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230B1 - 경피 봉합사 전달용 시스템 - Google Patents

경피 봉합사 전달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230B1
KR102346230B1 KR1020217002545A KR20217002545A KR102346230B1 KR 102346230 B1 KR102346230 B1 KR 102346230B1 KR 1020217002545 A KR1020217002545 A KR 1020217002545A KR 20217002545 A KR20217002545 A KR 20217002545A KR 102346230 B1 KR102346230 B1 KR 102346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needles
suture
deployment member
deliver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2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3650A (ko
Inventor
시아오-웨이 탕
우시 웽
시주이 한
청추 첸
차오 첸
Original Assignee
메데온 바이오디자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데온 바이오디자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메데온 바이오디자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10013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3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2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61B2017/00646Type of implements
    • A61B2017/00663Type of implements the implement being a su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82General structural features
    • A61B2017/00986Malecots, e.g. slotted tubes, of which the distal end is pulled to deflect side stru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having at least one proximally pointing needle located at the distal end of the instrument, e.g. for suturing trocar puncture wounds starting from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2Multiple-needled, e.g. double-needled,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n inflatable part, e.g. balloon, for positioning, blocking, or immobilisation
    • A61B2017/22065Functions of balloons
    • A61B2017/22069Immobilising; Sta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61B2017/2912Handles transmission of forces to actuating rod or pis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17/2909Handles
    • A61B2017/2925Pistol gr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8Surgical forceps
    • A61B17/29Forcep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2926Details of heads or jaws
    • A61B2017/2927Details of heads or jaws the angular position of the head being adjustable with respect to th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07Indication means
    • A61B2090/0811Indication means for the position of a particular part of an instrument with respect to the rest of the instrument, e.g. position of the anvil of a stapling instrument

Abstract

조직을 경피적으로 봉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되어 있다. 샤프트 부재 위에 동축으로 배치된 안내 부재를 갖는 세장형 전개 부재가 바늘 전개 부재를 가지고 다니는데 사용될 수 있다. 바늘 전개 부재는 세장형 전개 부재의 원위 단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바늘 전개 부재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 복수의 바늘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바늘은 바늘 전개 부재의 원위 단부 내에 동축으로 경로를 따라 전송된다. 바늘 전개 부재는 추가로 샤프트 부재 내에 동축으로 배치된 링크에 의하여 구동되는 바늘 푸셔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늘 푸셔는 각각의 바늘을 바늘 전개 부재의 원위 단부를 통과시키며 바늘 전개 부재의 근위 단부에 걸쳐 동축으로 전진시켜서 복수의 바늘을 근위 방향에서 피어싱 각도로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경피 봉합사 전달용 시스템{SYSTEMS FOR PERCUTANEOUS SUTURE DELIVERY}
관련 출원들
본원은 2013년 2월 22일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61/768,344, 2013년 3월 14일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61/781,973, 2013년 5월 16일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61/824,267, 2013년 7월 8일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61/843,724, 2013년 9월 5일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61/874,057, 및 2014년 2월 21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출원 14/186,246의 우선권 및 이득을 청구하며, 이 모든 출원들의 내용은 그 전체가 참고로 통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환자의 맥관 구조(vasculature) 또는 기타 인체 루멘(body lumen)에 있는 개구들을 폐쇄하기 위한 기술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외과 수술 후에 필요로 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개구 주위의 조직에 대략 접근해 있는 동맥 및 정맥의 천자(puncture) 부위들을 경피적으로 봉합하기 위한 시스템,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회복 시간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중재 및 진단 시술(procedures)은 환자의 신체 내부에 있는 필요한 위치에 경피적으로 접근함으로써 최소 침입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다. 카테터(catheter)들 또는 다른 세장형 디바이스를 편리한 입구지점에서 맥관구조 내로 도입함으로써, 이러한 시술은 디바이스를 루멘을 통해 필요한 위치로 안내함으로써 원격 위치에서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은 종래의 개복 시술에 비해 환자에게 충격을 덜 주지만, 맥관구조로의 접근은, 차후에 회복되어야만 하는, 동맥 또는 정맥에서의 개구를 형성할 것을 요구한다.
다양한 방법들이 접근 개구를 폐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종래에는, 실질적으로 개구를 통해 혈액의 흐름을 감소시키며 혈전 형성을 허용하기 위해 지혈이 수동 압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대체로 성공적이지만, 압박은 상당히 긴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환자의 상당히 큰 불쾌감과 관련될 수 있다. 추가로, 국소 빈혈 또는 혈전증을 초래할 수 있는 의도하지 않은 루멘의 전체 폐색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경피 디바이스를 도입하는데 필요한 개구의 크기, 항응혈제의 채용 여부 및 환자의 상태에 따라 악화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 지혈을 달성하며 보행(ambulation)에 대한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개구를 봉합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시술의 최소 침입을 유지하기 위해, 이러한 기술들 중 많은 기술이 경피적으로 실시되도록 적응되어 있다. 예를 들어,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는 시술을 실시하는데 사용되는 동일한 개구를 통해 도입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하나 이상의 바늘이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에 의하여 전개되어 혈관 벽을 피어싱(piercing)하며 봉합사 재료를 끌어당겨서, 봉합사가 외막 표면 위에 고정되며 개구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의 사용과 관련된 유익에도 불구하고, 몇가지 해결과제(challenges)가 남아있다. 특히, 바늘 또는 바늘들은, 봉합하기에 충분히 튼튼한 장소를 만들도록 개구로부터 충분히 멀리 떨어져 조직을 피어싱하기 위해 혈관 벽에 대하여 정확하게 배치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시술자로부터 요구되는 숙련의 정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바늘들을 재현가능한(reproducible) 방법으로 전개 및 작동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성들 및 다른 특성들을 제공하면서 루멘에서의 개구를 경피적으로 봉합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직을 경피적으로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는 샤프트 부재 위에 동축으로 배치된 안내 부재를 갖는 세장형 전개(deployment) 부재, 상기 세장형 전개 부재의 원위 단부에 부착되는 바늘 전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바늘 전개 부재는 복수의 바늘 각각의 비피어싱(non-piercing) 단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부 밴드, 및 하부 밴드가 트리거 기구에 의해 작동될 때 복수의 바늘을 피어싱 각도에 배치하도록 구성된 상부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 기구는 바늘 푸셔(pusher)와 디바이스의 핸들 부분 내의 트리거 사이의 트리거 링크를 포함하여서, 트리거 기구의 트리거링(triggering)이 바늘 푸셔에 작용하여 바늘 푸셔가 바늘을 세장형 전개 부재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바늘 캐처(catcher) 또는 바늘 리시버(receiver)를 향해 밀게 된다. 트리거 링크는 바늘 푸셔와 바늘 캐처/리시버 사이에서 하나의 이상의 링킹(linking)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바늘 전개 부재는 바늘 푸셔, 적어도 하나의 바늘, 바늘 푸셔 링커(linker), 상부 밴드 및 하부 밴드를 포함한다. 바늘 푸셔는 하부 밴드에 대해 상대적으로 원위 단부가 될 수 있다. 바늘 푸셔 및 바늘 링커는 바늘 전개 부재의 원위 단부에 수용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바늘 전개 부재는 하부 밴드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바늘 각각의 비피어싱 단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바늘 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바늘 푸셔는 또한 하부 밴드와 동일한 구조로 될 수 있다. 복수의 바늘이 바늘 푸셔 내에 유지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하부 밴드는 바늘들이 제거되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바늘을 위한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바늘들이 상승될 때, 바늘들은 하부 밴드 아래로 연장하며 상부 밴드 위로 이동하여 바늘들을 일정 각도로 돌출시킨다. 바늘의 상승 각도는 바늘이 상승되기 전에 상부 밴드와 하부 밴드 사이의 거리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바늘의 상승 각도는 상부 밴드의 지름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바늘 전개 부재는 또한 복수 또는 적어도 하나의 편향가능한 윙(deflectable wing) 및 바늘 전개 부재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 복수의 바늘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늘 전개 부재의 근위 단부는 안내 부재에 고정되고, 바늘 전개 부재의 원위 단부는 샤프트 부재에 고정된다. 바늘 전개 부재는, 복수의 바늘을 샤프트 부재와 길이방향으로 정렬시키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의 제1 거리에 해당하는 비압축된 형태와, 복수의 바늘을 근위 방향에서 피어싱 각도로 배치하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의 제2 거리에 해당하는 압축된 형태 사이에서 전이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거리는 상기 제2 거리보다 크다.
