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117B1 - 낚시용 루어 - Google Patents

낚시용 루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117B1
KR102344117B1 KR1020210030539A KR20210030539A KR102344117B1 KR 102344117 B1 KR102344117 B1 KR 102344117B1 KR 1020210030539 A KR1020210030539 A KR 1020210030539A KR 20210030539 A KR20210030539 A KR 20210030539A KR 102344117 B1 KR102344117 B1 KR 1023441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lure
moving shaft
moving
coi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범
Original Assignee
남기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범 filed Critical 남기범
Priority to KR1020210030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1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1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1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용 루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물고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루어본체; 상기 루어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 상기 루어본체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부착되고, 내부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양측 극성에 각각 접속되면서 물에 동시 접촉되는 순간 전원 접속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접속 단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상기 접속 단자들과 접속되는 회로 기판을 통해 교호로 극성이 바뀌면서 전원이 공급되는 링형상의 전자석 코일체; 상기 루어본체의 내부에서 양측에 고정되는 수직의 금속판에 각각 일단이 부착되고, 상기 전자석 코일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축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양측으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하여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전자석 코일체가 일정 간격으로 축방향 이동하도록 하는 자석 축; 상기 전자석 코일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코일축과 동일 축선상에 축 연결되며, 상기 루어본체의 후단부를 관통하는 외주면에는 일정 높이로 수직의 지지축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전자석 코일체와 함께 일정 길이를 측방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축; 상기 자석 축 또는 이동축이 지나는 상기 루어본체의 내주면에 부착되면서 중앙을 관통하는 상기 자석 축 또는 이동축이 부착되도록 하여 상기 자석 축 또는 이동축의 측방으로 이동 시 신축되면서 상기 전자석 코일체측으로의 바닷물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는 해수 차단막; 상기 이동축의 상기 루어본체 후방에서 축고정되는 바늘; 상기 바늘의 중앙을 관통하는 상기 이동축의 단부에 고정되는 꼬리 지느러미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낚시용 루어{Lure for fishing}
본 발명은 낚시용 루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족류 낚시에 사용하는 루어인 에기의 몸체에 꼬리를 형성하면서 물속에서는 꼬리가 자동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서 충돌음에 의해 고기의 유인 효과가 극대화되도록 하는 낚시용 루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족류와 같은 어종은 생미끼보다는 인조미끼인 루어를 사용하여 낚시를 하게 된다.
루어도 그 종류는 매우 다양하지만 두족류 낚시에 사용되는 루어는 통상 물고기 형상의 에기 또는 문어 형상의 에자를 사용하고 있다.
이중 물고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에기는 꼬리 부위에 후크형상의 바늘이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여 두족류가 루어를 감싸게 되면 챔질에 의해서 포획할 수가 있게 된다.
즉, 루어에 두족류가 안착되는 것만으로는 두족류가 언제든 달아날 수가 있으므로 안정된 포획을 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챔질이 이루어져야만 한다.
또한, 루어는 그 자체만으로는 움직임이 없으므로 낚시 중 주기적으로 고패질을 하여 움직임을 줌으로써 포획률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한편, 등록실용신안 제0446543호(2009.10.30.)의 움직이는 루어에서는 물고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루어본체의 후미에 회전 가능하게 꼬리지느러미가 형성되도록 하고, 꼬리 지느러미는 낚싯대의 캐스팅 직후 완전히 김긴 태엽이 풀리면서 태엽이 풀리는 회전력에 의해 감속기어군과 종동기어와 원캠이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반복운동하도록 하고 있다.
