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948B1 - 전동 이륜차의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이륜차의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948B1
KR102346948B1 KR1020200083717A KR20200083717A KR102346948B1 KR 102346948 B1 KR102346948 B1 KR 102346948B1 KR 1020200083717 A KR1020200083717 A KR 1020200083717A KR 20200083717 A KR20200083717 A KR 20200083717A KR 102346948 B1 KR102346948 B1 KR 1023469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ft
state
vehicle
suspected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근
변세희
진실로
김현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200083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948B1/ko
Priority to PCT/KR2021/008667 priority patent/WO202201026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9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9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3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global position, e.g. by providing GPS coordi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5/0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 B62H5/20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indicating unauthorised use, e.g. acting on signa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45/00Electrical equipmen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accessories on 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J45/40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 B62J45/41Sensor arrangements; Moun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7/00Motorcycles characterised by position of motor or engin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02Mechanical actuation
    • G08B13/14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 G08B13/1427Mechanical actuation by lifting or attempted removal of hand-portable articles with transmitter-receiver for distance detec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14Central alarm receiver or annunciat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 B60Y2200/126Scoo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2Electric energy management in electromob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동 이륜차의 제어 방법은, 키온 상태 및 사용자 인증 상태에 대하여 확인하는 단계; 키 오프 상태이거나 사용자 인증이 해제되면, 도난 의심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 도난 의심 상태로 판정되면, 인버터가 모터에 대하여 고정 직류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도난 의심 상태를 운전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이륜차의 제어 방법 및 장치{CONTROL METHOD AND DEVICE OF ELECTRIC TWO-WHEELED VEHICLE}
본 발명은 전동 이륜차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이륜차의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동스쿠터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동 이륜차, 예컨대, 전동스쿠터는 배터리에 의해 모터를 구동하여 이동하는 소형의 이륜 개인 이동 수단이다.
종래의 전동스쿠터의 제어장치는 전원부, 키조작부, 제어부, 모터구동부(인버터), 표시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원부는 스쿠터에 구동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키조작부는 스쿠터 제어를 위한 각종 키입력을 받고, 상기 모터구동부(인버터)는 스쿠터의 모터를 구동하고, 상기 표시부는 스쿠터의 각종 동작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제어부는 장치전반을 제어한다.
즉, 상기 전원부에 의해 스쿠터의 전원이 온(ON)된 상태에서 상기 키조작부를 통해 키조작하여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모터구동부(인버터)를 제어하여 모터를 구동함으로써 스쿠터가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각종 스쿠터 동작 상태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게 된다.
전동스쿠터 등 전동 이륜차는 기존 모터사이클 대비 중량이 가벼워서 도난의 우려가 높다. 특히, 엔진과 달리 모터 자체에는 별도의 도난방지 락킹 장치를 구비하기 어려우며, 제동 장치로 도난방지 락킹을 수행하면, 제동 장치를 구성하는 탄성 소자(가압 스프링 등)의 내구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동 이륜차의 모터 구동 계통은 도난방지를 위해 별다른 조치나 방법을 제시하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10-0451662호
