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717B1 - 무대 및 단상용 휠체어 승강 경사로 - Google Patents

무대 및 단상용 휠체어 승강 경사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717B1
KR102343717B1 KR1020190172093A KR20190172093A KR102343717B1 KR 102343717 B1 KR102343717 B1 KR 102343717B1 KR 1020190172093 A KR1020190172093 A KR 1020190172093A KR 20190172093 A KR20190172093 A KR 20190172093A KR 102343717 B1 KR102343717 B1 KR 102343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traveling plate
fixed
traveling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2738A (ko
Inventor
남호진
Original Assignee
남호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호진 filed Critical 남호진
Priority to KR1020190172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717B1/ko
Publication of KR20200002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2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04F2011/007Ramps characterised by the 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를 탑승자가 무대 및 단상에 승강함에 있어 보호자의 부축없이도 승강을 할 수 있도록 하되, 승강 과정에서 경사로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조성해 줄 수 있는 무대 및 단상용 휠체어 승강 경사로에 관한 것으로,
일측 끝단은 지면과 맞닿는 상태가 되며 무대 또는 단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주행플레이트(111)가 구비되되, 상기 주행플레이트(111)의 일측 끝단에는 조인트부(120)와 짜맞춤 결합이 용이하도록 고정홈(112)과 걸림턱(113) 및 걸림돌기(114)가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하측에는 경사각이 형성될 수 있도록 경사가드(115)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승차 방향 입구부(110)와, 무대 또는 단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주행플레이트(121)가 구비되며, 상기 주행플레이트(121)의 양 끝단에는 승차 방향 입구부(110) 및 조인트부(120)와 짜맞춤 결합이 용이하도록 고정홈(122)과 걸림턱(123) 및 걸림돌기(124)가 각각 형성되어 주행방향으로는 분리가 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행플레이트(121)의 저면에는 지면과의 지지기능을 수행하면서 이동시 접이가 용이하도록 접이식 받침대(200)가 고정되는 조인트부(120)와, 무대 또는 단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주행플레이트(131)가 구비되며, 상기 주행플레이트(131)의 조인트부(120)방향 끝단에는 조인트부(120)와 짜맞춤 결합이 용이하도록 고정홈(132)과 걸림턱(133) 및 걸림돌기(134)가 각각 형성되어 주행방향으로는 분리가 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행플레이트(13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무대 또는 단상의 상단면과 단차 없는 접지가 용이하도록 접이형 연결플레이트(136)가 고정 되는 한편, 상기 주행플레이트(131)의 저면에는 지면과의 지지기능을 수행하면서 이동시 접이가 용이하도록 접이식 받침대(200)가 고정되는 승차 방향 출구부(130)가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조인트부(120)는 단상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 직렬 연결 구성된다.

Description

무대 및 단상용 휠체어 승강 경사로{Stage and rostrum wheelchair lift ramp}
본 발명은 무대 및 단상용 휠체어 승강 경사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휠체어를 탑승자가 무대 및 단상에 승강함에 있어 보호자의 부축없이도 승강을 할 수 있도록 하되, 승강 과정에서 경사로가 흔들리는 것을 최소화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정감을 조성해 줄 수 있는 무대 및 단상용 휠체어 승강 경사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우가 타고 다니는 휠체어는 특성상 무대 또는 단상과 같이 단차가 형성된 곳에는 승강하기 어렵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당업계에서 휠체어 탑승자가 보호자의 부축 없이도 안전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제안한 것이 당업계에서는 "경사로"라 칭하며, 실용신안등록 제20-0373370호(고안의 명칭 : 휠체어용 계단 보조구)에서도 확인된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373370호에서 제안된 '휠체어용 계단 보조구'는 다수개의 롤러를 자유 회전 가능토록 구조적으로 결합하여 롤러의 회전에 의해 휠체어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한 것이나 설치 및 이동의 불편함이 있음은 물론, 휠체어에 탑승한 상태에서 승강을 할 경우 자유회전 하는 롤러에 의해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위험성이 도사리고 있다.
