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901B1 -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 Google Patents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901B1
KR102343901B1 KR1020210100850A KR20210100850A KR102343901B1 KR 102343901 B1 KR102343901 B1 KR 102343901B1 KR 1020210100850 A KR1020210100850 A KR 1020210100850A KR 20210100850 A KR20210100850 A KR 20210100850A KR 102343901 B1 KR102343901 B1 KR 102343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layer
heat shield
shield sheet
scattering prevention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0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태경
Original Assignee
황태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태경 filed Critical 황태경
Priority to KR1020210100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9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901B1/ko
Priority to PCT/KR2022/011221 priority patent/WO202300896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H05K7/20481Sheet interfac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composition exhibiting specific thermal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1/00Compounds of tungst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4Nanometer sized, i.e. from 1-100 nano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58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ungste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 기판과 최외부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여, 시트의 내측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 소자들이 열이나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거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트의 외측에 위치한 커버 윈도우가 파손되더라도 파편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Heat Shield Sheet To Prevent Scattering}
본 발명은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 기판과 최외부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여, 시트의 내측에 위치한 디스플레이 패널 소자들이 열이나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거나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트의 외측에 위치한 커버 윈도우가 파손되더라도 파편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는 정보를 시각화하여 표시하는 장치로써, CRT(Cathode Ray Tube),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FPD(Flat Panel Display), LED(Light Emitting Diode), QLED(Quantum Do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mini LED, micro LED 등 그 종류가 다양하고, 패널의 구조에 따라, 발광하는 소재에 따라 여러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크기는 손목에 차는 소형 사이즈의 패널에서부터, 가정용, 차량용, 옥외 광고용의 대형 사이즈의 패널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픽셀(Pixel)의 수, 용도, 목적 등에 따라 그 크기와 모양이 가지각색이다.
특히 최근에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수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실정인데, 이러한 옥외용 디스플레이 패널은 외부 환경에 그대로 노출이 되는바, 건물이나 차량 내부 등에서 사용하는 패널보다 높은 내구성 및 내광성을 필요로 한다.
또한, BLU(Back Light Unit) 시스템이 채용된 기존 디스플레이들은 수백 개의 백라이트를 사용했다면, mini LED, micro LED 및 LED 전광판 등과 같은 옥외용 디스플레이 패널들은 픽셀과 같은 개념의 LED dot 라이트가 수천 개에서 수만 개 형성되어 LED BLU 기반 장치의 휘도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밝기와 선명도를 가진다.
그리고 픽셀 작동 유무에 따라 단위 픽셀당 대응하는 LED dot 라이트도 작동하므로, 종래 디스플레이 장치들보다 상대적 콘트라스트(Contrast)가 높아 더욱더 선명한 화질을 보이게 되며, 픽셀 개수와 거의 같은 LED dot 라이트 발광 출력은 너무나 강력하여 멀리서도 시인성이 뚜렷할 수 있게 된다.
비표면적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효과는 발광 특성을 높이므로, 패널의 대형화를 가능하게 하지만, 높은 제조비용과 각 픽셀당 대응하는 LED dot 라이트의 높은 비표면적 효과에 의한 발광출력이 너무 강력하다 보니, 옥외용 디스플레이 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높은 열을 함께 발산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 많이 사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들 중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mini LED, micro LED 등은 태양광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 의해 소자 수명이 짧아 디스플레이의 영역 변색인 번인(Burn-in)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 전면에서 발산되는 열은 사람이 느끼는 불편함과 피로도를 가중시킬 뿐만 아니라, 주위 온도를 상승시키는 문제를 유발한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유리 자체의 열 차폐 기능으로서 보완하려고 했으나, 유리 안에 투입된 미립자는 불순물로도 작용하여 유리의 크랙, 열화, 변형 등을 유발시켰기에, 유리에 열 차폐 미립자 등을 열 차폐 성능이 충분이 발휘 할 수 있는 정도까지 투입할 수 없었다. 결국 유리 자체에 열 차폐 소재들을 첨가 또는 코팅해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나 옥외용 디스플레이 패널은 그 크기가 크고, 높은 곳에 설치가 되므로, 디스플레이 윈도우의 파손은 자칫 대형사고로 이어질 우려도 있었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윈도우용 양면점착테이프(90)를 도시한 도면으로, 이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4969호(2014.04.16.)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용 양면점착테이프(90)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사용되어 디스플레이 윈도우 내의 빛이 그 테두리부에서 새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이에 입사된 외부로부터의 빛을 흡수함으로써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질을 강조하고 점착된 바닥면이 보이지 않도록 하는 차광효과를 가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뛰어난 방수성 및 방습성의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종래의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용 양면점착테이프(90)는 제1점착층(91)과, 폴리우레탄층(93)과, 제2점착층(95)과, 이형지(97)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형태를 가진다.
상기 제1점착층(91)과 상기 제2점착층(95)은 아크릴계 고분자수지 등의 점착제로서 25 ~ 50 ㎛의 두께를 가지고, 전술한 차광효과를 높이기 위해 그 색상이 흑색안료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점착층(91)과 상기 제2점착층(95)의 조성은 85 ~ 90 중량%의 아크릴 수지와 10 ~ 15 중량%의 카본블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층(93)은 흑색안료 및 수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폴리우레탄층(93)의 흑색안료로는 카본블랙, 산화철, 산화구리, 산화주석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두께는 50 ~ 150 ㎛로 구성된다.
하지만, 이러한 상기 디스플레이 윈도우용 양면점착테이프(90)는 통상의 휴대폰이나 태블릿 등의 소형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됨을 전제하고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발광 출력이 강력하여 높은 열을 발산하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패널에 적용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전술한 문제점에 대해 전혀 고려를 하고 있지 않다.
이에 관련 업계에서는 옥외용 디스플레이 패널의 성능저하 문제와, 디스플레이 자체에서 발산하는 열에 대한 문제, 파손시 비산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도입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44969호(2014.04.1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 기판과 최외부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 사이에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를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성능저하 문제와, 디스플레이 자체에서 발산하는 열에 대한 문제, 파손시 비산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를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부의 다양한 소자들이 열이나 자외선에 의해 열화 되거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가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에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가 파손되더라도 파편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원도우에 무리하게 투입되었던 열 차폐 미립자를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에 투입함으로써, 열 차폐 미립자의 함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에 포함되는 미립자들의 크기를 충분히 작은 크기로 구성해 시트의 투명도를 확보하더라도 낮은 적외선 투과율이 발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근적외선, 중적외선, 원적외선 영역에서 낮은 적외선 투과율을 확보하는 것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 기판에서 방사되는 열 에너지도 차폐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550 ㎚ 파장에서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 이상이 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조도 및 휘도가 떨어지는 문제와, 다양한 광학 특성들이 왜곡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1,000 ㎚ 파장에서의 적외선 투과율이 60 % 이하가 되도록 하고, 2,000 ㎚ 파장에서의 적외선 투과율이 30 % 이하가 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로 유입되는 태양광 적외선이 효과적으로 차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 차폐 미립자를 (y)Ax (z)WO(3-n) 형 화합물로 구성하여 더 낮은 근적외선 투과율을 확보하고, 유해 안전성 및 소프트 에러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디스플레이 패널기판에 인접한 점착층에 열 차폐 미립자를 포함시켜, 커버 윈도우를 통해 유입되는 태양광에 분포된 근적외선이 차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재를 대신한 시트형 점착층에 열 차폐 미립자들을 포함시켜, 간단한 