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784B1 - 시미현상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시미현상 저감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344784B1 KR102344784B1 KR1020200174452A KR20200174452A KR102344784B1 KR 102344784 B1 KR102344784 B1 KR 102344784B1 KR 1020200174452 A KR1020200174452 A KR 1020200174452A KR 20200174452 A KR20200174452 A KR 20200174452A KR 102344784 B1 KR102344784 B1 KR 1023447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striking member
- phenomenon
- housing
- simi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08—Steering dam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06—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 B62D7/08—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for individually-pivoted wheels, e.g. on king-pins the pivotal axes being situated in a single plane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centre line of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22—Arrangements for reducing or eliminating reaction, e.g. vibration, from parts, e.g. wheels, of the steering syste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02—Shaft arrangements; Shaft supports, e.g.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이동수단에 타격을 인가하여 시미현상을 최소화 가능한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타격을 인가하여 대상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접지력 향상부; 상기 접지력 향상부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타격이 인가되는 대상에 장착되는 하우징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수단에 타격을 인가하여 시미현상을 최소화 가능한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상기 스티어링휠에는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공간에는 원주방향으로 움직이는 동질량부 및, 상기 동질량부를 좌우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압전소자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압전소자에는 앰프를 연결하며, 상기 앰프에는 차속센서와 가속도센서에 의해 진동이 감지될 때 앰프를 통해 압전소자로 제어전압을 인가하여 동질량부를 역위상으로 흔들어 스티어링휠의 시미현상을 방지시키는 전자제어유닛을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휠의 시미 저감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스티어링을 구성하는 랙바에 일측단부가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너클에 결합되는 서스펜션의 타이로드의 저면에 시미저감 장치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스티어링휠의 시미 저감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일단이 차륜에 결합된 너클에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차체에 소정 경사각도로 체결된 현가아암을 기준으로 일 단이 상기 너클에 연결됨과 더불어 타단은 조향기어에 연결된 타이로드의 경사각도와 길이가 조절되도록 된 조향핸들의 시미저감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인 T점의 X좌표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자동차 서스펜션용 너클에 작동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작동수단은 시미 영역을 측정할 수 있도록 타이어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의 시미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설정된 시미 영역일 경우, 작동부가 작동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너클의 분리된 작동 브라켓이 너클 및 타이로드의 고정 점이 전후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작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너클의 시미 저감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동수단에 타격을 인가하여 시미현상을 최소화 가능한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본 발명은 타격을 인가하여 대상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접지력 향상부(100); 상기 접지력 향상부(100)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타격이 인가되는 대상에 장착되는 하우징부(2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접지력 향상부(100)는 상기 하우징부(200) 내부에 형성되는 이동경로(201)를 따라 직선운동하는 타격부재(110); 상기 타격부재(110)와 상기 하우징부(200)를 연결하며 탄성력을 가지는 제1 탄성부재(120); 상기 타격부재(110)의 운동을 조절하는 작동조절부(1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제1 탄성부재(12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타격부재(11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우징부(200)의 내면에 결합되는 스프링;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작동조절부(130)는 상기 타격부재(110)를 당겨 상기 제1 탄성부재(120)를 압축시키는 선형의 압축부재(131);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압축부재(131)를 감거나 당기는 구동장치;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접지력 향상부(100)는 상기 하우징부(200) 내부에 형성되는 이동경로(201)를 따라 직선운동하는 타격부재(110); 상기 하우징부(2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타격부재(110)에 힘을 인가하는 해머부(14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해머부(140)는 반경방향으로 