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3058B1 - 면도기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면도기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3058B1
KR102343058B1 KR1020190164111A KR20190164111A KR102343058B1 KR 102343058 B1 KR102343058 B1 KR 102343058B1 KR 1020190164111 A KR1020190164111 A KR 1020190164111A KR 20190164111 A KR20190164111 A KR 20190164111A KR 102343058 B1 KR102343058 B1 KR 102343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ing
base
blade
razor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4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3350A (ko
Inventor
손성희
박세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루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루코
Priority to KR1020190164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058B1/ko
Priority to US17/112,944 priority patent/US20210170615A1/en
Priority to EP20213042.3A priority patent/EP3835012B1/en
Publication of KR20210073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33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26B21/2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with the blades moulded into, or attached to, a changeable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26B21/4031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characterised by special geometric shaving parameters, e.g. blade span or exp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08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changeable blades
    • B26B21/14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 B26B21/22Safety razors with one or more blades arranged transversely to the handle involving several blades to be used simultaneous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12Housing details, e.g. for cartridges
    • B26B21/4018Guard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21/00Razors of the open or knife type; Safety razors or other shaving implements of the planing type; Hair-trimming devices involving a razor-blade; Equipment therefor
    • B26B21/40Details or accessories
    • B26B21/4068Mounting devices; Manufacture of razors or cartridges

Abstract

면도기 카트리지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저부 및 커팅 에지를 가지는 에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 및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을 종방향으로 수용하는 날 안착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을 포함하되, 날 안착부는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안착 베이스 및 복수의 안착 베이스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 돌기를 포함하고, 하나의 기저부는 서로 다른 안착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안착 돌기들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
본 개시는 면도기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개시에 대한 배경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에는, 면도시, 면도기의 스트로크(stroke)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서, 복수의 면도날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면도기 카트리지(이하, '다중날 면도기 카트리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다중날 면도기 카트리지는 블레이드 하우징에 복수의 면도날이 배치될 수 있다. 면도날은 블레이드 하우징의 날 안착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날 안착부(blade mounting portion)는 안착 베이스(mounting base) 및 안착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안착 돌기(mounting protrusion)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면도날은 복수의 안착 돌기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중날 면도기 카트리지는, 한번의 스트로크를 통해서도, 복수의 면도날이 체모를 절삭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를 통해, 다중날 면도기 카트리지는, 적은 수의 스트로크를 통해서도, 사용자에게 깔끔한 면도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다중날 면도기 카트리지는 블레이드 하우징의 제한 공간 내에 복수의 면도날을 배치해야 하므로, 공간효율적인 면도날 배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면도날을 지지하는 안착 돌기의 횡방향 간격을 좁힐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하나의 안착 베이스 상에서 안착 돌기의 횡방향 간격을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좁히는 것은 제조 공정상 어렵다. 따라서, 안착 돌기의 횡방향 간격을 좁히면서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새로운 날 안착부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개시는 안착 돌기의 횡방향 간격을 감소시키면서도 제조가 용이한 날 안착부를 포함하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저부 및 커팅 에지를 가지는 에지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 및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을 종방향으로 수용하는 날 안착부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하우징을 포함하되, 날 안착부는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안착 베이스 및 복수의 안착 베이스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 돌기를 포함하고, 하나의 기저부는 서로 다른 안착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안착 돌기들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공간효율적으로 안착 돌기를 배치함으로써, 블레이드 하우징의 크기를 증가시키지 않더라도, 블레이드 하우징에 다중 면도날을 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날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전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 방향으로 자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카트리지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전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전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전면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전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의 전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razor cartridge, 10)의 사시도이다.
도 1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면도날(110)만 도시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면도기 카트리지(10)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shaving blade, 110), 및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 120)을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20)은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110)을 종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종방향은 블레이드 하우징(120)이 상대적으로 길게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종방향은 Y축과 평행한 방향이다.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110)은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일측에 수용된 상태에서 복수의 클립(미도시)에 의해 유지(maintain)될 수 있다.
블레이드 하우징(120)은 캡(cap, 121), 가드(guard, 123), 및 날 안착부(blade mounting portion, 122)를 포함할 수 있다.
캡(121)은 면도날(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커팅 에지(cutting edge, 도 2의 1142)가 향하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상면(top side)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면도날(110)의 전방 및 후방은 면도기 카트리지(10)의 면도 방향(shaving direction)을 기준으로 정의된다. 따라서, 도 1에서, 면도날(110)의 전방 및 후방은, 면도날(110)을 기준으로, 각각, 양의 X축 방향 및 음의 X축 방향이다.
