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5935B1 - 전 생애 구강건강 관리시스템과 그 서비스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전 생애 구강건강 관리시스템과 그 서비스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5935B1
KR102345935B1 KR1020190087836A KR20190087836A KR102345935B1 KR 102345935 B1 KR102345935 B1 KR 102345935B1 KR 1020190087836 A KR1020190087836 A KR 1020190087836A KR 20190087836 A KR20190087836 A KR 20190087836A KR 102345935 B1 KR102345935 B1 KR 102345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patient
oral health
questionnair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7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0213A (ko
Inventor
장기환
김한수
이윤희
Original Assignee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87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5935B1/ko
Publication of KR20210010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0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5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5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건강 관리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애주기별 구강건강의 특성을 반영한 검진표를 통해 환자의 구강상태를 점수로 환산하여 환자가 미리 알 수 있도록 하여, 환자와 병원가맹점이 환자의 생애 전 주기에 걸쳐 구강건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전문가 케어와 홈케어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 생애주기에 따른 연령별 구강건강의 특성을 반영한 검진표를 통해 환자의 구강상태를 점수로 환산(일명 JOY score)하여 환자가 미리 알 수 있도록 하고, 병원은 상기 구강상태 점수를 통해 관리프로그램 적용이 가능한 환자의 전 생애 구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구강관리 통합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을 제공하고, 가족단위 및 기관단위로 구강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강관리 통합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전 생애 구강건강 관리시스템과 그 서비스제공방법 {A System for whole-life oral care management and its service method}
본 발명은 구강건강 관리시스템 및 그 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생애주기별 구강건강의 특성을 반영한 검진표를 통해 환자의 구강상태를 점수로 환산하여 환자가 미리 알 수 있도록 하여, 환자와 병원가맹점이 환자의 생애 전 주기에 걸쳐 구강건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전문가 케어와 홈케어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강(Oral cavity)은 소화관의 시작 지점으로서 음식을 담아 잘게 씹고 침과 섞는 역할을 하며, 맛을 느끼는 공간이며, 몸의 건강상태를 알 수 있는 바로미터이다. 구강환경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치아 관리로서, 생애 주기에 따라 구강환경이 매우 변하는 특성이 있다.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수록 구강 관리는 질환처럼 아플 때만 가는 것이 아니라, 예방접종을 하듯 전 생애에 걸쳐 시기별 적합한 관리를 받는 것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건강보험공단에서도 이러한 필요성을 반영하여, 영유아 구강검진, 성인 구강검진이 진행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구강검진은 일반 건강검진 요소들과는 달리 필수가 아니어서 검진율이 매우 낮은 편이다. 이는 환자들이 기존에 치과에서 진료를 받는 부분과 검진으로 인해 치료로 당장 이어지는 경우가 없고, 각 병원마다 진단의 차이를 보이는 등의 여러 가지 원인이 검진율을 낮게 하고 있다.
그리하여 단순 검진으로 사용자의 내원이 1회성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적사항 및 구강예방행태, 구강상태, 전신건강을 고려하여 구강관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구강상태를 등급별로 안내하여 구강검진이 구강관리로 구강관리가 환자와 병원과의 가족병원 형태를 권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러한 전 생애 구강건강 관리서버는 국내의 구강검진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강관리의 다양한 사용자(병원 또는 환자)의 데이터를 단순 관리에서 적극적 구강건강 케어로 연결되어 주치의 개념의 병원 운영과 신뢰성을 확보한 지속적인 전 생애 구강관리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구강관리에 관한 종래 기술들을 살펴보면, 많은 한계가 있음을 쉽게 알 수 있다. 특허등록 제10-0780351호의 구강건강관리방법은, 사용자의 양치습관 행동데이터를 온라인으로 수집, 분석하여 구강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발명이 제시되어 있는데, 양치질 관련 자료만이 기준이 되고 있어서 환자의 구강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관리하는데 많은 한계가 있다.
특허공개 제10-2011-0125421의 구강건강관리 서비스제공방법은, 자연치아수, 저작능력지수, 치아우식지수, 치주상태지수, 구강질환 발병 지수, 구강위생관리능력지수, 우식활성검사지수, 불소 또는 실란트 같은 치아보호 치료여부 등 보다 구체적인 데이터를 통해 환자의 구강상태, 구강건강지수를 파악하는데 이르고 있으나, 병원에서 다양한 환자케이스별 프로그램 진행이 어렵고, 단계별 과정이 복잡하며, 프로그램이 환자의 치료주수에 맞지 않아 병원에서 실제로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 특허등록 제10-1710357호의 구강건강관리방법은 구강건강등급을 판정하는데 사용되는 데이터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구강건강등급을 도출하는데, 연령별 검진 - 구강상태정보 - 구강의료정보 입력 후 구강건강판단항목에서 구강건강지수를 산출된다. 이때 환자의 연령에 따른 서로 다른 설문 항목을 생성하여 구강상태를 조사하도록 하고 있으나, 전 생애의 주기별 특성에 맞는 관리를 하기에는 부족하다.
이처럼 종래 기술들은 환자의 구강건강 상태에 관한 충분한 데이터 확보가 어렵거나, 실제로 병원에서 채택하고 적용하기 어려운 것으로서, 치과에서는 치료를 위해 내원하는 환자 수는 많으나, 의사의 진단 하에 진행되는 치료 후에 다시 내원하는 환자 수는 많지 않아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 환자의 입장에서도 타병원으로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 어려움이 있고, 지속적이고 예방적 관리를 받을 수 없는 한계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구강 건강의 이론과 임상을 전공하는 학자들로서, 병원의 입장에서는 특정 환자의 전 생애에 걸쳐 임상에서 환자의 특성에 맞도록 계속적인 치료와 서비스를 제공하여 병원 경영을 합리화 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함을 절감하였다.