관통공(1)이 형성되는 해머몸체(141); 상기 관통공(1)에 끼워지는 축부(142); 상기 축부(142)에 편심지게 결합되는 편심캠(143); 상기 축부(142) 를 회전시키는 동력장치(144);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하우징부(200)는 상기 타격부재(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해머부(140)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21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상기 제2 탄성부재(210)는 상측으로 돌출된 굴곡부(211)의 하면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충격전달돌기(211); 상기 하우징부(200)는 상기 충격전달돌기(211)가 통과하는 관통공(24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관한 발명이며, 자기력으로 상기 타격부재(11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30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위의 시미현상 저감장치가 장착된 이륜 이동수단;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대상에 타격을 인가하여 대상과 지면의 접지력을 높이는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있어서, 타격을 인가하여 대상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접지력 향상부(100);
상기 접지력 향상부(100)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타격이 인가되는 대상에 장착되는 하우징부(200); 상기 접지력 향상부(100)는 상기 하우징부(200) 내부에 형성되는 이동경로(201)를 따라 직선운동하는 타격부재(110), 상기 타격부재(110)와 상기 하우징부(200)를 연결하며 탄성력을 가지는 제1 탄성부재(120), 상기 타격부재(110)의 운동을 조절하는 작동조절부(1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대상에 타격을 인가하여 대상과 지면의 접지력을 높이는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있어서, 타격을 인가하여 대상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접지력 향상부(100);
상기 접지력 향상부(100)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타격이 인가되는 대상에 장착되는 하우징부(200); 상기 접지력 향상부(100)는 상기 하우징부(200) 내부에 형성되는 이동경로(201)를 따라 직선운동하는 타격부재(110), 상기 타격부재(110)와 상기 하우징부(200)를 연결하며 탄성력을 가지는 제1 탄성부재(120), 상기 타격부재(110)의 운동을 조절하는 작동조절부(130);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대상에 시미현상이 발생한 이동수단에 종방향으로 타격을 인가 가능하므로, 이동수단과 지면의 접지력을 높여 시미현상을 최소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타격부재를 운동시키므로, 타격부재를 통한 타격이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반복적인 타격을 통해 시미현상으로 인한 핸들의 횡방향 운동반경을 안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판스프링의 반발탄성력을 이용하여 타격부재와 결합된 스프링을 압축시킬 수 있으므로, 타격부재가 대상을 타격하는 횟수를 극대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자기력을 이용하여 타격부재의 초기 위치를 조정 가능하므로, 해머부가 타격부재에 효과적으로 힘을 인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시미현상 저감장치가 이륜 이동수단에 결합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
도 2은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의한 시미현상 저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 내지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시미현상 저감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6 내지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시미현상 저감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시미현상 저감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충격전달부재, 제2 탄성부재의 형상을 구체화한 사시도.
도 2은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의한 시미현상 저감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 내지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시미현상 저감장치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개념도.
도 6 내지 도 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시미현상 저감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8은 시미현상 저감장치의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제1 충격전달부재, 제2 탄성부재의 형상을 구체화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1000)는, 타격을 인가하여 대상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접지력 향상부(100); 상기 접지력 향상부(100)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타격이 인가되는 대상에 장착되는 하우징부(200); 를 포함하는 시미현상 저감장치.
시미현상은 주행 중 핸들 및 바퀴가 좌우로 흔들려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는 현상을 말하며, 바퀴의 정렬이 올바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지면과 접하는 바퀴간의 회전속도차이, 타이어의 공압차이, 현수장치의 틈새 유격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는 시미현상 중, 지면과 접하는 바퀴간의 회전속도 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시미현상의 경우, 이륜 구조의 이동수단이 점프 후 낙하하며 지면과 접하는 시점에서 크게 나타나 사고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때, 바퀴의 회전속도 차이로 발생하는 시미현상은 바퀴와 지면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경우 빠르게 해소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하우징부(200) 상에 수용되는 접지력 향상부(100)가 타격을 통해 이동수단(A)에 상하방향으로 힘을 인가하여, 이동수단(A)의 바퀴(B)와 지면(C) 사이의 접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였다.
