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655B1 - Air inflatable type tent - Google Patents

Air inflatable type t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655B1
KR101846655B1 KR1020160040810A KR20160040810A KR101846655B1 KR 101846655 B1 KR101846655 B1 KR 101846655B1 KR 1020160040810 A KR1020160040810 A KR 1020160040810A KR 20160040810 A KR20160040810 A KR 20160040810A KR 101846655 B1 KR101846655 B1 KR 1018466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dome
air
air tube
ou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81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114312A (en
Inventor
임성범
Original Assignee
임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성범 filed Critical 임성범
Priority to KR1020160040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655B1/en
Publication of KR20170114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31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6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6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주입식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일정 각도로 만곡되는 원호 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외부커버(111)와, 외부커버(111)의 하측에서 외부커버(111)보다 낮은 각도로 만곡되는 원호 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내부커버(112)와, 외부커버(111)와 내부커버(112)의 양측을 마감하여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접면(113)으로 이루어지는 셀(114)이 일정 길이로 다수 구비되어 아치 형태로 배열되는 돔(110)과; 셀(114)의 수용공간에 개별 수용되도록 다수를 구비하되, 일측에는 공기주입구(121)를 형성하고 상호 간에는 에어호스(122)에 의해 연통되어 압축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튜브(120)와; 에어튜브(120)가 수용된 돔(110)의 선단 및 후단을 마감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아치 형태의 내부공간을 형성하여 에어튜브(120)의 양단을 수용하고 제1착탈수단(131)에 의해 돔(110)에 조립되는 한 쌍의 도어프레임(130)과; 도어프레임(130)에 착탈되도록 제2착탈수단(141)이 구비되어 돔(110)의 선,후측 통로를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140)와; 절첩 가능한 매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3착탈수단(151)에 의해 상기 돔(110)의 하측면을 마감하도록 조립 및 분리되고, 내부에는 허니콤 형상의 지지조직(152)을 구비하여 텐트(11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50)를 포함하여 구성함에 따라 텐트 외부의 온도로부터 내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사용성 및 운반성이 우수한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latable tent, comprising: an outer cover (111) forming an arc-shaped section curv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 arc-shaped cross section (112) curved at a lower angle than the outer cover (111) A plurality of cells 114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re formed by the inner cover 112 forming the outer cover 111 and the contact surface 113 closing the both sides of the outer cover 111 and the inner cover 112, A dome 110 arranged in an arch shape; An air tube 120 having a plurality of air inlets 121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y an air hose 122 to inject compressed air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cell 114; An inner space of an arch shape having one side opened to finish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dome 110 housing the air tube 120 accommodates both ends of the air tube 120, A pair of door frames 130 assembled to the door frame 110; A pair of doors 140 for opening and closing the lines and the rear passages of the dome 110 by providing the second detachment means 141 to be detached and detached from the door frame 130; The tent 110 is formed as a foldable mat and is assembled and separated so as to close the lower surface of the dome 110 by the third detachment means 151. The tent 110 is provided with a honeycomb- And a base 150 that forms a bottom surface of the tent, thereby minimizing the influence on the inside from the temperature outside the tent, and providing a tent that is excellent in usability and transportability.

Description

공기 주입식 텐트{AIR INFLATABLE TYPE TENT}[0001] AIR INFLATABLE TYPE TENT [0002]

본 발명은 공기 주입식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텐트의 지붕 및 벽면을 구성하는 돔의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텐트 외부의 온도로부터 내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방한 및 방서, 방로에 효과적이면서 보관성, 운반성, 및 조립성 역시 탁월한 공기 주입식 텐트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flatable t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flatable tent which forms an air layer inside a dome constituting a roof and a wall of a tent, thereby minimizing the influence on the inside from the temperature outside the t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provision of an inflatable tent which is also excellent in formability, transportability, and assemblability.

일반적으로, 텐트는 프레임과 천막을 이용해 간편하게 조립 및 해체하여 임시적인 주거가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는 수단이며 주로 야외에서 캠핑용으로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한다.Generally, a tent is a means to easily assemble and disassemble a frame and a tent to form a temporary residential space, and it is used mainly for outdoor camping.

통상적인 텐트의 구조는 대체로 지면이나 데크(Deck) 혹은 기타 설치면 상에 프레임을 설치하고 직물 재질로 이루어진 천막을 프레임 상에 팽팽하게 펼쳐 고정함으로써 일정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The structure of a typical tent is generally configured to provide a space by installing a frame on a surface, deck or other mounting surface and tentering the fabric material in a taut manner over the frame.

