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802B1 -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802B1
KR102346802B1 KR1020200044521A KR20200044521A KR102346802B1 KR 102346802 B1 KR102346802 B1 KR 102346802B1 KR 1020200044521 A KR1020200044521 A KR 1020200044521A KR 20200044521 A KR20200044521 A KR 20200044521A KR 102346802 B1 KR102346802 B1 KR 102346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switch
pwm signal
battery cell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4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6888A (ko
Inventor
이윤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캡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캡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캡시스
Priority to KR1020200044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80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6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9Overheat or overtemperature prot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88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9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02J7/00719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harg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non-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temperature of the bat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방전 작동하는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과 1대1 대응으로 연결된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배터리 셀의 온도가 해당 배터리 셀과 대응하는 스위치의 온/오프 작동 중 과열방지를 위해 자동으로 가변 설정되는 기준온도 이상이면 수집한 해당 배터리 셀의 온도와 기준온도와의 온도차이를 기준으로 과열방지를 위하여 미리 만들어 놓은 온도차이/주파수 테이블을 참고하여 해당 스위치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보다 더 낮추어 출력함으로써 해당 스위치가 과열방지상태로 셀 밸런싱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본 발명은 배터리 셀과 대응하는 스위치의 온/오프 작동 중 과열방지를 위하여 해당 스위치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보다 더 낮추어 출력함으로써 해당 스위치가 과열방지상태로 셀 밸런싱 기능을 수행하게 하므로, 해당 스위치(예컨대, FET)의 온/오프(ON/OFF) 스위칭 시점에 잡음 성분의 전압 및 전류 발생이 감소하고, 그 결과로 이 잡음 성분의 전압 및 전류에 의해 해당 스위치(예컨대, FET)와 그 주변의 다른 회로소자(예컨대, 커패시터 등)의 과열을 방지함으로써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for tunnel light}
본 발명은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다수의 배터리 셀 각각의 온도변화를 감지하여 배터리 셀간의 충전 상태 불평형을 감소시키고 전압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한 배터리 셀 밸런싱 기능을 수행하는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널 내에 설치되는 터널등은 균일한 조도의 다수의 터널등들에 다수의 배선들을 미리 연결해 놓은 상태에서, 외부 휘도에 따라 다수의 배선들 중 하나의 배선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스위칭하여 터널 조명의 조도를 제어한다.
종래의 터널 조명 시스템은 외부 휘도에 따라 복수의 배선 중 일부 배선에 선택적으로 전원이 공급 또는 공급 중단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배선에 연결된 터널등들을 점등 또는 소등시킨다. 즉, 종래의 터널 조명 시스템은 균일한 조도의 다수의 터널등들로 터널 내부를 조명하는데, 외부 휘도에 따라 점등되는 터널등들의 개수를 조절하여 터널 구간 내의 노면 휘도가 표준 규격을 만족하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터널 조명 시스템은, 점등된 터널등들 중 임의의 터널등이 고장으로 인해 소등되면 그 고장 터널등이 조명하는 노면의 휘도가 기준치보다 어두워져 운전자들의 안전운행을 방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임의의 터널등이 고장나는 경우를 대비하여 예비 터널등을 추가로 연결하여야 하기 때문에 터널 조명 시스템의 배선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정전이 되면 일반 터널등은 소등되므로 2차 전지의 전력을 사용하여 비상 터널등을 점등시키는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2차 전지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는 충방전 작동하는 다수의 배터리 셀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 팩을 고전압 배터리로 활용한다.
상기한 배터리 팩은 배터리 셀간의 제조공정과 용량의 차이, 배터리 셀의 자기 방전, 배터리 셀의 동작 조건, 사용 시간 경과에 따른 노후화 등에 기인하여 충방전 작동 중인 배터리 셀간의 충전 상태(State of Charge, SOC) 불평형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2차 전지를 이용한 전원공급장치과 같은 충방전 작동 중인 배터리 셀간의 충전 상태 불평형을 감소시키고 전압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배터리 셀 밸런싱(cell balancing) 기능을 수행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1에는 전압 측정부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측정한 결과에 따라 제어부에서 밸런싱 대상 배터리 셀을 결정하여 해당 배터리 셀의 출력과 연관되는 스위칭부의 스위치(예컨대, FET)로 PWM신호를 출력함으로써 배터리 셀 밸런싱을 수행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게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에 게재된 바와 같은 종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배터리 셀 밸런싱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부에서 배터리 셀마다 듀티 사이클, 즉 온/오프 듀티비는 서로 다르지만 출력주파수는 동일한 값으로 고정되어 있는 PWM신호를 출력한다.
