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4051B1 - 처짐 곡률 제어구조를 갖는 케이블교 - Google Patents

처짐 곡률 제어구조를 갖는 케이블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4051B1
KR102344051B1 KR1020210035552A KR20210035552A KR102344051B1 KR 102344051 B1 KR102344051 B1 KR 102344051B1 KR 1020210035552 A KR1020210035552 A KR 1020210035552A KR 20210035552 A KR20210035552 A KR 20210035552A KR 102344051 B1 KR102344051 B1 KR 102344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upport
main
section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5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환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안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승환 filed Critical 안승환
Priority to KR1020210035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40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4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4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1/00Suspension or cable-stayed bridges
    • E01D11/02Suspension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4Towers; Anchors ; Connection of cables to bridge parts; Saddle suppor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인장케이블의 처짐량을 조절하여 케이블교 진입부의 경사각을 완만하게 제어할 수 있는 처짐 곡률 제어구조를 갖는 케이블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일측 단부가 제1 고정지점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지1 고정지점과 대안(對岸)에 위치하는 제2 고정지점에 고정되어, 하방으로의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의 메인케이블과; 상기 메인케이블의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면에 발판부가 구비되어 보행자의 보행을 지지하는 지지케이블과; 상기 메인케이블과 상기 지지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케이블;을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르면, 진입부의 경사각을 완만하게 형성하여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처짐 곡률 제어구조를 갖는 케이블교{SUSPENSION CABLE BRIDGE HAVING SAGGING RADIUS CONTROL STRUCTURE}
본 발명은 케이블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 진입구간에서 급처짐 곡률이 형성되는 케이블교(출렁다리)의 처짐 곡률 제어구조를 갖는 케이블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렁다리는 교각없이 골짜기나 강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교량으로 산악지역의 협곡 및 계곡 등 교각 설치가 어려운 지역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출렁다리는 주로 보행자의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단경간 구조에는 처짐 및 진동에 강한 RC 교량이나 트러스트교가 적용되고, 장경간 구조에는 시공성 및 경제성이 뛰어난 케이블 지지구조의 케이블교가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케이블교의 경우, 양쪽 진입부 측에 급경사를 갖는 형태로 처짐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케이블 지지구조 케이블교의 경우, 진입부의 경사각이 커 보행자들이 진입/진출 구간에서 보행시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출렁다리 초입부를 계단 형식으로 구성하거나, 케이블에 과인장력을 부가하여 케이블 전체의 처짐량을 줄이도록 설계되는 케이블교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계단식 구조물과 같은 별도의 설치 구조물이나, 과잉설계에 따른 시공비가 증가하여, 케이블교의 활용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5-0142240호(2015.12.22)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4119호(2019.07.19)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장케이블의 인장력이 구간별로 조절되어 케이블교 진입부의 경사각을 완만하게 제어함으로써, 별도의 설치 구조물이나 과도한 인장설계 없이 사용자의 보행 안전감을 확보할 수 있는 케이블교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상은,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일측 단부가 제1 고정지점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1 고정지점과 대안(對岸)에 위치하는 제2 고정지점에 고정되어, 하방으로의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의 메인케이블과; 상기 메인케이블의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면에 발판부가 구비되어 보행자의 보행을 지지하는 지지케이블과; 상기 메인케이블과 상기 지지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케이블 및 지지케이블은, 상기 제1 고정지점 및 제2 고정지점으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소정거리까지의 구간인 진입구간과, 상기 양측 진입구간 사이의 연결구간으로 구분되고; 상기 제1 고정지점 및 제2 고정지점에서의 메인케이블과 지지케이블의 이격거리가, 진입구간 및 연결구간의 메인케이블과 지지케이블의 이격거리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블교에 있어서, 상기 수직케이블 중 상기 진입구간에 배치되는 수직케이블들은, 진입구간의 상기 지지케이블의 과대 역곡률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구간에 배치되는 수직케이블들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입구간에 배치되는 수직케이블들은, 상기 고정지점에서 상기 연결구간으로 갈수록 길이가 순차적으로 짧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간에 배치되는 수직케이블들은,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입구간에 연결되는 수직케이블들은,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여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인장조절 소켓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케이블은 일정 지점이 절단되어, 상기 절단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편이 구비되며, 상기 인장조절 소켓은, 상기 고정편이 양측에 나사결합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양측 고정편이 인입 또는 인출되어 상기 수직케이블의 결합길이가 조절되는 턴버클로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장조절 소켓에는, 상기 양측 고정편 사이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표시눈금이 형성되어, 상기 양측 고정편 사이의 이격 길이에 따라 상기 수직케이블의 길이 조절량이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입구간의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이 상기 