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558B1 - 콘크리트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558B1
KR102343558B1 KR1020210080836A KR20210080836A KR102343558B1 KR 102343558 B1 KR102343558 B1 KR 102343558B1 KR 1020210080836 A KR1020210080836 A KR 1020210080836A KR 20210080836 A KR20210080836 A KR 20210080836A KR 102343558 B1 KR102343558 B1 KR 102343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reinforcement
unit
fabe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0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철
양정식
임진선
민경환
남정희
전성일
정우석
소비쳇 크랭
Original Assignee
(주)삼우아이엠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우아이엠씨,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삼우아이엠씨
Priority to KR1020210080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5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4Concret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8Reinforceme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002Apparatus for preparing and placing the materials and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48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 E01C19/4866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laying-down the materials and consolidating them, or finishing the surface, e.g. slip forms therefor, forming kerbs or gutters in a continuous operation in situ with solely non-vibratory or non-percussive pressing or smoothing means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에 배치된 복수의 철근을 지지하여 상기 철근을 정렬시키거나 상기 철근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배근부와, 상기 배근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도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철근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본체부와, 상기 배근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를 가압하거나 평탄화 하는 페이버와, 상기 본체부가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를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포장장치 {PAVING APPARATUS FOR CONCRETE ROAD}
본 발명은 콘크리트 도로보수를 위한 연속철근 콘크리트 포장공법을 이용하는 콘크리트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유지보수가 요구되는 기존의 도로 포장을 일정 깊이 절삭하여 절삭면을 형성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철근을 배치하며, 콘크리트 포장장치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철근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며 도로를 재포장하는 콘크리트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도로에는 결함을 유발시키는 응력(stress)이 계속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 응력은 도로에 지지되어 도로 상부를 이동하는 차량의 하중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도로가 설치된 지역의 온도 및 습도의 변화로 인한 자체 균열, 도로와 지면과의 진동차 및 변위차에 의해 상기 콘트리트 도로를 파손시킬 수 있다.
상기 콘크리트 도로는 상기 응력에 의해 균열이 발생할 수도 있고 심할 경우에는 변형, 탈리, 미끄럼 저항 감소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도로는 한번 지면에 포장된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보수 및 관리가 필요하다.
콘크리트 도로의 유지보수 방법으로는 결함이 발생한 콘크리트 도로의 일부의 표층을 제거하고 새로운 콘크리트로 포설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도로 전체에서 기존의 콘크리트 포장을 제거하고 새로 포장하는 것 보다 비용 및 작업시간 면에서 크게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콘크리트 도로의 일부 영역을 보수하는 방법으로는 포장표면을 5cm 깊이로 절삭 후 재 포장하는 단면보수 방법이 널리 시행된다. 구체적으로, 절삭된 도로상에 복수의 철근을 도로의 횡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한 다음, 상기 철근 위에 콘크리트를 기존의 도로의 높이까지 타설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철근은 콘크리트의 강성을 보강할 뿐만 아니라,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의 응력을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철근은 타설된 콘트리트의 내부에 수용되듯이 배치되어야 효과가 극대화 되기 때문에 절삭된 도로상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횡방향 철근의 하부에 이를 지지하는 종방향 또는 도로의 너비방향으로 배치되는 철근을 복수개 배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방향 철근은 그 비용이 과도하고 설치작업도 복잡하였고, 종방향 철근과 횡방향 철근이 결속되는 부분에서 철근끼리 부착될 우려도 있었고, 무엇보다도 종방향 철근이 배치된 구간에서 요철구간이 발생하여 포장 평탄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종방향 철근이 횡방향 철근을 일정 높이 이상으로 지지하도록 배치되면, 상기 철근들이 배치된 도로 위로는 포설장치가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유지 보수되는 도로의 일측에 상기 포설장치가 따로 이동하는 도로가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근자에는 종방향 철근을 생략하고 도로를 유지보수 하는 방법이 등장하였다. (한국등록특허 공보 제10-1245828호)
도1은 개선된 종래 콘크리트 포장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재포장될 도로(L)에는 양측에는 복수의 철근(W)이 도로의 길이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종래 콘크리트 포장시스템은 상기 복수의 철근(W)이 유입되어 상기 복수의 철근(W)을 배근시키는 배근차량(30)과, 상기 배근차량(3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복수의 철근(W) 과 간섭을 피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운송차량(10)과, 공급차량(20)이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복수의 철근은 상기 운송차량(10)과 공급차량(20)의 양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자유단 들이 상기 배근차량(30)에 유입 또는 지지만 된다면 자동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복수의 철근을 지지하기 위해 별도의 종방향 철근을 도로상에 배치하는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근차량(30)은 상기 공급차량(20)으로부터 콘크리트(C)를 공급받아 상기 배열된 철근(W)에 타설할 수 있다. 상기 배근차량(30) 후방에는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를 분배하거나 평탄화하는 페이버(40)가 배치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 콘크리트 포장시스템은 상기 횡방향으로 배치된 철근(W)을 상기 도로(L)에 배열하거나 고정시키는 공정자체도 생략할 수 있으며, 모든 시스템이 상기 재포장되는 도로(L)에 배치되어 이동하기 때문에 추가 차선이나 공간을 생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도2는 종래 콘크리트 포장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종래 콘크리트 포장시스템의 배근차량(30)은 도로(L)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철근(W)이 전방으로 유입되면 상기 복수의 철근(W)을 후방으로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었다. 상기 배근차량(30)은 상기 복수의 철근(W)을 일정간격으로 배열하고 의도한 높이까지 상승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근차량(30)이 고정한 상기 복수의 철근(W)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기만 하면, 상기 복수의 철근(W)은 상기 콘크리트 내부에 수용되어 타설된 콘크리트를 자동으로 지지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배근차량(30)을 구비한 종래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은 종방향으로 배치된 철근이 생략되어 상기 배근차량(30)에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공급차량(20)과, 운송차량(10)은 상기 배근차량(30)의 전방에서 상기 포장될 도로(L)를 따라 이동할 수 있었다.