또, 환자 입장에서도 자신의 구강 건강상태가 어떤지 미리 객관적인 점수를 통해 확인하고, 적절한 시기에 치료와 지속적인 구강건강을 개선하기 위해 전 생애에 걸친 구강관리를 할 수 있는 서비스가 필요하므로, 병원과 환자가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구강관리 관리서버 및 그 제공방법을 연구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전 생애주기에 따른 연령별 구강건강의 특성을 반영한 검진표를 통해 환자의 구강상태를 점수로 환산(일명 JOY score)하여 환자가 미리 알 수 있도록 하고, 병원은 상기 구강상태 점수를 통해 관리프로그램 적용이 가능한 환자의 전 생애 구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구강관리 통합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족단위 및 기관단위로 구강건강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구강관리 통합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100), 복수의 가맹점 단말(200), 불특정 다수의 환자단말(300)이 연결되는 구강건강관리서버(1)에 있어서, 상기 통합시스템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구강건강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도록 서비스운영부(110)와; 환자별 신상정보 및 구강건강 관련 정보가 구축되는 통합DB부(120)와; 연령별 구강건강의 특성을 반영한 검진표를 통해 환자의 구강상태를 점수로 환산하여 환자별 구강상태 등급을 결정하는 등급평가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복수의 가맹점 단말은 병원단말 이외에 구강용품을 취급하는 전문용품 사업자의 단말장치 또는 쇼핑몰 사업자의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운영부(110)는 환자 회원의 연령, 신상에 관한 회원정보관리부(111)와; 회원별 구강설문을 생성하고 설문을 진행할 수 있는 설문시나리오 관리부(112)와; 가맹점 병원에서 수행된 검진 및 각종 치료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하는 환자검진관리부(113)와; 가맹점의 기본정보, 공지사항 및 검진 스케줄을 관리하는 가맹점관리부(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통합DB부(120)는 연령을 포함한 신상에 관련된 환자회원정보에 관련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회원정보DB(121)와; 회원 가맹점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가맹점DB(125)와; 회원의 치과 검진, 상담 또는 검사결과에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회원검진DB(122)와; 회원별 생애주기별 내지 특수상황에 부합되도록 설정된 검진표 내지 설문시나리오를 관리하는 설문DB(124)와; 회원의 산정 구강건강등급이 관리되는 회원 스코어 DB(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등급평가부(130)은 회원(환자)의 연령별로 구분되어 구강 건강상태 설문 정보에 대해 평가하는 설문문항채점부(131)와; 회원의 치아 전치부 사진을 판독하여 평가하는 전치부사진 판독부(132)와; 상기 설문문항채점부(131)의 채점 결과와 전치부 사진판독부(132)의 점수를 기반으로 환자의 구강 등급을 산정하는 등급평가부(1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100), 복수의 가맹점 단말(200), 불특정 다수의 환자단말(300)이 연결되는 구강건강관리시스템(1)에 있어서, 상기 환자단말 또는 가맹점단말은 회원등록단계를 수행한 후에 단말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되면 환자 연령을 포함하는 환자정보를 식별하고 구강설문이 제공되어 간이설문입력 및 환자 치아의 전치부 사진이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전송된 구강정보들을 기준으로 구강건강 등급을 산정되는 단계; 상기 등급정보를 포함한 구강건강정보가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환자 치아의 전치부 사진정보는 회원단말에서 수행되어 전송되어지거나 또는 가맹병원의 검사장치를 통해 수행되어 전송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구강설문은 영유아용, 초등학생용, 청소년용, 성인용으로 구분되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영유아용 및 초등학생용 구강설문에는 충치 카테고리에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청소년용 및 성인용은 치주질환 카테고리에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환자정보 식별 시 등급재평가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가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환자등급재평가는 최소 1개월 내지 6개월 단위로 기본 관리주기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환자등급평가는 특수 구강환경을 가진 환자를 구분하여 추가 검사 카테고리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특수 구강환경을 가진 환자는 교정환자, 시린이환자, 치주ㆍ보철환자, 구취환자을 포함하여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구강설문은 가족 공통 설문문항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가족공통설문 문항에는 식단 또는 악골을 포함한 유전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구강설문은 식사를 함께하는 공동체로서 기관 내지 단체의 공통 설문문항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 생애에 걸쳐 구강건강의 점수가 산정되어 이에 따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구강관리프로그램으로서, 생애주기별-구강상태에 따른 단계별프로그램-리콜시스템(환자관리)의 융합으로 병원에서의 적용 및 활용이 높고, 환자로서는 어렸을 때부터 노출되는 구강환경에 따라 예방이 가능하고, 기존의 구강병(충치, 치주병)의 환자들은 적극적 구강관리 프로그램으로 이어져, 건강한 구강관리가 이루어진다.
본 시스템은 첫 번째, 환자중심의 앱 구축을 통해 환자들이 간이설문 등으로 등급을 확인할 수 있으며, 대부분 시스템들은 병원위주의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그러나 위의 등급이 정해지면 환자들은 자신의 구강관리스케쥴을 확인하며 관리 받을 수 있고, 앱을 통해 병원의 정보이용은 물론, 구강관리교육의 중요한 알림, 교육적 정보 등을 계속해서 볼 수 있다. 두 번째, 환자등급별 프로그램으로 환자관리의 중요성을 제시하되, 예방과 관리의 토탈서비스 및 융합적 서비스 제공을 위해 주요 관리 내용별 융합을 시도한 것이며, 치료와 예방, 그리고 관리의 융합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체계적 관리는 병원(전문가 케어) - 개인(홈케어)의 건강관리 cycle로 이어지며, 궁극적으로는 국민들이 치료보다는 예방중심의 관리를 통해 의료비 절감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 프로그램은 영ㆍ유아부터 노년기까지 다양한 계층에서 쉽게 적용하고 활용할 수 있어 매우 효과적이다.
치과병ㆍ의원에서는 종전 치료중심의 관리로 그치지 않고,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환자들의 재방문을 활성화 시키는 recall system의 정착과 예방적 관리의 중심 프로그램으로 쉽게 접목할 수 있다.