예컨대, 가장 단순한 형태로는 양측에 지주프레임을 세우고 가로프레임을 설치한 후 천막을 걸치는 A형 텐트가 있으며, 그 밖에도 수용 공간이 큰 터널형, 가옥 형태의 캐빈형 등이 있으나 최근에는 돔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For example, in the simplest form, there is an A-type tent which has a frame of a holding frame on both sides, a horizontal frame and a tent, and a tunnel type and a house type cabin type which have a large accommodation space. In recent years, however, Respectively.

돔형 텐트는 지붕의 형상이 반구형(Dome)으로 형성되도록 프레임이 설치되는데, 일반적으로 프레임을 천막의 외부에 조립할 수 있으므로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 후 장소 이동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특히, 바람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역학적인 구조로 인해 사용상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어 텐트의 가장 기본적인 형태로 자리매김하였다.The dome-type tent is provided with a frame so that the shape of the roof is formed as a dome. Generally, since the frame can be assembled to the outside of the tent, it is easy to install and easy to move after installation. Especially, because of the mechanical structure that can minimize the wind resistance, the safety of the use can be ensured and it is positioned as the basic form of the tent.

한편, 최근에는 간편한 원거리 여행 시 이동성 및 설치상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차량이나 트레일러의 상부에 설치할 수 있는 루프탑(Roof-top) 텐트가 각광을 받고 있다. 루프탑 텐트 역시 통상의 텐트와 마찬가지로 철이나 합금 재질의 프레임과 나일론 등 합성섬유 재질의 천막을 이용해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In recent years, a roof-top tent which can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a vehicle or a trailer has been spotlighted in consideration of mobility and convenience in installation during a simple remote trip. The roof top tent is also configured to retain its shape by using a tent of synthetic fiber material, such as a frame made of iron or alloy, and nylon, similar to a conventional tent.

통상적인 루프탑 텐트의 구성은 예컨대 공개특허 제10-2016-7000578호에 공지된 차량 루프탑텐트의 구성과 같이 바닥받침과, 펼치고 접을 수 있는 텐트프레임막대와, 경질의 윗덮개, 및 사다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텐트프레임막대는 바닥받침 상에 고정 설치되고, 윗덮개는 텐트프레임막대 상에 핀 연결이 되며 텐트프레임막대와 연동되어 텐트프레임막대가 접힌 후 텐트 위를 덮는 것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onstruction of a typical roof top tent is described, for example, in the construction of a vehicle roof top tent known in the prior art, as disclosed in the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0-2016-7000578, as well as a floor support, an expandable and collapsible tent frame bar, a hard top cover, and a ladder Wherein the tent frame bar is fixedly mounted on a floor base and the top cover is connected to a pin on a tent frame bar and is interlocked with the tent frame bar to cover the tent after the tent frame bar is folded .

공개특허 제 10 - 2016 - 7000578 호Published Patent No. 10 - 2016 - 7000578 등록특허 제 10 - 1300083 호Patent No. 10-1300083 등록실용신안 제 20 - 00337679 호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 - 00337679 등록실용신안 제 20 - 0186851 호Registration Utility Model No. 20 - 0186851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통상의 돔형 텐트는 전술한 바와 같이 텐트의 설치면 상에 텐트의 골조를 형성하는 프레임을 조립하여 설치한 후 상부에 천막을 펼쳐 고정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In the conventional dome-type tent to which the conventional technique as described above is applied, a frame for forming a frame of a tent is assembled and installed on the installation surface of the tent as described above, and then the tent is spread and fixed at the upper portion.

또한, 종래 기술의 루프탑 텐트 역시 텐트프레임막대를 절첩하는 구성만 상기 예시한 돔형 텐트와 차이가 있을 뿐, 금속 재질의 프레임 및 천막으로 이루어지는 기본 구성은 동일하다.Also, in the roof top tent of the related art, only the configuration of folding the tent frame bar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above-mentioned dome tent, and the basic structure of the frame made of metal and the tent is the same.

그러나,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텐트는 기계적인 조립 구조 및 복잡한 설치 방법으로 인해 개별 분리된 상태에서 제공되는 프레임을 정확한 위치에 맞게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안정적으로 골조를 형성하는 작업에는 일정 수준의 지식과 경험이 요구된다. However, since the tent to which the conventional technique is applied has a mechanical assembling structure and a complicated installation method, it is difficult to assemble the frame provided in the separated state sequentially and to form a frame stably, .

따라서, 종래의 텐트는 설치 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어 사용자 입장에서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을 느끼게 되고, 특히 초보자나 인원이 적은 경우에는 수차례의 시행착오를 초래하는 등 사용상의 어려움을 내포하고 있다.Therefore, the conventional tent requires a lot of time and effort to install the tent, which makes the user feel uncomfortable and troublesome. Especially, when the beginner or the small number of the tent is small, it brings trial and error several times, .