하나의 양태로서, 안내 부재에 대한 샤프트 부재의 상대 길이방향 운동은 바늘 전개 부재를 비압축된 형태와 압축된 형태 사이에서 전이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편향가능한 윙은 복수의 바늘 중 하나를 지지하도록 구성된 슬롯을 가질 수 있다. 덧붙여, 바늘 전개 부재는 복수의 바늘 각각의 비피어싱 단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부 밴드, 및 압축된 형태로 있을 때 복수의 바늘을 피어싱 각도에 배치하도록 구성된 상부 밴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세장형 전개 부재는 또한 안내 부재 위에 동축으로 배치된 외피(sheath) 부재를 가질 수 있어서, 상기 외피 부재는, 상기 외피 부재가 안내 부재 위에서 원위측으로 전진될 때 피어싱 각도로 배치된 복수의 바늘의 근위부 위에서 연장할 수 있다. 추가로, 세장형 전개 부재는 또한 안내 부재와 외피 부재 사이에 동축으로 배치된 포획 부재를 포함할 수 있어서, 상기 포획 부재는, 상기 포획 부재가 안내 부재 위에서 원위측으로 전진될 때 피어싱 각도로 배치된 복수의 바늘을 포획한다.
필요에 따라,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는, 안내 부재와, 외피 부재, 포획 부재 및 샤프트 부재 각각의 사이에 상대 길이방향 운동을 제공하는 하우징을 세장형 전개 부재의 근위 단부에 가질 수 있다. 하우징은 안내 부재에 대하여 원위측으로 외피 부재를 이동시키며 동시에 안내 부재에 대하여 근위측으로 샤프트 부재를 이동시키도록 선택적으로 해제될 수 있는 재현가능한 양의 장력을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직 다른 양태로서,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는 세장형 전달 부재의 원위 단부에 고정된 봉합사 카테터(catheter)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봉합사 카테터는 복수의 바늘을 통해 바느질될(threaded) 수 있는 봉합사 재료를 운반한다. 추가로, 봉합사 카테터는 일방향으로 회전을 허용하는 힌지에 의하여 세장형 전달(delivery) 부재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봉합사를 경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적절한 방법은, 샤프트 부재 위에 동축으로 배치된 안내 부재를 갖는 세장형 전개 부재와, 상기 세장형 전개 부재의 원위 단부에 부착되는 바늘 전개 부재, 상기 바늘 전개 부재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바늘 전개 부재는, 복수의 바늘 각각의 비피어싱 단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부 밴드, 및 하부 밴드가 트리거 기구에 의해 작동될 때 복수의 바늘을 피어싱 각도에 배치하도록 구성된 상부 밴드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 기구는 바늘 푸셔와 디바이스의 핸들 부분 내의 트리거를 연결하는 바늘 푸셔 링커를 포함하여서, 트리거 기구의 트리거링은 세장형 전개 부재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바늘 캐처 또는 바늘 리시버를 향해 바늘들을 바늘 푸셔가 밀도록 한다. 바늘 푸셔 링커는 바늘 푸셔와 바늘 캐처/리시버 사이에서 하나의 이상의 링킹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바늘 전개 부재는 바늘 푸셔, 적어도 하나의 바늘, 바늘 푸셔 링커, 상부 밴드 및 하부 밴드를 포함한다. 바늘 푸셔는 하부 밴드에 대해 상대적으로 원위 단부가 될 수 있다. 바늘 푸셔 및 바늘 푸셔 링커는 바늘 전개 부재의 원위 단부에 수용되어 있다.
바늘 전개 부재는 또한 복수의 편향가능한 윙 및 바늘 전개 부재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 복수의 바늘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늘 전개 부재의 근위 단부는 안내 부재에 고정되고, 바늘 전개 부재의 원위 단부는 샤프트 부재에 고정되며, 세장형 전개 부재를 환자 내의 필요한 위치에 경피적으로 전진시키는 단계, 및 복수의 바늘을 샤프트 부재와 길이방향으로 정렬하는 비압축된 상태로부터, 편향가능한 윙을 연장시켜 복수의 바늘을 근위 방향에서 피어싱 각도로 배치하는 압축된 형태로 전이하기 위해 안내 부재에 대하여 근위측으로 샤프트를 후퇴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세장형 전개 부재는 또한 안내 부재 위에서 동축으로 배치된 외피 부재를 가져서, 피어싱 각도로 배치된 복수의 바늘의 근위부 위에서 연장하도록 안내 부재 위에서 근위측으로 외피 부재를 전진시키면, 복수의 바늘이 연장된 편향가능한 윙과 외피의 원위 단부 사이에 개재된 조직을 피어싱할 수 있게 된다. 외피 부재를 안내 부재 너머로 원위측으로 전진시키는 것과, 샤프트 부재를 안내 부재 내에서 근위측으로 후퇴시키는 것은 동시에 실시될 수 있다. 추가로, 외피 부재를 원위측으로 전진시키는 것과, 샤프트 부재를 근위측으로 후퇴시키는 것은 재현가능한 힘의 양을 자동적으로 적용함으로써 실시될 수 있다.
다른 양태로서, 세장형 전개 부재는 또한 안내 부재와 외피 부재 사이에 동축으로 배치된 포획 부재를 가져서, 포획 부재는 피어싱 각도로 배치된 복수의 바늘을 포획하도록 안내 부재 위에서 원위측으로 전진될 수 있다. 덧붙여, 바늘들은 외피의 원위 단부와 포획 부재의 원위 단부와의 마찰에 의해 포획될 수 있다.
아직 다른 양태로서, 샤프트 부재는 바늘 전개 부재를 비압축된 형태로 전이하기 위해, 복수의 바늘이 포획된 후에 안내 부재에 대하여 원위측으로 전진될 수 있다. 추가로, 외피 부재 및 포획 부재는 복수의 바늘이 포획된 후에 안내 부재에 대하여 근위측으로 후퇴될 수 있다.
추가로, 봉합사 재료는 세장형 전달 부재의 원위 단부에 고정된 봉합사 카테터 내에서 운반될 수 있으며, 봉합사 재료는 복수의 바늘 각각을 통해 바느질된다. 추가로, 외피 부재 및 포획 부재를 후퇴시키면 조직을 통해 봉합사 재료를 끌어당길 수 있다.
추가의 특징들 및 장점들은, 유사한 참고부호들이 일반적으로 도면들 전체를 통해 동일한 부분들 또는 요소들을 지칭하고 있는 첨부된 도면들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한 아래의 더욱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의 상세도.
도 3은 도 1의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의 다른 상세도.
도 4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바늘 전개 부재가 비압축된 형태로 있는 도면.
도 5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바늘 전개 부재가 압축된 형태로 있는 도면.
도 6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바늘 전개 부재의 압축된 형태에 의하여 피어싱 각도에 배치된 바늘들 너머로 연장하는 외피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하우징 및 핸들 형태가 초기 상태로 있는 도면.
도 8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바늘 전개 부재의 형태가 초기 상태로 있는 개략적인 도면.
도 9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스프링 챠징(charging) 도중의 하우징 및 핸들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바늘 전개 부재의 형태가 예비-압축된 상태로 있는 개략적인 도면.
도 11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스프링 챠징 후의 하우징 및 핸들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바늘 전개 부재를 충분히 압축하여 외피를 전진시키기 위해 트리거링 해제 후 하우징 및 핸들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트리거링 해제 후 바늘 전개 부재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캐처를 전진시킨 후 하우징 및 핸들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캐처를 전진시킨 후 바늘 전개 부재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핸들이 해제된 후 하우징 및 핸들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바늘 전개 부재가 비압축된 형태로 복귀된 후 하우징 및 핸들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비압축된 형태로 복귀된 후 바늘 전개 부재의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세장형 전달 부재와 봉합사 카테터 사이의 연결의 세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봉합사 카테터의 부분 단면도.
도 21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대안의 외피 및 캐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2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다른 대안의 외피 및 캐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3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대안의 캐처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24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봉합사 록킹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5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대안의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바늘 푸싱(pusing)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
도 27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벌룬(balloon) 팽창형 원위 영역을 갖는 대안의 카테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8은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바늘 팁 및 베이스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
도 29는 편향가능한 윙들이 없는 바늘 전개 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0은 편향가능한 윙들이 없는 바늘 전개 부재의 대안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1은 바늘들이 발사된 후 도 30에 도시된 바늘 전개 부재를 도시하는 도면.
서두에서, 본 발명은 특별하게 예증된 재료, 아키텍추어(architectures), 루틴(routines), 방법 또는 구조물들로 제한하지 않으며 변화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다수의 이러한 선택사양, 여기에 설명된 것들과 유사물 또는 동등물이 이 개시물의 실시 또는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지만, 양호한 재료 및 방법이 여기에 설명되어 있다.