연결구간의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 보다 큰 인장저항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입구간의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은, 상기 연결구간의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 보다 큰 단면적의 케이블로 구성되어, 동일 하중에 대하여, 상기 진입구간의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의 인장량이 상기 연결구간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의 인장량 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진입구간의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은, 상기 연결구간의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 보다 고강도 또는 고강성 소재의 강연선으로 구성되어, 동일 하중에 대하여, 상기 진입구간의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의 인장량이 상기 연결구간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의 인장량 보다 작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진입구간의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과, 상기 연결구간의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은, 각각의 단부를 쐐기편 또는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시켜 서로 연결시키는 결합소켓에 의해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케이블 및 지지키이블은, 상기 지1 고정지점과 제2 고정지점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유압 인장기에 의해 인장되어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발판부는, 상기 양측의 지지케이블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다수의 장방형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처짐 곡률 제어구조를 갖는 케이블교는, 상부 메인케이블과 하부 지지케이블의 이격 거리를 최초 고정지점에서 크게 형성되도록 설치함으로써, 보행자들이 보행하는 지지케이블 진입부의 경사각을 완만하게 형성하여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교에 계단과 같은 별도 구조물이나 과인장 설계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시공성과 경제성이 확보되는 케이블교의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진입구간에 배치되는 수직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보행자들이 보행하는 진입부의 경사각을 더욱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블교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교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교에 있어서, 진입구간의 급경사 원인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케이블교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케이블교에 적용되는 인장소켓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케이블교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케이블교에 적용되는 케이블 결합소켓의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구현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구현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처짐 곡률 제어구조를 갖는 케이블교에 대하여 바람직한 구현예 및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케이블교의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교(100)는 크게, 양측의 제1 고정지점(10)과 제2 고정지점(20) 및 상기 제1 고정지점(10)과 제2 고정지점(20) 사이에 연결되는 상부의 메인케이블(50)과 상기 메인케이블(50)에서 소정 거리 하방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지지케이블(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인케이블(50)은 한 쌍의 케이블이 소정의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일측 단부가 제1 고정지점(10)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제1 고정지점(10)과 대안(對岸)에 위치하는 제2 고정지점(20)에 고정됨으로써, 하방으로의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케이블(30)에는 상면에 보행자들이 보행하기 위한 발판부(미도시)가 설치되어 고정되게 되며, 이에 의해 보행자의 보행을 지지하고 상기 메인케이블(50)과 함께 상부로부터의 하중을 분담하여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 고정지점(10)과 제2 고정지점(20)에는 각각,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지면에 매립 설치되어 지지력을 제공하는 기초블록과, 상기 기초 블록 상에 수직 설치되는 지지포스트 등의 케이블 고정을 위한 구조물(이하 '고정 구조물'이라 한다)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지지케이블(30) 및 메인케이블(50)은 상기 고정 구조물의 하부 및 상부에 각각 고정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 구조물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철골 구조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케이블(30) 및 메인케이블(50)은, 상기 제1 고정지점(10)과 제2 고정지점(20)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유압 인장기(미도시)에 의해 인장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2는 일반적인 케이블교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케이블의 경사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반적인 케이블교에 있어서는 케이블의 경사각이 진입구간에서 급경사(α)를 이루게 되며, 내측으로 진행할수록 경사각(β)이 완만하게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보행자들은 케이블교의 진입구간 및 진출구간에서 급경사면을 걸어야 하므로 보행시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케이블교 진입부를 계단 형식으로 구성하거나, 케이블에 과인장력을 부가하여 케이블 전체의 처짐량을 줄이도록 설계됨으로써, 케이블교의 시공비가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교량의 구간별로 케이블의 처짐량을 조절하는 구성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메인케이블(50) 및 지지케이블(30)에 대하여 상기 제1 고정지점(10) 및 제2 고정지점(20)으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소정거리까지의 구간인 진입구간(A)과, 상기 양측의 진입구간(A) 사이의 구간인 연결구간(B)으로 구분하고, 제1 고정지점(10) 및 제2 고정지점(20)에서의 메인케이블(50)과 지지케이블(30)의 이격거리(l)를 진입구간(A) 및 연결구간(B)에서의 메인케이블(50)과 지지케이블(30)의 이격거리(L) 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고정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진입구간(A) 및 연결구간(B)의 메인케이블(50)과 지지케이블(30)은 수직케이블들(60)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메인케이블(50)과 지지케이블(30)의 이격거리의 차이는 상기 수직케이블들)60)에 서로 다른 수직 응력을 발생시킨다.