구조로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 차폐 미립자의 크기가 200 ㎚ 이하가 되도록 구성하여, 헤이즈값을 낮추어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높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재층의 두께를 20 ㎛ 이상으로 구성하여 비산방지 기능을 높이고, 디스플레이 패널과 커버 디스플레이 윈도우 접착 제조공정 중 패널 기판과 커버 윈도우 사이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패널 제조공정에 불량률을 낮추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재층의 두께를 1,000 ㎛ 이하로 구성해 패널 기판과 커버 윈도우에 충분한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미세한 기공층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재층에 자외선 차단제, 황변 방지제 등을 추가하여 자외선에 의한 디스플레이 소자들의 내광성 저하를 막고, 자외선 노출에 의한 황변 변색이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점착층에 자외선 차단제, 색 보정제, 황변 방지제 등을 추가하여 자외선의 강한 에너지에 의해 디스플레이 소자들의 내광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점착층의 점착력을 5 N/25mm 이상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막아 비산방지 효과를 얻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재층과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 사이에 제1점착층을 구성하고, 이러한 제1점착층 내에 열 차폐 미립자를 포함시켜, 최외부 커버 윈도우 자체에 열 차폐 미립자를 포함시킬 필요가 없도록 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윈도우 자체의 내구성을 유지시키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일사에 포함된 적외선이 제1점착층에 의해 차단되어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의 소자들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재층과 디스플레이 패널 기판 사이에 제2점착층을 구성하고, 이러한 제2점착층 내에 열 차폐 미립자를 포함시켜,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서 발산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응시하는 사람이 느끼는 열을 최소화하고, 디스플레이 주변으로 발산되는 열을 최소화시켜 주위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점착층 두께가 5 ㎛ 이상이 되도록 하여, 초기 점착력이 낮아지는 것과 내열 유지력이 약화되는 것을 막고, 모아레(Moire)나 스타버스트(Starburst) 현상이 추가로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점착층 두께가 1,000 ㎛ 이하가 되도록 하여, 점착층의 응집력이 낮아지거나, 평활도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를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제1점착층에는 (y)Ax (z)WO(3-n) 형태의 열 차폐 미립자를 포함시켜 동일 가시광선 투과율 대비 근적외선 투과율이 가장 낮아지도록 하고, 제2점착층에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미립자를 포함시켜 미립자 고유의 색조에 의해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막으면서 가시광선 투과율 대비 중적외선 및 원적외선의 투과율이 낮아지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열 차폐 시트에 서로 다른 열 차폐 미립자를 포함시켰을 때, 중첩된 적외선 투과 프로파일의 기울기를 알아봄으로써, 적외선 차폐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열 차폐 미립자의 사용에 따른 중첩된 적외선 투과 프로파일 그래프에서 기울기를 나타내는
Figure 112021088518467-pat00001
의 상기
Figure 112021088518467-pat00002
의 값이 40°이하인지를 확인함으로써, 근적외선 이상의 파장이 차폐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에 적층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점착층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열 차폐 미립자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열 차폐 미립자는, (y)Ax (z)WO(3-n) 형태의 비방사성 안정동위원소 복합 텅스텐 산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y)A는 비방사성 안정 동위원소, 상기 x는 (y)A의 수, 상기 y는 A의 질량수, 상기 z는 W의 질량수, 상기 O는 산소, 상기 (3-n)은 산소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y)A는, 비방사성 알칼리금속 안정 동위원소, 비방사성 알칼리토금속 안정 동위원소 및 비방사성 희토류 안정 동위원소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y)A는, (7)Li, (133)Cs, (39)K, (23)Na, (107)Ag, (138)Ba, (98)Mo, (27)Al, (85)Rb, (63)Cu 및 (64)Zn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x는, 0.01 ≤ x < 2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n은, 0 ≤ n ≤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y)Ax (z)WO(3-n)는, 입방정계(Cubic)형, 육방정계(Hexgonal)형, 정방정계(Tetragonal)형, 사방정계(Orthorhombic)형, 단사정계(Monoclinic)형 및 면심입방(Pyrochlores)형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z)W는, (182)W, (183)W, (184)W 및 (186)W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열 차폐 미립자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은, 안티몬 틴 옥사이드(Antimony Tin Oxide, ATO),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플루오린 틴 옥사이드(Fluorine Tin Oxide, FTO) 및 알루미늄 징크 옥사이드(Aluminum-doped Zinc Oxide)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는, x 축이 파장(㎚)이고, y 축이 투과율(%)인 좌표축에서 파장이 2,000 ㎚ 일 때의 좌표점(a,b)과 파장이 2,200 ㎚ 일 때의 좌표점(c,d) 간의 기울기(
Figure 112021088518467-pat00003
)가 tan4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열 차폐 미립자의 크기는, 2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기재층 대신 시트형 점착층으로만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시트형 점착층에는 상기 열 차폐 미립자들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점착층은, 상기 기재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기재층의 일측면에 적층된 제1점착층과, 상기 기재층의 타측면에 적층된 제2점착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점착층에 포함된 열 차폐 미립자와, 상기 제2점착층에 포함된 열 차폐 미립자는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제1점착층은, (y)Ax (z)WO(3-n) 형태의 비방사성 안정동위원소 복합 텅스텐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점착층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점착층은, 광학용 점착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광학용 점착제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 Clear Adhesiv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변성우레탄계 점착제 및 실리콘계 점착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제1점착층 및 상기 제2점착층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경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점착층의 점착력은, 상온 25 ℃에서 5 N/2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5 ㎛ 이상, 1,0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20 ㎛ 이상, 1,0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는, 550 ㎚ 파장에서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 이상이고, 1,000 ㎚ 파장에서의 적외선 투과율이 60 % 이하이며, 2,000 ㎚ 파장에서의 적외선 투과율이 3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는, 생활 방사능 강도가 148 Bq/m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 기재층 및/또는 상기 점착층은, 자외선 차단제, 색 보정제, 유기용매, 수계용매, 점착부여제, 광개시제, 광-산(Photo-Acide) 발생제, 블루라이트 차단제, 황변 방지제, 전자파 차단제, 적외선 흡수 색소 및 적외선 흡수 안료 중 어느 하나 이상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기재층 없이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열 차폐 미립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기판과 최외부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 사이에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를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의 성능저하 문제와, 디스플레이 자체에서 발산하는 열에 대한 문제, 파손시 비산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를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패널부의 다양한 소자들이 열이나 자외선에 의해 열화되거나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가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에 결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가 파손되더라도 파편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원도우에 무리하게 투입되었던 열 차폐 미립자를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에 투입함으로써, 열 차폐 미립자의 함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에 포함되는 미립자들의 크기를 충분히 작은 크기로 구성해 시트의 투명도를 확보하더라도 낮은 적외선 투과율이 발현되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근적외선, 중적외선, 원적외선 영역에서 낮은 적외선 투과율을 확보하는 것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 패널 기판에서 방사되는 열 에너지도 차폐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550 ㎚ 파장에서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 이상이 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조도 및 휘도가 떨어지는 문제와, 다양한 광학 특성들이 왜곡되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1,000 ㎚ 파장에서의 적외선 투과율이 60 % 이하가 되도록 하고, 2,000 ㎚ 파장에서의 적외선 투과율이 30 % 이하가 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로 유입되는 태양광 적외선이 효과적으로 차폐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열 차폐 미립자를 (y)Ax (z)WO(3-n) 형 화합물로 구성하여 더 낮은 근적외선 투과율을 확보하고, 유해 안전성 및 소프트 에러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기판에 인접한 점착층에 열 차폐 미립자를 포함시켜, 커버 윈도우를 통해 유입되는 태양광에 분포된 근적외선이 차폐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기재를 대신한 시트형 점착층에 열 차폐 미립자들을 포함시켜, 간단한 구조로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열 차폐 미립자의 크기가 200 ㎚ 이하가 되도록 