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6016B1 - 프라이버시 보호필름 - Google Patents

프라이버시 보호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6016B1
KR102346016B1 KR1020200073436A KR20200073436A KR102346016B1 KR 102346016 B1 KR102346016 B1 KR 102346016B1 KR 1020200073436 A KR1020200073436 A KR 1020200073436A KR 20200073436 A KR20200073436 A KR 20200073436A KR 102346016 B1 KR102346016 B1 KR 1023460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film layer
transparent film
transparent window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3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5928A (ko
Inventor
안병학
Original Assignee
안병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병학 filed Critical 안병학
Priority to KR1020200073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6016B1/ko
Publication of KR20210155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5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60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60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Abstract

제1 투명 필름층, 및 상기 제1 투명 필름층의 제1면 및 제2면 상에 또는 상기 제1 투명 필름층의 제1면 및 제2면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고, 불투명 물질이 줄 무늬 또는 격자 무늬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차단층을 포함하는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은 프라이버시 보호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다.

Description

프라이버시 보호필름{Privacy Protecting Film}
본 발명은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한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에 관한 것이다.
현금 자동지급기는 디스플레이 상의 이미지를 사용자가 볼 수 있게 하는 한편, 옆에서 다른 사람이 볼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시야각이 제한된 프라이버시 보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일부 개인 컴퓨터의 모니터에도 동일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라이버시 보호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복잡한 기술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은 휴대폰, 노트북 등의 화면에 장착되어 사용자를 제외한 타인은 화면을 볼 수 없도록 화면의 시야각을 제한하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은 다양하게 제안되어 왔다. 그 예들은 특허공개 제10-2008-0050483호(2008. 06. 05. 공개), 특허공개 제10-2008-0058370호(2008. 06. 25. 공개), 특허공개 제10-2011-0029934호(2011. 03. 23. 공개), 특허등록 제10-1245178호(2013. 03. 13. 등록), 특허공개 제10-2015-0121533호(2015. 10. 29. 공개), 특허공개 제10-2016-0056144호(2016. 05. 19. 공개), 특허등록 제10-1757027호(2017. 07. 05. 등록)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은 그 구조가 복잡하거나 제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한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은 제1 투명 필름층, 및 상기 제1 투명 필름층의 제1면 및 제2면 상에 또는 상기 제1 투명 필름층의 제1면 및 제2면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고, 불투명 물질이 줄 무늬 또는 격자 무늬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차단층을 포함한다.
상기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은 상기 제1 투명 필름층의 상기 제2면과 접합하는 제2 투명 필름층을 더 포함하고, 제3 차단층이 상기 제1 투명 필름층의 상기 제2면과 접합하는 상기 제2 투명 필름층의 제1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2 투명 필름층의 제2면 상에 또는 상기 제2 투명 필름층의 상기 제2면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 차단층은 불투명 물질이 줄 무늬 또는 격자 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은 상기 제2 투명 필름층의 상기 제2면과 접합하는 제3 투명 필름층을 더 포함하고, 제4 차단층이 상기 제2 투명 필름층의 상기 제2면과 접합하는 상기 제3 투명 필름층의 제1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3 투명 필름층의 제2면 상에 또는 상기 제3 투명 필름층의 상기 제2면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4 차단층은 불투명 물질이 줄 무늬 또는 격자 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명 필름층의 두께는 10 ~ 5000 ㎛의 범위이고, 상기 차단층은 상기 투명 필름층의 표면에 인쇄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고, 그것의 두께는 3 ~ 5 ㎛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투명 필름층의 두께는 10 ~ 5000 ㎛의 범위이고, 상기 차단층은 상기 투명 필름층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게 식각 인쇄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고, 그것의 두께는 0.1 ~ 30 ㎛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차단층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 사이에 형성되는 투명영역의 폭과 상기 투명 필름층의 총 두께 간의 비율에 의하여 상기 투명영역을 통하여 보여지는 시야각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투명영역의 폭과 상기 