이처럼, 종래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제어부에서 배터리 셀마다 듀티 사이클, 즉 온/오프 듀티비는 서로 다르지만 출력주파수는 동일한 값으로 고정되어 있는 PWM신호를 출력하여 배터리 셀의 출력과 연관되는 스위칭부의 스위치(예컨대, FET)의 온/오프(ON/OFF) 스위칭을 제어하면, 해당 스위치(예컨대, FET)의 온/오프(ON/OFF) 스위칭 시점에 잡음 성분의 전압 및 전류가 발생하고, 이 잡음 성분의 전압 및 전류에 의해 해당 스위치(예컨대, FET)와 다른 회로소자(예컨대, 커패시터 등)가 과열되어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고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1465693 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충방전 작동하는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과 1대1 대응으로 연결된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가 해당 배터리 셀과 대응하는 스위치의 온/오프 작동 중 과열방지를 위해 자동으로 가변 설정되는 기준온도 이상이면 수집한 해당 배터리 셀의 온도와 상기 기준온도와의 온도차이를 기준으로 과열방지를 위하여 미리 만들어 놓은 온도차이/주파수 테이블을 참고하여 해당 스위치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보다 더 낮추어 출력함으로써 해당 스위치가 과열방지상태로 셀 밸런싱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 정보를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여 연산한 배터리 셀 평균온도를 상기 기준온도로 가변 설정하여 해당 스위치가 과열방지상태로 상기한 셀 밸런싱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용 교류 전원을 소정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로 부터 전원을 충전하는 다수의 배터리 셀로 구성되는 배터리 팩과; 상기 배터리 팩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과 1대1 대응으로 연결되어 해당 배터리 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센서와; 상기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과 1대1 대응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PWM신호에 의해 온/오프 작동하여 배터리 셀간의 충전 상태 불평형을 감소시키고 전압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한 배터리 셀 밸런싱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및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 정보를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고, 수집한 배터리 셀의 온도가 해당 배터리 셀과 대응하는 스위치의 온/오프 작동 중 과열방지를 위해 자동으로 가변 설정되는 기준온도 이상이면 수집한 해당 배터리 셀의 온도와 상기 기준온도와의 온도차이를 기준으로 과열방지를 위하여 미리 만들어 놓은 온도차이/주파수 테이블을 참고하여 해당 스위치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보다 더 낮추어 출력하여 해당 스위치가 과열방지상태로 상기한 셀 밸런싱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 정보를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여 연산한 배터리 셀 평균온도를 상기 기준온도로 가변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낮추어 출력한 후, 수집한 배터리 셀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미만이면 해당 스위치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로 다시 높여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낮추어 출력한 후, 수집한 배터리 셀의 온도가 해당 배터리 셀과 대응하는 스위치의 온/오프 작동 중 과열방지를 위해 미리 설정한 기준온도 이상이면 수집한 해당 배터리 셀의 온도와 상기 기준온도와의 온도차이를 기준으로 과열방지를 위하여 미리 만들어 놓은 온도차이/듀티비 테이블을 참고하여 상기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를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를 조절하여 출력한 후, 수집한 배터리 셀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미만이면 해당 스위치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를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로 다시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를 조절하여 출력한 후, 수집한 배터리 셀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이상이면 경보부를 통해 해당 스위치에 대한 과열경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배터리 셀과 대응하는 스위치의 온/오프 작동 중 과열방지를 위하여 미리 만들어 놓은 온도차이/주파수 테이블을 참고하여 해당 스위치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보다 더 낮추어 출력함으로써 해당 스위치가 과열방지상태로 상기한 셀 밸런싱 기능을 수행하게 하므로, 해당 스위치(예컨대, FET)의 온/오프(ON/OFF) 스위칭 시점에 잡음 성분의 전압 및 전류 발생이 감소하고, 그 결과로 이 잡음 성분의 전압 및 전류에 의해 해당 스위치(예컨대, FET)와 그 주변의 다른 회로소자(예컨대, 커패시터 등)의 과열을 