상기 운송차량(10)은 다량의 콘크리트를 운송하는 트럭이나 래미콘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급차량(20)은 상기 콘크리트를 공급받아 기준량 만큼 상기 배근차량(30)에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급차량(20)은 운송차량(10)에서 공급받은 콘크리트를 배근차량(30)으로 공급하는 이동수단(25)을 더 구비할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페이버(40)는 상기 배근차량(3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타설된 콘크리트 표면을 가압하여 평탄화하도록 구비된다.
한편, 종래 콘크리트 포장시스템은 상기 운송차량(10), 공급차량(20), 배근차량(30) 및 페이버(40) 들은 서로 별도의 장치로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운송차량(10), 공급차량(20), 배근차량(30) 및 페이버(40)들은 별도로 이동하는 수단이 구비되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예를들어, 상기 운송차량(10)은 이동에 필요한 자체 엔진(E1)과, 상기 엔진에 의해 이동하는 바퀴 등의 이동수단을 구비해야 했고, 상기 공급차량도 이동에 필요한 자체 엔진(E2)과, 상기 엔진에 의해 이동하는 무한궤도 등의 이동수단을 구비해야 한다.
또한, 상기 배근차량(30)도 이동에 필요한 자체 엔진(E3)과, 무한궤도와 같은 이동수단을 구비해야 되며, 상기 페이버(40)는 상기 배근차량(30)에 연결부(35)로 연결되어 이동한다고 하더라도 상기 콘크리트를 평탄하 하기 위한 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별도의 엔진(E4)이 필요하다는 한계가 있었다.
그 결과, 상기 운송차량(10)과, 공급차량(20), 배근차량(30)이 독립적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운송차량(10)과, 공급차량(20), 배근차량(30), 페이버(40)가 나란하게 이동하기 어렵다는 문제도 있었다.
더욱이, 종래 콘크리트 포장시스템은 상기 배근차량(30)과 페이버(40)가 철근을 배근시키거나 콘크리트를 평탄화 하기 위한 엔진(E3,E4)을 별도로 구비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상기 배근차량(30)과 상기 페이버(40)의 부피가 더 커지고, 무게도 더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일반적으로 도로에 포장되는 콘크리트는 점성이 매우 크다. 따라서, 종래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은 상기 콘크리트를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예를들어, 상기 공급차량(20)에서 배근장치(30)까지 콘크리트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25)은 상기 콘크리트를 중력과 반대방향으로 충분히 상승시키면서 상기 배근장치(30)에 구비된 호퍼에 공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고점성의 콘크리트는 이동수단(25) 등으로 운송하는데 너무 많은 에너지가 소비되거나, 배근장치(30) 등에서 용이하게 분배되기 어려워 평탄화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동수단(25)은 상기 고점성 및 고중량의 콘크리트를 이송해야 되기 때문에 경량화 되기 어려워 일반적인 컨테이너 벨트와 같은 간단한 구조를 적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공급차량(20)은 상기 배근장치(30)와 일체로 구비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로 콘크리트를 공급받아 타설하며 철근까지 배근할 수 있는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장치와, 철근을 배근하는 장치와, 콘크리트를 평탄화 하는 장치를 일체로 이동시킬 수 있는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본체에 구비된 동력발생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장치와, 철근을 배근하는 장치, 콘크리트를 평탄화 하는 장치를 모두 작동시키거나 이동시킬 수 있는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포장하는 시스템의 크기 및 부피를 크게 축소할 수 있는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점성이 묽은 콘크리트를 철근이 배근된 부분까지 용이하게 운송하거 타설할 수 있는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평탄화 할 수 있는 장치들을 경량화 할 수 있는 포장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로에 배치된 복수의 철근을 지지하여 상기 철근을 정렬시키거나 상기 철근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배근부와, 상기 배근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도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철근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본체부와, 상기 배근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를 가압하거나 평탄화 하는 페이버;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포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를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가 상기 도로의 상면에서 일정길이 이격되도록 상기 배근부 및 상기 페이버를 모두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를 상기 도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레일을 이동시키는 동력을 생성하는 엔진이 설치되는 차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차체 또는 상기 이동레일의 양측 및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의 상부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차체 또는 상기 이동레일의 양측에 결합되는 하중지지부와, 상기 하중지지부에서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어버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를 상기 도로의 상면에서 일정길이 이격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높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는 상단이 상기 높이조절부의 양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도로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근부 및 상기 페이버의 하중 뿐만 아니라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중까지 지지하는 하중보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차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근부 및 상기 페이버를 작동시키거나, 상기 지지부를 회전시켜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의 배치높이를 조절하는 작동동력을 발생하는 장치동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동력부는 상기 이동레일의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중지지부를 상부 및 하부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지지결합부와, 일단이 상기 차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중지지부에 결합되는 댐핑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지지부와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작동동력을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에 전달하는 제어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차체에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콘크리트를 전달받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배근부로 이동시키는 벨트부와, 상기 벨트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벨트부의 내주면에 접촉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벨트부는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차체의 전방에서 상기 배근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분과, 상기 이동부분의 후방에서 연장되어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배근부를 향하여 안내하는 출구부분과, 상기 이동부분의 전방에서 연장되어 상기 호퍼로 전달된 콘크리트를 상기 이동부분으로 안내하는 입구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출구부분과 상기 입구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이동부분에서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호퍼는 상기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유입면과, 상기 유입면에서 상기 벨트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콘크리트를 안내하는 안내면과, 상기 안내면의 전방 하부에서 상기 벨트부의 입구부분 까지 연장되는 전방대응면과, 상기 안내면의 측면 하부에서 상기 벨트부의 입구부분 까지 연장되는 측면 대응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부분은 상기 배근부 보다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는 상기 본체부에서 전달된 동력으로 이동하거나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근부는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철근을 상기 도로에서 이격시키며 상기 철근의 간격을 유지하는 배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이버는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도로의 측면을 향하여 분배하는 분배부와, 상기 분배부의 후방에서 상기 콘크리트를 가업하도록 구비되는 다짐부와, 상기 다짐부의 후방에서 상기 콘크리트의 표면에 접촉하는 평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장치로 콘크리트를 공급받아 타설하며 철근까지 배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장치와, 철근을 배근하는 장치와, 콘크리트를 평탄화 하는 장치를 일체로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체에 구비된 동력발생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장치와, 철근을 배근하는 장치, 콘크리트를 평탄화 하는 장치를 모두 작동시키거나 이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포장하는 시스템의 크기 및 부피를 크게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점성이 묽은 콘크리트를 철근이 배근된 부분까지 용이하게 운송하거 타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평탄화 할 수 있는 장치들을 경량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2는 종래 콘크리트 포장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3은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로 도로를 유지보수하는 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도4는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6은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의 본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7은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의 이송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의 호퍼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9는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의 콘크리트 이송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10은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가 배근부와 페이버를 지지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1은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가 배근부와 페이버를 이동하거나 설치높이를 조절하는 지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12는 상기 지지부의 추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3은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도로에서 콘크리트를 재포장하는 보수방식을 도시한 것이다.