즉, 진입 초입부 메인케이블(50)과 지지케이블(30)의 이격거리가 길게 됨으로써, 지지케이블(30)은 수직케이블(60)에 의하여 상방으로의 인장력을 진입구간(A)에서 연결구간(B) 보다 크게 받게 되고, 이에 의하여 지지케이블(30)이 진입구간(A)에서 아래쪽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고 완만한 경사각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케이블교(100)의 측면도이다. 본 구현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고정지점(10) 및 제2 고정지점(20)에서 메인케이블(50)과 지지케이블(30)의 이격거리(l)를 크게 형성하여 진입구간(A)의 경사각을 완만하게 조절하는 방법에 추가하여, 메인케이블(50)과 지지케이블(30)을 연결하는 수직케이블(6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지지케이블(30)의 처짐량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즉, 전술한 구현예의 경우, 양 쪽의 고정지점(10, 20)에서 메인케이블(50)과 지지케이블(30)의 이격거리(l)를 진입구간(A) 및 연결구간(B)에서의 이격거리(L)에 비하여 크게 형성할수록 지지케이블에 가해지는 상방 인장력이 증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진입구간(A) 초입에서 지지케이블이 상방으로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수직케이블들(60) 중 진입구간(A)에 배치되는 수직케이블들의 길이를 연결구간(B)에 배치되는 수직케이블들 보다 길게 형성함으로써, 진입구간(A) 초입에서 지지케이블(30)이 상방으로 과도하게 상승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진입구간(A)에 배치되는 수직케이블들(60)의 길이는, 상기 고정지점(10, 20)에서 상기 연결구간(B)으로 갈수록 길이가 순차적으로 짧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여 진입구간(A) 초입에서 연결구간(B) 쪽으로 지지케이블의 경사각을 수평에 가깝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양 쪽의 고정지점(10, 20)에서 메인케이블(50)과 지지케이블(30)의 이격거리(l)가, 진입구간(A) 및 연결구간(B)에서의 이격거리(L)의 약 1.5배인 경우, 수직케이블(60)의 길이는 진입구간 초입에서부터 순차적으로 1.3L, 1.2L, 1.1L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케이블(50)과 지지케이블(30)을 연결하는 각각의 수직케이블(60)이 부담하는 인장력이 변경되어, 지지케이블(30)의 처짐량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수직케이블들(60)의 길이를 자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에 의해 각 수직케이블에 부가되는 인장력을 조절하여 상기 지지케이블(30)의 처짐량을 위치에 따라 개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수직케이블(60)의 길이를 조절하기해 상기 진입구간(A)에 연결되는 수직케이블들(60)에는 인장조절 소켓(70)이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5는 수직케이블에 상기 인장조절 소켓(70)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케이블(60)은 일정 지점이 절단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직케이블 절단부(60a, 60b)에는 외주면에 나사산(72a, 73a)이 형성된 고정편(72, 73)이 구비되게 된다. 또한 상기 인장조절 소켓(70)은 턴버클 형태로 구성되어, 소켓 몸체(71)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71a, 71b)에 상기 고정편(72, 73)이 양측에서 나사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편(72, 73)에 형성된 나사산(72a, 73a)의 회전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되어, 회전 방향에 따라 양측 고정편(72, 73)이 인입 또는 인출되어 상기 수직케이블(60)의 결합길이가 조절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수직케이블(60)의 길이를 조절하여 수직케이블(60)에 발생되는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진입구간 지지케이블(31)의 경사각을 더욱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진입구간 지지케이블(31)의 어느 특정 구간에 