방지함으로써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에 1대1로 대응하는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각각의 배터리 셀의 온도 정보를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여 연산한 배터리 셀 평균온도를 기준온도로 가변 설정하여 해당 스위치가 과열방지상태로 상기한 셀 밸런싱 기능을 수행하게 하므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로 구성되어 충방전 작동하는 배터리 팩의 온도를 상기한 배터리 셀 평균온도로 유지할 수 있고, 그 결과로 배터리 팩 자체의 과열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온도차이/주파수 테이블 및 온도차이/듀티비 테이블을 나타낸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센서(110)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120), 제어부(130), 및 경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온도센서(110)는 충방전 작동하는 배터리 팩(100a)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110a)과 1대1 대응으로 연결되어 해당 배터리 셀(110a)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스위치(120)는 상기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110a)과 1대1 대응으로 연결되어 제어부(130)에서 출력하는 PWM신호에 의해 온/오프 작동하여 배터리 셀(110a)간의 충전 상태 불평형을 감소시키고 전압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한 배터리 셀 밸런싱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스위치(120)는 PWN신호에 의해 온/오프 작동하는 스위치소자라면 어떤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바람직하게는 FET 등과 같은 전압/전류제어용 스위치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온도센서(110)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배터리 셀(110a)의 온도 정보를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수집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수집한 배터리 셀(110a)의 온도가 해당 배터리 셀(110a)과 대응하는 스위치(120)의 온/오프 작동 중 과열방지를 위해 자동으로 가변 설정되는 기준온도 이상이면 수집한 해당 배터리 셀(110a)의 온도와 상기 기준온도와의 온도차이를 기준으로 과열방지를 위하여 미리 만들어 놓은 온도차이/주파수 테이블을 참고하여 해당 스위치(120)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보다 더 낮추어 출력하여 해당 스위치(120)가 과열방지상태로 상기한 셀 밸런싱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온도센서(110)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배터리 셀(110a)의 온도 정보를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여 연산한 배터리 셀 평균온도를 상기 기준온도로 가변 설정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낮추어 출력한 후, 수집한 배터리 셀(110a)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미만이면 해당 스위치(120)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로 다시 높여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낮추어 출력한 후, 수집한 배터리 셀(110a)의 온도가 해당 배터리 셀(110a)과 대응하는 스위치의 온/오프 작동 중 과열방지를 위해 미리 설정한 기준온도 이상이면 수집한 해당 배터리 셀(110a)의 온도와 상기 기준온도와의 온도차이를 기준으로 과열방지를 위하여 미리 만들어 놓은 온도차이/듀티비 테이블을 참고하여 상기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를 조절하여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를 조절하여 출력한 후, 수집한 배터리 셀(110a)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미만이면 해당 스위치(120)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를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로 다시 조절하여 출력함과 동시에 해당 스위치(120)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로 다시 높여서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를 조절하여 출력한 후, 수집한 배터리 셀(110a)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이상이면 경보부(140)를 통해 해당 스위치(120)에 대한 과열경보를 출력한다.
상기 경보부(140)는 음성경보, 음성메시지, 경고등 점등, 경고등 점멸 등과 같은 방식으로 과열경보를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의 작동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은 상기 제어부(130)에서 출력하는 PWM신호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110a)과 1대1 대응으로 연결된 스위치(120)가 온/오프 작동하여 배터리 셀(110a)간의 충전 상태 불평형을 감소시키고 전압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한 배터리 셀 밸런싱 기능 수행한다(S100).