차단층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 폭 간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프라이버시 보호필름 아래에 놓여진 영상이 상기 시야각에서 벗어나는 영역에서 상기 투명영역을 통하여 보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단층에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의 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은 프라이버시 보호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에 대한 측면도 내지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이 하나의 투명 필름층과 2개의 차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투명창의 폭과 투명 필름층 두께 간의 비율 및 투명창의 폭과 차단층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 폭 간의 비율에 의하여 시야각을 조절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이 두개의 투명 필름층과 3개의 차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투명창의 폭과 총 투명 필름층 두께 간의 비율 및 투명창의 폭과 차단층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 폭 간의 비율에 의하여 시야각을 조절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이 세개의 투명 필름층과 4개의 차단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투명창의 폭과 총 투명 필름층 두께 간의 비율 및 투명창의 폭과 차단층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 폭 간의 비율에 의하여 시야각을 조절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은 최소한 하나의 투명 필름층(100) 및 제1 및 제2 차단층(210 및 220)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차단층(210 및 22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필름층(100)의 제1면 및 제2면 상에 형성되거나 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필름층(100)의 제1면 및 제2면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된다. 제1 및 제2 차단층(210 및 220)은 불투명 물질이 줄 무늬(도 1(a)) 또는 격자 무늬(도 1(b))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제1 및 제2 차단층(210 및 220)의 줄 무늬 또는 격자 무늬 사이에는 차단층이 형성되지 않아 투명 필름층(100)에 의하여 투명영역, 즉 투명창(300)이 형성된다. 이때, 제1 및 제2 차단층(210 및 220)의 줄 무늬 또는 격자 무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서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필름층(100)의 두께는 10 ~ 5000 ㎛의 범위일 수 있다. 투명 필름층(100)의 두께는 장착하고자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류, 크기, 장착하는 방식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으며, 또한 아래에서 설명하는 기능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차단층(210 및 220)은 투명 필름층(100)의 표면에 인쇄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제1 및 제2 차단층(210 및 220)의 두께는 3 ~ 5 ㎛의 범위일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차단층(210 및 220)은 투명 필름층(100)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게 식각 인쇄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그러한 경우 제1 및 제2 차단층(210 및 220)의 두께는 0.1 ~ 30 ㎛의 범위일 수 있고, 특히 0.1 ~ 5 ㎛의 범위일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20 ~ 30 ㎛의 범위일 수 있다. 식각 인쇄는 먼저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 홈을 식각하여 형성한 후 그러한 홈에 흑색 잉크를 채워넣음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장착하거나 부착하기 편리하도록 보호필름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별도의 투명 지지체층을 제1 및 제2 차단층(210 및 22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은 차단층들(210 및 220)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 사이에 형성되는 투명창(300)의 폭과 투명 필름층(100)의 두께 간의 비율에 의하여 투명창을 통하여 보여지는 시야각을 조절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은 투명창(300)의 폭과 차단층들(210 및 220)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 폭 간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프라이버시 보호필름 아래에 놓여진 영상이 정해진 시야각을 벗어나는 영역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이 하나의 투명 필름층(100)과 2개의 차단층(210 및 220)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투명창(300)의 폭과 투명 필름층(100) 두께 간의 비율 및 투명창(300)의 폭과 차단층(210 및 220)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 폭 간의 비율에 의하여 시야각이 조절되는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투명창(300)의 상대적인 폭은 1이고, 차단층(210 및 220)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에 대한 상대적인 폭은 1이며, 투명 필름층(100)의 상대적인 두께는 2이다. 예를 들어, 투명창(300)의 폭과 차단층(210 및 220)의 폭은 50㎛이고, 투명 필름층(100)의 두께는 100㎛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은 수직한 방향을 중심으로 대략 26.56도 만큼의 시야각을 형성한다. 즉 총 시야각은 53.12도가 된다. 이때, 시야각은 차단층(210 및 220)의 두께를 투명 필름층(100)의 두께에 비하여 매우 작은 것으로 평가하여 무시하고 산술적으로 계산하여 얻은 것이다. 차단층(210 및 220)의 두께를 고려한다면, 시야각은 미약하게나마 작아질 것이다.