본 발명은 전동 이륜차의 모터 구동 계통에 대한 비교적 단순한 제어 방법의 부가로 효과적으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전동 이륜차의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동 이륜차의 제어 방법은, 키온 상태 및 사용자 인증 상태에 대하여 확인하는 단계; 키 오프 상태이거나 사용자 인증이 해제되면, 도난 의심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 도난 의심 상태로 판정되면, 인버터가 모터에 대하여 고정 직류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도난 의심 상태를 운전자에게 통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난 의심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에서는, 도난을 감지하는 센서 또는 파라미터로서, 사용자 인증 여부, 차량 상태, GPS, 가속도센서, 모터 역기전압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난 의심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에서는, GPS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키오프 상태의 이동 거리가 소정 거리를 넘는지 확인하는 단계; 모터에 대한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도난 이동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 및 가속도 센서 값을 이용하여 도난 상황의 가속력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난 상황의 가속력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에서는, 중력 방향으로 순간적인 가속이 발생하면 도난 의심 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버터가 모터에 대하여 고정 직류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인버터의 6개 구동 스위치들 중 전부 또는 일부를 고정된 직류로 계속 ON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보하는 단계에서는, 차량의 도난 의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동 이륜차의 제어 장치는, 차량을 이동시키는 모터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 상기 차량의 도난 의심 상태를 판정하는 도난 감지 센싱부; 및 도난 의심 상태를 인지하면, 상기 인버터를 상기 모터에 대하여 고정 직류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제어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 제어 유닛은, 상기 차량의 도난 의심 상태를 판정하는 도난 여부 판정부; 도난 의심 상태로 판정하면, 상기 인버터를 wake-up 시킨 후 상기 모터를 고정 직류 제어하도록 하는 도난 저지부; 및 도난 의심 상태를 운전자 및 관련인에게 통보하는 통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난 감지 센싱부는, 사용자 인증 수단, GPS 수신 센서 및 3축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난 여부 판정부는, 상기 GPS 수신 센서의 수신 정보 기반으로 일정 거리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가속도가 일정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도난 의심 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여기서, 도난 감지 센싱부는, 모터의 강제 회전에 위한 기전력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인버터를 wake-up 시키는 강제 회전 검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전동 이륜차의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실시하면, 전동 이륜차의 모터 구동 계통에 대한 비교적 단순한 제어 방법의 부가로 효과적으로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동차의 모터 구동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난 방지를 위한 전동 이륜차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난 방지를 위한 전동 이륜차의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동차의 모터 구동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모터 구동 구조는 배터리(20); 구동 모터(40); 인버터(30) 및 차량 제어 유닛(20)을 구비하며, 전동 이륜차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20)는 전동 이륜차를 위한 전원부로서 전동 이륜차에 구동전원을 인가하며, 상기 인버터(30)는 모터 모터구동부로서, 상기 전동 이륜차를 주행시키는 모터를 구동한다. 상기 차량 제어 유닛(20)은 전동 이륜차의 장치 전반을 제어하는 연산 장치로서, 본 발명의 사상과 관련하여서는 상기 인버터(30)를 구성하는 전력 스위치 소자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도난 방지를 위한 전동 이륜차의 제어 방법은, 도 1의 차량 제어 유닛(20)을 중심으로, 도난 의심 상태에서 상기 인버터(30)가 상기 모터(40)에 고정된 직류 전력을 계속 인가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난 방지를 위한 전동 이륜차의 제어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른 도난 방지를 위한 전동 이륜차의 제어 방법은, 키온 상태 및 사용자 인증 상태에 대하여 확인하는 단계(S100); 키 오프 상태이거나 사용자 인증이 해제되면, 도난 의심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S200); 도난 의심 상태로 판정되면, 모터를 구동시키는 인버터가 직류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400); 및 도난 의심 상태를 운전자에게 통보하는 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 키온 상태 및 사용자 인증 상태에 대하여 확인하는 단계(S100)는, 도시한 바와 같이, 주차 중 출발전인 차량이 키오프 상태 및 사용자 미인증 상태(S101)에서, 먼저 사용자 인증을 기다린다(S120).
가장 단순한 사용자 인증은 키온이며, 보다 보안성을 강화한 구현의 경우 사용자 인증은 스마트 키 등에서의 RF 보안칩 상호 인증, 지문 인증, 스마트 카드 인증,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운전자 스마트폰 인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증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키온 되면(S140), 차량은 키온 상태이지만, 사용자 인증에 대하여 다시 확인을 수행하고(S160), 그 결과 사용자 인증이 해제된 상태로 확인되면(S201), 도난 여부에 대하여 판정을 수행한다(S200).
도난 의심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S200)의 수행에 있어서, 도난(의심 상태)을 감지 및 판단하기 위한 도난을 감지하는 센서(파라미터)로서, 사용자 인증 여부, 차량 상태, GPS, 가속도센서, 모터 역기전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센싱 값은 최소한의 대기전력으로 도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것들로만 선별한 것이다.
도난 감지/판단 방법의 수행에 있어 차량 상태가 Key ON 또는 OFF에 대한 정보도 반영하는 것이 효과적인 도난 감지, 사용자 편의성 및 전력 소모 방지 면에서 유리하다.