환자입장에서는 자신의 단말을 통해 스스로 간이설문 등으로 자신의 구강등급을 확인하고, 자신의 구강관리스케쥴을 확인하며 관리받을 수 있으며, 병원의 정보이용은 물론, 구강관리교육의 중요한 알림, 교육적 정보등을 계속해서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기존 병원에서 수행하는 특수구강환경을 가진 치료위주로 환자 연령별로 등급 부여하는 방식의 한계를 해결하고 치료, 예방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조이스코어의 환자등급별 및 환자등급별에 특수환경을 적용한 구강건강의 통합적 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강건강 관리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강건강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운영부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DB부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급평가부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건강관리 서비스방법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구강건강관리 서비스방법 (등급재평가)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등급평가 프로세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설문생성 프로세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로서 가족단위의 서비스 제공방법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로서 조직단위의 서비스 제공방법
도 12(a) 내지 (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연령별 구강검진 문진표 (영유아용 )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연령별 구강검진 문진표 ( 초등학생용)
도 14(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연령별 구강검진 문진표 (청소년용)
도 15(a) 내지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연령별 구강검진 문진표 (성인용)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 개념도로서, 구강건강관리시스템(1)은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통합관리센터의 구강관리서버(100), 복수의 가맹점 단말(200), 불특정 다수의 일반사용자 내지 환자단말(300)과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상기 일 실시예의 가맹점들은 주로 병원단말이 될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 구강용품을 취급하는 전문용품 사업자가 단말장치를 구비하여 가맹점이 될 수 있다. 별도로 표시하는 않았지만, 구강관리와 관련한 쇼핑몰의 관리라든가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전송 및 제어 등을 관리하는 관리 모듈이라든가, 병원 단말이나 구강용품 전문사업자의 단말을 통해서 사용자가 회원 가입을 요청하는 경우에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등록한 전자메일로 인증 메시지 등을 전송하는 메일 서버라든가, 환자의 관리와 관련한 다양한 메시지 및 통합 데이터베이스의 구축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수신, 전송하는 메시지 서버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도 2의 시스템 블록도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100), 복수의 가맹점 단말(200), 불특정 다수의 환자단말(300)이 연결되는 구강건강관리 시스템(1)에 있어서, 상기 구강관리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구강건강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도록 서비스운영부(110)와; 환자별 신상정보 및 구강건강 관련 정보가 구축되는 통합DB부(120)와; 연령별 구강건강의 특성을 반영한 검진표를 통해 환자의 구강상태를 점수로 환산하여 환자별 구강상태 등급을 결정하는 등급평가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서비스운영부(110)는 통합시스템서버와 병원단말, 환자단말 사이에 정보를 송수신하는 통로로서 유/무선 통신망, 이동통신망을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고, 이들의 복합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합시스템 서버(100)의 통합DB부(120)는 연령을 포함한 환자별 신상정보, 구강건강 관련 정보가 구축된다.
통합시스템 서버(100)의 등급평가부(130)는 생애주기에 따른 연령별 구강건강의 특성을 반영한 검진표를 통해 환자의 구강상태를 점수로 환산(일명 JOY score)되어, 구강상태 등급을 채점하고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시스템(1)은 각 병원단말(200)과 환자단말(300)이 네트워크로 접속되어, 서비스운영부(110)를 통해 전송된 환자신상 정보 및 현재 구강건강상태에 관한 구강건강 정보를 전송받아 환자별 데이터 베이스를 생성하는 통합DB부(120)를 포함하고 있고, 병원단말(200) 내지 환자 단말(300)로부터 전송된 환자의 구강설문을 포함한 구강상태 정보 등을 기초로 등급평가부(130)은 환자의 구강상태 등급을 판정하고 결정하여 각 병원단말(200)내지 환자단말(30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구강상태등급 정보가 앱을 통해 환자단말(300)에 전송되어 환자는 자신의 등급정보를 보고 자가 진단 후 병원을 방문할 수 있고, 병원단말(200)에 전송되면 병원은 환자의 등급정보를 보고 빠른 진단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맹점 단말(200)은 구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로서 병원 단말이 주대상이 된다. 병원단말은 컴퓨터,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서버, 구강검진장치, 처방전달 장치, 의무기록장치 등이 포함되어 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서버(100)와 연결된다.
상기 환자단말(300)은 노트북, PC, 스마트폰, 피처폰, PDA 등 관리서버(100)과 접속되어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가맹점 단말과 환자단말은 단말기기를 구동하는 전원부, 각종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단말기기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부, 음향출력부, 햅틱모듈 등의 출력부 및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각종 데이터를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와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 제어부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필요한 소프트웨어(앱)을 서버(100)로부터 다운로드 받고 단말 장치에서 구현 가능한 환경을 제공한다.
환자단말이 GPS기능이 있는 경우, 통합시스템으로부터 가맹점 단말의 정보를 획득하는데 유리하다. 환자의 주변에 본 구강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병원이 업데이트 되어 지도에 표시되며, 이는 환자가 근거리 등을 선택할 수 있다. 환자 단말(300)은 접속한 가맹단말의 정보를 통합시스템서버(100)를 통해 알림으로 받을 수 있으며, 원격 구강관련 질의 및 응답, 스케쥴 관리, 자신의 구강상태 정보를 받을 수 있으며, 처음부터 계속 된 구강관리 데이터의 일부의 결과들을 누적된 데이터로 가질 수 있다. 또 환자단말(300)은 통합시스템(100)로부터 자신의 등급평가에 따른 구강관리 관련 건강 팁을 제공 받거나 칫솔 할인 등의 구강용품 이벤트 등도 제공받을 수 있고, 구강관리 정보는 지속적으로 통합DB부(120)에 축적되어 전 생애에 걸쳐 구강상태에 부합한 등급별 구강정보를 전송받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운영부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서비스운영부(110)는 환자 회원의 연령, 신상에 관한 회원정보관리부(111)와; 회원별 구강설문을 생성하고 설문을 진행할 수 있는 설문시나리오 관리부(112)와; 가맹점 병원에서 수행된 검진 및 각종 치료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하는 환자검진관리부(113)와; 가맹점의 기본정보, 공지사항 및 검진 스케줄을 관리하는 가맹점관리부(114)를 포함한다.
예컨대 병원에서 담당 주치의가 학회참석으로 1주일 휴진이라는 알림정보나 병원의 불소도포 등의 이벤트 정보를 알려야 할 경우, 가맹점관리부(114)에게 상기 정보를 전송하여, 상기 가맹점관리부가 고객 단말(300)들에게 알림 공지를 하도록 함으로써 병원의 업무는 매우 편리하게 된다.