상기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110a)과 1대1 대응으로 연결된 스위치(120)가 온/오프 작동하여 상기한 배터리 셀 밸런싱 기능 수행하는 동안, 상기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110a)과 1대1 대응으로 연결된 온도센서(110)에 의해 감지되는 배터리 셀(110a)의 온도 정보를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수집한다(S110).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한 배터리 셀(110a)의 온도 정보를 수집하는 시간 간격은, 충방전 작동하는 배터리 팩(100a)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110a)의 개수에 따라 수 초 혹은 수 분 단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 셀(110a)의 온도 정보를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고 나면, 상기 제어부(130)는 수집한 배터리 셀(110a)의 온도가 해당 배터리 셀(110a)과 대응하는 스위치(120)의 온/오프 작동 중 과열방지를 위해 자동으로 가변 설정되는 기준온도 이상인지를 판별한다(S120).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110a)에 1대1로 대응하는 온도센서(110)에 의해 감지되는 각각의 배터리 셀(110a)의 온도 정보를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여 연산한 배터리 셀 평균온도를 기준온도로 가변 설정하여 상기한 스위치(120)가 과열방지상태로 상기한 셀 밸런싱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이처럼,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와 같이 연산한 배터리 셀 평균온도를 기준온도로 가변 설정하여 상기한 스위치(120)가 과열방지상태로 상기한 셀 밸런싱 기능을 수행하게 하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110a)로 구성되어 충방전 작동하는 배터리 팩(100a)의 온도를 상기한 배터리 셀 평균온도로 유지할 수 있고, 그 결과로 배터리 팩(100a) 자체의 과열을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한 S120 과정에서, 수집한 배터리 셀(110a)의 온도가 해당 배터리 셀(110a)과 대응하는 스위치(120)의 온/오프 작동 중 과열방지를 위해 자동으로 가변 설정되는 기준온도 이상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수집한 해당 배터리 셀(110a)의 온도와 상기 기준온도와의 온도차이를 기준으로 과열방지를 위하여 미리 만들어 놓은 온도차이/주파수 테이블을 참고하여 해당 스위치(120)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보다 더 낮추어 출력한다(S130).
이때, 해당 스위치(120)에 대응하여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와 출력주파수를 더 낮추어 출력한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는 변경하지 않고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4에서는 수집한 해당 배터리 셀(110a)의 온도(℃)(예컨대, #1 또는 #2, …, 또는 #n)와 상기한 바와 같이 배터리 셀 평균온도로 가변 설정되는 기준온도(℃)(예컨대, #1 또는 #2, …, 또는 #n)와의 온도차이(℃)(예컨대, #1 또는 #2, …, 또는 #n)를 기준으로 과열방지를 위하여 미리 만들어 놓은 출력주파수(KHz)(예컨대, #1 또는 #2, …, 또는 #n)를 나타내는 온도차이/주파수 테이블을 예시하고 있다.
예컨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집한 해당 배터리 셀(110a)의 온도가 #1℃이고 배터리 셀 평균온도로 가변 설정되는 기준온도가 #1℃이고, 양자의 온도차이가 #1℃라면, 상기 제어부(130)는 해당 스위치(120)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보다 더 낮추어 #1KHz의 주파수로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S130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130)가 온도차이/주파수 테이블을 참고하여 해당 스위치(120)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보다 더 낮추어 출력함으로써 해당 스위치(120)가 과열방지상태로 상기한 셀 밸런싱 기능을 수행하게 하면, 해당 스위치(120)(예컨대, FET)의 온/오프(ON/OFF) 스위칭 시점에 잡음 성분의 전압 및 전류 발생이 감소하고, 그 결과로 이 잡음 성분의 전압 및 전류에 의해 해당 스위치(120)(예컨대, FET)와 그 주변의 다른 회로소자(예컨대, 커패시터 등)의 과열을 방지함으로써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S130 과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낮추어 출력하고 나면, 연이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이후에 수집한 배터리 셀(110a)의 온도가 기준온도 미만인지 혹은 기준온도 이상인지를 판별한다(S140).
만약, 상기한 S140 과정에서, 수집한 배터리 셀(110a)의 온도가 기준온도 미만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해당 스위치(120)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로 다시 높여서 출력하고(S150), 상기한 S120 과정으로 리턴한다.
이와 달리, 만약 상기한 S140 과정에서, 수집한 배터리 셀(110a)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수집한 해당 배터리 셀(110a)의 온도와 상기 기준온도와의 온도차이를 기준으로 과열방지를 위하여 미리 만들어 놓은 온도차이/듀티비 테이블을 참고하여 상기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를 조절하여 출력한다(S160).
