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274B1 -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274B1
KR102344274B1 KR1020200109454A KR20200109454A KR102344274B1 KR 102344274 B1 KR102344274 B1 KR 102344274B1 KR 1020200109454 A KR1020200109454 A KR 1020200109454A KR 20200109454 A KR20200109454 A KR 20200109454A KR 102344274 B1 KR102344274 B1 KR 1023442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main body
height adjustment
storage spac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정미
Original Assignee
원정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정미 filed Critical 원정미
Priority to KR1020200109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2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2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2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00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3/02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using ice, e.g. ice-boxes
    • F25D3/06Movabl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65D25/24External fittings for spacing bases of containers from supporting surfaces, e.g. 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 B65D81/3813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with thermal insulation rigid container being in the form of a box, tray or like contain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3/00Details of devices using other cold materials; Details of devices using cold-storage bodies
    • F25D2303/08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 F25D2303/082Devices using cold storage material, i.e. ice or other freezable liquid disposed in a cold storage element not forming part of a container for products to be cooled, e.g. ice pack or gel accumula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 Y02A40/963Off-grid food refrig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를 개방 및 차폐하는 커버로 형성된 박스부; 및 상기 본체의 측벽 내부에서 상기 본체의 하면 외측까지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하방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형상의 높이조절부;를 포함하여, 지면으로부터 상기 박스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RAINWATER STORAGE BLOCK}
본 발명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스박스는 얼음과 함께 음식물과 같은 내용물을 넣어서, 내용물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동시에 부패를 방지하고, 내용물을 항상 차갑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목적의 냉장용기로서, 스티로폼을 이용하여 소정의 체적으로 성형/제조되거나 중간에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등 외부로부터의 열을 차단하는 단열 구조를 갖는다.
아이스박스는 시장이나 마트 등에서 생선이나 음식물의 신선도를 유지해서 판매하는데 사용된다. 최근에는 여행, 스포츠활동, 레져와 같은 야외활동이 증가하면서 야외로 나갈 때 음식물을 넣어서 운반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된다.
그러나, 시장이나 마트에서 음식물을 판매하는데 사용될 때, 아이스 박스가 사람 키에 비해 높이가 낮아, 판매시점마다 판매자가 허리를 굽히거나, 무거운 아이스 박스를 들어서 테이블 위에 올려 놓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여행 등 야외활동에서 사용될 때도 사용자의 키에 비해 아이스박스의 높이가 낮기 때문에 사용자가 자주 허리를 굽혔다 폈다 반복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1317호(2018.01.04)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 환경이나 편의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박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를 개방 및 차폐하는 커버로 형성된 박스부; 및 상기 본체의 측벽 내부에서 상기 본체의 하면 외측까지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하방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형상의 높이조절부; 를 포함하여, 지면으로부터 상기 박스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조절홀;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를 관통하며 상기 조절홀에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부가 돌출되는 길이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 외측면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소정 간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높이조절부의 복수의 조절홀 중 어느 하나의 조절홀에 삽입되는 이동부; 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내부의 저장공간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고, 높이는 상기 저장공간의 높이보다 짧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케이스가 상기 저장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저장공간의 높이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높이 차이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 하부에는 비어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비어있는 공간에 얼음 또는 보냉팩과 같은 보냉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 수용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은 지면으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 환경이나 편의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높이조절부와 고정부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의 높이조절부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에 수납부와 접철부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에 따른 수납부와 접철부가 높이조절부에 따라 연장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에 무게센서 및 다단연장부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따른 다단연장부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에 따른 높이조절부가 지면의 높이에 따라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3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에 내부케이스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11에 따른 내부케이스가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높이조절부(20)와 고정부(30)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1)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1)의 높이조절부(20)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1)는 박스부(10), 높이조절부(20) 및 고정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박스부(10)는 내부에 저장공간을 포함하여 단열 기능이 형성되어 다양한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다. 박스부(10)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1)와, 본체(11)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 또는 개방하는 커버(12)를 포함할 수 있다.
박스부(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이스 박스의 다양한 형태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20)는 본체(11)의 측벽 내부에서부터 본체(11)의 하면 외측까지 돌출되도록, 본체(11)의 측벽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11)의 측벽 내부에는 높이조절부(20)가 삽입 및 돌출될 수 있도록 높이조절부(20)의 형상 및 폭에 대응되는 가이드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20)는 본체(11)의 측벽 내부에 설치되어 하방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형상일 수 있다.
