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275B1 - Frame unit for inflatable tent - Google Patents

Frame unit for inflatable 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275B1
KR102344275B1 KR1020200076251A KR20200076251A KR102344275B1 KR 102344275 B1 KR102344275 B1 KR 102344275B1 KR 1020200076251 A KR1020200076251 A KR 1020200076251A KR 20200076251 A KR20200076251 A KR 20200076251A KR 102344275 B1 KR102344275 B1 KR 102344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mmunication hole
air
lower tube
unit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62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희재
임이영
Original Assignee
(주)우성아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성아이비 filed Critical (주)우성아이비
Priority to KR1020200076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27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2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1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with inflatable tubular framework, with or without tent co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nit frame for an inflatable tent, which can be interconnected in multiple pieces so as to be able to easily form a relatively large internal space and be structurally strong. The unit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lower tubes (10) provided upward from the ground; a pair of upper tubes (20)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tube (10) and connected to the upper end thereof; and a bent part (30) formed at a connection part between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Description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FRAME UNIT FOR INFLATABLE TENT}FRAME UNIT FOR INFLATABLE TENT

본 발명은 공기주입식 텐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개로 상호 연결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대형의 내부 공간을 손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 구조적으로 견고해지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latable t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unit frame for an inflatable tent, which can be interconnected in multiple pieces so that a relatively large internal space can be easily formed while being structurally strong.

일반적으로 텐트는 프레임과 천막을 이용해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하여 임시적인 주거가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수단이며 주로 야외에서 캠핑용으로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한다.In general, a tent is a means to form a space for temporary housing by simply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using a frame and a tent, and is mainly used for easily installing and using outdoor camping.

통상적인 텐트의 구조는 대체로 지면이나 데크(Deck) 혹은 기타 설치면 상에 프레임을 설치하고 직물 재질로 이루어진 천막을 프레임 상에 팽팽하게 펼쳐 고정함으로써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The structure of a typical tent is generally configured to form a certain space by installing a frame on the ground or on a deck or other installation surface, and stretching and fixing a tent made of a textile material on the frame.

이와 같은 종래의 텐트는 설치 및 해체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사용상의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고, 텐트의 주요 부품이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대적으로 무겁고, 그에 따라 그 취급 관리가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Such a conventional tent requir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install and dismantle, so it has difficulties in us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and the main parts of the tent are made of metal and are relatively heavy, and thus handling and management is very inconvenient. There was a problem.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공기주입식 텐트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공기주입식 텐트는 텐트의 골조나 전체를 공기튜브 형태로 형성하여 공기의 주입으로 텐트를 형성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recently, an inflatable tent has been developed and provided. Such an inflatable tent is to form the tent frame or the entire tent in the form of an air tube, and form a tent by injection of air.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problems.

종래의 공기주입식 텐트는 대략 2 내지 10인 정도의 인원을 수용하는 크기로 이루어져 간이 병동이나 간이 수용시설과 같은 상대적으로 대형의 내부 공간을 손쉽게 형성할 수 없어 사용범위가 상당히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conventional inflatable tent is sized to accommodate approximately 2 to 10 people, so it is not possible to easily form a relatively large internal space such as a simple ward or a simple accommodation facility, so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ange of use is considerably limited.

또한, 종래의 공기주입식 텐트는 구조적으로 견고하지 못하고 공기의 잦은 누설로 빈번히 공기를 재충진해야 하는 사용상의 불편함이 상당히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inflatable tent is structurally not robus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nconvenience of use that has to be frequently refilled with air due to frequent leakage of air is quite high.