기존의 구강관리 프로그램들이 주로 대형병원들이 이용할 수 있는 자체 프로그램으로 한정되는 경우가 많았으나, 본 발명은 작은 규모의 병원들도 병원단말(200)로 쉽게 연결되어, 체계적인 구강관리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으므로 주치의 개념의 전 생애 고객관리가 가능하여, 안정적인 병원운영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통합DB부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통합DB부(120)는 연령을 포함한 신상에 관련된 환자회원정보에 관련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회원정보DB(121)와; 회원 가맹점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가맹점DB(125)와; 회원의 치과 검진, 상담 또는 검사결과에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회원검진DB(122)와; 회원별 생애주기별 내지 특수상황에 부합되도록 설정된 검진표 내지 설문시나리오를 관리하는 설문DB(124)와; 회원의 산정 구강건강등급이 관리되는 회원 스코어 DB(12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들은 통합DB부(120)에서 관리되는데, 환자회원의 연령, 특수상황에 부합되는 설문시나리오가 미리 설정되어 검진표를 환자단말이 스스로 작성하는 설문 DB(124)가 부정확할 가능성이 있는 점을 고려하여, 구강정보들은 보다 객관적인 정확성을 위해 회원의 치과 검진, 상담 또는 검사결과에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회원검진DB(122)이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특징이다.
도 5의 등급평가부 블록도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등급평가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환자의 현재 구강상태를 판단하여 등급평가를 산출하기 위하여, 설문문항채점부(131), 전치부사진판독부(132), 사진판독학습부(133), 등급평가최적화부(134), 등급평가부(135)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설문문항채점부(131)는 도 13 내지 도 16와 같이 회원(환자)의 연령대별로 구분되어 구강 건강상태 설문 정보에 대해 평가하는데, 설문지형 또는 음성서비스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치부사진 판독부(132)는 회원의 치아 전치부 사진을 소프트웨어적으로 판독하여 채점한다. 사진판독 학습부는 인공지능을 이용하여 전치부사진 판독부의 소프트웨어를 학습시켜서 판독율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설문문항채점부(131)의 채점 결과와 전치부 사진판독부(132)의 점수를 기반으로 JOY SCORE 알고리즘에 의해 회원 환자의 구강 등급을 산정하는 JOY SCORE 등급평가부(134)를 포함한다.
환자들의 구강건강상태를 등급별로 평가함으로써, 지금까지는 주로 환자들이 구강에 문제가 생겼을 때 자신의 구강상태를 파악하지 못하고 막연히 치과들을 방문하였다면, 본 발명은 상기 객관적 등급평가를 통해 환자들이 병원을 방문하기 전에 자신의 구강 건강상태를 스스로 체크하고 기초적인 자신의 구강건강상태를 확인한 상태에서 구강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 병원에서는 환자의 기본데이터를 확인한 후 추가되는 검사를 통해 환자에게 좀 더 정확한 진단과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구강건강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구강건강 서비스가 실행되기 위해서는, 회원단말(환자 또는 병원단말)이 접속되어야 한다. 환자 단말은 관리서버에 필요한 앱을 다운로드 받아서, 상기 시스템이 제공하는 회원 약관 등을 동의한 후 회원으로 등록하는 회원등록단계를 수행한 후에 관리서버에 접속한다.(S410)
상기 관리서버에 접속되면 환자 연령에 따라 제공되는 구강설문이 제시되는데, 이는 환자 스스로가 문진표 등을 이용하여 자신의 구강상태를 체크하는 것으로서, 도 12 내지 17과 같이 연령에 따라 미리 설정된 문진표에 입력하는 단계이다. 또한 환자 전치부 치아 사진도 촬영되어야 한다.(S420)
상기 환자의 전치부 사진은 PMA(papillary marginal attached gingivits) 인덱스를 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원단말의 스마트폰 촬영장치나 기타 촬영장치를 통해 촬영된 사진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전치부 사진은 잇몸이 보이도록 앞니 6개(상악, 하악)가 다 나오도록 하는 사진이다. PMA index가 산출되어 등급산정에 반영될 때, 현실적으로 사진 상의 오류가 있기도 하여 정확성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보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간이식으로 진단해보는 샘플로는 사용이 가능하며, 그것이 관심대상이 되어 GPS 기능으로 연결되어 있어 본 구강관리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인근병원으로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환자 관심을 이끌어낼 수 있다.
상기 S420를 통해 환자의 현재 구강상태 정보가 통합시스템에게 전송되면 (S430), 통합시스템서버의 등급평가부(130)에서는 전송된 설문과 사진자료를 채점하여 모아진 점수를 기반으로 회원 환자의 구강 등급이 도출되고 (S440), 환자등급을 포함한 구강건강정보를 회원단말에게 전송하게 된다.(S450)
상기 환자단말로 전송되는 구강건강정보는 등급별로 (A/B/C/D)로 구분된다. 이러한 등급은 환자자신의 구강건강 상태를 나타내므로, 환자의 주의를 환기시키게 되어, 구강검진에 관심이 없었던 이들까지도 구강건강에 관심을 갖도록 유도할 수 있다.