상세히 설명하면, 좌우로 흔들리는 바퀴에 상하방향으로 힘을 인가하여, 좌우방향으로 발생하는 바퀴의 흔들림을 빠르게 안정화한 것이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접지력 향상부(100)는 상기 하우징부(200) 내부에 형성되는 이동경로(201)를 따라 직선운동하는 타격부재(110); 상기 타격부재(110)와 상기 하우징부(200)를 연결하며 탄성력을 가지는 제1 탄성부재(120); 상기 타격부재(110)의 운동을 조절하는 작동조절부(13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12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타격부재(11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우징부(200)의 내면에 결합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실시예 2-2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은 복수개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것; 을 포함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작동조절부(130)는 상기 타격부재(110)를 당겨 상기 제1 탄성부재(120)를 압축시키는 선형의 압축부재(131);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압축부재(131)를 감거나 당기는 구동장치; 를 포함한다.
접지력 향상부(100)는 하우징부(200) 내부에 형성되는 이동경로(201)를 따라 타격부재(110)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시켜 하우징부(200)를 타격하거나, 이동수단의 스티어링 바(D)에 타격을 인가하는 방법으로 앞바퀴에 종방향으로 힘을 인가한다.
이때, 단순히 상기 타격부재(110)가 중력에 의해 낙하하는 힘으로 이동경로(201)를 형성하는 하우징부(200)의 하면(201) 또는 스티어링 바(D)에 타격을 인가 시, 바퀴(B)로 인가되는 종방향 힘이 매우 약해 시미현상을 빠르게 안정화할 수 없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탄성부재(12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타격부재(110)가 보다 강한 충격파를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상세히 설명하면, 와이어와 같은 선형의 압축부재(131)가 구동장치가 작동되며 상기 타격부재(110)를 당기면, 상기 타격부재(131)가 상측으로 상승하며 제1 탄성부재(120)를 압축시키고, 압축부재(131)가 타격부재(110)를 당기는 힘이 줄어들면, 제1 탄성부재(120)가 압축되기 전의 형상으로 복원되며 타격부재(110)를 밀어, 타격부재(110)가 대상을 보다 강하게 타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탄성부재(120)는 코일스프링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개가 상기 타격부재(110)의 상하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일정거리 이격 배치되는 것을 권장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부재(131)를 작동시키는 구동장치는 이동수단 상에 구비된 동력장치, 동력장치에 결합된 클러치 등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므로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2-5)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200)는 상기 타격부재(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탄성부재(120)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21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6)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실시예 2-5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재(210)는 판스프링, 링스프링 중 어느 하나이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실시예 2-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200)는 상기 제2 탄성부재(210) 상부면에 밀착결합되는 플레이트 타입의 제1 충격전달부재(220); 를 포함한다.
(실시예 2-8)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실시예 2-6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200)는 는 상기 제2 탄성부재(210)의 가장자리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230); 을 포함한다.
타격부재(110)를 통한 타격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경우 바퀴의 좌우 흔들림을 보다 빠르게 안정화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타격부재(110)의 하측에 탄성력을 가지는 제2 탄성부재(210)를 위치시켜, 작동조절부(130)가 1회만 작동하여도 타격부재(110)가 상측에 위치된 제1 탄성부재(120)와 하측에 위치된 제2 탄성부재(210)에 의해 복수번 왕복직선운동 가능하게 하였다.
상세히 설명하면, 탄성력을 가지는 부재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힘에 의해 변형된 후 복원되며 힘을 인가한 대상을 미는 특성(반발탄성력)을 가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제1 탄성부재(120)와 제2 탄성부재(210)를 타격부재(110)의 운동방향 양측에 위치시켜, 타격부재(110)가 제1 탄성부재(120)와 제2 탄성부재(210) 사이에서 왕복운동하며 연속적으로 충격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타격부재(110)가 물결 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지는 상기 제2 탄성부재(210)에 고르게 타격을 인가할 수 있도록, 제2 탄성부재(210)의 상부면에는 판형의 제1 충격전달부재(220)가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충격전달부재(220)는 제2 탄성부재(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탄성부재(210)를 통한 충격의 전달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제2 탄성부재(210)가 이동경로(201)를 형성하는 하우징부(200)의 하측 내주면에 밀착되어야 하므로, 하우징부(200)의 하측 내주면에는 제2 탄성부재(210)의 가장자리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230)이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접지력 향상부(100)는 상기 하우징부(200) 내부에 형성되는 이동경로(201)를 따라 직선운동하는 타격부재(110); 상기 하우징부(2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타격부재(110)에 힘을 인가하는 해머부(140); 를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해머부(140)는 반경방향으로 관통공(1)이 형성되는 해머몸체(141); 상기 관통공(1)에 끼워지는 축부(142); 상기 축부(142)에 편심지게 결합되는 편심캠(143); 상기 축부(142) 를 회전시키는 동력장치(144); 를 포함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편심캠(143)은 상기 축부(142)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이격배치되는 것; 을 포함한다.