등록특허 제10-1846655호 "공기 주입식 텐트"(2018.04.02)Registered Patent No. 10-1846655 "Air-injected tent" (2018.04.02)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로 상호 연결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대형의 내부 공간을 손쉽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 구조적으로 견고해지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를 제공함에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nit frame for an inflatable tent that can be interconnected in a plurality of pieces so that a relatively large internal space can be easily formed while being structurally strong.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공기주입부를 구비하여 사용시에 공기 빠짐이 적절히 방지되면서 일정한 공기압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를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nit frame for an air-injected tent that is provided with an automatic air injection unit to ensure that the air is properly prevented from escaping during use and maintained at a constant air pressur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는, 지면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면서 대칭되게 판형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하부튜브와; 상기 하부튜브의 상단에 하단이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면서 대칭되게 판형으로 구비되며, 상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튜브와; 상기 하부튜브의 상단과 상기 상부튜브의 하단의 연결부위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상부튜브의 상단 연결부위에 구비되어 각각을 굽힘되게 하는 3개의 굽힘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튜브와 상부튜브는, 그 내부 양면에 다수개의 형태유지라인이 부착되어 공기의 주입으로 판형의 튜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unit frame for inflatabl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lower tubes that are inclined upward from the ground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symmetrically provided in a plate shape; a pair of upper tubes integrally formed with a lower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end of the lower tube, provided in a plate shape symmetrically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an upper end integrally connected; three bending parts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tube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tube, and provided at the upper connecting part of the upper tube to bend each; Including, wherein the lower tube and the upper tube, a plurality of shape maintenance lines are attached to the inner both sides of the air is injected to form a plate-shaped tu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의 상기 굽힘부는, 상기 하부튜브의 상단과 상기 상부튜브의 하단의 연결부위의 하면과 상기 상부튜브의 상단 연결부위의 하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접어서 브이자형으로 형성되는 브이홈과, 상기 브이홈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부착되는 브이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ending portion of the "unit frame for inflatabl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on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tube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tub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nnection part of the upper tube are concave inwardl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V-groove formed in a V-shaped fold, and a V-tape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V-groove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는, 지면에서 상부로 경사지면서 라운드지게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면서 대칭되게 라운드진 판형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하부튜브와; 상기 하부튜브의 상단에 하단이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면서 대칭되게 라운드진 판형으로 구비되며, 상단이 일체로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튜브와; 상기 하부튜브와 상부튜브가 반원형의 라운드를 유지하도록 한 쌍의 상기 하부튜브의 하단 사이에 양단이 수평으로 부착되는 하부연결막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튜브와 상부튜브는, 그 내부 양면에 다수개의 형태유지라인이 부착되어 공기의 주입으로 판형의 튜브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unit frame for inflatable t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be rounded while inclined upward from the ground, and is provided in a symmetrically rounded plate shap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air of lower tubes; a pair of upper tubes integrally formed with a lower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end of the lower tube, provided in a symmetrically rounded plate shap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an upper end integrally and roundly connected; a lower connection membrane having both ends horizontally attached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lower tubes so that the lower tube and the upper tube maintain a semicircular round; Including, wherein the lower tube and the upper tube, a plurality of shape maintenance lines are attached to the inner both sides of the air is injected to form a plate-shaped tub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의 상기 하부튜브는, 그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측면연통공과, 상기 측면연통공이 밀폐되도록 상기 측면연통공의 내측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튜브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내부측면패드와, 상기 측면연통공이 밀폐되도록 상기 측면연통공의 외측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튜브의 외부면에 부착되는 외부측면패드와, 상기 내부측면패드와 외부측면패드에 구비되는 투명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tube of the "unit frame for inflatabl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inner side of the side communication hole so that the side communication hole formed to communicat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the side communication hole is sealed, the lower part An inner side pa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an outer side pad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tube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side communication hole to seal the side communication hole, and the inner side pad and the outer side pad A transparent window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의 상기 상부튜브는, 그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상면연통공과, 상기 상면연통공이 밀폐되도록 상기 상면연통공의 내측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튜브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내부상면패드와, 상기 상면연통공이 밀폐되도록 상기 상면연통공의 외측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튜브의 외부면에 부착되는 외부상면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tube of the "unit frame for an inflatabl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formed to communicat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the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so that the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is sealed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upper tube An inner upper surface pad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and an outer upper surface pad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tub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to seal the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는, 상기 하부튜브와 상부튜브의 측단에 장착되고, 상기 단위골조와 단위골조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부튜브와 상부튜브의 측단에 한 쌍씩 부착되는 다수의 힌지부와, 상기 한 쌍의 힌지부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힌지부에 끼워지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nit frame for an inflatabl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side ends of the lower tube and the upper tube, the connection portion for interconnecting the unit frame and the unit frame; Further comprising, the connecting portion, a plurality of hinge portions attached to the side ends of the lower tube and the upper tube one by one, and a hinge pin fitted to the hinge portion so that the pair of hinge portions are rotatably fixed in an engaged state. ,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는, 상기 하부튜브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튜브에 공기를 자동으로 주입하여 상기 하부튜브와 상부튜브의 공기압이 유지되도록 하는 자동공기주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공기주입부는, 상기 하부튜브의 외측에 구비되고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공기압축기와, 상기 공기압축기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튜브의 공기압력을 감지한 후에 설정된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자동주입기와, 상기 자동주입기에서 상기 하부튜브에 연결되는 연결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nit frame for an inflatabl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the lower tube, an automatic air injection unit for automatically injecting air into the lower tube so that the air pressure of the lower tube and the upper tube is maintained; Further comprising, the automatic air injection unit, an air compressor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lower tube and generating compressed air,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and supplying air at a set pressure after sensing the air pressure of the lower tube An automatic injector, and a connecting pipe connected to the lower tube in the automatic injecto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의 상기 자동주입기는, 상기 공기압축기와 연결배관 사이에 연결되는 내부배관과, 상기 공기압축기에 연결되는 상기 내부배관의 관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배관을 개폐시키는 자동개폐밸브와, 상기 자동개폐밸브의 다음으로 상기 내부배관의 관로상에 설치되고 설정된 압력으로 공기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와, 상기 압력조절기의 다음으로 상기 내부배관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배관과 연결되는 상기 연결배관의 내부의 공기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자동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압력감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utomatic injector of the "unit frame for inflatabl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inner pipe connected between the air compressor and the connecting pipe, and the inner pipe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and the An automatic opening/closing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ternal pipe, a pressure regulator installed on the pipe line of the internal pipe next to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valve and adjusting the air pressure to a set pressure, and installed in the internal pipe next to the pressure regulator, the and a pressure sensor for controlling the automatic opening/closing valve by sensing the air pressure inside the connecting pipe connected to the internal pip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는, 상기 하부튜브와 상부튜브의 내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부튜브와 상부튜브의 내측과 지면 사이에 기밀되게 설치되고, 중앙에 개폐도어가 구비되는 격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nit frame for inflatabl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irtightly install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tube and the upper tube and the ground to cover the inner side of the lower tube and the upper tube, and an opening and closing door is provided in the center becoming a diaphrag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수개로 상호 연결할 수 있어 상대적으로 대형의 내부 공간을 손쉽게 형성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구조적으로 견고해져 사용상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erconnected in multiple pieces, so that a relatively large internal space can be easily formed, so that convenience in use is remarkably improved, and stability in use is improved by structurally robustness.