구성하여, 헤이즈값을 낮추어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높이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기재층의 두께를 20 ㎛ 이상으로 구성하여 비산방지 기능을 높이고, 디스플레이 패널과 커버 디스플레이 윈도우 접착 제조공정 중 패널 기판과 커버 윈도우 사이에 설치가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패널 제조공정에 불량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층의 두께를 1,000 ㎛ 이하로 구성해 패널 기판과 커버 윈도우에 충분한 밀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미세한 기공층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기재층에 자외선 차단제, 황변 방지제 등을 추가하여 자외선에 의한 디스플레이 소자들의 내광성 저하를 막고, 자외선 노출에 의한 황변 변색이 진행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점착층에 자외선 차단제, 색 보정제, 황변 방지제 등을 추가하여 자외선의 강한 에너지에 의해 디스플레이 소자들의 내광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점착층의 점착력을 5 N/25mm 이상으로 구성하여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와 쉽게 분리되는 것을 막아 비산방지 효과를 얻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기재층과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 사이에 제1점착층을 구성하고, 이러한 제1점착층 내에 열 차폐 미립자를 포함시켜, 최외부 커버 윈도우 자체에 열 차폐 미립자를 포함시킬 필요가 없도록 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윈도우 자체의 내구성을 유지시키고, 외부에서 유입되는 일사에 포함된 적외선이 제1점착층에 의해 차단되어 디스플레이 패널 내부의 소자들이 보호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기재층과 디스플레이 패널 기판 사이에 제2점착층을 구성하고, 이러한 제2점착층 내에 열 차폐 미립자를 포함시켜,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서 발산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디스플레이를 응시하는 사람이 느끼는 열을 최소화하고, 디스플레이 주변으로 발산되는 열을 최소화시켜 주위의 온도 상승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의 점착층 두께가 5 ㎛ 이상이 되도록 하여, 초기 점착력이 낮아지는 것과 내열 유지력이 약화되는 것을 막고, 모아레(Moire)나 스타버스트(Starburst) 현상이 추가로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각각의 점착층 두께가 1,000 ㎛ 이하가 되도록 하여, 점착층의 응집력이 낮아지거나, 평활도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본 발명은, 제1점착층에는 (y)Ax (z)WO(3-n) 형태의 열 차폐 미립자를 포함시켜 동일 가시광선 투과율 대비 근적외선 투과율이 가장 낮아지도록 하고, 제2점착층에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미립자를 포함시켜 미립자 고유의 색조에 의해 시인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막으면서 가시광선 투과율 대비 중적외선 및 원적외선의 투과율이 낮아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열 차폐 시트에 서로 다른 열 차폐 미립자를 포함시켰을 때, 중첩된 적외선 투과 프로파일의 기울기를 알아봄으로써, 적외선 차폐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열 차폐 미립자의 사용에 따른 중첩된 적외선 투과 프로파일 그래프에서 기울기를 나타내는
Figure 112021088518467-pat00004
의 상기
Figure 112021088518467-pat00005
의 값이 40°이하인지를 확인함으로써, 근적외선 이상의 파장이 차폐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1은 종래의 디스플레이 윈도우용 양면점착테이프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x 축이 파장(㎚)이고, y 축이 투과율(%)인 좌표축에 비방사성 안정동위원소 복합 텅스텐 산화물((y)Ax (z)WO(3-n))과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을 모두 포함하는 열 차폐 미립자의 적외선 투과 프로파일을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도 3의 그래프에서 기울기 측정을 통해 적외선 차폐 경향성을 확인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본 발명인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는 디스플레이 패널 기판과 최외부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이러한 상기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 내에는 열 차폐 미립자가 포함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는 기재층(10)과 점착층(30)을 포함하므로, 상기 열 차폐 미립자는 상기 기재층(10) 및/또는 상기 점착층(30)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원도우에 무리하게 투입되었던 열 차폐 미립자를 상기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에 투입함으로써, 열 차폐 미립자의 함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과 디스플레이 윈도우를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열 차폐 미립자는, (y)Ax (z)WO(3-n) 형태의 비방사성 안정동위원소 복합 텅스텐 산화물 및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비방사성 안정동위원소란, 어떤 원소의 동위원소 중 핵이 안정하여 방사선을 방출하지 않거나 해당 원소의 방사성 핵종분석 오차 범위내외에서 검출되지 않는 정도의 동위원소를 말하며, 실제는 방사성 동위원소일지라도 실험적으로 붕괴가 관찰되지 않을 정도로 반감기가 긴 것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비방사성 안정동위원소 복합 텅스텐 산화물은, (y)Ax (z)WO(3-n) 형태를 가지며, 상기 (y)A는 비방사성 안정 동위원소, 상기 x는 환원소성에 따른 상기 (y)A에 도핑(Doping)되는 원소의 수, 상기 y는 A의 질량수, 상기 z는 W의 질량수, 상기 O는 산소, 상기 (3-n)은 산소의 수를 의미한다.
상기 (y)A는, 비방사성 알칼리금속 안정 동위원소, 비방사성 알칼리토금속 안정 동위원소 및 비방사성 희토류 안정 동위원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y)A는 (7)Li, (133)Cs, (39)K, (23)Na, (107)Ag, (138)Ba, (98)Mo, (27)Al, (85)Rb, (63)Cu 및 (64)Zn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상기 x는 0.01 ≤ x < 2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x 값을 0.01 이상으로 해야 페르미 준위(Fermi Level)에 따른 에너지 밴드 값을 낮춰 혼성 궤도 형성에 의한 전자의 여기(들뜬 상태)가 유리하여 전도도가 향상되고, 입방정계(Cubic)인 결정상에서 육방정계(Hexagonal) 결정상으로 형성될 때에 최대한 삽입시킬 수 있는 x 값이 2 미만 이어야 안정한 결정성을 가질 수 있다. x 값이 2 이상에서는 결정성의 왜곡이 일어나 입자의 불안정한 상태를 유발시킬 수 있고, 텅스텐의 가전자 수가 W6+, W5+, W4+ 존재할 때, 알칼리 원소와 대칭을 이루기 위해서는 각기 다른 원소 수를 가질 수 있으나, 예를 들어, x 값이 2 이고 텅스텐이 +6가 일 때에는 화학 정량적인 분자식으로 아무런 특성이 없는 Cs2WO4 로 백색인 분말을 얻게 되며, 양의 가전자수는 +8 이고, 음의 가전자수는 -8이 된다. 비화학당량적인 복합 텅스텐일 때 열 차폐, 전도성, 전자파 흡수 등을 기대할 수 있는바, 양의 원소로 격자의 결함을 유도하거나 산소 결핍에 의한 에너지 공명현상을 유도하는데 있어서는 x 값이 2 미만이어야 한다.
텅스텐(Tungsten, W)은 방사선을 내지 않는 비방사성 안정 동위원소로 (182)W, (183)W, (184)W, (186)W가 있으며, 상기 (y)Ax (z)WO(3-n)에서 (z)W는 (182)W, (183)W, (184)W 및 (186)W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n은 0 ≤ n ≤ 1.5 의 범위를 가질 수 있다. n이 0 보다 작으면 산소의 함량이 충분하여 편극전자의 평형으로 전자여기(Excitation) 에너지 밴드값인 1.0 eV ~ 1.8 eV 범위에서 플라톤 흡수가 떨어져 근적외선 차단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n이 1.5 보다 높으면 산소 함량이 너무 낮아 오히려 결정구조의 왜곡(Jahn-Teller 왜곡)이 생겨 결정구조를 유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y)Ax (z)WO(3-n)는, 안정동위원소의 원자반경에 따라 안정한 결정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y)Ax (z)WO(3-n)는 입방정계(Cubic)형, 육방정계(Hexgonal)형, 정방정계(Tetragonal)형, 사방정계(Orthorhombic)형, 단사정계(Monoclinic)형, 면심입방(Pyrochlores)형 또는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구조일 수 있다.
상기 (y)Ax (z)WO(3-n) 형 화합물은 안정동위원소로 이루어진 복합 텅스텐 산화물로써, 제조과정으로는 다양한 방법들이 있을 수 있다.
우선 안정동위원소를 선별하고, 선별된 안정동위원소로 이루어진 전구체들이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일 때 필요에 따라, 금속 전구체는 과산화수소(H2O2)에 용해시켜 과산화물(Peroxide)형 액상을 합성에 이용할 수도 있고, 금속산화물 전구체는 암모늄카보네이트((NH4)2CO3), 암모늄비카보네이트((NH4)HCO3, NH5CO3) 등을 이용하여 무기탄산염(Carbonate salts) 및 금속산암모늄 형 전구체로 합성에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전구체들의 변형 및 활용은 합성에 유용하다면 어떤 형태이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와 같은 전구체들은 다시 10 배수 이상 용해 및 제올라이트 또는 프러시안 블루 등이 처리된 필터 후 액상공침법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만약 상기 안정동위원소 전구체들로만 준비해서 몰비(예시: 133Cs/184W = 0.3)로 혼합 후 적절한 온도 내에서 환원소성 한다면 조대한 입자의 비방사성 안정동위원소 복합 텅스텐 산화물도 얻을 수 있다.
상기 안정동위원소 복합 텅스텐 산화물 제조법에는 특별히 제한은 없다. 안정동위원소 전구체들은 다양한 방법들로 제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자기적 분리법, 플라즈마 분리법, 원심 분리법, 레이저법, 레이저 분자법, 광펌핑을 이용한 안정동위원소 제조법(Isotope Selective Optical Pumping:ISOP) 등이 있으며, ElectroKhimPribor(EKP), Kurchatov Institute, Ureco 등에서도 생산하고 있다. 예를 들어 ORNL의 전자기법 생산 안정동위원소가 포함 전구체 종류로는 107Ag(107Ag, Assay:99.09%), 109Ag(109Ag, Assay:99.42%), 130Ba(130Ba(NO3)2, Assay:37.61%), 135Ba(135BaCO3, Assay:93.38%), 138Ba(138BaCO3, Assay:99.67%), 40Ca(40CaCO3, Assay:99.99%), 42Ca(42CaCO3, Assay:94.49%), 43Ca(43CaCO3, Assay:83.93%), 44Ca(44CaCO3, Assay:98.89%), 40Ca(40CaF2, Assay:99.97%), 114Cd(114CdO, Assay:99.27%), 112Cd(112CdO, Assay:98.23%), 140Ce(140CeO2, Assay:99.84%), 142Ce(142CeO2, Assay:92.85%), 52Cr(52Cr2O3, Assay:99.9%), 50Cr(50Cr2O3, Assay:97.65%), 53Cr(53Cr2O3, Assay:98.23%), 52Cr(52Cr2O3, Assay:99.9%), 54Cr(54Cr2O3, Assay:96.78%), 63Cu(63CuO, Assay:99.89%), 65Cu(65CuO, Assay:99.7%), 164Dy(164Dy2O3, Assay:98.47%), 163Dy(163Dy2O3, Assay:96.86%), 162Dy(162Dy2O3, Assay:96.28%), 161Dy(161Dy2O3, Assay:95.75%), 56Fe(56Fe2O3, Assay:99.98), 71Ga(71Ga2O3, Assay:99.8%), 180Hf(180HfO2, Assay:98.29%), 178Hf(178HfO2, Assay:94.75%), 177Hf(177HfO2, Assay:91.38%), 39K(39KCl, Assay:99.99), 41K(41KCl, Assay:99.17), 139La(139La2O3, Assay:99.99%), 24Mg(24MgO, Assay:99.92%), 25Mg(25MgO, Assay:98.81%), 98Mo(98MoO3, Assay:97.52%), 92Mo(92MoO3, Assay:98.27%), 144Nd(144Nd2O3, Assay:97.51%), 143Nd(143Nd2O3, Assay:91.63%), 145Nd(145Nd2O3, Assay:91.73%), 192Os(192Os, Assay:99.4%), 190Os(190Os, Assay:97.31%) 188Os(188Os, Assay:94.98%),, 208Pb(208PbCO3, Assay:99.86%), 85Rb(85RbCl, Assay:99.85%), 87Rb(87RbCl, Assay:99.85%), 187Re(187Re, Assay:99.39%), 32S(32S, Assay:99.89%), 28Si(28SiO2, Assay:99.94%), 29Si(29SiO2, Assay:95.65%), 116Sn(116SnO2, Assay:96.68%), 120Sn(120SnO2, Assay:98.57%), 86Sr(86SrCO3, Assay:97.02%), 86Sr(86Sr(NO3)2, Assay:95.73%), 88Sr(88SrCO3, Assay:99.84%), 124Te(124TeO2, Assay:96.7%), 48Ti(48TiO2, Assay:99.25%), 205Tl(205Tl2O3, Assay:99.45%), 184W(184WO3, Assay:95.09%), 186W(186WO3, Assay:97.5%), 183W(183WO3, Assay:87.53%), 174Yb(174Yb2O3, Assay:98.97%), 176Yb(176Yb2O3, Assay:97.79%), 68Zn(68ZnO, Assay:99.71%), 64Zn(ZnO, Assay:99.68%), 90Zr(90ZrO2, Assay:99.36%), 91Zr(91ZrO2, Assay:94.59%) 이외 수많은 전구체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전구체들은 정보기술, 생명공학기술, 나노기술, 우주항공기술, 환경에너지기술 등 많은 분야에 이미 활용되고 있다.