이동경로(201)를 따라 이루어지는 타격부재(110)의 상하방향 직선운동은 상기 해머부(140)에서 타격부재(110)를 타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해머부(140)의 작동은 해머몸체(141)의 관통공에 끼워진 축부(142)가 동력장치(144)에 의해 회전하면, 축부(142)에 결합된 편심캠(143)이 해머몸체(141)를 상하방향으로 왕복시켜, 해머몸체(141)가 타격부재(110)를 타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편심캠(143)은 복수개가 축부(142)의 길이방향으로 나열 형성되어, 축부(142)의 회전력을 보다 안정적으로 해머몸체(141)에 전달하는 것을 권장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200)는 상기 타격부재(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해머부(140)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210); 를 포함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실시예 3-4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재(210)는 판스프링, 링스프링 중 어느 하나이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3-6)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실시예 3-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200)는 상기 제2 탄성부재(210) 상부면에 밀착결합되는 플레이트 타입의 제1 충격전달부재(220); 를 포함한다.
(실시예 3-7)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실시예 3-6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200)는 는 상기 제2 탄성부재(210)의 가장자리가 끼워져 고정되는 고정홈(230); 을 포함한다.
상기 타격부재(110)의 하측에는 상기 제2 탄성부재(210)가 위치되어 반박탄성력으로 이동경로(201)를 따라 타격부재(110)가 복수번 왕복운동하게 하며, 이러한 제2 탄성부재(210)의 상부면에는 굴곡진 구조를 가지는 제2 탄성부재(210)로 타격부재(110)의 힘을 고르게 분산시키기 위한 제1 충격전달부재(220)가 위치될 수 있다.
(실시예 3-8)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실시예 3-6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재(210)는 상측으로 돌출된 굴곡부(211)의 하면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충격전달돌기(212); 를 포함한다.
(실시예 3-9)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실시예 3-8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200)는 상기 충격전달돌기(212)가 통과하는 관통공(240); 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탄성부재(210)는 이동경로(201)를 형성하는 상기 하우징부(200)의 하면을 통해 이동수단의 스티어링 바(D)로 충격파를 전달할 수 있으나, 충격파 전달 과정에서 힘이 소실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직접 스티어링 바(D)로 충격을 전달할 수도 있다.
직접적인 충격 전달을 위하여, 물결형태의 단면구조를 가지는 상기 제2 탄성부재(210)는 상측으로 돌출된 굴곡부(211)의 하면에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충격전달돌기(212)가 형성되어야 하며, 상기 하우징부(200)의 하면에는 상기 충격전달돌기(212)가 통과하는 관통공(240)이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물결형태의 단면형상 및 탄성력을 가지는 상기 제2 탄성부재(210)는 상기 타격부재(110)에 의해 타격 시 평평한 형태로 변형되므로, 제2 탄성부재(210)의 굴곡부(211)에 충격전달돌기(212)를 형성하여, 제2 탄성부재(210)가 평평하게 펴질 시 충격전달돌기(212)가 관통공(240)을 통과하여 하우징부(200)에 결합되어 있는 이동수단의 스티어링 바(D)를 직접 타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2에 있어서, 자기력으로 상기 타격부재(11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300); 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300)는 상기 타격부재(110) 상에 형성되며 일정한 극성을 가지는 제1 자석부(310); 상기 하우징부(200) 상에 상기 제1 자석부(310)와 마주보게 형성성되며 입력되는 전류 방향에 대응하여 극성이 가변되는 제2 자석부(320); 상기 제2 자석부(320)로 입력되는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는 제어모듈(330); 을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석부(310)는 상기 타격부재(110) 두께방향 일측에 위치되는 제1-1 자석부(311); 두께방향 타측에 위치되며 상기 제1-1 자석부(311)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1-2 자석부(312); 를 포함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실시예 4-3에 있어서, 상기 제2 자석부(320)는 상기 제1-1 자석부(311)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제2-1 자석부(321); 상기 제1-2 자석부(311)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제2-2 자석부(322); 를 포함한다.