또 다른 예로써 실용신안등록 제20-0308583호(고안의 명칭 : 계단용 경사구) 및 특허출원 제10-2015-0084963호(발명의 명칭 : 휠체어용 현관 건식경사로 및 그 시공방법)를 들 수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20-0308583호는 낱개의 단위 경사구를 직렬 방향으로 연결 고정한 것으로 비교적 긴 구간에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휠체어의 경로 이탈 및 장방향으로의 단위 경사구 간 분리될 여지가 있어 이 역시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해소되지 않았다.
상기 특허출원 제10-2015-0084963호는 현관 등에 시공하는 것으로 이동을 할 수 없어 무대 및 단상에서는 설치할 수가 없다.
1. 등록실용신안 제20-0308583호(고안의 명칭 : 계단용 경사구) 2. 특허출원 제10-2015-0084963호(발명의 명칭 : 휠체어용 현관 건식경사로 및 그 시공방법)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인식과 요구에 의해 안출한 것으로 이동이 용이하면서 행사시 수시로 설치 및 해체를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주행로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주행방향 방향으로 서로 분리가 되지 않도록 하는 한편, 휠체어 탑승 주행시 유동거림을 최소화하여 휠체어 탑승자가 안전하게 무대 및 단상에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무대 및 단상용 휠체어 승강 경사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무대 및 단상용 휠체어 승강 경사로(100)는 일측 끝단은 지면과 맞닿는 상태가 되며 무대 또는 단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주행플레이트(111)가 구비되되, 상기 주행플레이트(111)의 일측 끝단에는 조인트부(120)의 고정홈(122)과 걸림턱(123) 및 걸림돌기(124)와 짜맞춤 결합이 용이하도록 고정홈(112)과 걸림턱(113) 및 걸림돌기(114)가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하측에는 경사각이 형성될 수 있도록 경사가드(115)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승차 방향 입구부(110)와, 무대 또는 단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주행플레이트(121)가 구비되며, 상기 주행플레이트(121)의 양 끝단에는 승차 방향 입구부(110) 및 조인트부(120)와 짜맞춤 결합이 용이하도록 고정홈(122)과 걸림턱(123) 및 걸림돌기(124)가 각각 형성되어 주행방향으로는 분리가 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행플레이트(121)의 저면에는 지면과의 지지기능을 수행하면서 이동시 접이가 용이하도록 접이식 받침대(200)가 고정되는 조인트부(120)와, 무대 또는 단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주행플레이트(131)가 구비되며, 상기 주행플레이트(131)의 조인트부(120)방향 끝단에는 조인트부(120)의 고정홈(122)과 걸림턱(123) 및 걸림돌기(124)와 짜맞춤 결합이 용이하도록 고정홈(132)과 걸림턱(133) 및 걸림돌기(134)가 각각 형성되어 주행방향으로는 분리가 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행플레이트(13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무대 또는 단상의 상단면과 단차 없는 접지가 용이하도록 접이형 연결플레이트(136)가 고정 되는 한편, 상기 주행플레이트(131)의 저면에는 지면과의 지지기능을 수행하면서 이동시 접이가 용이하도록 접이식 받침대(200)가 고정되는 승차 방향 출구부(130)가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조인트부(120)는 단상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승차 방향 입구부(110)와 승차 방향 출구부(130) 사이에서 하나 이상 직렬연결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접이식 받침대(200)는 주행플레이트(121,131)의 저면에 융착 또는 리벳 고정됨과 동시에 지지대(220)가 축 핀(212)에 의해 결합 고정된 상태로 일부 구간에서 축회전되도록 안내하는 안내 홈(213)이 형성된 장착 브라켓(210)과, 상기 장착 브라켓(210)의 상단에 형성된 축 홈(211)에 삽입 고정되어 지지대(220)가 축 회전 되도록 하는 축 핀(212)과, 상기 축 핀(212)에 의해 장착 브라켓(210)의 내부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홈(221)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멈춤핀(230)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22)의 중심으로부터 동일 거리에 형성되어 접이가 용이하도록 하는 작동부(223) 및 상기 작동부(223)의 일측으로 지지대(220)가 수직이 되었을 때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미트부(224)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나사 결합에 의해 높이 조절이 