높이조절부(20)가 본체(11)의 측벽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되거나 측벽 내부로 인입됨에 따라 본체(11)가 지면과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높이조절부(20)는 지면으로부터 박스부(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20)는 본체(11)의 복수의 지점에 형성되어, 본체(11)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높이조절부(20)는 본체(11)의 꼭짓점마다 형성될 수 있다. 본체(11)의 밑면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때, 높이조절부(20)는 각 꼭짓점마다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사각형의 각 변의 중심부마다 형성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20)는 조절홀(21)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절홀(21)은 복수개가 높이조절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30)는 높이조절부(20)가 돌출되는 길이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부(30)는 프레임(31) 및 이동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31)은 본체(11)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레임(31)은 본체(11)의 하부에서 높이조절부(20)가 배치된 부분의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31)은 상면과 일 측면이 개방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31)은 개방된 일 측면의 단부가 본체(11)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본체(11)의 외측면과 프레임(31)의 타측벽 사이에 프레임(31)의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32)는 프레임(31) 내부에서 소정 간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본체(11)의 측벽을 관통하여 높이조절부(20)의 복수의 조절홀(21) 중 어느 하나의 조절홀(21)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부(32)는 그립부(321) 및 삽입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립부(321)는 프레임(31)의 개방된 상면으로 돌출되도록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립부(321)는 프레임(31) 내에서 사용자가 본체(11)의 외측과 내측 방향, 즉 좌우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삽입부(322)는 그립부(321)와 소정 각도를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삽입부(322)는 그립부(321)와 60도 내지 90도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322)는 본체(11)의 측벽을 관통하여 높이조절부(20)의 조절홀(21)에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그립부(321)가 본체(11)의 내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본체(11)의 외측면과 인접하게 되면, 그립부(321)와 연결된 삽입부(322)가 본체(11)의 측벽을 관통하여 높이조절부(20)의 조절홀(21)에 삽입될 수 있다. 복수의 조절홀(21) 중 어느 하나의 조절홀(21)에 삽입부(322)가 삽입됨으로써, 높이조절부(20)의 돌출 길이가 고정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20)의 돌출 길이를 조절할 때는, 그립부(321)가 본체(11)의 외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본체(11)의 외측면과 이격되면, 그립부(321)와 연결된 삽입부(322)가 높이조절부(20)의 조절홀(21)에서 이탈될 수 있다. 삽입부(322)가 조절홀(21)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높이조절부(20)는 상하 이동되어 본체(11)의 측벽 내부로 인입되거나 본체(11)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이처럼, 높이조절부(20)가 상하 이동하여 본체(11)의 측벽 내부로 삽입하거나 본체(11)의 하방으로 돌출됨에 따라, 본체(11)의 지면과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환경이나 조건에 따라 높이조절부(20)를 이용하여 본체(11)의 높이를 조절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1)에 수납부(40)와 접철부(50)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수납부(40)와 접철부(50)가 높이조절부(20)에 따라 연장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1)는 수납부(40) 및 접철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40)는 추가적인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바스켓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부(40)는 본체(11)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각 꼭짓점마다 형성되는 높이조절부(20)의 양 내측에 위치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1)를 사용하는 동안 추가로 필요한 물품 또는, 본체(11)에서 꺼낸 음식물 등을 수납할 수 있다.
수납부(40)는 접철부(50)에 의해, 높이조절부(20)가 돌출됨에 따라 하강하거나, 높이조절부(20)가 삽입됨에 따라 상승할 수 있다.
수납부(40)는 결합돌기(41) 및 고리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납부(40)는 결합돌기(41)와 고리부(42)를 통해 높이조절부(20)와 연결되어, 높이조절부(20)의 돌출 및 인입됨에 따라 함께 상하 이동할 수 있다.
결합돌기(41)는 수납부(40)의 양 측면에서 높이조절부(20)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ㄷ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높이조절부(20)의 내측면에 체결돌기(22)가 수납부(40) 측으로 ㄷ자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리부(42)는 양 단부가 결합돌기(41)와 체결돌기(22) 각각에 걸리도록 형성되어, 결합돌기(41)와 체결돌기(22)를 연결할 수 있다.