또한, 종래의 텐트는 텐트의 구성품이 많아 부피가 크고 금속 재질의 프레임의 경우 중량이 가중되어 휴대, 이동 및 보관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며 텐트의 설치에 못지 않게 철거 또한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tent has a large volume of components of the tent, and the weight of the frame made of a metal is increased, so that the portable, moving and storing properties are remarkably deteriorated, and it takes a long time to remove the tent as well as the installation of the tent.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텐트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최근에는 공기 주입 방식의 텐트가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으나, 대부분 종래의 금속 재질의 프레임을 공기가 주입되는 튜브 형태로 대체하는 것에 지나지 않는 한계가 있다.In recent years, an air-inflated tent has been developed and provided. However, most of the conventional tents are replaced with air-injected tubes.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일정 각도로 만곡되는 원호 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외부커버(111)와, 외부커버(111)의 하측에서 외부커버(111)보다 낮은 각도로 만곡되는 원호 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내부커버(112)와, 상기 외부커버(111)와 내부커버(112)의 양측을 마감하여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접면(113)으로 이루어지는 셀(114)이 일정 깊이로 다수 구비되어 아치 형태로 배열되는 돔(110)과;An inner cover 112 forming an arc-shaped section curved at a lower angle than the outer cover 111 at the lower side of the outer cover 111, A dome 110 having a plurality of cells 114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and arranged in an arch shape and having a contact surface 113 forming a receiving space inside the outer cover 111 and the inner cover 112, and;

상기 셀(114)의 수용공간 내에 개별 수용되도록 다수를 구비하되, 일측에는 공기주입구(121)를 형성하고 상호 간에는 에어호스(122)에 의해 연통되어 압축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튜브(120)와;An air tube 120 having a plurality of air inlets 121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y an air hose 122 to inject compressed air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cells 114;

상기 에어튜브(120)가 수용된 돔(110)의 선단 및 후단을 마감하도록 일측이 개방된 아치 형태의 내부공간을 형성하여 에어튜브(120)의 양단을 수용하고 제1착탈수단(131)에 의해 돔(110)에 조립되는 한 쌍의 도어프레임(130)과;An inner space of an arch shape having one side opened to finish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dome 110 accommodating the air tube 120 is formed to receive both ends of the air tube 120 and to be received by the first detachment means 131 A pair of door frames 130 assembled to the dome 110;

상기 도어프레임(130)에 구비된 제2착탈수단(132)에 의해 도어프레임(130)에 착탈되어 돔(110)의 선,후측 통로를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140)와;A pair of doors 140 which ar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door frame 130 by means of second detachment means 132 provided on the door frame 130 to open and close the lines and rear passages of the dome 110;

절첩 가능한 매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3착탈수단(151)에 의해 상기 돔(110)의 하측면을 마감하도록 조립 및 분리되고, 내부에는 허니콤 형상의 지지조직(152)을 구비하여 텐트(11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5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텐트 외부의 온도로부터 내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사용성이 우수한 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The tent 110 is formed as a foldable mat and is assembled and separated so as to close the lower surface of the dome 110 by the third detachment means 151. The tent 110 is provided with a honeycomb-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fluence on the inside from the temperature outside the tent and to provide the tent with excellent usability.

본 발명은 텐트의 지붕 및 벽면을 구성하는 돔에 수용되는 에어튜브를 통해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텐트 외부의 온도로부터 내부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여 방한 및 방서, 방로 등에 효과적인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air layer is formed through the air tube accommodated in the dome constituting the roof and the wall surface of the tent, thereby minimizing the influence on the inside from the temperature of the outside of the tent.

따라서, 대부분 야외에서 사용하는 텐트의 특성상 기후 변화에 취약할 수밖에 없는 합성섬유 등의 직물 재질로 이루어지는 천막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텐트가 가진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conventional tent made up of a tent made of a fabric material such as synthetic fiber which is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due to the nature of the tent used mostly in the outdoors.