시야각이 53.12도라는 것은 투명 필름층(100) 아래에 놓인 영상, 즉 제2 차단층(220) 아래에 놓인 영상이 수직한 방향에서 소정 각도 이내에서만 보이고, 그러한 시야각을 벗어나면, 즉 측면에서 보면 그러한 영상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3의 보호필름에 대하여 시야각을 넓히고자 한다면 투명창(300)의 폭에 비하여 투명 필름층(100)의 두께를 줄여야 하고, 반대로 시야각을 좁히고자 한다면 투명창(300)의 폭에 비하여 투명 필름층(100)의 두께를 늘여야 한다.
한편, 도 3의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에 의하면, 0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수직하게 볼 때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보일 뿐만 아니라 0차 투명창(300)에 인접한 1차 투명창(300), 1차 투명창(300)에 인접한 2차 투명창(300) 그리고 2차 투명창(300)에 인접한 3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비스듬하게 볼 때에도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보인다. 따라서, 도 3에 도시한 보호필름은 상기한 시야각, 즉 53.12도의 시야각에서만 영상이 보이게 하지 못한다. 이에, 도 3에 도시된 보호필름은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족한 측면이 있다.
다음으로, 도 4를 참조하면, 투명창(300)의 상대적인 폭은 1이고, 차단층(210 및 220)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에 대한 상대적인 폭은 2이며, 투명 필름층(100)의 상대적인 두께는 2이다. 예를 들어, 투명창(300)의 폭은 50㎛이고, 투명 필름층(100)의 두께와 차단층(210 및 220)의 폭은 100㎛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은 수직한 방향을 중심으로 대략 26.56도 만큼의 시야각, 53.12도의 총 시야각을 가진다는 것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한편, 도 4의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에 의하면, 0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수직하게 볼 때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보일 뿐만 아니라 0차 투명창(300)에 인접한 1차 투명창(300), 그리고 1차 투명창(300)에 인접한 2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비스듬하게 볼 때에도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보인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보호필름은 상기한 시야각, 즉 53.12도의 시야각에서만 영상이 보이게 하지 못한다는 측면에서 도 3의 것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도 4에서 2차 투명창(300)에 인접한 3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보이는 각도는 대략 12.53도를 이룬다. 영상(20)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이 150도로 제한된다면, 3차 투명창(300)과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이루는 각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을 벗어나는 것이므로 도 4의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에 의하면, 0차, 1차 및 2차 투명창(300)에 의한 시야각을 통해서만 영상(20)이 보이게 된다. 이것은 투명창(300) 폭에 대하여 차단층(210 및 220) 폭이 커질수록 고차 투명창(300), 즉 3차 투명창(300)의 시야각이 차단됨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투명창(300)의 상대적인 폭은 1이고, 차단층(210 및 220)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에 대한 상대적인 폭은 4이며, 투명 필름층(100)의 상대적인 두께는 2이다. 예를 들어, 투명창(300)의 폭은 50㎛이고, 투명 필름층(100)의 두께는 100㎛이며, 차단층(210 및 220)의 폭은 200㎛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은 수직한 방향을 중심으로 대략 26.56도 만큼의 시야각, 53.12도의 총 시야각을 가진다는 것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한편, 도 5의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에 의하면, 0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수직하게 볼 때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보일 뿐만 아니라 0차 투명창(300)에 인접한 1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비스듬하게 볼 때에도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보인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보호필름은 상기한 시야각, 즉 53.12도의 시야각에서만 영상이 보이게 하지 못한다는 측면에서 도 3 및 도 4의 것과 다르지 않다.