또한, 본원에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만의 특졀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이며 제한할 의도는 없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아래에 기재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의 설명으로서 의도되어 있으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예시적 실시예를 대표할 의도는 없다. 본 설명을 통해 사용된 용어 "예시적"은 "실시예, 사례, 또는 삽화로서 사용됨"을 의미하며, 반드시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비하여 양호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상세한 설명은 명세서의 예시적 실시예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정한 세부들을 포함한다. 당업자는, 명세서의 예시적 실시예가 이러한 특정한 세부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일부 상황에서, 공지된 구조물 및 디바이스가 여기에 제시된 예시적 실시예의 신규성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블록 선도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다만 편리함 및 명료함을 위해서, 상단, 하단, 좌측, 우측, 상, 하, 위, 아래, 후방, 전방과 같은 방향성 용어들이 첨부 도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향성 용어들 및 유사한 용어들은 어쨋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다른 방식으로 규정하지 않는 한, 여기에 사용된 모든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해있는 당업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예를 들어, 용어 "봉합(suturing)"은 천자, 개구 또는 다른 상처를 폐쇄하기 위해 가요성 재료와 함께 2개의 표면 또는 가장자리를 끌어당기는 것을 포함하며, 봉합사는 합성 또는 천연 재료, 즉 폴리머, 거트(gut), 금속성 와이어 또는 다른 적절한 동등물이다.
끝으로, 이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범위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형은 내용이 명확하게 다른 것을 지칭하지 않는 한 복수의 대상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중재 시술 후에 지혈을 도모하기 위해 봉합사들을 경피적으로 적용하는 디바이스는 대체로 봉합사들의 전달 도중에 조직을 안정화하기 위한 축소된 삽입 프로파일(profile) 및 확장된 프로파일을 전개하는 원위의 재구성가능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디바이스의 근위 영역과 확장된 프로파일 영역 사이의 상대 운동은 조직이 상기 영역들 사이에 고정될 수 있게 하며, 상기 디바이스에 의하여 운반되는 바늘-전개된 봉합사들을 위한 타겟을 제공할 수 있다. 아래의 설명으로부터 알게 되는 바와 같이, 원위 영역과 근위 영역 사이의 상대 운동은 근위 영역을 향한 원위 영역의 운동, 원위 영역을 향한 근위 영역의 운동, 또는 이들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는, 원위 영역의 전개, 근위 영역의 전개, 원위 영역과 근위 영역 사이의 조직 고정, 봉합사들을 배치하기 위한 바늘들의 발사, 및 고정된 조직을 통과한 후 바늘들의 포획을 포함하는, 봉합사들의 배치에 관련된 조화된 및/또는 자동적인 작동 단계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5 및 도 19는 바늘 전개 부재(100)가 복수의 편향가능한 윙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여기에 추가로 설명되고, 도 29 내지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전개 부재(110)는 바늘 푸셔(159), 복수의 바늘(154), 바늘 푸셔 링커(161), 상부 밴드(160) 및 하부 밴드(158)에 추가하여 복수의 편향가능한 윙을 가질 필요는 없다. 이 실시예에서, 바늘 전개 부재는 복수의 바늘(154) 각각의 비피어싱 단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하부 밴드(158), 및 바늘 푸셔(159)가 바늘 푸셔 링커(161)에 연결된 트리거 기구에 의해 작동될 때 복수의 바늘을 피어싱 각도에 배치하도록 구성된 상부 밴드(160)를 포함할 수 있다. 트리거 기구는 바늘 푸셔(159)와 디바이스의 핸들 부분(도 29 내지 31에는 도시되지 않음) 내의 트리거 사이에 바늘 푸셔 링커(161)를 포함하여서, 트리거 기구의 트리거링이 바늘들(154)을 세장형 전달 부재(104)의 원위 단부에 배치된 바늘 캐처 또는 바늘 리시버(도시되지 않음)를 향해 바늘 푸셔(159)가 밀도록 한다. 바늘 푸셔 링커(161)는 바늘 푸셔(159)와 디바이스의 핸들 부분 내의 트리거 사이에서 하나의 이상의 링킹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바늘 전개 부재(110)는 바늘 푸셔(159), 적어도 하나의 바늘, 바늘 푸셔 링커(161), 상부 밴드(160) 및 하부 밴드(158)를 포함한다. 바늘 푸셔(159)는 하부 밴드(158)에 대해 상대적으로 원위 단부가 될 수 있다. 바늘 푸셔(159) 및 바늘 푸셔 링커(161)는 바늘 전개 부재(110)의 원위 단부에 수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바늘 푸셔(159) 및 바늘 푸셔 링커(161)는 바늘 전개 부재(110)의 원위 단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부 밴드(160)와 하부 밴드(158) 사이의 거리는 변화되거나 또는 작동 중에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된다. 다시 말하면, 바늘들에 의한 조직의 피어싱은 바늘 푸셔 링커(161)에 의하여 디바이스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바늘 푸셔(159)에 의해 구동된다. 바늘 피어싱 중에, 상부 밴드(160)와 하부 밴드(158)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거나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바늘 푸셔(159)는 하부 밴드(158)로부터 분리되어 하부 밴드(158)에 대해 원위측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늘 푸셔(159) 및 바늘 푸셔 링커(161)는 샤프트(134)의 원위 단부에 있을 수 있으며, 상부 밴드(160)와 하부 밴드(158) 사이의 거리는 변화되거나 또는 작동 중에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된다. 다시 말하면, 바늘들(154)에 의한 조직의 피어싱은 바늘 푸셔 링커(161)에 의하여 디바이스의 근위 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바늘 푸셔(159)에 의해 구동된다. 바늘 피어싱 중에, 상부 밴드(160)와 하부 밴드(158) 사이의 거리는 일정하거나 또는 감소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바늘 푸셔(159)는 하부 밴드(158)로부터 분리되어 하부 밴드(158)에 대해 원위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바늘 푸셔(159)는 사용되는 바늘들(154)의 길이에 의존하여 하부 밴드(158)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 29 및 도 30을 참조하기 바란다. 당업자는 하부 밴드(158)가 바늘 푸셔(159)로서도 작용하지 않는 실시예에서 바늘 푸셔(159)와 하부 밴드(158) 사이의 거리를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요약하면, 실시예에서 바늘 전개 부재는 하부 밴드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복수의 바늘 각각의 비피어싱 단부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바늘 푸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늘 푸셔는 하부 밴드와 동일한 구조로 될 수 있다. 복수의 바늘이 바늘 푸셔 내에 유지되는 실시예에서, 하부 밴드는 바늘들이 제거되거나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바늘을 위한 가이드로서 작용한다. 바늘들이 상승될 때, 바늘들은 하부 밴드 아래로 연장하며 상부 밴드 위로 이동하여 바늘들을 일정 각도로 돌출시킨다. 바늘의 상승 각도는 상부 밴드와 하부 밴드 사이의 초기 거리를 설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바늘의 상승 각도는 상부 밴드의 지름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개시의 양태는 이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의 맥락에서 기재될 것이다.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100)는 하우징(102), 세장형 전달 부재(104) 및 봉합사 재료를 운반하기 위한 원위 봉합사 카테터(106)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봉합사 카테터(106)는 대략 90°까지 일방향으로 회전을 제공할 수 있는 힌지(108)를 통해 전달 부재(104)의 원위 단부에 결합된다. 바늘 전개 부재(110)는 봉합사 카테터(106)에 대해 근위측에서, 전달 부재(104)의 원위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102)은 핀(118)을 통해 액추에이터(116)를 구동할 뿐만 아니라 스프링(120)을 장전하기 위해 축(114)에서 선회되는 핸들(112)을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120)은 양단부에서 핀(122)에 의해 핸들(112)에 연결되고, 축(126)에서 선회되는 레버(124)에 연결된다. 아래에 기재되어 있듯이, 핸들(112)과 액추에이터(116)와 레버(124) 사이의 연동(interoperation)은 바늘 전개 부재(110)를 사용하여 봉합사 운반용 바늘들을 연속적으로 전개하고 피어싱하고 포획하도록 협동한다.