가드(123)는, 블레이드 하우징(120)의 상면에서, 면도날(1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가드(123)는, 면도시, 면도날(110)에 의한 체모의 절삭 이전에, 피부를 면도 방향으로 당겨줄(stretch)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체모는 사용자의 피부면에 수직한 방향을 향해 기립될 수 있으며, 이로써, 면도날(110)은 체모를 보다 용이하게 절삭할 수 있다.
날 안착부(122)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110)을 종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날 안착부(122)는 복수의 안착 베이스(124)로부터 돌출된 복수의 안착 돌기(126)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110)을 지지할 수 있다. 날 안착부(122)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과 관련하여 기술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날(110)의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면도날(110)은 기저부(base portion, 112) 및 에지부(edge portion, 114)를 포함할 수 있다.
기저부(112)는 안착 돌기(126)에 의해 지지되는 면도날(110) 상의 영역일 수 있다.
에지부(114)는 기저부(112)로부터 연장되며 일단에 커팅 에지(1142)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날(110)은, 그 형상 및 그 제조 방법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날로 구분할 수 있다. 후술되는 도 2(a) 내지 도 2(c)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면도날(110)이 도시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제1면도날(110A)은 기저부(112A) 및 에지부(114A)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일체형 날일 수 있다. 제1면도날(110A)의 기저부(112A)는 절곡된 영역(116A)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제2면도날(110B)은, 제1면도날(110A)과 달리, 에지부(114B)가 기저부(112B)의 일면 상에 용접되어 고정되는 강대날(welded blade)일 수 있다. 제2면도날(110B)의 기저부(112B)는, 제1면도날(110A)과 마찬가지로, 절곡된 영역(116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c)를 참조하면, 제3면도날(110C)은, 제1면도날(110A)과 마찬가지로, 기저부(112C) 및 에지부(114C)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일체형 날일 수 있다.
다만, 제3면도날(110C)의 기저부(112C)는, 제1면도날(110C) 및 제2면도날(110B)과 달리, 절곡된 영역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3면도날(110C)은 실질적으로 직선의 형상(straight)을 가질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면도날들은, 본 개시에 따른 여러 면도날 중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에 따른 면도날은 도 2에 도시된 면도날 이외의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10)의 전면도이다.
도 3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면도날(110)만 도시하였으며, 면도날(110)의 에지부(114)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3을 참조하면, 날 안착부(122)는 복수의 안착 베이스(mounting base, 124) 및 복수의 안착 돌기(mounting protrusion, 12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안착 베이스(124)는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안착 돌기(126)는 복수의 안착 베이스(12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도 3에서, 날 안착부(122)는 세 개의 안착 베이스(12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날 안착부(122)는 두 개 또는 네 개 이상의 안착 베이스(12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복수의 안착 돌기(126)는 각 안착 베이스(124) 상에서 종방향과 수직한 횡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횡방향은 블레이드 하우징(120)이 상대적으로 짧게 연장되는 방향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횡방향은 X축과 평행한 방향이다.
구체적으로, 각 안착 베이스(124)에 배치되는 복수의 안착 돌기(126)는 횡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 각 안착 베이스(124)에 배치되는 복수의 안착 돌기(126)는 횡방향을 따라 동일 선 상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각 안착 베이스(124)에 배치되는 복수의 안착 돌기(126)는 각 안착 베이스(124) 상에서, 횡방향을 따라, 지그재그(zigzag)로 배치되거나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에서, 복수의 안착 돌기(126)의 횡방향 간격은 모든 안착 베이스(124)에서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안착 돌기(126)의 횡방향 간격은 안착 베이스(124) 별로 및/또는 안착 돌기(126) 별로 상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1의 Ⅳ-Ⅳ' 방향으로 자른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기카트리지(10)의 횡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면도날(110)의 기저부(112)는 서로 다른 안착 베이스(124)로부터 돌출되는 안착 돌기(126)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날(110)은 각 안착 베이스(124)로부터 돌출되는 각각의 하나의 안착 돌기(126) 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면도날(110)은 하나의 안착 베이스(124)로부터 돌출되는 두 개 이상의 안착 돌기(126)에 의해서 지지되지 않고, 하나의 안착 베이스(124) 당 하나의 안착 돌기(126)에 의해서만 지지된다.