그러나, 도 5에서 1차 투명창(300)에 인접한 2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보이는 각도는 대략 11.31도를 이룬다. 영상(20)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이 150도로 제한된다면, 2차 투명창(300)과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이루는 각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을 벗어나는 것이므로 도 5의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에 의하면, 0차 및 1차 투명창(300)에 의한 시야각을 통해서만 영상(20)이 보이게 된다. 이에, 투명창(300) 폭에 대하여 차단층(210 및 220) 폭이 커질수록 고차 투명창(300), 즉 2차 투명창(300)의 시야각이 차단된다는 것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투명창(300)의 상대적인 폭은 1이고, 차단층(210 및 220)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에 대한 상대적인 폭은 6이며, 투명 필름층(100)의 상대적인 두께는 2이다. 예를 들어, 투명창(300)의 폭은 50㎛이고, 투명 필름층(100)의 두께는 100㎛이며, 차단층(210 및 220)의 폭은 300㎛일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이 차단층(210 및 220)의 큰 폭으로 인하여 영상(20)을 인식하는데 어려움을 준다면, 투명창(300)의 폭 및 투명 필름층(100)의 두께를 줄임으로써 차단층(210 및 220)의 폭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투명창(300)의 폭은 40㎛이고, 투명 필름층(100)의 두께는 80㎛이며, 차단층(210 및 220)의 폭은 24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은 수직한 방향을 중심으로 대략 26.56도 만큼의 시야각, 53.12도의 총 시야각을 가진다는 것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한편, 도 6의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에서, 0차 투명창(300)에 인접한 1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보이는 각도는 대략 15.95도를 이룬다. 이러한 각도는 148.1도의 시야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시야각의 경계를 이루게 된다. 즉, 시야각이 148도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서는 1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을 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영상(20)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이 150도로 제한된다고 할 때, 도 6의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에서, 1차 투명창(300)과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이루는 각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의 경계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1차 투명창(300)에 대한 시야각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차단층(210 및 220)의 두께를 무시하고 계산한 것인데, 차단층(210 및 220)의 두께를 무시하지 않는다면, 도 6의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은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이 1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보이는 것을 실질적으로 차단할 것이다. 차단층(210 및 220)의 두께는 비스듬한 각도의 시야각에 대해서는 그 수치가 작더라도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고려하면 상기 예상은 적절하다.
따라서, 도 6의 조건 또는 그 이상의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은 0차 투명창(300)에 의하여만 시야각을 형성하게 되므로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6 이상의 조건이라 함은 동일한 투명창(300) 폭:투명 필름층(100) 두께 비율일 때, 투명창(300) 폭에 대하여 차단층(210 및 220) 폭이 도 6보다 큰 조건을 말한다.
한편, 상기에서, 도 3 내지 도 5의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은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으로 사용될 수 없다고 언급하였으나, 그것은 단지 150도의 시야각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 수학적 각도로만 평가하였을 때 그렇다는 것일 뿐이고, 시야각이 그보다 좁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하여는 다르게 평가할 수 있고, 또한 비스듬한 각도에서는 비스듬하게 조사되고 반사되는 빛의 양이 부족하게 되므로 빛의 양 부족으로 인하여 보통의 시력을 가지는 사람이 실질적으로 영상을 인식할 수 없는 한계각은 상기에서 평가한 것보다 훨씬 좁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5의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도 실질적으로는 1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을 인식할 수 없게 하여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으로 사용될 여지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수학적 평가 내지 예측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제작된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에 대한 실질적 평가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다음으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이 두개의 투명 필름층(110 및 120), 즉 제1 투명 필름층(110) 및 제2 투명 필름층과 3개의 차단층(210, 220 및 230), 즉 제1 차단층(210), 제2 차단층(220) 및 제3 차단층(230)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투명창(300)의 폭과 총 투명 필름층 두께 간의 비율 및 투명창(300)의 폭과 차단층(210, 220 및 230)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 폭 간의 비율에 의하여 시야각을 조절하는 원리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투명창(300)의 상대적인 폭은 1이고, 차단층(210, 220 및 230)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에 대한 상대적인 폭은 1이며, 각 투명 필름층(110 및 120)의 상대적 두께는 1이고, 총 투명 필름층 두께는 2이다. 이때, 총 투명 필름층 두께는 투명 필름층들(110 및 120)의 두께를 합산한 것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계산 및 논의의 편의성을 위하여 차단층(210, 220 및 230)의 두께는 총 투명 필름층 두께에 비하여 매우 작으므로 특별한 언급이 없다면 무시하기로 한다.
이러한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은 수직한 방향을 중심으로 대략 26.56도 만큼의 시야각을 가져서 53.12도의 총 시야각을 가진다는 것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도 7의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에 의하면, 0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수직하게 볼 때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보인다. 한편,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은 1차 투명창(300)을 통해서는 볼 수 없다. 왜냐하면, 그러한 경로는 제2 차단층(220)에 의해 막혀있기 때문이다. 반면에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은 2차 투명창(300)을 통해서는 보인다. 또한, 동일한 이유로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은 3차 투명창(300)을 통해서는 보이지 않는 반면에 4차 투명창(300)을 통해서는 다시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도 7의 조건에 따른 차단층들(210, 220 및 230)의 기하학적 배열로부터 기인한다.