도시한 도난 의심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S200)에서는, GPS 수신 신호를 이용하여 키오프 상태의 이동 거리가 소정 거리를 넘는지 확인하는 단계(S220); 모터에 대한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도난 이동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S240); 및 가속도 센서 값을 이용하여 도난 상황의 가속력 발생을 감지하는 단계(S260)를 순서대로 수행하지만, 순서는 뒤바뀌어도 무관하며, 보다 단순한 구현에서는 S220 내지 S260 단계의 일부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구현에 따라, 상기 S201 단계에서, 운전자가 차량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이탈함을 감지한 경우에도, 사용자 인증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에 구비된 운전자 착석 감지 센서의 센싱값으로부터 판단하거나, 스마트 키 또는 운전자의 스마트폰이 소정 거리 이상 이격됨으로부터 운전자 이탈을 판단할 수 있다.
도 2의 흐름도는 주차 중인 차량에서 시작되는 과정임을 감안하여, 먼저, 차량 상태가 Key OFF인 상황에서부터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도난 감지 판단 과정을 예시한다.
차량이 Key OFF 상태이며, 다른 수단으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GPS정보를 기반으로 차량의 위치가 저장된 주차위치로부터 소정 거리(theft distance threshold) 이상 떨어졌을시 도난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인증으로서, 예컨대, 차량에 구비된 지문감지기로의 지문 입력, 차량에 구비된 입력수단이나 차량에 무선 연결(예: 블루투스)된 스마트폰을 이용한 패스워드 입력, 스마트 카드 인증 차량의 경우 권한있는 스마트 카드의 차량으로의 접속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가속도센서 값을 기반으로 가속 발생 정도가 소정 기준(theft accl. threshold) 이상 발생하였을시 도난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x, y, z축 값을 기반으로 차량이 견인되어 도난되는지, 굴러서 도난 되는지 알 수 있는데, 일상적인 이동중에는 크게 발생하지 않는 중력 방향(z축) 가속도가 소정 기준 보다 크게 발생되면 도난 중 견인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차량을 끌고갈때 모터 내부에서 발생하는 역기전압을 인버터의 wake-up 신호로 사용하여 도난 상황을 판단하고, 도난 의심 상태 정보(theft_detctd_BEMF)를 차량 제어 유닛에 송신할 수 있다. 이는 별도의 도난 감지 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인버터 회로 자체에 아날로그 회로 또는 디지털 회로로 간이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도난 의심 상태 모니터링에 소모되는 전력 낭비를 최소화하는 이점이 있다.
도난 의심 상태를 판단하는 상술한 3가지 방안(즉, GPS 기반 차량이동, 가속도, 인버터 역기전력)들 중에서 구현에 따라, 전부 또는 일부(하나도 포함)를 적용할 수 있다.
다음, 운전자가 운행 중 잠시 정차하여 발생되는, 차량 상태가 Key ON인 상황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도난 감지 판단 과정을 예시한다. Key ON인 상황에서 별도의 도난 방지 과정을 마련할 수도 있지만, 보다 간단한 구현을 위해서는, Key ON인 상황에서 소정 조건에 따라 Key OFF 상태로 변경하고, 상술한 Key OFF인 상황에서의 도난 감지 판단 과정을 따르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Key ON 상태이지만, 사용자 인증 상태에서 사용자 미인증 상태로 천이됨을 감지하면(예: 사용자가 인증 후 스마트키를 들고 차량과 멀어지는 경우), 차량의 상태를 Key OFF 상태로 강제 변경할 수 있다. Key OFF상태가 되면 상술한 Key OFF인 상황에서의 도난 감지 판단 과정으로 진입하게 된다.
