은 미얀마에서는 사문암 중에 맥상을 이루어 산출되고, 중국 윈난(雲南)이나 티베트고원에서도 산출된다. 좁은 뜻의 jade는 비취를 가리키는 것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에서 말하는 옥은 상술한 넓은 의미의 옥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한다.The jade a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nse and hard, transparent and beautifully shiny, and polished to luster. Mineralogically, nephrite is a type of amphibole, and jadeite is a type of alkali pyroxene. Nephrite is often milky white, and there are green, yellow, and red, etc., and jadeite is green and white. There are various names depending on the color, but white jade and jade are the representative ones. It has been valued in the Orient since ancient times, and has been used as a decorative stone and jade ware. Nephrite is produced as pulses in crystalline schist or gneiss in Turkey and other places, and in the contact zone of granite in northeast China. Jadeite is produced in the form of veins in serpentine in Myanmar, and is also produced in Yunnan, China and the Tibetan Plateau. Jade in the narrow sense refers to jad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jade in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to include all of the above-described jade in the broad sense.

바람직하게 상기 무기분말은 스트론튬 이온(Sr2+), 칼슘 이온(Ca2+), 마그네슘 이온(Mg2+)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가 포함된 용액과 혼합하여 열처리 된 것일 수 있다.Preferably, the inorganic powder is heat-treated by mixing with a solution containing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trontium ions (Sr 2+ ), calcium ions (Ca 2+ ), magnesium ions (Mg 2+ ) and mixtures thereof. it could be

상기 무기분말이 상기 이온이 포함된 용액에 혼합되어 열처리되는 경우 무기분말 자체의 세균(S.mutans 등)에 대한 항균력이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악취에 대한 탈취력이 크게 높아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스트론튬 이온(Sr2+) 및 칼슘 이온(Ca2+)이 포함된 용액과 혼합하여 열처리 된 것일 수 있다.When the inorganic powder is mixed with a solution containing the ions and heat-treated, the antibacterial power of the inorganic powder itself against bacteria (S. It may be heat-treated by mixing with a solution containing strontium ions (Sr 2+ ) and calcium ions (Ca 2+ ).

더 바람직하게 상기 무기 분말은 미분말 제올라이트(zeolite)을 포함하고, 상기 제올라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분말 šœ가이트(shungite) 50 내지 70 중량부, 미분말 일라이트(illite) 50 내지 70 중량부, 미분말 맥반석 50 내지 70 중량부, 미분말 벤토나이트 50 내지 70 중량부, 미분말 규조토 30 내지 50 중량부, 미분말 게르마늄 30 내지 50 중량부, 미분말 황토 30 내지 50 중량부, 미분말 백반석 30 내지 50 중량부 및 미분말 옥(jade) 30 내지 50 중량부가 포함된 것이고, 스트론튬 이온(Sr2+) 및 칼슘 이온(Ca2+)이 포함된 용액과 혼합하여 열처리된 것일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inorganic powder includes fine powder zeolite, 50 to 70 parts by weight of fine powder shungite, 50 to 70 parts by weight of fine powder illite, 50 parts by weight of fine powder elit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zeolite to 70 parts by weight, 50 to 70 parts by weight of fine powder bentonite, 30 to 50 parts by weight of fine powder diatomaceous earth, 30 to 50 parts by weight of fine powder germanium, 30 to 50 parts by weight of fine powder loess, 30 to 50 parts by weight of fine powder alum and fine powder jade ) 30 to 50 parts by weight, and may be heat-treated by mixing with a solution containing strontium ions (Sr 2+ ) and calcium ions (Ca 2+ ).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상기 무기분말을 이루는 분말의 상호 작용으로 단순조합 이상의 항균 및 탈취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bove range, the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effect more than a simple combination may appear due to the interaction of the powders constituting the inorganic powder.

상기 탈취 코팅 조성물은 별꽃 추출물, 구릿대 추출물, 등골나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한다.The deodorizing coating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 natural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tar flower extract, a sagebrush extract, an extract of chrysanthemum plant, and mixtures thereof.