전달 부재(104)에 관한 추가의 세부는 도 2의 부분 상세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달 부재(104)는 관형 카테터(130) 위에 동축으로 배치된 외측 관형 외피(128)를 포함하고, 다음에 관형 카테터는 샤프트(134) 위에 동축으로 배치된 관형 가이드(132) 위에 동축으로 배치된다. 샤프트(134)는 원위 포트(138) 및 근위 포트(140)를 갖는 블리드 백 루멘(bleed back lumen)(13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에 알려진 바와 같이, 동맥 내에서 전달 부재(104)의 위치 및 이에 대응하는 바늘 전개 부재(110)는 원위 포트(138)에서 들어가는 맥동 혈류에 의하여 지시될 수 있으며, 루멘(136)을 통해 인도되고, 이것이 근위 포트(140)에 있을 때 보여질 수 있다. 외피 연장부(140)는 핀(142)에 의하여 레버(124)에 결합되고, 카테터 연장부(144)는 핸들(112)의 위치에 의존하여 액추에이터(116)와 결합되고, 샤프트 연장부(146)는 핀(148)에 의해 레버(124)에 결합된다.
도 1로 돌아가서, 핸들(112) 상의 핀(150)은 샤프트 연장부(146)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외피(128), 캐처(130) 및 샤프트(134)는 핸들(112) 및 레버(124)의 운동에 의존하여 서로에 대해, 그리고 하우징(102)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ㅎ한편, 가이드(132)는 하우징(102)에 대하여 움직이지 않게 유지된다.
전달 부재(104)의 원위 단부의 더 상세한 도면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바늘 전개 부재(110)는 근위 단부에서 가이드(132)에 결합되고 원위 단부에서 샤프트(134)에 결합된다. 샤프트(134)와 가이드(132) 사이의 상대 운동은 축방향으로 바늘 전개 부재(110)를 압축하며, 윙들(152)을 외향으로 편향시키며, 샤프트(134)로부터 멀리 연장시키는 한편, 바늘들(154)은 개구 주위의 혈관 벽의 조직을 피어싱하도록 구성된 각도로 배치된다. 적절한 각도는 샤프트(134)에 대하여 대략 14 내지 20°의 범위에 있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는 대략 16.3°가 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은 바늘들(154)을 필요한 피어싱 각도로 배치하며, 이어서 외피(128)와 캐처(130)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바늘들(154)을 포획하기 위해 바늘 전개 부재(110)의 압축을 나타내는 시퀀스(sequence)를 도시한다.
도 4에서 시작하여, 바늘 전개 부재(110)는 샤프트(134)의 원위 단부와 가이드(130)의 원위 단부 사이에서 최대 거리를 나타내는 비압축된 형태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바늘들(154)은 편향가능한 윙들(152)에 형성된 슬롯들(156) 내에서 축방향으로 유지되며, 그들의 베이스에서 바늘 전개 부재(110)의 하부 밴드(158)에 의해 해제가능하게 고정된다. 하나의 양태에서, 유지력의 필요한 양이 하부 밴드(158)와의 마찰에 의하여 바늘들(154)에게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부 밴드(158)는 바늘들(154)의 충분한 표면적과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유지(retention)를 제공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또는 추가로, 이러한 힘에 의하여 하부 밴드(158)가 바늘들(154)과 결합한다. 따라서, 바늘들(154)의 유지는 바늘들(154)과 하부 밴드(158) 및/또는 슬롯들(156) 사이의 상호작용의 어떠한 필요한 조합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다음에, 도 5는 가이드(130)에 대하여 샤프트(134)를 길이방향으로 후퇴시킴으로써 달성되는 압축된 형태로 있는 바늘 전개 부재(110)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윙들(152)은 외향으로 편향하는 한편, 슬롯(156)의 근위 단부에서의 상부 밴드(160)가 바늘들(154)과 결합하여 바늘들을 그들의 피어싱 각도로 상승시킨다. 또한 필요한 피어싱 각도는 상부 밴드(160)와 바늘들의 상호작용을 제어하기 위해 바늘들(154)의 형태를 조정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밴드(160)와 하부 밴드(158) 사이의 상대 운동은 바늘들(154)을 적절한 피어싱 각도로 배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인식할 수 있듯이, 상부 밴드(160)와 하부 밴드(158) 사이의 상대 운동은 하부 밴드(158)를 상부 밴드(160)를 향해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또는 상부 밴드(160)를 하부 밴드(158)를 향하여 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또는 양쪽 모두를 실시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밴드(160) 및 하부 밴드(158)는 바늘 전개 부재(110)의 요소들로서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다른 확장하는 원위 영역 디자인을 채용하는 실시예에서는, 상부 밴드(160) 및 하부 밴드(158)가 바늘들(154)을 필요한 피어싱 각도로 배치하기 위해 근위 제어(proximal control)를 받게 되는 독립 요소들로서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윙들(152)의 변형 지역들은 기능성 구조 지점에 만들어질 수 있다. 스트레인은 6 내지 8%의 범위에 있을 수 있는 소성 변형 영역보다 작게 놓이도록 슬롯(156)의 두께 및 곡률에 의하여 관리될 수 있다. 하부 밴드(158)는 슬롯들(156) 내에 바늘들(154)을 보유한다. 바늘들(154)이 유지되는 정도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 밴드(158)의 높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피어싱 각도는 바늘 전개 부재(110)가 압축될 때 하부 밴드(158)와 상부 밴드(160) 사이의 거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다음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128)는 바늘들(154)의 근위측 예리한 단부들 위로 전진되어, 외향으로 편향된 윙들(152)에 대해 혈관 벽의 조직을 개재시킬 수 있다. 인식할 수 있듯이, 바늘들(154)은 필요한 각도로 자동적으로 전개되며, 윙들(152)과 외피(128) 사이의 상호작용이 혈관 벽의 조직을 피어싱하기 위한 재현가능한 조건을 제공한다. 바늘들(154)은 외피(128)의 내부면과 캐처(130)의 외부면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포획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외피(128)는 바늘들(154)과의 결합을 증가시키며 외피(128)와 캐처(130)에 의해 제공된 포획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된 환형 리브(162)로 구성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바이스들은 중재 시술 중에 생성된 개구들을 폐쇄하며 개구들의 수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셀징거(Seldinger) 기술은 고동맥(femoral artery)에 접근하기 위한 공지된 시술이며,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100)는 이 동맥에 생성된 개구를 폐쇄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디바이스들은, 맥관 접근 부위의 다양한 크기들을 폐쇄하고 5F 내지 24F 범위의 외피들을 사용하여 카테터 삽입 시술을 겪고 있는 환자의 지혈 시간 및 보행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해 봉합사의 경피 전달에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더 일반적으로는, 본 발명은 연성 조직 및 기관의 절개부 또는 오리피스의 폐쇄를 포함하는 어떠한 임상 절차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100) 또는 적절하게 적응된 실시예는, 위장관 천공, 천공성 궤양과 같은 외과 수술 또는 중재 시술에서 연성 조직 개구 또는 균열의 폐쇄, 최소 침입 또는 자연 구멍 경관 내시경 수술(natural orifice transluminal endoscopic surgery)과 관련된 투관침 절개의 폐쇄, 환자 난원공(PFO)의 폐쇄, 척추 환상 수선(spinal annular repair), 및 경피 봉합으로부터 유익을 얻을 수 있는 다른 시술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세부는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100)를 사용하는 예시적 방법의 맥락에서 인식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는 도 7 내지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핸들 위치 및 바늘 전개 부재 형태의 대응하는 시퀀스들로 나타나 있다.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100)의 초기 상태 및 핸들(112)의 위치는 도 7에 도시되어 있고, 바늘 전개 부재(110)의 대응하는 형태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핸들(112)은 그립(grip)(132)으로부터 멀리 연장하는 가장 우측 위치에서 시작한다. 이러한 형태에서, 외피 연장부(140) 및 캐처 연장부(144)는 그들 각자의 이동 범위의 근위측 가장자리에 위치하여서, 이에 대응하여 외피(128) 및 캐처(130)는 가이드(130)에 대하여 그들의 가장 근위측 위치에 있게 된다. 샤프트 연장부(146)는 가이드(132)에 대하여 그것의 가장 원위측 위치에 샤프트(134)를 배치하며 그 이동 범위의 원위측 가장자리에 있다. 그 결과, 바늘 전개 부재(110)는 도 8에서 도시된 비압축 상태로 있다. 명확성을 위해,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100)의 봉합사 카테터(106)는 도면들의 순서로 도시되어 있지 않다. 전달 부재(104)의 원위 단부는 조직 벽(166)의 개구를 통해 환자 맥관 구조 내의 위치로 전진되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원위 포트(138)는 블리드 백 루멘(136)에 유체 소통을 제공하며, 환자 동맥 내에서 바늘 전개 부재(110)의 적절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맥동 혈류의 가시화를 가능하게 한다. 가이드(130)에 대한 원위 위치에서의 샤프트(134)의 위치는 바늘 전개 부재(110)의 하부 밴드(158)와 상부 밴드(160) 사이의 가장 큰 상대 거리에 해당한다. 바늘들(154)은 삽입을 위해 샤프트(134)에 닿게 배치된다.