처짐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인장조절 소켓(70)을 회전시켜 해당 구간 수직케이블(60)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지지케이블(31)의 처짐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인장조절 소켓(70)에는 상기 양측 고정편(72, 73) 사이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표시눈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눈금은 상기 양측 고정편(72, 73) 사이의 이격 길이에 따라 상기 수직케이블(60)의 길이 조절량이 표시되는 것으로서, 이에 의하여 수직케이블(60)의 길이를 더욱 정밀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인케이블(50) 또는 지지케이블(30)이 부담하는 인장저항을 구간별로 조절함으로써, 지지케이블(30)의 처짐량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메인케이블(50)은, 진입구간 메인케이블과 연결구간 메인케이블을 포함하되, 진입구간 메인케이블이 연결구간 메인케이블 보다 큰 인장저항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케이블(30)은, 진입구간 지지케이블과 연결구간 지지케이블을 포함하되, 진입구간 지지케이블이 연결구간 지지케이블 보다 큰 인장저항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지지케이블(30)에 구현된 상기 구현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케이블(30)은, 진입구간(A)에 진입구간 지지케이블(31)이 설치되고, 연결구간(B)에 연결구간 지지케이블(32)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입구간의 지지케이블(31)과 연결구간의 지지케이블(32)은 서로 다른 인장저항을 갖는 케이블로 각각 구성하되, 진입구간의 지지케이블(31)이 연결구간의 지지케이블(32) 보다 큰 인장저항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진입구간 지지케이블(31)의 처짐량, 즉 경사각이 급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지케이블(30)은 강연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때 진입구간 지지케이블(31)이 연결구간 지지케이블(32) 보다 큰 단면적의 케이블로 구성됨으로써, 동일 하중에 대하여 진입구간 지지케이블(31)의 변형량이 연결구간 지지케이블(32)의 변형량 보다 작도록 형성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진입구간의 지지케이블(31) 처짐이 연결구간의 지지케이블(32)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진입구간 지지케이블(31)이 연결구간 지지케이블(32) 보다 고강도 또는 고강성 소재의 강연선으로 구성됨으로써, 동일 하중에 대하여 진입구간 지지케이블(31)의 변형량이 연결구간 지지케이블(32)의 변형량 보다 작도록 형성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진입구간의 지지케이블(31) 처짐이 연결구간의 지지케이블(32)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고강도 소재는 재료의 성분특성상 강도가 강한 강선을 말하고, 고강성은 소재는 재료의 성분특성에 의해 강성이 증가한 강선 뿐만 아니라, 재료의 형태적 특징에 따라 강성이 증가한 강선을 말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케이블(30)이 진입구간 지지케이블(31)과 연결구간 지지케이블(32)로 구분됨에 따라 상기 진입구간 지지케이블(31)과 연결구간 지지케이블(32)을 결합하는 결합수단이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교(100)에 적용되는 케이블 결합소켓(40)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진입구간 지지케이블(31)과 연결구간 지지케이블(32)은, 케이블 결합소켓(40)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케이블 결합소켓(40)은 소켓 몸체(41)와 소켓 몸체(41)의 내측에서 양측의 케이블이 인입되는 인입구 측에 구비되는 쐐기편(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진입구간 지지케이블(31)과 연결구간 지지케이블(32)은 바깥쪽에서 외측으로 인장될수록 상기 쇄기편(42)이 소켓 몸체(41)와 케이블(31, 32) 외주면 사이에 삽입되어 소켓 몸체(41)와 케이블(31, 32) 외주면 사이의 밀착력을 높임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게 된다.