또한, 본 발명은, 자동공기주입부를 구비하여 사용시에 공기 빠짐이 적절히 방지되면서 일정한 공기압으로 유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공기 빠짐에 의한 구조적인 안정성의 저하가 미연에 방지되면서 사용상의 안정성이 보다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intained at a constant air pressure while having an automatic air injection unit to properly prevent air loss during use, and accordingly, a decrease in structural stability due to air loss is prevented in advance, and stability in use is further improved has the effect of be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위골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위골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위골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위골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위골조의 개략적인 요부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위골조의 연결부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단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위골조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위골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위골조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unit fram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unit fram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2;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unit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unit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structural diagram of a main part of a unit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showing a connection part of a unit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unit fram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unit fram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unit fram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단위골조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는 지면에서 상부로 구비되는 한 쌍의 하부튜브(10)와, 상기 하부튜브(10)의 상단에 연통되게 일체로 연결되고 상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튜브(20)와,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연결부위에 형성되는 굽힘부(30)를 포함한다.1 to 3 are schematic views of a unit fram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is figure, the unit frame for an inflatable ten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ted with a pair of lower tubes 10 provided from the ground to the upper part, and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end of the lower tube 10 . and a pair of upper tubes 20 connected to each other and having an upper end connected thereto, and a bent portion 30 form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

상기 하부튜브(10)는 지면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면서 대칭되게 판형으로 구비되며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공기의 주입으로 판형의 견고한 튜브를 형성하면서 텐트의 하부 골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동시에 튜브 형태로 형성되면서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lower tube 10 is provided inclined from the ground to the upper part and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symmetrically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rovided in a pair. At the same time, it is formed in the form of a tube, and an air layer is formed inside to improve thermal insulation.

이와 같은 상기 하부튜브(10)는 그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측면연통공(11)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연통공(11)은 상기 하부튜브(10)의 양측면으로 공간지를 절단하여 구멍을 형성하는 것으로, 공간지의 절단으로 상기 하부튜브(10)의 중량을 경감시키면서 공기의 주입 공간을 감소시켜 공기가 보다 신속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lower tube 10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side communication hole 11 formed to communicate inwardly from the outside thereof. The side communication hole 11 is to form a hole by cutting the space paper on both sides of the lower tube 10, and by cutting the space paper, the weight of the lower tube 10 is reduced while reducing the air injection space. to be injected more quickly.

상기 상부튜브(20)는 상기 하부튜브(10)의 상단에 하단이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면서 대칭되게 판형으로 구비되며 상단이 일체로 연결되고 한 쌍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튜브(10)와 연통되어 공기의 주입으로 판형의 견고한 튜브를 형성하면서 텐트의 상부 골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동시에 튜브 형태로 형성되면서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upper tube 2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lower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end of the lower tube 10,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symmetrically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the upper end is integrally connected and provided as a pair, the lower tube ( 10) and plays a role in forming the upper frame of the tent while forming a plate-shaped solid tube by injecting air, and at the same time it is formed in a tube form and plays a role in improving insulation by forming an air layer inside.

이와 같은 상기 상부튜브(20)는 그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상면연통공(2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면연통공(21)은 상기 상부튜브(20)의 경사진 상면 양측으로 공간지를 절단하여 구멍을 형성하는 것으로, 공간지의 절단으로 상기 상부튜브(20)의 중량을 경감시키면서 공기의 주입 공간을 감소시켜 공기가 보다 신속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upper tube 20 as described above further includes an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21 formed to communicat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21 is to form a hole by cutting the space paper on both sides of the inclined upper surface of the upper tube 20, while reducing the weight of the upper tube 20 by cutting the space paper, the air injection space This is to allow air to be injected more quickly.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는 그 내부 양면에 다수개의 형태유지라인(S)이 부착되는데, 상기 형태유지라인(S)은 공기튜브 형태의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내부면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가 평평하게 일정한 판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are attached to a plurality of shape maintaining lines (S) on both inner sides thereof, and the shape maintaining lines (S) are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in the form of an air tube. By interconnecting the inner surfaces of (20),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are known to maintain a flat plate shape.

이와 같이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기본 형태가 판 형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를 형성하는 공기튜브의 내부에 다수의 상기 형태유지라인(S)이 부착된 튜브를 당업계에서는 "공간지(Drop Stitch Material)"라 부른다.In this way, a plurality of the shape maintaining lines ( The tube to which S) is attached is called "Drop Stitch Material" in the art.

이렇게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가 상기 형태유지라인(S)을 가지는 공간지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차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구조적으로 견고해지며 단열성이 향상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are formed as a space paper having the shape maintaining line S, so that air shielding is made stably, structurally strong, and thermal insulation is improved.

상기 굽힘부(30)는 상기 하부튜브(10)의 상단과 상기 상부튜브(20)의 하단의 2개의 연결부위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상부튜브(20)의 상단의 1개의 연결부위에 구비되는 것으로, 각각의 연결부위를 굽힘되게 하여 본 단위골조를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오각형의 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다.The bending portion 30 is provided at two connecting portions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tube 20, respectively, and is provided at one connecting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upper tube 20. , each connecting part is bent so that the unit frame has an approximately pentagonal structure when viewed from the front.