도 7에서, 4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보이는 각도는 대략 14.04도를 이룬다. 영상(20)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이 150도로 제한된다면,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과 4차 투명창(300)이 이루는 각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을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도 7의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에 의하면, 0차 및 2차 투명창(300)에 의한 시야각을 통해서만 영상(20)이 보이게 되고, 실질적으로 4차 투명창(300)을 통해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면, 투명창(300)의 상대적인 폭은 1이고, 차단층(210, 220 및 230)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에 대한 상대적인 폭은 3이며, 각 투명 필름층(110 및 120)의 상대적 두께는 1이고, 총 투명 필름층 두께는 2이다.
이러한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은 수직한 방향을 중심으로 대략 26.56도 만큼의 시야각, 즉 53.12도의 총 시야각을 가진다는 것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한편, 도 8의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에 의하면,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은 1차 및 3차 투명창(300)을 통해서는 볼 수 없다는 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도 8에서 2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보이는 각도는 14.04도를 이룬다. 영상(20)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이 150도로 제한된다면,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과 2차 투명창(300)이 이루는 각도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야각을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도 8의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에 의하면, 0차 투명창(300)에 의한 시야각을 통해서만 영상(20)이 보이게 되고, 실질적으로 2차 투명창(300)을 통해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이에, 도 8의 조건 또는 그 이상의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은 0차 투명창(300)에 의하여만 시야각을 형성하게 되므로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8 이상의 조건이라 함은 동일한 투명창(300) 폭:총 투명 필름층 두께 비율일 때, 투명창(300) 폭에 대하여 차단층(210, 220 및 230) 폭이 도 8보다 큰 조건을 말한다. 도 8에 의하면, 투명창(300) 폭에 대하여 차단층(210, 220 및 230) 폭이 커질수록 고차 투명창(300)의 시야각이 차단된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면, 투명창(300)의 상대적인 폭은 1이고, 각 투명 필름층(110 및 120)의 상대적 두께는 1이고, 총 투명 필름층 두께는 2이다. 한편, 차단층(210, 220 및 230)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에 대한 상대적인 폭은 일정하지 않다. 어떤 차단층(210, 220 및 230)의 줄무늬 폭은 1이고, 그것에 이웃하는 줄무늬 폭은 2이다. 즉, 차단층(210, 220 및 230)은 줄무늬 폭이 1인 것과 줄무늬 폭이 2인 것이 교호적으로 배치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은 수직한 방향을 중심으로 대략 26.56도 만큼의 시야각을 가져서 53.12도의 총 시야각을 가진다는 것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도 9의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에 의하면, 0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수직하게 볼 때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보인다. 한편,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은 1차 및 3차 투명창(300)을 통해서는 보이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러한 경로는 제2 차단층(220)에 의해 막혀있기 때문이다.
한편,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은 2차 투명창(300) 및 4차 투명창(300)을 통해서는 보일 수 있다. 2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보이는 구간은 2차 투명창(300)의 모든 구간이 아니다. 즉,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은 2차 투명창(300)의 극히 일부 구간을 통하여 보인다. 이러한 현상은 차단층(210, 220 및 230)의 이웃한 줄무늬 폭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기 때문에 나타난다. 이때, 2차 투명창(300)을 통한 시야 경로를 차단하는 제2 차단층(220)의 줄무늬 폭이 조금 더 길게 설정된다면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은 2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보이지 않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러한 예측은 도 10에 의하여 확인된다. 또한 차단층들(210, 220 및 230)의 두께를 고려한다면, 도 9의 보호필름에서도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2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보이는 것이 실질적으로 차단될 것이다.
한편, 이러한 현상은 4차 투명창(300)에 대해서도 그대로 나타난다. 다만,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4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보이는 각도는 매우 작기 때문에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은 실질적으로 4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보이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투명창(300)의 상대적인 폭은 1이고, 각 투명 필름층(110 및 120)의 상대적 두께는 1이고, 총 투명 필름층 두께는 2이다. 한편, 차단층(210, 220 및 230)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에 대한 상대적인 폭은 일정하지 않다. 어떤 차단층(210, 220 및 230)의 줄무늬 폭은 1이고, 그것에 이웃하는 줄무늬 폭은 3이다. 즉, 차단층(210, 220 및 230)의 줄무늬 폭은 교호적이다.