용이한 받침편(225)이 결합 고정된 지지대(220)와, 상기 삽입홈(222)에 삽입됨과 동시에 안내홈(213)에 관통된 상태에서 멈춤쇠(240)와 결합 고정되는 멈춤핀(230)과, 상기 멈춤핀(230)과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축 핀(241)이 구비되며, 상기 축 핀(241)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242)을 중심으로 편심부(243)가 형성되어 멈춤쇠(240)의 회전 작동 시 편심부(243)와 장착 브라켓(210)의 표면이 맞닿으면서 지지대(220)를 선택한 위치에 견고하게 멈춤 고정 시켜주는 멈춤쇠(2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행플레이트(121, 131)의 가장자리 한 방향 또는 마주보는 양 방향에는 휠체어의 주행 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가드(125, 13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조인트(120)의 주행플레이트(121) 일측 끝단에는 평면에 안착되는 승차 방향 출입구(130)의 주행플레이트(131)와 결합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굴곡부(1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 발명의 무대 및 단상용 휠체어 승강 경사로는 낱개씩 분리하여 이동이 용이하며, 행사시 수시로 설치 및 해체를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익을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휠체어 탑승자는 주행로의 이탈이 방지됨과 동시에 플레이트 간 분리 및 유동거림이 없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무대 및 단상에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경사로 중 주행방향 입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경사로 중 주행방향 조인트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경사로 중 주행방향 출구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경사로 중 접이식 받침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접이식 받침대 중 지지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접이식 받침대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원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무대 및 단상용 휠체어 승강 경사로(100)는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승차 방향 입구부(110)와 경사로의 길이에 따라 승차 방향 입구부(110)와 승차 방향 출구부(130) 사이에 하나 이상 연결 구성되는 조인트부(120)와, 무대 및 단상의 상 단면과 접지되어 단 차의 발생을 없애주는 승차 방향 출구부(130) 및 상기 조인트부(120)와 승차 방향 출구부(130)를 지면에서부터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접이식 받침대(200)로 구성한 것이 핵심이다.
이때 상기 승차 방향 입구부(110)는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끝단은 지면과 맞닿는 상태가 되며 무대 또는 단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주행플레이트(111)가 구비되며, 상기 주행플레이트(111)의 일측 끝단에는 조인트부(120)와 짜맞춤 결합이 용이하도록 고정홈(112)과 걸림턱(113) 및 걸림돌기(114)가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하측에는 경사각이 형성될 수 있도록 경사가드(115)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조인트부(120)는 도 1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무대 또는 단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주행플레이트(121)가 구비되며, 상기 주행플레이트(121)의 양 끝단에는 승차 방향 입구부(110) 및 조인트부(120)와 짜맞춤 결합이 용이하도록 고정홈(122)과 걸림턱(123) 및 걸림돌기(124)가 각각 형성되어 주행방향으로는 분리가 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승차 방향 출구부(130)는 도 1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무대 또는 단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주행플레이트(131)가 구비되며, 상기 주행플레이트(131)의 조인트부(120) 방향 끝단에는 조인트부(120)와 짜맞춤 결합이 용이하도록 고정홈(132)과 걸림턱(133) 및 걸림돌기(134)가 각각 형성되어 주행방향으로는 분리가 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행플레이트(13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무대 또는 단상의 상단 면과 단차 없는 접지가 용이하도록 접이형 연결플레이트(136)가 고정된다.