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은, 안티몬 틴 옥사이드(Antimony Tin Oxide, ATO),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플루오린 틴 옥사이드(Fluorine Tin Oxide, FTO) 및 알루미늄 징크 옥사이드(Aluminum-doped Zinc Oxide)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에 포함되는 미립자들은 시트의 투명도를 확보하기 위해 충분히 작은 크기로 구성될 필요가 있는데,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미립자들은 충분히 작은 크기로 구성되더라도 낮은 적외선 투과율을 나타내므로, 본 발명인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에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미립자들은 결정구조를 이루는 원소의 규칙적 배열에서 부분적인 격자 결함에 의해 반도체와 같이 풍부한 전자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근적외선(0.78 ㎛ ~ 3 ㎛ 파장), 중적외선(3 ㎛ ~ 6 ㎛ 파장), 원적외선(6 ㎛ ~ 15 ㎛ 파장) 영역에서도 낮은 적외선 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 기판에서 방사되는 열 에너지도 차폐하게 된다.
상기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를 분광분석 장치를 사용하여 가시광선 투과율 측정시 Base Line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가시광선 투과율 550 ㎚에서 차이가 클 수 있으며, 같은 시트라 해도 공기 또는 Base Film을 Base Line 설정에 따라 상기 투과율이 최대 90% 이상의 투과율을 보일 때도 있다. 따라서 분광분석 투과율 Base Line 설정에 제한은 없고, 가시광선 투과율 기준으로 550 ㎚ 파장에서 투과율이 70 % 이상이며, 적외선 투과율 기준으로는 1,000 ㎚ 파장에서 투과율 60 % 이하, 2,000 ㎚ 파장에서 투과율 30 % 이하를 만족하면 된다.
550 ㎚ 파장 가시광선 투과율 기준은 통상의 기술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대표 파장이며, 특별히 색 보정이 필요시에는 380 ㎚, 400 ㎚, 680 ㎚ 등의 다양한 파장 투과율을 확인할 필요도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가시광선 투과율을 550 ㎚ 파장을 기준으로 한다. 왜냐하면 상기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는 디스플레이 패널 기판에서 발광되는 조도 및 휘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550 ㎚ 파장에서 투과율이 낮을 때에는 어둡게 보이는 경향을 띄고, 반대로 550 ㎚ 파장에서 투과율이 높을 때에는 화면에 표현되는 디지털 정보 또는 시인성에 크게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특히 550 ㎚ 파장에서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 보다 작을 경우 디스플레이 조도 및 휘도가 떨어지는 문제와 또는 미립자 고유의 색조인 청색이 더욱 진하게 띔으로써, 디스플레이에서 표현되는 기존 발광 색과 겹쳐 색차 값(L*a*b*), 명도, 채도, 휘도 등의 다양한 광학 특성들의 왜곡 문제가 발생하므로, 550 ㎚ 파장에서 가시광선 투과율은 70 % 이상이 바람직하며, 디스플레이에서 표현되는 기존 발광 색상 등 기타 물성의 저해 없이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시광선 투과율이 80 % 이상이 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에 가시광선이 충분히 투과될 때, 1,000 ㎚ 파장에서의 적외선 투과율 60 % 이하, 2,000 ㎚ 파장에서의 적외선 투과율 30 % 이하가 적외선 차폐에 바람직할 수 있다. 또는 2,000 ㎚ 이상 파장 투과율과 투과율의 기울기도 같이 검토되면 더욱 바람직하여 적외선(근적외선, 중적외선, 원적외선)과 같은 장파장에 대한 차폐 경향성을 충분히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1,000 ㎚ 파장에서 적외선 투과율이 60 %를 넘거나 2,000 ㎚ 파장에서 적외선 투과율이 30 %를 넘는 경우, 중적외선(Middle Infrared)과 원적외선(Far Infrared)에서 차폐효과도 같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로 유입되는 태양광 적외선을 효과적으로 차폐하기 어려울 수도 있으며, 패널로부터 방사되는 복사열 에너지 또한 차폐가 어려울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비방사성 안정동위원소 복합 텅스텐 산화물((y)Ax (z)WO(3-n))은 1,000 ㎚ 파장에서 60 % 이하의 투과율을 가지는 것에 효과적이며,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은 2,000 ㎚ 파장에서 30 % 이하의 투과율을 가지도록 함이 효과적일 수 있다.
더 나은 효과를 위해 상기 비방사성 안정동위원소 복합 텅스텐 산화물((y)Ax (z)WO(3-n))과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을 함께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상기 열 차폐 미립자는 입자가 충분히 작아 나노입자, 퀀텀 닷(Quantum dot)크기로 만들 수도 있어, 시트의 투명도를 높이면서 열을 차폐하는 목적에도 바람직하다. 퀀텀 닷 크기는 액상 반응에서 핵 생성과 입자 성장에 관여하는 변수들(농도, 시간, 조성 등)을 조절하여 공지된 방식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더 낮은 근적외선 투과율을 확보하고, 유해 안전성 및 소프트 에러(Soft Error) 방지를 위해, 상기 열 차폐 미립자는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보다는, 상기 (y)Ax (z)WO(3-n) 형 화합물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립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162433호에 기재된 (133)Cs0.3 (184)WO3 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열 차폐 미립자는 후술할 기재층(10) 및/또는 점착층(30)에 포함될 수 있는데, 점착층(30) 중 디스플레이 패널기판에 인접한 후술할 제2점착층(33)에 상기 (y)Ax (z)WO(3-n) 형 화합물을 포함시켜, 커버 윈도우으로 유입되는 태양광에 분포된 근적외선이 후술할 제1점착층(31)과 기재층(10)을 차례로 지나, 상기 (y)Ax (z)WO(3-n) 형 화합물이 포함된 제2점착층(33)에 의해 근적외선이 차폐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열 차폐 미립자의 크기를 어느 특정 크기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550 ㎚의 가시광선 파장을 기준으로 했을 때 가시광선 투과가 유리한 200 ㎚ 이하로 상기 열 차폐 미립자의 크기를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미립자의 크기가 가시광선 파장(λ)의 λ/4 이하인 것도 시인성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미립자의 크기가 100 ㎚ 이하가 되면 상대적으로 헤이즈(Haze) 값이 낮아지게 되므로 상기 열 차폐 미립자의 크기는 100 ㎚가 됨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반면에, 미립자의 크기가 200 ㎚ 보다 커지게 되면 헤이즈 현상이 뚜렷하게 되면서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이 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는 생활 방사능 강도가 148 Bq/m3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이러한 상기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는, 기재층(10) 및 점착층(30)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층(10)은, 후술할 점착층(30)이 결합되는 베이스 면을 제공하는 구성을 말한다. 상기 기재층(10)은 투명한 고분자 기재라면 제한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시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시트, 폴리올레핀(Polyolefin) 시트, 폴리노르보넨(Polynorbornene) 시트, 고리형 올레핀 폴리머(Cyclic Olefin Polymer) 시트,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시트,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시트,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시트,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시트, 폴리설폰(Polysulphone) 시트,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시트,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시트, 트리아세틸 셀룰로스(Triacetyl Cellulose) 시트, 셀룰로스 에스테르 폴리머(Cellulose Ester Polymer) 시트, 단량체 중 2종 이상의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형성된 폴리머 시트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CPI(Colorless Polyimide)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10)의 두께를 특정 두께로만 제한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1,000㎛ 이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10)의 두께가 20 ㎛ 보다 작으면 비산방지로써 기능이 부족하고, 디스플레이 패널과 커버 디스플레이 윈도우 접착 제조공정 중 패널 기판과 커버 윈도우 사이에 제대로 설치하기 어려워 패널 제조공정에 불량이 발생할 수도 있다. 