즉, 루어를 캐스팅한 이후 캐스팅에 의해 낚싯줄이 풀리면서 반대로 태엽이 감겨지게 되나 채비가 정렬되고 나면 감겨져있던 태엽이 풀리면서 이때 발생되는 회전력에 의해 루어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다양한 회전력 전달 수단들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하면서 이 회전축에 연결되는 꼬리 지느러미가 상하방향으로 반복운동하면서 유동성을 갖도록 함으로서 마치 살아있는 물고기가 물속에서 유영하는 형상을 연출하게 하여 욱식성 어종을 손쉽게 포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의 루어는 캐스팅 시의 낚싯줄이 풀리거나 감기는 작용에 의해서 태엽이 감기거나 풀려지도록 하고 있으므로 작동이 불안정할 뿐만 아니라 태엽이 풀려지게 되면 더 이상 꼬리 지느러미는 움직이지 않게 되므로 낚싯줄을 풀거나 감는 행위나 주기적으로 고패질을 해줘야만 하므로 대단히 피곤함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등록실용신안 제0446543호(2009.10.30.)의
이에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물속에서만 전기적 접속에 의해 좌우로 일정 길이를 이동하는 링형 전자석 코일체에 연결한 연결축에 에기용 바늘 또는 에기용 바늘과 함께 꼬리 지느러미가 연결되게 하여 물속에서 좀더 강한 유동성에 의해 유인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루어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 밖에서는 전기적 접속 단절에 의해 전혀 작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최소한의 전원 손실에 의해 좀더 경제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낚시용 루어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루어는, 물고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루어본체; 상기 루어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 상기 루어본체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부착되고, 내부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양측 극성에 각각 접속되면서 물에 동시 접촉되는 순간 전원 접속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접속 단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상기 접속 단자들과 접속되는 회로 기판을 통해 교호로 극성이 바뀌면서 전원이 공급되는 링형상의 전자석 코일체; 상기 루어본체의 내부에서 양측에 고정되는 수직의 금속판에 각각 일단이 부착되고, 상기 전자석 코일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축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양측으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하여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전자석 코일체가 일정 간격으로 축방향 이동하도록 하는 자석 축; 상기 전자석 코일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코일축과 동일 축선상에 축 연결되며, 상기 루어본체의 후단부를 관통하는 외주면에는 일정 높이로 수직의 지지축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전자석 코일체와 함께 일정 길이를 측방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축; 상기 이동축이 지나는 상기 루어본체의 내주면에 부착되면서 중앙을 관통하는 상기 이동축이 부착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축의 측방으로 이동 시 신축되면서 상기 전자석 코일체측으로의 바닷물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는 해수 차단막; 상기 이동축의 상기 루어본체 후방에서 축고정되는 바늘; 상기 바늘의 중앙을 관통하는 상기 이동축의 단부에 고정되는 꼬리 지느러미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루어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회로 기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LED가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전자석 코일체는 중앙에 상기 자석 축이 관통하도록 하는 관형의 코어 외측으로 코일이 권선되도록 하고, 상기 코일의 외부는 비전도체로 이루어지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자석 축을 따라 좌우로 이동 시 양측의 상기 수직의 금속판과 충돌하면서 충돌음이 발생되도록 한다.
상기 자석 축은 양측으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봉형상의 자석간 길이 방향으로 일측의 단면간이 부착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루어본체의 지지축이 구비되는 후단부에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로서 축홈을 형성하면서 축홈은 상기 이동축이 이동하는 폭만큼의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축이 통과하는 부위에는 상기 이동축의 직경보다 크면서 축홈과 동일한 폭으로 수평 관통되도록 축 가이드홀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해수 차단막은 실리콘 박막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루어에 의해 채비를 투척하여 물속에서만 접속 단자간 통전에 의해 지속적으로 전자석 코일체가 일정 간격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이동축의 이동에 의해 루어본체 후방의 바늘과 꼬리 지느러미가 좌우로 흔들리도록 하여 보다 강력한 활동성에 의해 유인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속에서만 접속 단자가 통전에 의해 바늘과 꼬리 지느러미가 작동하고, 물 밖에서는 전원이 차단되게 함으로써 사용 전원을 최소화하여 유지 관리를 가장 경제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루어를 예시한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루어를 예시한 루어본체의 평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루어에서 전자석 코일체를 예시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루어의 이동축에 지지축을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한 루어본체의 요부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루어의 지지축을 형성하는 이동축이 통과하는 루어본체의 단부를 예시하는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루어의 작동 과정을 예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루어의 작동 구조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루어를 예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루어를 예시한 루어본체의 평단면도이다.