접철부(50)는 수납부(40)와 본체(11)를 연결할 수 있다. 접철부(50)는 인장 및 압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높이조절부(20)의 돌출에 따라 인장되거나, 높이조절부(20)의 인입됨에 따라 압축될 수 있다.
접철부(50)는 제1 바(51), 제2 바(52) 및 힌지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51)와 제2 바(52)는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X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바(51)와 제2 바(52)가 교차하는 중점에 힌지부(53)가 형성되어, 제1 바(51)와 제2 바(52)가 인장 및 압축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수납부(40)와 접철부(50)의 작동 과정은 하기와 같다.
체결돌기(22)와 결합돌기(41)가 고리부(42)에 의해 고정되어, 수납부(40)가 높이조절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수납부(40)는 접철부(50)에 의해 본체(11)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높이조절부(20)가 본체(11)의 측벽에서 돌출되면, 높이조절부(20)와 연결된 수납부(40)가 하강하게 된다. 수납부(40)가 높이조절부(20)에 의해 하강함에 따라 접철부(50)가 인장되어 수납부(40)가 하강하는 상태를 가이드하고, 본체(11)와 연결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반대로, 높이조절부(20)가 본체(11)의 측벽으로 인입되면, 높이조절부(20)와 연결된 수납부(40)가 상승하게 되어, 접철부(50)가 압축될 수 있다.
이처럼, 높이조절부(20)의 높이에 따라 수납부(40)가 자동으로 높이가 조절되고, 높이조절부(20)의 높이에 따라 수납부(40)에 수납할 수 있는 물건의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
이처럼, 수납부(40)가 마련됨으로써, 사용자는 편리하게 물건 보관 등이 가능하다.
도 7은 도 1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1)에 무게센서(60) 및 다단연장부(70)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에 따른 다단연장부(70)가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1)는 무게센서(60) 및 다단연장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게센서(60)는 본체(11)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11) 내부의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무게센서(60)는 복수개가 설치되어, 복수의 지점에 실리는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다단연장부(70)는 본체(11)의 하면에 설치되어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다단연장부(70)는 각 높이조절부(20)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다단연장부(70)는 제1 연장부(71), 제2 연장부(72), 제3 연장부(73) 및 제4 연장부(7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부(71)는 본체(11)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로 제2 연장부(72)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제2 연장부(72)는 제1 연장부(71)의 내부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제3 연장부(73)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제3 연장부(73)는 제2 연장부(72)의 내부에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며, 내부에 제4 연장부(74)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연장부(71) 내지 제4 연장부(74)는 다단 형태의 실린더 형태로 구성되어, 차례로 인입되거나 인출되어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무게센서(60)와 다단연장부(70)의 작동 방법은 하기와 같다.
일 예로, 무게센서(60)가 각 높이조절부(20)와 인접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각 지점에 실리는 무게를 측정할 수 있다. 즉, 무게센서(60)는 제1 무게센서(60a), 제2 무게센서(60b), 제3 무게센서(60c) 및 제4 무게센서(60d)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다단연장부(70)는 제1 다단연장부(70a), 제2 다단연장부(70b), 제3 다단연장부(70c) 및 제4 다단연장부(70d)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식을 저장하여 사용하다 보면, 일 영역에 무거운 음식물이 몰려서 실릴 수 있다. 만일, 제1 무게센서(60) 상측에 무거운 음식물이 실려있는 경우, 제1 무게센서(60a)에서 감지되는 무게가 제4 무게센서(60d)에서 감지되는 무게에 비해 현저하게 무거운 것으로 감지되고, 이러한 경우 제1 다단연장부(70a)는 높이조절부(20)의 돌출된 길이만큼 돌출되어 본체(11)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부(20)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여서 높이조절부(2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200)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따른 높이조절부(200)가 지면의 높이에 따라 작동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1)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부(200)와 제1 센서(81), 제2 센서(82) 및 제3 센서(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200)는 실린더 형태로 자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높이조절부(200)는 구동부(210), 로드부(220) 및 실린더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210)는 로드부(220)에서 실린더부(230)가 인출 및 인입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로드부(220)는 실린더부(230)가 내부에서 인출 및 인입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실린더부(230)는 로드부(220)에서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다.