또한, 금속 재질의 프레임의 사용을 배제하면서 복잡한 기계적 조립 방식에서 탈피하여 초보자도 간편하게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하고 경량화 및 부피의 최소화에 따른 보관 및 운반성과 조립성 역시 탁월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assemble and install even a novice user while avoiding the use of a frame made of a metal material while avoiding a complicated mechanical assembly method, and it is also advantageous in terms of storage, transportation and assembling due to weight reduction and volume minimization.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 주입식 텐트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 주입식 텐트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 주입식 텐트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a) 및 돔과 에어튜브의 조립 상태 사시도(b).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 주입식 텐트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프레임 및 에어튜브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a) 및 측면도(b).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 주입식 텐트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의 정면도(a) 및 A-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b).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 주입식 텐트의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의 내부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공기 주입식 텐트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inflatable 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view of an inflatabl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view (a) and an assembled state (b) of the dome and air tub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inflatable 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a) and a side view (b) of an enlarged view of a main portion of a door frame and an air tub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flatable 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a) and a cross-sectional view (b) taken along line AA of a do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flatable 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interior of a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flatable 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7 to 9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the use state of the inflatable t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공기 주입식 텐트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a pneumatic t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 주입식 텐트의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 주입식 텐트의 실시 예에 따른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기 주입식 텐트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a) 및 돔(110)과 에어튜브(120)의 조립 상태 사시도(b), 도 4는 본 발명의 공기 주입식 텐트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프레임(130) 및 에어튜브(120)의 요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a) 및 측면도(b), 도 5는 본 발명의 공기 주입식 텐트의 실시 예에 따른 도어(140)의 정면도(a) 및 A-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b), 도 6은 본 발명의 공기 주입식 텐트의 실시 예에 따른 베이스(150)의 내부를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공기 주입식 텐트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 상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flatabl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view of an inflatable t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ront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flatable 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frame 130 and the main body of the air tube 12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inflatable 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a) and a cross-sectional view (b) taken along the line AA of the door 1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inflatable 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ide view FIGS. 7 to 9 are explanatory diagrams illustrating the use of the air inflatable type t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 to 9 illustrate the use state of the air inflatable type t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공기 주입식 텐트는 종래 금속 재질의 프레임을 조립하여 천막을 펼쳐 고정하는 방식의 텐트 또는 공기 튜브를 프레임으로 형성하는 형태의 텐트가 가진 제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텐트의 지붕 및 벽면을 구성하는 돔(110)의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방한 및 방서, 방로 등에 효과적이고, 보관 및 운반성, 조립성 역시 탁월한 공기 주입식 텐트에 관한 기술임을 주지한다.The inflatable type tent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tent which is formed by assembling a frame made of metal and fixing a tent by unfolding and fixing the tent, It is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n inflatable tent that is effective in cold weather, anti-radiation, and airtight by forming an air layer inside a dome 110 constituting a wall, and is also excellent in storage, transportability, and assemblability.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공기 주입식 텐트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커버(111) 및 내부커버(112)와 접면(113)으로 이루어지는 셀(114)이 아치 형태로 배열되는 돔(110)과, 상기 셀(114)의 수용공간 내에 개별 수용되고 압축 공기가 주입되는 에어튜브(120)와, 상기 돔(110)의 선단 및 후단을 마감하도록 돔(110)에 조립되는 한 쌍의 도어프레임(130)과, 상기 도어프레임(130)에 착탈되어 돔(110)의 선,후측 통로를 개폐하는 한 쌍의 도어(140)와, 텐트(11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베이스(15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To this end, the inflatable type 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cell 114 composed of an outer cover 111, an inner cover 112 and a contact surface 113 is arranged in an arch shape as shown in FIGS. 1 and 2 A pair of air tubes 120 individuall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cell 114 and injecting compressed air and a pair of air tubes 120 assembled to the dome 110 to close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dome 110, A door frame 130 and a pair of doors 140 that ar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door frame 130 to open and close the lines and rear passages of the dome 110 and a base 150 ).

상기 돔(110)은 텐트의 지붕 및 벽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셀(114)이 아치 형태로 배열되어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셀(114)은 내측에 일정 깊이의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에어튜브(120)를 수용하도록 외부커버(111)와 내부커버(112) 및 접면(113)으로 이루어진다.The dome 110 is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cells 114 in an arch shape so as to form a roof and a wall surface of the tent. As shown in FIG. 3, the cell 114 includes an outer cover 111, an inner cover 112, and a contact surface 113 to accommodate the air tube 120 by forming a receiving space having a predetermined depth therein.

상기 외부커버(111)는 일정 각도로 만곡되는 원호 상의 단면을 형성하여 돔(110)의 최외측면을 구성하고, 상기 외부커버(111)의 하측에는 외부커버(111)보다 낮은 각도로 만곡되는 원호 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내부커버(112)가 구비된다.The outer cover 111 forms an outermost side surface of the dome 110 by forming an arc-shaped cross section curved at a predetermined angle, and a circular arc which is curved at a lower angle than the outer cover 111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outer cover 111. [ An inner cover 112 is formed which forms a cross-section of the top surface.

또한, 상기 외부커버(111)와 내부커버(112)의 양측을 마감하여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접면(113)을 구비하여 하나의 셀(114)을 형성한다.The outer cover 111 and the inner cover 112 are closed at both sides to form a cell 114 with a contact surface 113 to form a receiving space inside.