상기 인버터를 직류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단계(S400) 중 먼저, 최종적으로 차량 상태를 도난 의심 상태로 판단하여, 적극적인 도난 방지 시퀀스로 진입한다(S420). 즉, 상기 도난 방지 시퀀스에서는 차량 모터를 구동하는 인버터를 wake-up 시킨 후, 인버터로 모터를 직류 제어하여 차량의 움직임을 방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차량 제어 유닛은 보조 전력저장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최소한의 전류로 wake-up 상태에 대기하면서, 상기 wake-up 상태에서 GPS 정보, 가속도센서 정보, 인버터 정보 등의 도난 감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GPS 모듈의 수신 신호로부터 도난 여부를 판단하여 차량 제어 유닛을 wake-up하는 형태의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
도난 의심 상태 판단이 이루어지면(S420), 차량 제어 유닛은 인버터와 배터리 제어기에 wake-up 신호와 도난 의심 상태 비트를 송신하여 모터 구동을 위한 준비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S440).
상술한 도난 의심 상태에서의 인버터는, 도난 방지 모드로 진입하여 모터를 직류 제어하여 차량이 움직이지 못하게 제어한다(S460).
구현에 따라, 마지막 주차 위치를 기억하여 그 위치에 맞는 상에 DC 전류를 흘려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직류 제어하는 단계(S460)에서는, 예컨대, 인버터의 6개 구동 스위치들(UH, UL, VH, VL, WH, WL) 중 High-side 스위치와 Low-side 스위치 2개를 외력(도난자의 힘)에 대항하는 큰 일정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계속 ON 시킬 수 있다. 그러면, 외력에 의해 차량이 굴러갈 수는 있지만, 쉽게 멀리가지 못할 것이고 도난 의심 상태 알림 기능을 통해 후속 조치(즉, 상기 운전자 등 통보 단계(S600))를 취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도난 의심 상태를 운전자에게 통보하는 단계(S600)는, 운전자에게는 반드시 도난 의심 상태를 통보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명명한 것이며, 효과적인 도난 방지를 위해서, 운전자와 관련인들에게 도난 의심 상태를 통보한다. 예컨대, 차량이 도난된 상태를, 차량 소유주(운전자와 다를 경우)와 차량을 판매한 제조사에 그 정보를 알릴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차량이 도난상태임이 판단되었으면, 이를 클라우드로 송신하여 소유주가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수신하게 할 수 있으며, 차량을 판매한 제조사 및/또는 차량 대여 서비스사 또한 상기 클라우드 상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난 방지를 위한 전동 이륜차의 제어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한 전동 이륜차의 제어 장치는, 차량을 이동시키는 모터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300); 상기 차량의 도난 의심 상태를 판정하는 도난 감지 센싱부(100); 및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도난 의심 상태를 인지하면, 상기 인버터를 상기 모터에 대하여 직류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차량 제어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 유닛(200)은, 도난 방지 시스템으로서의 소프트웨어 모듈 등의 형태로 구현된 도난 여부 판정부(22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 등의 형태로, 도난 의심 상태에서 도난을 저지하지 위한 조치(모터에 대한 고정된 직류 제어)를 수행하는 도난 저지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된 도난 저지부(240)는, 상기 도난 감지 센싱부(100)의 센싱값들을 입력받아 차량의 도난 의심 상태를 판정하며, 도난 의심 상태로 판정하면, 도난 방지 시퀀스로 인버터를 wake-up 시킨 후 구동 모터(400)를 고정된 직류로 계속 제어하여 차량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량 제어 유닛(200)은, 상기 인버터(300)나 도난 감지 센싱부(100), 외부의 장치(예: 클라우드 서버(5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듈(25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신 모듈의 구성은 일반적인 차량 제어 유닛의 경우와 유사하므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도시한 차량 제어 유닛(200)은, 소프트웨어 모듈 등의 형태로, 도난 의심 상태를 운전자 및 관련인에게 통보하는 통보부(25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통보부(250)는, 운전자 알림 수단으로 도난 의심 상태를 운전자에게 통보할 뿐만 아니라, 차량의 도난 의심 상태를 차량 소유주와 차량을 판매한 제조사(또는 대여 서비스 사업자)에 그 정보를 알릴 수 있다. 이를 위해 클라우드 서버(500)로 도난 의심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모터(400)로서 다양한 직류 모터 및 교류 모터가 적용될 수 있지만, 최근 널리 사용되는 BLDC 모터가 본 발명의 사상의 구현에 최적의 형태를 가진다.