예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낚시용 루어는 루어본체(10)와 배터리(20)와 접속 단자(30)와 전자석 코일체(40)와 자석 축(50)과 이동축(60)과 해수 차단막(70)과 바늘(80) 및 꼬리 지느러미(90)로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루어본체(10)는 물고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내부는 비어 있는 구성이며, 내부의 일측에는 배터리(20)가 구비된다.
배터리(20)는 교체 가능한 구성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서 충전되는 충전기로서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배터리(20)의 양단자는 각각 루어본체(10)의 양측 외주면에 부착되는 접속 단자(30)에 연결되도록 한다.
접속 단자(30)는 배터리(20)의 서로 다른 극성의 양측 단자와 각각 접속되도록 하여 루어본체(10)의 외주면에서 수중에 잠기게 되면 물에 의해 한 쌍의 접속 단자(30)들간이 동시 접속되도록 한다.
루어본체(10)에 부착되는 한 쌍의 접속 단자(30)들은 회로 기판(31)에 연결되고, 회로 기판(31)에서는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이 교차되게 하면서 출력되도록 한다.
즉, 회로 기판(31)에는 한 쌍의 접속 단자(30)로부터 양극의 전원이 인가되는데 이러한 전원을 양측으로 출력되게 하면서 출력 시 일정 간격을 두고 극성이 바뀌면서 출력되도록 한다.
회로 기판(31)을 통해 출력되는 전원은 링형상의 전자석 코일체(40)에 인가된다.
전자석 코일체(40)는 도 3에서와 같이 내부에는 회로 기판(31)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이 인가되어 일정 간격으로 극성이 순차 변환되면서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코일(41)이 내장되고, 이 코일(41)은 비전도체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커버(42)에 매립되어 외부가 보호되도록 한다.
이때, 코일(41)은 코일 자체만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관형의 코어의 외측으로 감겨지는 구성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코일(41)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42)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경질의 합성수지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링형상의 전자석 코일체(40)는 중앙의 축홀을 통해 수평으로 자석 축(50)이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자석 축(50)은 전자석 코일체(40)의 축홀보다는 작은 외경으로 이루어지며, 전자석 코일체(40)의 폭보다는 긴 길이로서 형성되도록 하여 전자석 코일체(40)가 일정 폭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자석 축(50)은 양단부가 루어본체(10)의 내주면에 고정되게 할 수도 있으나, 루어본체(10)의 양측 내주면에 형성한 수직의 금속판(51)에 각각 부착되게 할 수도 있다.
이때 자석 축(50)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2개의 구성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일단은 루어본체(10)의 내주면이나 수직의 금속판(51)에 고정되도록 하고, 타단은 상호 대향하는 단면간 자성에 의해 부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며, 이와는 달리 길이 중간 부위를 경계로 양측으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하는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하여 양측의 단부가 루어본체(10)나 금속판(51)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자석 축(50)에 끼워지는 전자석 코일체(40)에 인가되는 전원의 극성을 일정 간격으로 전환되도록 하면 전자석 코일체(40)가 자석 축(50)의 축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가 있다.
특히, 자석 축(50)의 양단부를 수직의 금속판(51)에 고정되도록 하면 자석 축(50)을 따라 이동하는 전자석 코일체(40)의 측단부가 금속판(51)과 충돌하면서 충돌음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음향도 동시에 발생시킬 수가 있다.
전자석 코일체(40)의 외부를 감싸는 커버(42)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위로 코일축(43)의 일단이 고정 연결되도록 하며, 이 코일축(43)에는 동일 축선상에 슬리브와 같은 별도의 연결수단(61)을 이용하여 이동축(60)의 일단이 축 연결되도록 한다.