상기 별꽃(Stellaria media)은 석죽과의 2년생 초본으로 길가나 밭둑에 주로 자라며 키는 10 내지 20cm 정도로서, 단백질, 칼슘, 철과 같은 미네랄이 풍부하게 들어 있다. 이러한 별꽃은 위장을 튼튼하게 하고 혈액을 깨끗하게 하며 젖을 잘 나오게 한다. 또 잇몸병이나 충치, 맹장염, 장염, 장궤양 등의 염증을 치료하기도 한다.The star flower (Stellaria media) is a two-year-old plant of the family Seokjukdae and grows mainly on the roadside or field bank, and the height is about 10 to 20 cm, and contains abundant minerals such as protein, calcium, and iron. This star flower strengthens the stomach, purifies the blood, and produces milk well. It is also used to treat inflammations such as gum disease, tooth decay, appendicitis, enteritis, and intestinal ulcers.

상기 구릿대(Angelica dahurica BENTH)는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의 두해살이 또는 세해살이풀로, 굵은 뿌리 줄기를 가지고 있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를 치면서 1.5m 정도의 높이로 자란다. 잎은 깃털 모양으로 두 번 갈라지며 갈라진 조각은 타원 또는 피침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고르지 않게 갈라지거나 톱니로 되어 있다.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산속의 시냇가 등 물기가 많은 곳에 난다. 진통, 소종의 효능이 잇으며, 적용질환은 두통, 편두통, 각종 신경통, 치통, 복통 등이다.The copper (Angelica dahurica BENTH) is a dicotyledonous biennial or triennial herb in the Umbrella family, and has a thick rhizome, and the stem grows to a height of about 1.5 m while standing upright and branching. The leaves are feather-shaped and split twice, and the split pieces are oval or lanceolate with a sharp tip, and the edges are unevenly split or serrated. It is distributed all over the country and grows in places with a lot of water such as streams in the mountains. It has analgesic and small swelling effects, and applied diseases include headache, migraine, various neuralgia, toothache, and abdominal pain.

상기 등골나물(Eupatorium japonicum Thunb. ex Murray)은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숙근성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토양의 비옥도에 관계없으며, 반그늘인 곳과 양지에서 자란다. 키는 70 내지 150㎝이고, 잎은 달걀 모양을 한 긴 타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마주 나고 끝이 뾰족한데 길이는 10 내지 18㎝, 폭은 3 내지 8㎝이고, 밑부분 잎은 작으며 꽃이 필 때 없어진다. 꽃은 원줄기 끝에 편평하게 무리지어 작은 꽃들이 핀다. 열매는 10 내지 11월에 익으며 종자는 흰색 갓털을 달고 있다. 관상용으로 쓰이며, 어린순은 식용, 뿌리를 포함한 전초는 약용으로 쓰인다. 등골나물에 포함된 아야핀(Ayapin)이라는 성분은 한방에서 황달, 통경, 중풍, 고혈압, 산후복통, 토혈, 폐렴 등 한약제로 사용된다. 또한, 등골나물의 알려진 효능으로 잎줄기는 이뇨제로 부종을 빼주고, 목욕제로 피로회복에 좋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나아가, 항바이러스작용, 유행성 바이러스에 대한 직접적인 억제작용, 소화 불량, 복통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The Eupatorium japonicum Thunb. ex Murray is a perennial herb that grows in mountains and fields in Korea. The growing environment is independent of the fertility of the soil, and it grows in semi-shaded places and sunny places. The height is 70 to 150 cm, the leaves are opposite to each other in an egg-shaped long oval or oval shape, and the pointed end is 10 to 18 cm long and 3 to 8 cm wide. disappears Small flowers are formed in flat clusters at the end of the main stem. The fruits ripen in October or November, and the seeds have white feathers. It is used for ornamental purposes, the young shoots are edible, and the outpost including the roots is used for medicinal purposes. Ayapin, which is contained in stamens, is used in oriental medicine for jaundice, colic, stroke, hypertension, postpartum abdominal pain, hematemesis, and pneumonia in oriental medicine. In addition, it is known that the leaf stalk is a diuretic to remove edema and is good for fatigue recovery as a bathing agent as a known efficacy of stamens. Furthermore, it is known that it has an antiviral action, a direct inhibitory action against an epidemic virus, indigestion, abdominal pain, and the like.