좋은 평가를 받은 환자(A/B등급)는 지속적인 구강건강관리에 필요한 구강용품 등의 관리정보를 제공될 수 있다. 그 이하의 등급(C/D)을 받아서 병원의 치료가 필요한 구강등급을 받은 환자에게는, 인근 가맹점 병원정보, 병원 진료가능 일정, 비용, 정보를 환자단말에게 전송한다. 자신의 주치의 병원에서 공지사항도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환자들이 개인별로 필요한 프로그램의 진단을 간이진단으로 할 수 있도록 앱에 탑재하여 아직 병원을 방문하지 않은 개인들은 간이진단을 하고, 간이진단 후 본 프로그램을 받을 수 있는 인근 병원을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병원단말(200)을 이용할 경우, 본 시스템이 제공하는 회원 약관 등을 확인 한 후 내용에 동의한 후 해당 가맹점의 환자로 등록하여 구강건강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맹점 환자등록이 완료되면, 해당 가맹점의 환경에 최적화된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한 환자단말이 제공하는 전치부 사진은 사진 상의 오류가 있기도 하여 정확성을 갖지는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지만, 가맹점에서 제공하는 검사 장치는 높은 정확성을 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등급평가 프로세스로서 본 발명의 서비스제공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환자의 구강건강의 등급은, 가맹점 단말(200) 내지 환자단말(300)에서 전송된 설문정보 및 환자 치아의 전치부 사진 등의 구강건강정보들을 전송받아서 등급평가부(130)에서 산정되는 것으로서, 이를 위해서는 채점기준이 미리 설정되는 것이다.(S610)
예컨대 실시예 1의 '20개월' '김하나'라는 환자정보가 전송되면 도 12와 같은 영유아 구강검진 문진표가 제시되어 진다. 상기 문진표에는 카테고리별로 점수가 설정되어 있어서, 등급평가부는 설정된 채점기준에 따라 사용자 (병원 내지 환자) 단말을 통해 전송된 구강검진문진 정보를 채점하게 된다.(S620)
20개월 유아의 경우는 유치가 모두 맹출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전치사진이 아닌 구강검사 시 카테고리는 a-1가 적용된다. 이 결과 상기 실시예 1의 구강건강 등급 산정결과, 문진표의 점수 (25), 치아검사 (20), 구강위생검사 (20), 구강건강관리 (20) 각 항목의 점수가 합계되어 85점이 합산되어, 본 발명의 조이스코어 영유아기 등급 A으로 판정되었다.
다른 실시예 3은 성인 홍길동 환자의 경우이다. 도 15와 같은 성인 구강검진 문진표가 제시되어 지고, 상기 문진표에는 카테고리별로 점수가 설정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 3과 달리 성인의 경우는 치주조직검사와 치면세균막검사로 구성된 카테고리가 구비되며, 등급평가부는 성인용으로 설정된 채점기준에 따라 사용자 (병원 내지 환자) 단말을 통해 전송된 구강검진문진 정보를 합산하여 채점하게 된다.
실시예 3의 구강건강 등급산정의 결과, 문진표의 점수 (20), 치아검사 (18), 치주조직검사 (16), 치면세균막 검사 (15) 가 69점이 합산되어, 본 발명의 조이스코어 성인등급 “C”등급으로 판정된다.
상기 채점 단계(S620,S630,S640)에서, 회원단말을 통해 전송된 전치부 사진을 판독하여 채점하는 경우(S630) 보다 가맹병원을 통해 행하여진 검사결과가 더욱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S640)
또한 이들 모두를 반영할 수도 있다. 상기 단계에서 모아진 점수들이 산정되어 최종적으로 등급평가가 이루어진다.(S650)
상기 채점기준이 되는 설문시나리오 생성은, 연령별로 구분된다.
환자의 연령이 생애 주기상, 영ㆍ유아부터 초등학생까지는, 충치 여부를 두고 채점기준에 비중을 두게 된다. 총 점수배점 100점 만점 가운데, 식이습관과 칫솔질 등의 구강관리행태의 간략한 설문문항의 30점, 기존의 구강검사에서 충치의 개수가 추가되거나, 우식활성검사를 택하여 30점을 배점하고, 나머지 40점은 치태 및 설태의 구강관리점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의 생애주기가 중학생부터 청년부까지는, 충치 이외에 치주질환을 중심으로 채점기준을 산정한다. 총 점수배점 100점 만점 가운데, 식이습관과 칫솔질, 흡연여부 등의 구강관리행태의 간략한 설문문항 20점, 기존의 구강검사에서 충치의 개수가 추가되거나, 우식활성검사를 택하여 20점이 배점된다.
또 치주관리 점수로 치은출혈지수(bleeding rate) 20점을 배점하는데, 이는 BOP(Bleeding of Proving이며, 탐침 시 출혈이 있음), 치석지수(calculus rate)는 10점, 치주낭 측정검사 10점 (3mm이하는 정상으로 10점, 4~5mm는 8점, 6mm 이상은 6점)로 구성된다.
또, 치면세균막 관리점수인 치면세균막관리점수(plaque rate)는 20점으로 배점한다.
환자의 생애주기가 중ㆍ장년층부터는, 치주질환 중심으로 채점기준을 산정 한다. 식이습관과 칫솔질, 흡연여부 등의 구강관리행태에 대한 간략한 설문문항이 20점, 치주관리 점수로 치은출혈지수(bleeding rate)는 10점(BOP출혈로서 탐침 시 출혈이 있음), 치석지수(calculus rate)는 10점이 배점된다. 치주낭 측정검사를 통한 임상적 부착소실(clinical attachment loss: CAL)은 정상( normal)은 40점, 3~4mm의 포켓(pocket), 30% 미만의 뼈손실(bone loss)를 가지면 35점이 배점된다. 3~4mm의 임상적부착소실(CAL)을 갖고, 4~6mm의 포켓, 50% 미만의 뼈손실 25점이 배점된다. 5mm 이상의 임상적부착소실로서 6mm 이상의 포켓, 50% 이상의 뼈손실을 가지면 15점이 배점된다. 또, 치면세균막관리점수(plaque rate)는 20점으로 산정된다.
상기와 같이 환자의 연령에 따라 환자정보확인 및 채점기준 설정이 이루어지고, 상기 점수를 각각 산정하여 등급판정을 하며, A 등급은 85점 이상, B등급 84~75점, C등급 74~65점, D등급 64점 이하로 정해지게 되며 현 단계의 등급평가가 이루어지면, 일정 시기 이후에 현 단계가 유지가 되거나 다른 단계로의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7 및 도 9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구강건강 서비스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생애에 걸쳐 구강건강관리가 수행되는 것이므로, 구강등급이 1회성으로 끝나지 않아야 한다. 이때 일정한 설정기간을 두고 재평가를 하는 것이 필요하다. 최소 1개월에서 ~ 6개월의 기본 관리주기를 설정하고, 이 주기가 끝나면 새로운 재평가에 의해서 현단계 유지 및 다른 단계로의 이동이 이루어졌는지 여부를 체크하는 것이다.