기존 콘크리트 도로를 유지보수 할 경우에, 기존 도로(L) 중 유지보수가 필요한 영역을 절삭하여 기존 포장을 제거하고, 상기 절삭된 부분에 새로운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재포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 내부에 철근(W)을 횡방향으로만 배치하여 재포장 작업의 연속성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절삭되지 않은 기존도로(L)는 새로이 타설된 콘크리트(C)를 수용하는 용기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새로이 타설된 콘크리트(C)는 굳기 전까지 기존 도로(L)에 수용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도로에 타설되는 콘크리트 포다 묽고 점성이 약한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는 아스팔트 보다 더 점성이 작은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스스로 형태를 유지하기 어려운 액상 및 슬러시 형태의 콘크리트로 도로를 재포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점성이 약하고 묽은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타설된 콘크리트 내부에 발생할 수 있는 공극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무거운 하중을 지닌 페이버를 통해 가압되지 않아도 쉽게 평탄화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포장장치의 일부가 유지 보수가 필요한 영역 외부에 배치된 기존도로(L)에 배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도4은 도로를 유지보수 할 때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100)는 도로(L)에 배치된 복수의 철근(W)을 지지하여 상기 철근을 정렬시키거나 상기 철근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배근부(300)와, 상기 배근부(30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도로(L)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철근에 콘크리트를 공급하는 본체부(200)와, 상기 배근부(30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콘크리트를 도로에 타설하고, 타설된 콘크리트를 가압하거나 평탄화 하는 페이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와 상기 배근부(300) 및 상기 페이버(400)는 일련의 콘크리트 포장장치를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부(200)와 상기 배근부(300) 및 상기 페이버(400)는 본 발명 콘크리트의 포장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본체부(200)와 상기 배근부(300) 및 상기 페이버(400)는 일체로 구비되어 함께 이동하거나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콘크리트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공급받은 콘크리트를 상기 배근부(300)가 고정한 철근(W)의 상부로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를 이동시킬 수 있는 엔진이나, 상기 콘크리트를 전달하거나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를 작동시키는 동력을 생산하는 장치동력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진(211)은 내연기관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베터리 등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장치동력부(212)는 상기 엔진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엔진과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동력을 생성하는 별도의 베터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근부(300) 및 상기 페이버(400)는 상기 본체부(200)에서 생성된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근부(300) 및 상기 페이버(400)는 상기 본체부(200)가 이동할 때 상기 본체부(200)에 이끌려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는 상기 본체부(200)와 분리되어서는 독립적으로는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는 상기 본체부(200)와 분리되어서는 독립적으로는 작동도 못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를 작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생산부가 상기 본체부(200) 내부에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에는 자체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동력을 생성하는 구성도 배제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의 작동시스템은 동력을 제공받으면 작동될 수 있는 엑츄에이터와, 동력을 받으면 상기 엑츄에이터를 작동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는 상기 본체부(200)의 종속장치로 구비될 뿐, 독자적으로는 이동하거나 작동하지 못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의 전체 구성을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고, 전체 부피와 자체 하중도 크게 감소되어 쉽게 본체부(200)에 의해 이끌려다니거나, 지면에서 들려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는 상기 본체부(200)가 상기 페이버(400)와 상기 배근부(300) 보다 무게 및 부피가 훨씬 더 크게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200)가 전체 콘크리트 포장장치의 대부분의 무게와 부피를 차지할 수 있다.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는 각자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최소한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최대한 경량화 될 수 있으며, 부피도 독자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차량 또는 장치로 구비될 때보다 크게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를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지지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가 종속장치로서 경량화 되고 부피도 상기 본체부(200)보다 훨씬 작게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본체부(200)에 결합된 지지부(500)를 통해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는 상기 본체부(200)에 충분히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의 상부 또는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를 상기 도로(L)에서 일정길이 이격시킬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본체부(200)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는 지면에 마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를 고정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하중을 전달하지 않으면서 상기 콘크리트 상부에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는 모두 유지보수가 수행되는 되는 도로(L)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는 유지보수 되는 도로 외에는 다른 도로나 공간은 침범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들어,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가 1차선에 해당하는 도로 영역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상기 1차선 외에는 어떠한 구성도 배치하지 않을 수 있어 유지보수 시 다른 차량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가 상기 도로(L)에서 공중에 떠있을 수 있으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상대적으로 묽거나 점성이 약하게 구비되어도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로 인해 의도치 않게 뭉게지거나 퍼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타설되는 콘트리트를 일반 콘크리트 보다 더 묽으면서 점성이 더 약하게 제작하여, 상기 유지보수 되는 도로 상에서 콘크리트의 성형성과 수정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콘크리트가 묽으면 묽을수록 자중에 의해서 중력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타설된 콘크리트 내부의 공극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상기 보수되기 위해 절삭된 도로(L) 전체에 고르게 분배될 수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타설 효율과 정확성이 매우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페이퍼(400)가 타설된 콘크리트에 접촉되면 쉽고 빠르게 평탄화가 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콘크리트를 사용한 도로보다 평탄화가 매우 우수할 수 있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에서 적용되는 콘크리트는 스스로는 형상을 거의 유지하지 못하고 액상과 같이 수용되는 그릇에 그대로 담겨질 수 있는 점성과 묽기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액상에 가까운 콘크리트를 사용할 수 있다.