따라서, 상기 외부커버(111) 및 내부커버(112)의 서로 다른 곡면 각도에 의해 접면(113)의 각각의 일측 또는 타측 접면(113)에 접하여 다수 구비되는 셀(114)은 아치 형태로 배열되어 돔(110)을 형성하게 된다.The plurality of cells 114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respective one side or the other side of the contact surface 113 of the contact surface 113 are arranged in an arch shape by different curved angles of the outer cover 111 and the inner cover 112 Thereby forming a dome 110.

상기 셀(114)의 수용공간 내에 개별 수용되도록 다수를 구비하는 에어튜브(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는 공기주입구(121)를 형성하고 상호 간에는 에어호스(122)에 의해 연통되어 압축 공기가 주입된다.As shown in FIG. 4, the air tube 120 includes a plurality of air tubes 121 individually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cell 114, and air inlets 121 are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by an air hose 122 Compressed air is injected.

상기 에어튜브(120)는 통상의 폴리우레탄 재질의 튜브 형태로 이루어져 셀(114)에 수용되되, 돔(110)의 길이보다 길이를 길게 형성하여 돔(110)의 선단 및 후단 외부로 에어튜브(120)의 선단 및 후단이 돌출되도록 형성한다.The air tube 120 is formed in a tube shape of a normal polyurethane material and is accommodated in the cell 114 so that the length of the air tube 120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dome 110, 120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즉, 상기 에어튜브(120)의 선단 또는 후단에 구비되는 에어호스(122)는 다수의 에어튜브(120) 상간을 연결함에 따라 일측 에어튜브(120)에 형성된 공기주입구(121)를 통해 주입되는 공기가 순차적으로 다음 에어튜브(120)로 주입되도록 구성되므로, 에어튜브(120)의 선단 및 후단을 돔(110)의 외부로 돌출시켜 에어호스(122)에 의한 에어튜브(120) 간의 연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That is, the air hose 122 provided at the front end or the rear end of the air tube 120 is injected through the air inlet 121 formed in the one air tube 120 as the plurality of air tubes 1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air tube 120 is formed so that the air is sequentially injected into the next air tube 120 so th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air tube 120 are protruded to the outside of the dome 110 to allow communication between the air tubes 120 by the air hose 122 .

상기 도어프레임(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돔(110)의 외부로 돌출 구비되는 에어튜브(120)가 수용된 돔(110)의 선단 및 후단을 마감하도록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아치 형태의 내부공간을 형성하여 에어튜브(120)의 양단을 수용한다.As shown in FIG. 4, the door frame 130 is opened so th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dome 110 housing the air tube 120 protruding out of the dome 110 are housed, An inner space of an arch shape is formed to accommodate both ends of the air tube 120.

즉, 상기 도어프레임(130)은 돔(11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돔(110)의 선단 및 후단에 조립하되, 돔(110)이 양측 접면(113)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의 셀(114)을 구비하는 것과는 달리 상기 도어프레임(130)은 에어호스(122)가 에어튜브(120) 간을 연결하도록 내부를 구획하지 않고 연통되도록 형성한다.That is, the door frame 130 is formed to have the same cross-sectional shape as that of the dome 110 and assembled to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dome 110, and the dome 110 is divided by the two side faces 113 The door frame 130 is formed so that the air hose 122 communicates with the air tubes 120 without dividing the interior thereof.

또한, 상기 도어프레임(130)은 한 쌍을 구비하여 에어튜브(120)를 돔(110)의 선단 또는 후단에 조립시키는 방향에 따라 에어호스(122)가 위치하는 방향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조립하도록 구성하고 제1착탈수단(131)에 의해 돔(110)의 선단 및 후단에 간편하게 조립되도록 구성한다.The door frame 130 is provided with a pair so that the air hose 122 can be freely selected and assembled accord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air tube 120 is assembled to the front end or the rear end of the dome 110 And is easily assembled to the front end and rear end of the dome 110 by the first detachment means 131.

한편, 상기 도어프레임(130)의 내측에는 압축 공기가 주입되어 팽만해진 상태에 있는 에어튜브(120)의 말단을 고정하도록 도 4의 (a)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수단(133)을 다수 구비하여 고정구(123)와 체결함에 따라 개별 셀(114)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다수의 에어튜브(120)가 아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고리 형태의 고정수단(133) 및 고리가 걸리는 홀 형태의 고정구(123)를 구성하였으나 그 체결 방식은 다양한 형태로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4 (a) to fix the distal end of the air tube 120 in a state in which the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to the bulging state of the door frame 130, A plurality of air tubes 120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individual cells 114 are configured to stably maintain the arch shap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means 133 in the form of a ring and the fixing means 123 in the form of a hole for hooking are constituted, but the fastening method can be applied in various forms.