상기 도 6에서 진행되는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접속된 회원단말로부터 환자의 등급 재평가 여부를 확인한다.(S720)
환자의 식별정보 이외에 재평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가 수행되면, 상기한 채점 단계에서 회원단말을 통해 설문과 전치부 사진들이 전송되어, 상기 단계에서 모아진 점수들이 산정되어 최종적으로 등급평가가 이루어진다.(S650)
본 발명에서 등급 재평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이전에 받은 평가를 기준으로 하여 다시 설문할 필요가 없는 항목은 배제되게 되며 재평가시 필요로 하는 설문으로 대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또 등급재평가에 따라 구강관리프로그램, 구강관리용품까지 자동 셋팅이 되며, 구강관리 서비스의 횟수 등에 의한 부분도 추가로 주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등급재평가가 이루어질수록 환자와 가맹점 병원 간에 의사소통이 원활하며, 전문가 케어-홈케어가 순환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체계적인 구강관리와 리콜시스템(recall system)의 융합기능으로 병원(전문가 케어) - 개인(홈케어)의 건강관리 사이클이 형성될 수 있고, 병원은 재진율이 높아진다.
도 9에서는 환자의 구강상태에 있어서 특수 환경이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른 등급평가에 대한 설명을 하는 확장된 형태의 조이스코어 JOY(S) score 등급판정의 흐름도이다.
환자의 구강건강을 좌우하는 특수환경이 존재하는데, 예를 들면 당뇨병이 있으면 치주질환에 취약한 상태로 집중된 구강관리를 요하게 된다. 또한, 구강 내에 브라켓 등의 교정장치물에 있는 경우도 구강관리에 집중을 요한다. 이는 환자의 특수환경을 배려하여 연령별 등급평가에서 다른 차별성과 전문성 있는 구강관리를 요하는 등급결정을 할 수 있다.
상기 도 6에서 진행되는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방법에서, 접속된 회원단말로부터 환자의 구강 내ㆍ외 특수환경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810)
환자의 특수환경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환자정보를 재확인하고 조이스코어 등급을 확인하는 단계가 수행된다.(S820)
특수환경을 가진 환자는 기존의 JOY score 등급판정을 확인하는 단계(S820)를 거친 후에, 치주상태의 정밀검사하는 단계(S830) 또는 우식관련 전문검사(S840)를 거치거나, 이들 모두를 수행하는 단계를 거쳐서 조이스코어 등급을 결정한다 (S850). JOY(S) score는 JOY score의 다양한 환자를 반영하여 진행할 수 있는 확장형이다.
본 발명에서는 교정환자, 시린이환자, 치주ㆍ보철환자, 구취환자 등으로 구분하여 특수 구강환경을 설정하고 있는데, 상기 설정된 구강환경별로 검사과정을 더 추가하여 신뢰도 및 민감도 높은 재평가 과정을 이룰 수 있다.
실시예 3의 성인의 환자가 임플란트를 2-3개 심은 경우라면 조이스코어(JJOY SCORE)에서 그 확장형태로서 조이 스페셜 스코어( JOY(S) score)로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치주 및 보철환자(임플란트)와 시린이 환자는 기존 검사의 조이스코어 점수에서 60%로 환산한 점수가 먼저 산출된다. 기존 검사에서 80점이라면 이 환자는 기존검사 60점에서 48점을 산정받은 상태다. 그리고 나머지 40%, 즉 40점은 각각의 다른 검사가 추가되며 점수가 산정된다.
40점은 치은출혈지수(bleeding rate)는 10점(BOP출혈로서 탐침 시 출혈이 있음), 치주낭 측정검사를 통한 CAL 20점으로서 정상은 20점, 경도는 1~2mm의 CAL로서 3~4mm의 포켓, 30%미만의 뼈손실을 가지면 15점, 중등도는 3~4mm의 CAL을 갖고, 4~6mm의 포켓, 50%미만의 뼈손실은 10점, 고도는 5mm 이상의 CAL로서 6mm 이상의 포켓, 50%이상의 뼈손실을 가지면 5점)이고, 치면세균막 관리점수(plaque rate)는 10점으로 산정된다.
교정환자의 경우는 브라켓(bracket) 부착 시에는 40점은 치석지수(calculus rate)는 20점, 치면세균막관리점수(plaque rate)는 20점으로 산정된다. 교정종료 후 관리 시에는 치주 및 보철환자와 시린이 환자와 동일하게 적용한다.
구취환자의 경우는 구취측정기의 유무에 따라 산정법이 바뀌는데 구취측정기(기기별 점수가 상이함)로 검사 시 3등급(경도, 중등도, 고도)로 구분하여 산정할 수 있으며, 구취측정 시(구취측정기로 판정 가능한 경우)에는 총 40점을 구취측정의 점수를 30점(경도: 30점, 중등도: 20점, 고도: 10점)으로, 치면세균막관리점수(plaque rate)는 10점으로 하여 산정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가족단위의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가족은 식사를 함께하는 공동체로서 가족단위 개념의 구강관리 프로세스는 식이관련, 유전, 구강행태 등의 가족 공통 설문문항이 작성된다.(S910)
구강관리의 설문문항은 식이와 관련된 부분, 악골 등의 유전적 성향 등의 설문이 반영되며, 환자용 앱에서 환자들은 자신들의 식단을 작성하여 업로드 하여 전송한다. 구강건강은 식습관도 중요한 요인이 되므로, 이에 대한 식구단위별 구강건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가족공통설문과 함께 각 가족구성원들의 연령 별 설문 및 각각의 전치부 사진 정보들이 구비되고 (S920), 상기 가족공통 및 각 구성원들의 구강건장정보는 회원단말에서 수행되어 전송되어지거나 또는 가맹병원의 검사장치를 통해 수행되어 전송된다.(S930)
가족단위의 등급은 가족 구성원의 환산점수가 평균으로 제시되게 되고, 가족 구성원 전체의 평균으로 등급을 산출하여 등급판정이 이루어진다(S940).
개인별이 아닌 가족단위 개념의 구강관리건강은 가족 구성원의 환산점수가 평균으로 제시되게 되므로, 가족 구성원 중에 등급판정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이로서 가족 간에 구강건강에 관심을 가지도록 촉구할 수 있다.