상기 도난 감지 센싱부(100)는, 도난 의심 상태를 감지/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도난 의심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들(사용자 인증 여부, 차량 상태, GPS, 가속도센서 등)을 구비하며, 최소한의 대기전력으로 도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현에 따라, 상기 도난 감지 센싱부(100)는, 모터의 강제 회전에 위한 기전력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모터 구동부를 트리거(wake-up)시키는 강제 회전 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강제 회전 검출부는, 다른 센서 수단들 대비 비용이 저렴하고, 신속하고 효과적인 wake-up 수단이 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강제 회전 검출부는, 모터의 코일 부분에서 발생되는 역기전력을 효과적으로 검출할 수 있도록 인버터 출력단의 전압을 감지하는 센서나 회로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가장 단순하게는 상기 인버터 출력단이 게이트로 연결되며, 상기 도난 여부 판정부(220)에 대한 wake-up 신호단으로 출력단이 연결된 MOS TR 소자일 수 있다.
상기 도난 감지 센싱부(100)는 도난 의심 상태를 감지/판단하기 위한 근거 정보로서 상태 정보(파라미터) 및/또는 각종 센서들의 센싱값들을 상기 도난 여부 판정부(22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파라미터) 및/또는 센싱값들을 수신받은 상기 도난 여부 판정부(220)는, GPS 정보 기반으로 일정 거리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모터 내부 역기전압 발생으로 깨어난 인버터로부터 도난 정보를 수신하거나, 가속도 센서의 가속 발생 횟수가 일정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도난 의심 상태로 판정할 수 있다.
도난 의심 상태로 판정되면, 상기 도난 저지부(240)는 최소한의 대기전력을 사용, 모터를 직류 제어하여 차량이 외력에 의해 쉽게 움직일 수 없게 하여 도난을 방지하고, 상기 통보부(250) 도난 의심 상태를 차량 제조사와 소유주에게 알리는 알림 시스템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도난 감지 센싱부
200 : 차량 제어 유닛
220 : 도난 여부 판정부
240 : 도난 저지부
250 : 통보부
280 : 통신 모듈
300 : 인버터
400 : 모터
500 : 클라우드 서버

Claims (11)

  1. 키온 상태 및 사용자 인증 상태에 대하여 확인하는 단계;
    키 오프 상태이거나 사용자 인증이 해제되면, 모터에 대한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도난 이동 발생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도난 의심 상태를 판정하는 단계;
    도난 의심 상태로 판정되면, 인버터가 모터에 대하여 고정 직류 출력하도록, 상기 인버터의 구동 스위치들 중 전부 또는 일부를 고정된 직류로 계속 ON 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및
    도난 의심 상태를 운전자에게 통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동 이륜차의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보하는 단계에서는,
    차량의 도난 의심 상태에 대한 정보를 클라우드 서버로 송신하는 전동 이륜차의 제어 방법.
  7. 차량을 이동시키는 모터에 구동 전력을 공급하는 인버터;
    키 오프 상태이거나 사용자 인증이 해제되면, 모터에 대한 역기전력을 이용하여 도난 이동 발생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차량의 도난 의심 상태를 판정하는 도난 감지 센싱부; 및
    도난 의심 상태를 인지하면, 인버터가 모터에 대하여 고정 직류 출력하도록, 상기 인버터의 구동 스위치들 중 전부 또는 일부를 고정된 직류로 계속 ON 시키도록 제어하는 차량 제어 유닛
    을 포함하는 전동 이륜차의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 유닛은,
    상기 차량의 도난 의심 상태를 판정하는 도난 여부 판정부;
    도난 의심 상태로 판정하면, 상기 인버터를 wake-up 시킨 후 상기 모터를 고정 직류 제어하도록 하는 도난 저지부; 및
    도난 의심 상태를 운전자 및 관련인에게 통보하는 통보부
    를 포함하는 전동 이륜차의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도난 감지 센싱부는,
    사용자 인증 수단, GPS 수신 센서 및 3축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동 이륜차의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도난 여부 판정부는,
    상기 GPS 수신 센서의 수신 정보 기반으로 일정 거리 임계치를 초과하거나, 가속도 센서에서 감지된 가속도가 일정 임계치를 초과할 경우 도난 의심 상태로 판정하는 전동 이륜차의 제어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도난 감지 센싱부는,
    모터의 강제 회전에 위한 기전력에 의해 활성화되어, 상기 인버터를 wake-up 시키는 강제 회전 검출부
    를 포함하는 전동 이륜차의 제어 장치.