상기 천연 추출물은 상기 무기분말에 흡착된 것일 수 있다.The natural extract may be adsorbed to the inorganic powd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천연 추출물은 별꽃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구릿대 추출물 50 내지 70 중량부 및 등골나물 추출물 50 내지 70 중량부가 혼합된 것일 수 있다.Preferably, the natural extract may be a mixture of 50 to 70 parts by weight of a copper fern extract and 50 to 70 parts by weight of an extract of chrysanthemum extract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starflower extract.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추출물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탈취효과를 극대화하고, 변기 내 존재하는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상기 범위에 의하는 경우 상기 무기분말을 담체로 무기분말의 기공에 상기 천연 추출물이 포함되어도 항균효과 내지 탈취효과를 잃지 않을 수 있어 오랜 기간 상기 항균 및 탈취 활성이 지속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above range, the deodorization effect can be maximized by the interaction of each extract, and the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the bacteria present in the toilet can be maximiz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above range, the inorganic powder as a carrier Even if the natural extract is included in the pores of the powder, the antibacterial or deodorizing effect may not be lost, and thus the 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activity may be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상기 탈취 코팅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미분말 šœ가이트, 미분말 일라이트, 미분말 제올라이트,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무기분말을 별꽃 추출물, 구릿대 추출물, 등골나물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에 함침하여 상기 무기분말의 다공질 내부로 상기 천연 추출물이 함침되도록 하는 무기분말 함침단계; 상기 함침단계에 따라 천연 추출물이 함침된 무기분말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에 따라 건조된 무기분말을 정제수에 혼합하는 단계; 및 알코올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The method for preparing the deodorization coating composition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fine powder šœgate, fine powder illite, fine powder zeolite, fine powder elvanite, fine powder bentonite, fine powder diatomaceous earth, fine powder germanium, fine powder loess, fine powder alum, fine powder jade, and mixtures thereof. Inorganic powder impregnation step of impregnating the inorganic powder with a natural extrac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tar flower extract, an extract of fern extract, an extract of stamens spines, and a mixture thereof so that the natural extract is impregnated into the porous material of the inorganic powder; a drying step of drying the inorganic powder impregnated with the natural extract according to the impregnation step; mixing the inorganic powder dried according to the drying step with purified water; and mixing alcohol.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코팅 조성물을 공지의 코팅층 형성 방법을 이용하여 본체부(100)의 내부에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A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body part 100 using a known coating layer forming method using the coating composition prepared by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코팅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of coating composition

미분말 šœ가이트, 미분말 일라이트, 미분말 제올라이트,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미분말 옥의 혼합사용에 따른 상승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각 함량을 달리하면서 하기의 표 1와 같이 무기분말을 제조하였다.Fine powder šœgate, fine powder illite, fine powder zeolite, fine powder elvanite, fine powder bentonite, fine powder diatomite, fine powder germanium, fine powder loess, fine powder alum, and fine powder jade As shown in Table 1, inorganic powders were prepared.

또한 상기 무기분말은 스트론튬 이온(Sr2+) 및 칼슘 이온(Ca2+)이 포함된 용액에 혼합하고 1시간 동안 열처리 한 뒤 정제수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In addition, the inorganic powder was prepared by mixing with a solution containing strontium ions (Sr 2+ ) and calcium ions (Ca 2+ ), heat treatment for 1 hour, and then mixing purified water.