다음에 도 9는 핸들(112)이 그립(164)을 향해 당겨질 때의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100)를 도시하고 있다. 스프링(120)의 연장이 스프링을 장전하지만, 액추에이터(116)는 아직 캐처 연장부(144)에 결합되지 않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샤프트 연장부(146)상의 정지부(168)가 해제 버튼(170)과 결합하여, 원위 방향으로 샤프트(134)의 상대 운동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레버(124)는 핀(148)을 통해 샤프트 연장부(146)에 연결되어 있어서, 레버(124)의 운동이 또한 억제된다. 필요하면, 정지부(168)는 해제 버튼(170)과 결합하기 전에 샤프트(134)의 약간의 원위 이동량을 허용하여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전개 부재(110)의 예비-압축을 초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132)에 대하여 샤프트(134)에 허용된 원위 이동량은 하부 밴드(158)와 상부 밴드(160) 사이의 거리의 상대적인 감소를 초래한다. 이에 따라서, 윙들(152)이 샤프트(134)로부터 외향으로 편향되기 시작하고, 바늘들(154)이 그들의 삽입 프로파일로부터 피어싱 각도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예비-압축된 형태는 증가된 지름이 조직 벽의 개구로부터의 후퇴에 저항할 때 루멘 내에서 바늘 전개 부재(110)의 위치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핸들(112)은 다음에 도 11에 도시된 완전한 코크된(cocked) 형태를 달성하기 위해 그립(164)을 향해 당겨질 수 있다. 폴(pawl)(172)이 이러한 위치에서 디텐트(detent)(174)와 결합하여, 사용자에게 장력의 재현가능한 양이 스프링(120)에 적용되어 저장되었음을 나타내는 촉감 피드백을 제공한다. 폴(172)의 형태는 시술을 완료하기 전에 그립(164)으로부터 멀어지는 핸들(112)의 운동에 저항한다. 정지부(168)가 해제 버튼(170)과 결합하기 때문에, 샤프트(134), 외피(128) 또는 캐처(130)의 추가의 상대 운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서, 예비-압축 이후에는 바늘 전개 부재(110)의 형태에 어떠한 변화도 일어나지 않는다.
바늘 전개 부재(110)의 완전한 압축 및 이와 동시에 발생하는 조직 벽(166)의 피어싱은 해제 버튼(170)을 트리거하여 도 12에 도시된 형태를 초래함으로써 재현가능한 자동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제 버튼(170)을 트리거하면 정지부(168)와 해제되고 스프링(120)에 저장된 장력이 레버(124)가 회전하도록 허용하며, 동시에 가이드(132)에 대하여 각각 원위 방향으로 외피(128)를 구동하면서 근위 방향으로 샤프트(134)를 후퇴시킨다. 핸들(112)이 폴(172) 및 리세스(174)의 상호작용을 통해 스프링(120)을 장전할 때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버튼(170)이 트리거될 때 샤프트(134) 및 외피(128)를 구동하기 위해 해제되며 사용되는 힘의 양은 조직 벽(166)을 통해 바늘들(154)의 필요한 피어싱 작용을 제공하도록 미리 정해지며 주문에 맞추어질 수 있다. 이제 액추에이터(166)가 캐처 연장부(144)와 접촉하여도, 액추에이터는 아직 가이드(132)에 대하여 캐처(130)의 상대 운동을 초래하지 않는다. 또한, 하우징(102)상의 돌출부(175)는, 스프링(120)이 원위측으로 외피 연장부(140)를 구동할지라도 캐처(130)를 그 근위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캐처 연장부(144)의 운동에 저항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134)의 가장 먼 근위 위치로의 운동은 바늘 전개 부재(110)를 완전히 압축시키고, 바늘들(154)을 필요한 피어싱 각도로 위치설정하면서 윙들(153)을 외향으로 편향시켰다. 유사하게, 외피(128)의 가장 먼 원위 위치로의 운동은 조직 벽(166)을 윙들(152)에 개재하고, 바늘이 외피(128)의 루멘 내로 삽입되기 전에 바늘들(54)이 조직 벽(166)을 피어싱하도록 초래한다.
바늘들(54)이 조직 벽(166)을 피어싱한 후, 핸들(112)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164)에 대해 완전한 이동 범위까지 끌려갈 수 있다. 핸들(112)의 이러한 위치로의 이동은 액추에이터(116)를 캐처 연장부(144)로 구동하며, 이에 의해 캐처(130)가 가이드(132)에 대하여 원위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핸들(112)의 이러한 위치는 정지부(176)가 폴(172)을 핸들(112)을 향해 편향하도록 하고, 폴이 훅(178)에 의하여 편향된 위치로 유지될 수 있다. 훅(178)의 결합은 사용자에게, 핸들(112)이 그 완전한 이동 범위를 이동하였으며 이에 따라 캐처(130)가 연장하여 바늘들(54)을 포획하였다는 것을 나타내는 청각적 및 촉각적 지시를 제공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처(130)는 원위측으로 연장하였을 때 외피(128)에서 바늘들(54)을 포획한다. 캐처(130)는 외피(128)와의 상호작용에서 충분한 마찰을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그 원위 위치로 연장하였을 때 바늘들(54)을 포획하고, 하부 밴드(158)의 어떠한 저항을 극복하여 바늘들(54)이 바늘 전개 부재(110)로부터 해제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바늘(54)이 포획되지 않으면 바늘은 하부 밴드(158)에 의해 유지되며, 이어서 제거를 위해 샤프트(134)에 대항하는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핸들이 그 행정의 끝에 도달하면, 핸들(112)은 해제되어 스프링(120)의 장력에 의하여 도 16에 도시된 형태로 복귀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이때에는 외피(128), 캐처(130) 또는 샤프트(134)의 어떠한 중대한 이동도 발생하지 않을 것이다. 돌출부(175)는 캐처 연장부(144)에 대항하는 저항을 제공하며, 캐처(130) 및 외피(128)를 원위 위치에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폴(172)이 훅(178)에 의하여 그 편향된 위치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폴이 디텐트(174)와 결합하지 않으며 사용자에게 핸들(112)을 도 17에 도시된 위치와 일치하도록 이동시킴으로써 후퇴 순서를 완료하도록 허용하고 바늘 전개 부재(110)의 압축을 해제한다. 예를 들어, 그립(164)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로 핸들(112)이 이동하면 샤프트 연장부(146)가 샤프트(134)를 가이드(132)에 대하여 가장 먼 원위 위치로 구동하게 된다. 동시에, 샤프트 연장부(146)가 레버(124)를 회전시켜 외피 연장부(140) 및 외피(128)를 후퇴시킨다. 외피 연장부(140)와 캐처 연장부(144)와의 상호작용이 캐처(130)가 동조하는 방식으로 후퇴하도록 만든다. 그 결과, 바늘 전개 부재(110)가 자신의 비압축 형태로 복귀되며, 윙들(152)은 샤프트(134)로 끌려간다. 바늘들(54)이 외피(128)와 캐처(130) 사이에 포획되기 때문에, 바늘들은 바늘 전개 부재(110)의 하부 밴드(158)로부터 해제되고 동시에 후퇴되며 봉합사 재료(180)를 조직 벽(166)을 통해 잡아당긴다.
봉합사 카테터(106)와 전개 부재(104) 사이의 연결에 대한 더 상세한 사항은 도 19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108)는 전개 부재(104)의 원윈 단부를 봉합사 카테터(106)에 연결시킬 수 있다. 필요한 대로, 힌지(108)는 대략 90°까지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은 경피 조직 및 혈관 벽을 통과하여 횡단할 때 봉합사 카테터(106)의 미는 능력(pushability)을 증가시키기 위해 정지부 또는 다른 형태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일방향으로의 회전은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100)를 혈관 경로의 정중면(sagittal plane)과 정렬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동시에 대략 45°내지 90°범위에서 삽입 각도를 조정하도록 허용한다. 힌지(108)는 배치 도중에, 그리고 시술을 실시하는 동안 조직에 대한 손상의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라운딩(rounding) 처리될 수 있다. 봉합사 재료(180)는 봉합사 카테터(106)로부터 하나 이상의 포트(182)를 통해 연장하며 바늘들(54)을 통해 바느질될 수 있다. 봉합사 카테터(106)는 또한 해당 분야에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여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100)를 위치설정할 때 가이드 와이어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도록 급속 전환 포트(quick exchange port)와 같은 가이드 와이어 포트(184)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봉합사 카테터(106)는 환자의 혈관에 용이하게 접근하기 위해 다른 적절한 디자인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합사 카테터(106)는 주축에 대해 우선적으로 굽힘을 허용하기 위해 오벌라이즈드(ovalized) 지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봉합사 카테터(106)를 형성하는데 사용된 재료는 주어진 응용예의 융통성의 필요한 양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봉합사 카테터(106)는 대략 45°또는 필요한 응용예에 기초하여 표시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각도를 갖는 미리 굽혀진(pre-bent) 형태를 제시할 수 있다. 아직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 이상의 힌지가 힌지(108)에 추가로 제공되어 봉합사 카테터(106)가 필요한 입체구조(conformation)를 받아들이도록 허용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로서, 더 작은 혈관 지름에 용이하게 접근하기 위해 봉합사 카테터(106)에 적절한 변경이 만들어질 수 있다.