다만, 코일축(43)과 이동축(60)은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동축(60)은 루어본체(10)의 후단부를 관통하여 일정 길이가 후방으로 돌출 연장되도록 하며, 루어본체(10)의 이동축(60)이 통과하는 부위에는 도 4에서와 같이 이동축(60)의 외주면을 수직의 방향으로 일정 높이를 상향 및 하향으로 수직의 지지축(62)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이동축(60)의 루어본체(10)를 관통하는 부위에서는 수직의 지지축(62)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여 측면에서 보면 십자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따라서 지지축(62)이 형성되는 루어본체(10)에는 도 5에서와 같이 지지축(62)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로서 축홈(11)을 형성하되 이 축홈(11)은 이동축(60)이 이동하는 폭만큼의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동시에 이동축(60)이 통과하는 부위에는 이동축(60)의 직경보다 크게 하면서 축홈(11)과 동일한 폭으로 수평 관통되도록 축 가이드홀(12)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이동축(60)에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축(62)은 이동축(6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게 하거나 이동축(60)과 동일한 두께로서 이동축(60)의 직경보다는 큰 폭의 판형상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동축(60)이 일정 폭을 수평 이동할 수 있도록 루어본체(10)에 형성되는 축 가이드홀(12)을 통해 해수가 루어본체(10)의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루어본체(10)의 내주면 후단부에는 해수 차단막(70)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해수 차단막(70)은 루어본체(10)의 내주면 후단부에 외주면이 부착되도록 하는 동시에 중앙에는 이동축(60)의 외주면이 부착되도록 하여 자체 탄성에 의해서 이동축(60)이 일정 폭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의 해수 차단막(70)은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재질로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루어본체(10)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이동축(60)의 단부에는 바늘(80)과 함께 바늘(80)과 동일축선상에 꼬리 지느러미(90)가 연결되도록 한다.
이때의 바늘(80)은 에기용 후크형상의 바늘을 사용하며, 바늘(80)은 기존과 같이 두 층으로 형성되게 할 수도 있으나 후방으로 지나치게 길어질 수가 있으므로 한 층으로만 형성되게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바늘(80)을 이동축(60)이 중앙을 관통하여 보다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면서 이 이동축(60)의 후단부에는 상하로 지느러미를 형성하는 꼬리 지느러미(90)가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낚시용 루어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우선 한 쌍의 접속 단자(20)간 접속이 이루어지게 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물에 잠기도록 하면 물이 접속수단이 되어 한 쌍의 접속 단자(20)을 접속시키게 된다.
그리고, 루어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회로기판(31)에는 콘트롤러가 설치되도록 하여 한 쌍의 접속 단자(30)들을 통해 서로 다른 전극의 전원이 인가되면 인가되는 전원의 유동 방향이 전환되도록 하면서 전환 주기가 설정되도록 한다.
즉, 한 쌍의 접속 단자(30)를 통해 회로기판(31)에 전원이 인가되면 회로기판(31)에서는 이미 설정한 시간 간격마다 전자석 코일체(40)의 코일(41)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이 전환되도록 한다.
전자석 코일체(40)에서의 전류의 방향이 전환되면 전자석 코일체(40)을 축지지하는 자석 축(50)에서 전자석 코일체(40)가 축방향으로 연속해서 왕복 이동하게 된다.
전자석 코일체(40)가 자석 축(50)의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전자석 코일체(40)에서 후방으로 축고정된 코일축(43)이 루어본체(10)의 내부에서 도 7에서와 같이 양측으로의 이동을 반복하게 된다.