이때, 해당 스위치(120)에 대응하여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와 온/오프 듀티비를 조절하여 출력한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는 변경하지 않고 동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4에서는 수집한 해당 배터리 셀(110a)의 온도(℃)(예컨대, #1 또는 #2, …, 또는 #n)와 상기한 바와 같이 배터리 셀 평균온도로 가변 설정되는 기준온도(℃)(예컨대, #1 또는 #2, …, 또는 #n)와의 온도차이(℃)(예컨대, #1 또는 #2, …, 또는 #n)를 기준으로 과열방지를 위하여 미리 만들어 놓은 온/오프 듀티비(%)(예컨대, #1 또는 #2, …, 또는 #n)를 나타내는 온도차이/듀티비 테이블을 예시하고 있다.
예컨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집한 해당 배터리 셀(110a)의 온도가 #1℃이고 배터리 셀 평균온도로 가변 설정되는 기준온도가 #1℃이고, 양자의 온도차이가 #1℃라면, 상기 제어부(130)는 해당 스위치(120)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를 #1%로 조절하여 출력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S160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130)가 온도차이/듀티비 테이블을 참고하여 해당 스위치(120)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를 조절하여 출력함으로써 해당 스위치(120)가 과열방지상태로 상기한 셀 밸런싱 기능을 수행하게 하면, 해당 스위치(120)(예컨대, FET)의 온/오프(ON/OFF) 스위칭 시점에 잡음 성분의 전압 및 전류 발생이 감소하고, 그 결과로 이 잡음 성분의 전압 및 전류에 의해 해당 스위치(120)(예컨대, FET)와 그 주변의 다른 회로소자(예컨대, 커패시터 등)의 과열을 방지함으로써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S160 과정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가 상기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를 조절하여 출력하고 나면, 연이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이후에 수집한 배터리 셀(110a)의 온도가 기준온도 미만인지 혹은 기준온도 이상인지를 판별한다(S170).
만약, 상기한 S170 과정에서, 수집한 배터리 셀(110a)의 온도가 기준온도 미만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해당 스위치(120)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를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로 다시 조절하여 출력하고(S180), 상기한 S120 과정으로 리턴한다.
이와 달리, 만약 상기한 S170 과정에서, 수집한 배터리 셀(110a)의 온도가 기준온도 이상으로 판별되면, 상기 제어부(130)는 경보부(140)를 통해 해당 스위치(120)에 대한 과열경보를 출력한다(S190).
이때, 상기 경보부(140)는 음성경보, 음성메시지, 경고등 점등, 경고등 점멸 등과 같은 방식으로 과열경보를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경보부(140)의 과열경보가 출력되면, 본 발명에 따른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100)의 관리자 혹은 사용자는 배터리 팩(100a)을 점검하고 필요에 따라 과열로 인해 불량 판정된 배터리 셀(110a)을 새것으로 교체하는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100a: 배터리 팩 110: 온도센서
110a: 배터리 셀 120: 스위치
130: 제어부 140: 경보부

Claims (6)

  1. 상용 교류 전원을 소정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로 부터 전원을 충전하는 다수의 배터리 셀로 구성되는 배터리 팩과;
    상기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과 1대1 대응으로 연결되어 해당 배터리 셀의 온도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온도센서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과 1대1 대응으로 연결되어 제어부에서 출력하는 PWM신호에 의해 온/오프 작동하여 배터리 셀간의 충전 상태 불평형을 감소시키고 전압 균일성을 유지하기 위한 배터리 셀 밸런싱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및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 정보를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고, 수집한 배터리 셀의 온도가 해당 배터리 셀과 대응하는 스위치의 온/오프 작동 중 과열방지를 위해 자동으로 가변 설정되는 기준온도 이상이면 수집한 해당 배터리 셀의 온도와 상기 기준온도와의 온도차이를 기준으로 과열방지를 위하여 미리 만들어 놓은 온도차이/주파수 테이블을 참고하여 해당 스위치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보다 더 낮추어 출력하여 해당 스위치가 과열방지상태로 상기한 셀 밸런싱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 정보를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여 연산한 배터리 셀 평균온도를 상기 기준온도로 가변 설정하고,
    상기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낮추어 출력한 후, 수집한 배터리 셀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미만이면 해당 스위치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로 다시 높여서 출력하며,