봉합사 카테터(106)의 부분 횡단면이 도 20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봉합사 카테터(106)는 가이드 와이어 포트(184)와 소통하는 가이드 와이어 루멘(186), 및 봉합사 포트(182)들과 소통하는 2개의 봉합사 루멘(188)을 갖는다. 필요한 대로, 봉합사 재료(180)는 어떤 적절합 방법으로 봉합 루멘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봉합사 재료(180)는 봉합사 카트리지 내에서 운반될 수 있으며, 봉합사 카트리지는 다음에 봉합 루멘들(188) 내에 삽입되며, 봉합사 재료의 단부들이 봉합사 포트(182)에서 빠져나와 바늘(154)을 통해 바느질된다. 봉합사 카트리지는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100)의 삽입 중에 봉합사 재료(180)가 미리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봉합사 카테터(106) 내에 저장되었을 때 기계적 또는 화학적으로 봉합사 장력을 적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봉합사 카트리지는 운반되는 봉합사 재료의 길이 변화를 허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루멘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 루멘 카트리지는 카트리지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갖는 봉합사를 운반할 수 있다. 다수의 루멘이 채용될 때에는, 운반되는 봉합사 재료의 길이는 루멘들의 수의 배수가 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을 사용하여,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100)의 양태는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처 및 외피의 다른 디자인이 도 21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외피(228) 및 캐처(230)는 각각 환형 리브를 가지며, 리브들(232, 234)은 제각기 캐처(230)가 원위측으로 연장하였을 때 바늘들(54)의 포획 및 유지를 용이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캐처(230)와 외피(228) 사이의 부족한 유지를 더욱 강화하기 위해 리브들(232, 234)을 사용하는 대신에, 재료 장벽이 실시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처(330)는 환형 리브(332)를 가질 수 있으며, 외피(228)는 상대적으로 직선형의 프로파일을 나타낼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아직 다른 실시예에서, 캐처(430)는 바늘들(54)을 포획하기 위해 바늘 수용 슬롯들(432)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해할 수 있듯이, 하나의 슬롯이 각각의 바늘을 위해 구성될 수 있으며, 바늘을 슬롯 내로 안내하기 위해 램프(ramps) 또는 경사면과 같은 입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슬롯들(432)은 바늘들(154)의 포획을 개선하기 위해 테이퍼질 수 있다.
바늘들은 전개되어 조직을 관통하며 다음에 바늘 리시버/캐처로 들어간다. 바늘들은 마찰에 의해 바늘 캐처/리시버 내에 유지될 수 있다. 마찰은 다양한 디자인, 구성부품 및 재료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바늘 캐처/리시버는 바늘 발사 중에 정지되어 있거나 또는 바늘 전개 부재를 향해 원위측으로 이동하거나 또는 핸들을 향해 근위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외피는 근위 단부를 향해 길이방향으로 디바이스를 따라 바늘 이동을 안내하는데 (또는 바늘 이동 경계를 한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바늘의 마찰 포획은 외피와 캐처 사이의 가변 공간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외피와 캐처 사이의 공간은 바늘 도입시에 더 넓어지고 바늘 포획시에 더 좁아질 수 있다. 대안으로서, 외피와 캐처 사이의 공간은 바늘 입구를 위해 더 넓어지고 바늘 포획을 위해 더 좁아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늘은 바늘 캐처/리시버 또는 외피의 재료와의 상호작용의 마찰 때문에 포획될 수 있는 한편, 외피와 바늘 캐처/리시버 사이의 공간은 길이방향으로 변하지 않는다.
바늘들은 바늘 캐처/리시버에서 소극적으로 또는 능동적으로 포획될 수 있다. 소극적 실시예에서, 구성부품의 이동이 없거나 또는, 외피 또는 캐처/리시버에 의하여 하나의 구성부품 이동이 있다. 외피와 캐처/리시버 사이의 가변 공간은 고정된 변화도(gradient)가 될 수 있다. 덧붙여, 외피와 캐처 사이의 공간은 원위 단부에서 더 넓고 근위 단부에서 더 좁을 수 있다. 그러므로, 하나의 실시예에서, 외피 및 캐처/리시버는 정지된 채로 남아 있으며, 바늘들은 외피 및 캐처/리시버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들어간다. 다시 말하면, 바늘들은 원위측으로 이동하고, 외피와 바늘 캐처/리시버 사이의 좁아지는 공간에 의해 유지된다. 소극적 방법의 다른 실시예에서, 외피는 바늘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한정하도록 원위측으로 이동한다. 바늘들이 외피 및 캐처/리시버에 의해 한정된 공간으로 들어가고, 외피 내벽에 의해 경계지며/안내된다. 바늘들은 근위측으로 이동하고 외피와 바늘 캐처/리시버 사이의 좁아지는 공간에 의해 유지된다. 외피가 근위측으로 후퇴하는 한편, 캐처/리시버가 정지된 채로 남아있다.
능동적 실시예에서, 외피와 캐처/리시버 사이의 공간은 동적 변화도가 될 수 있다. 외피와 리시버 사이의 상대 운동은 근위측으로 바늘 운동 중에 변화하여 외피와 바늘 캐처/리시버 사이의 공유공간(inter-space)의 좁아짐을 생성하여 바늘들을 포획 및 유지할 수 있다. 외피 및 캐처/리시버는 서로에 대해 이동하여 공유공간으로의 바늘 도입을 위해 더 넓은 공간을 생성할 수 있다. 외피 및 리시버는 공유공간을 감소시켜 바늘들을 포획하도록 서로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외피와 캐처/리시버 사이의 공간은 외피가 바늘들을 수용하도록 원위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개방되어 있다. 외피와 캐처/리시버 사이의 공간은 캐처/리시버가 원위측으로 이동하는 동안 외피를 근위측으로 후퇴시킴으로써, 또는 캐처/리시버가 정지해 있는 동안 외피를 근위측으로 후퇴시킴으로써 감소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피는 연성 조직에 배치된다. 외피와 캐처/리시버 사이의 공간은 캐처/리시버를 원위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바늘들을 수용하도록 감소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외피와 캐처/리시버 사이의 가변 공간은 바늘들의 포획 및 유지를 더욱 확고하게 강화하기 위해 기계식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외피는 바늘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원위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에 바늘들은 외피와 캐처/리시버에 의해 형성된 공간으로 들어간다. 바늘들은 원위측으로 이동하고 외피와 캐처/리시버 사이의 좁아지는 공간에 의해 유지된다. 바늘들의 유지는 바늘들과 결합하기 위해 기계적 압축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끝으로, 외피는 캐처/리시버가 정지해 있는 동안 근위측으로 후퇴된다. 당업자는 여기에 설명된 것 외에 바늘 포획 및 유지를 보장하는 방법을 실현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100)는 루멘 또는 다른 조직 내에 형성된 개구들을 폐쇄하기 위해 채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100)를 채용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적 루틴(routine)은 셀징거 기술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환자의 맥관구조에 접근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바와 같이, 셀징거 바늘은 넓적다리의 적절한 위치에 있는 환자의 고동맥 내로 도입될 수 있다. 가이드 와이어는 동맥 내의 위치에 놓이도록 셀징거 바늘을 통해 전진될 수 있으며, 그 후 셀징거 바늘이 제거된다. 도입기 외피(introducer sheath) 내에 동축으로 배치된 확장기는, 상기 확장기의 원위 단부가 동맥 내에 배치될 때까지 가이드 와이어 너머로 전진될 수 있다. 확장기의 제거 후,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100)는 봉합사 카테터(106)를 가이드 와이어의 근위 단부 너머로 바느질하는 것과 같이 가이드 와이어를 너머 전진되며, 다음에 포트(184)를 통해 빠져나갈 수 있다. 봉합사 카테터(106)가 동맥으로 들어가면, 가이드 와이어가 제거될 수 있다.