물론, 이 경우 상기 쐐기편에 의한 결합은 나사결합을 이용하여 대체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케이블(30) 상면에는 이용자들의 보행을 지지하는 발판부(미도시)가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발판부는 상기 양측의 지지케이블(30)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다수의 장방형 플레이트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장방형 플레이트는, 강철 재질의 판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알루미늄, 철 등의 재질로 형성되거나 목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판재를 탄성을 가지는 투명한 합성수지재로 구성하는 경우 보행자가 발 아래쪽의 경관을 조망할 수 있어 더욱 흥미를 고조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장방형 플레이트와 지지케이블(30)은 케이블 고정 클립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인장케이블의 처짐량을 조절하여 케이블교 진입부의 경사각을 완만하게 제어할 수 있는 처짐 곡률 제어구조를 갖는 케이블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진입부의 경사각을 완만하게 형성하여 보행자가 안전하게 보행할 수 있으며, 케이블교에 계단과 같은 별도 구조물이나 과인장 설계가 필요하지 않으므로, 시공성과 경제성이 확보되는 케이블교의 시공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10 : 제1 고정지점 20 : 제1 고정지점
30 : 지지케이블 31 : 진입구간 지지케이블
32 : 연결구간 지지케이블 40 : 케이블 연결소켓
41 : 소켓 몸체 42 : 쐐기편
50 : 메인케이블 60 : 수직케이블
70 : 인장조절 소켓 71 : 소켓 몸체
72 : 고정편 73 : 고정편
72a : 고정편 나사산 73a : 고정편 나사산
100 : 케이블교

Claims (10)

  1. 수직케이블의 인장력이 구간별로 조절되어 케이블교 진입부의 처짐 경사가 완만하도록 하는 케이블교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일측 단부가 제1 고정지점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제1 고정지점과 대안(對岸)에 위치하는 제2 고정지점에 고정되어, 하방으로의 하중을 지지하는 한 쌍의 메인케이블과;
    상기 메인케이블의 하방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면에 발판부가 구비되어 보행자의 보행을 지지하는 지지케이블과;
    상기 메인케이블과 상기 지지케이블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수직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케이블 및 지지케이블은,
    상기 제1 고정지점 및 제2 고정지점으로부터 내측으로 각각 소정거리까지의 구간인 진입구간(A)과, 상기 양측 진입구간(A) 사이의 연결구간(B)으로 구분되고;
    상기 메인케이블의 고정지점과 지지케이블의 고정지점 사이의 이격거리(l) 및 상기 수직케이블 들의 길이는, 상기 진입구간(A)의 수직케이블에 발생되는 인장력이 상기 연결구간(B)의 수직케이블에 발생되는 인장력 보다 커지도록 설정되어, 상기 진입구간(A)의 지지케이블 처짐량이 감소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진입구간(A)에 배치되는 수직케이블들은,
    상기 수직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진입구간(A)의 수직케이블에 발생되는 인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인장조절 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구간의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이 상기 연결구간의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 보다 큰 인장저항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구간의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은, 상기 연결구간의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 보다 큰 단면적의 케이블로 구성되어,
    동일 하중에 대하여, 상기 진입구간의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의 인장량이 상기 연결구간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의 인장량 보다 작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구간의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은, 상기 연결구간의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 보다 고강도 또는 고강성 소재의 강연선으로 구성되어,
    동일 하중에 대하여, 상기 진입구간의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의 인장량이 상기 연결구간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의 인장량 보다 작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교.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구간의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과, 상기 연결구간의 메인케이블 또는 지지케이블은,
    각각의 단부를 쐐기편 또는 나사결합에 의해 고정시켜 서로 연결시키는 결합소켓에 의해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케이블 및 지지케이블은,
    상기 제1 고정지점과 제2 고정지점의 양쪽 또는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유압 인장기에 의해 인장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양측의 지지케이블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되는 다수의 장방형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교.