(실시예 4-5)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300)는 상기 타격부재(110)의 실시간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감지부(340); 를 포함한다.
(실시예 4-6)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330)은 상기 위치감지부(340)와 통신하여 타격부재(110)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상기 타격부재(110)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해머부(140)의 작동시점을 조절하는 것; 을 포함한다.
상기 해머부(140)의 상기 타격부재(110) 타격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하여, 상기 타격부재(110)의 위치는 상기 위치조절부(300)에서 조절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해머몸체(141)는 상기 축부(142)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거리가 축부(142)에 결합된 편심캐의 회전반경에 제한되므로, 위치조절부(300)를 이용하여 타격부재(110)의 위치를 해머몸체(141)가 타격 가능한 위치로 조절하여 준 것이다.
이때, 상기 위치조절부(300)의 타격부재(110) 위치 조절은 타격부재(110)의 두께방향 타측에 위치되는 제1-2 자석부(311)와, 하우징부(200) 상에 제1-2 자석부(311)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제2-2 자석부(322)의 극성을 동일하게 하여 타격부재(110)를 리프팅하는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보다 올바른 타격부재(110)의 위치 조절을 위하여 타격부재(110)의 두께방향 일측에 제1-1 자석부(311)가 형성되고, 해머몸체(141) 상에 제1-1 자석부(311)와 마주보는 제2-1 자석부(321)가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모듈(330)에서 상기 제2-1 자석부(321)의 극성을 상기 제1-1 자석부(311)의 극성과 같거나 다르게 조절하여, 타격부재(110)의 위치를 설계된 위치로 정확히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부(200) 상에는 상기 타격부재(110)의 위치파악 및 이동방향 파악을 위한 위치감지부(340)가 형성되며, 상기 제어모듈(330)은 상기 위치감지부(340)에서 파악되는 타격부재(110)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해머부(140)를 작동시킨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실시예 1-1 내지 실시예 4-1 중 어느 하나의 시미현상 저감장치를 포함하는 시미현상 저감장치가 장착된 이륜 이동수단에 관한 것으로, 전측바퀴 상부에 상기 시미현상 저감장치가 결합되는 시미현상 저감장치가 장착된 이륜 이동수단; 을 포함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가 장착된 이륜 이동수단은 실시예 5-1에 있어서, 탑승부와 마주보는 핸들의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접지력 향상부(100)를 작동시키는 작동버튼;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인 시미현상 저감장치는 특히 시밍현상이 크게 나타나는 이륜 이동수단에 장착되는 것을 권장하며, 이륜 이동수단에 탑승한 사용자가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핸들의 옆에 작동버튼이 형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100 : 접지력 향상부 110 : 타격부재
120 : 제1 탄성부재 130 : 작동조절부
131 : 압축부재 140 : 해머부
141 : 해머몸체 142 : 축부
143 : 편심캠 144 : 동력장치
200 : 하우징부 210 : 제2 탄성부재
211 : 굴곡부 212 : 충격전달돌기
220 : 제1 충격전달부재 230 : 고정홈
240 : 관통공
300 : 위치조절부 310 : 제1 자석부
311 : 제1-1 자석부 312 : 제1-2 자석부
320 : 제2 자석부 321 : 제2-1 자석부
322 : 제2-2 자석부 330 : 제어모듈
340 : 위치감지부
A : 이동수단 B : 바퀴
C : 지면 D : 스티어링 바
120 : 제1 탄성부재 130 : 작동조절부
131 : 압축부재 140 : 해머부
141 : 해머몸체 142 : 축부
143 : 편심캠 144 : 동력장치
200 : 하우징부 210 : 제2 탄성부재
211 : 굴곡부 212 : 충격전달돌기
220 : 제1 충격전달부재 230 : 고정홈
240 : 관통공
300 : 위치조절부 310 : 제1 자석부
311 : 제1-1 자석부 312 : 제1-2 자석부
320 : 제2 자석부 321 : 제2-1 자석부
322 : 제2-2 자석부 330 : 제어모듈
340 : 위치감지부
A : 이동수단 B : 바퀴
C : 지면 D : 스티어링 바
Claims (10)
- 대상에 타격을 인가하여 대상과 지면의 접지력을 높이는 시미현상 저감장치에 있어서,
타격을 인가하여 대상의 접지력을 향상시키는 접지력 향상부(100);
상기 접지력 향상부(100)가 이동하는 경로를 형성하며, 타격이 인가되는 대상에 장착되는 하우징부(200);