도5은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를 상기 도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부(220)과, 상기 이동부(220)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200)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생성하는 엔진(211)이 설치되는 차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220)는 상기 엔진(211)에 의해 동력을 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지면이 평탄하지 않거나 접지되는 면적이 작더라도, 전진 및 후진, 방향전환이 가능할 수 있도록 무한궤도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220)은 상기 차체(210) 보다 훨씬 더 긴 길이로 구비되어, 상기 본체부(200)에 상기 배근부(300) 및 상기 페이버(400)가 지지되더라도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 전체가 전방이나 후방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체(210)는 상기 엔진(211)을 작동시키거나, 상기 배근부(300) 및 상기 페이버(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하는 조작부(20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차체(210)는 작업자가 승차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는 상기 지지부(500)에 의해 상기 본체부(200)에 하중을 전달하게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배근부(300)과 상기 페이버(400)는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는 공간 자체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콘크리트를 공급받아 상기 배근부(300) 또는 상기 페이버(400)로 전달하는 운송부(23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송부(230)는 상기 본체부(200) 내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공급받은 콘크리트를 상기 본체부(200)의 후방에 배치된 배근부(300)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상기 운송부(230)의 전방에 구비되어 본체부(200)를 장애물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보호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부(240)는 장애물이 있을 경우 이를 본체부(200)의 양측으로 밀어낼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추가적인 장치에 결착 되어 상기 본체부(200)가 상기 추가장치에 의해 이송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배근부(300)는 상기 본체부(200) 보다 너비가 훨씬 더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근부(300)는 상기 유지보수할 도로(L)의 너비와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철근(W)을 동일한 간격으로 상기 배근부(300)의 후방에서 도로(L)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정 높이에서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배근부(300)로 인해 작업자들이 상기 철근(W)을 도로(L) 상에 고정하는 작업자체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배근부(300)는 이동부(220)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본체부(200)에서 후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근부(300)는 상기 지지부(500)에 결합되어 고정되므로, 상기 본체부(200)와의 상대위치가 가변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페이버(400)는 상기 배근부(300)의 후방에서 상기 지지부(5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페이버(400)는 상기 배근부(300)와 같이 상기 유지보수할 도로(L)의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가 타설된 도로의 너비가 철근이 배열된 전체 너비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으므로 상기 배근부(300)의 너비와 같거나 더 넓게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페이버(400)는 상기 본체부(200)에서 공급된 콘크리트를 상기 도로(L)의 너비방향으로 분배시키는 분배부(410)와, 분배부(41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콘크리트를 가압하는 다짐부(420)와, 상기 다짐부(42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콘크리트를 평탄화 하는 평탄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배부(410)는 오가 또는 스크류 형상의 임펠러를 구비한 회전축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짐부(420)는 위아래로 이동하거나 진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짐부(420)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상부에 힘을 가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공극을 제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평탄부(430)는 반지름 보다 너비가 긴 회전가능한 원통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평탄부(430)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에 접촉하여 평탄화 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차체(210) 또는 상기 이동부(220)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와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차체(210)의 양측 또는 상기 이동부(220)의 양측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의 양측 또는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220)의 너비는 안정감을 위해 상기 차체(210)의 너비 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체(210)의 너비보다 더 길게 구비되는 배근부(300)와 페이버(400)를 균형있게 지지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이동부(220)의 양측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이동부(220)의 양측에서 상기 이동레일(221)에 간섭되지 않도록 결합되어 상기 본체부(200)의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막대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너비나 두께 보다 길이가 훨씬 더 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상기 지지부(500)의 일단이 상기 차체(210) 또는 상기 이동부(220)의 양측에서 연장되고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를 지지할 수 있다면, 상기 지지부(500)는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6은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의 본체부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본체부(200)는 내연기관 등으로 구비되는 엔진(211)을 수용하는 차체(210, 도면번호 수정할 것)와, 상기 차체(210)의 하부에서 너비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엔진(211)에 의해 회전하는 이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220)는 상기 차체(210)의 하부 양측 또는 상기 차체 보다 하부 양측에 배치되는 무한궤도 형상으로 구비되는 이동레일(221)과, 상기 이동레일(221) 내주면의 전방 및 후방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엔진(21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222)는 상기 이동레일(221)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레일(221)을 이동 또는 회전시킬 수 있는 톱니바퀴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체(210)는 상부에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탑승부(202)와, 상기 상기 탑승부(202)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탑승부(202)를 지지하는 고정부(201)와, 상기 탑승부(202)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레일(221)의 이동방향을 조절하거나,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를 제어할 수 있는 조작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체(210)는 상기 엔진에 시동을 걸거나 상기 조작부(203)의 입력에 따라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근부(300) 또는 상기 페이버(400)에 문제가 있는 경우,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를 본체부(200)에서 따로 떼어내어 수리하거나 소모품과 같이 교체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221)의 전방은 상기 차체(210)의 전방보다 훨씬 더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221)의 후방은 상기 차체(210)의 후방보다 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레일(221)의 전체길이는 상기 차체(210)의 길이 보다 더 길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레일(221)이 상기 차체(210)를 기준으로 후방으로 연장된 길이보다, 상기 이동레일(221)이 상기 차체(210)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레일(221)은 상기 본체부(200) 전체의 무게중심이 상기 본체부(200)의 중앙보다 전방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상기 차체(210)가 후방으로 회전하거나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차체(210)에는 상기 배근부(300) 및 상기 페이버(400)를 작동시킬 수 있는 동력을 생산하는 장치동력부(212)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동력부(212)는 상기 엔진(211)에서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엔진(211)과 별도로 동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치동력부(212)는 상기 지지부(500)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500)에 내장된 제어선을 통해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에 동력과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동력부(212)는 상기 지지부(500)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지지부(50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부(200)는 콘크리트가 이동할 수 있는 이송부(2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230)는 상기 이동레일(221)의 상부에서 상기 차체(21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체부(210)는 상기 이송부(230)가 설치될 수 있는 관통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230)는 상기 차체(210)의 전방에서 콘크리트를 공급받아 상기 차체(210)의 후방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송부(230)는 상기 차체(210)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회전하는 벨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230)는 상기 배근부(300) 보다 더 후방으로 연장되어 콘크리트를 상기 배근부(300)의 후방에 타설할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의 이송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7(a)를 참조하면, 상기 이송부(230)는 상기 차체(2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콘크리트를 전달받는 상부가 개방된 케이스 형상의 호퍼(231)와, 상기 차체(210)를 관통하며 상기 차체(210)의 전방에서 후방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콘크리트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벨트부(232)와, 상기 차체(210)의 전방에서 연장되어 상기 벨트부(232)의 내주면 전방에서 상기 벨트부(232)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벨트부(232)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장력유지부(234)와, 상기 차체(210)의 후방에서 연장되어 상기 벨트부(232)의 내주면 후방에서 상기 벨트부(232)를 회전시키거나 상기 벨트부(232)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회전롤러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유지부(234)와 상기 회전롤러부(233)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장치동력부(212)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호퍼(231)에 공급된 콘크리트는 상기 벨트부(232)의 상면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상기 벨트부(232)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배근부(300)로 이동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상기 회전롤러부(233)는 상기 배근부(300) 보다는 후방까지 연장되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근부(300)는 전방에 배치된 철근(w)을 배열하면서 일정높이 들어올리도록 구비되기 때문에 상기 배근부(300)의 후방에 배치된 철근(w)이 의도한 위치에 배열되기 때문이다.