상기 연결플레이트(136)의 저면에는 경첩(137)이 고정되어 있어 양 방향으로 접이가 용이하며, 이에 따라 무대 또는 단상의 상단면과 단차 없는 접지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주행플레이트(121, 131)의 가장자리 한 방향 또는 마주보는 양 방향에는 휠체어의 주행 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가드(125, 135)가 형성되어 휠체어가 경사로를 주행을 할 때 좌, 우측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차 방향 입구부(110)와, 조인트부(120) 및 승차 방향 출구부(130)간 연결되는 주행플레이트(111,121,131)는 상호간에 짜맞춤 공법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주행방향으로 전, 후, 좌, 우 측으로 모두 당기는 힘이 적용되기 때문에 휠체어 주행과정에서 분리 되는 일이 발생되지 않음은 물론, 견고한 조임에 의해 유동거림의 발생을 차단시켜 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인트(120)의 주행플레이트(121) 일측 끝단에는 평면에 안착되는 승차 방향 출입구(130)의 주행플레이트(131)와 결합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굴곡부(126)가 형성되는 바, 상기 굴곡부(126)형성되는 주행플레이트(131)는 승차 방향 출입구(130)와 맞닿는 것이 되는 것이며, 경사면과 평면이 만나는 지점에서 형성되는 결합단차를 제거해줌으로써 승차감을 상승시켜주는 것이다.
상기 조인트부(120)와 주행 방향 출구부(130)의 주행플레이트(121,131)의 저면에 융착 또는 리벳 고정되는 접이식 받침대(200)는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220)가 축 핀(212)에 의해 결합 고정된 상태로 일부구간에서 축 회전 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홈(213)이 형성된 장착브라켓(210)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 브라켓(210)의 상단에는 축 홈(211)이 형성되며, 그 축 홈(211)에 삽입 고정되어 지지대(220)가 축 회전 되도록 하는 축 핀(212)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220)의 일측에는 축 핀(212)이 삽입되는 고정홈(221)이 형성되는바, 이에 따라 축 핀(212)은 축 홈(211)과 고정홈(221)을 관통하게 되며, 이로 인해 지지대(220)는 장착 브라켓(210)의 내부에 축 회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지지대(220)의 일측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핀(230)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22)의 중심으로부터 동일 거리에 형성되어 접이가 용이하도록 하는 작동부(223) 및 상기 작동부(223)의 일측으로 지지대(220)가 수직이 되었을 때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미트부(224)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접이가 되는 부분은 곡선으로 형성되는 작동부(223) 방향으로만 접이가 되는 것이며, 수직이 되었을 때는 리미트부(224)에 의해 추가 회전을 방지하게 됨으로써 안정적인 접이 및 받침대(200)를 세웠을 때 견고한 고정상태를 제공하여 유동거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200)의 저면에는 나사 결합에 의해 높이 조절이 용이한 받침편(225)이 결합 고정되어 미세한 높이 조절은 받침편(225)에 의해 가능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지지대(200)의 길이는 경사로의 경사각에 대응할 수 있도록 그 크기를 조금씩 달리하는 것이다.
상기 삽입홈(222)에는 안내홈(213)을 관통한 상태에서 멈춤쇠(240)와 결합 고정되는 멈춤핀(230)이 삽입 고정되며, 상기 멈춤핀(230)과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축 핀(241)이 구비되며, 상기 축 핀(241)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242)을 중심으로 편심부(243)가 형성되어 멈춤쇠(240)의 회전 작동 시 편심부(243)와 장착브라켓(210)의 표면이 맞닿으면서 지지대(220)를 선택한 위치에 견고하게 멈춤 고정시켜주는 멈춤쇠(240)가 구성된다.