따라서, 각 안착 베이스(124)에 배치된 복수의 안착 돌기(126)의 횡방향 간격(W)은 종래의 안착 돌기의 횡방향 간격보다 상대적으로 더 넓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안착 베이스(124)에 배치된 복수의 안착 돌기(126)의 횡방향 간격(W)은 복수의 면도날(110)의 커팅 에지(1142)의 횡방향 간격(S)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더 클 수 있다.
또한, 각 안착 베이스(124)에 배치된 복수의 안착 돌기(126)의 횡방향 간격(W)은 안착 돌기(126)의 횡방향 폭(L)와 같거나 안착 돌기(126)의 횡방향 폭(L)보다 더 클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안착 돌기(126)의 횡방향 간격(W)은 하나의 안착 베이스(124)로부터 돌출되는 하나의 안착 돌기(126)와 그 안착 돌기(126)와 이웃하는 안착 돌기(126) 사이의 최단 직선 거리를 지칭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 안착부(124)는, 하나의 면도날(110)이 각 안착 베이스(124)로부터 돌출되는 각각의 하나의 안착 돌기(126)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안착 베이스(124) 상에서 서로 이웃하는 안착 돌기(126) 사이의 횡방향 간격(W)을 넓힐 수 있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안착 베이스(124) 상에서 안착 돌기(126)의 횡방향 간격을 일정한 크기 이상으로 좁히는 것은 제조 공정상 어렵기 때문에,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 안착부(124)는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안착 돌기(126)의 폭은 0.2mm 내지 4.0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38mm 내지 1.28mm일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안착 돌기(126)의 횡방향 간격(W)은 0.3mm 내지 5.0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62mm 내지 1.52mm일 수 있다. 또한, 커팅 에지(1142)의 횡방향 간격(S)은 0.3mm 내지 5.0mm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1.4mm일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저부(112)는 안착 돌기(126)와 점접촉(point contact), 선접촉(linear contact) 또는 면접촉(surface contact)함으로써 안착 돌기(1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날 안착부(122)는 안착 돌기(126)의 횡방향 간격을 다소 넓힐 수 있으므로, 안착 돌기(126)의 형상을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 돌기(126)는 기저부(112)와 면접촉하기에 유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저부(112)는 안착 돌기(126)와 면접촉함으로써 안착 돌기(126)에 의해 더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면도날(110)의 기저부(112)는 종방향을 따라 적어도 세 개의 안착 돌기(1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저부(112)는 종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적어도 세 개의 안착 베이스(124)로부터 각각 돌출된 적어도 세 개의 안착 돌기(1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저부(112)의 일면 및 타면 중 어느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 돌기(1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기저부(112)의 일면 및 타면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두 개의 안착 돌기(1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하나의 면도날(110)이 블레이드 하우징(120)에 그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지지되기 위해서는, 하나의 면도날(110)에 작용하는 합력(resultant force) 및 합 모멘트(resultant moment)가 0이어야 한다.
따라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면도날(110)은, 적어도 세 개의 안착 돌기(126)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블레이드 하우징(120)에 견고히 안착될 수 있다.
안착 돌기(126)는 안착 베이스(124) 상에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안착 베이스(124)는 제1안착 베이스(124A), 제2안착 베이스(124B), 및 제3안착 베이스(124C)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안착 돌기(126A)는 제1안착 베이스(124A)에서 횡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안착 베이스(124B)는 제1안착 베이스(124A)와 일측 종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제2안착 돌기(126B)는 제2안착 베이스(124B)에서 횡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3안착 베이스(124C)는 제1안착 베이스(124A)와 타측 종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제3안착 돌기(126C)는 제3안착 베이스(124C)에서 횡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안착 돌기(126A)는 종방향으로 복수의 제2안착 돌기(126B) 및 복수의 제3안착 돌기(126C)와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2안착 돌기(126B) 및 복수의 제3안착 돌기(126C)는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저부(112)의 일면 및 타면 중 어느 하나는 제1안착 돌기(126A)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기저부(112)의 일면 및 타면 중 다른 하나는 제2안착 돌기(126B) 및 제3안착 돌기(126C)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기저부(112)는 적어도 세 개의 안착 돌기(1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면도날(110)은 블레이드 하우징(120)에 견고히 안착될 수 있다.
후술될 도 5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2실시예는, 블레이드 하우징이 아우터 베이스 및 아우터 돌기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20)의 전면도이다.