KR1020210035552A 2021-03-18 2021-03-18 처짐 곡률 제어구조를 갖는 케이블교 KR102344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552A KR102344051B1 (ko) 2021-03-18 2021-03-18 처짐 곡률 제어구조를 갖는 케이블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5552A KR102344051B1 (ko) 2021-03-18 2021-03-18 처짐 곡률 제어구조를 갖는 케이블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4051B1 true KR102344051B1 (ko) 2021-12-27

Family

ID=79177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5552A KR102344051B1 (ko) 2021-03-18 2021-03-18 처짐 곡률 제어구조를 갖는 케이블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40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751B1 (ko) * 2009-04-14 2009-06-18 (주)성화건설산업 인장용 케이블 결합장치
KR20150142240A (ko) 2014-06-11 2015-12-22 (주)이레이앤엘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KR102004119B1 (ko) 2019-01-17 2019-07-25 수풍산업 주식회사 전망대를 연결하는 출렁다리
KR102022083B1 (ko) * 2019-04-12 2019-11-04 박경룡 복합 지지 구조의 케이블 현수 보도교
KR102110717B1 (ko) * 2019-07-29 2020-06-08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케이블 보도교용 케이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보도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751B1 (ko) * 2009-04-14 2009-06-18 (주)성화건설산업 인장용 케이블 결합장치
KR20150142240A (ko) 2014-06-11 2015-12-22 (주)이레이앤엘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KR102004119B1 (ko) 2019-01-17 2019-07-25 수풍산업 주식회사 전망대를 연결하는 출렁다리
KR102022083B1 (ko) * 2019-04-12 2019-11-04 박경룡 복합 지지 구조의 케이블 현수 보도교
KR102110717B1 (ko) * 2019-07-29 2020-06-08 주식회사 디에스글로벌이씨엠 케이블 보도교용 케이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보도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159B1 (ko) 복층 케이블 보도 현수교
CN105863145B (zh) 张弦结构、张弦梁和建筑
US3137097A (en) Roof structure
KR100589797B1 (ko) 단순한 긴장으로 휨만을 가하는 대편심 프리스트레싱 방법과 장치 및 그를 이용한 psc보
KR20080111664A (ko) 긴장탭이 부착된 섬유보강판을 이용한 구조물 긴장장치
JP4914994B2 (ja) 直路式吊床版橋の構築方法
CA2053429C (en) Bridge comprising a deck and at least two towers and process for the construction thereof
KR101954737B1 (ko) 케이블 보강형 방음터널
Tang Cable-stayed bridges
KR102344051B1 (ko) 처짐 곡률 제어구조를 갖는 케이블교
KR102022083B1 (ko) 복합 지지 구조의 케이블 현수 보도교
KR101251298B1 (ko) 폐합구조의 연결부재가 일체로 형성된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및 이를 이용한 스트레스 리본교의 시공방법
CN106049527B (zh) 明挖法可修复三拱三索地铁车站结构
JPH11158819A (ja) 構築物のケーブル補強構造
KR100707726B1 (ko) 활의 원리를 이용한 비-케이블(B-Cable)장스팬 및이의 시공방법
JP2744955B2 (ja) ゲルバー橋ヒンジ部の補強構造及び補強方法
Arellano et al. Parametric analysis of multi-span cable-stayed bridges under alternate loads
KR101954742B1 (ko) 케이블 보강형 반 방음터널
KR200407667Y1 (ko) 활의 원리를 이용한 비-케이블(B-Cable)장스팬
JP2979297B2 (ja) 外ケーブルを併用した吊床版橋及びその構築方法
JP4453857B2 (ja) 外ケーブルトラスpc橋梁の外ケーブル張設装置
KR101168916B1 (ko) 교량 수평지지빔의 보강장치
JP2021147789A (ja) 橋梁の耐震補強構造
KR101250473B1 (ko) 입체 언더텐션 시스템
CN219862349U (zh) 桥梁横向抗震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