상기 접지력 향상부(100)는 상기 하우징부(200) 내부에 형성되는 이동경로(201)를 따라 직선운동하는 타격부재(110), 상기 타격부재(110)와 상기 하우징부(200)를 연결하며 탄성력을 가지는 제1 탄성부재(120), 상기 타격부재(110)의 운동을 조절하는 작동조절부(130); 를 포함하는 시미현상 저감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120)는 길이방향 일측이 상기 타격부재(110)에 연결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상기 하우징부(200)의 내면에 결합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시미현상 저감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작동조절부(130)는 상기 타격부재(110)를 당겨 상기 제1 탄성부재(120)를 압축시키는 선형의 압축부재(131);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압축부재(131)를 감거나 당기는 구동장치; 를 포함하는 시미현상 저감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지력 향상부(100)는 상기 하우징부(200) 내부에 형성되는 이동경로(201)를 따라 직선운동하는 타격부재(110);
상기 하우징부(200)의 길이방향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타격부재(110)에 힘을 인가하는 해머부(140); 를 포함하는 시미현상 저감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해머부(140)는 반경방향으로 관통공(1)이 형성되는 해머몸체(141);
상기 관통공(1)에 끼워지는 축부(142);
상기 축부(142)에 편심지게 결합되는 편심캠(143);
상기 축부(142) 를 회전시키는 동력장치(144); 를 포함하는 시미현상 저감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200)는 상기 타격부재(110)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해머부(140)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제2 탄성부재(210); 를 포함하는 시미현상 저감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재(210)는 상측으로 돌출된 굴곡부(211)의 하면에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충격전달돌기(211);
상기 하우징부(200)는 상기 충격전달돌기(211)가 통과하는 관통공(240); 를 포함하는 시미현상 저감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자기력으로 상기 타격부재(11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부(300); 를 포함하는 시미현상 저감장치.
- 청구항 1의 시미현상 저감장치를 포함하는 이륜 이동수단.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4452A KR102344784B1 (ko) | 2020-12-14 | 2020-12-14 | 시미현상 저감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74452A KR102344784B1 (ko) | 2020-12-14 | 2020-12-14 | 시미현상 저감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44784B1 true KR102344784B1 (ko) | 2022-01-18 |
Family
ID=8005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74452A KR102344784B1 (ko) | 2020-12-14 | 2020-12-14 | 시미현상 저감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44784B1 (ko) |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80054120A (ko) * | 1996-12-27 | 1998-09-25 | 박병재 | 스티어링 컬럼의 시미방지장치 |
KR0131115Y1 (ko) * | 1994-06-27 | 1998-12-15 | 전성원 | 요오크 추력 가변형 요오크 지지장치 |
KR20060066477A (ko) | 2004-12-13 | 2006-06-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스티어링 휠의 시미 저감장치 |
KR20070063322A (ko) * | 2005-12-14 | 2007-06-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스티어링 핸들 시미저감장치 |
KR20080009802A (ko) | 2006-07-25 | 2008-01-30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스티어링휠의 시미 저감장치 |
KR20080013490A (ko) * | 2006-08-09 | 2008-02-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진동 저감 장치가 마련된 조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동저감 방법 |
KR20090062841A (ko) | 2007-12-13 | 2009-06-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너클의 시미 저감장치 |