S1S1 S2S2 S3S3 S4S4 S5S5 S6S6 제올라이트zeolite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šœ가이트sœguide 100100 4040 5050 6060 7070 8080 일라이트illite 100100 4040 5050 6060 7070 8080 맥반석elvan stone 100100 4040 5050 6060 7070 8080 벤토나이트bentonite 100100 4040 5050 6060 7070 8080 규조토diatomaceous earth 100100 2020 3030 4040 5050 6060 게르마늄germanium 100100 2020 3030 4040 5050 6060 황토ocher 100100 2020 3030 4040 5050 6060 백반석alum 100100 2020 3030 4040 5050 6060 jade 100100 2020 3030 4040 5050 6060

(단위: 중량부)(Unit: parts by weight)

2 코팅 조성물에 포함되는 천연 추출물의 제조2 Preparation of natural extracts included in the coating composition

별꽃 추출물(SE), 구릿대 추출물(DE) 및 등골나물 추출물(EE)을 제조하였다.A star flower extract (SE), an extract of licorice root (DE), and an extract of stamens chrysalis (EE) were prepared.

이후, 하기 표 2와 같이 천연 추출물을 혼합하여 복합 추출물을 제조하였다.Thereafter, a complex extract was prepared by mixing natural extracts as shown in Table 2 below.

MS1MS1 MS2MS2 MS3MS3 MS4MS4 MS5MS5 MS6MS6 MS7MS7 MS8MS8 SESE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DEDE -- 6060 -- 4040 5050 6060 7070 8080 EEEE -- -- 6060 4040 5050 6060 7070 8080

(단위 : 중량부)(Unit: parts by weight)

항균 및 탈취 효과Antibacterial and deodorizing effect

항균 효과 실험Antibacterial effect test

KS 0693 - 1990 시험법에 의거 타액에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균주인 S.mutans 을 균주로 하여 106 마리를 기재층에 대해 접종하고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S1 내지 S6)에 대한 항균도를 측정하였다.According to the KS 0693 - 1990 test method, using S. mutans, a strain generally present in saliva, as a strain, 10 6 mice were inoculated into the base layer, and the antibacterial degree of the mixed inorganic powder dispersion (S1 to S6) was measured. did

항균 효과는 하기 표 3과 같다.The antibacterial effect is shown in Table 3 below.

[평가표][Evaluation Table]

◎: 미생물의 양 103 이하◎: Amount of microorganisms 10 3 or less

○: 미생물의 양 104 이하○: Amount of microorganisms 10 4 or less

△: 미생물의 양 105 이하△: Amount of microorganisms 10 5 or less

S1S1 S2S2 S3S3 S4S4 S5S5 S6S6 항균력antibacterial

상기 항균력 평가에 따르면, S3 내지 S5에서 우수한 평가를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다.According to the antibacterial activity evaluation, it was confirmed that excellent evaluation was shown in S3 to S5.

탈취 효과 실험Deodorization effect test

한국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서 KS M 0062:2004 시험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S1 내지 S6)의 탈취 효과를 실험하였다. 구체적으로 5ℓ의 챔버(chamber)안에 상기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S1 내지 S6)의 광촉매 코팅 시편과 암모니아가스 10 ㎕를 주입한 다음, 시간의 경과에 따른 잔류 암모니아의 농도를 분석하여 탈취율을 산출하였다.The deodorizing effect of the mixed inorganic powder dispersions (S1 to S6)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tested at the Korea Living Environment Research Institute using the KS M 0062:2004 test method. Specifically, 10 μl of the photocatalyst coating specimen of the mixed phase inorganic powder dispersion (S1 to S6) and ammonia gas are injected into a 5 liter chamber, and then the concentration of residual ammonia over time is analyzed to calculate the deodorization rate. did

그 결과를 하기 표 4와 같고, 탈취율은 처음 적용된 암모니아가스의 양에서 감소된 양을 측정하여 백분율로 나타낸 것이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and the deodorization rate is expressed as a percentage by measuring the amount reduced from the amount of ammonia gas applied first.