도 5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면도날(210)만 도시하였으며, 면도날(210)의 에지부(미도시)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5를 참조하면, 블레이드 하우징(220)은 캡(221), 가드(223), 날 안착부(222), 복수의 아우터 베이스(outer base, 225) 및 복수의 아우터 돌기(outer protrusion, 227)를 포함할 수 있다.
캡(221)은 면도날(2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가드(223)는 면도날(2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날 안착부(222)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210)을 종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다.
날 안착부(222)는 복수의 안착 베이스(224) 및 복수의 안착 돌기(22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안착 베이스(224)는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안착 돌기(226)는 복수의 안착 베이스(22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복수의 아우터 베이스(225)는 블레이드 하우징(220)의 종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날 안착부(222)는 복수의 아우터 베이스(22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아우터 돌기(227)는 아우터 베이스(225)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면도날(210)의 기저부(212)는 서로 다른 안착 베이스(224)로부터 돌출되는 안착 돌기(226)들과 하나의 아우터 베이스(225)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두 개의 아우터 돌기(22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면도날(210)의 기저부(212)의 일면 및 타면 중 하나는 어느 하나의 안착 베이스(224)로부터 돌출되는 하나의 안착 돌기(2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기저부(212)의 일면 및 타면 중 다른 하나는 다른 안착 베이스(224)로부터 돌출되는 하나의 안착 돌기(2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면도날(210)의 기저부(212)의 양면은 하나의 아우터 베이스(225)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두 개의 아우터 돌기(22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는, 복수의 안착 베이스(224)의 양측에 배치된 아우터 돌기(227)들이 면도날의 기저부의 양면을 지지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면도날을 블레이드 하우징에 더 견고히 안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후술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3실시예는, 안착 베이스 및 안착 돌기가 판재(plate)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30)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30)의 전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면도날(310)만 도시하였다.
또한, 도 7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면도날(310)의 에지부(314)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블레이드 하우징(320)은 캡(321), 가드(323), 및 날 안착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캡(321)은 면도날(3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가드(323)는 면도날(3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날 안착부(322)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310)을 종방향으로 수용할 수 있다.
날 안착부(322)는 복수의 안착 베이스(324) 및 복수의 안착 돌기(326)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안착 베이스(324)는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안착 돌기(326)는 복수의 안착 베이스(324)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기저부(312)는 서로 다른 안착 베이스(324)로부터 돌출되는 안착 돌기(326)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면도날(310)은 각 안착 베이스(324)로부터 돌출되는 각각의 하나의 안착 돌기(3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기저부(312)는 종방향을 따라 적어도 세 개의 안착 돌기(3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저부(312)는 종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적어도 세 개의 안착 베이스(324)로부터 각각 돌출된 적어도 세 개의 안착 돌기(3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저부(312)의 일면 및 타면 중 어느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 돌기(3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기저부(312)의 일면 및 타면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두 개의 안착 돌기(3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안착 베이스(324) 및 안착 돌기(326)는 하나의 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 돌기(326)는 안착 베이스(324)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판재의 두께는 0.20 mm 내지 0.50mm의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안착 돌기(326)는 판재와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수치의 두께는 사출 성형된 안착 돌기의 두께의 대략 8배에 해당하는 값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 따른 안착 돌기(326)는 기저부(312)와 면접촉(surface contact)하기에 적합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기저부(312)는 안착 돌기(326)와 면접촉함으로써 안착 돌기(326)에 의해 더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후술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는, 날 안착부가 네 개의 안착 베이스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4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40)의 전면도이다.
도 8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면도날(410) 중 하나의 면도날(410)만 도시하였으며, 면도날(410)의 에지부(미도시)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8을 참조하면, 복수의 안착 베이스(424)는 제1안착 베이스(424A), 제2안착 베이스(424B), 제3안착 베이스(424C), 및 제4안착 베이스(424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안착 베이스(424A)에서 복수의 제1안착 돌기(426A)가 횡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안착 베이스(424B)는 제1안착 베이스(424A)와 일측 종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제2안착 돌기(426B)는 제2안착 베이스(424B)에서 횡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3안착 베이스(424C)는 제1안착 베이스(424A)와 타측 종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제3안착 돌기(426C)는 제3안착 베이스(424C)에서 횡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4안착 베이스(424D)는 제1안착 베이스(424A)와 제2안착 베이스(424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4안착 돌기(426D)는 제4안착 베이스(424D)에서 횡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안착 돌기(426A)는 종방향으로 복수의 제2안착 돌기(426B) 및 복수의 제3안착 돌기(426C)와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안착 돌기(426B) 및 복수의 제3안착 돌기(426C)는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4안착 돌기(426D)는 종방향으로 복수의 제1안착 돌기(426A)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저부(412)의 일면 및 타면 중 어느 하나는 제1안착 돌기(426A) 및 제4안착 돌기(426D)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기저부(412)의 일면 및 타면 중 다른 하나는 제2안착 돌기(426B) 및 제3안착 돌기(426C)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기저부(412)는 적어도 네 개의 안착 돌기(4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면도날(410)은 블레이드 하우징(420)에 견고히 안착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제5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50)의 전면도이다.