즉, 상기 회전롤러부(233)는 상기 배근부(300)의 후방에 배열된 철근(w)의 상부에 위치하여, 콘크리트가 상기 배근부(300)가 아닌 상기 철근(w)으로 공급될 수 있다.
도7(c)를 참조하면, 상기 벨트부(232)는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차체(210)의 전방에서 상기 배근부(300)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분(2322)과, 상기 이동부분(2322)의 후방에서 연장되어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배근부(300)를 향하여 안내하는 출구부분(2323)과, 상기 이동부분(2322)의 전방에서 연장되어 상기 호퍼(231)로 전달된 콘크리트를 상기 이동부분(2322)으로 안내하는 입구부분(23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구부분(2323)과 상기 입구부분(2321)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이동부분(2322)에서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출구부분(2323)은 상기 이동부분(2322)의 후방에서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이동부분(2322)을 따라 이동하는 콘크리트가 자중에 의해 상기 벨트부(232)에서 분리되어 낙하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상기 입구부분(2321)은 상기 이동부분(2322)의 전방에서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호퍼(231)를 통해 공급된 콘크리트가 자중에 의해 상기 입구부분(2321)의 전방 하단까지 먼저 채워진 다음 상기 이동부분(232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로써, 공급된 콘트리트가 상기 호퍼(231)의 너비 전체에 채워진 다음 균일한 면적으로 상기 벨트부(232)를 따라 상기 배근부(300)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퍼(231)도 하부면의 형상이 상기 벨트부(232)의 상면 형상과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호퍼(231)에 투입된 콘크리트가 상기 호퍼(231)와 상기 벨트부(232) 사이로 임의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호퍼(231)의 하부면은 상기 입구부분(2321)의 경사와 대응되는 경사를 구비할 수 있다.
도7(b)를 참조하면, 상기 호퍼(231)는 상기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유입면(2311)과, 상기 유입면(2311)에서 상기 벨트부(232)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콘크리트를 안내하는 안내면(2312)과, 상기 안내면(2312)의 전방 하부에서 상기 벨트부의 입구부분(2321) 까지 연장되는 전방대응면(2313)과, 상기 안내면(2312)의 측면 하부에서 상기 벨트부의 입구부분(2321)까지 연장되는 측면 대응면(231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호퍼(231)는 콘크리트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편에 깊이를 더 깊게 배치하여, 콘크리트가 이동하는 방향의 반대편에 먼저 쌓이게 만들고 이동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에 사용되는 콘크리트의 점성이 거의 액상 또는 슬러시가 같이 묽을수록 상기 효과는 극대화될 수 있다.
도8은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의 호퍼 및 상기 입구부분의 경사효과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호퍼(231)에 투입되는 콘크리트는 점성을 가진 유체의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는 이동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공급되고 그 결과, 상기 공급되는 콘크리트의 너비(D1)은 상기 벨트부의 너비(D2) 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이러한 콘크리트가 상기 벨트부(232)의 너비를 다 채우지 못한 상태에서 상기 배근부(300)로 이동하면, 상기 배근부(300)에는 너비가 균일하지 않은 콘크리트가 공급되게 되고, 상기 도로에 콘크리트가 균일하게 분배될 수가 없을 가능성이 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는 상기 입구부분(231)이 상기 이동부분(2322) 보다 위치를 낮게 설정하여, 상기 호퍼(231)로 공급된 콘크리트가 점성 및 자중에 의해 상기 입구부분(2321) 전체에 먼저 채워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I 과정)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안내면(2312)을 따라 유입되면, 상기 콘크리트는 상기 전방대응면(2313)과 상기 측면대응면(2314) 및 상기 입구부분(2321)이 형성하는 공간에 자중에 의해 채워지게 된다. (II 과정) 그 결과, 상기 콘크리트는 상기 벨트부(232) 또는 상기 호퍼(231)의 하부면과 대응되는 너비(D2)를 채우면서 상기 벨트부(232)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벨트부(232)가 회전하면 상기 콘크리트는 상기 이동부분(232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콘크리트의 너비는 상기 벨트부(232)의 너비 D2와 대응될 수 있으며, 항상 균일한 너비(D2)로 상기 배근부(300)를 향하여 공급될 수 있다. (III 과정)
이로써, 상기 배근부(300)에는 항상 균일한 두께와 너비를 가진 콘크리트가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에 공급되는 콘크리트는 아스팔트 보다 더 점성이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는 상기 벨트부(232)를 따라 균일하게 공급되면 상기 페이버(400)의 분배부(410) 의해 고르게 분배될 수 있고, 유지보수를 위해 절삭된 지면 전체를 고르게 매울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묽은 콘크리트는 상기 벨트부(232)가 회전하여도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하는 양보다 상기 벨트부의 입구부분(2321)과 상기 호퍼(231)의 하부를 매우는 양이 더 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는 상기 벨트부(232)의 너비(D2)에 맞춰진 상태로 상기 페이버(400)로 공급될 수 있다.