상기 도어(140)는 도어프레임(130)에 구비된 제2착탈수단(132)에 의해 도어프레임(130)에 착탈되어 돔(110)의 선,후측 통로를 개폐하도록 한 쌍을 구비한다.The door 140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130 by a second detachment means 132 provided on the door frame 130 to open and close the lines and the rear passages of the dome 110.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40)는 외피(141)와 내피(143) 및 충전재(142)를 적층하여 구성함으로써 텐트의 외부로부터 열의 손실이나 열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충전재(142)는 통상의 보온재 또는 단열재를 채용하여 내장하도록 하며, 추가적으로 방충망 등을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5, the door 140 is constructed by stacking the outer cover 141, the inner cover 143, and the filler 142 so as to block heat loss or heat from the outside of the tent. The filler 142 may be made of a conventional insulating material or a heat insulating material, and may further include an insect-proofing net or the like.

상기 베이스(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첩 가능한 매트 형태로 형성되고 제3착탈수단(151)에 의해 상기 돔(110)의 하측면을 마감하도록 조립 및 분리되어 텐트(110)의 바닥면을 형성한다.The base 150 is formed as a foldable mat as shown in FIG. 6 and is assembled and separated by the third detachment means 151 to finish the lower side of the dome 110, Thereby forming a surface.

특히, 상기 베이스(150)의 내부에는 허니콤(Honeycomb) 형상의 지지조직(152)을 구비하여 공극과 지지조직(152)을 동시에 마련함으로써 바닥면에 탄력과 지지력을 균형있게 부여하면서 견고한 형상 유지력을 확보하며, 아울러 지면으로부터 텐트(100) 내부의 바닥을 이격시킬 수 있으므로 일정 수준의 보온 효과를 도출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Particularly, a honeycomb-shaped support structure 152 is provided inside the base 150 to provide both a space and a supporting structure 152 at the same time, thereby providing a balance of elasticity and supporting force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bottom of the tent 100 can be separated from the ground.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derive a certain level of thermal insulation effect.

한편, 상기 베이스(150)의 하측면 절첩 경계부에는 도 9의 사용 상태 예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체결수단(153)을 구비하여 베이스(150)를 절첩한 상태에서 상기 돔(110)과, 에어튜브(120)와, 도어프레임(130)과, 도어(140)를 포함한 텐트(100) 구성품 일체를 수납하는 텐트) 케이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한다.9, a separate fastening means 153 is provided on the lower folded boundary of the base 150 to allow the dome 110 to be folded with the base 150 folded, The air tube 120, the door frame 130, and the tent 100 housing the door 140).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공기 주입식 텐트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The use state of the inflatable type tent to which the techn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below.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영용 트레일러의 상부 또는 자동차의 루프탑에 텐트의 베이스(150)를 펼쳐 설치한다. 베이스(150)의 내부에는 허니콤 형태의 지지조직(152)이 구비되므로 베이스(150)의 형상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7 to 9, the base 150 of the tent is laid out on the top of the camping trailer or the roof of the car. Since the support structure 152 in the form of a honeycomb is provided in the base 150, the shape of the base 150 can be firmly maintained.

상기와 같이 설치된 베이스(150)의 상부에 돔(110)을 조립하되 돔(110)을 구성하는 셀(114)의 수용공간 내부에 에어튜브(120)를 수용한 상태에서 베이스(150)의 상면에 구비된 제3착탈수단(151)을 이용해 돔(110)을 조립한다.The dome 110 is assemb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150 and the air tube 120 i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cell 114 constituting the dome 110, The dome 110 is assembled by using the third detachment means 151 provided in the dome 110.

상기 에어튜브(120)의 일측에 형성된 공기주입구(121)를 개방하고 압축공기를 주입하여 에어호스(122)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에어튜브(120)에 공기를 충전한다. 공기가 충전되면 에어튜브(120)가 팽만해지면서 돔(110)이 아치 형상을 이루도록 세워져 텐트(100)의 지붕 및 벽면을 형성하게 된다.The air inlet 121 formed at one side of the air tube 120 is opened and compressed air is injected to fill the air tubes 120 connected to the air tubes 120 through the air hose 122. When the air is filled, the air tube 120 becomes bulky and the dome 110 is formed to have an arch shape to form a roof and a wall surface of the tent 100.

상기 돔(110)의 선단 및 후단에 한 쌍의 도어프레임(130)을 제1착탈수단(131)을 이용해 조립한다. 물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에어튜브(120)에 공기를 주입하기 전에 도어프레임(130)을 먼저 돔(110)에 조립하여도 무방할 것이다.A pair of door frames 130 are assembl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dome 110 using the first detachment means 131. Of course, the door frame 130 may be assembled to the dome 110 before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tube 120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아울러, 상기 도어프레임(130)의 내측에 구비된 고정수단(133)에 에어튜브(120)의 말단에 형성된 고정구(123)를 체결하여 고정함으로써 공기압에 의해 팽만해진 에어튜브(120)가 돔(110)과 함께 아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한다.The air tube 120 which is bulged by the air pressure is fixed to the dome 130 by fastening the fixture 123 formed at the end of the air tube 120 to the fixing means 133 provided inside the door frame 130, 110) so as to stably maintain the arch shape.