도 9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면도날(510) 중 하나의 면도날(510)만 도시하였으며, 면도날(510)의 에지부(미도시)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복수의 안착 베이스(524)는 제1안착 베이스(524A), 제2안착 베이스(524B), 제3안착 베이스(524C), 및 제5안착 베이스(524E)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안착 베이스(524A)에서 복수의 제1안착 돌기(526A)가 횡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안착 베이스(524B)는 제1안착 베이스(524A)와 일측 종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제2안착 돌기(526B)는 제2안착 베이스(524B)에서 횡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3안착 베이스(524C)는 제1안착 베이스(524A)와 타측 종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제3안착 돌기(526C)는 제3안착 베이스(524C)에서 횡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5안착 베이스(524E)에서 복수의 제5안착 돌기(526E)가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제5안착 베이스(524E)는 제2안착 베이스(524B)와 일측 종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복수의 제1안착 돌기(526A) 및 복수의 제5안착 돌기(526E)는 종방향으로 복수의 제2안착 돌기(526B) 및 복수의 제3안착 돌기(526C)와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2안착 돌기(526B) 및 복수의 제3안착 돌기(526C)는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5안착 돌기(526E)는 종방향으로 복수의 제1안착 돌기(526A)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기저부(512)의 일면 및 타면 중 어느 하나는 제1안착 돌기(526A) 및 제5안착 돌기(526E)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기저부(512)의 일면 및 타면 중 다른 하나는 제2안착 돌기(526B) 및 제3안착 돌기(526C)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기저부(512)는 적어도 네 개의 안착 돌기(5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면도날(510)은 블레이드 하우징(520)에 견고히 안착될 수 있다.
후술될 도 10에 도시된 본 개시의 제6실시예는, 복수의 안착 돌기의 횡방향 간격이 안착 베이스 별로 상이하다는 점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차이점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차별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6실시예에 따른 면도기 카트리지(60)의 전면도이다.
도 10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복수의 면도날(610) 중 두 개의 면도날(610)만 도시하였다. 따라서, 본 개시의 면도날(610)의 개수가 두 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가적인 면도날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각 면도날(610)의 에지부(미도시)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복수의 안착 베이스(624)는 복수의 제6안착 베이스(624F) 및 복수의 제7안착 베이스(624G)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6안착 돌기(626F)는 각각의 제6안착 베이스(624F)에서 횡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7안착 베이스(624G)는 복수의 제6안착 베이스(624F)의 종방향 양측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7안착 돌기(626G)는 각각의 제7안착 베이스(624G)에서 횡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6안착 돌기(626F)의 횡방향 간격은 제1거리(D1)일 수 있으며, 복수의 제7안착 돌기(626G)의 횡방향 간격은 제1거리(D1)보다 큰 제2거리(D2)일 수 있다.
면도날(610)의 기저부(612)는 가드(623)와 대면하는 일면 및 캡(621)과 대면하는 타면을 가질 수 있다.
가드(623)와 인접한 전방 면도날(610A)의 기저부(612A)의 일면은 서로 다른 제7안착 베이스(624G)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제7안착 돌기(626G)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전방 면도날(610A)의 기저부(612A)의 타면은 서로 다른 제6안착 베이스(624F)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제6안착 돌기(626F)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캡(621)과 인접한 후방 면도날(610B)의 기저부(612B)의 일면은 서로 다른 제6안착 베이스(624F)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제6안착 돌기(626F)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후방 면도날(610B)의 기저부(612B)의 타면은 서로 다른 제7안착 베이스(624G)로부터 돌출된 두 개의 제7안착 돌기(626G)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로써, 전방 면도날(610A)의 기저부(612A) 및 후방 면도날(610B)의 기저부(612B)는 각각 적어도 네 개의 안착 돌기(6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전방 면도날(610A) 및 후방 면도날(610B)은 블레이드 하우징(620)에 견고히 안착될 수 있다.