도9는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의 콘크리트 타설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벨트부(232)를 따라 이동하는 콘크리트(C)는 상기 벨트부(232)의 후방에서 자중에 의해 이탈 및 낙하될 수 있다.
상기 배근부(300)는 상기 지지부(500)에 결합되어 상기 벨트부(232)의 후방부분 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콘크리트(C)는 상기 배근부(300)에 접촉되지 않고 상기 배근부(300)의 후방에 배치된 철근(W)이나 페이버(400)에 낙하될 수 있다.
상기 페이버(400)는 상기 공급된 콘크리트를 상기 유지보수 도로(L)의 너비방향으로 분배하는 분배부(410)와, 상기 분배부(410) 보다 후방에 구비되어 분배된 콘크리트(c)의 상면을 가압하는 다짐부(420)와, 상기 다짐부(420)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가압된 콘크리트를 평탄화 하는 평탄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배부(410)와, 상기 다짐부(420), 상기 평탄부(430)는 모두 지지부(500)에 결합되어 지면에서 기준높이(H1) 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준높이(H1)은 기존 도로(L)에서 절삭된 높이로 상기 콘크리트(c)가 타설되는 높이와 대응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콘크리트가 일시적으로 과도하게 공급되더라도 상기 콘크리트는 상기 기준높이(H1) 만큼 절삭된 유지보수 도로(L)에 타설될 수 있다.
상기 분배부(410)는 상기 지지부(500)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회전스크류 또는 오가(412)와 상기 오가(412)를 상기 지지대(500)에 결합시켜 지지하는 높이고정부(411)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배부(410)는 상기 벨트부(232)를 기준으로 외측으로 회전하는 2개의 회전스크류(4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벨트부(232)의 너비로 공급된 콘크리트를 상기 도로의 양면으로 분배할 수 있다. 상기 분배부(410)는 상기 도로의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 또는 그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다짐부(420)는 상기 분배부(410)의 후방에서 상기 지지부(500)에 결합되는 진동부(421)와, 상기 진동부(421)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콘크리트를 가압하는 접촉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422)는 하중이나 비중이 매우 큰 재질로 구비되어 점성이 높은 콘크리트에 충분한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진동부(421)는 상기 접촉부(422)를 높이방향으로 진동할 수 있는 유압댐퍼 또는 엑츄에이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접촉부(422)는 상기 콘크리트를 반복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콘크리트 내부에 공극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421)는 상기 접촉부(422)의 설치높이를 고정시키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진동부(421)가 작동하지 않을 경우, 상기 진동부(421)는 상기 접촉부(422)의 하면이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될 높이(L) 만큼 지면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접촉부(422)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422)는 유지보수 되는 도로의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로 구비되어 도로의 너비 전체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평탄부(430)는 상기 다짐부(420)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다짐부(420)에 의해 가압된 콘크리트의 표면을 평탄화 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평탄부(430)는 타설된 콘크리트의 표면을 가압하는 롤러(431)와, 상기 롤러(43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거나 상기 롤러(431)를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롤러지지부(432)와, 상기 롤러지지부(432)를 상기 지지부(500)에 고정시키는 롤러결합부(4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431)는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롤러는 도로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롤러(431)의 길이는 유지보수되는 도로의 너비방향과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도로의 너비 전체에 타설된 콘크리트를 한번에 평탄화 할 수 있다.
상기 롤러(431)의 직경은 상기 롤러(431)가 도로의 너비를 따라 연장된 길이보다 작게 구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상기 롤러(431)의 직경은 길이보다 1/10 이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롤러(431)는 상기 롤러지지부(432)에 의해 지면에서 타설되는 깊이(L) 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근부(300)는 상기 지지부(500)에 결합되는 배근지지대(310)와, 상기 배근지지대(310)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철근(W)을 상기 도로(L)에서 이격시키며 상기 철근(W)의 간격을 유지하는 배열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근지지대(310)는 지지부(500)에 결합되어 상기 도로의 너비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바디(311)와 상기 확장바디(311)에 결합되어 상기 배열부(320)를 고정시키는 고정바디(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바디(311)는 유지보수 되는 도로의 너비와 대응되는 너비를 구비하거나,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열부(320)는 상기 철근(W)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고정바디(312)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배열부(320)는 유지보수 되는 도로의 너비방향으로 복수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열부(320)는 상기 철근(W)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열부(320)는 상기 철근을 상기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높이(H1) 보다는 낮은 높이로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배열부(320)는 상기 철근(W)을 타설될 콘트리트 내부의 적정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배열부(320)는 상기 철근(W)을 의도한 높이에 고정하는 장치이므로, 상기 배열부(320) 자체로는 콘크리트가 공급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열부(320)는 상기 벨트부(230)의 후방 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벨트부(230)에서 낙하되는 콘크리트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되어, 상기 배열부(320) 상에 콘크리트가 임의로 부착되거나 굳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열부(320)에 철근(w)을 지지하는 높이의 균일성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배열부(320)는 전방에 배치된 철근(W)을 지면에서 이격시키면서 배열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230)에서 낙하된 콘크리트는 상기 배열부(320) 후방에서 배열된 철근(W)과 상기 분배부(410)로 공급될 수 있다.