또 구강관리의 설문문항은 식이와 관련된 부분, 악골 등의 유전적 성향 등의 설문이 반영되고, 환자용 앱에서 환자들은 자신들의 식단을 작성하여 업로드 할 수 있어, 가족들의 구강관련 식습관의 현주소를 살펴보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특히 구강병의 우식은 특히나 식습관 즉, 식이와 연관된 부분이 많아 가족의 식습관은 구강병에 대한 영향력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조직단위의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식사를 함께하는 공동체로서 기관 및 기업 단위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기관 내지 단체의 구강건강관련 프로세스로서 유치원, 학교, 기업 등의 단체에서 역시 각 기관의 특색에 맞게 진행될 수 있으며 공통설문으로 평가한다.(S1010)
또한, 기관 구성원들의 개인별 설문 및 전치부 사진판독으로 점수화하며(S1030), 이를 평균하여 등급을 산출(S1040)한다.
예컨대 A 유치원은 식사 후 칫솔질을 반드시 실시하고, 6개월마다 지역 내 보건소에 불소도포를 실시하고 있다. B 유치원은 식사 후 칫솔질은 선택적 실시이다. 또 불소도포는 가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자율관리방식이다.
그렇다면, 상기 기초실태를 반영한 것들은 점수화가 되고, 각 아이들의 보호자가 설문에 응답한 경우의 평균점수, 유치원에서의 일반식단 등을 분석하여 치아우식에 관련 된 청정식품, 우식성식품, 보호 식품으로 구분하여 점수화를 할 수 있어 기관별 구강검진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족단위 및 기관 및 기업단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되 식습관과 구강병과의 관련성을 제시하여, 식습관 변화를 유도하거나, 구강병 예방관련 식습관을 처방하는 단계도 제시된다. 그러므로 병원(전문가 케어) - 가족 및 기관(All케어)로 이루어지는 단계로 이어져 개인뿐만 아니라 단체에서의 여러 구성원들이 구강건강을 꾀할 수 있는 방식으로도 연계되어 지며, 이로 인해 구강관리의 체계적 시스템을 접할 수 있고, 국민 모두가 건강해 질 수 있는 방안으로도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정착할 수 있다.
도 12의 내지 15은 본 발명에 따른 연령별 구강검진 문진표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사용자(환자)의 영ㆍ유아 시기부터 노년에 이르기까지 전 생애 구강검진과 관련하여, 현재의 환자의 구강상태와 행태에 따라서 데이터를 간략히 입력하면 등급이 판정되어지는 프로그램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생애주기별 프로그램으로 영ㆍ유아부터 초등학생까지는 충치를 중학생부터 청년부까지는 충치와 치주질환을 중장년층부터는 치주질환 중심의 프로그램으로 셋팅되어지며, 본 프로그램을 통해 병원에서는 꾸준히 환자들의 관리할 수 있다.
각각의 문진표는 연령대별로 영유아(18~29개월), 영유아(42~53개월), 영유아(54~65개월),초등학생, 청소년 및 성인으로 구분되고, 그 검사항목이 정해진다. 사용자들이 자신의 연령에 따라 문진표를 선택하고, 설문내용을 작성하여 전송하면, 그 점수가 산정되어 등급을 사용자 단말로 전송받을 수 있다.
발명의 점수는 A: 85점 이상, B: 84~75점, C:74~65점, D: 64점 이하로 정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영유아 18~29개월) 문진표
Figure 112019074476844-pat00001
상기 실시예의 결과, 실시예 1의 환자는 문진표의 점수(25), 치아검사(20), 구강위생검사(20), 구강건강관리(20) 각 항목의 점수가 합계되어 85점이 합산되어, 영유아기 등급 A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실시예 2) (청소년 구강검진 문진표)
Figure 112019074476844-pat00002
실시예 3) 성인 구강검진 문진표
Figure 112019074476844-pat00003
Figure 112019074476844-pat00004
본 발명은 프로그램 개발 시 빅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AI시스템의 누적관리, 음성인식을 통한 환자앱 사용과 병원용 홈페이지의 단말에서의 음성인식 등의 시스템으로 사용을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환자들은 자신의 전생애에 걸쳐 가맹점 병원별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환자단말 앱으로 병원단말의 홈페이지로 로그인을 하여 자신의 구강건강 프로그램 진행상태를 확인하고, 구강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것이다.
1 : 구강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 100 : 관리서버
110 : 서비스운영부 120 : 통합DB부
130 : 등급평가부 200 : 가맹점 단말
300 : 환자단말

Claims (17)

  1.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구강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관리센터의 관리서버(100), 복수의 가맹점 단말(200), 불특정 다수의 환자단말(300)이 연결되는 구강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에 구강건강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도록 서비스운영부(110)와;
    환자별 신상정보 및 구강건강 관련 정보가 구축되는 통합DB부(120)와;
    회원(환자)을 영유아용, 초등학생용, 청소년용, 성인용으로 구분하여 구강 건강상태 설문 정보에 대해 평가하는 설문문항채점부(131)와, 회원의 치아 전치부 사진을 판독하여 평가하는 전치부사진 판독부(132)와, 상기 설문문항채점부(131)의 채점 결과와 전치부 사진판독부(132)의 점수를 기반으로 환자의 구강 등급을 산정하는 등급산정부(134)를 구비하여, 환자의 구강상태를 점수로 환산하여 환자별 구강상태 등급을 결정하는 등급평가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건강통합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가맹점 단말은 병원단말 이외에 구강용품을 취급하는 전문용품 사업자의 단말장치 또는 쇼핑몰 사업자의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건강통합관리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운영부(110)는 환자 회원의 연령, 신상에 관한 회원정보관리부(111)와; 회원별 구강설문을 생성하고 설문을 진행할 수 있는 설문시나리오 관리부(112)와; 가맹점 병원에서 수행된 검진 및 각종 치료정보를 전송받아 관리하는 환자검진관리부(113)와; 가맹점의 기본정보, 공지사항 및 검진 스케줄을 관리하는 가맹점관리부(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건강통합관리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본 발명의 통합DB부(120)는 연령을 포함한 신상에 관련된 환자회원정보에 관련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회원정보DB(121)와; 회원 가맹점에 관한 데이터를 관리하는 가맹점DB(125)와; 회원의 치과 검진, 상담 또는 검사결과에 관련된 데이터를 관리하는 회원검진DB(122)와; 회원별 생애주기별 내지 특수상황에 부합되도록 설정된 검진표 내지 설문시나리오를 관리하는 설문DB(124)와; 회원의 산정 구강건강등급이 관리되는 회원 스코어 DB(1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건강통합관리 시스템.