도 10에서, 안착부(626)는 복수의 제6안착 돌기(626F)의 횡방향 간격(D1)이 복수의 제7안착 돌기(626G)의 횡방향 간격(D2)보다 작은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안착부(626)는 복수의 제6안착 돌기(626F)의 횡방향 간격이 복수의 제7안착 돌기(626G)의 횡방향 간격보다 더 클 수도 있다.
이 경우, 전방 면도날(610A)의 기저부(612A)의 일면은 두 개의 제6안착 돌기(626F)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전방 면도날(610A)의 기저부(612A)의 타면은 돌출된 두 개의 제7안착 돌기(626G)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후방 면도날(610B)의 기저부(612B)일면은 두 개의 제7안착 돌기(626G)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후방 면도날(610B)의 기저부(612B)의 타면은 두 개의 제6안착 돌기(626F)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면도날 112: 기저부
114: 에지부 120: 블레이드 하우징
122: 날 안착부 124: 안착 베이스
126: 안착 돌기 225: 아우터 베이스
227: 아우터 돌기 124A: 제1안착 베이스
124B: 제2안착 베이스 124C: 제3안착 베이스
126A: 제1안착 돌기 126B: 제2안착 돌기
126C: 제3안착 돌기 424D: 제4안착 베이스
426D: 제4안착 돌기

Claims (16)

  1. 기저부(base portion) 및 커팅 에지(cutting edge)를 가지는 에지부(edge portion)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shaving blade);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을 종방향으로 수용하는 날 안착부(blade mounting portion)를 포함하는 블레이드 하우징(blade housing)을 포함하되,
    상기 날 안착부는 상기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복수의 안착 베이스(mounting base) 및 상기 복수의 안착 베이스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복수의 안착 돌기(mounting protrusion)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의 면도날은 각 안착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각각의 하나의 안착 돌기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하나의 면도날을 지지하는 안착 돌기들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나의 면도날의 일면을 지지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하나의 면도날의 타면을 지지하되,
    각 안착 베이스에 배치된 복수의 안착 돌기 중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안착 돌기의 횡방향 간격은,
    서로 인접한 두 개의 커팅 에지의 횡방향 간격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더 크고, 상기 안착 돌기의 폭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기저부는 상기 종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적어도 세 개의 안착 베이스로부터 각각 돌출된 적어도 세 개의 안착 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기저부의 일면 및 타면 중 어느 하나는 적어도 하나의 안착 돌기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하나의 기저부의 일면 및 타면 중 다른 하나는 적어도 두 개의 안착 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착 돌기는 각 안착 베이스 상에서 상기 종방향과 수직한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착 베이스는, 복수의 제1안착 돌기(first mounting protrusion)가 상기 횡방향을 따라 배치된 제1안착 베이스(first mounting base), 복수의 제2안착 돌기(second mounting protrusion 가 상기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안착 베이스와 일측 종방향으로 이격된 제2안착 베이스(second mounting base), 및 복수의 제3안착 돌기(third mounting protrusion)가 상기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안착 베이스와 타측 종방향으로 이격된 제3안착 베이스(third mounting base)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1안착 돌기는 상기 종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2안착 돌기 및 상기 복수의 제3안착 돌기와 어긋나게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제2안착 돌기 및 상기 복수의 제3안착 돌기는 상기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7. 제5항에 있어서,
    각 안착 베이스에 배치되는 복수의 안착 돌기는 횡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8. 삭제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안착 베이스는, 복수의 제4안착 돌기(fourth mounting protrusion)가 상기 횡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1안착 베이스와 상기 제2안착 베이스 사이에 배치되는 제4안착 베이스(fourth mounting base)를 더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제4안착 돌기는 상기 종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제1안착 돌기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은,
    상기 블레이드 하우징의 종방향 양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아우터 베이스(outer base) 및 상기 아우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복수의 아우터 돌기(outer protrusion)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의 기저부는 서로 다른 안착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안착 돌기들과 상기 하나의 아우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두 개의 아우터 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기저부의 일면 및 타면은 상기 하나의 아우터 베이스로부터 돌출되는 적어도 두 개의 아우터 돌기에 의해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은 상기 기저부 및 상기 에지부가 일체로서 형성되는 일체형 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면도날은 상기 에지부가 상기 기저부의 일면 상에 고정되는 강대날(welded bla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돌기는 상기 안착 베이스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베이스 및 상기 안착 돌기는 하나의 판재(one plate)로 이루어지되,
    상기 안착 돌기는 상기 판재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 돌기는 상기 안착 베이스와 함께 사출 성형(injection molding)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도기 카트리지.