다음에 전달 부재(104)의 원위 단부는 맥동 혈액이 블리드 백 루멘(136)의 근위 단부로부터 배출되는 것이 관찰될 때까지 전진되며, 이는 바늘 전개 부재(110)가 혈관 내에 위치되었으며 따라서 바늘들(154)이 전체적으로 고동맥 내에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100)는 다음에 혈관 정중면을 따라 45°에서 90°로 회전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음에 봉합사 배치 순서를 실시하기 위해 도 7 내지 도 18과 관련하여 위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112)을 조작할 수 있다. 설명한 대로, 바늘 전개 부재(110)는, 외피(128)가 전진하여 바늘들(154)이 조직 벽(166)을 피어싱하는 동안 압축된다. 캐처(130)와 외피(128) 사이에 바늘들(154)이 포획된 후, 봉합사 재료(180)가 바늘 전개 부재(110)가 압축해제될 때 끌려가게 된다. 봉합사 배치 순서의 성공적인 완료는, 블리드 백 루멘(136)으로부터 맥동 혈류가 중단되는 것에 의해 나타난다.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100)는 다음에 혈관 정중면을 따라 90°에서 45°로 회전되어 후퇴되며, 조직 벽(166)을 통해 전개된 봉합사 재료(180)를 남기게 된다.
봉합사 재료(180)의 전개 후, 어떠한 적절한 경피 시술이 개구를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시술이 완료되면, 봉합사 재료(180)가 개구 주위의 조직 근처에 묶여지거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 봉합사 재료는 미끄럼 매듭(sliding knots) 또는 다른 적절한 기술을 사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기술에 알려진 바와 같이, 접착제 또는 인터록킹(interlocking) 디바이스가 봉합사 재료(180)의 단부들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는 세장형 전달 부재(도시되지 않음)의 단부에 구비될 수 있는 봉합사 록킹 디바이스(190)를 도시하고 있다. 봉합사 록킹 디바이스(190)는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는 상부 디스크(192) 및 하부 디스크(194)를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부 디스크(192) 및 하부 디스크(194)는 전달 중에 정렬되는 슬롯들(164)을 가질 수 있다. 봉합사 재료(180)는 슬롯들(196)을 통해 공급될 수 있으며, 봉합사 록킹 디바이스(190)는 봉합사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해 필요한 위치까지 전진될 수 있다. 이어서 서로에 대한 상부 디스크(192) 및 하부 디스크(194)의 회전이 마찰에 의해 봉합사 재료(180)를 고정한다.
실시예들은 관형 외피(128)와 캐처(130)와 가이드(132)와 샤프트(134) 사이의 상대 운동을 생성하며, 바늘 전개 부재(110)를 확장하며, 바늘 전개 부재(110)와 외피(128) 사이에 조직을 개재하며, 조직을 바늘들(154)로 피어싱하며, 이어서 바늘들을 포획하기 위해 핸들(112)의 자동적이고 조화를 이룬 작동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100)의 맥락에서 위에서 설명되었다. 인식할 수 있듯이, 이러한 작동들 또는 이러한 작동들의 조합들 중 어떤 것도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 실시예가 도 25에서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500)로서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502)은, 삽입을 위한 축소된 프로파일과 봉합사 전달을 위해 조직을 안정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확장된 프로파일 사이에 입체구조 변화를 생성하기 위해 원위 영역(506)에서 상대 운동을 생성하도록 활주하는 근위 액추에이터(504)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508)은 후퇴되어 핸들(502)(도시되지 않음) 내부에 스프링들을 장전하며, 원위 영역(506)과 근위 영역(510) 사이에 상대 운동을 제공하여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은 이러한 요소들 사이에서 조직과 결합될 수 있게 한다. 버튼(512)이 하우징(502)에 의해 저장된 스프링 장력을 해제하여 조직을 피어싱하며 봉합사들을 배치한다. 다음에, 도 26은 바늘 푸싱 요소(514)의 세부를 도시하며, 바늘 푸싱 요소는 버튼(512)의 해제시에 근위측으로 구동되어 봉합사들(516, 518)을 배치할 수 있다. 바늘들(520)의 포획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어떠한 적절한 기술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대체로, 본 발명의 양태들을 채용하는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는, 상기 디바이스의 근위 영역과 확장된 프로파일 영역 사이에 조직을 고정시키도록 허용하는, 근위 영역과 확장된 프로파일 영역 사이에 상대 운동을 생성하기 위해, 그리고 디바이스에 의해 운반되는 바늘-전개된 봉합사를 위한 타겟을 제공하기 위해 적절한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원위 영역과 근위 영역 사이의 이러한 상대 운동은 근위 영역을 향한 원위 영역의 이동, 원위 영역을 향한 근위 영역의 이동, 또는 양쪽 이동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원위 영역의 하나 이상의 전개, 근위 영역의 전개를 포함하는 봉합사들의 배치, 원위 영역과 근위 영역 사이에 조직을 고정시키는 것, 봉합사들을 배치하기 위해 바늘들을 발사하는 것, 고정된 조직을 통과한 후 바늘들의 포획, 후퇴 전에 전개된 영역들의 철회, 및 디바이스의 후퇴를 포함하는 양태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다른 것들과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일반적으로 바늘 전개 부재(110)에 의해 형성된 확장 원위 영역의 맥락에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인식할 수 있듯이, 삽입을 위한 축소된 프로파일로부터 봉합사 배치를 위해 조직을 안정시키기 위한 확장된 프로파일로 구조적 변화를 경험할 수 있는 어떠한 적절한 구조물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계식 푸트(foot) 또는 베이스가 필요한 대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팽창성 벌룬(balloon)이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용될 수 있다. 카테터(600)는 상술한 바늘 착동 및 포획 요소들과 통합될 수 있으며, 그리고 벌룬(602)의 형태로 원위 확장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벌룬(602)의 확장된 프로파일은 환영으로 도시되어 있고, 적절한 팽창 유체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카테터(600)는 팽창 유체를 위한 소통을 제공하기 위해 다중 루멘 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블리드 백 루멘은 환자의 혈과 내에서 벌룬(602)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원위 포트(604)와 소통할 수 있다. 카테터(600)는 도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비외상성(atraumatic) 원위 팁(606)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바늘 및 봉합사 디자인을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는 원피스 바늘 디자인의 맥락에 있었다. 대안으로서, 봉합사를 운반하는 탈착가능한 바늘 팁이 채용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디자인은 봉합사(704)를 운반하는 탈착가능한 팁(702)을 갖는 바늘 베이스(700)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팁(702)은 전개 및 전달 중에 팁과 봉합사를 고정하기 위해 포스트(706) 위에 끼워맞추어지도록 구성된 리세스를 가질 수 있다. 이어서, 바늘 베이스(706)는 하부 밴드(158)와 같은 것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는 한편, 팁(702)은 외피(128)와 캐처(130) 사이의 마찰에 의해 포획되어 있다. 포스트(706)는 팁(702)을 필요한 회전 배향으로 유지하기 위해 리브들(708)과 같은 것을 구비하는 비대칭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늘 팁은 바늘 베이스의 매칭 리셉터클(matching receptacle)에 의해 수용되는 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봉합사를 구비한 팁(702) 및 바늘 베이스(700)가 바늘 피어싱의 끝에 외피와 캐처/리시버 사이의 공간 내로 들어갈 때, 바늘 베이스(700)는, 봉합사를 구비한 팁(702)이 외피 및 캐처/리시버에 의해 생성된 공간 내에 유지되어 있는 동안, 디바이스의 원위 팁으로 후퇴될 수 있다.