이와 같은 상기 굽힘부(30)는 상기 하부튜브(10)의 상단과 상기 상부튜브(20)의 하단의 연결부위의 하면과 상기 상부튜브(20)의 상단 연결부위의 하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접어서 브이자형으로 형성되는 브이홈(31)과, 상기 브이홈(31)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부착되는 브이테이프(32)를 포함한다.The bent portion 30 is folded concave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tube 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of the upper tube 20 inward. It includes a V-groove 31 formed in a V-shaped shape, and a V-tape 32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V-groove 31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상기 브이홈(31)은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연결부위에 위치한 내측면이 접혀지도록 하여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연결부위가 일정한 각도로 굽혀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브이테이프(32)는 상기 브이홈(31)을 접착으로 고정시켜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연결부위가 굽혀진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V-groove 31 folds the inner surface positioned 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so that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is bent at a predetermined angle. is to let it go The V-tape 32 is to fix the V-groove 31 by adhesive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is maintained in a bent state.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단위골조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의 상기 하부튜브(10)는 상기 측면연통공(11)이 밀폐되도록 상기 측면연통공(11)의 내측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튜브(10)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내부측면패드(12)와, 상기 측면연통공(11)이 밀폐되도록 상기 측면연통공(11)의 외측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튜브(10)의 외부면에 부착되는 외부측면패드(13)와, 상기 내부측면패드(12)와 외부측면패드(13)에 구비되는 투명창(14)을 포함한다.4 to 8 are schematic views of a unit fram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lower tube 10 of the unit frame for inflatable ten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rresponds to the inner side of the side communication hole 11 so that the side communication hole 11 is sealed. The inner side pad 12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side communication hole 11 to correspond to the outside of the side communication hole 11 so that the sealing of the lower tube (10) It includes an outer side pad 13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and a transparent window 14 provided on the inner side pad 12 and the outer side pad 13 .

상기 내부측면패드(12)와 외부측면패드(13)는 상기 측면연통공(11)을 폐쇄하고 동시에 상기 측면연통공(11)을 이중으로 차폐하면서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투명창(14)은 내부나 외부에 있는 사용자가 실외 또는 실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inner side pad 12 and the outer side pad 13 close the side communication hole 11 and at the same time double shield the side communication hole 11 and form an air layer inside to improve heat insulation. do. The transparent window 14 is to allow a user inside or outside to visually check the outside or the inside.

상기 상부튜브(20)는 상기 상면연통공(21)이 밀폐되도록 상기 상면연통공(21)의 내측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튜브(20)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내부상면패드(22)와, 상기 상면연통공(21)이 밀폐되도록 상기 상면연통공(21)의 외측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튜브(20)의 외부면에 부착되는 외부상면패드(23)를 포함한다.The upper tube 20 has an inner upper surface pad 22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tube 20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21 so that the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21 is sealed; and an external upper surface pad 23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tube 20 to correspond to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21 so that the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21 is sealed.

상기 내부상면패드(22)와 외부상면패드(23)는 상기 상면연통공(21)을 폐쇄하고 동시에 상기 상면연통공(21)을 이중으로 차폐하면서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inner upper surface pad 22 and the outer upper surface pad 23 close the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21 and at the same time double shield the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21 while forming an air layer therein to improve heat insulation. do.

본 단위골조는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측단에 장착되는 연결부(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40)는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로 이루어진 단위골조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is unit frame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part 40 mounted to the side ends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 The connection part 40 is to interconnect the unit frame made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to each other.

이와 같은 상기 연결부(40)는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측단에 한 쌍씩 부착되는 다수의 힌지부(41)와, 상기 한 쌍의 힌지부(41)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힌지부(41)에 끼워지는 힌지핀(42)을 포함한다.The connection part 40 is rotated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hinge parts 41 attached one pair at a time to the side ends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and the pair of hinge parts 41 are engaged. and a hinge pin 42 fitted to the hinge part 41 to be fixed as possible.

상기 힌지부(41)는 상기 단위골조와 단위골조의 맞닿는 부위, 즉 하나의 하부튜브(10)와 그 일측에 밀착되는 다른 하나의 하부튜브(10) 및 하나의 상부튜브(20)와 그 일측에 밀착되는 다른 하나의 상부튜브(20)가 굽힘 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힌지핀(42)은 상기 힌지부(41)를 굽힘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상기 힌지핀(42)은 상기 힌지부(41)에서 빼내어 분해될 수도 있다.The hinge part 41 is a contact portion between the unit frame and the unit frame, that is, one lower tube 10 and the other lower tube 10 and one upper tube 20 and one side thereof in close contact with the one side. The other upper tube 2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 is to be hinged to be bendable, and the hinge pin 42 serves to bend the hinge part 41 to be bendable. The hinge pin 42 may be disassembled by taking it out of the hinge part 41 .

또한, 본 단위골조는 상기 하부튜브(10)에 설치되는 자동공기주입부(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동공기주입부(50)는 상기 하부튜브(10)에 공기를 자동으로 주입하여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공기압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is unit frame further includes an automatic air injection unit 50 installed in the lower tube (10). The automatic air injection unit 50 automatically injects air into the lower tube 10 so that the air pressure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is maintained.