상기 돔(110)의 선단 및 후단에 조립된 도어프레임(130)에 각각의 도어(140)를 제2착탈수단(132)을 이용해 조립한다. 상기 도어(140)는 일부만을 조립한 상태로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으며 편의에 따라 방충망 등을 추가로 부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The respective doors 140 are assembled to the door frame 130 assembl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dome 110 using the second detachment means 132. The door 140 can be selectively opened and closed in a state where only a part of the door 140 is assembled, and it is also possible to additionally attach an insect control net or the like according to convenience.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공기 주입식 텐트(100)를 사용한 후 운반 및 이동 시에는 상술한 조립 순서의 역순으로 상기 도어(140)와, 도어프레임(130)과, 공기를 배출시킨 에어튜브(120)와, 돔(110)을 해체한 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150)를 절첩하고 후측면에 마련된 체결수단(153)을 체결하여 상기 구성품을 수납함으로써 텐트 케이스로 이용할 수 있다.When the air inflatable type ten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nd transported and moved, the door 140, the door frame 130, and the air tube 120 and the dome 110 are disassembled and then the base 150 is folded as shown in FIG. 9, and the fastening means 153 provided on the rear side is fastened to house the components, thereby being used as a tent case.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주입식 텐트는 텐트의 지붕 및 벽면을 구성하는 돔(110)에 에어튜브(120)를 수용시켜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주로 야영 시 사용하게되는 텐트가 기후 변화에 노출됨에 따른 제반 문제점, 예컨대 텐트 내부에 결로가 발생하거나 열전도에 따른 보온 및 보냉에 취약한 등의 문제점을 해소하여 방한 및 방서, 방로와 같은 기능성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Accordingly, the air inflatable type t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ir tube 120 is accommodated in the dome 110 constituting the roof and the wall surface of the tent,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blems such as dew condensation inside the tent or the heat insulation due to heat conduction and vulnerability to cold storage are solved to effectively exhibit functionalities such as cold weather and radiation.

또한, 종래 기술과 같이 금속 재질의 프레임의 사용을 배제하면서 복잡한 기계적 조립 방식에서 탈피하여 초보자 혹은 혼자서도 간편하게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하고 경량화 및 부피의 최소화에 따른 보관 및 운반성과 조립성 역시 탁월한 등의 다양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s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and install even a novice or a stranger by removing the complicated mechanical assembling method while excluding the use of a frame made of metal, and it is also possible to assemble There is an advantage.

100: 텐트 110: 돔
111: 외부커버 112: 내부커버
113: 접면 114: 셀
120: 에어튜브 121: 공기주입구
122: 에어호스 123: 고정구
130: 도어프레임 131: 제1착탈수단
132: 제2착탈수단 133: 고정수단
140: 도어 141: 외피
142: 충전재 143: 내피
150: 베이스 151: 제3착탈수단
152: 지지조직 153: 체결수단
100: tent 110: dome
111: outer cover 112: inner cover
113: contact surface 114: cell
120: air tube 121: air inlet
122: air hose 123: fastener
130: door frame 131: first detachment means
132: second detachment means 133: fixing means
140: door 141: envelope
142: Filler 143:
150: base 151: third detachment means
152: support structure 153: fastening means

Claims (3)