본원에는 특정한 예시적 실시예들이 설명되어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관련되어 있는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가 다른 응용예에 대해 적절한 변경과 함께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10)

  1. 조직을 경피적으로 봉합하기 위한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로서,
    샤프트 부재 위에 동축으로 배치된 안내 부재를 갖는 세장형 전개 부재;
    상기 세장형 전개 부재의 원위 단부에 지지되는 바늘 전개 부재로서, 상기 바늘 전개 부재는 근위 단부 및 원위 단부를 갖는, 상기 바늘 전개 부재;
    상기 바늘 전개 부재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된 복수의 바늘들로서, 각각의 바늘은 상기 바늘 전개 부재의 원위 단부 내에서 동축으로 전송되는, 상기 복수의 바늘들; 및
    상기 복수의 바늘들의 각각의 비피어싱(non-piercing) 단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바늘 푸셔(pusher)로서, 상기 바늘 푸셔는 상기 샤프트 부재 내에 동축으로 배치된 링크에 의하여 구동되며, 상기 바늘 푸셔는 상기 바늘 전개 부재의 원위 단부를 통해 근위측으로 그리고 상기 바늘 전개 부재의 근위 단부에 걸쳐 동축으로 각각의 바늘을 전진시키도록 구성되어서, 상기 복수의 바늘들이 봉합되는 조직과 결합하기 이전에 근위 방향으로 피어싱 각도를 취하도록 하는, 상기 바늘 푸셔를 포함하는,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전개 부재는 하부 밴드와 상부 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밴드는 상기 바늘 전개 부재의 근위 단부에 있는 상기 상부 밴드의 위치로부터 이격된 상기 바늘 전개 부재의 원위 단부에 배치되는,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늘들이 상기 디바이스의 작동 동안 상기 바늘 푸셔에 의해 전진되기 전에, 상기 바늘 푸셔는 상기 하부 밴드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하부 밴드에 대해 원위에 배치되는,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밴드와 상기 상부 밴드 간의 거리는 상기 복수의 바늘들이 상기 디바이스의 작동 동안 상기 바늘 푸셔에 의해 전진될 때 일정하게 유지되는,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밴드는 상기 복수의 바늘들의 각각의 비피어싱 단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부 밴드는 상기 하부 밴드가 트리거 기구에 의해 작동될 때, 복수의 바늘들을 원하는 피어싱 각도에 배치하도록 구성되는,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전개 부재의 원위 단부에 고정된 봉합사 카테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봉합사 카테터는 상기 복수의 바늘들을 통해 바느질 될 (threaded) 수 있는 봉합사 재료를 운반하도록 구성되는,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카테터는 일방향으로 회전을 허용하는 힌지에 의하여 세장형 전달 부재에 고정되는,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전개 부재는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는 상기 핸들 내 위치된 트리거 기구에 의해 작동되는,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푸셔는 상기 하부 밴드에 대해 원위에 위치되는,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늘들이 상기 디바이스의 작동 동안 상기 샤프트 부재의 원위 단부에 고정된 상기 바늘 푸셔에 의해 전진될 때, 상기 하부 밴드 및 상기 상부 밴드 사이의 거리는 감소되는, 봉합사 전달 디바이스.
KR1020217002545A 2013-02-22 2014-02-21 경피 봉합사 전달용 시스템 KR1023462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361768344P 2013-02-22 2013-02-22
US61/768,344 2013-02-22
US201361781973P 2013-03-14 2013-03-14
US61/781,973 2013-03-14
US201361824267P 2013-05-16 2013-05-16
US61/824,267 2013-05-16
US201361843724P 2013-07-08 2013-07-08
US61/843,724 2013-07-08
US201361874057P 2013-09-05 2013-09-05
US61/874,057 2013-09-05
US14/186,246 US9668724B2 (en) 2013-02-22 2014-02-21 Systems and methods for percutaneous suture delivery
US14/186,246 2014-02-21
PCT/US2014/017813 WO2014130882A1 (en) 2013-02-22 2014-02-21 Systems for percutaneous suture delivery
KR1020157025914A KR102210580B1 (ko) 2013-02-22 2014-02-21 경피 봉합사 전달용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914A Division KR102210580B1 (ko) 2013-02-22 2014-02-21 경피 봉합사 전달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3650A KR20210013650A (ko) 2021-02-04
KR102346230B1 true KR102346230B1 (ko) 2022-01-04

Family

ID=502773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914A KR102210580B1 (ko) 2013-02-22 2014-02-21 경피 봉합사 전달용 시스템
KR1020217002545A KR102346230B1 (ko) 2013-02-22 2014-02-21 경피 봉합사 전달용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5914A KR102210580B1 (ko) 2013-02-22 2014-02-21 경피 봉합사 전달용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9668724B2 (ko)
JP (3) JP6370814B2 (ko)
KR (2) KR102210580B1 (ko)
CN (1) CN105358073B (ko)
AU (1) AU2014218733B2 (ko)
CA (1) CA2902048C (ko)
IL (1) IL240696B (ko)
MX (2) MX370357B (ko)
WO (1) WO20141308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59494B (zh) * 2014-06-02 2019-04-12 益安生医股份有限公司 用于缝线递送的系统和方法
US11076849B2 (en) * 2015-06-01 2021-08-03 Terumo Medical Corporation Suture delivery with asynchronous needle capture
CA3132330C (en) * 2019-01-31 2023-09-05 Terumo Medical Corporation Suture delivery with asynchronous needle capture
CN114096201A (zh) * 2019-07-16 2022-02-25 奥林巴斯株式会社 内窥镜用处置器具及其使用方法
US20220183674A1 (en) * 2020-12-11 2022-06-16 NeuroFine Corp. Vessel closure devices and metho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2721A1 (en) * 2010-03-09 2011-09-15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Endoscopic closure device
US20120296347A1 (en) * 2011-05-19 2012-11-22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suturing tissu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40704A (en) * 1992-09-04 1996-07-30 Laurus Medical Corporation Endoscopic suture system
US6036699A (en) * 1992-12-10 2000-03-14 Perclose, Inc. Device and method for suturing tissue
US5417699A (en) * 1992-12-10 1995-05-23 Perclose Incorporated Device and method for the percutaneous suturing of a vascular puncture site
US5964773A (en) * 1995-02-15 1999-10-12 Automated Medical Products, Inc. Laparascopic suturing device and suture needles
US6280460B1 (en) * 1998-02-13 2001-08-28 Heartport,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erforming vascular anastomosis
US6136010A (en) * 1999-03-04 2000-10-24 Perclose, Inc. Articulating suturing device and method
WO2000059382A1 (en) * 1999-04-01 2000-10-12 Bjerken David B Vacuum-assisted remote suture placement system
ATE369178T1 (de) * 1999-09-20 2007-08-15 Ev3 Endovascular Inc Vorrichtung zur schliessung eines körperlumens
US6626930B1 (en) * 1999-10-21 2003-09-30 Edwards Lifesciences Corporation Minimally invasive mitral valve repair method and apparatus
US6896685B1 (en) * 2003-01-29 2005-05-24 James A. Davenport Suture device
EP1765182A4 (en) 2004-05-21 2013-04-03 Neatstitch Ltd SUTURE DEVICE
AU2008289259B2 (en) * 2007-08-17 2013-04-04 Cook Medical Technologies Llc Device to open and close a bodily wall
EP2370002B1 (en) * 2008-11-25 2018-07-25 Endoevolution, Llc Apparatus for minimally invasive suturing
US9332981B2 (en) * 2011-05-19 2016-05-10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Closure devices and methods
WO2012170597A1 (en) * 2011-06-07 2012-12-13 St. Jude Medical Puerto Rico Llc Large bore closure device and methods
WO2013101730A2 (en) * 2011-12-27 2013-07-04 Coopersurgical, Inc. Suture passer guides and related kits and methods
US8702730B2 (en) * 2012-01-11 2014-04-22 Edgar Louis Shriver Intravascular suturing device for simultaneously placing 3-7 sutures with ideal spacing to close large openings in vessels including calfifie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12721A1 (en) * 2010-03-09 2011-09-15 University Of Louisville Research Foundation, Inc. Endoscopic closure device
US20120296347A1 (en) * 2011-05-19 2012-11-22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Devices and methods for suturing tiss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73683A1 (en) 2017-09-28
US20140249552A1 (en) 2014-09-04
CA2902048C (en) 2020-04-28
JP6914894B2 (ja) 2021-08-04
WO2014130882A1 (en) 2014-08-28
CN105358073A (zh) 2016-02-24
AU2014218733A1 (en) 2015-09-10
IL240696A0 (en) 2015-10-29
JP6370814B2 (ja) 2018-08-08
MX370357B (es) 2019-12-10
JP2020014928A (ja) 2020-01-30
AU2014218733B2 (en) 2017-07-20
KR20210013650A (ko) 2021-02-04
KR20150125676A (ko) 2015-11-09
MX2019014792A (es) 2020-02-10
CA2902048A1 (en) 2014-08-28
KR102210580B1 (ko) 2021-02-03
JP2016507337A (ja) 2016-03-10
JP2018175883A (ja) 2018-11-15
JP6938594B2 (ja) 2021-09-22
MX2015010851A (es) 2016-05-09
IL240696B (en) 2020-05-31
US9668724B2 (en) 2017-06-06
CN105358073B (zh) 2018-01-09
US10624628B2 (en) 2020-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13229A1 (en) Device for applying a knot to a suture
JP6938594B2 (ja) 経皮的縫合糸送達のためのシステム
TWI662943B (zh) 用於縫線遞送之系統及方法
US20120071901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delivering sutures in tissue
JP2010506665A (ja) 内部縫合具のレッグ懸垂装置
JP2019122790A (ja) 組織閉鎖装置及び方法
EP3210544B1 (en) Systems for percutaneous suture deliv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