S1S1 S2S2 S3S3 S4S4 S5S5 S6S6 탈취율deodorization rate 6969 6161 8585 8888 8484 6060

(단위: %)(unit: %)

상기 표 4의 결과를 보면, 본 발명의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은 암모니아가스를 초기 농도에 대해 60 % 이상 제거하여 탈취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S3 내지 S5에서 그 효과가 탁월함을 알 수 있다.Looking at the results of Table 4, it was confirmed that the mixed inorganic powder disper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deodorization effect by removing 60% or more of ammonia gas relative to the initial concentration, and in particular, the effect is excellent in S3 to S5. Able to know.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무기분말에 대한 효과 실험Effect test on inorganic powder containing natural extracts

항균 효과 실험Antibacterial effect test

상기 S4에 상기 MS1 내지 MS8의 복합 추출물을 흡착시키고, 이를 정제수에 분산하여 각 혼합물의 항균 효과를 실험하였다. 시험방법은 상기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에 대한 항균 효과 실험과 동일하게 진행하였고, 그 결과는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S4)에 대한 상대적인 효과로 비교하여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The complex extracts of MS1 to MS8 were adsorbed to S4, and the antibacterial effect of each mixture was tested by dispersing it in purified water. The test method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the antibacterial effect experiment on the mixed inorganic powder dispersio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5 below for comparison with the relative effect on the mixed inorganic powder dispersion (S4).

상기 S4의 항균 효과와 비교를 위해 S4의 지수를 5로 놓고, MS1 내지 MS8의 항균 효과를 지수 1 내지 10으로 평가하였다. 지수가 클수록 항균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For comparison with the antibacterial effect of S4, the index of S4 was set to 5, and the antibacterial effect of MS1 to MS8 was evaluated as indices 1 to 10. The higher the index, the better the antibacterial effect.

S4S4 MS1MS1 MS2MS2 MS3MS3 MS4MS4 MS5MS5 MS6MS6 MS7MS7 MS8MS8 항균력antibacterial 55 66 55 77 66 99 1010 99 77

(단위: 지수)(Unit: Index)

상기 표 5의 결과에 따르면, S4에 비해 MS1 내지 MS8은 동등 또는 우수한 평가를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MS5 내지 MS7의 경우 가장 우수한 항균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According to the results of Table 5, it was confirmed that MS1 to MS8 showed equal or excellent evaluation compared to S4, and in particular, MS5 to MS7 showed the most excellent antibacterial effect.

이는 상기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만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천연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각 성분 간의 복합 작용에 의해 본체부(100) 내부 코팅층의 항균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This will mean that the antibacterial effect of the inner coating layer of the body part 100 is excellent due to the complex action between each component when used as a natural complex extract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only the inorganic powder dispersion of the miscible phase.

탈취 효과 실험Deodorization effect test

상기 S4에 상기 MS1 내지 MS8의 복합 추출물을 흡착시키고, 이를 정제수에 분산하여 각 혼합물의 탈취 효과를 실험하였다. 시험방법은 상기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에 대한 탈취 효과 실험과 동일하게 진행하였고, 그 결과는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S4)에 대한 상대적인 효과로 비교하여 하기의 표 6과 같다.The complex extracts of MS1 to MS8 were adsorbed to S4, and the deodorizing effect of each mixture was tested by dispersing it in purified water. The test method was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the deodorization effect experiment on the mixed inorganic powder dispersion,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6 below compared to the relative effect on the mixed inorganic powder dispersion (S4).

상기 S4의 탈취 효과와 비교를 위해 S4의 지수를 5로 놓고, MS1 내지 MS8의 탈취 효과를 지수 1 내지 10으로 평가하였다. 지수가 클수록 탈취 효과가 우수한 것이다.For comparison with the deodorizing effect of S4, the index of S4 was set to 5, and the deodorizing effect of MS1 to MS8 was evaluated as an index of 1 to 10. The larger the index, the better the deodorizing effect.

S4S4 MS1MS1 MS2MS2 MS3MS3 MS4MS4 MS5MS5 MS6MS6 MS7MS7 MS8MS8 탈취율deodorization rate 55 55 66 77 55 99 99 88 55

(단위 : 지수)(Unit: Index)

상기 표 6의 결과에 따르면, S4에 비해 MS1 내지 MS8은 동등 또는 우수한 평가를 나타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MS5 내지 MS7의 경우 가장 우수한 탈취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According to the results of Table 6, it was confirmed that MS1 to MS8 showed equal or excellent evaluation compared to S4, an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MS5 to MS7 had the best deodorizing effect.