    상기 PWM신호의 출력주파수를 낮추어 출력한 후, 수집한 배터리 셀의 온도가 해당 배터리 셀과 대응하는 스위치의 온/오프 작동 중 과열방지를 위해 미리 설정한 기준온도 이상이면 수집한 해당 배터리 셀의 온도와 상기 기준온도와의 온도차이를 기준으로 과열방지를 위하여 미리 만들어 놓은 온도차이/듀티비 테이블을 참고하여 상기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를 조절하여 출력하고,
    상기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를 조절하여 출력한 후, 수집한 배터리 셀의 온도가 상기 기준온도 미만이면 해당 스위치에 대응하는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를 직전에 출력한 PWM신호의 온/오프 듀티비로 다시 조절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00044521A 2020-04-13 2020-04-13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2346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521A KR102346802B1 (ko) 2020-04-13 2020-04-13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4521A KR102346802B1 (ko) 2020-04-13 2020-04-13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888A KR20210126888A (ko) 2021-10-21
KR102346802B1 true KR102346802B1 (ko) 2022-01-04

Family

ID=78268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4521A KR102346802B1 (ko) 2020-04-13 2020-04-13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8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9329A (ja) 2009-07-08 2011-01-27 Toshiba Corp 二次電池装置及び車両
JP2013116007A (ja) * 2011-11-30 2013-06-10 Toyota Industries Corp 電圧均等化制御装置及び電圧均等化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2188B1 (ko) * 2011-05-31 2014-09-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과열 경고 장치 및 방법
KR101465693B1 (ko) 2013-02-25 2014-12-02 주식회사 피엠그로우 펄스폭변조를 이용한 배터리 셀 전류 밸런싱 기능을 가지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9730B1 (ko) * 2014-12-29 2017-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셀 밸런싱 장치 및 방법
KR102284872B1 (ko) * 2017-10-31 2021-07-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셀 밸런싱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9329A (ja) 2009-07-08 2011-01-27 Toshiba Corp 二次電池装置及び車両
JP2013116007A (ja) * 2011-11-30 2013-06-10 Toyota Industries Corp 電圧均等化制御装置及び電圧均等化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888A (ko) 2021-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61645A (en) Power supply for light emitting diode array
JP2012529258A (ja) 電源作動式照明器具を非常用照明器具に切換えるための電子回路
JP4528886B2 (ja) 電力制御装置
CN108633142B (zh) 一种led灯的调光电路
CN108475942B (zh) 应急单元、照明系统、应急操作装置和应急单元操作方法
JP2012009350A (ja) Led点灯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US20040051466A1 (en) Lighting apparatus capable of providing auxiliary and emergency illumination
EP0534793B1 (en) Emergency lighting apparatus
WO2016134395A1 (en) Emergency supply unit
HUE026493T2 (en) Light fixture and procedure to control it
CN103703665B (zh) 开关电源部分和用于运行该开关电源部分的方法
JP4552536B2 (ja) 独立電源装置
CN110602834A (zh) 一种利用开关控制应急照明灯具亮度的电路及方法
KR102346802B1 (ko) 터널등용 배터리 관리 시스템
KR101743064B1 (ko) 엘이디 조명의 디밍 제어장치
KR100425265B1 (ko) 일반/비상 겸용 형광램프 점등제어장치
KR102346874B1 (ko) 온도정보를 이용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WO2021212630A1 (zh) 照明装置及轨道车辆
CN210670654U (zh) 一种利用开关控制应急照明灯具亮度的电路
ES2900542T3 (es) Bloque de luz de emergencia, instalación de alumbrado de emergencia y elemento de luz de emergencia
JP2000102190A (ja) 太陽電池照明装置
KR200374776Y1 (ko) 엘이디를 사용한 비상 조명등
KR200368410Y1 (ko) 비상작동시 다단으로 조도가 경감되는 비상등
ITMI961198A1 (it) Dispositivo di illuminazione di emergenza a consumo energetico otti- mizzato
KR20100003417U (ko) 유도등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