  5. 삭제
  6. 소정의 통신망을 통해 구강건강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통합관리센터의관리서버(100), 복수의 가맹점 단말(200), 불특정 다수의 환자단말(300)이 연결되는 구강건강관리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가맹점단말(200) 또는 환자단말(300)은 회원등록단계를 수행한 후에 관리서버(100)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관리서버(100)에 접속되면, 환자 연령을 포함하는 환자정보를 식별하고 구강설문은 영유아용/초등학생용/청소년용/성인용으로 구분되어 제공되어져 간이설문입력이 수행되고, 환자 치아의 전치부 사진이 함께 관리서버(100)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전송된 간이설문에 대한 설문문항채점부(131)의 채점결과와 전치부 사진판독부(132)의 점수를 기준으로 구강건강 등급이 산정되는 단계;
    상기 등급정보를 포함한 구강건강정보가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건강관리 서비스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치아의 전치부 사진정보는 회원단말에서 수행되어 전송되어지거나 또는 가맹병원의 검사장치를 통해 수행되어 전송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건강관리 서비스방법.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영유아용 및 초등학생용 구강설문에는 충치 카테고리에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건강관리 서비스방법.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청소년용 및 성인용은 치주질환 카테고리에 점수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건강관리 서비스방법.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정보 식별 시 등급재평가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건강관리 서비스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등급재평가는 최소 1개월 내지 6개월 단위로 기본 관리주기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건강관리 서비스방법.
  13. 제 6항, 제 11항 또는 제 12항에 있어서,
    환자등급평가는 특수 구강환경을 가진 환자를 구분하여 추가 검사 카테고리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건강관리 서비스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특수 구강환경을 가진 환자는 교정환자, 시린이환자, 치주ㆍ보철환자, 구취환자를 포함하여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건강관리 서비스방법.
  15. 제 6항에 있어서,
    구강설문은 가족 공통 설문문항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건강관리 서비스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가족공통설문 문항에는 식단 또는 악골을 포함한 유전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건강관리 서비스방법.
  17. 제 6항에 있어서,
    구강설문은 식사를 함께하는 공동체로서 기관 내지 단체의 공통 설문문항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건강관리 서비스방법.
KR1020190087836A 2019-07-19 2019-07-19 전 생애 구강건강 관리시스템과 그 서비스제공방법 KR102345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836A KR102345935B1 (ko) 2019-07-19 2019-07-19 전 생애 구강건강 관리시스템과 그 서비스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7836A KR102345935B1 (ko) 2019-07-19 2019-07-19 전 생애 구강건강 관리시스템과 그 서비스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213A KR20210010213A (ko) 2021-01-27
KR102345935B1 true KR102345935B1 (ko) 2021-12-30

Family

ID=74238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7836A KR102345935B1 (ko) 2019-07-19 2019-07-19 전 생애 구강건강 관리시스템과 그 서비스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593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357B1 (ko) * 2016-05-31 2017-02-28 (주)이너웨이브 구강 건강 관리 시스템, 구강 건강 관리 엔진 및 구강 건강 관리 방법
KR101836187B1 (ko) * 2015-10-30 2018-03-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5421A (ko) * 2010-05-13 2011-11-21 주식회사 닥터프리벤트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573747B1 (ko) * 2013-12-19 2015-12-0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덴탈 정보 제공방법, 덴탈 정보 제공시스템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327263B1 (ko) * 2017-07-14 2021-11-17 (주) 텐지노그룹 스마트 건강 검진 코디네이팅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6187B1 (ko) * 2015-10-30 2018-03-08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맞춤형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구강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KR101710357B1 (ko) * 2016-05-31 2017-02-28 (주)이너웨이브 구강 건강 관리 시스템, 구강 건강 관리 엔진 및 구강 건강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0213A (ko) 202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itts et al. International Caries Detection and Assessment System (ICDAS) and its International Caries Classification and Management System (ICCMS)–methods for staging of the caries process and enabling dentists to manage caries
Chalmers et al. Intraoral 3D scanning or dental impressions for the assessment of dental arch relationships in cleft care: which is superior?
Jamieson et al. The dental neglect and dental indifference scales compared
Johansson et al. Multivariate analyses of patient financial systems and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CN112423699A (zh) 用于评估牙齿状况的方法
KR20110125421A (ko)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구강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
Bernstein et al. Peer reviewed: Integration of oral health into the well-child visit at federally qualified health centers: Study of 6 clinics, august 2014–March 2015
Crocombe et al.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dental caries in school children living in Dili, Timor-Leste
Mungia et al. Practitioner participation in national dental practice-based research network (PBRN) studies: 12-year results
Al-Sultani et al. The impact of replacement conventional dentures on eating experience
CA313668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Howell et al. Teledentistry for patient-centered screening and assessment
Gonsalves et al. Family medicine residency directors’ knowledge and attitudes about pediatric oral health education for residents
Marcus et al. Child and paren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perceptions associated with clinically measured oral health
KR102345935B1 (ko) 전 생애 구강건강 관리시스템과 그 서비스제공방법
JP3911215B2 (ja) 歯のう蝕罹患リスク評価システムおよび歯のう蝕罹患リスク評価方法
WO2023054435A1 (ja) 歯の状態予測システム、及び歯の状態予測方法
Seibert et al. Evaluating the physician office visit: In pursuit of a valid and reliable measure of quality improvement efforts
Deana et al. Evaluating conceptual model measurement and psychometric properties of Oral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struments available for older adults: a systematic review
Mulherin et al. Communication, Veterinary–Client–Patient Relationship, and Teledentistry
Costa et al. Early childhood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behaviours in adolescence: A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approach
DeRouen et al. Preparing practicing dentists to engage in practice-based research
JP7373183B2 (ja) 歯科診療用の診療支援システムおよび診療支援装置
Decleck et al.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oral health data registration and evaluation system for the Belgian population
Tewogbade et al. Attitudes and practices of nurses on a pediatric cancer and stem cell transplant ward: adaptation of an oral care protoc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