이러한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은 수직한 방향을 중심으로 대략 26.56도 만큼의 시야각을 가져서 53.12도의 총 시야각을 가진다는 것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도 10의 조건을 가지는 보호필름에 의하면, 0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수직하게 볼 때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보이고,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은 1차 및 3차 투명창(300)을 통해서는 보이지 않는다는 점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한편, 도 10의 보호필름에 대해서는,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은 2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보이지 않는다. 2차 투명창(300) 전 구간을 통하여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보일 수 있는 경로가 제2 차단층(220)에 의해 차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10에 의하면, 차단층(210, 220 및 230)에서 서로 이웃하는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의 폭을 서로 다르게 조정하면, 투명창(300) 폭에 대한 차단층(210, 220 및 230) 폭을 크게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0차 투명창(300)에 놓인 영상(20)이 0차 투명창(300)이 아닌 다른 투명창(300), 즉 2차 투명창(300)을 통하여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4에는 본 발명의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이 세개의 투명 필름층(110, 120 및 130), 즉 제1 투명 필름층(110), 제2 투명 필름층(120) 및 제3 투명 필름층(130)과 4개의 차단층(210, 220, 230 및 240), 즉 제1 차단층(210), 제2 차단층(220), 제3 차단층(230) 및 제4 차단층(240)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투명창(300)의 폭과 총 투명 필름층 두께 간의 비율 및 투명창(300)의 폭과 차단층(210, 220, 230 및 240)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 폭 간의 비율에 의하여 시야각을 조절하는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각각 도 7 내지 도 10에 대응된다. 따라서, 도 7 내지 도 1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여 도 11 내지 도 14를 이해할 수 있다. 이에, 여기에서 도 11 내지 도 1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은 투명창의 폭, 투명 필름층 또는 총 투명 필름층의 두께 및 차단층의 줄무늬 폭 간의 비율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프라이버시 보호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100,110,120,130: 투명 필름층 210,220,230,240: 차단층
300: 투명창

Claims (8)

  1. 제1 투명 필름층, 및 상기 제1 투명 필름층의 제1면 및 제2면 상에 또는 상기 제1 투명 필름층의 제1면 및 제2면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고, 불투명 물질이 줄 무늬 또는 격자 무늬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차단층을 포함하는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이고,
    상기 차단층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 사이에 형성되는 투명영역의 폭과 상기 투명 필름층의 두께 간의 비율에 의하여 상기 투명영역을 통하여 보여지는 시야각이 조절되고, 이때, 상기 투명 필름층의 두께는 상기 투명영역의 폭 이상으로 설정되며, 또한 상기 투명영역의 폭과 상기 차단층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 폭 간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프라이버시 보호필름 아래에 놓여진 영상이 상기 시야각에서 벗어나는 영역에서 상기 투명영역을 통하여 보여지는 것을 방지하며, 이때, 상기 차단층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 폭은 상기 투명영역의 폭 이상으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버시 보호필름.