이와 같은 상기 자동공기주입부(50)는 상기 하부튜브(10)의 외측에 구비되고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공기압축기(51)와, 상기 공기압축기(51)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튜브(10)의 공기압력을 감지한 후에 설정된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자동주입기(52)와, 상기 자동주입기(52)에서 상기 하부튜브(10)에 연결되는 연결배관(53)을 포함한다.The automatic air injection unit 50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lower tube 10 and is connected to an air compressor 51 for generating compressed air, and the air compressor 51 , and of the lower tube 10 . It includes an automatic injector 52 for supplying air at a set pressure after sensing the air pressure, and a connection pipe 53 connected to the lower tube 10 from the automatic injector 52 .

상기 공기압축기(51)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여 압축된 상태로 배출시키는 공지의 것으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The air compressor 51 is a well-known thing that sucks in external air by supplying power and discharges it in a compressed state, and serves to supply compressed air.

상기 자동주입기(52)는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공기압이 저하된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에 압축 공기를 자동으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가 일정한 공기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automatic injector 52 automatically detects a state in which the air pressure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is lowered and automatically supplies compressed air to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by , so that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can maintain a constant air pressure state.

이와 같은 상기 자동주입기(52)는 상기 공기압축기(51)와 연결배관(53) 사이에 연결되는 내부배관(521)과, 상기 공기압축기(51)에 연결되는 상기 내부배관(521)의 관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배관(521)을 개폐시키는 자동개폐밸브(522)와, 상기 자동개폐밸브(522)의 다음으로 상기 내부배관(521)의 관로상에 설치되고 설정된 압력으로 공기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523)와, 상기 압력조절기(523)의 다음으로 상기 내부배관(521)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배관(521)과 연결되는 상기 연결배관(53)의 내부의 공기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자동개폐밸브(522)를 제어하는 압력감지기(524)를 포함한다.Such an automatic injector 52 has an internal pipe 521 connected between the air compressor 51 and the connecting pipe 53, and the internal pipe 521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51. An automatic on/off valve 522 installed in the ventilator to open and close the internal pipe 521, and the automatic on/off valve 522 installed on the inner pipe 521 next to the pressure to adjust the air pressure to a set pressure The controller 523 and the pressure regulator 523 are installed in the inner pipe 521 next to the inner pipe 521 and the air pressure inside the connecting pipe 53 connected to the internal pipe 521 is sensed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and a pressure sensor 524 that controls the valve 522 .

상기 내부배관(521)은 상기 공기압축기(51)와 상기 연결배관(53) 사이에 연결되는 배관으로, 상기 공기압축기(51)에 의해 압축된 공기가 유동되는 통로를 제공하면서 상기 자동개폐밸브(522)와 압력조절기(523) 및 압력감지기(524)가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internal pipe 521 is a pipe connected between the air compressor 51 and the connection pipe 53, and provide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air compressed by the air compressor 51 flows while the automatic on/off valve ( 522), the pressure regulator 523, and serves to provide a place where the pressure sensor 524 is installed.

상기 자동개폐밸브(522)는 상기 공기압축기(51)와 연결된 상기 내부배관(521)을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기 압력조절기(523)는 상기 내부배관(521)을 통해 상기 연결배관(53)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설정된 압력으로 자동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The automatic opening/closing valve 522 serves to automatically open and close the internal pipe 521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51, and the pressure regulator 523 is connected through the internal pipe 521 to the connecting pipe ( 53), which automatically adjusts the pressure of the air flowing in to the set pressure.

상기 압력감지기(524)는 상기 내부배관(521)과 연결된 상기 연결배관(53)의 내부의 압력을 통해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내부의 압력을 감지하고 이 감지된 정보를 통해 상기 자동개폐밸브(522)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The pressure sensor 524 detects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through the pressure inside the connecting pipe 53 connected to the inner pipe 521, and the detected information It serves to control the automatic on-off valve 522 through.

즉, 상기 압력감지기(524)에 의해 감지된 압력이 설정된 압력보다 낮으면 상기 자동개폐밸브(522)를 통해 상기 내부배관(521)을 개방하여 압력을 상승시키고, 반대로 상기 압력감지기(524)에 의해 감지된 압력이 설정된 압력과 동일하면 상기 자동개폐밸브(522)를 통해 상기 내부배관(521)을 폐쇄하여 압축 공기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524 is lower than the set pressure, the internal pipe 521 is opened through the automatic on/off valve 522 to increase the pressure, and vice versa. When the pressure sensed by the pressure is the same as the set pressure,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is blocked by closing the inner pipe 521 through the automatic on/off valve 522 to block the supply of compressed air. to keep this constant.

또한, 본 단위골조는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내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내측과 지면 사이에 기밀되게 설치되고 중앙에 개폐도어(61)가 구비되는 격막(60)을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is unit frame is airtightly install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and the ground to cover the inner side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and an opening/closing door ( 61) further includes a diaphragm 60 provided with.

상기 격막(60)은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로 구성된 단위골조의 선단과 후단에 차단벽을 형성하여 그 내부 공간을 밀폐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개폐도어(61)는 벨트로나 지퍼 등으로 상기 격막(60)에서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격막(60)을 통해 그 내부와 외부로 출입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The diaphragm 60 is to form a blocking wall at the front end and rear end of the unit frame composed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to seal the inner space. The opening/closing door 61 is to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iaphragm 60 with a belt or a zipper, and serves to provide a passage through the diaphragm 60 to enter and exit the interior and exterior.