원호 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외부커버(111)와, 외부커버(111)의 하측에서 외부커버(111)보다 짧은 길이의 원호 상의 단면을 형성하는 내부커버(112)와, 외부커버(111)와 내부커버(112)의 양측을 마감하는 접면(113)으로 이루어져 일정 깊이로 연장하는 셀(114)을 다수 구비하여 아치 형태로 배열하는 돔(110)과;
상기 셀(114)에 개별 수용하는 다수를 구비하되, 돔(110)의 선, 후단 개구를 통해 셀(114)의 외부로 노출하는 말단에는 공기주입구(121)를 형성하고, 상호 간에는 에어호스(122)에 의해 연통하여 압축 공기가 일괄 주입되는 에어튜브(120)와;
상기 돔(110)의 선, 후단에 상응하는 단면으로 이루어진 아치 형태의 내부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에어튜브(120)의 노출된 말단을 수용하고, 제1착탈수단(131)에 의해 돔(110)의 선, 후단에 조립 및 분리되는 한 쌍의 도어프레임(130)과;
상기 도어프레임(130)에 구비된 제2착탈수단(132)에 의해 착탈되는 한 쌍의 도어(140)와;
절첩 가능한 매트 형태로 형성하되 제3착탈수단(151)에 의해 상기 돔(110)의 하측에 조립 및 분리되고, 내부에는 허니콤 형상의 지지조직(152)을 구비하는 베이스(150)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프레임(130)의 내측에는 고리 형태의 고정수단(133)을 다수 구비하고, 에어튜브(120)의 말단에는 홀 형태의 고정구(123)를 구비하여 상호 체결함에 따라 돔(110) 및 에어튜브(120)의 아치 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고;
상기 베이스(150)의 하측면 절첩 경계부에는 체결수단(153)을 구비하여 베이스(150)를 절첩한 상태에서 상기 돔(110)과, 에어튜브(120)와, 도어프레임(130)과, 도어(140)를 포함한 텐트(100) 구성품 일체를 수납하는 텐트 케이스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주입식 텐트.
An inner cover 112 which forms an arc-shaped section with a shorter length than the outer cover 111 at the lower side of the outer cover 111, and an outer cover 111 which forms an arc- A dome 110 having a plurality of cells 114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depth and having a contact surface 113 closing both sides of the cover 112 and arranged in an arch shape;
The air inlet 121 is formed at the e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ell 114 through the line and the rear opening of the dome 110, An air tube 120 through which the compressed air is injected in a batch;
An inner space of an arch shape having a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o a line and a rear end of the dome 110 is formed to receive the exposed end of the air tube 120 and the dome 110 is received by the first detachment means 131, A pair of door frames 130 assembled and separated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door frame 130;
A pair of doors 140 detachable by the second detachment means 132 provided on the door frame 130;
And includes a base 150 formed in a foldable mat shape and assembled and dismounted by the third detachment means 151 below the dome 110 and having a honeycomb-shaped support structure 152 therein ;
A plurality of annular fixing means 133 are provided inside the door frame 130 and a hole 123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air tube 120 so that the dome 110 and the air Stably maintaining the arch shape of the tube 120;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150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means 153 at the folded boundary so that the dome 110, the air tube 120, the door frame 130, And a tent case for housing all the components of the tent (100) including the tent (140).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60040810A 2016-04-04 2016-04-04 Air inflatable type tent KR1018466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810A KR101846655B1 (en) 2016-04-04 2016-04-04 Air inflatable type t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810A KR101846655B1 (en) 2016-04-04 2016-04-04 Air inflatable type t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312A KR20170114312A (en) 2017-10-16
KR101846655B1 true KR101846655B1 (en) 2018-04-06

Family

ID=60295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810A KR101846655B1 (en) 2016-04-04 2016-04-04 Air inflatable type t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65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275B1 (en) 2020-06-23 2021-12-29 (주)우성아이비 Frame unit for inflatable tent
WO2023069231A1 (en) * 2021-10-21 2023-04-27 Chick James Heat reflective shiel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8903A (en) * 2006-05-16 2007-11-29 Taiyo Kogyo Corp Air beam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8903A (en) * 2006-05-16 2007-11-29 Taiyo Kogyo Corp Air beam structur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275B1 (en) 2020-06-23 2021-12-29 (주)우성아이비 Frame unit for inflatable tent
WO2023069231A1 (en) * 2021-10-21 2023-04-27 Chick James Heat reflective shield
US11879259B2 (en) 2021-10-21 2024-01-23 James Chick Heat reflective shiel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312A (en) 2017-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5932B1 (en) Inflatable rooftop tent system for vehicles
US8701688B2 (en) Vent for a tent or shelter
US4649947A (en) Expandable soft side shelter
US4667692A (en) Expandable soft side shelter
US7137399B1 (en) Collapsible structure with top supporting elements
CA1047878A (en) Insulated tent
EP1516981B1 (en) Screen room enclosure and method of attachment thereof
US7178537B2 (en) Ring and pole connector assembly for a tent corner
US6019112A (en) Home greenhouse kit
US20110155197A1 (en) Awning and screen room
KR101846655B1 (en) Air inflatable type tent
US20070017563A1 (en) Tent having improved windproof and ventilation abilities
CN202064683U (en) Portable tent capable of being used in combined manner
US8939164B2 (en) Solar shade
KR101860751B1 (en) Air injection Camping tent
EP1945887A2 (en) Tent with hinged door or window
KR200402728Y1 (en) Air injection type tent
KR20200000596U (en) Car Tent
US20050178421A1 (en) Tent with asymmetrical pole sleeves
RU2215105C1 (en) Protective hood for covering vehicle out-of-use for short period
ITMI20062116A1 (en) PROPERTY ROOF FOR MEANS OF TRANSPORT IN PARTICULAR CAMPER
KR101465731B1 (en) A tent for car and the method of using it
CN217439672U (en) Folding roll type awning
CA2325815C (en) Home greenhouse kit
CN220909305U (en) Inflatable tail t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