코일축(43)에는 동일 축선상에 이동축(60)이 연결되고, 이동축(40)은 지지축(62)에 의해서 루어본체(10)의 후단부에 이탈방지되게 축지지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하면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한 이동축(40)에는 동일 축선상에 바늘(80)과 꼬리 지느러미(90)가 연결되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들 바늘(80)과 꼬리 지느러미(90) 또한 코일축(43) 및 이동축(60)과 함께 양측방으로 이동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물속에 잠기는 순간 본 발명의 전자석 코일체(40)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전자석 코일체(40)가 자석 축(50)의 축방향으로 양측방으로 왕복 이동하게 되므로 전자석 코일체(40)와 함께 코일축(43)과 이동축(60)이 이동하면서 동시에 루어본체(10)의 후방으로 노출되게 형성되는 바늘(80)과 꼬리 지느러미(90)가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이렇게 물 속에서 바늘(80)과 꼬리 지느러미(90)가 움직이게 되면 비록 루어본체(10)가 움직임이 없다 하더라도 이들 바늘(80)과 꼬리 지느러미(90)의 움직임에 의해 두족류의 유인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전자석 코일체(40)가 좌우로 이동하면서 양측에서 자석 축(50)의 단부가 고정되도록 구비한 금속판(51)에 전자석 코일체(40)의 양단부가 순차적으로 충돌하게 되어 충돌음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바늘(80)과 꼬리 지느러미(90)의 움직임과 금속판(51)과의 충돌음 발생에 의해 두족류들을 더욱 강력하게 유인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동축(60)이 통과하는 루어본체(10)의 후단부에 형성한 축 가이드홀(12)을 통해 해수가 유입될 수가 있지만 후단부의 내측으로 형성한 해수 차단막(70)에 의해 이동축(60)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더 이상의 해수의 유입이 방지되도록 하므로 두족류의 포획률을 극대화하면서도 안정된 유지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본 발명의 구성에서 이동축(60)에 수직으로 형성되는 지지축(62)을 루어본체(10)의 후단부에서 측방으로 일정 폭만큼 이동 가능하게 매설되게 함으로써 바늘(80)에 문어와 같이 상당한 하중이 걸리게 되더라도 이동축(6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가 있도록 하므로 안정된 포획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루어본체
11 : 축홈 12 : 축 가이드홀
20 : 배터리
30 : 접속 단자
31 : 회로기판
40 : 전자석 코일체
41 : 코일 42 : 커버
43 : 코일축
50 : 자석 축
51 : 금속판
60 : 이동축
61 : 연결수단 62 : 지지축
70 : 해수 차단막
80 : 바늘
90 : 꼬리 지느러미

Claims (6)

  1. 물고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루어본체;
    상기 루어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는 배터리;
    상기 루어본체의 양측 외주면에 각각 부착되고, 내부로부터 상기 배터리의 양측 극성에 각각 접속되면서 물에 동시 접촉되는 순간 전원 접속이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접속 단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상기 접속 단자들과 접속되는 회로 기판을 통해 교호로 극성이 바뀌면서 전원이 공급되는 링형상의 전자석 코일체;
    상기 루어본체의 내부에서 양측에 고정되는 수직의 금속판에 각각 일단이 부착되고, 상기 전자석 코일체의 중앙에 형성되는 축홀을 관통하도록 삽입되며, 양측으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도록 하여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전자석 코일체가 일정 간격으로 축방향 이동하도록 하는 자석 축;
    상기 전자석 코일체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코일축과 동일 축선상에 축 연결되며, 상기 루어본체의 후단부를 관통하는 외주면에는 일정 높이로 수직의 지지축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전자석 코일체와 함께 일정 길이를 측방으로 왕복 이동하는 이동축;
    상기 이동축이 지나는 상기 루어본체의 내주면에 부착되면서 중앙을 관통하는 상기 이동축이 부착되도록 하여 상기 이동축의 측방으로 이동 시 신축되면서 상기 전자석 코일체측으로의 바닷물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는 해수 차단막;
    상기 이동축의 상기 루어본체 후방에서 축고정되는 바늘; 상기 바늘의 중앙을 관통하는 상기 이동축의 단부에 고정되는 꼬리 지느러미;
    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낚시용 루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루어본체의 내부에는 상기 회로 기판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점등되는 LED가 설치되도록 하는 낚시용 루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 코일체는 중앙에 상기 자석 축이 관통하도록 하는 관형의 코어 외측으로 코일이 권선되도록 하고, 상기 코일의 외부는 비전도체로 이루어지는 경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자석 축을 따라 좌우로 이동 시 양측의 상기 수직의 금속판과 충돌하면서 충돌음이 발생되도록 하는 낚시용 루어.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석 축은 양측으로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봉형상의 자석간 길이 방향으로 일측의 단면간이 부착되도록 한 쌍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낚시용 루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루어본체의 지지축이 구비되는 후단부에는 상기 지지축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높이로서 축홈을 형성하면서 축홈은 상기 이동축이 이동하는 폭만큼의 폭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이동축이 통과하는 부위에는 상기 이동축의 직경보다 크면서 축홈과 동일한 폭으로 수평 관통되도록 축 가이드홀이 형성되도록 하는 낚시용 루어.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수 차단막은 실리콘 박막으로 형성되도록 하는 낚시용 루어.