반면에 상기 기재층(10)의 두께가 1,000 ㎛ 보다 크면 비산방지 기능은 충분하지만, 패널 기판 또는 커버 윈도우에 충분한 밀착이 어렵고, 미세한 기공층이 발생할 수도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상기 기재층(10)에는 자외선 차단제 및 황변 방지제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차단제에는 특별히 제한이 없고, 유기물형, 무기물형,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물형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 벤젠기 또는 페닐기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자외선 투과율 기준으로는 300 ㎚ 파장에서 투과율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300 ㎚ 파장에서 투과율이 50 %를 초과할 경우 자외선의 강한 에너지로 디스플레이 소자들의 내광성 저하가 초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는 상기 기재층(10) 없이 후술할 점착층(3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점착층(30)은 시트형 점착층으로 열 차폐 미립자들을 포함시켜, 간단한 구조로 제조될 수도 있어 비용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상기 점착층(30)은, 상기 기재층(10)에 적층되는 구성으로, 베이스가 되는 상기 기재층(10)에 접하여 상기 기재층(10)의 상측면 및/또는 하측면에 층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상기 열 차폐 미립자는 상기 점착층(3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기재층(10)에 적층되는 상기 점착층(30)의 점착 성분과 점도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경화되는 조건에 따라 열 경화형 폴리머(Polymer) 점착제, 자외선 경화형 올리고머(Oligomer) 모노머(Monomer) 점착제, 듀얼(Dual) 경화형 점착제, 광학용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아크릴계, 우레탄계, 아세탈 수지계, 천연 고분자계, 수성 라텍스계, 셀롤로오스계, 변성 우레탄계, 공중합체 형 등의 고분자 점착제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30)의 성분이 광경화 타입으로 조성될 경우, 상기 단량체 또는 중합체 성분은 광경화형 올리고머(Oligomer) 및 반응성 희석용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경화형 올리고머(Oligomer)의 예로는, 당업계에서 자외선 경화형과 같은 광 경화형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모든 올리고머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올리고머는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Isocyanate Group)를 가지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및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Hydroxyalkyl (Meta)Acrylate)를 반응시킨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 및 (메타)아크릴산((Metha)Acrylic Acid)을 탈수 축합 반응시킨 에스테르계 아크릴레이트(Acrylate),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를 반응시킨 에스테르계 우레탄(Urethane) 수지를 히드록시알킬 아크릴레이트(Hydroxyalkyl Acrylate)과 반응시킨 에스테르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Urethane Acrylate), 폴리알킬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Polyethyleneglycol Dimethaacrylate) 등과 같은 에테르계 아크릴레이트(Acrylate), 폴리에스테르 폴리올(Polyester Polyol) 및 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를 반응시킨 에테르계 우레탄(Urethane) 수지를 히드록시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Hydroxyalkyl (Metha)Acrylate)와 반응시킨 에테르계 우레탄(Urethane) 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폭시(Epoxy) 수지 및 (메타)아크릴산((Metha)Acrylic Acid)을 부가 반응시킨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등이 있다.
상기 올리고머(Oligomer)와 함께 포함되는 반응성 희석용 단량체로는 분자 구조 중에 (메타)아크릴로일기((Metha)Acryloyl Group) 등과 같은 반응성 관능기를 가지는 단량체라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단량체는 조성물의 점도를 조절하고, 경화 후 점착력을 구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량체로는,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Alkyl (Meta)Acrylate),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a)Acrylate), 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Hydroxypropyl (Meta)Acrylate) 또는 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Hydroxybutyl (Meta)Acrylate) 등과 같은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메타)아크릴산((Metha)Acrylic Acid) 또는 베타-카복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Beta-Carboxyethyl (Meta)Acrylate) 등과 같은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 2-(2-에톡시에톡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2-(2-EthoxyEthoxy)Ethyl (Meta)Acrylate) 등과 같은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Benzyl (Meta)Acrylate) 또는 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Phenoxyethyl (Meta)Acrylate) 등과 같은 방향족기 함유 단량체;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 (메타)아크릴레이트(Tetrahydrofurfuryl (Metha)Acrylate) 또는 (메타)아크릴로일 몰포린((Metha)Acryloyl Morpholine) 등과 같은 헤테로고리 잔기 함유 단량체 또는 다관능성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착층(30) 성분에서 올리고머(Oligomer) 및 반응성 희석용 단량체의 구체적인 종류 및 배합 비율 등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목적하는 조성물의 점도 및 경화 후 구현하고자 하는 점착 물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30)이 광학용 점착제로 형성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용 점착제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 Clear Adhesive)로 볼 수 있다.
상기 실리콘계 점착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실리콘 점착제의 형성에 사용되는 중합체를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닐기와 같은 알케닐기를 포함하는 실리콘 중합체를 가교제로서 규소 원자에 결합된 수소 원자를 가지는 규소 화합물과 배합하여, 백금 촉매와 같은 촉매를 배합한 유형의 조성물이 실리콘 점착제의 형성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착층(30)은, 가교제, 경화제, 자외선 차단제, 색 보정제, 유기용매, 수계용매, 점착부여제, 광개시제, 광-산(Photo-Acide) 발생제, 블루라이트 차단제, 황변 방지제, 전자파 차단제, 적외선 흡수 색소, 적외선 흡수 안료 등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특히 가시광선 투과율 저하가 없는 한도 내에서는 투입량의 제한도 없다. 상기 기재층(10)과 같이, 상기 점착층(30)에 포함되는 자외선 차단제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고, 유기물형, 무기물형, HALS(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기물형 자외선 차단제의 경우 벤젠기 또는 페닐기가 포함된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자외선 투과율 기준으로는 300 ㎚ 파장에서 투과율 5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300 ㎚ 파장에서 투과율이 50 %를 초과할 경우 자외선의 강한 에너지로 디스플레이 소자들의 내광성 저하가 초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점착층(30)의 점착력은 상온 25 ℃에서, 5 N/25mm 미만의 점착력을 가질 때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와 쉽게 분리될 수 있어 비산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는바, 상기 점착층(30)의 점착력은 5 N/25mm 이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고, 10 N/25mm 가 되는 것이 보다 더 바람직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점착층(30)은, 제1점착층(31)과 제2점착층(33)을 포함한다.
상기 제1점착층(31)은, 상기 기재층(10)의 일측면에 적층된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점착층(31)은 디스플레이 윈도우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점착층(31)에는 열 차폐 미립자가 포함되기 때문에, 최외부 커버 윈도우 자체에 열 차폐 미립자를 포함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윈도우 자체의 내구성을 무리없이 유지시킬 수 있게 되고, 디스플레이 윈도우에 부착된 상기 제1점착측(31)은 외부에서 유입되는 일사에 포함된 적외선을 차단하여 패널 내부 소자들의 열에 의한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점착층(33)은, 상기 기재층(10)의 타측면에 적층된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 기판에 부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점착층(31)과 상기 제2점착층(33)에 사이에는 상기 기재층(1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2점착층(33)은 디스플레이 장치 내부에서 발산되는 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함으로써, 사람이 느끼는 열을 최소화 시켜주거나 주위 온도 상승효과를 낮출 수 있는 효과를 도출한다.
상기 제1점착층(31)과 상기 제2점착층(33)의 점착 성분은 서로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재층(10)을 중심으로, 아크릴계 점착층은 커버 윈도우와 부착되고, 실리콘계 점착층은 패널기판(터치패널, 편광판 등이 추가 될 수도 있는 패널기판을 포함)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특히 아크릴계 점착층에서는 추가로 아래 단량체가 포함될 수도 있으며, 2-EHA 및 아크릴산(AAc) 비율이 0.89 : 0.11, 0.9 : 0.1, 0.91 : 0.09 이면 바람직하여 2-HEA 단량체와 AAc 단량체의 공중합시 가교 구조가 잘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아크릴산이 터치 패널과 연동되는 투명전극에 부식을 초래할 경우, N-vinyl caprolactam 또는 acrylamide 등의 질소 원소를 포함한 아크릴계 모노머를 대체 비율로 투입함으로써 응집력은 유지하면서 투명전극은 부식시키지 않는 OCA/OCR 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점착층(31), 제2점착층(33)의 두께는 5 ㎛ 이상, 1,000 ㎛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제1점착층(31), 제2점착층(33)의 두께가 5 ㎛ 보다 작은 경우 초기 점착력이 낮아지거나, 내열 유지력이 약화될 수 있으며, 모아레(Moire)나 스타버스트(Starburst) 현상이 쉽게 발생 할 수 있다. 상기 제1점착층(31), 제2점착층(33)의 두께가 1,000 ㎛를 초과하면 점착층(30)의 응집력이 낮아지거나, 평활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비용면에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상기 점착층(30)의 두께는 10 ㎛ 이상, 900 ㎛ 이하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점착층(31) 및/또는 상기 제2점착층(33)에는 열 차폐 미립자가 포함될 수 있는데, 점착층(30) 간에는 같은 미립자가 포함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미립자가 포함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제1점착층(31)이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에 부착될 경우, 상기 제1점착층(31)에는 (y)Ax (z)WO(3-n) 형태의 미립자가 포함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왜냐하면, (y)Ax (z)WO(3-n) 형태의 미립자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미립자 보다, 동일 가시광선(550 ㎚ 기준) 투과율 대비, 근적외선(1,000 ㎚ 기준) 투과율이 가장 낮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 제2점착층(33)이 디스플레이 패널 기판에 부착될 경우, 상기 제2점착층(33)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미립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미립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미립자는 고유의 색조가 진하지 않고, 가시광선 투과율 대비 중적외선(Middle Infrared) 및 원적외선(Far Infrared)의 투과율도 충분히 낮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기 언급된 미립자들의 투입 층은 서로 반대일 수도 있으며, 따라서 특별히 제한된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 차폐 미립자는 상기 비방사성 안정동위원소 복합 텅스텐 산화물((y)Ax (z)WO(3-n)) 및/또는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상기 열 차폐 미립자는 고유의 투과 프로파일을 보이게 된다.