상기 멈춤쇠(240)는 작동 레버의 기능을 하기 때문에 장착브라켓(21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인 경우 편심부(243)와 장착브라켓(210)의 표면이 맞닿으면서 지지대(220)는 고정을 하게 되는 것이며, 장착브라켓(210)의 측면에서 이격을 하게 되면 편심부(243)와 장착브라켓(210)이 서로 이격되어 지지대(220)를 접거나 펼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무대 및 단상용 휠체어 승강 경사로
110: 승차 방향 입구부
111, 121, 131: 주행플레이트
112, 122, 132: 고정홈
113, 123, 133: 걸림홈
114, 124, 134: 걸림돌기
115: 경사가드 125, 135: 이탈방지가드
126: 굴곡부 136: 연결플레이트
137: 경첩 200: 접이식 받침대
210: 장착브라켓 211: 축 홈
212: 축 핀 213: 안내홈
220: 지지대 221: 고정홈
222: 삽입홈 223: 작동부
224: 리미트부 225: 받침편
230: 멈춤핀 240: 멈춤쇠
241: 축 핀 242: 삽입홈
243: 편심부

Claims (4)

  1. 일측 끝단은 지면과 맞닿는 상태가 되며 무대 또는 단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주행플레이트(111)가 구비되되, 상기 주행플레이트(111)의 일측 끝단에는 조인트부(120)의 고정홈(122)과 걸림턱(123) 및 걸림돌기(124)와 짜맞춤 결합이 용이하도록 고정홈(112)과 걸림턱(113) 및 걸림돌기(114)가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하측에는 경사각이 형성될 수 있도록 경사가드(115)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승차 방향 입구부(110); 와,
    무대 또는 단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주행플레이트(121)가 구비되며, 상기 주행플레이트(121)의 양 끝단에는 승차 방향 입구부(110) 및 조인트부(120)와 짜맞춤 결합이 용이하도록 고정홈(122)과 걸림턱(123) 및 걸림돌기(124)가 각각 형성되어 주행방향으로는 분리가 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행플레이트(121)의 저면에는 지면과의 지지기능을 수행하면서 이동시 접이가 용이하도록 접이식 받침대(200)가 고정되는 조인트부(120); 와,
    무대 또는 단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주행플레이트(131)가 구비되며, 상기 주행플레이트(131)의 조인트부(120)방향 끝단에는 조인트부(120)의 고정홈(122)과 걸림턱(123) 및 걸림돌기(124)와 짜맞춤 결합이 용이하도록 고정홈(132)과 걸림턱(133) 및 걸림돌기(134)가 각각 형성되어 주행방향으로는 분리가 되지 않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행플레이트(131)의 일측 가장자리에는 무대 또는 단상의 상단면과 단차 없는 접지가 용이하도록 접이형 연결플레이트(136)가 고정 되는 한편, 상기 주행플레이트(131)의 저면에는 지면과의 지지기능을 수행하면서 이동시 접이가 용이하도록 접이식 받침대(200)가 고정되는 승차 방향 출구부(130);
    가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조인트부(120)는 단상의 높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승차 방향 입구부(110)와 승차 방향 출구부(130) 사이에서 하나 이상 직렬연결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접이식 받침대(200)는 주행플레이트(121,131)의 저면에 융착 또는 리벳 고정됨과 동시에 지지대(220)가 축 핀(212)에 의해 결합 고정된 상태로 일부 구간에서 축 회전되도록 안내하는 안내 홈(213)이 형성된 장착 브라켓(210); 과,
    상기 장착 브라켓(210)의 상단에 형성된 축 홈(211)에 삽입 고정되어 지지대(220)가 축 회전되도록 하는 축 핀(212); 과,
    상기 축 핀(212)에 의해 장착 브라켓(210)의 내부에 축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홈(221)이 형성되며, 일측에는 멈춤핀(230)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22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222)의 중심으로부터 동일 거리에 형성되어 접이가 용이하도록 하는 작동부(223) 및 상기 작동부(223)의 일측으로 지지대(220)가 수직이 되었을 때 더 이상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리미트부(224)가 형성되며, 저면에는 나사 결합에 의해 높이 조절이 용이한 받침편(225)이 결합 고정된 지지대(220); 와,
    상기 삽입홈(222)에 삽입됨과 동시에 안내홈(213)에 관통된 상태에서 멈춤쇠(240)와 결합 고정되는 멈춤핀(230); 과,
    상기 멈춤핀(230)과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축 핀(241)이 구비되며, 상기 축 핀(241)이 삽입 고정되는 삽입홈(242)을 중심으로 편심부(243)가 형성되어 멈춤쇠(240)의 회전 작동 시 편심부(243)와 장착 브라켓(210)의 표면이 맞닿으면서 지지대(220)를 선택한 위치에 견고하게 멈춤 고정 시켜주는 멈춤쇠(2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및 단상용 휠체어 승강 경사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플레이트(121, 131)의 가장자리 한 방향 또는 마주보는 양 방향에는 휠체어의 주행 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가드(125, 135)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및 단상용 휠체어 승강 경사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120)의 주행플레이트(121) 일측 끝단에는 평면에 안착되는 승차 방향 출입구(130)의 주행플레이트(131)와 결합 단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굴곡부(12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 및 단상용 휠체어 승강 경사로.