도 9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단위골조의 개략적인 도면들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는 지면에서 상부로 경사지면서 라운드지게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면서 대칭되게 라운드진 판형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하부튜브(10)와, 상기 하부튜브(10)의 상단에 하단이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면서 대칭되게 라운드진 판형으로 구비되며 상단이 일체로 라운드지게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튜브(20)와,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가 반원형의 라운드를 유지하도록 한 쌍의 상기 하부튜브(10)의 하단 사이에 양단이 수평으로 부착되는 하부연결막(30a)을 포함한다.9 to 10 are schematic views of a unit fram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the unit frame for inflatable ten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be rounded while being inclined upward from the ground, and a pair of lower tubes 10 provided in a symmetrically rounded plate shap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 and a pair of upper tubes 20 integrally formed with a lower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end of the lower tube 10 and provided in a symmetrically rounded plate shap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so that the upper end is integrally rounded, and the A lower connecting film 30a having both ends horizontally attached between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lower tubes 10 is included so that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maintain a semicircular round shape.

상기 하부튜브(10)는 공기의 주입으로 라운드진 판형의 견고한 튜브를 형성하면서 텐트의 하부 골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동시에 튜브 형태로 형성되면서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lower tube 10 serves to form the lower frame of the tent while forming a round plate-shaped solid tube by injection of air, and at the same time to form an air layer inside while forming a tube shape to improve insulation.

이와 같은 상기 하부튜브(10)는 그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측면연통공(11)을 포함한다. 상기 측면연통공(11)은 상기 하부튜브(10)의 양측면으로 공간지를 절단하여 구멍을 형성하는 것으로, 공간지의 절단으로 상기 하부튜브(10)의 중량을 경감시키면서 공기의 주입 공간을 감소시켜 공기가 보다 신속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lower tube 10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side communication hole 11 formed to communicate inwardly from the outside thereof. The side communication hole 11 is to form a hole by cutting the space paper on both sides of the lower tube 10, and by cutting the space paper, the weight of the lower tube 10 is reduced while reducing the air injection space. to be injected more quickly.

상기 상부튜브(20)는 상기 하부튜브(10)와 연통되어 공기의 주입으로 라운드진 판형의 견고한 튜브를 형성하면서 텐트의 상부 골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고 동시에 튜브 형태로 형성되면서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upper tube 20 communicates with the lower tube 10 to form an upper frame of the tent while forming a round plate-shaped solid tube by injection of air, and at the same time forming an air layer inside while being formed in a tube form It serves to improve the thermal insulation properties.

이와 같은 상기 상부튜브(20)는 그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상면연통공(2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상면연통공(21)은 상기 상부튜브(20)의 경사진 상면 양측으로 공간지를 절단하여 구멍을 형성하는 것으로, 공간지의 절단으로 상기 상부튜브(20)의 중량을 경감시키면서 공기의 주입 공간을 감소시켜 공기가 보다 신속하게 주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upper tube 20 as described above further includes an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21 formed to communicat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21 is to form a hole by cutting the space paper on both sides of the inclined upper surface of the upper tube 20, while reducing the weight of the upper tube 20 by cutting the space paper, the air injection space This is to allow air to be injected more quickly.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는 그 내부 양면에 다수개의 형태유지라인(S)이 부착되는데, 상기 형태유지라인(S)은 공기튜브 형태의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내부면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가 평평하게 일정한 판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지의 것이다.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are attached to a plurality of shape maintaining lines (S) on both inner sides thereof, and the shape maintaining lines (S) are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in the form of an air tube. By interconnecting the inner surfaces of (20),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are known to maintain a flat plate shape.

이와 같이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기본 형태가 판 형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를 형성하는 공기튜브의 내부에 다수의 상기 형태유지라인(S)이 부착된 튜브를 당업계에서는 "공간지(Drop Stitch Material)"라 부른다.In this way, a plurality of the shape maintaining lines ( The tube to which S) is attached is called "Drop Stitch Material" in the art.

이렇게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가 상기 형태유지라인(S)을 가지는 공간지로 형성됨으로써, 공기의 차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구조적으로 견고해지며 단열성이 향상되는 것이다.In this way,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are formed as a space paper having the shape maintaining line S, so that air shielding is made stably, structurally strong, and thermal insulation is improved.

상기 하부연결막(30a)은 한 쌍의 상기 하부튜브(10)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면서 이를 지지하여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가 반원형으로 라운드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The lower connecting film 30a connects and supports the lower ends of the pair of lower tubes 10 so that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maintain a semicircular rounded stat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various change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s may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qually applied by appropriately modifying the above embodiments. Accordingly, the above description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s of the following claim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하부튜브
11 : 측면연통공 12 : 내부측면패드
13 : 외부측면패드 14 : 투명창
20 : 상부튜브
21 : 상면연통공 22 : 내부상면패드
23 : 외부상면패드
S : 형태유지라인
30 : 굽힘부
31 : 브이홈 32 : 브이테이프
30a : 하부연결막
40 : 연결부
41 : 힌지부 42 : 힌지핀
50 : 자동공기주입부
51 : 공기압축기
52 : 자동주입기
521 : 내부배관 522 : 자동개폐밸브
523 : 압력조절기 524 : 압력감지기
53 : 연결배관
60 : 격막
61 : 개폐도어
10: lower tube
11: side communication hole 12: inner side pad
13: outer side pad 14: transparent window
20: upper tube
21: upper surface through hole 22: inner upper surface pad
23: outer top pad
S: shape maintenance line
30: bent part
31: V home 32: V tape
30a: lower connecting membrane
40: connection
41: hinge part 42: hinge pin
50: automatic air injection unit
51: air compressor
52: automatic injector
521: internal piping 522: automatic on/off valve
523: pressure regulator 524: pressure sensor
53: connection pipe
60: diaphragm
61: opening and closing door