상기 비방사성 안정동위원소 복합 텅스텐 산화물((y)Ax (z)WO(3-n))과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이 상기 열 차폐 미립자에 모두 포함될 경우 새로운 투과 프로파일 특성을 가지게 되는데, 이들의 중첩된 프로파일을 예측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중첩된 적외선 투과 프로파일의 기울기를 알아봄으로써, 적외선 차폐 경향성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도 3은 x 축이 파장(㎚)이고, y 축이 투과율(%)인 좌표축에 비방사성 안정동위원소 복합 텅스텐 산화물((y)Ax (z)WO(3-n))과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을 모두 포함하는 열 차폐 미립자의 적외선 투과 프로파일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그래프에서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기울기 측정을 통해 적외선 차폐 경향성 확인이 가능하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방사되는 열이 이루는 에너지는 근적외선 이상의 파장에 가깝기 때문에, 본 발명은 근적외선의 가장 긴 파장이라고 인식되는 2,000 ㎚ 대 파장 영역의 기울기를 구해 근적외선 이상의 파장에서도 적외선 차폐 특성이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적외선 파장 범위에서 기울기를 측정하는 방식에 특별한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며, 실측도 가능하고, 상기 중첩된 적외선 투과 프로파일의 기울기는 음(-) 또는 양(+)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예를 들어, x 축이 파장(㎚)이고 y 축이 투과율(%)인 좌표축에서, x 축의 값이 2,000 ㎚에 해당하는 a 점을 기준으로 수직선을 그려 이러한 수직선이 그래프와 만나는 y 축의 b 점에 해당하는 좌표점을 F(a,b)라 하고, x 축의 값이 2,200 ㎚에 해당하는 c 점을 기준으로 수직선을 그려 이러한 수직선이 그래프와 만나는 y 축의 d 점에 해당하는 좌표점을 G(c,d)라 할 때, 상기 좌표점 F(a.b)과 G(c, d) 간의 기울기는 아래와 같다.
Figure 112021088518467-pat00006
이 때, 상기
Figure 112021088518467-pat00007
의 값이 40°이하이면 충분히 근적외선 이상의 파장도 차폐할 수 있게 된다. tan40°를 초과해 투과 프로파일을 그린다면, 장파장 이상에서 그래프의 연장선은 선형 또는 비선형으로 투과율이 높아 결과적으로 적외선 차폐 효과가 떨어져 바람직하지 못하고, tan40°이하이면 장파장 이상에서 투과 프로파일 연장선은 투과율이 낮아 적외선 차폐가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상기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는, x 축이 파장(㎚)이고, y 축이 투과율(%)인 좌표축에서 파장이 2,000 ㎚ 일 때의 좌표점과 파장이 2,200 ㎚ 일 때의 좌표점 간의 기울기가 tan4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험을 통해 상기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가. 시편의 준비
(1) 실시예 1
1) 열 차폐 미립자
텅스텐 안정동위원소((182)W,(183)W,(184)W,(186)W)가 포함된 전구체를 이용한 흰색분말의 암모늄메타텅스텐산염수화물((NH4)6H2 (184)W12O40·H2O) 30 중량%와, 세슘 안정동위원소((133)Cs)가 포함된 전구체를 이용한 탄산세슘((133)Cs2CO3) 15 중량%를 증류수 450 중량%와 함께 용기에 투입한 후 용해시켜, 일면에 프러시안 블루(Prussian Blue)와 제올라이트(Zeolite)가 함께 처리된 필터지로 감압 여과한 후, 4구 플라스크 반응기에 투입하였다.
히팅 맨틀(Heating Mantle)을 이용해 80 ℃를 유지하며 3 시간 동안 천천히 교반하여 액체로 해리 및 혼합시키고, 적하 재료로서는 무기산 또는 유기산을 사용하였다(pH 4 이하로 조정 가능하면 무관함).
그 중 푸마릭산(Fumaric Acid) 50 중량%를 증류수에 해리시켜 전구체가 용해되어 있는 플라스크 반응기에 드롭핑 펀넬(Dropping Funnel)을 사용해 일정한 속도로 20 분 동안 적하를 진행하였으며, 이로 인해 반투명했던 용액은 점차 침전액을 형성하였다.
일정시간 숙성 후 반응을 종료시켜 필터 및 부산물들을 세척해 회백색 반응물을 수득하였고, 방사능 측정기 QSF104m로 선량당량(Dose Equivalent)을 나타내는 SI 단위계인 시버트(Sievert, Sv)를 측정한 결과, 안전 기준인 0.4 μSv/h 보다 낮은 0.15 μSv/h가 측정되어 방사능 수치의 안전성이 확인되었다.
위 과정에 의해 수화물 상태의 세슘 텅스텐 산화물을 얻은 후, 오븐기에서 120 ℃, 24 시간 동안 건조 후 전기로 내부로 옮겨 질소(N2) 가스를 채우고 600 ℃에서 3 시간 유지 후 냉각시켜 환원소성을 종료함으로써, 짙은 청색의 비방사성 안정동위원소 복합 텅스텐 산화물 분말을 수득하였고, 원소분석, 핵종분석, 질량분석, 결정분석 결과, 육방정(Hexagonal)의 (133)Cs0.3 (184)WO3 임이 판명되었다.
비방사성 안정동위원소 복합 텅스텐 산화물((133)Cs0.3 (184)WO3) 분말 20 중량%, 분산제 0.5 중량%와, 알코올계 용매 79.5 중량%, 0.5mm 지르코늄 비드를 분산용기 대비 전체 체적에 60 %를 넣어 72 시간 동안 볼 밀(Ball Mill)을 진행해 분산졸을 얻었다. 같은 방법으로 ITO(Sigma-Aldrich, 30 ㎚) 미립자가 30 중량% 함유되도록하여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분산체를 준비하였다.
2) 제1점착층(31)의 조성물
아크릴계 공중합체 점착제(Soken, SK-dyne 1473H) 대비 (133)Cs0.3 (184)WO3 육방정 미립자 분산체(100 ㎚ 이하, 고형분:20 %, ICDD card No:81-2144(hexagonal), ICP/MS 분석:(133)Cs, (184)W 검출, 해당원소 핵종분석: 0.05 베크렐 이하, 생활 방사성 148 Bq/m3 이하)의 중량비율이 2.38 중량%,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Soken, T-39M) 중량비율이 0.2 중량%로 되게하여 교반기로 1 시간 혼합한 후 아주 엷은 청색의 점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3) 제2점착층(33)의 조성물
실리콘계 점착제(DOW, DOWSIL7657) 대비 ITO 미립자 분산체(100 ㎚이하 분산졸, 고형분:30 %)의 중량비율이 0.69 중량%, 백금촉매 경화제 중량비율이 0.3 중량%, 추가로 자외선 차단제(2-hydoroxyphenyl-s-trizine) 중량비율이 0.1 % 투입하여 교반기로 1 시간 혼합한 후 아주 옅은 파란색의 점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4)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
두께가 50 ㎛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기재층(10)의 일면에 실시예 1의 제1점착층(31)의 조성물을 도포하고, 타면에 실시예 1의 제2점착층(33)의 조성물을 도포한 뒤, 건조 후 제1점착층(31) 및 제2점착층(33)의 두께가 각각 50 ㎛가 되도록 하였으며, 이형지를 점착층(30)의 양면에 합지시켜 최종적인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를 준비하였다.
(2) 실시예 2
실시예 1의 열 차폐 미립자를 사용하되, 아래 기재된 부분에 차이를 두었다.
1) 제1점착층(31)의 조성물
아크릴계 공중합체 점착제(Soken, SK-dyne 1473H) 대비 (39)K0.26 (184)WO3 육방정 미립자 분산체(100 ㎚ 이하, 고형분:20 %,, JCPDS card No:83-1593(hexagonal), ICP/MS 분석:(39)K, (184)W 검출, 해당원소 핵종분석: 0.05 베크렐 이하, 생활 방사성 148 Bq/m3 이하)의 중량비율이 2.38 중량%,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Soken, T-39M) 중량비율이 0.2 중량%로 되게하여 교반기로 1 시간 혼합한 후 아주 엷은 청색의 점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2) 제2점착층(33)의 조성물
아크릴계 공중합체 점착제(Soken, SK1499M) 대비 ATO 미립자 분산체(100 ㎚ 이하 분산졸, 고형분:30 %)의 중량비율이 0.69 중량%,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Soken, T-39M) 중량비율이 0.2 중량%로 투입하여 교반기로 1 시간 혼합한 후 아주 옅은 파란색의 점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3)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
두께가 50 ㎛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기재층(10)의 일면에 실시예 2의 제1점착층(31)의 조성물을 도포하고, 타면에 실시예 2의 제2점착층(33)의 조성물을 도포한 뒤, 건조 후 제1점착층(31) 및 제2점착층(33)의 두께가 각각 50 ㎛가 되도록 하였으며, 이형지를 점착층(30)의 양면에 합지시켜 최종적인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를 준비하였다.
(3) 실시예 3
실시예 1의 열 차폐 미립자를 사용하되, 아래 기재된 부분에 차이를 두었다.
1) 제1점착층(31)의 조성물
아크릴계 공중합체 점착제(Soken, SK-dyne 1473H) 대비 (23)Na0.3 (184)WO3 육방정 미립자 분산체(100 ㎚ 이하, 고형분:20%, JCPDS card No:46-0174(hexagonal), ICP/MS 분석:(23)Na, (184)W 검출, 해당원소 핵종분석: 0.05 베크렐 이하, 생활 방사성 148 Bq/m3 이하)의 중량비율이 2.38 중량%,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Soken, T-39M) 중량비율이 0.2 중량%로 되게하여 교반기로 1 시간 혼합한 후 아주 엷은 청색의 점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2) 제2점착층(33)의 조성물
실리콘계 점착제(DOW, DOWSIL7657) 대비 ITO 미립자 분산체(100 ㎚ 이하 분산졸, 고형분:30 %)의 중량비율이 0.69 중량%, 백금촉매 경화제 중량비율이 0.3 중량%, 추가로 자외선 차단제(2-hydoroxyphenyl-s-trizine) 중량비율이 0.1 % 투입하여 교반기로 1 시간 혼합한 후 아주 옅은 파란색의 점착 조성물을 준비하였다.
3)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
두께가 50 ㎛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기재층(10)의 일면에 실시예 3의 제1점착층(31)의 조성물을 도포하고, 타면에 실시예 3의 제2점착층(33)의 조성물을 도포한 뒤, 건조 후 제1점착층(31) 및 제2점착층(33)의 두께가 각각 50 ㎛가 되도록 하였으며, 이형지를 점착층(30)의 양면에 합지시켜 최종적인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를 준비하였다.
(4) 실시예 4
실시예 1에 있어서, 실시예 1의 제2점착층(33)의 조성물을 실리콘계 점착제 대신 아크릴계 점착제로 교체 투입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5) 실시예 5
실시예 1의 열 차폐 미립자에 있어서, 107Ag를 200 ℃ 내외에서 소결하여 검은색의 산화은(107Ag2O) 3.4 중량% 분말을 얻은 후 여기에 에탄올 80 ml와 암모늄카보네이트 5.0 중량%를 투입 후 교반하면 점점 투명한 액상으로 되고, 일정시간 후 상기 액상을 120 ℃에서 24 시간 건조하면 누런색의 탄산암모니아은(Ammoniacal silver carbonate) 분말을 얻게 되는데, 이를 실시예 1의 합성에 5.0 중량%로 추가로 투입하여 최종 면심입방형을 포함하는 107Ag0.09 133Cs0.21WO3을 얻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다.
(6)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제1점착층(31)의 조성물을 (133)Cs0.3 (184)WO3 육방정 미립자 분산체 대신 탄소 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 미립자 분산체(Cabot사의 ATHLOSTM)로 교체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시트를 준비하였다.
(7) 비교예 2
실시예 1에서 점착층(30)의 두께에 따른 점착 유지력을 알아보기 위해 제1점착층(31) 및 제2점착층(33)의 두께를 각각 5 ㎛로 하였으며,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였다.
나. 실험방법
(1) 분광분석 장비(JASCO, V-700 series)를 사용해, 550 ㎚ 파장에서의 투과율(%)과, 1,000 ㎚ 파장에서의 투과율(%)과, 2,000 ㎚ 파장에서의 투과율(%)을 각각 측정하였다.
(2) 시편(25 mm × 25 mm)을 SUS(Steel Use Stainless) 판에 점착시킨 뒤 180° 박리강도 시험기(Model: KOPC-B)를 사용해 점착력(N/25mm)을 측정하였다.
(3) 유지력 시험 장치(KP-M2600)를 사용해 열 차폐 시트의 비산방지 효과를 확인하였는데, 시트를 (가로) 25 mm × (세로) 25 mm 의 크기로 재단하여 SUS(Steel Use Stainless) 판에 붙인(2kg rolling road, 300 mm/min) 뒤, 80 ℃ 오븐에서 하중 방향으로 0.5kg의 추를 매달아 24 시간 후의 벗어난 거리인 이탈거리(mm)를 측정하였다.
다. 실험 결과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비교예2