KR1020200083717A 2020-07-07 2020-07-07 전동 이륜차의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3469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717A KR102346948B1 (ko) 2020-07-07 2020-07-07 전동 이륜차의 제어 방법 및 장치
PCT/KR2021/008667 WO2022010265A1 (ko) 2020-07-07 2021-07-07 전동 이륜차의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717A KR102346948B1 (ko) 2020-07-07 2020-07-07 전동 이륜차의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6948B1 true KR102346948B1 (ko) 2022-01-05

Family

ID=79348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717A KR102346948B1 (ko) 2020-07-07 2020-07-07 전동 이륜차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6948B1 (ko)
WO (1) WO2022010265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4860A (ja) * 2001-03-07 2002-09-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動力装置付き車輌
JP2002321673A (ja) * 2001-04-26 2002-11-05 Meidensha Corp 電動アシスト式自転車の盗難防止方法
KR100451662B1 (ko) 2001-08-22 2004-10-12 최철희 전동스쿠터의 제어장치
JP2006273142A (ja) * 2005-03-29 2006-10-12 Sanyo Electric Co Ltd 盗難防止機能を有する電動車両
KR101983762B1 (ko) * 2017-12-15 2019-05-29 최종운 도난방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069A (ko) * 2009-07-15 2011-01-21 주식회사 파워라이드 도난방지 기능 전기자전거, 그 도난방지 방법 및 전기자전거의 도난방지 시스템
KR20110062097A (ko) * 2009-12-02 2011-06-10 주식회사 에스티에프 전기모터를 구동 동력원으로 하는 전기 이륜차의 스마트키 시스템
US9248806B2 (en) * 2011-11-08 2016-02-02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security of vehicle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64860A (ja) * 2001-03-07 2002-09-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動力装置付き車輌
JP2002321673A (ja) * 2001-04-26 2002-11-05 Meidensha Corp 電動アシスト式自転車の盗難防止方法
KR100451662B1 (ko) 2001-08-22 2004-10-12 최철희 전동스쿠터의 제어장치
JP2006273142A (ja) * 2005-03-29 2006-10-12 Sanyo Electric Co Ltd 盗難防止機能を有する電動車両
KR101983762B1 (ko) * 2017-12-15 2019-05-29 최종운 도난방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10265A1 (ko) 2022-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4544B2 (ja) 車両の盗難防止システム
JP2018522778A (ja) 二輪車のための盗難防止ロック
US20150321640A1 (en) Vehicle theft alert system
US7176788B2 (en) Vehicle theft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140350788A1 (en) Method for controlling stop modes of moter-driven power steering
JP4329945B2 (ja) エンジン始動システム
KR102346948B1 (ko) 전동 이륜차의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8297824B (zh) 一种智能电瓶车租赁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JP2010221958A (ja) 車両防犯システム
TWM617814U (zh) 智慧控制系統
JP6747081B2 (ja) 車載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622899B2 (ja) 盗難防止装置および盗難防止方法、並びに盗難防止システム
JP5784782B1 (ja) 盗難防止機能付き内燃機関制御装置
CN112572341B (zh) 车辆的防盗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4096350B2 (ja) 蓄電池
JP4525522B2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CN101746438A (zh) 倾角式电动车防盗器及防盗方法
KR100981209B1 (ko) 초음파센서를 이용한 오토바이 도난 방지 장치
JP2006065590A (ja) 車両の監視システム
JP3901566B2 (ja) 充電装置及び盗難防止装置
JP4447581B2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の制御装置
JPH10126901A (ja) 電気自動車の充電状況報知システム
KR101173564B1 (ko) 오토바이 도난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7009625A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およびドアロック方法
KR102571208B1 (ko) 차량의 보안 및 유지를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