Claims (9)

지면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구비되고, 상호 이격되면서 대칭되게 판형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하부튜브(10)와;
상기 하부튜브(10)의 상단에 하단이 연통되게 일체로 형성되고, 상호 이격되면서 대칭되게 판형으로 구비되며, 상단이 일체로 연결되는 한 쌍의 상부튜브(20)와;
상기 하부튜브(10)의 상단과 상기 상부튜브(20)의 하단의 연결부위에 각각 구비되고, 상기 상부튜브(20)의 상단 연결부위에 구비되어 각각을 굽힘되게 하는 3개의 굽힘부(30)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는,
그 내부 양면에 다수개의 형태유지라인(S)이 부착되어 공기의 주입으로 판형의 튜브를 형성하며,
상기 굽힘부(30)는,
상기 하부튜브(10)의 상단과 상기 상부튜브(20)의 하단의 연결부위의 하면과 상기 상부튜브(20)의 상단 연결부위의 하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접어서 브이자형으로 형성되는 브이홈(31)과,
상기 브이홈(31)의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부착되는 브이테이프(32)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튜브(10)는,
그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측면연통공(11)과,
상기 측면연통공(11)이 밀폐되도록 상기 측면연통공(11)의 내측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튜브(10)의 내부면에 부착되고 상기 측면연통공(11)을 폐쇄하고 동시에 상기 측면연통공(11)을 차폐하면서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는 내부측면패드(12)와,
상기 측면연통공(11)이 밀폐되도록 상기 측면연통공(11)의 외측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튜브(10)의 외부면에 부착되고 상기 측면연통공(11)을 폐쇄하고 동시에 상기 측면연통공(11)을 차폐하면서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단열성을 향상시키는외부측면패드(13)와,
상기 내부측면패드(12)와 외부측면패드(13)에 구비되어 실외 또는 실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투명창(1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
a pair of lower tubes 10 inclined upward from the ground and provided in a symmetrical plate shape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air of upper tubes 20 integrally formed with a lower end in communication with the upper end of the lower tube 10, provided in a plate shape symmetrically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an upper end integrally connected;
Three bending parts 30 provided at the connection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tube 20, respectively, and provided at the upper connecting part of the upper tube 20 to bend each cast; including,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A plurality of shape maintaining lines (S) are attached to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to form a plate-shaped tube by injection of air,
The bent portion 30,
A V-groove 31 formed in a V shape by folding concavely inwar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upper end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tube 20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nnecting portion of the upper tube 20 . )class,
A V-tape 32 attached to the inside of the V-groove 31 is included,
The lower tube 10,
A side communication hole 11 formed to communicat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d
It i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tube 10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of the side communication hole 11 so that the side communication hole 11 is sealed, and closes the side communication hole 11 and at the same time the side communication hole ( 11) while shielding the inner side pad 12, which improves heat insulation by forming an air layer therein;
It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tube 10 corresponding to the outside of the side communication hole 11 so that the side communication hole 11 is sealed, and closes the side communication hole 11 and at the same time the side communication hole ( 11) while shielding the outer side pad 13, which improves heat insulation by forming an air layer inside;
A unit frame for inflatable t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transparent window (14) provided on the inner side pad (12) and the outer side pad (13) to visually confirm the outdoors or indoor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튜브(20)는,
그 외측에서 내측으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상면연통공(21)과,
상기 상면연통공(21)이 밀폐되도록 상기 상면연통공(21)의 내측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튜브(20)의 내부면에 부착되는 내부상면패드(22)와,
상기 상면연통공(21)이 밀폐되도록 상기 상면연통공(21)의 외측에 대응하여 상기 상부튜브(20)의 외부면에 부착되는 외부상면패드(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
According to claim 1,
The upper tube 20,
an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21 formed to communicate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an inner upper surface pad 22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tube 20 corresponding to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21 so that the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21 is sealed;
An external upper surface pad 23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tube 20 to correspond to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21 so that the upper surface communication hole 21 is sealed,
Unit frame for inflatable t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골조는,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측단에 장착되고, 상기 단위골조와 단위골조를 상호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연결부(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40)는,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측단에 한 쌍씩 부착되는 다수의 힌지부(41)와,
상기 한 쌍의 힌지부(41)가 맞물린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힌지부(41)에 끼워지는 힌지핀(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frame is
a connection part 40 mounted on the side ends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and allowing the unit frame and the unit frame to be interconnected; including more,
The connection part 40,
A plurality of hinge portions 41 attached to the side ends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one by one,
A unit frame for an inflatable t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inge pin (42) fitted to the hinge part (41) so that the pair of hinge parts (41) are rotatably fixed in an engaged st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골조는,
상기 하부튜브(10)에 설치되고, 상기 하부튜브(10)에 공기를 자동으로 주입하여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공기압이 유지되도록 하는 자동공기주입부(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공기주입부(50)는,
상기 하부튜브(10)의 외측에 구비되고 압축공기를 생성하는 공기압축기(51)와,
상기 공기압축기(51)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튜브(10)의 공기압력을 감지한 후에 설정된 압력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자동주입기(52)와,
상기 자동주입기(52)에서 상기 하부튜브(10)에 연결되는 연결배관(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frame is
an automatic air injection unit 50 installed in the lower tube 10 and automatically injecting air into the lower tube 10 so that the air pressure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is maintained; including more,
The automatic air injection unit 50,
an air compressor 51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lower tube 10 and generating compressed air;
an automatic injector 52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51 and supplying air at a set pressure after sensing the air pressure of the lower tube 10;
A unit frame for an inflatable t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necting pipe (53) connected to the lower tube (10) in the automatic injector (5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주입기(52)는,
상기 공기압축기(51)와 연결배관(53) 사이에 연결되는 내부배관(521)과,
상기 공기압축기(51)에 연결되는 상기 내부배관(521)의 관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배관(521)을 개폐시키는 자동개폐밸브(522)와,
상기 자동개폐밸브(522)의 다음으로 상기 내부배관(521)의 관로상에 설치되고 설정된 압력으로 공기압을 조절하는 압력조절기(523)와,
상기 압력조절기(523)의 다음으로 상기 내부배관(521)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배관(521)과 연결되는 상기 연결배관(53)의 내부의 공기압력을 감지하여 상기 자동개폐밸브(522)를 제어하는 압력감지기(5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
8. The method of claim 7,
The automatic injector 52,
an internal pipe 521 connected between the air compressor 51 and the connecting pipe 53;
An automatic opening/closing valve 522 installed on the pipe line of the internal pipe 521 connected to the air compressor 51 and opening and closing the internal pipe 521;
A pressure regulator 523 installed on the pipe line of the internal pipe 521 next to the automatic on/off valve 522 and adjusting the air pressure to a set pressure;
The automatic on/off valve 522 is controlled by sensing the air pressure inside the connection pipe 53 installed in the inner pipe 521 next to the pressure regulator 523 and connected to the inner pipe 521 . a pressure sensor 524 that
Unit frame for inflatable ten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골조는,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내측을 커버하도록 상기 하부튜브(10)와 상부튜브(20)의 내측과 지면 사이에 기밀되게 설치되고, 중앙에 개폐도어(61)가 구비되는 격막(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주입식 텐트용 단위골조.
According to claim 1,
The unit frame is
It is airtightly installed betwee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and the ground to cover the inner side of the lower tube 10 and the upper tube 20, and an opening/closing door 61 is provided in the center a diaphragm (60);
Unit frame for inflatable t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KR1020200076251A 2020-06-23 2020-06-23 Frame unit for inflatable tent KR1023442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51A KR102344275B1 (en) 2020-06-23 2020-06-23 Frame unit for inflatable 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6251A KR102344275B1 (en) 2020-06-23 2020-06-23 Frame unit for inflatable t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275B1 true KR102344275B1 (en) 2021-12-29