550㎚
투과율
(%)


85.22%



81.42%



82.36%



85.22%



80.17%



81.12%



85.22%


1,000㎚
투과율
(%)


58.84%



59.63%



57.12%



58.84%



53.69%



78.53%



58.84%


2,000㎚
투과율
(%)


8.48%



22.71%



12.58%



8.48%



9.32%



37.58%



8.48%


점착력
(N/25mm)

8.65
N/25mm

8.89
N/25mm

8.95
N/25mm

8.64
N/25mm

8.63
N/25mm

8.42
N/25mm

4.21
N/25mm

각도(°)

13.5°

22.1°

27.3°

13.5°

15.3°

32.1°

13.5°

이탈거리
(mm)

0.1mm
이하

0.1mm
이하

0.1mm
이하

0.1mm
이하

0.1mm
이하

0.1mm
이하

0.1mm
초과
(1) 실시예 1
실시예 1의 경우 550 ㎚ 투과율이 85.22 %(80 % 이상), 1,000 ㎚ 투과율이 58.84 %(60 % 이하), 2,000 ㎚ 투과율이 8.48 % (30 % 이하)로 확인되었고, 기울기 각도
Figure 112021088518467-pat00008
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시트는 커버 윈도우와 패널기판 사이에 설치하여도 시인성이 우수하였으며, 점착력은 8.65 N/25mm, 이탈거리는 0.1 mm 이하로 커버 윈도우의 비산방지 효과도 우수한 것이 입증되었다.
(2) 실시예 2
실시예 2의 경우 550 ㎚ 투과율이 81.42 %(80 % 이상), 1,000 ㎚ 투과율이 59.63 %(60 % 이하), 2,000 ㎚ 투과율이 22.71 % (30 % 이하), 기울기 각도
Figure 112021088518467-pat00009
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시트는 커버 윈도우와 패널기판 사이에 설치하여도 시인성이 양호하였으며, 점착력은 8.89 N/25mm, 이탈거리는 0.1 mm 이하로 커버 윈도우의 비산방지 효과도 우수한 것이 판명되었다.
(3) 실시예 3
실시예 3의 경우 550 ㎚ 투과율이 82.36 %(80 % 이상), 1,000 ㎚ 투과율이 57.12 %(60 % 이하), 2,000 ㎚ 투과율이 12.58 % (30 % 이하), 기울기 각도
Figure 112021088518467-pat00010
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시트는 커버 윈도우와 패널기판 사이에 설치하여도 시인성이 우수하였으며, 점착력은 8.95 N/25mm, 이탈거리는 0.1 mm 이하로 커버 윈도우의 비산방지 효과도 우수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4) 실시예 4
실시예 4의 경우 550 ㎚ 투과율이 85.22 %(80 % 이상), 1,000 ㎚ 투과율이 58.84 %(60 % 이하), 2,000 ㎚ 투과율이 8.48 % (30 % 이하), 기울기 각도
Figure 112021088518467-pat00011
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시트는 커버 윈도우와 패널기판 사이에 설치하여도 시인성이 우수하였으며, 점착력은 8.64 N/25mm, 이탈거리는 0.1 mm 이하로 커버 윈도우의 비산방지 효과도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5) 실시예 5
실시예 5의 경우 550 ㎚ 투과율이 80.17 %(80 % 이상), 1,000 ㎚ 투과율이 53.69 %(60 % 이하), 2,000 ㎚ 투과율이 9.32 % (30 % 이하), 기울기 각도
Figure 112021088518467-pat00012
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시트는 커버 윈도우와 패널기판 사이에 설치하여도 시인성이 양호하였으며, 점착력은 8.62 N/25mm, 이탈거리는 0.1 mm 이하로 커버 윈도우의 비산방지 효과도 우수하며, 2 가지 양성 안정동위원소로 은과 세슘으로 구성하여도 양호한 광학특성을 가지는 것이 판명되었다.
(6) 비교예 1
분광분석 장비로 측정한 결과 550 ㎚ 투과율이 81.12 %(80 % 이상), 1,000 ㎚ 투과율이 78.53 %(60 % 이상), 2,000 ㎚ 투과율이 37..58 %(30 % 이상)로, 기울기 각도
Figure 112021088518467-pat00013
로 탄소 나노튜브(Carbone Nanotube, CNT)에 의한 미세한 헤이즈가 보여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시인성이 좋지 못하고, 가시광 투과율은 확보될 수 있으나 1,000 ㎚ 투과율이 60 % 이상, 2,000 ㎚ 투과율이 30 % 이상으로 기준치 보다 높아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 소재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명되었다. 즉 탄소 나노튜브(Carbone Nanotube, CNT)가 비록 투명 전도성 물질이지만 (y)Ax (z)WO(3-n) 형태의 비방사성 안정동위원소 복합 텅스텐 산화물 및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의 조합이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로 보다 적합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7) 비교예 2
점착 유지력 장치에 시편을 설치하여, 24 시간 후 처음 길이보다 밀림현상이 있어 유지력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는 건조 후 점착층(30)의 코팅 두께가 최소 10 ㎛ 이상 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로,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 기판(P)과 최외부 디스플레이 커버 윈도우(W) 사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의 외측면에는 이형지가 결합되어 상기 기재층(10) 양 측에 위치한 점착층(30)을 보호할 수 있다.
열 차폐 미립자 이외에, 가교제, 경화제, 자외선 차단제, 색 보정제, 유기용매, 수계용매, 점착부여제, 광개시제, 광-산(Photo-Acide) 발생제, 블루라이트 차단제, 황변 방지제, 전자파 차단제, 적외선 흡수 색소, 적외선 흡수 안료 등은 상기 기재층(10) 및/또는 상기 점착층(30) 내에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터치 패널 기능이 있을 수 있는데, 터치 패널의 금속 메쉬와 블랙 매트릭스 사이의 교차 각도가 높을 때, 점 결함으로 모아레(Moire) 현상이 발생하거나 금속 메쉬 자체의 높은 교차 각도로 스타버스트(Starburst)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지만, 상기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부착되더라도, 상기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1)에 의한 추가 모아레(Moire) 및 스타버스트(Starburst)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저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10: 기재층
30: 점착층
31: 제1점착층
33: 제2점착층