KR1020190164111A 2019-12-10 2019-12-10 면도기 카트리지 KR102343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111A KR102343058B1 (ko) 2019-12-10 2019-12-10 면도기 카트리지
US17/112,944 US20210170615A1 (en) 2019-12-10 2020-12-04 Razor cartridge
EP20213042.3A EP3835012B1 (en) 2019-12-10 2020-12-10 Razor cart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4111A KR102343058B1 (ko) 2019-12-10 2019-12-10 면도기 카트리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350A KR20210073350A (ko) 2021-06-18
KR102343058B1 true KR102343058B1 (ko) 2021-12-24

Family

ID=73793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4111A KR102343058B1 (ko) 2019-12-10 2019-12-10 면도기 카트리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170615A1 (ko)
EP (1) EP3835012B1 (ko)
KR (1) KR1023430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45055B2 (en) * 2018-09-05 2022-05-31 The Gillette Company Llc Razor cartridge structure
USD1014849S1 (en) * 2021-04-05 2024-02-13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Razor cartridge housing
KR20230081035A (ko) * 2021-11-30 2023-06-07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07737A (ja) 2015-03-25 2018-03-22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The Gillette Company Llc 剃毛かみそりカートリッジ
KR101876232B1 (ko) * 2018-01-02 2018-07-10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KR101925281B1 (ko) 2017-11-29 2018-12-06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및 면도기 카트리지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925B1 (ko) * 2006-06-29 2007-08-16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US8650758B2 (en) * 2007-11-02 2014-02-18 The Gillette Company Razor blade assembly pre-form
JP5465869B2 (ja) * 2008-12-05 2014-04-09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替刃式剃刀
PL2814645T3 (pl) * 2012-02-13 2016-07-29 Edgewell Personal Care Brands Llc Wkład do maszynki do golenia
EP2823941A1 (en) * 2013-07-10 2015-01-14 The Gillette Company Razor cartridges
US10421204B2 (en) * 2013-10-02 2019-09-24 Dorco Co., Ltd. Razor cartridges
EP3072647A1 (en) * 2015-03-25 2016-09-28 The Gillette Company Shaving razor cartridge
EP3072646B1 (en) * 2015-03-25 2020-06-17 The Gillette Company LLC Shaving razor cartridge
KR102081878B1 (ko) * 2018-05-21 2020-02-26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507737A (ja) 2015-03-25 2018-03-22 ザ ジレット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The Gillette Company Llc 剃毛かみそりカートリッジ
KR101925281B1 (ko) 2017-11-29 2018-12-06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및 면도기 카트리지 어셈블리
KR101876232B1 (ko) * 2018-01-02 2018-07-10 주식회사 도루코 면도기 카트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3350A (ko) 2021-06-18
US20210170615A1 (en) 2021-06-10
EP3835012A1 (en) 2021-06-16
EP3835012B1 (en) 2023-10-11
EP3835012C0 (en) 202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3058B1 (ko) 면도기 카트리지
CN105818175B (zh) 剃刀刀片单元
KR102444206B1 (ko) 면도기 시스템
CN102802890B (zh) 剃刀和刀片架
EP2582497B1 (en) Shaving razor cartridge
KR100433159B1 (ko) 타원형프레임면도기
US20140000114A1 (en) Shaving razor cartridge
AU2016235862A1 (en) Shaving razor cartridge
JP2013544580A (ja) かみそりカートリッジ
CN107073730B (zh) 剃须刀架以及包括该剃须刀架的剃须刀
KR102449754B1 (ko) 면도기 시스템
US20190160699A1 (en) Razor cartridge and razor cartridge assembly
US20140123497A1 (en) Razor blade unit
US10391652B2 (en) Blade support for multi-blade razor cartirdges
AU2016235863A1 (en) Shaving razor cartridge
KR20210146118A (ko) 면도기 카트리지
US20240157590A1 (en) Wet shave razor cartridge having blade slots
JP6600762B1 (ja) 剃刀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