KR1020190172093A 2019-12-20 2019-12-20 무대 및 단상용 휠체어 승강 경사로 KR102343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093A KR102343717B1 (ko) 2019-12-20 2019-12-20 무대 및 단상용 휠체어 승강 경사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2093A KR102343717B1 (ko) 2019-12-20 2019-12-20 무대 및 단상용 휠체어 승강 경사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738A KR20200002738A (ko) 2020-01-08
KR102343717B1 true KR102343717B1 (ko) 2021-12-24

Family

ID=69154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2093A KR102343717B1 (ko) 2019-12-20 2019-12-20 무대 및 단상용 휠체어 승강 경사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7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936Y1 (ko) * 2006-08-25 2006-11-14 이재우 사다리용 안전지지대
KR101207211B1 (ko) * 2011-08-31 2012-12-05 이노인트 주식회사 경사로
JP2017066595A (ja) * 2015-09-28 2017-04-06 アイシン軽金属株式会社 スロープ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8583Y1 (ko) 2003-01-08 2003-03-28 권중한 계단용 경사구
JP6151374B2 (ja) 2012-12-20 2017-06-21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 洗濯物香り添加剤
KR200477314Y1 (ko) * 2013-10-18 2015-05-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작업용 발판 및 이의 연결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0936Y1 (ko) * 2006-08-25 2006-11-14 이재우 사다리용 안전지지대
KR101207211B1 (ko) * 2011-08-31 2012-12-05 이노인트 주식회사 경사로
JP2017066595A (ja) * 2015-09-28 2017-04-06 アイシン軽金属株式会社 スロープ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2738A (ko) 2020-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2695B2 (en) Stair lift device
US11174124B2 (en) Elevator car
KR101626260B1 (ko) 승강장용 안전발판
KR102343717B1 (ko) 무대 및 단상용 휠체어 승강 경사로
CN114829282A (zh) 电梯轿厢可枢转栏杆及电梯的维护方法
US5230288A (en) Entering and exiting step system for vehicles with swingable platform for wheelchair bound passengers
US5150659A (en) Entering and exiting step system for vehicles with two step pivotal support for accommodating platforms of varying heights
KR101603164B1 (ko) 열차승강장 발빠짐 방지용 접철식 자동길이 조절 안전발판
KR101668977B1 (ko) 경사각도에 따른 가변형 발판 및 난간을 구비한 안전계단
KR101889898B1 (ko) 차량용 가동 발판 장치 및 이를 갖는 차량용 가동 발판 시스템
JP3657573B2 (ja) 鉄道車両の非常用折り畳み式階段
JP2018172076A (ja) 車両用乗降装置
JP4249557B2 (ja) 列車用車椅子渡り板
KR102529583B1 (ko) 휠체어 탑승이 가능한 피난용 슬라이드
US20070278043A1 (en) System and device for descending stairs
KR102434694B1 (ko) 휠체어 리프트용 추락방지장치
KR200384963Y1 (ko) 사다리 각도와 연동되는 승강기 접근계단
KR100466446B1 (ko) 차량의 휠체어 승강장치
KR101871371B1 (ko) 경사로를 갖는 건축용 계단장치
KR100454007B1 (ko) 휠체어 리프트장치
KR200417517Y1 (ko) 공간절약형 접철식 고정 사다리
JP3435382B2 (ja) 階段通路設備
TW202225524A (zh) 車輛的救援裝置和行駛路線
CN218420692U (zh) 一种连续速降式消防通道
JP2846568B2 (ja) 乗客コンベ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