Claims (26)

  1.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에 적층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점착층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열 차폐 미립자가 포함되며,
    x 축이 파장(㎚)이고, y 축이 투과율(%)인 좌표축에서 파장이 2,000 ㎚ 일 때의 좌표점(a,b)과 파장이 2,200 ㎚ 일 때의 좌표점(c,d) 간의 기울기(
    Figure 112021124230762-pat00021
    )가 tan4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차폐 미립자는, (y)Ax (z)WO(3-n) 형태의 비방사성 안정동위원소 복합 텅스텐 산화물을 포함하며, 상기 (y)A는 비방사성 안정 동위원소, 상기 x는 (y)A의 수, 상기 y는 A의 질량수, 상기 z는 W의 질량수, 상기 O는 산소, 상기 (3-n)은 산소의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y)A는, 비방사성 알칼리금속 안정 동위원소, 비방사성 알칼리토금속 안정 동위원소 및 비방사성 희토류 안정 동위원소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y)A는, (7)Li, (133)Cs, (39)K, (23)Na, (107)Ag, (138)Ba, (98)Mo, (27)Al, (85)Rb, (63)Cu 및 (64)Zn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x는, 0.01 ≤ x < 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은, 0 ≤ n ≤ 1.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y)Ax (z)WO(3-n)는, 입방정계(Cubic)형, 육방정계(Hexgonal)형, 정방정계(Tetragonal)형, 사방정계(Orthorhombic)형, 단사정계(Monoclinic)형 및 면심입방(Pyrochlores)형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z)W는, (182)W, (183)W, (184)W 및 (186)W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차폐 미립자는,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도성 산화물은, 안티몬 틴 옥사이드(Antimony Tin Oxide, ATO),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플루오린 틴 옥사이드(Fluorine Tin Oxide, FTO) 및 알루미늄 징크 옥사이드(Aluminum-doped Zinc Oxide)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11. 삭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차폐 미립자의 크기는, 2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13. 기재층과, 상기 기재층에 적층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재층 및 상기 점착층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열 차폐 미립자가 포함되며,
    상기 점착층은, 상기 기재층을 사이에 두고, 상기 기재층의 일측면에 적층된 제1점착층과, 상기 기재층의 타측면에 적층된 제2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점착층에 포함된 열 차폐 미립자와, 상기 제2점착층에 포함된 열 차폐 미립자는 서로 다르며,
    상기 제1점착층은, (y)A는 비방사성 안정 동위원소, x는 (y)A의 수, y는 A의 질량수, z는 W의 질량수, O는 산소, (3-n)은 산소의 수인, (y)Ax (z)WO(3-n) 형태의 비방사성 안정동위원소 복합 텅스텐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점착층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14. 기재층 없이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열 차폐 미립자를 포함하며,
    x 축이 파장(㎚)이고, y 축이 투과율(%)인 좌표축에서 파장이 2,000 ㎚ 일 때의 좌표점(a,b)과 파장이 2,200 ㎚ 일 때의 좌표점(c,d) 간의 기울기(
    Figure 112021124230762-pat00022
    )가 tan4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15. 기재층 없이 형성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열 차폐 미립자를 포함하며,
    상기 점착층은, 일측에 적층된 제1점착층과, 타측에 적층된 제2점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점착층에 포함된 열 차폐 미립자와, 상기 제2점착층에 포함된 열 차폐 미립자는 서로 다르며,
    상기 제1점착층은, (y)A는 비방사성 안정 동위원소, x는 (y)A의 수, y는 A의 질량수, z는 W의 질량수, O는 산소, (3-n)은 산소의 수인, (y)Ax (z)WO(3-n) 형태의 비방사성 안정동위원소 복합 텅스텐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점착층은, 투명 전도성 산화물(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16. 제1항 및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광학용 점착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용 점착제는, OCA(Optical Clear Adhesive) 또는 OCR(Optical Clear Adhesiv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18. 제1항 및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변성우레탄계 점착제 및 실리콘계 점착제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19. 제13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제1점착층 및 상기 제2점착층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경화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점착력은, 상온 25 ℃에서 5 N/2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21. 제1항 및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5 ㎛ 이상, 1,0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22. 제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20 ㎛ 이상, 1,00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23. 제1항 및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는, 550 ㎚ 파장에서의 가시광선 투과율이 70 % 이상이고, 1,000 ㎚ 파장에서의 적외선 투과율이 60 % 이하이며, 2,000 ㎚ 파장에서의 적외선 투과율이 3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24. 제1항 및 제13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는, 생활 방사능 강도가 148 Bq/m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25. 제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및/또는 상기 점착층은, 자외선 차단제, 색 보정제, 유기용매, 수계용매, 점착부여제, 광개시제, 광-산(Photo-Acide) 발생제, 블루라이트 차단제, 황변 방지제, 전자파 차단제, 적외선 흡수 색소 및 적외선 흡수 안료 중 어느 하나 이상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26. 삭제
KR1020210100850A 2021-07-30 2021-07-30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KR102343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850A KR102343901B1 (ko) 2021-07-30 2021-07-30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PCT/KR2022/011221 WO2023008961A1 (ko) 2021-07-30 2022-07-29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0850A KR102343901B1 (ko) 2021-07-30 2021-07-30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901B1 true KR102343901B1 (ko) 2021-12-29

Family

ID=7917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0850A KR102343901B1 (ko) 2021-07-30 2021-07-30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43901B1 (ko)
WO (1) WO202300896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961A1 (ko) * 2021-07-30 2023-02-02 황태경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8518A (ja) * 2010-03-17 2011-10-06 Tohoku Univ 導電性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可視光透過型粒子分散導電体
KR20140044969A (ko) 2012-09-13 2014-04-16 대원케미칼(주) 디스플레이 원도우용 양면점착테이프
KR102036253B1 (ko) * 2019-04-22 2019-10-24 황태경 비방사성 안정 동위원소를 이용한 친환경 열 차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43824A (ko) * 2018-10-18 2020-04-28 황태경 열 차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162433B1 (ko) * 2020-06-16 2020-10-07 황태경 친환경 열 차폐 복합 텅스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498B1 (ko) * 2008-09-11 2011-03-07 (주) 씨에프씨테라메이트 텅스텐브론즈 화합물을 함유한 열차단필름과 그 제조방법
KR102343901B1 (ko) * 2021-07-30 2021-12-29 황태경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98518A (ja) * 2010-03-17 2011-10-06 Tohoku Univ 導電性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可視光透過型粒子分散導電体
KR20140044969A (ko) 2012-09-13 2014-04-16 대원케미칼(주) 디스플레이 원도우용 양면점착테이프
KR20200043824A (ko) * 2018-10-18 2020-04-28 황태경 열 차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036253B1 (ko) * 2019-04-22 2019-10-24 황태경 비방사성 안정 동위원소를 이용한 친환경 열 차폐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2162433B1 (ko) * 2020-06-16 2020-10-07 황태경 친환경 열 차폐 복합 텅스텐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08961A1 (ko) * 2021-07-30 2023-02-02 황태경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08961A1 (ko) 2023-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0951B1 (ko) 형광체 시트
US8128839B2 (en) High-luminosity stress-stimulated luminescent material,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use thereof
EP3032293B1 (en) Light conversion film, and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TWI422552B (zh) 一種透明隔熱材料及其製法
EP2573454B1 (en) Lighting device
TWI621690B (zh) Method for manufacturing coated phosphor and coated phosphor
JP6982914B2 (ja) 非放射性安定同位元素を用いた優環境熱遮蔽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98185A (ko) 양자 도트 보호 필름, 그것을 사용한 양자 도트 필름 및 백라이트 유닛
TW201900849A (zh) 彩色液晶顯示器及顯示器背光
CN101067667A (zh) 显示滤光器和具有该显示滤光器的显示装置
KR102343901B1 (ko) 비산방지 열 차폐 시트
TW201428328A (zh) 閃爍器面板
KR20150007634A (ko) 근적외선 차단율이 향상된 투명 열차단 코팅액 조성물, 그 제조방법,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투명 열차단 필름 및 투명 열차단 유리
KR101520402B1 (ko) 솔라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US11760927B2 (en) Green phosphor, phosphor sheet, and light-emitting device
JP200731633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用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TW202017857A (zh) 光擴散構件、以及使用其之光擴散結構體及發光結構體
KR101578823B1 (ko) 코팅액 조성물, 이로부터 형성된 도광판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8077301A (ja) 近赤外線吸収性光学部材、およびこれを用いた画像表示デバイス
JP2020042137A (ja) 光学フィルム、光学バリアフィルム、及び波長変換フィルム
JP7112355B2 (ja) 緑色発光蛍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蛍光体シート及び発光装置
KR102075067B1 (ko) 액정표시장치
JP2001141895A (ja) 放射線像変換パネル
JP2011008261A (ja) ディスプレイフィルタ
JP2019104141A (ja) 透明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