이는 상기 혼합성상의 무기분말 분산액만 사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천연 복합 추출물로 사용 시, 각 성분 간의 복합 작용에 의해 본체부(100) 내부 코팅층의 탈취 효과가 우수함을 의미한다고 할 것이다.This will mean that the deodorizing effect of the inner coating layer of the body part 100 is excellent due to the complex action between each component when used as a natural complex extract compared to the case of using only the inorganic powder dispersion of the mixing property.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or those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will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cope.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 본체부, 110 : 제1 개구부,
120 : 제2 개구부, 130 : 방출부,
140 : 돌출부, 200 : 탱크부,
210 : 물 마개부, 220 : 손잡이부,
230 : 물, 300 : 제빙부,
310 : 얼음 마개부, 320 : 버튼부,
330 : 얼음.
100: body portion, 110: first opening,
120: second opening, 130: emission part,
140: protrusion, 200: tank,
210: water stopper, 220: handle,
230: water, 300: ice maker,
310: ice stopper, 320: button,
330: ice.

Claims (5)

변기 형상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 상면에 결합되는 탱크부; 및
상기 본체부 상면에 결합되는 제빙부;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의 일측에서 제1 개구부 및 제2 개구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개구부에서 상기 탱크부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고,
상기 제2 개구부에서 상기 제빙부에 저장된 얼음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탱크부 및 상기 제빙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면에서 일측에 결합되되,
길이방향으로 인접하여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빙부는,
원통 형상으로 외부에서 내부로 가압되는 버튼부;를 구비하여
상기 버튼부를 가압하는 일정 시간에만 상기 제2 개구부가 개방되어 얼음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부는,
내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되,
상기 돌출부를 따라 상기 제빙부에 저장된 얼음이 이동 및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부는,
중공부를 지니고,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직사각형 형상의 방출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방출부는,
양측면이 개방되어 일측은 상기 제2 개구부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돌출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본체부는 내부에 탈취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탈취 코팅층은 탈취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되,
상기 탈취 코팅 조성물은 무기분말을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무기분말은 미분말 šœ가이트; 미분말 일라이트; 미분말 제올라이트; 미분말 맥반석; 미분말 벤토나이트; 미분말 규조토; 미분말 게르마늄; 미분말 황토; 미분말 백반석 및 미분말 옥을 포함하며,
상기 제올라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미분말 šœ가이트 50 내지 70 중량부, 미분말 일라이트 50 내지 70 중량부, 미분말 맥반석 50 내지 70 중량부, 미분말 벤토나이트 50 내지 70 중량부, 미분말 규조토 30 내지 50 중량부, 미분말 게르마늄 30 내지 50 중량부, 미분말 황토 30 내지 50 중량부, 미분말 백반석 30 내지 50 중량부 및 미분말 옥 3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분말은 스트론튬 이온(Sr2+) 및 칼슘 이온(Ca2+)이 포함된 용액과 혼합하여 열처리 된 것인
제빙기가 부착된 변기.
a toilet-shaped body portion;
a tank unit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unit; and
Including; an ice-making unit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unit;
A first opening and a second opening ar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The water stored in the tank unit is supplied from the first opening,
The second opening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ce stored in the ice maker is supplied,
The tank unit and the ice making unit,
Doedoe coupled to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par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tegrally adjacent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ice making unit,
A button portion press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in a cylindrical shape; an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opening is opened only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hen the button part is pressed, so that ice is supplied;
The body part,
Provided with; a protrusion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The ice stored in the ice maker is moved and supplied along the protrusion,
The body part,
It has a hollow part and has a rectangular-shaped discharge part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The discharge unit,
Both sides are open so that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second opening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protrusion,
The body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a deodorizing coating layer is formed therein,
The deodorizing coating layer is formed using a deodorizing coating composition,
The deodorizing coating composition comprises an inorganic powder,
The inorganic powder is a fine powder šœgate; fine powder illite; fine powder zeolite; fine powder elvan; fine powder bentonite; fine powder diatomaceous earth; fine powder germanium; fine powder ocher; Contains fine powder alum and fine powder jade,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zeolite, 50 to 70 parts by weight of fine powder shiogite, 50 to 70 parts by weight of fine powder illite, 50 to 70 parts by weight of fine powder elvan, 50 to 70 parts by weight of fine powder bentonite, 30 to 50 parts by weight of fine powder diatomaceous earth, fine powder 30 to 50 parts by weight of germanium, 30 to 50 parts by weight of fine powder loess, 30 to 50 parts by weight of fine powder alum, and 30 to 50 parts by weight of fine powder jade,
The inorganic powder is heat-treated by mixing with a solution containing strontium ions (Sr 2+ ) and calcium ions (Ca 2+ )
Toilet with ice machine attach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21629A 2020-02-21 2020-02-21 A toilet with an ice maker KR1023472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629A KR102347274B1 (en) 2020-02-21 2020-02-21 A toilet with an ice ma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1629A KR102347274B1 (en) 2020-02-21 2020-02-21 A toilet with an ice ma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744A KR20210106744A (en) 2021-08-31
KR102347274B1 true KR102347274B1 (en) 2022-01-04