Family

ID=79176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6251A KR102344275B1 (en) 2020-06-23 2020-06-23 Frame unit for inflatable t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275B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06B2 (en) * 1991-06-18 1996-01-10 太陽工業株式会社 Double membrane for air structure
JP3763780B2 (en) * 2001-12-20 2006-04-05 Ykk Ap株式会社 Air tent
KR100698554B1 (en) * 2006-04-25 2007-03-22 김재용 Golf booth
KR100974027B1 (en) * 2008-03-26 2010-08-04 (주)에어박스 A tent that frame consists by air
KR20160063137A (en) * 2014-11-26 2016-06-03 조제환 Tent Having Air Frame
KR101846655B1 (en) 2016-04-04 2018-04-06 임성범 Air inflatable type tent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06B2 (en) * 1991-06-18 1996-01-10 太陽工業株式会社 Double membrane for air structure
JP3763780B2 (en) * 2001-12-20 2006-04-05 Ykk Ap株式会社 Air tent
KR100698554B1 (en) * 2006-04-25 2007-03-22 김재용 Golf booth
KR100974027B1 (en) * 2008-03-26 2010-08-04 (주)에어박스 A tent that frame consists by air
KR20160063137A (en) * 2014-11-26 2016-06-03 조제환 Tent Having Air Frame
KR101846655B1 (en) 2016-04-04 2018-04-06 임성범 Air inflatable type t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4275B1 (en) Frame unit for inflatable tent
KR101950172B1 (en) Fire door in building
KR101779695B1 (en) Natural circulation type airhouse using geothermy
US20070199663A1 (en) Two-way elevation curtain structure
KR100766553B1 (en) fire extinguishing device
CN105865127B (en) A kind of air-pressure balancing device and refrigerating plant
CN113266244B (en) Anti-oxygen-deficiency sealing door for bathroom
CN210602096U (en) Indoor humidifier free of disassembly during water adding
CN205536789U (en) Pressure balance device and refrigerating plant
US4723533A (en) Combustion air vent with automatic lock
US7086447B2 (en) Window covering
CN106839566A (en) A kind of refrigerator
CN211357561U (en) Drawing type fire extinguishing box
KR20220048898A (en) Portable hot-water boiler
KR20010077604A (en) Intelligent cabinet
CN210601620U (en) Combustor base of adjustable gas proportion
CN219389984U (en) Bury formula new fan
CN219281412U (en) Inflatable tent
AU2019222957A1 (en) Wall sleeve system for a ventilation system
CN218520122U (en) Box suitable for installing and using self-closing valve
KR200486010Y1 (en) Water channels gate tolerance
CN220870347U (en) Ventilating duct capable of adjusting flow
KR102273892B1 (en) Diffuser
KR200166776Y1 (en) Apparatus for supporting rotary shaft for green house
KR910007566Y1 (en) Safety device for hot-water circulation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