이처럼, 높이조절부(200)는 구동부(210)에 의해 실린더부(230)가 인출 및 인입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사용자 패널(미도시)의 조작함으로써 자동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제1 센서(81)는 본체(11)의 하면에 설치되며, 제1 센서(81)는 수평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센서(82) 및 제3 센서(83)는 높이조절부(200)의 측면에 설치되며, 수평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높이조절부(200)와, 제1 센서(81), 제2 센서(82), 제3 센서(83)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일 예로, 지면이 평평하지 않고, 경사진 지면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지면의 경사에 따라 각 높이조절부(200)의 길이가 조절되어 본체(11)가 수평 상태로 배치되도록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81), 제2 센서(82), 제3 센서(83)에서 본체(11)의 수평 상태를 판단하고, 수평이 아닌 경우, 그에 따라 높이조절부(2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에서 좌측으로 경사진 지면에 위치되는 경우,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의 높이조절부(200)가 좌측의 높이조절부(200)보다 더욱 돌출되어, 본체(11)가 수평 상태가 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반대로 도 10c의 경우 좌측에서 우측으로 하향 경사진 지면에 위치되는 경우, 좌측의 높이조절부(200)가 우측의 높이조절부(200)보다 더욱 돌출되어 본체(11)가 수평 상태가 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도 11은 도 3에 따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1)에 내부케이스(90)가 더 설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도 11에 따른 내부케이스(90)가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1)는 내부케이스(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90)는 본체(11) 내부의 저장공간에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9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내부케이스(90)는 본체(11) 내부의 저장공간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고, 높이는 저장공간의 높이보다 짧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내부케이스(9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90)는 본체(11) 내부의 저장공간에 삽입되어, 내부의 수용공간에 음식물 등을 수용할 수 있다. 내부케이스(90)는 본체(11)의 상부에 안착할 수 있는 안착돌기(91)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돌기(91)는 내부케이스(90) 상부에서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는 돌기 형태이다. 안착돌기(91)는 본체(11)의 안착홈(112)에 안착될 수 있다.
안착홈(112)은 본체(11)의 상부 내측에 형성되는 홈으로써, 안착돌기(9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안착돌기(91)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내부케이스(90)가 본체(11)의 저장공간에 삽입되면, 내부케이스(90)의 안착돌기(91)가 본체(11)의 안착홈(112)에 안착되며, 내부케이스(90)가 본체(11)에 안착 및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안착돌기(91)와 안착홈(112)에 의해 내부케이스(90)는 본체(11)의 상단에 지지되어, 저장공간의 높이와 상기 내부케이스(90)의 높이 차이에 의해, 저장공간 하부에는 비어있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어있는 공간에 얼음(I) 또는 보냉팩(P)과 같은 보냉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 수용될 수 있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냉팩(P) 및 얼음(I)이 내부케이스(90)의 하부에 수용되는 상태에서 내부케이스(90)가 음식물을 수용하여, 음식물의 신선도 유지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내부케이스(90)를 인출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내부케이스(90)와 본체(11)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
10: 박스부 11: 본체
111: 가이드홈 12: 커버
20: 높이조절부 21: 조절홀
22: 체결돌기 30: 고정부
31: 프레임 32: 이동부
321: 그립부 322: 삽입부
40: 수납부 41: 결합돌기
42: 고리부 50: 접철부
51: 제1 바 52: 제2 바
53: 힌지부 60: 무게센서
70: 다단연장부 71: 제1 연장부
72: 제2 연장부 73: 제3 연장부
74: 제4 연장부 200: 높이조절부
210: 구동부 220: 로드부
230: 실린더부 81: 제1 센서
82: 제2 센서 83: 제3 센서
90: 내부케이스 91: 안착돌기
P: 보냉팩 I: 얼음

Claims (4)

  1. 내부에 저장공간이 형성된 본체와 본체를 개방 및 차폐하는 커버로 형성된 박스부;
    상기 본체의 측벽 내부에서 상기 본체의 하면 외측까지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하방으로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형상의 높이조절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바스켓 형태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의 하부에서 상기 높이조절부의 내측에 위치되는 크기로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부와 연결되는 수납부; 및
    상기 수납부를 상기 본체의 하부에 연결하되, 인장 및 압축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높이조절부가 돌출됨에 따라 인장되고, 상기 높이조절부가 삽입됨에 따라 압축되는 접철부;를 포함하여,
    상기 높이조절부가 상기 본체의 측벽에서 돌출되면 상기 높이조절부와 연결된 상기 수납부가 하강하며, 상기 접철부는 인장되어 상기 수납부의 하강을 가이드하고,