KR20100063438A (ko) | 2008-12-03 | 2010-06-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조향핸들의 시미저감장치 |
CN109515601A (zh) * | 2018-11-12 | 2019-03-26 | 北京久硕新材科技发展有限公司 | 可调附着力的宽平胎两轮电动车辆 |
KR20200083888A (ko) * | 2019-01-01 | 2020-07-09 | 김원봉 |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
-
2020
- 2020-12-14 KR KR1020200174452A patent/KR10234478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31115Y1 (ko) * | 1994-06-27 | 1998-12-15 | 전성원 | 요오크 추력 가변형 요오크 지지장치 |
KR19980054120A (ko) * | 1996-12-27 | 1998-09-25 | 박병재 | 스티어링 컬럼의 시미방지장치 |
KR20060066477A (ko) | 2004-12-13 | 2006-06-1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스티어링 휠의 시미 저감장치 |
KR20070063322A (ko) * | 2005-12-14 | 2007-06-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스티어링 핸들 시미저감장치 |
KR20080009802A (ko) | 2006-07-25 | 2008-01-30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스티어링휠의 시미 저감장치 |
KR20080013490A (ko) * | 2006-08-09 | 2008-02-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진동 저감 장치가 마련된 조향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진동저감 방법 |
KR20090062841A (ko) | 2007-12-13 | 2009-06-1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너클의 시미 저감장치 |
KR20100063438A (ko) | 2008-12-03 | 2010-06-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조향핸들의 시미저감장치 |
CN109515601A (zh) * | 2018-11-12 | 2019-03-26 | 北京久硕新材科技发展有限公司 | 可调附着力的宽平胎两轮电动车辆 |
KR20200083888A (ko) * | 2019-01-01 | 2020-07-09 | 김원봉 | 자전거 프런트 서스펜션 포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707215A (en) | Tuned resonant oscillating mass inflation pump and method of extracting electrical energy therefrom | |
AU200426496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 control of golf club impact | |
EP2279831B1 (en) | Vibration damping system for a power tool and in particular for a powered hammer | |
JP4471103B2 (ja) | 車両の制駆動力制御装置 | |
JP5214636B2 (ja) | 車両用加振装置アセンブリ | |
JP2008544418A (ja) | 磁極類似物を用いる変位検出センサーを装備するペダル | |
KR102344784B1 (ko) | 시미현상 저감장치 | |
EP3227057B1 (de) | Handwerkzeugmaschine und steuerungsverfahren dafür | |
JPH11135322A (ja) | アーマチュア運動を考慮して電磁アクチュエータを運転する方法 | |
JPH02296520A (ja) | 車両振動制御装置 | |
US20080134787A1 (en) | Vibration reducing device and vibration reducing method | |
CN107850433A (zh) | 在驱动模式具有最小化的干扰运动的转速传感器 | |
KR101389960B1 (ko) | 전동공구용 진동저감장치 | |
CN1867381B (zh) | 用于高尔夫球棒碰撞的有源控制的方法和装置 | |
US20230051929A1 (en) | Method and System of a Tire Load Sensor | |
KR101938530B1 (ko) | 차량용 전자식 서스펜션 | |
EP0445132A1 (en) | Solenoid shock absorbing bumper arrangement and method | |
CN209521696U (zh) | 用于轨道车辆的轨道清理器 | |
US20150042409A1 (en) | System for continuously oscillating a cantilevered beam | |
KR102270536B1 (ko) | 자기 소버 구조 | |
KR102071247B1 (ko) | 자기장을 이용한 수직 진동 운동 장치 | |
JPH04300709A (ja) | 能動型サスペンション | |
WO2003000004A3 (en) | Autonomous intermittent-pulse-train motion control system | |
KR20150071231A (ko) | 쇽업소버 설치각 가변구조를 갖는 차량 | |
JPH04257702A (ja) | 緩衝装置付キャス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