도10은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가 배근부와 페이버를 지지하는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차체(210) 또는 상기 이동부(220)의 양측에 결합되는 하중지지부(510)와, 상기 하중지지부(510)에서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어버(400)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를 상기 도로의 상면에서 일정길이 또는 타설깊이(L) 만큼 이격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높이조절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중지지부(510)와 상기 높이조절부(520)는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를 상기 본체부(200)에 고정하여 상기 본체부(200)와 함께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중지지부(510)는 내구성과 강성이 강한 금속재질의 바(bar) 또는 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고, 막대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근부(300)의 확장바디(311)와, 상기 페이버(400)의 분배부(410), 다짐부(420), 평탄부(430)의 너비가 모두 상기 차체(210)의 너비 보다 길게 구비되므로, 상기 하중지지부(510)는 상기 차체(210) 보다 상기 이동레일(221)의 양측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를 상기 타설깊이(L) 만큼 이격시켜야 되므로, 상기 하중지지부(510)는 후방을 향하여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로 상기 이동레일(211)의 양측에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높이조절부(520)는 상기 하중지지부(510)와 일체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하중지지부(510)의 자유단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520)도 강성이나 내구성이 큰 금속재질의 바(bar) 또는 빔 형상이나 막대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520)는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를 같은 타설 높이(H1) 만큼 지면에서 이격시켜야 하므로, 상기 하중지지부(510)의 말단에서 지면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높이조절부(520)는 상기 하중지지부(510)와 경사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가 작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중지지부(510)와 상기 높이조절부(520)는 상기 장치동력부(212)에서 발생되는 작동동력을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에 전달하는 제어선을 안내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어선은 하네스 및 커넥터, 전선 등의 조합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신호 및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면 어떠한 형상으로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어선은 상기 하중지지부(510)와 상기 높이조절부(520) 내부에 수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는 모두 높이조절부(5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의 설치높이를 상기 높이조절부(520)로 한번에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배근부(300)는 상기 하중지지부(510)에 결합되고, 상기 페이버(400)는 상기 높이조절부(5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지지부(500)가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의 하중을 분담할 수 있고,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를 상기 지지부(500)에 설치하는 공정이 모듈화 될 수 있다.
도11은 본 발명 콘크리트 포장장치가 배근부와 페이버를 이동하거나 설치높이를 조절하는 지지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의 설치높이는 조절될 필요성이 있다. 상기 타설깊이(L)가 도로 상황마다 다를 수 있고, 상기 본체부(200)가 작업을 끝내고 이동할 때 지면 등의 장애물에 방해되지 않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상기 장치동력부(212)는 상기 지지부(500)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의 설치위치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장치동력부(212)는 상기 차체(2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근부(300) 및 상기 페이버(400)를 작동시키거나, 상기 지지부(500)를 회전시켜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의 배치높이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장치동력부(212)는 상기 이동레일(221)의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중지지부(510)를 상부 및 하부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지지결합부(21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결합부(2121)는 상기 하중지지부(510)의 자유단과 결합되어 상기 하중지지부(510)를 상부 및 하부로 일정각도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결합부(2121)는 모터 또는 기어 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결합부(2121)는 상기 지지부(5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회전반경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지지결합부(2121)는 높이조절부(520)가 지면과 나란한 각도보다 더 하부로 이하로 회전되지 않도록 하한각도가 설정될 수 있고, 상기 하중지지부(510)가 상기 차체(210)에 충돌하지 않도록 상한각도가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치동력부(212)는 일단이 상기 차체(210)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중지지부(510)에 결합되는 댐핑장치(2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댐핑장치(2122)는 유압댐퍼로 구비되어 유압이 동력에 의해 제어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댐핑장치(2122)는 상기 지지부(500)를 차체(210)에서 밀어내거나 당기는 힘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핑장치(2122)는 상기 고정부(201)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500)의 하중을 일부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지지결합부(2121)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댐핑장치는 전력을 공급받지 않는 단순한 댐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하중지지부(510)에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을 감쇄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도12는 상기 지지부의 추가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단이 상기 높이조절부(520)의 양단 외측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도로(L)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중보조부(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520)는 상기 하중지지부(510)에 결합되는 강체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높이조절부(520)는 복수의 하중지지부(510)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로의 너비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중보조부(530)는 절삭되지 않은 도로(L) 상에 지지되어 상기 배근부(300) 및 상기 페이버(400)의 하중 뿐만 아니라 상기 높이조절부(520)의 하중까지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중보조부(530)는 상기 본체부(200)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중보조부(530) 사이의 간격은 유지보수되는 도로의 너비 보다 더 길게 설정될 수 있고, 타설되는 콘크리트(C)에 접촉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중보조부(530)는 상기 높이조절부(520)에 결합되는 길이조절부(533)와, 상기 길이조절부(533)의 하부에 구비되는 고정대(532)와, 상기 고정대(5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을 구를 수 있는 이동롤러(5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533)는 상기 높이조절부(520)를 기준으로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이동롤러(531)와 상기 높이조절부(52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부(533)는 높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높이조절부(520)는 너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500)는 상기 길이조절부(533)를 높이조절부(520)에 결합시켜 고정할 수 있는 결합부(5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롤러(531)는 상기 본체부(200)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부(500)에 부과된 모든 하중을 분담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의 하중이 상기 도로(L) 상으로 일부 분담될 수 있고, 상기 지지부(500)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배근부(300)와 상기 페이버(400)의 높이가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분배부(410)는 상기 높이조절부(510)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높이고정부(411)와 상기 높이고정부(411)의 양단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분배연결부(412)와, 상기 분배연결부(41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콘크리트를 이동시키는 사이드이동부(413)와, 상기 사이드 이동부(413)를 회전시키는 회전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414)는 상기 벨트부(232)와 대응되는 영역에서 장치동력부에서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이동부(413)는 스크류 회전축 또는 오가로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414)의 양측에서 상기 분배연결부(412)를 향하여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사이드이동부(413)의 스크류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414)는 상기 벨트부(23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콘크리트가 상기 회전부(414)로 낙하하면 상기 사이드이동부(413)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도로의 너비방향으로 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콘크리트 포장장치