    상기 높이조절부가 본체의 측벽으로 인입되면 상기 높이조절부와 연결된 상기 수납부가 상승하며, 상기 접철부는 압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조절홀;을 포함하며,
    상기 본체를 관통하며 상기 조절홀에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부가 돌출되는 길이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본체 외측면에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부에서 소정 간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높이조절부의 복수의 조절홀 중 어느 하나의 조절홀에 삽입되는 이동부;
    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의 저장공간의 폭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고, 높이는 상기 저장공간의 높이보다 짧은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저장공간에 삽입 및 인출 가능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내부케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케이스가 상기 저장공간에 삽입되면, 상기 저장공간의 높이와 상기 내부케이스의 높이 차이에 의해, 상기 저장공간 하부에는 비어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비어있는 공간에 얼음 또는 보냉팩과 같은 보냉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이 수용될 수 있는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
KR1020200109454A 2020-08-28 2020-08-28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 KR1023442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454A KR102344274B1 (ko) 2020-08-28 2020-08-28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454A KR102344274B1 (ko) 2020-08-28 2020-08-28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274B1 true KR102344274B1 (ko) 2021-12-29

Family

ID=79176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454A KR102344274B1 (ko) 2020-08-28 2020-08-28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27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9173A (ja) * 1994-02-28 1995-09-12 Sanyo Electric Co Ltd ショーケース
JPH11206579A (ja) * 1998-01-20 1999-08-03 Shinichi Sakaguchi 定温収納装置
KR20090121581A (ko) * 2008-05-22 2009-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2014515469A (ja) * 2011-05-26 2014-06-30 バイキング コールド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架式pcm支持材を有する冷温貯蔵ラック
KR20180001317A (ko) 2016-06-27 2018-01-04 주식회사 그린인슐레이터 아이스박스
KR20190018945A (ko) * 2017-08-16 2019-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9173A (ja) * 1994-02-28 1995-09-12 Sanyo Electric Co Ltd ショーケース
JPH11206579A (ja) * 1998-01-20 1999-08-03 Shinichi Sakaguchi 定温収納装置
KR20090121581A (ko) * 2008-05-22 2009-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2014515469A (ja) * 2011-05-26 2014-06-30 バイキング コールド ソリューション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高架式pcm支持材を有する冷温貯蔵ラック
KR20180001317A (ko) 2016-06-27 2018-01-04 주식회사 그린인슐레이터 아이스박스
KR20190018945A (ko) * 2017-08-16 2019-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106B1 (ko) 아이스박스
US5458232A (en) Article lifting container
KR101866242B1 (ko) 캠핑용 테이블
EP0975531A1 (en) Vacuum resealable display/storage case
US5261253A (en) Refrigerated display cabinet
US20170008688A1 (en) Soft-sided insulated container with work surface
KR20140022598A (ko) 냉장고용 서랍칸
KR102344274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아이스 박스
JP3953436B2 (ja) 冷蔵庫の仕切装置
US5853180A (en) Tool box caddy
US11751700B2 (en) Cooler for beverage and food products
EP1420670B1 (en) Mobile display unit for street traders
EP1152201B1 (en) Refrigerator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MX2012011308A (es) Cajon.
US20080101730A1 (en) "Improved Design For Stabilizing Fabric Bulk Bags"
CA2846191A1 (en) Shelf structure for a merchandiser
JPH08170873A (ja) 冷蔵庫用食品収納容器及び冷蔵庫
JP5920694B2 (ja) 携帯用クーラーボックス
US20220297883A1 (en) Stackable container having hinged walls
MX2012011309A (es) Cajon.
KR101416698B1 (ko) 냉장고
US20160324336A1 (en) Refrigerated merchandiser with removable floor
KR200489957Y1 (ko) 기능성 케이크 용기
KR101940855B1 (ko) 육류의 신선도 상승과 쉬운 포장이 가능한 육류포장박스
US20130328473A1 (en) Storage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with supplemental storage fea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