Family

ID=77489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1629A KR102347274B1 (en) 2020-02-21 2020-02-21 A toilet with an ice ma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7274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0716A (en) 2000-07-14 2002-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ter closet
KR101592477B1 (en) 2014-08-14 2016-02-11 이상옥 Urinal having ice maki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0728A (en) * 1994-10-21 1996-05-14 Inax Corp Toilet stool
KR200345836Y1 (en) 2004-01-02 2004-03-25 모지환 A urinal of automatic ice manufacturem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0716A (en) 2000-07-14 2002-01-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Water closet
KR101592477B1 (en) 2014-08-14 2016-02-11 이상옥 Urinal having ice ma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6744A (en) 2021-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138061A (en) Ceramic material for purification, activation and healthcare
KR101653534B1 (en) Women's pad and manufacturing method containing the far-infrared radiation and herbal ingredients
KR101991826B1 (en) Deodorant for cleaning and antibacterial fiber
KR20180000563A (en) Using the method of manufacturing mulberry fibers and shell tiles and mineral
KR102084759B1 (en) Feedstuffs for fish cultivation and methods for their production
KR102347274B1 (en) A toilet with an ice maker
CN101684042B (en) Nano-selenium ceramic ball,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WO2010069097A1 (en) Ceramic material for purifying and activating water
KR100807239B1 (en) Plastic resin composition for producing food and beverage container with emission of infrared light and anion
KR101932973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periodontal disease or periodontal disease
KR102001851B1 (en) Compositions for denture cleansing agent and denture cleansing agent using the same
KR102503336B1 (en) A voice assisted displacement processing pad for companion animal
KR102315338B1 (en) Air cleaner for removal of co2 and air pollution
KR101977102B1 (en) A manufacturing method of a deodorant containing Boryeong O-stone and Boryeong San mud
KR102435295B1 (en) Ashtrays for fire prevention and deodorization
KR102247194B1 (en) Smart safety helmet
KR102584099B1 (en) Smart antibacterial drying machine
TW201043332A (en) Ceramic material for purification activation and health care
CN111072282A (en) Functional glaze and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CN205420031U (en) Water purifying device
KR102267254B1 (en) Perforated plate for roasting using ceramic material and roasting kiln including the same
KR102606667B1 (en) Feed additive composition that can increase the immune activity and resistance of shrimp
KR101670604B1 (en) removing composition of water-vein wave for wallpap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wallpaper for removing water-vein wave
KR20210100333A (en) Portable helmet
KR100730794B1 (en) Functional aggregate mixed loess et a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