200 본체부 201 고정부 202 안착부 203 제어부
210 차체 211 엔진 212 장치동력부
2121 지지결합부
2122 댐퍼부
2123 벨트동력부
220 접지부 221 궤도레일
230 이송부
231 유입호퍼
2311 유입면 2312 안내면 2313 전방대응면
2314 측면대응면
232 벨트부
2321 입구부 2322 이동부 2323 출구부
233 회전롤러부
234 장력동력부 235 지지동력부
240 방향부
300 배근부 310 지지대
311 확장바디 (너비) 312 고정바디 (높이)
320 배열부
321 배열바디 322 연장바디 323 안착바디
3231 회전바디 3232 안착절곡홈
324 고정관
3241 기본고정관 3242 특수고정관
3242a 경사고정관 3243b 절곡고정관
400 페이버 410 분배부
411 높이고정부 413 사이드이동부
412 분배연결부 414 회전부
420 다짐부
421 진동부 422 접촉부 423 다짐연결부
430 평탄부 431 롤러
432 롤러지지부 433 롤러결합부
500 지지부
510 하중지지부 520 높이조절부 530 하중보조부

Claims (15)

  1. 도로에 배치된 복수의 철근을 지지하여 상기 철근을 정렬시키거나 상기 철근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배근부;
    상기 배근부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도로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철근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본체부;
    상기 배근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타설된 상기 콘크리트를 가압하거나 평탄화 하는 페이버;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는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가 상기 도로의 상면에서 일정길이 이격되도록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의 하중을 지지하며,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를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 및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를 상기 도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이동레일을 이동시키는 동력을 생성하는 엔진이 설치되는 차체와,
    상기 차체의 상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탑승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탑승부와,
    상기 탑승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레일이 이동하는 방향을 제어하거나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를 제어하는 명령을 입력받는 조작부와,
    상기 차체에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콘크리트를 전달받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배근부로 이동시키는 벨트부와,
    상기 벨트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벨트부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구비되는 회전롤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벨트부는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차체의 전방에서 상기 배근부로 이동시키는 이동부분과,
    상기 이동부분의 후방에서 연장되어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배근부를 향하여 안내하는 출구부분과,
    상기 이동부분의 전방에서 연장되어 상기 호퍼로 전달된 콘크리트를 상기 이동부분으로 안내하는 입구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출구부분과 상기 입구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이동부분에서 하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차체 또는 상기 이동레일의 양측에 결합되는 하중지지부와,
    상기 하중지지부에서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의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를 상기 도로의 상면에서 일정길이 이격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높이조절부와,
    상단이 상기 높이조절부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도로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배근부 및 상기 페이버의 하중 뿐만 아니라 상기 높이조절부의 하중까지 지지하는 하중보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차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근부 및 상기 페이버를 작동시키거나, 상기 하중지지부를 회전시켜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의 배치높이를 조절하는 작동동력을 발생하는 장치동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동력부는
    상기 이동레일의 양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중지지부를 상부 및 하부로 회전시키도록 구비되는 지지결합부와,
    일단이 상기 차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중지지부에 결합되는 댐핑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지지부와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작동동력을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에 전달하는 제어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상기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유입면과,
    상기 유입면에서 상기 벨트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연장되어 상기 콘크리트를 안내하는 안내면과,
    상기 안내면의 전방 하부에서 상기 벨트부의 입구부분 까지 연장되는 전방대응면과,
    상기 안내면의 측면 하부에서 상기 벨트부의 입구부분까지 연장되는 측면 대응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분은 상기 배근부 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근부와 상기 페이버는 상기 본체부에서 전달된 동력으로 이동하거나 작동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근부는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배근지지대와
    상기 배근지지대에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철근을 상기 도로에서 이격시키며 상기 철근의 간격을 유지하는 배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페이버는
    상기 콘크리트를 상기 도로의 측면을 향하여 분배하는 분배부와,
    상기 분배부의 후방에서 상기 콘크리트를 가업하도록 구비되는 다짐부와,
    상기 다짐부의 후방에서 상기 콘크리트의 표면에 접촉하는 평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포장장치.


KR1020210080836A 2021-06-22 2021-06-22 콘크리트 포장장치 KR102343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836A KR102343558B1 (ko) 2021-06-22 2021-06-22 콘크리트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0836A KR102343558B1 (ko) 2021-06-22 2021-06-22 콘크리트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558B1 true KR102343558B1 (ko) 2021-12-27

Family

ID=79177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0836A KR102343558B1 (ko) 2021-06-22 2021-06-22 콘크리트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5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9802A (ja) * 1983-11-17 1985-06-27 ジエテエム‐アントルポーズ コンクリート舗装構築用滑り型枠機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9802A (ja) * 1983-11-17 1985-06-27 ジエテエム‐アントルポーズ コンクリート舗装構築用滑り型枠機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57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illing voids in recycled asphalt
US5352063A (en) Polymer concrete paving machine
JP5593346B2 (ja) 舗道を敷設する方法及び道路舗装機
US58510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praying a tack material from a paving machine having a gravity feed hopper
US7004675B2 (en) Pavement recycling machine and method of recycling pavement
US4534674A (en) Dual-lift repaving machine
US6071040A (en) Additive injection device for paving machines
US7591607B2 (en) Asphalt recycling vehicle
US4124325A (en) Asphalt pavement recycling apparatus
US5344254A (en) Pivoting screed edger
JP4054031B2 (ja) 複数の舗装材料層を同時に打設するための路面舗装機および舗装方法
US20170260702A1 (en) Paving machine
US7712996B2 (en) Fogging system for an asphalt recycling machine
CA3046674C (en) Cold in-place recycling with in-line heater for asphalt cement
CN110846983A (zh) 一种用于公路施工机械化沥青摊铺装置
US2779258A (en) Road construction machine
KR102343558B1 (ko) 콘크리트 포장장치
WO2012144986A1 (en) Asphalt pavement constructing machine and method of operation
US20030215288A1 (en) Narrow gauge road paving apparatus
KR102343559B1 (ko) 콘크리트 포장장치
CN102828456B (zh) 搅拌器总成
JPH10114910A (ja) 自走式コンクリート仕上げ機械
WO2016020258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repairing a longitudinal joint
JP2002138411A (ja) アスファルト敷均装置及びアスファルト敷均方法
JP3957594B2 (ja) アスファルトフィニッシャ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