  2. 제1 투명 필름층, 및 상기 제1 투명 필름층의 제1면 및 제2면 상에 또는 상기 제1 투명 필름층의 제1면 및 제2면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고, 불투명 물질이 줄 무늬 또는 격자 무늬로 형성되는 제1 및 제2 차단층을 포함하는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은 상기 제1 투명 필름층의 상기 제2면과 접합하는 제2 투명 필름층을 더 포함하고, 제3 차단층이 상기 제1 투명 필름층의 상기 제2면과 접합하는 상기 제2 투명 필름층의 제1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2 투명 필름층의 제2면 상에 또는 상기 제2 투명 필름층의 상기 제2면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 차단층은 불투명 물질이 줄 무늬 또는 격자 무늬로 형성되며,
    상기 차단층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 사이에 형성되는 투명영역의 폭과 상기 투명 필름층의 총 두께 간의 비율에 의하여 상기 투명영역을 통하여 보여지는 시야각이 조절되고, 또한 상기 투명영역의 폭과 상기 차단층의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 폭 간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프라이버시 보호필름 아래에 놓여진 영상이 상기 시야각에서 벗어나는 영역에서 상기 투명영역을 통하여 보여지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버시 보호필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버시 보호필름은 상기 제2 투명 필름층의 상기 제2면과 접합하는 제3 투명 필름층을 더 포함하고, 제4 차단층이 상기 제2 투명 필름층의 상기 제2면과 접합하는 상기 제3 투명 필름층의 제1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상기 제3 투명 필름층의 제2면 상에 또는 상기 제3 투명 필름층의 상기 제2면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4 차단층은 불투명 물질이 줄 무늬 또는 격자 무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버시 보호필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층의 두께는 10 ~ 5000 ㎛의 범위이고,
    상기 차단층은 상기 투명 필름층의 표면에 인쇄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고, 그것의 두께는 3 ~ 5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버시 보호필름.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필름층의 두께는 10 ~ 5000 ㎛의 범위이고,
    상기 차단층은 상기 투명 필름층의 표면으로부터 함몰되게 식각 인쇄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고, 그것의 두께는 0.1 ~ 30 ㎛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버시 보호필름.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층에서 서로 이웃하는 상기 줄무늬 또는 격자무늬의 폭은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버시 보호필름.
KR1020200073436A 2020-06-17 2020-06-17 프라이버시 보호필름 KR1023460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436A KR102346016B1 (ko) 2020-06-17 2020-06-17 프라이버시 보호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3436A KR102346016B1 (ko) 2020-06-17 2020-06-17 프라이버시 보호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928A KR20210155928A (ko) 2021-12-24
KR102346016B1 true KR102346016B1 (ko) 2021-12-30

Family

ID=7917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3436A KR102346016B1 (ko) 2020-06-17 2020-06-17 프라이버시 보호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601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591B1 (ko) 2007-01-02 2007-08-30 주식회사 엘지에스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703B1 (ko) * 2007-03-30 2009-04-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마이크로 패턴이 형성된 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제조된 필름
KR101207145B1 (ko) * 2008-11-27 2012-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디스플레이 장치용 시야각 제한 필름
KR20120019737A (ko) * 2010-08-26 2012-03-07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착색된 다층 반사 필름
KR102177264B1 (ko) * 2014-12-26 2020-11-11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사용자 위치 중심의 보안 필름
KR102584404B1 (ko) * 2016-10-11 2023-10-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보안필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3591B1 (ko) 2007-01-02 2007-08-30 주식회사 엘지에스 디스플레이 장치용 보안필름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5928A (ko) 2021-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28809A1 (en) Mobile Device Case
CN107255884B (zh) 一种异形显示面板与装置
US10838226B2 (en) Optical device and display unit
US8964009B2 (en) Parallax barrier for autostereoscopic display, autostereoscopic display, and method for designing parallax barrier for autostereoscopic display
CN110767674B (zh) 显示面板、显示屏及显示终端
US20150342034A1 (en) Conductive film,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same, and method for evaluating conductive film
US20140340746A1 (en) Display device
KR20180015748A (ko) 터치 패널용 도전 필름,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 부착 표시 장치
EP3474124B1 (en) Conductive film,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KR102346016B1 (ko) 프라이버시 보호필름
US20190204957A1 (en) Conductive film,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CN112130368A (zh) 显示面板和显示装置
WO2016174986A1 (ja) 導電性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5961958B2 (ja) マイクロルーバー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DE112008004062T5 (de) Objektlokalisierungssystem mit an Rahmen angebrachten Kameras
CN110767673A (zh) 显示面板、显示屏及显示终端
JP2016212517A (ja) 導電性フィルム、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2021167890A (ja) 画像表示装置
KR101786174B1 (ko) 얼비침 방지 필름
KR102584404B1 (ko) 보안필름
JP6304581B2 (ja) 死角補助装置
JP2017078841A (ja) ディスプレイ保護カバー及び電子装置
JPWO2019159758A1 (ja) 光学結像装置
CN111813184A (zh) 一种电子设备
JP7148903B2 (ja) 光学フィルム及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