KR1020210030539A 2021-03-09 2021-03-09 낚시용 루어 KR1023441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539A KR102344117B1 (ko) 2021-03-09 2021-03-09 낚시용 루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539A KR102344117B1 (ko) 2021-03-09 2021-03-09 낚시용 루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117B1 true KR102344117B1 (ko) 2021-12-28

Family

ID=7917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539A KR102344117B1 (ko) 2021-03-09 2021-03-09 낚시용 루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11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74924A1 (en) * 2019-10-28 2022-06-09 Timothy J. Swanson Fishing lure producing electromagnetic fields
KR102590468B1 (ko) 2022-10-24 2023-10-19 재아건설 주식회사 낚시용 루어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057Y1 (ko) * 2006-08-16 2006-11-07 강현욱 낚시용 발광 루어
KR20070016734A (ko) * 2005-08-05 2007-02-08 김세웅 낚시용 루어
KR200446543Y1 (ko) 2009-04-30 2009-11-06 심응용 움직이는 루어
KR20160013735A (ko) * 2014-07-28 2016-02-05 김성태 루어낚시용 미끼
JP2017136056A (ja) * 2016-02-05 2017-08-10 秋生 田松 磁石動力ルアー
KR102222779B1 (ko) * 2020-08-31 2021-03-03 한정오 이동바늘을 갖는 인조 미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6734A (ko) * 2005-08-05 2007-02-08 김세웅 낚시용 루어
KR200430057Y1 (ko) * 2006-08-16 2006-11-07 강현욱 낚시용 발광 루어
KR200446543Y1 (ko) 2009-04-30 2009-11-06 심응용 움직이는 루어
KR20160013735A (ko) * 2014-07-28 2016-02-05 김성태 루어낚시용 미끼
JP2017136056A (ja) * 2016-02-05 2017-08-10 秋生 田松 磁石動力ルアー
KR102222779B1 (ko) * 2020-08-31 2021-03-03 한정오 이동바늘을 갖는 인조 미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74924A1 (en) * 2019-10-28 2022-06-09 Timothy J. Swanson Fishing lure producing electromagnetic fields
KR102590468B1 (ko) 2022-10-24 2023-10-19 재아건설 주식회사 낚시용 루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4117B1 (ko) 낚시용 루어
US7562489B2 (en) Light emitting fishing lure which releases scent, emits sound and generates electricity
CA2915323C (en) Fishing lure
DE102018117801B3 (de) Selbstbewegbarer künstlicher Köderfisch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selbstbewegbaren künstlichen Köderfisches
CN106206167A (zh) 电动车辆继电器
JP2010125263A (ja) 電動歯ブラシ
US20010004171A1 (en) Linear electric motor
CN115087348A (zh) 电磁鱼饵驱动器和控制电磁鱼饵驱动器的方法
US726020A (en) Artificial fish-bait.
US6910294B1 (en) Intra-fishing lure animator apparatus
CN106716565A (zh) 电磁的调整设备
CA2360862C (en) An electronic fishing lure
JP2007053956A (ja) 魚釣り用ルアー
US11758889B2 (en) Shape memory metal artificial bait
CN210329015U (zh) 一种开底式抄网
CN211322614U (zh) 一种水产养殖用高频率饲料投放装置
KR20120133726A (ko) 낚시대의 운동장치
CN209981020U (zh) 磁力开关
CN2046675U (zh) 节能电磁铁
US2559475A (en) Fishing bait
KR102590468B1 (ko) 낚시용 루어
JP3052155B2 (ja) 擬餌釣針
KR20160013735A (ko) 루어낚시용 미끼
JP3622925B2 (ja) 発光ルアー
CN218869154U (zh) 一种便于更换软体的路亚假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